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873B1 - 승차인 구속 장치 - Google Patents

승차인 구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873B1
KR102438873B1 KR1020207017081A KR20207017081A KR102438873B1 KR 102438873 B1 KR102438873 B1 KR 102438873B1 KR 1020207017081 A KR1020207017081 A KR 1020207017081A KR 20207017081 A KR20207017081 A KR 20207017081A KR 102438873 B1 KR102438873 B1 KR 102438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tension
seat
tension fabric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346A (ko
Inventor
히로유끼 사이또
테쯔야 마쯔시따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4374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107398A1/ja
Publication of KR2020008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60R2021/23388External tether means having ends which are movable or detachable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 충돌시 등에 있어서의 팽창 전개 상태인 에어백의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규제하고,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의 향상을 도모한다. 본 발명의 승차인 구속 장치는 에어백과 장력포를 구비하고, 장력포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부의 상면부터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며, 팽창 전개시 에어백 상부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 상에서 에어백 폭의 가장 긴 부분에 있어서의 중심을 지나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상선과, 제1 가상선과 직교하여 에어백 전후 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가상선의 중심을 지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상선에 의해 구획되는 네 개의 영역 중 적어도 제1 가상선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을 장력포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차인 구속 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에어백 장치가 거의 표준 장비되어 있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작동하는 안전 장치로서, 가스 압력으로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받아내어 보호한다. 에어백 장치에는 설치 장소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승차인 보호 장치에서는 좌석의 양측 측부에 승차인의 바로 옆으로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이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측(차량 폭 방향의 일방측)으로의 이동의 반동 등에 의한 반충돌측(차량 폭 방향의 타방측)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특개2014-034356호 공보
특허문헌 1과 같이 승차인을 측방에서 받아내는 에어백 장치에서는 에어백이 차량 폭 방향에 있어서 승차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승차인을 구속하는 성능이 저하하게 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서는 내측 에어백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측부에 텐션 크로스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텐션 크로스 장치는 측방 전개 부재로서의 텐션 크로스와 전개 수단으로서의 팝업 바 구조를 가진다.
특허문헌 1의 구성에 의하면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측부에 설치된 텐션 크로스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내측 에어백의 차량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승차인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의 이동이 규제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구성이면 내측 에어백은, 측면만이 텐션 크로스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문에 에어백의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없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승차인 보호 장치에는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차량의 충돌시 등에 있어서의 팽창 전개 상태의 에어백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규제하고,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좌석의 시트백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어 있고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한 개 이상의 에어백과, 에어백의 승차인 반대측 측면을 통과하여 좌석의 시트백부부터 시트 쿠션부에 걸쳐 수납되어 있는 한 개 이상의 장력포(布)를 구비하고, 장력포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부의 상면부터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고, 팽창 전개시 에어백 상부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 상에서 에어백 폭의 가장 긴 부분에 있어서의 중심을 지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상선과, 제1 가상선과 직교하고 에어백 전후 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가상선의 중심을 지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상선에 의해 구획되는 네 개의 영역 중 적어도 제1 가상선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을 장력포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차량의 충돌시에 에어백이 팽창 전개함으로써 장력포가 좌석의 외부로 전개한다. 이것에 의해 에어백의 승차인 반대측의 측면을 따르도록 시트 쿠션부의 측면까지 장력포가 건너지른다. 좌석의 외부로 전개한 장력포는 에어백의 제1 가상선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을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는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 차량 전방을 향함에 따라 승차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에어백에 건너지른다. 건너지른 장력포에 의해 에어백은 승차인 반대측의 면 및 전방측이 지지된다. 따라서, 승차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 및 전방으로의 이동 양방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의 다른 구성은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좌석의 시트백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어 있고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한 개 이상의 에어백과, 에어백의 승차인 반대측 측면을 통과하여 좌석의 시트백부부터 시트 쿠션부에 걸쳐 수납되어 있는 한 개 이상의 장력포를 구비하고, 장력포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부의 상면부터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고, 팽창 전개시 에어백 상부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 평면 도형에 있어서의 중심인 도심(圖心)을 지나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상선과, 제1 가상선과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상선에 의해 구획되는 네 개의 영역 중 적어도 제1 가상선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을 장력포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제1 가상선을 에어백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의 도심을 지나는 선분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좌석의 외부로 전개한 장력포가 에어백의 제1 가상선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을 통과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장력포의 시트백부 상면 설치 장소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승차인의 어깨부보다 내측 근방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승차인의 어깨부 근방에서는 장력포에 의해 승차인 측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힘이 에어백에 대하여 부여된다. 따라서, 에어백의 승차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장력포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좌석의 표피가 개열함으로써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면 된다. 또는 상기 장력포 중 적어도 일부는 좌석의 측방에 설치된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케이스로부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면 된다. 어느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효과를 양호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장력포는 시트백부로부터 시트 쿠션부를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져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장력포가 더욱 넓은 면적에서 에어백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의 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고, 상술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장력포를 여러 개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에 의해 에어백을 지지하는 부분이 많아진다. 따라서, 에어백의 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고, 상술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팽창 전개시 에어백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의 장력포는 제1 가상선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에 있어서, 에어백의 윤곽선과 교차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과 같이, 장력포가 전개 시에 제1 가상선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의 윤곽선과 교차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한 개 이상의 에어백은 좌석의 양측에 설치되고,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좌우에 팽창 전개하는 한 쌍의 에어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승차인의 좌우 양측을 에어백에 의해 구속할 수 있고, 더욱 높은 승차인 구속 성능이 얻어진다.