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234B1 -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234B1
KR102411234B1 KR1020207012159A KR20207012159A KR102411234B1 KR 102411234 B1 KR102411234 B1 KR 102411234B1 KR 1020207012159 A KR1020207012159 A KR 1020207012159A KR 20207012159 A KR20207012159 A KR 20207012159A KR 102411234 B1 KR102411234 B1 KR 102411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layer
thickness
elastic modulus
g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463A (ko
Inventor
다케시 무라시게
준이치 이나가키
아키코 스기노
데츠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1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1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4In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58Polarization selectiv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32B5/2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foamed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얇은 유리 필름을 구비하여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돌자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는, 유리 필름과, 그 유리 필름의 편측에 배치된 수지층을 구비하고, 유리 필름의 두께가 50 ㎛ 보다 두껍고, 150 ㎛ 이하이고, JIS Z 1707 : 1997 에 의한 돌자 강도가, 2 ㎏ 을 초과하고 50 ㎏ 이하이고, 굽힘 반경이, 15 ㎜ ∼ 200 ㎜ 이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소자나 유기 EL 을 사용한 표시·조명 소자 또한 태양 전지는, 반송성, 수납성, 디자인성의 관점에서 경량,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고, 또 롤 투 롤 프로세스에 의한 연속 생산을 향한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종래, 그러한 와중에, 유리에 가요성을 갖게 하는 방법으로서 극박의 유리 (유리 필름) 가 제안되어 있다. 유리 필름은 롤상으로 권취할 수 있고, 롤 투 롤 프로세스로 가공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유리를 사용하여 투명 전극 등을 롤 투 롤 프로세스로 가공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표시 소자,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나 노트 PC 와 같은 장치에는 터치 센서 기능이 포함되고, 그 최표층에는, 펜 타점 등의 내구성이 요구된다. 종래 디바이스의 최표층에는 하드 코트로 불리는 고경도의 표면 처리를 실시한 수지 재료가 사용되지만,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없는 것이 실태이다. 또, 강도를 현저하게 높이기 위해, 커버 유리로 불리는 강화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강화 유리는, 500 ㎛ 이상으로 두꺼워, 노트 PC 나 모니터와 같은 일정 이상의 면적을 갖는 디바이스에는, 박형·경량화의 요구로부터, 상기 강화 유리를 적합시키기 어렵다는 사정이 있다. 또, 상기 강화 유리는, 곡면 표시에는 형상에 추종할 수 없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한 와중에, 얇은 유리 필름을 최표층에 사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유리 필름은, 얇아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펜 등의 예리한 돌기물로 표면을 타점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균열되기 쉽다는 과제가 남는다.
국제 공개 제2013-175767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얇은 유리 필름을 구비하여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돌자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는, 유리 필름과, 그 유리 필름의 편측에 배치된 수지층을 구비하고, 유리 필름의 두께가 50 ㎛ 보다 두껍고, 150 ㎛ 이하이고, JIS Z 1707 : 1997 에 의한 돌자 강도가, 2 ㎏ 을 초과하고 50 ㎏ 이하이고, 굽힘 반경이, 15 ㎜ ∼ 200 ㎜ 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는, 상기 유리 필름과, 접착제층과, 상기 수지층과, 점착제층을 이 순서대로 구비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는,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강도 P 가, 500 ((10-4(㎛)3(GPa)2) 이상이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42992394-pct00001
식 (1) 에 있어서, Eg 는 상기 유리 필름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 tg 는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 Ea1 은 상기 접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 ta1 은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 Ep 는 상기 수지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 tp 는 상기 수지층의 두께, Ea2 는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 ta2 는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층이, 편광판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판이, 편광자와, 그 편광자의 편측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그 보호 필름과, 그 편광자가, 상기 유리 필름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1.5 GPa ∼ 10 GPa 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0.5 GPa ∼ 15 GPa 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0.00001 GPa ∼ 10 GPa 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의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에 대한 비 (접착제층의 탄성률/점착제층의 탄성률) 가, 1 ∼ 1000 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얇은 유리 필름을 구비하여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돌자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A.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의 전체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100) 는, 유리 필름 (10) 과, 유리 필름 (10) 의 편측에 배치된 수지층 (30) 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100) 는, 유리 필름 (10) 과 수지층 (30) 사이에, 접착제층 (20) 을 추가로 구비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100) 는, 수지층 (30) 의 유리 필름 (10) 과는 반대측에 점착제층 (40) 을 추가로 구비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착제층 (20) 및 점착제층 (40) 은, 수지층 (30) 에 직접 (즉, 그 밖의 층을 개재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또, 접착제층 (20) 은, 유리 필름 (10) 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착제층이란, 물질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물질을 결합할 수 있는 층을 말한다. 따라서, 접착제층에 첩착된 피착체를 박리한 경우에는, 그 접착제층은 실용적인 접착력을 갖지 않는다. 또, 점착제층이란, 상온에서 접착성을 갖고, 가벼운 압력으로 피착체에 접착하는 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점착제층에 첩착된 피착체를 박리한 경우에도, 그 점착제는 실용적인 점착력을 유지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층은, 편광판일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200) 는, 유리 필름 (10) 과, 유리 필름 (10) 의 편측에 배치된 편광판 (30') 을 구비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판 (30')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 (32) 와, 편광자 (32) 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된 보호 필름 (31) 을 구비한다. 