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773A - 포장 백 - Google Patents

포장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773A
KR20210097773A KR1020217020792A KR20217020792A KR20210097773A KR 20210097773 A KR20210097773 A KR 20210097773A KR 1020217020792 A KR1020217020792 A KR 1020217020792A KR 20217020792 A KR20217020792 A KR 20217020792A KR 20210097773 A KR20210097773 A KR 20210097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r
packaging bag
stop
side edg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984B1 (ko
Inventor
히로유키 다키가와
Original Assignee
다키가와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가와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filed Critical 다키가와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Publication of KR2021009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의료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포장 백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2개의 백 벽(2) 및 적어도 2개의 측면 에지(3)를 갖고, 백 벽(2)은 그 가장자리(4)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결 이음매(5)를 통해 적어도 구간별로 서로 연결되고, 제1 측면 에지(3a)의 인열 개봉 시작 지점(7)으로부터 제2 측면 에지(3b)의 방향(R)으로 연장되는, 포장 백(1)의 조절된 인열 개봉을 위해 구성된, 정의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 벽(2)은 제2 측면 에지(3b) 상에서 제1 측면 에지(3a)를 향해 정렬된 전방 에지(9)를 포함하는 연결 이음매(5)를 통해 연결되고,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진행 방향(V)으로, 인열 전파를 중단시키도록 구성된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를 갖는 인열 중단 장치(10)가 제공되고,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진행 방향(V)으로,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가 연결 이음매(5)의 전방 에지(9)의 전방에 배치되고, 연결 이음매(5)의 전방 에지(9)는 제2 측면 에지(3b)의 전방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포장 백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포장 백(packaging bag) 및 청구항 제14항의 전제부에 따른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포장 백에 관한 것이다.
언급된 포장 백은 여기서 백 형태의 포장 수단의 구성의 모든 유형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플랫 백(flat bag), 스탠드-업 백(stand-up bag), 사이드 거싯 백(side gusseted bag) 등이며, 이들은 특히 사이드 밀봉 백(side sealed bag)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포장 백이라는 용어는 여기서 넓게 이해되어야 한다.
포장 백을 개방하거나 또는 인열 개봉(tear open)하기 위해, 오늘날 종종 포장을 따라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이 제공된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에 따른 인열 개봉 과정 동안, 충전 공간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있는 제품이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포장 백은 DE 10 2007 024 087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 백은 예를 들어 관리, 세척 또는 청소 제품의 고체, 분말 또는 과립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포장 백은 튜브형 백(tubular bag)으로서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정렬된 밀봉부에 의해 제한된 충전 공간을 포함한다. 포장 백을 개방하여 이에 따라 충전 공간으로부터 제품을 추출할 수 있기 위해, 일 밀봉부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밀봉부의 외부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이 여기서 제공된다. 포장 백의 개방 또는 인열 개봉 시, 유도된 인열이 이에 따라 일 가장자리로부터 이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가장자리로 연장된다.
공지된 포장 백은 일반적으로 양호한 인열 개봉 거동을 제공하지만,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을 따른 개방 과정 동안, 포장 백은 힘의 소모와 관계 없이 더 이상 서로 연결되지 않는 2개의 느슨한 부분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포장 상에 적용되거나 또는 부착된 품질 또는 마감 표시, 예를 들어 인지(stamp), 세금 밴더롤(tax banderole) 또는 예를 들어 약제 또는 의약품 칸나비스 조제품 및 칸나비노이드 조제품과 같은 의료 제품의 표기가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제품을 위한 이러한 유형의 포장 백의 사용에는 요구 사항이 제기된다. 이러한 유형의 품질 또는 마감 표시는 기본적으로 포장이 개방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절단되어야 한다. 그러나, 포장이 개방된 후에도 또한 품질 또는 마감 표시는 이러한 포장에 완전히 남아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인열 개봉 시 품질 또는 마감 표시가 확실하게 절단되고, 동시에 포장 백이 완전히 분할되는 위험이 감소되는 방식으로 공지된 포장 백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포장 백에서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제안된 해결 방안은, 인열 개봉 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이 간단한 방식으로 품질 또는 마감 표시를 절단할 수 있다는 점을 우선 고려한다. 다른 고려 사항은,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을 따라 유도된 인열의 중단이 포장 백의 분할을 방지하거나 또는 이를 더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다. 동시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가장자리까지는 연장되지 않는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에 의해, 포장 백을 단지 구간별로 개방하는 것이 유리해진다.
