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548A -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548A
KR20210033548A KR1020217007462A KR20217007462A KR20210033548A KR 20210033548 A KR20210033548 A KR 20210033548A KR 1020217007462 A KR1020217007462 A KR 1020217007462A KR 20217007462 A KR20217007462 A KR 20217007462A KR 20210033548 A KR20210033548 A KR 20210033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induction
induction block
block
magnetic
movab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601B1 (ko
Inventor
캉핑 저우
Original Assignee
둥관 중후이 루이더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둥관 중후이 루이더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둥관 중후이 루이더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5Details particular to cont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63Details concerning air-gaps, e.g. anti-remanence, damping, anti-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01H2050/025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containing inert or dielectric gasses, e.g. SF6, for arc prevention or arc exti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3/00Relays using the dynamo-electric effect, i.e. relays in which contacts are opened or closed due to relative movement of current-carrying conductor and magnetic field caused by force of interaction between them
    • H01H53/02Electrodynamic relays, i.e. relays in which the interaction is between two current-carrying conductors
    • H01H53/04Ferrodynamic relays, i.e. relays in which the magnetic field is concentrated in ferromagnetic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Electromagnet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어셈블리 및 푸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하우징 어셈블리는 2개의 고정 접촉자, 제1 자기 유도 블록, 커버, 전이 블록 및 요크판을 포함한다. 제1 자기 유도 블록은 커버의 상부 내측면에 설치된다. 푸시 어셈블리는 고정 프레임, 스토퍼, 가동 스프링, 제2 자기 유도 블록, 탄성 부재 및 푸시 로드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은 2개의 고정 사이드 암 및 인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스토퍼의 일단은 고정 사이드 암의 말단에 연결되고, 스토퍼의 타단은 다른 고정 사이드 암의 말단에 연결된다. 가동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2개의 고정 접촉자를 향해 설치되고,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제1 자기 유도 블록을 향해 설치된다.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자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단락 방지 구조는 코일이 여기되면,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제2 자기 유도 블록의 위치가 오버트래블의 진행으로 인해 변하지 않는다. 자기 공극은 오버트래블이 커짐에 따라 커지지 않고, 오버트래블의 증가는 자기 흡인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릴레이의 단락 방지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Description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본 발명은 릴레이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중국 특허 CN201180035052.7는 접점 장치를 공개하였고, 하우징 내에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을 수납하고,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서로 접속 및 분리되는 접점 장치로서, 상기 접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상기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 단자; 상기 고정 접점에 접속 및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일면에 갖는 가동 접촉부재;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부재의 일면측에 배치되고, 일면이 하우징의 내면에 대향하고 타면이 상기 가동 접촉부재의 일면에 대향하는 제 1 요크;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부재의 타면측에 배치되고, 일면이 상기 가동 접촉부재를 거쳐서 상기 제 1 요크의 타면에 대향하는 제 2 요크; 상기 가동 접촉부재를 상기 고정 접점측으로 힘을 가하는 접압 스프링; 상기 제1 요크와 일체로 이동하는 가동축; 및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속 및 분리되도록, 상기 가동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가동 접촉부재가 상기 고정 접점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가동 접촉부재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가동 접촉부재와 마주하는 부분의 상기 제1 요크의 두께가 상기 제2 요크보다 크게 형성된다. 중국 특허 CN201180035052.7의 설명서 및 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가동축은 구동부에 의해 위쪽으로 변위되고,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맞닿아, 접점 간 도통한다. 가동 접촉부재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가동 접촉부재의 주위에 자기장이 발생하여, 요크판을 통과하는 자속이 형성되고, 요크판 사이에 자기 흡인력이 발생한다.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에 고장 전류로 인해 전기적 반발력이 발생하면, 요크판 사이의 자기 흡인력은 전기적 반발력을 억제하도록 억제 작용을 일으켜, 가동 접점과 가동 접점이 분리되지 않도록 보장하여, 단락 방지 기능을 구현한다.
그러나, 릴레이에서 동적 접점과 정적 접점이 접촉할 때 반드시 오버트래블이 발생해야 하므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맞닿은 후, 가동축은 여전히 계속 위로 일정하게 변위되고, 접압 스프링이 더 압축(즉 압축 탄성 변형이 발생)되면서, 오버트래블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요크판 중 하나는 다른 요크판으로부터 멀어지고, 두 요크판 사이에 자기 공극이 발생한다(즉 요크판과 요크판 사이에 갭이 발생한다). 요크판 사이의 자기 공극이 커질수록, 자기 회로 중의 자기 저항이 커진다. 즉, 두 요크판 사이의 자기 흡인력은 자기 공극이 커짐에 따라 감소된다. 릴레이의 기술 분야에서, 오버트래블은 하나의 매우 중요한 매개 변수이다. 예를 들면, 동적 접점과 정적 접점이 접착될 경우, 더 큰 오버트래블은 더 큰 차단력을 제공하여, 접착 부위를 효과적으로 뜯어낼 수 있다. 중국 특허 CN201180035052.7에 공개된 접점 장치에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오버트래블이 커질수록, 두 요크판 사이의 자기 공극이 커지므로, 자기 흡인력이 작아지게 하여, 단락 방지 기능에 영향을 주고, 오버트래블과 자기 공극 사이에 모순이 있다.