편광자 (32) 의 편측에만 보호 필름 (31) 이 배치되는 경우, 보호 필름 (31) 과 편광자 (32) 는, 유리 필름 (10) 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 (31) 을 이와 같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돌자 강도가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배치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와 마찬가지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200) 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필름 (10) 과 편광판 (30') 사이에, 접착제층 (20) 을 추가로 구비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200) 는, 편광판 (30') 의 유리 필름 (10) 과는 반대측에 점착제층 (40) 을 추가로 구비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착제층 (20) 및 점착제층 (40) 은, 편광판 (30') 에 직접 (즉, 그 밖의 층을 개재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또, 접착제층 (20) 은, 유리 필름 (10) 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100) 는, 유리 필름 (10) 을 구비하기 때문에, 경도가 높다. 또,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100) 는, 유리 필름 (10) 의 일방의 측에 수지층 (30) (편광판 (30')) 을 구비함으로써, 유리 필름 (10) 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어, 내돌자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리 필름 (10) 의 표면 (편광자와는 반대측의 면) 에 부여된 점압축을, 수지층 (30) 측으로 유효하게 빠져나가게 할 수 때문에, 상기와 같이 내돌자성이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는, JIS Z 1707 : 1997 에 의한 돌자 강도가, 2 ㎏ 을 초과하고 5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 ㎏ ∼ 3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 20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굽힘성과 돌자 강도를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는, 굽힘 반경이, 15 ㎜ ∼ 2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 ∼ 15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 100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상기 효과가 현저해진다. 「굽힘 반경」은, 외경이 상이한 폴을 준비하고, 상기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그 폴의 곡면을 따라 가압하여 구부림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굽힘 반경」이란,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구부렸을 때의 상기 폴의 외경에 상당한다. 「굽힘 반경」의 측정은, 유리 필름을 볼록하게 하여 (즉, 유리 필름을 외측, 수지층을 내측으로 하여) 측정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 ㎛ ∼ 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 40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 ∼ 300 ㎛ 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는,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강도 P 가, 500 ((10-4(㎛)3(GPa)2) 이상이다.
[수학식 2]
Figure 112020042992394-pct00002
식 (1) 에 있어서, Eg 는 유리 필름 (10) 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 tg 는 유리 필름 (10) 의 두께, Ea1 은 접착제층 (20) 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 ta1 은 접착제층 (20) 의 두께, Ep 는 수지층 (30, 30') 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 tp 는 수지층 (30, 30') 의 두께, Ea2 는 점착제층 (40) 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 ta2 는 점착제층 (40) 의 두께를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착제층 (20) 및 점착제층 (40) 이, 수지층 (30, 30') 에 직접 배치되고, 접착제층 (20) 이, 유리 필름 (10) 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유리 필름 (10)/접착제층 (20)/수지층 (30, 30')/점착제층 (40)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강도 P 가, 500 ((10-4(㎛)3(GPa)2) 이상이 된다. 특정한 이론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최표층의 유리 필름, 접착제층, 수지층 및 점착제층의 관계를 이하와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유리 필름의 돌자 강도의 계수로서, 접착제층, 점착제층, 수지층의 3 층이 각각 웨이트로서 가해지고 있다. 그 웨이트를 나타내는 식은 실험 결과와의 정합성으로부터 얻어진 것이다. 본 파라미터가 두께와 탄성률로 규정되는 것은 기계적 강도의 측면에서 생각했을 때에 타당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리 필름, 수지층 및 접착제층의 탄성률은, 오토 그래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 또, 점착제층의 탄성률은, 점탄성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는, 그 밖의 층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그 밖의 층으로는, 예를 들어, 반사 방지층, 방현층, 대전 방지층, 도전층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표면에 세퍼레이터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 세퍼레이터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가 실용에 제공될 때까지, 점착제층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리 필름의 수지층과 반대측의 면에는, 그 밖의 층을 배치하지 않는다 (즉, 유리 필름이 노출되어 있다). 또, 노출된 유리 필름 표면에 대한 이물질 부착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리 필름 표면에 임의의 적절한 보호재를 일시적으로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는,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소자의 기판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있어서의 최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전면 보호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B. 유리 필름
상기 유리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 필름은, 조성에 의한 분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 붕산 유리, 알루미노 규산 유리, 석영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칼리 성분에 의한 분류에 의하면, 무알칼리 유리, 저알칼리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유리의 알칼리 금속 성분 (예를 들어, Na2O, K2O, Li2O)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고 30 ㎛ ∼ 3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보다 두껍고 30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 15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 ∼ 120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플렉시블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리 필름이 균열되기 어려워 생산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유리 필름의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광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이다. 상기 유리 필름의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4 ∼ 1.65 이다.