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시트백부의 내부에 매설되고, 한 쌍의 에어백 중 하나의 에어백을 승차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를 더 설치하고, 가압 기구는 시트백부에 있어서 하나의 에어백 측의 승차인 어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시트백부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샤프트와, 한 개의 에어백 반대측의 에어백과 샤프트에 접속되는 테더를 포함하며, 장력포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샤프트의 내측 위치에서 시트백부에 고정되어 있고, 한 쌍의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장력포는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부의 상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승차인 어깨부보다도 내측 근방에서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고, 한 쌍의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테더가 좌석의 외부로 전개될 때, 반대측의 에어백에 의해 테더가 견인되어 샤프트가 시트백부를 승차인의 타방의 어깨부에 상당하는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장력포가 샤프트에 끌려 하나의 에어백이 승차인을 향해 가압되면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압 기구에 의해 그것이 설치된 하나의 에어백을 승차인에게 가압시킨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에 의한 에어백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이 더 향상하는 것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시트백부의 내부에 매설되고, 한 쌍의 에어백 중 하나의 에어백을 승차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를 더 구비하고, 가압 기구는 시트백부에 있어서 하나의 에어백 측의 승차인 어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장력포가 삽입 통과되고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고리 형상의 슬라이드 링과, 하나의 에어백 반대측의 에어백과 슬라이드 링에 접속되는 테더를 포함하며, 장력포는 슬라이드 링에 삽입 통과된 후에 시트백부에 고정되어 있고, 한 쌍의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장력포는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부의 상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승차인 어깨부보다 내측 근방부터 상기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고, 한 쌍의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테더 및 슬라이드 링이 좌석 외부로 노출하고, 반대측의 에어백에 의해 테더가 견인되어 슬라이드 링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장력포가 시트백부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슬라이드 링이 멀어짐으로써, 장력포가 끌려 하나의 에어백이 승차인을 향해 가압되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가압 기구와 동일하게 하나의 에어백을 승차인에게 가압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장력포 및 가압 기구는 한 쌍의 에어백의 양방에 대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에어백의 양방에 있어서 상술한 가압 기구에 의한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승차인 구속 성능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장력포 및 가압 기구는 한 쌍의 에어백의 양방에 대하여 설치하고 있고, 양방에 설치된 가압 기구의 슬라이더 링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에어백 각각에 대하여 설치된 가압 기구를 연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장력포는 팽창 전개시 에어백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서의 전후 길이 중앙보다도 전방의 상기 장력포의 중간부에서 에어백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가 팽창 전개시의 에어백을 밸런스 좋게 전후 방향에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시트백부의 내부에 매설되고, 에어백을 승차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를 더 구비하고, 가압 기구는 장력포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장력포를 권취하는 리트렉터를 포함하며,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장력포가 리트렉터에 의해 권취됨으로써, 에어백이 승차인 측으로 가압되어도 된다. 리트렉터의 일례로서 전동 모터에 의한 것 또는 마이크로가스 제너레이터 등 가스 발생 장치에 의한 가스 압력으로 리트렉터의 스핀들을 급속 회전시키는 것 같은 일반적인 시트 벨트 리트렉터로서 알려져 있는 구조와 유사한 것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가압 기구와 동일하게 에어백을 승차인에게 가압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한 쌍의 에어백을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에어백만을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에어백을 승차인에 대하여 가압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장력포는 제1 장력포 및 제2 장력포를 포함하고, 제1 장력포는 시트백의 상부로부터 에어백 상의 적어도 제1 가상선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을 통과하고, 제2 장력포는 제1 장력포보다도 후방에 있어서, 에어백 상을 통과하여 시트 쿠션에 접속되고, 가압 기구는 리트렉터부터 에어백까지의 사이에서 제1 장력포 및 제2 장력포를 끌어넣는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 변경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장력포가 두 개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두 개의 장력포가 방향 변경부에 있어서 합류하여 합쳐진다. 합쳐진 장력포는 리트렉터까지의 도중에서 그것을 지지하는 방향 변경부에 의해 끌어넣는 방향이 변경되고, 리트렉터에 권취된다. 이것에 의해 두 개의 장력포가 얽히는 일 없이 동시에 리트렉터에 권취되기 때문에, 장력포가 두 개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상술한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방향 변경부는 예를 들어, 핀과 같은 봉 형상인 것도 좋고, 시트백의 상부에 설치된 가늘고 긴 슬롯 형상의 개구부여도 좋으며, 타원형 또는 원형의 개구부여도 된다. 어느 것이든 상대적으로 장력포를 끌어넣는 방향을 변경 가능한 부재면 된다.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시트백부의 내부에 매설되고, 에어백을 승차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를 더 구비하고, 가압 기구는 시트백부의 좌우 방향 중 어느 단부부터 중앙까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방향 변경부와,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방향 변경부를 좌우 방향의 중앙 가까이로 견인하는 프리텐셔너 기구를 포함하고, 장력포는 시트백부의 좌우 방향의 어느 단부로부터 방향 변경부를 경유하여 에어백에 도달하고 있고,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프리텐셔너 기구가 방향 변경부를 견인함으로써, 장력포에 의해 에어백이 승차인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상술한 가압 기구와 동일하게 에어백을 승차인에게 가압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도, 하나의 에어백만을 설치하는 경우에, 그 에어백을 승차인에 대하여 가압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리텐셔너의 일례로서는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에 의해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이동시켜 와이어 등을 급속 견인하는 버클 프리텐셔너의 구조와 유사한 것이 사용 가능하다. 방향 변경부로서는 예를 들어, 샤프트나 핀과 같은 봉 형상인 것이어도 되고, 시트백의 상부에 설치된 이동 가능한 가늘고 긴 슬롯 형상의 개구부, 타원형 또는 원형의 개구부여도 된다. 어느 쪽이든 상대적으로 장력포를 끌어넣는 방향을 변경 가능한 부재이기만 하면 된다.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시트백부의 내부에 매설되고, 에어백을 승차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를 더 구비하고, 가압 기구는 시트백부의 중앙부 근방부터 좌우 방향의 어느 쪽 단부까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1 방향 변경부와, 시트백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 제1 방향 변경부보다 전방측에 배치된 제2 방향 변경부와,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제1 방향 변경부를 시트백부의 좌우 어느 단부를 향하여 밀어내는 푸시 기구를 포함하고, 장력포는 시트백부의 좌우 방향 중앙으로부터 제1 방향 변경부 및 제2 방향 변경부를 경유하여 에어백에 도달하고 있고,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푸시 기구가 제1 방향 변경부를 밀어냄으로써, 장력포에 의해 에어백이 승차인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가압 기구에 의해 에어백을 승차인에게 가압하는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하나의 에어백만을 설치하는 경우에 그 에어백을 승차인에 대하여 가압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푸시 기구의 일례로서는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에 의해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밀어내는 것 같은 푸시 아웃 기구와 유사한 것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1 방향 변경부 및 제2 방향 변경부는 장력포의 끌어들어가는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샤프트나 핀과 같은 봉 형상의 것이어도 되며, 시트백의 상부에 설치된 이동 가능한 가늘고 긴 슬롯 형상의 개구부, 타원형 또는 원형의 개구부 등이어도 된다. 어느 쪽이든 상대적으로 장력포를 끌어넣는 방향을 변경 가능한 부재이면 된다.
상기 제1 장력포 및 제2 장력포는 리트렉터부터 에어백까지의 사이에서 합류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장력포 및 제2 장력포를 얽히는 일 없이 동시에 리트렉터에 있어서 권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장력포는 제1 장력포, 제2 장력포 및 제3 장력포를 포함하고, 제1 장력포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부의 상면부부터, 에어백의 제1 가상선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까지 건너지른다. 제2 장력포는 제1 장력포의 에어백 상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면서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고, 제3 장력포는 제1 장력포의 에어백 상의 단부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지면서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를 수 있다. 다시 말해, 장력포는 에어백 상의 경로 도중에서 두 갈래로 나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팽창 전개시의 에어백을 밸런스 좋게 전후 방향에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장력포는 제1 장력포 및 제2 장력포를 포함하고, 제1 장력포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부의 상면부터, 에어백의 제1 가상선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 영역까지 건너지르고, 제2 장력포는 제1 장력포의 에어백 상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면 형상의 부재로서,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장력포가 면 형상의 부재임으로써 장력포가 더욱 넓은 면적으로 팽창 전개시의 에어백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장력포에 의해 에어백을 승차인에게 가압하는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시 등에 있어서의 팽창 전개 상태의 에어백의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규제하고,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석에 승차인이 착석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의 기타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실시형태 또는 도 2의 제2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한 장력포의 바리에이션(variation)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6은 에어백의 바리에이션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9는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0은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1은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2는 제8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3은 장력포의 바리에이션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14는 장력포의 바리에이션을 예시하는 도이다.
