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897A - 곤달비의 영양성분 및 향이 살아 있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곤달비의 영양성분 및 향이 살아 있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897A
KR20210059897A KR1020190147280A KR20190147280A KR20210059897A KR 20210059897 A KR20210059897 A KR 20210059897A KR 1020190147280 A KR1020190147280 A KR 1020190147280A KR 20190147280 A KR20190147280 A KR 20190147280A KR 20210059897 A KR20210059897 A KR 20210059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albi
rice
namulbap
manufacturing
boi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283B1 (ko
Inventor
신덕순
이영은
김원신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7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2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달비를 이용하여 곤달비의 영양성분 및 곤달비의 향과 맛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나물밥 및 양념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강기능성이 좋고 향이 좋은 곤달비를 곤달비 나물밥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 및 이와 더불어 곤달비의 향이 살아있는 최적의 양념장의 레시피를 제공하여 곤달비 나물밥이라는 새로운 상품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지리산으로 배경으로 매우 우수한 품질의 곤달비가 생산되는 남원의 대표 음식으로 산업화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곤달비의 영양성분 및 향이 살아 있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erb rice abundant nutrition and aroma using Ligularia stenocephala}
본 발명은 나물밥 및 양념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곤달비를 이용하여 곤달비의 영양성분 및 곤달비의 향과 맛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나물밥 및 양념장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쌀은 보리, 밀과 함께 세계적으로 중요한 농산물로서 대부분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생산되며, 쌀에 물을 넣고 끓여서 익힌 밥은 오랫동안 생산지역의 주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쌀에는 몸에 유익한 여러 가지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도정 정도에 따라 현미, 백미 등으로 분류되는데, 도정과정을 거칠수록 각 영양소의 함량이 감소한다.
현미에는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소화흡수율이 낮고 질감이 까칠까칠한 단점이 있어서 식감이 좋은 백미를 선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백미는 도정과정에서 쌀의 표피부분에 해당하는 미강과 쌀눈을 대부분 깎아내어, 미강과 쌀눈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당질, 단백질, 지질, 미네랄, 나이아신, 식이섬유 등의 영양소가 대부분 손실되고 주로 탄수화물만 존재한다.
따라서, 밥을 주식으로 할 경우,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보충하기 위하여 반찬을 여러 가지 마련하여 밥과 함께 섭취하거나, 밥을 지을 때 다른 음식재료, 예를 들어 두류, 채소류, 서류 등을 쌀과 혼합하여 밥을 지음으로써 영양소의 균형을 도모한다.
밥에 채소류를 혼합하는 대표적인 음식으로서 나물밥과 비빔밥이 있는데, 나물밥은 나물을 쌀에 넣고 섞어서 지은 밥이고 비빔밥은 밥에 고기나 나물 따위와 여러 가지 양념을 넣어 비벼 먹는 밥을 가리키며, 이러한 나물밥이나 비빔밥의 형태로 균형있는 영양소를 포함하도록 함과 동시에 맛을 좋게 하여 상품성이 높은 음식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예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51931호에는 다시마가 첨가된 다시마 밥,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92941호에는 생약재와 닭고기를 이용한 편의 당뇨식이용 밥,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43284호에는 동치미 무 또는 김치, 고기류를 첨가한 밥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589649호에는 솥에 쌀과 물을 넣고 그 위에 데친 곤드레 나물을 펼쳐두고 들기름, 식용유 및 참깨를 뿌려서 제조되는 곤드레 나물밥이 개시되어 있으며, 밥에 곤드레 나물의 영양분을 더하면서 담백하고 고소한 맛을 제공하는데, 곤드레 나물은 무기성분, 비타민, 탄수화물 및 섬유질 함량이 높아서 밥에 부족한 영양성분을 보완해 줄 수 있다.
곤드레와 같은 나물을 이용하는 밥을 하는 경우, 밥을 짓는 과정에서 나물의 향 등 사리질 수 있어 이에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식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나물을 이용한 나물밥을 개발하여 밥 자체의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면 영양 성분을 보강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나물밥이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51931호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43284호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589649호
나물밥으로 제조되어 개발되지 않은 다양한 나물 중에서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잎과 꽃이 곰취를 많이 닮았으나, 향이 더 진한 곤달비의 나물밥으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는데,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 (Maxim.) Matsum . & Koidz .)는 항산화성이 있는 폴리페놀 함량은 254mg/g으로 풍부하며, caffeoyl quinine acid 유도체가 19.6mg/g으로 아주 풍부하다. 항산화활성, α-glucosidase 저해 활성 등이 있어 제2형 당뇨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항암 활성, 항혈전 효과, 간 보호 효과 등에 대한 보고도 있는 웰빙 나물이다.
