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638A -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 모터 구동 제어 방법, 및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 모터 구동 제어 방법, 및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638A
KR20200145638A KR1020190146036A KR20190146036A KR20200145638A KR 20200145638 A KR20200145638 A KR 20200145638A KR 1020190146036 A KR1020190146036 A KR 1020190146036A KR 20190146036 A KR20190146036 A KR 20190146036A KR 20200145638 A KR20200145638 A KR 20200145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pool
drive control
rot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슈 모리
켄타로 하야시
히토시 하라구치
사토시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0014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0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 dc motor
    • H02P3/12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 dc motor by short-circuit or resistive brak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낚싯줄의 감아올림을 급하게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급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短絡)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여,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를 구성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 모터 구동 제어 방법, 및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MOTOR DRIVE CONTROL APPARATUS OF ELECTRICAL FISHING REEL AND ELECTRICAL FISHING REEL INCLUDING THE SAME, MOTOR DRIVE CONTROL METHOD, AND MOTOR DRIVE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 모터 구동 제어 방법, 및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낚싯줄을 감을 때에, 연산된 방출 줄 길이로부터 감기 줄 길이를 뺀 잔량 줄 길이와 설정 줄 길이를 순차 비교하면서,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직류 모터의 속도를 감기 종단(終端)을 향하여 서서히 단계적으로 감속시키는 것으로, 초리부의 튀어오름을 방지하도록 된 낚시용 전동 릴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낚싯줄의 감아올림과 정지를 반복하는 것으로 물고기를 유인하는 고패질 낚시에 있어서, 낚싯줄의 감아올림과 정지에 따른 모터의 구동과 정지의 패턴을 기억하고, 기억한 패턴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는 낚시용 릴의 자동 고패질 제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일본국 공고특허특보 특공평8-882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3-119941호
근년(近年), 지그(jig) 등의 의사(擬似) 미끼를 이용한 낚시에서는, 예를 들어 짧은 시간 간격으로 낚싯줄의 급속한 감아올림과 급정지를 반복하도록 한 유인이 유효한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는, 회전자 등의 관성에 의하여, 정지 시에 오버런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낚싯줄의 감아올림의 급한 정지를 포함하는 유인의 패턴을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행하려고 하여도, 오버런의 발생에 의하여 낚싯줄의 감아올림이 급정지하는 것으로는 되지 않고, 요구되는 유인의 패턴이 얻어지기 어렵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모터를 서서히 감속시키는 것으로부터, 오버런의 방지는 가능하지만, 스풀의 회전을 급하게 정지시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낚싯줄이 감아올림의 급한 정지를 포함하는 유인의 패턴을 실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낚싯줄의 감아올림을 급하게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급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은,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短絡)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데에 있어서,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것으로, 모터를 부하, 혹은 발전기로서 기능시키게 된다. 이 결과, 모터의 회전을 급하게 정지시켜, 낚싯줄의 감아올림도 급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이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스풀에 관한 소정의 회전 구동 패턴을 나타내는 구동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스풀을 회전 구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풀에 관한 소정의 회전 구동 패턴을 나타내는 구동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스풀을 회전 구동시키는 것으로, 채비에 유인으로서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주는 자동 유인 동작을 얻을 수 있다. 그 후, 자동 유인 동작 하에서 요구되는 채비의 움직임을 얻기 위하여 낚싯줄의 감아올림을 급정지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모터의 회전을 급하게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이고,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회전 속도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낚싯줄의 감아올림을 급정지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이어도, 모터의 실제의 회전 속도가 낮은 것으로, 회로를 단락시키지 않아도 모터의 회전을 급하게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회로의 단락을 수반하는 일 없이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회로의 단락에 의하여 급정지되는 것에 의하여 모터에 부담을 줄 기회를 줄이고, 모터의 열화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스풀과,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기는 데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낚시용 전동 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구동 제어 스텝을 구비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로서의 컴퓨터를,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구동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싯줄의 감아올림을 급하게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급하게 정지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의 외관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의 외관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의 표시 조작 패널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 설정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스풀의 거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조작에 따른 파라미터 변경 화면의 천이(遷移)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구동 제어 정보와 제2 제어 구동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시용 전동 릴이,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처리 수순(手順)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flow chart)이다.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로서의 낚시용 전동 릴(1)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풀의 구동이란, 모터를 구동하여 얻어지는 동력에 의하여 스풀을 회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풀의 구동 제어란, 스풀의 구동에 관한 제어를 말한다. 이와 같은 스풀의 구동 제어에는, 스풀을 회전시키는 제어, 스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어, 스풀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제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스풀의 「구동」에 관하여, 회전의 동작을 주는 것을 명확하게 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회전 구동」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낚시용 전동 릴(1)이 양 베어링 릴인 경우를 예로 든다. 덧붙여, 도 1, 도 2에 있어서, 각 구성 부재를 시인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각 구성 부재의 축척을 적의(適宜) 변경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낚시용 전동 릴의 구조예]
도 1 및 도 2는, 낚시용 전동 릴(1)의 외관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낚시용 전동 릴(1)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과 함께, 손으로 감는 양 베어링 릴로서 사용할 때의 전원을 내부에 가지고 있다.
낚시용 전동 릴(1)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릴 본체(2)와, 릴 본체(2)에 대하여 핸들 축(C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취부(取付)된 핸들(20)과, 릴 본체(2)에 대하여 핸들 축(C1)과 평행한 스풀 축(C2) 둘레에 회전 가능하고 도시하지 않는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3)과, 릴 본체(2)에 설치되고, 스풀(3)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4)를 구비한다.
또한, 낚시용 전동 릴(1)은, 클러치 기구(5)를 구비한다. 클러치 기구(5)는, 스풀(3)과 핸들(20)을 연결하는 연결 클러치 온(on) 상태와, 스풀(3)과 핸들(20)을 차단하는 차단(클러치 오프(off))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된 기구 부위이다.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의 전환은, 유저가 클러치 조작 부재(5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 축(C1) 및 스풀 축(C2)은, 각각 평행으로 설치되고, 이들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서 좌우 방향(L1)으로서 정의하는 것과 함께, 좌우 방향(L1)에 직교하는 것과 함께 스풀(3)에 감긴 낚시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전후 방향(L2)으로서 정의한다. 또한, 전후 방향(L2)에 있어서 스풀(3)로부터 낚시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방(前方), 그 반대 방향을 후방(後方)으로 정의하는 것과 함께, 낚시용 전동 릴(1)을 후방 측으로부터 본 시점으로 좌우를 정의한다.
도 1은 낚시용 전동 릴(1)을 위쪽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낚시용 전동 릴(1)을 아래쪽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릴 본체(2)는, 본체 프레임(21)과, 본체 프레임(21)의 일부를 덮는 커버(22)와, 본체 프레임(21)의 상측(上側)에 위치하는 표시 조작 패널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21)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제의 일체 형성된 부재이다. 본체 프레임(21)은, 좌우 방향(L1)에서 스풀(3)을 사이에 두고 핸들(20) 측이 되는 우측판(21A)과, 우측판(21A)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좌측판(21B)과, 우측판(21A)과 좌측판(21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21C)를 가지고 있다.