아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제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좌석에 착석했을 때에 승차인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명칭한다. 또한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좌석에 착석했을 때에 승차인의 우측을 오른쪽 방향, 승차인의 좌측을 왼쪽 방향으로 명칭한다. 나아가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착석했을 때에 승차인의 머리부 방향을 상부, 승차인의 허리부 방향을 하방으로 명칭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도면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술한 승차인을 기준으로 한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을 Fr, Rr, L, R, Up, Down으로 표기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100)를 예시한 도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에는 좌석(11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부재(후술하는 에어백(120a, 120b) 및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를 가상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비팽창 전개시의 에어백(120a, 120b) 및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를 예시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는 좌석(110)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는 차량(전체는 도시 없음)의 좌석(110), 에어백(120a, 120b) 및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를 구비한다. 좌석(110)은 승차인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시트백부(112)를 구비한다. 시트백부(112)의 하방에는 승차인이 착석하는 시트 쿠션부(114)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백부(114)의 상방에는 승차인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116)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백(120a, 120b)(사이드 에어백)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좌석(110)의 시트백부(112)의 좌우 양측의 내부에 각각 수납되어 있다. 후술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은 차량의 충돌시 등에 좌석(110)에 착석한 승차인의 좌우 양측방으로 팽창 전개한다.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 각각에 대하여 설치된다.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는 수납되어 있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의 승차인 반대측의 측면을 각각 통과하여 좌석(110)의 시트백부(112)로부터 시트 쿠션부(114)에 걸쳐 수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좌석(110)에 승차인(P)이 착석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좌석(110)을 차량 정면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2(b)는 도 1의 좌석(110)을 차량 경사진 전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2(c)는 도 2(a)의 에어백(120a)을 상방에서 관찰한 모식도이다.
도 2(a) 내지 도2(c)에는 에어백(120a, 120b)이 팽창 전개한 상태를 예시하고, 승차인(P)으로서 AM50 더미를 예시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 및 그들에 대하여 각각 설치되는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의 위치 관계는 좌우 공통이다. 따라서, 도 2(b) 및 도 2(c)에 대해서는 좌측의 에어백(120a) 및 좌측 장력포(130a)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2(c)에서는 팽창 전개시의 에어백(120a)에 대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상선(L1)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상선(L2)을 도시하고 있다. 제1 가상선(L1)은 팽창 전개시의 에어백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 상에서 에어백 폭의 가장 긴 부분에 있어서의 중심(C)을 지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2 가상선(L2)은 에어백 전후 길이에 있어서의 제1 가상선(L1)의 중심에서 제1 가상선(L1)과 직교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상선(L1) 및 제2 가상선(L2)으로 구획되는 네 개의 영역을 각각 제1 영역(R1), 제2 영역(R2), 제3 영역(R3) 및 제4 영역(R4)으로 명칭한다.
도 2(a) 및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에서는 좌측 장력포(130a)는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장력포(130b)도 제1 장력포(132b) 및 제2 장력포(134b)를 구비한다. 이하, 좌우 각각의 제1 장력포 및 제2 장력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로 명칭한다.
도 2(a) 및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시 등에는 에어백(120a, 120b)이 팽창 전개한다.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는 에어백(120a, 120b)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110)의 표피를 개열함으로써, 좌석(110)의 외부로 각각 전개한다. 전개한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는 시트백(112)의 상면 좌우 방향으로 승차인(P)의 어깨부보다 내측 근방부터 시트 쿠션부(114)까지 건너지른다. 이것에 의해,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가 차량 전방을 향함에 따라 승차인(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에어백(120a, 120b)에 건너지른다.
이때,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서 도 2(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개한 좌측 장력포(130a)의 제1 장력포(132a)는 네 개의 영역 중 제1 가상선(L1)의 승차인(P)과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L2)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인 제3 영역(R3)을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도 2(a) 및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팽창 전개한 에어백(120a)은 승차인(P)의 반대측 면 및 전방측이 제1 장력포(132a)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팽창 전개한 에어백(120a)의 승차인(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 및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고, 에어백(120a)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120a)에 대하여 설치된 좌측 장력포(130a) 중 제2 장력포(134a)는 팽창 전개시 에어백(120a)을 상방에서 평면을 보았을 때에 제3 영역(R3)에 있어서, 에어백(120a)의 윤곽선(OL)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에어백(120a)의 특히 승차인(P)의 반대측 측면을 더욱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120a)의 승차인(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더욱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와 같이 각 에어백(120a, 120b)에 대하여 장력포를 두 개씩, 다시 말해 여러 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장력포에 의한 에어백(120a, 120b)의 지지 장소가 많아진다. 따라서, 팽창 전개한 에어백(120a, 120b)의 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고, 에어백(120a, 120b)의 승차인 구속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력포의 개수는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력포는 각 에어백(120a, 120b)에 대하여 각각 하나 이상 설치하고 있으면 되고, 세 개 이상의 장력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 각각에 대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장력포(130a, 130b)의 일단부는 시트백부(112) 중 승차인(P)의 어깨부 근방의 위치(F1, F2)에 고정되어 있다. 이 위치(F1, F2) 사이의 간격(D)(도 1 참조)는 AM50 더미의 어깨폭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정된다. 다시 말해, 장력포(130a, 130b)의 시트백부(112)의 상면에의 설치 장소 위치(F1, F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승차인의 어깨부보다도 내측 근방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130a, 130b)는 에어백(120a, 120b)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위치(F1, F2)를 기점으로 하여 좌석(110)의 외부로 전개하여 건너지른다.
상기와 같이 AM 더미 50의 어깨폭보다도 좁은 간격(D)을 둔 위치(F1, F2)를 기점으로 하여 건너지르는 장력포(130a, 130b)에 의해, 승차인(P)의 어깨부 근방에서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에 대하여 승차인(P) 측에 가까운 방향의 힘이 부여된다. 따라서, 에어백(120a, 120b)의 승차인(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에어백(120a, 120b)이 더욱 확실하게 승차인(P)을 구속할 수 있고, 승차인 구속 장치(100)의 승차인 구속 성능이 향상된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의 기타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승차인 구속 장치(100a)는 좌석(110)의 측부에 배치되는 케이스(118a, 118b)를 구비한다. 케이스(118a)는 에어백(120a, 120b)을 수용하는 케이스이다. 케이스(118b)는 장력포(130a, 130b)를 수용하는 케이스이다. 도 3에 예시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100a)에서는 에어백(120a, 120b)의 팽창 전개시에, 장력포(130a, 130b)는 케이스(118b)로부터 좌석(110)의 측부로 전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승차인 구속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200)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좌석(110)을 차량 정면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4(b)는 도 1의 좌석(110)을 차량 경사진 전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4(c)는 도 4(a)의 에어백(120a)을 상방에서 관찰한 모식도이다.
도 4에 예시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200)는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의 구성만이 승차인 구속 장치(100)와 상이하다. 따라서,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 외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4(a) 및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200)의 좌측 장력포(230a)는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에 더하여 제3 장력포(232a)를 더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장력포(230b)에 있어서도 제1 장력포(132b) 및 제2 장력포(134b)에 더하여 제3 장력포(232b)를 더 구비한다.
