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716B1 -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716B1
KR101688716B1 KR1020147031632A KR20147031632A KR101688716B1 KR 101688716 B1 KR101688716 B1 KR 101688716B1 KR 1020147031632 A KR1020147031632 A KR 1020147031632A KR 20147031632 A KR20147031632 A KR 20147031632A KR 101688716 B1 KR101688716 B1 KR 101688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polarizing plate
film
curable composition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835A (ko
Inventor
야스히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2Cured, e.g. vulcanised, cross-lin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7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actinic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4Polyvinyl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4Arrangements for reducing warping-twi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를 충분히 박형화하면서, 편광판이나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고온·다습 하에서 보존했을 때의, 편광판의 변형 또는 휨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2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두께 0.5 내지 10㎛의 편광자와, 유리 필름과, 상기 편광자와 상기 유리 필름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갖는다.

Description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POLARIZING PLATE, FABRICATION METHOD FO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의 시장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이라고 불리는 중소형 모바일 기기의 시장 확대가 현저하다. 중소형 모바일 기기는,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의 향상과 함께, 박형화나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로 인해, 표시 장치의 박형화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과, 그 시인측의 면에 배치되는 제1 편광판과, 백라이트측의 면에 배치되는 제2 편광판을 갖는다. 제1 편광판은, 적어도 제일의 편광자와, 그 시인측의 면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F1)을 갖는다.
표시 장치를 박형화하기 위해서, 편광자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편광자를, 기재 필름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도포한 후, 1축 연신 및 염색하는 스텝을 거쳐서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이에 의해, 종래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편광자의 두께가 20㎛ 초과인 것에 반해, 10㎛ 이하의 두께의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보호 필름의 두께는 60 내지 100㎛인 점에서, 편광판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서는, 편광자뿐만 아니라, 보호 필름의 두께도 얇게 하거나, 또는 생략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런데, 표시 장치의 가장 시인측에는, 통상, 투명한 유리 기판이 설치된다. 즉, 제1 편광판을 구성하는 제1 편광자와 투명한 유리 기판은, 통상, 보호 필름(F1)을 개재하여 적층되고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를 박형화하기 위해서, 보호 필름(F1)을 생략하는 것; 구체적으로는, 제일의 편광자와, 투명한 유리 기판을, 보호 필름(F1)을 통하지 않고 접합하는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유리 기판을 초박막 유리로 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및 4). 초박막 유리는, 두께가 200㎛ 이하인 점에서, 롤 형상으로 권취할 수 있고, 생산성도 양호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001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48293호 공보 일본 특허 제432663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21320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표시 장치를 더 박형화하기 위해서, 두께가 얇은 편광자와, (표시 장치의 가장 시인측에 배치되는) 유리 기판을, 보호 필름(F1)을 통하지 않고 적층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두께가 얇은 편광자와 유리 기판을 열경화성 수지를 개재하여 접착시키면, 편광자와 유리 기판의 열팽창 계수의 차가 크기 때문에, 편광자에 열에 의한 왜곡(응력)이 잔류하기 쉽다. 그것에 의해, 접착 후에 얻어지는 편광판이 휘기 쉬울뿐만 아니라, 편광판의 롤체를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하면 편광판이 변형되기 쉽고, 그것에 의해 편광도의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열에 의한 왜곡이 잔류한 편광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하면, 편광자가 왜곡되거나, 편광판의 휨이 발생하거나 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편광자나 유리 기판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현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표시 장치를 충분히 박형화할 수 있고, 또한 편광판이나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했을 때의, 편광판의 변형이나 휨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2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두께 0.5 내지 10㎛의 편광자와, 유리 필름과, 상기 편광자와 상기 유리 필름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2] 상기 2색성 색소는, 상기 편광자의 한쪽 면에 편재되어 있는, [1]에 기재된 편광판.
[3] 상기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편광판.
[4] 상기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파장 380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이 5% 이상 40% 이하인,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
[5] 상기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은, 상기 편광자의, 상기 2색성 색소가 편재되어 있는 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
[6]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가, 1 내지 200㎛인,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
[7] 상기 편광판의 폭 방향의 길이를 W라 하고, 상기 편광판의 상기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를 L이라 했을 때, L/W가 10 내지 3000이며, 상기 편광판의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
[8]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며, A) 편광자를 얻는 공정과, B) 상기 편광자를 유리 필름에,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을 개재하여 접합하는 공정과, C) 상기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에 활성선을 조사하고, 상기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A) 편광자를 얻는 공정은, 1) 기재 필름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고, 상기 기재 필름과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과의 적층물을 얻는 공정과, 2) 상기 적층물을 1축 연신하는 공정과, 3) 상기 적층물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거나 또는 상기 1축 연신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9] 상기 C)의 공정에서는, 상기 활성선을, 상기 유리 필름을 개재하여 상기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에 조사하는, [8]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
[10] 상기 B)의 공정에서는, 편광자의 롤체로부터 권출된 편광자와, 유리 필름의 롤체로부터 권출된 유리 필름을, 상기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을 개재하여 접합하는, [8] 또는 [9]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
[11] 상기 3)의 공정에서는, 상기 1축 연신 후의 적층물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
[12] 상기 C)의 공정 후에, 상기 편광자에 적층된 상기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8]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
[13]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장치를 충분히 박형화하면서, 편광판이나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고온·다습 하에서 보존했을 때의, 편광판의 변형이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광판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원편광판에 의한 반사 방지 기능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1. 편광판
도 1은, 본 발명의 편광판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10)은 편광자(12)와, 유리 필름(14)과, 그들 사이에 배치되고,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1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10)은 특히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편광자(12)에 대해서
편광자는, 일정 방향의 편파면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소자이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이며;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을 1축 연신하고, 또한 2색성 염료로 염색하여 얻어지는 필름이다.
편광자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예에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그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의 유도체의 예에는,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올레핀(예를 들어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불포화 카르복실산(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나 크로톤산),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킬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등으로 변성한 것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하고, 색 불균일이 적은 것 등의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에틸렌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100 내지 1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내지 1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가 100 미만이면 충분한 편광 특성이 얻어지기 어렵다. 한편, 평균 중합도가 10000 초과이면, 물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되기 쉽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비누화도는, 80 내지 10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98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비누화도가 80몰% 미만이면 충분한 편광 특성이 얻어지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2색성 색소의 예에는, 요오드나 유기 염료 등이 포함된다. 유기 염료의 예에는, 아조계 색소, 스틸벤계 색소, 피라졸론계 색소, 트리페닐메탄계 색소, 퀴놀린계 색소, 옥사진계 색소, 티아진계 색소 및 안트라퀴논계 색소 등이 포함된다.
편광자는, 필요에 따라 가소제, 계면 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가소제의 예에는, 폴리올 및 그 축합물이 포함되고,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 첨가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대하여 20중량% 이하로 할 수 있다.
편광자에 있어서의 2색성 색소는, 박막의 편광자에서도 높은 편광도를 얻기 위해서는, 편광자의 한쪽 면에 편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색성 색소가 편재되어 있는 층의 두께는, 편광자의 두께에 대하여 80% 이하로 할 수 있다.
한쪽 면에 편재된 2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자는, 편면을 마스킹 필름이나 기재 필름으로 보호한 편광자를, 2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이나, 편광자의 편면에만 2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용액을 립 코터 등으로 도포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2색성 색소가, 편광자의 두께 방향으로 편재하고 있는지 여부는, 편광자의 절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다.
편광자의, 2색성 색소가 편재되어 있는 면 상에,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2색성 색소가 편재되어 있는 면이,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에 의해 덮이는 것에 의해, 편광자의 2색성 색소가 편재되어 있는 면에, 외부 환경의 열이나 습도의 영향이 전해지기 어렵게 되어, 2색성 색소의 배향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편광판을 충분히 박형화하기 위해서는,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자의 두께는, 일정 이상의 강도나 염색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 필름(14)에 대해서
유리 필름의 재질은, 소다석회 유리, 규산염 유리 등이며, 규산염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리카 유리 또는 붕규산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 필름을 구성하는 유리는, 알칼리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은 무알칼리 유리인 것,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성분의 함유량이 1000ppm 이하인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필름 중의 알칼리 성분의 함유량은, 5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칼리 성분을 함유하는 유리 필름은, 필름 표면에서 양이온의 치환이 발생하고, 소다 블로우의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그것에 의해, 필름 표층의 밀도가 저하되기 쉽고, 유리 필름이 파손되기 쉽기 때문이다.
유리 필름의 두께는,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정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가요성을 부여하여 롤 형상으로 권취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1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리 필름의 두께가 300㎛ 초과이면, 유리 필름에 충분한 가요성을 부여할 수 없고, 롤 형상으로 권취하기 어렵다. 한편, 유리 필름의 두께가 1㎛ 미만이면 유리 필름의 강도가 부족하여, 파손되기 쉽다.
