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366A - 찰 파이 성형기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찰 파이 성형기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366A
KR20210096366A KR1020200009716A KR20200009716A KR20210096366A KR 20210096366 A KR20210096366 A KR 20210096366A KR 1020200009716 A KR1020200009716 A KR 1020200009716A KR 20200009716 A KR20200009716 A KR 20200009716A KR 20210096366 A KR20210096366 A KR 20210096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pie
rice cake
base
ch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6197B1 (ko
Inventor
강수철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to KR1020200009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197B1/ko
Priority to CN202010461690.6A priority patent/CN113243406B/zh
Priority to RU2020120966A priority patent/RU2746449C1/ru
Publication of KR20210096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04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forming the dough into a substantially disc-like shape with or without an outer rim, e.g. for making pie crusts, cake shells or pizza bas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A21C15/002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or sweeping or coating the surface of bak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4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or sweeping or coating the surfaces of, pieces or sheets of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4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 A21D13/047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from cereals other than rye or wheat,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20Partially or completely coated products
    • A21D13/24Partially or completely coated products coated afte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20Partially or completely coated products
    • A21D13/28Partially or completely coat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Abstract

본 명세서는 외부로부터 기지 반죽이 공급되고 하면에 연통홀을 포함하는 듀얼 데포지터 및 외부로부터 떡 반죽이 공급되고, 듀얼 데포지터의 측면을 관통하고, 말단이 연통홀을 향해 배치되어 떡 반죽으로 연통홀로 사출하는 인젝션을 포함하는 찰 파이 성형기 및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찰 파이 성형기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Apparatus for Forming Pie, Pie made b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Pie}
본 실시예들은 찰 파이 성형기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Rice)은 밀가루보다 영양 성분이 높은 곡식으로, 새로운 식감을 느낄 수 있는 떡 가공식품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 제1116200호(발명의 명칭: 찹쌀 증편이 내부에 포함된 케이크의 제조 방법)는 케이크 시트 재료를 반죽하여 제1반죽을 성형하고, 찹쌀 재료를 배합 및 증자하여 찹쌀 증편을 제조하고, 찹쌀 증편을 케이크 시트 반죽 위에 올리고, 찹쌀 증편이 올려진 제1반죽 위에 케이크 시트 재료를 반죽하여 찹쌀 증편이 내부에 포함되도록 제2반죽을 성형하고, 성형물을 오븐에서 구워서 찹쌀 증편이 내부에 포함된 케이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른 예로, 한국특허 제1511915호(발명의 명칭: 앙금 찰떡 초코파이 및 그 제조 방법)는 옥수수전분과 찹쌀가루를 혼합 후 증자하여 찰떡을 제조하고, 앙금을 끓인 후 물에 용해된 옥수수전분을 투입하여 앙금기지를 제조하고, 찰떡의 외부를 앙금기지로 감싸거나 앙금기지에 찰떡을 충진한 후 구워서 앙금 찰떡을 제조하는 앙금 찰떡 초코파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한국특허 제1116200호 및 제1511915호는 찹쌀 재료를 증자하여 찰쌀 증편 또는 찰떡을 제조한 후 찹쌀 증편 또는 찰떡을 시트 또는 기지로 감싸거나, 시트 또는 기지에 찰떡을 충진한 후 그 성형물을 오븐으로 구워 찰쌀 증편 또는 찰떡을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크 또는 찰떡 초코파이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한국특허 제1116200호 및 제1511915호에 개시된 제조방법을 통해 떡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시감을 느낄 수 있는 떡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한국특허 제1116200호 및 제1511915호에 개시된 제조방법은 (1)먼저 찹쌀 재료를 증자하여 찰쌀 증편 또는 찰떡을 제조하고, (2)다음으로 찹쌀 증편 또는 찰떡을 시트 또는 기지로 감싸거나, 시트 또는 기지에 찰떡을 충진하여, 찰쌀 증편 또는 찰떡이 제조공정 중에 노출되어 쉽게 노화될 뿐만 아니라 두단계로 나누어 찹쌀 증편 또는 찰떡을 시트 또는 기지 내부에 포함시키므로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떡의 노화를 방지하고 쫀득한 식감을 구현한 찰 파이를 연구하던 중, 이를 구현한 찰 파이 성형기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떡의 노화를 방지하고 쫀득한 식감을 구현한 찰 파이를 성형할 수 있는 찰 파이 성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떡의 노화를 방지하고 쫀득한 식감을 구현한 찰 파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떡의 노화를 방지하고 쫀득한 식감을 구현한 찰 파이 성형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는, 외부로부터 기지 반죽이 공급되고 하면에 연통홀을 포함하는 듀얼 데포지터 및 외부로부터 떡 반죽이 공급되고, 듀얼 데포지터의 측면을 관통하고, 말단이 연통홀을 향해 배치되어 떡 반죽으로 연통홀로 사출하는 인젝션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는 인젝터로부터 사출된 떡 반죽을 듀얼 데포지터에 공급된 기지 반죽으로 감싸,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연통홀을 통해 외부로 데포지트할 수 있다.
