KR850001111B1 - 공기분사식직기에 있어서 위입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분사식직기에 있어서 위입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111B1
KR850001111B1 KR828203341A KR820003341A KR850001111B1 KR 850001111 B1 KR850001111 B1 KR 850001111B1 KR 828203341 A KR828203341 A KR 828203341A KR 820003341 A KR820003341 A KR 820003341A KR 850001111 B1 KR850001111 B1 KR 85000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passage
nozzle
indentation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820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695A (ko
Inventor
히로시 혼다
미지루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요시도시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7287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78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7028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111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7029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1112Y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요시도시,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도요다 요시도시
Publication of KR84000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26Air supply systems
    • D03D47/3053Arrangements or lay out of air supply syste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06Construction of the nozzles
    • D03D47/3013Main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분사식직기에 있어서 위입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공기분사식직기의 요부를 약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분출노즐의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분출노즐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경로를 약시한 계통도.
제5도는 본발명에 의거한 분출노즐의 측단면도.
제6도는 제5도 VI-VI선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분출노즐의 가속관에 있어서의 유속의 분포상태를 설명하는 단편적인 세부 단면도.
제8도 내지 제15도는 각종 분출노즐의 단면예시도.
제16도는 제5도와 유사한 본발명에 의거한 또한가지 실시태양을 도시한 분출노즐의 측단면도.
제17도는 분출노즐부의 압력과 공기분사에 의한 위사파단을 초래하는 한계추진력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
제18도는 분사노즐의 압력과 추진력 사이의 관게를 나타내는 도표.
제19도 내지 제21도는 제5도와 유사하나 약간 그 태양을 달리하고 있는 본발명에 의한 분 사노즐의 측단면도.
제22도는 제21도 XXII-XXII선 단면도.
제23도는 제21도에 도시된 분사노즐의 변형.
제24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또한가지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위입장치의 단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분사노즐장치를 설명한 평면도.
제26도는 분사노즐의 부분절결 단면도(배기공이 제24도의 경우와는 반대위치에 천설되어 있음)
제27도는 제24도에 도시된 위입장치의 변형을 표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공기분사식 직기에 있어서 압축공기를 위사와 함께 분사 시킴으로써 직기의 경사개구속으로 위사를 통기시키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분사식직기(Air Jet Loom)에 있어서는 제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위사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위사(W)를 일단 위사정류장치 1속에 저류(貯留) 시켰다가 파지장치 2와 분사노즐 3을 통과시킨다.
파지장치 2는 위사를 잡았다 놓았다 하면서 위사를 통과시키며 노즐 3으로 부터는 압축공기가 위사안내통로를 향하여 분출된다.
이 안내통로는 여러개의 안내부재 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디 5에 대하여 슬래이 4의 클로스 휄(Cloth Fell) 측에 예정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위사 W는 또한 압축공기와 함께 노즐 3으로 부터 분사되어 안내통로를 지나서 삽통되는데 이와 같이하여 위입(緯入)이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입된 위사는 바디 5에 의한 위타(緯打)가 끝난뒤 노즐 3과 직물의 연부사이에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한 컷터에 의하여 위사 공급원으로 부터 짤려져 나오게 된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노즐 3은 브라켓트 7속에 형성된 삽통공 8속에 삽착된 대체적으로 원통형의 노즐본체 9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브라켓트 7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계의 프래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노즐본체 9의 일단부에는 가속관 10이 너트 29로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대체적으로 원통형의 공동(空洞) 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공동 11은 그속에 니들 14를 받아드리게 되어있으며 니들 14에는 중앙에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위사안내통로 13이 형성되어 있다.
나들 14에는 도시된 바와같이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공동 11의 벽과 연결되며 공동 11은 노즐본체 9의 중앙에 형성된 통로 12를 통하여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노즐본체 9의 후단부의 외측원통형표면에는 고리 모양의 홈(溝) 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본체 9의 후단부에는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급기공 16이 형성되어 있어 고리모양의 홈 15의 저부에 방사형외단부가 개구되고 공동 11에 방사형내단부가 개구되도록 되어 있다.
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모든 급기공 16은 노즐본체 9의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그리고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리모양의 홈 15의 둘레에는 슬리브 17이 형성되어 있으며 브라켓트 7의 도움 아래 너트 30과 31에 의하여 노즐본체 9위에 견고하게 지지 되어있다. 슬리브 17에는 하나의 구멍 18이 천설되어 있어 고리모양의 홈과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그속에 파이프 19가 삽통되어 공동 1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제4도에 대략적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파이프 19는 전자밸브 또는 기계적으로 작동하고 밸브 21을 지나서 압축공기탱크 20과 연결되어 있으며 또 보조관 23이 압축공기탱크 20으로부터 조절밸브(Throttle Valve)을 지나서 파이프 19와 연결되어 있다.