구체적으로, 백 벽은 제2 측면 에지 상에서 제1 측면 에지를 향해 정렬된 전방 에지를 포함하는 연결 이음매(seam)를 통해 연결되고,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의 진행 방향으로 인열 전파를 중단시키도록 구성된, 인열 중단 전방 에지를 갖는 인열 중단 장치가 제공되고,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의 진행 방향으로 인열 중단 전방 에지가 연결 이음매의 전방 에지의 전방에 배치되고, 연결 이음매의 전방 에지는 측면 에지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포장 백이라 함은, 포장 백이 완전히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백 벽이 적어도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또는 플라스틱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단층 또는 다층 백 벽일 수 있으며, 이들은 알루미늄 필름으로 이루어진 층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은 포장 백의 개방 과정 동안 인열 개봉 저항을 감소시키고, 주로 포장 백의 조절된 개방에 사용된다.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은 여기서 재료 약화부 또는 재료 구조체, 특히 홈 또는 천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은 백 벽(2)의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 또는 플라스틱 코팅된 층의 압출 성형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압출 성형 시 이미 의도된 재료 약화부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추후에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은 연결 이음매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다.
포장 백의 개방 또는 인열 개봉 시, 제1 측면 에지의 인열 개봉 시작 지점에서 시작하여 제2 측면 에지의 방향으로 인열이 유도된다. 이러한 인열은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을 따라 연장되고, 일반적인 사용 시, 즉 정상적인 힘의 소모 시, 인열 중단 전방 에지를 갖는 제안된 인열 중단 장치에 의해 중단된다. 정상적인 힘의 소모는, 인열 개봉 시작 지점에서 시작하여 인열을 유도할 수 있도록 가해져야 하는 힘이다. 인열 중단 장치는 그 구성으로 인해, 인열 중단 전방 에지가 인열을 중단시키고, 이러한 인열이 이에 따라 인열 중단 장치에서 종료되는 것을 보장한다. 인열 중단 장치의 기하학적 설계로 인해, 인열이 계속되는 것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인열이 인열 중단 장치에서 종료되고 이에 따라 계속될 수 없기 때문에, 포장 백의 구간별 개방이 최적화되고, 포장 백의 분할이 방지된다.
청구항 제2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백 벽은 제1 측면 에지 및/또는 포장 백 바닥 및/또는 포장 백 헤드를 따라 연결 이음매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포장 백 바닥은 바닥 이음매로서, 그리고 포장 백 헤드는 헤드 이음매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이를 통해 포장 백이 포장될 제품에 따라 그리고 유연하게 설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기본적으로, 청구항 제3항에 따르면, 연결 이음매가 밀봉 이음매인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를 통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밀폐된 포장 백이 생산될 수 있다.
청구항 제4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측면 에지의 연결 이음매의 폭과 제2 측면 에지에 대한 인열 중단 전방 에지의 간격의 비율은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이다.
제2 측면 에지의 연결 이음매의 폭은, 여기서 제1 측면 에지로부터 제2 측면 에지를 향한 방향으로 연결 이음매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비율은 포장 백을 목적, 각각의 충전 내용물, 포장 백의 크기 및 가정된 사용 기간에 맞게 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청구항 제5항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열 중단 장치는 제2 측면 에지의 연결 이음매에 대해 일 간격으로 또는 인접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개방의 크기를 목적, 충전 내용물, 포장 백의 크기 및 사용 기간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청구항 제6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열 중단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를 포함한다.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라 함은, 인열이 밀봉 이음매에 충돌하자마자 인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중단되는 밀봉 이음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인열 중단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인열 중단 홀은 홀 형태의 인열 중단 장치의 차단부이다. 유도된 인열이 인열 중단 홀에 충돌하면, 이러한 인열 중단 홀은 인열을 중단시킨다. 이 경우,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홀은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의 경로에 배치된다. 이는 인열 중단 장치가 포장 백의 기하학적 설계 및 사용 목적에 맞게 간단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는 여기서 백 벽의 서로에 대한 용접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백 벽과 추가적인 재료 층의 용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재료 층은 여기서 백 벽 사이에 또는 외부 측면 중 하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이 백 벽의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 또는 플라스틱 코팅된 층의 압출 성형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되는 경우, 복수의 인열 중단 홀의 배치가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위치된 복수의 인열 중단 홀은 예를 들어 운반과 같이 취급이 증가하는 경우, 포장 백의 분할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7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홀은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의 진행 방향으로 각각의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의 후방에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홀은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의 진행 방향으로 각각의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의 전방에 배치된다.
