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501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501A
KR20230054501A KR1020237012518A KR20237012518A KR20230054501A KR 20230054501 A KR20230054501 A KR 20230054501A KR 1020237012518 A KR1020237012518 A KR 1020237012518A KR 20237012518 A KR20237012518 A KR 20237012518A KR 20230054501 A KR20230054501 A KR 20230054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a water
tank
case
exhaust gas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이치 카지하라
쇼타 쿠니마츠
마사즈미 아베
카즈후미 와타나베
분쿄 칸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42691A external-priority patent/JP65854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426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104084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31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6679A/ko
Publication of KR2023005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콤바인은 주행 기체에 탑재된 동력원으로서의 엔진과 엔진의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배기 가스 정화 케이스와 배기 가스 정화 케이스에 공급되는 요소수를 수용하는 요소수 탱크와 수확한 곡물을 수용하는 곡물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곡물 탱크는 요소수 탱크가 배치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포장에 식립한 곡간(穀稈)을 예취해서 곡립(穀粒)을 수집하는 콤바인 또는 사료용 곡간을 예취해서 사료로서 수집하는 사료 콤바인 등의 콤바인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디젤 엔진 등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즉, 파티큘레이트) 또는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된 질소 산화 물질(NOx) 등을 제거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디젤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배기 가스 후 처리 장치)로서, 디젤 파티큘레이터 필터를 내설한 케이스(이하, DPF 케이스라고 한다)와 선택 환원형 촉매를 내설한 케이스(이하, SCR 케이스라고 한다)를 설치하고, DPF 케이스와 SCR 케이스에 배기 가스를 도입하고,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9-7442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2150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177233호 공보
선택적 촉매 환원(SCR)법을 사용해서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경우, 환원제(예를 들면, 요소)의 공급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SCR 탈질 장치를 콤바인에 탑재하는 경우, SCR 케이스뿐만 아니라 환원제를 수용한 환원제 탱크의 설치 스페이스도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들의 현상을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콤바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콤바인은 주행 기체에 탑재된 동력원인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공급되는 환원제를 수용하는 환원제 탱크와, 수확한 곡물을 반입하는 곡물 탱크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곡물 탱크는 측면 중도부에 상기 환원제 탱크가 탑재되는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곡물 탱크가 주행 기체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곡물 탱크의 회동 지점 근방에 상기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상기 곡물 탱크의 회동 지점이 상기 곡물 탱크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곡물 탱크 전방을 기외측방에 개방되도록 상기 곡물 탱크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는 상기 곡물 탱크의 측면 중 상기 회동 지점에 가까운 측면에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상기 곡물 탱크의 전방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곡물 탱크의 기내측면 전방을 노치한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 하측에, 상기 주행 기체로부터 세워 설치시킨 정화 장치 지지용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정화 장치 지지용 프레임 상에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는 상기 곡물 탱크의 후면 측방을 노치하여 형성되고, 상기 회동 지점보다 주행 기체 외측의 위치에 상기 환원제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환원제 탱크와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연결하는 환원제 배관이 상기 곡물 탱크를 따라서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 배관은 상기 환원제 탱크로부터 상기 회동 지점보다 주행 기체 중앙측으로 인도되고, 상기 곡물 탱크의 하방을 통과해서 주행 기체 전방으로 인도되고, 상기 정화 장치 지지용 프레임을 따라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로 인도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상기 환원제를 공급시키는 환원제 수 공급 장치가 상기 환원제 배관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환원제 수 공급 장치는 상기 정화 장치 지지용 프레임에 설치된 공급 장치용 지지체에 고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런데, 선택적 촉매 환원(SCR)법을 사용해서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경우, 환원제(예를 들면, 요소)의 공급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SCR 탈질 장치를 콤바인에 탑재하는 경우, SCR 케이스뿐만 아니라 환원제를 수용한 환원제 탱크를 탑재하고, 환원제 탱크 내의 환원제 잔량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연료 잔량에 따른 연료 잔량 표시와 상기 환원제 탱크 내의 환원제 잔량에 따른 환원제 잔량 표시를 표시 화면에 인접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도록 해도 좋다.
본원 발명의 콤바인은 곡물 탱크가 환원제 탱크가 배치되는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콤바인의 외형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환원제 탱크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곡물 탱크는 지지 부재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주행 기체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있는 구성이고, 상기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는 곡물 탱크의 측면 중 회동 지점에 가까운 측면에 설치되어 있도록 하면, 환원제 탱크에 접속되는 환원제 배관에 관해서, 곡물 탱크의 회동 시에 있어서의 휘어짐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는 회동 지점보다 주행 기체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환원제 탱크에 접속된 환원제 배관은 환원제 탱크로부터 상기 회동 지점보다 주행 기체 중앙측으로 인도되도록 하면, 환원제 배관이 곡물 탱크의 회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원제 배관은 곡물 탱크의 하방을 통과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측으로 인도되도록 하면, 환원제 배관이 곡물 탱크의 회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엔진은 곡물 탱크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는 곡물 탱크의 후측면에 설치되어 있도록 하면, 환원제 탱크가 엔진으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연료 잔량 표시와 환원제 잔량 표시를 표시 화면에 인접해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도록 하면, 콤바인의 사용에 의해 감소해가는 연료와 환원제의 잔량 표시를 인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연료 및 환원제의 양방의 잔량을 거의 시선을 움직이지 않고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잔량 표시가 떨어진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오퍼레이터의 시인성이 향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6조 예취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엔진 주변 부품과 곡물 탱크 및 탈곡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부착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8은 동 배면도이다.
도 9는 엔진 및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요소수 공급 장치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부착부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배관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곡물 탱크와 세로 인출 컨베이어의 배치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후방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요소수 탱크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8은 요소수 탱크의 배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곡물 탱크의 회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곡물 탱크의 회동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곡물 탱크의 오목부를 부분 단면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요소수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3은 보급대 및 요소수 탱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4는 보급대 및 요소수 탱크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5는 운전 캐빈의 상면 사시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예취 작업 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화면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표시 화면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예취 작업 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화면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29는 비작업 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화면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30은 요소수 탱크의 만수 경고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31은 요소수 탱크의 잔량 경고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20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1∼도 4를 참조하여 디젤 엔진이 탑재된 실시형태의 콤바인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단지,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단지 우측이라고 칭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2)에 의해 지지된 주행 기체(1)를 구비한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는 곡간을 예취하면서 거두어 들이는 6조 예취용의 예취 장치(3)가 단동식의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의해 예취 회동 지점축(4a) 둘레에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주행 기체(1)에는 피드 체인(6)을 갖는 탈곡 장치(5)와, 상기 탈곡 장치(5)로부터 인출된 곡립을 저장하는 곡물 탱크(그레인 탱크(grain tank))(7)가 횡배열 형상으로 탑재된다. 또한, 탈곡 장치(5)가 주행 기체(1)의 좌측에, 곡물 탱크(7)가 주행 기체(1)의 우측에 배치된다.
또한, 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 세로 인출 컨베이어(8a)를 통해서 선회 가능한 곡물 배출 컨베이어(8)가 설치되고, 곡물 탱크(7)의 내부의 곡립이 곡물 배출 컨베이어(8)의 벼 배출구(9)로부터 트럭의 짐받이 또는 컨테이너 등에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예취 장치(3)의 우측방이고 곡물 탱크(7)의 전측방에는 운전 캐빈(10)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10)의 전면 하부에 캐빈 회동 지점축(10a)을 설치하고, 캐빈 회동 지점축(10a)을 통해서 주행 기체(1)에 운전 캐빈(10)의 전면 하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기외 전측방을 향해서 운전 캐빈(10)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캐빈 회동 지점축(10a) 둘레에 운전 캐빈(10)을 전방측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운전 캐빈(10) 내에는 조종 핸들(11)과, 운전 좌석(12)과, 주변속 레버(15)와, 부변속 레버(16)와, 탈곡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하는 탈곡 클러치 레버(17)와, 예취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18)를 배치하고 있다. 운전 좌석(12)의 하방의 주행기체(1)에는 동력원으로서의 디젤 엔진(1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캐빈(10)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스텝과, 조종 핸들(11)을 설치한 핸들 칼럼과, 상기 각 레버(15, 16, 17, 18)를 설치한 레버 칼럼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의 하면측에 좌우의 트랙 프레임(21)을 배치하고 있다. 트랙 프레임(21)에는 주행 크롤러(2)에 엔진(14)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킷(22)과, 주행 크롤러(2)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롤러(23)와,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접지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의 트랙 롤러(24)와,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유지하는 중간 롤러(25)를 설치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킷(22)에 의해 주행 크롤러(2) 전측을 지지하고, 텐션 롤러(23)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후측을 지지하고, 트랙 롤러(24)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지지하고, 중간 롤러(25)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지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14)에 공급하는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 탱크(31)를 주행 기체(1)의 좌측 후방부에 배치하고, 탈곡 장치(5) 좌측의 기외측방으로부터 연료 탱크(31) 내에 디젤 연료를 보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즉, 연료 탱크(31)는 주행 기체(1) 상이고, 탈곡 장치(5) 후방부의 배고(排藁) 커터(65) 하방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급유구(32)를 탈곡 장치(5) 좌측에 연장 설치시켜서, 기외측방으로부터 급유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3)의 예취 회동 지점축(4a)에 연결한 예취 프레임(51)에는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의 밑둥을 절단하는 바리캉식의 예취날 장치(52)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 프레임(51)의 전방에는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을 일으켜세우는 6조분의 곡간 일으켜세움 장치(53)가 배치되어 있다. 곡간 일으켜세움 장치(53)와 피드 체인(6)의 전단부(이송 시단측) 사이에는 예취날 장치(52)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54)가 배치된다. 또한, 곡간 일으켜세움 장치(53)의 하부 전방에는 미예취 곡간을 분초하는 6조분의 분초체(55)가 돌출되어 있다. 포장 내를 이동하면서 예취 장치(3)에 의해 포장에 식립된 미예취 곡간을 연속적으로 예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탈곡 장치(5)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에는 곡간 탈곡용 급동(56)과, 급동(56)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탈립물을 선별하는 요동 선별반(57) 및 풍구 팬(58)과, 급동(56)의 후방부로부터 인출되는 탈곡 배출물을 재처리하는 처리동(59)과, 요동 선별반(57)의 후방부의 먼지를 배출하는 배진 팬(6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취 장치(3)로부터 곡간 반송 장치(54)에 의해 반송된 곡간은 피드 체인(6)에 계승되어서 탈곡 장치(5)에 반입되어 급동(56)에서 탈곡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57)의 하방측에는 요동 선별반(57)에서 선별된 곡립(1번물)을 인출하는 1번 컨베이어(61)와, 지경 부착 곡립 등의 2번물을 인출하는 2번 컨베이어(62)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반(57)은 급동(56)의 하방에 펼쳐 설치된 수망(67)으로부터 누하된 탈곡물이 피드 팬(68) 및 채프 시브(69)에 의해 요동 선별(비중 선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요동 선별반(57)으로부터 낙하한 곡립은 그 곡립 중의 분진이 풍구 팬(58)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어 1번 컨베이어(61)에 낙하된다. 1번 컨베이어(61)로부터 인출된 곡립은 곡물 리프팅 컨베이어(grain lifting conveyor)(63)를 통해서 곡물 탱크(7)에 반입되어 곡물 탱크(7)에 수집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57)은 요동 선별에 의해 채프 시브(69)로부터 지경 부착 곡립 등의 2번물을 2번 컨베이어(62)에 낙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채프 시브(69)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2번물을 바람으로 선별하는 선별 팬(71)을 구비한다. 채프 시브(69)로부터 낙하한 2번물은 그 곡립 중의 분진 및 짚부스러기가 선별 팬(71)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어 2번 컨베이어(62)에 낙하한다. 2번 컨베이어(62)의 종단부는 환원 컨베이어(66)를 통해서 피드 팬(68)의 상면측에 연통 접속되고, 2번물을 요동 선별반(67)의 상면측으로 되돌려서 재선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 체인(6)의 후단측(이송 종단측)에는 짚배출 체인(64)과 배출짚 커터(65)가 배치되어 있다. 피드 체인(6)의 후단측에서 짚배출 체인(64)에 계승된 배출짚(곡립이 탈립된 짚)은 긴 상태로 주행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탈곡 장치(5)의 후방부에 설치된 배출짚 커터(65)에 의해 적당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뒤 주행 기체(1)의 후방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4∼도 13을 참조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로서의 제 1 케이스(75)(디젤 파티큘레이터 필터, DPF) 및 제 2 케이스(229)(선택 촉매 환원, SCR)과 디젤 엔진(14)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케이스(75)는 디젤 엔진(14)의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한다. 제 2 케이스(229)(배기 가스 정화 케이스)는 디젤 엔진(14)의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SCR 시스템을 구성한다.