이를 기초로, 오버트래블의 증가로 인해 자기 공극이 커져, 단락 방지 기능에 영향을 주는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는 하우징 어셈블리와 푸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는 2개의 고정 접촉자, 제1 자기 유도 블록, 커버, 전이 블록 및 요크판을 포함한다. 2개의 상기 고정 접촉자는 커버를 관통하여 커버에 연결되고,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은 커버의 상부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는 전이 블록을 통해 요크판에 연결된다. 상기 푸시 어셈블리는 고정 프레임, 스토퍼, 가동 스프링, 제2 자기 유도 블록, 탄성 부재 및 푸시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2개의 고정 사이드 암 및 인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2개의 상기 고정 사이드 암은 상기 인계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의 일단은 고정 사이드 암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은 다른 상기 고정 사이드 암의 말단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 부재는 2개의 상기 고정 사이드 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인계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에 연결된다.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면은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 스프링의 타면은 상기 스토퍼에 맞닿는다. 상기 푸시 로드의 단부는 상기 고정 사이드 암을 등지는 상기 인계 플레이트의 일면에 연결된다. 상기 커버, 상기 전이 블록 및 상기 요크판은 공통으로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 상기 고정 프레임, 상기 스토퍼, 상기 가동 스프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 및 상기 탄성 부재는 모두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수용된다. 상기 푸시 로드는 요크판을 관통하여 상기 요크판과 가동 연결된다. 상기 가동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2개의 상기 고정 접촉자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을 향해 설치된다.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자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은 스트립형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U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의 양측벽은 상기 가동 스프링 및 상기 스토퍼의 양측변을 감싸고,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의 양단의 단면은 각각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의 양단을 향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는 절연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홀더는 역 U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절연 홀더는 상기 커버의 내측벽에 접합되게 설치되고, 2개의 상기 고정 접촉자는 모두 상기 절연 홀더를 관통하고, 상기 절연 홀더에 장착홈이 개설되어 있고,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은 상기 장착홈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절연 홀더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상기 절연 홀더는 접착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 홀더의 양측벽에 모두 소호 윈도우가 개설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스트립형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은 U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의 양단의 단면은 각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의 양단을 향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 스프링은 스트립형 시트 구조이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이 설치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이 설치되고, 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측 장변에서 타측 장변까지 일자형으로 배열 설치되고, 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모두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을 향하고, 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모두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독립된 자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측 단변에서 타측 단변까지 일자형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기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모두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을 향하고, 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모두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독립된 자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 스프링은 스트립형 시트 구조이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이 설치되고, 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측 단변에서 타측 단변까지 일자형으로 배열 설치되고, 각 상기 제2자기 유도 블록은 모두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을 향하고, 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모두 상기 제1 자기 유 도 블록과 자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에는 아크를 차단하기 위한 아크 차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상기 커버는 접착 연결된다.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는, 릴레이 중의 코일이 여기되면, 푸시 어셈블리는 고정 접촉자를 향해 이동하고, 가동 스프링의 양단은 2개의 고정 접촉자와 각각 맞닿으며, 이때,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제2 자기 유도 블록이 맞닿는다. 오버트래블의 진행에 따라, 탄성 부재는 계속 압축되고, 제1 자기 유도 블록이 커버의 상부 내측면에 설치되므로,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제2 자기 유도 블록의 위치 관계는 오버트래블이 계속되어도 변하지 않는다. 즉,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제2 자기 유도 블록의 자기 공극은 변하지 않고,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제2 자기 유도 블록의 자기 공극은 오버트래블이 커짐에 따라 커지지 않으며, 오버트래블의 증가는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제2 자기 유도 블록 사이의 자기 흡인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릴레이의 단락 방지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오버트래블과 자기 공극 사이의 모순 관계를 해결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다른 상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다른 상태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다른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다른 상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다른 상태 개략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푸시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다른 시각에서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또 다른 시각에서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하우징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하우징 어셈블리의 다른 구조 개략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절연 홀더 및 제1 자기 유도 블록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다른 시각에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또 다른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부분 구조 개략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다른 부분 구조 개략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의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또 다른 부분 구조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이 더욱 명백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이하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도록,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많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된 것과 다른 기타 많은 방식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본 발명에 포함된 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한 유사한 변경을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아래에 공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중심”, “세로 방향”, “가로 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상부”, “하부”, “내”, “외”,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축 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 등 용어가 나타내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한 것으로, 단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한 방위를 가지고, 특정한 방위로 구성되거나 조작되어야 함을 지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등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기술 특징의 수를 암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제 1” 및 “제 2”로 한정되는 특징은 하나 이상의 이러한 특징들을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복수”라는 용어는 적어도 2개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2개, 3개 등이다.
