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106A - 식용 식물 건조 분말, 음식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용 식물 건조 분말, 음식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106A
KR20210019106A KR1020217002474A KR20217002474A KR20210019106A KR 20210019106 A KR20210019106 A KR 20210019106A KR 1020217002474 A KR1020217002474 A KR 1020217002474A KR 20217002474 A KR20217002474 A KR 20217002474A KR 20210019106 A KR20210019106 A KR 20210019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ible
dry powder
mass
less
bulk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156B1 (ko
Inventor
다츠야 히구치
준이치로 이하라
Original Assignee
미쯔칸 홀딩즈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칸 홀딩즈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미쯔칸 홀딩즈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19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05Sweet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Seasoning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건조 분말의 풍미나 색조에 특징을 부여하기 위한 주식재인 건조 식용 식물 이외의 작용 물질에 상관없이, 간이하게 잘 습해지지 않는 식용 식물 분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건조 식용 식물의 가식부와 비가식부를 함유하는 건조 분말로서, (1) ∼ (4) 를 충족하는 건조 분말. (1) 건조 식용 식물의 가식부에 대한 비가식부의 비율이 1 질량% 이상 200 질량% 이하 (2) 안식각이 0.7 rad 이상 (3)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8 이하 (4) 수분 함량이 20 질량% 이하

Description

식용 식물 건조 분말, 음식품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식용 식물 건조 분말, 음식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의 건조 분말은, 수분 함량이 적고,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분위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잘 습해진다는 과제가 있다. 건조 분말이 습해지면, 응어리를 발생시키거나 하여 사용하기 불편해지거나, 미생물이 번식하여 풍미나 색조가 열화될 우려가 있다.
건조 분말의 습해짐 방지에 관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에는, 봉투로 한 경우에 배리어성을 충분히 갖고 있어 분말 식품을 습기나 공기 (산소) 로부터 보호하여 분말 식품의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분말 식품의 포장용 필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별한 포장 봉투를 사용해야 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 밖에도, 실리카겔 등의 흡습제를 봉입한 건조제를 동봉하는 수단도 있지만, 동일한 과제나 이물질 혼입의 우려가 발생한다.
그래서, 식용 소재만을 사용하여 그 습해짐에 따른 품질 열화를 방지한다는 기술이 필요시되고 있었다. 그 예로서, 특허문헌 2 에는, 섭식성 필름재로 적어도 외표면을 덮어 구운 구운 식품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는, 분말 유지 함유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흡습 방지제 또는 고결화 방지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 에는, HLB 가 5 이하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분말 음식품 또는 그 원료에 배합함으로써, 분말 음식품의 흡습 고결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61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25504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48885호 일본 재공표특허공보 2015/182424호
그러나, 특허문헌 2 의 방법에 의하면, 건조 분말은 표면적이 현저히 커, 그 표면 전체면을 섭식성 필름재 등으로 덮는 것은 곤란하였다. 특허문헌 3 의 방법이라면 분말에도 적용 가능하지만, 분말 유지 함유 접착성 조성물 자체의 풍미가 건조 식품의 풍미에 영향을 미친다는 과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4 의 방법에 의하면, 분말 식품의 관능 품질에 대한 영향을 최대한 미치지 않는다는 기재가 있어, 건조 분말의 풍미에 영향은 낮은 것으로 생각되기는 하지만, 분말 식품의 주식재 이외의 첨가물을 필요로 하는 것이 과제였다. 즉, 건조 분말의 습해짐을 방지하는 데에는 상기 서술한 과제가 있고, 건조 분말이 습해짐으로써, 분말의 고결이나 유동성의 악화에 따른 취급성의 저하, 풍미나 색조의 열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건조 분말의 풍미나 색조에 특징을 부여하기 위한 주식재인 건조 식용 식물 이외의 작용 물질에 상관없이, 간이하게, 잘 습해지지 않는 식용 식물 분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종래의 기술에 없는, 식용 식물의 비가식부의 효과에 주목하고, 안식각 및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로 규정되는 분말의 형상 특성이 일정한 범위로 조정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동시에 간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신규로 지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당업자의 기술 상식에서는, 그 값이 작은 쪽이 가교 등이 적고, 공업적으로 유리한 특성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는 안식각을, 굳이 일정 이상의 값으로 조정하는 것, 분말 유동성의 관점에서 그 값이 큰 쪽이 공업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는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를, 굳이 일정 이하의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분체의 유동성이 없어지기는 하지만, 잘 습해지지 않게 되는 것을 새롭게 알아내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더 예의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하기의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1] ∼ [15] 를 제공하는 것이다.
[1] (1) ∼ (4) 를 충족하는, 건조 식용 식물의 가식부와 비가식부를 함유하는 건조 분말.
(1) 건조 식용 식물의 가식부에 대한 비가식부의 비율이 1 질량% 이상 200 질량% 이하
(2) 안식각이 0.7 rad 이상
(3)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8 이하
(4) 수분 함량이 20 질량% 이하
[2] 추가로 (5) 를 충족하는, [1] 에 기재된 건조 분말.
(5) 식물 섬유 함유량이 18 질량% 이상
[3] 추가로 (6) 을 충족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건조 분말.
(6) 초음파 처리 후의 d90 이 2000 ㎛ 이하
[4] 추가로 (7) 을 충족하는,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
(7) 「단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5 이하
[5] 식용 식물의 비가식부를, 건조 분말 전체에 대하여 1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로 함유하는,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
[6] 식용 식물의 가식부와 비가식부가 동일 종류의 식용 식물 유래인,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
[7] 식용 식물의 가식부와 비가식부가 동일 개체의 식용 식물 유래인,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
[8] 식용 식물이, 곡류, 덩이줄기류, 콩류, 종실류, 야채류, 과실류 및 버섯류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1]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
[9] 식용 식물이, 파프리카, 비트, 대두, 콘, 당근, 호박, 완두, 누에콩, 고구마, 브로콜리, 시금치 및 케일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1] ∼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
[10] 밀폐 용기에 봉입되고, 건조제를 동봉하지 않는,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
[11] 건조 식용 식물의 함유량이 건조 분말 전체의 10 질량% 이상인, [1] ∼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
[12] 규소 함량이 1000 ppm 이하인 [1] ∼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
[13] 건조 분말이 인간의 섭식 용도인, [1] ∼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
[14] [1] ∼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을 함유하는 음식품.
[15] [1] ∼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수분 함량 20 질량% 이하의 건조 식용 식물을 분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6] 가식부에 대한 비가식부의 비율이 1 질량% 이상 200 질량% 이하 또한 수분 함량이 20 질량% 이하인 건조 식용 식물을, 안식각이 0.7 rad 이상 또한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8 이하가 될 때까지 분쇄 처리하는, 건조 분말의 제조 방법.
[17] 가식부에 대한 비가식부의 비율이 1 질량% 이상 200 질량% 이하 또한 수분 함량이 20 질량% 이하인 건조 식용 식물을, 안식각이 0.7 rad 이상 또한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8 이하가 될 때까지 분쇄 처리하는, 건조 분말을 잘 습해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 분말의 풍미나 색조에 특징을 부여하기 위한 주식재인 건조 식용 식물 이외의 작용 물질에 상관없이, 간이하게, 잘 습해지지 않는 식용 식물 건조 분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예를 기재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개변을 더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1) ∼ (4) 를 충족하는 건조 식용 식물의 가식부와 비가식부를 함유하는 건조 분말에 관한 것이다.