도 4(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3 장력포(232a)는 제1 장력포(132a)보다 승차인 측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3 영역(R3)을 통과한다. 이와 같이 제3 영역(R3)을 통과하는 장력포의 개수가 증가함으로써 에어백(120a)의 이동을 더욱 적합하게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120a)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을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장력포의 바리에이션)
도 5는 도 1의 제1 실시형태 또는 도 2의 제2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한 장력포의 바리에이션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5에서는 좌측의 에어백(120a)에 대하여 설치되는 좌측 장력포를 예시하고 있다. 도 5(a)에 예시하는 좌측 장력포(330a)는 제3 영역(R3)을 통과하는 네 개의 장력포(332, 334, 336, 338)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에어백(120a)의 이동을 규제하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도 5(b)에 예시하는 좌측 장력포(430a)는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의 양방이 에어백(120a)의 제3 영역(R3)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5(c)에서는 에어백(120a)에 대하여 한 개의 좌측 장력포(530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좌측 장력포(530a)는 시트백부(112)에서 시트 쿠션부(114)(도 1 참조)를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형상이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가 한 개인 경우에도 에어백(120a)을 넓은 면적에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포에 의해 에어백(120a)을 지지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진다. 이 때문에 팽창 전개시의 에어백(120a)의 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고, 에어백(120a)의 승차인 구속 장치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에어백의 바리에이션)
도 6은 에어백의 바리에이션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6(a)는 에어백(220) 상방에서 본 평면도를 예시한 도이며, 도 6(b)는 에어백(220)의 측면도를 예시한 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도 6(a) 및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팽창 전개시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서의 형상이 타원형이 아닌 에어백(220)을 구비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 전개시 에어백(220)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 제1 가상선(L1)은 평면 도형에 있어서의 중심인 도심(C1)을 통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2 가상선(L2)은 도심(C1)에 있어서 제1 가상선(L1)과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가상선(L1) 및 제2 가상선(L2)에 의해, 제1 영역(R1), 제2 영역(R2), 제3 영역(R3) 및 제4 영역(R4)이 구획된다.
네 개의 영역 중 제1 가상선(L1)의 승차인(P)과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L2)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은 제3 영역(R3)이다. 이 제3 영역(R3)은 상술한 장력포(도 1 내지 도 5 참조)가 통과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것에 의해, 팽창 전개시 상방으로부터 평면으로 보았을 때(平面視)의 형상이 타원 형상이 아닌 에어백(220)을 구비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팽창 전개시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서의 형상이 타원형이 아니고, 나아가 측면도에서의 형상이 상하 대칭이 아닌 에어백(220)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측면도에 있어서의 도심에 대해서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220)의 측면도에서의 형상이 상하 비대칭인 경우, 먼저 측면도에서의 평면 도형의 중심인 도심(C2)을 결정한다.
이어서 도심(C2)에 있어서 직교하는 제1 가상선(L1) 및 제3 가상선(L3) 중 제1 가상선(L1)의 위치에서의 수평 단면을 평면 도형으로 하여 그 도심을 산출한다. 이것에 의해 에어백(220)의 측면도에서의 형상을 반영하여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서의 도심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220)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의 도심을 더욱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형태)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600)를 예시하는 도이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도 7에서는 에어백(120a, 120b)의 팽창 전개 후의 좌석(110)을 상방으로부터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아래의 실시형태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아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에서는 부재의 이동 전 위치를 실선으로 예시하고, 부재의 이동 후의 위치를 파선으로 예시한다.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600)는 상술한 에어백(120a), 에어백(120b) 및 장력포(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장력포(130a)는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를 가지고, 우측 장력포(130b)도 제1 장력포(132b) 및 제2 장력포(134b)를 가진다.
상기 장력포 중 좌측 장력포(130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후술하는 샤프트(612)의 내측 위치에서 시트백부(1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 모두 두 개씩 장력포를 가지는데,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 각각의 장력포 개수는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600)는 에어백(120a, 120b) 및 장력포(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에 더하여 에어백(120a)(하나의 에어백)을 승차인(P)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610)를 더 구비한다. 가압 기구(610)는 샤프트(612) 및 테더(614)를 가진다.
샤프트(612)는 시트백부(112)에 있어서 하나의 에어백 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에어백(120a))의 승차인(P)의 어깨부(P1)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시트백부(112)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테더(614)는 하나의 에어백 반대측의 에어백(우측의 에어백(120b))과 샤프트(612)에 접속된다. 이들 부재는 에어백(120a, 120b)이 팽창 전개하기 전에는 시트백부(112)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와 동일하게 제3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600)에 있어서도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120a, 120b)이 팽창 전개하면 장력포(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는 좌석(110)의 표피가 개열함으로써 좌석(110)의 외부로 전개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는 시트백부(112)의 상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승차인(P)의 어깨부(P1)보다 내측 근방부터 시트 쿠션부(114)(도 1 참조)까지 건너지른다.
이때, 테더(614)는 좌석(110)의 표피가 개열함으로써 좌석(110)의 외부로 전개한다. 그리고 샤프트(612)는 반대측의 에어백인 에어백(120b)에 의해 테더(614)(이점쇄선으로 도시)가 견인됨으로써 시트백부(112)를 승차인(P)의 타방의 어깨부에 상당하는 위치, 다시 말해 파선 원으로 예시하는 위치까지 화살표(1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 중 좌측 장력포(130a)가 샤프트(612)에 의해 이점쇄선으로 예시하는 것처럼 끌린 상태가 되고, 에어백(120a)이 승차인(P)을 향해 가압된다. 또한 샤프트(612)는 이동 후에 로크(lock)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승차인 구속 장치에 있어서 장력포의 장력이 변화하기 어려워지고, 구속에 있어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에어백(120a, 120b)의 팽창 전개시에 가압 기구(610)에 의해 하나의 에어백인 좌측 에어백(120a)이 승차인을 향해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에 의한 에어백(120a, 120b)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에어백(120a, 120b)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의 더욱 높은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에어백(120a)에 대하여 가압 기구(610)를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 기구(610)는 우측의 에어백(120b)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의 양방에 대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제4 실시형태)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700)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8에서는 에어백(120a, 120b)의 팽창 전개 후의 좌석(110)을 상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8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700)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 각각에 대하여, 슬라이드 링(712) 및 테더(614)를 가지는 가압 기구(710)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링(712)은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장력포가 삽입 통과된다. 슬라이드 링(712)은 시트백부(112)에 있어서 하나의 에어백 측의 승차인(P)의 어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좌측 슬라이드 링(712)에는 좌측 장력포(130a)가 삽입 통과되고, 우측 슬라이드 링(712)에는 우측 장력포(130b)가 삽입 통과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링(712)은 장력포(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장력포는 슬라이드 링(712)에 삽입 통과된 후에 시트백부(112)에 고정된다.
테더(614)는 하나의 에어백 반대측의 에어백과 슬라이드 링(712)에 접속된다. 다시 말해, 좌측의 에어백(120a)에 대하여 설치된 가압 기구(710)에서는, 좌측 슬라이드 링(712)에 접속된 테더(614)는 우측 에어백(120b)에 접속된다. 한편, 우측 에어백(120b)에 대하여 설치된 가압 기구(710)에서는, 우측 슬라이드 링(712)에 접속된 테더(614)는 좌측 에어백에 접속된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에어백(120a, 120b)이 팽창 전개하면 장력포(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가 좌석(110)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부(112)와 시트 쿠션부(도 1 참조) 사이에서 건너지른다. 이때, 테더(614) 및 슬라이드 링(712)은 좌석(110)의 표피가 개열함으로써 좌석(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반대측의 에어백에 의해 테더(614)가 견인되어 슬라이드 링(712)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장력포가 시트백부(112)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슬라이드 링(712)이 멀어진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가 끌리여 하나의 에어백이 승차인(P)을 향해 가압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의 가압 기구(710)에서는 좌측의 슬라이드 링(712)에 접속되어 있는 테더(614)가 우측의 에어백(120b)에 의해 견인된다. 이것에 의해, 좌측의 슬라이드 링(712)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좌측 장력포(130a)가 잡아 당겨진다. 그러면 좌측 장력포(130a)에 의해 좌측의 에어백(120a)이 잡아 당겨지고, 좌측의 에어백(120a)이 승차인을 가압한다.
