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787A -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787A
KR20050045787A KR1020040003335A KR20040003335A KR20050045787A KR 20050045787 A KR20050045787 A KR 20050045787A KR 1020040003335 A KR1020040003335 A KR 1020040003335A KR 20040003335 A KR20040003335 A KR 20040003335A KR 20050045787 A KR20050045787 A KR 20050045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pair
cutting
eas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치호
Original Assignee
송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치호 filed Critical 송치호
Publication of KR2005004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7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16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 B65D33/253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the slide fastener being located between the product compartment and the tampe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25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25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2575/3209Details
    • B65D2575/3218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 B65D2575/3227Cuts or weakening lines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고분자 합성수지 시트(sheet) 및 보호 시트가 적층된 합지 구조로 된 제1 및 제2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포장용기의 일측면 소정의 위치에 제1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각 대향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되는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1절취선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구조의 합성수지재 밴드를 포함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함으로써, 포장용기의 개봉시 용이하고 깔끔하게 절개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포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PACKING BAG HAVING EASILY TEARABLE STRUCTURE}
본 발명은 복수의 고분자 합성수지 시트(sheet) 및 보호 시트가 적층된 합지 구조로 된 제1 및 제2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포장용기의 일측면 소정의 위치에 제1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각 대향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되는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1절취선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구조의 합성수지재 밴드를 포함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자 봉지, 식품 봉지 및 리필용 액상세제용기 등 비닐소재로 된 용기는 외부의 공기, 빛, 충격 등으로부터 내용물의 보호를 위해 복수의 고분자 합성수지 시트(sheet) 및 보호 시트가 적층된 합지 구조로 된 포장용기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합지 구조의 포장용기는 기계적 강도가 상당히 강하여 성인의 경우에도 이를 개봉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가위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야 개봉이 가능한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상기 합지 구조의 포장용기를 용이하게 개봉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이 당업계에서 연구되어 왔다.
봉지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수단은 개봉하기 위한 위치 근처에 노치(notch)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봉지의 개구부 부분에 노치를 형성하여 절개의 개시는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나, 봉지에 가해지는 전단력의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절취선이 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봉지의 일정한 위치에 미리 절개선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13689호의 공보에는 라면봉지의 봉합부의 하단에 절취선을 형성하여 상기 절취선에 의해 봉지의 개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봉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봉지의 상단 개구부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봉지의 절취가 절취선을 따라 이루어져 미리 정해진 형태의 개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만 기밀성이 떨어져 제품의 유통기한이 짧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02-0012083호는 과자 포장지의 내면의 중앙 접착부분을 중심으로 과자 포장지 재질보다 강하거나 두꺼운 재질로 제작된 절개용 테이프를 사선 또는 직선으로 부착하고, 상기 절개용 테이프의 시작점과 일치하는 부위에 미세한 타원 혹은 다이아몬드 형태의 천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포장지 개봉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포장지의 개봉구조는 강도가 강한 합지 구조의 포장지위에 그보다 강도가 더 강한 절개용 테이프를 부착한 것으로 봉지의 개봉시 절개선이 상기 절개용 테이프를 따라 형성되지 않고, 또한 포장지에 천공을 형성하여 기밀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합지 구조의 포장용기의 절개에 있어서 절개의 방향성을 가지면서도 용이한 절개가 가능하고 포장용기의 기밀성이 떨어지지 않는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고분자 합성수지 시트(sheet) 및 보호 시트가 적층된 합지 구조로 된 제1 및 제2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포장용기의 일측면 소정의 위치에 제1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각 대향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되는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1절취선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구조의 합성수지재 밴드를 포함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밴드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가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밴드의 하단에 재밀폐가 가능한 합성수지재 지퍼 스트립(strip)이 추가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밴드가 상기 대향면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밴드의 하단에 재밀폐가 가능한 합성수지재 지퍼 스트립(strip)이 추가로 부착되는 경우, 상기 밴드와 상기 지퍼 스트립은 일체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장용기의 부분 개봉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상의 소정 부분에서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는 제2절취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장용기의 