우측판(21A)과 좌측판(21B)은, 서로 좌우 방향(L1)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측판(21A, 21B)에는, 스풀(3)이나 모터(4)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클러치 기구(5) 등의 회전 구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우측판(21A) 및 좌측판(21B)에는, 스풀(3)의 스풀 회전축(도시 생략)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연결 부재(21C)는, 판상(板狀)을 이루고, 우측판(21A) 및 좌측판(21B)의 하부를 연결한다. 연결 부재(21C) 중 하나에는, 좌우 방향(L1)의 대략 중앙 부분에 낚싯대에 취부하기 위한 낚싯대 장착부(24)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22)는, 우측 커버(22A), 좌측 커버(22B), 및 전(前) 커버(22C)를 구비하고 있다. 우측 커버(22A)는, 우측판(21A)을 소정의 수용 공간을 설치하여 덮고, 우측판(21A)의 외연부(外緣部)에 예를 들어 나사 멈춤되어 있다. 좌측 커버(22B)는, 좌측 커버(22B)를 소정의 수용 공간을 설치하여 덮고, 좌측판(21B)의 외연부에 예를 들어 나사 멈춤되어 있다. 전 커버(22C)는, 본체 프레임(21)의 전부(前部)를 덮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우측판(21A)의 전방 하부에는, 외부로부터의 급전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connector)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 조작 패널부(23)는, 낚시용 전동 릴(1)을 사용하는 유저를 향한 표시와, 유저에 의한 조작(여기에서는, 버튼 조작이 된다)이 행하여지는 부위이다.
표시 조작 패널부(23)는, 우측판(21A)과 좌측판(21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조작 패널부(23)는, 조작부(101)와 표시부(102)를 구비한다.
조작부(101)는, 유저에 의한 버튼 조작이 행하여지는 부위이다. 동(同) 도면의 예에서는, 조작부(101)에 있어서, 버튼 조작이 행하여지는 버튼(조작자(操作子))으로서, 제1 버튼(BT-1), 제2 버튼(BT-2), 제3 버튼(BT-3)의 3개의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버튼(BT-1), 제2 버튼(BT-2), 제3 버튼(BT-3)에 관하여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버튼(BT)이라고 기재한다.
표시부(102)는, 낚시용 전동 릴(1)의 동작에 따라 소정의 내용의 표시가 행하여지는 부위이다. 표시부(102)로서 구비되는 표시 디바이스에 관하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액정 표시 디바이스, 유기 EL표시 디바이스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은, 낚시용 전동 릴(1)에 있어서의 표시 조작 패널부(23)의 태양예를 도시하고 있다. 표시 조작 패널부(23)에 있어서는, 표시부(102)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늘어서도록 하여,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에 걸쳐, 제1 버튼(BT1), 제2 버튼(BT2), 제3 버튼(BT3)의 3개의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 조작 패널부(23)에 있어서의 제1 버튼(BT1), 제2 버튼(BT2), 제3 버튼(BT3)의 각각에 대응시킨 위치에서, 각 버튼(BT)의 기능을 단적(端的)으로 나타내는 문자가 배치된다.
설명을 도 1, 도 2로 되돌린다. 핸들(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축의 선단부(20a)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암(25)과, 핸들 암(25)의 일단에 핸들 축(C1)과 평행한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노브(knob)(26)와, 릴 본체(2) 측에 배치된 드래그(27)를 가지고 있다.
핸들(20)로부터의 토크(torque)는, 클러치 기구(5)가 클러치 온된 상태에 있어서 스풀(3)에 직접 전달된다.
스풀(3)은, 우측판(21A)과 좌측판(21B)의 사이에서 각각 베어링(도시 생략)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풀(3)은, 도시하지 않는 스풀 회전축과, 스풀 회전축과 동축(同軸)에 배치되어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통상(筒狀)의 줄 감기 몸통부(32)와, 줄 감기 몸통부(32)의 양단(兩端)에 경(徑)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확경(擴徑)된 플랜지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3)은, 모터(4)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스풀 구동 기구를 통하여 회전 구동되고, 클러치 조작 부재(50)에 의하여 구동되는 클러치 기구(5)가 연동하고 있다. 스풀 회전축은, 우측 커버(22A) 및 좌측 커버(22B)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각각 별도로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5)는, 클러치 조작 부재(50)의 조작에 의하여 핸들(20)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 가능한 클러치 온 상태와, 핸들(20)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 불가능한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클러치 온 위치에서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이 스풀 회전축에 전달되고, 클러치 온 상태가 되고, 피니언 기어와 스풀 회전축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 오프 위치에서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이 스풀 회전축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되고, 스풀(3)은 자유 회전 가능하게 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5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5)를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이 행하여지는 부위이다.
클러치 조작 부재(50)는, 릴 본체(2)의 후부(後部)에 있어서, 우측판(21A)과 좌측판(21B)의 사이에서 릴 본체(2)의 후부에 낚싯대 장착부(24)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50)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풀 회전축 둘레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풀 구동 기구는, 스풀(3)이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또한, 감기 시에 스풀(3)에 대하여 드래그(27)에 의하여 드래그력을 발생시켜 낚시줄의 절단을 방지한다.
드래그(27)는, 핸들(20)의 핸들 암(25)과 우측 커버(22A)의 사이에 있어서 핸들 축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스풀 구동 기구는, 도시하지 않는 롤러 클러치의 형태의 역전 방지부에 의하여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 상기의 모터(4)와, 모터(4)의 회전을 감속하여 스풀(3)에 전달하거나, 핸들(20)의 회전을 증속하여 스풀(3)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용 전동 릴(1)의 전부에 있어서 스풀(3)(도 1 참조)보다도 앞쪽의 위치에 배치되고, 반으로 나눈 형상의 모터 수용체(40)에 덮인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스풀 구동 레버(28)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일정한 회전 범위에 있어서 회전축(C3)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풀 구동 레버(28)는, 낚시줄을 감아올리는 방향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에 의하여 스풀(3)을 구동하기 위한 조작이 행하여지는 조작자이다. 스풀 구동 레버(28)는, 회전 위치에 따라 스풀(3)의 회전 속도가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풀 구동 레버(28)의 회전 위치가, 예를 들어 가장 후방 측으로 회전된 위치(조작을 행하는 유저로부터 보았을 경우에는 가장 앞쪽)에서는 스풀(3)의 구동은 정지된 상태이고, 여기서부터 전방으로 회전시켜 가는 것에 따라, 스풀의 회전 속도가 단계적으로 높게 되어 가도록 된다.
[자동 유인 동작 개요]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스풀(3)의 구동 패턴을 나타내는 구동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스풀(3)의 구동 제어를 행하여 낚시줄을 감아올리는 것으로, 자동 유인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후,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제1 자동 유인 동작과 제2 자동 유인 동작의 2개의 자동 유인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자동 유인 동작과 제2 자동 유인 동작에서는, 구동 제어 정보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구성이 다르다.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여는, 구동 제어 정보로서, 회전 속도(회전 상태 재현 파라미터의 일례), 구동 시간(계속 시간 파라미터의 일례), 정지 시간(정지 시간 파라미터의 일례)의 3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제1 구동 제어 정보)가 이용된다.
회전 속도는, 스풀(3)이 회전하는 속도이다. 스풀(3)이 회전하는 속도는, 스풀의 회전 상태의 하나이다. 구동 시간은, 회전 속도에 의한 스풀(3)의 회전 구동을 계속시키는 시간이다. 정지 시간은, 구동 시간이 종료하고 나서 스풀(3)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로 다음의 구동 시간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는, 제1 구동 제어 정보가 나타내는 스풀 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에 따른 스풀 구동 제어가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한편, 제2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여서는, 구동 제어 정보로서, 연속하는 복수의 단위 시간마다 스풀 회전수를 대응지은 정보(제2 구동 제어 정보)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제2 구동 제어 정보는, 학습 모드에 있어서 검출된 단위 시간마다의 스풀 회전수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유인 동작으로서, 제1 자동 유인 동작과 제2 자동 유인 동작의 설명을 행하지만,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우선, 제2 자동 유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고, 다음으로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자동 유인 동작과 제2 자동 유인 동작 중, 제1 자동 유인 동작이, 스풀(3)의 회전 정지에 있어서 모터(4)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제어가 행하여지는 자동 유인 동작이 된다.