곤달비는 caffeoyl quinic acid, β-sesquiphelladrene, sabinene, germacrene D, β-cryophyllene, β-cadinene 등의 terpene 류의 향기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향이 진해 봄에는 어린 잎을 잎자루째 뜯어 쌈으로 먹으며, 잎이 억세지기 시작하는 6월부터는 말려서 묵나물 볶음이나 장아찌 등을 해서 먹는다.
이와 같은 곤달비는 하기 표 1의 영영 성분에서 알 수 있듯이 영양적으로도 우수하여 식이섬유가 많고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무기질이 풍부하여 비만 예방, 뼈 건강 및 짜게 먹는 습관을 가진 우리나라 사람들의 나트륨 배출을 도와 고혈압 예방에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은 건강기능성이 좋고 향이 좋은 곤달비를 곤달비 나물밥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 및 이와 더불어 곤달비의 향이 살아있는 최적의 양념장의 레시피를 제공하여 곤달비 나물밥으로 이라는 새로운 상품으로 개발하며, 특히 지리산으로 배경으로 매우 우수한 품질의 곤달비가 생산되는 남원의 대표 음식으로 산업화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밥을 지을 때 건조 곤달비를 부가하며,
양념장은 간장에 데친 곤달비 또는 생 곤달비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곤달비는 70℃에서 24hr 열풍 건조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친 곤달비는 생 곤달비 1kg당 물 8L, 소금 130g(1.625%(w/v))을 넣어 4분 동안 데쳐 곤달비를 물기를 제거한 후에 냉동하였다가 사용할 때 해동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친 곤달비 또는 생 곤달비 50g에 간장 100mL의 비율로 양념장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밥을 지을 때 사용되는 물은 물 100mL을 기준으로 레몬즙 1mL과 올리브오일 lmL를 부가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보아 같은 본 발명은 건강기능성이 좋고 향이 좋은 곤달비를 곤달비 나물밥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 및 이와 더불어 곤달비의 향이 살아있는 최적의 양념장의 레시피를 제공하여 곤달비 나물밥이라는 새로운 상품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지리산으로 배경으로 매우 우수한 품질의 곤달비가 생산되는 남원의 대표 음식으로 산업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색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생 곤달비, 데친 곤달비, 건조 곤달비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곤달비 비빔밥 및 양념장에 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이 제조하는 과정 및 레시피를 재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요소로 해석이 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곤달비가 나물밥에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은 첫째, 건조한 곤달비를 사용하는 방법, 둘째 데친 곤달비를 냉동 보관하였다가 필요할 때 해동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데치거나 건조하지 않은 생 곤달비를 바로 밥을 짓는데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생 곤달비가 나오는 시기가 한정이 되어 있어 산업화하기에는 부적절하여 제외하였다.
상술한 2가지 방법에 대하여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을 하였으며, 구체적인 과정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친 곤달비는 생 곤달비 1kg당 물 8L, 소금 130g(1.625%(w/v))을 넣어 4분 동안 데친 곤달비를 꼭 짜서 한입에 먹기 좋은 크기로 잘게 썰어 1인 분량씩 (35g) 소분하여 -18℃ 이하에서 냉동하여 준비하였다.
건조 곤달비는 70℃에서 24hr 열풍 건조(수율 11%)하여 준비하여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나물밥의 재료로 사용되는 곤달비의 색도를 색도계를 사용하여 Hunter의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24를 활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과 Duncan's 다중범위검정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여 그 결과를 도 1 및 표 2에 나타냈다.
색도 측정 결과, 생 곤달비, 데친 곤달비 및 건 곤달비의 색도는 명도, 적색도, 황색도에 매우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p<0.000). 생 곤달비가 가장 밝은 연한 녹색을 띠며, 데치게 되면 녹색은 진해지며, 건 곤달비는 검푸른 색으로 색이 변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색도 측정 결과에서 녹색이 진해지는 데친 곤달비 또는 검푸른 색으로 변화는 건조 곤달비 모두 나물밥으로 사하는데 소비자의 기호성을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의 내로 판단되어 2가지 모두를 나물밥에 이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건조 곤달비와 데친 곤달비를 이용하여 나물밥을 짓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쌀 80g, 건 곤달비를 이용해서 나물밥 제조시 물 100mL, 데쳐서 냉동한 냉동 곤달비 사용시 물 93mL, 건 곤달비를 6g과 데쳐서 냉동한 곤달비 35g을 준비한다.