부분 개봉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상의 소정 부분에서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는 제2절취선을 가진 경우,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과 제2절취선의 교차점과 근접하게 위치한 상기 지퍼 스트립의 상단부에 용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100)는 복수의 고분자 합성수지 시트(sheet) 및 보호 시트가 적층된 합지 구조로 된 제1 및 제2대향면(10, 10′)을 구비하는데, 이는 외부의 충격 및 공기, 빛 등으로부터 내부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일정 이상의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포장용기(100)의 일측면 소정의 위치에 제1노치(notch, 40)가 형성되어 포장용기의 초기 절취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1노치(40)의 위치는 본 발명의 밴드(20, 20′)의 한쌍의 제1절취선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용기의 대향면상에 절취선을 형성하게 되면 포장용기를 용이하게 절개하는 것이 가능하나 용기의 기밀성이 나빠져 용기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유통기한이 짧아지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100)는 상기 포장용기의 각 대향면(10, 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되는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구조의 합성수지재 밴드(20, 2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보듯,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100)의 일실시예는 포장용기(100)의 각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상기 밴드(20, 20′)를 열융착을 통해 부착한 후 포장용기(100)의 개구부를 열융착하여 밀봉하게 되면 기밀성이 뛰어난 포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밴드(20, 20′)는 포장용기(10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열융착시에는 상기 밴드(20, 20′)의 한쌍의 제1절취선(21, 21′) 부분은 열융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상기 밴드(20, 20′)의 두께가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밴드(20, 20′)의 두께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조절이 가능하며, 밴드(20, 20′)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포장용기(100)의 절취시 전단력의 전달이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상기 밴드(20, 20′)의 재질이 포장용기(100)의 합지보다 강한 경우에는 밴드(20, 20′)의 두께를 보다 얇게 제조해도 무방하고, 합지보다 약한 재질인 경우에는 보다 두껍게 제조하여야 한다. 상기 밴드(20, 20′)의 재질은 합지의 내측면 재질과 열융착을 잘할 수 있도록 고분자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의 재질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가교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포장용기의 합지보다 강하거나 동등한 강도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이의 공중합체 또는 가교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의 시험에 따르면, 상기 밴드(20, 20′)의 재질이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그 두께가 0.05 내지 1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밴드(20, 20′)의 두께가 0.05mm 미만인 경우에는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을 따라 절취하는 것이 힘들고 1m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재료비의 상승을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100)는 제1 및 제2대향면상(10, 10′)에 부착되는 각 밴드(20, 20′)에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장용기의 개봉은 상기 포장용기(100)의 일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제1노치(40) 부분에서 시작되어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을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 포장용기를 구성하는 합지의 합성수지시트 등의 잔류응력에 의해 포장용기에 가해지는 전단력은 전달방향성을 가지기 어렵지만,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상기 밴드(20, 20′)의 존재로 인해 전단력은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으며 그 결과 포장용기의 절취는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을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은 점선, 파선, 실선의 형태일 수 있으며, 포장용기의 절취가 용이하고 부분개봉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파선의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장용기의 절취 후 용기를 개봉 또는 밀폐 후 재개봉할 때 절취된 일대향면의 말단이 타대향면의 말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사용자가 포장용기를 파지하기 편하기 때문에,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은 각각의 대향면(10, 10′)상의 동일한 위치에 있기보다는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의 세로폭(w) 범위 내에서 약간 어긋나게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이 점선 또는 파선인 경우 밴드에 천공을 하게 되는데, 상기 천공의 세로폭(w), 가로길이(l) 및 천공 사이의 간격(d)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영역의 값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의 천공의 세로폭(w)은 0.3 내지 10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천공 사이의 간격(d)은 0.05 내지 5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로길이(l)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한쌍의 제1절취선은 포장용기의 열융착 부위와 수평한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은 백의 중앙부분 또는 상기 열융착 부위와 수직하는 방향으로도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가지는 포장용기(100)는 부분 개봉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상의 소정 부분에서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는 제2절취선(22)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을 따라 포장용기를 개봉하다가 제2절취선(22)이 형성된 위치까지 절취를 한 다음, 절취하는 방향을 바꾸어 상기 제2절취선(22)을 따라 개봉을 하여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부분적으로 개봉할 수 있다. 