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040A - 수지 조성물,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040A
KR20230008040A KR1020227035974A KR20227035974A KR20230008040A KR 20230008040 A KR20230008040 A KR 20230008040A KR 1020227035974 A KR1020227035974 A KR 1020227035974A KR 20227035974 A KR20227035974 A KR 20227035974A KR 20230008040 A KR20230008040 A KR 2023000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minated glass
polyvinyl acetal
glas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오오히가시
유미코 데라구치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3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cetal or keta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25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 B32B17/10834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using a fluid
    • B32B17/10844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using a fluid using a membrane between the layered product and the fluid
    • B32B17/10853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using a fluid using a membrane between the layered product and the fluid the membrane being bag-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lcohol radical
    • C08F216/04Acyclic compounds
    • C08F216/06Polyvinyl alcohol ; Vinyl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1/00Polyvinylesters
    • B32B2331/04Polymers of vinyl acetate, e.g. PV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3/0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32B2333/04Polymers of esters
    • B32B2333/08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e.g. PMA, i.e. polymethyl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9/00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8/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218/02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F218/04Vinyl esters
    • C08F218/08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고,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이고, 또한 Kaelble-Uy의 방법에 의한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가 0.1mJ/m2 이상 8.0mJ/m2 이하의 값인,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접합 유리에 있어서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접합 유리는, 2장의 유리판과, 2장의 유리판 사이에 배치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2장의 유리판이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의 파편의 비산량이 적고, 안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사용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유리판과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금속 원소를 함유하는 제1 층을 함유하고, 또한 제1 층에 있어서 표면 자유 에너지의 d성분(분산 성분)을 35.9mJ/m2 미만으로 하는 것이 나타내어진다.
또,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이외에도, 잉크, 도료, 소부(燒付)용 에나멜, 워시 프라이머, 락카, 분산제, 접착제, 세라믹 그린 시트, 열현상성 감광재료, 수성 잉크 수용층의 바인더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그리고,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변성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충분한 가소성, 알코올계 용제에 대한 용해성, 그 용액의 저점성 및 안정성 등을 확보하고, 다른 성분과 상분리를 일으키기 어려우며, 입자의 분산성이나 틱소트로피성이 우수한 슬러리나, 강도 및 유연성이 우수한 시트 등을 얻을 수 있는, 알킬 변성 비닐아세탈계 중합체가 개시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변성 비닐아세탈계 중합체는, 측쇄에 -CCONRH(R이 탄소수 8~29의 알킬기)를 갖는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고, 점도 평균 중합도가 150~5000, 비누화도가 20~99.99몰%, 상기 단량체에 의한 변성량이 0.05~5몰%인 변성 비닐알코올계 중합체를 아세탈화하여 얻어지는 것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내습성, 내열성, 내관통성의 향상을 위하여, 측쇄에 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알콕시실릴기를 도입한 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 중간막용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7-66007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2/133351호 일본국 특허공개 2003-183059호 공보
접합 유리에 있어서의 유리판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무기 유리가 널리 사용되는데, 무기 유리는, 중량이 무거워, 충격을 받았을 때에 깨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로 인해, 접합 유리판에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의 유기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의 유기 유리에 대해, 종래의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해도, 접착성이 향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유연성을 확보하여 유리에 대한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소제를 함유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가소제를 함유하면, 사용과 함께 가소제에 의해 유기 유리 등의 수지 재료가 침식되어,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유리판의 광 투과율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도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2, 3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을 변성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이 부여되는 것이 나타내어지지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에 대한 침식을 방지하면서,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나타내어지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고,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에 대한 침식을 방지하면서, 그 수지 재료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의 결과,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를 소정값 이하로 하면서, 또한 Kaelble-Uy의 방법에 의한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를 소정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이하의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내지 [23]을 제공한다.
[1]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고,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이고, 또한 Kaelble-Uy의 방법에 의한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가 0.1mJ/m2 이상 8.0mJ/m2 이하의 값인, 수지 조성물.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이하의 식 (1-1), 식 (1-2), 식 (1-3), 및 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갖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01
[식 (1-1), (1-2)에 있어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2~30인 탄화수소이다. 식 (1-3), (1-4)에 있어서, A1O, A2O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m, n은 평균 반복 수이며, 4~200이다.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4인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이다. 또한, 식 (1-3), 및 식 (1-4)에 있어서, 옥시알킬렌기는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혼재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상기 식 (1-1) 및 식 (1-2)로 표시되는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갖는, 상기 [2]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4]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에 있어서, 식 (1-1) 및 식 (1-2)로 표시되는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이 5몰% 이상 25몰% 이하인,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5]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상기 식 (1-3) 및 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갖는 상기 [2]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6]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상기 식 (1-3) 및 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이, 0.2몰% 이상 12몰% 이하인, 상기 [2] 또는 [5]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7]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상기 식 (1-1)~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이 0.2몰% 이상 25몰% 이하인,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8]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가소제를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10질량부 이하로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9]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5℃ 이상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0]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인,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1]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40몰% 이상 85몰% 이하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수산기량이 0몰% 이상 35몰% 이하인,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3]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0.01몰% 이상 50몰% 이하인,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4]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가 300 이상 5000 이하인,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5]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고, 또한 그 수산기량이, 15몰% 이하인, 상기 [1], 및 [8]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16]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층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7]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상기 제1 층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6]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8]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가, 100μm 이상 2000μm 이하인, 상기 [16] 또는 [17]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9] 상기 제1 층이,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최외면을 구성하는, 상기 [16]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20] 상기 [16]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과,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상기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유리.
[21] 상기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기 유리 혹은 유기 필름인, 상기 [20]에 기재된 접합 유리.
[22] 상기 제1 층이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최외면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1 층으로 구성되는 최외면이 상기 유기 유리에 접촉하는, 상기 [21]에 기재된 접합 유리.
[23] 상기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메타크릴레이트판인, 상기 [20]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합 유리.
본 발명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고,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에 대한 침식을 방지하면서,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십자 박리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고,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이고, 또한 Kaelble-Uy의 방법에 의한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가 0.1mJ/m2 이상 8.0mJ/m2 이하의 값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지 조성물이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에 대한 침식을 방지하면서,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리 전이 온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50℃ 이하이다.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50℃를 초과하면, 충분한 유연성이 발현되지 않아,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나, 무기 유리에 대한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유연성을 높여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48℃ 이하가 바람직하고, 45℃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하한값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성 등을 발현시키지 않고 취급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또한,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수지 조성물을 필름으로 하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점탄성 측정을 행하고, 점탄성 측정의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 온도를 읽어냄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측정 조건의 상세는, 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같다.
[표면 자유 에너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Kaelble-Uy의 방법에 의한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가 0.1mJ/m2 이상 8.0mJ/m2 이하의 값이 되는 것이다. 극성 성분 γsp가 8.0mJ/m2를 초과하면,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가 너무 높아져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소수성을 갖는 수지 재료에 대한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장기간 사용 후에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를 침식하여, 수지 재료의 광 투과율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극성 성분 γsp가 0.1mJ/m2 미만이 되면,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이 너무 낮아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소수성을 갖는 수지 재료에 대해, 높은 접착성을 발현하기 어려워진다.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는, 수지 재료에 대한 침식성을 낮게 하면서 접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mJ/m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mJ/m2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mJ/m2 이하이다.
또,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는, 접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3mJ/m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J/m2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0mJ/m2 이상이다.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는, 온도 23℃, 상대 습도 50% 환경하에서, 수지 조성물의 물 및 요오드화메틸렌(디요오드메탄)과의 접촉각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필름으로 성형하고, 그 필름으로 성형한 수지 조성물 상에 액적을 형성하여, 접촉각을 측정하면 된다.
