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339A -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 Google Patents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339A
KR20230038339A KR1020210120858A KR20210120858A KR20230038339A KR 20230038339 A KR20230038339 A KR 20230038339A KR 1020210120858 A KR1020210120858 A KR 1020210120858A KR 20210120858 A KR20210120858 A KR 20210120858A KR 20230038339 A KR20230038339 A KR 20230038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loading frame
frame
unloading device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8728B1 (ko
Inventor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주) 건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건일이엔지 filed Critical (주) 건일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20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72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Abstract

본 발명은 NCT(Numerical Control Turret punch press)의 소재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딩과 언로딩을 하나의 장치 내에서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효율 및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공기로 소재를 로딩하고 천공기에서 잔재를 언로딩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로서, 소재들이 적재된 적재 프레임과, 적재 프레임의 상부에서 천공기 쪽으로 연장된 로딩 프레임과, 적재 프레임의 적재된 소재를 흡착하여 천공기로 로딩할 수 있도록 로딩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흡착부와, 적재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는 대차와, 적재 프레임에 장착되어 적재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며 천공기에 위치한 잔재를 클램핑하여 대차 상부로 끌어 이송하는 클램퍼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of plate for NCT}
본 발명은 NCT(Numerical Control Turret punch press)의 소재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딩과 언로딩을 하나의 장치 내에서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효율 및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휠타입 금형을 사용하는 NCT(Numerical Control Turret punch press)는 소재가 되는 판재가 NCT 정반에 로딩(loading)되면, NCT에 입력된 순서에 따라 터렛이 회전하며 판재를 가압 펀칭하는 가공기이다.
NCT로 펀칭하여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NCT에 판재를 로딩하고, 펀칭작업이 완료된 판재는 언로딩하여 제거한다.
NCT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판재를 로딩/언로딩하는 공정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데, 종래에는 판재를 수작업으로 로딩/언로딩함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1886호에서는 판재를 로딩/언로딩을 위치하기 위해서, 판재가 적재된 지점과 레이저 가공기의 사이 흡착기가 왕복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즉 흡착기로 적재된 판재의 맨 상면의 판재를 흡착 고정하고, 모터의 작동에 의해 흡착기가 레이저 가공기로 이동한 후 흡착기에 흡착 고정된 판재를 레이저 가공기의 컨베이어에 내려놓는 순서로 로딩 작업이 이루어진다.
레이저 가공기에서 가공된 후에 남겨진 잔재 및 제작된 제품은 컨베이어를 통해 레이저 가공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로딩/언로딩 장치는 로딩 작업과 언로딩 작업이 별도의 장소에서 수행됨에 따라 작업장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 가공기에 컨베이어가 장착된 경우에는 컨베이어를 통해 언로딩이 가능하지만, 컨베이어가 설치되지 않은 가공기의 경우에는 로딩장치를 통해 잔재 및 제작된 제품을 언로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하나의 장치로 로딩과 언로딩이 별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1886호(공고일자 2016년06월20일)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상층에 적재된 강판을 NCT로 이송하여 펀칭하고 NCT에 남은 잔재를 하층에 이송시켜 적층할 수 있도록 강판을 낱장씩 NCT에 장입하고 남은 잔재를 하층으로 끌어내어 적층시킴으로써, 로딩과 언로딩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공기로 소재를 로딩하고 천공기에서 잔재를 언로딩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로서, 소재들이 적재된 적재 프레임과, 적재 프레임의 상부에서 천공기 쪽으로 연장된 로딩 프레임과, 적재 프레임의 적재된 소재를 흡착하여 천공기로 로딩할 수 있도록 로딩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흡착부와, 적재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는 대차와, 적재 프레임에 장착되어 적재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며 천공기에 위치한 잔재를 클램핑하여 대차 상부로 끌어 이송하는 