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1347A -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1347A
KR20240121347A KR1020247025460A KR20247025460A KR20240121347A KR 20240121347 A KR20240121347 A KR 20240121347A KR 1020247025460 A KR1020247025460 A KR 1020247025460A KR 20247025460 A KR20247025460 A KR 20247025460A KR 20240121347 A KR20240121347 A KR 20240121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difference
layer
difference layer
refractive index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2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하세가와
아야카 우메모토
켄타로 타케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12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1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Abstract

반사광의 불균일을 억제하고 시인성을 개선한다.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0)은 편광자(1)와 제1 위상차층(2)과 제2 위상차층(3)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고, 편광자(1)와 제1 위상차층(2)이 제1 접착제층(4)을 개재하여 첩합되며, 제1 위상차층(2)과 제2 위상차층(3)이 제2 접착제층(5)을 개재하여 첩합되고, 제1 위상차층(2) 및 제2 위상차층(3)의 두께가 5㎛ 이하이며, 제2 접착제층(5)의 평균 굴절률은 1.55 이상인 것과 함께, 제1 위상차층(2)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 제2 위상차층(3)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가 0.08 미만이다.

Description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POLARIZING PLATE WITH PHASE DIFFERENCE LAYERS,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외광 반사나 배경의 비침(mirroring)에 의한 시인(視認)성 불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의 시인측에 원편광판이 배치된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및 2에는 흑색 표시에 있어서의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의 반사를 저감하고, 우수한 경사 방향의 반사 색상을 실현한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5-11123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5-210459호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되는 편광판을 이용한 표시 장치는 반사광에 불균일이 생겨 시인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반사광의 불균일을 억제하고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상기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구비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은 편광자와 제1 위상차층과 제2 위상차층을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편광자와 상기 제1 위상차층이 제1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貼合)되며, 상기 제1 위상차층과 상기 제2 위상차층이 제2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되고, 상기 제1 위상차층 및 상기 제2 위상차층의 두께가 5㎛ 이하이며, 상기 제2 접착제층의 평균 굴절률은 1.55 이상인 것과 함께, 상기 제1 위상차층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 및 상기 제2 위상차층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가 0.08 미만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접착제층의 평균 굴절률은 상기 편광자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 및 상기 제1 위상차층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가 0.06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접착제층의 두께가 6㎛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위상차층 및 상기 제2 위상차층이 각각 액정 화합물의 배향 고화층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위상차층이 λ/2판이고, 상기 제2 위상차층이 λ/4판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2㎛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에서 상기 제2 위상차층까지의 두께가 35㎛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유기 EL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기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광의 불균일을 억제하고,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상기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구비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및 기호의 정의)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및 기호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굴절률(nx, ny, nz)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遲相軸)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進相軸)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2) 면내 위상차(Re)
'Re(λ)'는 23℃에 있어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Re(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하였을 때, 식:Re=(nx-ny)×d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예컨대, 'Re(550)'은 23℃에 있어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3)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
'Rth(λ)'는 23℃에 있어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예컨대, 'Rth(550)'은 23℃에 있어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Rth(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하였을 때, 식:Rth=(nx-nz)×d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A.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0)은 편광자(1)와 제1 위상차층(2)과 제2 위상차층(3)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고 있다.
제1 위상차층(2) 및 제2 위상차층(3)의 두께는 각각 5㎛ 이하이다. 제1 위상차층(2)은 대표적으로는 λ/2판으로서 기능하고, 제2 위상차층(3)은 대표적으로는 λ/4판으로서 기능한다. 제1 위상차층(2)은 지상축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상차층(2)의 지상축과 편광자(1)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5°∼25°이고, 바람직하게는 10°∼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7°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이다. 제2 위상차층(3)도 또한 지상축을 갖는다. 제2 위상차층(3)의 지상축과 편광자(1)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60°∼90°이고, 바람직하게는 65°∼8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7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이다. 제1 위상차층(2)의 지상축과 제2 위상차층(3)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50°∼70°이고, 바람직하게는 52°∼6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6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상차층(2)의 지상축과 편광자(1)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5°∼-25°이고, 바람직하게는 -10°∼-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7°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이다. 제2 위상차층(3)도 또한 지상축을 갖는다. 제2 위상차층(3)의 지상축과 편광자(1)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60°∼-90°이고, 바람직하게는 -65°∼-8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7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이다. 제1 위상차층(2)의 지상축과 제2 위상차층(3)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50°∼70°이고, 바람직하게는 52°∼6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6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이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상차층(2)의 지상축과 편광자(1)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60°∼90°이고, 바람직하게는 65°∼8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7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이다. 제2 위상차층(3)도 또한 지상축을 갖는다. 제2 위상차층(3)의 지상축과 편광자(1)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5°∼25°이고, 바람직하게는 10°∼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7°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이다. 제1 위상차층(2)의 지상축과 제2 위상차층(3)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50°∼70°이고, 바람직하게는 52°∼6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6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이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상차층(2)의 지상축과 편광자(1)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60°∼-90°이고, 바람직하게는 -65°∼-8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7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이다. 제2 위상차층(3)도 또한 지상축을 갖는다. 제2 위상차층(3)의 지상축과 편광자(1)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5°∼-25°이고, 바람직하게는 -10°∼-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7°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이다. 제1 위상차층(2)의 지상축과 제2 위상차층(3)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50°∼70°이고, 바람직하게는 52°∼6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6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이다.