[제2 자동 유인 동작]
유저는, 제2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스풀(3)의 구동 패턴을 낚시용 전동 릴(1)에 설정하는 경우, 우선 조작부(101)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제2 자동 유인 동작 대응의 학습 지시 조작)을 행하여, 제2 자동 유인 동작 대응의 학습 모드를 설정한다.
학습 모드가 설정 중의 상태에 있어서, 유저는, 자신이 의도하는 자동 유인 동작에서의 스풀(3)의 거동을 재현하도록, 핸들(20)이나 스풀 구동 레버(28)를 이용한 유인 조작(유인 조작)을 행한다. 유저는, 유인 조작으로서, 자신이 의도하고 있는 유인의 패턴에 의하여, 스풀(3)을 회전시키거나, 스풀(3)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스풀(3)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거나 한다.
낚시용 전동 릴(1)은, 제2 자동 유인 동작의 학습 모드의 설정 중에 있어서, 소정의 단위 시간마다 스풀(3)의 회전수(스풀 회전수)를 검출한다. 낚시용 전동 릴(1)은, 학습 모드에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른 복수의 단위 시간마다, 검출된 스풀 회전수를 대응지은 정보를, 제1 구동 제어 정보로서 기억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용 전동 릴(1)에 의하여, 유저에 의한 유인 조작이 반영된 제2 자동 유인 동작의 학습이 행하여진 것이 된다.
제2 자동 유인 동작 대응의 학습 모드는, 예를 들어 학습 모드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조작부(101)에 대하여 학습 모드의 종료를 지시하는 조작(학습 모드 종료 조작)이 행하여진 것에 따라 종료된다.
유저는, 낚시용 전동 릴(1)에 제2 자동 유인 동작을 행하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조작부(101)에 대하여, 제2 자동 유인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소정의 조작(제2 자동 유인 실행 지시 조작)을 행한다. 제2 자동 유인 실행 지시 조작에 따라, 낚시용 전동 릴(1)은, 제1 구동 제어 정보에 따라, 단위 시간마다 대응한 스풀 회전수에 의하여 스풀(3)이 회전하도록, 스풀(3)의 구동 제어를 실행한다.
제2 자동 유인 동작에서는, 상기와 같이 학습 모드에 있어서 검출된 단위 시간마다의 스풀 회전수를 재현하도록 하여 스풀(3)을 구동하는 것으로부터, 예를 들어 스풀(3)의 회전을 계속시키면서 회전 속도를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 한편으로, 제2 자동 유인 동작에서는, 이하와 같은 사상(事象)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모드에 있어서, 유저는, 어떤 타이밍에 스풀의 회전 속도에 급한 변화를 주도록 하여 유인 조작을 행하였다. 그렇지만, 제2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의 학습에서는, 어디까지나 단위 시간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수로서 검출된다. 이 경우, 단위 시간에 있어서의 급한 회전 속도의 변화는, 스풀 회전수로서 평활화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제2 자동 유인 동작의 하에서는, 학습 모드에 있어서 유저가 스풀(3)의 회전 속도에 관하여 급한 변화를 주는 것을 의도하여 조작을 행하였다고 하여도, 유인 동작을 실행시켰을 때에는, 그다지 급한 변화를 생기게 하지 않는다고 하는 결과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실제로 생기는 스풀(3)의 거동(즉, 유인의 움직임)이 유저의 의도와 다른 것이 된다. 그래서, 다음으로 설명하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에서는, 유저의 의도에 들어맞도록 하여 스풀(3)의 회전에 관하여 급한 변화를 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자동 유인 동작]
제1 자동 유인 동작 하에서는, 유저는, 조작부(101)에 대한 조작에 의하여, 제2 구동 제어 정보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전술과 같이, 제2 구동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는, 회전 속도, 구동 시간, 및 정지 시간의 3개이다.
도 4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 설정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스풀(3)의 거동으로서, 스풀(3)의 시간 경과에 따른 회전 속도의 변화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패턴 pt11은,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스풀(3)을 회전 구동시켰을 경우의 이상적인 회전 속도의 변화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패턴 pt12는 종래의 제어(회로의 단락을 수반하지 않는 모터(4)의 회전 정지)에 의하여 스풀(3)을 회전 구동시켰을 경우의 실제의 회전 속도의 변화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패턴 pt13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회로의 단락에 의한 모터(4)의 회전 정지)로 스풀(3)을 회전 구동시켰을 경우의 변화 패턴이다.
또한, 패턴 pt21, pt22, pt23은, 각각, 패턴 pt11, pt12, pt13으로서의 스풀(3)의 회전 속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얻어지는 낚싯줄의 감아올림 양의 변화를 나타낸다.
동 도면의 패턴 pt11으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경우의 스풀(3)의 거동으로서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이 실행되는 동안에 있어서, 단위 구동 시간(Tp)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하나의 단위 구동 시간(Tp)에 있어서는, 우선, 구동 시간(Td)에 의하여 회전 속도 v1로 스풀(3)이 구동된다. 또한, 같은 단위 구동 시간(Tp)에 있어서 구동 시간(Td)이 종료하면, 다음으로 정지 시간(Ts)에 걸쳐 스풀(3)의 회전이 정지된다. 정지 시간(Ts)이 종료하면, 다음의 단위 구동 시간(Tp)가 개시되고, 마찬가지의 패턴으로 스풀(3)이 회전, 정지한다.
다음으로, 도 5을 참조하여,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회전 속도, 구동 시간, 및 정지 시간)의 설정 조작의 수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조작에 따른 파라미터 변경 화면의 천이예가 나타내진다.
유저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의 실행이 가능한 모드(제1 자동 유인 동작 실행 모드) 하에서 스풀(3)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101)에 대하여 파라미터 변경 모드로의 천이를 지시하는 소정 조작(파라미터 변경 모드 천이 조작)을 행할 수 있다.
파라미터 변경 모드 천이 조작이 행하여진 것에 따라, 낚시용 전동 릴(1)은, 제1 자동 유인 동작 모드로부터, 파라미터 변경 모드로 이행한다. 파라미터 변경 모드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부(101)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모드이다.
파라미터 변경 모드로 이행한 것에 따라, 낚시용 전동 릴(1)은, 표시부(102)에 파라미터 변경 화면을 표시한다.
도 5(A)은, 파라미터 변경 모드로 이행하여 최초로 표시되는 파라미터 변경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의 파라미터 변경 화면에 있어서는, 레버 속도 표시 에어리어(AR1), 수심 표시 에어리어(AR2), 파라미터 표시 에어리어(AR22)가 배치된다.
레버 속도 표시 에어리어(AR1)는, 스풀 구동 레버(28)의 현재의 회전 위치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스풀(3)의 회전 속도(레버 속도)가 표시되는 에어리어이다.
수심 표시 에어리어(AR2)는, 현재에 있어서 채비가 위치하고 있는 수심을 표시하는 에어리어이다.
파라미터 표시 에어리어(AR22)는, 현재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제2 스풀 구동 제어에 대응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값(파라미터값)이 표시되는 에어리어이다.