밸브 21은 위입시간에 맞추어 열려서 탱크 20속의 압축공기가 파이프 19를 통하여 노즐 3에 공급되어 위사가 압축공기의 흐름을 타서 안내부재 6으로 이루어진 위사안내통로를 지나서 위입되게 한다.
밸브 23은 위입시간을 제외하고는 항상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조절밸브 23에 의하여 감압된 압축공기가 보조관 22를 지나서 노즐 3속으로 공급되게 하여 순환공기의 흐름이 가속관 10속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 순한공기에 의하여 가속관 10으로부터 사출된 위사 W의 단부는 위입된 위사의 절단후일지라도 약간 장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위사절단의 실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입수행을 향상 시킬수가 있다.
그러나 위입 실패에 영향을 주는 모든 요인을 분석해 볼 때 위입하는 동안 분사노즐에서 야기되는 위사의 파단(破斷)이 위입실패를 일으키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또한 위입시간동안을 제외하고 분사노즐내에서 상기한 순한공기를 맞은 위사의 단부가 이순한 공기때문에 파단된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었는 바, 그 이유는 이 위사파단이 다음 위입을 위한 위사의 길이의 부족을 초래하고 위사의 단부의 인도를 예정된 위치에 도달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한 두가지 위입실패의 요인은 분사노즐속에서의 위사의 파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었는바, 이와같은 사실로 미루어 본 발명자들은 분사노즐 속에서 위사가 행하는 행동을 분석하기 시도하였다.
그 결과 노즐속에 있는 원통형상의 위사통로는 노즐의 내벽표면에 의하여 그 주위가 완전히 한정되어있다. 할지라도 위사통로속에 존재하고 있는 위사부분은 해연(Untwisting)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격렬하게 진동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는바, 이와같은 현상이 노즐속에서 위사의 파단을 이르켰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해연방향으로 위사가 회전됨은 노즐속의 공기의 흐름이 위사주위를 위사(위사는 위입시간동안을 제외하고는 정지상태에 있음)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마찰되면서 통과하게 되고 따라서 위사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짜여지게 되면서(Squeesing) 해연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에 굴복하게 되고 공기흐름의 추진력이 추가되어 위사파단을 이르키게 된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이다.
또한, 위사가 필라멘트 사일때에는 필라멘트는 노즐속에서의 격렬한 진동과 비연방향의 회전으로 갈라져서 흐트러지기 쉬우므로 필라멘트사가 파단되지 않더라도 이와같이 갈라져서 흐트러진 필라멘트를 함유하고 있는 실제 제직된 직물은 품질의 저하를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에서 나타난 여러가지 결함을 해결할 수 있는 위입방법과 장치가 공기 분사식직기분야에서 요망되어 온 것으로 알고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구성된 위입장치를 포함한 공기분사식직기에서는 위입장치의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와 위사가 함께 공사개구속을통과하게 되는데, 위사가 노즐속에 형성된 위사안내통로를 통과할 때에는 위사안내통로의 적어도 일부분의 중심 또는 축으로 부터 벗어나도록 노즐속에 배기공을 천설하여 위사안내통로의 상기한 부분으로 개구되도록 대기와 유동적인 연결이 되게한다.
첨부도면을 참고하면서 본발명의 실시태양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공기분사사식직의 요부를 약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분출노즐의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분출노즐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경로를 약시한 계통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분출노즐의 측단면도,
제6도는 제5도 VI-VI선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분출노즐의 가속관에 있어서의 유속의 분포상태를 설명하는 단편적인 세부 단면도,
제8도 내지 제15도는 각종분출노즐의 단면예시도,
제16도는 제5도와 유사한 본발명에 의거한 또한가지 실시태양을 도시한 분출노즐의 측단면도,
제17도는 분출노즐부의 압력과 공기분사에 의한 위사파단을 초래하는 한계추진력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
제18도는 분사노즐의 압력과 추진력 사이의 관게를 나타내는 도표,
제19도 내지 제21도는 제5도와 유사하나 약간 그 태양을 달리하고 있는 본발명에 의한 분사노즐의 측단면도,
제22도는 제21도 XXII-XXII선 단면도,
제23도는 제21도에 도시된 분사노즐의 변형,
제24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또한가지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위입장치의 단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분사노즐장치를 설명한 평면도,
제26도는 분사노즐의 부분절결 단면도(배기공이 제24도의 경우와는 반대위치에 천설되어 있음)
제27도는 제24도에 도시된 위입장치의 변형을 표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된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그 실싱태양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제5도 내지 제7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사노즐의 한가지 실시태양의 표시되어 있는데 이노즐은, 노즐본체 9의 후단부에 있는 공동 11과 가속관 10 사이에 있는 통로 12가 벌어진 부분 12a를 갖고 있다는 점과 배기공 24가 노즐본체 9주변의 대기와 유동적인 연결을 통로에 가저오게하기 위한 배기공 24를 노즐본체 9에 갖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2도의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벌어진부분 12a는 위입방향에 대해서 통로 12의 하류측에 형성되며 가속관 10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점차 커져서 가속관 10과 통로 12사이에 어떠한 정지부분도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통로 12가 벌어진부분 12a를 포함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그 직경은 균일하여 가속관 10의 직경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제5도 및 제6도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2조의 배기공 24가 노즐본체 9의 축에 수직되게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각조는 각자 12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그표면적공간이 이루어진 3개의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배기공 24의 방사상 내단부 및 외단부를 벌어진 부분 12a와 고리모양의 홈 25에 제각기 개통되도록 되어있다.