γs=γsd+γsp
72.8(1+cosθH)=2(21.8γsd)1/2+2(51.0γsp)1/2
50.8(1+cosθI)=2(48.5γsd)1/2+2(2.3γsp)1/2
γs:표면 자유 에너지
γsd:표면 자유 에너지의 분산 성분
γsp: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θH:물에 대한 접촉각
θI:요오드화메틸렌에 대한 접촉각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상기와 같이 수지 조성물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여도 되고,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여도 된다. 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세탈기, 수산기, 및 아세틸기 이외의 구조를 예를 들면 측쇄에 갖는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변성제와 반응시키거나, 재아세틸화 처리하거나 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또, 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얻으려면, 원료가 되는 폴리비닐알코올로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의 아세탈기, 수산기, 및 아세틸기 이외의 구조는, 예를 들면 탄소수 2~30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30의 탄화수소기는, 예를 들면, 에스테르 결합, 우레탄 결합 등의 연결기를 통해 주쇄와 연결하면 된다.
또, 아세탈기, 수산기, 및 아세틸기 이외의 구조는, 폴리옥시알킬렌기여도 된다. 폴리옥시알킬렌기는, 에테르 결합 및 -CH2O-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주쇄에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H2O-는, 탄소 원자가 주쇄에 연결되면 된다.
즉, 아세탈기, 수산기, 및 아세틸기 이외의 구조는, 에스테르 결합, 에테르 결합, -CH2O-, 및 우레탄 결합 중 어느 하나의 연결기로 주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식 (1-1)~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의 식 (1-1) 및 식 (1-2)로 표시되는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식 (1-1)~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적어도 가짐으로써,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의 값이 낮아져, 상기한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또, 가소제를 다량으로 함유시키지 않아도,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게 하기 쉬워진다.
Figure pct00002
[식 (1-1), (1-2)에 있어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2~30인 탄화수소기이다. 식 (1-3), (1-4)에 있어서, A1O, A2O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m, n은 평균 반복 수이며, 4~200이다.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4인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이다. 또한, 식 (1-3), 및 식 (1-4)에 있어서, 옥시알킬렌기는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혼재되어 있어도 된다.]
R1, R2에 있어서의 탄화수소기는, 방향환을 갖고 있어도 되고, 갖고 있지 않아도 되는데, 방향환을 갖지 않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에 의해,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의 값을 낮게 하기 쉬워지고,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직쇄상이어도 되고, 분기를 가져도 되고, 환구조를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분기되어 있으면,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게 하기 쉬워진다.
또한,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불포화 결합을 가져도 되고,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아도 된다.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알케닐기, 알킬기, 알키닐기가 바람직하지만,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1, R2 각각에 있어서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 이상이다. R1, R2 각각에 있어서의 탄소수를 크게 함으로써, 극성 성분 γsp의 값을 낮게 하기 쉽고,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소수성이 높은 수지 재료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도 낮게 하기 쉬워진다.
R1, R2 각각에 있어서의 탄소수는, 결정화 등 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다.
따라서, R1, R2는 각각, 탄소수 3~24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5~20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7~18의 알킬기가 더 바람직하고, 탄소수 11~18의 알킬기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R1, R2의 구체예로서는,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등의 분기 부틸기, n-펜틸기, 분기 펜틸기, n-헥실기, 분기 헥실기, n-헵틸기, 이소헵틸기, 3-헵틸기 등의 분기 헵틸기, n-옥틸기, 이소옥틸기, 2-에틸헥실기 등의 분기 옥틸기, n-노닐기, 이소노닐기 등의 분기 노닐기, n-데실기, 분기 데실기, n-운데실기, 분기 운데실기, n-도데실기, 분기 도데실기, n-트리데실기, 분기 트리데실기, n-테트라데실기, 분기 테트라데실기, n-펜타데실기, 분기 펜타데실기, n-헥사데실기, 분기 헥사데실기, n-헵타데실기, 분기 헵타데실기, n-옥타데실기, 분기 옥타데실기, n-노나데실기, 분기 노나데실기, n-이코실기, 분기 이코실기, n-헨이코실기, 분기 헨이코실기, n-도코실기, 분기 도코실기, n-트리코실기, 분기 도코실기, n-테트라코실기, 분기 테트라코실기, 올레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식 (1-3), (1-4)에 있어서, A1O, A2O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이다.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는,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또는 옥시부틸렌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옥시에틸렌기이다. 또한, 옥시알킬렌기는 2종 이상 병용해도 되고, 그 경우, 각 옥시알킬렌기는, 랜덤하게 부가해도 되고, 블록으로 부가해도 된다.
m, n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반복 수를 나타내고, 4~200이며, 바람직하게는 4~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0, 더 바람직하게는 5~40, 특히 바람직하게는 8~20이다.
또, R3, R4에 있어서의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4인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이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의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또는 수소 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따라서, 식 (1-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는, -O-(CH2CH2O)m-H로 표시되는 관능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는, -CH2O-(CH2CH2O)n-H로 표시되는 관능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경우의 m, n의 적합한 범위도 상기와 같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전형적으로는, 아세탈기, 수산기, 및 아세틸기를 갖는다. 단,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관능기에 의해 변성되고, 또는 재아세틸화 반응됨으로써 수산기를 함유하지 않아도 되다.
또,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변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상기 식 (1-1)~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식 (1-1)~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 중 어느 하나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다른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와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식 (1-1) 및 식 (1-2)로 표시되는 관능기 중 어느 하나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다른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와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1)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식 (1-3) 및 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 중 어느 하나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다른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와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2)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는, 식 (1-1)~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이 예를 들면 0.2몰% 이상 25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0.3몰% 이상 25몰% 이하이다. 변성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유리 전이 온도(Tg)도 낮게 하기 쉬워지고, 중간막의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의 유기 유리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상기 식 (1-1)~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의 적합값은, 관능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1)는, 식 (1-1) 및 식 (1-2)로 표시되는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이 5몰% 이상 25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성량이 5몰% 이상인 것에 의해, 극성 성분 γsp의 값 및 유리 전이 온도(Tg)도 낮게 하기 쉬워지고,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소수성이 높은 수지 재료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 25몰% 이하로 함으로써, 극성 성분 γsp가 너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이들 관점에서, 식 (1-1) 및 식 (1-2)로 표시되는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은, 6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몰%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10몰%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또, 22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8몰%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면, 식 (1-3) 및 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 중 어느 하나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2)는, 상기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식 (1-3) 및 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은, 0.2몰% 이상 12몰%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식 (1-3) 및 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은, 0.3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4몰%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0.5몰%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또, 10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몰%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6몰%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각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비닐 단량체 단위에 대한, 각 관능기의 비율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식 (1-1) 및 식 (1-2)로 표시되는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이란, 이들 관능기의 합계의 비율을 나타낸다. 또한, 변성량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에 대해 프로톤 NMR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스펙트럼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후술하는 아세탈화도, 수산기량, 및 아세틸화도도 동일하게, 프로톤 NMR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스펙트럼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상기한 식 (1-1)~(1-4)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지 않아도 된다. 그러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식 (1-1)~(1-4)로 표시되는 관능기 이외의 관능기를 갖는 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여도 되고,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여도 된다.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여도, 재아세틸화 반응 등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산기량을 적게 함으로써, 극성 성분 γsp의 값, 및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게 하기 쉬워진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주쇄로서 비닐기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는 것이며, 식 (1-1)~(1-4)로 표시되는 관능기는, 주쇄를 구성하는 비닐기 유래의 구성 단위에 결합하는 것이면 된다. 따라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이하의 식 (2-1)~식 (2-4)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의 식 (2-1) 및 식 (2-2)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3
[식 (2-1), (2-2)에 있어서, R1, R2는 각각 상기와 같다. 식 (2-3), (2-4)에 있어서, A1O, A2O, m, n, R3, 및 R4는 각각 상기와 같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전형적으로는, 아세탈기, 수산기, 및 아세틸기를 갖고, 즉,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전형적으로는, 이하의 식 (3-1), 식 (3-2) 및 식 (3-3)으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갖는다. 따라서, 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이하의 식 (3-1), 식 (3-2) 및 식 (3-3)으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와, 상기한 식 (2-1)~식 (2-4)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구성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이하의 식 (3-1), 식 (3-2) 및 식 (3-3)으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와, 상기한 식 (2-1) 및 식 (2-2)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구성 단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예를 들면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인 경우, 상기와 같이 수산기를 갖지 않아도 되고, 식 (3-2)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는, 갖지 않아도 된다. 즉,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이하의 식 (3-1) 및 식 (3-3)으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갖고, 또한 임의로 이하의 식 (3-2)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가져도 된다.
