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121B1 -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121B1
KR101659121B1 KR1020130076077A KR20130076077A KR101659121B1 KR 101659121 B1 KR101659121 B1 KR 101659121B1 KR 1020130076077 A KR1020130076077 A KR 1020130076077A KR 20130076077 A KR20130076077 A KR 20130076077A KR 101659121 B1 KR101659121 B1 KR 10165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tardation
pattern
polarizing plate
o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354A (ko
Inventor
이문연
오경아
인규열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6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121B1/ko
Priority to TW103120854A priority patent/TWI572909B/zh
Priority to US14/310,094 priority patent/US9140838B2/en
Priority to CN201410305105.8A priority patent/CN104252016B/zh
Publication of KR2015000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위상차지연층; 상기 제1 위상차지연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위상차지연층; 및상기 제2 위상차지연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음각 패턴이 하부면에 형성된 패턴층을 포함하는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POLARIZING PLATE FOR OLED AND OLE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측면 칼라 시프트 현상을 최소화하고 WAD 개선 효과가 있으며 측면 반사율과 색상 천이가 낮은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OLED 패널의 경우 차세대 Display로 그 시장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OLED 패널이 대형화함에 따라 자체 발광시 측면에서의 White-out 현상으로 색상이 Blue로 Shift가 일어나는 WAD(white angular dependancy)현상이 발생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렌즈 형태의 Sheet 또는 필름이 필요하다. 이러한 렌즈계 필름들은 측면 특정 각도에서 편광이 떨어져 편광해소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특정 각도에서의 Black 시감이 감소되어 실제 화면에서 Black 구현이 불가능한 부분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1 매형의 역파장 분산형 보상필름이 아닌 다층 보상필름을 적용하여 편광해소를 분산시켜 편광해소 현상을 개선하는 신규 보상필름을 설계하였다.
종래에는 반사판의 반사방지를 해결하기 위해 역파장 분산 보상필름 1매만 적용하였으며, 이는 WAD 현상이 없는 제품에는 특성이 유효하나 WAD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편광방향을 분산시키기에는 부족하다. 종래의 방법은 렌즈계 설계가 아닌 미립자 확산 기술을 사용하여 Back scattering을 제거하여 WAD를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2012-0081362호는 액정디스플레이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를 개선하기 위한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 칼라 시프트 현상을 최소화하고 WAD 개선 효과를 갖는 OLED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가 적은 OLED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투과율 및 광확산성이 우수한 OLED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뢰성이 우수한 OLED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정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OLED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OLED용 편광판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위상차지연층; 상기 제1 위상차지연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위상차지연층; 및 상기 제2 위상차지연층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음각 패턴이 하부면에 형성된 패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OLED 표시장치는 상기 OLED용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측면 칼라 시프트 현상을 최소화하고 WAD 개선 효과를 갖는 OLED용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가 적고, 광투과율 및 광확산성이 우수하며, 신뢰성, 공정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OLED용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일 구체예의 OLED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다른 구체예의 OLED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OLED용 편광판 중 편광자, 제1위상차지연층, 및 제2위상차지연층의 광축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 일 구체예의 패턴층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 다른 구체예의 패턴층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구체예의 패턴층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다른 구체예의 패턴층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구체예의 패턴층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또 다른 구체예의 패턴층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또 다른 구체예의 OLED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또 다른 구체예의 OLED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또 다른 구체예의 OLED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또 다른 구체예의 OLED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또 다른 구체예의 OLED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 일 구체예의 OLED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1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실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보는 시각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구체예의 OLED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편광판(100)은 편광자(10), 편광자(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위상차지연층(11), 제1 위상차지연층(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위상차지연층(12), 및 제2 위상차지연층(12)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음각 패턴(14)이 하부면에 형성된 패턴층(13)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층(13)은 제2위상차지연층의 하부면 및 표시장치패널(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음)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표시장치패널의 발광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패턴층으로 입사되고 소정의 패턴을 통과하도록 하여 측면 칼라 시프트 현상을 최소화하고 WAD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패턴층은 굴절률(n1) 예를 들면 1.46 내지 1.80을 갖고, 상기 범위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가 적고, 광투과율, 광확산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패턴층은 투명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투명 고분자 수지는 (메타)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시클릭올레핀폴리머, 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등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음각 패턴(14)은 제2 위상차지연층의 하부면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단면을 갖는데, 다각형단면의 프리즘패턴, 다각형단면의 물결패턴, 다각형단면의 도트패턴, 반원형단면의 프리즘패턴, 반원형단면의 물결패턴, 반원형단면의 도트패턴, 반원형단면의 렌티큘러렌즈 패턴, 반타원형단면의 프리즘패턴, 반타원형단면의 물결패턴, 반타원형단면의 도트패턴, 반타원형단면의 렌티큘러렌즈 패턴, 반오벌(oval)형단면의 프리즘패턴, 반오벌형단면의 물결패턴, 반오벌형단면의 도트패턴, 반오벌형단면의 렌티큘러렌즈 패턴, 마이크로 오목렌즈 패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각 패턴은 오목렌즈형 곡면을 갖는, 반원형단면의 프리즘패턴, 반타원형단면의 프리즘패턴, 반오벌형단면의 프리즘패턴, 반원형단면의 렌티큘러렌즈 패턴, 마이크로 오목렌즈 패턴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마이크로렌즈 오목렌즈 패턴이 될 수 있다. 표시장치패널로부터의 입사광 중 색 순도가 높은 빛은 광출사면에 수직된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는데, 상기 색 순도가 높은 빛을 보다 넓게 확산시키기 위해 마이크로 오목렌즈 패턴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각형"은 전체 변의 개수(n)가 3 이상(예:3 내지 10)인 다각형을 의미하고, 상기 "프리즘"은 패턴 폭의 중심선에 대해 패턴이 대칭인 패턴을 의미한다.