청구항 제8항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는 인열 중단 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는 인열 중단 홀의 홀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인열의 단부는 가정된 사용 기간 및 사용 목적에 맞게 조정될 수 있으므로, 인열은 먼저 인열 중단 홀 또는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에 충돌한다.
청구항 제9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열 중단 홀은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이다. 인열 중단 홀의 다각형 형상의 경우, 모서리는 적어도 제2 측면 에지를 향하는 홀 가장자리가 둥글게 처리되고, 바람직하게는 다각형의 모든 모서리가 둥글게 처리된다. 제2 측면 에지를 향하는 홀 가장자리의 곡선은, 새로운 인열의 형성 및 이에 따른 포장 백의 분할을 방지한다.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일 측면 에지의 인열 중단 시작 지점은 재료 약화부, 바람직하게는 인열 개봉 노치 또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인열 중단 시작 지점은 표지(mark)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재료 약화부 또는 표지는 개방 과정을 단순화시킨다. 재료 약화부 또는 표지는 여기서 삼각형, 포물선 형상, 물결 형상 또는 톱니 형상일 수 있다. 재료 약화부는 여기서 직사각형이거나 또는 원형 또는 V-노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청구항 제11항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품 수용 섹션 및 헤드 섹션을 제공한다. 이 경우,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은 헤드 섹션에 위치된다. 제품 수용 섹션은 제품을 수용하는 포장 백의 섹션이다. 헤드 섹션은 제품 수용 섹션에 인접한다.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을 따른 인열 개봉 시, 헤드 섹션은 부분적으로 절단된다. 제품 수용 섹션 및 헤드 섹션의 크기는 여기서 각각의 제품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청구항 제12항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품 수용 섹션과 헤드 섹션 사이에 패스너(fastener)를 제공한다. 패스너는 가압 패스너 또는 접착 패스너 또는 슬라이드 패스너 및/또는 프로파일 패스너일 수 있다. 이 경우, 패스너, 특히 슬라이드 패스너는 어린이에게 안전한(child-proof) 경우 특히 유리하다.
청구항 제13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열 중단 장치는 헤드 섹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배치된다.
독립적인 중요성을 갖는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다른 교시에 따르면, 특히 의료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다른 포장 백이 청구된다.
제안된 포장 백에서, 제2 측면 에지에는 연결 이음매가 없다. 또한 제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의 진행 방향으로, 인열 전파를 중단시키도록 구성된 인열 중단 전방 에지를 갖는 인열 중단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제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의 진행 방향으로 인열 중단 전방 에지는 제2 측면 에지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안된 포장 백에 대한 모든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만을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인열 중단 장치를 갖는 폐쇄된 상태의 제안된 포장 백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인열 중단 전방 에지 상에 인열의 단부가 있는, 개방된 또는 인열 개봉된 상태의 도 1에 따른 포장 백 및 인열 중단 홀 내 인열의 단부를 확대된 상세도로 도시한다.
도 3은 폐쇄된 상태의 제안된 포장 백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제안된 포장 백에 대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인열 중단 장치를 도시한다.
포장 백(1)은 실질적으로 튜브 형상의 구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플랫 백, 스탠드-업 백 등으로 설계될 수 있다. 포장 백이라는 용어는 상세한 설명의 도입 부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경우에 넓게 이해되어야 한다. 모든 관련 실시예는 다른 모든 유형의 포장 백(1)에 대응하게 적용된다.