유리 필름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플로트법, 다운드로우법,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등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성형 시에 유리 필름의 표면이 성형 부재와 접촉하지 않고, 얻어지는 유리 필름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어려운 것 등의 점에서,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이 바람직하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16)에 대해서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은, 전술한 편광자와 유리 필름을 접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활성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활성선 경화성 화합물은,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이어도,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어도 된다.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은, 단량체, 올리고머,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은, 경화물의 피접착물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에폭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포성이 양호한 점에서, 상온에서 액체인 에폭시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온에서 액체인 에폭시 화합물은,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폭시 화합물의 점도를 낮게 하고, 또한 높은 경화성을 얻기 위해서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의 예에는, 이하의 것이 포함된다.
Figure 112014108357991-pct00001
Figure 112014108357991-pct00002
Figure 112014108357991-pct00003
Figure 112014108357991-pct00004
Figure 112014108357991-pct00005
Figure 112014108357991-pct00006
(화학식 중, Y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P는 0 또는 1임)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의 예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및 하기 글리시독시기 함유 알콕시실란 등이 포함된다.
Figure 112014108357991-pct00007
(화학식 중, Y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P는 0 또는 1임)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의 예에는,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 등이 포함된다.
상온에서 액체인 에폭시 화합물은, 1종류이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경화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은, 활성선 경화성 화합물의 합계량에 대하여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1종류이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예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이 포함된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에 있어서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예에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말레산 등이 포함된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예에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에톡시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경화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2관능 또는 3관능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글리시딜기 등을 더 가져도 된다. 글리시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예에는,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등이 포함된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석유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등의 다른 수지나, 자외선 흡수제 등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유리 필름과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 즉,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더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옥시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무기 분체 등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에는, 5-클로로-2-(3,5-디-sec-부틸-2-히드록실페닐)-2H-벤조트리아졸, (2-2H-벤조트리아졸-2-일)-6-(직쇄 및 측쇄 도데실)-4-메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6-(1-메틸-1-페닐에틸)-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히드록시-4-벤질옥시벤조페논, 2,4-벤질옥시벤조페논 등이 포함된다. 자외선 흡수제의 시판품 바람직한 예에는, 티누빈109, 티누빈171, 티누빈234, 티누빈326, 티누빈327, 티누빈328, 티누빈928 등의 티누빈류(모두 바스프(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가 포함된다.
기타, 1,3,5트리아진환을 갖는 화합물 등의 원반 형상 화합물이나, 고분자 자외선 흡수제;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평6-148430호 공보에 기재된 중합체 타입의 자외선 흡수제 등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자외선 흡수제는, 1종류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나 사용 조건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지만, 활성선 경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에 대하여 0.5 내지 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내지 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0.5질량% 미만이면 편광자 근방의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이 너무 경화되어서, 얻어지는 접착층의 탄성률이 높아지기 쉽다. 그것에 의해, 당해 접착층이, 고온 다습 하에서의 편광자의 변형을 충분히는 흡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15질량% 초과이면, 편광자 근방의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가 불충분해지기 쉽고, 편광자와의 충분한 접착성이 얻어지기 어렵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파장 380nm에서의 광투과율은, 5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3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투과율이 5% 미만인 접착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너무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편광자 근방의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가 불충분한 경우가 많다. 한편, 광투과율이 40% 초과인 접착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대부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편광자 근방의 접착층의 탄성률이 너무 높고,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했을 때에 편광자가 수축하는 응력을 흡수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광투과율은,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나 종류 등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파장 380nm에서의 광투과율은, 분광 광도계(니혼 분꼬우 가부시끼가이샤제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V-670)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 미만이면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과 편광자 또는 유리 필름과의 접착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한편, 30㎛ 초과이면, 편광판이 너무 두꺼워진다.
보호 필름에 대해서
본 발명의 편광판은, 필요에 따라 편광자의, 활성선 경화성 화합물이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보호 필름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환상 올레핀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보호 필름은,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것 등의 점에서,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를, 지방족 카르복실산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으로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에 포함되는 아실기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방향족 아실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아실기이다. 그 중에서도, 지방족 아실기의 탄소수는, 2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2 내지 4의 지방족 아실기의 예에는,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부타노일기 등이 포함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아실기 총 치환도는, 2.0 내지 3.0이며, 연신에 의해 높은 위상차를 얻기 위해서는, 2.0 내지 2.6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아실기 치환도는, ASTM-D817-96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예에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등이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아세틸기 치환도는, 위상차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2.0 내지 2.6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에 포함되는, 아세틸기 이외의 아실기의 치환도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수 평균 분자량은, 기계적 강도가 높은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3.0×104 이상 2.0×10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4.5×104 이상 1.5×105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2×105 이상 2.5×10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5 이상 2.0×105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Mw)/수 평균 분자량(Mn))은 1.0 내지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수 평균 분자량(Mn) 및 중량 평균 분자량(Mw)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용매: 메틸렌클로라이드
칼럼: Shodex K806, K805, K803G(쇼와 덴꼬(주)제)를 3개 접속하여 사용한다.
칼럼 온도: 25℃
시료 농도: 0.1질량%
검출기: RI Model 504(GL사이언스사제)
펌프: L6000(히타치 세이사꾸쇼(주)제)
유량: 1.0ml/min
교정 곡선: 표준 폴리스티렌 STK standard 폴리스티렌(도소(주)제) Mw=1.0×106 내지 5.0×102까지의 13샘플에 의한 교정 곡선을 사용한다. 13샘플은, 거의 등간격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은, 필요에 따라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리타데이션 조정제, 대전 방지제, 박리제, 매트제(미립자)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4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가 200㎛ 초과이면, 열이나 습도에 의해 위상차의 변동이 커지기 쉽다. 한편, 필름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충분한 필름 강도가 얻어지기 어렵다.
보호 필름의 면내 방향 또는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은, 액정 셀의 표시 방식이나, 구해지는 광학 성능에 따라서 설정된다. 예를 들어, IPS 방식의 액정 셀의 위상차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보호 필름의, 23℃ 55% RH의 환경 하에서, 파장 590nm에서 측정되는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Ro) 및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은, 모두 -3nm 이상 3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nm 이상 2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리타데이션 Ro 및 Rth는, 각각 이하의 식으로 정의된다.
식(I) Ro=(nx-ny)×d
식(II) Rth={(nx+ny)/2-nz}×d
(nx: 필름 면내의 지상 축방향(x)의 굴절률, ny: 필름 면내에서, 지상 축방향(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y)의 굴절률, nz: 필름의 두께 방향(z)의 굴절률, d: 필름의 두께(nm))
리타데이션 Ro 및 Rth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1) 필름을, 23℃ 55% RH에서 조습한다. 조습 후의 필름의 평균 굴절률을 아베 굴절계 등으로 측정한다.
2) 조습 후의 필름에, 당해 필름 표면의 법선에 평행하게 측정 파장 590nm의 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Ro를, 코브라(KOBRA) 21ADH, 오지 게이소꾸(주)로 측정한다.
3) 코브라(KOBRA) 21ADH에 의해, 필름의 면내 지상축을 경사축(회전축)으로 해서, 필름의 표면 법선에 대하여 θ의 각도(입사각(θ))로부터 측정 파장 590nm의 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리타데이션값 R(θ)을 측정한다. 리타데이션값 R(θ)의 측정은, θ가 0° 내지 50°의 범위에서, 10°마다 6점 행할 수 있다. 필름의 면내 지상축은, 코브라(KOBRA) 21ADH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4) 측정된 Ro 및 R(θ)와, 전술한 평균 굴절률과 막 두께로부터, 코브라(KOBRA) 21ADH에 의해, nx, ny 및 nz를 산출하고,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Rth를 산출한다. 리타데이션의 측정은, 23℃ 55% RH 조건 하에서 행할 수 있다.
필름의, JIS K-7136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내부 헤이즈는, 0.01 내지 0.1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가시광 투과율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본 발명의 편광판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편광판은, A) 두께 0.5 내지 10㎛의 편광자를 얻는 공정과, B) 편광자를 유리 필름에,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을 개재하여 접합하는 공정과, C)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에 활성선을 조사하여,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A) 편광자를 얻는 공정
편광자를 얻는 공정은, 적어도 1) 기재 필름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여,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과의 적층물을 얻는 공정과; 2) 적층물을 1축 연신하는 공정과; 3) 적층물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거나 또는 1축 연신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1) 도포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을,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도포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적층물을 얻을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얇고 균일한 두께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분말을 양용매에 용해시킨 것일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적층물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3㎛ 미만이면 연신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이 너무 얇아져서, 염색성이 저하되기 쉽다. 한편, 30㎛를 초과하면, 편광판이 두꺼워지기 쉽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의 도포는,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와이어 바 코팅법 등의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크린 코팅법, 디핑법, 스프레이법 등으로 행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50 내지 200℃로 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기계적 강도, 연신성 및 열 안정성 등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예에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등이 포함된다.