듀얼 데포지터는 상부의 통 형상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하부의 뿔 형상부를 포함하고, 뿔 형상부의 하측 말단에 연통홀이 배치되고, 인젝터는 통 형상부의 측면을 관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는 쇼트닝, 정백당, 계란, 변성전분을 배합하여 기지 반죽을 준비하고, 준비된 기지 반죽을 듀얼 데포지터에 공급하는 기지 배합기 및 전분과 물을 배합하여 떡 반죽을 준비하고, 분비된 떡 반죽을 인젝터에 공급하는 떡 배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찰 파이 성형기는 듀얼 데포지터의 연통홀로부터 데포지트된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베이킹하는 오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지 반죽의 점도는 450~550poise이고 떡 반죽의 점도는 140~340poise이고, 인덱터의 직경은 5 내지 8m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는 기지 반죽과 떡 반죽이 전술한 찰 파이 성형기를 이용하여 한번에 데포지팅된 후 베이킹되어 제조된다.
찰 파이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에 준초콜릿 또는 식물성 크림이 코팅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방법은, 쇼트닝, 정백당, 계란, 변성전분을 배합하여 기지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 전분과 물을 배합하여 떡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기지 반죽과 준비된 떡 반죽을 동시에 공급하여, 떡 반죽을 기지 반죽으로 감싸,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한번에 데포지트하는 단계 및 데포지트된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베이킹하여 찰 파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지 반죽의 점도는 450~550poise이고 떡 반죽의 점도는 140~340poise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방법은, 제조된 찰 파이에 준초콜릿 또는 식물성 크림을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은 떡의 노화를 방지하고 쫀득한 식감을 구현한 찰 파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지 배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떡 배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듀얼 데포지터와 듀얼 데포지터의 측면을 관통한 인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의 듀얼 데포지터와 듀얼 데포지터의 측면을 관통한 인젝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듀얼 데포지터와 듀얼 데포지터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의 찰 파이 제조시 기지 반죽의 오조준에 따라 제조된 찰 파이의 성형 불량이 발생하는 과정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전분반죽을 1시간 숙성한 경우 제조된 찰 파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전분반죽을 1시간 숙성한 경우 제조된 찰 파이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떡 배합기에서 전분과 물의 배합시, 숙성시간에 따른 호화전분의 점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100)는 기지 원재료를 배합하여 기지 반죽을 준비하고, 준비된 기지 반죽을 공급하는 기지 배합기(110)과, 떡 원재료를 배합하여 떡 반죽을 준비하고, 분비된 떡 반죽을 공급하는 떡 배합기(120), 떡 배합기(110)로부터 떡 반죽을 공급받아 사출하는 인젝션(130), 인젝터(130)로부터 사출된 떡 반죽을 기지 배합기(110)로부터 공급된 기지 반죽으로 감싸, 한번에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외부로 데포지트하는 듀얼 데포지터(140), 외부에 데포지트된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굽는 오븐(150)을 포함한다.
