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075B1 - 공압 방적사 인장기 및 방적사 취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압 방적사 인장기 및 방적사 취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075B1
KR100636075B1 KR1020047014260A KR20047014260A KR100636075B1 KR 100636075 B1 KR100636075 B1 KR 100636075B1 KR 1020047014260 A KR1020047014260 A KR 1020047014260A KR 20047014260 A KR20047014260 A KR 20047014260A KR 100636075 B1 KR100636075 B1 KR 10063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neumatic
tensioner
air flow
sp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4505A (ko
Inventor
요셉슨패르
Original Assignee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104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105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the material being subjected to the action of a flui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리퍼 셔틀 직기 또는 편기용의 공압 방적사 인장기(T)에 관한 것으로, 방적사(Y,Y1)를 굴절시키기 위한 공기 흐름 굴절 표면(19)이 선형의 안내 채널의 내벽의 이음새 없는 연장부(12)를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방적사가 주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섬유 기계의 작동 싸이클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레벨사이에서 공압 방적사 인장기(T)의 굴절 표면(19)을 따른 공기 흐름의 유동률 또는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장치(H)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압 방적사 인장기 및 방적사 취급 시스템{Pneumatic thread tensioner and thread handling system}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항의 전문에 따른 공압 방적사 인장기 및 청구범위 제 7항의 전문에 따른 방적사 공정에 관한 것이다.
GB 14 6 9533A에 따른 방적사 공정 시스템에서, 공압 방적사 인장기는 슬립 공급(slip feed)으로 동작되는 가공사 공급 장치의 하류에 그리고 대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의 제편(製編) 시스템의 상류에서 배치되어, 튜브 몸체의 분출구 단부로부터 나오는 공기 흐름이 방적사 주행 방향과 반대가 되도록 한다. 실린더가 튜브 몸체의 분출구 단부의 전방에서 상당한 거리로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는 방적사 주행 방향과 측방향으로 방향지어진 실린더 축을 가진다. 튜브 축의 연장은 실질적으로 실린더의 외측 둘레에 접한다. 분출구 단부로부터 방적사를 따라 나가는 공기 흐름은, 방적사에서 인장된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튜브 몸체의 연장선으로부터 떨어져 실린더의 외측 외측 둘레에서 굴절된다. 공기 흐름의 유동률 및 압력은 조절될 수 있다. 공압 방적사 인장기는 연속적으로 작동된다. 방적사 인장기는 직기를 포함한 방적사 공정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실린더 외측 둘레에서 옆으로 연장된 공기 흐름 등의 이유로 공압 방적사 인장기의 연속적인 작동은 높은 공기 소비를 야기하며, 방적사는 공기 흐름의 유동 역학에 의하여 정지 기간에서 손상될 수 있다. 더욱이, 분출구 단부로부터 나가는 공기 흐름이 분출구 단부 및 실린더 사이의 중간 공간를 통하여 실린더의 전방에서 빠져나가 방적사가 이 중간 공간에서 부적당한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가 실린더 외측 둘레에서 쉽게 얽히거나 옆으로 벗어나게되어 섬유 기계가 방적사를 인장시키기 위하여 인장력을 다시 행사하는 때에 방적사가 파괴될 수 있는 영구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US 5,816,296A로부터 공지된 방적사 공정 시스템은 직기(weaving machine)를 구비하며, 방적사 주행 경로안에 관상의 구조체가 제공되며, 상기 구조체는 방적사에 의해 관통된다. 두 개의 노즐이 관상의 구조체안에 제공되며, 그 중 하나는 주행 방향의 반대로 다른 하나는 주행 방향으로 분출한다. 양 노즐이 작동되며 그리고/또는 직기의 작동 싸이클에 따라서 자속 밸브(magnet valve)를 통하여 압력 공급기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US 6,009,915에 따른 공압 방적사 인장기는 두 개의 노즐로 동작되는데, 상기 노즐은 루프를 형성함에 의하여 느슨한 방적사를 인장시키기 위하여 예리한 각으로 서로에 대하여 방향지어진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방적사를 인장시키며 상대적으로 낮은 공기 소비로 작동하며 방적사에 대하여 위험을 생산하지 않는 위에서 기술된 종류의 공압 방적사 인장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공압 방적사 인장기를 구비하며 방적사 인장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공기 소비로 작동 되며 방적사에 대한 위험을 생산하지 않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각각 청구항 1의 특징 및 청구항 7항의 특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서 성취된다.