홈 25는 브라켓트 7에 형성된 개구 32를 통하여 대기와 연통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분사노즐 3속으로 파이프 19를 통하여 공급된 압축공기는 고리모양의 홈15와 급기공 16을 지나서 공동 11속으로 공급된다.
그리하여 압축공기의 주류는 통로 12를 지나서 가속관 10으로부터 분사되고 잔여공기는 배기공 24를 통하여 대기속으로 배출된다.
위입시간동안 배기공 2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가속관 10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의 양에 비하여 매우 적기 때문에 위사에 작용하는 압축공기의 추진력은 제2도에 도시된 통상의 분사노즐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렇게 하여 위사(W)는 배기공 24부터 공기의 흐름의 일부가 배출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고 가속관 10속을 지나갈 수가 있다.
그러나, 분사노즐 3의 통로 12속에 있는 위사 W의 부분은 고리모양의 홈 25와 개구 32를 통하여 대기속으로 배기공 24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흐름의 작용에 의하여 배기공 24중의 하나를 향하여(특히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구 32에 가장 가까운 배기공 24를 향하여) 잡아당겨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분사노즐속에 있는 모든 위사 W가 분사노즐의 축으로부터 벗어나는 동안에 분사노즐을 다 빠져나가 게해버리는 원인이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분사노즐속에 있는 위사는 통로의 내벽표면과 통로의 축에 인접한 압축공기의 최대유속구역 사이에 있으며, 이 때문에 그리고 압축공기의 유속은 통로의 내벽표면 가까이 지역에서는 감소되기 때문에 위사는 진동되거나 비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또한 대체적으로 직선상으로 지나갈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분사노즐 3속에서의 위사파단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과거에는 위사를 분사노즐 3속으로 처음 넣을때에는 조정발브 23의 개구를 증가시킨 다음에 니들 13속에 위사를 삽입시키고 위사를 넣은후에 직기가 정상작동할 때의 정상조건으로 밸브개구를 복귀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발명에 의하면 분사노즐 3속에 배기공이 천설되어 있기 때문에 직기의 정상작동시의 조건으로 밸브개구를 유지시키면서 위사는 니들 14속으로 흡인시킬 수가 있으므로 위사를 분사노즐속에 처음 넣기가 매우 간편하게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제5도에 도시된 실시태양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들면, 배기공 24의 수와 각조의 인접한 배기공 24 사이를 포함하여 형성된 각도는 제8도 내지 제10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변경시킬 수도 있으며, 또 배기공 24는 제1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가속관 10의 내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시킴으로써 그곳에서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촉진시킬 수도 있다.
또한 공기를 배출함에 있어서 배기공 24를 보조하기 위하여 공기흡입공 26을 형성시켜서 제12도 및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내단부가 대체적으로 관련 배기공 24의 내단부와 반대되게 할 수도 있다.
제14도의 변경으로 배기공 24의 외단부가 흡기관 27에 연결시킬 수 있으며 제12도의 변형으로 제15도를 더 변형시킬 수도 있는바, 이 경우 배기공 24과 흡기공 26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의 방법으로 흡기관 27과 공기사출관 28을 함께 연결시켜서 제각기 관련되도록 하여 강제적인 공기배출을 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가지 다른 실시태양의 제16도에 표시되어 있는바, 이 경우 너트 33에 의하여 브라켓트 7에 견고하게 장치된 노즐본체9 속으로 가압하여 삽입시켜서 가속관 10을 노즐본체9에 직접 연결시킨다.
도면중 부호 A-D는 여러가지 지역을 나타내고 있는바, 이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또 제16도의 지역 A-D 전부가 배기공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위에 설명한 바와같이 그럴 필요는 없다. 지역 A에는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둔 4개의 배기공 34가 노즐본체 9의 상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내단부는 통로 12의 벌어진부분 12a 속으로 개통되어 있고 그 외단부는 브라켓트 7에 형성된 개구 32속으로 개통되어 대기와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노즐본체 9와 가속관 10사이의 연결부 부근의 B지역에는,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4개의 배기공 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기공 36의 내단부는 가속관 10에 의하여 한정된 통로속으로 개통되어 있으며 그 외단부는 너트 33에 형성된 개구 35속으로 개통되어 있다. 가속관 10의 대략 중간부분에 해당하는 지역 C에는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4개의 배기공 37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속관 10의 전단부 부근의 지역 D에는 4개의 배기공 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6도에서 알수 있듯이 지역 C와 D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공 37와 38은 대기와 직접 유동적으로 연통되어 있다.