도 4∼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는 디젤 엔진(14)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는 연속 재생식의 제 1 케이스(75)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케이스로서의 제 1 케이스(75)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척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를 갖는다.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의 내부에, 이산화질소(NO2)를 생성하는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79)와, 포집한 입자상 물질(PM)을 비교적 저온에서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하는 허니콤 구조의 수트 필터(80)를 배기 가스의 이동 방향(전측으로부터 후측)에 직렬로 배열하고 있다.
또한, 도 4∼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측 케이스(76)에 배기 가스 입구관으로서의 정화 입구관(81)을 용접 고정함과 아울러, 출구측 케이스(77)에 배기 가스 출구관으로서의 정화 출구관(82)의 일단측을 볼트 체결한다. 정화 출구관(82)의 타단측에 후술하는 요소 혼합관(239)(배기관)의 일단측을 플랜지 체결 고정시키고, 정화 출구관(82)에 요소 혼합관(239)을 접속하고 있다. 디젤 엔진(14)의 배기 가스가 정화 입구관(81)으로부터 제 1 케이스(75)내에 도입되고, 제 1 케이스(75)내의 배기 가스가 정화 출구관(82)으로부터 요소 혼합관(239)에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는 복수조의 두꺼운 판형상 중간 플랜지체(84)와 복수개의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 산화 촉매(79)의 산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질소(NO2)가 수트 필터(80)내에 일측 끝면(도입측 끝면)으로부터 공급된다. 디젤 엔진(14)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M)은 수트 필터(80)에 포집되어서 이산화질소(NO2)에 의해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된다. 디젤 엔진(14)의 배기 가스 중의 입상 물질(PM)의 제거에 더해, 디젤 엔진(14)의 배기 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이어서, 도 4∼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디젤 엔진(14)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로서, 디젤 엔진(14)의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선택 촉매 환원(SCR) 시스템으로서의 제 2 케이스(229)를 구비한다.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75)와 동일하게, 제 2 케이스(229)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척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 2 케이스(229)에는 요소 선택 촉매 환원용의 SCR 촉매(232), 산화 촉매(233)가 내설되고, 질소 산화 물질(NOx)을 저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 2 케이스(229)의 상하 단부(배기 가스 이동 방향 일단측과 동 타단측)에는 배기 가스를 도입하는 SCR 입구관(236)과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SCR 출구관(237)을 설치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229) 후단부에 출구관 브래킷(150)을 통해서 SCR 출구관(237)을 설치하고, 출구관 브래킷(150)에 파이프 지지체(151)를 통해서 요소 혼합관(239) 후단부의 요소 분사부(240)를 체결 고정시킴과 아울러, 제 1 케이스(75) 후단부의 정화 출구관(82)에 볼트 체결용 플랜지(152)를 통해서 요소 혼합관(239) 후단부의 요소 분사부(240)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한편, 요소 혼합관(239)의 전단측에 SCR 입구관(236)을 연결시키는 것이고, 요소 혼합관(239)을 통해서 정화 출구관(82)에 SCR 입구관(236)을 접속시키고, 제 1 케이스(75)의 배기 가스를 제 2 케이스(229)내에 도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요소수 탱크(174)(환원제 탱크)의 요소수(환원제)가 요소 혼합관(239) 내에 공급되고, 제 1 케이스(75)로부터 제 2 케이스(229)에 이르는 배기 가스 중에 요소수가 가수분해되어 암모니아로서 혼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요소수를 대신하여 다른 환원제, 예를 들면 무수의 암모니아나 암모니아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에서 디젤 엔진(14)의 배기 가스가 정화되어서 테일 파이프(83)로부터 기외로 방출된다.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의 상면측에 테일 파이프(83)를 지지시키고 있다. 탈곡 장치(5) 상면의 우측부에 파이프 브래킷(246)을 볼트 체결하고, 탈곡 장치(5) 상면(탈곡기 케이스 우측 상부의 모서리의 탈곡 상면 프레임)에 파이프 브래킷(246)을 세워 설치시킴과 아울러, 파이프 브래킷(246)의 상단측에 후측 파이프 지지체(248)의 하단측을 볼트 체결하고, 후측 파이프 지지체(248)의 상단측에 테일 파이프(83)의 후단측을 고착하고, 테일 파이프(83) 후단측의 배기 가스 출구를 기체 후방을 향해서 개구시키고 있다. 또한, 도 8,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의 후단에 용접 고착된 하측 브래킷(245)의 상면에 파이프 브래킷(247)을 설치하고, 파이프 브래킷(247)에 전측 파이프 지지체(249)의 하단측을 볼트 체결하고, 전측 파이프 지지체(249)의 상단측에 테일 파이프(83)의 전단측을 고착하고, SCR 출구관(237)에 테일 파이프(83)의 전단측을 접속시켜 제 2 케이스(229)의 배기 가스를 테일 파이프(83)로부터 배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에 있어서, 우선, DPF(75) 내의 산화 촉매(79) 및 수트 필터(80)에 의해 디젤 엔진(14)의 배기 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가 저감된다. 이어서, 요소 혼합관(239)의 내부에서, 디젤 엔진(14)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에 요소 분사부(240)로부터의 요소수가 혼합되고, 제 2 케이스(229) 내의 SCR 촉매(232), 산화 촉매(233)에 의해 요소수가 암모니아로서 혼합된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NOx)이 저감된다. 그리고, 제 2 케이스(229)에서 정화된 배기 가스가 테일 파이프(83)로부터 탈곡 장치(5) 후방부의 상면측을 향해서 배출된다. 또한, 소경측의 SCR 출구관(237)과 대경측의 테일 파이프(83)의 접속부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간극으로부터 테일 파이프(83) 내에 외기를 흡입하여, SCR 출구관(237)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에 상기 외기를 혼합하고, 배기 온도가 저하한 배기 가스를 테일 파이프(83)로부터 배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물 탱크(7)는 전면 좌측을 노치한 형상에 의한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와, 상면 좌측에 전후 방향의 홈형상에 의한 곡물 배출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b)와, 좌측면 중앙에 상하 방향을 따라 단차를 형성한 형상에 의한 양곡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c)와, 후측면의 주행 기체(1) 외측의 코너부를 노치한 형상에 의한 요소수 탱크 설치용 오목부(254)를 구비하고 있다. 곡물 탱크(7) 전면의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에는 엔진(14) 후방에 공간이 형성되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가 배치된다. 곡물 탱크(7) 상면의 곡물 배출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b)에는 컨베이어 지지체(90)에 선단을 수용한 곡물 배출 컨베이어(8)가 곡물 배출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b)를 따라서 수용된다. 또한, 곡물 탱크(7) 좌측면의 양곡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c)에는 양곡 컨베이어(63)가 배치되어 있고, 양곡 컨베이어(63) 상부의 벼 배출구가 양곡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c) 상부에 설치된 수용구에 연결된다. 또한, 곡물 탱크(7) 후측면의 주행 기체(1) 외측 코너부의 요소수 탱크 설치용 오목부(254)에는 후술하는 요소수 탱크(174)가 배치된다.
도 1∼도 5,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물 탱크(7)의 저부에 가로 이송 컨베이어(8b)를 전후 방향에 배치함과 아울러, 가로 이송 컨베이어(8b)의 후단에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의 하단(기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곡물 탱크(7) 저부에 기외측 저판(7d)과 기내측 저판(7e)을 설치하고, 가로 이송 컨베이어(8b)를 향해서 기외측 저판(7d)과 기내측 저판(7e)을 경사시켜, 곡물 탱크(7) 내부의 곡립을 가로 이송 컨베이어(8b) 방향으로 유하시킨다. 가로 이송 컨베이어(8b)는 곡물 탱크(7)의 저부 전후를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고, 곡물 탱크(7)의 저판을 따라서 유하하는 곡립을 후방의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에 반송한다.