방적사 인장기의 공기 흐름 굴절 표면이 안내 채널의 내벽의 이음새 없고 측면으로 제한된 연장부로 형성됨으로써, 공기 흐름의 실질적으로 전 에너지가 방적사를 인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공기 흐름의 일부분이 굴절 표면의 전방에서 측면으로 사용되지 않은체 사라지는 것을 허용되지 않는다.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 즉, 방적사가 이 지점에서 때를 맞춰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다면, 방적사를 인장시키기 위하여 방적사를 튜브 몸체의 축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루프안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굴절 표면에 점착하는 것을 최적으로 사용하는 상대적으로 층류의 유동 또는 흐름이 생성된다. 굴절 표면의 측면에서의 제한은 가압된 공기의 손실을 회피하고 루프의 생성중에 효율적이고 한정된 제어를 제공한다.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레벨 사이에서 그리고 섬유 기계의 작동 싸이클과 협동하여 굴절 표면을 따른 공기 흐름의 유동률 또는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가공사 공정 시스템에서 공기 소비가 감소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방적사의 정지 기간에 공기 흐름의 유동 역학에 의한 방적사에 대한 손실의 위험이 최소화된다. 하위 레벨이 적용될 때, 방적사에 대한 기계적 하중은 중대하지 않다. 섬유 기계의 작동 싸이클과 협동하고 그리고 적절한 방적사 주행 제어를 위하여 공압 방적사 인장기의 부가적인 효과가 필요한 때에 오직 일시적으로 상위 레벨이 적용된다.
구조적으로 단순한 방식으로, 공기 흐름 굴절 표면이 방적사 인장기내 튜브 몸체와 단일하게 형성된다. 굴절 표면을 위한 별개의 홀더는 불필요하다. 연장부는, 공기 흐름이 굴절 표면을 따르자마자 적절하게 안내될 수 있고 방적사가 인장된 루프안으로 제어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안내 벽에 의하여 양 측면에서 제한된 반쪽의 파이프와 같이 편의적으로 형성된다.
측벽은 발산 또는 수렴하거나 또는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각각 공기 흐름 굴절 표면으로부터 빠져 나간다. 인장되거나 보통의 방적사 주행 동안 방적사가 측벽에 접촉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측벽은 서로 떨어져 있어야한다.
연장부는 튜브 몸체의 초과 길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튜브 벽이 외측으로 굽혀지거나 개방될 수 있고 전 초 과길이가 튜브 몸체 축의 일 측면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초과길이는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개방된다. 이는 제조하기에 단순하다.
가공사 방적사 인장기의 압력 공급부와 교통하여 조절 부재가 제공된다. 조절 부재는 굴절 표면을 따라 생성된 공기 흐름 또는 유동의 유동률 또는 압력을 각각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조절 레벨사이에서 편의적으로 원격으로 제어되어 변경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이러한 효과가 방적사 주행 제어에 대하여 필요한 때에 방적사 인장기는 그 이후에만 방적사에서 상당한 인장효과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방적사의 정지 기간과 같이 인장 효과가 불필요한 동안에는, 공기 흐름이 충분히 약하고 방적사에 대하여 손상을 주는 효과를 가지지 않는 하위 레벨로 작동된다. 방적사의 정지 기간에서 불변의 유동률 또는 불변의 압력으로 분출되는 경우, 그것이 손상될 수 있는 타격의 방식으로 방적사가 흐름안에서 춤을 추며 흐름에 의하여 개방되며 또는 튜브 몸체 또는 굴절 표면을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지 못한다.