상기 제2절취선(22) 말단 부분의 포장용기에는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2노치(4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는 상기 밴드의 하단에 재밀폐가 가능한 지퍼 스트립(zipper strip, 30)이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지퍼 스트립(30)은 포장용기(100)의 개봉 후에 용기의 재밀폐를 가능케하여 내용물을 용기의 개봉 후에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용기의 부분 개봉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상의 소정 부분에서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는 제2절취선(22)을 가진 경우에는,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21, 21′)과 제2절취선(22)의 교차점과 근접하게 위치한 상기 지퍼 스트립(30)의 상단부에 하나 이상의 용접점(31)을 형성하여 상기 포장용기의 부분개봉되는 이상으로 지퍼의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지퍼의 개방으로 인한 부작용(미개봉 부위와 지퍼스트립사이의 공간에 내용물의 잔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100)는 상기 밴드(20, 20′)가 각 대향면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그 하단에 지퍼 스트립(30)이 부착되어 지는 경우, 상기 밴드와 상기 지퍼 스트립은 일체화된 구조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밴드(20, 20′)가 대향면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그 하단에 지퍼 스트립(30)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밴드(20, 20′)와 지퍼 스트립(30)은 각각 독립적인 두 부분(two pieces)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나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대향면상의 적절한 위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제조원가와 제작상의 편의성 및 정밀도 등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에서 상기 밴드가 각 대향면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그 하단에 지퍼스트립이 추가로 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밴드와 지퍼 스트립은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절개의 방향성을 가지면서도 용이한 절개가 가능하고 포장용기의 기밀성이 떨어지지 않는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및 절개구조를 설명하는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및 부분 절개도를 설명하기위한 부분분해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제1대향면 10′ 제2대향면
20 밴드 20′밴드
21 제1절취선 21′제1절취선
22 제2절취선 30 지퍼 스트립
31 용접점 40 제1노치
41 제2노치 100 포장용기

Claims (7)

  1. 복수의 고분자 합성수지 시트(sheet) 및 보호 시트가 적층된 합지 구조로 된 제1 및 제2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포장용기의 일측면 소정의 위치에 제1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각 대향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되는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1절취선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구조의 합성수지재 밴드를 포함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가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재밀폐가 가능한 합성수지재 지퍼 스트립(strip)이 상기 대향면의 내측면에 추가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상기 대향면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와 상기 지퍼 스트립은 일체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부분 개봉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상의 소정 부분에서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는 제2절취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부분 개봉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상의 소정 부분에서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는 제2절취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1절취선과 제2절취선의 교차점과 근접하게 위치한 상기 지퍼 스트립의 상단부에 하나 이상의 용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1020040003335A 2003-11-10 2004-01-16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200500457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9135 2003-11-10
KR1020030079135 2003-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787A true KR20050045787A (ko) 2005-05-17

Family

ID=3724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335A KR20050045787A (ko) 2003-11-10 2004-01-16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57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022B1 (ko) * 2010-06-08 2011-06-21 플레어 플렉시블 패키징 코포레이션 직선형 절취특성을 갖는 파우치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파우치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022B1 (ko) * 2010-06-08 2011-06-21 플레어 플렉시블 패키징 코포레이션 직선형 절취특성을 갖는 파우치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파우치 제조장치
WO2011155717A2 (ko) * 2010-06-08 2011-12-15 삼아알미늄(주) 직선형 절취특성을 갖는 파우치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파우치 제조장치
WO2011155717A3 (ko) * 2010-06-08 2012-05-03 삼아알미늄(주) 직선형 절취특성을 갖는 파우치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파우치 제조장치
CN102753447A (zh) * 2010-06-08 2012-10-24 三亚铝业株式会社 一种具有直线型剪切特性的袋子及制造方法和其袋子的制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9400B2 (en) Flexible reclosable container with easy opening
US5307988A (en) Soft pack for paper tissues
EP1889793B1 (en) Packaging member with easy-opening means
US8690431B2 (en) Packaging with lines of weakness
JP4787833B2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袋の製造装置、製造方法
US7143910B2 (en) Easy opening sealed containment and dispensing package
WO2002000523A1 (fr) Corps d'emballage
EP1318082B1 (en) Easy-opening, reclosable flexible container
CN111712441A (zh) 用于制造密封破开式包装的制造方法和相应的密封破开式包装
WO2005102863A1 (en) An improved sachet pouch
JP2017524605A (ja) 閉止デバイス、閉止デバイス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このような閉止デバイスを有する包装容器
US20110233267A1 (en) Pack having tear-open aid
WO2014142886A1 (en) Recloseable flexible packages
JP2005510421A (ja) 再封可能な注ぎ口要素
JPH1072041A (ja) 易開封性包装袋
JP2794177B2 (ja) 密封包装袋
JPH11278556A (ja) 包装袋
KR20050045787A (ko) 용이한 절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JP2526094B2 (ja) 食品包装用袋とその製造方法
JP2010111416A (ja) 食品包装体
JP3365075B2 (ja) 包装体の易開封構造
JP3753867B2 (ja) 袋容器
JP7419800B2 (ja) 包装容器
JP2601246Y2 (ja) サンドイッチ包装体
JP2585096B2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