본 발명에서, 별도의 명백한 규정 및 한정이 없는 한,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등의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해야 하며, 예를 들면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를 이룰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2개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2개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에서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별도의 명백한 규정 및 한정이 없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또는 “아래”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거나,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 접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상방” 및 “위쪽”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상방 또는 경사진 상방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단지 1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음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에서의 “아래”, “하방” 및 “아래쪽”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하방 또는 경사진 하방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음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에 “고정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했을 경우, 다른 소자에 직접 고정되거나 또는 중간 소자가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에 “연결된다”고 했을 경우, 다른 소자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동시에 중간 소자가 존재할 수 있다. 본문에서 사용되는 “수직”, “수평”, “상”, “하”, “좌”, “우” 및 유사한 표현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유일한 실시 방식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본 발명은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10)를 제공하고,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1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와 푸시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2개의 고정 접촉자(110), 제1 자기 유도 블록(120), 커버(130), 전이 블록(160) 및 요크판(140)을 포함한다. 2개의 고정 접촉자(110)는 커버(130)를 관통하여 커버(130)에 연결되고,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커버(130)의 상부 내측면에 설치되고, 커버(130)는 전이 블록(160)을 통해 요크판(140)에 연결된다. 푸시 어셈블리(200)는 고정 프레임(210), 스토퍼(220), 가동 스프링(230),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탄성 부재(250) 및 푸시 로드(260)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210)는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 및 인계 플레이트(212)을 포함한다.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은 인계 플레이트(212)의 상대적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스토퍼(220)의 일단은 고정 사이드 암(11)의 말단에 연결되고, 스토퍼(220)의 타단은 다른 고정 사이드 암(211)의 말단에 연결된다. 탄성 부재(250)는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 부재(250)의 일단은 인계 플레이트(212)에 연결되고, 탄성 부재(250)의 타단은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에 연결된다. 가동 스프링(230)의 일면은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에 연결되고, 가동 스프링(230)의 타면은 스토퍼(220)에 맞닿는다. 푸시 로드(260)의 단부는 고정 사이드 암(211)을 등지는 인계 플레이트(212)의 일면에 연결된다. 커버(130)와 요크판(140)은 수용 챔버(131)를 형성하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 고정 프레임(210), 스토퍼(220), 가동 스프링(230),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및 탄성 부재(250)는 모두 수용 챔버(131) 내에 수용된다. 푸시 로드(260)는 요크판(140)을 관통하여 요크판(140)과 가동 연결된다. 가동 스프링(230)의 양단은 각각 고정 접촉자(110)를 향해 설치되고,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을 향해 설치된다.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자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10)는 릴레이 중의 코일이 여기되면, 푸시 어셈블리(200)는 고정 접촉자(110)를 향해 이동하고, 가동 스프링(230)의 양단은 2개의 고정 접촉자(11)와 각각 맞닿으며, 이때,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맞닿는다. 오버트래블의 진행에 따라, 탄성 부재(250)는 계속 압축되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이 커버(130)의 상부 내측면에 설치되므로,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위치 관계는 오버트래블이 계속되어도 변하지 않는다. 즉,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자기 공극은 변하지 않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자기 공극은 오버트래블이 커짐에 따라 커지지 않으며, 오버트래블의 증가는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사이의 자기 흡인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릴레이의 단락 방지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오버트래블과 자기 공극 사이의 모순 관계를 해결한다.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릴레이 중의 고정 부재로 사용된다. 즉, 릴레이 중의 코일이 여기될 때,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이동하지 않는다. 2개의 고정 접촉자(110)는 외부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고정 접촉자(110)가 가동 스프링(230)과 맞닿으면, 외부 회로가 도통된다. 커버(130)와 요크판(140)은 푸시 어셈블리(200)를 패키징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커버(130)는 장방형 구조의 케이스이며, 추가로, 커버(130)는 세라믹 커버이다. 세라믹 커버는 절연 능력이 강하고, 강도가 높고, 내고온 및 내노화 능력이 강한 특성을 가진다. 전이 블록(160)은 커버(130)와 요크판(140) 사이의 연결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전이 블록(160)은 Kovar합금, 구리 및 구리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재료이다. 전이 블록(160)을 설치하여 커버(130)와 요크판(140)을 연결하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상용적 기술 수단이며, 커버(130)와 요크판(140)의 연결을 이루고 그 기밀성을 확보하는 유일한 방식이며, 그 연결 구조와 원리는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커버(130), 전이 블록(160) 및 요크판(140)의 구조 형상은 실제 제품의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커버(130), 전이 블록(160) 및 요크판(140)은 공동으로 수용 챔버(131)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수용 챔버(131)는 소호실(消弧室)에 해당하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 고정 프레임(210), 스토퍼(220), 가동 스프링(230),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및 탄성 부재(250)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릴레이 구조의 안전을 보장한다. 추가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 챔버(131)에 아크 냉각 능력이 강한 가스로 채워져 있고, 예를 들면, 수소를 본체로 하는 혼합 가스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소호 성능을 증강시킨다.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제2 자기 유 도 블록(240)과 자속을 형성한다. 2개의 고정 접촉자(110)와 가동 스프링(230)가 맞닿을 경우, 회로는 도통되고, 가동 스프링(230)은 전류가 흐른다. 암페어의 법칙, 즉 오른손 나선 법칙에 따르면,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자속을 형성하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사이에 자기 인력이 발생되고, 즉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이 서로 끌어당긴다.