세로 인출 컨베이어(8a)는 곡물 탱크(7) 후단면에서 돌출시킨 가로 이송 컨베이어(8b) 후단에 설치되는 하단측 계승 케이스(8c)와 하단이 연결되고, 곡물 탱크(7) 후단면을 따라서 곡물 탱크(7) 상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다. 곡물 배출 컨베이어(8)는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의 상단에 연결된 상단측 계승 케이스(8d)와 후단이 연결되고, 전방을 향해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곡물 탱크(7)의 가로 이송 컨베이어(8b)로부터 반송되는 곡립이 하단측 계승 케이스(8c)를 통해서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에 반입된다. 그리고,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에 있어서, 곡립이 상방으로 반송되면, 상단측 계승 케이스(8d)를 통하여 곡물 배출 컨베이어(8)에 반입된다. 또한, 곡물 배출 컨베이어(8)에 있어서, 곡립이 전방에 반송되어서 벼 배출구(9)로부터 배출된다.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의 하단(기단)측은 하단측 계승 케이스(8c)를 통해서 곡물 탱크(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단측 계승 케이스(8c)의 저부가 주행 기체(1) 상에 설치된 돌기부(40)에 감합되어 있고, 하단측 계승 케이스(8c)가 고정되는 곡물 탱크(7)가 주행 기체(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세로 인출 컨베이어(8a)는 하단측 계승 케이스(8c)와 연결한 하측 통 케이스(41)와, 상단측 계승 케이스(8c)와 연결한 상측 통 케이스(42)를 구비하고 있고, 하측 통 케이스(41)에 대하여 상측 통 케이스(4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측 통 케이스(42)는 하단 외주면에 선회용 기어(43)를 구비하고 있고, 이 선회용 기어(43)가 선회용 모터(액츄에이터)(44)의 회전축에 설치한 기어(도시생략)와 맞물리고, 선회용 모터(44)로부터의 회전에 기초하여 회동 가능해지는 구성을 갖는다. 상측 통 케이스(42)는 그 상방 부분이 곡물 탱크(7)의 후측면에 양 단부가 연결된 U자 형상의 지지체(45)에 의해 파지됨과 아울러, 그 하방 부분이 주행 기체(1)로부터 세워 설치한 지지 프레임(46) 상단에 연결된 U자 형상의 지지체(47)에 의해 파지된다. 즉, 상측 통 케이스(42)는 곡물 탱크(7) 및 지지 프레임(46)에 고정된 지지체(45, 4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선회용 모터(44)에 의해 상측 통 케이스(42)가 회동함으로써 곡물 배출 컨베이어(8)가 곡물 탱크(7)에 대하여(세로 인출 컨베이어(8a)를 회전축으로서) 선회하는 것이 된다.
하측 통 케이스(41)는 하단(기단)측이 하단측 계승 케이스(8c)를 통해서 곡물 탱크(7)에 고정되는 한편, 상단측이 상측 통 케이스(42)와 감합되어 있고, 상측 통 케이스(42)가 하측 통 케이스(4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선회용 모터(44)는 지지체(47)의 측면에 설치된 모터 고정 브래킷(48) 상에 적재 고정되어 있고, 모터 고정 브래킷(48)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선회용 모터(44)의 모터 축선단에 설치한 기어에 상측 통 케이스(42)의 선회용 기어(43)가 맞물리고 있다. 모터 고정 브래킷(48)의 저면에는 하측 통 케이스(41)의 상방 부분을 파지하는 U자 형상의 지지체(49)가 고정되어 있다. 즉, 하측 통 케이스(41)는 하단측이 곡물 탱크(7)에 고정되는 한편, 지지 프레임(46)에 고정된 지지체(49)에 의해 상단측이 피봇 지지된다.
도 5,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의 수납 위치에 곡물 탱크(7)를 고정 지지하는 록 핀(161)과 록 암(162)을 구비하고, 탈곡 장치(5)의 우측 상면에 록 핀(161)을 고착하고, 곡물 탱크(7) 전면의 좌측부에 록 암(162)을 부착한다. 록 핀 고정 프레임(160)을 탈곡 장치(5) 상면의 우측부에 설치하고, 록 핀 고정 프레임(160) 선단부에 록 핀(161)을 고정하고 있다. 또한, 곡물 탱크(7) 전면에 록 해제 레버(164)를 부착하고, 록 암(162)에 연계 로드(163)를 통해서 록 해제 레버를 연결시키고, 록 해제 레버 조작으로 록 핀(161)으로부터 락 암(162)을 이탈가능하게 구성한다. 록 해제 레버의 록 암(162) 이탈 조작으로 곡물 탱크(7)를 세로 인출 컨베이어(8a) 축심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곡물 탱크(7) 전단면 하부 가장자리에는 주행 기체(1) 상을 슬라이딩하는 차륜(167)이 축지지되어 있고, 차륜(167)이 주행 기체(1) 상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곡물 탱크(7)의 전방을 지지시키면서, 곡물 탱크(7)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주행 기체(1)의 우측방(기외측방)에는 곡물 탱크(7)의 차륜(167)을 받는 레일(168)이 설치되어 있다. 레일(168)은 기외(우측)를 향해서 하측으로 굴곡시킨 형상을 갖고 있고, 기외측방(우측)까지 개방한 곡물 탱크(7)가 폐쇄될 때에, 주행 기체(1) 상에 곡물 탱크(7)를 탑재할 수 있도록 차륜(167)을 주행 기체(1) 상면에 안내한다. 또한, 곡물 탱크(7) 전단면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위치 결정 부재(169)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부재(169)는 차륜(167)으로부터 기외측(우측)에 설치된 판부재로 구성되고, 그 기외측(오른쪽) 단부를 레일(168)의 굴곡에 따른 형상으로 하측으로 굴곡시킨다. 따라서, 곡물 탱크(7)를 폐쇄했을 때에, 위치 결정 부재(169)의 굴곡 부분이 레일(168)의 굴곡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곡물 탱크(7)의 설치 위치가 고정된다.
세로 인출 컨베이어(8a)는 곡물 탱크(7) 후단면을 따라 세워서 설치되도록 곡물 탱크(7)에 고정되어 있고, 돌기부(40) 및 지지체(45, 47, 4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곡물 탱크(7) 전단면은 주행 기체(1) 상을 슬라이딩하는 차륜(16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세로 인출 컨베이어(8a) 축심선 둘레에 곡물 탱크(7)를 기외측을 향해서 회동 가능하게 하고, 탈곡 장치(5) 우측면과 후술하는 엔진 룸(97) 후면을 개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곡물 탱크(7) 후방에,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의 주위를 덮는 후방 커버(3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곡물 탱크(7)의 기외측 저판(7d) 외측면에 저부 커버체(165)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 상에 엔진 룸 프레임(91)을 세워서 설치하고, 주행 기체(1) 상면측에 적재된 디젤 엔진(14)의 후면측을 엔진 룸 프레임(91)으로 둘러싼다. 엔진 룸 프레임(91)은 왼쪽에 배치된 각파이프 형상의 좌측 지주체(92)와, 오른쪽에 배치된 역U자 형상의 우측 지주체(93)와, 좌우의 지주체(92, 93a)에 양단측을 일체적으로 고정시킨 각파이프 형상의 횡 프레임(94)을 갖는다. 횡 프레임(94)은 일단이 좌측 지주체(92) 상단과 연결되어 있는 한편, 타단을 우측 지주체(93) 상부에 고정한 각파이프 형상의 세로 프레임(93a)과 연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지주체(92)의 상단측에 컨베이어 지지체(90)를 설치하고, 컨베이어 지지체(90)를 통해서 곡물 배출 컨베이어(8)를 수납 위치에 지지시킨다.
또한, 운전 캐빈(10)의 저면 후방부에 설치하는 고무제의 압접 다리체(도시생략)를 횡 프레임(94)의 좌우의 받침대(96) 상면에 상방측으로부터 운전 캐빈(10)저부의 압접 다리체를 접촉하고, 횡 프레임(94)의 각 받침대(96)에 운전 캐빈(10)의 후방부를 상하 방향으로 접촉 이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운전 캐빈(10) 저면측과 엔진 룸 프레임(91)으로 형성되는 엔진 룸(97)의 내부에 디젤 엔진(1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디젤 엔진(14)에 외기를 공급하는 에어 클리너(123)와 에어 클리너(123)에 외기를 도입하는 프리 클리너(124)를 구비한다. 엔진 룸(97)의 상면 중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 우측방에 에어 클리너(123)를 배치함과 아울러 곡물 탱크(7) 전방 우측이며 엔진 룸(97) 상방에 프리 클리너(124)를 배치하고, 프리 클리너(124)에 급기관(125)을 통해서 에어 클리너(123)를 접속시키고 있다. 프리 클리너(124)로부터 에어 클리너(123)를 통해서 디젤 엔진(14)의 과급기(118)의 컴프레서 케이스(118a)에 연소용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에어 클리너(123)는 엔진 룸 프레임(91)의 횡 프레임(94)의 후면 우측에서 고정됨으로써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의 전방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14)의 배기 가스 출구(배기 매니폴드(115))에 디젤 엔진(14)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블로잉하는 과급기(118)를 배치하고 있다. 과급기(118)는 디젤 엔진(14)의 상방 전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우측에 블로어 호일을 내장한 컴프레서 케이스(118a)를 설치하는 한편, 좌측에 터빈 호일을 내장한 터빈 케이스(118b)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컴프레서 케이스(118a) 우단에 설치한 흡기 도입측이 급기관(120)을 통해서 에어 클리너(123)의 흡기 배출측과 연통한다. 한편, 터빈 케이스(118b) 좌단에 설치되는 배기 출구관(99)이 절곡 가능한 주름상자 형상 배기 도입관(98)을 통하여 후처리 장치인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의 배기 가스 입구(DPF 입구관(81))에 접속시킨 배기 연결 관(119)과 연결한다.