찰 파이 성형기(100)는 떡 반죽을 공급받아 사출하는 인젝션(130)와 인젝터(130)로부터 사출된 떡 반죽을 공급된 기지 반죽으로 감싸, 한번에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외부로 데포지트하는 듀얼 데포지터(140)를 포함한다. 찰 파이 성형기(100)는 떡 반죽과 기지 반죽을 한번에 듀얼 데포지팅하여 떡 반죽을 기지 반죽 사이에 직접 넣어 찰 파이를 제조하므로, 떡의 노화를 방지하고 쫀득한 식감을 구현한 찰 파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기지 배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100)에 포함되는 기지 배합기(110)는 쇼트닝, 정백당, 계란, 변성전분을 배합하여 기지 반죽을 준비하고, 준비된 기지 반죽을 듀얼 데포지터(140)에 공급한다.
기지 배합기(110)는 지속적인 와류 형성을 통해, 기지 배합 내 변성전분이 용해된 전분용해수를 배합할 수 있다.
기지 반죽은 쇼트닝, 정백당, 계란, 변성전분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식품 첨가물들을 추가로 배합할 수 있다. 기지 반죽(210)의 점도는 450~550poise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도 1의 떡 배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100)에 포함되는 떡 배합기(120)는 전분과 물을 배합하여 떡 반죽을 준비하고, 분비된 떡 반죽을 인젝터(130)에 공급한다.
떡 배합기(120)는 전분과 물을 배합하여 전분반죽으로 만든다. 떡 배합기(120)는 전분반죽을 충분히 숙성시키고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떡 반죽(220)의 점도는 140~340poise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떡 배합기(120)는 전분과 물의 배합한 전분반죽의 숙성시간을 조절하여 호화전분의 점도와 식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a는 도 1의 듀얼 데포지터와 듀얼 데포지터의 측면을 관통한 인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의 듀얼 데포지터와 듀얼 데포지터의 측면을 관통한 인젝터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100)에 포함된 듀얼 데포지터(140)는 외부로부터 기지 반죽이 공급되고 하면에 연통홀(142)을 포함한다. 연통홀(142)은 원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홀(142)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 연통홀(142)을 통과에 토출되는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반죽은 원형상으로 데포지트된다. 결과적으로, 최종적으로 제조된 찰 파이는 원형상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통홀(142)의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데포지트되는 기지반죽의 형상도 원형상이 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100)에 포함된 인젝터(130)는 외부로부터 떡 반죽이 공급되고, 듀얼 데포지터(140)의 측면을 관통하고, 말단(132)이 연통홀(142)을 향해 배치되어 떡 반죽을 연통홀(142)로 사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100)는 인젝터(130)로부터 사출된 떡 반죽(220)을 듀얼 데포지터(140)에 공급된 기지 반죽(210)으로 감싸, 떡 반죽(220)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210)을 연통홀(142)을 통해 외부로 데포지트할 수 있다.
듀얼 데포지터(140)는 상부의 통 형상부(144)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하부의 뿔 형상부(146)를 포함하고, 뿔 형상부(146)의 하측 말단에 연통홀(142)이 배치된다.
통 형상부(144)는 기지 반죽(210)을 공급받을 공간을 제공한다. 뿔 형상부(146)는 기지 반죽(210)을 연통홀(14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통 형상부(144)의 형상은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어떤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뿔 형상부(146)의 형상은 원뿔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어떤 형상일 수도 있다.
인젝터(130)는 통 형상부(144)의 측면을 관통할 수 있다. 인젝터(130)는 떡 반죽을 떡 배합기(120)로부터 공급받아 연통홀(142)로 사출하는 노즐(134)을 포함한다. 노즐(134)은 통 형상부(144)의 측면을 일직선으로 관통하여 연통홀(142)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인젝터(130)의 말단(132)는 노즐(134)의 말단을 구성하게 된다.