(1) 건조 식용 식물의 가식부에 대한 비가식부 비율이 1 질량% 이상 200 질량% 이하
(2) 안식각이 0.7 rad 이상
(3)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8 이하
(4) 수분 함량이 20 질량%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용 식물로는, 가식부가 식용에 제공되는 것이면 조금도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곡류, 덩이줄기류, 콩류, 종실류, 야채류, 과실류, 버섯류, 조류 (藻類), 스파이스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곡류, 덩이줄기류, 콩류, 종실류, 야채류, 과실류, 버섯류가 바람직하다. 이들 식재는 1 종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임의의 조합으로 병용해도 된다. 또, 이들 식재는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각종 처리 (예를 들어 건조, 가열, 떫은맛 빼기, 껍질 벗기기, 종실 빼기, 추숙 (追熟), 염장, 과피 가공 등) 를 가하고 나서 사용해도 된다. 또, 식재는, 비가식부와 합한 식물 전체의 상태로 그 분류를 판단할 수 있다.
곡류의 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콘 (특히 스위트 콘이 바람직하다), 쌀, 밀, 보리, 수수, 귀리, 라이밀, 호밀, 메밀, 포니오, 퀴노아, 피, 조, 기장, 자이언트 콘, 사탕수수, 아마란서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콘 (특히 스위트 콘이 바람직하다), 자이언트 콘 등이 바람직하다.
덩이줄기류의 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구마, 카사바, 야콘, 타로고구마, 토란, 곤약, 타시로이모 (폴리네시안·애로우루트), 감자, 자색고구마, 돼지감자, 얼레지, 얌, 참마, 마, 칡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자색고구마, 고구마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콩류의 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강낭콩 (은원두), 키드니·빈, 적강낭콩, 백강낭콩, 블랙·빈, 메추라기콩, 호랑이콩, 리마콩, 잇꽃강낭콩, 완두 (특히 종자를 미숙한 상태로 꼬투리째 수확한 것으로, 콩이 녹색의 외관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숙 종자인 그린피스 등), 나무콩, 녹두, 광저기, 팥, 누에콩, 대두 (특히 대두를 미숙한 상태로 꼬투리째 수확한 것으로, 콩이 녹색의 외관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의 미숙 종자인 풋콩), 병아리콩, 렌즈콩, 편두, 렌틸콩, 땅콩, 루피너스콩, 그라스 피 (grass pea), 메뚜기콩 (캐럽), 프타이콩, 네레콩, 커피콩, 카카오콩, 멕시칸 점핑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부의 가식부 (풋콩, 그린피스 등) 가 야채로서 취급되는 식재에 대해서도, 비가식부 (꼬투리 등) 와 합쳐진 식물 전체의 상태 (대두, 완두 등) 로 콩류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완두 (특히 미숙 종자인 그린피스), 대두 (특히 미숙 종자인 풋콩), 누에콩 등이 바람직하다.
종실류의 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몬드, 캐슈넛, 피칸, 마카다미아넛, 피스타치오, 헤이즐넛, 코코넛, 잣, 해바라기씨, 호박씨, 수박씨, 모밀잣밤나무, 호두, 밤, 은행, 참깨, 브라질넛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몬드, 캐슈넛, 마카다미아넛, 피스타치오, 헤이즐넛, 코코넛 등이 바람직하다.
야채류의 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우, 당근, 루타베가, 파스닙, 순무, 블랙·살시파이, 연근, 비트 (바람직하게는 비트 (비트루트) : 비트의 뿌리를 식용으로 하기 위해서 개량된 품종), 쇠기나물, 에샬롯, 마늘, 염교, 백합 구근, 케일, 양파, 아스파라거스, 땅두릅, 양배추, 양상추, 시금치, 배추, 유채, 소송채, 청경채, 부추, 파, 노자와나, 머위, 근대 (부단초, 스위스 차드), 미즈나 (水菜), 토마토, 가지, 호박, 피망, 오이, 양하,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식용 국화, 여주, 오크라, 아티초크, 주키니, 사탕무, 타이거넛, 생강, 차조기, 고추냉이, 파프리카, 허브류 (물냉이, 고수풀, 공심채, 샐러리, 타라곤, 차이브, 처빌, 세이지, 타임, 월계수, 파슬리, 머스터드 그린 (겨자잎), 쑥, 바질, 오레가노, 로즈메리, 페퍼민트, 세이보리, 레몬그라스, 딜, 고추냉이잎, 산초잎, 스테비아), 고사리, 고비, 칡, 죽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당근, 호박, 토마토, 파프리카, 양배추, 비트 (바람직하게는 비트 (비트루트)), 양파, 브로콜리, 아스파라거스, 시금치, 케일 등이 바람직하고, 당근, 호박, 파프리카, 비트 (바람직하게는 비트 (비트루트)), 브로콜리, 시금치, 케일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과실류의 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모과, 중국배 (백리 (白梨), 중국배), 배, 마르멜로, 서양 모과, 준베리, 쉬포바, 사과, 아메리칸 체리 (블랙 체리, 다크 체리), 살구 (행 (杏), 행자, 애프리콧), 매실, 버찌 (앵두, 스위트 체리), 신버찌, 블랙손, 자두 (오얏, 산도 (酸桃)), 복숭아, 은행, 밤, 으름덩굴 (목통), 무화과, 감, 카시스 (까막까치밥나무), 나무딸기, 키위프루트 (키위), 수유 (퇴자, 호퇴자, 수유), 뽕나무 열매 (멀베리, 오디), 크랜베리 (덩굴월귤열매), 월귤 (태도, 암도, 하마나시, 오카마링고), 석류 (자류, 석류), 다래 (원리, 시라쿠치즈루, 코쿠와), 씨 벅톤 (사극, 비타민나무, 씨베리), 까치밥나무 (산괴, 구즈베리), 대추, 이스라지 (뜰매화, 작은매화, 욱리), 하스카프 (개들쭉나무), 빌베리, 레드커런트 후사스구리 (방산괴, 레드 커런트), 포도, 블랙베리, 블루베리, 포포 (포포, 포우포우, 포포우), 오미자, 라즈베리, 앵두, 귤, 금귤, 탱자, 올리브, 비파 (枇杷), 소귀나무 (산도 (山桃), 양매), 나한과 (羅漢果), 트로피컬 프루트류 (망고, 망고스틴, 파파야, 체리모야, 아테모야, 바나나, 두리안, 스타 프루트, 구아바, 파인애플, 아세롤라, 패션 프루트, 드래곤 프루트, 리치, 에그 프루트 등의 열대 과실), 딸기, 수박, 멜론, 아보카도, 미라클 프루트, 오렌지, 레몬, 프룬, 유자, 스다치 (酢橘), 그레이프프루트, 등자, 시콰사 등을 들 수 있다.
버섯류의 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표고 버섯, 송이 버섯, 목이 버섯, 잎새 버섯, 말굽 버섯, 느타리 버섯, 새송이 버섯, 팽이 버섯, 만가닥 버섯, 뽕나무 버섯, 머시룸, 나도팽나무 버섯, 황소비단그물 버섯, 나팔 버섯, 배젖 버섯 등을 들 수 있다.