도 3,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를 구비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와, 에어 클리너(123) 및 프리 클리너(124)는 엔진 룸 프레임(91) 배면에서 엔진(14)에 대하여 좌우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다. 즉, 엔진(14) 전면의 과급기(118)에 대하여, 우측의 컴프레서 케이스(118a)측에 흡기계가 되는 에어 클리너(123) 및 프리 클리너(124)를 배치하는 한편, 좌측의 터빈 케이스(118b)측에 배기계가 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를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과급기(118)를 구비하는 엔진(14)의 흡기 경로 및 배기 경로를 좌우로 나눠서 배치하기 때문에, 흡기 경로 및 배기 경로를 단경로로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온의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배기 경로에 대하여 흡기 경로를 이간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도 13을 참조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의 부착 구조 및 지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를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파지체로서, 한쌍의 전측 케이스 고정체(100) 및 후측 케이스 고정체(101)와 4개의 체결 밴드(85)를 구비한다. 전측 케이스 고정체(100) 및 후측 케이스 고정체(101)의 좌측 적재부에 전후의 체결 밴드(85)에 의해 제 1 케이스(75)를 고착시킴과 아울러, 전측 케이스 고정체(100) 및 후측 케이스 고정체(101)의 우측 적재부에 전후의 체결 밴드(85)에 의해 제 2 케이스(229)를 고착시킨다.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의 각 상면측에 각 2개의 체결 밴드(85)가 반권취 형상으로 각각 장착되고, 각 케이스 고정체(100, 101)에 각 체결 밴드(85)의 하단측이 볼트 체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장척한 원통 형상의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가 각각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측 케이스 고정체(100) 및 후측 케이스 고정체(101)의 좌우 단부에 끝면 L형상의 판금제의 한쌍의 우측 지지 프레임체(102) 및 좌측 지지 프레임체(103)를 부착 위치(지지 자세) 조절 가능하게 볼트 체결시키고, 케이스 고정체(100, 101)와 지지 프레임체(102, 103)를 사각 프레임 형상에 연결시키고, 그들에 체결 밴드(85)를 통해서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를 고착시키고, 배기 정화 유닛으로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 고정체(100, 101)와 지지 프레임체(102, 103)를 연결하는 볼트의 외경 치수에 비하여 지지 프레임체(102, 103)의 볼트 관통 구멍의 내경 치수를 크게 형성하고, 지지 프레임체(102, 103)의 볼트 관통 구멍에 볼트를 유감(遊嵌) 삽입시키는 것이고, 케이스 고정체(100, 101)와 지지 프레임체(102, 103)를 고착할 때, 케이스 고정체(100, 101)에 대한 지지 프레임체(102, 103)의 연결 자세를 소정 자세로 지지하면서, 케이스 고정체(100, 101)에 볼트를 나사 부착시키고 케이스 고정체(100, 101)에 지지 프레임체(102, 103)를 볼트 체결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우측 지지 프레임체(102)를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과 케이스 지지 브래킷(253)에 고정함으로써 주행 기체(1) 상에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를 지지하고 있다.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은 브래킷(250a, 250b)을 통해서 우측 지지 프레임체(102)를 지지하고 있다. 케이스 지지 브래킷(253)은 좌측 지지 프레임체(103)를 지지하고 있다.
도 4 및 도 8∼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은 길이 방향이 대략 전후 방향이 되도록 탈곡 장치(5)의 우측방에 배치되고, 곡물 탱크(7)의 전면 좌측(탈곡 장치(5)측)에 설치한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 전단부는 후단부보다 좌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은 그 길이방향이 대략 수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 전단부는 횡 프레임(94)의 길이방향(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의 중도부에 접속되어 있다. 프레임(94와 250)은 프레임(94)의 상면으로부터 후면을 걸쳐서 설치된 케이스 지지 브래킷(94a)과, 프레임(251)의 전단면에 설치된 전단 브래킷(250d)이 볼트 체결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의 후단측은 주행 기체(1)에 세워서 설치된 케이스 지지 지주 프레임(251)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250과 251)은 프레임(251)의 상단면에 설치된 상단 브래킷(251a)과 프레임(250)의 후단측 중도부의 하면에 프레임(250) 후단면과는 이간해서 설치된 하면 브래킷(250c)이 볼트 체결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면 브래킷(250c)보다 전방에서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의 중도부에 우측방으로 돌출된 하측 브래킷(250a)이 용접 고착되어 있다.
하측 브래킷(250a)은 프레임(250)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보다 후방(중앙위치와 하면 브래킷(250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 브래킷(250a)의 상면에 상측 브래킷(250b)이 용접 고착되어 있다. 상측 브래킷(250b)의 상면에 우측 지지 프레임체(102)의 하면이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측 브래킷(250b) 상면의 높이 위치는 횡 프레임(94) 상면 및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도 4,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의 상면측에 좌측 지지 프레임체(103)를 지지시키고 있다. 탈곡 장치(5) 상면의 우측부에 케이스 지지 브래킷(253)이 볼트 체결되고, 케이스 지지 브래킷(253)의 상면에 좌측 지지 프레임체(103)의 하면이 볼트 체결되어 있다. 케이스 지지 브래킷(253)은 탈곡 장치(5)의 탈곡 우측 상부 프레임(227)에 부착된 케이스 지지 보강 부재(228)에 탈곡 장치(5)기 케이스를 끼워서 볼트 체결되어 있다. 케이스 지지 보강 부재(228)는 케이스 지지 브래킷(253) 부착 위치의 탈곡 장치(5)기 케이스와의 접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매의 리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 지지 브래킷(253)은 브래킷(253)과 좌측 지지 프레임체(103)의 접촉면과 상측 브래킷(250b)과 우측 지지 프레임체(102)의 접촉면이 대체로 같은 높이 위치가 되도록 탈곡 장치(5)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는 곡물 탱크(7)의 오목부(7a)에 있어서의 상방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도 4,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은 에어 클리너(123)와 정화 입구관(81)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서, 케이스 지지 지주 프레임(251)측으로부터 횡 프레임(94)을 향해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횡 프레임(94) 하방에 배치된 주름상자 형상 배기 도입관(98)과 제 1 케이스(75)의 정화 입구관(81)의 연결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에어 클리너(123)와의 완충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123)를 포함하는 흡기 경로와 제 1 케이스(75)와 연결되는 배기 경로 사이가 되는 위치에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을 배치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123)에 대한 배기 경로로부터의 열 배출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물 탱크(7)의 엔진 룸(97)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곡물 탱크(7)의 오목부(7a)에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를 갖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곡물 탱크(7)와 엔진 룸(97) 사이에서 엔진(14)에 가까운 위치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을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고온이 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에 작업자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룸(97)으로부터의 배열(排熱)을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로 유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의 정화에 필요한 고온 환경 하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를 배치할 수 있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에 있어서 높은 정화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의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는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좌우에 병설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75)가 제 2 케이스(229)에 대하여 탈곡 장치(5)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14)의 배기구에 가까운 위치에 제 1 케이스(75)를 배치할 수 있고, 엔진(14)으로부터 제 1 케이스(75)까지의 배기 경로를 단경로에서 구성하고, 제 1 케이스(75)에서의 재생 처리를 고성능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229) 및 요소 혼합관(239)은 곡물 탱크(7)로 덮어져 있으므로, 제 2 케이스(229) 및 요소 혼합관(239)을 엔진 룸(97) 후방의 곡물 탱크(7)로 둘러싸여진 고온 환경 하에 배치할 수 있어 요소수의 동결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 2 케이스(229)의 정화 능력을 고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탈곡 장치(5)로부터 곡물 탱크(7)의 오목부(7a)에 걸쳐서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는 수평으로 지지되고, 또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를 수평으로 지지함으로써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를 엔진(14)보다 높은 위치에서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고, 엔진(14)으로부터의 고온의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로 유도하기 쉬운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를 엔진(1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엔진(14) 정지 시의 온도 저하에 의한 결로 등으로 발생한 물이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 내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75)의 정화 출구관(82)과 제 2 케이스(229)의 SCR 입구관(236) 사이에 접속된 요소 혼합관(239)은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케이스(75), 제 2 케이스(229) 및 요소 혼합관(239)은 일체적 유닛 구조로 구성되고, 곡물 탱크(7) 전면의 오목부(7a) 내측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의 설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서, 곡물 탱크(7)의 오목부(7a)를 협소하게 구성하고, 곡물 탱크(7)의 곡물 수납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열 부재가 되는 정화 장치 커버체(261)을 탈곡 장치(5) 상면의 우측부에 설치하고 있다. 정화 장치 커버체(261)는 전측면이 록 핀 고정 프레임(160)에 볼트 체결되고, 후측면이 탈곡 장치(5) 케이싱 우측 상면에 세워서 설치된 봉형상 부재에 고정됨으로써,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의 좌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정화 장치 커버체(261)에 의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의 좌측방(탈곡 장치(5)측)이 덮여져 있다. 이것에 의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를 고온 환경 하에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주변 부품으로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4∼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선택 촉매 환원용 요소 수용액)를 수용하는 요소수 탱크(174)와 요소 혼합관(239)의 요소수 분사부(240)에 요소수를 공급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구비하고 있다. 요소수 공급 장치(175)가 요소수 탱크(174) 내의 요소수를 요소 혼합관(239)의 요소수 분사부(240)에 공급함으로써 요소수 분사부(240)의 요소수 분사 밸브(178)(도징 모듈(dosing module))로부터 요소수를 요소 혼합관(239) 내에 분무시킨다.