클램퍼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 프레임은 가로 빔들과 세로 빔들이 연결된 사각 틀과, 사각 틀에서 지면으로 연장된 수직 빔을 포함하며, 지면에는 사각 틀의 측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대차 레일이 장착되어 대차가 사각 틀의 아래에서 외부로 또는 사각 틀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딩 프레임은 적재 프레임의 길이 중간에서 천공기의 정반 상부로 연장된 복수의 가로 빔과, 가로 빔을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 빔들을 포함하며, 로딩 프레임의 가로 빔을 따라 흡착부가 이동하여 적재 프레임에 적재된 소재를 천공기의 정반으로 이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딩 프레임의 가로 빔의 상면에는 흡착부의 이동 거리에 따른 풀리들이 장착되고, 풀리들을 연결하는 벨트가 풀리의 회전에 의해 궤도 회전하며, 흡착부는 벨트에 장착되어 벨트의 궤도 회전에 따라 로딩 프레임의 가로 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부는 에어라인이 연결되어 에어의 유동에 따라 소재를 흡착하거나 탈착하는 흡착패드와, 흡착패드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승강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천공기와 마주하는 적재 프레임의 저면에는 적재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클램퍼가 이동 가능하도록 클램퍼의 이동 거리에 따른 풀리들이 장착되고, 풀리들을 연결하는 벨트가 풀리의 회전에 의해 궤도 회전하며, 클램퍼는 벨트에 장착되어 벨트의 궤도 회전에 따라 적재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 프레임의 양측에 위치한 각각의 가로 빔의 저면에 장착된 벨트에는 클램핑 바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클램핑 바에는 복수의 클램퍼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퍼와 천공기의 사이에는 대차로 이동하는 잔재를 받쳐주는 지지롤러가 위치하며, 지지롤러의 양단은 유압시스템이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지지롤러가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롤러와 클램퍼의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받침대가 장착되되 받침대는 지지롤러 보다 아래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빔을 연결하는 지지 빔에는 받침대는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유압시스템이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의 상면에는 잔재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시스템은 하단에 흡착패드가 고정된 볼스크루와, 로딩 프레임의 가로 빔을 따라 궤도회전하는 벨트에 고정되며 볼스크루에 체결된 볼너트가 장착된 지지프레임과, 볼스크루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케이스와, 볼스크루의 상단에 장착되어 볼스크루를 회전시키는 승강모터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딩 및 언로딩 장치는 적재 프레임에서 적재된 강판을 낱장씩 NCT로 로딩하고, NCT에서 펀칭작업 후 남은 잔재를 대차로 언로딩함에 따라 로딩과 언로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로딩 및 언로딩 장치는 대차가 적재 프레임의 아래로 진입하여 잔재를 언로딩하고 적재 프레임의 외부로 이동하여 하역함에 따라 소재인 강판과 잔재가 상하에 위치하여 작업장의 공간활용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딩 및 언로딩 장치는 로딩과 언로딩이 동일 직선방향으로 상하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로봇암과 같이 선회하거나 회전하여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장치들에 비해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흡착기를 통해 소재를 NCT에 로딩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1a에 도시된 클램프를 통해 잔재를 언로딩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은 언로딩된 잔재를 대차를 이용하여 프레임 외부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1a에 도시된 승강스시템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가 동시에 로딩과 언로딩 과정이 이루어지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제1이송부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11은 제2이송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제1이송부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11은 제2이송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흡착기를 통해 소재를 NCT에 로딩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1a에 도시된 클램프를 통해 잔재를 언로딩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은 언로딩된 잔재를 대차를 이용하여 프레임 외부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1a에 도시된 승강스시템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가 동시에 로딩과 언로딩 과정이 이루어지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100)는 도 5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된 강판(101)을 한 장씩 NCT(1)의 정반(3)으로 투입하는 로딩부(200)와, NCT(1)의 펀칭 작업 후 정반(3)에 남은 잔재(101S)를 정반(3)에서 언로딩하는 언로딩부(300)를 포함한다.