또,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이하의 식 (3-1), 식 (3-2) 및 식 (3-3)으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 또는 이하의 식 (3-1) 및 식 (3-3)으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와, 상기한 식 (2-1)~식 (2-4)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져도 되지만, 이들 이외의 관능기를 갖는 구성 단위를 가져도 된다.
Figure pct00004
[식 (3-1)에 있어서, R5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상기와 같이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변성시킨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고, 그 후 필요에 따라 변성하여 얻어지는 것인데, 폴리비닐알코올로서는, 비누화도 80~99.8몰%의 폴리비닐알코올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또,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를 원하는 범위 내로 조정하기 위하여, 300 이상 5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식 (3-1)로 표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20이지만, 2~10인 것이 바람직하고, 2~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3 또는 4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식 (3-1)로 표시하는 R5의 탄소수는, 1~9가 바람직하고, 1~5가 보다 바람직하고, 1~3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아세탈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부티랄기가 특히 바람직하고, 따라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로서는,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아세탈화도(즉, 아세탈량)는, 바람직하게는 40몰% 이상 85몰% 이하이다. 또, 아세탈화도는, 55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60몰%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70몰% 이하이다. 아세탈화도를 이들 범위 내로 함으로써, 수산기의 양을 적당한 양으로 하면서, 식 (1-1), 식 (1-2), 식 (1-3), 및 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일정량 함유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아세탈화도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아세탈기가 아세토아세탈기인 경우에는, 아세토아세탈화도를 의미하고, 아세탈기가 부티랄기인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를 의미한다.
또, 아세탈화도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비닐 단량체 단위에 대한, 아세탈화된 비닐알코올 단위의 비율을 나타낸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이다. 수산기량을 35몰% 이하로 하면, 극성 성분 γsp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 유리 전이 온도(Tg)도 낮게 하기 쉬워진다. 극성 성분 γsp 및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게 하고,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소수성이 높은 수지 재료에 대한 접착성을 높게 하는 관점에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예를 들면, 수지 (A-1) 또는 수지 (A-2))인 경우에는, 수산기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이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수산기량은, 0몰% 이상이면 되는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예를 들면, 수지 (A-1) 또는 수지 (A-2))인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이 너무 유연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일정량의 수산기량을 함유하면 되고, 예를 들면 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6몰% 이상이다.
또,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예를 들면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에는, 극성 성분 γsp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게 하기 위하여, 수산기량을 낮게 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몰%이다.
또한, 수산기량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비닐 단량체 단위에 대한, 수산기의 비율을 나타낸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예를 들면 0.01몰% 이상 50몰% 이하인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예를 들면, 수지 (A-1) 또는 수지 (A-2))의 경우에는, 식 (1-1)~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을 일정값 이상으로 하기 위하여, 아세틸화도도 일정값 이하로 하는 편이 좋다. 따라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예를 들면, 수지 (A-1) 또는 수지 (A-2))의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2몰%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이다.
또,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예를 들면, 수지 (A-1) 또는 수지 (A-2))의 아세틸화도는, 상기와 같이 예를 들면 0.01몰% 이상인데,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이다.
또, 수산기량을 낮게 하고 극성 성분 γsp를 높게 하며, 또한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게 하는 관점에서,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경우, 그 아세틸화도는, 일정값 이상으로 하는 편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3몰% 이상이다. 또,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는, 상기와 같이, 예를 들면 50몰% 이하인데, 바람직하게는 45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2몰% 이하이다.
또한, 아세틸화도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비닐 단량체 단위에 대한, 아세틸기의 비율을 나타낸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5000 이하이다. 평균 중합도를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기계 강도, 유연성 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이들 관점으로부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5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0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1500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 평균 중합도는, 45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000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3500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원료가 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와 같으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제조할 때에 이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탄소수 1~20의 알데히드인데,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2~10인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2~10인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트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등의 탄소수 2~6의 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2, 3, 4의 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더 바람직하다. 이들 알데히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한, 수지로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이외의 수지를 가져도 된다. 그러한 수지 성분으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단,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주성분이면 된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합계량은,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 전량 기준으로, 예를 들면 50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질량%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가소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를 함유해도 된다.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를 함유함으로써 유연해지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게 하고, 유기 유리 등의 수지 재료나 무기 유리 등의 각종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함유하고 있어도 소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를 소량만 함유하거나 또는 함유시키지 않음으로써,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의 값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 수지 조성물을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극성이 낮은 수지 재료에 장기간 접촉시켜 사용해도, 가소제에 의해, 수지 재료가 침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장기간 사용 후여도 수지 재료 등의 투명성이 확보되기 쉬워진다. 또한, 가소제의 블리드 등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가 소량이거나 또는 함유하지 않아도, 유리 전이 온도(Tg) 및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의 값을 소정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에 대한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질량부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이하이다. 가소제의 함유량의 하한은, 0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 즉, 수지 (A-1) 또는 수지 (A-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즉, 가소제의 함유량이 0질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수지 조성물은,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게 하고,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가소제를 함유하는 편이 좋다.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그리고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글리콜로서는, 각 알킬렌 단위가 탄소수 2~4,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또는 3이며, 알킬렌 단위의 반복 수가 2~10, 바람직하게는 2~4인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또, 글리콜로서는, 탄소수 2~4,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또는 3의 모노알킬렌글리콜(즉, 반복 단위가 1)이어도 된다.
