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732A -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 - Google Patents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732A
KR20220042732A KR1020200125927A KR20200125927A KR20220042732A KR 20220042732 A KR20220042732 A KR 20220042732A KR 1020200125927 A KR1020200125927 A KR 1020200125927A KR 20200125927 A KR20200125927 A KR 20200125927A KR 20220042732 A KR20220042732 A KR 20220042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led radish
ssanghwa
tang
ssanghwatang
ra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휴선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김치타운
서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김치타운, 서정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김치타운
Priority to KR102020012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2732A/ko
Publication of KR20220042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에 관한 것으로서, 쌍화차 고유의 향과 성분을 포함하여 우리나라 전통의 쌍화탕이나 쌍화창의 맛과 향의 혼합물이 단무지에 첨가한 것으로서, 쌍화차 고유의 풍미 및 식감이 뛰어나고, 쌍화차와 단무지와의 영양과 효과가 있는 쌍화탕의 효능과 함께 단무지 반찬인 단무지 김치에 관한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Ssanghwatang}
본 발명은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에 관한 것으로서, 쌍화차 고유의 향과 성분을 포함하여 우리나라 전통의 쌍화탕이나 쌍화창의 맛과 향의 혼합물이 단무지에 첨가한 것으로서, 쌍화차 고유의 풍미 및 식감이 뛰어나고, 쌍화차와 단무지와의 영양과 효과가 있는 쌍화탕의 효능과 함께 단무지 반찬인 단무지 김치에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게 하는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쌍화탕 또는 쌍화차(ssanghwa tea, 雙和茶)는 여러 종류의 나무껍질이나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을 이용해 모두 함께 넣어서 끓인 차로, 쌍화차의 탕약에서 유래된 것으로 한방 약재가 포함된 차는 한방 쌍화차로 널리 알려지고 있다.
주요 재료로는 백작약, 천궁, 숙지황, 감초 등 여러 종류의 약용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을 함께 넣어 다려 마시는 차로 우리 몸의 혈과 기를 보호해 줌으로서, 신체의 면역력을 강화시키고, 신체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여러 장기를 튼튼하게 하며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선조님, 조상님으로부터 이어져 오고 있는 한약제 또는 한방차이다.
이러한 쌍화탕 또는 쌍화차의 또 다른 효과는 집중력저하, 가슴 두근거림, 시력저하, 생리불순 같은 증상을 예방하고 체력 향상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어서 쌍화탕 또는 쌍화차를 복용하고 있어 왔었다.
이렇게 쌍화탕 또는 쌍화차는 인체 부족한 기운을 보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조되어 약으로 또는 차로 이용되고 있는 한약성분을 내는 탕약으로서의 쌍화탕 또는 가볍게 쌍화차로써 음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체력을 증진시켜 주는 여러 가지 효능으로 손쉽게 음용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쌍화탕 또는 쌍화차의 일부 효능을 가지고 있는 음료수병 또는 차 음료 포장형태로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한방약 또는 한방차인 쌍화탕 또는 쌍화차(ssanghwa tea, 雙和茶)이다.
한편, 단무지는, 단무지는 소금에 절인 무를 쌀겨 등에 파묻어서 발효시킨 음식으로 일본식 김치의 한 종류인 “타쿠앙쓰케(澤庵漬)”를 한국식으로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사실 “타쿠앙”이란 말은 에도시대(江戶時代, 1600~1867년) 초기에 중이었던 사람의 이름에서 연유한다. 그가 이것을 만들었다고 하여 “타쿠앙쓰케”라 부른다. 그 맛이 달기 때문에 “단”이란 말이 처음에 나오고, 그 재료가 “무”이기 때문에 “단무”가 되었으며, 마지막의 “지”는 절인다는 뜻의 한자 “지(漬)”에서 나왔다. 한국산업규격(KS)에는 다음과 같이 건조 또는 소금에 절여 탈수한 무를 소금겨에 담가 절인 것 또는 감미료, 산미료, 향신료 등을 가한 조미액에 담근 것을 단무지로 정의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첨가물용어집].