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 및 언로딩 장치(100)은 NCT(1)의 정반(3) 상부로 연장된 로딩 프레임(210)과, 로딩 프레임(210)의 아래에 위치하며 NCT(1)에 투입될 강판(101)들이 적재된 적재 프레임(220)과, 적재 프레임(220)의 아래에 위치하며 적재 프레임(220)의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적재 프레임(220)의 아래로 이동 가능한 대차(310)를 포함하며, 적재 프레임(220)에 안착된 강판(101)들 중 맨 위에 위치한 강판을 NCT(1)의 정반(3) 상부로 이동시키는 흡착부(230)와, NCT(1) 정반에서 펀칭 작업이 이루어진 후 남은 잔재(scrap; 101S)를 클램핑하여 대차(310) 상부로 이동시키는 클림핑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로딩부(200)는 로딩 프레임(210), 적재 프레임(220), 흡착부(230)를 포함하며, 언로딩부(300)는 대차(310)와 클림핑부(32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로딩 및 언로딩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프레임(220)은 복수의 강판(101)들이 적층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가로 빔(221H)과 세로 빔(221V)이 교차하는 구조의 사각 틀(221)과 상기 사각 틀(221)의 가장자리에는 지면으로 연장되는 수직 빔(223)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적재 프레임(220)의 사각 틀(221)은 수직 빔(223)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며, 사각 틀(221)은 강판(101)의 면적과 같거나 보다 넓은 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대차(310)가 적재 프레임(220)의 사각 틀(221) 아래로 진입하거나 사각 틀(221)의 아래에서 외부로 진출할 수 있도록 대차 레일(311)이 지면에 형성된다. 대차 레일(311)은 필요에 따라 적재 프레임(220)의 측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의 구조에 따라 대차(310)를 쉽게 이동하며 위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 구조에 맞춰 선택적으로 대차 레일(311)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적재 프레임(220)의 상부에는 로딩 프레임(210)이 위치한다. 로딩 프레임(210)은 그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로 빔(210H), 그리고 한 쌍의 가로 빔(210H)의 양단은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 빔(210V)을 포함하며, 로딩 프레임(210)의 선단은 NCT(1)의 정반(3) 상부까지 연장되며, 로딩 프레임(210)의 후단부는 적재 프레임(220)의 사각 틀(221)과 마주하게 위치한다.
한편, 로딩 프레임(210)에는 흡착부(230)가 장착되며, 흡착부(230)는 로딩 프레임(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흡착부(230)에는 적재 프레임(220)에 적재된 강판(101) 중에서 맨 상부에 위치한 강판(101) 1장을 흡착하여 들어올린 후 로딩 프레임(210)의 가로 빔(210H)을 따라 NCT(1)의 정반(3) 쪽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흡착부(230)가 로딩 프레임(210)의 가로 빔(210H)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한 쌍의 가로 빔(210H)의 상부에는 한 쌍의 타이밍벨트(231B)가 각각 위치하고, 흡착부(230)가 설계된 이동거리에 맞춰 타이밍풀리(231P)가 가로 빔(210H)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타이밍풀리(231P)는 도 10에 보이듯이, 로딩 프레임(210)에 장착된 제1이송부(233)의 제1모터(233M)와 연결되어 제1모터(233M)의 작동에 따라 타이밍벨트(231B)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흡착부(230)는 양측에 위치한 타이밍벨트(231B)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서, 제1모터(233M)의 작동에 의해 타이밍벨트(231B)가 궤도회전할 경우 타이밍벨트(231B)의 양측에 장착된 타이밍풀리(231P)의 사이를 흡착부(230)가 왕복 이동하게 된다.
흡착부(230)는 강판(101)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흡착패드(235)를 포함하며, 흡착패드(235)는 흡착부(230)에 수직하게 장착된 승강시스템(240)의 볼스크루(245) 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흡착부(230)는 승강시스템(240)의 볼스크루(245)의 회전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230)의 승강시스템(240)은 양측 타이밍 벨트(231B)에 고정된 지지프레임(241)과, 지지프레임(241)에 고정된 볼너트(243)에 장착되어 지지프레임(241)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볼스크루(245)와, 볼스크루(245)를 감싸며 볼스크루(245)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케이스(247)와, 케이스(247)의 상단에 장착되어 볼스크루(245)를 회전시키는 승강모터(24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승강시스템(240)은 승강모터(249)의 작동에 의해 볼스크루(245)가 회전하게 되고, 지지프레임(241)에 장착된 볼너트(243)를 기준으로 볼스크루(245)가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흡착패드(235)는 볼스크루(245)의 하단에 고정됨에 따라 볼스크루(245)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한편 흡착패드(235)에는 에어라인(미도시)이 연결되어 흡착패드(235)에 강판(101)이 밀착된 상태에서 에어를 배기하면 흡착패드(235)에 강판(101)이 흡착 고정되고, 반대로 흡착패드(235)에 에어를 주입하면 흡착 고정된 강판(101)이 흡착패드(235)에서 탈락한다.