도 1에는 특히 의료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포장 백(1)이 도시되어 있다. 포장 백(1)은 적어도 2개의 백 벽(2) 및 적어도 2개의 측면 에지(3)를 포함한다. 이 경우, 백 벽(2)은 그 가장자리(4)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결 이음매(5)를 통해 적어도 구간별로 서로 연결된다. 포장 백(1)의 조절된 인열 개봉을 위해, 백 벽(2) 중 적어도 하나에, 바람직하게는 2개의 서로에 대해 대향하여 위치되는 백 벽(2)에 정의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이 제공된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은 백 벽(2) 및/또는 포장 백(1)의 제1 측면 에지(3a)의 인열 개봉 시작 지점(7)으로부터 백 벽(2) 및/또는 포장 백(1)의 제2 측면 에지(3b)의 방향(R)으로 연장된다.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은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면 에지(3a, 3b) 중 하나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다. 포장 백(1)은 또한 부착된 마감 표시(8), 예를 들어 인지, 세금 밴더롤 또는 밀봉부(seal)를 제공한다. 마감 표시(8)는 특히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 위에 위치되어, 개방 과정 동안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을 따라 절단되거나 또는 찢어지도록 위치된다.
제안된 교시에 대해, 백 벽(2)이 적어도 제2 측면 에지(3b) 상에 연결 이음매(5)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경우, 연결 이음매(5)는 제1 측면 에지(3a)를 향해 정렬된 전방 에지(9)를 포함한다. 또한, 제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진행 방향(V)으로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를 갖는 인열 중단 장치(10)가 제공된다. 즉, 인열 개봉 시 형성되는 인열(12)은 먼저 인열 중단 장치(10)의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에 충돌한다.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는 인열(12)의 전파를 중단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11)의 진행 방향(V)으로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가 연결 이음매(5)의 전방 에지(9)의 전방에 배치되고, 연결 이음매(5)의 전방 에지(9)는 제2 측면 에지(3b)의 전방에 배치된다. 연결 이음매(5)의 전방 에지(9)는 여기서 연결 이음매(5)의 내부에 위치된 에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연결 이음매(5)의 전방 에지(9)는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연결 이음매(5)의 제2 측면 에지(3b)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백 벽(2)은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다. 이 경우, 백 벽(2)은 적어도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플라스틱 코팅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필름으로 이루어진 층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 단일 또는 다층 백 벽(2)일 수 있다. 개방 또는 인열 개봉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이 제공된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은 정의된 라인을 따라 포장 백(1)의 인열 개봉 저항을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포장 백(1)의 조절된 및 정의된 개방이 보장된다. 이 경우,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은 각각의 백 벽(2)에서 재료 약화부 또는 재료 구조체, 특히 홈 또는 천공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은 백 벽(2)의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 또는 플라스틱 코팅된 층의 압출 성형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제 개방 과정 동안 인열 개봉 시작 지점(7)에서 인열(12)이 유도되면, 이러한 인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에 충돌할 때까지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경로를 따른다. 포장 백(1)이 큰 힘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자주 사용되는 경우, 인열(12)은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를 넘어 연장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열 중단 장치(10)에서 종료되는 것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서, 인열 중단 장치(10)에 충돌한 후에는 인열(12)이 계속되지 않으므로, 포장 백(1)의 분할이 방지되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마감 표시(8)는 이러한 과정에서 절단되고, 포장 백(1)에 완전히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으로는, 이것은 법적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추가적으로 포장 백의 일부가 개방 후 환경으로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환경도 보호될 수 있다.
포장 백(1)의 도시된 변형예에서, 백 벽(2)은 추가적으로 제1 측면 에지(3a), 포장 백 바닥(13) 및 포장 백 헤드(14)를 따라 연결 이음매(5)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변형예는 제품의 밀폐된 포장에 특히 유리하다.