조류의 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시마류, 미역류, 김류, 파래류, 우뭇가사리류 등의 대형 조류나, 녹조류, 홍조류, 남조류, 와편모조류, 유글레나류 등의 미세 조류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갈파래, 파래, 구멍갈파래, 바다포도 (그린 캐비어), 대마디말, 그린 캐비어, 말청각, 구슬청각, 새발, 참홑파래, 납작파래, 옥덩굴, 창자파래, 괭생이 모자반, 그물바탕말, 대황, 감태, 패, 열매의관말, 넓패, 바위수염, 지충이, 부챗말, 큰잎모자반, 오키나와 모즈쿠, 카이가라아마노리 (貝殼甘海苔), 그물바구니, 감태 (대황), 잘록이고리매, 괭생이 모자반 (아카모쿠, 은엽초, 신마초, 지바사), 참가죽그물바탕말, 바위주름, 주름뼈대그물말, 개미역쇠, 곰피, 나노리 (잘록이고리매), 바위두둑, 큰열매모자반, 미역쇠, 톳, 넓곽, 굴도둑, 부푼말, 모자반, 마콘부 (眞昆布), 붕어마름, 무기와라노리 (잘록이고리매), 채찍말, 모즈쿠 (mozuku), 서실, 미역, 참김, 애기진두발, 원생홍조강, 고리마디게발, 에조츠노마타 (Chondrus yendoi), 석화채, 꼬시래기, 부챗살, 큰개우무, 뼈지누아리, 잎꼬시래기, 놀래기, 꿩꼬리풀, 쿠로하긴난소 (Chondrus yendoi), 꽃지누아리, 각시꼬시래기, 참도박, 진두발, 개꼬시래기, 미끌도박, 갈래곰보, 주름까막살, 녹각채 (불등풀가사리), 해태 (김, 방사무늬돌김), 애기풀가사리, 싹새기, 여린두가닥바닷말, 히라쿠사 (Ptilophora subcostata), 넓은지누아리, 작은구슬산호말, 불등풀가사리, 마디잘록이, 우뭇가사리, 넓은둥근돌김, 쌍발이서실, 연두벌레 (유글레나), 클로렐라, 끈적살, 지네지누아리, 새발, 참곱슬이, 우뭇가사리 (천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조류 중, 클로렐라류 등의 일부의 미세 조류는, 매우 강한 세포벽을 갖기 때문에, 미세 조류에 대해서는 세포벽을 파괴하는 전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이용하거나, 미세 조류 이외의 조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파이스류의 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백후추, 적후추, 고추, 호스래디시 (서양 고추냉이), 머스터드, 양귀비씨, 너트맥, 시나몬, 카더몬, 커민, 사프란, 올스파이스, 정향 (clove), 산초, 오렌지 필, 회향, 감초, 페뉴그릭, 딜 씨, 화초, 롱 페퍼, 올리브 열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용 식물의 「비가식부」란, 식용 식물의 통상 음식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나, 통상적인 식습관에서는 폐기되는 부분을 나타내고, 「가식부」란, 식용 식물 전체로부터 폐기 부위 (비가식부) 를 제외한 부분을 나타낸다. 특히 두꺼운 식물 섬유층이나, 모용 (毛茸) 등을 함유하는 식용 식물의 경우, 이들 부분은, 섭식성이나 다른 식품과의 상성이 나빠, 종래에는 섭식에 사용되지 않고 폐기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두꺼운 식물 섬유층이나, 모용 등을 함유하는 비가식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사용하는 식용 식물에 있어서, 이들 가식부 및 비가식부는 각각 다른 종류의 식용 식물에서 유래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풍미의 통일성의 관점에서, 동일 종류의 식용 식물에서 유래하는 가식부 및 비가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동일 개체의 식용 식물에서 유래하는 가식부 및 비가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 개체의 식용 식물에서 유래하는 가식부의 일부 또는 전부와, 비가식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식용 식물을 낭비없이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식용 식물의 비가식부의 예로는, 전술한 각종 식용 식물의 껍질, 종실, 심, 압착 찌꺼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콘 (예로서 스위트 콘 등), 파프리카, 호박, 비트, 브로콜리, 시금치, 당근, 케일, 풋콩, 완두콩, 누에콩, 고구마, 토마토, 쌀, 양파, 양배추, 사과, 포도, 사탕수수, 감귤류 (예로서 온주귤, 유자 등) 등의 껍질, 종실, 심, 압착 찌꺼기 등은, 영양이 풍부하게 잔존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식용 식물의 비가식부의 구체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콘 (예로서 스위트 콘 등) 의 포엽 또는 암술 또는 이삭축, 파프리카의 꼭지 또는 심 또는 종자, 호박의 태좌 또는 종자 또는 양단, 비트의 근단 또는 껍질 또는 엽병, 브로콜리의 경엽, 시금치의 그루터기, 당근의 근단 또는 엽병 기부 (基部), 케일의 엽병 기부, 풋콩의 꼬투리, 완두콩의 꼬투리, 누에콩의 종피 또는 꼬투리, 고구마의 표피 또는 양단, 토마토의 꼭지, 쌀 (벼) 의 왕겨, 양파의 껍질 (보호잎), 저반부 및 머리부, 양배추의 심, 사과의 심, 포도의 과피 및 종자, 사탕수수의 압착 찌꺼기, 감귤류 (예로서 온주귤, 유자 등) 의 껍질, 씨 및 태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용 식물에 있어서의, 비가식부의 부위나 비율은, 그 식품이나 식품의 가공품을 취급하는 당업자라면, 당연하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로는, 일본 식품 표준 성분표 2015년판 (7 정) 에 기재된 「폐기 부위」 및 「폐기율」을 참조하여, 이들을 각각 비가식부의 부위 및 비율로서 취급할 수 있다. 이하의 표 1 에, 식용 식물의 예와, 그것들에 대하여 일본 식품 표준 성분표 2015년판 (7 정) 에 기재되어 있는 「폐기 부위」 및 「폐기율」 (즉 비가식부의 부위 및 비율) 을 예시한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건조 식용 식물은, 상기 각종 식용 식물을 건조 처리하여 조제하면 된다. 건조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식품의 건조에 사용되는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로는, 천일 건조, 응달 건조, 프리즈 드라이, 에어 드라이 (예를 들어 열풍 건조, 유동층 건조법, 분무 건조, 드럼 건조, 저온 건조 등), 가압 건조, 감압 건조, 마이크로웨이브 드라이, 유열 (油熱) 건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식재가 본래 갖는 색조나 풍미의 변화의 정도가 작고, 식품 이외의 향기 (타는 냄새 등) 를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에어 드라이 (예를 들어 열풍 건조, 유동층 건조법, 분무 건조, 드럼 건조, 저온 건조 등) 또는 프리즈 드라이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건조' 상태란, 수분이 대체로 20 질량% 이하이고, 수분 활성값이 0.85 이하인 상태를 가리킨다. 또, 수분이 1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수분 활성값이 0.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7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분의 정량법으로는 건조 분말을 감압 가열 건조법에 제공하는 방법, 수분 활성값의 측정법으로는 일반적인 수분 활성 측정 장치를 사용한 정법에 따라 측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건조 분말은, 건조 식용 식물의 가식부와 비가식부를 함유하는데, 건조 식용 식물의 가식부에 대한 비가식부의 비율은, 그 하한값으로는, 본 발명의 효과의 주효의 관점에서, 1 질량% 이상이면 되지만, 그 중에서도 3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그 상한값으로는, 비가식부 유래의 아린 맛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풍미의 관점에서, 20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건조 분말은,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 식용 식물의 비가식부를 가식부와 규정량 혼합함으로써 비가식부의 섬유 특성에 의해, 입자의 안식각 및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에 의해 규정되는 독특한 입자 구조, 형상을 갖고, 그에 따라 건조성이 잘 습해지지 않는 분말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 식용 식물의 비가식부를 가식부와 규정량 혼합함으로써 건조 분말의 유동성이 없어지지만, 그 결과로서 분말의 재건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나고, 건조성이 잘 습해지지 않는 분말이 된다.