상기 설명한 제4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710)와 같이, 샤프트(612)로 전환하여 슬라이드 링(712)을 이용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하나의 에어백을 승차인(P)을 향해 가압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에어백(120a, 120b)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을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 및 가압 기구(710)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의 양방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의 양방에 있어서 상술한 가압 기구(710)에 의한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승차인 구속 성능의 더욱 높은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4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710)를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 중 어느 일방에 설치하는 구성도 당연히 가능하다.
나아가 제4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710)에서는, 테더(614)는 에어백(120a, 120b)의 승차인(P)과 접하는 측의 면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테더(614)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 각각에 가압 기구(710)를 설치하고, 에어백(120a, 120b)의 승차인(P)과 접하는 측의 면에 테더(614)를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교차하는 두 개의 테더(614)에 의해 승차인(P)의 상반신, 특히 어깨부를 둘러싸는 상태가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몸집이 큰 승차인(P)이면 테더(614) 및 장력포(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에 의한 에어백(120a, 120b)의 가압력이 높아진다. 한편, 몸집이 작은 승차인(P)이면 테더(614) 및 장력포(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에 의한 에어백(120a, 120b)의 가압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승차인(P)의 체격에 따른 가압력(구속력)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제5 실시형태)
도 9는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800)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9에 있어서도, 에어백(120a, 120b)의 팽창 전개 후의 좌석(110)을 상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800)는 슬라이드 링(712), 테더(614) 및 링 부재(812)를 가지는 가압 기구(810)를 구비한다.
제5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810)의 특징으로서 양방에 설치된 가압 기구(810)의 슬라이드 링(712)이 링 부재(8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810)에 있어서도, 에어백(120a, 120b)이 팽창 전개하면 장력포(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가 좌석(110)의 외부로 전개하고, 시트백부(112)와 시트 쿠션부(도 1 참조) 사이로 건너지른다.
그리고 테더(614) 및 링 부재(812)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슬라이드 링(712)은 좌석(110)의 표피가 개열함으로써, 좌석(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면 에어백(120a, 120b)에 의해 테더(614)가 견인되어 슬라이드 링(712)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장력포(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가 시트백부(112)에 고정되는 위치로부터 슬라이드 링(712)이 멀어진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가 끌려 에어백(120a, 120b)이 승차인(P)을 향해 가압된다. 이때, 두 개의 슬라이드 링(712)이 링 부재(812)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 각각에 대하여 설치된 가압 기구(810)를 연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 실시형태)
도 10은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900)를 예시하는 도로서, 좌석(110)을 상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제6 실시형태 이후는 상기 설명한 에어백(120a, 120b) 중 좌측의 에어백(120a)의 동작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단, 이것은 좌측의 에어백(120a)에만 후술하는 가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며, 가압 기구는 한쪽 에어백(120b)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에어백(120a, 120b) 양방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0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900)에서는 에어백(120a)을 승차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910)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 기구(910)는 리트렉터(9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트렉터(912)는 시트백부(112)의 내부에 매설되고,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의 일단부(135a)가 접속되어 있다.
도 10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120a)의 팽창 전개 초기에는 에어백(120a)은 승차인(P)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로 전개한다. 전개와 동시나 직후에, 순식간에 리트랙터(912)가 동작하고,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가 리트랙터(912)에 의해 권취된다. 이것에 의해, 리트랙터(912)에 의해 권취된 분량만큼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의 길이가 짧아진다. 그 결과,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120a)이 승차인을 향해 가압되고, 승차인(P)이 에어백(120a)에 의해 확실하게 구속된다.
제6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910)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와 동일한 에어백(120a)을 승차인(P)에 대하여 가압하는 효과가 얻어지고, 에어백(120a)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6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910)에서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을 협동시키는 것이 아니고 일방의 에어백(120a)만으로 그 에어백(120a)을 승차인(P)에 대하여 가압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0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의 일단부(135a)는 승차인(P)의 어깨부(P1)보다도 내측의 위치에서 시트백부(112) 내부로 끌어넣어, 시트백부(112) 내의 리트랙터(912)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리트랙터(912)는 시트 밸트를 권취하기 위해 이용되는 시트 밸트 리트랙터와 동일한 기구를 가지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서술은 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에 의해 에어백(120a)을 승차인(P)에 대하여 가압하는 힘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도 10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 중 제1 장력포(132a)는 중간부(135b)에서 팽창 전개시 에어백(120a)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서의 전후 길이(F)의 중앙(F1)보다도 전방에서 에어백(120a)에 접속되고, 그것을 경유하여 시트 쿠션부(114)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장력포(132a)는 에어백(120a) 상의 제1 가상선(L1)의 승차인(P)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L2)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R3)을 통과한다.
제2 장력포(134a)는 중간부(135c)에서 제1 장력포(132a)의 중간부(135b)보다도 후방에 있어서 에어백(120a)에 접속되고, 그것을 경유하여 시트 쿠션부(114)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120a)의 전방부 및 후방부 각각에 제1 장력포(132a)의 중간부(135b) 및 제2 장력포(134a)의 중간부(135c)가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팽창 전개시의 에어백(120a)을 전후 방향에서 밸런스 좋게 받을 수 있고, 상술한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를 에어백(120a)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 가능하면 중간부(135b, 135c)는 에어백(120a)과 반드시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도 10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910)는 리트랙터(912)부터 에어백(120a)까지 사이에서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가 합쳐진, 다시 말해 일체적인 장력포를 지지하는 핀(914)(방향 변경부)을 구비한다. 그리고 에어백(120a)의 팽창 전개시에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가 핀(914)에 있어서 리트랙터(912)에 권취된다. 이것에 의해, 장력포가 두 개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두 개의 장력포(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를 얽히는 일 없이 동시에 리트랙터에 의해 권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는 핀(914)에서 합류하여 리트랙터(912)로 권취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좌석(110)(시트)에 대하여 한쪽 에어백과 장력포를 나타내고 있는데, 좌석(110)의(정규 착석 승차인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 동일한 장치를 배치해도 된다.
(제7 실시형태)
도 11은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1000)를 예시하는 도이며, 좌석(110)을 상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1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7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0)에서는 에어백(120a)을 승차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1010)가 설치되어 있다. 장력포는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상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가압 기구(1010)는 샤프트(1012) 및 프리텐셔너 기구(10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프트(1012)는 시트백부(112)의 좌측의 단부부터 중앙까지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프리텐셔너 기구(1014)는 에어백(120a)의 팽창 전개시에 샤프트(1012)를 좌우 방향의 중앙에 가깝게 견인한다.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는 시트백부의 좌측으로부터 샤프트를 경유하여 에어백(120a)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이 프리텐셔너 기구(1014)는 시트 벨트의 버클을 끌어넣기 위해 이용되는 버클 프리텐셔너와 동일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서술은 하지 않는다.