따라서 흡착패드(235)에 고정된 강판(101)은 승강시스템(240)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1모터(233M)의 정역회전에 따라 타이밍벨트(231B)를 따라 로딩 프레임(210)의 선단방향 또는 후단방향으로 이동한다. 선단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흡착패드(235)에 고정된 강판(101)은 NCT(1)의 정반(3)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앞에서는 로딩부(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 것이고, 아래에서는 언로딩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언로딩부(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CT(1)의 정반(3)에 위치한 잔재(scrap; 101S)을 클램핑부(320)로 집어 대차(310) 위로 이송하여 대차(310)에 적재하기 위한 구성이다.
언로딩부(300)는 적재 프레임(220)의 가로 빔(221H)의 저면에 장착된 제2이송부(323)와, 제2이송부(323)에 의해 적재 프레임(220)의 가로 빔(221H)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클램퍼(325)들과, NCT(1)의 정반(3)에서 대차(310) 쪽으로 인출되는 잔재(101S)를 받쳐주는 지지롤러(331)와, 대차(310)의 상부로 인출된 잔재(101S)의 선단을 받쳐 서서히 내려주는 받침대(341)를 포함한다.
도 11에 보이듯이, 제2이송부(323)는 적재 프레임(220)의 가로 빔(221H) 저면에 가로 빔(221H)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타이밍벨트(321B), 타이밍벨트(321B)의 양단에 위치하는 복수의 타이밍풀리(321P), 타이밍풀리(321P)와 연결되어 타이밍풀리(321P)를 회전시켜 타이밍벨트(321B)를 궤도 회전시키는 제2모터(323M)를 포함하며, 한 쌍의 타이밍벨트(321B)에는 클램핑 바(327)의 양단이 고정된다. 따라서 타이밍벨트(321B)가 궤도 회전하면 클램핑 바(327) 또한 타이밍벨트(321B)를 따라 가로 빔(221H)의 길이방향을 이동한다.
한편 클램핑 바(327)에는 복수의 클램퍼(325)가 장착된다. 따라서 클램퍼(325)는 제2이송부(323)의 작동에 의해 적재 프레임(220)의 선단 즉 NCT(1)의 정반(3)과 마주하는 지점까지 전진하며 대차(310)의 후단까지 적재 프레임(220)의 가로 빔(221H)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지지롤러(331)는 NCT(1)의 정반(3)에서 대차(310)로 이동하는 잔재(101S)를 받쳐줌으로써, 잔재(101S)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지지롤러(331)는 수직 빔(223)에 장착된 유압시스템(333)의 로드 단부에 아이들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지지롤러(331) 또한 유압시스템(333)의 스트로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대차(310)에 적재된 잔재의 높이에 따라 지지롤러(331)의 높이 또한 조절된다.
또한 한 쌍의 수직 빔(223)의 하단에는 지지 빔(343)의 양단이 고정되며, 지지 빔(343)에는 받침대(341)가 장착된다.
받침대(341)는 지지롤러(331)를 지나간 잔재의 끝단이 지지롤러(331)에서 대차(310) 쪽으로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대(341) 또한 지지 빔(343)에 장착된 유압시스템(347)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지지롤러(331)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잔재가 클램퍼(325)에 물려 대차(310) 쪽으로 이동하는 중에 잔재의 끝단이 지지롤러(331)를 지나갈 경우 잔재의 끝단은 지지롤러(331)에서 받침대(341)로 떨어지고, 받침대(341)가 유압시스템(347)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잔재의 끝단은 대차(310) 또는 대차(310)에 적재된 잔재(101S)의 상면에 사뿐히 내려진다.