도 14∼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는 세로 길이 형상을 갖고, 곡물 탱크(7)에 설치된 오목부(254)에 배치되어 있다. 도 17은 저부 커버체(165)와 저부 커버체(165)의 상방측에서 곡물 탱크(7)의 우측면을 구성하는 우측 커버체(166)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곡물 탱크(7) 내의 곡립 수용부(260) 안이 보이고 있다. 오목부(254)는 곡물 탱크(7) 후측면의 주행 기체(1) 외측의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54)는 요소수 탱크(174)가 탑재되는 저부(254a)를 갖고 있다. 또한, 오목부(254)의 저부(254a)에 탱크 탑재대(255)가 배치되어 있다. 탱크 탑재대(255) 상에 요소수 탱크(174)가 탑재되어 있다. 곡물 탱크(7)는 요소수 탱크(174)가 배치되는 오목부(25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콤바인의 외형 치수를 크게 하는 경우가 없이 요소수 탱크(174)의 배치 스페이스가 확보되고 있다. 또한, 오목부(254)는 요소수 탱크(174)가 탑재되는 저부(254a)를 갖고 있으므로, 요소수 탱크(174)을 탑재하기 위한 부재가 별도 필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요소수 탱크(174)탑재용의 부재를 별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비용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254)는 곡물 탱크(7)의 후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요소수 탱크(174)가 엔진(14)으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부착되는 2개의 밴드(256)에 의해 오목부(254) 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밴드(256)의 재료는 예를 들면, 신축성을 갖는 재료이고, 여기에서는 고무이다. 각 밴드(256)의 양 단에 환형 금구(25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곡물 탱크(7)의 후면에 있어서의 오목부(254)보다 좌측방의 위치의 2개소와 오목부(254)의 주행 기체(1) 전방측의 내측면(254b)의 2개소에 계 4개의 훅 금구(258)가 용접 고착되어 있다. 밴드(256)는 훅 금구(258)에 환형 금구(257)가 부착됨으로써 곡물 탱크(7)에 부착된다. 또한, 곡물 탱크(7)에 요소수 탱크(174)의 전락을 방지하는 전락 방지 스테이(259)가 설치되어 있다. 전락 방지 스테이(259)의 일단은 곡물 탱크(7)의 후면에 있어서의 오목부(25)보다 좌측방의 위치에서 곡물 탱크(7)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오목부(254)의 내측면(254b)에 고정되어 있다.
도 17, 도 18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의 상면 개구부에 요소수 탱크 센서부(271)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 센서부(271)는 개구부(5)의 뚜껑으로서 기능하는 센서부 본체(272)와 센서부 본체(272)에 관장된 요소수 공급관(179)(환원제 배관), 요소수 복귀관(180)(환원제 배관), 냉각수 이송관(273), 냉각수 복귀관(274), 온도 센서(183), 액면 센서(184), 요소수 품질 센서(186)(예를 들면, 농도 센서) 및 센서 제어부(18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요소수 공급관(179)은 요소수 공급 장치(175)에 요소수를 공급한다. 요소수 복귀관(180)은 요소수 공급 장치(175)로부터 요소수 탱크(174)로 요소수를 복귀시킨다. 센서 제어부(187)는 각 센서(183, 184, 186)의 동작을 제어한다. 냉각수 이송관(273)과 냉각수 복귀관(274)은 요소수 탱크(174) 내에서 접속되고 있다. 엔진(14)으로 가열된 엔진 냉각수를 냉각수 이송관(273)으로부터 냉각수 복귀관(274)으로 보내서 요소수 탱크(174) 내를 통과시킴으로써 요소수의 동결 방지가 도모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175)는 요소수 탱크(174) 내의 요소수를 압송하는 요소수 펌프(171)와 요소수 펌프(171)를 구동하는 요소수 공급용 전동 모터(172)를 구비한다. 요소수 탱크(174)와 요소수 공급 장치(175) 사이에 요소수 공급관(179)과 요소수 복귀관(180)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디젤 엔진(14)의 연료 분사 제어 등을 실행하는 엔진 컨트롤러(181)와, 요소수 공급 장치(175)나 요소수 분사 밸브(178)의 동작을 제어하는 요소 분사 컨트롤러(18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175)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제 2 케이스(229))를 지지하는 케이스 지지 지주 프레임(251) 좌측면 및 전측면에 용접 고착된 펌프 지지체(공급 장치용 지지체)(185)에 볼트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요소수 공급 장치(175)는 펌프 지지체(185)의 상단측의 좌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요소수 공급 장치(175) 및 펌프 지지체(185)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의 높이 위치와 요소수 탱크(174)의 높이 위치 사이의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 분사 컨트롤러(182)는 케이스 지지 지주 프레임(251)의 좌측면에 부착된 컨트롤러 지지체(189)의 후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컨트롤러 지지체(189)는 케이스 지지 지주 프레임(251)의 좌측면에 용접된 컨트롤러 브라켓(251b)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도 14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175)와 요소수 분사 밸브(178)를 접속하는 요소수 분사관(177)이 설치되어 있다. 요소 분사 컨트롤러(182)는 요소수 공급 장치(175) 및 요소수 분사 밸브(178)의 동작을 제어하고, 요소 혼합관(239)의 내부에 요소수 분사 밸브(178)로부터 요소수를 분무 주입한다. 요소 혼합관(239) 내에 공급된 요소수가 제 1 케이스(75)로부터 제 2 케이스(229)에 이르는 배기 가스 중에 암모니아로서 혼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요소수분사 밸브(178)와 엔진(14) 사이에 냉각수 이송관(275)과 냉각수 복귀관(276)이 접속되어 있다. 냉각수 이송관(275)과 냉각수 복귀관(276)의 요소수 분사 밸브(178)측의 단부는 요소수 분사 밸브(178)에 설치된 관 접속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 이송관(275)과 냉각수 복귀관(276)은 요소수 분사 밸브(178) 내에서 접속되어 있다. 엔진(14)으로 가열된 엔진 냉각수가 냉각수 이송관(275)으로부터 요소수 분사 밸브(178) 내를 통해서 냉각수 복귀관(276)으로 보내어짐으로써 요소수 분사 밸브(178) 내에서의 요소수의 동결이 방지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분사관(177)은 그 일단이 요소수 분사 밸브(178)의 후방부에 설치된 관 접속부에 접속되고, 그 접속 위치로부터 좌측방으로 인도된 후, 하방으로 인도되고, 또한 정화 출구관(82), 요소 분사부(249) 및 제 2 케이스(229)의 하방을 통하여 요소수 공급 장치(175)로 인도되고 있다. 또한, 냉각수 이송관(275)과 냉각수 복귀관(276)은 요소수 분사 밸브(178)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요소수 분사관(177)을 대강 따라서 제 2 케이스(229)의 하방으로 인도되고, 또한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의 하측면 근방을 통해서 프레임(250)을 따라 전방으로 인도되고, 프레임(250)의 전방측 중도부에서 하방으로 인도되어 엔진(14)으로 인도되고 있다. 이상의 배관 구성에 의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나 테일 파이프(83)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저감하면서 콤팩트한 배관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 센서부(271)의 온도 센서(183), 액면 센서(184) 및 요소품질 센서(186)는 요소 분사 컨트롤러(18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요소 분사 컨트롤러(182)에는 온도 센서(183)와 상류측 NOx 센서(188)와 하류측 NOx 센서(189)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온도 센서(183)는 요소수 분사부(249) 내의 배기 가스 온도를 검출한다. 상류측 NOx 센서(188)는 제 1 케이스(75) 내의 디젤 산화 촉매(79)와 수트 필터(80)를 통과한 배기 가스 중의 NOx를 검출한다. 하류측 NOx 센서(189)는 제 2 케이스(229) 내의 SCR촉매(232)와 산화 촉매(233)를 통과한 배기 가스 중의 NOx를 검출한다. 요소 분사 컨트롤러(182)는 온도 센서(183), NOx센서(188, 189)의 검출 신호를 따라서 요소수의 분사를 제어한다.
또한, 엔진 컨트롤러(181)와 요소 분사 컨트롤러(182)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디젤 엔진(14)의 작동 상황 등을 따라서, 요소 혼합관(239) 내에 요소수가 적정 시기에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냉각수 이송관(273) 및 냉각수 복귀관(274)으로의 엔진 냉각수의 공급은 냉각수 이송관(273)에 설치된 밸브(277)의 개폐를 요소수 분사 컨트롤러(182)의 제어에 의해 개폐함으로써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요소수 탱크(174) 내의 요소수 온도 상황 등에 따라서 적정 시기에 요소수 탱크(174) 내의 요소수가 가열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은 요소수 공급 장치(175)로부터 일단 상방으로 도입된 후,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펌프 지지체(185)의 후면 후방을 통해서 케이스 지지 지주 프레임(251) 후측면으로 인도되고, 또한 케이스 지지 지주 프레임(251) 후측면을 따라 주행 기체(1)측으로 인도되고, 곡물 탱크(7)의 하방을 통과해서 요소수 탱크(174)측으로 인도되고 있다. 또한, 냉각수 이송관(273, 275) 및 냉각수 복귀관(274, 276)은 엔진(14)으로부터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 하측면의 전방측 중도부로 인도되고, 또한 프레임(250)을 따라 후방으로 인도되어서 케이스 지지 지주 프레임(251)의 후측면으로 인도된다. 또한, 냉각수 이송관(273) 및 냉각수 복귀관(274)은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을 따라, 케이스 지지 지주 프레임(251) 후측면을 따라 주행 기체(1)측으로 인도되고, 곡물 탱크(7)의 하방을 통과해서 요소수 탱크(174)측으로 인도되고 있다. 또한, 냉각수 이송관(275) 및 냉각수 복귀관(276)은 케이스 지지 지주 프레임(251)의 후면측으로부터 요소수 분사 밸브(178)로 인도되고 있다. 이상의 배관 구성에 의해, 콤팩트한 배관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요소수 공급 장치(175)나 배관의 장착성이 향상한다. 또한, 배관(179, 180, 273∼276)은 주행 기체(1), 곡물 탱크(7) 후면, 케이스 지지 전후 프레임(250), 케이스 지지 지주 프레임(251) 등에 부착된 배관용 클램프(도시는 생략)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요소수 공급 장치(175)가 요소수 탱크(174)보다 높은 위치이고 또한 요소수 분사 밸브(178)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요소수의 분사 정지후에 있어서, 요소수 공급 장치(175)와 요소수 분사 밸브(178)의 고저차에 의해, 요소수 분사 밸브(178) 내나 요소수 분사관(177) 내 등에 잔류하는 요소수를 요소수 공급 장치(175)측으로 유동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어서, 도 15∼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물 탱크(7)는 곡물 탱크(7)의 주행 기체(1) 후방측에 설치된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지지 부재)를 회동 지점으로서 주행 기체(1)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곡물 탱크(7)에 있어서, 오목부(254)는 곡물 탱크(7)의 측면 중 세로 인출 컨베이어(8a)(회동 지점)에 가까운 측면(후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요소수 탱크(174)를 회동 지점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요소수 공급관(179), 요소수 복귀관(180), 냉각수 이송관(273) 및 냉각수 복귀관(274)에 관해서, 곡물 탱크(7)의 회동 시에 있어서의 휘어짐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곡물 탱크(7)를 주행 기체(1) 외측에 회동시킴으로써 탈곡 장치(5) 우측면과 엔진 룸(97) 후면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나 요소수 공급 장치(175)의 메인터넌스 등의 각종 작업을 간단히 행한다.
