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135A - 얀을 텍스쳐하고 권사하는 텍스쳐 기계 - Google Patents

얀을 텍스쳐하고 권사하는 텍스쳐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135A
KR20010073135A KR1020017002962A KR20017002962A KR20010073135A KR 20010073135 A KR20010073135 A KR 20010073135A KR 1020017002962 A KR1020017002962 A KR 1020017002962A KR 20017002962 A KR20017002962 A KR 20017002962A KR 20010073135 A KR20010073135 A KR 20010073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nozzle
conveying
bore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르트코비아크크라우스
댐만페터
Original Assignee
이.파우. 뢰르허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파우. 뢰르허,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이.파우. 뢰르허
Publication of KR2001007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13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20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02G1/161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yarn crimping ai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20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 B65H51/205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by means of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105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the material being subjected to the action of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얀을 텍스쳐하고 권사하는 텍스쳐 기계에 관한 것이다. 텍스쳐 기계에서, 피드 시스템은 텍스쳐 장치로부터 얀을 인발하고 권취 장치로 얀을 진행시킨다. 피드 시스템과 권취 시스템 사이에는, 과도한 공급에 기인하여 슬랙화하는 얀을 패키지를 취출하는 동안 수용할 목적으로 얀 축적기가 뻗어 있다. 피드 시스템으로부터 얀을 신뢰성있게 인발하기 위해서, 이송 노즐(6)이 얀 축적기 상류에 뻗어 있다. 이송 노즐은 진행하는 얀의 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보어를 가지고 있어서, 얀으로 향하는 기류가 얀의 진행방향으로 얀 상에 장력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얀은 얀 축적기에 의해 형성된 자유 공간으로 송풍된다.

Description

얀을 텍스쳐하고 권사하는 텍스쳐 기계{TEXTURING MACHINE FOR TEXTURING AND TAKING UP A THREAD}
이런 종류의 텍스쳐 기계는 EP 0 633 213 에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된 텍스쳐 기계는 텍스쳐 장치 및 권취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계에서, 피드 시스템은 텍스쳐 장치로부터 얀을 인발하고 권취 장치로 얀을 진행시킨다. 권취 장치에서, 얀은 패키지에 권사된다. 특히, 패키지를 자동으로 취출하는 타입의 기계에서, 권취 장치는 단지 권사하는 동안에만 일정한 속도로 얀을 수용하기 때문에, 권취 장치 상류의 피드 시스템에서 순간적으로 얀을 과도하게 공급하는 시간 위상이 발생한다. 권취 장치에서 얀을 왕복시키는 트래버스 장치로부터 패키지 취출을 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얀을 제거하자 마자, 피드 시스템에 의해 조정되는 진행 속도는 권취 장치의 수용 속도보다 빨라진다. 패키지를 취출하는 동안, 얀이 트래버스 장치 밖으로 들어 올려진 후에, 소위 타이-오프 비드(tie-off bead)가 권사된다. 이어서, 얀은 절단되고 흡입 장치에 의해 인계된다. 이러한 경우에, 권취 장치의 수용 속도는 흡입 장치의 수용 능력에 의존한다. 권취 장치의 수용 속도가 피드 시스템의 진행 속도보다 느린 이런 위상에서, 얀의 과도한 공급이 발생하며, 권취 장치와 피드 시스템 사이에서 얀에서의 슬랙을 일으킨다.
피드 시스템 상의 랩의 형성을 피하기 위해서, 슬랙 얀을 수용하는 얀 축적기가 공지된 텍스쳐 기계에서는 사용된다. 덧붙이면, 얀 축적기는 피드 시스템 바로 하류에, 진행하는 얀의 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피드 시스템의 진행 속도와 권취 장치의 수용 속도 사이에 차이가 있을 때 형성되는
얀에서의 슬랙이 피드 시스템에 전파되고 정전기 효과에 기인하는 랩을 일으키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문(前文)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얀(yarn)을 텍스쳐하고 권사하는 텍스쳐 기계(textur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 기계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
도 4는 바운스 플레이트(bounce plate)를 갖춘 이송 노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노즐의 상류에 이송 롤을 갖춘 이송 노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노즐의 상류에 이송 롤을 갖춘 이송 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통합된 이송 노즐을 갖춘 이송 롤을 나타내는 도면.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처음에 설명된 종류의 텍스쳐 기계를 더욱 더 발전시켜 패키지를 취출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얀에서의 슬랙을 신뢰성있게 축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취출 위상 동안 얀이 흡입 장치에 의해 신뢰성있게 인계될 수 있는 방식으로 패키지 취출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텍스쳐 기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얀이 장력 하에서 피드 시스템으로부터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드 시스템 하류의 이송 노즐은 기류를 발생시키며, 얀의 진행방향으로 장력을 얀 상에 발생시킨다. 이송 노즐의 송풍 방향은 진행하는 얀의 방향으로 얀에 분력으로 향한다. 그러므로, 얀에서의 슬랙은 단지 이송 노즐로만 역으로 전파되고 이송 노즐 상류의 자유 공간으로 의도적으로 편향된다.