기재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연신에 적합한 범위라면 되고, 예를 들어 60℃ 이상 250℃ 이하일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정 이상의 필름 강도를 얻기 위한 등의 점에서, 1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3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연신 공정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적층물을 1축 연신한다. 적층물의 연신 배율은, 요구되는 편광 특성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지만, 2 내지 7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7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2배 미만이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분자쇄가 충분히 배향되지 않기 때문에, 얻어지는 편광자의 편광도가 불충분해지기 쉽다. 한편, 연신 배율이 7배 초과이면, 연신 시에 적층물이 파단하기 쉬울뿐만 아니라, 연신 후의 적층물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얇아지기 쉽다.
1축 연신은, 적층물의 폭 방향(TD 방향), 반송 방향(MD 방향) 또는 경사 방향 중 어느 쪽으로 행해도 되지만, 반송 방향(MD 방향)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 방향(MD 방향)으로 1축 연신하는 방법은, 롤간 연신 방법, 압축 연신 방법, 텐터를 사용한 연신 방법 등일 수 있다. 또한, 1축 연신은, 자유단부 연신이어도, 고정단 연신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자유단부 연신이다.
연신 처리는, 습윤식으로 행해도, 건식으로 행해도 되지만, 적층물의 연신 온도를 광범위하게 설정할 수 있는 점에서, 건식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는, 기재 필름의 Tg 근방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기재 필름의 Tg-30℃) 내지 (기재 필름의 Tg+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기재 필름의 Tg-25℃) 내지 (기재 필름의 Tg)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기재 필름의 Tg-30℃) 미만이면 전술한 바와 같은 고배율에서의 연신이 곤란해진다. 한편, 연신 온도가 (기재 필름의 Tg+5℃) 초과이면, 기재 필름의 유동성이 너무 커서 연신이 곤란해지기 쉽다. 연신 온도는, 상기 범위 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3) 염색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공정은, 연신 공정과 동시 또는 그 전후로 행할 수 있고, 2색성 색소를 양호하게 배향시키기 위해서는, 연신 공정 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염색은, 1축 연신 후의 적층물을, 2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용액(염색 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염색 용액은, 전술한 2색성 색소를 용매에 용해한 용액일 수 있다. 염색 용액의 용매는, 일반적으로는 물이면 좋지만, 물과 그것과 상용하는 유기 용매와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염색 용액 중의 2색성 색소의 농도는, 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내지 7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5 내지 5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은, 염색 효율을 일층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요오드화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의 예에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요오드화티타늄 등이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요오드화칼륨이다.
염색 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화물의 농도는, 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이 요오드화칼륨일 경우,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과의 함유 비율은, 질량비로 1:5 내지 1:1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6 내지 1:8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축 연신 후의 적층물의, 염색 용액에의 침지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초 내지 15분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분 내지 3분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염색 용액의 온도는, 10 내지 6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4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색 공정 후, 염색한 2색성 색소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에 정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4) 가교 공정을 더 행해도 된다.
4) 가교 공정
가교 공정은, 염색 공정에서 염색한 적층물을, 예를 들어 가교제를 포함하는 용액(가교 용액) 중에 침지하여 행할 수 있다. 가교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예에는, 붕산,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이나,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이 포함된다.
가교 용액은, 가교제를 용매에 용해한 용액일 수 있다. 전술과 마찬가지로, 용매는, 물 또는 물과 그것과 상용하는 유기 용매와의 혼합물일 수 있다. 가교 용액 중의 가교제 농도는, 1 내지 10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6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 용액은, 얻어지는 편광자의 면내에 있어서의 편광 특성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요오드화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은, 전술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가교 용액 중의 요오드화물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중량%이다.
염색한 적층물의, 가교 용액에의 침지시간은, 15초 내지 20분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초 내지 15분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 용액의 온도는, 10 내지 8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공정은, 가교제를 염색 용액 중에 함유시켜서, 염색 공정과 동시에 행해도 된다. 또한, 가교 공정과 연신 공정을 동시에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물을, 세정한 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은, 얻어진 적층물을, 이온 교환수, 증류수 등의 순수에 침지하여 행할 수 있다. 수세 온도는, 통상, 3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침지시간은, 2 내지 300초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40초간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포 공정에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은, 적어도 연신 공정과 염색 공정을 거쳐, 편광자가 된다. 편광자는, 2색성 색소가 연신 방향으로 1축 배향한 것이다. 편광자에 있어서의 2색성 색소의 배향 상태는, 예를 들어 시판하고 있는 자동 복굴절 측정 장치(오지 게이소꾸 기끼(주)제: KOBAR-WPR)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 얻어지는 편광판은, 폭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권취된 롤체이어도 된다.
B) 편광자와 유리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
전술한 대로 얻어진 적층물의 편광자를 유리 필름에,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을 개재하여 접합한다. 유리 필름은, 전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은, 편광자상 또는 유리 필름 상에,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서 얻을 수 있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은, 편광자의, 2색성 색소로 염색되어 있는 면에 배치되어도 되고, 2색성 색소로 염색되어 있지 않은 면에 배치되어도 된다. 고온 다습 하에서의 2색성 색소의 배향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은, 편광자의, 2색성 색소로 염색되어 있는 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은, 전술한 활성선 경화성 화합물과,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계면 활성제, 커플링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는, 활성선 경화성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고,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 또는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일 수 있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예에는, PP-33(아사히 덴까 고교제) 등의 아릴디아조늄염; FC-509(3M사제), UVE1014(G·E.사제), UVI-6974, UVI-6970, UVI-6990, UVI-6950(유니온·카바이트사제), SP-170, SP-150(아사히 덴까 고교사제) 등의 아릴술포늄염; 아릴요오도늄염; 및 CG-24-61(시바 가이기사제) 등의 알렌-이온 착체가 포함된다.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전술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중합시키는 것이며, 분자내 결합 개열형과 분자내 수소 인발형이 있다. 분자내 결합 개열형의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예에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등의 아세토페논계;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등의 벤조인류; 2,4,6-트리메틸벤조인디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시드계 등이 포함된다.
분자내 수소 인발형의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예에는,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4-페닐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계; 미클러-케톤,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아미노벤조페논계 등이 포함된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활성선 경화성 화합물에 대하여 0.5 내지 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는,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을, 편광자나 유리 필름 상에서 레벨링 시키기 쉽게 할 목적에서 함유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의 시판품 예에는, 니뽄 유니카(주)제의 L시리즈(예를 들어 L7001, L-7006, L-7604, L-9000), Y시리즈, FZ시리즈(FZ-2203, FZ-2206, FZ-2207) 등이 포함된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당해 조성물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0.01 내지 3질량% 정도로 할 수 있다.
커플링제는,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과 유리 필름과의 접착성을 높일 목적에서 함유될 수 있다. 커플링제의 예에는,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실란 커플링제가 포함된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커플링제의 함유량은, 0.2 내지 2.0질량% 정도로 할 수 있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25℃에서 점도는, 작업성이 좋고, 경화물의 투명성이 높은 것 등의 점에서, 20 내지 2000mPas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도포는, 유리 필름 상에 행해도, 편광자 상에 행해도 되지만, 도막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쉬운 점에서, 유리 필름 상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와이어 바 코팅법 등의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등일 수 있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의 두께는, 경화 후의 두께가 전술한 범위를 포함하도록 설정되어, 예를 들어 0.5 내지 50㎛ 정도로 할 수 있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경화 후에 얻어지는 접착층에서의 함유량이 전술한 범위를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경화 후에 얻어지는 접착층의 광투과율이 5% 미만이 되기 쉽다. 그로 인해, 활성선을, 유리 필름을 개재하여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에 조사했을 때에, 편광자 근방의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까지 활성선이 충분히 도착하지 않기 때문에, 활성성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가 불충분해지기 쉽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경화 후에 얻어지는 접착층의 광투과율이 40% 초과가 되기 쉽다. 그로 인해, 활성선을, 유리 필름을 개재하여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에 조사했을 때에, 편광자 근방의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이 너무 경화된다. 그것에 의해, 편광자 근방의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탄성률이 너무 높아지고,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했을 때에 편광자가 수축하는 응력을 흡수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공정에서는, 편광자의 롤체로부터 권출된 편광자와, 유리 필름의 롤체로부터 권출된 유리 필름을,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을 개재하여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을 경화시키는 공정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에 활성선을 조사하고,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다. 그것에 의해,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얻는다.
활성선은,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자외선이다. 활성선의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파장 200 내지 400nm의 광을 발하는 광원; 예를 들어,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등, 크세논등, 카본 아크등 등일 수 있다.
