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302A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302A
KR20190001302A KR1020170081094A KR20170081094A KR20190001302A KR 20190001302 A KR20190001302 A KR 20190001302A KR 1020170081094 A KR1020170081094 A KR 1020170081094A KR 20170081094 A KR20170081094 A KR 20170081094A KR 20190001302 A KR20190001302 A KR 20190001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tensile modulus
polarizing plate
polarizer
m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202B1 (ko
Inventor
김지희
김란
신승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2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자 및 접착층에 의해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접착된 제1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보호필름은 25℃에서 MD 인장 탄성율이 4000MPa 내지 6000MPa, TD 인장 탄성율이 4000MPa 내지 6000MPa이고, 상기 제1보호필름은 식 1을 갖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내굴곡성이 우수하고,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굴곡성 평가에서도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박리가 없으며, 무지개 얼룩 발생 억제 효과가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통상 편광자에 보호필름이 접착된 편광판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편광자의 보호필름으로서 통상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은 두께를 얇게 할 경우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없고, 투습성이 높아서 편광자가 열화되기 쉽다. 또한,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은 고가이어서 저가의 대체 소재가 요구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에 비해 저가이고 기계적 강도도 높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복굴절성이어서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이용할 경우 무지개 무라가 시인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무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1축 연신시킨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1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무지개 무라 시인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1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은 연신 방향으로 접었을 때 굴곡성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공개특허 제2014-04438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굴곡성이 우수하여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말았을 때 크랙, 깨짐 또는 갈라짐의 변형이 없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말았을 때에도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박리가 없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굴절에 의해 시야각에 따라 강해지는 무지개 얼룩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및 접착층에 의해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접착된 제1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보호필름은 25℃에서 MD(machine direction) 인장 탄성율이 4000MPa 내지 6000MPa, TD(transverse direction) 인장 탄성율이 4000MPa 내지 6000MPa이고, 상기 제1보호필름은 하기 식 1을 갖는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식 1>
0.7 ≤ (MD 인장탄성율/TD 인장탄성율) ≤ 1.3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굴곡성이 우수하여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말았을 때 크랙, 깨짐 또는 갈라짐의 변형이 없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말았을 때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박리가 없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복굴절에 의해 시야각에 따라 강해지는 무지개 얼룩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바로 위" 또는 "직접적으로 형성"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면내 위상차(Re)"는 하기 식 2로 표시되고,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하기 식 3으로 표시되고, "이축성 정도(NZ)"는 하기 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식 2>
Re = (nx - ny) x d
(상기 식 2에서, nx, ny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보호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보호필름의 두께(단위:nm)이다).
<식 3>
Rth = ((nx + ny)/2 - nz) x d
(상기 식 3에서, nx, ny, nz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보호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보호필름의 두께(단위:nm)이다).
<식 4>
NZ = (nx - nz)/(nx - ny)