파라미터 표시 에어리어(AR22)에 있어서는, 회전 속도 표시 에어리어(AR22-1), 구동 시간 표시 에어리어(AR22-2), 정지 시간 표시 에어리어(AR22-3)가 포함된다.
회전 속도 표시 에어리어(AR22-1)는, 회전 속도의 파라미터값이 표시되는 에어리어이다. 구동 시간 표시 에어리어(AR22-2)는, 구동 시간의 파라미터값이 표시되는 에어리어이다. 정지 시간 표시 에어리어(AR22-3)는, 정지 시간의 파라미터값이 표시되는 에어리어이다.
또한, 파라미터 변경 화면에 있어서는, 버튼 기능 지시 아이콘 icn-1, icn-2, icn-3이 배치되어 있다. 버튼 기능 지시 아이콘 icn-1, icn-2, icn-3은, 각각, 대응의 버튼(BT-1, BT-2, BT-3)에 할당된 기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동 도면의 경우, 버튼 기능 지시 아이콘 icn-1은, 제1 버튼(BT-1)에 관하여, 파라미터값 증가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버튼 기능 지시 아이콘 icn-2는, 제2 버튼(BT-2)에 대하여 파라미터값 감소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버튼 기능 지시 아이콘 icn-3은, 제3 버튼(BT-3)에 대하여 확정(엔터)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는, 파라미터 표시 에어리어(AR22)에 있어서 회전 속도 표시 에어리어(AR22-1)가 강조 표시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속도 표시 에어리어(AR22-1)가 강조 표시된 상태는, 현재에 있어서, 구동 제어 파라미터(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 중, 회전 속도가 변경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즉, 동 도면의 예에서는, 제2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변경 모드로 이행하였을 때에는, 우선, 구동 제어 파라미터(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 중, 회전 속도의 파라미터값이 변경 가능한 상태가 되는 태양예가 나타내져 있다.
동 도면의 태양의 파라미터 변경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 하에서는, 유저가 제1 버튼(BT-1)을 1회 압압(押壓) 조작할 때마다, 회전 속도의 파라미터값이 인크리먼트(increment)되도록 증가한다. 또한, 유저가 제1 버튼(BT-2)을 1회 압압 조작할 때마다, 회전 속도의 파라미터값이 디크리먼트(decrement)되도록 감소한다.
덧붙여, 유저가 제1 버튼(BT-1)을 길게 누른 것에 따라, 제1 버튼(BT-1)의 압압이 해제될 때까지, 회전 속도의 파라미터값이 연속적으로 인크리먼트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유저가 제2 버튼(BT-2)을 길게 누른 것에 따라, 제2 버튼(BT-2)의 압압이 해제될 때까지, 회전 속도의 파라미터값이 연속적으로 디크리먼트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 버튼(BT-1) 또는 제2 버튼(BT-2)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져 회전 속도의 파라미터값이 변경되는 것에 따라, 회전 속도 표시 에어리어(AR22-1)에 있어서는, 변경(지정)된 파라미터값이 반영되도록 표시가 변경된다.
그리고, 유저는, 상기와 같이 조작을 행하여, 회전 속도의 파라미터값에 관하여 자신이 의도하고 있는 대로의 수치를 설정하는 것을 끝내면, 제3 버튼(BT-3)을 조작한다. 제3 버튼(BT-3)이 조작된 것에 따라, 회전 속도의 파라미터값은 현재에 있어서 입력되어 있는 값으로 확정된다. 이 때, 낚시용 전동 릴(1)은,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의 파라미터값을 갱신한다. 또한, 파라미터 변경 화면은, 도 5(B)에 나타내지는 태양으로 천이한다.
도 5(B)의 파라미터 변경 화면은, 구동 시간 표시 에어리어(AR22-2)가 강조 표시된 상태로 변화하고 있다. 즉, 파라미터 변경 모드로서는, 회전 속도의 파라미터값을 변경 가능한 상태로부터 구동 시간의 파라미터값을 변경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였다.
유저는, 도 5(B)에 나타내지는 파라미터 변경 화면이 표시된 상태 하에서, 도 5(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버튼(BT-1) 또는 제2 버튼(BT-2)에 대한 조작을 행하여, 구동 시간의 파라미터값을 자신이 의도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다. 유저는, 구동 시간의 파라미터값이 의도한 대로의 값인 것을 확인하면, 제3 버튼(BT-3)을 조작하여, 구동 시간의 파라미터값을 확정시킨다. 낚시용 전동 릴(1)은, 이 경우의 제3 버튼(BT-3)의 조작에 따라,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구동 시간의 파라미터값을 갱신한다.
또한, 제3 버튼(BT-3)이 조작된 것에 따라, 파라미터 변경 화면은, 도 5(C)에 나타내지는 상태로 천이한다.
도 5(C)의 파라미터 변경 화면은, 정지 시간 표시 에어리어(AR22-3)가 강조 표시된 상태로 변화하고 있다. 즉, 파라미터 변경 모드로서는, 구동 시간의 파라미터값을 변경 가능한 상태로부터 정지 시간의 파라미터값을 변경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였다.
유저는, 도 5(C)에 나타내지는 파라미터 변경 화면이 표시된 상태 하에서, 제1 버튼(BT-1) 또는 제2 버튼(BT-2)에 대한 조작을 행하여, 정지 시간의 파라미터값을 변경하여, 자신이 의도하는 정지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는, 제3 버튼(BT-3)을 조작하여, 정지 시간의 파라미터값을 확정시키도록 한다. 낚시용 전동 릴(1)은, 이 경우의 제3 버튼(BT-3)의 조작에 따라,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정지 시간의 파라미터값을 갱신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제3 버튼(BT-3)이 조작된 것에 따라, 파라미터 변경 모드가 종료되고, 제1 자동 유인 동작 실행 모드로 되돌려진다. 제1 자동 유인 동작 실행 모드로 이행한 것에 따라, 표시부(102)의 표시는, 지금까지의 파라미터 변경 화면의 표시로부터, 제1 자동 유인 동작 실행 모드에 대응하는 표시로 천이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파라미터 변경 모드로부터 이행된 제1 자동 유인 동작 실행 모드에서 제1 자동 유인 동작을 실행시켰을 경우, 낚시용 전동 릴(1)은, 파라미터 변경 모드에서 확정된 구동 제어 파라미터(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에 따라, 단위 구동 시간(구동 시간 + 정지 시간)마다 스풀(3)의 구동 제어를 실행한다. 즉, 이 경우에는, 파라미터 변경 모드에서 유저가 설정한 구동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스풀(3)의 구동 제어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 제어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에서는, 예를 들어 구동 제어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의 파라미터값이 반영된 회전 속도로, 스풀(3)의 회전을 개시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저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가, 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인 것을 파악하고 있다. 즉, 유저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로서 설정된 회전 속도에 의하여 스풀(3)이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는 것을 이해하고 있는 것이고, 이 이해에 기초하여, 자신이 의도하는 유인 동작을 얻을 수 있도록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이 때문에, 제1 자동 유인 동작이 실행되어 있을 때에는, 구동 시간의 개시 타이밍에서, 스풀(3)이, 유저의 의도에 들어맞는 회전 속도로 회전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제1 자동 유인 동작에서는, 유저의 의도에 들어맞도록 하여 스풀(3)의 회전 속도가 변화한다. 즉, 제1 자동 유인 동작에서는, 유저의 의도에 들어맞는 스풀(3)의 거동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에 관하여는, 각각, 도 5에 의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부(101)에 대한 조작에 의하여 간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학습에 의한 제1 자동 유인 동작의 설정]
그 후,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제1 자동 유인 동작에도 대응하여 학습 모드를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공장 출하 시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디폴트(default)의 파라미터값이, 유저가 의도하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에서의 스풀(3)의 구동 패턴과 크게 상위하고 있는 것 같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수치를 확인하면서 행하는 조작에서는, 오히려 유저가 의도하는 스풀(3)의 구동 패턴이 되도록 파라미터값을 설정하는 데에 시간이 걸리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유저는, 우선,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학습 모드를 설정하여 유인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낚시용 전동 릴(1)에 구동 제어 파라미터(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유저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에 관하여, 우선은 자신의 의도에 어느 정도 가까운 파라미터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유저는, 도 5에 예시한 조작부(101)에 대한 조작에 의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확인하면서, 각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파라미터값을, 자신의 의도에 맞추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순을 밟는 것으로, 유저는, 자신의 의도에 따른 스풀(3)의 거동으로 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손쉽게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다.