도 4a와 4b는 복수 개의 렌티큘러 렌즈형 음각 패턴(14)이 형성된 패턴층(13)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음각 패턴(14) 간에 이격 거리(S)가 있는 경우이고, 도 4b는 음각 패턴(14) 간에 이격 거리가 없는 경우이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패턴의 높이(H)에 대한 패턴층의 두께(T1)의 비(T1/H)는 1.2 내지 50이 될 수 있고, 패턴의 종횡비인 패턴의 폭(A)에 대한 패턴의 높이(H)의 비(H/A)는 1 내지 3, 예를 들면 1.5 내지 2.5가 될 수 있고,패턴의 폭(A)은 1 내지 1000㎛, 패턴의 높이(H)는 1 내지 2000㎛, 패턴의 최고 정점과 바로 이웃하는 패턴의 최고 정점까지의 길이인 패턴의 피치(P)는 1 내지 50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 개선 효과가 최대화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음각 패턴이 소정의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패턴의 폭에 비해 패턴 간의 이격 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표시장치패널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편광판으로 많이 투과시킬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패턴의 폭(A) 대비 패턴 간의 이격 거리(S)의 비(S/A)는 3.0 이하, 예를 들면 1.0 내지 2.0이 될 수 있고, 패턴 간의 이격 거리(S)는 0 초과 내지 4000㎛, 예를 들면 0.1 내지 4000㎛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 개선 효과가 최대가 될 수 있다. 상기 "패턴 간의 이격 거리"는 패턴층의 하부면에 있어서, 패턴과 이웃하는 패턴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패턴층의 두께(T1)은 패턴의 높이(H)보다는 크고, 5 내지 5000㎛, 예를 들면 5 내지 8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WAD 개선 효과가 있고, 표시장치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색 개선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패턴의 종횡비를 높이는 것이 유리하지만, 패턴 형성을 위한 바이트 가공과 이러한 바이트 가공을 이용한 롤 가공이 용이하지 않은 공정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대량 생산을 고려할 경우 수율이 급격히 저하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패턴층의 음각 패턴 내 공간인 충진부를 패턴층 대비 낮은 굴절률을 갖는 충진제로 채움으로써 패턴의 종횡비가 낮더라도 우수한 색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다른 구체예의 OLED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편광판(150)은 편광자(10), 편광자(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위상차지연층(11), 제1 위상차지연층(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위상차지연층(12), 제2 위상차지연층(12)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음각 패턴(14)이 하부면에 형성된 패턴층(13), 및 음각 패턴(14) 내의 임의의 공간이 소정의 충진제로 충진된 충진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충진부(15)는 패턴층 대비 저굴절률의 충진제로 충진되고, 예를 들면 굴절률 1 내지 1.45인 충진제로 충진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가 적고, 광투과율, 광확산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진부는 공기(굴절률:1), 패턴층보다 낮은 굴절률(n2)(예를 들면 1.20 내지 1.45,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1.45)을 갖는 충진 수지, 점착제(굴절률:1.35 내지 1.45) 중 하나 이상으로 충진될 수 있다.
충진 수지는 패턴층 대비 저굴절률의 비-점착성 투명 수지로서, (메타)아크릴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시클릭올레핀폴리머, 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점착제는 굴절률 1.35 내지 1.45를 갖는 점착성 투명 수지로서,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점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충진부는 공기(굴절률:1)로 충진되어 있어, 저굴절률 투명 수지 충진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패턴층과의 굴절률 차이를 높여 색 개선 효과에 기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별도의 충진 공정이 필요치 않으므로 공정 효율성 또한 증대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충진부는 굴절률(n2)을 갖는 충진 수지로 충진되어 있어, 패턴층의 형상에 관계없이 광확산제를 적용하게 되어 좌우 방향 색 개선과 함께 상하 방향의 색개선 효과도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충진부는 충진부의 두께 방향 기준으로 굴절률(n2)을 갖는 충진 수지를 함유하는 충진 수지층과 공기층의 다중층으로 충진될 수 있고, 이때 패턴층의 하부면에는 편광판을 표시장치패널에 붙이기 위한 점착제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충진부는 충진부의 두께 방향 기준으로 굴절률(n2)을 갖는 충진 수지를 함유하는 충진 수지층과 점착제층의 다중층으로 충진될 수 있고, 이때 패턴층의 하부면에는 편광판을 표시장치패널에 붙이기 위한 점착제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 구체예의 패턴층과 충진부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패턴층(13a)은 하부면에 반원형단면의 프리즘 패턴(14a)이 형성되어 있고, 패턴 내부는 충진부(15a)가 될 수 있고, 도 6을 참조하면 패턴층(13b)은 하부면에 반오벌형단면의 프리즘 패턴(14b)이 형성되어 있고, 패턴 내부는 충진부(15b)가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패턴층(13c)은 하부면에 삼각형단면의 프리즘 패턴(14c)이 형성되어 있고, 패턴 내부는 충진부(15c)가 될 수 있고, 도 8을 참조하면, 패턴층(13d)은 하부면에 제1변(24a), 제2변(24b), 제3변(24c)을 포함하고, 제1변과 제2변은 마주보고 제3변은 제1변과 제2변을 연결하고, 제3변의 평균곡률은 제1변의 평균곡률 및 제2변의 평균 곡률보다 작고, 충진부의 높이(H)/폭(A)의 비가 2 이하인 프리즘 패턴(14d)이 형성되어 있고, 패턴 내부는 충진부(15d)가 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패턴은 곡면을 가져, 시야각에 대한 최대 색변화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충진부에는 광확산제가 더 충진할 수 있다. 음각 패턴이 렌티큘러 오목렌즈 패턴인 경우 패널의 좌우 방향의 색 개선은 그 자체로도 가능하지만, 상하 방향의 색개선은 수직으로 배열된 렌티큘러 렌즈 형상으로 인하여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을 수 없을 수 있다. 충진부를 광확산제로 더 충진할 경우, 좌우 방향 색 개선과 함께 상하 방향의 색 개선도 가능하다.