방적사 공정 시스템과 방적사 인장기 및 가압된 공기 공급 사이의 교통에서, 전기 조절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 부재가 제공된다. 편의적으로 그것은 각각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유동률 또는 압력의 레벨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자속 밸브이다. 방적사 인장기의 작동은, 이러한 방식으로, 섬유 기계의 작동 싸이클에 의존하여 제어될 수 있다. 레벨간의 전환을 초래하는 신호는, 특히 섬유 기계 또는 방적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로부터 또는 섬유 기계 및/또는 방적사 공급 장치가 내포된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신호 연결을 통하여 전송된다. 예컨대 데이터 버스 시스템(CAN 등) 통신 시스템의 경우, 이에 의하여 상이한 기능 유닛(function unit)이 제어되거나 감시되는 제어 박스가 아주 자주 제공된다. 방적사 인장기의 조절 드라이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는 예컨대 메세지를 해석할 수 있는 수단에 의하여 이 제어 박스로부터 편의적으로 파생될 수 있다.
예컨대, 여러개의 방적사 채널내에서 상이한 품질과 색의 위사(weft thread)를 소비하는 직기 또는 여러개의 제편(製編) 시스템을 구비하는 편기에서 패턴을 가지는 제품의 섬유 기계에서 제품이 만들어지는 경우, 패턴에 따라 레벨 사이에서 방적사 인장기를 전환하도록 조립체를 설계하는 것이 편의적일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작동된 방적사 채널의 방적사 인장기만이 높은 유동률 또는 압력 레벨에서 작동하고, 작동하지 않는 방적사 채널내의 방적사 인장기는 수동적으로 유 지되거나 하위 레벨에서만 작동한다. 작동되는 방적사 채널의 방적사 인장기는, 이 방적사 채널내의 섬유 기계의 작동 싸이클에 적합화되어 조립체에 의하여 상위 및 하위 레벨사이에서 전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부가적인 방적사 인장 효과에 의하여 방적사가 일시적으로 너무 많이 느슨하게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예비적으로 적절한 기능을 위하여 방적사의 더욱 강한 인장을 요구하는 섬유 기계의 구성부품을 증가된 가공사 인장력에 의하여 보조하기 위한 때에 각각 상위 레벨이 선택된다.
인입기 그리퍼가 방적사 선단을 접수하고 그리고/또는 방적사 선단을 이송기 그리퍼로 전달하며, 그리고/또는 삽입 과정이 종료된 때에 강한 유동률 또는 높은 압력이 방적사 인장기에서 삽입 싸이클 동안 일시적으로 선택되도록 래피어 직기를 갖도록 조립체가 방적사 공정 시스템에서 설계될 수 있다. 삽입 과정의 다른 단계 동안에, 이러한 때에는 이미 상당한 인장이 방적사에 존재할 것이기 때문에, 반대로, 하위 레벨이 선택된다. 전환 동작은, 전술된 작동 단계 동안 래피어 직기의 메인 샤프트의 미리 한정된 회전 각 또는 회전 각 범위에 상관된 신호에 의하여 조립체에 의하여 수행된다.
래피어 직기와 제적 패턴(weaving pattern)에 의하여 번갈아 작동되는 여러 개의 가공사 채널을 구비하는 가공사 공정 시스템에서, 공압 방적사 인장기가 각 방적사 채널에 제공된다. 이 방적사 인장기를 포함하는 방적사 채널이 작동되지 않고 방적사가 예컨대 정지 기간동안 정지하였을 때에 유동률 또는 압력을 하위 레벨로 조절하도록 조립체는 설계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방적사 선택기 (thread selector)로부터 파생된 신호에 의하여 수행되며, 상기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하지 않는 방적사 채널을 대표한다.
방적사 공급 장치의 하류에서 방적사 주행 경로안에 위치된 제어된 공압 방적사 인장기가 방적사 공급 장치안의 정적인 보관 드럼의 인출 단부를 접촉하는 정적인 방적사 브레이크 링,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강모의 브레이크 링과 기능적으로 결합된 때에 최상의 결과가 성취될 수 있다. 이 강모의 브레이크 링은 상대적으로 일정한 기본적인 방적사 인장을 생성하며, 부가적인 인장 부하가 하위 레벨에서는 중대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고, 상위 레벨에서는 중대하게 된다. 강모의 브레이크 링은, 더욱이, 어떤 경우, 이미 보관 드럼상에 준비된 다른 방적사 권선을 방해할 수 있는 보관 드럼의 후방에서 형성된 루프의 상류에서 방적사가 느슨해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도면에 지시된 여러 개의 상세한 변형들을 가진 방적사 공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적 도시이다.