도 11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120a)의 팽창 전개 초기에는 에어백(120a)은 승차인(P)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로 전개한다. 전개와 동시나 그 직후에, 순식간에 프리텐셔너 기구(1014)가 작동하고, 프리텐셔너 기구(1014)가 샤프트(1012)(방향 변경부)를 견인한다. 이것에 의해, 샤프트(1012)가 시트백부(112)의 중앙에 견인되고,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가 시트백부(112)의 중앙을 향하여 잡아당겨진다. 그 결과,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에 의해 에어백(120a)이 승차인측으로 가압되고, 승차인(P)이 에어백(120a)에 의해 확실하게 구속된다.
제7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1010)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와 동일하게 에어백(120a)을 승차인(P)에 대하여 가압하는 효과가 얻어지고, 에어백(120a)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7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1010)에 의하면 제6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910)와 동일하게 일방의 에어백(120a)만으로 그 에어백(120a)을 승차인(P)에 대하여 가압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7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1012)가 시트백부(112)의 좌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시했다. 이것은 에어백(120a)이 승차인(P)의 좌측에 설치되기 때문이며, 승차인(P)의 우측에 설치되는 에어백(120b)(도 1 참조)의 경우에는 샤프트(1012)를 우측 단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승차인(P)의 우측에 설치되는 에어백(120b)의 경우에는 장력포(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는 시트백부(112)의 우측으로부터 샤프트(1012)를 경유하여 에어백(120b)에 도달하는 구성으로 한다.
(제8 실시형태)
도 12는 제8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1100)를 예시하는 도이며, 좌석(110)을 상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8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100)에서는 에어백(120a)을 승차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1110)가 설치되어 있다. 장력포는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상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가압 기구(1110)는 샤프트(1112)(제1 방향 변경부), 핀(1114)(제2 방향 변경부) 및 푸시 기구(1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프트(1112)는 시트백부(112)의 좌측의 단부부터 중앙까지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핀(1114)은 시트백부(112)의 좌우 방향의 중앙 샤프트(1112)보다 전방측에 배치된다.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는 시트백부(112)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샤프트(1112) 및 핀(1114)을 경유하여 에어백(120a)에 도달하고 있다. 이 푸시 기구(1116)는 시트 벨트의 앵커 부분 등을 가스 발생기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긴급 이동시키는 기구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서술은 하지 않는다.
도 1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120a)의 팽창 전개 초기에는 에어백(120a)은 승차인(P)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로 전개한다. 전개와 동시나 그 직후에, 순식간에 푸시 기구(1116)가 작동하고, 푸시 기구(1116)에 의해 샤프트(1112)가 시트백부(112)의 좌측 단부를 향하여 밀려나온다. 이것에 의해, 시트백부(112)에의 접속 장소인 일단부(135a)와 핀(1114) 사이에서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가 샤프트(1112)에 의해 끌려간다. 그 결과,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에 의해 에어백(120a)이 승차인 측으로 가압되고, 승차인(P)이 에어백(120a)에 의해 확실하게 구속된다.
제8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1110)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와 동일하게 에어백(120a)을 승차인(P)에 대하여 가압하는 효과가 얻어지고, 에어백(120a)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8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1110)에 의하면 제6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910) 및 제7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1010)와 동일하게 일방의 에어백(120a)만으로 그 에어백(120a)을 승차인(P)에 대하여 가압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8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1112)는 시트백부(112)의 좌측 단부부터 중앙까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푸시 기구(1116)는 샤프트(1112)를 시트백부(112)의 좌측 단부를 향하여 밀어내는 구성을 예시한다. 이것은 에어백(120a)이 승차인(P)의 좌측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승차인(P)의 우측에 설치되는 에어백(120b)(도 1 참조)의 경우에는, 샤프트(1112)는 시트백부(112)의 우측 단부부터 중앙까지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푸시 기구(1116)는 샤프트(1112)를 시트백부(112)의 우측 단부를 향하여 밀어내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제6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910), 제7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1010) 및 제8 실시형태의 가압 기구(1110)에서는 에어백(120a)에 대하여 제1 장력포(132a) 및 제2 장력포(134a) 두 개의 장력포를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했는데,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장력포는 하나의 에어백에 대하여 한 개 설치되면 되고, 세 개 이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장력포의 바리에이션(variation))
도 13 및 도 14는 장력포의 바리에이션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13(a) 및 도 14(a)는 에어백(120a)을 상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고, 도 13(b) 및 도 14(b)는 에어백(120a)을 승차인(P) 반대측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3 및 도 14에서는 시트백부(112) 및 시트 쿠션부(114)를 파선에 의해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a), 및 (b)의 예에서는 에어백(120a)에 대하여 제1 장력포(1202), 제2 장력포(1204) 및 제3 장력포(120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장력포는 에어백(120a)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도 1 참조)의 외부로 전개한다. 제1 장력포(1202), 제2 장력포(1204) 및 제3 장력포(1206) 중 일부분이 에어백(120a)의 제1 가상선(L1)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L2)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R3)을 통과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제1 장력포(1202)는 시트백부(112)의 상면부터, 에어백(120a)의 제1 가상선(L1)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L2)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R3)까지 건너지른다. 제2 장력포(1204)는 제1 장력포(1202)의 에어백(120a) 상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면서 시트 쿠션부(114)까지 건너지른다. 제3 장력포(1206)는 제1 장력포(1202)의 에어백(120a) 상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지면서 시트 쿠션부(114)까지 건너지른다.