광확산제는 유기계 광확산제 또는 무기계 광확산제를 사용할 수 있고, 확산성과 투과성을 위해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계 광확산제는 (메타)아크릴계 입자, 실록산계 입자, 멜라민계 입자, 폴리카보네이트계 입자, 스티렌계 입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계 광확산제는 평균입경(D50)이 2 내지 20㎛인 구상의 가교 미립자일 수 있다. 무기계 광확산제는 구상의 유기계 광확산제를 첨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백색도 저하를 방지하고 광확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무기계 광확산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공정성이 저하되므로, 적절한 양이 첨가되어야 한다. 일 예로서, 무기계 광확산제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유리, 활석, 운모, 화이트카본,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등이 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기계 광확산제는 평균입경(D50)이 2 내지 20㎛인 구상의 미립자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유기계 광확산제는 흑색 염료로 코팅된 폴리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흑색 염료로 코팅된 폴리머 입자의 단독 사용은 광투과율을 저하시켜 휘도 감소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미 코팅된 입자로서 실리콘 입자, 아크릴계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흑색 염료로 코팅된 폴리머 입자와 미코팅된 폴리머 입자를 적정량으로 혼합 사용하여, 휘도, 시야각에 따른 색차이 변화, 명암비, 반사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흑색 염료로 코팅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입자: 미코팅된 폴리머 입자로서 실리콘 입자, 아크릴계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1:0.25 내지 1:4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광확산제는 충진부 중 0.1 내지 10중량%로 충진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좌우 방향 색 개선과 함께 상하 방향의 색 개선 효과, 측면 시감 개선 효과, WAD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패턴층과 충진부는 OLED 표시장치용패널의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패턴층과 충진부는 점착제 예를 들면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에 의해 OLED 표시장치용패널에 적층될 수 있다.
충진제로 충진된 충진부가 형성된 패턴층은 소정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층에 패턴층 형성용 수지를 코팅하고 음각으로 패턴화한 후, 음각 패턴 내부를 충진 수지 또는 점착제로 충진시키고,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편광자는 입사광의 편광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키는 선형 편광자(linear polarizer)로서, 예를 들면 요오드가 도핑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일 수 있다. 편광자는 두께가 5 내지 6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표시장치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제1위상차지연층은 파장 550nm의 입사광에 대해 면내 위상차(Re)가 240 내지 300nm, 예를 들면 250 내지 300nm, 예를 들면 260 내지 280nm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위상차지연층은 반파장판 λ/2 층이 될 수 있다. 제2위상차지연층은 파장 550nm의 입사광에 대해 면내 위상차(Re)가 110 내지 160nm, 예를 들면 130 내지 140nm일 수 있다. 따라서, 제2위상차지연층은 사분파장판 λ/4 층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면내 위상차(Re)"는 하기 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식 1>
Re = (nx - ny) x d
(상기에서, nx, ny는 각각 위상차지연층의 x축 방향, y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위상차지연층의 두께(단위:nm)이다).
기준 파장의 입사광에 대한 제1위상차지연층의 두께 방향 위상차와 제2위상차지연층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서로 반대 부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파장의 입사광에 대한 제1위상차지연층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양수이고, 제2위상차지연층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음수일 수 있다.
제1위상차지연층은 파장 550nm의 입사광에 대해 두께방향 위상차(Rth)의 절대값은 300nm 이하이고, 제2위상차지연층은 파장 550nm의 입사광에 대해 Rth의 절대값이 160n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제1위상차지연층의 Rth는 0 내지 300nm, 예를 들면 130 내지 250nm, 예를 들면 200 내지 230nm일 수 있고, 제2위상차지연층의 Rth는 -160 내지 0nm, 예를 들면 -130 내지 -50nm, 예를 들면 -120 내지 -90n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두께방향 위상차(Rth)"는 하기 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식 2>
Rth = [(nx + ny)/2 - nz] x d
(상기에서, nx, ny, nz는 각각 위상차지연층의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위상차지연층의 두께(단위:nm)이다).
위상차지연층에서 x축 방향은 길이 방향, y축 방향은 폭 방향, z축 방향은 두께 방향을 의미한다.