글리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일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탄소수 3~10의 유기산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일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2-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아디프산, 세박산, 아젤라산 등의 탄소수 4~12의 이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10의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탄소수 4~10의 알코올은, 직쇄여도 되고, 분기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환상 구조를 가져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세박산 디부틸, 아젤라산 디옥틸, 아디프산 디헥실, 아디프산 디옥틸, 아디프산 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 디이소노닐, 아디프산 헵틸노닐,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혼합형 아디프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 기름 변성 세박산 알키드 등이어도 된다. 혼합형 아디프산 에스테르로서는, 탄소수 4~9의 알킬알코올 및 탄소수 4~9의 환상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알코올로 제작된 아디프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의 인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로서는, 상기한 것 중에서도,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가 특히 적합하게 이용된다.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 이외에도,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와 병용되는 공지의 첨가제를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 즉, 수지 조성물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는데, 수지에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가소제, 또는 가소제 이외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가소제 이외의 첨가제는,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접착력 조정제, 안료, 염료, 형광 증백제, 결정핵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용매에 의해 희석되어 희석액의 형태로 사용되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원료 폴리비닐알코올」이라고도 한다)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고, 그 후, 필요에 따라 변성제와 반응시키거나, 또는 재아세틸화 처리를 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원료 폴리비닐알코올로서는, 미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이어도 되는데, 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얻는 경우에는, 원료 폴리비닐알코올로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식 (1-1) 및 식 (1-2)로 표시되는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1))를 제조할 때에는, 이하의 제조 방법 (1)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1))
본 제조 방법 (1)에서는, 원료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이하,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라고도 한다)를 얻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원료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하여 얻어진 것이며, 미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에 대해, R1 또는 R2를 갖는 변성제를 반응시켜, 식 (1-1) 및 식 (1-2)로 표시되는 관능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에 도입한다. 여기서, 변성제로서는,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갖는 수산기에 반응하여, 식 (1-1)에 나타내는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거나, 또는 식 (1-2)에 나타내는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성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산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성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R1-NCO(단, R1은 상기와 같다)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갖는 수산기와의 반응성이 높으며, 식 (1-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 수산기와 반응하여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성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R2-COOH(단, R2는 상기와 같다)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또는 카르복시산의 무수물, 카르복시산 에스테르, 카르복시산 할라이드 등의 카르복시산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R2-COX(단, R2는 상기와 같으며 X는 할로겐 원자이다.)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할라이드가 바람직하고, X가 염소 원자인, 카르복시산 클로라이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카르복시산 클로라이드 등의 카르복시산 할라이드는,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갖는 수산기와의 반응성이 높으며, 식 (1-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헥실이소시아네이트, 2-에틸헥실이소시아네이트, n-옥틸이소시아네이트, n-노닐이소시아네이트, n-데실이소시아네이트, n-운데실이소시아네이트, n-도데실이소시아네이트, n-테트라데실이소시아네이트, n-헥사데실이소시아네이트, n-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 n-이코실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이다.
또, 바람직한 카르복시산 클로라이드로서는, 2-에틸헥산오일 클로라이드, n-옥탄오일 클로라이드, n-노난오일 클로라이드, n-데칸오일 클로라이드, n-운데칸오일 클로라이드,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미리스틸 클로라이드, 팔미토일 클로라이드, 이소팔미토일 클로라이드, 스테아로일 클로라이드, 이소스테아로일 클로라이드, 올레오일 클로라이드, 베헨산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산오일 클로라이드,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미리스틸 클로라이드, 팔미토일 클로라이드, 스테아로일 클로라이드 중 어느 하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미리스틸 클로라이드, 팔미토일 클로라이드이다.
상기 제조 방법 (1)에 있어서,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카르복시산 할라이드 등의 변성제의 반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와 변성제를 용제하에서 예를 들면 30℃ 이상 150℃ 이하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40℃ 이하 정도로 가열하여 행하면 된다. 반응은, 염기 또는 산 존재하 등에서 행해도 되고,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피리딘 등을 사용한다.
단,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1)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제조 방법 (2)에 의해 제조해도 된다.
(제조 방법 2)
본 제조 방법 (2)에서는, 우선, 원료 폴리비닐알코올로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하여 얻어진 미변성 폴리비닐알코올에 대해, 변성제를 반응시켜, 폴리비닐알코올의 측쇄의 일부에 식 (1-1) 또는 식 (1-2)의 관능기를 도입한다. 또한, 변성제의 구체예는, 상기 제조 방법 (1)로 나타낸 바와 같다. 그리고, 얻어진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A-1)을 얻는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식 (1-3) 및 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2))를 제조할 때에는, 이하의 제조 방법 (3)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3))
본 제조 방법 (3)에서는, 우선, 원료 폴리비닐알코올로서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비닐에스테르와,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폴리머를 얻은 후, 폴리머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비누화에는, 일반적으로, 알칼리 또는 산이 이용되는데, 알칼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VA계 중합체로서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그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에 대해,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2)를 얻으면 된다. 아세탈화의 방법은, 공지의 방법으로 행하면 된다.
제조 방법 (3)에서 사용하는 비닐에스테르로서는, 아세트산 비닐, 포름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부티르산 비닐, 이소부티르산 비닐, 피발산 비닐, 버사트산 비닐, 카프론산 비닐, 카프릴산 비닐, 라우르산 비닐, 팔미트산 비닐, 스테아르산 비닐, 올레산 비닐, 벤조산 비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아세트산 비닐이 바람직하다.
또, 제조 방법 (3)에서 사용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식 (4-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비닐에테르, 식 (4-2)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알릴에테르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5
[식 (4-1), (4-2)에 있어서, A1O, A2O, m, n, R3, 및 R4는 각각 상기와 같다.]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모노비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비닐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비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알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알릴에테르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모노비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알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비닐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알릴에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경우에는, 이하의 제조 방법 (4)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4))
본 제조 방법 (4)에서는, 원료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이하,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라고도 한다)를 얻는다. 여기서, 원료 폴리비닐알코올로서는,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하여 얻어진 미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한다. 그 다음에,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에 대해, 재아세틸화 처리하여,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얻으면 된다. 재아세틸화 처리로서는,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행하면 되는데, 무수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피리딘 등의 염기 존재하에서 행하면 된다. 또, 재아세틸화 처리는, 예를 들면 50℃ 이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90℃ 이하 정도로 가열하여 행하면 된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재아세틸화 처리됨으로써, 수산기량이 적어지고,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의 값, 및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게 하기 쉬워진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그대로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수지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에 필요에 따라, 가소제, 첨가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해도 된다. 또, 수지 조성물은, 적절히 용매에 희석하여 사용해도 된다.
<수지 필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 사용해도 되는데, 필름형상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지 필름이란, 수지 필름 단체인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에 적층, 피막 등 되어, 층형상, 막형상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도 넓게 수지 필름이라고 하고, 일반적으로 시트라 불리는 비교적 두께가 큰 것도 수지 필름이라고 한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0μm 이상 20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μm 이상 900μ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상기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을 제1 층으로 하여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는데, 다층 필름을 구성해도 된다. 다층 필름은, 상기한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을 제1 층으로 하여 적어도 1층 가지면 된다. 예를 들면, 다층 필름은, 상기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층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이외로 이루어지는 제1 층 이외의 층(이하, 「제2 층」이라고도 한다)의 적층체이면 된다. 또한, 제1 층 이외의 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층 필름은, 상기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층을 2층 이상 갖는 적층체여도 되고, 그 경우에도, 적층체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이외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층(제2 층)을 가져도 된다.
제2 층은, 상기 제1 층과 상이한 조성 및 물성을 갖는 것이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이오노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리판이나 제1 층과의 접착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열가소성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제2 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추가하여, 적절히 가소제, 가소제 이외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면 된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광 투과성 등이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부재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투명 보호 필름, 광학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광학 부재용 필름, 유기 유리, 무기 유리 등의 유리 재료에 대해 사용되는 유리용 수지 필름, 접착 필름, 점착 필름, 광학 부재용 분산제, 광학 부재용 바인더 등에 사용하면 된다.
또,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수지 재료에 접촉하도록 적층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유리판에 접촉하도록 적층되어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고, 유리 전이 온도가 낮고, 또한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의 값이 소정의 범위 내가 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소수성이 높은 수지 재료에 접촉시켜 사용하면, 수지 재료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해진다. 또, 수지 재료에 대한 침식도 방지되므로 투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하, 단순히 「중간막」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2장의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2장의 접합 유리 부재를 접착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2장의 접합 유리 부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한쪽이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의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을 중간막에 있어서 사용하는 경우의 상세는, 후술한다.