낚시용 전동 릴(1)은, 제1 자동 유인 동작 대응의 학습 모드가 설정되면, 유저에 의하여 행하여진 유인 조작에 따른 스풀(3)의 거동에 기초하여, 이하와 같이 구동 제어 파라미터(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의 각 파라미터값을 산출한다.
낚시용 전동 릴(1)은, 학습 모드의 설정 중에 있어서의 유인 조작에 따른 스풀의 회전 속도를 일정 시간마다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 속도를 기록한다.
낚시용 전동 릴(1)은, 학습 모드에 있어서 검출된 일정 시간마다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구동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을 각각 산출한다.
일례로서, 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의 산출에 있어서, 낚시용 전동 릴(1)은, 학습 모드가 설정된 기간을, 기록된 회전 속도의 변동 패턴에 기초하여, 1회의 고패질에 따른 구간마다 구분한다. 낚시용 전동 릴(1)은, 구분된 구간마다에 있어서의 구동 시간, 정지 시간에 해당하는 기간과, 구동 시간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를 특정한다. 낚시용 전동 릴(1)은, 구간마다 특정된 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에 기초하여, 각 하나의 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을 산출한다. 이 경우, 낚시용 전동 릴(1)은, 변동 주기마다 특정된 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의 최빈값, 혹은 평균값 등을 산출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을 산출하도록 되어도 무방하다.
낚시용 전동 릴(1)은, 상기와 같이 산출된 하나의 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에 의하여,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파라미터값을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학습에 의하여도 제1 구동 제어 정보를 설정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유저는, 우선은, 학습 모드로 유인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파라미터값의 각각에 관하여, 자신의 의도에 어느 정도 가까운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유저는, 조작부(101)에 대한 조작에 의하여, 각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파라미터값을 자신의 의도에 맞추어 가도록 변경하여 갈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순을 밟는 것으로, 유저는, 자신의 의도에 따른 스풀(3)의 거동으로 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손쉽게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다.
[낚시용 전동 릴의 기능 구성예]
도 6을 참조하여, 낚시용 전동 릴(1)의 기능 구성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도 1, 도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적의 설명을 생략한다.
동 도면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조작부(101), 표시부(102), 제어부(103), 기억부(104), 모터 구동 회로(105), 모터(4), 스풀(3), 및 모터 회전 센서(107)를 구비한다.
제어부(103)는, 낚시용 전동 릴(1)에 있어서의 각종의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부(103)로서의 기능은, 낚시용 전동 릴(1)이 구비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된다.
제어부(103)는, 파라미터 설정부(131), 및 구동 제어부(132)를 구비한다.
파라미터 설정부(131)는, 조작부(101)에 대하여 행하여진 조작에 따라, 구동 제어 파라미터(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를, 제1 구동 제어 정보로서 설정한다.
구동 제어부(132)는, 구동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스풀(3)의 구동 제어를 실행한다. 여기서, 스풀(3)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구동 제어부(132)가 스풀(3)을 구동 제어하는 것은, 스풀(3)을 구동하는 모터(4)를 구동 제어하는 것에 상당한다.
기억부(104)는, 낚시용 전동 릴(1)에 대응하는 각종의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104)는, 제1 구동 제어 정보 기억부(141)와 제2 구동 제어 정보 기억부(142)를 구비한다.
제1 구동 제어 정보 기억부(141)는, 제1 구동 제어 정보를 기억한다. 제1 구동 제어 정보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 스풀(3)을 구동 제어하는 데에 이용되는 정보이다. 제1 구동 제어 정보에는, 파라미터 변경 모드 또는 제1 자동 유인 동작 대응의 학습 모드에 의하여 설정된 구동 제어 파라미터(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가 포함된다.
제2 구동 제어 정보 기억부(142)는, 제2 구동 제어 정보를 기억한다. 제2 구동 제어 정보는, 제2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 스풀(3)을 구동 제어하는 데에 이용되는 정보이다.
도 7(A)는, 제1 구동 제어 정보 기억부(141)가 기억하는 제1 구동 제어 정보의 내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지도록, 제1 구동 제어 정보는, 각 하나의 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의 3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격납한다.
도 7(B)는, 제2 구동 제어 정보 기억부(142)가 기억하는 제2 구동 제어 정보의 내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지도록, 제2 구동 제어 정보는, 단위 시간 1 ~ N마다 스풀 회전수를 대응지어 격납한다.
설명을 도 6으로 되돌린다. 모터 구동 회로(105)는, 구동 제어부(132)의 제어에 따라 모터(4)를 구동하는 회로이다. 스풀(3)은, 모터(4)가 회전하여 얻어지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모터 회전 센서(107)는, 모터(4)의 회전에 관하여 검출한다. 제어부(103)는, 모터 회전 센서(107)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모터(4)의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모터 회전 센서(107)는, 예를 들어 퍼텐쇼미터(potentiometer) 등을 구비하여 모터(4)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것 같은 것이어도 무방하고, 각속도 센서 등에 의하여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것 같은 것이어도 무방하다.
[모터의 회전 정지 제어에 관한 개요]
전술과 같이, 제2 자동 유인 동작에서는,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급한 회전 속도의 변화가 스풀 회전수로서 평활화되는 것으로부터, 유저가 행한 유인 조작이 재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1 자동 유인 동작에서는, 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의 3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에 따라 모터(4)가 구동되는 것으로부터, 유저의 의도에 들어맞는 스풀(3)의 거동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제1 자동 유인 동작 하에서의 스풀(3)(모터(4))의 회전의 급정지에 관하여, 예를 들어 단지 전류의 인가를 순간적으로 정지하여 모터(4)의 회전을 정지시켰다고 하여도, 스풀(3)이나 모터(4)의 관성에 의하여 오버런이 발생한다. 이 경우, 실제의 스풀(3)의 회전 속도의 변화는, 패턴 pt11과 같이는 되지 않고, 예를 들어 패턴 pt12와 같이 된다. 이 경우, 스풀(3)을 구동하는 모터(4)의 회전 속도도, 패턴 pt12와 마찬가지의 변화를 나타낸다. 패턴 pt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스풀(3)(모터(4))의 회전은, 정지 시간(Ts)의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 폭에 있어서 속도가 저하하고, 어떤 타이밍에 정지하는 상태가 된다.
제1 자동 유인 동작은, 스풀(3)의 회전 속도의 급한 변화에 관하여 제2 자동 유인 동작의 경우와 같이 평활화되는 일 없이, 유저의 의도에 들어맞는 스풀(3)의 거동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이점의 하나이다. 이 때문에, 스풀(3)(모터(4))의 회전의 정지에 관해서라면, 실제로 스풀(3)(모터(4))의 회전이 정지되는 타이밍은, 정지 시간(Ts)의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가능한 한 지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1)에서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 하에서 스풀(3)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데에 있어서, 모터(4)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것으로, 모터(4)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행하여진다.