편광자(1)와 제1 위상차층(2)은 제1 접착제층(4)을 개재하여 첩합되어 있고, 제1 위상차층(2)과 제2 위상차층(3)은 제2 접착제층(5)을 개재하여 첩합되어 있다. 제1 접착제층(4) 및 제2 접착제층(5)의 두께는 각각 대표적으로는 6㎛ 이하이다. 제1 접착제층(4)의 평균 굴절률과 제1 접착제층(4)에 인접하는 층(편광자(1) 및 제1 위상차층(2))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는 대표적으로는 0.12 미만이다. 제1 접착제층(4)의 평균 굴절률과 상기 인접하는 층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0.1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미만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이다. 제2 접착제층(5)의 평균 굴절률은 1.55 이상인 것과 함께, 제2 접착제층(5)에 인접하는 층(제1 위상차층(2) 및 제2 위상차층(3))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가 0.08 미만이다. 제2 접착제층(5)의 평균 굴절률과 상기 인접하는 층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이다. 상기의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0)을 표시 장치에 이용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반사광의 불균일을 억제하고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0)은 편광자(1)의 제1 위상차층(2)과는 반대측에 보호 필름(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어도 된다.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0)의 두께(편광자(1)/제1 접착제층(4)/제1 위상차층(2)/제2 접착제층(5)/제2 위상차층(3)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3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20㎛이다.
B. 편광자
편광자(1)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편광자를 형성하는 수지 필름은 단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체이어도 된다.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 부분 포멀화 PVA계 필름,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PVA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 염화 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특성이 우수한 점에서, PVA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일축 연신하여 얻어진 편광자가 이용된다.
상기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컨대, PVA계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1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7배이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실시하여도 되고, 염색하면서 실시하여도 된다. 또한 연신하고 나서 염색하여도 된다. 필요에 따라, PVA계 필름에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컨대, 염색 전에 PVA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함으로써 PVA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VA계 필름을 팽윤시켜 염색 얼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적층된 PVA계 수지층(PVA계 수지 필름)과의 적층체, 또는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는 예컨대, PVA계 수지 용액을 수지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수지 기재 상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얻는 것; 당해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하여 PVA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시켜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연신은 필요에 따라 붕산 수용액 중에서의 연신 전에 적층체를 고온(예컨대, 95℃ 이상)에서 공중 연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얻어진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는 그대로 이용하여도 되고(즉, 수지 기재를 편광자의 보호층으로 하여도 되고),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로부터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당해 박리면에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보호층을 적층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편광자의 제조 방법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2-73580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공보는 그 전체의 기재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편광자(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8㎛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5㎛이다. 편광자(1)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0) 전체를 박형화할 수 있다.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박형의 편광자(1)를 제작할 수 있다.
편광자(1)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nm∼780nm의 어느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2.0%∼4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4.5%∼46.0%이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9.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다.
편광자(1)의 평균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48∼1.65이고, 대표적으로는 1.55이다. 편광자(1)의 평균 굴절률이 상기 범위 내의 값이면, 제1 접착제층(4)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의 조정이 용이하다.
C.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2)은 λ/2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제2 위상차층(3)은 λ/4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위상차층(2)이 λ/2판으로서 기능함으로써,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제2 위상차층(3)과의 적층 후 파장 분산 특성(특히, 위상차가 λ/4를 벗어나는 파장 범위)에 대하여, 위상차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어, 넓은 파장 범위에서의 원편광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위상차층(2)의 면내 위상차 Re(550)은 180nm∼320nm이고, 바람직하게는 200nm∼30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nm∼280nm이다. 제1 위상차층(2)은 대표적으로는 nx>ny=nz 또는 nz=nx>ny의 굴절률 타원체를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제2 위상차층(3)의 면내 위상차 Re(550)은 80nm∼180nm이고, 바람직하게는 90nm∼17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nm∼150nm이다. 제2 위상차층(3)은 대표적으로는 nx>ny=nz 또는 nz=nx>ny의 굴절률 타원체를 갖는다.