또, 토양과 접촉할 기회가 많은 부위 (식품의 껍질이나 꼬투리 등의 비가식부나 외부에 노출되는 가식부)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토양 중에 포함되는 규소의 화합물이 건조 분말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술 상식으로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토양 유래의 규소를 함유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유동성을 향상시키지 않음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나타남과 함께, 안전 안심의 관점에서 인간의 섭식에 적합한 품질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분말 중의 규소 함량이 10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0 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0 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 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pp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건조 후의 일반 생균수가 106 개/g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음으로써, 더욱 인간의 섭식에 적합한 품질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105 개/g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안식각이란 입체 (粒體) 를 적층했을 때에 자발적으로 붕괴되지 않고 안정을 유지하는 사면의 최대 각도이며, 입자 사이즈와 입자의 모서리의 둥근 부분이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그 측정 방법에는 배출법이나, 낙하 추적법이나, 주입법이나, 경사법이 알려져 있지만, 건조 분말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가장자리를 갖는 고정된 원판에 대한 주입법에 의해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분말을, 주입법으로, 건조 분말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가장자리를 갖는 고정된 반경 r (㎝) 의 원판 상에서 대칭성이 있는 대략 원 추상의 적층체를 형성시켰을 때의, 유지 가장자리의 최고부와 대략 원추상의 적층체의 최고부의 차분인 높이 H (㎝) 를 측정함으로써, 「tanα = H/r」로부터, 「안식각 α(°)」가 구해지고, 「안식각 (rad)」 = 「α × π/180」으로서 산출된다. 구체적으로는, r = 1.75 ㎝ 의 조건으로 측정한 값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은 안식각이 0.7 rad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음으로써, 입자의 유동성이 없어지지만, 그 결과로서 재건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나는데, 그 중에서도 안식각이 0.8 rad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9 rad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rad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안식각의 상한은, 건조 분말의 유동성의 관점에서, 1.3 rad 이하가 바람직하고, 1.2 rad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안식각은 식물의 비가식부를 함유시킴으로써 높아진다.
분말의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란, 분체의 압축성의 지표이며, 입자 사이즈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느슨한 부피 밀도에 대해서는, 용기 중에 분체를 압밀하지 않고 느슨하게 충전했을 때에 있어서의 겉보기 밀도이며, 탭하지 않은 (느슨함) 상태에서의 분체 시료의 질량과 입자간 공극 용적의 인자를 포함한 분체의 체적의 비이다. 따라서, 부피 밀도는 분체의 입자 밀도와 분체층 내에서의 입자의 공간적 배열 (예를 들어 형상) 에 의존한다.
또, 빽빽한 부피 밀도란, 프레스 밀도라고도 칭해지며, 용기 중에 분말을 그 이상 분말의 체적이 변하지 않게 될 때까지 압입하고 (본 발명에서는 0.6 ㎫ 의 압력하에서), 압축시킨 후의 겉보기 밀도이며, 예를 들어 통 끝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분말이 탈락하지 않을 정도로 폐쇄한 플라스틱 시린지 (LS 디스포 시린지 2 ㎖ : 최대 메모리 3 ㎖, 평미레 만량 4.0 ㎖, 내경 1 ㎝) 를 사용하고, 그 이상 분말의 체적이 변하지 않게 될 때까지 플런저를 압입함으로써 (예를 들어 5 kgf 의 힘으로) 측정한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은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8 이하로 조정되어 있음으로써, 입자의 유동성이 없어지지만, 그 결과로서 입자로부터 자유수가 방출되기 쉽고 재건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나는데, 그 중에서도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7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의 하한은, 0.15 이상이 바람직하고, 0.2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는 식물의 비가식부를 함유시킴으로써 낮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 분말에 있어서, 「분말의 단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5 이하인 것이 건조시키기 쉬운 품질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0.8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75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의 하한은, 0.15 이상이 바람직하고, 0.2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단한 부피 밀도란, 탭 충전시에 있어서의 겉보기 밀도이며, 분말을 탭핑하면서 평미레 만량 주입함으로써 측정한다.
또, 본 발명의 건조 분말은, 식물 섬유를 18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의 주효의 관점에서, 식물 섬유 함유량으로는, 2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2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2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식물 섬유 함유량의 상한은, 6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식물 섬유란, 수용성 식물 섬유 그리고 불용성 식물 섬유의 총량을 가리키지만, 함유되는 식물 섬유로는, 불용성 식물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용성 식물 섬유의 함유량으로는, 수용성 식물 섬유 그리고 불용성 식물 섬유의 총량에 대하여, 7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물 섬유 총량 및 불용성 식물 섬유의 측정에는, 일반적으로 식품의 성분 측정에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본 식품 표준 성분표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측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품 식물 섬유 및 불용성 식물 섬유의 정량법으로는, 건조 분말을 프로스키 변법에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 본 발명의 건조 분말은, 초음파 처리 후의 d90 (입자경의 90 % 적산 직경) 의 상한이 2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건조성 향상의 관점에서, 그 중에서도 18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6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4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2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9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8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7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6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하한으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취급성의 관점으로부터, 30 ㎛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초음파 처리」란, 특별히 지정이 없는 한, 측정 샘플에 대하여 주파수 40 ㎑ 의 초음파를 출력 40 W 로 3 분간 인가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또한, 건조 분말의 입자경의 d90 은, 건조 분말의 입자경 분포를 어느 입자경으로부터 2 개로 나누었을 때, 큰 쪽의 입자 빈도 % 의 누적값의 비율과, 작은 쪽의 입자 빈도 % 의 누적값의 비율의 비가, 10 : 90 이 되는 입자경으로서 정의된다. 건조 분말의 입자경의 d90 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입자경」이란, 특별히 지정이 없는 한 모두 체적 기준으로 측정된 것을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건조 분말의 초음파 처리 후의 d50 (건조 분말의 입자경 분포를 어느 입자경으로부터 2 개로 나누었을 때, 큰 쪽의 입자 빈도 % 의 누적값의 비율과, 작은 쪽의 입자 빈도 % 의 누적값의 비율의 비가, 50 : 50 이 되는 입자경으로서 정의된다) 은, 8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7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하한으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취급성의 관점으로부터, 10 ㎛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 방법으로는, 상기 초음파 처리 후의 d90 과 동일하게 측정한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의 입자경의 측정 조건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의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먼저, 측정시의 용매는, 건조 식용 식물의 건조 분말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기 어려운 것으로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측정에 사용되는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마이크로트랙·벨 주식회사의 Microtrac MT3300 EXII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측정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DMS2 (Data Management System version 2, 마이크로트랙·벨 주식회사) 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측정 장치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 측정시에는, 동 소프트웨어의 세정 버튼을 압하하여 세정을 실시한 후, 동 소프트웨어의 Setzero 버튼을 압하하여 제로 맞춤을 실시하고, 샘플 로딩으로 샘플의 농도가 적정 범위 내에 들어갈 때까지 샘플을 직접 투입하면 된다. 