마찬가지로 DE 22 54 736 에 개시된 장치에서도 본 발명은 공지되지 않는다. 이 공지된 장치에서는, 얀은 챔버의 반대 쪽의 분사 노즐에 의해 얀의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챔버로 권취 장치의 바로 상류에서 분사된다. 하부 및 상부 챔버 벽 상의 얀 가이드에 의해 계속 증가하는 비교적 강한 편향은 권취 장치와 챔버 사이의 루프 마찰에 의한 장력 하에 얀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과는 반대이다. 본 발명의 텍스쳐 기계에서는, 장력은 얀의 진행 방향으로 얀 상에 발생한다. 이로써, 권취 장치를 향하는 얀에서의 슬랙이 가능하다. 패키지를 취출하는 동안, 이러한 슬랙은 완전히 권사된 패키지로부터 흡입 장치로 얀을 전달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상 오히려 바람직하다. 이것은 얀 상의 루프 마찰을 더 크게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그만큼 더 흡입 장치가 얀과 맞물리지 않거나 얀을 유지할 수 없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루프 마찰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 그리고 랩 형성의 위험도 없이 피드 시스템과 권취 장치 사이에 일시적으로 슬랙 얀을 저장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이송 효과외에도, 이송 노즐은 슬랙 얀을 편향시킬 수 있다. 덧붙이면, 이송 노즐의 노즐 보어를 30°이하, 바람직하게는 20°이하의 각도로 배열하는 것이 유리함을 보여준다.
특히 유리한, 더 발전한 청구항 3에 따른 본 발명은 얀 상에 고 장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시에, 2개의 대향하는 노즐 보어의 배열은 기류에도 불구하고 얀의 비교적 부드러운 진행을 용이하게 한다. 덧붙이면, 노즐 보어의 축이 60°이하, 바람직하게는 40°이하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노즐 보어를 서로에 대하여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텍스쳐 얀의 생산에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얀의 장력은 패키지를 취출하는 동안 피드 시스템 상류의 구역에서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피드 시스템에 의해 전달되는 얀은 장력 하에서 인발된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청구항 5에 따른 더욱 더 발전된 본 발명에 의해 지지된다. 이송 노즐 상류의 이송 롤은 얀의 장력이 아이텔바인 법칙(Eitelwein law)(F1= F0*e:*a)에 따라 피드 시스템 쪽에서 증가하게 한다. 피드 시스템과 이송 롤 사이에, 어떠한 슬랙도 얀에 발생하지 않는다. 이송 노즐은 얀을 자유 공간으로 송풍한다. 그러는 중에, 얀은 예를 들어 공중에서 루프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이송 노즐의 이송 효과(F0)는 계수 e:*a까지 증가한다. 덧붙이면, 터빈 드라이브 또는 전기 드라이브에 의해 이송 롤을 작동시켜 원주 속도가 얀의 속도보다 더 빠른 것이 유리하다.
터빈 드라이브의 사용으로 인해, 이송 롤과 이송 노즐은 청구항 7에 따라 하나의 유니트로 조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유니트에서, 노즐 보어는 이송 롤에서 얀의 출발 지점 바로 하류에 형성된다. 터빈 드라이브 및 노즐 보어는 통상의 압축 공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다.