도 2는 공압 방적사 인장기의 부분적 종축 단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실 인장기의 좌측면으로부터의 도시이다.
도 1의 방적사 공정 시스템(S)은, 예컨대 래피어 직기(rapier weaving machine) 또는 편기(編機:knitting machine) 등의 다른 섬유 기계(R)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적사 공급 장치(F) 그리고 상기 방적사가 주행하는 경로의 방적사 공급 장치의 하류에서 공압 및 제어 방적사 인장기(T)를 구비한다.
래피어 직기의 예로서 설명되는 섬유 기계(R)는 적어도 하나의 방적사 채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적사(Y,Y1)을 삽입하기 위한 제직 개구(weaving shed:D) 및 구동된 인입기 및 이송기 그리퍼(B, N)를 구비한다. 인입기 그리퍼(B)는 삽입 및 선택 장치(2)내의 방적사의 선단을 취해서, 지역(1)내의 방적사의 선단을 이송기 그리퍼(N)으로 전달하는 제직 개구의 중심으로 방적사를 끌어당긴다. 이송기 그리퍼는 그 후 방적사를 제직 개구를 통하여 완전히 끌어당기며 삽입 공정에서 끝난다.
방적사 공급 장치(F)는 하우징(3) 그리고 권선 요소(5)에 의하여 방적사(Y)가 연속적인 권선으로 적용되는 정적인 보관 드럼(4)을 가진다. 인출 구멍(7)이 하우징 브라켓(6)에 위치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부드러운 강모의 브레이크 링(8)의 형식인 방적사 브레이크(A)가 하우징 브라켓(6)에 고정된다. 방적사 브레이크(A)는, 외부로부터 그리고 방적사의 인출 방향의 반대에서 보관 드럼(4)의 인출 단부(9)와 접촉한다.
공압 방적사 인장기(T)는 하우징(10) 그리고 방적사 주행 경로의 방향으로 연장된 튜브 몸체(11)를 구비한다. 튜브 몸체(11)는 방적사 주행 방향의 반대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굴곡되고 굽혀진 연장부(12)를 가진다. 방적사 인장기(T)의 상세한 구조는 도 2 및 도 3의 도움으로 후에 기술될 것이다. 포트(13)가 하우징(10)에 제공되며, 상기 포트는 가압된 공기를 위한 압력 공급부(P)와 연결되었거나 연결 가능하다. 예컨대, 전기 조절 드라이브(M)(예컨대 전환 자석 또는 비례 자석)를 갖는 자속 밸브를 구비하는 유동률 또는 압력을 위한 조절 부재(14)를 구비하는 조립체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레벨 사이에서 각각 유동률 또는 압력을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전환은 조립체(A)에 의하여 그리고 신호에 의하여 원격으로 제어되어 수행되며, 상기 신호는 방적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C)로부터 또는 섬유 기계(R)의 제어 장치(CU)로부터 또는 통신 시스템(K)로부터 신호 연결(15)을 통하여 각각 도달한다. 방적사 공급 장치(F)와 섬유 기계(R)가 일체화되는 통신 시스템(K)의 경우에, 중앙 제어 박스(CB)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제어 박스의 내에서 통신 시스템(K: 예컨대 CAN-버스 시스템)안으로 보내진 메시지 중에서, 조절 드라이브(M)를 위한 신호가 생성된다. 상위 및 하위 레벨이 명목상으로 조절 가능하다. 하위 레벨은, 방적사가 거의 부하되지 않거나 또는 전혀 부하되지 않도록 편의적으로 선택된다. 상위 레벨은, 방적사가 방적사 경로의 하류 측으로부터 인장되는 동안, 방적사가 공기 흐름에 의하여 편의적인 인장 부하를 받고 직선인 방적사 경로로부터 측면의 루프(L)안으로의 연장부(12)를 따라 굴절되도록 조절된다.
