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359A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359A
KR20180074359A KR1020160178369A KR20160178369A KR20180074359A KR 20180074359 A KR20180074359 A KR 20180074359A KR 1020160178369 A KR1020160178369 A KR 1020160178369A KR 20160178369 A KR20160178369 A KR 20160178369A KR 20180074359 A KR20180074359 A KR 20180074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tardation
polarizing plate
protective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863B1 (ko
Inventor
오경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8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863B1/ko
Priority to PCT/KR2017/012770 priority patent/WO2018117420A1/ko
Publication of KR20180074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 상에 형성된 위상차층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차층은 연신된 위상차층이고, 상기 위상차층은 두께 방향 단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보호 코팅층이 형성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편광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통해, 투명 수지 필름,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스로 대표되는 초산셀로스계의 필름을 적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을, 필요에 따라 광학 보상 필름, 위상차 필름 등, 다른 광학 필름을 통해, 액정 셀에 점착제로 접합해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부품이 된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발광 표시 장치와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광형 표시 장치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적 보상 필름이 자주 사용된다.
편광판에 적층되는 위상차 필름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의 연신 가공품이나 사이클로 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연신 가공품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 위상차 필름으로 인해서, 화상표시 장치의 조립 과정에서, 열이나 용매로부터 크랙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공개특허 제2006-25165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표시장치에 적용시 열 및/또는 용제에 의한 위상차층 의 크랙 발생을 억제하거나 열이나 용제로부터 위상차층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층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표시장치에 적용시 열 및/또는 용제에 의한 위상차층의 크랙 발생을 억제하거나 편광필름 단면을 보호하여 외관의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 상에 형성된 위상차층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차층은 연신된 위상차층이고, 상기 위상차층은 두께 방향 단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보호 코팅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학표시장치에 적용시 열 및/또는 용제에 의한 위상차층 의 크랙 발생을 억제하거나 열이나 용제로부터 위상차층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층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광학표시장치에 적용시 열 및/또는 용제에 의한 위상차층의 크랙 발생을 억제하거나 편광필름 단면을 보호하여 외관의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비교예의 크랙 발생 평가시 편광판 단면 중 위상차필름의 크랙 발생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교예의 크랙 발생 평가시 편광판 표면 중 위상차필름의 크랙 발생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바로 위" 또는 "직접적으로 형성" 또는 "직접적으로 접하여 형성"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면방향 위상차(Re)"는 파장 550nm에서의 값이고, 하기 식 A로 표시된다:
<식 1>
Re = (nx - ny) x d
(상기 식 1에서, nx, ny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해당 보호층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해당 보호층의 두께(단위:nm)이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한다.
위상차층은 편광필름에 접착되어 편광판을 형성한다. 위상차층은 소정의 위상차를 제공하여 광학표시장치의 화질을 좋게 하거나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위상차층이 소정의 위상차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MD(machine direction) 또는 TD(transverse direction)로 1축 또는 2축 연신되어 제조되어야 한다.
그런데, 위상차층에 열 및/또는 용제 등이 접촉될 경우 위상차층 두께 방향 단면 또는 위상차층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크랙은 위상차층의 연신 방향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편광판을 광학표시장치의 패널에 부착한 후 이방 전도성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 압착되게 된다. 이방 전도성 필름의 압착은 고온 고압에서 진행되며, 이러한 압착은 가압착, 본압착으로 복수 회 진행될 수 있다. 이방 전도성 필름의 압착 과정에서도 위상차층은 열에 의해 상기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광학표시장치에 적용시 편광판을 수개로 적층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커팅되고, 커팅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 그라인딩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도 위상차층에 상기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 단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보호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 코팅층은 상술한 열, 용제에 의한 위상차층의 크랙 발생을 막을 수 있다. 특히, 크랙이 한번 발생할 경우 일반적으로 크랙은 크랙이 생긴 방향으로 계속해서 성장하게 된다. 보호 코팅층은 크랙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편광판(10)은 편광필름(100) 및 위상차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차층
위상차층(200)은 편광필름(100) 상에 형성되어, 광학표시장치에 적용시 시인성을 좋게 하고, 화질을 좋게 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위상차층(200)은 두께 방향 단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보호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코팅층은 보호 코팅층용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는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상차층(200)은 열 또는 용제에 의한 위상차층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학표시장치에 적용시 열 및/또는 용제에 의한 위상차층의 크랙 발생을 억제하거나 열이나 용제로부터 위상차층을 보호하고, 편광필름 단면을 보호하여 외관의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판은 150℃ 내지 300℃ 예를 들면 170℃ 내지 220℃에서 10초 내지 600초 예를 들면 10초 내지 30초 노출되거나,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알콜, 메탄올,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중 하나 이상에 노출되더라도 위상차층의 크랙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이하,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은 보호 코팅층용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코팅층용 수지는 니트로셀룰로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과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알코올, 아세톤,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2-부타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코팅층용 수지는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 중 0.5중량% 내지 85중량%, 예를 들면 50중량% 내지 8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보호 코팅층 형성이 용이하고, 막을 형성하여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용제는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 중 잔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은 25℃에서 점도가 200cps 내지 2000cps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보호 코팅층 형성이 용이할 수 있다.