푸시 어셈블리(200)는 릴레이 중의 동작 부재로 사용되고, 즉, 릴레이 중의 코일이 여기되면, 푸시 어셈블리(200)는 동작을 발생시키고, 즉 전체 푸시 어셈블리(200)는 고정 접촉자(110)를 향해 이동한다. 고정 프레임(210)는 탄성 부재(250),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가동 스프링(230) 및 스토퍼(220)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사이드 암(211)은 장방체의 판형 구조이고, 인계 플레이트(212)은 장방체의 판형 구조이며, 이와 같이,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 및 인계 플레이트(212)으로 구성된 고정 프레임(210)는 더욱 견고하다. 인계 플레이트(212)은 탄성 부재(250)에 대해 지지 작용을 하고,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은 탄성 부재(250)에 대해 위치 제한 작용을 일으켜, 탄성 부재(250)가 외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과 인계 플레이트(212) 사이의 연결 관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과 인계 플레이트(212)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과 인계 플레이트(212) 사이는 견고하게 연결되어, 고정 프레임(210)의 내충격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해, 고정 프레임(210)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푸시 로드(260)는 힘을 받는 부재이고, 푸시 로드(260)는 원주형 구조를 이루며, 코일이 여기된 후, 전자력이 푸시 로드(260)에 작용하고, 푸시 로드(260)는 고정 프레임(210)을 푸시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전체 푸시 어셈블리(200)가 고정 접촉자(110)를 향해 이동하도록 한다.
탄성 부재(250)는 탄성 작용력을 제공한다. 가동 스프링(230)의 양단이 2개의 고정 접촉자(110)에 접촉하면, 탄성 부재(250)의 탄성력이 가동 스프링(230)에 작용하여, 가동 스프링(230)과 고정 접촉자(110)의 맞닿음 관계가 유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50)는 압축 스프링이다. 가동 스프링(230)은 회로를 도통시킨다. 릴레이가 외부 회로에 연결되어, 2개의 고정 접촉자(110)와 가동 스프링(230)의 양단이 접촉하면, 외부 회로가 도통되고, 전류는 가동 스프링(230)을 흘러간다. 스토퍼(220)는 탄성 부재(250),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및 가동 스프링(230)을 추가적으로 위치 한정하여,푸시 어셈블리(200)의 구조를 안정되게 한다. 스토퍼(220)의 일단은 고정 사이드 암(211)의 말단에 연결되고, 스토퍼(220)의 타단은 다른 고정 사이드 암(211)의 말단에 연결된다. 탄성 부재(250),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및 가동 스프링(230)은 고정 프레임(210)와 스토퍼(220)사이에 위치하고,릴레이의 코일이 여기되지 않으면, 탄성 부재(250)의 탄성 작용에 의해, 가동 스프링(230)과 스토퍼(220)는 맞닿는다. 이와 같이, 가동 스프링(230)의 탄성 부재(250)의 탄성 작용에 의한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푸시 어셈블리(200)의 구조 안정성을 보장한다.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자속을 형성한다.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이 커버(130) 상에 고정되므로,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동작 부재이다. 자기 흡인력의 작용에 의해,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가까워지게 이동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2개의 고정 접촉자(110)와 가동 스프링(230)에 큰 전류(예를 들면 6000A의 전류)가 흐를 경우, 전류의 수축으로 인해, 고정 접촉자(110)와 가동 스프링(230)은 양자가 맞닿는 부분에서 전기적 반발력이 발생하고, 전기적 반발력은 가동 스프링(230)을 푸시하여 고정 접촉자(11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전기적 반발이 탄성 부재(250)가 제공하는 탄성 작용력보다 크면, 가동 스프링(230)은 2개의 고정 접촉자(110)와 분리된다. 이때, 가동 스프링(230)과 고정 접촉자(110) 사이에 격렬한 아크가 발생하여, 릴레이를 쉽게 태울 수 있다.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사이의 자기 흡인력은 전기적 반발력에 저항하는 작용을 하므로, 가동 스프링(230)과 고정 접촉자(110)의 분리를 억제하여, 단락 방지 효과를 일으킨다.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고정 접촉자(110)와 가동 스프링(230)이 맞닿으면, 가동 스프링(230)은 전류가 흐른다. 즉, 이때서야,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40)은 자속을 발생시켜,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사이에 비로소 서로 끌어당기는 자기 흡인력을 구비하게 된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이 자속을 발생시키면,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사이의 거리를 자기 공극이라고 지칭한다. 자기 공극은 자속 회로 중의 자기 저항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자기 공극이 클수록, 자기 저항이 크며,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사이의 자기 흡인력이 작다. 자기 흡인력이 너무 작으면 전기적 반발력의 작용에 저항할 수 없어, 가동 스프링(230)과 고정 접촉자(110)의 분리를 억제하기 어려워, 단락 방지 효과를 약화시킨다.