상기 유리 필름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3 g/㎤ ∼ 3.0 g/㎤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g/㎤ ∼ 2.7 g/㎤ 이다. 상기 범위의 유리 필름이면, 경량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가 얻어진다.
상기 유리 필름의 성형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상기 유리 필름은, 실리카나 알루미나 등의 주원료와, 망초나 산화안티몬 등의 소포제와, 카본 등의 환원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400 ℃ ∼ 1600 ℃ 의 온도에서 용융하고, 박판상으로 성형한 후, 냉각시켜 제작된다. 상기 유리 필름의 성형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슬롯 다운 드로법, 퓨전법, 플로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판상으로 성형된 유리 필름은, 박판화하거나 평활성을 높이거나 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불산 등의 용제에 의해 화학 연마되어도 된다.
C. 수지층
상기 수지층으로는, 편광판, 위상차판, 등방성 필름, 도전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은, 단층 구성이어도 되고, 다층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사용된다.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PVA) 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 ㎛ ∼ 3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25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 20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 100 ㎛ 이다.
상기 수지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2 GPa ∼ 10 GPa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GPa ∼ 5 GPa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GPa ∼ 4 GPa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내돌자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C-1. 편광판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수지층은 편광판이다. 편광판은, 편광자와, 그 편광자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구비한다. 편광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 3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 25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 20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 100 ㎛ 이다.
C-1-1.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적절한 두께가 채용될 수 있다. 당해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1 ㎛ ∼ 80 ㎛ 정도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박형의 편광자가 이용되고, 당해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 ㎛ 이하이다. 이와 같이 얇은 편광자를 사용함으로써, 박형의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 ∼ 780 ㎚ 중 어느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2.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3.0 % 이상이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8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5 %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계 편광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 「PVA 계 수지」라고 칭한다)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VA 계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PVA 계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PVA 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 100 몰% 이고, 바람직하게는 95.0 몰% ∼ 99.95 몰%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9.0 몰% ∼ 99.93 몰% 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해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누화도의 PVA 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자가 얻어질 수 있다. 비누화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겔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PVA 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 ∼ 10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1200 ∼ 500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 4500 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해 구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PVA 계 수지 필름 단체를 연신, 염색하는 방법 (I), 수지 기재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는 적층체 (i) 를 연신, 염색하는 방법 (II) 등을 들 수 있다. 방법 (I) 은, 당업계에서 주지 관용의 방법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조 방법 (II) 은, 바람직하게는, 수지 기재와 그 수지 기재의 편측에 형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는 적층체 (i) 를 연신, 염색하고, 그 수지 기재 상에 편광자를 제작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적층체 (i) 는, 수지 기재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건조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 적층체 (i) 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막을 수지 기재 상에 전사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조 방법 (II) 의 자세한 것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73580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 공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C-1-2.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이 채용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이다. 또한,「(메트)아크릴계 수지」란, 아크릴계 수지 및/또는 메타크릴계 수지를 말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글루탈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사용된다. 글루탈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이하, 글루탈이미드 수지라고도 칭한다) 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090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1756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283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283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49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49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4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56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091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617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8484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상기 보호 필름과 상기 편광자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층을 통하여 적층된다. 편광자 제작시에 사용한 수지 기재는,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적층하기 전 혹은 적층한 후에 박리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 ㎛ ∼ 25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 15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 10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 50 ㎛ 이다.