제1위상차지연층은 단파장 분산성이 1.00 내지 1.05이고, 제2위상차지연층은 단파장 분산성이 1.00 내지 1.20일 수 있다. 상기 "단파장 분산성"은 파장 450nm의 입사광에 대한 지연값을 파장 550nm의 입사광에 대한 지연값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제1위상차지연층은 장파장 분산성이 0.95 내지 1.00이고, 제2위상차지연층은 장파장 분산성이 0.85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장파장 분산성"은 파장 650nm의 입사광에 대한 지연값을 파장 550nm의 입사광에 대한 지연값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제1위상차지연층과 제2위상차지연층은 각각 투명 고분자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투명 고분자 수지는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스계 폴리머, 아크릴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위상차지연층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이고, 제2위상차지연층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등을 포함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계 폴리머일 수 있다.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셀룰로스 계열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위상차지연층은 기준 파장의 입사광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가 음수일 수 있다.
구체예에 따르면, 제1위상차지연층은 양의 복굴절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는 무연신 필름을 제조하여 롤에 감은 후, 롤에 감긴 무연신 필름을 풀어 진행시키면서 필름의 진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경사 연신하고 이를 다시 롤에 감아 기울어진 광축을 갖는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경사 연신은 제1위상차지연층의 광축이 필름의 진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7° 내지 27° 또는 -27° 내지 -17°범위의 각도가 되도록 연신 각도를 조절하고, 원하는 지연값을 얻을 수 있도록 연신비 등을 조절하여 수행할 수 있다.
구체예에 따르면, 제2위상차지연층은 연신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최대 굴절률을 갖는 광축을 형성하는 음의 복굴절성을 지니는 소재를 포함하는 무연신 필름을 제조하여 롤에 감은 후 롤에 감긴 무연신 필름을 풀어 진행시키면서 필름의 진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신하고 이를 다시 롤에 감으면 필름의 진행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축을 가지는 제2위상차지연층이 감긴 롤을 제조할 수 있다. 제2위상차지연층의 광축이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해 85° 내지 95°가 되도록 연신 방향을 조절하고, 원하는 지연값을 얻을 수 있도록 연신비 등을 조절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제1위상차지연층과 제2위상차지연층은 두께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제1위상차지연층은 두께가 5 내지 100㎛, 제2위상차지연층은 두께가 5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표시장치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편광판 중 편광자, 제1위상차지연층, 및 제2위상차지연층의 광학 축간의 관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위상차지연층(11)의 지상축(slow axis)(125)과 편광자의 투과축(115)이 이루는 각도는 17° 내지 27° 또는 -27° 내지 -17°, 제2위상차지연층(12)의 지상축(slow axis)(135)과 편광자(10)의 투과축(115)이 이루는 각도는 85° 내지 95°가 될 수 있다. 제1위상차지연층(11)의 지상축(125)과 제2위상차지연층(12)의 지상축(135)이 이루는 각도는 63° 내지 73°또는 -73° 내지 -63°일 수 있다. 편광자의 투과축은 흡수축(도 3에서 도시되지 않음)과 실질적으로 수직이므로, 제1위상차지연층(11)의 지상축(125)과 편광자(10)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63° 내지 73°또는 -73° 내지 -63°일 수 있고, 제2위상차지연층(12)의 지상축(135)과 편광자(10)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5° 내지 5°일 수 있다.
반파장판과 사분파장판을 접합하는 경우, 소정의 기준 각도에 대하여 반파장판의 광축(slow axis)이 이루는 각도를 θo, 기준 각도에 대하여 사분파장판의 광축(slow axis)이 이루는 각도를 θ1이라고 할 때, θ1 = 2 x θo + 45°를 만족할 때 반파장판과 사분파장판의 적층체는 선편광을 원편광으로 바꾸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위상차지연층과 제2위상차지연층의 적층체는 위와 같은 소정의 각도로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원편광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위상차지연층과 제2위상차지연층의 적층체는 측면 컬러 시프트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제1위상차지연층과 제2위상차지연층 중 적어도 하나는 연신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편광자, 제1위상차지연층, 및 제2위상차지연층의 적층체는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편광자와 제1위상차지연층 사이, 제1위상차지연층과 제2위상차지연층 사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각 층을 결합할 수 있다. 점착층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편광판은 통상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자, 제1위상차지연층, 제2위상차지연층을 점착층으로 각각 적층시키고, 제2위상차지연층의 하부면에 패턴층을 적층체를 점착층으로 적층시켜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패턴층의 하부면에는 점착제층, 패턴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1광학층, 상기 제1광학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2광학층, 광확산층 중 하나 이상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점착제층은 굴절률 1.30 내지 1.50, 예를 들면 1.35 내지 1.45를 갖는 점착 수지로서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점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광학층의 굴절률을 n3이라고 할 때, n1>n3>0이 되어, 패턴층과 충진부만으로 된 경우 대비 WAD 개선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n3은 1.20 내지 1.45가 되어, 패턴층과 충진부만으로 된 경우 대비 WAD 개선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제1광학층은 투명 고분자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메타)아크릴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시클릭올레핀폴리머, 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등이 될 수 있다.