활성선은, 유리 필름을 개재하여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에 조사해도 되고, 편광자를 개재하여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에 조사해도 된다.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활성선은, 유리 필름을 개재하여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에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 근방의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도를 조금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활성선의 조사 강도는,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의 조성에 따라 다르지만,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파장 영역의 조사 강도가, 1 내지 3000mW/㎠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선의 조사시간은, 예를 들어 조사 강도와 조사시간의 곱으로 표현되는 적산 광량이 10 내지 5000mJ/㎠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산 광량이 10mJ/㎠ 미만이면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활성화시키는 데도 충분하지 않고,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을 충분히 경화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D)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기재 필름/편광자/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유리 필름의 적층물로부터 기재 필름을 박리한다. 그리고, 편광자의, 기재 필름이 박리된 측의 면에, 필요에 따라 보호 필름을 접착하여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보호 필름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얻어진 편광판은,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권취된 롤체로서 보존되어도 된다. 롤체에 있어서의 편광판은, 생산성이 좋은 점에서, 편광판의 폭 방향의 길이를 W라 하고, 편광판의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를 L이라 했을 때, L/W가 10 내지 3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편광자와 유리 필름을 보호 필름(F1)을 통하지 않고 접합한다. 그것에 의해, 편광자와 유리 기판을 보호 필름(F1)을 개재하여 접합하는 종래의 방법보다, 얇은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포법으로 얻어지는 박막의 편광자를 사용하므로, 후막의 편광자를 사용한 종래의 방법보다, 일층 얇은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박막의 편광자와 유리 필름을 열경화성 조성물층을 개재하여 접착시키면, 편광자와 유리 필름과의 열팽창 계수의 차가 크기 때문에, 편광자에 열에 의한 왜곡(응력)이 잔류하기 쉽다. 그것에 의해, 편광자의 편광도가 저하되거나, 접착시에 편광판이 변형되거나, 얻어진 편광판을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했을 때에 편광자가 수축하여 편광판의 변형이나 휨이 발생하거나 하기 쉽다. 이러한, 잔류하는 왜곡(응력)에 의한 편광판의 변형이나 휨은, 특히 편광자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현저하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편광자와 유리 필름을,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을 개재하여 접착시킨다. 즉,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에 활성선을 조사하여 접착시키기 때문에, 가열이 불필요해서, 편광자에 열에 의한 왜곡(응력)이 잔류하기 어렵다. 그로 인해, 접착시의 편광판의 변형이나, 편광판의 롤체를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했을 때의 편광판 변형, 표시 장치를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했을 때의 편광판 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박막의 편광자는, 종래의 후막 편광자보다, 열이나 습도에 의한 편광자의 수축력도 작다.
또한,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의 파장 380nm에서의 광투과율을 5% 이상 40% 이하로 함으로써, 활성선을, 유리 필름을 개재하여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층에 조사했을 때에, 유리 필름 근방의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를 방해하는 일이 없고, 편광자 근방의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를 약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유리 필름과의 접착 강도는 높게 하고, 또한 편광자와의 접착 강도를 조금 낮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했을 때에, 편광자의 열이나 습도에 의한 수축 응력을, 당해 접착층에서 적절하게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접착층과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유지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또한, 편광자와 유리 필름을, 편광자의 염색면이 유리 필름측이 되게 접합함으로써, 편광자의 염색면에 흠집이 나거나, 편광자가 외부 환경의 열이나 습도에 의해 변형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편광판의 편광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편광판의 롤체를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했을 때의 편광자 편광도의 저하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3.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EL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과, 그것을 끼움 지지하는 제1 및 제2 편광판과, 백라이트를 갖는다. 적어도 액정 셀의 시인측에 배치되는 제1 편광판; 바람직하게는 액정 셀의 시인측에 배치되는 제1 편광판과 백라이트측에 배치되는 제2 편광판의 양쪽을, 본 발명의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도 2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20)는 액정 셀(40)과, 그것을 끼움 지지하는 제1 편광판(60) 및 제2 편광판(80)과, 백라이트(90)를 갖는다. 동 도면에서는, 제1 편광판(60)과 제2 편광판(80)의 양쪽을 본 발명의 편광판으로 한 예를 나타낸다.
액정 셀(40)의 표시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TN(Twisted Nematic) 방식, STN(Super Twisted Nematic) 방식, IPS(In-Plane Switching) 방식, OCB(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방식, VA(Vertical Alignment) 방식(MVA;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나 PVA; Patterned Vertical Alignment도 포함함), HAN(Hybrid Aligned Nematic) 방식 등이 있다. 시야각을 넓게 하기 위해서는, IPS 방식의 액정 셀이 바람직하다.
IPS 방식의 액정 셀은, 두 개의 투명 기판과, 그들 사이에 배치되고,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두 개의 투명 기판 중, 한쪽 투명 기판에만,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이 배치된다.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이 배치되는 투명 기판은, 백라이트(80)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층은, 부의 유전율 이방성(Δε<0) 또는 정의 유전율 이방성(Δε>0)을 갖는 액정 분자를 포함한다. 액정 분자는, 전압 무인가 시(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사이에 전계가 발생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액정 분자의 장축이, 투명 기판의 표면에 대하여 수평해지도록 배향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액정 셀에서는, 화소 전극에 화상 신호(전압)을 인가하고,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사이에 기판면에 대하여 전계를 발생시킨다. 그것에 의하고, 기판면에 대하여 수평 배향하고 있는 액정 분자를, 기판면에 수평한 면내에서 회전시킨다. 그것에 의해, 액정층을 구동하고, 각 부화소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변화시켜서 화상 표시를 행한다.
제1 편광판(60)은 본 발명의 편광판이며, 액정 셀(40)의 시인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편광판(60)은 제일의 편광자(62)와, 그 시인측의 면에, 활성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66)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유리 필름(64)과, 제일의 편광자(62)의 액정 셀(40)측의 면에 배치된 보호 필름(68)(F2)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2 편광판(80)은 본 발명의 편광판이며, 액정 셀(40)의 백라이트(90)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편광판(80)은 제2 편광자(82)와, 그 백라이트(90)측의 면에, 활성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86)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유리 필름(84)과, 제2 편광자(82)의 액정 셀(40)측의 면에 배치된 보호 필름(88)(F3)을 갖는다.
보호 필름(68)(F2)과(88)(F3) 중 적어도 한쪽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어도 된다.
도 2에서는, 제1 편광판(60)과 제2 편광판(80)의 양쪽이 본 발명의 편광판인 예를 나타냈지만, 거기에 한하지 않고, 제1 편광판(60)만을 본 발명의 편광판으로 하고, 제2 편광판은 통상의 편광판일 수도 있다. 그 경우, 제2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의 백라이트(90)측에 배치될 수 있는 보호 필름은, 투명한 보호 필름일 수 있다. 그러한 투명한 보호 필름의 예에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이 포함된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의 예에는, 시판하고 있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예를 들어, 코니카 미놀타 태크 KC8UX, KC5UX, KC8UCR3, KC8UCR4, KC8UCR5, KC8UY, KC6UY, KC4UY, KC4UE, KC8UE, KC8UY-HA, KC8UX-RHA, KC8UXW-RHA-C, KC8UXW-RHA-NC, KC4UXW-RHA-NC, 이상 코니카 미놀타 옵토(주)제) 등이 포함된다.
투명한 보호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내지 200㎛ 정도고,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적어도 시인측의 편광판의 편광자와 유리 필름이, 보호 필름을 통하지 않고 접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시인측의 편광판의 편광자와 유리 필름이 보호 필름을 개재하여 접합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보다 얇게 될 수 있다. 또한, 편광자의 두께도 종래보다 충분히 얇기 때문에, 그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도 고도로 얇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자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에 의한 왜곡(응력)이 잔류하고 있지 않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한 후에 있어서도, 편광자에 잔류하는 왜곡(응력)에 기인하는 편광판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 불균일이나 표시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은, 유기 EL 표시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광 반사 전극(112)과, 발광층(114)과, 투명 전극층(116)과, 투명 기판(118)과, 원편광판(120)을 이 순서대로 갖는다.
광 반사 전극(112)은 광 반사율이 높은 금속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재료의 예에는, Mg, MgAg, MgIn, Al, LiAl 등이 포함된다. 광 반사 전극(112)은 스퍼터링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광 반사 전극(112)은 패터닝되어 있어도 된다.
발광층(114)은 R(레드) 발광층, G(그린) 발광층 및 B(블루) 발광층을 포함한다. 각 발광층은, 발광 재료를 포함한다. 발광 재료는, 무기 화합물이어도, 유기 화합물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유기 화합물이다.
각 발광층은, 전하 수송 재료를 더 포함하고, 전하 수송층으로서의 기능을 더 가져도 되고; 홀 수송 재료를 더 포함하고, 홀 수송층으로서의 기능을 더 가져도 된다. 각 발광층이, 전하 수송 재료 또는 홀 수송 재료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전하 수송층 또는 홀 수송층을 더 가질 수 있다.
각 발광층은, 각각 패터닝되어서 얻어진다. 패터닝은, 포토마스크 등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발광층(114)은 발광 재료를 증착하거나 하여 형성할 수 있다.
투명 전극층(116)은 일반적으로는, ITO 전극일 수 있다. 투명 전극층(116)은 스퍼터링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전극층(116)은 패터닝되어 있어도 된다.
투명 기판(118)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유리 기판, 플라스틱 필름 또는 박막 등일 수 있다.