래피어 직기의 경우, 예컨대, 인입기 그리퍼(B)가 방적사의 선단을 취하고, 그리고/또는 인입기 그리퍼가 방적사의 선단을 이송기 그리퍼(N)로 전달하자마자, 그리고/또는, 결국에는 삽입 과정의 말기에, 래피어 직기 메인 샤프트의 검출된 회전 각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정확하게 높은 유동률 또는 압력 레벨을 선택하는 것이 편의적이다. 그 사이에서는, 방적사 인장기(T)는 하위 레벨로 작동한다.
빈번하게 그러한 바와 같이, 래피어 직기(R)는 여러개의 방적사 채널(방적사 Y, Y1)로부터 방적사를 선택적으로 소비하며, 각각의 공압 방적사 인장기(T)가 각각의 방적사 채널에 연결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방적사 인장기(T)의 제어를 책임지는 하는 조립체(H)는, 작동하지 않는 방적사 채널의 방적사 인장기를 낮은 유동률 또는 압력 레벨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방적사 조립체(H)는 모든 방적사 인장기에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개별적인 조립체(H)가 각각의 방적사 인장기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편기(編機:knitting machine)는 그 방적사 채널안에 여기에서 보여진 것과 같은 종류의 공압 방적사 인장기를 구비하며, 상이한 유동 레벨 및 압력 레벨 사이의 편기의 작동 싸이클에 따라 방적사 인장기를 제어하기 위한 조립체(H)가 제공된다.
도 2에 따르면, 직선의 튜브 몸체(11)는 공기 흐름 안내 채널 그리고 방적사 안내 채널(20)을 한정한다. 공기 흐름은,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며 하우징(10)안에 포함된 노즐 조립체에 의하여 방적사 주행 방향의 반대로 포트(13)로부터의 가압된 공기로 생성된다. 연장부(12)는 튜브 몸체 축의 이론적 연장으로부터 측방향 및 불룩하게 굽혀진 공기 흐름 굴절 표면(19)을 형성한다. 공기 흐름 굴절 표면(19)은 양 측면에서 안내 벽(17)에 의하여 제한된다. 이러한 설계는, 예컨대 튜브 몸체(11)가 길이에 있어 돌출부(12)에 대응하는 초과 길이를 가지고 제조되는 것에 의하여 단순하게 실현된다. 그 후, 이 초과 길이는 쇼울더(16)까지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개방된다. 그 후 남아있는 튜브 벽은 안내 벽(17)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굽혀진다. 그 후 돌출부(12)는 굽은 형상으로 된다. 안내 벽(17)의 내측 모서리는 방적사를 위태롭게 하지 않기 위하여 내부 챔버(18)를 가지거나 또는 라운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U자 형상인 돌출부의 안내 벽(17)은, 굴절 표면(19)로부터 시작하여, 발산 또는 수렴하거나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방적사 인장기(T)는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로 작동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안내 채널(20)을 따라 방향지어고 상대적으로 층류인 공기 흐름이 굴절 표면(19)에 점착하며, 굴절 표면(19)을 따르며, 이 순간 방적사가 낮은 방적사 인장력을 가진다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적사를 루프(L)로 변형시키고 그것에 의하여 방적사를 인장시킨다.
도 3에서, 안내 벽(17)들 사이의 거리가 점차 증가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는, 돌출부(12)와 함께 튜브 몸체(11)도 역시 예컨대 사출 성형된 부품과 같은 플라스틱 형성 부품일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유량 및 압력을 위한 조절 부재(14)는 편의적으로 신속히 반응하는 공압 자속 밸브이다. 하우징(10)내의 노즐 조립체는 편의적으로 소위 배출 노즐로서, 도 1 및 도 2에서, 공기 흐름을 좌측으로 돌리고, 동시에, 하우징(10)의 우측 단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방적사 인장기의 하류의 방적사 경로에, 래피어 직기에서는 관습적인 바와 같이, 방적사의 주행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또 다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5)

  1. 래피어 직기(R) 또는 편기를 위한 공압 방적사 인장기(T)로서,
    가압된 공기 공급부(P)와 교통하는 일 단부 그리고 상기 일 단부와 떨어져서 방적사 안내 채널 및 공기 흐름 안내 채널(20)을 한정하는 분출구 단부를 가지는 직선형의 튜브 몸체(11), 튜브 몸체 축의 이론적 연장선의 근처에서 분출구 단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튜브 몸체의 축으로부터 떨어지게 굽혀진 방식으로 분출구 단부로부터 분출하는 방향으로 굽혀진 공기 흐름 굴절 표면(19)을 구비하며, 공기 흐름 굴절 표면(19)은 이음새가 없고, 안내 채널(20) 내벽의 측방향으로 제한된 연장부(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방적사 인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공기 흐름 굴절 표면(19)은 튜브 몸체(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방적사 인장기.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공기 흐름 굴절 표면(19)은, 안내 벽(17)에 의해 양 측면에서 제한된 반쪽의 파이프와 같이 형성된 연장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방적사 인장기.