제2광학층의 굴절률을 n4라고 할 때, n1>n4>0이 되어, 패턴층과 충진부만으로 된 경우 대비 WAD 개선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n4는 1.1 내지 1.19가 될 수 있다. 제2광학층은 투명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메타)아크릴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시클릭올레핀폴리머, 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등이 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충진부와 광학층을 동일 수지로 함으로써 편광판 제조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광확산층은 광확산제 및 굴절률이 1.35 내지 1.45인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광확산제는 유기계 광확산제, 무기계 광확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확산성과 투과성을 위해서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유기계 광확산제는 아크릴계 가교 입자, 실록산계 가교입자, 스티렌계 가교입자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구형의 입자로서 평균입경(D50)은 1 내지 20㎛가 될 수 있다. 무기계 광확산제는 유기계 광확산제 첨가시 발생되는 광확산층의 백색도 저하를 방지하고 광확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탄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유리, 활석, 운모, 화이트카본,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등이 될 수 있다. 무기계 광확산제는 구형의 입자로서 평균입경(D50)은 1 내지 20㎛가 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다른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편광판(200)은 편광자(10), 편광자(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위상차지연층(11), 제1 위상차지연층(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위상차지연층(12), 제2 위상차지연층(12)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음각 패턴(14)과 충진부(15)가 하부면에 형성된 패턴층(13); 상기 패턴층(13)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16)을 포함하고, 충진부(15)는 굴절률(n2)을 갖는 충진 수지층(15a)과 점착제층(15b)으로 충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편광판(250)은 편광자(10), 편광자(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위상차지연층(11), 제1 위상차지연층(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위상차지연층(12), 제2 위상차지연층(12)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음각 패턴(14)형 충진부(15)가 하부면에 형성된 패턴층(13); 상기 패턴층(13)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16)을 포함하고, 충진부(15)는 굴절률(n2)을 갖는 충진 수지층(15a)과 공기층(15c)으로 충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편광판(300)은 편광자(10), 편광자(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위상차지연층(11), 제1 위상차지연층(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위상차지연층(12), 제2 위상차지연층(12)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음각 패턴(14)형 충진부(15)가 하부면에 형성된 패턴층(13); 상기 패턴층(13)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광학층(17)을 포함하고, 충진부(15)는 굴절률(n2)을 갖는 충진 수지층(15a)으로 충진될 수 있다.
패턴층, 충진부 및 광학층의 적층체는 소정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층에 패턴층 형성용 수지를 코팅하고 음각으로 패턴화한 후, 패턴 내부인 충진부를 충진제로 충진하고, 패턴층의 하부면에 광학층 형성용 수지를 코팅하고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2위상차지연층과 패턴층 사이에는 기재층이 더 적층될 수 있다. 기재층은 제2위상차지연층과 패턴층을 서로 결합시켜 편광판의 지지체로 작용할 수 있다. 기재층은 무위상차 투명 필름 또는 유리 기판으로서,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zero-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아크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클릭올레핀폴리머, 폴리염화비닐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재층은 두께가 3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표시장치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 또 다른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편광판(350)은 편광자(10), 편광자(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위상차지연층(11), 제1 위상차지연층(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위상차지연층(12), 제2 위상차지연층(12)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음각 패턴(14)형 충진부(15)가 하부면에 형성된 패턴층(13), 패턴층(13)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16)을 포함하고, 제2위상차지연층(12)과 패턴층(13) 사이에 기재층(18)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과 제2위상차지연층 사이에는 점착층(예:PS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편광자의 상부면에는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이 더 적층될 수 있다. 보호필름은 편광자를 보호하고, 광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예에서, 보호필름은 투명 고분자 수지로서,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아크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클릭올레핀폴리머, 폴리염화비닐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표시장치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보호필름의 상부면에는 기능성 코팅층이 더 적층되어, 편광판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은 저반사 방지층, 하드코팅층, 내지문성층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 또 다른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편광판(400)은 편광자(10), 편광자(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보호필름(19), 편광자(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위상차지연층(11), 제1 위상차지연층(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위상차지연층(12), 제2 위상차지연층(12)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음각 패턴(14)과 충진부(15)가 하부면에 형성된 패턴층(13), 패턴층(13)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16), 제2 위상차지연층(12)과 패턴층(13) 사이에 형성된 기재층(18)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과 패턴층 사이에는 광확산층이 더 포함되어, 빛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광확산층은 광확산제 및 굴절률이 1.35 내지 1.45인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광확산제는 유기계 광확산제, 무기계 광확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확산성과 투과성을 위해서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유기계 광확산제는 아크릴계 가교 입자, 실록산계 가교입자, 스티렌계 가교입자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구형의 입자로서 입경은 1 내지 20㎛가 될 수 있다. 무기계 광확산제는 유기계 광확산제 첨가시 발생되는 광확산층용 조성물의 백색도 저하를 방지하고 광확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탄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유리, 활석, 운모, 화이트카본,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등이 될 수 있다. 광확산층의 두께는 5 내지 5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 일 구체예의 광학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광학표시장치(1000)는 표시장치용 패널(500), 표시장치용 패널(500)의 상부면 및 시청자와 표시장치패널(500) 사이에 형성되고, 편광자(10), 편광자(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위상차지연층(11), 제1 위상차지연층(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위상차지연층(12), 제2 위상차지연층(12)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음각 패턴(14)과 충진부(15)가 하부면에 형성된 패턴층(13)을 포함하는 편광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OLED) 표시장치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편광판은 점착제에 의해 표시장치용 패널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1
도 15는 실시예 1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실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보호필름(422), 편광자(424), 제1위상차지연층(426), 제2위상차지연층(428), 패턴층(430)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접착층(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반사판(410) 위에 부착한 다음, 반사율과 색상 천이를 측정하였다.