지금까지 회전 상태에 있던 모터(4)의 회로가 단락되는 것으로, 모터(4)는, 부하 혹은 발전기로서 기능하는 상태로 변화한다. 이 경우, 모터(4)는, 단지 전류의 인가가 정지되었을 경우와 달리, 관성에 저항하여 정지하려고 한다. 이 결과, 스풀(3)(모터(4))은, 예를 들어 도 4의 패턴 pt13으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 시간(Ts)의 개시로부터 회전이 정지하는 데에 요(要)하는 오버런의 시간이, 패턴 pt12보다도 단축된다. 이것에 의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여는, 유저의 의도에 보다 들어맞는 스풀(3)의 거동을 얻을 수 있다.
덧붙여, 도 4에 도시되는 낚싯줄의 감아올림 양에 관해서라면, 종래의 제어에 대응하는 패턴 pt22와 본 실시 형태의 제어에 대응하는 패턴 pt23에서는, 패턴 pt22 쪽이 이상(理想)의 패턴 pt21에 가까운 것으로 되어 있다.
종래에 있어서는, 모터(4)의 회전자의 관성이나, 모터(4)가 브러시리스(brushless) 모터인 경우에 있어서의 위상 검출 시퀀스에 의하여 생기는 기동 시의 「지연」 등에 기인하여 생기는 오버런에 의하여, 낚싯줄의 감아올림 양이 보충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터(4)의 회전이 종래보다도 급하게 정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낚싯줄의 감아올림 양을 보충하는 것이 행하여지지 않게 된 것에 의하여 감아올림 양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낚싯줄의 감아올림 양에 관하여는, 패턴 pt23보다도 패턴 pt22 쪽이 패턴 pt21에 가까운 결과가 된다.
다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는, 유저가 자동 유인 동작으로서 강약이 있는 채비의 움직임을 구하는 것에 응하려고 하는 것인 것으로부터, 감아올림 양이 이상(理想)에 가까워지지 않는 것에 관하여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 하에서, 낚싯줄의 감아올림 양을 이상에 가까이 하고 싶은 경우에는, 모터(4)의 회전의 급정지가 가능하게 된 것에 의하여, 모터(4)의 실효적인 정지 시간이 늘어난 만큼에 따라 구동 시간도 연장시키도록 제어하면 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1)은, 모터(4)의 정지에 있어서 회로를 단락시키는 제어를,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는 실행하지만, 제2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는 실행하지 않게 된다.
제2 자동 유인 동작에서는, 전술과 같이, 학습에 있어서 검출한 단위 시간마다의 스풀(3)의 회전수를 재현하도록 모터(4)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부터, 급한 스풀(3)의 회전 속도의 변화는 평활화된다. 이 때문에, 제2 자동 유인 동작 하에서, 스풀(3)의 회전을 급하게 정지시켰다고 하여도, 급정지되는 타이밍이 유저의 의도에 들어맞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 점에서, 제2 자동 유인 동작 하에서 스풀(3)의 회전을 급하게 정지시키는 것의 필요성은 낮다고 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 하에서는, 모터(4)의 정지에 있어서 회로를 단락시키는 제어는, 제2 자동 유인 동작 하에서는 실행하지 않게 된다.
[모터 구동에 관련하는 회로 구성]
도 8은, 상기와 같이 하여 모터(4)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는, 모터(4)가 브러시 부착 모터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모터(4)가 브러시 부착 모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되는 회로는, 모터(4), 모터 구동 회로(105), 및 스위치 SW1, SW2를 포함한다.
스위치 SW1은, 단자 tm11에 대하여 단자 tm12, tm13 중 어느 하나가 접속되도록 전환이 행하여진다. 스위치 SW2는, 단자 tm21에 대하여 단자 tm22, tm23 중 어느 하나가 접속되도록 전환이 행하여진다.
스위치 SW1에 있어서, 단자 tm11은 모터(4)의 양극과 접속되고, 단자 tm12는 모터 구동 회로(105)의 전류 출력 단자의 양극과 접속되고, 단자 tm13은 스위치 SW2의 단자 tm23과 접속된다.
스위치 SW2에 있어서, 단자 tm21은 모터(4)의 음극과 접속되고, 단자 tm22는 모터 구동 회로(105)의 전류 출력 단자의 음극과 접속되고, 단자 tm23은 스위치 SW1의 단자 tm13과 접속된다.
스위치 SW1, SW2의 전환은, 모터 구동 회로(105)로부터 출력되는 전환 신호(Sc)에 의하여 연동(동기)하여 전환이 행하여진다.
즉, 스위치 SW1에 있어서 단자 tm11이 단자 tm12에 접속될 때, 스위치 SW2에 있어서는 단자 tm21이 단자 tm22에 접속되도록 연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모터(4)의 회로가 모터 구동 회로(105)와 접속된 상태이다.
한편, 스위치 SW1에 있어서 단자 tm11이 단자 tm13에 접속될 때, 스위치 SW2에 있어서는 단자 tm21이 단자 tm23에 접속되도록 연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모터(4)의 회로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이 단락한 상태가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모터(4)의 회로는, 모터 구동 회로(105)가 구동 가능하도록 모터 구동 회로(105)와 접속되는 상태와, 단락되는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 수순예]
도 9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1)이,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처리 수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은, 낚시용 전동 릴(1)의 구동 제어부(132)가,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제1 구동 제어 정보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회전 속도, 구동 시간(Td), 정지 시간(Ts))에 기초하여, 단위 구동 시간(Tp)(도 4)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경우의 처리 수순예를 도시하고 있다.
스텝 S101: 제1 자동 유인 동작의 개시에 있어서, 우선, 구동 제어부(132)는, 회전 속도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회전 속도로 스풀(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4)의 구동을 개시시킨다.
이 때, 구동 제어부(132)는, 예를 들어 회전 속도를 지정하여 모터 구동 회로(105)에 모터(4)로의 전류 인가의 개시를 지시한다. 전류 인가의 개시의 지시를 받은 모터 구동 회로(105)는, 모터(4)와 모터 구동 회로(105)가 접속되는 상태가 되도록 스위치 SW1, SW2를 제어한다. 즉, 모터 구동 회로(105)는, 스위치 SW1에 있어서는 단자 tm11에 단자 tm12가 접속되고, 스위치 SW2에 있어서는 단자 tm21에 단자 tm22가 접속되도록, 전환 신호(Sc)를 출력한다. 그 후, 모터 구동 회로(105)는, 지정된 회전 속도가 되도록 모터(4)에 전류를 인가한다.
스텝 S102: 구동 제어부(132)는, 스텝 S101에 의하여 모터(4)의 구동을 개시시킨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구동 제어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구동 시간(Td)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한다.
스텝 S103: 구동 시간(Td)이 종료하면, 구동 제어부(132)(회전 속도 검출부의 일례)는, 모터 회전 센서(107)의 출력에 기초하여 모터(4)의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구동 제어부(132)는, 검출된 회전 속도가 일정 이상인지 여부에 관하여 판정한다.
덧붙여, 스풀(3)과 모터(4)의 회전 속도에는 상관이 있다. 그래서, 스풀(3)의 회전에 관하여 검출하는 스풀 회전 센서를 설치하고, 구동 제어부(132)는, 스풀 회전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모터(4)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도록 되어도 무방하다.