원편광판(120)은 본 발명의 편광판이며, 편광자(직선 편광 막)(122)와, 그 시인측의 면에,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126)을 개재하여 배치된 유리 필름(124)과, 편광자(122)의 투명 기판(118)측의 면에 배치된 λ/4판(128)을 갖는다. λ/4판(128)의 지상축과, 편광자(122)의 흡수축이 교차하는 각도는 45±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광 반사 전극(112)과 투명 전극층(116) 사이를 통전시키면, 발광층(114)이 발광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R(레드) 발광층, G(그린) 발광층 및 B(블루) 발광층 각각이 통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풀컬러 화상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원편광판(120)에 의한 반사 방지 기능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동도에서는,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126)과 유리 필름(124)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 장치(100)의 표시 화면의 법선에 평행하게, 외부로부터 광(a1 및 b1을 포함함)이 입사하면, 편광자(LP)(122)의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직선 편광(b1)만이 편광자(LP)(122)를 통과한다. 편광자(LP)(122)의 투과축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다른 직선 편광(a1)은 편광자(LP)(122)에 흡수된다. 편광자(LP)(122)를 통과한 직선 편광 성분(b2)은 λ/4판(128)을 통과함으로써, 원편광(c2)으로 변환된다. 원편광(c2)은 유기 EL 표시 장치(100)의 광 반사 전극(112)(도 2 참조)에 반사되면, 역회전의 원편광(c3)이 된다. 역회전의 원편광(c3)은 λ/4판(128)을 통과함으로써, 편광자(LP)(122)의 투과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직선 편광(b3)으로 변환된다. 이 직선 편광(b3)은 편광자(LP)(122)를 통과하지 못하고, 흡수된다.
이와 같이, 유기 EL 표시 장치(100)에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광(a1 및 b1을 포함함)은 모두 편광자(LP)(122)에 흡수되기 때문에, 유기 EL 표시 장치(100)의 광 반사 전극에서 반사해도, 외부로 출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경의 투영에 의한 화상 표시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표시 장치(100)의 내부로부터의 광; 즉, 발광층(114)(도 2 참조)으로부터의 광은, 2종류의 원편광 성분(c3 및 c4)을 포함한다. 한쪽의 원편광(c3)은 λ/4판(128)을 통과함으로써, 편광자(LP)(122)의 투과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선 편광(b3)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직선 편광(b3)은 편광자(LP)(122)를 통과할 수 없고, 흡수된다. 다른 쪽의 원편광(c4)은 λ/4판(128)을 통과함으로써, 편광자(LP)(122)의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직선 편광(b4)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직선 편광(b4)은 편광자(LP)(122)를 통과하고, 직선 편광(b4)이 되어, 화상으로서 인식된다.
편광자(LP)(122)와 λ/4판(128)과의 사이에, 편광자(LP)(122)의 투과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선 편광(b3)을 반사하는 반사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을 더 배치해도 된다. 반사 편광판은, 직선 편광(b3)을 편광자(LP)(122)로 흡수시키지 않고 반사시키고, 그것을 광 반사 전극(112)(도 2 참조)에 다시 반사시키고, 편광자(LP)(122)의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직선 편광(b4)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반사 편광판을 더 배치함으로써, 발광층이 발광한 광의 모두(c3 및 c4)를 외측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전술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표시 장치보다 얇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자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에 의한 왜곡(응력)이 잔류하고 있지 않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한 후에 있어서도, 편광자에 잔류하는 왜곡(응력)에 기인하는 편광판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의 불균일이나, 반사율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는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는다.
1. 편광자의 제작
(제조예 1)
도포 공정
대전 방지 처리가 실시된, 두께 120㎛의 비정질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기재 필름으로 하였다. 한편, 폴리비닐알코올 분말(니혼 사쿠비·포바루(주)제, 평균 중합도 2500, 비누화도 99.0몰% 이상, 상품명: JC-25)을 95℃의 열수 중에 용해시켜서, 농도 8질량%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기재 필름 상에 립 코터로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20분간 건조시켰다. 그것에 의해,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층과의 적층물을 얻었다. 적층물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두께는 12.0㎛이었다.
연신 공정
얻어진 적층체를, 반송 방향(MD 방향)으로 160도, 연신 배율 5.3배로 자유단부 1축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적층물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층의 두께는 5.6㎛이었다.
염색 공정
연신 후의 적층물을, 60℃의 온수욕에 60초간 침지한 후, 물 100질량부당0.05질량부의 요오드와 5질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온도 28℃에 60초간 침지하였다. 계속해서, 연신 후의 적층물에 일정한 텐션을 가한 채, 당해 적층물을, 물 100질량부당 7.5질량부의 붕산과 6질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붕산 수용액에, 온도 73℃에 300초간 침지하였다. 그 후, 얻어진 적층물을, 15℃의 순수로 10초간 세정하였다. 얻어진 적층물에 일정한 텐션을 가한 채, 당해 적층물을 70℃에서 300초간 건조시켜서, 기재 필름과 편광자(1)의 적층물을 얻었다. 편광자(1)의 두께는 5.6㎛이었다.
얻어진 적층물의 편광자(1)의, 요오드로 염색된 층의 두께를,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편광자(1)의 절단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배율 15000배로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하였다. 그 결과, 편광자(1)의 기재 필름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표층에, 두께 2.2㎛의 요오드로 염색된 층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2)
두께 75㎛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구라레제 비닐론 필름 VF-P#7500)을 건식으로, 반송 방향(MD 방향)으로, 125도, 연신 배율 5.2배로 1축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일정한 텐션을 가한 채, 당해 필름을, 물 100질량부당 0.05질량부의 요오드와 5질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온도 28℃에 60초간 침지하였다. 계속해서, 얻어진 필름에 일정한 텐션을 가한 채, 당해 필름을, 물 100질량부당 7.5질량부의 붕산과 6질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붕산 수용액에, 온도 73℃에 300초간 침지하였다. 그 후, 얻어진 필름을 15℃의 순수로 10초간 세정하였다. 얻어진 필름에 일정한 텐션을 가한 채, 당해 필름을 70℃에서 300초간 건조시켰다. 계속해서, 얻어진 필름의 단부를 잘라 내고, 폭 1300mm의 편광자(2)(편광 필름)를 얻었다. 편광자(2)(편광 필름)의 두께는 33㎛이었다.
편광자(2)의 요오드로 염색된 층의 두께를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한 결과, 편광자(2)의 양면에, 각각 두께 2.0㎛의 요오드로 염색된 층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3)
두께 30㎛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사용하고, 또한 연신 배율을 5.7배로 한 이외는 제조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자(3)를 얻었다. 편광자(3)(편광 필름)의 두께는 9.2㎛이었다.
편광자(3)의 요오드로 염색된 층의 두께를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한 결과, 편광자(3)의 양면에, 각각 두께 2.0㎛의 요오드로 염색된 층이 확인되었다.
2. 기타 재료
1) 유리 필름
플로트 법으로 제작된, 다음의 두께를 갖는 무알칼리 유리를 준비하였다.
유리 필름1: 두께 150㎛
유리 필름2: 두께 300㎛
유리 필름3: 두께 88㎛
유리 필름4: 두께 45㎛
2) 경화성 화합물
cyracure UVR6105(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유니온 카바이드사제)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글리시딜의 혼합물
3. 편광판의 제작
(실시예 1)
하기 공정1 내지 6에 따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편광자(3)와, 유리 필름1을 접합하였다.
공정1: 제조예 3에서 얻어진 편광자(3)의 한쪽 면에, 하기 조성을 갖는 경화성 조성물1을 경화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경화성 조성물1)
cyracure UVR6105(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유니온 카바이드사제): 87질량부
UVI-6990(광 양이온 개시제, 유니온 카바이드사제): 5.5질량부
L-7604(계면 활성제, 니뽄 유니카사제): 0.5질량부
NAC 실리콘 A-187(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니뽄 유니카사제): 2질량부
티누빈(928)(자외선 흡수제, 시바 재팬(주)제): 7.0질량부
공정2: 공정1에서 얻어진 경화성 조성물1 층 상에 유리 필름1을 배치하였다.
공정3: 공정2에서 얻어진, 편광자(3)/경화성 조성물1 층/유리 필름1의 적층물에, 유리 필름1 측으로부터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성 조성물1을 경화시켜서 접합하였다. 조사는, 120W×10m×3 패스 행하고(조사량 900mJ), 반송 속도는 약 2m/분으로 하였다.
공정4: 공정3에서 얻어진 적층물을, 80℃의 건조기 내에서 2분간 건조시켜서, 편광판(101)을 얻었다.
(실시예 2)
공정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편광자(1)의 표면(요오드로 염색되어 있는 면)에, 하기 조성을 갖는 경화성 조성물2를 경화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경화성 조성물2)
cyracure UVR6105(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유니온 카바이드사제): 87질량부
UVI-6990(양이온 광개시제, 유니온 카바이드사제): 5.5질량부
L-7604(계면 활성제, 니뽄 유니카사제): 0.5질량부
NAC 실리콘A-187(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니뽄 유니카사제): 2질량부
공정2: 공정1에서 얻어진 경화성 조성물2 층 상에 유리 필름1을 배치하였다.