(1)제1위상차지연층의 제조
일본 제온사가 생산한 COP 필름(제품명:Zeonor)을 진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 즉 폭 방향에 대해 22.5°를 이루는 방향으로 경사 연신하여 λ/2 위상차를 갖는 제1위상차지연층을 제조하였다. 경사 연신을 할 때에는 필름의 한쪽 가장자리는 그대로 폭 방향으로 당기면서 다른 쪽 가장 자리는 폭 방향에 대해 22.5°방향으로 당겼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에 대해 연신 온도는 105 내지 125℃, 연신비는 1.3 내지 3배로 하여 표 1과 같은 Re와 Rth를 얻었다. 제1위상차지연층의 한쪽 면에 실리콘 입자를 코팅하는 프라이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후속 공정에서의 접착력을 높였다. 제조한 제1위상차지연층(426)의 두께는 45㎛이었다.
(2)제2위상차지연층
일본 OKURA사의 파장 550nm에서 Re가 하기 표 1, Rth가 하기 표 1의 값을 갖는 λ/4 위상차 아크릴계 필름(두께:45 내지 55㎛)을 사용하였다.
(3)편광자의 제조
27℃의 온도에서 일본 KURARAY사에서 생산한 PVA 필름(제품명:PS60)에 요오드를 염착하 다음 57℃의 온도에서 요오드 염착 PVA 필름을 진행 방향으로 6배가량 연신하여 22㎛ 두께의 편광자(424)를 제조하였다.
(4)패턴층의 제조
자외선 경화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애경화학사, RS1400)로 제조된 수지층의 일면에 음각으로 광학패턴을 형성하여 패턴층(430)을 제조하였다. 수지층의 굴절률은 1.52이고, 패턴층의 두께는 50㎛이며, 음각 패턴은 복수 개의 렌티큘러 오목렌즈 패턴이고, 렌티큘러 오목렌즈의 폭은 10㎛, 높이는 20㎛, 종횡비는 2.0이다. 오목렌즈 내 공간은 공기로 충진된다.
(5)합지
제조한 편광자(424)의 양면에 99중량%의 물을 용매로 하는 PVA 용액으로 이루어진 수계 접착제를 200nm의 두께로 도포하고, 제조한 제1위상차지연층(426)과 보호필름(422)을 합지하였고, 보호필름은 일본 DNP사에서 생산한 60㎛ 두께의 저반사 필름(low reflectance film, 제품명:DSG03SC-60)을 사용하였고, 저반사필름은 TAC 기재, TAC 기재 위에 도포된 중공 실리카(silica) 입자를 포함한다. 제1위상차지연층은 프라이머 처리된 면이 편광자를 향하도록 하였다. 제1위상차지연층에서 프라이머 처리되지 않은 면에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코로나 처리를 하고, 15㎛ 두께의 에폭시 수지 접착제를 도포하여 1차 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1차 합지 필름과 제2위상차지연층(428)을 롤투롤 공정으로 1차 합지 필름에 도포된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지하였다.
그런 다음, 제2위상차지연층의 하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조한 패턴층의 복수 개의 렌티큘러 오목렌즈가 최 외부로 노출되도록 패턴층(430)을 접착시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오목렌즈 내 공간을 굴절률 1.35의 저굴절률 투명 충진 수지로 일부만 충진하고 나머지는 공기로 충진하여 패턴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패턴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오목렌즈 내 공간을 굴절률 1.35의 저굴절률 투명 충진 수지로 일부만 충진하고 나머지는 공기로 충진하되 복수 개의 층으로 충진하여 패턴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패턴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오목렌즈 내 공간을 굴절률 1.35의 저굴절률 투명 충진 수지로 완전히 충진하여 패턴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패턴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오목렌즈 내 공간을 굴절률 1.44의 저굴절률 점착제로 충진하여 패턴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패턴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오목렌즈 내 공간을 광확산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투명 아크릴계 수지(신아T&C사, SSC-3802, 굴절률:1.39)로 충진하여 패턴층을 제조하였다. 광확산제(제일모직사, SL-200, 평균입경(D50): 2㎛)는 아크릴 수지 중 3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제조한 패턴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서, 광확산제의 함량이 5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저반사필름, 편광자, 제1위상차지연층, 제2위상차지연층, 패턴층을 합지하고, 패턴층의 하부면에 광확산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투명 아크릴계 수지(신아T&C사, SSC-3802, 굴절률:1.39)로 된 광확산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광확산제(제일모직사, SL-200, 평균입경(D50): 2㎛)는 아크릴 수지 중 3중량%로 포함된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제1위상차지연층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패턴층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4에서 패턴층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1층 제2층 접합각도(°) 패턴층 포함 여부
Re(nm) Rth(nm) Re(nm) Rth(nm) 제1층 제2층
실시예 1 260 218 130 -100 22.5 90 포함
실시예 2 265 209 130 -100 22.5 90 포함
실시예 3 270 212 130 -100 22.5 90 포함
실시예 4 275 218 130 -100 22.5 90 포함
실시예 5 280 226 130 -100 22.5 90 포함
실시예 6 260 218 135 -110 22.5 90 포함
실시예 7 260 218 140 -113 22.5 90 포함
실시예 8 260 218 130 -100 22.5 90 포함
비교예 1 - - 130 -100 - 90 포함
비교예 2 260 218 130 -100 22.5 90 미포함
비교예 3 245 218 130 -100 22.5 90 미포함
표 1에서 제1층과 제2층은 각각 제1위상차지연층, 제2위상차지연층을 나타내고, 접합각도는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한 각도를 의미한다.
