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396A - 승차인 구속 장치 - Google Patents

승차인 구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396A
KR20220044396A KR1020227010683A KR20227010683A KR20220044396A KR 20220044396 A KR20220044396 A KR 20220044396A KR 1020227010683 A KR1020227010683 A KR 1020227010683A KR 20227010683 A KR20227010683 A KR 20227010683A KR 20220044396 A KR20220044396 A KR 20220044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ension
passenger
gear
tensio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507B1 (ko
Inventor
히로유끼 사이또
테쯔야 마쯔시따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2004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45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0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the bag being integrated in a multi-ba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60R2021/23388External tether means having ends which are movable or detachable during deploy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복잡한 구조를 필요하지 않고 승차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에어백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승차인 구속 장치는 차량의 좌석을 구비하고,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좌석의 시트백 부분에 수납되어 있어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과, 수납되어 있는 에어백의 승차인의 반대측을 지나 좌석의 시트백 부분부터 시트 쿠션 부분에 걸쳐 수납되어 있는 장력포를 구비하고, 장력포의 적어도 일부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의 표피가 개열함으로써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 중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부터 시트 쿠션 측면의 차량 전방 측의 위치까지 건너지르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장력포는 에어백의 승차인의 반대측 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차인 구속 장치{PASSENGER RESTRAINT DEVICE}
본 발명은 차량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에어백 장치가 거의 표준 장비되어 있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작동하는 안전 장치로서, 가스 압력으로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받아내어 보호한다. 에어백 장치에는 설치 장소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승차인 보호 장치에서는 좌석의 양측 측부에 승차인의 바로 옆으로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이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측(차량 폭 방향의 일방측)으로의 이동의 반동 등에 의한 반충돌측(차량 폭 방향의 타방측)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일본특허 특개2014-034356호 공보
특허문헌 1과 같이 승차인을 측방에서 받아내는 에어백 장치에서는 에어백이 차량 폭 방향에 있어서의 승차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승창인을 구속하는 성능이 저하하게 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서는 내측 에어백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측부에 텐션 크로스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텐션 크로스 장치는 측방 전개 부재로서의 텐션 크로스와 전개 수단으로서의 팝업 바 구조를 가진다.
특허문헌 1의 구성에 의하면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측부에 설치된 텐션 크로스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내측 에어백의 차량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승차인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의 이동이 규제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텐션 크로스를 전개시키는 수단으로서 팝업 바 구조를 필요로 한다. 그러면 상술한 효과는 얻어지지만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차량 중량이나 장치 비용이 증대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승차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에어백 이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차량의 좌석을 구비하고,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좌석의 시트백에 수납되어 있어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과, 수납되어 있는 에어백의 승차인의 반대측을 통과하여 좌석의 시트백으로부터 시트 쿠션에 걸쳐 수납되어 있는 장력포를 구비하고, 장력포 중 적어도 일부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의 표피가 개열함으로써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 중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부터 시트 쿠션의 측면의 차량 전방측의 위치까지 건너지르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장력포는 에어백의 승차인의 반대측 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차량 충돌시 등에 에어백이 팽창 전개할 시에, 장력포가 좌석의 외부로 전개한다. 이때 장력포가 시트백 중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부터 시트 쿠션 측면의 차량 전방측의 위치까지 건너지르고, 에어백의 승차인의 반대측 면을 지지한다. 팽창 전개한 에어백은 장력포에 의해 차량 폭 방향에 있어서 승차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에어백의 승차인 구속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장력포는 좌석의 시트백 내에서 시트 쿠션에 걸쳐 수납되고,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그들 사이에서 전개한다. 따라서, 복잡한 구조의 전개 수단을 필요하지 않고 상술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의 다른 구성은 차량의 좌석을 구비하고,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승차인 구속 장치는 좌석의 시트백에 수납되어 있어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과, 수납되어 있는 에어백의 승차인의 반대측을 통과하는 장력포와, 좌석의 측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장력포 중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장력포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케이스로부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 중 승차인의 어깨 근방의 위치부터 시트 쿠션 측면의 차량 전방측의 위치까지 건너지르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장력포는 에어백의 승차인의 반대측 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의 다른 구성은 차량의 좌석을 구비하고,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좌석의 시트백에 수납되어 있어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양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한 쌍의 에어백과, 수납되어 있는 한 쌍의 에어백의 승차인의 반대측을 각각 통과하여 좌석의 시트백에서 시트 쿠션에 걸쳐 수납되어 있는 한 쌍의 장력포를 구비하고, 한 쌍의 장력포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의 표피가 개열함으로써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 중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부터 시트 쿠션의 측면의 차량 전방측의 위치까지 건너지르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장력포는 에어백의 승차인의 반대측 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가지고, 장력포가 건너지르는 기점이 되는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 사이의 간격은 AM50 더미의 어깨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양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한 쌍의 에어백을 구비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 있어서도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에어백에 대하여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장력포는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건너지르는 것으로 되는데, 이들 위치 사이 간격이 AM50 더미의 어깨 폭보다도 좁게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에어백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승차인의 어깨부와 근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에어백이 더욱 확실하게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고, 상술한 승차인 구속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의 다른 구성은 차량의 좌석을 구비하고,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좌석의 시트백에 수납되어 있어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양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한 쌍의 에어백과, 수납되어 있는 한 쌍의 에어백의 승차인의 반대측을 각각 통과하여 좌석의 시트백에서 시트 쿠션에 걸쳐 수납되어 있는 한 쌍의 장력포와, 좌석의 측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장력포 각각의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한 쌍의 