[수지 필름의 제작 방법]
수지 필름은, 수지 조성물을 공지의 방법으로 필름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조성물을 이형 시트 등의 지지체에 도포하거나, 혹은, 형틀에 흘려넣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가열, 건조하여, 시트형상으로 성형해도 되고, 압출 성형,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해도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변성제와 반응시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얻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성형해도 된다. 즉,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와, 변성제와, 그 외의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박리 시트 등의 지지체 상에 도포하거나, 혹은, 형틀에 흘려넣고, 그 후, 가열함으로써 변성제를 원료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에 반응시키면서 필름형상으로 성형해도 된다.
또한, 수지 필름은, 다층 구조인 경우에는, 제1 층 이외의 층(제2 층)을 얻기 위한 수지 조성물도 함께 준비하고, 그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2 층을 얻으면 된다. 다층 구조의 경우에는, 제1 층과 제2 층은, 적절히 겹쳐 중간막을 얻으면 되고, 공압출 등에 의해 다층 구조를 성형해도 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본 발명의 중간막은,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층을 포함한다. 중간막은,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층(31)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막(30A)이어도 된다. 제1 층(31) 단독으로 이루어지면, 제1 층(31)의 양면이,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접합 유리 부재(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41, 42))에 접촉하는 최외면을 구성한다. 그로 인해,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41, 42)의 한쪽 또는 양쪽이, 유기 유리인 경우에, 중간막(30A)의 유기 유리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키면서, 중간막의 유기 유리에 대한 침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접합 유리의 투명성 등도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한, 유기 유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데, 폴리카보네이트판, 메타크릴레이트판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카보네이트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간막은, 상기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져도 된다. 다층 구조의 중간막은, 제1 층을 적어도 1층 가지면 된다. 단, 제1 층은, 다층 구조의 경우에도, 중간막의 최외면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층이 최외면을 구성하고, 또한 유기 유리인 접합 유리 부재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중간막의 유기 유리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키면서, 중간막의 유기 유리에 대한 침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다층 구조인 경우에는, 제1 층은, 2층 이상 가져도 되고, 2층 이상 가짐으로써, 다층 구조의 경우여도, 중간막의 2개의 최외면 양쪽을 제1 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층을 2층 이상 갖는 경우, 각 층의 조성은 상이해도 되지만, 같아도 된다.
또, 중간막은, 제1 층과, 상기한 제1 층 이외의 층(제2 층)을 갖는 적층 구조여도 된다. 이 경우, 최외면의 한쪽이, 제1 층으로 구성되고, 최외면의 다른 쪽이 제2 층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양쪽의 최외면이, 제1 층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중간막은, 제1 층과, 제2 층을 갖는 경우,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층(31)과, 제2 층(32)의 2층 구조의 중간막(30B)이어도 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층(31A), 제2 층(32) 및 제1 층(31B)이 순서대로 설치된 3층 구조의 중간막(30C)이어도 되고, 3층 구조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층의 상세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중간막은, 최외면의 한쪽이 제1 층으로 구성되고, 최외면의 다른 쪽이 제2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한쪽의 최외면과 접촉하는 접합 유리 부재가 유기 유리로 구성되고, 다른 쪽의 최외면과 접촉하는 접합 유리 부재가 무기 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중간막(30B)에서는, 제1 층(31)에 접촉하는 제1 접합 유리 부재(41)가 유기 유리이며, 제2 층(32)에 접촉하는 제2 접합 유리 부재(42)가 무기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중간막의 유기 유리에 대한 접착력을 높게 하면서, 중간막의 유기 유리에 대한 침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무기 유리에 대해서도, 제2 층에 의해 높은 접착력으로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결과적으로 중간막이 높은 접착력으로 어느 접합 유리 부재에 대해서나 높은 접착력으로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중간막은, 다층 구조이고, 또한 최외면 양쪽이 제1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한쪽의 최외면과 접촉하는 접합 유리 부재가 유기 유리로 구성되고, 다른 쪽의 최외면과 접촉하는 접합 유리 부재가 무기 유리 또는 유기 유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양쪽의 최외면과 접촉하는 접합 유리 부재 모두가 유기 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중간막(30C)에서는, 한쪽의 제1 층(31A)에 접촉하는 제1 접합 유리 부재(41)가 유기 유리이며, 다른 쪽의 제1 층(31B)에 접촉하는 제2 접합 유리 부재(42)가 유기 유리 또는 무기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41, 42) 양쪽이 유기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중간막(30)의 유기 유리에 대한 접착력을 높게 하면서, 중간막의 유기 유리에 대한 침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단,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기 유리, 무기 유리로 한정되지 않고, 유기 필름(수지 필름)을 사용해도 되고, 상기한 유기 유리 대신에 유기 필름을 사용하여 동일한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간막의 접착력)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간막을 개재하여 JIS K6735에 준거한 한 쌍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80℃에서 압착하여 얻은 접합 유리 샘플의 접착력이, 100N/225m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력이 100N/225mm2 이상이면,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의 유기 유리에 대한 접착성이 충분히 높아진다. 상기 접착력은, 보다 높은 접착력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180N/225mm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80℃에서 압착해도 접착력이 상기와 같이 비교적 높아지면, 비교적 저온에서 열압착해도 접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접합 유리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접착력의 측정 방법은, 하기의 제1, 제2 및 제3 공정을 이 순서로 거쳐 얻어지는 접합 유리 샘플에 대해 행한다.
제1 공정:세로 15mm 및 가로 15mm의 중간막을 준비하고, 또한 JIS K6735에 준거한 두께 2mm, 세로 25mm 및 가로 100mm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2장 준비한다. 2장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는, 서로의 길이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고, 중간막을 개재하여 십자로 겹친다.
제2 공정:중간막의 두께가 일정해지도록 중간막과 같은 두께의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진공 라미네이터에 있어서, 중간막을 개재하여 겹친 2장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80℃, 0.1MPa의 조건으로 3분간 가압착을 한다.
제3 공정:가압착한 2장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80℃, 0.5MPa의 조건으로 1시간 본압착을 행한다.
그 다음에, 얻어진 접합 유리 샘플에 대해 십자 박리 시험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23℃에서 속도 10mm/분으로, 한쪽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로부터 다른 쪽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접착면과 수직 방향으로 박리시켰을 때의 최대 하중(N)을 측정하고, 그 최대 하중(N)을 접착력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지그에 세팅하여 접착력을 측정하면 된다. 지그는, 상자체(11)와, 압압 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자체(11) 및 압압 부재(20)는, SUS로 이루어진다. 상자체(11)는, 상면이 개구된 직방체 형상이며, 서로 대향하는 측면(13, 13)의 상단면에 직사각형의 절결(14, 14)이 형성된다. 압압 부재(20)는, 직사각형의 베이스부(16)와, 베이스부(1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직각으로 접속되는 압압편(17, 17)이 설치된 コ자 형상의 부재이다. 각 압압편(17)은, 폭(W)이 20mm, 두께(T)가 5mm이며, 압압편(17, 17) 간의 거리(L)는 35mm이다.
접합 유리 샘플(10)은, 다른 쪽의 폴리카보네이트판(22)이 하측에 배치되도록, 한쪽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21)를 절결(14, 14) 사이에 걸쳐서 배치한다.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31)를, 속도 10mm/분으로 접착면과 수직 방향인 연직 하향(X)으로 하중을 작용시켜 박리시켰을 때의 최대 하중(N)을 측정하고, 그 최대 하중(N)으로부터 접착력(N/225mm2)을 구한다.