기본적으로, 연결 이음매(5)는 밀봉 이음매(5a)인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되는 2개의 층의 플라스틱 재료는, 압력 및 온도가 증가될 때 서로 용접된다. 이러한 유형의 밀봉 이음매(5a)는 장시간에 걸쳐 그 향기를 유지해야 하는 제품용 포장 백(1)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포장 백(1)의 구조적 설계를 위해, 제2 측면 에지(3b)의 연결 이음매(5)의 폭(BS)과 제2 측면 에지(3b)에 대한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의 간격(A)의 비율은 적어도 1인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비율이 적어도 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인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폭(BS)이라 함은, 여기서 제1 측면 에지(3a)로부터 제2 측면 에지(3b)까지의 방향으로 연결 이음매(5)의 범위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비율을 통해, 한편으로는 포장 백(1)의 개방 정도 및 다른 한편으로는 포장 백(1)의 사용 기간이 각각의 충전 내용물 또는 사용 목적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포장 백(1)의 변형예에 대해,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인열 중단 장치(10)가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인열 중단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홀(16)을 포함한다. 이러한 홀은 제조 전에 이미 백 벽(2)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제조 후에 펀칭될 수 있다.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는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경로에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인열 중단 홀(16)은 미리 결정된 라인(6)의 경로에도 또한 배치된다. 여기서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 또는 인열 중단 홀(16)은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 또는 인열 중단 홀(16)은 인열(12)의 전파를 종료시킨다. 이를 통해, 인열 중단 장치(10)는 포장 백(1)의 가정된 사용 기간 또는 사용 목적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복수의 인열 중단 홀(16)이 제공된다. 이러한 인열 중단 홀들은 제2 측면 에지(3b)에 대해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이 백 벽(2)의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 또는 플라스틱 코팅된 층의 압출 성형 방향에 대해 각지게 연장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인열(12)이 정의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으로부터 다소 벗어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서로 간에 배치된 인열 중단 홀(16)은 각각의 경로에서 인열(12)의 중단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인열 중단 홀(16)이 제2 측면 에지(3b)에 대해 상이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포장 백의 운반을 통해, 포장 백에 대한 응력이 증가되는 경우 인열(12)이 진행되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도 4에 따르면,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 및 인열 중단 홀(16)의 구조적 배치에 대한 많은 가능성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홀(16)은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진행 방향(V)으로 각각의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의 후방에 배치된다(도 4a, 4b, 4d, 4f).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홀(16)이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진행 방향으로 각각의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도 4g).
포장 백(1)의 다른 변형예는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가 인열 중단 홀(1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을 제공한다(도 4e, 4f). 그러나, 여기서 인열 중단 이음매(15)가 인열 중단 홀(16)을 완전히 둘러싸는 변형예가 바람직하다(도 4a, 4b, 4d).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는 인열 중단 홀(16)의 홀 가장자리(17)를 형성한다.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 및 인열 중단 홀(16)의 배치로 인해, 포장 백(1)의 사용 기간과 그 사용 목적에 다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열 중단 홀(16)이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면, 포장 백(1)의 분할의 위험이 최소화된다.
포장 백(1)의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인열 중단 홀(16)은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다각형으로서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제2 측면 에지(3b)를 향하는 홀 가장자리(17) 상의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모든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된다. 유리한 방식으로는, 여기서 인열 중단 홀(16)은 포장 백(1)의 크기, 그 내용물 또는 밀봉 이음매에 대한 다른 요구 사항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인열 중단 홀(16)은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그 후에 포장 백(1)에 펀칭되거나 또는 포장 백(1)의 제조 시 이미 제공된다. 인열 중단 홀(16)의 제공된 곡선은 한편으로는 인열 전파를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인열의 형성을 방지한다.
많은 힘의 소모 없이도 간단한 방식으로 포장 백(1)을 개방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제1 측면 에지(3a)의 인열 개봉 시작 지점(7) 상에 재료 약화부, 바람직하게는 인열 개봉 노치 또는 절단부가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인열 개봉 시작 지점(7)은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지 또는 재료 약화부는 여기서 직사각형, 삼각형, 포물선 형상, 물결 형상 또는 톱니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둥근 노치 또는 V-노치로서의 재료 약화부의 설계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변형예에서, 제품 수용 섹션(18) 및 헤드 섹션(19)이 제공된다. 이 경우,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은 헤드 섹션(19)에 위치된다.
제안된 해결 방안에 의해, 제품 수용 섹션(18)과 헤드 섹션(19) 사이에 패스너(20)가 제공되는 경우에 특히 양호한 경험이 생성된다. 패스너(20)는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패스너로서 설계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패스너(20)는 프로파일 패스너로서 설계된다. 가압 패스너 또는 접착 패스너로서의 패스너(20)의 실시예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패스너(20)는 주로 제품 수용 섹션(18)의 재밀봉 가능성을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지퍼로도 또한 언급되는 슬라이드 패스너의 사용은, 쉽게 개방될 수 있고 다시 폐쇄될 수 있으며 동시에 어린이에게도 안전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어린이에게 안전한 구성은, 예를 들어 어린이에 의한 개체의 조작을 방지하거나 또는 어렵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 또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건강에 위험한 내용물이 담긴 백 또는 약제 포장 등을 어린이가 쉽게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조절 강성 또는 개방 저항의 증가를 통해 또는 슬라이드 패스너의 접근성을 어렵게 함으로써, 어린이에게 안전한 슬라이드 패스너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제품은 간단한 방식으로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고, 환경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동시에 어린이의 손에 도달될 수 없다.