EZ Contrast(EDLIM사 생산)을 사용하여 반사 휘도를 측정하기 위해 거울로 만들어진 반사판과 흑색판을 준비하고, D65 표준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흑색판과 반사판에 반사시켜 반사 휘도를 측정하였다.
접착제를 사용하여 편광판을 반사판(410)에 부착하고, 편광판의 반사휘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극각을 고정시켜 놓고, 빛의 입사 방위각을 0°에서 360°까지 1도 단위로 변화시키면서 반사 휘도를 측정하고 이를 평균하였다.
편광판의 반사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반사율 = [(편광판의 평균 반사 휘도)-(흑색판의 평균 반사 휘도)]/[(반사판의 평균 반사 휘도)-(흑색판의 평균 반사 휘도)] x 100
극각을 변화시키면서 다양한 극각에 대한 반사율을 구하였다.
색상 천이의 경우에는 측정한 편광판의 색상값을 Lab 색좌표로 변환한 후에 원점[(a*, b*)=(0,0)]으로부터의 거리[(a*2 + b*2)1/2]로 계산하였다.
극각 10° 극각 45° 극각 60°
반사율(%) 색상천이 반사율(%) 색상천이 반사율(%) 색상천이
실시예 1 1.7 3.0 4.5 9.0 9.3 11.4
실시예 2 1.8 2.89 4.4 8.9 9.2 11.2
실시예 3 1.8 2.7 4.4 8.88 9.0 11.5
실시예 4 1.8 2.9 4.3 9.1 9.1 11.8
실시예 5 2.0 3.6 5.0 9.4 9.7 12.1
실시예 6 1.7 2.9 4.3 8.8 9.0 11.1
실시예 7 1.7 2.8 4.1 8.8 8.9 11.0
실시예 8 1.7 3.2 4.6 8.8 9.5 10.9
비교예 1 2.0 5.6 4.7 18.5 10.3 16.1
비교예 2 1.8 8.48 5.34 11.11 11.88 14.64
비교예 3 1.95 5.62 6.47 15.59 14.16 20.93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측면에서의 반사율이 낮고, 색상 천이를 보면 측면에서 12.5 이하로 거의 검은 색에 가까운 수치를 보여주었다.
반면에, 제1위상차지연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측면 반사율은 낮지만, 측면 색상 천이가 높았다. 또한, 패턴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3 역시 측면 반사율이 낮지만, 측면 색상 천이가 높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25)

  1.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위상차지연층;
    상기 제1 위상차지연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위상차지연층; 및
    상기 제2 위상차지연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음각 패턴이 하부면에 형성된 패턴층을 포함하는 OLED용 편광판이고,
    상기 제1위상차지연층은 단파장 분산성이 1.00 내지 1.05이고 장파장 분산성이 0.95 내지 1.00이고,
    상기 제2위상차지연층은 단파장 분산성이 1.00 내지 1.20이고 장파장 분산성이 0.85 내지 1.00인 것인, OLED용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굴절률이 1.46 내지 1.80인 OLED용 편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패턴의 폭(A)에 대한 상기 패턴의 높이(H)의 비(H/A)인 종횡비가 1 내지 3인 OLED용 편광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패턴의 폭(A) 대비 상기 패턴 간의 이격 거리(S)의 비(S/A)는 3.0 이하인 OLED용 편광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메타)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시클릭올레핀폴리머, 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OLED용 편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 패턴 내 충진부는 상기 패턴층 대비 저굴절률의 충진제로 충진되는 OLED용 편광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공기로 충진되는 OLED용 편광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굴절률이 1.20 내지 1.45인 충진 수지로 충진된 OLED용 편광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충진부의 두께 방향으로 굴절률이 1.20 내지 1.45인 충진 수지층과 공기층으로 충진된 OLED용 편광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충진부의 두께 방향으로 굴절률이 1.20 내지 1.45인 충진 수지층과 점착제층으로 충진된 OLED용 편광판.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굴절률이 1.20 내지 1.45인 충진 수지와 광확산제로 충진된 OLED용 편광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의 하부면에
    점착제층,
    상기 패턴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1광학층,
    상기 제1광학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2광학층,
    광확산층 중 하나 이상이 더 형성된 OLED용 편광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차지연층과 상기 패턴층 사이에 기재층이 더 형성된 OLED용 편광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패턴층 사이에 광확산층이 더 형성된 OLED용 편광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상부면에 보호필름이 더 형성된 OLED용 편광판.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수지는 (메타)아크릴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시클릭올레핀폴리머, 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OLED용 편광판.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학층은 (메타)아크릴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시클릭올레핀폴리머, 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OLED용 편광판.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학층은 (메타)아크릴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시클릭올레핀폴리머, 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OLED용 편광판.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차지연층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250 내지 300nm이고, 상기 제2위상차지연층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110 내지 160nm인 OLED용 편광판.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차지연층은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0 내지 300nm이고, 상기 제2위상차지연층은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160 내지 0nm인 OLED용 편광판.
  21. 삭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차지연층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63° 내지 73° 또는 -73°내지 -63°이고, 상기 제2위상차지연층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5°내지 5°인 OLED용 편광판.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차지연층과 상기 제2위상차지연층은 각각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스계 폴리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OLED용 편광판.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무위상차 투명 필름인 OLED용 편광판.