제17도는 제16도에 표시한 분사노즐 및 제2도에 표시한 통상의 분사노즐에 의하여 본발명자들이 행한 여러가지 실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는바 모든 실험에서 위사로서 16수 면사가 사용되었다.
제17도에서 배기공이 형서되어 있지 않는 통상의 분사노즐에 의하여 실시된 실험에 의하여 얻어진 지점39는 분사노즐의 공기압력이 0.4kg/cm2으로 증가되고 이때 위사에 작용된 추진력이 4.4그램일 때 위사는 끊어짐을 표시하고 있다.
한편으로 지역 A에서만 4개의 배기공 34를 가진 분사노즐의 경우에는 제17도에서 부호 40의 지점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압력이 0.7kg/cm2에 도달되고 이때 위사에 가하여진 추진력이 9그램에 도달될 때까지는 위사는 끊기지 않는다.
이와같이 지역 A에 배기공이 형성된 분사노즐의 경우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분사노즐의 경우에 비하여 압축공기의 압력을 약 2배정도 높혀도 위사의 파단이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지역 B에만 배기공을 형성항 경우와 지역 C에만 배기공을 형성한 경우와 그 실험결과는 동일하였는 바 이와같은 결과는 지점 41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즉, 위사파단이 일어나는 임계추진력은 지점 39보다 약 3배 더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배기공 38이 지역 D에만 형성된 경우의 결과는 지점 43에서 나타나는데 지점 39의 경우와 거의 동등한바, 이것은 배기공 38이 가속관 10전단부에 너무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때문이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배기공이 단지 한지역에만 형성된 경우에는 니들 14의 내단과 가속관 10의 외단 사이의 거리의 약 2/3 내지 3/4배의 길이 범위이내에 배기공을 니들 14로부터 떨어진 곳에 형성시키는 것이 좋으며, 만약 배기공이 상기의 범위 이내에 있으면 위사파단을 야기시키지 않도도 증가된 공기압력을 사용할 수가 있는바, 이것은 위사의 속도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가 있어 보다 빠른 속도로 위입을 행하게 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또한, 동 혹은 그 이상의 지역에 배기공을 형성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배기공을 지역 A와 C에 다 형성시킴으로써 지점 41에서 나타낼 수 있는 바와 거의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배기공을 지역 A와 B 또는 A와 D 또는 B와 D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7도 지점 42에 표시된 바와같은 가장 가치있는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18도는 배기공이 없는 통상의 분사노즐과 본발명에 의한 배기공을 가진 개량된 분사노즐의 압력-추진력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의 분사노즐과 지역 A와 B, 또는 A와 B와 D에 배기공을 가진 개량된 분사노즐에 의하여 실시한 실험에 의하면 동일한 곡선 44가 얻어졌다. 곡선 45는 지역 A에만 배기공이 형성된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제18도에 표시된 곡선 44 및 45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원리에 의거한 분사노즐에 형성된 배기공은 추진력의 감소를 일으키지 않는다.
제16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도 모든 배기공은 분사노즐 3의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1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위입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시키거나 그들의 방사상 내단부가 통로의 주위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오히려 접선(接線)적으로 배치시킬 수도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같이 제5도 내지 제16도에 표시된 실시태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기공과 연통된 통로의 부분에서 최소한 분사노즐의 축에서 벗어나 있는 동안 분사노즐의 통로 12안에서 위사는 운행된다.
그러므로 자주있는 일은 아니겠지만 위사는 통로의 이부분에 맞물리게(Engage)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있게 된다.
그와같은 맞물림이 발생되면 위사는 보다 높은 마찰저항에 굴복되어 분사노즐의 통로속에 증가된 양의 비산물(飛散物 : Fies)이 모여지게 될 것이다. 노즐통로와 위사간의 상기와 같은 맞물림의 발생가능성을 없애기 위하여 본발명자들은 제19도 및 제20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후속 실시태양을 제공하였다.
제19도의 실시태양에서 통로 12의 한부분은 4개의 배기공 24가 개통되어 있으며 부호 12b로 표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난형(卵形)의 선으로 구분되어 있는바, 그 최대직경은 가속관 10의 내경보다 더 크다. 제20도의 실시태양에서 가속된 10의 통로에도 난형부분 12b가 형성되어 있다.
제19도 및 제21도의 실시태양에 따르면 배기공 24의 방사상 내단부는 요입부 12b 속으로 개통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위사가 위사통로의 어떠한 표면과도 맞물리게 될 염려가 없으며, 위입작업중 빗나가 있는 조건으로 통로속을 위사가 운행되더라도 마찬가지다.