도 15∼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54)는 세로 인출 컨베이어(8a) (회동 지점)보다 주행 기체(1)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174)에 접속된 요소수 공급관(179), 요소수 복귀관(180), 냉각수 이송관(273) 및 냉각수 복귀관(274) 중 곡물 탱크(7)의 후측면에 대향하는 부분은 주행 기체(1)좌우 방향에 있어서, 요소수 탱크(174)로부터 세로 인출 컨베이어(8a)보다 주행 기체(1) 중앙측으로 인도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관(179, 180, 274 및 275)이 곡물 탱크(7)의 회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179, 180, 274 및 275)은 세로 인출 컨베이어(8a)보다 주행 기체(1) 중앙측의 위치로부터 곡물 탱크(7)의 하방을 통과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측으로 인도되고 있다. 이 구성도, 관(179, 180, 274 및 275)이 곡물 탱크(7)의 회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도 3, 도 15 및 도 19∼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물 탱크(7)의 주행 기체(1) 외측이면서 또한 후방부측의 각 부분에 후방 커버(30)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커버(30)는 곡물 탱크(7)의 상기 코너 부분에 부착된 2개의 경첩(192)을 통해서 주행 기체(1)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곡물 탱크(7)에 지지되어 있다. 후방 커버(30)가 폐쇄된 상태에서, 후방 커버(30)는 요소수 탱크(174)를 덮고 있다. 이것에 의해, 요소수 탱크(174)가 직사 일광에 노출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174)의 급수구(174a)는 후방 커버(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콤바인 기체 측방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다. 즉, 요소수 탱크(174)로의 급수 작업을 행할 때는 후방 커버(30)를 개방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타방, 연료 탱크(31)의 급유구(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5) 좌측에 연장 설치되어서 기외에 노출하고 있다. 그리고, 요소수 탱크(174)로의 급수 작업 시에 후방 커버(30)를 개방하는 동작을 따르는 것은 연료와 요소수의 투입 실수를 방지한다. 또한, 주행 기체(1)의 좌우에 연료 탱크(31)의 급유구(32)과 요소수 탱크(174)의 급수구(174a)는 주행 기체(1)의 좌우에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료와 요소수의 투입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23 및 도 24는 요소수 탱크(174)의 근방에 요소수의 급수용 용기(263)를 탑재 가능한 보급대를 설치한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요소수 탱크(174)의 급수구(174a)는 예를 들면 작업자의 허리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높이 위치가 높기 때문에 급수 작업을 하기 힘들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의 후방측에 배치된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에 부착된 보급대(280)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보급대(280)는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의 주위를 둘러싸서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에 부착된 한쌍의 보급대 밴드(281, 281) 및 보급대 지지 부재(283)에 의해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에 부착되어 있다. 밴드(281)는 대략 U자형 형상이 상기 형상의 만곡부로 2분할된 형상을 갖는다. 밴드(281)의 일단측(상기 대략 U자형 형상의 만곡부)은 부착 위치 조정용 볼트(28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밴드(281)의 타단부(상기 대략 U자형 형상의 선단부)는 보급대 지지 부재(283)에 예를 들면, 볼트 체결되어 있다. 보급대 지지 부재(283)는 보급대(280)의 회동 지점이 되는 봉부재(285)를 구비하고 있다. 보급대(280)는 봉부재(285)를 회동 지점으로서 대략 수평 방향과 대략 연직 방향 사이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부터 상방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로의 급수 시에는 보급대(280)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치해서 보급대(280) 상에 급수용 용기(263)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보급대(28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급대(280)의 선단부를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측에 배치해서 보급대(280)를 폴딩한다. 이와 같이 보급대(280)를 폴딩하는 것이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보급대(28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보급대(280)는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와 함께 회동하도록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어떤 때라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밴드(281)의 보급대 지지 부재(283)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볼트(284)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볼트(284)의 체결에 의해, 보급대(280)의 사용법에 따라서 보급대(280)의 높이 위치나 설치 각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은 주행 기체(1)에 탑재된 동력원인 엔진(14)과, 엔진(14)의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와,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에 공급되는 환원제를 수용하는 환원제 탱크(174)와, 수확한 곡물을 반입하는 곡물 탱크(7)를 구비한다. 그리고, 곡물 탱크(7)는 측면 중도부에 환원제 탱크(174)가 탑재되는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25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콤바인은 곡물 탱크(7)가 주행 기체(1)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곡물 탱크(7)의 회동 지점 근방에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254)가 형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1)의 진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곡물 탱크(7)의 회동 지점이 곡물 탱크(7) 후방에 설치되어서 곡물 탱크(7) 전방을 기외측방으로 개방되도록 곡물 탱크(7)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254)는 곡물 탱크(7)의 측면 중 지지 부재에 가까운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엔진(14)이 곡물 탱크(7)의 전방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곡물 탱크(7)의 기내측면 전방을 노치한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 하측에, 주행 기체(1)로부터 세워서 설치한 정화 장치 지지용 프레임(251)이 설치되고, 상기 정화 장치 지지용 프레임(251) 상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가 설치된다.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254)는 곡물 탱크(7)의 후면 측방을 노치해서 형성되어 회동 지점보다 주행 기체 외측의 위치에 환원제 탱크(174)가 설치된다. 환원제 탱크(174)와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를 연결하는 환원제 배관(179, 180)이 곡물 탱크(7)를 따라 배치된다.
환원제 배관(179, 180)은 환원제 탱크(174)로부터 회동 지점보다 주행 기체 중앙측으로 인도되고 곡물 탱크(7)의 하방을 통과해서 주행 기체(1) 전방으로 인도되고, 정화 장치 지지용 프레임(251)을 따라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로 인도되고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에 환원제를 공급시키는 환원제 수 공급 장치(175)가 환원제 배관(177, 179, 180)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환원제 수 공급 장치(175)는 정화 장치 지지용 프레임(251)에 설치된 공급 장치용 지지체(185)에 고정된다.
상기 콤바인은 곡물 탱크(7)가 환원제 탱크(174)가 배치되는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25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콤바인의 외형 크기를 크게 하는 일 없이 환원제 탱크(174)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곡물 탱크(7)는 주행 기체(1)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고, 상기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254)는 곡물 탱크(7)의 측면 중 곡물 탱크(7)의 회동 지점에 가까운 측면에 설치되어 있도록 하면, 환원제 탱크(174)에 접속되는 환원제 배관(179, 180)에 관해서, 곡물 탱크(7)의 회동 시에 있어서의 휘어짐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254)가 회동 지점보다 주행 기체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환원제 탱크(174)에 접속된 환원제 배관(179, 180)이 환원제 탱크(174)로부터 곡물 탱크(7)의 회동 지점보다 주행 기체(1) 중앙측으로 인도되도록 하면, 환원제 배관(179, 180)이 곡물 탱크(7)의 회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원제 배관(179, 180)이 곡물 탱크(7)의 하방을 통과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74)측으로 인도되도록 하면, 환원제 배관(179, 180)이 곡물 탱크(7)의 회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 기체(1)의 진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해서, 엔진(14)이 곡물 탱크(7)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환원제 탱크용 오목부(254)가 곡물 탱크(7)의 후측면에 형성되어 있도록 하면, 환원제 탱크(174)가 엔진(14)으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콤바인의 예취 작업 시 및 비예취 작업 시의 각종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5를 참조하면서, 운전 캐빈(10) 내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 캐빈(10) 내에는 주행 기체(1)의 진행(선회) 방향을 변경 조작하는 조종 핸들(11)이나,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12)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 좌석(12)의 좌측방에 배치한 사이드 칼럼(210)에 주행 기체(1)의 변속 조작을 행하는 주변속 레버(15)를 배치하고 있다.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지만, 부변속 레버(16), 탈곡 클러치 레버(17) 및 예취 클러치 레버(18)도 사이드 칼럼(210)에 배치하고 있다.
조종 핸들(11)에 있어서의 핸들 호일(215)의 내측에는 문자, 기호, 화상으로 한 콤바인의 각종 정보를 표시 가능한 표시 장치(211)(표시부)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211)는 액정 모니터(212)와 이것을 수용하는 외측 케이스(213)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211)는 조종 핸들(11)을 지지하는 프론트 칼럼(216)측에 고정되어 있어서 조종 핸들(11)에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조종 핸들(11)을 회동조작해도 표시 장치(211)가 기능하지 않고, 항상 오퍼레이터로부터 화면이 보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외측 케이스(213)에 있어서의 액정 모니터(212)의 외주측에 표시 스위칭 부재의 일례인 표시 스위칭 스위치(214)를 설치하고 있다. 표시 스위칭 스위치(214)은 일회의 누름 하에서 하나의 ON 펄스 신호를 발하는 논록 타입의 푸쉬 스위치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211)의 내부에 별체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서의 표시 컨트롤러(351)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 모니터(212)와 표시 스위칭 스위치(214)는 표시 컨트롤러(3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오퍼레이터를 주의 환기시키기 위해 명동하는 경보 부저(32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엔진 컨트롤러(181)에는 연료 센서(2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연료 센서(221)는 연료 탱크(31)(도 1 등을 참조) 내의 연료의 잔량을 검출한다.
또한, 표시 컨트롤러(351)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ECU를 구비한 콤바인 컨트롤러(22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콤바인 컨트롤러(224)는 예취 장치(3)의 구동을 제어하는 예취 ECU와, 피드 체인(6)에 의한 곡간 반송의 속도 제어라고 하는 주행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행 전 ECU와, 주행 기체(1)의 자세의 안정 제어 등이라고 하는 주행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행 후 ECU와, 배출 오거(8)의 승강 제어나 요동 선별반(57)의 채프 시브의 개폐 제어 등을 포함하는 탈곡 장치(5)의 구동을 제어하는 탈곡 전 ECU와, 배출 오거(8)의 선회 제어 등을 포함하는 탈곡 장치(5)의 구동을 제어하는 탈곡 후 ECU를 구비하고 있다.