  25. 제1항 내지 제20항,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OLED용 편광판을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KR1020130076077A 2013-06-28 2013-06-28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KR101659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077A KR101659121B1 (ko) 2013-06-28 2013-06-28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TW103120854A TWI572909B (zh) 2013-06-28 2014-06-17 用於oled的偏振板和包括該偏振板的oled顯示器
US14/310,094 US9140838B2 (en) 2013-06-28 2014-06-21 Polarizing plate for OLED and OLED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201410305105.8A CN104252016B (zh) 2013-06-28 2014-06-30 用于oled 的偏振板和包括该偏振板的oled 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077A KR101659121B1 (ko) 2013-06-28 2013-06-28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354A KR20150002354A (ko) 2015-01-07
KR101659121B1 true KR101659121B1 (ko) 2016-09-22

Family

ID=5211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077A KR101659121B1 (ko) 2013-06-28 2013-06-28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40838B2 (ko)
KR (1) KR101659121B1 (ko)
CN (1) CN104252016B (ko)
TW (1) TWI57290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420A1 (ko) * 2016-12-23 2018-06-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276136B1 (ko) 2020-08-04 2021-07-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549937U (zh) * 2012-05-10 2012-1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结构及oled显示装置
KR101731676B1 (ko) * 2014-07-23 2017-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0775539B2 (en) * 2015-02-27 2020-09-15 Samsung Sdi Co., Lt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CN104868061B (zh) * 2015-06-04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5182461B (zh) * 2015-09-22 2019-04-05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偏光板和显示面板结构以及显示装置
KR102458598B1 (ko) * 2015-12-30 2022-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586151B1 (ko) * 2016-01-28 2023-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7142184A1 (ko) * 2016-02-19 2017-08-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기능성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4023B1 (ko) * 2016-03-10 2023-1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산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6821492B2 (ja) * 2016-04-08 2021-01-27 日本化薬株式会社 光反射フィルム、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機能性ガラス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2018017996A (ja) * 2016-07-29 2018-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7059936B2 (ja) * 2016-10-31 2022-04-2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広帯域波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円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8199716A1 (ko)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변조 디바이스
KR102334411B1 (ko) 2017-07-25 2021-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26052B1 (ko) * 2017-12-04 2020-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JP7259257B2 (ja) * 2018-01-11 2023-04-18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9116623A (zh) * 2018-09-30 2019-01-01 惠科股份有限公司 偏光结构、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143448A (zh) * 2018-09-30 2019-01-04 惠科股份有限公司 偏光结构、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20187524A1 (en) * 2019-04-02 2022-06-16 Samsung Sdi Co., Ltd.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2566192B1 (ko) * 2019-04-02 2023-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462626B1 (ko) * 2019-04-08 2022-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576989B1 (ko) * 2019-07-30 2023-09-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530187B1 (ko) * 2019-08-26 2023-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0188B1 (ko) * 2019-08-26 2023-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22533588A (ja) * 2019-08-26 2022-07-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板積層体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USD952710S1 (en) 2019-08-27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874536B2 (en) 2019-08-30 2024-01-16 Samsung Sdi Co., Ltd.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135888A (ko) * 2020-05-06 2021-1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20134394A (ko) * 2021-03-26 2022-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5942A (ja) * 2011-01-13 2012-08-02 Samsung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用カラーシフト低減光学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具備する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9642B2 (ja) * 1994-09-01 1997-11-19 日本電気株式会社 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3431763B2 (ja) * 1996-06-18 2003-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082894B1 (ko) * 2004-11-09 201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모듈, 광학모듈의 제조 방법, 광학모듈을 갖는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
WO2008072494A1 (en) * 2006-12-08 2008-06-19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film, and glass
KR20110108697A (ko) * 2010-03-29 201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에 채용되는 편광 구조 장치
KR20120018439A (ko) * 2010-08-23 2012-03-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KR101200770B1 (ko) 2011-01-11 2012-11-13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21025B1 (ko) * 2011-05-16 2014-07-22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컬러 시프트 및 시인성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5942A (ja) * 2011-01-13 2012-08-02 Samsung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用カラーシフト低減光学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具備する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420A1 (ko) * 2016-12-23 2018-06-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80074359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112863B1 (ko) * 2016-12-23 2020-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276136B1 (ko) 2020-08-04 2021-07-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40838B2 (en) 2015-09-22
TW201504695A (zh) 2015-02-01
US20150002010A1 (en) 2015-01-01
CN104252016B (zh) 2017-01-18
CN104252016A (zh) 2014-12-31
KR20150002354A (ko) 2015-01-07
TWI572909B (zh)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121B1 (ko)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JP7394102B2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159386B2 (ja) 液晶表示装置用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US10175494B2 (en) Polarizing plate suitabl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1378844B2 (en) Viewer-side polarizing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166526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3235272A (ja) 多層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JP2016126350A (ja) 液晶表示装置用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JP6130606B2 (ja) 組込み吸収素子を有する多層反射性偏光子
KR20150143590A (ko)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KR101640718B1 (ko)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02628B1 (ko) 복합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08427155A (zh) 光学薄膜、包含光学薄膜的偏光板以及液晶显示器
KR101665239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2270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22699B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9003181A (ja) 偏光型視野角制御素子、偏光型視野角制御表示モジュール及び偏光型視野角制御光源モジュール
KR20140141352A (ko) 색 개선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544840B1 (ko) 확산 기능층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40715B1 (ko)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I750614B (zh) 偏光板及包括其的光學顯示裝置
TWI756802B (zh) 偏光板以及包括其之光學顯示裝置
KR10265945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30034516A (ko) 확산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휘도증강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