상기 보호 필름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 GPa ∼ 10 GPa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GPa ∼ 7 GPa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GPa ∼ 5 GPa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내돌자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보호 필름의 탄성률은, 오토 그래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
D.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로 형성된다.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폭시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특히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접착제가 열 경화형 접착제인 경우에는, 가열하여 경화 (고화) 시킴으로써 박리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자외선 경화형 등의 광 경화형 접착제인 경우에는,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박리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착제가 습기 경화형 접착제인 경우에는, 공기 중의 수분 등과 반응하여 경화할 수 있으므로, 방치함으로써도 경화시켜 박리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예를 들어, 시판되는 접착제를 사용해도 되고, 각종 경화형 수지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접착제 용액 (또는 분산액) 으로서 조제해도 된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 3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 2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 10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돌자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0.5 GPa ∼ 15 GPa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GPa ∼ 10 GPa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GPa ∼ 5 GPa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돌자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의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에 대한 비 (접착제층의 탄성률/점착제층의 탄성률) 는, 바람직하게는 1 ∼ 10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500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내돌자성이 우수하고, 돌자 강도가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E.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로 형성된다.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된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탄소수가 4 ∼ 12 인 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 1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 8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 50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돌자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0.00001 GPa ∼ 10 GPa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GPa ∼ 8 GPa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GPa ∼ 5 GPa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돌자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점착제층의 탄성률의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가 70 ㎛ 이상인 경우,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0.00001 GPa ∼ 1 GPa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01 GPa ∼ 0.1 GPa 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가 70 ㎛ 미만인 경우,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0.5 GPa ∼ 8 GPa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GPa ∼ 4 GPa 이다. 유리 필름의 두께에 따라, 점착제층의 탄성률을 조절함으로써, 가요성이 우수하고, 내돌자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F. 기타
본 발명에 있어서, JIS Z 1707 : 1997 에 의한 돌자 강도를 2 ㎏ 을 초과하고 50 ㎏ 이하로 하고, 굽힘 반경을 15 ㎜ ∼ 200 ㎜ 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B 항 ∼ E 항에 기재된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달성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다음의 실시양태로 바람직하게 달성할 수 있다.
실시양태 (1)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가 30 ㎛ 이상 60 ㎛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접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을 1 GPa 이상 5 GPa 이하로 하고, 상기 편광판의 두께를 25 ㎛ 이상 200 ㎛ 이하로 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3 ㎛ 이상 50 ㎛ 이하로 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을 1 GPa 이상 4 GPa 이하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제작한다.
실시양태 (2)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가 70 ㎛ 이상 120 ㎛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접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을 1 GPa 이상 5 GPa 이하로 하고, 상기 편광판의 두께를 25 ㎛ 이상 200 ㎛ 이하로 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3 ㎛ 이상 50 ㎛ 이하로 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을 0.00001 GPa 이상 0.1 GPa 이하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제작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부」및「%」는 중량 기준이다.
[제조예 1] 편광판 A 의 준비
(편광자의 준비)
먼저, 비정성 PET 기재에 9 ㎛ 두께의 PVA 층이 제막된 적층체를 연신 온도 130 ℃ 의 공중 보조 연신에 의해 연신 적층체를 생성하고, 다음으로, 연신 적층체를 염색에 의해 착색 적층체를 생성하고, 추가로 착색 적층체를 연신 온도 65 도의 붕산 수중 연신에 의해 총연신 배율이 5.94 배가 되도록 비정성 PET 기재와 일체로 연신된 4 ㎛ 두께의 PVA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이와 같은 2 단 연신에 의해 비정성 PET 기재에 제막된 PVA 층의 PVA 분자가 고차로 배향되고, 염색에 의해 흡착된 요오드가 폴리요오드 이온 착물로서 일 방향으로 고차로 배향된 고기능 편광자를 구성하는, 두께 4 ㎛ 의 PVA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할 수 있었다.
(아크릴계 필름의 준비)
글루탈이미드 고리 단위를 갖는 메타크릴 수지 펠릿을, 100.5 ㎪, 100 ℃ 에서 12 시간 건조시켜, 단축의 압출기로 다이스 온도 270 ℃ 에서 T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필름상으로 성형하였다. 이 필름을, 반송 방향 (MD 방향) 으로 수지의 Tg 보다 10 ℃ 높은 분위기하에서 연신하고, 이어서 필름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TD 방향) 으로 수지의 Tg 보다 7 ℃ 높은 분위기하에서 연신하여, 두께 40 ㎛, 아크릴계 필름을 얻었다.
(경화형 접착제의 준비)
접착제로서,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HEAA (쿄진사 제조) 를 35 중량부,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ACMO (쿄진사 제조) 를 4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TPGDA (토아 합성사 제조, 「상품명」아로닉스 M-220) 를 25 중량부, 광 중합성 개시제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를 3 중량부와, 다른 하나 별도의 광 중합 개시제 (닛폰 화약사 제조, 상품명 「KAYACUREDETX-S」) 를 1.5 중량부 첨가하였다.