또한, 인열 중단 장치(10)는 헤드 섹션(19)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배치되는 것이 입증되었다.
도 3에 따른 제안된 포장 백(1)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마찬가지로 적어도 2개의 백 벽(2) 및 적어도 2개의 측면 에지(3)가 제공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또한, 정의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은 제1 측면 에지(3a)의 인열 개봉 시작 지점(7)으로부터 제2 측면 에지(3b)의 방향(R)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제2 측면 에지(3b)에는 연결 이음매가 없는 것이 중요하다. 제안에 따르면, 여기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진행 방향(V)으로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를 갖는 인열 중단 장치(10)가 제공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인열 중단 장치(10)는 인열(12)의 전파를 중단시키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가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진행 방향(V)으로 제2 측면 에지(3b)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제안된 포장 백의 모든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다.

Claims (14)

  1. 특히 의료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포장 백으로서,
    적어도 2개의 백 벽(2) 및
    적어도 2개의 측면 에지(3)
    를 갖고,
    상기 백 벽(2)은 그 가장자리(4)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결 이음매(5)를 통해 적어도 구간별로 서로 연결되고,
    제1 측면 에지(3a)의 인열 개봉 시작 지점(7)으로부터 제2 측면 에지(3b)의 방향(R)으로 연장되는, 상기 포장 백(1)의 조절된 인열 개봉을 위해 구성된, 정의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이 제공되는 것인, 포장 백에 있어서,
    상기 백 벽(2)은, 상기 제2 측면 에지(3b) 상에서 상기 제1 측면 에지(3a)를 향해 정렬된 전방 에지(9)를 포함하는 연결 이음매(5)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진행 방향(V)으로, 인열 전파를 중단시키도록 구성된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를 갖는 인열 중단 장치(10)가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상기 진행 방향(V)으로, 상기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가 상기 연결 이음매(5)의 상기 전방 에지(9)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이음매(5)의 상기 전방 에지(9)는 상기 제2 측면 에지(3b)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벽(2)은 상기 제1 측면 에지(3a) 및/또는 포장 백 바닥(13) 및/또는 포장 백 헤드(14)를 따라 연결 이음매(5)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이음매(5)는 밀봉 이음매(5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에지(3b)의 상기 연결 이음매(5)의 폭(BS)과 상기 제2 측면 에지(3b)에 대한 상기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의 간격(A)의 비율은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중단 장치(10)는 상기 제2 측면 에지(3b)의 상기 연결 이음매(5)에 대해 간격(A)을 두어 또는 인접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중단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홀(16)을 포함하고, 상기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 및/또는 상기 인열 중단 홀(16)은 상기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경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홀(16)은 상기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상기 진행 방향(V)으로 상기 각각의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의 후방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홀(16)은 상기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상기 진행 방향(V)으로 상기 각각의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는 상기 인열 중단 홀(1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둘러싸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열 중단 밀봉 이음매(15)는 상기 인열 중단 홀(16)의 홀 가장자리(1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중단 홀(16)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거나 또는 적어도 상기 제2 측면 에지(3b)를 향하는 상기 홀 가장자리(17) 상에 둥근 모서리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모서리가 둥글게 처리된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에지(3a)의 상기 인열 개봉 시작 지점(7)은 재료 약화부, 바람직하게는 인열 개봉 노치 또는 절단부, 및/또는 표지(mar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품 수용 섹션(18) 및
    헤드 섹션(19)
    이 제공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이 상기 헤드 섹션(19)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수용 섹션(18)과 상기 헤드 섹션(19) 사이에 패스너(fastener)(20)가 제공되고, 상기 패스너(20)는 특히 가압 패스너 또는 접착 패스너 또는 슬라이드 패스너 및/또는 프로파일 패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중단 장치(10)는 상기 헤드 섹션(19)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14.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포장 백, 특히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포장 백으로서,
    적어도 2개의 백 벽(2) 및
    적어도 2개의 측면 에지(3)
    를 갖고,
    제1 측면 에지(3a)의 인열 개봉 시작 지점(7)으로부터 제2 측면 에지(3b)의 방향(R)으로 연장되는, 상기 포장 백(1)의 조절된 인열 개봉을 위해 구성된, 정의된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이 제공되는 것인, 포장 백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에지(3b)에는 연결 이음매가 없고,
    상기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진행 방향(V)으로, 인열 전파를 중단시키도록 구성된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를 갖는 인열 중단 장치(10)가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미리 결정된 인열 라인(6)의 상기 진행 방향(V)으로, 상기 인열 중단 전방 에지(11)는 상기 제2 측면 에지(3b)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백.