요란 후의 샘플, 즉 초음파 처리를 실시한 샘플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미리 초음파 처리를 실시한 샘플을 투입해도 되고, 샘플 투입 후에 상기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고, 계속해서 측정을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샘플을 투입하고, 샘플 로딩으로 농도를 적정 범위 내로 조정한 후, 동 소프트의 초음파 처리 버튼을 압하하여 초음파 처리를 실시한다. 그 후, 3 회의 탈포 처리를 실시한 후에, 재차 샘플 로딩 처리를 실시하고, 농도가 여전히 적정 범위인 것을 확인한 후, 신속하게 유속 60 % 로 10 초의 측정 시간으로 레이저 회절한 결과를 측정값으로 할 수 있다. 측정시의 파라미터로는, 예를 들어 분포 표시 : 체적, 입자 굴절률 : 1.60, 용매 굴절률 : 1.36, 측정 상한 (㎛) = 2000.00 ㎛, 측정 하한 (㎛) = 0.021 ㎛ 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건조 분말의 입자경을 구할 때에는, 채널 (CH) 마다의 입자경 분포를 측정한 후에, 후술하는 표 2 에 기재한 측정 채널마다의 입자경을 규격으로서 사용하여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표 2 의 각 채널에 규정된 입자경 이하이며, 또한 숫자가 하나 큰 채널에 규정된 입자경 (측정 범위의 최대 채널에 있어서는, 측정 하한 입자경) 보다 큰 입자의 빈도를, 후술하는 표 2 의 채널마다 측정하고, 측정 범위 내의 전체 채널의 합계 빈도를 분모로 하여, 각 채널의 입자 빈도 % 를 구할 수 있다 (이것을 「○○ 채널의 입자 빈도 %」라고도 칭한다). 예를 들어, 1 채널의 입자 빈도 % 는, 2000.00 ㎛ 이하 또한 1826.00 ㎛ 보다 큰 입자의 빈도 % 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또한, 본 발명의 건조 분말에 있어서, 건조 식용 식물을, 초음파 처리 후의 d90 (입자경의 90 % 적산 직경) 을 2000 ㎛ 이하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식용 식물의 가식부 및/또는 비가식부를 건조시킨 후, 미세화 처리하거나, 미세화 처리한 가식부 및/또는 비가식부를 건조시키거나, 그것들을 조합하거나, 어느 방법에 의해도 된다. 또한, 초음파 처리 후의 d50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세화 처리의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미세화시의 온도도 제한되지 않고, 고온 분쇄, 상온 분쇄, 저온 분쇄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미세화시의 압력도 제한되지 않고, 고압 분쇄, 상압 분쇄, 저압 분쇄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단, 건조 식용 식물 분말을 효율적으로 얻는 관점에서는, 조성물의 재료인 식재 및 그 밖의 성분을, 고전단력으로 가압 조건하 또한 승온 조건하에서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세화 처리를 위한 장치의 예로는, 블렌더, 믹서, 밀기, 혼련기, 분쇄기, 해쇄기, 마쇄기 등의 기기류를 들 수 있지만, 이들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 장치로는, 예를 들어 건식 비즈 밀, 볼 밀 (전동식, 진동식 등) 등의 매체 교반 밀, 제트 밀, 고속 회전형 충격식 밀 (핀 밀 등), 롤 밀, 해머 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은, 제품으로서 유통할 때에 밀봉 용기에 봉입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흡습 억제 효과 (잘 습해지지 않음) 를 갖는 점에서, 이물질 혼입의 원인도 될 수 있는 건조제를 동봉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용기의 재질이나 형상은 조금도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조 분말 전체에 대한 식용 식물의 비가식부의 함유량은, 그 하한으로는, 1 질량% 이상이면 된다. 재건조 특성 향상의 관점에서, 그 중에서도 2.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7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 질량%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그 상한으로는, 90 질량% 이하이면 되지만, 정미 (呈味) 의 관점에서, 그 중에서도 8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7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것은, 불용성 식물 섬유를 보다 많이 함유하는 식용 식물의 비가식부의 효과에 의한 바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지만, 상세한 이유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건조 분말 전체에 대한 건조 식용 식물의 가식부와 비가식부의 합계 함유량은, 소정의 범위이면 건조 분말 전체에 지배적으로 그 특성 (건조 분말을 잘 습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 을 발휘한다. 예를 들어 분말 전체에 대한 건조 식용 식물의 가식부와 비가식부의 합계 함유량은, 10 질량% 이상 있으면 되고, 효과의 효력의 관점에서, 그 중에서도 3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7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9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0 질량% 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말 전체에 대한 건조 식용 식물의 함유량이 100 질량% 인 경우 이외의 건조 분말에 있어서의, 다른 건조 분말의 종류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조금도 제한되지 않는다. 건조 분말상의 식품 소재이면, 최종적인 건조 분말에 대한 원하는 풍미, 품질에 맞춰, 식재 등은 종류나 그 조합,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가식부에 대한 비가식부의 비율이 1 질량% 이상 200 질량% 이하 또한 수분 함량이 20 질량% 이하인 건조 식용 식물을, 안식각이 0.7 rad 이상 또한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8 이하가 될 때까지 분쇄 처리함으로써, 건조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도 포함된다. 상세는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는, 가식부에 대한 비가식부의 비율이 1 질량% 이상 200 질량% 이하 또한 수분 함량이 20 질량% 이하인 건조 식용 식물을, 안식각이 0.7 rad 이상 또한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8 이하가 될 때까지 미세화 처리함으로써, 건조 분말을 잘 습해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도 포함된다. 상세는 상기한 바와 같다.
또, 본 발명에는, 본 발명의 건조 식물 분말을 함유하는 음식품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 식물 분말의, 피첨가 음식품에 대한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건조 식물 분말 원료가 되는 식용 식물의 풍미가 음식품에 부여될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정하면 되는데, 음식품 전체량에 대한 식용 식물 분말의 비율로는, 건조 중량 비율로 1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한은 10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품으로는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형태로는 액상, 반고체상, 및 고체상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 음식품의 종류로는, 음료류 등의 액상 식품 (예를 들어 수프, 스무디), 조미료류 등의 액상 또는 반고체상 또는 고체상의 음식품 (예를 들어 마요네즈, 드레싱, 버터, 마가린), 과자류 등의 반고체상 또는 고체상 식품 (예를 들어 그라놀라, 스틱, 크래커, 카라멜, 구미, 칩스), 건조 조미료류 등의 분말상 식품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발휘하는 관점에서, 분말상 식품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준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설명을 위해서 편의적으로 나타내는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어떤 의미에서도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조 식용 식물 시료의 조제]
비교예 1 ∼ 10 및 시험예 1 ∼ 16 의 건조 식용 식물을 이하와 같이 조제하였다.
스위트 콘, 비트루트, 당근, 호박, 파프리카, 고구마를, 각 가식부와 비가식부로 분별하고, 세단하였다. 또, 완두 (가식부 : 그린피스, 비가식부 : 꼬투리), 대두 (가식부 : 풋콩, 비가식부 : 꼬투리) 를, 데치고 꼬투리로부터 꺼내 건조시킨 것을 가식부로 하고, 그 이외의 부분 (꼬투리) 을 비가식부로 하여 분별하고, 세단하였다. 다음으로, 각각을 통풍 건조기 (시즈오카 제기 제조, 드랍피 DSK-10) 를 사용하고, 분위기 온도 70 ℃ 에서 건조시켰다. 각 건조물은 모두, 수분이 20 질량% 가 될 때까지 건조 처리하였다. 이들을 밀기 (오사카 케미컬 판매, 원더 크러셔 WC-3) 를 사용하여 미분쇄 처리하였다. 그리고, 표 3 및 표 4 에 나타내는 비율로, 식용 식물의 가식부와 비가식부를 혼합하고, 균질화하였다.