보호 코팅층은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을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 단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포 방법은 스프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 코팅층은 두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위상차층의 크랙 발생을 억제하고, 보호 코팅층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위상차층(200)은 연신된 하나 이상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위상차 필름은 파장 550nm에서 Re가 100nm 내지 220nm, 더 구체적으로 100nm 내지 180nm, 예를 들면 λ/4 위상차필름(quarter wave plate, QWP)인 제1위상차필름이 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위상차 필름은 파장 550nm에서 Re가 225nm 내지 350nm, 더 구체적으로 225nm 내지 300nm, 예를 들면 λ/2 위상차필름(half wave plate, HWP)인 제2위상차필름이 될 수 있다.
위상차층(200)은 상기 제1위상차필름이나 제2위상차필름을 단독 또는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적용시 시인성을 좋게 하고 화질을 좋게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편광판은 편광필름과 제1위상차필름의 적층체일 수 있고, 이때 편광필름의 흡수축과 제1위상차필름의 광축(연신 방향)은 45° ± 5°가 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편광판은 편광필름 일면에 제1위상차필름과 제2위상차필름의 적층체가 형성될 수 있을때, 편광필름의 흡수축과 제1위상차필름의 광축(연신 방향)은 15° ± 10°(예:10° 내지 20°, 22.5° 내지 25°) 또는 75° ± 15°(예:70° 내지 80°, 85° 내지 90°), 편광필름의 흡수축과 제2위상차필름의 광축(연신 방향)은 15° ± 10°(예:10° 내지 20°, 22.5° 내지 25°) 또는 75° ± 15°(예:70° 내지 80°, 85° 내지 9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화질을 좋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필름 흡수축에 대하여, 제1위상차필름은 15°, 제2위상차필름은 75°로 적층되거나, 제1위상차필름은 75°, 제2위상차필름은 15°로 적층되거나, 제1위상차필름은 22.5°, 제2위상차필름은 90°로 적층되거나, 제1위상차필름은 90°, 제2위상차필름은 22.5°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상차필름이나 제2위상차필름은 편광판에 사용시 광학 보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 필름 또는 액정 필름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열 및/또는 용제에 의해 크랙 발생이 쉬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아크릴, 시클릭올레핀폴리머(COP), 폴리카보네이트(P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필름은 변성 후 제조된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변성은 공중합, 브랜칭, 가교 결합 또는 이종의 분자 포함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액정 필름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위상차 필름은 액정성 코팅층일 수 있다.
액정 필름과 액정성 코팅층은 액정성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정성 조성물은 액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액정으로는 네마틱 액정상, 스메틱 액정상, 콜레스테릭 액정상, 원통 액정상을 들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은 온도 변화에 따라 액정상이 발현되는 온도 전이형 액정, 또는 용액 상태에서 용질의 농도에 따라 액정상이 발현되는 농도 전이형 액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액정성 조성물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고,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은 액정성 조성물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40중량부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액정성 조성물은 키랄제를 추가로 함유하여, 요구되는 굴절률을 갖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액정성 조성물은 레벨링제, 중합개시제, 배향 보조제, 열안정제, 윤활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위상차층(200)은 두께가 두께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
편광필름
편광필름(100)은 입사광을 편광시키는 것으로, 위상차층(2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편광필름은(100)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편광필름은 편광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MD 1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하여 제조되는 폴리엔계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두께가 5㎛ 내지 4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편광필름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편광자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시클릭올레핀폴리머(COP),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노르보르넨,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필름은 무연신 필름이거나,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되어 위상차를 갖는 필름일 수 있다. 편광자 보호필름은 두께가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편광필름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양면에 형성된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위상차층(200)은 점착층, 접착층, 또는 점접착층에 의해 편광필름(100)에 점착될 수 있다. 점착층, 접착층, 또는 점접착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층은 (메트)아크릴계 점착수지, 경화제, 선택적으로 실란커플링제,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 단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보호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편광필름, 점착층의 기능 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편광필름, 점착층의 두께 방향 단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도 보호 코팅층이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편광필름과 위상차층의 적층체의 두께 방향 적어도 일면에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제조될 수 있다. 도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건조는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요제의 종류에 따라 온도,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조예 1:보호코팅층용 조성물 제조
보호 코팅층용 수지로 니트로셀룰로스를 사용하고, 용제로 2-부타논(sigmaI사)를 혼합하여,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호코팅층용 조성물 중 니트로셀룰로스는 85중량%로 포함되어 있다.