스텝 S104: 스텝 S103에서 모터(4)의 회전 속도가 일정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구동 제어부(132)는, 모터(4)의 회로의 단락에 의하여 모터(4)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구동 제어부(132)는, 모터 구동 회로(105)에 대하여 모터(4)의 회로의 단락을 지시한다. 모터(4)의 회로의 단락의 지시를 받은 모터 구동 회로(105)는, 스위치 SW1에 있어서는 단자 tm11에 단자 tm13이 접속되도록 전환하고, 스위치 SW2에 있어서는 단자 tm21에 단자 tm23이 접속되도록 전환하기 위한 전환 신호(Sc)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4)의 회로가 단락 되고, 모터(4)의 오버런을 짧게 하여, 급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스텝 S105: 한편, 모터(4)의 회전 속도가 일정 미만의 상태이면, 회로를 단락시키지 않고 전류 인가의 정지에 의하여 모터(4)의 구동을 정지시켜도, 허용되는 시간 내에서 모터(4)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스텝 S103에서 모터(4)의 회전 속도가 일정 미만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구동 제어부(132)는, 모터(4)를 회로의 단락에 의하지 않고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 경우, 구동 제어부(132)는, 회로의 단락에 의하지 않는 모터(4)의 회전의 정지를 모터 구동 회로(105)에 지시한다. 지시를 받은 모터 구동 회로(105)는, 스위치 SW1, SW2에 관하여는, 모터 구동 회로(105)와 모터(4)가 접속된 상태인 채로 한 후, 모터(4)로의 전류의 인가를 정지한다.
모터(4)의 회전 속도가 일정 이상의 상태 하에서, 예를 들어 모터(4)의 회로를 단락시키지 않고 모터(4)로의 전류 인가의 정지에 의하여 모터(4)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경우에는, 모터(4)의 회전자(로터)의 관성이 커지는 것으로부터, 오버런의 시간을 무시할 수 없는 정도로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모터(4)의 회전 속도가 일정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104에서, 회로를 단락시키는 것에 의하여 모터(4)의 관성에 저항하여 급정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회로의 단락에 의하여는 관성에 대항하여 강제적으로 모터(4)를 정지시키는 힘이 가해지는 것으로부터, 모터(4)의 구조나 회로에 부담이 걸리기 쉽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회로의 단락에 의한 정지가 항상 행하여지도록 되면, 모터(4)의 열화를 촉진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터(4)의 회전 속도가 일정 미만이고, 회로의 단락에 의하지 않아도 허용되는 시간 내에서 모터(4)의 회전을 정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05에 의하여, 회로의 단락에 의하지 않고, 예를 들어 단지 전류 인가를 정지하는 것에 의한 모터(4)의 구동의 정지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텝 S103 ~ S105의 처리에 의하여는, 구동 시간(Td)의 종료에 수반하는 스풀(3)의 회전 정지에 있어서, 모터(4)의 회전 속도의 상태에 따라, 모터(4)의 회로를 단락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4)가 급정지되는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후, 모터(4)에 걸리는 부담의 경감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스텝 S106: 구동 제어부(132)는, 모터(4)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텝 S105 또는 스텝 S106의 처리에 따른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구동 제어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정지 시간(Ts)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한다. 정지 시간(Ts)이 종료하면, 스텝 S101에 처리가 되돌려지는 것으로, 다음의 단위 구동 시간(Tp)에 따른 모터(4)의 구동 제어가 개시된다.
덧붙여, 동 도면의 처리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의 실행의 종료를 지시하는 종료 트리거(trigger)가 발생한 것에 따라 종료된다. 동 도면의 처리의 종료에 있어서는, 종료 트리거가 발생한 타이밍에 모터(4)를 정지시키는 것이 행하여진다. 덧붙여, 종료 트리거에 따라 모터(4)를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모터(4)를 급정지시키기 위한 회로의 단락을 행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종료 트리거는, 예를 들어 제1 자동 유인 동작을 정지시키는 조작에 따라 발생시킨다.
제1 자동 유인 동작으로서의 스풀(3)을 회전 구동시키는 데에 있어서, 유저는, 예를 들어 표시 조작 패널부(23)(도 3)의 제2 버튼(BT-2)([CHANGE]버튼)에 대한 소정 조작에 의하여 제1 자동 유인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그 후, 유저는, 제1 버튼(BT-1)([PICK UP]버튼)을 1회 압압하는 조작을 행한다. 제1 버튼(BT-1)이 조작된 것에 따라,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따른 스풀(3)의 구동(모터(4)의 구동)이 개시된다. 그리고, 유저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을 정지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재차, 제1 버튼(BT-1)을 1회 압압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제1 자동 유인 동작의 정지를 지시하는 제1 버튼(BT-1)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진 것에 따라 종료 트리거가 발생하고, 모터(4)의 회전의 정지와 함께 동 도면의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종료 트리거는, 예를 들어 제1 자동 유인 동작의 실행 중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5)를 오프로 하는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에도 발생하도록 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유저는, 예를 들어 제1 자동 유인 동작을 정지시켜 채비를 낙하시키고 싶은 경우에, 일단 제1 자동 유인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1 버튼(BT-1)에 대한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클러치 기구(5)를 오프로 하는 것에 의하여, 즉시 채비를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종료 트리거는, 장대로부터 채비까지의 길이(수심)가 일정 이내로 되었다고 검출된 것에 따라 발생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변형예>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로서 도 8에 예시한 회로는, 모터(4)가 브러시 부착 모터인 경우에 대응하여, 도 9의 플로 차트의 설명에 있어서는, 모터(4)가 브러시 부착 모터인 경우를 예로 들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터(4)는, 브러시리스 모터이어도 무방하다. 브러시리스 모터는, 브러시 부착 모터와의 비교에서는 관성이 작은 것이지만, 예를 들어 대경(大徑)의 것으로는 관성이 커지고, 오버런의 시간도 길어진다. 따라서, 모터(4)가 브러시리스 모터이어도, 회로의 단락에 의하여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유효한 경우가 있다. 브러시리스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어, 브러시리스 모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코일마다, 코일의 양단의 단자를 단락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혹은, 브러시리스 모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코일마다의 단자끼리를 단락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예를 들어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의 모터(4)의 회전의 개시에 있어서, 목표의 회전 속도에까지 도달시키는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경우에는, 모터(4)에 센서붙이의 브러시리스 모터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모터(4)가 센서붙이의 브러시리스 모터로 되는 것으로, 회전자의 관성이 저감되는 것과 함께, 센서리스의 브러시리스 모터에서 필요한 기동 시의 유기(誘起) 전압 검출에 요하는 시간도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급하게 목표의 회전 속도에 도달하도록 모터(4)의 회전을 개시시킬 수 있다.
덧붙여, 회로의 단락에 의하여 모터(4)를 정지시키는 경우로서는,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 모터(4)를 정지시키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예를 들어 제1 버튼(BT-1)([PICK UP]버튼)이 압압 조작되어 있는 동안에 있어서, 설정된 감아올림 속도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스풀(3)을 회전 구동하는 동작(버튼 감아올림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버튼(BT-1)의 압압이 해제되어 스풀(3)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킬 때에, 회로의 단락에 의하여 모터(4)를 정지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이 경우에 있어서, 설정된 감아올림 속도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가 일정 이상의 경우에 회로의 단락에 의하여 모터(4)를 정지시키고, 회전 속도가 일정 미만의 경우에는 회로의 단락에 의하지 않고 모터(4)를 정지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유저가 임의로 스풀(3)(즉, 모터(4))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조작은, 스풀 구동 레버(28)에 대한 조작 외, 스위치나 감압 센서에 대한 조작에 의하여 가능하도록 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모터(4)의 회전의 정지는, 예를 들어 스위치나 감압 센서의 압압 해제, 정지용 스위치의 조작,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버튼에 대한 일정 이상의 압압력에 의한 조작 등에 의하여 가능하도록 되어도 무방하다.