청구항 8에 따른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송 노즐의 높은 이송 효과를 특징으로 한다. 이 때문에, 얀은 이송 갭에 유도된다. 이송 갭은 2개의대향하는 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측벽 중 하나는 이송 갭에서 끝나는 1개 또는 2개의 노즐 보어를 수용한다. 이로써, 기류는 집중식으로 얀으로 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구성의 장치는 권취 장치에서 트래버스 트라이앵글 내부에의 사용에 특히 적합하다. 얀의 진행방향에 횡으로 형성된 이송 갭은 얀이 패키지 상에 권사될 때 얀 트래버스 장치에 의해 필요로 되는 제한되지 않은 트래버스 운동을 수행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송 노즐의 기류는 단지 패키지 취출을 시작하는 순간에만 활성화된다.
슬랙을 수용하기 위해 얀을 자유 공간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더욱 더 발전한 청구항 9가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얀은 노즐 보어의 개구를 향하는 측벽을 따라 유도된다.
의도적으로 이송 노즐의 출구에서 얀을 편향시키기 위해서, 노즐 보어의 개구를 향하는 측벽의 확장부에 가이드 플레이트를 배열하는 것이 제안된다. 가이드 플레이트의 형상은 유동 법칙(코앤더 효과(Coanda effect))에 따라 이송 갭에서 배출되는 기류를 편향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특히 자유 공간 쪽으로 만곡된 가이드 플레이트는 결과적으로 이송 갭에서 배출되는 기류가 집중식으로 자유 공간으로 편향되고 얀을 편향시킨다.
청구항 11 및 12에 따른 더욱 더 발전된 본 발명은 이송 노즐의 이송 효과를 증가시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권취 장치의 수용속도와 피드 시스템의 진행 속도 사이에 큰 차이가 있는 경우에, 얀을 수용하기 위해서, 청구항 13의 발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슬랙 얀은 자유 공간 내에서 바운스 플레이트 상에 루프 및 코일의 형태로 축적된다. 패키지가 취출되고, 권취 장치의 수용 속도가 피드 시스템의 진행 속도보다 실질적으로 빠르거나 또는 동일하게 된 후, 축적된 얀은 제거된다.
얀에서의 슬랙은 패키지 취출 동안 아주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기 때문에, 이송 노즐의 이송 효과는 마찬가지로 단지 짧은 시간 동안만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이동하도록 이송 노즐을 구성해서, 패키지를 취출하는 동안에만 노즐의 효과적인 범위 내에 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계 내부에 정적으로 이송 노즐을 장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어느 경우든지, 단지 패키지 취출 동안에만 압축 공기 공급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 기계의 제 1 실시예를 예시하는데, 도 2 및 3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기계의 잘라낸 도면이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은 도 1 내지 3에 같이 적용된다.
이 텍스쳐 기계는 텍스쳐 장치(1)로 구성된다. 이 장치 내부에서, 피드 시스템(9)은 피드 얀 패키지(5)로부터 얀 가이드(8)를 경유하여 얀(4)을 인발한다. 피드 시스템(9)은 텍스쳐 구역으로 얀(4)을 진행시킨다. 텍스쳐 구역은 가연(假撚, false twist) 유니트(13)와 피드 시스템(9) 사이에 형성된다. 텍스쳐 구역은 얀의 경로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가열 장치(10)와 냉각 장치(11)를 수용한다. 가연 유니트(13)는 어쨌든 가열 장치(10)로 복귀시키는 가연성을 얀에 제공한다. 가열 장치(10) 및 그 하류의 냉각 장치(11)에서, 얀에 있어서의 텍스쳐가 세트된다.
이어서, 피드 시스템(2)은 텍스쳐 장치(1)로부터 얀을 인발하고 얀을 권취 장치로 진행시킨다. 권취 장치(3)는 패키지(15)와 마찰 롤(17)로 구성된다. 마찰 롤(17)은 패키지(15)의 원주와 접촉하는 상태에 있고 일정한 원주 속도로 패키지(15)를 구동시킨다. 패키지(15) 상류의 얀 경로에는, 얀 경로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횡방향으로 얀을 왕복시켜서, 얀을 패키지 표면상에 균일하게 축적하는 얀 트래버스 장치가 배열된다.