건 곤달비는 찬물에 씻어 5분간 불린 후 끓는 물에 10초 동안 데쳐 한 번 더 찬물에 씻어 한입에 먹기 좋은 크기로 잘게 썰어 놓는다. 데쳐서 냉동한 곤달비는 찬물로 한번 헹궈 체에 받쳐 꼭 짠 후 해동한다.
쌀 80g을 3번 씻어 헹궈 체에 밭쳐 물기를 완전히 없앤 후 돌솥에 쌀과 각각 분량의 물을 넣고 그 위에 불려서 데친 건 곤달비와 해동한 곤달비를 올려 밥을 짓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념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양념장은 간장 베이스이며, 나물밥에서 곤달비의 향을 충분히 살리기 위하여 데친 곤달비(곤달비 데쳐서 얼려 놓은 것을 해동해서 사용) 또는 생 곤달비(봄에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은 데친 곤달비 또는 생 곤달비 50g, 물 50mL, 간장 100mL, 쪽파 30g, 청양고추 10g, 홍고추 10g, 다진 마늘 20g, 깨소금 10g, 들기름 10mL, 맛술 30mL을 준비한다.
곤달비는 후드 믹서(전기다짐기)에 1분 동안 다지고 쪽파, 청양고추, 홍고추는 칼을 이용해 잘게 다지고 다진 마늘, 깨소금, 들기름, 맛술을 넣고 고루 섞어 양념장을 제조한다.
곤달비는 생으로 향이 매우 진하나, 오래 가열하며 향이 휘발하여 약해지므로 곤달비의 진한 향을 보존하기 위해 양념장에 데친 곤달비 또는 생 곤달비를 다져 넣어 곤달비 특유의 향을 느끼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곤달비 나물밥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구체적이 내용은 아래와 같다.
생 곤달비를 살짝 데쳐 냉동해두었다가 해동한 데친 곤달비, 열풍 건조한 곤달비를 활용하여 건 곤달비 나물밥과 상술한 양념장을 넣고 비벼 소비자 기호도검사를 20~60대 소비자 30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색, 향, 맛, 조직감에 대한 기호도와 전체적인 기호도를 7점 만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24를 활용하여 T-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여(*p<0.05, ***p<0.001), 그 결과를 도 2 및 표 3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3
곤달비 나물밥의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색, 향, 맛,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 모두 데친 곤달비로 제조한 나물밥보다 70℃에서 24시간 열풍 건조하여 제조한 건 곤달비 나물밥이 기호도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향(p<0.05)과 맛(p<0.001), 전체적인 기호도(p<0.001)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상기 관능 테스트는 양념장에 데친 곤달비를 부가하여 실시한 결과이며, 여기서 좋은 평가를 얻었던 건 곤달비 나물밥을 그대로 하고 양념장에서 곤달비를 제거한 양념장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4의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색, 향, 맛,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 데친 곤달비를 다져 넣은 양념장으로 비빈 곤달비 나물밥이 양념장에 곤달비를 넣지 않고 만든 간장양념장으로 비빈 곤달비 나물밥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향(p<0.05)과 맛(p<0.001), 전체적인 기호도(p<0.001)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곤달비 나물밥의 향, 맛, 조직감 등 전체적인 기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밥을 짓는 물에 100mL을 기준으로 레몬즙 1mL과 올리브오일 lmL을 넣고 건조한 곤달비와 데친 곤달비 함유 양념장을 이용하여 상기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5
즉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밥 짓는 물에 변형을 준 실시예에서 향, 맛, 전체적인 기호도 등 모든 면에서 유의미하게 향상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는 밥을 짓을 때에는 건조한 곤달비를 사용하며, 양념장에는 데친 곤달비 내지 생식이 가능한 봄 시기에는 생 곤달비를 넣는 것으로 하였으며, 또한 밥을 짓는 물에 레몬즙과 올리브 오일을 부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Claims (5)

  1. 밥을 지을 때 건조 곤달비를 부가하며,
    양념장은 간장에 데친 곤달비 또는 생 곤달비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곤달비는 70℃에서 24hr 열풍 건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친 곤달비는 생 곤달비 1kg당 물 8L, 소금 130g(1.625%(w/v))을 넣어 4분 동안 데쳐 곤달비를 물기를 제거한 후에 냉동하였다가 사용할 때 해동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친 곤달비 또는 생 곤달비 50g에 간장 100mL의 비율로 양념장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밥을 지을 때 사용되는 물은 물 100mL을 기준으로 레몬즙 1mL과 올리브오일 lmL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KR1020190147280A 2019-11-18 2019-11-18 곤달비의 영양성분 및 향이 살아 있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KR10236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280A KR102361283B1 (ko) 2019-11-18 2019-11-18 곤달비의 영양성분 및 향이 살아 있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280A KR102361283B1 (ko) 2019-11-18 2019-11-18 곤달비의 영양성분 및 향이 살아 있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897A true KR20210059897A (ko) 2021-05-26
KR102361283B1 KR102361283B1 (ko) 2022-02-10