이들 건조 식용 식물의 식물 섬유, 안식각,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 초음파 처리 후의 d90, d50 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식물 섬유는 프로스키 변법으로, 안식각은 유지 가장자리를 갖는 고정된 원판 (r = 1.75 ㎝) 에 대한 주입법으로,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에 관하여, 느슨한 부피 밀도에 대해서는, 통 끝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분말이 탈락하지 않을 정도로 폐쇄한 플라스틱 시린지 (LS 디스포 시린지 2 ㎖ : 최대 메모리 3 ㎖, 평미레 만량 4.0 ㎖, 내경 1 ㎝) 에 분말을 그대로 평미레 만량 주입함으로써, 단단한 부피 밀도에 대해서는 시린지 내의 분말 체적이 그 이상 변하지 않게 될 때까지 탭핑하면서 평미레 만량 주입함으로써, 빽빽한 부피 밀도에 대해서는 시린지 내의 분말 체적이 그 이상 변하지 않게 될 때까지 5 kgf 의 힘으로 플런저를 압입함으로써 0.6 ㎫ 의 압력하에서 압축한 후에 측정하였다. 또, 초음파 처리 후의 d90 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로서 마이크로트랙·벨 주식회사의 Microtrac MT3300 EXII 시스템을 사용하고, 측정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서 DMS2 (Data Management System version 2, 마이크로트랙·벨 주식회사) 를 사용하고, 용매를 에탄올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조정한 각 분말에 50 질량% 의 물을 첨가한 후, 70 ℃ 분위기 하에서 정치 (靜置) 하여 건조를 실시하고, 수분 함량 10 질량% 까지 건조시키기 위해서 필요로 한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분말의 건조 용이성 (재건조성) 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으로는, 5 : 재건조시키기 쉬워 바람직하다, 4 : 다소 재건조시키기 쉬워, 다소 바람직하다, 3 : 어느 쪽도 아니다, 2 : 다소 재건조시키기 어려워, 다소 바람직하지 않다, 1 : 재건조시키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의 5 단계로 실시하였다. 예를 들어 10 g 의 분말 (수분 함량 10 질량%) 에 대하여 5 g 의 물을 가수한 후, 70 ℃ 분위기 하에서 정치 건조를 실시한 결과, 건조 후의 중량이 10 g 이 될 때까지 60 분이 걸린 경우, 수분 함량 10 % 까지 건조시키는 데에 필요로 한 시간은 60 분이 된다. 또한, 정치 건조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통풍 건조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분말의 잘 습해지지 않음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 항온 항습기 (도쿄 이화 기계 주식회사 제조, KCL-2000A) 를 사용하고, 장치 내의 공기의 상대 습도를 75 Rh% 정도로 조정하고, 1 g 정도의 분말을 용기 내에 20 ℃ 분위기 하에서 30 일 정도 정치한 후의 분말의 품질로서, 풍미, 외관, 물성을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으로는, 5 : 보관 전후에서 품질 변화가 작아 바람직하다, 4 : 보관 전후에서 품질 변화가 다소 작아, 다소 바람직하다, 3 : 보관 전과 품질이 변화하지만, 허용 범위 내, 2 : 보관 전후에서 다소 품질 변화가 눈에 띄어, 다소 바람직하지 않다, 1 : 보관 전후에서 품질 변화가 눈에 띄어, 바람직하지 않다, 의 5 단계로 평가하였다.
관능 검사원으로는, 하기 A) ∼ C) 의 식별 훈련을 실시한 후에, 특히 성적이 우수하고, 상품 개발 경험이 있고, 식품의 맛이나 식감과 같은 품질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고, 각 관능 검사 항목에 관해 절대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검사원을 선발하였다.
A) 오미 (五味) (단맛 : 설탕의 맛, 신맛 : 타르타르산의 맛, 감칠맛 : 글루타민산나트륨의 맛, 짠맛 : 염화나트륨의 맛, 쓴맛 : 카페인의 맛) 에 대하여, 각 성분의 임계값에 가까운 농도의 수용액을 각 1 개씩 제조하고, 이것에 증류수 2 개를 더한 합계 7 개의 샘플로부터, 각각의 맛의 샘플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미질 식별 시험.
B) 농도가 약간 상이한 5 종류의 식염수 용액, 아세트산 수용액의 농도차를 정확하게 식별하는 농도차 식별 시험.
C) 메이커 A 사 간장 2 개에 메이커 B 사 간장 1 개의 합계 3 개의 샘플로부터 B 사 간장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3 점 식별 시험.
또, 상기 어느 평가 항목에서도, 사전에 검사원 전원이 표준 샘플의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기준의 각 스코어에 대하여 표준화를 실시한 후에, 10 명에 의해 객관성이 있는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평가 항목의 평가는, 각 항목의 5 단계의 평점 중에서, 각 검사원이 스스로의 평가와 가장 가까운 숫자를 어느 하나 선택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의 집계는, 10 명의 스코어의 산술 평균값으로부터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결과, 어느 식용 식물을 사용한 경우라도, 가식부만인 경우에 비해, 가식부에 비가식부를 혼합한 경우 쪽이, 가수 후, 70 ℃ 분위기 중에서, 수분 함량이 10 질량% 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져 재건조성이 좋아지고, 잘 습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시험예 12 에서 조제한 대두 분말 (가식부와 비가식부를 함유) 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건조 식용 식물 분말이 건조 분말 전체의 잘 습해지지 않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조 식용 식물 분말 이외의 건조 분말의 일례로서, d90 이 500 ㎛ 인 설탕 분말을 사용하고,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분말 전체에 대한 건조 식용 식물의 함유량을 변화시키고, 상기 시험과 동일하게, 건조 분말 전체의 잘 습해지지 않음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결과, 건조 분말 전체에 대하여, 그 가식부와 비가식부를 함유하는 건조 식용 식물을 혼합한 경우, 잘 습해지지 않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건조 분말 전체에 대한 건조 식용 식물의 함유량은, 건조 분말 전체에 지배적으로 그 특성 (건조 분말을 잘 습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 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그 가식부와 비가식부를 함유하는 건조 식용 식물은, 건조 분말에 대한 재건조성 향상에 수반되는 잘 습해지지 않음의 부여라는 효과에 의해, 주로 식품 분야에서의 응용이 기대된다.

Claims (17)

  1. (1) ∼ (4) 를 충족하는, 건조 식용 식물의 가식부와 비가식부를 함유하는 건조 분말.
    (1) 건조 식용 식물의 가식부에 대한 비가식부의 비율이 1 질량% 이상 200 질량% 이하
    (2) 안식각이 0.7 rad 이상
    (3)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8 이하
    (4) 수분 함량이 20 질량% 이하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5) 를 충족하는, 건조 분말.
    (5) 식물 섬유 함유량이 18 질량% 이상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6) 을 충족하는, 건조 분말.
    (6) 초음파 처리 후의 d90 이 2000 ㎛ 이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7) 을 충족하는, 건조 분말.