장력포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케이스로부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 중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부터 시트 쿠션의 측면 차량 전방측의 위치까지 건너지르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장력포는 에어백의 승차인의 반대측 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가지고, 장력포가 건너지르는 기점이 되는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 사이의 간격은 AM50 더미의 어깨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장력포가 건너지르는 기점이 되는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 사이의 간격은 장력포가 전개하기 전보다도 장력포가 전개한 후 쪽이 좁아도 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에어백을 한 쌍의 장력포에 의해 승차인 측으로 더욱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승차인의 어깨부를 더욱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고, 상술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좌석은 그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에 의해 골격이 형성되어 있고, 장력포의 일단부는 좌석의 시트백 중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에서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그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건너질러도 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시트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고, 장력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장력포의 일단부는 시트 프레임에 감겨 있고,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시트 프레임에 감겨 있는 장력포의 일단부를 파지함으로써 일단부를 상기 시트 프레임에 고정하는 브래킷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를 시트 프레임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브래킷은 장력포의 일단부 중 시트 프레임에 감긴 부분의 전체를 덮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 프레임에의 장력포의 고정 장소(감긴 장소)가 전체적으로 브래킷에 덮여 있기 때문에 상술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시트 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회동에 연동하는 회동 연동 기구를 한층 더 구비하고, 장력포의 일단부는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에서 회동 연동 기구와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건너지르고, 시트백이 차량 충돌시에 시트 쿠션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회동할 시에, 장력포는 회동 연동 기구에 의해 잡아당기어 장력을 부여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차량 충돌시 등에 시트백이 시트 쿠션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회동했을 때의 장력포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포에 의해 에어백을 지지하는 효과를 적합하게 담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회동 연동 기구는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에서 장력포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지지체로부터 도래하는 장력포가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1 기어를 구비하고, 제1 기어는 시트백이 차량 충돌시에 시트 쿠션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회동과 연동하여 장력포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장력포에 장력을 부여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시트백이 회동했을 때에 제1 기어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회동 연동 기구는 지지체로부터 도래하는 장력포를 지지하는 폴리를 한층 더 구비하고, 제1 기어는 폴리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폴리를 개재하여 장력포가 제1 기어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과 같이 폴리에 의해 장력포를 지지함으로써 장력포를 순조롭게 권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회동 연동 기구는 지지체로부터 도래하는 장력포를 지지하는 폴리와, 폴리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제1 기어와 계합(係合)하는 제2 기어를 더 구비하고, 장력포는 폴리 및 제2 기어를 개재하여 제1 기어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기어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기어를 더욱 순조롭게 회전시킬 수 있고, 상술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회동 연동 기구는 지지체로부터 도래하는 장력포를 지지하는 폴리와, 제1 기어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제1 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기어와, 폴리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제2 기어와 계합하는 제3 기어를 한층 더 구비하고, 장력포는 폴리, 제2 기어 및 제3 기어를 개재하여 제1 기어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여러 개의 기어를 구비하기 위한 기어의 회전이 순조롭게 실행된다. 따라서, 상술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장력포의 전개시에 장력포로부터 좌석에 걸리는 하중을 완화하는 하중 완화 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력포는 시트백과 시트 쿠션 사이에 건너지르고, 팽창 전개한 에어백의 승차인의 반대측 면을 지지한다. 이때 에어백의 팽창 전개가 진행됨에 따라 장력포의 장력이 커진다. 그 결과 장력포가 접속되어 있는 좌석, 특히 시트백에 있어서의 장력포의 접속 장소에는 장력포로부터 큰 하중이 걸린다. 그러면 시트백의 파손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 하중 완화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개시의 장력포로부터 좌석에 큰 하중이 걸리면 하중 완화 기구가 기능하고, 좌석에 걸린 하중이 완화된다. 따라서, 장력포로부터의 하중에 기인하는 좌석의 파손을 적합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좌석은 그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에 의해 골격이 형성되어 있고, 하중 완화 기구는 좌석의 시트백 중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에서 시트 프레임에 고정된 제1 축부와, 제1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시트 프레임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구멍과, 가이드 구멍 내를 이동 가능하며 장력포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 축부와, 제1 축부 및 제2 축부를 연결하고 제1 축부를 지점으로 하여 제2 축부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장력포가 좌석의 외부로 전개했을 때에 장력포로부터 제2 축부를 개재하여 좌석에 걸리는 하중이 소정 값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제2 축부가 회동함으로써 장력포가 느슨해지고 하중이 완화되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효과를 양호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구조를 필요하지 않고, 승차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에어백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석에 승차인(P)이 착석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석에 승차인(P)이 착석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좌석에 승차인(P)이 착석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의 기타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은 도 1의 좌석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8은 도 7의 회동 연동 기구의 각 부분의 치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2는 제6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3은 하중 완화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아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제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도면에는 차량의 전후 좌우 방향을 Fr, Rr, L, R로 나타낸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100)를 예시한 도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에는 좌석(11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부재(후술하는 에어백(120a, 120b) 및 장력포(130a, 130b))를 가상선으로 표시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비팽창 전개시의 에어백(120a, 120b) 및 장력포(130a, 130b)를 예시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는 좌석(110)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는 차량(전체는 도시 없음)의 좌석(110), 에어백(120a, 120b) 및 장력포(130a, 130b)을 구비한다. 좌석(110)은 승차인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시트백(112)을 구비한다. 시트백(112)의 하방에는 승차인이 착석하는 시트 쿠션(114)이 설치되어 있다. 시트백의 상방에는 승차인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116)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백(120a, 120b)(사이드 에어백)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좌석(110)의 시트백(112)의 좌우 양측의 내부에 각각 수납되고, 커버(118)에 의해 덮여 있다. 좌우 양측의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은 차량 충돌시 등에, 좌석(110)에 착석한 승차인의 양 측방으로 팽창 전개한다.