Family

ID=7613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280A KR102361283B1 (ko) 2019-11-18 2019-11-18 곤달비의 영양성분 및 향이 살아 있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133B1 (ko) 2022-03-25 2022-06-24 구형우 내오염성과 향미 보존성이 우수한 꼬리곰탕 및 그 조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통용 가정식 꼬리곰탕파우치 완성방법
KR102413136B1 (ko) 2022-03-25 2022-06-24 구형우 내오염성과 향미 보존성이 우수한 육탕 조리방법 및 이를 즉시 포장하는 포장필름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통용 가정식 육탕파우치 완성방법
KR102413122B1 (ko) 2022-03-26 2022-06-24 구형우 내오염성과 향미 보존성이 우수한 도가니탕 및 그 조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통용 가정식 도가니탕파우치 완성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284B1 (ko) 2002-05-13 2004-08-09 한태주 동치미 ·고기류를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KR100451931B1 (ko) 2002-04-19 2004-10-08 류홍수 다시마입자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다시마밥
KR100589649B1 (ko) 2004-06-07 2006-06-14 이금자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KR20130083991A (ko) * 2012-01-16 2013-07-24 박승림 산야채 함유 단백질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931B1 (ko) 2002-04-19 2004-10-08 류홍수 다시마입자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다시마밥
KR100443284B1 (ko) 2002-05-13 2004-08-09 한태주 동치미 ·고기류를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KR100589649B1 (ko) 2004-06-07 2006-06-14 이금자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KR20130083991A (ko) * 2012-01-16 2013-07-24 박승림 산야채 함유 단백질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려엉겅퀴 및 컴프리를 이용한 양조간장의 개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26권 제6호, 1997, 1152-1158 *
'곤달비밥' 요리해서 먹어봤어요 (곤달비 나물밥), 네이버 블로그(2017.5.1), 인터넷(https://blog.naver.com/jungeun85623/220996289488)) *
달래양념장과 함께 먹으니 더 맛있는 곤드레밥 만들기 & 곤드레나물삶기, 네이버 블로그(2016.2.21), 인터넷(https://blog.naver.com/sunbeeno1/220633484396) 1부.* *
한식을 위한 요리 상식, 티스토리 블로그(2018.1.5), 인터넷(https://dreamtistory.tistory.com/310)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283B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1283B1 (ko) 곤달비의 영양성분 및 향이 살아 있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CN105145873A (zh) 一种凉拌增香油
KR20100035454A (ko) 간장양념소스
KR101026732B1 (ko) 오미자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오미자소스
KR100557026B1 (ko) 사과를 함유하는 고기 숙성용 양념조성물 및 이 고기숙성용 양념 조성물로 숙성된 고기
KR100927945B1 (ko) 쑥떡떡갈비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쑥떡떡갈비
KR101171010B1 (ko)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607838B1 (ko) 홍삼 수육 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홍삼 수육 조림
KR101246727B1 (ko) 미역을 포함하는 미역 파스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3905A (ko) 해산물을 이용한 김치양념 조성물
KR101866365B1 (ko) 콩나물 짬뽕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17614A (ko) 묵은김치 함유 떡갈비 제조법
KR100458801B1 (ko) 조개고추장볶음 및 그 제조방법
KR102348923B1 (ko) 사과건자두 퓨레를 이용한 김치 페이스트 제조방법
RU254140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олуфабрикатов рубленых из мяса птицы, завернутых в растительный лист
KR102588734B1 (ko) 짬뽕 감자 제조방법
KR101633714B1 (ko) 흰찰쌀보리를 이용한 강된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강된장 소스
KR101226095B1 (ko) 요리용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72062B1 (ko) 백년초의 과즙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10370B1 (ko) 김치 양념
KR100961243B1 (ko) 심황과 갈치를 첨가한 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0156B1 (ko) 전복부산물(전복 패각 및 내장)을 활용한 칼슘이 보강된 김치 양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9507B1 (ko) 막장 닭갈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613615B1 (ko) 산사를 함유하는 약선 조림간장의 제조방법
KR101863337B1 (ko) 오디를 이용한 고춧가루 소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