제1 위상차층(2)의 평균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50∼1.70이고, 대표적으로는 1.59 또는 1.60이다. 제1 위상차층(2)의 평균 굴절률이 상기 범위 내의 값이면, 제1 접착제층(4) 및/또는 제2 접착제층(5)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를 0.12 미만(나아가 0.06 이하)으로 할 수 있다. 제1 위상차층(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이다.
제2 위상차층(3)의 평균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50∼1.70이고, 대표적으로는 1.59 또는 1.60이다. 제2 위상차층(3)의 평균 굴절률이 상기 범위 내의 값이면, 제2 접착제층(5)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를 0.08 미만으로 할 수 있다. 제2 위상차층(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위상차층(2) 및/또는 제2 위상차층(3)은 액정 화합물의 배향 고화층일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제1 위상차층(2) 및/또는 제2 위상차층(3)의 nx와 ny와의 차를 비액정 재료에 비하여 현격하게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망하는 면내 위상차를 얻기 위한 제1 위상차층 및/또는 제2 위상차층의 두께를 현격하게 작게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0)(최종적으로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추가적인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배향 고화층'이란 액정 화합물이 층 내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하고 그 배향 상태가 고정되어 있는 층을 말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대표적으로는 봉상(棒狀)의 액정 화합물이 제1 위상차층(2)(제2 위상차층(3))의 지상축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로 배향하고 있다(호모지니어스(homogeneous) 배향).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액정 상(相)이 네마틱 상인 액정 화합물(네마틱 액정)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정 화합물로서, 예컨대, 액정 폴리머나 액정 모노머가 사용 가능하다. 액정 화합물의 액정성의 발현 기구는 리오트로픽이어도, 서모트로픽이어도 어느 쪽이어도 된다. 액정 폴리머 및 액정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조합하여도 된다. 상기 액정 모노머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액정 모노머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일본공표특허공보 제2002-533742호(WO00/37585), EP358208(US5211877), EP66137(US4388453), WO93/22397, EP0261712, DE19504224, DE4408171 및 GB2280445 등에 기재된 중합성 메소겐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합성 메소겐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BASF사의 상품명 LC242, Merck사의 상품명 E7, Wacker-Chem사의 상품명 LC-Sillicon-CC 3767을 들 수 있다. 액정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네마틱성 액정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액정 화합물의 구체예 및 배향 고화층의 형성 방법의 상세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6-163343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대표적으로는 원반상의 액정 화합물이 수직 배향, 하이브리드 배향 및 경사 배향 중의 어느 하나의 상태로 배향하고 있다.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디스코틱 액정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디스코틱 액정성 화합물은 대표적으로는, 디스코틱 액정성 화합물의 원반면이 제1 위상차층(제2 위상차층)의 필름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하고 있다. 디스코틱 액정성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수직이라는 것은, 필름면과 디스코틱 액정성 화합물의 원반면이 이루는 각도의 평균치가 70°∼90°의 범위 내인 것을 의미한다. 80°∼90°가 보다 바람직하고, 85°∼90°가 더욱 바람직하다. 디스코틱 액정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7-108732호나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244038호에 기재된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D. 제1 접착제층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착제층(4)의 평균 굴절률은 제1 접착제층(4)에 인접하는 층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가 0.12 미만이다. 위상차층의 두께가 얇은(예컨대 5㎛ 이하) 박형의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표시 장치에 이용한 경우,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의 사이에 굴절률 차에 의하여 각 층의 두께 불균일이나 요철 등이 간섭 불균일로서 시인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제1 접착제층(4)의 평균 굴절률과 제1 접착제층(4)에 인접하는 층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가 0.12 미만인 것에 의하여 상기의 간섭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1 접착제층(4)의 평균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52∼1.64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1.64이다. 제1 접착제층(4)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nm∼6㎛,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nm∼2㎛이다.