공정3: 공정2에서 얻어진, 편광자(1)/경화성 조성물2 층/유리 필름1의 적층물에, 유리 필름1 측으로부터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성 조성물2 층을 경화시켜서 접합하였다. 조사는, 120W×10m×3 패스 행하고(조사량 900mJ), 반송 속도는 약 2m/분으로 하였다.
공정4: 공정3에서 얻어진 적층물을, 80℃의 건조기 내에서 2분간 건조시켰다.
공정5: 얻어진 기재 필름/편광자(1)/경화성 조성물2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유리 필름1의 적층물로부터, 기재 필름을 박리하여 편광판(102)을 얻었다. 기재 필름은 용이하게 박리되었다.
(실시예 3 내지 6)
유리 필름의 두께를,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판(103 내지 106)을 얻었다.
(실시예 7)
경화성 조성물1을 하기 조성을 갖는 경화성 조성물3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판(107)을 얻었다.
(경화성 조성물3)
cyracure UVR6105(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유니온 카바이드사제): 82질량부
UVI-6990(광 양이온 개시제, 유니온 카바이드사제): 5.5질량부
L-7604(계면 활성제, 니뽄 유니카사제): 0.5질량부
NAC 실리콘A-187(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니뽄 유니카사제): 2질량부
티누빈(928)(자외선 흡수제, 시바 재팬(주)제): 7.0질량부
티누빈(171)(자외선 흡수제, 시바 재팬(주)제): 5.0질량부
(실시예 8 내지 9)
하기 공정1 내지 6에 따라, 편광자(1)의 요오드로 염색되어 있지 않은 면 상에, 경화성 조성물1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적층된 편광판(108 내지 109)을 얻었다.
공정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적층물의 편광자(1)의 표면(요오드로 염색되어 있는 면)에 마스킹 필름(닛토덴코제 표면 보호재 E-MASK HR6030)을 접합한 후, 기재 필름을 박리하였다.
공정2: 공정1에서 얻어진 마스킹 필름과 편광자(1)의 적층물의, 편광자(1)의 표면(요오드로 염색되어 있지 않은 면)에, 경화성 조성물1을 경화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공정3: 얻어진 경화성 조성물1 층 상에 유리 필름1 또는 3을 배치하였다.
공정4: 공정3에서 얻어진, 마스킹 필름/편광자(1)/경화성 조성물1 층/유리 필름1 또는 3의 적층물에, 유리 필름측으로부터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성 조성물1을 경화시켜서 접합하였다. 조사는, 120W×10m×3 패스 행하고(조사량 900mJ), 반송 속도는 약 2m/분으로 하였다.
공정5: 공정4에서 얻어진 적층물을, 80℃의 건조기 내에서 2분간 건조시켰다.
공정6: 얻어진 마스킹 필름/편광자(1)/경화성 조성물1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유리 필름1 또는 3의 적층물로부터,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여 편광판(108 또는 109)을 얻었다.
(실시예 10)
경화성 조성물1을 하기 조성을 갖는 경화성 조성물4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판(110)을 얻었다.
(경화성 조성물4)
메타크릴산메틸: 100중량부
메타크릴산글리시딜: 10중량부
이르가큐어(184)(시바 재팬사제): 5.0질량부
(실시예 11)
경화성 조성물1을 하기 조성을 갖는 경화성 조성물5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판(111)을 얻었다.
(경화성 조성물5)
메타크릴산메틸: 100중량부
메타크릴산글리시딜: 10중량부
이르가큐어(184)(시바 재팬사제): 5.0질량부
자외선 흡수제: 티누빈(928)(시바 재팬(주)제): 7.0질량부
(비교예 1)
하기 공정1 내지 6에 따라,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편광자(1)와, 유리 필름1을 접합하였다.
공정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편광자(1)의 염색면에, 하기 조성을 갖는 경화성 조성물6(열경화성 조성물)을 경화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경화성 조성물6)
메타크릴산메틸: 100중량부
메타크릴산글리시딜: 10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릴로니트릴: 1중량부
공정2: 공정1에서 얻어진 경화성 조성물6 층 상에 유리 필름1을 배치하였다.
공정3: 공정2에서 얻어진, 기재 필름/편광자(1)/경화성 조성물6 층/유리 필름1의 적층물을, 온도 120℃, 압력 20 내지 30N/㎠로 60분간 접합하였다.
공정4: 공정3에서 얻어진 적층물을, 80℃의 건조기 내에서 2분간 건조시켰다. 그것에 의해, 경화성 조성물 6층을 열경화시켰다.
공정5: 얻어진 기재 필름/편광자(1)/경화성 조성물6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유리 필름1의 적층물로부터, 기재 필름을 박리하여 편광판(112)을 얻었다.
(비교예 2)
편광자(3)을 편광자(2)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판(113)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의 컬 및 내구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컬의 평가)
얻어진 편광판을, 폭 50mm×길이 방향 30mm의 크기로 잘라냈다. 얻어진 편광판을, 23℃, 상대 습도 80%의 환경 하에서, 수평 기판 상에 24시간 방치한 후, 편광판의 컬 형상을 육안 관찰하였다. 편광판의 컬은,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 거의 편평한 상태에서, 컬의 발생은 확인되지 않는다
○: 편광판의 네 구석이 조금 들뜨고, 약한 컬의 발생이 확인되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다
△: 명확한 컬의 발생이 확인되고, 취급이 어려운 레벨이다
×: 컬의 상태가 심하고, 취급이 매우 곤란한 레벨이다
(내구성1: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 후의 편광도의 변동)
얻어진 편광판을, 42인치 액정 패널 사이즈(930mm×520mm)로 잘라내고, 23℃, 상대 습도 55%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얻어진 편광판의 대각선 중심점(ρ0)에서의 편광도C(0)와, 대각선의 중심으로부터(당해 중심으로부터 대각선의 단부까지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75%의 점(ρ75)에서의 편광도C(75)를 각각 측정하였다. 편광도의 측정은, 자동 편광 필름 측정 장치 VAP-7070(니혼 분꼬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및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행하였다.
계속해서, 이 편광판을, 온도 60℃, 상대 습도 90%의 고온 다습 환경 하에서 300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얻어진 편광판의 대각선 중심점(ρ0)에서의 편광도 C'(0)와, 대각선상의 중심으로부터 75%의 점(ρ75)에서의 편광도 C'(75)를 전술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대각선상의 중심점(ρ0)에서의 편광도의 변동(=C'(0)-C(0))과, 중심으로부터 75%의 점(ρ75)에서의 편광도의 변동(=C'(75)-C(75))과의 차를, 편광도의 변동의 차(Δ편광도)로 하였다.
편광도의 변동의 차(Δ편광도) = 중심으로부터 75%의 점(ρ75)에서의 편광도의 변동(%) - 대각의 중심점(ρ0)에서의 편광도의 변동(%)
편광판의 내구성1은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 Δ편광도가 1.0% 미만이다
○: Δ편광도가 1.0% 이상 2.0% 미만이다
△: Δ편광도가 2.0% 이상 5.0% 미만이다
×: Δ편광도가 5.0% 이상이다
또한, 편광판의 제작에 사용한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광투과율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광투과율)
편광판의 제작에 사용한 경화성 조성물을, 편광판의 제작시와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유리 기판 상에 도포 및 건조한 후, 경화시켜서 유리 기판으로부터 박리하고, 두께 15㎛의 경화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경화 필름의 파장 380nm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분광 광도계(닛본 분꼬우 가부시끼가이샤제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V-670)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08357991-pct00008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1의 편광판은, 비교예 1 내지 2의 편광판보다 얇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고온 다습 환경 하에서 보존했을 때의, 컬의 발생이 적고, 편광도의 변동도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4. 편광판의 롤체의 제작
(실시예 12)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32349호 공보의 기재에 따라,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두께 100㎛, 굽힘 강도 92.5MPa의 긴 형상의 유리 필름5를 얻었다. 계속해서, 얻어진 긴 형상의 유리 필름을, 직경 120mm의 권취 코어에,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둘러 감아서 롤체를 얻었다.
그리고, 유리 필름3 대신에, 얻어진 롤체로부터 권출한 유리 필름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긴 형상의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긴 형상의 편광판은, 폭 방향의 길이(W)가 1300mm, 길이 방향의 길이(L)가 1000m이며, 폭 방향의 길이(W)에 대한 길이 방향의 길이(L)의 비(L/W)가 769이었다. 얻어진 긴 형상의 편광판을, 직경 120mm의 권취 코어에 감아, 편광판(201)의 롤체를 얻었다.
(비교예 3)
유리 필름1 대신에,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롤체로부터 권출한 유리 필름5를 사용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긴 형상의 편광판을 제작하고, 직경 120mm의 권취 코어에 감아, 편광판(202)의 롤체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의 롤체의 내구성1 및 내구성2를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내구성1: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 후의 편광도의 변동)
얻어진 편광판의 롤체로 편광판을 권출하고, 권외로부터(길이 방향) 500m의 위치의 폭 방향 중앙부를, 42인치 액정 패널 사이즈(930mm×520mm)로 잘라냈다. 얻어진 편광판의 내구성1을 전술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하였다.