    (7) 「단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5 이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용 식물의 비가식부를, 건조 분말 전체에 대하여 1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로 함유하는, 건조 분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용 식물의 가식부와 비가식부가 동일 종류의 식용 식물 유래인, 건조 분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용 식물의 가식부와 비가식부가 동일 개체의 식용 식물 유래인, 건조 분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용 식물이, 곡류, 덩이줄기류, 콩류, 종실류, 야채류, 과실류 및 버섯류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건조 분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용 식물이, 파프리카, 비트, 대두, 콘, 당근, 호박, 완두, 누에콩, 고구마, 브로콜리, 시금치 및 케일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건조 분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용기에 봉입되고, 건조제를 동봉하지 않는, 건조 분말.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식용 식물의 함유량이 건조 분말 전체의 10 질량% 이상인, 건조 분말.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규소 함량이 1000 ppm 이하인, 건조 분말.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분말이 인간의 섭식 용도인, 건조 분말.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을 함유하는 음식품.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수분 함량 20 질량% 이하의 건조 식용 식물을 분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6. 가식부에 대한 비가식부의 비율이 1 질량% 이상 200 질량% 이하 또한 수분 함량이 20 질량% 이하인 건조 식용 식물을, 안식각이 0.7 rad 이상 또한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8 이하가 될 때까지 분쇄 처리하는, 건조 분말의 제조 방법.
  17. 가식부에 대한 비가식부의 비율이 1 질량% 이상 200 질량% 이하 또한 수분 함량이 20 질량% 이하인 건조 식용 식물을, 안식각이 0.7 rad 이상 또한 「느슨한 부피 밀도/빽빽한 부피 밀도」가 0.88 이하가 될 때까지 분쇄 처리하는, 건조 분말을 잘 습해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
KR1020217002474A 2019-01-23 2019-08-09 식용 식물 건조 분말, 음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8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09766 2019-01-23
JPJP-P-2019-009766 2019-01-23
PCT/JP2019/031589 WO2020152895A1 (ja) 2019-01-23 2019-08-09 食用植物乾燥粉末、飲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106A true KR20210019106A (ko) 2021-02-19
KR102338156B1 KR102338156B1 (ko) 2021-12-09

Family

ID=7173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474A KR102338156B1 (ko) 2019-01-23 2019-08-09 식용 식물 건조 분말, 음식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10153531A1 (ko)
EP (1) EP3797596B1 (ko)
JP (1) JP6755568B1 (ko)
KR (1) KR102338156B1 (ko)
CN (1) CN112533480B (ko)
AU (1) AU2019423857B2 (ko)
BR (1) BR112021001191B1 (ko)
CA (1) CA3106831C (ko)
MX (1) MX2021000787A (ko)
MY (1) MY189497A (ko)
PH (1) PH12021550078A1 (ko)
SG (1) SG11202012913XA (ko)
TW (1) TWI720781B (ko)
WO (1) WO20201528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749B1 (ko) * 2022-01-20 2022-11-22 아그로포레스트영농조합법인 오디육포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21035A3 (en) * 2019-05-22 2024-05-22 Mizkan Holdings Co., Ltd. Insoluble dietary fiber-containing solid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5045A (ja) 1989-03-28 1990-10-15 Takami Nishimura 焼食品、その製造方法及び焼食品材料
JP2006191917A (ja) * 2005-01-13 2006-07-27 Mitsui Herupu Kk ヤーコンの茎葉部と塊根部を原料とした混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これらから得られた丸薬または錠剤
JP2010259333A (ja) * 2009-04-30 2010-11-18 Kikue Hashimoto 納豆菌含有物とその製造方法
JP2015182424A (ja) 2014-03-26 2015-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三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三次元造形物製造装置および三次元造形物
JP2018148885A (ja) 2016-09-23 2018-09-27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粉末油脂含有接着性組成物を含む吸湿防止剤又は固結化防止剤。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7771A (en) * 1958-11-17 1960-10-25 Gentry Division Aggregated dehydrated allium powder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4246293A (en) * 1978-09-21 1981-01-20 Larson James M Process of preparing potato snack product
US4400402A (en) * 1982-02-19 1983-08-23 Gerber Products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dried, pureed vegetables
US5104673A (en) * 1984-12-14 1992-04-14 Nabisco Brands, Inc. Extruded starch snack foods
US5252351A (en) * 1986-06-19 1993-10-12 Cox James P Cohesive vegetable products and process for manufacture
WO1994006309A1 (en) * 1992-09-22 1994-03-31 Fmc Corporation Product and process of making microcrystalline cellulose
JPH1016122A (ja) 1996-07-05 1998-01-20 Reiko Co Ltd 粉末食品の包装用フイルム
US6723359B2 (en) * 2001-10-18 2004-04-20 Firmenich Sa Spray-dried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US8697115B2 (en) * 2002-03-29 2014-04-15 Abbott Laboratories Method of improving antioxidant status of an infant
US20030203019A1 (en) * 2002-04-30 2003-10-30 Cornelius John Mark Coated conditioners for use in foods and pharmaceuticals
CN1809288A (zh) * 2003-06-04 2006-07-26 雀巢技术公司 体重管理饮料
CA2555026A1 (en) * 2004-01-30 2005-08-18 Osteotech, Inc. Stacking implants for spinal fusion
AU2007205898A1 (en) * 2006-01-18 2007-07-26 James S. Brophy System for making products with improved particle morphology and particle distribution and products
DE102006003335A1 (de) * 2006-01-23 2007-07-26 Symrise Gmbh & Co. Kg Tee-Aromatisierung
EP1993377B1 (en) * 2006-03-03 2012-01-04 Symrise AG Pressed agglomerates suitable for consumption having retarded aroma release
US20110278153A1 (en) * 2006-03-16 2011-11-17 Cavitus Pty Ltd Viscosity reduction
US9167845B2 (en) * 2006-09-08 2015-10-27 Creative Resonance, Inc. Apparatus, method and product for ultrasonic extrusion of a flowable substrate
US20090130267A1 (en) * 2006-10-05 2009-05-21 John Hauck Method of optimizing nutritional value of seeds
GB2453192B (en) * 2007-09-26 2011-06-29 Ahmad Amiri Enhanced easy to handle fruits & produce
CN101909463A (zh) * 2007-10-25 2010-12-08 H·J·海因茨公司 制作可捣碎马铃薯的方法
ATE524978T1 (de) * 2008-07-30 2011-10-15 Symrise Ag Zusammensetzung zur reduzierung des nacl-gehaltes in lebensmitteln
WO2010077878A1 (en) * 2008-12-15 2010-07-08 Fleming And Company, Pharmaceuticals Rapidly dissolving vitamin formula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MX353094B (es) * 2009-11-12 2017-12-19 Purecircle Usa Inc Granulacion de un edulcorante de stevia.
NZ601141A (en) * 2010-01-19 2014-07-25 Abbott Lab Nutritional formulas containing synbiotics
TW201130428A (en) * 2010-01-25 2011-09-16 Japan Tobacco Inc Method for making flavoring pellets
MX2012008982A (es) * 2010-02-03 2012-08-23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Metodo para fabricar polvo de aloe.