장력포(130a, 130b)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 각각에 대하여 설치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는 한 쌍의 장력포(130a, 130b)를 구비한다. 장력포(130a, 130b)는 수납되어 있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의 승차인의 반대측을 각각 통과하여 좌석(110)의 시트백(112)부터 시트 쿠션(114)에 걸쳐 수납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좌석(110)에 승차인(P)이 착석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도 2(a) 및 도 3(a)는 도 1의 좌석(110)을 차량 정면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2(b) 및 도 3(b)는 도 1의 좌석(110)을 차량 측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1의 좌석(110)을 차량 경사진 전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2(a), 2(b) 및 도 4에서는 에어백(120a, 120b)이 팽창 전개한 상태를 예시하고, 승차인(P)으로서 AM50 더미(50 percentile Adult Male dummy)를 예시하고 있다.
도 2(a), 2(b), 도 3(a), 3(b) 및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등에는 에어백(120a, 120b)이 팽창 전개한다. 장력포(130a, 130b)는 에어백(120a, 120b)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110)의 표피가 개열함으로써, 좌석(110)의 외부로 각각 전개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서, 장력포(130a, 130b)는 시트백(112) 중 승차인(P)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F1, F2)(도 1 참조)부터 시트 쿠션(114)의 측면 차량 전방측의 위치(F3, F4)(도 1 참조)까지 건너지르고, 에어백(120a, 120b)의 승차인(P)의 반대측 면을 지지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에어백(120a, 120b)이 팽창 전개했을 때에, 장력포(130a, 130b)가 시트백(112)과 시트 쿠션(114) 사이에서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전개한다. 이것에 의해 에어백(120a, 120b)의 승차인(P)의 반대측 면이 장력포(130a, 130b)에 지지되고, 차량 폭 방향에 있어서 승차인(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에어백(120a, 120b)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에 의하면 팽창 전개한 에어백(120a, 120b)의 승차인 구속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에서는 장력포(130a, 130b)는 좌석(110)의 시트백(112)부터 시트 쿠션(114)에 걸쳐 수납되고, 에어백(120a, 120b)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110)의 외부로 전개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복잡한 구조의 전개 수단을 필요하지 않고 상술한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 각각에 대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장력포(130a, 130b)의 일단부는 승차인(P)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F1, F2)사이의 간격(D)(도 1 참조)가 AM50 더미의 어깨 폭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130a, 130b)는 에어백(120a, 120b)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위치(F1, F2)를 기점으로 하여 좌석(110)의 외부로 전개하여 건너지른다.
상술한 바와 같이, AM50 더미의 어깨 폭보다도 좁은 간격(D)를 둔 위치(F1, F2)를 기점으로 건너지르는 장력포(130a, 130b)에 의해, 승차인(P)의 어깨부 근방에서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에 대하여 승차인(P) 측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힘이 부여된다. 따라서, 에어백(120a, 120b)의 승차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에어백(120a, 120b)이 더욱 확실하게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승차인 구속 장치(100)의 승차인 구속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는 장력포(130a, 130b)가 시트 쿠션(114)의 상면으로부터 좌석(110)의 외부로 전개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장력포(130a, 130b)가 시트 쿠션(114)의 측면이나 측면과 상면 사이의 경계 근방에서 좌석(110)의 외부로 전개하는 구성으로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5에 예시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100a)는 좌석(110)의 측부에 배치되는 케이스(118a, 118b)를 구비한다. 케이스(118a)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을 수용하는 케이스이고, 케이스(118b)는 한 쌍의 장력포(130a, 130b)를 수용하는 케이스이다. 도 5에 예시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서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한 쌍의 장력포(130a, 130b)는 케이스(118b)에서 좌석(110)의 측부로 전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승차인 구속 장치(10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좌석(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140)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6(a)는 시트 프레임(140)의 전체 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파선 사각 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c)는 도 6(b)의 A-A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장력포(130a, 130b)의 단부(132a, 132b)만을 도시하고 있다. 장력포(130a, 130b)의 시트 프레임(140)에의 고정 장소의 구조는 공통되므로 도 6(b) 및 (c)에서는 장력포(130a)의 고정 장소를 예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예시한 좌석(110)의 내부에는 그 골격이 되는 시트 프레임(140)이 배치되어 있다. 