도 13(a) 및 (b)의 예에 의하면 에어백(120a)의 상부는 제1 장력포(1202)에 의해 지지된다. 에어백(120a)의 하부는 전방측이 제2 장력포(1204)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측이 제3 장력포(1206)에 의해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팽창 전개시의 에어백(120b)을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서 밸런스 좋게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4(a) 및(b)의 예에서는 에어백(120a)에 대하여 제1 장력포(1212) 및 제2 장력포(12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장력포는 에어백(120a)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도 1 참조)의 외부로 전개한다. 제1 장력포(1212), 제2 장력포(1214) 중 적어도 일부분이 에어백(120a)의 제1 가상선(L1)의 승차인(P)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L2)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R3)을 통과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는, 제1 장력포(1212)는 시트백부(112)의 상면부터, 에어백(120a)의 제1 가상선(L1)의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제2 가상선(L2)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R3)까지 건너지른다. 제2 장력포(1214)는 제1 장력포(1212)의 에어백(120a) 상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면 형상의 부재로서, 시트 쿠션부(114)까지 건너지른다. 이와 같이 제2 장력포가 면 형상의 부재임으로써 장력포가 더욱 넓은 면적으로 팽창 전개시의 에어백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예로서, 이것 이외의 실시형태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 가능하다. 특별히 본안 명세서 중에 한정되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기재한 상세한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에 제약받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안 명세서 중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별히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L1 … 제1 가상선,
F … 전후 길이,
F1 … 중앙,
R1 … 제1 영역,
L2 … 제2 가상선,
R2 … 제2 영역,
R3 … 제3 영역,
R4 … 제4 영역,
100 … 승차인 구속 장치,
100a … 승차인 구속 장치,
110 … 좌석,
112 … 시트백부,
114 … 시트 쿠션부,
116 … 헤드레스트,
118 … 커버,
120a … 에어백,
120b … 에어백,
130a … 좌측 장력포,
130b … 우측 장력포,
132a … 제1 장력포,
132b … 제1 장력포,
134a … 제2 장력포,
134b … 제2 장력포,
135a … 일단부,
135b … 중간부,
135c … 중간부,
200 … 승차인 구속 장치,
230a … 좌측 장력포,
230b … 우측 장력포,
232a … 제3 장력포,
232b … 제3 장력포,
332 … 장력포,
334 … 장력포,
336 … 장력포,
338 … 장력포,
430a … 좌측 장력포,
530a … 좌측 장력포,
600 … 승차인 구속 장치,
610 … 가압 기구,
612 … 샤프트,
614 … 테더,
700 … 승차인 구속 장치,
710 … 가압 기구,
712 … 슬라이드 링,
800 … 승차인 구속 장치,
810 … 가압 기구,
812 … 링 부재,
900 … 승차인 구속 장치,
910 … 가압 기구,
912 … 리트렉터,
914 … 핀,
1000 … 승차인 구속 장치,
1010 … 가압 기구,
1012 … 샤프트,
1014 … 프리텐셔너 기구,
1100 … 승차인 구속 장치,
1110 … 가압 기구,
1112 … 샤프트,
1114 … 핀,
1116 … 푸시 기구,
1202 … 제1 장력포,
1204 … 제2 장력포,
1206 … 제3 장력포,
1212 … 제1 장력포,
1214 … 제2 장력포,
C … 중심,
P … 승차인,
P1 … 어깨부

Claims (21)

  1.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좌석의 시트백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어 있고 상기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의 상기 승차인 반대측의 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좌석의 시트백부에서 시트 쿠션부에 걸쳐 수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장력포와,
    상기 시트백부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에어백을 상기 승차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장력포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상기 시트백부의 상면부터 상기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며,
    상기 팽창 전개시 에어백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 상에서 에어백 폭의 가장 긴 부분에 있어서의 중심을 지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상선과, 상기 제1 가상선과 직교하고 에어백 전후 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가상선의 중심을 지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상선에 의해 구획되는 네 개의 영역 중 적어도 상기 제1 가상선의 상기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상기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을 상기 장력포가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 기구에 의해 상기 장력포가 상기 승차인 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2.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좌석의 시트백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어 있고 상기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의 상기 승차인 반대측의 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좌석의 시트백부부터 시트 쿠션부에 걸쳐 수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장력포와,
    상기 시트백부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에어백을 상기 승차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장력포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상기 시트백의 상면부터 상기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고,
    상기 팽창 전개시 에어백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 평면 도형에 있어서의 중심인 도심을 지나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상선과, 상기 제1 가상선과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상선에 의해 구획되는 네 개의 영역 중 적어도 상기 제1 가상선의 상기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상기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을 상기 장력포가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 기구에 의해 상기 장력포가 상기 승차인 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포의 상기 시트백부 상면의 설치 장소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승차인의 어깨부보다 내측 근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포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좌석의 표피가 개열함으로써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석의 측방에 설치된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포는 상기 시트백부에서 상기 시트 쿠션부를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포를 여러 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전개시 에어백 상방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의 상기 장력포는 상기 제1 가상선의 상기 승차인 반대측에서 상기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윤곽선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백은 상기 좌석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좌우로 팽창 전개하는 한 쌍의 에어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에어백 중 하나의 에어백을 상기 승차인 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시트백부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에어백 측의 승차인 어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백부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샤프트와,
    상기 하나의 에어백 반대측의 에어백과 상기 샤프트에 접속되는 테더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포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샤프트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시트백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장력포는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상기 시트백부의 상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승차인 어깨부보다 내측 근방에서 상기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고,
    상기 한 쌍의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테더가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될 때, 상기 반대측의 에어백에 의해 상기 테더가 견인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시트백부를 상기 승차인의 타방 어깨에 상당하는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상기 장력포가 상기 샤프트에 끌려 상기 하나의 에어백이 상기 승차인을 향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에어백 중 하나의 에어백을 상기 승차인 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시트백부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에어백 측의 승차인의 어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장력포가 삽입 관통되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고리 형상의 슬라이드 링과,
    상기 하나의 에어백 반대측의 에어백과 상기 슬라이드 링에 접속되는 테더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포는 상기 슬라이드 링에 삽입 관통된 후에 상기 시트백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장력포는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상기 시트백부의 상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승차인 어깨부보다 내측 근방부터 상기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고,
    상기 한 쌍의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테더 및 상기 슬라이드 링이 상기 좌석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반대측 에어백에 의해 상기 테더가 견인되어 상기 슬라이드 링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장력포가 상기 시트백부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링이 멀어짐으로써, 상기 장력포가 끌리여 상기 하나의 에어백이 상기 승차인을 향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포 및 상기 가압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에어백의 양방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포 및 상기 가압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에어백의 양방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방에 설치된 가압 기구의 상기 슬라이드 링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포는 상기 팽창 전개시 에어백 상부에서 본 평면도에서의 전후 길이의 중앙보다도 전방인 상기 장력포의 중앙부에서 에어백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기구는 상기 장력포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상기 장력포를 권취하는 리트랙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장력포가 상기 리트랙터에 의해 권취됨으로써, 상기 에어백이 상기 승차인 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포는 제1 장력포 및 제2 장력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력포는 시트백의 상부로부터 에어백 상의 적어도 상기 제1 가상선의 상기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상기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을 통과하고,
    상기 제2 장력포는 상기 제1 장력포보다도 후방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상을 통과하여 시트 쿠션과 접속되며,