(상기 식 4에서, nx, ny, nz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보호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보호필름의 "MD 인장탄성율"은 25℃에서 보호필름의 MD(machine direction)로 ASTM D882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보호필름의 "TD 인장탄성율"은 25℃에서 보호필름의 TD(transverse direction)로 ASTM D882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MD 인장탄성율과 TD 인장탄성율 및 하기 식 1의 MD 인장탄성율과 TD 인장탄성율 간의 비(TD 인장탄성율에 대한 MD 인장탄성율의 비)를 갖는 보호필름을 편광자에 접착시킴으로써, 내굴곡성이 우수하여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말았을 때 크랙, 깨짐 또는 갈라짐의 변형이 없고,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박리가 없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이축 연신비를 제어하여 상기 MD 인장탄성율 및 TD 인장탄성율과 함께 본 발명의 Re 350nm 이하를 만족하여 복굴절에 의해 시야각에 따라 강해지는 무지개 얼룩 발생을 억제하여 화상의 품질 유지(시야각 확보 등)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편광판(100)은 편광자(110), 접착층(120)에 의해 편광자(110)에 접착된 제1보호필름(130), 접착층(120)에 의해 편광자(110)에 접착된 제2보호필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접착층(120)에 의해 편광자(110)에 접착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편광자(110)의 광출사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보호필름(130)은 편광자(110)로부터 출사되는 편광에 영향을 미쳐 디스플레이 화질을 좋게 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25℃에서 MD(machine direction) 인장 탄성율이 4000MPa 내지 6000MPa, TD(transverse direction) 인장 탄성율이 4000MPa 내지 6000MPa이고, 제1보호필름(130)은 하기 식 1을 나타낼 수 있다:
<식 1>
0.7 ≤ (MD 인장탄성율/TD 인장탄성율) ≤ 1.3
상기 범위에서, 내굴곡성이 우수하여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말았을 때 크랙, 깨짐 또는 갈라짐의 변형이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에서, 제1보호필름이 MD, TD 2축 연신 필름일 경우 MD, TD 어느 쪽으로도 말았을 때 내굴곡성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다. 내굴곡성은 편광판을 제2보호필름이 내굴곡성 평가 봉(예:만드렐 봉)에 접촉하도록 하되 제1보호필름의 MD 또는 TD로 말았을 때, 제1보호필름에 크랙 또는 갈라짐이 없고 편광자로부터 제1보호필름의 박리가 없도록 하는 내굴곡성 평가 봉의 지름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접착층의 편광자 또는 제1보호필름에 대한 접착력이 높지 않더라도 내굴곡성 평가 시 제1보호필름의 박리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보호필름은 25℃에서 MD 인장 탄성율이 4200MPa 내지 6000MPa 또는 4000MPa 내지 5800MPa, TD 인장 탄성율이 4000MPa 내지 5800MPa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MD 인장탄성율/TD 인장탄성율은 0.7 내지 1.2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말았을 때 편광자로부터 제1보호필름의 박리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가 35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350n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MD 인장탄성율, TD 인장탄성율 및 식 1의 MD 인장탄성율/TD 인장탄성율의 비와 함께 상기 면내 위상차를 동시에 확보함으로써, 내굴곡성과 함께 복굴절에 의해 시야각에 따라 강해지는 무지개 얼룩 발생을 억제하여 화상의 품질유지(시야각 확보 등)가 가능하고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제1보호필름 제조시 용융 압출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을 연신시키되 이축 연신비, 연신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인장탄성율과 면내 위상차를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술한다.
제1보호필름(130)은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 NZ가 8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무지개 무라가 시인되지 않게 하거나 무지개 무라가 시인되는 최초의 측면 각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는 8 이상, 8 이상 150 이하, 10 이상 130 이하, 10 이상 120 이하, 10 이상 100 이하, 10 이상 80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무지개 무라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 Rth가 2500nm 이상 12000nm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무지개 무라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께 방향 위상차가 5000nm 이상 12000nm 이하, 5000nm 이상 10000nm 이하가 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파장 550nm에서 Rth에 대한 Re의 비 Re/Rth가 0.15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저위상차의 편광자 보호필름에 의해 무지개 무라가 시인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e/Rth는 0.001 이상 0.15 이하, 0.01 이상 0.10 이하, 0.01 이상 0.07 이하, 0.01 이상 0.06 이하가 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파장 550nm에서 nx, ny 모두가 1.65 미만 또는 nx, ny 모두가 1.65 이상이 아니어서,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사용시 입사각 및 파장에 따라 위상차값의 변화로 인한 복굴절에 의해 무지개 무라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nx는 1.65 이상 구체적으로 1.67 내지 1.75이고, ny는 1.45 내지 1.55가 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ny는 1.65 이상 구체적으로 1.67 내지 1.72, 더 구체적으로 1.69 내지 1.72이고, nx는 1.45 내지 1.55가 될 수 있다. 이때, nx와 ny의 차이의 절대값(│nx-ny│)은 0.1 내지 0.2, 구체적으로 0.12 내지 0.18이 되도록 함으로써, 시야각을 보다 개선할 수 있고, 무지개 무라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굴절률이 1.3 내지 1.7, 구체적으로 1.4 내지 1.6, 1.5 내지 1.7, 1.5 내지 1.6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자 보호필름의 기재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보호필름(130)의 적어도 일면에 프라이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프라이머층을 포함함으로써, 편광자와 제1보호필름의 박리가 없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제1보호필름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라이머층은 굴절률이 1.0 내지 1.6, 구체적으로 1.1 내지 1.6, 1.2 내지 1.6, 1.3 내지 1.6, 1.4 내지 1.6, 1.5 내지 1.6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 