KR1020217020792A 2018-12-03 2019-11-26 포장 백 KR102545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106857.1 2018-12-03
DE202018106857.1U DE202018106857U1 (de) 2018-12-03 2018-12-03 Reißfester Verpackungsbeutel
PCT/IB2019/060179 WO2020115612A1 (de) 2018-12-03 2019-11-26 Reissfester verpackungsbeut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773A true KR20210097773A (ko) 2021-08-09
KR102545984B1 KR102545984B1 (ko) 2023-06-20

Family

ID=6474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792A KR102545984B1 (ko) 2018-12-03 2019-11-26 포장 백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603243B2 (ko)
EP (1) EP3927627A1 (ko)
JP (1) JP7192124B2 (ko)
KR (1) KR102545984B1 (ko)
CN (1) CN113423650B (ko)
AU (1) AU2019391411B2 (ko)
CA (1) CA3119083C (ko)
DE (1) DE202018106857U1 (ko)
SG (1) SG11202105780UA (ko)
WO (1) WO2020115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10537A (ja) 2020-01-15 2023-03-14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開封後に一体に保たれる裂開パウチ
EP4138969A1 (en) * 2020-04-24 2023-03-01 ConvaTec Limited Packaging for a medica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6379A1 (de) * 2000-03-21 2001-09-26 Alusuisse Technology & Management AG Verpackung mit Aufreissverschluss
US20080233252A1 (en) * 2005-10-27 2008-09-25 Manning Paul B Containers and Methods for the Reconstitution and Dispensation of Concentrated or Powdered Products
JP2014101141A (ja) * 2012-11-21 2014-06-05 Pola Chem Ind Inc 包装袋
JP2017007676A (ja) * 2015-06-17 2017-01-12 味の素株式会社 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49140U (de) 1966-06-24 1966-11-03 Plus Plan Kunststoff Verfahren Beutel od. dgl. aus kunststoff.
US3388836A (en) * 1966-11-10 1968-06-18 Otto Shaker-type dispensing package
US4332327A (en) * 1980-05-06 1982-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curately placed stress concentrating aperture in flexible packages
US5169696A (en) * 1988-12-05 1992-12-08 Du Pont Canada Inc. Film laminate with easy TD tear
AU649754B2 (en) * 1991-01-09 1994-06-02 Sig Schweizerische Industrie-Gesellschaft A pouch package with a tear open facility
US5782733A (en) * 1992-10-26 1998-07-21 Innoflex Incorporated Zippered film and bag
JP3810035B2 (ja) * 1997-09-08 2006-08-16 日本精機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装置
US6244467B1 (en) * 1998-07-27 2001-06-12 Benjamin Lewit Material container and dispenser having a litterless closure
US6206571B1 (en) * 1999-06-24 2001-03-27 Alan D. Olin Flexible bag with resealable pour spout
DE19951357A1 (de) 1999-10-26 2001-05-10 Henkel Kgaa Verpackung für schüttfähige Produkte
US6702462B2 (en) * 2001-03-26 2004-03-09 Cliff Barr Inc. Flexible dispensing package
JP2002284192A (ja) 2001-03-27 2002-10-03 Toppan Printing Co Ltd 吊り下げ型パウチ
JP4351403B2 (ja) * 2001-07-23 2009-10-28 株式会社細川洋行 ジッパ袋及びその製造方法
ATE281370T1 (de) * 2001-12-10 2004-11-15 Procter & Gamble Flexible verpackung für aufsaugende papiertücher mit einer asymmetrischen öffnung
CN1615252A (zh) * 2001-12-14 2005-05-11 胡赫塔迈基德国有限及两合公司胡赫塔迈基龙斯贝格分公司 包装袋及制造这种包装袋的封口工具
US20030231811A1 (en) * 2002-06-07 2003-12-18 Hodson Jay D. Internally scored film, packag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891875B1 (en) 2005-09-23 2011-02-22 Leonard Feldman Tear-resistive container for dispensing materials