  4. 제 1항에 있어서,
    연장부(12)의 단면은 U자 형상이며, 공기 흐름 굴절 표면(19)으로부터 시작하여, 발산 또는 수렴하거나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방적사 인장기.
  5. 제 1항에 있어서,
    튜브 벽을 잘라 개방하고 외측으로 굽히고 튜브 몸체 축의 일 측면쪽으로 초과 길이를 굽히는 것에 의하여 연장부(12)가 튜브 몸체(11)의 초과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방적사 인장기.
  6. 제 1항에 있어서,
    가압된 공기 공급부(P)와 교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절 부재(14,M)가 포함되며, 상기 조절 부재에 의하여 공기 흐름 굴절 표면(19)을 따라 생성된 공기 흐름의 유동률 또는 압력이 조절되거나, 또는 공기 흐름의 유동률 또는 압력의 적어도 2 가지의 상이한 레벨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방적사 인장기.
  7. 래피어 직기 또는 편기와 같이 방적사를 소비하는 섬유 기계(R), 적어도 하나의 방적사 공급 장치(F), 방적사 공급 장치의 하류에서 방적사 주행 경로에 배치되며, 가압된 공기 공급부(P)와 교통하는 안내 채널을 구비하고, 방적사 주행 방향과 반대로 방향지어진 분출구 단부와 방적사를 공기 흐름에 의하여 직선형의 주행 경로로부터 루프로 굴절시키기 위한 분출구 단부 전방에서 분출하는 방향으로 위치된 공기 흐름 굴절 표면(19)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공압 방적사 인장기(T)를 구비하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S)으로서, 공기 흐름의 유동률 또는 압력의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레벨 사이에서 그리고 섬유 기계(R)의 작동 싸이클와 협동하여 굴절 표면(19)을 따른 공기 흐름의 유동률 또는 압력을 전환하기 위한 조립체(H)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가압된 공기 공급부(P)와 교통하여, 전기 조절 드라이브(M)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 부재(14)가 제공되며, 섬유 기계(R) 또는 방적사 공급 장치(F)의 제어 장치(CU) 또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S)의 통신 시스템(K)과 전기 조절 드라이브(M) 사이에서의 신호 연결(15)이, 통신 시스템내의 제어 박스(CB)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공압 방적사 인장기(T)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며 여러 개의 방적사 채널이며, 섬유 기계(R)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패턴에 따라 전환 가능한 조립체(H)를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하나의 방적사 채널의 공압 방적사 인장기(T)와 연결되며, 하나의 방적사 채널에서 섬유 기계의 작동 싸이클에 따라 전환 가능한 조립체를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
  11. 제 7항 내지 제 10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래피어 직기(R)를 가지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S)에서, 방적사 인장기(T)안의 유동률 또는 압력은, 인입기 그리퍼(B)가 방적사를 취하는 때 또는 인입기 그리퍼(B)가 방적사를 이송기 그리퍼(N) 또는 삽입의 단부에 전달하였을 때에 각각, 방적사가 취해진 때 또는 방적사가 전달된 때 또는 삽입 말기에 래피어 직기의 회전 각에 상관된 신호에 의하여, 조립체(H)에 의하여 상위 레벨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
  12. 제 7항 내지 제 10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편 패턴(weaving pattern)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복수개의 방적사 채널을 갖는 래피어 직기(R)를 구비하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S)에서,
    공압 방적사 인장기(T)가 기능적으로 각각의 방적사 채널에 연결되며, 작동되지 않는 방적사 채널의 공압 방적사 인장기(T)를 위한 유동률 또는 압력이 조립체(H)에 의하여 하위 레벨로, 적어도 하나의 작동되지 않는 방적사 채널(Y,Y1)을 대표하는 신호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
  13. 제 7항 내지 제 10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공압 및 제어된 방적사 인장기(T)는, 방적사 공급 장치(F)안의 정적인 보관 드럼(4)의 인출 단부(9)를 접촉하는 정적인 방적사 브레이크 링과 기능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
  14. 제 7항에 있어서,
    가압된 공기 공급부(P)와 교통하여, 전기 조절 드라이브(M)를 구비한 자속 밸브가 제공되며, 섬유 기계(R) 또는 방적사 공급 장치(F)의 제어 장치(CU) 또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S)의 통신 시스템(K)과 전기 조절 드라이브(M) 사이에서의 신호 연결(15)이, 통신 시스템내의 제어 박스(CB)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
  15. 제 7항 내지 제 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압 및 제어된 방적사 인장기(T)는, 방적사 공급 장치(F)안의 정적인 보관 드럼(4)의 인출 단부(9)를 접촉하는 유연한 강모의 브레이크 링(8)과 기능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정 시스템.