한국의 재래식 단무지는 무를 그늘에 말려 쭈글쭈글하게 되면 여기에 물을 넣지 않고 쌀겨, 감미료, 천일염, 조미료를 넣어 수개월 숙성시켜 만들고 있다
이렇게 쌍화탕과 단무지는 서로 특성과 목적이 다른 식품이지만, 현대인들의 면역력 및 기운을 보호하면서 원기를 충족시키면서도 식사용 반찬인 단무지를 제공하여 식사 반찬으로서 영양 공급과 함께 중장년층 및 노인분에 건강한 쌍화탕의 한약 약재 기운을 식사 시간에 편리하고 맛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단무지 또는 다양한 영양성분을 보유한 반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코로나19에 노인층에 대한 면역력에 관심이 중요한 시대에 단순 단무지 반찬에서 원기와 기운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반찬이나 간식, 먹거리로 인체를 강건하게 도움을 주거나 면역력 증진시킬수 있는 식품은 계속해서 필요하고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에 관한 것으로서, 단무지에 쌍화탕 또는 쌍화차 고유의 맛과 향 그리고 효과가 흡수시키면서 단무지의 기능과 쌍화탕이나 쌍화차 효험과 기능을 동시에 다양한 효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단무지는 단체 급식 및 분식집에서 소비되는 만두제품, 라면, 짜장면 등과 잘 어울리는 부식 재료로 소비량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며, 짜장면이나 짬봉 등 배달식사의 밑반찬으로 소비되고 있는 반찬이다. 이처럼 서로 다른 상황에서 먹는 쌍화탕과 단무지를 하나의 반찬으로 만들어서 식사시간에 편리하게 언제 어디서나 먹을 수 있고, 쌍화차 맛과 향이 단무지와 조화를 이루어 풍미 및 식감이 새롭고 뛰어나며, 종래 단무지에 비하여 다양한 영양과 기력을 챙겨주는 쌍화탕의 기능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쌍화차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무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는,
(S1) 계피, 황기, 백작약, 숙지황, 진피, 대추, 감초, 당귀, 천궁, 생강 등 쌍화탕이나 쌍화탕 약재를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S2) 상기 (1)단계의 준비한 약재를 준비한 약탕에 넣고 물을 첨가한 후, 가열하여 쌍화차 농축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S3) 단무재 제조단계;
(S4) 단무지 탈수 단계;
(S5) 상기(2)의 쌍화차 농축 추출액을 탈수한 단무지에 넣어 만드는 쌍화차 단무지 재료 제조 단계;
본 발명은 이러한 특징으로 하는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 효과는 식사중에 단무지를 반찬으로 먹으면 쌍화탕 또는 쌍화차 고유의 맛과 향 그리고 쌍화탕의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단무지로 제조되는 형태이기에 휴대와 이동 그리고 보관이 편리하면서 쌍화탕이나 쌍화차 성분을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단무지와 함께 먹을 수 있고, 부드러운 맛이 나는 쌍화탕이나 쌍화차 추출물이 단무지와 조화를 이루어 풍미 및 식감이 새롭고 건강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 뛰어난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쌍화차의 성분을 포함한 단무지는 단무지 육질의 변화가 없고, 싱싱함을 그대로 유지시켜 아삭아삭한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면서 몸에 좋은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의 고급화가 가능하고, 면역력 증강, 원기회복 등국민 건강 반찬이나 식품으로 기여할 수 있다.
더욱이 사랑하는 아픈 환자에게 필요 하는 병마와 싸울 원기 획복, 피로회복의 특유한 생약 쌍화탕이나 쌍화차 효과와 함께 향미가 어우러져 단순한 단무지의 기피현상을 탈피시킴으로써 대중적인 건강식품으로 유도하여 환자 건강식, 노년층뿐만 아니라 청년층, 유년층 어린들의 영양 간식으로 간편하게 언제 어디서든지, 누구나 건강에 도움되는 쌍화탕이나 쌍화차의 성분을 섭취할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에 부응하고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쌍화탕이나 쌍화차 성분의 함유된 기능성 단무지로 쉽게 식사시간에 섭취하게 되어 환자나 노약자의 체력 증진에 기여하여 국민의 피로회복을 돕고 기운을 차리게 하여 국민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를 제조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거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이므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면의 내용과도 다르게 또는 변형 이용 또는 응용, 활용할 수 있기에 이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안들은 본 발명자의 발명활동을 보호하고 특허청구하고자 하는 특허 등록 청구에 우선하여 행정업무 처리가 되어야 하는 목적인 바, 본 발명이 특허 등록되는 의도와 의미로 해석되고 이해되어 본 발명가의 발명을 보호하여 오로지, 본 특허 출원이 특허 등록 되도록 기여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를 제조하는 순서를 보인도이다.