본 발명의 중간막은, 다양한 유기 유리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간막을 개재하여 한 쌍의 메타크릴레이트 판유리를 100℃에서 압착하여 얻은 접합 유리 샘플의 접착력은, 80N/225m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N/225mm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N/225mm2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중간막을 개재하여 한 쌍의 PET 판유리를 80℃에서 압착하여 얻은 접합 유리 샘플의 접착력은, 80N/225m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N/225mm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 판유리 및 PET 판유리로부터 얻은 접합 유리 샘플에 있어서의 접착력의 측정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아크릴 판유리 또는 PET 판유리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로부터 얻은 접합 유리 샘플에 있어서의 접착력의 측정 방법과 같다.
(가시광 투과율)
본 발명의 중간막은, JIS K6735에 준거한 두께 2mm, 가시광 투과율이 90%인 2장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이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했을 때에, 접합 유리의 가시광 투과율이 70%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 투과율이 70% 이상이면, 본 발명의 중간막을 이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했을 때, 접합 유리는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가시광 투과율은, 8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5%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가시광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JIS R3211(1998)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중간막의 두께)
본 발명의 중간막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0μm 이상 2000μ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50μm 이상 900μm 이하이다. 중간막의 두께를 이러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하는 일 없이, 접합 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접합 유리>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이들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막을 구비한다. 접합 유리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중간막에 의해 접합되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중간막의 한쪽의 최외면에,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중간막의 다른 쪽의 최외면에 접착한다. 중간막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각각은, 유리판이며,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로부터 선택되면 된다. 또, 어느 한쪽이 유기 필름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에 있어서는, 적어도 1개의 접합 유리 부재가 유기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유리 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이 유기 유리이고 다른 쪽이 무기 유리여도 되고, 양쪽이 유기 유리여도 된다. 유기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중간막의 접합 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키면서, 중간막의 접합 유리 부재에 대한 침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무기 유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플로트 판유리, 강화 유리, 착색 유리, 마판유리, 형판유리, 망입 판유리, 선입 판유리, 자외선 흡수 판유리, 적외선 반사 판유리, 적외선 흡수 판유리, 그린 유리 등의 각종 유리판을 들 수 있다. 무기 유리는 표면 처리 등이 행해져도 된다.
무기 유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0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2mm 이하이다.
유기 유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카보네이트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 등의 메타크릴레이트판,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판 등의 폴리에스테르판, 불소계 수지판, 폴리염화 비닐판, 염소화 폴리염화 비닐판, 폴리프로필렌판, 폴리스티렌판, 폴리술폰판, 에폭시 수지판, 페놀 수지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판, 폴리이미드 수지판 등의 각종 유기 유리판을 들 수 있다. 유기 유리는, 적절히 표면 처리 등이 행해져도 된다.
상기 중에서는, 투명성, 내충격성, 내연소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이 바람직하고, 투명성이 높고, 내후성, 기계 강도가 우수한 점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 등의 메타크릴레이트판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중간막을, 접합 유리 부재로서 폴리카보네이트판이나 메타크릴레이트판 등의 소수성이 높은 유기 유리에 대해 사용해도, 높은 접착성으로 접합 유리 부재에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중간막에 의해 유기 유리가 침식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유기 유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3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0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m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각종 분야에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전철 등의 차량, 선박, 비행기 등의 각종 탈것, 혹은, 빌딩, 맨션, 단독 주택, 홀, 체육관 등의 각종 건축물, 혹은 절삭, 연마 등의 공작 기계, 쇼벨이나 크레인 등의 건설 기계 등의 창유리에 사용된다.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접합 유리는, 미리 제작한 중간막을,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하고, 열압착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중간막이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미리 다층 구조의 중간막을 작성하고,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다층 구조의 중간막을 배치해도 된다. 또,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제1 층, 제2 층 등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수지 필름을 겹쳐, 복수의 수지 필름을 일체화시켜 다층 구조의 중간막으로 하면서,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를,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합시키면 된다.
열압착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한 쌍의 유리 부재 사이에 중간막 등을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을 가열하면서 압력을 가하면 된다.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140℃ 이하이다. 또, 압력은 0.4MPa 이상 1.5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MPa 이상 1.3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압력은 절대압이다. 또, 열압착은, 오토 클레이브를 이용하여 행하는 방법, 가열 프레스로 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는데, 오토 클레이브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중간막, 또는 복수의 수지 필름 등을 배치시킨 후, 열압착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한 쌍의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해도 된다. 탈기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압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 백에 넣어 감압 흡인하거나 하여 행하면 된다.
또, 열압착하기 전에, 가접착을 행해도 된다. 가접착은, 예를 들면, 한 쌍의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중간막 또는 복수의 수지 필름을 배치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하면서, 비교적 낮은 압력에 의해 압압함으로써 행하면 된다. 가접착은, 예를 들면 진공 라미네이터로 행하면 된다. 가접착은, 탈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탈기 후에 행해도 되고, 탈기와 함께 행해도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 물성값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표면 자유 에너지>
물 및 디요오드메탄을 주사기에 채취하고, 바늘 끝에 2μL의 액적을 제조했다. 제조한 액적을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수지 필름에 접촉시키고, 수지 필름 상에 액적을 형성했다. 또한, 수지 필름은 측정 전에 측정 환경에서 24시간 유지했다. 또, 액적의 형성은, 온도 23℃, 상대 습도 50% 환경하에서 행했다. 적하 30초 후에, 액적의 화상을 촬영했다. 이 액적의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θ/2법에 의해 접촉각을 산출했다. 30회의 측정의 평균값을 접촉각으로 했다. 얻어진 물 및 디요오드메탄의 접촉각으로부터,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으로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의 값을 산출했다. 또한, 측정 장치로서, Kyowa Interface Science, Co., LTD. 제조의 「DropMaster500」을 이용했다.
<유리 전이 온도(Tg)>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수지 필름을, 길이 10mm, 폭 5mm로 잘라내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IT Keisoku Seigyo Co., Ltd. 제조, 상품명 「DVA-200」)를 이용하여, 이하의 측정 조건으로 점탄성을 측정했다. 점탄성 측정의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 온도를 읽어냈다. -50~150℃의 온도 영역에 있어서 저온측으로부터 세어 첫 번째의 피크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로 했다.
(측정 조건)
변형 양식:전단 모드, 측정 온도:-50℃~200℃, 승온 속도:5℃/분, 측정 주파수:1Hz, 변형:1%
<변성량, 아세탈화도,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량>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클로로포름-d에 용해하여, 1H-NMR(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각 유닛의 몰비를 분석함으로써 구했다.
<PC 접착성>
세로 15mm 및 가로 15mm의 사이즈로 한 수지 필름을 준비하고, 추가로 JIS K6735에 준거한 두께 2mm, 세로 25mm 및 가로 100mm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2장 준비했다.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2장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서로의 길이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여 십자로 겹쳤다.
그 후, 수지 필름의 두께가 일정해지도록, 수지 필름과 같은 두께의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진공 라미네이터에 있어서,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겹친 2장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80℃, 0.1MPa의 조건으로 3분간 가압착을 했다. 그 후, 가압착한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80℃, 0.5MPa의 조건으로 추가로 1시간 본압착을 행하여, 접합 유리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접합 유리 샘플에 대해 십자 박리 시험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23℃의 환경하에서, 접합 유리 샘플을 속도 10mm/분으로 접착면과 수직 방향으로 박리시켰을 때의 최대 하중(N)을 측정하고, 그 최대 하중(N)을 접착력으로 하여,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했다.