제1 접착제층(4)을 구성할 수 있는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및 광학적 등방성을 갖는다. 접착제로서, 대표적으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라디칼 경화형, 양이온 경화형, 음이온 경화형 등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예컨대, 라디칼 경화형과 양이온 경화형의 하이브리드 등,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경화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레이트기나 (메트)아크릴아미드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예컨대,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을 함유하는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메타크릴을 말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이중 결합 함유의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나 가교제 등의 종류, 조합 및 배합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소망하는 특성(예컨대, 경화 후의 굴절률)을 갖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얻을 수 있다. 경화 후의 굴절률을 조정할 수 있는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 할로겐 원자를 갖는 화합물 및 유황 원자를 갖는 화합물,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 입자를 들 수 있다.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로서 나프탈렌 골격, 페녹시벤질 골격, 플루오렌 골격 및 9-비닐카바졸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희석제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로일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가소제로서 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 라디칼계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E. 제2 접착제층
제2 접착제층(5)은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접착제층(5)의 평균 굴절률은 제2 접착제층(5)에 인접하는 층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가 0.08 미만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간섭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2 접착제층(5)의 평균 굴절률은 1.5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5∼1.64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1.63이다. 제2 접착제층(5)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nm∼6㎛,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nm∼2㎛이다. 제2 접착제층(5)을 구성할 수 있는 접착제는 D 항목에서 제1 접착제층(4)에 대하여 설명한 접착제와 동일하다.
F. 보호 필름
보호 필름은 편광자(1)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당해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 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설폰계, 폴리설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보넨계, 폴리올레핀계, (메트)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예컨대,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343529호(WO01/37007)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 및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대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당해 폴리머 필름은 예컨대,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Tg(유리 전이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적절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산 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 메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예컨대, 메타크릴산 메틸-메타크릴산 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메트)아크릴산 노보닐 공중합체 등)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 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C1-6 알킬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메틸을 주성분(50∼100중량%, 바람직하게는 70∼100중량%)으로 하는 메타크릴산 메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미쓰비시 레이온사 제조의 아크리페트(ACRYPET) VH나 아크리페트 VRL 20A,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70296호 공보에 기재된 분자 내에 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분자내 가교나 분자내 고리화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고 Tg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점에서,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23001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15181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12032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25454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146084호 등에 기재된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질량 평균 분자량(중량 평균 분자량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이 바람직하게는 1000∼2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1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500000이다.
상기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Tg(유리 전이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이다.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란 아크릴계 및/또는 메타크릴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0)은 대표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배치되고, 보호 필름은 대표적으로 그 시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보호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두께가 채용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10㎛∼100㎛이고, 바람직하게는 12㎛∼90㎛이다. 또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 보호 필름의 두께는 표면 처리층의 두께를 포함한 두께이다.
G. 표시 장치
상기 A 항목에서 F 항목에 기재된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이용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의 시인측에 배치된 상기 A 항목에서 F 항목에 기재된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구비한다.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은 제2 위상차층(3)이 표시 소자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특성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편광자의 굴절률 측정
프리즘커플러 SPA-4000(사이론 테크놀로지사 제조)을 이용하여 편광자의 면내의 굴절률 중, 흡수축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 및 흡수축 방향의 굴절률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측정하고, 이들 평균치를 편광자의 평균 굴절률로 하였다. 측정 온도는 23℃, 측정 파장은 532nm로 하였다.
2.위상차층의 굴절률 측정
프리즘커플러 SPA-4000(사이론 테크놀로지사 제조)을 이용하여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굴절률 중, 지상축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 및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측정하고, 이들 평균치를 위상차층의 평균 굴절률로 하였다.측정 온도는 23℃, 측정 파장은 532nm로 하였다.
3.접착제층의 굴절률 측정
프리즘커플러 SPA-4000(사이론 테크놀로지사 제조)을 이용하여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의 경화물의 면내의 굴절률,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측정하고,이들 평균치를 접착제층의 평균 굴절률로 하였다. 측정 온도는 23℃, 측정 파장은 532nm로 하였다.
4. 위상차층의 위상차 측정
Axoscan(Axometrics사 제조)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온도는 23℃, 측정 파장은 550nm로 하였다.