필름에 사용 가능하고, 제1보호필름 대비 적정 굴절률을 가져 보호필름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두께가 1nm 내지 200nm, 구체적으로 20nm 내지 15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필름에 사용 가능하고, 기재 필름 대비 적정 굴절률을 갖도록 하여 편광자 보호필름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고, brittle 현상이 없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라이머층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수지 또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모노머의 혼합 비율(예:몰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굴절률을 제공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용 조성물은 UV 흡수제, 대전방지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두께가 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30㎛ 내지 60㎛, 30㎛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2축 연신된 위상차 필름이 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30)은 2축 연신비를 조절함으로써 연신에 의해 상술한 면내 위상차, 인장탄성율을 나타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축 연신 필름으로서, 상술과 같이 낮은 면내 위상차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보호필름(130)은 MD, TD 동시 2축 연신, 또는 MD, TD 축차 2축 연신으로 연신된 필름일 수 있다. MD 연신비는 2.5배 이상 3.5배 이하, TD 연신비는 2.0배 이상 4.5배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면내 위상차와 인장탄성율을 확보할 수 있다. 연신 온도는 보호필름용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Tg라고 할 때, (Tg - 50)℃ 내지 (Tg + 150)℃, (Tg - 50)℃ 내지 (Tg + 5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연신은 습식 연신, 건식 연신 중 하나 이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보호필름(130)의 광출사면에는 기능층이 더 형성되어, 편광판에 추가적인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기능층은 글레어(glare), 안티-글레어(anti-glare), 반사방지(anti-reflection), 저반사(low reflection), 하드코팅(hard coating), 눈부심 방지(anti-glare), 내지문성(anti-finger), 방오(anti-contamination), 확산, 굴절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편광자(110)는 액정패널로부터의 입사광을 편광시킨 후 제1 보호필름(130)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편광자(110)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하여 제조되는 폴리엔계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110)는 두께가 5㎛ 내지 4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제2보호필름(140)은 접착층(120)에 의해 편광자(110)에 부착될 수 있다. 제2보호필름(140)은 편광자(110)의 광입사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보호필름(140)은 25℃에서 MD 인장 탄성율이 4000MPa 이상, TD 인장 탄성율이 4000MPa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을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말았을 때 굴곡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보호필름은 25℃에서 MD 인장 탄성율이 4000MPa 내지 6000MPa, TD 인장 탄성율이 4000MPa 내지 6000MPa이 될 수 있다. 제2보호필름(140)의 MD 인장 탄성율, TD 인장 탄성율은 필름의 MD, TD 연신비, 연신 온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1보호필름의 MD 인장탄성율은 제2보호필름의 MD 인장탄성율 대비 더 크고, 제1보호필름의 TD 인장탄성율은 상기 제2보호필름의 TD 인장탄성율 대비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굴곡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제2보호필름(140)은 편광자(110)를 보호하고 및/또는 광학 보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보호필름(140)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광학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시클릭올레핀폴리머(COP),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노르보르넨,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은 상술한 수지의 변성 후 제조된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변성은 공중합, 브랜칭, 가교 결합, 또는 분자 말단의 변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보호필름(140)은 두께가 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30㎛ 내지 60㎛, 30㎛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보호필름(140)의 MD는 편광자(110)의 흡수축 MD을 0°, 시계 방향을 +, 반 시계 방향으로 -라고 할 때, -0.2° 내지 0.2°의 각도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120)은 편광자(110)에 제1보호필름(130)을 접착시키고, 편광자(110)에 제2보호필름(140)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층(120)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수계 접착제 또는 광경화형 접착제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제1보호필름(130), 제2보호필름(140)에 동일한 접착층(120)이 접착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다른 접착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편광판(100)은 두께가 150㎛ 내지 4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폴리비닐알콜 필름(두께:60㎛, 중합도:2400, 비누화도:99.0%, VF-PS6000, 일본 쿠라레이사)을 25℃ 수용액에서 팽윤하고, 30℃의 요오드 이온 함유 염착조에서 염착하면서 연신시켰다. 염착시킨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55℃ 붕산 수용액에서 추가 연신하여, 최종 연신율이 6배가 되도록 하고 50℃ 챔버에서 3분 동안 건조시켜 편광자(두께:20㎛)를 제조하였다.