릴레이의 기술 분야에서, 오버트래블은 매우 중요한 매개 변수이다. 가동 스프링(230)과 2개의 고정 접촉자(110)가 접촉하면, 푸시 어셈블리(200)는 즉각 이동을 중지하지 않고, 전체 푸시 어셈블리(200)는 계속해서 이동하고, 탄성 부재(250)는 더 압축된다. 가동 스프링(230)과 2개의 고정 접촉자(110)가 접촉하면, 2개의 고정 접촉자(110)는 가동 스프링(230)이 계속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이때, 가동 스프링(23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움직이지 않으며, 고정 프레임(210), 스토퍼(220) 및 푸시 로드(260)는 계속 이동하고, 탄성 부재(250)는 일정 정도로 계속 압축되고, 최종적으로, 전체 푸시 어셈블리(200)는 이동을 중지한다. 오버트래블의 개념은, 가동 스프링(230)과 고정 접촉자(110)가 접촉해서 전체 푸시 어셈블리(200)가 이동을 멈출 때까지의 전체 과정에서, 탄성 부재(250)의 변형 정도의 크기를 오버트래블 범위의 크기로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코일이 여기되면, 푸시 로드(260)는 고정 프레임(210)을 푸시하여 고정 접촉자(110)를 향해 이동시키고, 스토퍼(220), 가동 스프링(230),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및 탄성 부재(250)는 고정 프레임(210)을 따라 함께 이동한다. 가동 스프링(230)이 2개의 고정 접촉자(110)와 맞닿으면, 가동 스프링(230)은 전류가 흐르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자속을 발생시키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사이에 자기 흡인력이 생긴다. 오버트래블이 계속됨에 따라, 가동 스프링(23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이동하지 않고, 고정 프레임(210), 스토퍼(220) 및 푸시 로드(260)는 계속해서 이동하고, 제1 자기 유동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사이의 자기 공극은 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오버트래블이 계속 진행되어도 자기 공극의 크기가 변하지 않는다. 즉,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단락 방지 기능 강도는 오버트래블의 영향을 받지 않아, 종래 기술에서 오버트래블과 자기 공극 사이의 모순 관계를 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기 흡인력의 최대화를 위해, 가동 스프링(230)과 2개의 고정 접촉자(110)가 맞닿으면,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자기 공극은 0이다. 이와 같이,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이 형성한 자속에서 자기 저항은 최소이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자기 흡인력은 최대이다. 이와 같이, 자기 흡인력의 최대화 효과를 이루어,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단락 방지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는 생산 몰드의 정밀도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다. 즉, 릴레이의 부품에 대한 정밀도 요구가 매우 높으며, 정밀도가 요구에 도달하지 못하면, 가동 스프링(230)과 고정 접촉자(110)가 맞닿지 않는 상황이 쉽게 발생한다. 즉,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이 쉽게 맞닿게 되므로, 가동 스프링(230)의 이동을 제한하여, 가동 스프링(230)과 고정 접촉자(110)가 닫힐 수 없게 된다. 또한, 고정 접촉자(110) 또는 가동 스프링(230)가 마모되면, 자기 공극이 작아져, 가동 스프링(230)과 고정 접촉자(110)가 닫힐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의 부품에 대한 정밀도 및 조립의 요구를 낮춤과 동시에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동 스프링(230)과 2개의 고정 접촉자(110)가 맞닿을 때,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사이에 일정한 자기 공극이 존재한다. 이렇게, 가동 스프링(230)과 고정 접촉자(110)가 닫힐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생산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정밀도 오차 허용 성능을 향상시키고, 고정 접촉자(100) 및 가동 스프링(230)의 내마모 성능에 대한 요구를 낮춰,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사용 수명을 연장한다.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사이의 자속의 형성에 용이하도록, 일 실시예에서,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스트립형 구조를 이루고,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U형 구조를 이루며,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양 측벽은 가동 스프링(230) 및 스토퍼(220)의 양측 변을 감싸고,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양단의 단면은 각각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의 양단을 향해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이 환형 구조를 구성하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사이드 암(211)은 개구를 구비하고,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양 측벽은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의 개구를 각각 관통하고,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양 측벽은 스토퍼(220) 및 고정 사이드 암(211)과 가동 연결된다. 릴레이가 동작 상태가 아니면,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양단의 단면은 스토퍼(220)가 위치하는 평면보다 높다.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양단의 단면과 스토퍼(220)가 위치하는 평면 사이의 거리, 즉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측벽이 스토퍼(220)보다 높은 길이는, 본 실시예에서 오버트래블의 최대 범위이다. 오버트래블 과정에서, 스토퍼(220)는 가동 스프링(220)과 멀어지게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릴레이가 닫히고 안정 상태일 경우, 스토퍼(220)와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갭이 존재하여, 스토퍼(220)와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이 부딪치지 않도록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15을 참조하면, 제2 자 유도 블록(240)은 스트립형 구조를 이루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U형 구조를 이루며,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의 양단의 단면은 각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양단을 향해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이 환형 구조를 구성하는데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양단은 모두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의 개구를 부분적으로 관통하고,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과 가동 연결된다. 가동 스프링(230)과 2개의 고정 접촉자(110)가 방금 접촉했을 때,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의 상부와 스토퍼(220)의 거리는 본 실시예에서의 오버트래블의 최대 범위이다. 릴레이가 닫히고 안정 상태이면, 스토퍼(220)와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의 상단부분에 갭이 존재하여, 스토퍼(220)와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이 부딪치지 않도록 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자기 유도 블록(120) 및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모두 U형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이, 오버트래블을 위한 공간을 미리 남겨두고, 동시에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사이에 자속을 형성하기 편리하다.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절연 홀더(150)를 더 포함하고, 절연 홀더(150)는 역U형 구조를 이루며, 절연 홀더(150)는 커버(130)의 내측 벽에 접합되게 설치되고, 2개의 고정 접촉자(110)는 모두 절연 홀더(150)를 관통하고, 절연 홀더(150)에 장착홈(151)이 개설되어 있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장착홈(151) 내에 수용되어 절연 홀더(150)와 연결된다. 이렇게 하면,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에 대한 장착 고정이 용이함과 동시에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제2 자기 유도 블록(240) 사이의 자기 공극을 감소시키기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자기 유도 블록은 절연 홀더와 접착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절연 홀더는 에폭시 수지 접착제를 통해 접착 연결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절연 홀더(150)는 장착홈(151)의 홈벽에 복수의 걸림 연결 블록(152)이 설치되어 있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의 측벽에 복수의 걸림 연결구(121)가 설치되어 있고, 각 걸림 연결 블록(152)은 걸림 연결구(121) 내에 삽입 설치되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절연 홀더(150)에 걸림 연결된다.