(편광자의 제작)
수지 기재로서,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 필름(미츠비시 수지사 제조, 상품명 '노바클리어', 두께:100㎛)을 이용하였다. 수지 기재의 편면에, 폴리비닐알코올(PVA) 수지(일본 합성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고세놀(등록상표) NH-26')의 수용액을 60℃에서 도포 및 건조하여 두께 7㎛의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체를 액체 온도 30℃의 불용화욕(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불용화 공정). 이어서, 액체 온도 30℃의 염색욕(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를 0.2 중량부 배합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2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에 60초간 침지시켰다(염색 공정). 이어서 액체 온도 30℃의 가교욕(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3중량부 배합하고 붕산을 3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가교 공정). 그 후, 적층체를 액체 온도 60℃의 붕산 수용액(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 칼륨을 5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에 침지시키면서,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세로 방향(길이 방향)으로 1축 연신을 실시하였다(공정 B). 붕산 수용액으로의 침지 시간은 120초이고, 적층체가 파단하기 직전까지 연신하였다. 그 후, 적층체를 세정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3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에 침지시킨 후, 60℃의 온풍으로 건조시켰다(세정·건조 공정). 이와 같이 하여 수지 기재 상에 두께 5㎛의 편광자가 형성된 적층체를 얻었다. 이어서, 편광자로부터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편광자의 한쪽 면에 보호 필름으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2-3269호에 기재된 아크릴계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보호 필름 부착 편광자를 얻었다. 상기 보호 필름 부착 편광자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여 이용하였다.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작)
(위상차 필름(A))
배향막을 러빙 처리한 λ/2 배향용 투명 수지 기재에, 봉상이고 중합성의 네마틱성 액정 모노머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굴절률 이방성을 유지한 상태로 고화함으로써 투명 수지 기재 상에 두께 2㎛의 위상차 필름(A)을 제작하였다. 위상차 필름(A)의 면내 굴절률 중,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은 1.55,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은 1.68, 두께 방향의 굴절률은 1.55, 이들 평균 굴절률은 1.59이었다. 위상차 필름(A)의 면내 위상차 Re(550)은 260nm이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여 이용하였다.
(위상차 필름(B))
배향막을 러빙 처리한 λ/4 배향용 투명 수지 기재에, 봉상이고 중합성의 네마틱성 액정 모노머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굴절률 이방성을 유지한 상태로 고화함으로써 투명 수지 기재 상에 두께 1㎛의 위상차 필름(B)을 제작하였다. 위상차 필름(B)의 면내의 굴절률 중,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은 1.55,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은 1.68, 두께 방향의 굴절률은 1.55, 이들 평균 굴절률은 1.59이었다. 위상차 필름(B)의 면내 위상차 Re(550)은 120nm이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여 이용하였다.
(위상차 필름(C))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투명 수지 기재를 알칼리 비누화 처리하고, 이어서 알칼리 비누화 처리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의 표면에 배향막 도포액을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λ/2 배향 처리하였다. 이어서, 투명 지지체의 배향 처리면에 디스코틱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 및 UV 조사를 하여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고정화함으로써 투명 수지 기재 상에 두께 2㎛의 위상차 필름(C)을 제작하였다. 위상차 필름(C)의 면내의 굴절률 중,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은 1.53,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은 1.64, 두께 방향의 굴절률은 1.64, 이들 평균 굴절률은 1.60이었다. 위상차 필름(C)의 면내 위상차 Re(550)은 246nm이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여 이용하였다.
(위상차 필름(D))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투명 수지 기재를 알칼리 비누화 처리하고, 이어서, 알칼리 비누화 처리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의 표면에 배향막 도포액을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λ/4 배향 처리하였다. 이어서, 투명 지지체의 배향 처리면에 디스코틱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 및 UV 조사를하여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고정화함으로써 투명 수지 기재 상에 두께 1㎛의 위상차 필름(D)을 제작하였다. 위상차 필름(D)의 면내의 굴절률 중,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은 1.53,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은 1.64, 두께 방향의 굴절률은 1.64, 이들 평균 굴절률은 1.60이었다. 위상차 필름(D)의 면내 위상차 Re(550)은 123nm이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여 이용하였다.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의 제작)
(접착제(A))
프락셀 FA1DDM(다이셀사 제조) 50부, 아크릴로일모르폴린(ACMO:등록상표)(코우진사 제조) 40부, ARFON UP-1190(토아 고세이사 제조) 10부, 광중합 개시제(제품명 'KAYACURE DETX-S', 일본 화약사 제조) 3부 및 IRGACURE 907(BASF 재팬사 제조) 3부를 혼합하고 접착제(A)를 조정하였다. 얻어진 접착제(A)를 광 경화(300mJ/cm2)하여 얻어진 경화물의 면내의 굴절률은 1.52, 두께 방향의 굴절률은 1.52, 이들 평균 굴절률은 1.52이었다.
(접착제(B))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POB-A(교에이샤 카가쿠 제조) 40부, 프락셀 FA1DDM(다이셀사 제조) 10부, 아크릴로일모르폴린(ACMO:등록상표)(코우진사 제조) 40부, ARFON UP-1190(토아 고세이사 제조) 10부, 광중합 개시제(제품명 'KAYACURE DETX-S', 일본 화약사 제조) 3부 및 IRGACURE 907(BASF 재팬사 제조) 3부를 혼합하고 접착제(B)를 조정하였다. 얻어진 접착제(B)를 광 경화(300mJ/cm2)하여 얻어진 경화물의 면내의 굴절률은 1.55, 두께 방향의 굴절률은 1.55, 이들 평균 굴절률은 1.55이었다.