도 5는 도 4a의 듀얼 데포지터와 듀얼 데포지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100)는 인젝터(130)의 노즐(132)로부터 사출된 떡 반죽(220)을 듀얼 데포지터(140)의 뿔 형상부(146)에 공급된 기지 반죽(210)으로 감싸, 떡 반죽(220)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210)을 연통홀(142)을 통해 외부로 한번에 데포지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100)는 듀얼 데포지터(140)의 연통홀(142)로부터 데포지트된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베이킹하는 오븐(도 1의 150)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6은 도 1의 기지 반죽의 오조준에 따라 제조된 찰 파이의 성형 불량이 발생하는 과정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반죽성형기(100)는 떡 반죽(220)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210)을 컨베이어(160)로 데포지트하고, 컨베이어(160)로 떡 반죽(220)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210)을 오븐(150)으로 이동하여 오븐(150)에서 베이킹한다.
도 6의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젝터(130)는 통 형상부(144)의 측면을 관통하므로, 기지 배합기(110)로부터 통 형상부(144)로 공급된 기지 반죽(210)이 인젝터(130)의 노즐(134)의 일부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떡 반죽(220)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210)이 컨베이어(160)에 데포지트될 때,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 반죽(210)이 일정하지 않은 모양으로 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160)에 데포지트된 기지 반죽(210)의 모양은 전체적으로 일정하되, 인젝터(130)의 노즐(134)의 일부에 걸린 기지 반죽(210)은 형성되지 않은 부분(212)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 반죽(210)이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되도록 하기 위해서 인젝터(130)의 노즐(134)의 직경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을 수 있으나, 인젝터(130)가 연통홀(142)에 공급하는 떡 반죽(220)의 양도 고려해야 한다.
인젝터(130)의 노즐(134)의 직경과, 기지 반죽(210) 및 떡 반죽(220)의 점도의 상관관계를 여러차례 실험한 바에 따르면, 기지 반죽(210)의 점도는 450~550poise이고 떡 반죽(220)의 점도는 140~340poise이고, 인덱터(130)의 직경은 5mm 이상 8mm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 반죽(210)의 점도는 450~550poise이고 떡 반죽(220)의 점도는 140~340poise에 대해 인젝터(130)의 노즐(134)의 직경을 8mm인 찰 파이 성형기(100)로 찰 파이 제조공정을 진행한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 반죽(210)이 인젝터(130)의 노즐(134)의 일부에 걸린 기지 반죽(210)은 형성되지 않은 부분(212)이 존재하였다.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떡 반죽(220)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210)을 베이킹하고 후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찰 파이를 제조할 경우, 소비자들로부터 나쁜 평가를 받거나, 불량 제품으로 인식될 수 있다.
반대로 기지 반죽(210)의 점도는 450~550poise이고 떡 반죽(220)의 점도는 140~340poise에 대해 인젝터(130)의 노즐(134)의 직경을 8mm 이상으로 찰 파이 성형기(100)의 제조공정을 진행한 결과, 떡 반죽(220)이 연통홀(142)에 공급에 방해가 되고 성형 트러블을 유발시켜 기지 반죽(210) 내부에 포함되는 떡 반죽(220)의 총량이 너무 적었다. 구체적으로 인젝터(130)의 노즐(134)을 8mm이상으로 키울 경우 기지반죽(210)의 공급 트러블이 많고, 압력차이 때문 떡 반죽(220)의 중량 조절이 어려웠다.
기지 반죽(210)의 점도는 450~550poise이고 떡 반죽(220)의 점도는 140~340poise이고, 인덱터(130)의 직경은 5mm 이상 8mm 미만인 찰 파이 성형기(100)로 찰 파이 제조공정을 진행한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 반죽(210)이 인젝터(130)의 노즐(134)의 일부에 걸린 기지 반죽(210)은 존재하지 않고 일정한 모양의 찰 파이를 제조할 수 있었다.