(편광판의 제작)
PET 필름 상에 제작된 편광자에 상기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 두께를 약 1 ㎛ 로 하여 도포하였다. 이어서 접착층에 상기 40 ㎛ 의 아크릴계 필름을 첩합 (貼合) 하였다. PET 필름측으로부터 컨베이어식 UV 조사 장치 (fusion 사 제조), 피크 UV 조도 ; 1600 ㎽/㎠, UV 적산 광량 ; 1000 mJ/㎠ (파장 380 ∼ 440 ㎚) 의 자외선을 조사한 접착제를 경화시키고, 추가로 70 ℃ 에서 2 분간 건조시켰다. 마지막으로 아크릴계 필름과 편광자, PET 필름이 적층된 적층체로부터, PET 필름을 박리하여 아크릴계 필름 (보호 필름) 과 편광자의 적층체 (두께가 44 ㎛ 의 편광판 A) 를 얻었다.
[제조예 2] 편광판 B 의 준비
두께 80 ㎛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PVA) 을, 속도비가 상이한 롤 사이에 있어서, 30 ℃, 0.3 % 농도의 요오드 용액 중에서 1 분간 염색하면서, 3 배까지 연신하였다. 그 후, 60 ℃, 4 % 농도의 붕산, 10 % 농도의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 0.5 분간 침지하면서 종합 연신 배율이 6 배까지 연신하였다. 이어서, 30 ℃, 1.5 % 농도의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 10 초간 침지시킴으로써 세정한 후, 50 ℃ 에서 4 분간 건조를 실시하여, 두께 20 ㎛ 의 편광자를 얻었다. 당해 편광자의 양면에, 비누화 처리한 두께 40 ㎛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TAC) 을, 다른 편면에 두께 33 ㎛ 의 노르보르넨계 필름을, 각각,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에 의해 첩합하여 편광판 B (두께 : 93 ㎛) 를 얻었다.
[제조예 3] 편광판 C 의 준비
TAC 필름의 두께를 100 ㎛, 편광자의 두께를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 C (두께 : 137 ㎛) 를 얻었다.
[제조예 4] 편광판 D 의 준비
제조예 1 에서 준비한 편광판 A 의 편광자의 아크릴계 필름 (보호 필름) 과는 반대측의 면에, 하기 제조예 7 에서 조제한 접착제로 구성되는 접착제층 (두께 : 5 ㎛) 을 통하여, TAC 필름 (두께 : 100 ㎛) 을 첩합하여, 아크릴계 필름/편광자/TAC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판 D (두께 : 149 ㎛) 를 얻었다.
[제조예 5] 편광판 E 의 준비
제조예 1 에서 준비한 편광판 A 의 편광자의 아크릴계 필름 (보호 필름) 과는 반대측의 면에, 하기 제조예 6 에서 조제한 점착제로 구성되는 접착제층 (두께 : 20 ㎛) 을 통하여, TAC 필름 (두께 : 100 ㎛) 을 첩합하여, 아크릴계 필름/편광자/TAC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판 E (두께 : 164 ㎛) 를 얻었다.
[제조예 6] 점착제의 준비
(아크릴계 폴리머의 조제)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 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아크릴산 5 중량부 및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075 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 200 중량부를 주입하고,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질소 기류하에서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55 ℃ 부근으로 유지하고 10 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20 만이었다.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과산화물로서 디벤조일퍼옥사이드 (나이퍼 BMT, 닛폰 유지사 제조) 0.2 중량부, 에폭시계 가교제로서 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 제조, 테트라드 C) 0.05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사 제조, 콜로네이트 L) 0.1 중량부와, 실란 커플링제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KBM403) 0.075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고형분 10.9 중량%) 를 조제하였다.
[제조예 7] 접착제의 준비
(에폭시 접착제의 준비)
셀록사이드 2021P (다이셀 화학 공업사 제조) 70 중량부, EHPE 3150 을 5 중량부, 아론옥세탄 OXT-221 (토아 합성사 제조) 19 중량부, KBM-403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을 4 중량부, CPI101A (산아프로사 제조) 를 2 중량부 배합하여 에폭시 접착제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
유리 필름 (닛폰 전기 유리사 제조, 상품명 「OA-10G」, 두께 : 100 ㎛) 과, 제조예 1 에서 제작한 편광판 A 를, 제조예 7 에서 조제한 접착제로 구성되는 접착제층 (두께 : 5 ㎛) 을 통하여, 첩합하였다. 이 때, 편광판 A 는, 보호 필름이 유리 필름측이 되도록 하여 배치하였다. 다음으로, 고압 수은 램프에 의해 접착층에 자외선을 조사 (500 mJ/㎠) 하여 접착층을 경화시켰다.