피드 시스템(2)과 권취 장치(3) 사이에는, 이송 노즐(6)이 얀의 경로에 배열된다. 도 2는 이송 노즐(6)의 단면도이다. 이송 노즐(6)은 2개의 측벽(20,21)으로 구성된다. 측벽(20,21)은 그 사이에 이송 갭(22)을 형성하며, 이송 갭(22)을 통해서 얀(4)이 진행한다. 측벽(21)은 노즐 보어가 이송 갭(22)에서 한쪽 끝이 끝나는 방식으로 2개의 노즐 보어(23,29)를 수용한다(도 3 참조). 노즐 보어의 반대쪽 끝에서, 노즐 보어(23,29)는 공급 라인(24)에 연결된다. 노즐 보어(23,29)는 측벽(20)과 노즐 보어의 중심 축(26) 사이에 각도 β의 상태로 이송 갭(22)에서 끝난다. 각도 β는 30°이하인데, 20°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송 노즐의 출구(44)에서, 가이드 플레이트(25)가 측벽(20)으로부터 뻗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5)는 얀 경로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만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송 노즐(6)의 출구(44)와 권취 장치(3) 바로 상류에 배열된 편향 바(14) 사이에는 자유 공간(7)이 형성된다.
피드 시스템(2)은 피드 샤프트(18)와 피드 샤프트(18)의 원주와 접촉하는 상태에 있는 압력 롤(19)로 구성된다. 피드 샤프트(18)는 드라이브에 연결된다. 얀(4)을 진행시키기 위해, 얀(4)은 피드 샤프트(18)와 압력 롤(19) 사이에 끼워진다.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압력 롤(19)과 더불어 피드 샤프트(18)의 회전은 얀(4)을 피드 샤프트(18)의 원주 속도로 진행하게 한다.
도 3은 이송 노즐(6)의 평면도이다. 노즐 보어(23.29)는 가상선으로 도시된다. 측벽(21)에는, 노즐 보어(23,29)가 바람직하게는 한 평면 상에 배열된다. 노즐 보어(23,29)의 중심 축은 2α를 에워싼다. 중심 축의 교선은 이송 갭(22) 내의 얀 경로와 일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각도 2α는 < 60°인데, < 40°가 바람직하며, 얀은 각도의 이등분기를 나타내는 것이 유리하다. 이송 노즐(6)의 측벽(21,20)은 핀(27,2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핀에는 나사 산이 나있어서, 이송 갭의 폭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먼저 얀(4)은 패키지(15)에 연속적으로 권사된다. 권취 장치(3)의 권사 속도 또는 수용 속도는 이 경우에서는 피드 시스템(2)의 전달 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피드 시스템(2)의 전달 속도보다 빠르다. 이 위상에서는, 얀(4)은 편향 바(14)까지 일직선으로 이송 노즐을 통해서 진행한다. 패키지(15)가 완전히 권사된 후에, 패키지는 취출된다. 이 때문에, 얀(4)을 우선적으로 트래버스 장치(16) 바깥쪽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필요하다. 짧은 시간 동안, 얀은 패키지(15) 상에서 소위 타이-오프 비드로 권사된다. 타이-오프 비드를 권사한 후에, 얀(4)은 도시되지 않은 장치에 의해 절단되고 흡입에 의해 제거된다. 이제, 가득 찬 패키지(15)는 빈 튜브로 교체된다. 이 위상에서는, 권취 장치(3)에서의 얀의 권사 속도는 피드 시스템(2)의 진행 속도보다 느리다. 그러므로, 피드 시스템(2)은 얀(4)을 과도하게 공급한다. 이송 노즐(6)에서, 얀(4)은 노즐 보어(23,29)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에 노출된다. 노즐 보어(23,29)의 구성상의 결과로서, 송풍 방향은 진행하는 얀의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다. 이것은 얀의 진행 방향으로 얀에 장력을 발생시킨다. 가이드 플레이트(25)는 이송 갭의 출구에서의 유동을 자유 공간(7) 방향으로 편향시켜, 과도하게 공급되는 경우, 얀을 공기 내에서 루프로서 가이드 한다(가상선으로 도시됨). 그러므로, 이 과도한 양의 얀은 자유 공간(7)에 수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계의 일부만을 도시한다. 