DE102007024087A1 (de) 2006-11-28 2008-05-29 Henkel Kgaa Beutel mit Öffnungshilfe
US20090266036A1 (en) * 2008-04-24 2009-10-29 Kraft Foods Global Brand Llc Flexible package having an automatic closure feature
DE202009002028U1 (de) 2009-04-02 2010-09-02 Cofresco Frischhalteprodukte Gmbh & Co. Kg Folienbeutel
DE102009041251A1 (de) 2009-09-11 2011-03-24 Huhtamaki Ronsberg,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Aufreißbeutel
USD619018S1 (en) * 2009-10-30 2010-07-06 Stokely-Van Camp, Inc. Pouch
EP2810890B1 (en) 2012-02-03 2018-06-06 Toppan Printing Co., Ltd. Pouch and pouch with enclosed contents
EP2968832B1 (en) * 2013-03-14 2019-07-17 Hollister Incorporated Medical product package
US9988197B2 (en) 2014-06-20 2018-06-05 Arch Chemicals, Inc. Package system for packaging and administering controlled dosages of chemical agents
US9718593B2 (en) * 2014-11-03 2017-08-01 General Mills, Inc. Food packaging having an integrated spout
JP6471019B2 (ja) 2015-03-30 2019-02-13 株式会社フジシール 包装袋
CN107531365B (zh) * 2015-04-16 2019-06-07 东洋制罐株式会社 包装袋
JP7209937B2 (ja) 2017-03-02 2023-01-2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多重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6379A1 (de) * 2000-03-21 2001-09-26 Alusuisse Technology & Management AG Verpackung mit Aufreissverschluss
US20080233252A1 (en) * 2005-10-27 2008-09-25 Manning Paul B Containers and Methods for the Reconstitution and Dispensation of Concentrated or Powdered Products
JP2014101141A (ja) * 2012-11-21 2014-06-05 Pola Chem Ind Inc 包装袋
JP2017007676A (ja) * 2015-06-17 2017-01-12 味の素株式会社 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776711A (en) 2023-09-29
US20220002057A1 (en) 2022-01-06
CN113423650A (zh) 2021-09-21
KR102545984B1 (ko) 2023-06-20
JP7192124B2 (ja) 2022-12-19
DE202018106857U1 (de) 2018-12-07
JP2022509885A (ja) 2022-01-24
WO2020115612A1 (de) 2020-06-11
AU2019391411B2 (en) 2023-02-09
CA3119083C (en) 2023-07-11
CA3119083A1 (en) 2020-06-11
AU2019391411A1 (en) 2021-07-22
CN113423650B (zh) 2023-01-10
US11603243B2 (en) 2023-03-14
EP3927627A1 (de) 2021-12-29
SG11202105780UA (en)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1362C (en) Improved packaging with lines of weakness
EP190869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losable package
US8876383B2 (en) Flexible packages having multiple 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US20100278454A1 (en) Tamper-evident laminate structure
US20030223656A1 (en) Flexible reclosable container with easy opening
CN111712441B (zh) 用于制造密封破开式包装的制造方法和相应的密封破开式包装
CZ20002528A3 (cs) Sáček
KR102029525B1 (ko) 개봉 확인용 씰
KR102545984B1 (ko) 포장 백
WO2014179457A1 (en) Recloseable stand-up flexible packages
AU607655B2 (en) A container of flexible material
CN112004757B (zh) 角破开式密封包装
ITMI20091446A1 (it) Confezione in materiale flessibile con apertura a strappo
JP2023062040A (ja) タバコ産業製品用パッケージ
BR112016024100B1 (pt) Embalagem de envoltório do fluxo relacrável para lenços umedecidos
FI90644C (fi) Repäisyläppäaukolla ja sirotteluelimellä varustettu pakkaus
NZ776711B2 (en) Tearable packaging pouch
CN111556846B (zh) 弯折开封包装体及其制造方法、弯折开封包装体的表部件以及弯折开封构造
JP6126411B2 (ja) 包装袋
JP2005029196A (ja) 開封容易包装袋
JP6203505B2 (ja) 包装袋
CN112672960B (zh) 密封型破裂打开式包装及其相应的生产方法
JP2001130591A (ja) スティック状袋
KR20050045787A (ko)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