이와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자주있음직하지 않는 가능성도 깨끗이 해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한가지 다른 실시태양이 제21도에 표시되어 있는바, 제21도에서 여러개의 배기공 24가 노즐본체 9와 가속관 10둘다에 형성되어 있어 그들의 방사상 외단부와 내단부가 우회나선상으로 배열되어 오른쪽을 향하고 있으며, 인접한 배기공은 90도의 각도로 서로 격리되어 있다.
제2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각 배기공 24는 통로의 주위에 대하여 대체로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배기공의 축은 통로의 축과 교차되지 않게되어 있으며 이와같은 배기공의 배치는 그곳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량을 증가하게 될 것이다.
제21도의 실시태양에서 공동 11속으로 분사된 압축공기의 주류는 가속관 10의 전단부로부터 분사되며 나머지 소량은 전술한 실시에에서처럼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러므로 위사에는 그 운행방향으로 충분한 추진력이 작용될 수가 있다.
그러나 위사는 각배기공을 횡단할때에는 언제든지 각배기공을 통하여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지향되는 흐름의 힘에 굴복될 것이다.
이 때문에 그리고 배기공의 방사상 내단부가 노즐본체의 후단부로부터 보아 우회나선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위사 W는 제21도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우회나선을 따라서 운행될 수 있다.
이와같이하여 위사가 Z꼬임사가 아닐 때에는 위사의 해연(解撚 : Untwisting)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가 있다.
제21도에 표시된 분사노즐은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만약 위사가 S꼬임사일 때에는 좌회나선상으로 배기공을 배열하고 인접한 배기공은 60도 내지 120도의 각도로 서로 격리시키며 분사노즐을 슬래이워에 설치 함으로써 분사노즐을 변형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제2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적어도 2개의 배기공을 하나의 장소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한가지 다른 실시태양이 제24도에 표시되어 있는바, 이경우 분사노즐 3은 슬래이 4에 견고하게 착설되어 있는 브라켓트 7위에 설치되며, 바디 5와 대향하고 있는 노즐본체 9쪽에는 4개의 배기공이 후술하는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같은 배기공이 가속관 10에도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사노즐 3은 슬래이 4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슬래이 4와 함께 활발하게 움직인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직기의 크랭크샤프트가 0도 혹은 360도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분사노즐 3은 제25(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파지장치 2와 위사가이드 G보다 클로스휄(도시되지 않음)에 더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60도 내지 300도 각도 위치에서 분사노즐 3은 제25(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파지장치 2와 위사가이드 G를 잇는 직선상에 있다.
또 분사노즐 3이 제25(c)도에 표시된 위치(각도=100도) 상에 있을 때에 위입이 시작된다.
다음에 분사노즐은 제25(d)도의 위치 및 제25(c)도 위치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곳에서 위입이 완료된다(각도=260도)
위입하는 동안 위사는 파지장치 2, 위사가이드 G, 보조노즐 7등의 압력으로 인하여 일정한 조건의 장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위사를 클로스휄쪽으로 즉 제25(a)도에 표시된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려는 힘에 굴복하게 된다.
나 있는 바와 같이 압력이 0.7kg/cm2에 도달되고 이때 위사에 가하여진 추진력이 9그램에 도달될 때까지는 위사는 끊기지 않는다.
이와같이 지역 A에 배기공이 형성된 분사노즐의 경우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분사노즐의 경우에 비하여 압축공기의 압력을 약 2배정도 높혀도 위사의 파단이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지역 B에만 배기공을 형성한 경우와 지역 C에만 배기공을 형성한 경우와 그 실험결과는 동일하였는 바 이와같은 결과는 지점 41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즉, 위사파단이 일어나는 임계추진력은 지점 39보다 약 3배 더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배기공 38이 지역 D에만 형성된 경우의 결과는 지점 43에서 나타나는데 지점 39의 경우와 거의 동등한바, 이것은 배기공 39이 가속관 10전단부에 너무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때문이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배기공이 단지 한지역에만 형성된 경우에는 니들 14의 내단과 가속관 10의 외단 사이의 거리의 약 2/3 내지 3/4배의 길이 범위이내에 배기공을 니들 14로부터 떨어진 곳에 형성시키는 것이 좋으며, 만약 배기공이 상기의 범위 이내에 있으면 위사파단을 야기시키지 않도도 증가된 공기압력을 사용할 수가 있는바, 이것은 위사의 속도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가 있어 보다 빠른 속도로 위입을 행하게 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또한, 돌 혹은 그 이상의 지역에 배기공을 형성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배기공을 지역 A와 C에 다 형성시킴으로써 지점 41에서 나타낼 수 있는 바와 거의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배기공을 지역 A와 B 또는 A와 D 또는 B와 D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7도 지점 42에 표시된 바와같은 가장 가치있는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18도는 배기공이 없는 통상의 분사노즐과 본발명에 의한 배기공을 가진 개량된 분사노즐의 압력-추진력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의 분사노즐과 지역 A와 B, 또는 A와 B와 D에 배기공을 가진 개량된 분사노즐에 의하여 실시한 실험에 의하면 동일한 곡선 44를 얻어졌다. 곡선 45는 지역 A에만 배기공이 형성된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제18도에 표시된 44곡선 및 45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원리에 의거한 분사노즐에 형성된 배기공은 추진력의 감소를 일으키지 않는다.