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절연 홀더(150)는 걸림 연결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을 탈착하기 쉬워, 어셈블리(200)의 유지 보수 난이도를 낮추어,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킨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장착홈(151) 내에 수용되고,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절연 홀더(150)는 리벳팅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절연 홀더(150)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기타 실시예에서,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절연 홀더(150)는 핫멜트 연결된다. 이렇게 하면,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절연 홀더(150)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에 대해 안정되게 장착 고정을 실시하여,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구조 강성 강도를 향상시켜,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작업 안정성을 보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 홀더(150)의 양 측벽에 모두 소호 윈도우(153)가 개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절연 홀더(150)의 양 측벽은 아크 슈트에 해당한다. 아크가 발생하면, 아크는 자력선의 “로렌츠힘”의 작용에 의해 아크 슈트로 끌려가고, 하나의 긴 아크가 복수의 짧은 아크로 분할되므로, 소호 효과를 일으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절연 홀더(150)는 내고온성의 절연 플라스틱 홀더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소호 성능을 더 향상시킨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가동 스프링(230)은 스트립형 시트 구조이고, 적어도 2개의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이 설치되고, 적어도 2개의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이 설치된다.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가동 스프링(230)의 일측 장변에서 타측 장변까지 일자형으로 배열 설치되고,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을 향하고,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과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독립된 자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이 설치되고, 2개의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스트립형 구조이며, 2개의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이 설치되고, 2개의 자기 유도 블록(240)은 모두 U형 구조이다. 2개의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이격 설치되고, 2개의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이격 설치된다. 즉,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일 측벽과 다른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일 측벽은 인접하게 설치되고, 인접한 2개의 측벽은 모두 가동 스프링(230) 및 스토퍼(220)의 중앙 영역을 관통한다. 2개의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모두 탄성 부재(250)와 맞닿는다.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일 측벽은 고정 사이드 암(211)을 관통하여 스토퍼(220) 및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과 가동 연결되고, 2개의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2개의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각각 2개의 독립된 자속을 형성한다. 즉,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과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독립된 자속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과 제1 자기 유도 블록(120) 사이의 자기 흡인 작용이 이루어진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가동 스프링(230)은 스트립형 시트 구조이고, 대응되게, 적어도 2개의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이 설치되고,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가동 스프링(230)의 일측 단변에서 타측 단변까지 일자형으로 배열 설치되고,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모두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을 향하고,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모두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독립된 자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스트립형 구조이며, 2개의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이 설치되고, 2개의 자기 유도 블록(240)은 모두 U형 구조이다.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양 측벽은 가동 스프링(230) 및 스토퍼(220)의 양 측변을 감싸고,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양단의 단면은 각각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의 양단을 향해 설치된다. 2개의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모두 탄성 부재(250)와 맞닿는다.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양 측벽은 각각 2개의 고정 사이드 암(211)을 관통하고,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의 양 측벽은 스토퍼(220) 및 고정 사이드 암(211)과 가동 연결되고, 2개의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각각 2개의 독립된 자속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8을 참조하면, 2개의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이 설치되고, 2개의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모두 스트립형 구조이며, 2개의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이 설치되고, 2개의 제2 자기 유도 블록(240)은 모두 U형 구조이다.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과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독립된 자속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240)과 제1 자기 유도 블록(120) 사이의 자기 흡인 작용이 이루어진다.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역방향 전기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220)에 아크 차단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아크 차단부는 아크를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아크 차단부는 절연층이며, 절연층은 스토퍼(220) 중간 영역의 외부 표면을 감싼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층은 테플론층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절연층은 고온 나일론층이다. 테플론과 고온 나일론은 모두 우수한 절연성능을 구비한 재료이며, 또한, 화학적 성능이 안정되고, 내한, 내연, 내노화 및 내식성 등 특성을 가진다. 절연층의 설치는 역 아크에 대해 차단 효과를 일으키며, 아크는 스토퍼(220)를 통해 단락될 수 없다. 이와 같이, 역 아크에 의해 도통되면서 단락되지 않도록 하여, 추가적으로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의 역방향 전기 수명을 향상시킨다.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커버(130)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일 실시예에서,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커버(130)는 접착 연결된다. 즉 제1 자기 유도 블록(120)은 접착제에 의해 커버(130)의 상부 내벽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단일 조성 또는 이중 조성의 수지이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 접착제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커버(130)의 연결을 쉽게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제1 자기 유도 블록(120)과 커버(130)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켰다.