먼저, 쌍화탕 또는 쌍화차의 효능, 효과를 낼 수 있는 쌍화탕재료를 준비한다. 순서를 설명하면,
(S1) 계피, 황기, 백작약, 숙지황, 진피, 대추, 감초, 당귀, 천궁, 생강 등 쌍화탕이나 쌍화차 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S2) 상기 (1)단계의 준비한 약재를 준비한 약탕에 넣고 물을 첨가한 후, 가열하여 쌍화차 농축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S3) 절임무를 제조하는 절임무 제조 단계;
(S4) 절임무를 탈수하는 단계;
(S5) 상기(2)의 쌍화차 농축 추출액을 상기 (S4)의 탈수한 절임무와 섞이도록 혼합하여 단무지로 만드는 쌍화차 단무지 재료 제조 단계;로
쌍화탕이나 쌍화차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를 완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이러한 순서나 제조방법으로 하는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면서, 이를 이용한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 제조방법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 실시예를 설명하면,
(S1)단계의 쌍화탕 또는 쌍화차 약재 재료 준비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약재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숙지황 27~33 중량%, 계피 4.5~5.5 중량%, 황기 3.6~4.4 중량%, 백작약 4.5~5.5 중량%, 진피 7~10 중량%, 대추 4.5~5.5 중량%, 감초 3.2~3.8 중량%, 갈근 7~10중량%, 당귀 5.5~6.5 중량%, 천궁 3.6~4.4 중량%, 형개 10~14 중량% 및 차전자 7~10 중량%를 혼합하여 준비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재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숙지황 30 중량%, 계피 5 중량%, 황기 4 중량%, 백작약 5 중량%, 진피 8 중량%, 대추 5 중량%, 감초 4 중량%, 갈근 9 중량%, 당귀 6 중량%, 천궁 4 중량%, 형개 12 중량% 및 차전자 8 중량%를 혼합하여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숙지황을 20 중량%로 하고 부족한 부분을 녹용 10 중량%로도 재료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재료나 재료의 함량 또는 중량을 재료별 가감하거나 응용하여 액상의 쌍화탕 또는 쌍화차 재료를 준비한다.
본 발명의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 그리고 이를 이용한 단무지의 제조방법에서, (S2)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S1)단계 약재 혼합물에 물을 3~30배(v/w) 첨가한 후, 압력솥에서 96~122℃에서 1~6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재 혼합물에 물을 13~18배(v/w) 첨가한 후, 압력솥이나 압력찜솥으로 100~12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일정시간 냉각시킨 후, 금속 여과망을 통과시켜 쌍화탕 또는 쌍화차 추출액을 생산 또는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쌍화탕 또는 쌍화차 추출액은 짧은 시간에 쌍화 약재들의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면서 풍미와 효능도 우수한 쌍화차 추출액을 생산 또는 제조할 수 있었다.
여기서 물의 배율을 줄일수록 쌍화탕 또는 쌍화차의 추출액 용량은 줄어들고 농도는 짙어지나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로 20배 내외가 적당하나 가감하고 재료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쌍화차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무지 및 이를 이용한 단무지의 제조방법에서, (S3)단계는 절임무 제조 단계로서, 시중 상품화되고, 식용되고 있는 단무지의 제조 방법이나 반찬 만드는 것으로 단무지 이용 또는 활용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 절임무 제조로는 본 발명에서는 단무지 재료인 무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생산된 무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구입 후 무를 선별하여 잔뿌리를 제거하고 세척한 다음 그늘진 보관창고에서 약 10일간 건조시켰다. 이때 그늘에서 건조하게 되면 무는 약간 쭈글쭈글한 형태를 갖게 되며 수분은 일부 증발되어서 나중에 단무지를 완성하게 하면, 조직의 밀도가 높아 식감이 좋아지며 오래 보관할수 있다. 건조과정은 5일에서 30일 날씨나 일기에 따라 기간을 가감할 수 있다.