잔재(101S)가 받침대(341)에서 받쳐진 상태에서 대차(310) 쪽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받침대(341)의 상면에는 롤러(345)가 장착되어 잔재(101S)가 받침대(341)의 롤러(345)에 의해 받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차(310)에 적재된 잔재의 높이가 설정치에 도달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310)는 지면에 설치된 대차 레일(311)을 따라 적재 프레임(220)의 바깥쪽으로 이동된 후 대차에서 하역되며, 빈 대차(310)는 다시 대차 레일(311)을 따라 적재 프레임(220)의 아래에 위치하여 언로딩되는 잔재를 싣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딩 및 언로딩 장치(10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프레임(220)에서 강판(101)을 NCT(1)로 로딩하고, NCT(1)에서 펀칭작업된 잔재를 대차(310)로 언로딩함에 따라 도 9에 보이듯이 로딩과 언로딩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한편, 로딩부(200)의 타이밍벨트(231B)에는 지지프레임(241)이 고정되고 언로딩부(300)의 타이밍벨트(321B)에는 클램핑 바(327)가 고정되는데, 지지프레임(241)과 클램핑 바(327)가 가로빔(210H, 221H)을 따라 상하 흔들림 없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가로빔(210H, 221H)에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고정되고, 지지프레임(241)과 클램핑 바(327)는 가이드레일에 각각 장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타이밍벨트(231B, 321B)의 궤도회전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게 된다.
1 : NCT
3 : 정반
100 :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01 : 강판
200 : 로딩부
210 : 로딩 프레임
220 : 적재 프레임
223 : 수직 빔
230 : 흡착부
233 : 제1이송부
235 : 흡착패드
240 : 승강시스템
300 : 언로딩부
310 : 대차
311 : 대차레일
320 : 클램핑부
323 : 제2이송부
325 : 클램퍼
327 : 클램핑 바
331 : 지지롤러
333, 347 : 유압시스템
341 : 받침대

Claims (12)

  1. 가공기로 소재를 로딩하고 가공기에 남은 잔재를 언로딩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로서,
    소재들이 적재된 적재 프레임(220)과,
    적재 프레임(220)의 상부에서 가공기 쪽으로 연장된 로딩 프레임(210)과,
    적재 프레임(220)의 적재된 소재를 흡착하여 가공기로 로딩할 수 있도록 로딩 프레임(210)을 따라 이동하는 흡착부(230)와,
    적재 프레임(220)의 아래에 위치하는 대차(310)와,
    적재 프레임(220)에 장착되어 적재 프레임(220)을 따라 이동하며 가공기에 위치한 잔재를 클램핑하여 대차(310) 상부로 끌어 이송하는 클램핑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재 프레임(220)은 가로 빔(221H)들과 세로 빔(221V)들이 연결된 사각 틀(221)과, 사각 틀(221)에서 지면으로 연장된 수직 빔(223)을 포함하며,
    지면에는 사각 틀(221)의 측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대차 레일(311)이 장착되어 대차(310)가 사각 틀(221)의 아래에서 외부로 또는 사각 틀(221)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로딩 프레임(210)은 적재 프레임(220)의 길이 중간에서 가공기의 정반(3) 상부로 연장된 복수의 가로 빔(210H)과, 가로 빔(210H)을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 빔(210V)들을 포함하며,
    로딩 프레임(210)의 가로 빔(210H)을 따라 흡착부(230)가 이동하여 적재 프레임(220)에 적재된 소재를 가공기의 정반(3)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로딩 프레임(210)의 가로 빔(210H)의 상면에는 흡착부(230)의 이동 거리에 따른 풀리(231P)들이 장착되고, 풀리(231P)들을 연결하는 벨트(231B)가 풀리(231P)의 회전에 의해 궤도 회전하며, 흡착부(230)는 벨트(231B)에 장착되어 벨트(231B)의 궤도 회전에 따라 로딩 프레임(210)의 가로 빔(210H)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착부(230)는 에어라인이 연결되어 에어의 유동에 따라 소재를 흡착하거나 탈착하는 흡착패드(235)와, 흡착패드(235)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승강시스템(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가공기와 마주하는 적재 프레임(220)의 저면에는 적재 프레임(220)의 길이방향으로 클램퍼(325)가 이동 가능하도록 클램퍼(325)의 이동 거리에 따른 풀리(321P)들이 장착되고, 풀리(321P)들을 연결하는 벨트(321B)가 풀리(321P)의 회전에 의해 궤도 회전하며, 클램퍼(325)는 벨트(321B)에 장착되어 벨트(321B)의 궤도 회전에 따라 적재 프레임(2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적재 프레임(220)의 양측에 위치한 각각의 가로 빔(221H)의 저면에 장착된 벨트(321B)에는 클램핑 바(327)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클램핑 바(327)에는 복수의 클램퍼(325)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클램퍼(325)와 가공기의 사이에는 대차(310)로 이동하는 잔재를 받쳐주는 지지롤러(331)가 위치하며, 지지롤러(331)의 양단은 유압시스템(333)이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지지롤러(331)가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지지롤러(331)와 클램퍼(325)의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받침대(341)가 장착되되 받침대(341)는 지지롤러(331) 보다 아래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수직 빔(223)을 연결하는 지지 빔(343)에는 받침대(341)는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유압시스템(347)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받침대(341)의 상면에는 잔재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345)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승강시스템(240)은 하단에 흡착패드(235)가 고정된 볼스크루(245)와, 로딩 프레임(210)의 가로 빔(210H)을 따라 궤도회전하는 벨트(231B)에 고정되며 볼스크루(245)에 체결된 볼너트(243)가 장착된 지지프레임(241)과, 볼스크루(245)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케이스(247)와, 볼스크루(245)의 상단에 장착되어 볼스크루(245)를 회전시키는 승강모터(2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 및 언로딩 장치.