도 2에 도시한 떡 배합기(120)에서 전분과 물의 배합시, 전분이 충분히 물을 먹을 수 있도록 물에 불린 시간인 숙성시간을 컨트롤하고 물의 양을 충분히 공급히야하 한다. 전분 + 물의 숙성시간에 따른 점도와 소성 후 호화정도(투명도)를 비교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전분반죽 숙성 1시간 숙성 4시간 숙성 24시간 숙성
점도(Poise) 80~140 150~200 210~340
소성 후 호화정도
(투명도)
불투명 중간 투명
식감 빽빽하며 툭툭 끊기는 식감 중간 찰지고 쫀득한 식감
도 9는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전분반죽을 1시간 숙성한 경우 제조된 찰 파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전분반죽을 1시간 숙성한 경우 제조된 찰 파이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9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분반죽을 1시간 숙성한 경우 제조된 찰 파이는 소성 후 호화정도(투명도)가 불투명하고 빽빽하며 툭툭 끊기는 식을 나타내었다. 도 10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분반죽을 24시간 숙성한 경우 제조된 찰 파이는 소성 후 호화정도(투명도)가 투명하고 찰지고 쫀득한 식감을 나타내었다.
도 11은 도 1의 떡 배합기에서 전분과 물의 배합시, 숙성시간에 따른 호화전분의 점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의 떡 배합기(120)에서 전분과 물의 배합시, 숙성시간이 4시간 이후부터 호화전분의 점도의 상승폭이 줄어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떡 배합기(120)에서 전분과 물의 배합시, 숙성시간을 4시간보다 크게 조절해야 투명하고 찰지고 쫀득한 식감을 갖는 떡 반죽을 포함하는 찰 파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200)는 기지 반죽(210)과 떡 반죽(220)이 전술한 찰 파이 성형기를 이용하여 한번에 데포지팅된 후 베이킹되어 제조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찰 파이 성형기(100)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에 준초콜릿 또는 식물성 크림이 코팅될 수 있다. 데포지트된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베이킹하여 찰 파이를 제조한 이후 마쉬멜로우, 크림등으로 샌딩한 후 준초콜릿 혹은 식물성크림으로 외피로 코팅할 수 있다. 제조된 찰 파이에 준초콜릿이 코팅된 경우, 이 찰 파이를 찰 초코파이라고 부를 수 있다. 제조된 찰 파이에 준초콜릿이 코팅된 경우, 이 찰 파이를 찰 크림파이라고 부를 수 있다.
기지 반죽(210)은 쇼트닝, 정백당, 계란, 변성전분을 배합하여 기지 반죽을 준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 반죽은 쇼트닝, 정백당, 계란, 변성전분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식품 첨가물들을 추가로 배합할 수 있다. 기지 반죽(210)의 점도는 450~550poise일 수 있다.
떡 반죽(220)은 전분과 물의 배합하여 전분반죽으로 만든다. 떡 반죽(220)은 충분히 숙성되고 균질성을 확보하고 있다. 떡 반죽(220)의 점도는 140~340poise일 수 있다. 전분과 물의 배합한 떡 반죽(220)는 숙성시간이 조절된 호화전분의 점도와 식감을 갖고 있다. .
떡 반죽(220)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210)을 오븐(150)으로 베이킹하는 찰 파이(200)를 제조할 수 있다.
기지 반죽(210)의 점도는 450~550poise이고 떡 반죽(220)의 점도는 140~340poise일 수 있다.