이렇게 건조된 무 50kg을 소금에 절임하기 위해, 준비한 용기에 150 리터 물과 소금을 넣어 소금농도 1~5%정도 하고 건조된 무 50kg을 넣고 뚜껑을 닫은채 약 20~60일간 절임 하였다. 이와같이 절임무를 완성 하였다.
본 발명의 쌍화차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무지 및 이를 이용한 단무지의 제조방법에서, (S4)단계는 상기 (S4)단계의 절임된 무를 용기로부터 꺼내어 소금물로부터 건지거나 탈수하는 탈수 단계로 절임된 무를 신속하게 얻기 위한 단무지 탈수 단계이다. 이때 절임무를 얇게 썰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에서, (S5)단계는 상기 (S2)의 쌍화차나 쌍화탕 추출액에 상기 (S4) 단계의 절임무 재료와 혼합하여 쌍화탕 단무지를 완성하는 쌍화탕 단무지 제조단계로 완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S4)단계의 단무지 10Kg 당, 상기 (S2)단계의 쌍화탕 추출액 20g~4,000g 정도로 가감하여 혼합하였다.
이렇게 본 발명의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를 제조 또는 완성할 수 있었다.
이때, 미각을 위하여 기호에 따라 설탕이나 식초 기타 얌념 간장을 5~20스푼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응용하여 양념을 추가 하여 제조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징으로 하는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를 제공한다.
이렇게 제조, 생산되는 단무지는 일정 중량 밀봉 포장하여 저장 또는 납품한다.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에 있어서,
단무지에 쌍화탕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절임한 단무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 또는 생산하는 순서는,
(1)계피, 황기, 백작약, 숙지황, 진피, 대추, 감초, 당귀, 천궁, 생강 등 쌍화탕이나 쌍화차 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1)단계의 준비한 약재를 준비한 약탕에 넣고 물을 첨가한 후, 가열하여 쌍화차 농축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절임무를 제조하는 절임무 제조 단계;
(4) 상기(3)의 절임무를 탈수하는 탈수 단계;
(5) 상기 (2)의 쌍화탕 추출액에 상기 (4)절임무와 혼합하여 쌍화탕 단무지를 제조하는 쌍화탕 단무지 제조 단계; 순서로
제조 또는 생산하는 특징의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이다.
이렇게 제조되는 본 발명의 완성품, 상품은 허약한 몸의 기운을 붇돋아주고 원기를 회복, 면역력에도 도움되는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먹거리인 단무지이다.
여기서 상기 (5)단계인 상기 (2)단계의 쌍화탕 추출액과 상기 (4)단계의 절임무와 혼합하여 쌍화탕 단무지를 제조하는 쌍화탕 단무지 제조 단계에서는,
쌍화탕 추출액의 온도에 따라 3가지 방법으로 분류되어 제조 될 수 있다.
쌍화탕 추출액이 저온상태일때, 중온 상태일때, 고온상태일때로 설명할 수 있다.
쌍화탕 추출액 온도가 15~30℃이면 저온 상태이고,
쌍화탕 추출액 온도가 31~60℃ 범위이면 중온 상태이고,
쌍화탕 추출액 온도가 60~100℃ 범위이면 고온 상태이다.
이러한 온도를 갖는 특성에 따라 쌍화탕 추출액과 혼합되는 절임무는 식감에 변화를 준다.
저온의 쌍화탕 추출액과 혼합되면 절임무는 무우의 고유한 식감을 유지하면서 쌍화탕이나 쌍화차 향기가 있다. 그리고
중온 및 고온의 쌍화탕 추출액과 혼합되면 절임무는 무우는 조직감을 잃어버리고 부드러워지게 되는데 고온의 쌍화차나 쌍화탕 추출물일 경우에 무가 익어가는 표현할 수 있으며 무 고유의 식감보다는 쌍화탕의 성분이 깊고 풍부하게 하며, 노인분들도 잇몸으로도 드실수 있는 연한 조직의 식감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중온 또는 고온의 쌍화탕 추출물과 절임무를 혼합하고 제조한 본 발명의 난후, 쌍화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무지는
15~40℃ 정로 식혀서 포장재로 포장하여 보관 또는 판매나 납품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공정 또는 상기 단계로 제조되어 쌍화탕 또는 쌍화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무지이다.