또한, 편광판의 편광자측에, 제조예 6 에서 조제한 점착제로 구성되는 점착제층 (두께 : 20 ㎛) 을 형성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점착제층은, 이하와 같이 하여 형성하였다. (i) 실리콘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미츠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사 제조, 두께 : 38 ㎛) 상에 도포하고, 155 ℃ 에서 1 분간 가열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20 ㎛ 인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ii) 당해 점착제층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부터, 편광자에 전사하여, 점착제층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
편광판 A 대신에, 편광판 B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3]
편광판 A 대신에, 편광판 C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4]
편광판 A 대신에, 편광판 D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편광판 D 는, TAC 필름이 유리 필름측이 되도록 하여 배치하였다.
[실시예 5]
유리 필름 (닛폰 전기 유리사 제조, 상품명 「OA-10G」, 두께 : 100 ㎛) 대신에, 유리 필름 (닛폰 전기 유리사 제조, 상품명 「OA-10G」, 두께 : 7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1]
유리 필름 (닛폰 전기 유리사 제조, 상품명 「OA-10G」, 두께 : 100 ㎛) 대신에, 유리 필름 (닛폰 전기 유리사 제조, 상품명 「OA-10G」, 두께 : 50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2]
편광판 A 대신에, 편광판 B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3]
편광판 A 대신에, 편광판 C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4]
유리 필름 (닛폰 전기 유리사 제조, 상품명 「OA-10G」, 두께 : 100 ㎛) 과, 제조예 6 에서 조제한 점착제로 구성되는 점착제층 (두께 : 20 ㎛) 과, 편광판 A 와, 제조예 6 에서 조제한 점착제로 구성되는 점착제층 (두께 : 20 ㎛) 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편광판 A 는, 보호 필름이 유리 필름측이 되도록 하여 배치하였다.
[비교예 5]
유리 필름 (닛폰 전기 유리사 제조, 상품명 「OA-10G」, 두께 : 100 ㎛) 대신에, 유리 필름 (닛폰 전기 유리사 제조, 상품명 「OA-10G」, 두께 : 20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6]
유리 필름 (닛폰 전기 유리사 제조, 상품명 「OA-10G」, 두께 : 50 ㎛) 과, 제조예 6 에서 조제한 점착제로 구성되는 점착제층 (두께 : 20 ㎛) 과, TAC 필름 (두께 : 100 ㎛) 과, 제조예 6 에서 조제한 점착제로 구성되는 점착제층 (두께 : 20 ㎛) 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7]
TAC 필름 (두께 100 ㎛), 제조예 6 에서 조제한 점착제로 구성되는 점착제층 (두께 : 20 ㎛), 편광판 E, 제조예 6 에서 조제한 점착제로 구성되는 점착제층 (두께 : 20 ㎛) 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얻었다. 편광판 E 는, TAC 필름이 유리 필름측이 되도록 하여 배치하였다.
<평가>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얻어진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이하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1, 탄성률
(점착제층의 탄성률)
점탄성 측정 장치 ARES (TA 인스트루먼트사 제조) 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즉, 점착제층을 두께 2 ㎜ 의 시트상으로 성형하고, 이것을 직경 25 ㎜ 의 패러렐 플레이트에 맞추어 타발 (打拔) 하여, 장치의 척에 장착하였다. 그리고, 1 Hz 의 주기로 변형을 부여하면서, 5 ℃/분의 승온 속도로 -70 ℃ 에서 150 ℃ 까지 온도를 상승시키고, 23 ℃ 일 때의 저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접착제층, 편광판, 수지층, 유리 필름의 탄성률)
두께 50 ㎛, 폭 2 ㎝, 길이 15 ㎝ 의 단책상 샘플을 제작하고, 오토 그래프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AG-I) 를 사용하여, 단책상 샘플의 길이 방향의 연신율과 응력으로부터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시험 조건은, 척 사이 거리를 10 ㎝, 인장 속도를 10 ㎜/min 으로 하였다.