KR1020047014260A 2002-03-12 2002-07-17 공압 방적사 인장기 및 방적사 취급 시스템 KR100636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200745-8 2002-03-12
SE0200745A SE0200745D0 (sv) 2002-03-12 2002-03-12 Pneumatischer Fadenstrecker und Fadenverarbeitungssystem
PCT/EP2002/007971 WO2003076704A2 (de) 2002-03-12 2002-07-17 Pneumatischer fadenstrecker und fadenverarbeitung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505A KR20040104505A (ko) 2004-12-10
KR100636075B1 true KR100636075B1 (ko) 2006-10-18

Family

ID=2028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260A KR100636075B1 (ko) 2002-03-12 2002-07-17 공압 방적사 인장기 및 방적사 취급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75291B2 (ko)
EP (1) EP1483436B1 (ko)
JP (1) JP2005527707A (ko)
KR (1) KR100636075B1 (ko)
CN (1) CN100554544C (ko)
AU (1) AU2002325887A1 (ko)
DE (1) DE50208092D1 (ko)
SE (1) SE0200745D0 (ko)
WO (1) WO200307670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3610B2 (en) * 2006-06-16 2009-06-09 Sultex Ag Thread clamp for a rapier head
WO2008057091A1 (en) * 2006-11-09 2008-05-15 Kulicke And Soffa Industries, Inc. Wire feed system for a wire bonding machine and configured to apply a variable tension to the wir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2128318A1 (en) 2008-05-30 2009-12-02 Iro Ab Take-up device
DE102010044127B3 (de) * 2010-11-18 2011-12-29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Greiferkopf zum Eintrag von Schussfäden an einer Greiferwebmaschine sowie eine Greiferwebmaschine mit einem derartigen Greiferkopf
CN103866475A (zh) * 2014-02-24 2014-06-18 江苏宋和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气梭织机及使用方法
GB2545218A (en) * 2015-12-09 2017-06-14 Griffith Textile Mach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eaving looms
EP3430187A1 (de) * 2016-03-14 2019-01-23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Textilmaschine mit gleichmässiger fadenspannung
CN106381601B (zh) * 2016-12-02 2018-03-09 佛山慈慧通达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三维织物织机多剑杆引纬设备及其织造方法
DE102018133147A1 (de) * 2018-12-20 2020-06-25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Fadenführer mit integrierter Luftströmungsdüs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2790A (en) * 1937-11-05 1942-11-24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lass yarn
US2333267A (en) * 1939-03-03 1943-11-02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glass yarns
DE2255443A1 (de) * 1972-11-11 1974-05-30 Schuster & Co F M 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gleichen von kurzzeitigen fadenspannungsschwankungen bei spulmaschinen u.dgl
GB1469533A (en) * 1973-09-24 1977-04-06 Nat Res Dev Tensioning and/or slack take-up device for flexible material in sheet or thread form
US3999909A (en) * 1974-08-09 1976-12-28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ktiengesellschaft Spinning apparatus with pneumatic filament conveyor tube
GB1566955A (en) * 1977-01-27 1980-05-08 Heathcoat & Co Ltd Heating and drawing of synthetic filaments
US4119253A (en) * 1977-06-20 1978-10-10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dvancement of a strand
US4637229A (en) * 1985-02-11 1987-01-20 Taylor James W Jr Pneumatic thread tensioning device
DE3701671C2 (de) * 1987-01-22 1994-11-03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JPH01314762A (ja) * 1988-06-16 1989-12-19 Sadao Sawada 空気流による給糸装置