US8603555B2 (en) * 2010-04-13 2013-12-10 Mark A. Innocenzi Methods for quantifying the complete nutritional value of a standard equivalent unit of the nutritional value of one serving of fruits and vegetables (SFV)and for fortifying a base food to contain same for human consumption
EP2589618B1 (en) * 2010-06-29 2015-12-30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Composite particles which contain both cellulose and inorganic compound
KR101839169B1 (ko) * 2010-07-16 2018-03-15 인터컨티넨탈 그레이트 브랜즈 엘엘씨 분산성이 증진된 분말로부터 음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334870B2 (en) * 2010-10-07 2019-07-02 Tropicana Products, Inc. Processing of whole fruits and vegetables, processing of side-stream ingredients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use of the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in beverage and food products
RU2565725C2 (ru) * 2010-10-19 2015-10-20 Оцука Фармасьютикал Ко., Лтд. Полое кондитерск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US20120114764A1 (en) * 2010-11-09 2012-05-10 Contact Marketing Solutions, Llc Multifunctional produce wash
US8715764B2 (en) * 2012-06-21 2014-05-06 Choco Finesse LLC Eutectic mixtures of esterified propoxylated glycerols with digestible fats
US20170119024A1 (en) * 2013-02-15 2017-05-04 Tropicana Products, Inc. Preparation and incorporation of co-products into beverages to achieve metabolic and gut health benefits
CN105050432A (zh) * 2013-02-15 2015-11-11 百事可乐公司 制备共产物并掺入饮料中以增强营养和感官属性
US9844532B2 (en) * 2013-03-13 2017-12-19 Abbott Laboratories Infant nutritional product with RRR alpha-tocopherol
WO2014160064A1 (en) * 2013-03-14 2014-10-02 Ocean Spray Cranberries, Inc. Flow agent methods and products
US20140272042A1 (en) * 2013-03-15 2014-09-18 Thomas D. Gillette Systems and methods for packaging food products
CA2820991C (en) * 2013-07-11 2020-10-06 Pamela Elizabeth Hume Aqueous starch-containing compositions for coating food products
WO2015182424A1 (ja) * 2014-05-27 2015-12-03 味の素株式会社 粉末飲食品の吸湿固結を防止する方法
WO2016004057A1 (en) * 2014-07-03 2016-01-07 Eetbe, Inc. Textured ingestible products
WO2016014503A1 (en) * 2014-07-21 2016-01-28 Abbott Laboratories Nutritional powder pods and related methods
JP5778839B1 (ja) * 2014-09-18 2015-09-16 株式会社東洋新薬 飲食品用の緑葉粉末及び飲食品の摂飲の改善方法
US20170049698A1 (en) * 2015-08-17 2017-02-23 Elina Fuhrman Natural supplement
JP6642923B2 (ja) * 2015-09-25 2020-02-12 東海物産株式会社 玉ネギエキスの製造方法及び当該方法で製造された玉ネギエキス
AU2016336445B2 (en) * 2015-10-06 2021-01-28 Wm. Wrigley Jr. Company High moisture edibl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WO2017132257A1 (en) * 2016-01-25 2017-08-03 Adm Edible Beans Specialty, Inc. Improved pulse processing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SG11201806582SA (en) * 2016-02-03 2018-09-27 Nisshin Foods Inc Packed wheat flour flavoring
AU2017367535B2 (en) * 2016-11-30 2022-08-11 Green Spot Technologies Sas A process and composition for an improved flour product
JP6888768B2 (ja) * 2016-12-19 2021-06-16 株式会社ist・イスト タマネギ粉末
JP6456997B2 (ja) * 2017-03-16 2019-01-23 公益財団法人 佐賀県地域産業支援センター アスパラガス抽出物の製造方法
US20180289041A1 (en) * 2017-04-10 2018-10-11 Scott Joseph Natural drink
WO2019014631A1 (en) * 2017-07-14 2019-01-17 5071, Inc. CANNABINOID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FOR
PL3706587T3 (pl) * 2017-11-07 2022-01-31 Purac Biochem B.V. Proszek octanowy i sposoby jego otrzymywania
US20190150490A1 (en) * 2017-11-20 2019-05-23 Michael Mitchell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ready-to-eat plant based foods
WO2019156099A1 (ja) * 2018-02-06 2019-08-15 日清フーズ株式会社 馬鈴薯澱粉及び馬鈴薯澱粉組成物
GB2573088B (en) * 2018-02-09 2022-04-06 Douwe Egberts Bv Beverage powder and method
SG11202000194SA (en) * 2018-04-06 2020-02-27 Mizkan Holdings Co Ltd Composition containing fine particle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153539A1 (en) * 2018-04-10 2021-05-27 Pulau Sambu Singapore Pte Ltd Production method for pure coconut powder without the use of foreign additives
CN108850790A (zh) * 2018-07-25 2018-11-23 武汉轻工大学 一种红曲色素微胶囊及其制备方法
US20200236983A1 (en) * 2019-01-25 2020-07-30 Corr-Jense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mitochondrial activity
JPWO2020218402A1 (ko) * 2019-04-26 2020-10-29
BR112021020972A2 (pt) * 2019-06-11 2021-12-21 Nestle Sa Gêneros alimentícios e produtos, ingredientes, processos e usos
CN110419571B (zh) * 2019-07-26 2022-07-19 天津捷盛东辉保鲜科技有限公司 红薯土窖沙藏保鲜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5045A (ja) 1989-03-28 1990-10-15 Takami Nishimura 焼食品、その製造方法及び焼食品材料
JP2006191917A (ja) * 2005-01-13 2006-07-27 Mitsui Herupu Kk ヤーコンの茎葉部と塊根部を原料とした混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これらから得られた丸薬または錠剤
JP2010259333A (ja) * 2009-04-30 2010-11-18 Kikue Hashimoto 納豆菌含有物とその製造方法
JP2015182424A (ja) 2014-03-26 2015-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三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三次元造形物製造装置および三次元造形物
JP2018148885A (ja) 2016-09-23 2018-09-27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粉末油脂含有接着性組成物を含む吸湿防止剤又は固結化防止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749B1 (ko) * 2022-01-20 2022-11-22 아그로포레스트영농조합법인 오디육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2895A1 (ja) 2020-07-30
SG11202012913XA (en) 2021-01-28
CN112533480A (zh) 2021-03-19
JPWO2020152895A1 (ja) 2021-02-18
EP3797596A4 (en) 2021-08-04
CN112533480B (zh) 2021-11-16
EP3797596A1 (en) 2021-03-31
BR112021001191B1 (pt) 2022-04-12
US20210153531A1 (en) 2021-05-27
CA3106831A1 (en) 2020-07-30
MX2021000787A (es) 2022-06-01
MY189497A (en) 2022-02-16
AU2019423857A1 (en) 2021-02-04
KR102338156B1 (ko) 2021-12-09
BR112021001191A2 (pt) 2021-04-27
TWI720781B (zh) 2021-03-01
CA3106831C (en) 2021-08-17
EP3797596B1 (en) 2023-03-01
PH12021550078A1 (en) 2021-09-20
JP6755568B1 (ja) 2020-09-16
AU2019423857B2 (en) 2021-05-20
TW202042638A (zh)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505B1 (ko) 식품 미립자 함유 페이스트 및 그 제조법
KR102149627B1 (ko) 식품 미립자 함유 유지 조성물 및 그 제조법
EP3639678B1 (en) Liquid or semisolid emulsion season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lavor improving method
KR102207648B1 (ko) 미립자 복합체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법
JP6694201B1 (ja) 固形食品
TWI736067B (zh) 乾燥食用植物組合物之製造方法及食用植物之乾燥方法
US20210084961A1 (en) Fat/oil composition containing fine particle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338156B1 (ko) 식용 식물 건조 분말, 음식품 및 그 제조 방법
TWI702002B (zh) 食品油脂混合物及其製造方法
JP6511591B1 (ja) 乳化調味料及びその製造法
TW201929689A (zh) 食材添加之液狀調味料
TWI740760B (zh) 含有包含不溶性食物纖維局部部位之含有不溶性食物纖維之食材的粉末狀食品及含有該粉末狀食品之飲食品
TWI735029B (zh) 含有食品微粒子之油脂組合物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