찰 파이(20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사각형상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찰 파이(200)는 전분과 물의 배합시, 전분반죽의 숙성시간이 4시간보다 클 수 있다. 이 찰 파이(200)는 투명하고 찰지고 쫀득한 식감을 갖는 떡 반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면들을 참조하여 찰 파이 성형기(100) 및 이 찰 파이 성형기(100)에 의해 제조된 찰 파이(200)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 전술한 찰 파이 성형기(100) 또는 다른 찰 파이 성형기(100)로 찰 파이를 성형하는 찰 파이 성형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방법(300)은, 쇼트닝, 정백당, 계란, 변성전분을 배합하여 기지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S310), 전분과 물을 배합하여 떡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S320), 준비된 기지 반죽과 준비된 떡 반죽을 동시에 공급하여, 떡 반죽을 기지 반죽으로 감싸,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한번에 데포지트하는 단계(S330) 및 데포지트된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베이킹하여 찰 파이를 제조하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
기지 반죽의 점도는 450~550poise이고 떡 반죽의 점도는 140~340poise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방법(300)은, 제조된 찰 파이에 준초콜릿 또는 식물성 크림을 코팅하는 단계(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데포지트된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베이킹하여 찰 파이를 제조하는 단계(S340) 이후 마쉬멜로우, 크림등으로 샌딩한 후 준초콜릿 혹은 식물성크림으로 외피로 코팅할 수 있다.
기지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S310)에서 쇼트닝, 정백당, 계란, 변성전분을 배합하여 기지 반죽을 준비하고, 준비된 기지 반죽을 공급한다.
떡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S320)에서 전분과 물을 배합하여 떡 반죽을 준비하고, 분비된 떡 반죽을 공급한다.
떡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S320)에서 전분과 물의 배합하여 전분반죽으로 만든다. 떡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S320)에서 지속적인 와류 형성을 통해 전분반죽을 충분히 숙성시키고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전분과 물의 배합한 전분반죽의 숙성시간을 조절하여 호화전분의 점도와 식감을 조절할 수 있다.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한번에 데포지트하는 단계(S330)에서,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한번에 데포지트하는 것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듀얼 데포지트함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을 한번에 데포지트하는 단계(S330)에서,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100)를 사용할 경우, 인젝터(130)로부터 사출된 떡 반죽(220)을 듀얼 데포지터(140)에 공급된 기지 반죽(210)으로 감싸, 떡 반죽(220)을 내부에 포함하는 기지 반죽(210)을 외부로 데포지트할 수 있다.
떡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S320)에서 전분과 물의 배합시, 전분이 충분히 물을 먹을 수 있도록 물에 불린 시간인 숙성시간을 컨트롤하고 물의 양을 충분히 공급히야하 한다. 전분 + 물의 숙성시간에 따른 점도와 소성 후 호화정도(투명도)를 비교한 결과는 전술한 표 1과 같다.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떡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S320)에서 전분과 물의 배합시, 숙성시간을 4시간보다 크게 조절하여 투명하고 찰지고 쫀득한 식감을 갖는 떡 반죽을 포함하는 찰 파이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찰 파이 성형방법에서, (1)변성전분 2종을 15~18%, 정백당 8~10%, 폴리글리시톨시럽 40~45%, 유화제, 글리세린, 식물성 유지 등을 사용하여 배합하고, (2)이 배합물을 일정 시간 이상 숙성한 뒤 케이크와 함께 성형하여 일정 온도, 예를 들어 250도 이하 오븐에서 베이킹 공정을 거쳐서 호화시킬 수 있다. 이 때 기지 배합 공정으로, 쇼트닝, 정백당, 물엿, 계란, 변성전분 2종 등으로 만든 배합물을 일정 시간 이상 숙성하여 베이킹 공정에 투입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찰 파이 성형기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에 의해 떡의 노화를 방지하고 쫀득한 식감을 구현한 찰 파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외부로부터 기지 반죽이 공급되고 하면에 연통홀을 포함하는 듀얼 데포지터; 및
    외부로부터 떡 반죽이 공급되고, 상기 듀얼 데포지터의 측면을 관통하고, 말단이 상기 연통홀을 향해 배치되어 상기 떡 반죽으로 상기 연통홀로 사출하는 인젝션을 포함하고,
    상기 인젝터로부터 사출된 떡 반죽을 상기 듀얼 데포지터에 공급된 상기 기지 반죽으로 감싸, 상기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상기 기지 반죽을 상기 연통홀을 통해 외부로 데포지트하는 찰 파이 성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데포지터는 상부의 통 형상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하부의 뿔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뿔 형상부의 하측 말단에 상기 연통홀이 배치되고,
    상기 인젝터는 상기 통 형상부의 측면을 관통하는 찰 파이 성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쇼트닝, 정백당, 계란, 변성전분을 배합하여 상기 기지 반죽을 준비하고, 준비된 상기 기지 반죽을 상기 듀얼 데포지터에 공급하는 기지 배합기; 및
    전분과 물을 배합하여 떡 반죽을 준비하고, 분비된 상기 떡 반죽을 상기 인젝터에 공급하는 떡 배합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찰 파이 성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데포지터듀얼 데포지터연통홀로부터 데포지트된 상기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상기 기지 반죽을 베이킹하는 오븐을 추가로 포함하는 찰 파이 성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 반죽의 점도는 450~550poise이고 상기 떡 반죽의 점도는 140~340poise이고,
    상기 인덱터의 직경은 5 내지 8mm인 찰 파이 성형기.