제조예 2: 보호코팅층용 조성물 제조
보호 코팅층용 수지로 니트로셀룰로스를 사용하고, 용제로 에틸알코올(대정화학)를 혼합하여,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호코팅층용 조성물 중 니트로셀룰로스는 85중량%로 포함되어 있다.
제조예 3: 보호코팅층용 조성물 제조
보호 코팅층용 수지로 니트로셀룰로스를 사용하고, 용제로 아세톤(TCI)를 혼합하여,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호코팅층용 조성물 중 니트로셀룰로스는 85중량%로 포함되어 있다.
제조예 4: 보호코팅층용 조성물 제조
보호 코팅층용 수지로 니트로셀룰로스를 사용하고,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Sigma사)를 혼합하여,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호코팅층용 조성물 중 니트로셀룰로스는 85중량%로 포함되어 있다.
제조예 5: 보호코팅층용 조성물 제조
보호 코팅층용 수지로 니트로셀룰로스를 사용하고, 용제로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Daejung社)을 혼합하여,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호코팅층용 조성물 중 니트로셀룰로스는 85중량%로 포함되어 있다.
제조예 6: 편광판 제조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60℃에서 3배 연신하고 요오드를 흡착시킨 후 40℃의 붕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하여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편광자의 일면 및 다른 일면에 편광판용 접착제(Z-200, Nippon Goshei사)를 도포하고, 트리아세틸세룰로스 필름(KC2UAW, Konica社)을 합지하고, 경화시켰다.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의 다른 일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고, 위상차층으로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COP 필름,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144nm, 두께:40㎛, 제품명:COP, ZEON사)을 점착시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편광자의 흡수축과 위상차층의 광축은 45°가 각도가 되도록 점착시켰다.
제조예 7: 편광판 제조
제조예 6에서 위상차층으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PC 필름,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146nm, 두께:53㎛, 제품명:RM, Teijin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8: 편광판 제조
제조예 6에서 위상차층으로 아크릴 필름(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138nm, 두께:45㎛, SDI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의해 편광판 중 위상차층 두께 방향 단면에 보호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6 내지 제조예 8 각각의 편광판을 복수개 적층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절단면에 하기 표 1에 따른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5의 보호코팅층용 조성물을 각각 스프레이로 도포한 후 건조시켜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편광판 중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 단면에 보호 코팅층(두께:1㎛)이 형성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실시예에서 보호코팅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편광판에 대해 크랙 발생을 평가하였다.
제조한 편광판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1mm 간격으로 부착시켰다. 170℃ 내지 220℃에서 10초 동안 열처리하였다. 10초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그런 다음, 하기 표 1의 용제를 편광판 단면에 면봉으로 발랐다. 10초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 각각 10개씩 시편으로 평가하였다. 10개 시편 중 크랙이 발생한 시편 개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2, 도 3에서 비교예에 따른 편광판의 크랙 발생을 나타내었다. 도 2는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TAC), 편광자(PVA),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TAC), 위상차필름의 적층체 중 위상차필름에 크랙이 발생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편광판(POL)을 위에서 보았을 때 크랙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 번호 편광판 중 위상차층 보호코팅층용 조성물 종류 크랙 발생 평가 용제 실시예
(개수)
비교예
(개수)
1 COP 필름 제조예 1 이소프로필 알코올 0 3
2 PC 필름 제조예 1 이소프로필 알코올 1 4
3 아크릴 필름 제조예 1 이소프로필 알코올 0 3
4 COP 필름 제조예 2 에틸알콜 0 5
5 PC 필름 제조예 2 에틸알콜 0 5
6 아크릴 필름 제조예 2 에틸알콜 0 4
7 COP 필름 제조예 3 톨루엔 1 8
8 PC 필름 제조예 3 톨루엔 1 5
9 아크릴 필름 제조예 3 톨루엔 1 6
10 COP 필름 제조예 4 테트라히드로푸란 1 4
11 PC 필름 제조예 4 테트라히드로푸란 2 4
12 아크릴 필름 제조예 4 테트라히드로푸란 1 4
13 COP 필름 제조예 5 메틸이소부틸케톤 1 5
14 PC 필름 제조예 5 메틸이소부틸케톤 2 6
15 아크릴 필름 제조예 5 메틸이소부틸케톤 2 5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열 및/또는 용제에 의한 위상차층 의 크랙 발생을 억제하거나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반면에, 보호코팅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의 편광판은 표 1, 도 2, 도 3에서와 같이 위상차층에 크랙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1)

  1.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 상에 형성된 위상차층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차층은 연신된 위상차층이고,
    상기 위상차층은 두께 방향 단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보호 코팅층이 형성된 것인,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층은 보호 코팅층용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는 보호 코팅층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인, 편광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층용 수지는 니트로셀룰로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과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편광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알코올, 아세톤,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2-부타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편광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층은 두께 1㎛ 내지 20㎛로 형성되는 것인, 편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연신된 하나 이상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파장 550nm에서 Re가 100nm 내지 220nm인 제1위상차필름, 파장 550nm에서 Re가 225nm 내지 350nm인 제2위상차필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아크릴, 시클릭올레핀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중 하나 이상의 수지로 형성된 것인, 편광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액정 필름인 것인, 편광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점착층에 의해 상기 편광필름에 점착되는 것인, 편광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160178369A 2016-12-23 2016-12-23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11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369A KR102112863B1 (ko) 2016-12-23 2016-12-23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CT/KR2017/012770 WO2018117420A1 (ko) 2016-12-23 2017-11-13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369A KR102112863B1 (ko) 2016-12-23 2016-12-23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359A true KR20180074359A (ko) 2018-07-03