(평가 기준)
AA:최대 하중이 180N 이상이다.
A:최대 하중이 100N 이상 180N 미만이다.
A-:최대 하중이 80N 이상 100N 미만이다.
B:최대 하중이 80N 미만이다.
<PC 침식성>
세로 25mm 및 가로 50mm의 사이즈로 한 수지 필름을 준비하고, 추가로 JIS K6735에 준거한 두께 2mm, 세로 25mm 및 가로 50mm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2장 준비했다.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는, 80℃에서 하룻밤(24시간) 가열하여,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건조했다. 다음에,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2장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판을 겹쳤다.
그 후,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겹친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80℃, 0.1MPa의 조건으로 3분간 가압착을 했다. 가압착한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를, 80℃, 0.5MPa의 조건으로 추가로 1시간 본압착을 행하여, 접합 유리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접합 유리 샘플을 분광 광도계(Hitachi High-Tech Corporation 제조 「U-4100」)를 이용하여 JIS R3211(1998)에 준거하여 측정한 전광선 투과율을 x1로 했다. 다음에, 접합 유리 샘플을, 100℃의 항온조에 넣고 10일간(240시간) 가열했다. 가열 후의 접합 유리 샘플을 상온(23℃)으로 되돌리고, 동일하게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전광선 투과율을 x2로 했다.
(평가 기준)
A: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다.
B:전광선 투과율이 85% 미만이다.
<접착성(대(對)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 대신에, Kuraray Co., Ltd. 제조의 COMOGLAS(품번:CGP)의 메타크릴레이트 판유리를 사용하고, 또한 압착(가압착 및 본접착) 시의 온도를, 80℃에서 100℃로 변경시킨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2장의 메타크릴레이트 판유리를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합 유리 샘플을 제작하고, 동일한 수법에 의해 최대 하중(N)을 측정했다. 그 최대 하중(N)을 접착력으로 하고, 상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했다.
<접착성(대(對)PET)>
폴리카보네이트 판유리 대신에, C.I. TAKIRON Corporation 제조의 PET-6010(품번 6010)의 PET 판유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2장의 PET 판유리를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합 유리 샘플을 제작하고, 동일한 수법에 의해 최대 하중(N)을 측정했다. 그 최대 하중(N)을 접착력으로 하고, 상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했다.
(실시예 1)
질소 기류하에서 건조시킨 5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THF 300g과 폴리비닐부티랄(평균 중합도 1700, 아세틸화도 1몰%, 수산기량 33몰%, 아세탈화도 66몰%, 미변성 폴리비닐부티랄, PVB1) 30g을 넣고, 65℃에서 교반하면서, 폴리비닐부티랄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변성제로서의 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 30g을 첨가하여 10분간 교반시켰다. 세퍼러블 플라스크로부터 용액을 빼내고, PET 이형 필름(상품명 「PET50D1-C」, Nippa Corporation 제조)의 박리 처리면이 상면이 되도록 깐 알루미늄 패드에 흘려넣은 후, 오븐에서 130℃ 2시간 가열하여 반응시켜, 식 (1-1)의 관능기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온도 160℃, 압력 20MPa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800μm의 수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필름을 적외 분광 광도계(IR)로 측정한 바, 이소시아네이트기(파수(波數) 2260cm-1)의 피크가 소실된 것으로부터, 반응의 진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원료로서 사용하는 폴리비닐부티랄을, PVB1 대신에, PVB2(평균 중합도 830, 아세틸화도 2몰%, 수산기량 33몰%, 아세탈화도 65몰%, 미변성 폴리비닐부티랄)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3)
질소 기류하에서 건조시킨 5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THF 300g과 원료 폴리비닐부티랄로서 PVB2를 30g 넣고, 65℃에서 교반하면서, 폴리비닐부티랄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피리딘 15.9g과,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22.0g을 첨가하고, 65℃에서 3시간 반응을 행했다. 그 후, 반응액을 회수하고, 반응액을 물과 메탄올의 혼합 용매(질량비 1:1)로 3회 세정을 한 후 건조시켜, 식 (1-2)의 관능기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온도 160℃, 압력 20MPa로 프레스 성형하여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피리딘의 첨가량을 11.3g으로 변경하고,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22.0g 대신에, 2-에틸헥산오일 클로라이드 11.7g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5)
피리딘의 첨가량을 15.9g으로 변경하고,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22.0g 대신에, 2-에틸헥산오일 클로라이드 16.3g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
피리딘의 첨가량을 15.9g으로 변경하고,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22.0g 대신에, 팔미토일 클로라이드 27.6g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7)
질소 기류하에서 건조시킨 5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피리딘 300g과 원료 폴리비닐부티랄(아세탈화도 62몰%, 수산기량 30몰%, 아세틸기 8몰%, 중합도 3200,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 PVB3) 30g을 넣고, 교반 날개로 교반하면서, 원료 폴리비닐부티랄을 용해시켰다. 그 후, 45.6몰당량의 무수 아세트산을 첨가하고, 80℃의 환경하에서 4시간 교반했다. 감압하에서 피리딘을 제거한 후, 반응물을 3회 수세하고, 건조시켜,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아세탈화도 62몰%, 아세틸기 38몰%, 중합도 3200, 미변성 폴리비닐아세탈)를 얻었다.
얻어진 건조물 100질량부와 가소제(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10질량부를 충분히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고, 그 수지 조성물을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800μm의 수지 필름(중간막)을 얻었다.
(실시예 8)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환류 냉각기를 갖게 한 플라스크 중에, 아세트산 비닐 1000질량부, 평균 반복 단위 m=10인 폴리옥시에틸렌모노비닐에테르 320질량부, 및 메탄올 300질량부를 첨가하고, 계내의 질소 치환을 행한 후, 온도를 60℃까지 승온했다. 이 계에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1질량부를 첨가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 개시부터 5시간에서 중합을 정지했다. 중합 정지 시의 계내의 고형분 농도는 53질량%이며, 전체 모노머에 대한 중합 수율은 65질량%였다. 감압하에 미반응의 모노머를 제거한 후, 공중합체의 40질량% 메탄올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는 아세트산 비닐 단위 96.0몰%, 에틸렌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알킬비닐에테르 단위 4.0몰%를 함유하는 것이 미반응의 모노머의 정량(定量)으로부터 확인되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메탄올 용액 100질량부를 40℃에서 교반하면서, 3질량%의 NaOH 메탄올 용액 2.0질량부를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에 방치했다. 2시간 후, 고체화한 폴리머를 분쇄기로 분쇄하고, 메탄올로 세정 후, 건조하여 폴리머 분말(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얻었다.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90.1몰%, 에틸렌옥사이드 단위량 4.0몰%, 중합도는 700이었다.
[폴리비닐부티랄(PVB5)의 조제]
얻어진 폴리머 분말 280g을 순수 2100g에 첨가하고, 90℃의 온도에서 약 2시간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40℃로 냉각하고, 농도 35질량%의 염산 135질량부와 n-부틸알데히드 130질량부를 첨가하고, 액온을 20℃까지 낮추고, 온도를 유지하여 아세탈화 반응을 행하여, 반응 생성물을 석출시켰다. 그 후, 액온을 40℃로 하여 3시간 유지하여 반응을 완료시키고, 상법에 의해 중화, 수세 및 건조를 거쳐,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PVB5)의 백색 분말을 얻었다.