본 발명을 요약하면,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에 있어서,
단무지 제조 과정으로 제조되는 절임무에 쌍화탕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단무지이며,
제조 순서나 방법을 정리하면,
(1)계피, 황기, 백작약, 숙지황, 진피, 대추, 감초, 당귀, 천궁, 생강 등 쌍화탕이나 쌍화차 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1)단계의 준비한 약재를 준비한 약탕에 넣고 물을 첨가한 후, 가열하여 쌍화차 농축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단무지를 제조하는 단무지 제조 단계;
(4) 상기(3)의 단무지를 탈수하는 탈수 단계;
(5) 상기 (2)의 쌍화탕 추출액에 상기 (4)단무지와 혼합하여 쌍화탕 단무지를 제조하는 쌍화탕 단무지 제조 단계;로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를 완성하였다.
S1 : 쌍화탕 재료 준비 단계
S2 : 쌍화탕 추출액 제조 단계
S3 : 절임무 제조 단계
S4 : 절임무 탈수 단계
S5 : 쌍화탕 추출액과 단무지를 혼합하여 쌍화탕 단무지 제조 단계

Claims (2)

  1. 쌍화탕 성분을 포함하는 단무지에 있어서,
    단무지 제조 과정으로 제조되는 절임무에 쌍화탕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단무지.
  2.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에 있어서,
    (1)계피, 황기, 백작약, 숙지황, 진피, 대추, 감초, 당귀, 천궁, 생강 등 쌍화탕이나 쌍화차 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1)단계의 준비한 약재를 준비한 약탕에 넣고 물을 첨가한 후, 가열하여 쌍화차 농축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단무지를 제조하는 단무지 제조 단계;
    (4) 상기(3)의 단무지를 탈수하는 탈수 단계;
    (5) 상기 (2)의 쌍화탕 추출액에 상기 (4)단무지와 혼합하여 쌍화탕 단무지를 제조하는 쌍화탕 단무지 제조 단계;로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KR1020200125927A 2020-09-28 2020-09-28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 KR20220042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927A KR20220042732A (ko) 2020-09-28 2020-09-28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927A KR20220042732A (ko) 2020-09-28 2020-09-28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732A true KR20220042732A (ko) 2022-04-05

Family

ID=8118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927A KR20220042732A (ko) 2020-09-28 2020-09-28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27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84030B (zh) 一种大蒜糟制即食品的生产方法
KR100671771B1 (ko) 양념소스 및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CN104041799A (zh) 一种竹笋辣椒酱及其制备方法
KR102013228B1 (ko) 삼채 닭곰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닭곰탕
CN108813399A (zh) 一种鸭脖的制备工艺
CN108576548A (zh) 酱香鸭脖的制备工艺
CN105360439A (zh) 一种乌龙养颜茶饮料及其制作方法
KR101646013B1 (ko) 고로쇠 액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맛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맛간장 소스
KR101348311B1 (ko) 마늘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CN103549344B (zh) 一种苔干风味食品的制备方法
CN103478686A (zh) 一种营养保健豆酱及其制备方法
KR102183711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간장게장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간장게장
CN103549545B (zh) 红糟制板栗休闲食品的加工方法
KR100961494B1 (ko) 수액 동치미 및 그 제조방법
CN103549348B (zh) 一种糟制苔干风味食品的加工方法
CN105795450A (zh) 一种香葱辣酱及其制作方法
CN104381434A (zh) 一种醋溜莲藕片的制作方法
CN110495568A (zh) 一种酱牛肉的制备工艺
KR20220042732A (ko) 쌍화탕 성분을 함유하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쌍화탕 단무지
CN105639021A (zh) 一种山楂果脯的加工方法
KR100342841B1 (ko) 건강 백년초 적 단무지 제조방법
KR102016790B1 (ko) 수분 발생이 억제된 발효 홍어회 무침의 제조방법
CN104381900A (zh) 一种蜜汁莲藕的制作方法
CN104055141A (zh) 一种橄榄风味板鸭及其加工方法
KR102492196B1 (ko) 산양삼을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