상술한 실시예의 다양한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으며,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 상술한 실시예의 다양한 기술적 특징의 모든 가능한 결합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지만, 이러한 기술적 특징의 결합에 있어서 모순이 없는 한, 모두 본 설명서에 기재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몇몇 구현예에 대해서 설명했을 뿐이며, 설명은 상대적으로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본 발명 특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몇 가지 수정 및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 특허의 보호 범위는 첨부 된 청구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10)

  1. 하우징 어셈블리 및 푸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는 2개의 고정 접촉자, 제1 자기 유도 블록, 커버, 전이 블록 및 요크판을 포함하고, 2개의 상기 고정 접촉자는 커버를 관통하여 커버에 연결되고,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은 커버의 상부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는 전이 블록을 통해 요크판에 연결되고;
    상기 푸시 어셈블리는 고정 프레임, 스토퍼, 가동 스프링, 제2 자기 유도 블록, 탄성 부재 및 푸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2개의 고정 사이드 암 및 인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고정 사이드 암은 인계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의 일단은 고정 사이드 암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은 다른 고정 사이드 암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2개의 상기 고정 사이드 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인계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면은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 스프링의 타면은 상기 스토퍼에 맞닿고, 상기 푸시 로드의 단부는 상기 고정 사이드 암을 등지는 상기 인계 플레이트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 상기 전이 블록 및 상기 요크판은 공통으로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 상기 고정 프레임, 상기 스토퍼, 상기 가동 스프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 및 상기 탄성 부재는 모두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수용되고, 상기 푸시 로드는 요크판을 관통하여 상기 요크판과 가동 연결되며;
    상기 가동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2개의 상기 고정 접촉자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자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인,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은 스트립형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U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의 양측벽은 상기 가동 스프링 및 상기 스토퍼의 양측변을 감싸고,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의 양단의 단면은 각각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의 양단을 향해 설치되는,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는 절연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홀더는 역 U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절연 홀더는 상기 커버의 내측 벽에 접합되게 설치되고, 2개의 상기 고정 접촉자는 모두 상기 절연 홀더를 관통하고, 상기 절연 홀더에 장착홈이 개설되어 있고,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은 상기 장착홈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절연 홀더와 연결되는,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상기 절연 홀더는 접착 연결되는,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홀더의 양측벽에 모두 소호 윈도우가 개설되어 있는,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스트립형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은 U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의 양단의 단면은 각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의 양단을 향해 설치되는,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가동 스프링은 스트립형 시트 구조이고, 적어도 2개의 제2 자기 유도 블록이 설치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이 설치되고;
    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측 장변에서 타측 장변까지 일자형으로 배열 설치되고, 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제1 자기 유도 블록을 향하고, 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독립된 자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인,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스프링은 스트립형 시트 구조이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이 설치되고, 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측 단변에서 타측 단변까지 일자형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기 각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모두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을 향하고, 각 상기 제2 자기 유도 블록은 모두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자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인,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 아크를 차단하기 위한 아크 차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유도 블록과 상기 커버는 접착 연결되는,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KR1020217007462A 2019-08-08 2020-04-02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KR102610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29337.9A CN110349811A (zh) 2019-08-08 2019-08-08 高容量继电器的抗短路结构
CN201910729337.9 2019-08-08
PCT/CN2020/082903 WO2021022822A1 (zh) 2019-08-08 2020-04-02 高容量继电器的抗短路结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548A true KR20210033548A (ko) 2021-03-26
KR102610601B1 KR102610601B1 (ko) 2023-12-05

Family

ID=6818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462A KR102610601B1 (ko) 2019-08-08 2020-04-02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35386B2 (ko)
EP (1) EP4012741A4 (ko)
JP (1) JP7324273B2 (ko)
KR (1) KR102610601B1 (ko)
CN (1) CN110349811A (ko)
WO (1) WO20210228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516B1 (ko) * 2019-05-29 2021-11-10 엘에스일렉트릭 (주) 직류 릴레이
CN110349811A (zh) 2019-08-08 2019-10-18 东莞市中汇瑞德电子股份有限公司 高容量继电器的抗短路结构
CN113035648A (zh) * 2019-12-25 2021-06-25 华为数字技术(苏州)有限公司 触头装置及电磁开关
KR20220106218A (ko) * 2019-12-31 2022-07-28 샤먼 홍파 일렉트릭 파워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단락 전류에 견디고 소호할 수 있는 직류 릴레이