도 6(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140)은 시트백(112)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142) 및 시트 쿠션(114)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144)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력포(130a, 130b)의 일단부인 상측 단부(132a, 132b)는 시트 프레임(140) 중 상부 프레임(142)의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 다시 말해 차량 폭 방향에서 도 1의 위치(F1, F2)에 상당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장력포(130a, 130b)는 전개시에는 그 위치에서 좌석(110)의 외부로 건너지른다. 이와 같이 시트 프레임(140)을 이용함으로써 장력포(130a, 130b)를 좌석(1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장력포(130a, 130b)의 일단부가 시트 프레임(140)에 고정되는 경우, 도 6(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140)에의 단부(132a, 132b)의 고정 위치의 간격(D)을 AM50 더미의 어깨 폭보다도 좁게 함으로써 상술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6(b) 및 6(c)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장력포(130a, 130b)의 단부(132a)는 시트 프레임(140)의 상부 프레임(142)에 감긴다. 시트 프레임(140)에 감긴 장력포(130a, 130b)의 단부(132a, 132b)는 브래킷(150)에 의해 파지됨으로써 시트 프레임(140)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130a, 130b)를 시트 프레임(140)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장력포(130a, 130b)의 단부(132a, 132b)는 시트 프레임(140)에 감긴 부분의 전체가 브래킷(150)에 의해 덮인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200)를 예시한 도이다. 도 7(a) 및7(b)는 좌석(110)을 측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7(c)는 도 6(a)의 회동 연동 기구(210)의 기어 부분을 차량 전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와 공통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석(110)의 좌측에 설치되는 회동 연동 기구를 예시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장력포(130a, 130b)의 일단부가 시트 프레임(140)에 고정되는 구성을 예시했다. 이것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장력포(130a, 130b)는 승차인 구속 장치가 구비하는 회동 연동 기구에 결합된다.
도 6(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200)는 시트 쿠션(114)에 대한 시트백(112)의 회동에 연동하는 회동 연동 기구(210)를 구비한다. 장력포(130a)의 일단부는 승차인(P)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에서 회동 연동 기구(210)와 결합되고, 전개시에 그 위치에서 좌석(110)의 외부로 건너지른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서 차량 충돌시에 시트백(112)이 시트 쿠션(114)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회동하면 장력포(130a)는 회동 연동 기구(210)에 의해 잡아당기어 장력이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차량 충돌시 등에 시트백(112)이 시트 쿠션(114)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회동했을 때의 장력포(130a)가 느슨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충돌 직전에 있어서의 시트백(112)의 각도(리클라이닝 각도)의 상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회동 연동 기구(210)는 적합하게 작용한다. 다시 말해, 충돌 직전이 앞으로 기운 리클라이닝 상태일 때는 회동 연동 기구에 의해 에어백 전개시의 장력포(130a, 130b)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충돌 직전이 뒤로 기운 리클라이닝 상태일 때는 동일하게 회동 연동 기구(210)에 의해 에어백 전개시의 장력포가 너무 팽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포(130a)에 의해 에어백(120a)을 지지하는 효과를 적합하게 담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7(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200)의 회동 연동 기구(210)는 지지체(212), 제1 기어(214) 및 폴리(216)를 구비한다. 지지체(212)는 시트백(112)의 상부에 내장되어 있고, 승차인(P)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에서 장력포(130a)를 지지한다. 지지체(212)로서는 축체나 폴리를 예시할 수 있다.
도 7(c)에 예시하는 제1 기어(214)는 회전 가능한 기어로서, 그 측면에 제1 기어(214)와 함께 회전하는 폴리(216)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체(212)로부터 도래하는 장력포(130a)는 폴리(216)에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지지체(212)로부터 도달하는 장력포(130a)가 폴리(216)를 개재하여 제1 기어(214)에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좌석(110)의 시트백(112)에 인접하는 차체 부재(220)에는 기어 절삭가공에 의해 고정 기어(22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기어(214)는 차체 부재(220)에 형성된 고정 기어(222)와 계합하고 있다.
차량 충돌 등 때에, 시트백(112)이 시트 쿠션(114)에 대하여 도 7(a)의 위치부터 도 7(b)의 위치까지 차량 전방으로 회동했다고 하자. 제1 기어(214)는 시트백(112)의 회동에 연동하여 장력포(130a)를 권취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기어(214)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폴리(216)에 있어서 장력포(130a)가 권취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장력포(130a)에 장력이 부여되고, 시트백(112)이 회동했을 때의 장력포(130a)가 느슨해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포(130a)가 느슨해지는 원인이 되는 에어백(120a) 및 승차인(P)의 전방 이동을 적합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폴리(216)에 의해 장력포(130a)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장력포(130a)를 제1 기어(214)와 얽히는 일 없이 순조롭게 권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도 7의 회동 연동 기구(210)의 각부의 치수를 설명하는 도이다. 시트백(112)의 길이를 L이라고 한다. 고정 기어(222)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한다. 제1 기어(214)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한다. 폴리의 반지름을 P라고 한다. 시트백(112)의 회전시의 회전각을 θ라고 한다. 시트백(112) 상부의 회전시의 전방 이동량을 D라고 한다. 고정 기어(222)의 반지름과 제1 기어 (214)의 반지름의 비율(R/r)을 n이라고 한다.