KR102112863B1 KR102112863B1 (ko) 2020-05-19

Family

ID=6262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369A KR102112863B1 (ko) 2016-12-23 2016-12-23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2863B1 (ko)
WO (1) WO20181174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422A (ko) * 2020-05-28 2021-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900A (ja) * 1996-10-30 1998-05-19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光学積層体
JP2007171943A (ja) * 2005-11-28 2007-07-05 Nitto Denko Corp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8040309A (ja) * 2006-08-09 2008-02-21 Fujifilm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299096A (ja) * 2007-05-31 2008-12-11 Nippon Shokubai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090257011A1 (en) * 2008-04-14 2009-10-1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1102821A (ja) * 2009-11-10 2011-05-26 Nitto Denko Corp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10124717A (ko) * 2010-05-11 2011-11-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과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일체화된 복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235234A (ja) * 2012-04-13 2013-11-21 Fujifilm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659121B1 (ko) * 2013-06-28 2016-09-22 제일모직주식회사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KR20160127224A (ko) * 2015-04-23 2016-11-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60132453A (ko) * 2014-04-16 2016-11-18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428B1 (ko) * 2012-12-17 2016-06-08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900A (ja) * 1996-10-30 1998-05-19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光学積層体
JP2007171943A (ja) * 2005-11-28 2007-07-05 Nitto Denko Corp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8040309A (ja) * 2006-08-09 2008-02-21 Fujifilm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299096A (ja) * 2007-05-31 2008-12-11 Nippon Shokubai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090257011A1 (en) * 2008-04-14 2009-10-1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1102821A (ja) * 2009-11-10 2011-05-26 Nitto Denko Corp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10124717A (ko) * 2010-05-11 2011-11-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과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일체화된 복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235234A (ja) * 2012-04-13 2013-11-21 Fujifilm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659121B1 (ko) * 2013-06-28 2016-09-22 제일모직주식회사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KR20160132453A (ko) * 2014-04-16 2016-11-18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60127224A (ko) * 2015-04-23 2016-11-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422A (ko) * 2020-05-28 2021-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863B1 (ko) 2020-05-19
WO2018117420A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642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190053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337005B1 (ko) 편광판용 보호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9358768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768253B1 (ko)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3135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20107256A (ko) 편광판 및 이것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KR102060795B1 (ko) 반사 방지층 및 비침 방지층 부착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2018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9551897B2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10330839B2 (en)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17297A (ko) 액정표시장치
KR10211286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91999B1 (ko) 액정표시장치용 광원측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5740892B2 (ja) 位相差フィルム、偏光子付き位相差フィルム、積層型パターン位相差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298871A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90001302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35924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TWI559052B (zh) 用於液晶顯示器的模組和含有其的液晶顯示器
KR10208411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70323B1 (ko) 액정표시소자
KR101759558B1 (ko)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35512A (ko) 편광 소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30067700A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90077970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