CN211980527U (zh) * 2020-05-29 2020-11-2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继电器
CN113782391B (zh) * 2020-06-09 2024-01-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继电器
CN212810187U (zh) * 2020-06-09 2021-03-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继电器
CN112542331B (zh) * 2020-11-30 2024-02-23 武汉同力同为科技有限公司 一种抗短路能力提升开关装置的动触桥保持结构
CN112563079B (zh) * 2020-11-30 2024-02-20 武汉同力同为科技有限公司 一种抗短路能力提升开关装置的动触桥保持结构
CN112967906B (zh) * 2021-02-01 2023-11-07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一种可动式抗短路直流继电器
CN117912892A (zh) * 2022-10-12 2024-04-19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继电器
CN218385041U (zh) * 2022-10-12 2023-01-24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推动杆组件及继电器
CN117877930A (zh) * 2022-10-12 2024-04-12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继电器
CN218385017U (zh) * 2022-10-12 2023-01-24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继电器
KR20240051061A (ko) * 2022-10-12 2024-04-19 샤먼 홍파 일렉트릭 파워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릴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451A (ja) * 1999-10-14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接点装置
JP2012104363A (ja) * 2010-11-10 2012-05-31 Panasonic Corp 接点装置
JP2018533833A (ja) * 2016-04-29 2018-11-15 浙江英洛華新能源科技有限公司 高電圧直流リレー対向電弧隔離装置
CN109659197A (zh) * 2018-12-28 2019-04-19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能够灭弧及抗短路电流的直流继电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1290A (en) * 1973-04-04 1976-11-09 Arrow-Hart, Inc. Anti-rock preventing means for electric switch contacts
US3887888A (en) * 1973-04-04 1975-06-03 Arrow Hart Inc High current switch
JP2001118450A (ja) * 1999-10-14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接点装置
JP2007305468A (ja) * 2006-05-12 2007-11-22 Omron Corp 電磁継電器
JP5206157B2 (ja) * 2008-06-30 2013-06-1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163317B2 (ja) * 2008-06-30 2013-03-13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装置
CN101677044B (zh) 2008-09-19 2011-12-28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高可靠长寿命的高压直流真空继电器
JP2012022985A (ja) 2010-07-16 2012-02-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接点装置
US9059523B2 (en) * 2010-07-16 2015-06-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tact apparatus
JP2012104366A (ja) * 2010-11-10 2012-05-31 Panasonic Corp 接点装置
CN104221119B (zh) 2012-04-09 2016-08-1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触点装置的弹簧负载调整结构和触点装置的弹簧负载调整方法
JP6063243B2 (ja) * 2012-04-27 2017-01-18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継電器
JPWO2013183226A1 (ja) 2012-06-08 2016-01-2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US20140002215A1 (en) * 2012-06-29 2014-01-02 Siemens Industry, Inc. Electrical contact apparatus, assemblies, and methods of operation
JP2014102908A (ja) 2012-11-16 2014-06-05 Panasonic Corp 接点装置
WO2014208098A1 (ja) 2013-06-28 2014-12-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および当該接点装置を搭載した電磁継電器
CN203325803U (zh) * 2013-07-05 2013-12-04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继电器的框架部分
JP2016143623A (ja) * 2015-02-04 2016-08-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US10026577B2 (en) * 2015-09-04 2018-07-17 Omron Corporation Contact switching device
CN109074993B (zh) * 2016-04-22 2019-12-03 欧姆龙株式会社 触头开闭装置以及使用其的电磁继电器
CN109036975A (zh) * 2018-09-26 2018-12-18 昆山国力源通新能源科技有限公司 具有高抗短路能力的直流接触器
CN109659199B (zh) * 2018-12-28 2024-05-14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可灭弧并能抗短路电流的直流继电器
CN210142625U (zh) * 2019-08-08 2020-03-13 东莞市中汇瑞德电子股份有限公司 高容量继电器的抗短路结构
CN110349811A (zh) 2019-08-08 2019-10-18 东莞市中汇瑞德电子股份有限公司 高容量继电器的抗短路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451A (ja) * 1999-10-14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接点装置
JP2012104363A (ja) * 2010-11-10 2012-05-31 Panasonic Corp 接点装置
JP2018533833A (ja) * 2016-04-29 2018-11-15 浙江英洛華新能源科技有限公司 高電圧直流リレー対向電弧隔離装置
CN109659197A (zh) * 2018-12-28 2019-04-19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能够灭弧及抗短路电流的直流继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601B1 (ko) 2023-12-05
EP4012741A4 (en) 2023-08-30
JP2022503584A (ja) 2022-01-12
US20220122792A1 (en) 2022-04-21
US11735386B2 (en) 2023-08-22
CN110349811A (zh) 2019-10-18
WO2021022822A1 (zh) 2021-02-11
EP4012741A1 (en) 2022-06-15
JP7324273B2 (ja)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3548A (ko)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CN103155084B (zh) 电磁接触器
EP2765586B1 (en) Contact device and magnetic contactor using same
CN210142625U (zh) 高容量继电器的抗短路结构
US8816801B2 (en) Contact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the same
JP7464699B2 (ja) アーク経路形成部及びそれを含む直流リレー
CN103477411A (zh) 电磁接触器
KR101034371B1 (ko) 고전압 고전류용 접점장치
JP7480359B2 (ja) リレー
US4477704A (en) Power switching device
US11501939B2 (en) High-voltage DC relay
KR20220106218A (ko) 단락 전류에 견디고 소호할 수 있는 직류 릴레이
KR20230147194A (ko) 릴레이
WO2024078424A1 (zh) 继电器
JP2023528355A (ja) スイッチング装置
JP2015176810A (ja) 電磁接触器
CN220963158U (zh) 一种辅助触头组件、继电器
CN214542051U (zh) 继电器
CN220963159U (zh) 一种辅助触头组件及带辅助触点的高压直流继电器
CN219958802U (zh) 触头机构
CN114256029B (zh) 继电器
US12002641B2 (en) High-voltage DC relay having a movable piece
CN218385044U (zh) 一种继电器
CN220526777U (zh) 一种隔弧结构、接触单元和继电器
WO2024114755A1 (zh) 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