JPH05209343A (ja) * 1992-01-27 1993-08-20 Norimasa Shoda 緯糸張力付加装置
US5351373A (en) * 1992-07-29 1994-10-04 Puget Sound Rop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stretching synthetic fiber rope
DE19611320C2 (de) * 1996-03-22 1999-05-20 Dornier Gmbh Lindau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neumatischen Unterstützen des Eintragens und Spannens eines Schußfadens in Webmaschinen
DE59707877D1 (de) * 1997-11-28 2002-09-05 Sulzer Textil Ag Rueti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tragen eines Schussfadens in einer Reihenfachwebmaschine
DE19811014A1 (de) * 1998-03-13 1999-09-16 Hauni Maschinenbau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ilterstäben für stabförmige Artikel der tabakverarbeitenden Industrie
KR20010073135A (ko) * 1998-09-10 2001-07-31 이.파우. 뢰르허 얀을 텍스쳐하고 권사하는 텍스쳐 기계
DE10060300A1 (de) * 1999-12-10 2001-06-21 Rieter Ingolstadt Spinnerei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strecken von textilen Fas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75291B2 (en) 2007-10-02
WO2003076704A3 (de) 2003-11-27
WO2003076704A2 (de) 2003-09-18
KR20040104505A (ko) 2004-12-10
EP1483436B1 (de) 2006-09-06
US20050217094A1 (en) 2005-10-06
AU2002325887A1 (en) 2003-09-22
AU2002325887A8 (en) 2003-09-22
CN100554544C (zh) 2009-10-28
CN1623017A (zh) 2005-06-01
DE50208092D1 (de) 2006-10-19
SE0200745D0 (sv) 2002-03-12
EP1483436A2 (de) 2004-12-08
JP2005527707A (ja)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075B1 (ko) 공압 방적사 인장기 및 방적사 취급 시스템
US200801850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ertion of a weft thread in a weaving machine
US55795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uffer box crimping synthetic filament yarns
CS214855B2 (en) Insertion appliance for pneumatic jet loom
EP2230342A1 (en)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weft threads in a loom
US58162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nsion and the presentation of a weft thread for insertion into a loom shed
EP2318580B1 (en) Storage element for weft thread
US20090120053A1 (en) Suction Air Nozzle for a Textile Machine
KR20090046835A (ko) 리본 바늘 직기
KR850001111B1 (ko) 공기분사식직기에 있어서 위입방법 및 그 장치
US6009915A (en) Method and distribution apparatus for pneumatic weft insertion in a series shed loom
US44112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weft filaments
CN105369404B (zh) 纺织机
JP2003278052A (ja) 交絡加工してない又は部分的に交絡加工したよこ糸、特に合成フィラメントよこ糸の交絡加工のための方法及びこの方法の実施のための織機
US6739357B2 (en) Device for smoothening the unwinding from the cylinder of the loops of yarn forming the weft reserve, in weft suppliers for fluid jet looms
US3430664A (en) Looms
KR102047283B1 (ko) 직기용 위사 공급 장치
EP0315235B1 (en) Method for preparing a weft thread on weaving machines, and weaving machines which use this method
US53438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ing-up yarn in a pulsating manner
US7559344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retching
EP0939156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neumatic threading of textile machine weft feeders
JP3672915B2 (ja) 織機のひ口に緯糸を連続的に挿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A1152863A (en) Strand delivery and storage system
JP2002371448A (ja) エアジェット式織機におけるよこ糸端の保持装置
JPS5947743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糸端緊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