제16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도 모든 배기공은 분사노즐 3의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1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위입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시키거나 그들의 방사상 내단부가 통로의 주위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오히려 접선(接線)적으로 배치시킬 수도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같이 제5도 내지 제16도에 표시된 실시태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기공과 연통된 통로의 부분에서 최소한 분사노즐의 축에서 벗어나 있는 동안 분사노즐의 통로 12안에서 위사는 운행된다.
그러므로 자주있는 일은 아니겠지만 위사는 통로의 이부분에 맞물리게(Engage)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있게 된다.
그와같은 맞물림이 발생되면 위사는 보다 높은 마찰저항에 굴복되어 분사노즐의 통로속에 증가된 양의 비산물(飛散物 : Fies)이 모여지게 될 것이다. 노즐통로와 위사간의 상기와 같은 맞물림의 발생가능성을 없애기 위하여 본발명자들은 제19도 및 제20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후속 실시태양을 제공하였다.
제19도의 실시태양에서 통로 12의 한부분은 4개의 배기공 24가 개통되어 있으며 부호 12b로 표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난형(卵形)의 선으로 구분되어 있는바, 그 최대직경은 가속관 10의 내경보다 더 크다. 제20도의 실시태양에서 가속된 10의 통로에도 난형부분 12b가 형성되어 있다.
제19도 및 제21도의 실시태양에 따르면 배기공 24의 방사상 내단부는 요입부 12b 속으로 개통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위사가 위사통로의 어떠한 표면과도 맞물리게 될 염려가 없으며, 위입작업중 빗나가 있는 조건으로 통로속을 위사가 운행되더라도 마찬가지다.
이와같이 상술한 바와 가은 자주있음직하지 않는 가능성도 깨끗이 해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한가지 다른 실시태양이 제21도에 표시되어 있는바, 제21도에서 여러개의 배기공 24가 노즐본체 9와 가속관 10둘다에 형성되어 있어 그들의 방사상 외단부와 내단부가 우회나선상으로 배열되어 오른쪽을 향하고 있으며, 인접한 배기공은 90도의 각도로 서로 격리되어 있다.
제2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각 배기공 24는 통로의 주위에 대하여 대체로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배기공의 축은 통로의 축과 교차되지 않게되어 있으며 이와같은 배기공의 배치는 그곳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량을 증가하게 될 것이다.
제21도의 실시태양에서 공동 11속으로 분사된 압축공기의 주류는 가속관 10의 전단부로부터 분사되며 나머지 소량은 전술한 실시에에서처럼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러므로 위사에는 그 운행방향으로 충분한 추진력이 작용될 수가 있다.
그러나 위사는 각배기공을 횡단할때에는 언제든지 각배기공을 통하여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지향되는 흐름의 힘에 굴복될 것이다.
이 때문에 그리고 배기공의 방사상 내단부가 노즐본체의 후단부로부터 보아 우회나선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위사 W는 제21도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우회나선을 따라서 운행될 수 있다.
이와같이하여 위사가 Z꼬임사가 아닐 때에는 위사의 해연(解撚 : Untwisting)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가 있다.
제21도에 표시된 분사노즐은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만약 위사가 S꼬임사일 때에는 좌회나선상으로 배기공을 배열하고 인접한 배기공은 60도 내지 120도의 각도로 서로 격리시키며 분사노즐을 슬래이워에 설치 함으로써 분사노즐을 변형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제2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적어도 2개의 배기공을 하나의 장소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한가지 다른 실시태양이 제24도에 표시되어 있는바, 이경우 분사노즐 3은 슬래이 4에 견고하게 착설되어 있는 브라켓트 7위에 설치되며, 바디 5와 대향하고 있는 노즐본체 9쪽에는 4개의 배기공이 후술하는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같은 배기공이 가속관 10에도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사노즐 3은 슬래이 4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슬래이 4와 함께 활발하게 움직인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직기의 크랭크샤프트가 0도 혹은 360도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분사노즐 3은 제25(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파지장치 2와 위사가이드 G보다 클로스휄(도시되지 않음)에 더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60도 내지 300도 각도 위치에서 분사노즐 3은 제25(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파지장치 2와 위사가이드 G를 잇는 직선상에 있다.
또 분사노즐 3이 제25(c)도에 표시된 위치(각도=100도) 상에 있을 때에 위입이 시작된다.
다음에 분사노즐은 제25(d)도의 위치 및 제25(c)도 위치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곳에서 위입이 완료된다(각도=260도)
위입하는 동안 위사는 파지장치 2, 위사가이드 G, 보조노즐 7등의 압력으로 인하여 일정한 조건의 장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위사를 클로스휄쪽으로 즉 제25(a)도에 표시된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려는 힘에 굴복하게 된다.