이송 노즐(6)은 도 1 내지 3과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구성된다. 이정도는, 도 1 내지 3의 설명이 참조된다. 그리고,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조상의 부분은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다음의 실시예에서 동일시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자유 공간(7)은 바운스 플레이트(bounce plate)에 의해 제한된다. 덧붙이면, 얀(4)이 바운스 플레이트(30)에 부딪힐 때까지, 이송 노즐(6)의 송풍 결과는 슬랙 얀(slack yarn)을 자유 공간(7)으로 송풍한다. 바운스 플레이트(3) 상에서, 얀은 루프 또는 코일의 형태로 축적된다. 패키지 취출을 완료한 후에, 얀 엉킴은 권사 속도의 동작에 의해 다시 해제된다. 이러한 배열은 피드 시스템(2)의 심한 과도 공급을 수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도 5는 도 1의 기계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피드 시스템(2)은 텍스쳐 장치로부터 얀(4)을 인발하고 도시되지 않은 권취장치로 얀을 진행시킨다. 피드 시스템(2)은 피드 샤프트(18)와 압력 롤(19)로 구성된다. 피드 시스템(2)과 편향 바(14) 사이에는, 이송 롤(31)이 얀의 경로에 뻗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얀은 이송 롤(31)의 원주 둘레에서 부분적으로 루프화된다. 도 5는 약 90°의 편향을 나타낸다. 이송 롤(31)은 드라이브(32)에 의해 구동된다. 얀의 경로에서, 이송 롤(31) 다음에 이송 노즐(6)이 뒤따른다. 이러한 배열에서, 이송 노즐(6)은 얀의 경로의 측면으로 이송 롤(31)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이송 노즐은 하우징(33)으로 구성된다. 하우징(33)은 노즐 보어(23)를 수용하며, 공급 라인(24)에 연결된다. 압력 매체는 공급 라인(24)을 통해 이송 노즐(6)에 공급된다. 노즐 보어(23)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가 얀 상에 진행 방향에본질적인 분력을 가지는 횡단력을 발생시키도록 이송 노즐(6)은 배열된다. 그러므로, 얀(4)이 과도하게 공급될 때, 얀(4)은 자유 공간(7)으로 송풍된다. 이것은 이송 롤(31)로부터 진행하는 얀의 길이에 장력(F0)을 발생시키며, 이송 롤(31) 상의 루프 마찰 때문에, 이송 롤(31)과 피드 시스템(2) 사이의 얀의 길이에 마찰 법칙 하에서 대응해서 증가된 장력(F1)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이송 롤(31)의 구동은 이송 롤(31)이 얀을 구동적으로 추월할 때, 이송 롤(31)과 피드 시스템(2) 사이에서 장력이 계수 eμ*a(F1= F0*eμ*a) 만큼 증가하게 한다. 그러므로, 얀(4)의 과도한 공급은 자유 공간(7)의 영역에서 단지 이송 롤(31)의 하류에서만 일어난다. 이송 롤(31)은 예를 들어 전기 모터 또는 압축 공기에 의해 가동되는 터빈 드라이브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송 노즐(6)은 노즐 보어(23)의 중심 축(26)이 얀의 경로에 대해 각도 β를 형성하도록 얀의 경로에 대해 배열된다. 각도 β는 < 30°인데, < 20°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기류에 의해 발생되는 세로방향의 힘이 과도한 공급을 수용하는 적당한 이송 효과를 얀 상에 발생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송풍 방향 및 자유 공간(7)은 슬랙 얀(4)이 편향 바(14) 상에 덜 루프되도록 편향 바(14)에 대해 구성된다. 이로써, 흡입 장치에 의해 패키지를 취출하는 동안 얀 끝의 인계를 지원하도록 루프 마찰은 더욱 더 감소된다.
도 6 내지 8은 도 1의 기계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실시예에서, 비구동 이송 롤(31)과 이송 노즐(6)은 피드 시스템(2)과 편향 바(14) 사이에 뻗어 있다. 도 7은 이송 노즐(6)의 가로방향 단면도이고, 도 8은 이송 노즐(6)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그러므로, 설명은 도 6, 7 및 8에 같이 적용된다.