시트백(112)의 회전시의 시트백(112) 상부의 전방 이동량D는 'D = Lsinθ', 또는 회전각 θ가 작은 경우에는 'D = Lθ(식 1)'이 된다. 시트백(112)의 회전시에 폴리(216)가 장력포를 권취하는 권취량x는 'x = (R/r)Pθ(식 2)'가 된다. 따라서, 식 1 및 식 2로부터 'L = nP'가 성립할 때에 시트백(112) 상부의 전방 이동량 D와 폴리(216)가 장력포(130a)를 권취하는 권취량 x가 동량이 되고, 시트백(112) 상부의 전방 이동량이 상쇄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3 실시형태)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300)를 예시한 도이다. 도 9(a)는 좌석(110)을 측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9(b)는 도 9(a)의 회동 연동 기구(310)의 기어 부분을 차량 전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9(c)는 도 9(a)의 회동 연동 기구(310)의 기어 부분을 차량 측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300)는 회동 연동 기구(310)가 또한 제2 기어(314)를 구비하는 점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와 상이하다. 도 9(a) 및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300)의 회동 연동 기구(310)는 제1 기어(214)와 계합하는 제2 기어(314)를 구비한다. 제2 기어(314)는 폴리(216)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장력포(130a)는 폴리(216) 및 제2 기어(314)를 개재하여 제1 기어(214)에 접속된다.
제3 실시형태의 회동 연동 기구(310)와 같이 제1 기어(214) 및 제2 기어(314)로 이루어지는 여러 개의 기어를 구비함으로써, 기어를 더욱 순조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트백(112)이 차량 전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장력포(130a)를 신속하게 권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고정 기어(222)의 반지름을 R1, 제1 기어(214)의 반지름을 R2, 제2 기어(314)의 반경을 R3으로 했을 때, 시트백(112)의 상부 이동량 D을 상쇄하기 위한 조건은 'L = (R1/R2) X (R2/R3) X P = (R1/R3) X P'가 된다.
(제4 실시형태)
도 10은 제4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400)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10(a)는 좌석(110)을 측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b)는 도 10(a)의 회동 연동 기구(410)의 기어 부분을 차량 전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c)는 도 10(a)의 회동 연동 기구(410)의 기어 부분을 차량 측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400)는 회동 연동 기구(410)가 또한 제3 기어(414)를 구비하는 점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와 상이하다. 도 10(a) 및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400)의 회동 연동 기구(410)는 제1 기어(214), 제2 기어(314) 및 제3 기어(414)로 이루어지는 여러 개의 기어를 구비한다.
제2 기어(314)는 제1 기어(214)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제1 기어(214)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기어(214) 및 제2 기어(314)는 2단 기어 구조로 되어 있다. 제3 기어(414)는 폴리(216)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제2 기어(314)와 계합한다. 장력포(130a)는 폴리(216), 제2 기어(314) 및 제3 기어(414)를 개재하여 제1 기어(214)에 접속된다.
제4 실시형태의 회동 연동 기구(410)와 같이 제1 기어(214), 제2 기어(314) 및 제3 기어(414)로 이루어지는 여러 개의 기어를 구비함으로써, 기어를 더욱 순조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트백(112)이 차량 전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장력포(130a)를 더욱 신속하게 권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고정 기어(222)의 반지름을 R1, 제1 기어(214)의 반지름을 r2, 제2 기어(314)의 반지름을 R2, 제3 기어(414)의 반지름을 R3, 폴리(216)의 반지름을 P로 했을 때, 시트백(112)의 상부 이동량을 상쇄하기 위한 조건은, 'L = (R1/r2) X (R2/R3) X P'가 된다.
(제5 실시형태)
도 11은 제5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500)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11(a) 및 11(b)는 좌석(110)을 측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1(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500)에서는 장력포(130a)는 축체로 이루어지는 지지체(512)에 지지된다. 장력포(130a)의 단부는 지지체(412) 근방에 있어서, 연결 와이어(514)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500)의 회동 연동 기구(510)는 슬라이더(516), 레일(518) 및 테더(520)를 구비한다. 슬라이더(516)는 연결 와이어(514)의 타단부와 테더(520)를 연결한다. 슬라이더(516)는 레일(518) 안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테더(520)는 폴리(216)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장력포(130a)는 지지체(512), 연결 와이어(514), 슬라이더(516) 및 폴리(216)를 개재하여 제1 기어(214)에 접속된다.
차량 충돌 등 때에 시트백(112)이 시트 쿠션(114)에 대하여 도 11(a)의 위치부터 도 11(b)의 위치까지 차량 전방으로 회동했다고 하자. 그러면 제1 기어(214)는 시트백(112)의 회동에 연동하여 장력포(130a)를 권취하는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테더(520)가 폴리(216)에 권취되고, 슬라이더(516)가 레일(518) 안을 하방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516)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연결 와이어(514)가 하방으로 당겨진다. 그리고 연결 와이어(514)에 접속된 장력포(130a)가 시트백(112)의 내부로 당겨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130a)에 장력이 부여되고, 시트백(112)이 회동했을 때의 장력포(130a)가 느슨해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12는 제6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600)를 예시한 도이다. 도 12(a)는 도 1의 좌석(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140)을 예시한 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피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2(b)에서는 도 12(a)의 장력포(130a)를 가상선(이점 쇄선)으로 도시한다.