그러므로 만약 배기공을 적당한 장소에 형성시켜 놓지 않으면 각 배기공으로부터 배출된 흐름의 힘은 위사를 클로스훼쪽으로 이동시킬려는 상기한 힘에 의하여 상쇄될 것이다.
그리하여 위사의 진동과 해연(解撚 : Untwisting)을 방지하는 흐름의 힘의 유리한 기능을 적절히 이행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실험결과 제24도에 표시된 위치와 정반대편인 제26도에 표시된 장소에 배기공을 형성시키면 위사는 제26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강하게 진동되고 위사의 해연이 일어난다.
그러나, 제24도에 표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배기공 24와 38은 그곳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의 힘은 위사를 클로스휠쪽으로 이동시킬려는 힘에 의하여 상쇄되지 않게할 수 있으므로 위사의 해연을 일으키지 않게 할 수 있으며 또 위사는 제24도에 표시된 조건으로 분사노즐을 통과할 수가 있다.
제27도는 제25도에 표시된 위입장치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변형에서 장소(A)에서 분사노즐 9은 파지장치 2와 위사가이드 G와 일열상에 나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위사에 가하여지고 있는 장력과 파지장치 2 및 위사가이드G 그리고 위사의 장력을 감소시키는 방향 즉 위사를 느슨하게 해주는 방향의 작용등에 의하여 생기는 힘은 항상 배기공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흐름의 힘과 같은 방향을 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사실로 미루어 본 발명에 의거하면 분사노즐속의 위사의 진동과 해연은 억제될 수 있음을 알수 있을 것인바, 이것으로 위사파단의 발생가능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위입에 사용될 공기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해 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위입을 끝내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증가된 속도로 경사속을 위사가 통과할 수가 있다. 또한 진동과 위사의 해연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사는 대체로 직선조건을 유지하면서 운행할 수 있으므로, 분사노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위입된 위사의 단부에서 통상 발생되는 루우프나 얽힘등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배기공으로부터는 공기이외에도 비산물과 염색조제등 불순물을 함께 배출할 수가 있어 분사노즐이 그와같은 불순물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Claims (15)

  1. 분사노즐의 위사통로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경사개구속으로 위사를 위입시킴에 있어서, 전기한 위사통로의 적어도 한부분에서 전기한 위사통로의 축에서 벗어나고 있는 동안에 전기한 위사통로를 위사가 지나가도록함을 특징으로하는 공기분사식직기에 있어서 위입방법.
  2. 하나의 노즐본체와 이 노즐본체의 후부에 설치된 하나의 유도니들(Inductive Needle)을 가진 하나의 분사노즐의 위사통로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경사개구속으로 위사를 위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분사노즐(3) 속에 적어도 하나의 배기공(24;34,36,37,38)을 형성시켜서 전기한 위사유도니들(14)의 내단부 전방에 있는 적어도 1개장소에서 전기한 위사통로(12) 속으로 개통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직기에 있어서 위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배기공(24;34,36,37,38)을 여러장소에 적절히 형성시킴을 특징으로하는 위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위사통로(12)가 전기한 위치(12b)에서 나형(나形)으로 확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위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배기공을 전기한 위사통로(12)와 같은 쪽에 형성시킴을 특징으로하는 공기분사식직기에 있어서의 위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전기한 여러개의 배기공을 전기한 니들(14)의 내단과 가속관(10)의 외단간의 거리의 약 3/4 내지 3/4의 길이 이내의 범위내에 있는 단일장소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입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배기공이 방사상의 내단부로부터 방사상의 외단부까지 위사의 통행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도록 개구함을 특징으로하는 위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전기한 배기공(24;34,36,37,38)을 흡기관(27)과 연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위입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위사통로(12) 속으로 개통되어 있는 방사상 내단부를 가진 흡기공(26)을 전기간 배기공(24;34,36,37,38)의 방사상 내단부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분사노즐(3) 속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전기한 배기공의 방사상 외단부와 전기한 흡기공(26)을 흡기관(27) 및 공기사출관(28)에 각기 연결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위입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배기공이 위사의 꼬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선회되어 있는 나선상으로 그 방사상 내단부와 외단부를 배열되도록 구성함을 특지으로 하는 위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인접한 배기공이 90도의 각도로 서로 격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입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각배기공은 방사상의 외단부로부터 분사노즐의 축에서 벗어난 위치에 이르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위입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배기공을 위사장력으로 인하여 생기고 위입기간중 위사에 작용되는 힘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위입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전기한 분사노즐을 공기분사식직기의 슬래이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입장치.