(내구성2: 롤체를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 후의 편광도의 불균일)
얻어진 편광판의 롤체를, 실온 60℃, 상대 습도 90%의 고온 다습 환경 하에서 1주일 방치하였다. 그 후, 얻어진 롤체의 최외주부의 편광판에 대해서, 폭 방향으로 한쪽의 단부로부터 전체 폭의 25%의 점, 50%의 점, 75%의 점에서의 편광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편광판의 길이 방향으로, 롤체의 권외측으로부터 권취 코어측에의 500m의 범위에 대해서, 10m 간격으로 마찬가지인 측정을 반복하고, 계 150점(3점×50)의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전 측정점의 평균값을 100으로 했을 때의, 전 측정점에 있어서의 편광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 비율(%)을 「편광도1의 변동」으로서 구하였다. 편광도의 측정은, 자동 편광 필름 측정 장치 VAP-7070(닛본 분꼬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및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행하였다.
마찬가지로 하여,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하고 있지 않은, 제조 직후의 편광판 롤체에 대해서도, 합계 150점의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전 측정점의 평균값을 100으로 했을 때의, 전 측정점에 있어서의 편광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 비율(%)을 「편광도2의 변동」으로서 구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편광도1의 변동와 편광도2의 변동을 이하의 식에 대입하여 편광도의 변동의 증대 폭을 구하였다.
변동의 증대폭(%) = 편광도1의 변동(%) - 편광도2의 변동(%)
그리고, 롤체를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 후의 편광도의 불균일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 변동의 증대 폭이 1.0% 미만이다
○: 변동의 증대 폭이 1.0% 이상 2.0% 미만이다
△: 변동의 증대 폭이 2.0% 이상 5.0% 미만이다
×: 변동의 증대 폭이 5.0% 이상이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3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08357991-pct00009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편광판은, 비교예 3의 편광판보다, 롤 상태에 있어서도,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한 후의 편광도의 변동이 작고(내구성1이 좋고), 롤체를 고온 다습 하에서 보존한 후의 편광도의 불균일도 적은(내구성2도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3. 액정 표시 장치의 제작
(실시예 13)
횡전계형 스위칭 모드형(IPS 모드형)의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도시바(주)제 레그자 47ZG2」를 준비하였다. 이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액정 패널을 취출하고, 액정 셀의 양면에 배치되어 있던 2개의 편광판을 제거하고, 해당 액정 셀의 유리면(표리)을 세정하였다.
제1 편광판(시인측의 편광판)으로서 편광판(101)을 액정 셀의 시인측의 면에, 두께 20㎛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부착하였다. 편광판(101)의 부착은, 편광자가 액정 셀에 접하고, 또한 편광자의 흡수축이 액정 셀의 긴 변과 평행(0±0.2도)하게 되도록 행하였다.
제2 편광판(백라이트측의 편광판)으로서 편광판(101)을 액정 셀의 백라이트측의 면에, 두께 20㎛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부착하였다. 제2 편광판의 부착은, 편광자가 액정 셀에 접하고, 또한 편광자의 흡수축이, 액정 셀의 짧은 변과 평행(0±0.2도)하게 되도록 행하였다. 그것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301)를 얻었다.
(실시예 14 내지 21, 비교예 4 내지 5)
제1 편광판(시인측의 편광판)과, 제2 편광판(백라이트측의 편광판)을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302 내지 311)를 얻었다.
(실시예 22 내지 23))
도시바(주)제 레그자 47ZG2로부터 액정 패널을 취출하고, 액정 셀의 시인측의 면에 배치된 편광판만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액정 셀의 시인측의 면을 세정한 후, 표 3에 나타나는 편광판을, 두께 20㎛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부착한 이외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312 내지 313)를 얻었다.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301 내지 313)의 콘트라스트비 및 코너 불균일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콘트라스트비)
액정 표시 장치에 백색 화상을 표시시켰을 때의, 표시 화면의 방위각 45° 방향, 극각 60° 방향에 있어서의 XYZ 표시계의 Y값을, ELDIM사제 제품명 「EZ Contrast 160D」에 의해 측정하였다. 마찬가지로, 액정 표시 장치에 흑색 화상을 표시시켰을 때의, 표시 화면의 방위각 45° 방향, 극각 60° 방향에 있어서의 XYZ 표시계의 Y값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백색 화상에 있어서의 Y값(YW)과, 흑색 화상에 있어서의 Y값(YB)으로부터, 경사 방향의 콘트라스트비 「YW/YB」를 산출하였다. 콘트라스트비의 측정은, 온도 23℃, 상대 습도 55%의 암실 내에서 행하였다. 또한, 방위각 45°란, 표시 화면의 면내에서, 표시 화면의 긴 변을 0°라 했을 때에 반시계 방향으로 45° 회전시킨 방위를 나타낸다. 극각 60°란, 표시 화면의 법선 방향을 0°라 했을 때, 법선에 대하여 60° 경사진 방향을 나타낸다. 콘트라스트비가 높을수록, 콘트라스트가 높고, 바람직하다.
(코너 불균일)
상기 콘트라스트비의 측정에서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1500시간 보존하였다. 그 후,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25℃, 상대 습도 60%의 환경 하에서 20시간 조습한 후, 백라이트를 점등시켜서, 흑색 표시 시켰을 때의 광 누설을 관찰하였다. 광 누설의 평가는, 이하의 기준에 따라 행하였다.
◎: 표시 화면 주변(코너부)의 광 누설은 완전히 확인되지 않는다
○: 표시 화면 주변(코너부)의 광 누설은 거의 인지되지 않는다
△: 표시 화면 주변(코너부)의 광 누설이 확인된다
×: 표시 화면 주변(코너부)의 광 누설이 현저하다
실시예 13 내지 23 및 비교예 4 내지 5에서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08357991-pct0001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3 내지 23의 표시 장치는, 비교예 4 내지 5의 표시 장치보다,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높고, 고온 다습 환경 하에서 보존 후의 코너 불균일도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4.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작
(실시예 24)
원편광판의 제작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편광판(101)의 편광자(3)의 표면에,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계 λ/4판(데이진카세이(주)제, 퓨어에이스 WR, R(450)=115nm, R(550)=138nm, R(590)=142nm, R(450)/R(590)=0.81)을 두께 20㎛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접합하여, 원편광판(101b)을 얻었다. 편광자(3)와 λ/4판과의 접합은, 편광자(3)의 흡수축과, λ/4판의 지상축과의 교차 각이 45°±2°가 되도록 행하였다.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작
유기 EL형 표시 장치로서, 삼성전자(주)제의 갤럭시S를 준비하였다. 이 유기 EL형 표시 장치를 분해하여, 터치 패널 상에 배치된 편광판을 제거하고, 해당 터치 패널의 유리 표면을 세정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원편광판(101a)을 λ/4판이 유기 EL 발광 소자측이 되도록, 두께 20㎛의 아크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접합하여, 유기 EL 표시 장치(401)를 얻었다.
(실시예 25 내지 32, 비교예 6 내지 7)
편광판(101a)을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24와 마찬가지로 하여, 유기 EL 표시 장치(402 내지 411)를 얻었다.
계속해서, 얻어진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의 불균일 및 반사율 불균일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정면 휘도의 불균일)
얻어진 유기 EL 표시 장치를, 60℃, 상대 습도 90%의 고온 다습 환경 하에서 1500시간 보존한 후, 25℃, 상대 습도 60%의 환경 하에서 20시간 조습하였다.
계속해서, 표시 화면의 대각선 중심점, 대각선상의 중심으로부터 25%의 점, 50%의 점, 75%의 점의 합계 13점에 있어서의 정면 휘도를 측정하였다. 그중, 최대 휘도와 최소 휘도의 차를 구하고, 그 차의 13점의 평균 휘도 100에 대한 비율을 Δ휘도(%)로서 구하였다. 그리고, 정면 휘도의 불균일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휘도의 측정은, 분광 방사 휘도계 CS-1000(코니카 미놀타 센싱제)을 사용하여, 표시 화면의 법선 방향(정면 방향)으로부터의 발광 휘도(구체적으로는, 법선에 대하여 2° 경사진 각도로부터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 Δ휘도가 1.0% 미만이다
○: Δ휘도가 1.0% 이상 2.0% 미만이다
△: Δ휘도가 2.0% 이상 5.0% 미만이다
×: Δ휘도가 5.0% 이상이다
(반사율의 불균일)
얻어진 유기 EL 표시 장치를, 60℃, 상대 습도 90%의 고온 다습 환경 하에서 1500시간 보존한 후, 25℃, 상대 습도 60%의 환경 하에서 20시간 조습하였다.