도 1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600)는 하중 완화 기구(610)를 구비한다. 하중 완화 기구(610)는 장력포(130a, 130b)의 전개시에 장력포로부터 시트 프레임(140), 다시 말해 좌석(110)(도 1 참조)에 걸리는 하중을 완화한다. 또한 도 12(a)에서는 좌우의 장력포(130a, 130b)의 양방에 대하여 하중 완화 기구를 설치하고 있는데, 두 개의 하중 완화 기구(610)는 좌우 대칭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하 좌측의 장력포(130a)에 대하여 설치된 하중 완화 기구(610)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1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중 완화 기구(610)는 제1 축부(612), 제2 축부(614), 연결부(616) 및 가이드 구멍(618)을 구비한다. 제1 축부(612)는 좌석(110)의 시트백(112)(도 1 참조) 중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에서 시트 프레임(140)에 고정된 봉 형상의 부재(토션바)이다. 시트 프레임(140)에는 이 제1 축부(612)를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의 가이드 구멍(61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축부(614)는 가이드 구멍(618) 안을 이동 가능한 봉 형상의 부재로서, 장력포(130a)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축부(614)가 이동하면 장력포(130a)의 일단부가 그것과 연동하여 이동한다. 제1 축부(612) 및 제2 축부(614)는 연결부(616)에 의해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축부(614)는 연결부(616)에 의해 연결된 제1 축부(612)를 지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은 하중 완화 기구(61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616)의 제1 축부(612) 및 제2 축부(614)의 연결 장소 사이의 길이를 L라고 했을 때, 가이드 구멍(618)은 제1 축부(612)를 중심으로 한 반지름 L 원의 원호이다. 장력포(130a)로부터 제2 축부(614)를 개재하여 좌석(110)에 걸리는 하중이 소정 값 미만인 상태에서는 도 1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2 축부(614)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구멍(618)의 후방측의 단부에 위치한다(초기 위치).
에어백(120a)(도 2 참조)의 팽창 전개가 진행됨에 따라 장력포(130a)의 장력이 커진다. 그러면 장력포(130a)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2 축부(614)에 걸리는 하중이 커진다. 장력포(130a)로부터 제2 축부(614)를 개재하여 좌석(110)에 걸리는 하중이 소정 값 이상이 되면 도 13(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2 축부(614)가 장력포(130a)의 단부에 의해 당겨진다. 이것에 의해 제2 축부(614)가 가이드 구멍(618) 안을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여 회동한다.
그런 다음, 도 13(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2 축부(614)가 원호 형상의 가이드 구멍(618) 안을 회동하고, 가이드 구멍(618)의 전방측의 단부에 도달하면 제2 축부(614)의 회동이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130a)가 도13(a)에 예시하는 위치부터 도 13(c)에 예시하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장력포(130a)가 느슨해지고, 좌석(110)에 걸리는 하중이 완화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승차인 구속 장치(600)가 하중 완화 기구(610)를 구비함으로써, 전개시의 장력포(130a)로부터 좌석(110)에 큰 하중이 걸리면 하중 완화 기구(610)가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좌석(110)에 걸리는 하중이 완화되기 때문에, 장력포(130a)로부터의 하중에 기인하는 좌석(110)의 파손을 적합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하중 완화 기구(610)에 의해 제2 축부(614)가 이동함으로써, 장력포(130a)의 일단부가 그것과 연동하여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130a)가 건너지르는 기점이 되는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 사이의 간격은 장력포(130a)가 전개하기 전보다도 장력포(130a)가 전개한 후 쪽이 좁아진다. 따라서, 에어백을 장력포에 의해 승차인측으로 더욱 근접시킬 수 있고, 승차인의 어깨부를 더욱 효율적으로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이것 이외의 실시형태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 가능하다. 특히, 본안 명세서 중에 한정되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상세한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에 제약받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안 명세서 중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형예 또는 수정예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에 설치되는 에어백을 예시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좌석의 시트백의 좌우 중 어느 일방에 에어백이 설치되고, 이러한 에어백이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에 설치되는 장력포를 예시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백이 좌석의 시트백의 좌우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당연히 장력포도 그 일방측에만 설치되면 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승차인 구속 장치,
110 … 좌석,
112 … 시트백,
114 … 시트 쿠션,
116 … 헤드레스트,
118 … 커버,
120a … 에어백,
120b … 에어백,
130a … 장력포,
130b … 장력포,
132a … 단부,
132b … 단부,
140 … 시트 프레임,
142 … 상부 프레임,
144 … 하부 프레임,
150 … 브래킷,
200 … 승차인 구속 장치,
210 … 회동 연동 기구,
212 … 지지체,
214 … 제1 기어,
216 … 폴리,
220 … 차체 부재,
222 … 고정 기어,
300 … 승차인 구속 장치,
310 … 회동 연동 기구,
314 … 제2 기어,
400 … 승차인 구속 장치,
410 … 회동 연동 기구,
414 … 제3 기어,
500 … 승차인 구속 장치,
510 … 회동 연동 기구,
512 … 지지체,
514 … 연결 와이어,
516 … 슬라이더,
518 … 레일,
520 … 테더,
P … 승차인,
600 … 승차인 구속 장치,
610 … 하중 완화 기구,
612 … 제1 축부,
614 … 제2 축부,
616 … 연결부,
618 … 가이드 구멍

Claims (12)

  1. 차량의 좌석을 구비하고, 상기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좌석의 시트백에 수납되어 있어 상기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과,
    상기 수납되어 있는 에어백의 상기 승차인의 반대측을 통하여 상기 좌석의 시트백에서 시트 쿠션에 걸쳐 수납되어 있는 장력포를 구비하고,
    상기 장력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상기 좌석의 표피가 개열함으로써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상기 시트백 중 상기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부터 상기 시트 쿠션 측면의 차량 전방측의 위치까지 건너지르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장력포는 상기 에어백의 상기 승차인의 반대측 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장력포가 건너지르는 기점이 되는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 사이의 간격은 상기 장력포가 전개하기 전보다도 상기 장력포가 전개한 후 쪽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2. 차량의 좌석을 구비하고, 상기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좌석의 시트백에 수납되어 있어 상기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과,
    상기 수납되어 있는 에어백의 상기 승차인의 반대측을 통과하는 장력포와,
    상기 좌석의 측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상기 장력포의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장력포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상기 시트백 중 상기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부터 시트 쿠션 측면의 차량 전방측의 위치까지 건너지르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장력포는 상기 에어백의 상기 승차인의 반대측 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장력포가 건너지르는 기점이 되는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 사이의 간격은 상기 장력포가 전개하기 전보다도 상기 장력포가 전개한 후 쪽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그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에 의해 골격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포의 일단부는 상기 좌석의 시트백 중 상기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에서 상기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시트 쿠션까지 건너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포의 일단부는 상기 시트 프레임에 감겨 있고,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시트 프레임에 감긴 상기 장력포의 일단부를 파지함으로써, 상기 일단부를 상기 시트 프레임에 고정하는 브래킷을 한층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장력포의 일단부 중 상기 시트 프레임에 감긴 부분의 전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시트 쿠션에 대한 상기 시트백의 회동과 연동하는 회동 연동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력포의 일단부는 상기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에서 상기 회동 연동 기구와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건너지르고,