  6. 기지 반죽과 떡 반죽이 제4항 또는 제5항의 찰 파이 성형기를 이용하여 한번에 데포지팅된 후 베이킹되어 제조된 찰 파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찰 파이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상기 찰 파이에 준초콜릿 또는 식물성 크림이 코팅된 찰 파이.
  8. 쇼트닝, 정백당, 계란, 변성전분을 배합하여 상기 기지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
    전분과 물을 배합하여 떡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기지 반죽과 준비된 떡 반죽을 동시에 공급하여, 상기 떡 반죽을 상기 기지 반죽으로 감싸, 상기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상기 기지 반죽을 한번에 데포지트하는 단계; 및
    데포지트된 상기 떡 반죽을 내부에 포함하는 상기 기지 반죽을 베이킹하여 찰 파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찰 파이 성형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 반죽의 점도는 450~550poise이고 상기 떡 반죽의 점도는 140~340poise인 찰 파이 성형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제조된 상기 찰 파이에 준초콜릿 또는 식물성 크림을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찰 파이 성형방법.
KR1020200009716A 2020-01-28 2020-01-28 찰 파이 성형기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 KR102396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716A KR102396197B1 (ko) 2020-01-28 2020-01-28 찰 파이 성형기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
CN202010461690.6A CN113243406B (zh) 2020-01-28 2020-05-27 一种派成型机和使用其制备的派以及派成型方法
RU2020120966A RU2746449C1 (ru) 2020-01-28 2020-06-25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рисового клейкого пирожного, рисовое клейкое пирожное и способ е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716A KR102396197B1 (ko) 2020-01-28 2020-01-28 찰 파이 성형기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366A true KR20210096366A (ko) 2021-08-05
KR102396197B1 KR102396197B1 (ko) 2022-05-10

Family

ID=7552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716A KR102396197B1 (ko) 2020-01-28 2020-01-28 찰 파이 성형기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96197B1 (ko)
CN (1) CN113243406B (ko)
RU (1) RU2746449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3741A1 (en) 2021-07-22 2023-01-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768B2 (ja) * 1996-09-25 2001-05-08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の吐出装置
KR101116200B1 (ko) * 2011-02-21 2012-03-06 주식회사 오리온 찹쌀 증편이 내부에 포함된 케이크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742B2 (ja) * 1981-04-02 1984-04-17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粘性物の包み成形機
JP3010103B2 (ja) * 1992-12-24 2000-02-14 ハウス食品株式会社 包み込み食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0823950A (ja) * 1994-07-15 1996-01-30 Yamasan Koki Kk 二重包あん装置における内、外包材重合装置
JP3698668B2 (ja) * 2001-07-13 2005-09-21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あん機における固形物供給装置
US7153119B2 (en) * 2002-05-14 2006-12-26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extruding food dough
KR100404022B1 (en) * 2003-02-24 2003-11-01 Orion Corp Rice cake having improved sensory characteristics and keeping quality and production thereof