[수지 필름의 제작]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PVB5)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800μm의 수지 필름(중간막)을 얻었다.
(실시예 9)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의 합성 시의 3질량%의 NaOH 메탄올 용액의 양을 6.2질량부로 변경하여, 중합도 690의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얻었다. 또, 폴리비닐부티랄 조정 시의 농도 35질량%의 염산의 양을 160질량부로, n-부틸알데히드의 양을 15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필름(중간막)을 작성했다. 또한, 실시예 9에서 제작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PVB6으로 한다.
(비교예 1)
PVB1(평균 중합도 1700, 아세틸화도 1몰%, 수산기량 33몰%, 아세탈화도 66몰%, 미변성 폴리비닐부티랄) 100질량부와, 가소제(3GO) 40질량부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고,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수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가소제(3GO)의 배합량을 2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수지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3)
가소제(3GO)를 첨가하지 않았던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수지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4)
PVB4(평균 중합도 490, 아세틸화도 2몰%, 수산기량 21몰%, 아세탈화도 77몰%, 미변성 폴리비닐부티랄)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수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피리딘의 첨가량을 4.5g으로 변경하고,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22.0g 대신에, 2-에틸헥산오일 클로라이드 4.7g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Figure pct00006
※표 1에 있어서의 약어는 이하와 같다.
C18 이소시아네이트:n-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
C12 클로라이드:라우로일 클로라이드
분기 C8 클로라이드:2-에틸헥산오일 클로라이드
C16 클로라이드:팔미토일 클로라이드
※변성제 배합량은, 원료 폴리비닐아세탈 100질량부에 대한 변성제의 배합량이다.
※표 1에 있어서의 변성량, 아세탈화도,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량은, 얻어진 수지 필름(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에 관한 값이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수지(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함유량이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수지 조성물이,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고,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이고, 또한 극성 성분 γsp가 0.1mJ/m2 이상 8.0mJ/m2 이하인 값인 것에 의해, 장기간 가열한 후에도 수지 조성물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판에 대한 침식을 방지하면서, 폴리카보네이트판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해졌다.
그에 반해, 각 비교예에서는, 유리 전이 온도가 50℃를 초과하거나, 혹은, 극성 성분 γsp가 8.0mJ/m2를 초과했기 때문에, 수지 조성물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판에 대한 침식을 방지하면서, 폴리카보네이트판에 대한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없었다.
30A, 30B, 30C: 접합 유리용 중간막
31, 31A, 31B: 제1 층
32: 제2 층
41: 제1 접합 유리 부재
42: 제2 접합 유리 부재

Claims (9)

  1.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고,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이고, 또한 Kaelble-Uy의 방법에 의한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γsp가 0.1mJ/m2 이상 8.0mJ/m2 이하의 값인,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이하의 식 (1-1), 식 (1-2), 식 (1-3), 및 식 (1-4)로 표시되는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갖는,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07

    [식 (1-1), (1-2)에 있어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2~30인 탄화수소이다. 식 (1-3), (1-4)에 있어서, A1O, A2O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m, n은 평균 반복 수이며, 4~200이다.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4인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이다. 또한, 식 (1-3), 및 식 (1-4)에 있어서, 옥시알킬렌기는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혼재되어 있어도 된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에 있어서, 식 (1-1) 및 식 (1-2)로 표시되는 관능기에 의한 변성량이 5몰% 이상 25몰% 이하인,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가소제를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10질량부 이하로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층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상기 제1 층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가 100μm 이상 2000μ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과,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상기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유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메타크릴레이트판인, 접합 유리.
KR1020227035974A 2020-04-21 2021-04-20 수지 조성물,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300080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75746 2020-04-21
JPJP-P-2020-075746 2020-04-21
PCT/JP2021/016104 WO2021215456A1 (ja) 2020-04-21 2021-04-20 樹脂組成物、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040A true KR20230008040A (ko) 2023-01-13

Family

ID=7826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5974A KR20230008040A (ko) 2020-04-21 2021-04-20 수지 조성물,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35108A1 (ko)
EP (1) EP4140731A4 (ko)
JP (1) JPWO2021215456A1 (ko)
KR (1) KR20230008040A (ko)
CN (1) CN115427502A (ko)
MX (1) MX2022013071A (ko)
TW (1) TW202200704A (ko)
WO (1) WO2021215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079A1 (ja) * 2021-06-18 2022-12-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及びフィルム
WO2023120667A1 (ja) * 2021-12-24 2023-06-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変性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及びフィル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3059A (ja) 2001-12-13 2003-07-03 Bridgestone Corp 合わせガラス中間膜用樹脂組成物、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2133351A1 (ja) 2011-03-28 2012-10-04 株式会社クラレ アルキル変性ビニルアセタール系重合体及び組成物
JP2017066007A (ja) 2015-10-01 2017-04-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9700B2 (ja) * 2004-07-21 2012-09-05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多孔質体
EP2154186B1 (en) * 2007-05-21 2019-09-18 Kuraray Co., Ltd. Crosslinkable polyvinyl acetal porous powd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JP5179308B2 (ja) * 2007-10-03 2013-04-10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
JP2013124368A (ja) * 2011-12-13 2013-06-24 Pelnox Ltd ロジン変性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樹脂組成物
JP5965808B2 (ja) * 2012-09-28 2016-08-1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ペースト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6370073B2 (ja) * 2013-04-26 2018-08-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組成物
JP5469286B1 (ja) * 2013-10-25 2014-04-16 株式会社クラレ 複層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KR20160138390A (ko) * 2014-03-31 2016-12-05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CN111511896A (zh) * 2017-12-27 2020-08-07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干细胞培养用支架材料以及使用了该支架材料的干细胞培养方法
CN108164621B (zh) * 2017-12-27 2020-07-07 吉晟光电(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聚乙烯醇缩丁醛的改性聚合物及其制备工艺与应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3059A (ja) 2001-12-13 2003-07-03 Bridgestone Corp 合わせガラス中間膜用樹脂組成物、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2133351A1 (ja) 2011-03-28 2012-10-04 株式会社クラレ アルキル変性ビニルアセタール系重合体及び組成物
JP2017066007A (ja) 2015-10-01 2017-04-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35108A1 (en) 2023-07-27
MX2022013071A (es) 2022-11-09
EP4140731A1 (en) 2023-03-01
EP4140731A4 (en) 2024-05-15
JPWO2021215456A1 (ko) 2021-10-28
TW202200704A (zh) 2022-01-01
WO2021215456A1 (ja) 2021-10-28
CN115427502A (zh)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4479C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5567780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230008040A (ko) 수지 조성물,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WO2021215455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07142095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5081398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22265079A1 (ja)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及びフィルム
WO2022265078A1 (ja)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フィルム
WO2022097753A1 (ja) 液晶デバイス用フィルム、液晶デバイス、及び調光装置
WO2022265074A1 (ja) 粘着フィルム、及び積層体
WO2024034575A1 (ja) 層間接着剤、タッチパネル用層間接着剤、及びタッチパネル
WO2022265073A1 (ja) 粘着フィルム、及び積層体
WO2022265077A1 (ja) 粘着フィルム、積層体、液晶ディスプレイ及び合わせガラス
WO2024034568A1 (ja) 層間接着剤、タッチパネル用層間接着剤、及びタッチパネル
TW202340266A (zh) 改質聚乙烯縮醛樹脂、及膜
KR20240023391A (ko) 점착 필름, 적층체, 액정 디스플레이 및 접합 유리
CN117460799A (zh) 粘合膜和层叠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