2, 굴곡성
염화비닐제의 외경이 상이한 폴을 반경 10 ㎜ 간격으로 20 ∼ 100 ㎜ 까지 준비하였다. 굴곡 시험은, 샘플을 유리 필름측 (비교예 7 및 8 에 있어서는, 최표층의 TAC 필름측) 을 외측으로 하여, 폴에 따라 따르게 하고, 니치반사 제조 셀로 테이프 (등록 상표) 를 사용하여 (CT405AP-24 점착력 3.93 N/10 ㎝) 양변을 고정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또는 균열되는지로 굴곡 정도를 확인하고, 굽힘 반경을 측정하였다. 샘플 사이즈는 단변 20 ㎜, 장변은 폴 외경의 반경으로 하였다.
3, 돌자 강도의 평가 방법
5 ㎝□ 의 적층체를 유리판에 첩부하여 평가 샘플로 하였다. 전동식 종형 포스 게이지 스탠드 (닛폰 전산 심포사 제조) 에, 필름 돌자 시험용 지그 (TKS-20N/250N (JIS Z 1707 : 1997 준거, 이마다사 제조) 를 장착하고, 평가 샘플을 스테이지에 설치하고, 돌자봉 (Φ0.5 ㎜) 을 20 ㎜/min 의 속도로 샘플에 찔러, 유리가 균열되었을 때의 압입 하중을 포스 게이지로 측정하여 돌자 강도로 하였다.
4, 연필 경도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의 점착제층과는 반대측의 면 (즉, 유리 필름 표면, 또는 TAC 필름 표면) 에 대하여, JIS K 5600-5-4 의 연필 경도 시험에 준하여 (단, 하중 500 g),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5, 강도 P
상기 A 항에서 설명한 강도 P 를 산출하였다.
Figure 112020042992394-pct00003
10 : 유리 필름
20 : 접착제층
30 : 수지층
30' : 편광판
31 : 보호 필름
32 : 편광자
40 : 점착제층
100, 200 :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Claims (9)

  1. 유리 필름과, 접착제층과, 수지층과, 점착제층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로서,
    유리 필름의 두께가 50 ㎛ 보다 두껍고, 150 ㎛ 이하이고,
    JIS Z 1707 : 1997 에 의한 돌자 강도가, 2 ㎏ 을 초과하고 50 ㎏ 이하이고,
    굽힘 반경이, 15 ㎜ ∼ 200 ㎜ 이며,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0.00001 GPa ∼ 10 GPa 이며,
    상기 접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의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에 대한 비 (접착제층의 탄성률/점착제층의 탄성률) 가, 1 ∼ 1000 인,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강도 P 가, 500 ((10-4(㎛)3(GPa)2) 이상인,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수학식 1]
    Figure 112021119671754-pct00004

    식 (1) 에 있어서, Eg 는 상기 유리 필름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 tg 는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 Ea1 은 상기 접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 ta1 은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 Ep 는 상기 수지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 tp 는 상기 수지층의 두께, Ea2 는 상기 점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 ta2 는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나타낸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편광판인,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이, 편광자와, 그 편광자의 편측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그 보호 필름과, 그 편광자가, 상기 유리 필름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6.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2 GPa ∼ 10 GPa 인,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23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0.5 GPa ∼ 15 GPa 인,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8. 삭제
  9. 삭제
KR1020207012159A 2017-10-30 2018-10-25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KR102411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19180A KR102530127B1 (ko) 2017-10-30 2018-10-25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9480 2017-10-30
JP2017209480 2017-10-30
PCT/JP2018/039743 WO2019087938A1 (ja) 2017-10-30 2018-10-25 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180A Division KR102530127B1 (ko) 2017-10-30 2018-10-25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463A KR20200060463A (ko) 2020-05-29
KR102411234B1 true KR102411234B1 (ko) 2022-06-22

Family

ID=663319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180A KR102530127B1 (ko) 2017-10-30 2018-10-25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KR1020207012159A KR102411234B1 (ko) 2017-10-30 2018-10-25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180A KR102530127B1 (ko) 2017-10-30 2018-10-25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60077B2 (ko)
EP (1) EP3705290A4 (ko)
JP (2) JP6987146B2 (ko)
KR (2) KR102530127B1 (ko)
CN (2) CN116030719A (ko)
TW (1) TWI786211B (ko)
WO (1) WO20190879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9376A1 (ja) * 2019-03-06 2020-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ンサー装置
WO2021016879A1 (zh) * 2019-07-30 2021-02-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板支撑结构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JP6856720B2 (ja) * 2019-08-20 2021-04-07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層付積層体および該ガラス層付積層体を含む画像表示装置
JP2021056306A (ja) * 2019-09-27 2021-04-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6857771B1 (ja) * 2019-10-28 2021-04-1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WO2021261119A1 (ja) * 2020-06-24 2021-12-3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7198256B2 (ja) * 2020-11-24 2022-12-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2022006687A (ja) * 2020-06-24 2022-01-1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2085125A (ja) * 2020-11-27 2022-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層構造体