MD방향으로 100℃에서 3배, TD 방향으로 130℃에서 3배로 순차 2축 연신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파장 550nm에서 Re:330nm, NZ:30, Rth:7000nm, 두께:40㎛, 굴절률:1.58)의 일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여 제1보호필름으로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MD 인장탄성율, TD 인장탄성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장탄성율은 하기 상술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제조한 편광자의 일면인 광출사면에 상기 제조한 제1보호필름을 접착층에 의해 접착시켰다. 편광자의 다른 일면인 광입사면에 제2보호필름인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Zero TAC, 두께:40㎛)을 접착층에 의해 접착시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접착층은 UV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제2보호필름인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의 25℃에서 MD 인장탄성율은 4000MPa이고, TD 인장탄성율은 4000MPa이다. 인장탄성율은 하기 (1)에서 상술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제조시 2축 연신으로 제조하되, MD 연신비, TD 연신비, 연신 온도를 조절하여, 하기 표 1의 면내 위상차, MD 인장탄성율, TD 인장탄성율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
실시예 1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제조시 2축 연신으로 제조하되, MD 연신비, TD 연신비, 연신 온도를 조절하여, 하기 표 1의 면내 위상차, MD 인장탄성율, TD 인장탄성율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편광판에 대해 하기 표 1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1)인장 탄성율: 보호필름에 대하여 25℃에서 ASTMD 882에 따라 측정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MD 인장탄성율은 보호필름의 MD 방향으로 측정한 것이다. TD 인장탄성율은 보호필름의 TD 방향으로 측정된 것이다.
(2)굴곡성: 실시예와 비교예의 편광판 중 제2보호필름을 만드렐 봉에 접촉시켜 말았다. 편광판 중 제1보호필름의 MD로 말거나 또는 TD로 말았다. 만드렐 봉의 지름을 큰 것에서부터 작은 것으로 변경시키면서 평가하였다. 이때 제1보호필름에 크랙이나 갈라짐이 발생하게 되는 만드렐 봉의 최초의 지름을 기재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되, 제1보호필름의 박리가 없는 만드렐 봉의 최초의 지름을 기재하였다. 지름 수치가 낮을수록 굴곡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2)위상차: 보호필름에 대하여Axoscan(AxoMetric社)를 사용하여 파장 550nm에서 Re를 측정하였다.
(4)무지개 얼룩 시인 유무: Nitto 수지의 블랙 아크릴 플레이트(CL-885)에 합지하여 삼파장 램프 조건에서 육안 검사하였다. 삼파장 램프의 전원을 구동 상태 또는 비구동 상태로 두고 무지개 무라를 평가하였다. 무지개 무라가 시인되지 않는 경우 ×, 시인되는 경우 ○으로 평가하였다.
MD 인장탄성율
(MPa)
TD 인장탄성율
(MPa)
MD 인장탄성율/ TD 인장탄성율 굴곡성
(크랙 또는 깨짐)
Re
(nm)
무지개 얼룩
시인유무
MD
(mm)
TD
(mm)
실시예 1 5739 4863 1.18 4 4 330 ×
실시예 2 5276 5739 0.92 4 4 150 ×
실시예 3 5483 4218 1.30 4 4 270 ×
실시예 4 4017 5739 0.70 4 4 90 ×
비교예 1 6907 3024 2.28 4 8 550
비교예 2 2116 4231 0.50 4 6 200 ×
비교예 3 4860 3188 1.52 6 4 350 ×
비교예 4 4000 10000 0.4 4 8 800
비교예 5 9200 4000 2.3 8 4 750
비교예 6 5500 4000 1.375 6 4 600
비교예 7 8436 7030 1.2 6 6 720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내굴곡성이 우수하여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말았을 때 크랙, 깨짐 또는 갈라짐의 변형이 없고,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박리가 없으며, 그와 동시에 무지개 얼룩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 중 제1보호필름의 MD 인장탄성율, TD 인장탄성율 및 인장탄성율 비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1은 굴곡성이 좋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 중 제1보호필름의 MD 인장탄성율, TD 인장탄성율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더라도 나머지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고 인장탄성율 비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7 역시 굴곡성이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1)

  1. 편광자 및 접착층에 의해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접착된 제1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보호필름은 25℃에서 MD(machine direction) 인장 탄성율이 4000MPa 내지 6000MPa, TD(transverse direction) 인장 탄성율이 4000MPa 내지 6000MPa이고,
    상기 제1보호필름은 하기 식 1을 갖는 편광판:
    <식 1>
    0.7 ≤ MD 인장탄성율/TD 인장탄성율 ≤ 1.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필름은 파장 550nm에서 하기 식 2의 면내 위상차 Re가 350nm 이하인, 편광판:
    <식 2>
    Re = (nx - ny) x d
    (상기 식 2에서, nx, ny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보호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보호필름의 두께(단위:nm)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필름은 파장 550nm에서 하기 식 4의 이축성 정도 NZ가 8이상인, 편광판:
    <식 4>
    NZ = (nx - nz)/(nx - ny)
    (상기 식 4에서, nx, ny, nz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보호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필름은 파장 550nm에서 하기 식 3의 Rth에 대한 하기 식 2의 Re의 비 Re/Rth가 0.15 이하인, 편광판:
    <식 3>
    Rth = ((nx + ny)/2 - nz) x d
    (상기 식 3에서, nx, ny, nz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보호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보호필름의 두께(단위:nm)이다),
    <식 2>
    Re = (nx - ny) x d