    상기 시트백이 상기 차량 충돌시에 상기 시트 쿠션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기 장력포는 상기 회동 연동 기구에 의해 당겨져 장력을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에서 상기 장력포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도래하는 상기 장력포가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1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시트백이 상기 차량 충돌시에 상기 시트 쿠션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기 회동과 연동하여 상기 장력포를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장력포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연동 기구는,
    상기 지지체로부터 도래하는 상기 장력포를 지지하는 폴리를 한층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폴리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폴리를 개재하여 상기 장력포가 상기 제1 기어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연동 기구는,
    상기 지지체로부터 도래하는 상기 장력포를 지지하는 폴리와,
    상기 폴리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1 기어와 계합하는 제2 기어를 한층 더 구비하고,
    상기 장력포는 상기 폴리 및 상기 제2 기어를 개재하여 상기 제1 기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연동 기구는,
    상기 지지체로부터 도래하는 상기 장력포를 지지하는 폴리와,
    상기 제1 기어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1 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기어와,
    상기 폴리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2 기어와 계합하는 제3 기어를 한층 더 구비하고,
    상기 장력포는 상기 폴리,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를 개재하여 상기 제1 기어에 접속되어 있는 승차인 구속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장력포의 전개시에 상기 장력포로부터 상기 좌석에 걸리는 하중을 완화하는 하중 완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그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에 의해 골격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중 완화 기구는,
    상기 좌석의 시트백 중 상기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에서 상기 시트 프레임에 고정된 제1 축부와,
    상기 제1 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시트 프레임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구멍과,
    상기 가이드 구멍 안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장력포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 축부와,
    상기 제1 축부 및 상기 제2 축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축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제2 축부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력포가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했을 때에 상기 장력포로부터 상기 제2 축부를 개재하여 상기 좌석에 걸리는 하중이 소정 값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축부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장력포가 느슨해지고 상기 하중이 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KR1020227010683A 2017-11-30 2018-10-31 승차인 구속 장치 KR102405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29933 2017-11-30
JP2017229933 2017-11-30
JP2018135996 2018-07-19
JPJP-P-2018-135996 2018-07-19
PCT/JP2018/040523 WO2019107053A1 (ja) 2017-11-30 2018-10-31 乗員拘束装置
KR1020207017080A KR20200086345A (ko) 2017-11-30 2018-10-31 승차인 구속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080A Division KR20200086345A (ko) 2017-11-30 2018-10-31 승차인 구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396A true KR20220044396A (ko) 2022-04-07
KR102405507B1 KR102405507B1 (ko) 2022-06-08

Family

ID=666644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683A KR102405507B1 (ko) 2017-11-30 2018-10-31 승차인 구속 장치
KR1020207017080A KR20200086345A (ko) 2017-11-30 2018-10-31 승차인 구속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080A KR20200086345A (ko) 2017-11-30 2018-10-31 승차인 구속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14224B2 (ko)
EP (1) EP3718834B1 (ko)
JP (1) JP6892519B2 (ko)
KR (2) KR102405507B1 (ko)
CN (2) CN111315620B (ko)
WO (1) WO2019107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073A1 (ja) * 2017-11-30 2019-06-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KR102064844B1 (ko) * 2018-06-07 2020-01-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CN110843718A (zh) 2018-07-30 2020-02-28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
JP7165095B2 (ja) 2019-03-29 2022-11-02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JP7283943B2 (ja) * 2019-03-29 2023-05-30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JP7280138B2 (ja) * 2019-07-22 2023-05-23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CN114126930B (zh) * 2019-08-07 2023-04-28 奥托立夫开发公司 乘员约束装置
US11034323B2 (en) * 2019-10-01 2021-06-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assembly including retractable tethers
KR20210051069A (ko) * 2019-10-29 2021-05-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KR20210059986A (ko) * 2019-11-18 2021-05-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시스템
JP7356950B2 (ja) * 2020-05-01 2023-10-05 株式会社Subaru 車両の乗員保護装置
US11220234B1 (en) * 2020-10-14 2022-01-11 Autoliv Asp,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t including adaptive venting
US11247633B1 (en) 2020-10-26 2022-02-15 Autoliv Asp,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t including an inflatable tensioning member for an airbag
US11590922B2 (en) 2020-11-11 2023-02-28 Autoliv Asp,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t including external tethering
FR3124145A1 (fr) * 2021-06-22 2022-12-23 Psa Automobiles Sa Véhicule automobile avec coussin gonflable thorax a positionnement modulé par l’inclinaison du dossier
FR3126372B1 (fr) * 2021-08-26 2023-09-15 Renault Sas Siège de véhicule doté d’un système de sécurité embarqué.