(접착제(C))
OGSOL EA-F5710(오사카 가스케미컬사 제조) 70부, 프락셀 FA1DDM(다이셀사 제조) 10부, 아크릴로일모르폴린(ACMO:등록상표)(코우진사 제조) 18부, ARFON UP-1190(토아 고세이사 제조) 5부, 광중합 개시제(제품명 'DAROCUR 1173', BASF 재팬사 제조) 3부를 혼합하고 접착제(C)를 조정하였다. 얻어진 접착제(C)를 광 경화(300mJ/cm2)하여 얻어진 경화물의 면내의 굴절률은 1.60, 두께 방향의 굴절률은 1.60, 이들 평균 굴절률은 1.60이었다.
(접착제(D))
9-비닐카바졸(도쿄 카세이사 제조) 35부, OGSOL EA-F5710(오사카 가스케미컬사 제조) 40부, 아크릴로일모르폴린(ACMO:등록상표) 20부, ARFON UP-1190(토아 고세이사 제조) 5부, 광중합 개시제(제품명 'DAROCUR 1173', BASF 재팬사 제조) 3부를 혼합하여 접착제(D)를 조정하였다. 얻어진 접착제(D)를 광 경화(300mJ/cm2)하여 얻어진 경화물의 면내의 굴절률은 1.64, 두께 방향의 굴절률은 1.64, 이들 평균 굴절률은 1.64이었다.
<실시예 1>
편광자에 제1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A)를 도공하고, 접착제(A) 도공면에 제1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A)을, 편광자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A)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15°가 되도록 투명 수지 기재로부터 전사하고, UV 조사(300mJ/cm2)하여 접착제(A)를 경화하였다. 이어서, 위상차 필름(A)의 편광자와 반대측의 면에 제2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B)를 도공하고, 접착제(B) 도공면에 제2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D)을, 편광자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D)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75°이고, 또한 위상차 필름(A)의 지상축과 위상차 필름(D)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60°가 되도록 투명 수지 기재로부터 전사하며, UV 조사(300mJ/cm2)하여 접착제(B)를 경화함으로써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경화된 접착제(A)(제1 접착제층)의 두께는 1㎛이고, 경화된 접착제(B)(제2 접착제층)의 두께는 1㎛이었다.
<실시예 2>
제1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 접착제(B)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제2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 접착제(C)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제1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 접착제(C)를 이용하고, 제2 접착제층 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 접착제(D)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5>
편광자에 제1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B)를 도공하고, 접착제(B) 도공면에 제1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C)을, 편광자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C)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75°가 되도록 투명 수지 기재로부터 전사하고, UV 조사(300mJ/cm2)하여 접착제(B)를 경화하였다. 이어서, 위상차 필름(C)의 편광자와 반대측의 면에 제2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B)를 도공하고, 접착제(B) 도공면에 제2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B)을, 편광자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B)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15°이며, 또한 위상차 필름(C)의 지상축과 위상차 필름(B)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60°가 되도록 투명 수지 기재로부터 전사하고, UV 조사(300mJ/cm2)하여 접착제(B)를 경화함으로써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경화된 접착제(B)(제1 접착제층)의 두께는 1㎛이고, 경화된 접착제(B)(제2 접착제층)의 두께는 1㎛이었다.