콤바인 컨트롤러(224)에는 주차 브레이크 센서(324), 오거 클러치 센서(325), 예취 클러치 센서(326), 탈곡 클러치 센서(327) 및 벼 센서(225)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주차 브레이크 센서(324)는 주행부인 좌우의 주행 크롤러(2)를 제동 상태로 유지 조작하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도시생략)의 온오프 상태(제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오거 클러치 센서(325)는 곡물 배출 컨베이어(8)에 대한 동력 접속 차단용의 오거 클러치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한다. 예취 클러치 센서(326)는 예취 장치(3)에 대한 동력 접속 차단용의 예취 클러치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한다. 예취 클러치 센서(326)는 탈곡 장치(5)에 대한 동력 접속 차단용의 예취 클러치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한다. 벼 센서(225)는 예를 들면, 곡물 탱크(7) 내에 서로 다른 높이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고, 곡물 탱크(7)내의 곡립의 저장량을 검출하는 콤바인 컨트롤러(224)는 엔진 컨트롤러(18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엔진 컨트롤러(181), 요소수 분사 컨트롤러(182), 콤바인 컨트롤러(224) 및 표시 컨트롤러(351)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서, 액정 모니터(212)의 표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의 예취 작업 시에 있어서의 통상 운전 제어 중은 액정 모니터(212)에 예취 작업 시 정보(360)로서, 주행 기체(1)의 주행 속도(차속)를 나타내는 속도계(361), 엔진 부하를 나타내는 부하 모니터(362), 요소수 탱크(174) 내의 요소수 잔량을 나타내는 요소수 잔량계(363), 연료 탱크(31) 내의 연료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 잔량계(364), 부변속 레버(16)의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변속 모니터(365), 예취 장치(3)에 있어서의 구동 속도의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예취 변속 모니터(366), 곡물 탱크(7) 내의 곡립 저장량을 나타내는 곡물 탱크 모니터(367), 급동(56)으로부터의 로스를 감시하는 급동 로스 모니터(368), 요동 선별반(57)으로부터의 로스를 감시하는 요동 로스 모니터(369), 예취 중의 작물의 유량을 나타내는 수확 유량 모니터(370), 예취 중의 작물의 수분을 나타내는 작물 수분 모니터(371) 및 전조등의 점등 또는 소등에 따라서 표시 또는 비표시가 되는 전조등 점등 표시(372) 등이 표시된다. 요소수 잔량계(363)와 연료 잔량계(364)는 액정 모니터(212)의 좌변(도 26에서의 지면 좌측의 액정 모니터(212)의 변)의 근방에 인접하여 표시된다. 또한, 곡물 탱크 모니터(367)는 액정 모니터(212)의 우변 근방에 표시된다.
또한, 요소수 잔량계(363)에는 요소수 잔량에 따른 요소수 잔량 표시(363a) (환원제 잔량 표시)가 표시된다. 요소수 잔량 표시(363a)의 표시 영역은 예를 들면, 대략 직사각형이고, 요소수 잔량에 따라서 액정 모니터(212)의 상하 방향(도 26의 지면 상하 방향)으로 증감한다. 동일하게, 연료 잔량계(364)에는 연료 잔량에 따라서 표시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증감하는 연료 잔량 표시(364a)가 표시된다. 또한, 곡물 탱크 모니터(367)에는 곡립 저장량에 따른 곡립 저장량 표시(367a)가 표시된다. 곡립 저장량 표시(367a)의 표시 영역은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4분할되고 있어, 곡립 저장량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증감한다. 요소수 잔량 표시(363a)(예를 들면, 청색계의 색)과 연료 잔량 표시(364a)(예를 들면 백색계의 색)과 곡립 저장량 표시(367a)(예를 들면, 주황색계 또는 적색계의 색)은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액정 모니터(212) 상에서 요소수 잔량계(363)에 인접한 요소수 마크(363b)가 표시된다. 또한, 연료 잔량계(364)에 인접하여 연료 마크(364b)가 표시된다. 요소수 마크(363b)와 연료 마크(364b)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요소수 마크(363b)는 요소수 잔량계(363)의 상방 위치에 표시되고, 연료 마크(364b)는 연료 잔량계(364)의 정보 위치에 표시된다.
또한, 액정 모니터(212) 상에서 요소 수계(363)가 표시하는 요소수 잔량 표시(363a)의 표시 영역의 증감 방향 길이(도 26의 지면 상하 방향)가 요소수 잔량 표시(363a)의 표시 최대 영역의 증감 방향 길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10% 이하일 때에, 요소수 마크(363b)를 사이에 두고 요소수 잔량계(363)의 상방 근방 위치에 요소수 경보 램프(363c)(경보등 표시)가 점등 표시된다. 동일하게, 연료 잔량 표시(364a)의 표시 영역의 증감 방향 길이가 표시 최대 영역의 증감 방향 길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10% 이하일 때에 연료 마크(364b)를 사이에 두고 연료 잔량계(364)의 상방 근방 위치에 연료 경보 램프(364c)(경보등 표시)가 점등 표시된다. 요소수 경보 램프(363c)(예를 들면, 적색계의 색)과 연료 경보 램프(364c)(예를 들면, 주황색계의 색)는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26에 있어서, 요소수 잔량 표시(363a) 및 연료 잔량 표시(364a)의 표시 영역의 증감 방향 길이는 각각 표시 최대 영역의 증감 방향 길이에 대하여 10%보다도 크지만, 편의 상, 요소수 경보 램프(363c)와 연료 경보 램프(364c)가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의 비예취 작업 시에 있어서의 통상 운전 제어 중은 액정 모니터(212)에 비작업시 정보(380)로서, 예취 작업 시 정보(360)에 표시되는 부하 모니터(362), 급동 로스 모니터(368), 요동 로스 모니터(369) 및 수확 유량 모니터(370)를 바꾸어 엔진(14)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회전계(381)와 방향 지시 등의 점등(점멸) 상태를 나타내는 방향 지시등 표시(382)가 표시된다. 비작업시 정보(380)에 있어서의 다른 표시는 예취 작업시 정보(360)의 표시와 같다. 회전계(381)는 액정 모니터(212)의 중앙부 상방 근방에 표시된다. 방향 지시등 표시(382)는 액정 모니터(212)의 좌상 코너부 근방 및 우상 코너부 근방에 각각 표시된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모니터(212)에는 콤바인의 사용에 의해 감소해 가는 요소수 잔량 표시(363a)와 연료 잔량 표시(364a)가 인접하여 표시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연료 및 요소수의 양방의 잔량을 거의 시선을 움직이지 않고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잔량 표시가 떨어진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오퍼레이터의 시인성이 향상한다. 또한, 요소수 잔량 표시(363a)와 연료 잔량 표시(364a)는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므로, 오퍼레이터는 요소수 잔량 표시(363a)와 연료 잔량 표시(364a)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연료 잔량과 요소수 잔량의 오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곡물 탱크(7) 내의 곡립 저장량에 따른 곡립 저장량 표시(367a)는 표시 모니터(212)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요소수 잔량 표시(363a) 및 연료 잔량 표시(364a)의 표시 위치(표시 모니터(212)의 좌변 근방)와는 반대측의 위치(표시 모니터(212)의 우변 근방)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요소수 및 연료의 잔량 표시(363a, 364a)와 곡립 저장량 표시(367a)가 서로 이간한 위치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콤바인의 사용에 의해 감소해 가는 연료 및 환원제의 잔량과 증가해 가는 곡립 저장량을 나눠서 판단해서 현상을 순시에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니터(212) 상에서 요소수 및 연료의 잔량 표시(363a, 364a)와 곡립 저장량 표시(367a)가 가까운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오퍼레이터의 시인성 및 식별성이 향상한다. 또한, 오퍼레이터에 의한 요소수 잔량 표시(363a) 및 연료 잔량 표시(364a)와 곡립 저장량 표시(367a)의 오인이 방지된다. 또한, 요소수 잔량 표시(363a), 연료 잔량 표시(364a) 및 곡립 저장량 표시(367a)는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므로, 오퍼레이터의 시인성 및 식별성이 한층 향상되어 있다.