이송 노즐(6)은 하우징(34)으로 구성된다. 하우징(34)에는, 그루브-타입의 얀 채널(35)이 형성된다. 얀 채널(35)은 기본적으로 2개의 평행한 채널 벽(36,37)으로 구성된다. 얀(4)은 세로 방향으로 얀 채널(35)을 통해서 진행한다. 채널 벽(36,37)은 노즐 보어(23,29)를 수용한다. 노즐 보어(23,29)는 < 30°의 각도 2*α가 < 30°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노즐 보어(23,29)의 입구는 진행하는 얀의 방향으로 향한다. 보어(38,39,40)를 통해, 노즐 보어(23,29)는 공급 라인(24)에 연결된다.
노즐 보어(23,29)는 한 평면에 뻗어 있다. 이송 노즐(6)의 이 실시예에서, 기류는 노즐 보어(23,29)를 통해 얀 채널(35)로 유입된다. 얀 채널(35)에 의해, 기류는 집중되고, 얀 상에 비교적 고 장력을 발생시키며, 그것에 의하여, 얀에 의해 루프화되는 롤(31)을 구동시킨다. 루프 마찰과 롤(31)의 베어링 마찰 때문에, 피드 시스템(2)과 롤(31) 사이에 유효한 얀의 장력은 이송 노즐(6)에 의해 발생되는 장력보다 작다. 얀이 과도하게 공급되는 동안, 얀은 얀 채널(35)을 떠난 후에 자유 공간(7)으로 송풍된다.
도 9는 예를 들어 도 1의 기계에 사용될 수 있는 이송 롤을 갖춘 이송 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덧붙이면, 도 9.1은 이송 롤의 단면도이고 도 9.2는 이송 롤의 정면도이다. 두 끝에서, 이송 롤(31)은 드라이브 하우징(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드라이브 하우징(41)에는, 터빈 드라이브가 이송 롤(31)에 연결된다. 이 때문에, 이송 롤(31)은 복수의 터빈 블레이드(42)로 구성된다. 블레이드(42)를 통한 터빈의 구동은 압축-공기 공급부(43)에 의해 공급되는, 노즐 보어로부터의 압축-공기 제트에 의해 발생한다. 드라이브 하우징(41)에는, 노즐 보어(23,29)가 얀(4)의 한 쪽에 각각 배열된다. 노즐 보어(23,29)는 압축-공기 공급부(43)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수용한다. 노즐 보어(23,29)는 드라이브 하우징(41)의 영역에서 뻗어 있으며, 이 영역에서 얀은 이송 롤(31)을 바로 떠난다. 얀(4)의 과도한 공급 동안, 이송 롤(31)과 이송 노즐의 출구 쪽의 기류는 바로 인접하는 자유 공간(7)으로 얀(4)을 진행시킨다.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에서, 이송 노즐은 고정시켜 배열된다. 그러나, 이동하도록 이송 노즐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이송 노즐은 패키지 취출의 상태에서만 흔들려서 얀의 경로 내에 있게 되고, 얀을 기류에 노출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지 패키지 취출의 위상에서만 노즐의 기류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기류를 얀에 지속적으로 가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 얀을 처리하기 위해 기류에 액체를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로 이송 노즐을 작동시키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피드 시스템(2)의 하류에 높은 얀 장력을 도달시키고자 한다면, 각각의 이송 노즐(6)을 이송 롤(31)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텍스쳐 기계는 그 구성이 예시적이라는 것이 또한 지적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텍스쳐 장치는 얀의 후처리를 위해 상기의 피드시스템을 갖춘 제 2 가열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얀에서의 잔류 꼬임을 제거하기 위해 권취 장치의 상류에 엉킴 노즐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텍스쳐 장치 2: 피드 시스템
3: 권취 장치 4: 얀
5: 피드 얀 패키지 6: 이송 롤
7: 자유 공간, 얀 축적기 8: 얀 가이드
9: 피드 시스템 10: 가열 장치
11: 냉각 장치 12: 편향 롤
13: 가연 유니트 14: 편향 바
15: 패키지. 16: 얀 트래버스 장치
17: 마찰 롤 18: 피드 샤프트
19: 압력 롤 20: 측벽
21: 측벽 22: 이송 갭
23: 노즐 보어 24: 공급 라인
25: 가이드 플레이트 26: 중심 축
27: 핀 28: 핀
29: 노즐 보어 30: 바운스 플레이트
31: 이송 롤 32: 드라이브
33: 하우징 34: 하우징
35: 얀 채널 36: 채널 벽
37: 채널 벽 38. 보어
39: 보어 40: 보어
41: 드라이브 하우징 42: 터빈 블레이드
43: 압축 공기의 공급부 44: 출구
45: 노즐 보어

Claims (13)