    (상기 식 2에서, nx, ny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보호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보호필름의 두께(단위:nm)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필름은 2축 연신된 보호필름인, 편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 보호필름인, 편광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면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된 제2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호필름은 25℃에서 MD 인장 탄성율이 4000MPa 이상, TD 인장 탄성율이 4000MPa 이상인, 편광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필름의 MD 인장탄성율은 상기 제2보호필름의 MD 인장탄성율 대비 더 큰 것인, 편광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필름의 TD 인장탄성율은 상기 제2보호필름의 TD 인장탄성율 대비 더 큰 것인, 편광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70081094A 2017-06-27 2017-06-27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52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094A KR102052202B1 (ko) 2017-06-27 2017-06-27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094A KR102052202B1 (ko) 2017-06-27 2017-06-27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02A true KR20190001302A (ko) 2019-01-04
KR102052202B1 KR102052202B1 (ko) 2019-12-04

Family

ID=6501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094A KR102052202B1 (ko) 2017-06-27 2017-06-27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2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557A1 (ko) * 2019-09-05 2021-03-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폴리에스테르 보호 필름
KR20210031671A (ko) * 2019-09-05 2021-03-2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폴리에스테르 보호 필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400A (ja) * 2007-02-19 2008-09-04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付偏光板、表面保護フィルム付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40140770A (ko) * 2013-05-30 2014-12-10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114860A (ko) * 2014-04-02 2015-10-1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편광판 제조용 폴리에스테르 보호필름과 이를 이용한 편광판
KR101694257B1 (ko) * 2016-06-20 2017-01-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2017083669A (ja) * 2015-10-29 2017-05-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400A (ja) * 2007-02-19 2008-09-04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付偏光板、表面保護フィルム付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40140770A (ko) * 2013-05-30 2014-12-10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114860A (ko) * 2014-04-02 2015-10-1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편광판 제조용 폴리에스테르 보호필름과 이를 이용한 편광판
JP2017083669A (ja) * 2015-10-29 2017-05-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とその製造方法
KR101694257B1 (ko) * 2016-06-20 2017-01-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557A1 (ko) * 2019-09-05 2021-03-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폴리에스테르 보호 필름
KR20210031671A (ko) * 2019-09-05 2021-03-2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폴리에스테르 보호 필름
CN114341675A (zh) * 2019-09-05 2022-04-12 Skc株式会社 用于柔性显示设备的聚酯保护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202B1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716B1 (ko)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947096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768253B1 (ko)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75843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13227853B (zh) 偏光板和包括偏光板的光学显示装置
CN113296181A (zh) 偏光板、包括其的液晶显示器及用于制备偏光板的方法
CN109643035B (zh) 液晶显示装置
US108456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7038415A1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JP4646236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10205220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6712335B2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KR101991999B1 (ko) 액정표시장치용 광원측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5576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00042296A (ko) Ips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ips 액정표시장치
JP5463020B2 (ja)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6293399A (ja) 広視野角偏光板
KR102084115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3075637A (ja)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自発光型表示装置
KR10245750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84114B1 (ko)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426168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30080773A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20160120749A (ko)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의 광투과율 개선 방법
KR20230056787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