KR1020210120858A 2021-09-10 2021-09-10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KR102618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858A KR102618728B1 (ko) 2021-09-10 2021-09-10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858A KR102618728B1 (ko) 2021-09-10 2021-09-10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339A true KR20230038339A (ko) 2023-03-20
KR102618728B1 KR102618728B1 (ko) 2023-12-29

Family

ID=8579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858A KR102618728B1 (ko) 2021-09-10 2021-09-10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7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5064A (ja) * 1999-10-14 2001-04-17 Amada Co Ltd 板材加工機における製品搬出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20078337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다이아벨 시트 이송 장치 및 시트 이송 장치가 마련된 가공 장치
JP2015104793A (ja) * 2013-12-02 2015-06-08 村田機械株式会社 板材搬送システム、板材加工システム、及び仕分け装置
KR101631886B1 (ko) 2016-02-23 2016-06-20 봉민 철판 로딩/언로딩 방법 및 시스템
JP6260034B2 (ja) * 2015-04-12 2018-01-17 Biデザイン合同会社 板材仕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5064A (ja) * 1999-10-14 2001-04-17 Amada Co Ltd 板材加工機における製品搬出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20078337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다이아벨 시트 이송 장치 및 시트 이송 장치가 마련된 가공 장치
JP2015104793A (ja) * 2013-12-02 2015-06-08 村田機械株式会社 板材搬送システム、板材加工システム、及び仕分け装置
JP6260034B2 (ja) * 2015-04-12 2018-01-17 Biデザイン合同会社 板材仕分装置
KR101631886B1 (ko) 2016-02-23 2016-06-20 봉민 철판 로딩/언로딩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728B1 (ko)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21753B2 (ja) 板材加工機に対する板状ワークの搬出入方法及び装置
JP4935442B2 (ja) 板材搬出装置および板材搬出方法
JP6437135B2 (ja) ワーク台を備える工作機械および工作機械のワーク台のロードおよびアンロードを行う方法
KR101727117B1 (ko) 대형프레스의 소재 이송시스템
KR101727118B1 (ko) 소재 반송 시스템
CN108033267A (zh) 金属板材搬运工艺
CN107879108A (zh) 金属板材搬运装置
JP3515387B2 (ja) 板材の搬入出装置
JP5094145B2 (ja) 棚装置及び製品パレットへのワーク載置方法
US6152682A (en) Plate material carrying apparatus
KR200480692Y1 (ko) 판재의 가공 장치
JPH09234580A (ja) 板材加工機用搬入出装置
JPH11171334A (ja) 複合加工ラインにおけるワーク旋回方法及びその装置
JP4997847B2 (ja) 切断加工装置
KR20230038339A (ko) 천공기용 판재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KR101733983B1 (ko) 고효율 프레스 시스템
JPH0625246U (ja) 板材の反転機
JP4923752B2 (ja) 板材加工搬送システム
JPH09110165A (ja) 物品積層時におけるロボット利用の合紙供給装置
JP2552789B2 (ja) 製品分離装置
CN208761658U (zh) 一种层板下料装置
JPH0751775A (ja) 板材加工機のワーク搬送装置
JPH09110166A (ja) 物品積層時におけるロボット利用の合紙供給装置
JP3737531B2 (ja) 板材加工装置
JPH038629A (ja) 板金加工機のワーク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