<실시예 6>
제1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으로서 위상차 필름(C)을 이용하고, 제2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으로서 위상차 필름(D)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7>
제2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으로서 위상차 필름(B)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제2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 접착제(A)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제1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 접착제(B)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 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아크릴계 점착제를 개재하여 반사판에 첩합하고, 삼파장 관 아래에서 외관을 육안 관찰하였다.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얼룩이 시인되지 않았다···◎
얼룩이 거의 시인되지 않았다(실사용상 문제 없음)···○
얼룩이 시인되었다···×
[표 1]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은 예컨대,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TV, 액정 디스플레이,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복사기, 프린터, 팩스, 시계, 전자 레인지 등의 액정 패널, 유기 EL 디바이스의 반사 방지판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1 : 편광자
2 : 제1 위상차층
3 : 제2 위상차층
4 : 제1 접착제층
5 : 제2 접착제층
10 :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Claims (7)

  1. 편광자와 제1 위상차층과 제2 위상차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편광자와 상기 제1 위상차층이 제1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되며,
    상기 제1 위상차층과 상기 제2 위상차층이 제2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되고,
    상기 제1 위상차층 및 상기 제2 위상차층의 두께가 5㎛ 이하이며,
    상기 제2 접착제층의 평균 굴절률은 1.60 이상인 것과 함께, 상기 제1 위상차층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 및 상기 제2 위상차층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가 0.01 이하이고,
    상기 제1 접착제층의 평균 굴절률은 상기 편광자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 및 상기 제1 위상차층의 평균 굴절률과의 차가 0.06 이하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접착제층의 두께가 6㎛ 이하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층 및 상기 제2 위상차층이 각각, 액정 화합물의 배향 고화층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층이 λ/2판이고, 상기 제2 위상차층이 λ/4판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2㎛ 이하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에서 상기 제2 위상차층까지의 두께가 35㎛ 이하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구비한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0247025460A 2016-07-29 2017-07-21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20240121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9769 2016-07-29
JP2016149769A JP2018017996A (ja) 2016-07-29 2016-07-29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PCT/JP2017/026496 WO2018021190A1 (ja) 2016-07-29 2017-07-21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KR1020227032301A KR20220130839A (ko) 2016-07-29 2017-07-21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301A Division KR20220130839A (ko) 2016-07-29 2017-07-21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1347A true KR20240121347A (ko) 2024-08-08

Family

ID=6101702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417A KR20190027838A (ko) 2016-07-29 2017-07-21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0227032301A KR20220130839A (ko) 2016-07-29 2017-07-21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0247025460A KR20240121347A (ko) 2016-07-29 2017-07-21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417A KR20190027838A (ko) 2016-07-29 2017-07-21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0227032301A KR20220130839A (ko) 2016-07-29 2017-07-21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69527B2 (ko)
JP (1) JP2018017996A (ko)
KR (3) KR20190027838A (ko)
CN (2) CN109564314A (ko)
SG (1) SG11201900348RA (ko)
TW (1) TWI786053B (ko)
WO (1) WO2018021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185B1 (ko) * 2017-01-13 2019-08-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CN110637345B (zh) * 2017-09-19 2021-10-29 株式会社Lg化学 用于透明发光器件显示器的电极基底及其制造方法
JP7441611B2 (ja) * 2018-04-20 2024-03-0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き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7398187B2 (ja) * 2018-05-29 2023-12-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円偏光板及び表示パネル
JP7373303B2 (ja) * 2018-09-28 2023-11-02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複合体、及び画像表示装置
WO2020066830A1 (ja) * 2018-09-28 2020-04-02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複合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0052365A (ja) * 2018-09-28 2020-04-0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複合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7370177B2 (ja) * 2018-10-15 2023-10-27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20091316A (ja) * 2018-12-03 2020-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200101548A (ko) * 2019-02-19 2020-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7383559B2 (ja) * 2019-05-15 2023-11-2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検査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385380B2 (ja) * 2019-06-07 2023-11-22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およびハードコート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
CN110275239B (zh) * 2019-06-27 2021-04-27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偏光片、显示面板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KR20210017519A (ko) * 2019-08-08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21039275A (ja) * 2019-09-04 2021-03-11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1039265A (ja) * 2019-09-04 2021-03-11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406977B2 (ja) 2019-12-23 2023-12-28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WO2021132236A1 (ja) * 2019-12-26 2021-07-0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7150779B2 (ja) * 2020-05-01 2022-10-1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複合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2056553A (ja) * 2020-09-30 2022-04-1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059409B1 (ja) 2021-01-15 2022-04-2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吸収異方性板
CN116997831A (zh) * 2021-03-19 2023-11-03 日本化药株式会社 抬头显示器用光学功能膜、光学层叠体、功能性玻璃、及抬头显示器系统
WO2022224921A1 (ja) 2021-04-22 2022-10-27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69160B2 (ja) 2021-04-30 2023-10-2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2023068424A (ja) 2021-11-02 2023-05-17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3080232A1 (ja) * 2021-11-08 2023-05-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光学積層体、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表示装置
WO2023080231A1 (ja) * 2021-11-08 2023-05-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光学積層体、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表示装置
JP7551014B1 (ja) 2023-03-31 2024-09-13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1236A (ja) 2013-10-31 2015-06-18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及び該液晶パネルに用いられる偏光子積層体