  1. 텍스쳐 장치(1), 피드 시스템(2), 권취 장치(3), 및 피드 시스템(2)과 권취 장치(3) 사이에 배열된 얀 축적기(7)를 갖춘, 얀(4)을 텍스쳐하고 권사하는 텍스쳐 기계에 있어서, 피드 시스템(2)은 텍스쳐 장치(1)로부터 얀을 인발하고 얀을 권취 장치로 진행시키며, 이송 노즐(6)은 피드 시스템(2)과 얀 축적기(7) 사이에 뻗어 있고, 이송 노즐(6)은 얀(4)으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켜 기류가 얀(4)의 진행 방향으로 얀(4) 상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진행하는 얀의 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보어(23)로 구성되고, 얀 축적기는 자유 공간에 의해 기계에 형성되며 송풍 방향으로 이송 노즐과 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노즐 보어(23)는 얀에 대해서 중심 축(26)이 < 30°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 2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송 노즐(6)은 제 1 노즐 보어(23)와 한 평면 상에 배열되는 제 2 노즐 보어(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노즐 보어(23,29)의 중심 축은 노즐 보어(23,29) 사이에 < 60°, 바람직하게는 < 4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이송 롤(31)은 이송 노즐(6) 상류의 얀 경로에 뻗어 있어서 얀은 이송 롤(31)의 원주둘레에서 이송 롤(31)을 부분적으로 루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이송 롤(31)은 터빈 드라이브 또는 전기 드라이브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이송 롤(31)과 이송 노즐(6)은 통상의 압축-공기 공급부(43)를 갖춘 하나의 유니트로 조합되며, 노즐 보어 또는 보어(23,29)는 이송 롤로부터 얀(4)의 출발 지점 바로 하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노즐(6)은 기류를 유도하기 위해 2 개의 측벽(20,21)을 갖춘, 얀이 진행하는 이송 갭(22)을 포함하고, 노즐 보어 또는 보어(23,29)는 측벽(20,21) 중 하나에 배열되고 이송 갭(22)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노즐 보어 또는 보어(23,29)는 이송 갭(22)에서 끝나서 노즐 보어 또는 보어(23,29)의 중심 축이 노즐 보어 또는 보어와 대향하는 측벽과 < 30°, 바람직하게는 < 2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류를 유도하기 위해 이송 노즐은 얀이 진행하는 채널(35)을 포함하며, 노즐 보어 또는 보어(23,29)는 채널 벽(36,37)에 배열되고 얀 채널(35)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얀 채널(35)은 대체적으로 평행한 2 개의 채널 벽(36,37)을 갖춘 그루브의 형태로 만들어 지고, 채널 벽(36,37)은 각각 노즐 보어(23,29) 중 하나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노즐(6)은 하나의 측벽의 확장부에서 가이드 플레이트(25)에 연결되며, 자유 공간 쪽으로 만곡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운스 플레이트(30)는 자유 공간(7)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7002962A 1998-09-10 1999-08-31 얀을 텍스쳐하고 권사하는 텍스쳐 기계 KR200100731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1320.3 1998-09-10
DE19841320 1998-09-10
PCT/EP1999/006388 WO2000015532A1 (de) 1998-09-10 1999-08-31 Texturiermaschine zum texturieren und aufwickeln eines fad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135A true KR20010073135A (ko) 2001-07-31

Family

ID=788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962A KR20010073135A (ko) 1998-09-10 1999-08-31 얀을 텍스쳐하고 권사하는 텍스쳐 기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21891B2 (ko)
EP (1) EP1112218B1 (ko)
KR (1) KR20010073135A (ko)
CN (1) CN1205102C (ko)
DE (1) DE59908662D1 (ko)
TW (1) TW530102B (ko)
WO (1) WO20000155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200745D0 (sv) * 2002-03-12 2002-03-12 Iropa Ag Pneumatischer Fadenstrecker und Fadenverarbeitungssystem
DE10234554A1 (de) * 2002-07-30 2004-02-12 Barmag Ag Texturiermaschine
DE602008005706D1 (de) * 2008-03-03 2011-05-05 M A E S P A Vorrichtung zum Kräuseln von Chemiefaserfäden und Steuerverfahren
FR2963028B1 (fr) * 2010-07-26 2013-05-03 Superba Sa Procede et dispositif de texturation de fils pour tapis ou moquette, en amont d'une unite de traitement thermique
CN114506736A (zh) * 2022-03-21 2022-05-17 迈得医疗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丝线输送控制方法及丝线收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47109B (de) * 1964-04-25 1967-08-10 Bundesrep Deutschland Vorrichtung zum vorgespannten Fuehren von bewegten, sehr duennen Draehten oder Faeden