CN113650539A (zh) * 2021-09-27 2021-11-16 夏卿 一种汽车座椅
US11975643B2 (en) * 2022-04-21 2024-05-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at upper arm suppor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9182A (ja) * 2007-07-24 2009-02-12 Mazda Motor Corp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2014012495A (ja) * 2012-07-05 2014-01-23 Autoliv Development Ab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40034356A (ko) 2012-09-10 2014-03-20 김진한 살균 가습 기능을 갖는 가습기
JP5793203B2 (ja) * 2012-01-17 2015-10-1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KR20170036014A (ko) * 2014-09-08 2017-03-31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승차인 구속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6862A (en) * 1995-09-07 1997-06-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with tether
JP2006218982A (ja) * 2005-02-09 2006-08-24 Mazd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システム
JP4434193B2 (ja) * 2006-10-30 2010-03-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1890928B (zh) * 2009-05-20 2013-08-2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侧气囊装置
WO2013099888A1 (ja) * 2011-12-28 2013-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850156B2 (ja) * 2012-07-25 2016-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の展開方向規制構造
JP5776648B2 (ja) 2012-08-10 2015-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5594340B2 (ja) * 2012-09-05 2014-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安全装置
JP2014121924A (ja) * 2012-12-20 2014-07-03 Toyota Motor Corp 車両用乗員拘束システム
JP6032148B2 (ja) * 2013-07-18 2016-11-24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12015002103T5 (de) * 2014-05-01 2017-03-02 Tk Holdings Inc. Mittiges Seitenaufprallairbagmodul mit Steuerhalteband
JP6179469B2 (ja) * 2014-06-23 2017-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02016204913A1 (de) * 2015-04-21 2016-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orhangairbag
JP6278006B2 (ja) * 2015-07-13 2018-0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6269619B2 (ja) * 2015-08-25 2018-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9182A (ja) * 2007-07-24 2009-02-12 Mazda Motor Corp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5793203B2 (ja) * 2012-01-17 2015-10-1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2014012495A (ja) * 2012-07-05 2014-01-23 Autoliv Development Ab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40034356A (ko) 2012-09-10 2014-03-20 김진한 살균 가습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20170036014A (ko) * 2014-09-08 2017-03-31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승차인 구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8834B1 (en) 2022-04-13
KR20200086345A (ko) 2020-07-16
EP3718834A1 (en) 2020-10-07
WO2019107053A1 (ja) 2019-06-06
EP3718834A4 (en) 2021-03-31
CN111315620A (zh) 2020-06-19
US20200331421A1 (en) 2020-10-22
JPWO2019107053A1 (ja) 2020-11-26
CN111315620B (zh) 2022-10-18
US11214224B2 (en) 2022-01-04
CN115027403A (zh) 2022-09-09
JP6892519B2 (ja) 2021-06-23
CN115027403B (zh) 2023-09-12
KR102405507B1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507B1 (ko) 승차인 구속 장치
KR102438873B1 (ko) 승차인 구속 장치
CN114340945B (zh) 安全气囊装置及车辆座椅
JP6447432B2 (ja)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CN107284391B (zh) 乘员保护装置
WO2019107398A1 (ja) 乗員拘束装置
JP2019147426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20210022752A (ko) 승차인 구속 장치
KR20220106812A (ko) 승차인 구속 장치
JP7165095B2 (ja) 乗員保護装置
JP5952680B2 (ja) エアバッグ装置
WO2020017282A1 (ja) 乗員拘束装置
JP6873961B2 (ja) 乗員拘束装置
JP657729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329051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641418B1 (ko) 탑승자 보호 에어백 장치
KR101697920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20230415695A1 (en) Safety restraint system for lower extremities in automated driving
JP5568595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6744114B2 (ja) 乗員保護装置
JP2017178238A (ja) 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