JP2015210459A (ja) 2014-04-30 2015-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円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2408A1 (de) 1995-09-01 1997-03-06 Basf Ag Polymerisierbare flüssigkristalline Verbindungen
JPH11149015A (ja) 1997-11-14 1999-06-02 Nitto Denko Corp 積層波長板、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DE19859584A1 (de) * 1998-12-22 2000-06-29 Basf Ag Verwendung polymerisierbarer flüssigkristalliner Substanzen zur Herstellung optischer Bauelemente
US6773766B2 (en) 1998-12-22 2004-08-10 Basf Aktiengesellschaft Utilization of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substances for the production of optical components
CA2678211A1 (en) * 2000-12-18 2002-06-27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Optical film and polarizing film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improving view angle of the polarizing film
JP2004102115A (ja) 2002-09-12 2004-04-02 Seiko Epson Corp 光学変換素子及びプロジェクタ
JP2004233872A (ja) * 2003-01-31 2004-08-19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フィルム、楕円偏光フィルム、円偏光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DE602005002989T2 (de) 2004-08-19 2008-08-07 Nitto Denko Corp., Ibaraki Flüssigkristalline Di(meth)acrylatverbindung, Phasendifferenzfilm, optischer Film, polarisierende Platte, Flüssigkristallschirm und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JP4297436B2 (ja) 2004-08-19 2009-07-15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性ジ(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位相差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4413117B2 (ja) 2004-09-28 2010-02-10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及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622765B2 (ja) * 2005-09-15 2011-02-02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位相差板及び複合光学部材の製造方法
JP2009276533A (ja) 2008-05-14 2009-11-26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
WO2011142587A2 (en) * 2010-05-11 2011-11-17 Dongwoo Fine-Chem Co., Ltd. Patterned retarder laminated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5011444B2 (ja) * 2010-09-03 2012-08-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815492B2 (ja) 2011-11-01 2015-11-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3d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542618B1 (ko) * 2012-12-14 2015-08-06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JP6255395B2 (ja) * 2013-06-06 2017-1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シート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6318481B2 (ja) 2013-06-25 2018-05-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659121B1 (ko) * 2013-06-28 2016-09-22 제일모직주식회사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JP6171707B2 (ja) * 2013-08-07 2017-08-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4345368B (zh) 2013-08-09 2018-10-16 住友化学株式会社 椭圆偏振板
CN110058344A (zh) 2013-08-09 2019-07-2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膜
CN104345372B (zh) 2013-08-09 2018-04-1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膜
TWI636285B (zh) 2013-08-09 2018-09-21 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Optical film
CN104345370B (zh) 2013-08-09 2018-08-2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膜
KR102368381B1 (ko) 2013-08-09 2022-02-2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JP6214502B2 (ja) * 2013-11-06 2017-10-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731676B1 (ko) * 2014-07-23 2017-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6035636A1 (ja) 2014-09-01 2016-03-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6796318B (zh) 2014-09-30 2018-09-28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膜、带粘合剂层的偏振膜及图像显示装置
JP6077618B2 (ja) 2014-09-30 2017-02-08 日東電工株式会社 片保護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SG11201706552PA (en) 2014-09-30 2017-09-28 Nitto Denko Corp One-side-protected polarizing film,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same
CN106716196B (zh) 2014-09-30 2018-08-03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膜的制造方法
JP6077620B2 (ja) * 2014-09-30 2017-02-08 日東電工株式会社 片保護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JP6077619B2 (ja) 2014-09-30 2017-02-08 日東電工株式会社 片保護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JP6258911B2 (ja) * 2014-12-22 2018-01-10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偏光板及びそれを含む積層体
CN105717572B (zh) 2014-12-22 2020-05-12 住友化学株式会社 带有保护膜的偏振板及包含它的层叠体
US10302828B2 (en) * 2015-07-27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US10816710B2 (en) * 2016-03-18 2020-10-27 Samsung Sdi Co., Ltd. Polarizing plate for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KR102455369B1 (ko) * 2016-12-16 2022-10-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1236A (ja) 2013-10-31 2015-06-18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及び該液晶パネルに用いられる偏光子積層体
JP2015210459A (ja) 2014-04-30 2015-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円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838A (ko) 2019-03-15
TW201804184A (zh) 2018-02-01
CN109564314A (zh) 2019-04-02
WO2018021190A1 (ja) 2018-02-01
KR20220130839A (ko) 2022-09-27
TWI786053B (zh) 2022-12-11
US20190235148A1 (en) 2019-08-01
JP2018017996A (ja) 2018-02-01
CN117706671A (zh) 2024-03-15
SG11201900348RA (en) 2019-02-27
US10969527B2 (en)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121347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WO2018135186A1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JP2009053614A (ja)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8060152A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4911777B2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911604B2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699514B2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4761399B2 (ja)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7126479B2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2018060150A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2008191376A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761395B2 (ja)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8054887A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4761398B2 (ja)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911603B2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8060149A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6724729B2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2008197352A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230145479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해당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4761392B2 (ja)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8054884A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2018054886A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2018060148A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2017187732A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2017215560A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