JPWO2023032783A1 (ko) 2021-08-31 2023-03-09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4177A (ja) * 2015-07-15 2017-02-0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2017039227A (ja) 2015-08-17 2017-02-23 三菱樹脂株式会社 ガラス積層体、ガラス積層体ロール、電子デバイス用基板、及び離型フィルム付きガラス層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69357B (en) 1996-08-05 2001-12-21 Teijin Ltd Alignment film with pores
US20020015807A1 (en) * 2000-06-19 2002-02-07 Youichirou Sugino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CN100500427C (zh) 2002-12-26 2009-06-17 三菱树脂株式会社 树脂覆盖金属板、树脂覆盖金属板用的图案设计薄板及树脂覆盖金属板的制造方法
JP2006309033A (ja) 2005-04-28 2006-11-09 Kaneka Corp 光学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6328334A (ja) 2005-04-28 2006-12-07 Kaneka Corp 樹脂組成物、またはこれを使用した光学用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
JP2006317560A (ja) 2005-05-10 2006-11-24 Kaneka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07009182A (ja) 2005-05-11 2007-01-18 Kaneka Corp 樹脂組成物、成形体、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2006328329A (ja) 2005-05-30 2006-12-07 Kaneka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用基材、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6337492A (ja) 2005-05-31 2006-12-14 Kaneka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4695439B2 (ja) 2005-05-31 2011-06-08 株式会社カネカ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4686261B2 (ja) 2005-05-31 2011-05-25 株式会社カネカ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06337569A (ja) 2005-05-31 2006-12-14 Kaneka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液晶表示装置
JP5000940B2 (ja) * 2006-01-13 2012-08-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粘着シート、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859128B2 (ja) 2007-03-15 2012-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9161744A (ja) 2007-12-11 2009-07-23 Kaneka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光学用フィルム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JP2010284840A (ja) 2009-06-10 2010-12-24 Kaneka Corp コーティング層が付与された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偏光板
JP5414738B2 (ja) 2010-09-03 2014-02-12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偏光膜の製造方法
US8525405B2 (en) 2011-08-19 2013-09-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glass polarizers
JP5883333B2 (ja) 2012-04-02 2016-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175767A1 (ja) 2012-05-23 2013-11-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4084045A1 (ja) * 2012-11-28 2014-06-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機能付きガラ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DE102014207837A1 (de) 2014-04-25 2015-10-29 Tesa Se Dünnglasverbund und Verfahren zur Lagerung von Dünnglas
JP6075424B2 (ja) * 2014-09-30 2017-02-0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16157081A (ja) * 2015-02-26 2016-09-0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191904A (ja) * 2015-03-30 2016-11-10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US20170306194A1 (en) * 2016-04-25 2017-10-26 Samsung Sdi Co., Ltd.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WO2018079545A1 (ja) * 2016-10-26 2018-05-03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樹脂複合体
KR20210066022A (ko) 2017-03-23 2021-06-0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4177A (ja) * 2015-07-15 2017-02-0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2017039227A (ja) 2015-08-17 2017-02-23 三菱樹脂株式会社 ガラス積層体、ガラス積層体ロール、電子デバイス用基板、及び離型フィルム付きガラス層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60077B2 (en) 2023-09-19
CN116030719A (zh) 2023-04-28
TW201922492A (zh) 2019-06-16
KR102530127B1 (ko) 2023-05-08
KR20220082112A (ko) 2022-06-16
WO2019087938A1 (ja) 2019-05-09
CN111315573B (zh) 2023-01-13
JP6987146B2 (ja) 2021-12-22
CN111315573A (zh) 2020-06-19
EP3705290A1 (en) 2020-09-09
US20210178740A1 (en) 2021-06-17
TWI786211B (zh) 2022-12-11
JP2022044052A (ja) 2022-03-16
KR20200060463A (ko) 2020-05-29
EP3705290A4 (en) 2021-08-04
JPWO2019087938A1 (ja)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234B1 (ko)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EP3323609A1 (en) Optical laminate
KR20180011238A (ko)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
WO2021095516A1 (ja) 光学フィルムセット、液晶パネル
WO2020203128A1 (ja) 光学フィルムセット、光学積層体
WO2021060107A1 (ja) 光学フィルム
WO2019208361A1 (ja) ガラスフィルム-樹脂複合体
WO2020179376A1 (ja) センサー装置
TWI736968B (zh) 光學薄膜組及光學積層體
KR20210148127A (ko) 유리 수지 적층체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