KR100691333B1 (ko) * 2006-05-29 2007-03-12 이대구 라이스 피자 제조방법
PL2016837T3 (pl) * 2007-07-20 2012-05-31 Kraft Foods R & D Inc Sposób wytwarzania produktu cukierniczego
CN202085641U (zh) * 2011-05-11 2011-12-28 成都松川雷博机械设备有限公司 圆形食品成型机皮馅复合体
CN102715218A (zh) * 2012-07-05 2012-10-10 苏州喜福瑞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蟹膏月饼的制作方法
CN203327927U (zh) * 2013-07-04 2013-12-11 安徽多元食品机械制造有限公司 多功能包馅成型机
PT2944198T (pt) * 2014-05-15 2017-10-11 Barilla G E R Flii -Società Per Azioni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um produto de padaria estável em armazenagem, recheado, do tipo esponja
KR101511915B1 (ko) * 2014-09-24 2015-04-20 주식회사청우식품 앙금 찰떡 초코파이 및 그 제조 방법
CN105495663B (zh) * 2015-11-27 2018-05-25 芜湖市滨江4050早餐工程有限公司 一种双螺杆小型汤圆机
CN107148988B (zh) * 2017-07-26 2020-12-18 镇雄滇龙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板栗派及其制备方法
CN108450498A (zh) * 2018-03-28 2018-08-28 广东知识城运营服务有限公司 一种智能烧饼制作设备
CN109864113A (zh) * 2019-04-11 2019-06-11 舟山市金针食品有限公司 海鲜曲奇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768B2 (ja) * 1996-09-25 2001-05-08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の吐出装置
KR101116200B1 (ko) * 2011-02-21 2012-03-06 주식회사 오리온 찹쌀 증편이 내부에 포함된 케이크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3741A1 (en) 2021-07-22 2023-01-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43406A (zh) 2021-08-13
CN113243406B (zh) 2023-06-06
RU2746449C1 (ru) 2021-04-14
KR102396197B1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171B1 (ko) 누룽지 칩의 제조방법
KR101300547B1 (ko) 바삭바삭 도넛의 제조방법
KR102277052B1 (ko) 단호박빵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단호박빵
KR102396197B1 (ko) 찰 파이 성형기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찰 파이, 찰 파이 성형방법
US20180000097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shelf-stable filled sponge-type bakery product
KR101724664B1 (ko) 고구마 앙금빵 및 그 제조방법
KR101367851B1 (ko) 도넛의 제조방법
KR101610913B1 (ko) 쌀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과류 식품
KR101466231B1 (ko) 술찐빵의 제조방법
KR101924012B1 (ko) 로스팅 옥수수 알갱이를 포함하는 옥수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수수빵
KR101894286B1 (ko) 글루텐-프리 슈 패스트리의 제조방법
KR20170006641A (ko) 구운 떡 빵 및 그 제조방법
KR102074256B1 (ko) 글루텐 성분을 최소화하는 빵의 제조방법
KR101608830B1 (ko) 글루텐 무첨가 고구마형 쌀 구움과자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24010B1 (ko) 옥수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수수빵
KR101906109B1 (ko) 쑥떡이 함유된 쌀 팥빵의 제조방법
KR101753853B1 (ko) 구운 떡 빵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7062A (ko) 주진주 쌀쿠키
KR102238243B1 (ko) 이중 반죽볼을 이용한 치즈크림 에클레어 제조방법
KR102464165B1 (ko) 스탬핑 반죽된 현미를 이용한 오븐스프링 및 조직감이 향상된 식빵의 제조방법
KR102377884B1 (ko) 감자빵 제조방법
KR102208652B1 (ko) 자색고구마빵 제조방법
KR102414849B1 (ko) 신규한 누룽지 면류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260661B1 (ko) 다양한 종류의 필링을 사용한 한과의 제조 방법
KR102517264B1 (ko) 초코파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