계속해서, 표시 화면의 대각선 중심점, 대각선상의 중심으로부터 25%의 점, 50%의 점, 75% 점의 합계 13점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그중, 최대 반사율과 최소 반사율의 차를 구하고, 그 차의, 13점의 평균 반사율 100에 대한 비율을 Δ반사율(%)로서 구하였다. 그리고, 반사율의 불균일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반사율의 측정은, 분광 측색계 CM2500d(코니카 미놀타 센싱제)를 사용하여,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 Δ반사율이 0.3% 미만이다
○: Δ반사율이 0.3% 이상 0.5% 미만이다
△: Δ반사율이 0.5% 이상 1.0% 미만이다
×: Δ반사율이 1.0% 이상이다
실시예 24 내지 32 및 비교예 6 내지 7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08357991-pct00011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4 내지 32의 표시 장치는, 비교예 6 및 7의 표시 장치보다, 고온 다습 환경 하에서 장기간 보존한 후에도, 정면 휘도의 불균일이나, 반사율의 불균일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출원은, 2012년 5월 23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12-117639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당해 출원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모두 본원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장치를 충분히 박형화하면서, 편광판이나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고온·다습 하에서 보존했을 때의, 편광판의 변형 또는 휨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0 편광판
12 편광자
14, 64, 84, 124 유리 필름
16, 66, 86, 126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
20 액정 표시 장치
40 액정 셀
60 제1 편광판
62 제1 편광자
68 보호 필름(F2)
80 제2 편광판
82 제2 편광자
88 보호 필름(F3)
90 백라이트
100 유기 EL 표시 장치
112 광 반사 전극
114 발광층
116 투명 전극층
118 투명 기판
120 원편광판
122 편광자(직선 편광 막)
128 λ/4판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액정층과 그것을 끼움 지지하는 2개의 투명 기판을 갖는 액정 셀, 또는 광반사 전극, 발광층, 투명 전극층 및 투명 기판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물과,
    그 시인측의 면에 배치된 편광판
    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편광판은,
    한쪽 면에 편재해 있는 2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두께 0.5 내지 10㎛의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상기 2색성 색소가 편재되어 있는 면에 배치된 활성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진 접착층과,
    유리 필름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유리 필름은, 상기 편광자의, 상기 액정 셀 또는 상기 적층물과는 반대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3. 삭제
KR1020147031632A 2012-05-23 2013-05-21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688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7639 2012-05-23
JP2012117639 2012-05-23
PCT/JP2013/003228 WO2013175767A1 (ja) 2012-05-23 2013-05-21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835A KR20150004835A (ko) 2015-01-13
KR101688716B1 true KR101688716B1 (ko) 2016-12-21

Family

ID=4962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632A KR101688716B1 (ko) 2012-05-23 2013-05-21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146294A1 (ko)
JP (1) JPWO2013175767A1 (ko)
KR (1) KR101688716B1 (ko)
CN (1) CN104335085B (ko)
TW (1) TWI500981B (ko)
WO (1) WO2013175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29505B (zh) 2014-03-26 2018-01-16 Lg化学株式会社 制造具有局部去偏光区域的偏光片的方法,以及通过使用该方法制造的偏光片、偏光板和图像显示器件
JP2016118771A (ja) * 2014-12-18 2016-06-30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偏光板及びそれを含む積層体
JP6784481B2 (ja) * 2015-07-13 2020-11-11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円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KR101999075B1 (ko) * 2015-07-22 2019-07-10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7010450B2 (ja) 2015-11-16 2022-01-2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単一パケット2軸複屈折反射型偏光子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積層体
JP6323477B2 (ja) * 2016-02-29 2018-05-1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液晶パネル
KR102041411B1 (ko) * 2016-05-16 2019-11-27 가부시키가이샤 폴라테크노 편광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JP6931979B2 (ja) * 2016-07-08 2021-09-0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保持機構及び撮像装置
JP6898077B2 (ja) * 2016-07-22 2021-07-07 日東電工株式会社 高耐熱性偏光フィルム
JP7027031B2 (ja) * 2016-08-31 2022-03-01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KR20190118547A (ko) * 2017-03-06 2019-10-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JPWO2018174012A1 (ja) * 2017-03-23 2019-12-1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6937169B2 (ja) 2017-06-09 2021-09-22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411234B1 (ko) 2017-10-30 2022-06-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JP7348719B2 (ja) * 2017-11-10 2023-09-21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位相差板、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CN111670393A (zh) * 2018-01-31 2020-09-15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层叠体辊
CN112689781A (zh) * 2018-09-06 2021-04-20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膜组件及光学层叠体
JP2020116864A (ja) * 2019-01-25 2020-08-06 株式会社ダイセル 媒体、及び前記媒体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WO2020153259A1 (ja) * 2019-01-25 2020-07-30 株式会社ダイセル カバー部材
KR20210136999A (ko) * 2019-03-06 2021-11-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센서 장치
CN113631389B (zh) * 2019-03-26 2024-03-15 日东电工株式会社 层叠膜的制造方法
EP3951454A4 (en) * 2019-03-29 2022-12-14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FILM
CN113613868A (zh) 2019-03-29 2021-11-05 日东电工株式会社 玻璃树脂层叠体的制造方法
EP3951455A4 (en) * 2019-03-29 2022-06-29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film set and optical layered body
JPWO2021009960A1 (ko) 2019-07-16 2021-01-21
US20220259092A1 (en) 2019-07-16 2022-08-18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dividing composite material
JP2021076778A (ja) * 2019-11-12 2021-05-2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セット、液晶パネル
KR20220148197A (ko) 2020-03-11 2022-11-0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복합재의 분단 방법
US11703709B1 (en) * 2021-02-02 2023-07-18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Optical element with linear polarizer
WO2024011209A2 (en) * 2022-07-08 2024-01-11 Blaze Bioscience, Inc. Engineered liquid crystal shutter as a dynamic long-pass optical fil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5776A (ja) * 2007-12-17 2009-07-02 Nitto Denko Corp 視角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9180975A (ja) * 2008-01-31 2009-08-13 Nitto Denko Corp 光学積層体
JP2011033970A (ja) * 2009-08-05 2011-02-17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2011227450A (ja) * 2010-03-31 2011-11-10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6635A (ja) 1991-04-26 1992-11-16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デジタルデータ伝送におけるクロック抽出回路
JP4326635B2 (ja) * 1999-09-29 2009-09-09 三菱樹脂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取扱い方法及びガラス積層体
TWI388876B (zh) * 2003-12-26 2013-03-11 Fujifilm Corp 抗反射膜、偏光板,其製造方法,液晶顯示元件,液晶顯示裝置,及影像顯示裝置
US7557989B2 (en) * 2005-06-03 2009-07-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flective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80013752A (ko) * 2006-08-08 2008-02-1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편광 시트 및 편광 시트 제조 방법
JP2008282001A (ja) * 2007-04-10 2008-11-20 Fujifilm Corp 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2009098653A (ja) 2007-09-27 2009-05-07 Nitto Denko Corp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928529B2 (ja) * 2008-11-12 2012-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175700B1 (ko) * 2009-03-05 2012-08-2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박형 고기능 편광막의 제조방법
JP2011121320A (ja) 2009-12-11 2011-06-2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該積層体の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WO2011078254A1 (ja) * 2009-12-22 2013-05-09 旭硝子株式会社 吸収型偏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01978B2 (ja) 2010-05-31 2012-03-21 住友化学株式会社 延伸フィルム、偏光性延伸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4691205B1 (ja) *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5985145B2 (ja) * 2010-10-07 2016-09-0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5776A (ja) * 2007-12-17 2009-07-02 Nitto Denko Corp 視角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9180975A (ja) * 2008-01-31 2009-08-13 Nitto Denko Corp 光学積層体
JP2011033970A (ja) * 2009-08-05 2011-02-17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2011227450A (ja) * 2010-03-31 2011-11-10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835A (ko) 2015-01-13
JPWO2013175767A1 (ja) 2016-01-12
TWI500981B (zh) 2015-09-21
WO2013175767A1 (ja) 2013-11-28
TW201409094A (zh) 2014-03-01
CN104335085B (zh) 2017-07-07
US20150146294A1 (en) 2015-05-28
CN104335085A (zh)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716B1 (ko)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0192130B (zh) 带光学补偿层的偏振片及使用了其的有机el面板
US9588271B2 (en) Organic EL display element having optical stack
US112434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WO2019022156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US108456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867690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セット
JP2018060152A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KR10205220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82539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I807129B (zh) 附相位差層之偏光板及使用其之影像顯示裝置
JP2018060150A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CN113785228A (zh) 带相位差层及硬涂层的偏振片的制造方法
CN108885369B (zh) 偏振板组和使用了该偏振板组的ips模式液晶显示装置
JP2010091654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偏光板のセット
JP7411520B2 (ja) 偏光板、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WO2022074872A1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
WO2022201907A1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位相差層付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20230273360A1 (en) Phase difference plate, phase difference plate with temporary support,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JP6699514B2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2018060149A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6699513B2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2023075748A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22077101A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
JP2022106205A (ja) 積層体および位相差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