    상기 가압 기구는 상기 리트랙터부터 상기 에어백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장력포 및 상기 제2 장력포를 끌어넣는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 변경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기구는 상기 시트백부의 좌우 방향 중 어느 단부부터 중앙까지 사이를 이동 가능한 방향 변경부와,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방향 변경부를 상기 좌우 방향의 중앙에 가깝게 견인하는 프리텐셔너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포는 상기 시트백부의 좌우 방향 중 어느 단부에서 상기 방향 변경부를 경유하여 상기 에어백에 도달하고 있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가 상기 방향 변경부를 견인함으로써, 상기 장력포에 의해 상기 에어백이 상기 승차인 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구는 상기 시트백부의 중앙부 근방부터 좌우 방향 중 어느 단부까지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1 방향 변경부와,
    상기 시트백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의 상기 제1 방향 변경부보다 전방측에 배치된 제2 방향 변경부와,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제1 방향 변경부를 상기 시트백부의 좌우 중 어느 단부를 향하여 밀어내는 푸시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포는 상기 시트백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제1 방향 변경부 및 상기 제2 방향 변경부를 경유하여 상기 에어백에 도달하고 있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푸시 기구가 상기 제1 방향 변경부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장력포에 의해 상기 에어백이 상기 승차인 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포 및 상기 제2 장력포는 상기 리트랙터부터 상기 에어백까지의 사이에서 합류하도록 설치되는 승차인 구속 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포는 제1 장력포, 제2 장력포 및 제3 장력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력포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상기 시트백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에어백의 상기 제1 가상선의 상기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상기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까지 건너지르고,
    상기 제2 장력포는 상기 제1 장력포의 에어백 상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기울면서 상기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고,
    상기 제3 장력포는 상기 제1 장력포의 에어백 상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지면서 상기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포는 제1 장력포 및 제2 장력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력포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상기 좌석의 외부로 전개하고, 상기 시트백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에어백의 상기 제1 가상선의 상기 승차인 반대측이면서 상기 제2 가상선의 차량 전방측의 영역까지 건너지르고,
    상기 제2 장력포는 상기 제1 장력포의 에어백 상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면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시트 쿠션부까지 건너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KR1020207017081A 2017-11-30 2018-11-28 승차인 구속 장치 KR102438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9934 2017-11-30
JPJP-P-2017-229934 2017-11-30
JP2018045485 2018-03-13
JPJP-P-2018-045485 2018-03-13
JPPCT/JP2018/040867 2018-11-02
PCT/JP2018/040867 WO2019107073A1 (ja) 2017-11-30 2018-11-02 乗員拘束装置
PCT/JP2018/043743 WO2019107398A1 (ja) 2017-11-30 2018-11-28 乗員拘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346A KR20200086346A (ko) 2020-07-16
KR102438873B1 true KR102438873B1 (ko) 2022-09-01

Family

ID=6666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081A KR102438873B1 (ko) 2017-11-30 2018-11-28 승차인 구속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8887B2 (ko)
EP (1) EP3718833B1 (ko)
JP (1) JP6839775B2 (ko)
KR (1) KR102438873B1 (ko)
CN (1) CN111448106B (ko)
WO (1) WO2019107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8338A1 (de) * 2017-10-13 2019-04-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irbag-anordnung für einen fahrzeugsitz eines kraftfahrzeugs
WO2019168887A1 (en) * 2018-03-01 2019-09-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US11433843B2 (en) * 2018-10-16 2022-09-06 Autoliv Development Ab Occupant restraining device
JP7165095B2 (ja) 2019-03-29 2022-11-02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JP7283943B2 (ja) * 2019-03-29 2023-05-30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JP7217811B2 (ja) * 2019-08-07 2023-02-0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KR102403511B1 (ko) * 2019-08-09 2022-05-3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장치
KR20210059986A (ko) * 2019-11-18 2021-05-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시스템
KR20210158720A (ko) * 2020-06-24 2021-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에어백장치
US11590920B2 (en) * 2020-09-23 2023-02-28 Autoliv Asp, Inc. Seat-centric airbag system with pelvis restraint chamber
DE102020125263A1 (de) * 2020-09-28 2022-03-31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mit einer Airbagvorrichtung
US11220234B1 (en) 2020-10-14 2022-01-11 Autoliv Asp,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t including adaptive venting
US11247633B1 (en) 2020-10-26 2022-02-15 Autoliv Asp,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t including an inflatable tensioning member for an airbag
US11590922B2 (en) 2020-11-11 2023-02-28 Autoliv Asp,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t including external tethering
US20220388472A1 (en) * 2021-06-03 2022-12-08 Hyundai Mobis Co., Ltd. Seat airbag for vehicle
CN216184982U (zh) * 2021-10-29 2022-04-05 奥托立夫开发公司 前排中央安全气囊模块和车辆
FR3131258A1 (fr) * 2021-12-23 2023-06-30 Renault S.A.S siège de véhicule doté d’un système de protection enveloppant
DE102022106750A1 (de) * 2022-03-23 2023-09-28 Autoliv Development Ab Fangbandmechanismus für ein Airbagmodul
US11904795B2 (en) * 2022-06-21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assembly with deployable belt member
DE102022124259A1 (de) * 2022-09-21 2024-03-21 Audi Aktiengesellschaft Fangbandmechanismus für ein Airbagmodu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9182A (ja) * 2007-07-24 2009-02-12 Mazda Motor Corp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2014051138A (ja) * 2012-09-05 2014-03-20 Toyota Motor Corp 車両用安全装置
JP5793203B2 (ja) * 2012-01-17 2015-10-1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6862A (en) * 1995-09-07 1997-06-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with tether
US6029993A (en) * 1997-10-06 2000-02-29 Inova Gmbh Technische Entwicklungen Side airbag device,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and vehicle seat therewith
JP2010083384A (ja) * 2008-10-01 2010-04-15 Toyota Motor Corp 乗員拘束装置
WO2013099888A1 (ja) * 2011-12-28 2013-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664585B2 (ja) * 2012-04-02 2015-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796552B2 (ja) * 2012-07-04 2015-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781985B2 (ja) * 2012-07-05 2015-09-2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594327B2 (ja) * 2012-07-10 2014-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776648B2 (ja) 2012-08-10 2015-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5952680B2 (ja) * 2012-08-24 2016-07-1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KR20140034356A (ko) 2012-09-10 2014-03-20 김진한 살균 가습 기능을 갖는 가습기
CN106687339B (zh) * 2014-09-08 2019-02-01 奥托立夫开发公司 驾乘人员约束装置
KR101781387B1 (ko) * 2016-04-15 2017-09-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DE102017218338A1 (de) * 2017-10-13 2019-04-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irbag-anordnung für einen fahrzeugsitz eines kraftfahrzeugs
EP3718834B1 (en) * 2017-11-30 2022-04-13 Autoliv Development AB Passenger restraint device
JP6762328B2 (ja) * 2018-02-14 2020-09-3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9182A (ja) * 2007-07-24 2009-02-12 Mazda Motor Corp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5793203B2 (ja) * 2012-01-17 2015-10-1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2014051138A (ja) * 2012-09-05 2014-03-20 Toyota Motor Corp 車両用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8833B1 (en) 2023-07-19
EP3718833A1 (en) 2020-10-07
CN111448106B (zh) 2023-09-22
JP6839775B2 (ja) 2021-03-10
KR20200086346A (ko) 2020-07-16
CN111448106A (zh) 2020-07-24
US11938887B2 (en) 2024-03-26
JPWO2019107398A1 (ja) 2020-10-22
US20200406855A1 (en) 2020-12-31
EP3718833A4 (en) 2021-03-31
WO2019107073A1 (ja)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873B1 (ko) 승차인 구속 장치
KR102405507B1 (ko) 승차인 구속 장치
US11021129B2 (en) Occupant restraint device
CN114340945B (zh) 安全气囊装置及车辆座椅
CN111094077B (zh) 用于机动车的车辆座椅的安全气囊组件
WO2019107398A1 (ja) 乗員拘束装置
JP5999061B2 (ja) 座席搭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CN112424032B (zh) 乘员约束装置
KR102661047B1 (ko) 에어백 장치
JP6233269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KR102638238B1 (ko) 승차인 구속 장치
EP3666601B1 (en) An airbag
CN111762122A (zh) 乘员保护装置
JP2016107664A (ja) 車両用ルーフセンターエアバッグ装置
KR20220075368A (ko) 에어백 장치 및 차량용 시트
JP4687300B2 (ja) 乗員拘束装置
WO2020017282A1 (ja) 乗員拘束装置
US11590922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t including external tethering
JP6873961B2 (ja) 乗員拘束装置
DE102021127465A1 (de) Fahrzeugseitenairbagvorrichtung
KR102641418B1 (ko) 탑승자 보호 에어백 장치
US20230415695A1 (en) Safety restraint system for lower extremities in automated driving
JP2023010442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JP2017114456A (ja) センターエアバッグ装置
JP2016068763A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