또한, 표시 모니터(212)에 있어서, 요소수 잔량계(363)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요소수 마크(363b)와 연료 잔량계(364)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연료 마크(364b)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요소수 잔량계(363)(요소수 잔량 표시(363a))와 연료 잔량계(364)(연료 잔량 표시(364a))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요소수 잔량 및 연료 잔량에 관해서 오퍼레이터의 시인성 및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니터(212) 상에 있어서, 요소수 잔량 표시(363a)의 상방 위치에 요소수 경보 램프(363c)가 표시되고, 연료 잔량 표시(364a)의 상방 위치에 연료경보 램프(364c)가 표시되므로, 연료 잔량 및 환원제 잔량의 경보등 부재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제조 비용의 저감 및 배치 스페이스적으로 유효하다. 또한, 요소수 잔량계(363) 및 연료 잔량계(364)의 상방 위치에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요소수 경보 램프(363c)와 연료 경보 램프(364c)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요소수 잔량 경보와 연료 잔량 경보의 식별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연료 잔량과 요소수 잔량의 오인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고, 예취 작업 시 정보(360) 및 비작업 시 정보(380)의 표시 화면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잔량 표시(363a) 및 연료 잔량 표시(364a)의 표시 최대 영역은 각각 삼각형이다. 잔량 표시(363a, 364a)의 표시 영역은 예를 들면, 직각 삼각형이고, 2개의 예각의 중 일방의 예각이 하방측(증감 방향 중 감소 방향)에 배치되고, 타방의 예각과 직각이 상방측(증감 방향 중 증가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하방측 예각(일방의 예각)은 상방측 예각(타방의 예각)보다 각도가 작다. 즉, 직각과 하방측 예각 사이의 이웃변의 길이는 직각과 상방측 예각 사이의 이웃변의 길이보다 길다. 직각과 하방측 예각 사이의 이웃변은 잔량 표시(363a, 364a)의 증감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요소수 잔량 표시(363a)와 연료 잔량 표시(364a)의 표시 위치는 직각과 하방측 예각 사이의 이웃변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요소수 잔량계(363)와 연료 잔량계(364) 사이에 다잔량 마크(385)와 소잔량(386)이 배치되어 있다. 다잔량 마크(385)는 잔량 표시(363a, 364a)의 표시 최대 영역의 직각(상단)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소잔량 마크(385)는 잔량 표시(363a, 364a)의 표시 최대 영역의 하방측 예각(하단)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잔량 표시(363a, 364a)의 표시 최대 영역은 각각 하방측 예각이 상방측 예각보다 작은 직각 삼각형이므로, 상기 표시 최대 영역이 직사각형인 경우에 비하여 좌우 방향(증감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표시 치수가 같아도 오퍼레이터의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잔량 표시(363a, 364a)의 표시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잔량 표시(363a, 364a)의 하방측 예각의 근방에 다른 화상을 표시 가능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212) 상에서의 다잔량 마크(385) 및 소잔량 마크(386)의 표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부하 모니터(362)의 표시 위치를 좌측으로 근접시키거나, 부하 모니터(362)의 표시 사이즈를 크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콤바인은 도 30에 나타내는 플로우에 의한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요소수 탱크(174)에 요소 수용액을 급수할 때에, 요소수 탱크(174)가 만료가 된 것을 오퍼레이터에 통지한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스위치(도시 생략)가 조작되어서, 각 컨트롤러(181, 182, 224, 351)에 전원 공급되어 있는 상태가 되면, 요소수 탱크(174)의 액면 센서(잔량 센서)(18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요소수량의 증가를 확인하면, 요소수가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액면 센서(184)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요소수 탱크(174) 내의 요소수 잔량을 인식하고, 상기 요소수 잔량이 제 1 소정량(예를 들면, 탱크 용량의 80%)을 초과한 경우에, 요소수 탱크(174)가 만료가 된 것이라고 판정한다. 요소수 탱크(174)가 만료가 된 것이라고 판정하면,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만수 경보를 통보한다. 이 만수 경보로서, 예를 들면, 경보 부저(328)의 발보나, 요소수 탱크(174) 설치 위치 근방의 브레이크 등(329)(도 15 참조)을 점멸함으로써, 급수 작업 중의 오퍼레이터에 요소수 탱크(174)가 만수가 된 것을 알릴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콤바인은 도 31에 나타내는 플로우에 의한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요소수 탱크(174)의 요소수 잔량이 얼마 안되는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스위치(도시 생략)가 조작되어서, 각 컨트롤러(181, 182, 224, 351)에 전원 공급되고 있는 상태가 되면, 요소수 탱크(174)의 액면 센서(잔량 센서)(18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요소수 탱크(174)의 요소수 잔량을 확인한다. 요소수 잔량이 검출 가능하고, 또한 요소수 잔량이 제 2 소정량(예를 들면, 10%) 미만인 경우는 요소수 잔량이 얼마 안되는 것을 보고하기 위해서, 요소수 잔량 경보를 발보한다. 이 때, 액정 모니터(212) 상에서 요소수 경보 램프(363c)를 점등 표시시킴과 아울러, 액정 모니터(212) 중앙에 요소수의 급수를 촉진시키는 표시를 실행한다.
또한, 요소수 잔량의 검출이 불가능하고, 또한, 요소수 공급 장치(175)에 의해 요소수 분사 밸브(178)로의 요소수의 공급이 가능한 경우는 예취 작업, 탈곡 작업 및 곡립 배출 작업 등의 정지를 촉진시키는 제 1 작업 제한 경보를 액정 모니터(211) 중앙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각 작업 클러치 센서(325∼327)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각 작업기 클러치가 절단된 것을 확인하면, 디젤 엔진(14)으로의 연료 분사량을 저하시키는 등하여 디젤 엔진(14)의 출력을 저하시킨다.
또한, 요소수 공급 장치(175)에 의해 요소수 분사 밸브(178)로의 요소수의 공급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는 예취 작업, 탈곡 작업 및 곡립 배출 작업 등의 정지와 콤바인의 주차를 촉진시키는 제 2 작업 제한 경보를 액정 모니터(211) 중앙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주차 브레이크 센서(324) 및 각 작업 클러치 센서(325∼327)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각 작업기 클러치가 절단된 후에 콤바인이 주차장체인 것을 확인하면, 디젤 엔진(14)을 로우 아이들(low idle) 회전수로 운전시킨다.
한편,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 주행 기체 5 : 탈곡 장치
7 : 곡물 탱크 8a : 세로 인출 컨베이어(지지 부재)
14 : 엔진 31 : 연료 탱크
74 :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74 : 요소수 탱크(환원제 탱크)
179 : 요소수 공급관(환원제 배관) 180 : 요소수 복귀관(환원제 배관)
211 : 표시 장치(표시부) 212 : 액정 모니터(표시 화면)
254 : 오목부 254a : 오목부의 저부
363a : 요소수 잔량 표시(환원제 잔량 표시)
364a : 연료 잔량 표시

Claims (4)

  1. 주행 기체에 탑재된 동력원인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공급되는 환원제를 수용하는 환원제 탱크와, 수확한 곡물을 반입하는 곡물 탱크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 탱크의 근방에는 요소수의 급수용 용기를 탑재 가능한 보급대를 형성하고, 상기 보급대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 탱크를 상기 곡물 탱크의 후방측에 형성하고, 상기 보급대는 상기 환원제 탱크의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급대는, 환원제 탱크의 후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 탱크 또는 상기 환원제 탱크의 급수구는, 개폐 가능한 후방 커버로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237012518A 2015-12-11 2016-12-06 콤바인 KR20230054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31209A KR20230136679A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2691A JP6585491B2 (ja) 2015-12-11 2015-12-11 コンバイン
JP2015242692A JP2017104084A (ja) 2015-12-11 2015-12-11 コンバイン
JPJP-P-2015-242692 2015-12-11
JPJP-P-2015-242691 2015-12-11
KR1020227022043A KR20220098270A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PCT/JP2016/086237 WO2017099081A1 (ja) 2015-12-11 2016-12-06 コンバイン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043A Division KR20220098270A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209A Division KR20230136679A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501A true KR20230054501A (ko) 2023-04-24

Family

ID=59014174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518A KR20230054501A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KR1020237031209A KR20230136679A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KR1020217026091A KR102416679B1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KR1020187011417A KR102135519B1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KR1020207019888A KR20200087276A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KR1020227022043A KR20220098270A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209A KR20230136679A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KR1020217026091A KR102416679B1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KR1020187011417A KR102135519B1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KR1020207019888A KR20200087276A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KR1020227022043A KR20220098270A (ko) 2015-12-11 2016-12-06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6) KR20230054501A (ko)
CN (4) CN113079807B (ko)
WO (1) WO2017099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8414B2 (ja) * 2017-08-30 2019-08-1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459097B1 (ja) * 2017-10-26 2019-01-3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583396B2 (ja) * 2017-11-27 2019-10-02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741235B2 (ja) * 2018-05-10 2020-08-1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566335B1 (ja) * 2018-06-28 2019-08-28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7036156B2 (ja) * 2020-06-30 2022-03-1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4420A (ja) 2007-09-20 2009-04-09 Hino Motors Ltd 排気浄化装置
JP2012021505A (ja) 2010-07-16 2012-02-02 Isuzu Motors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2177233A (ja) 2011-02-25 2012-09-1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660Y2 (ja) * 1991-05-31 1997-08-25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給油装置
JPH11200971A (ja) * 1998-01-09 1999-07-27 Kubota Corp 作業車の燃料残量検出装置及び警報装置
JP5235564B2 (ja) * 2008-08-27 2013-07-1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0051239A (ja) * 2008-08-28 2010-03-11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5373412B2 (ja) * 2009-01-26 2013-12-18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443027B2 (ja) * 2009-03-16 2014-03-1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TW201034560A (en) * 2009-03-17 2010-10-01 Iseki Agricult Mach Combined harvester
JP5534143B2 (ja) * 2009-07-28 2014-06-2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522360B2 (ja) * 2009-08-28 2014-06-18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908222B2 (ja) 2011-06-10 2016-04-26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5360615B2 (ja) 2011-09-27 2013-12-0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101945577B1 (ko) * 2012-08-24 2019-02-07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2014064519A (ja) * 2012-09-26 2014-04-1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4108064A (ja) 2012-11-30 2014-06-1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6016122B2 (ja) * 2013-03-28 2016-10-2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4193121A (ja) * 2013-03-28 2014-10-09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5876851B2 (ja) * 2013-03-28 2016-03-0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KR20200091944A (ko) * 2013-04-26 2020-07-31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KR101993720B1 (ko) * 2013-05-30 2019-06-27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JP2015008638A (ja) 2013-06-26 2015-01-1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5065861A (ja) * 2013-09-27 2015-04-13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5084734A (ja) * 2013-10-31 2015-05-07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20150083671A (ko) * 2014-01-10 2015-07-20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CN103797964B (zh) * 2014-03-06 2016-06-29 星光农机股份有限公司 一种联合收割机的水箱罩
JP5940107B2 (ja) * 2014-03-17 2016-06-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尿素水供給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4420A (ja) 2007-09-20 2009-04-09 Hino Motors Ltd 排気浄化装置
JP2012021505A (ja) 2010-07-16 2012-02-02 Isuzu Motors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2177233A (ja) 2011-02-25 2012-09-1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89412A (zh) 2018-07-17
CN113079808A (zh) 2021-07-09
KR20210104181A (ko) 2021-08-24
CN113079808B (zh) 2024-02-09
CN117016173A (zh) 2023-11-10
CN113079807B (zh) 2023-07-21
KR102135519B1 (ko) 2020-07-20
CN108289412B (zh) 2021-04-27
KR20220098270A (ko) 2022-07-11
CN113079807A (zh) 2021-07-09
WO2017099081A1 (ja) 2017-06-15
KR20180057695A (ko) 2018-05-30
KR20230136679A (ko) 2023-09-26
KR102416679B1 (ko) 2022-07-05
KR20200087276A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679B1 (ko) 콤바인
KR102519242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JP6602031B2 (ja) コンバイン
JP2017104084A (ja) コンバイン
KR10221079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JP6585491B2 (ja) コンバイン
JP5995708B2 (ja) コンバイン
KR102481560B1 (ko) 콤바인
JP5971859B2 (ja) コンバイン
JP2014025391A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2019218058A (ja) コンバイン
JP7356540B2 (ja) コンバイン
JP2020072660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