KR828203341A 1981-07-27 1982-07-26 공기분사식직기에 있어서 위입방법 및 그 장치 KR850001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728781A JPS6017861B2 (ja) 1981-07-27 1981-07-27 エア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JP56-117287 1981-07-27
JP56-117028 1981-08-06
JP56-117029 1981-08-06
JP11702881U JPS6011111Y2 (ja) 1981-08-06 1981-08-06 エア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JP11702981U JPS6011112Y2 (ja) 1981-08-06 1981-08-06 エア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JP117029 1981-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695A KR840000695A (ko) 1984-02-27
KR850001111B1 true KR850001111B1 (ko) 1985-08-03

Family

ID=2731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8203341A KR850001111B1 (ko) 1981-07-27 1982-07-26 공기분사식직기에 있어서 위입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94888A (ko)
EP (1) EP0071246B1 (ko)
KR (1) KR850001111B1 (ko)
BR (1) BR8204348A (ko)
DE (2) DE327154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S247783B1 (en) * 1984-08-23 1987-01-15 Miroslav Hrus Nozzle for weft threads' carrying on jet looms
BE904260A (nl) * 1986-02-21 1986-08-21 Picanol Nv Inrichting voor de insertie van inslagdraden in de gaap bij luchtweefmachines en regelbare blazers hierbij toegepast.
NL8603069A (nl) * 1986-12-02 1988-07-01 Picanol Nv Hoofdblazer met verhoogde trekkracht voor weefmachines.
DE8903512U1 (de) * 1989-03-21 1990-04-19 Lindauer Dornier Gmbh, 8990 Lindau Hauptdüse für Luftwebmaschinen
DE4327693A1 (de) * 1993-08-18 1995-02-23 Hoechst Ag Verfahren zum Überwachen des Gasdurchsatzes durch Injektordüsen, Injektordüse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sowie deren Verwendung
KR20000064152A (ko) * 2000-08-24 2000-11-06 이동남 견운 모질 도석광물의 실수율 및 품질향상 습식정제법과공정
JP2008057070A (ja) * 2006-08-31 2008-03-13 Tsudakoma Corp 流体噴射式織機の緯入れノズル
CN104164735B (zh) * 2014-08-08 2015-08-19 浙江理工大学 一种进气旋度及进气流量连续可调的喷气织机主喷嘴
JP6466693B2 (ja) * 2014-11-07 2019-02-0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空気噴射式織機用の糸通し装置
CN107366078B (zh) * 2017-08-31 2024-08-20 浙江理工大学 一种用于喷气织机的延伸喷嘴及喷气织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21940A (en) * 1928-06-28 1929-07-23 Lorraine Mfg Company Pneumatic weft-introducing mechanism for looms
GB1054742A (ko) * 1963-02-06
FR1386680A (fr) * 1963-02-06 1965-01-22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machines à tisser à jets
DE2965070D1 (en) * 1979-08-08 1983-04-28 Sulzer Ag Nozzle arrangement for a jet loom
DE2965438D1 (en) * 1979-08-08 1983-07-07 Sulzer Ag Nozzle arrangement for a jet loom
JPS5771445A (en) * 1980-10-15 1982-05-04 Nissan Motor Wefting nozzle of air jet type l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71246B1 (en) 1986-06-04
DE3271546D1 (en) 1986-07-10
BR8204348A (pt) 1983-07-19
EP0071246A3 (en) 1983-05-25
DE71246T1 (de) 1984-04-12
US4494888A (en) 1985-01-22
KR840000695A (ko) 1984-02-27
EP0071246A2 (en) 198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111B1 (ko) 공기분사식직기에 있어서 위입방법 및 그 장치
US55113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ecing a sliver and at least one of a leading yarn and a bobbin yarn
US55795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uffer box crimping synthetic filament yarns
US4133353A (en) Pneumatic weaving machine and weft inserting device for such a machine
KR100636075B1 (ko) 공압 방적사 인장기 및 방적사 취급 시스템
US4549582A (en) Apparatus for removing severed fabric parts from a weaving machine
CS232869B1 (en) Method of yarn spinning from staple fibres in air swirl and equipment for application of this method
JPS6017861B2 (ja) エア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JP2000212860A (ja) 織機特に空気式よこ糸端挿入器付きエアジェット式織機のよこ糸欠陥の除去方法
KR940010039B1 (ko) 공기 분사식 직기의 불량실 제거 장치
JPH0860492A (ja) 空気噴射式織機の補助ノズル
JPH01266240A (ja) ジェット織機で開口内にミスピックされた緯糸を解除し、補修する方法
JPS6014138B2 (ja) エア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方法ならびに装置
GB2041019A (en) Open End Spinning of Composite Yarn
JPS6011111Y2 (ja) エア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JPS6011112Y2 (ja) エア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JP2000355850A (ja) エアージェット織機および織物の製造方法
JPS5849472B2 (ja) シジヨウキユウインホウホウ
JP2000064153A (ja) 無杼織機用カッター
JPS58180639A (ja) エア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方法
JP3560332B2 (ja) 不良糸除去方法および不良糸除去装置
JPH0433899B2 (ko)
JPH06473Y2 (ja) 空気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入装置
JPS5925892Y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H03161557A (ja) 織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