US3669328A (en) * 1969-06-21 1972-06-13 Luigi Castelli Yarn feeding and tensioning apparatus
DE2254736C3 (de) * 1972-11-09 1984-01-19 F.M.N. Schuster GmbH & Co KG, 5030 Hürth Vorrichtung zur Bildung einer Fadenreserve beim Anspulen eines Fadens auf einer Spulenhülse
DE2255443A1 (de) * 1972-11-11 1974-05-30 Schuster & Co F M 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gleichen von kurzzeitigen fadenspannungsschwankungen bei spulmaschinen u.dgl
FR2380972A1 (fr) * 1977-02-17 1978-09-15 Asa Sa Dispositif pour le passage pneumatique d'un fil jusqu'a l'organe de reception sur une machine de renvidage textile
BE889343A (fr) * 1981-02-04 1981-12-23 Bigelow Sanford Inc Systeme d'alimentation en fil sans tension
DE3908463A1 (de) * 1989-03-15 1990-09-20 Stahlecker Fritz Vorrichtung zum zwischenspeichern eines doppelfadens
DE59104693D1 (de) * 1990-11-29 1995-03-30 Rieter Ag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fropfenauflösung nach der Texturierung.
TW268056B (ko) * 1993-07-10 1996-01-11 Barmag Barmer Maschf
DE4422252A1 (de) * 1993-07-15 1995-01-19 Barmag Barmer Maschf Texturierdü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2218B1 (de) 2004-02-25
US20010009053A1 (en) 2001-07-26
CN1316970A (zh) 2001-10-10
WO2000015532A1 (de) 2000-03-23
TW530102B (en) 2003-05-01
CN1205102C (zh) 2005-06-08
US6421891B2 (en) 2002-07-23
DE59908662D1 (de) 2004-04-01
EP1112218A1 (de)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3335A (en) Spinning apparatus
CN110092241B (zh) 用于接纱装置的接纱棱柱体
KR950010743B1 (ko) 고속권취를 위한 방사법
CS254951B2 (en) Method of spinning-in on break spinning machines
JPH0160567B2 (ko)
EP1316631B1 (en) Spinning device and spinning method
US3380135A (en) Tow tie-in method
KR20010073135A (ko) 얀을 텍스쳐하고 권사하는 텍스쳐 기계
US5170619A (en) Apparatus for producing yarn
CN101309848B (zh) 用于纺织机的吸气嘴
US6481072B1 (en) Apparatus for guiding and texturizing yarn and associated methods
KR100776952B1 (ko) 텍스쳐링 장치 및 주행하는 실을 감는 방법
US6301870B1 (en) False twist textur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textured thread
CN105648588A (zh) 接头装置、纱线卷取机以及接头方法
US6749146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reading a material web onto a reel
JP3542796B2 (ja) 新規に紡糸すべき糸を既存の糸端に自動継ぎするための方法及び作動ロボット
US3982412A (en) Yarn handling pneumatic device
US4422224A (en) Apparatus for interlacing multifilament yarn
EP2975164B9 (en) Spinning machine comprising a core yarn supplying unit.
US6843050B2 (en) Yarn false twist texturing machine
US53438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ing-up yarn in a pulsating manner
US5016432A (en) Yarn piecing arrangement for two component prestrengthened yarn spinning machine
US3960305A (en) Slot vacuum jet
US4680924A (en) Method of starting spinning of a yarn in a friction spinning device
US6253430B1 (en) Spin draw texturing or draw texturising machine with improved fiber bundle guid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