그 후, 상기와 같은 모터(4)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조작이 행하여진 타이밍에서의 모터(4)의 회전 속도가 일정 이상의 경우에는, 회로의 단락에 의하여 모터(4)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 경우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스풀 구동 레버(28)와 함께 스풀(3)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스위치나 감압 센서가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고, 스위치나 감압 센서를 구비한 후 스풀 구동 레버(28)가 생략 된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자동 유인 동작 하에서는 모터(4)의 회로의 단락에 의하여 모터(4)를 정지시키는 제어는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제2 자동 유인 동작 하에서도, 스풀(3)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 모터(4)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제어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구동 제어부(132)는, 스풀(3)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마다 모터(4)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제어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혹은, 구동 제어부(132)는, 모터(4)의 회전 속도가 일정 이상의 경우에 모터(4)의 회로를 단락시키고, 모터(4)의 회전 속도가 일정 미만의 경우에는 회로의 단락에 의하지 않고 모터(4)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구동 제어 정보의 파라미터(회전 상태 재현 파라미터, 계속 시간 파라미터, 정지 시간 파라미터)는, 상기의 회전 속도, 구동 시간, 정지 시간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제어 정보의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회전 상태 재현 파라미터는, 스풀(3)의 회전 속도를 대신하여, 스풀(3)의 회전 가속도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의 계속 시간 파라미터는, 계속 시간으로서, 회전 상태 재현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회전 가속도로 스풀을 계속하여 회전 구동시키는 계속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 경우의 정지 시간 파라미터는, 정지 시간으로서, 하나의 계속 시간이 종료하여 다음의 계속 시간이 개시될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이 정지되어야 할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제1 구동 제어 정보의 파라미터에 의하여는, 구동 시간에 있어서 회전 상태 재현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것과 같은 일정한 회전 가속도로 회전 속도가 변화하여 가도록 스풀(3)이 구동되고, 계속되는 정지 시간에 있어서 스풀(3)의 회전이 정지된다, 고 하는 스풀(3)의 거동이 재현된다. 덧붙여, 가속도에 대응하는 상기의 계속 시간(가속도 계속 시간)과 함께, 가속 종료 후에 정속(定速)을 유지시키는 속도 유지 시간을 더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구동 제어 정보의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회전 상태 재현 파라미터는, 스풀(3)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4)에 인가하는 전류량이어도 무방하다. 모터(4)에 인가하는 전류량에 따라서는, 모터(4)의 회전 토크가 변화하는 것으로부터, 스풀(3)의 회전 토크(회전 상태의 일례)도 모터(4)의 회전 토크에 수반하여 변화한다.
이 경우의 계속 시간 파라미터는, 계속 시간으로서, 회전 상태 재현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전류량으로 모터(4)에 전류를 계속하여 인가시키는 계속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 경우의 정지 시간 파라미터는, 정지 시간으로서, 하나의 계속 시간이 종료하여 다음의 계속 시간이 개시될 때까지에 사이에 있어서 모터(4)로의 전류의 인가가 정지되어야 할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제1 구동 제어 정보의 파라미터에 의하여는, 계속 시간에 있어서 회전 상태 재현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전류량에 의한 전류의 인가에 의하여 모터(4)가 구동된다. 이 때, 스풀(3)은, 회전 상태 재현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전류량에 따른 모터(4)의 회전 토크에 따라 정해지는 회전 토크로 구동된다. 그리고, 계속 시간에 계속되는 정지 시간에 있어서 전류의 인가가 정지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3)의 회전이 정지된다, 고 하는 스풀(3)의 거동이 재현된다.
덧붙여, 낚시용 전동 릴(1)은, 외부의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도 무방하다. 낚시용 전동 릴(1)과 외부의 단말 장치와의 통신은, 무선이어도 유선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외부의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어군 탐지의 정보를 유저를 향하여 표시하는 것 같은 것이어도 무방하고, 낚시용 전동 릴(1)을 이용한 낚시에 관하여 소정의 서포트를 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스마트폰 등이어도 무방하다.
그 후,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정보는, 외부의 단말 장치에 기억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1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변경 모드에 관련하는 조작이나, 제1 자동 유인 동작 및 제2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의 학습 모드의 설정, 종료에 관한 조작이, 외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가능하도록 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정보를 외부의 단말 장치가 기억하는 경우, 자동 유인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하여는, 외부의 단말 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낚시용 전동 릴(1)에 구동 제어 정보가 설정된다. 낚시용 전동 릴(1)은, 설정된 구동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스풀(3)을 구동 제어하는 것으로, 자동 유인 동작을 행한다.
덧붙여,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시용 전동 릴(1)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어내기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고,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상술의 낚시용 전동 릴(1)로서의 처리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고, 실행한다」란, 컴퓨터 시스템에 프로그램을 인스톨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OS나 주변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은, 인터넷이나 WAN, LAN, 전용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컴퓨터로 읽어내기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가반(可搬)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의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는, CD-ROM 등의 비(非)일과성의 기록 매체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기록 매체에는, 당해 프로그램을 배신(配信)하기 위하여 배신 서버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기록 매체도 포함된다. 배신 서버의 기록 매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단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형식의 프로그램의 코드와 다른 것이어도 무방하다. 즉, 배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단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로 인스톨이 가능한 것이면, 배신 서버로 기억되는 형식은 불문한다. 덧붙여, 프로그램을 복수로 분할하고, 각각 다른 타이밍에 다운로드한 후에 단말 장치에서 합체되는 구성이나, 분할된 프로그램의 각각을 배신하는 배신 서버가 달라져 있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컴퓨터로 읽어내기 가능한 기록 매체」란, 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로그램이 송신된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RAM)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보지(保持)하고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상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 이른바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무방하다.
1: 낚시용 전동 릴
3: 스풀
4: 모터
5: 클러치 기구
20: 핸들
23: 표시 조작 패널부
28: 스풀 구동 레버
50: 클러치 조작 부재
101: 조작부
102: 표시부
103: 제어부
104: 기억부
105: 모터 구동 회로
107: 모터 회전 센서
131: 파라미터 설정부
132: 구동 제어부
141: 제1 구동 제어 정보 기억부
142: 제2 구동 제어 정보 기억부

Claims (6)

  1.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短絡)시키는 구동 제어부
    를 구비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스풀에 관한 소정의 회전 구동 패턴을 나타내는 구동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스풀을 회전 구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모터 구동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회전 속도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모터 구동 제어 장치.
  4. 스풀과,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데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구동 제어부
    를 구비하는 낚시용 전동 릴.
  5.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구동 제어 스텝
    을 구비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방법.
  6.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로서의 컴퓨터를,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모터의 회로를 단락시키는 구동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
KR1020190146036A 2019-06-20 2019-11-14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 모터 구동 제어 방법, 및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 KR202001456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14902 2019-06-20
JP2019114902A JP7258672B2 (ja) 2019-06-20 2019-06-20 魚釣用電動リールのモータ駆動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電動リール、モータ駆動制御方法、及びモータ駆動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638A true KR20200145638A (ko) 2020-12-30

Family

ID=7379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036A KR20200145638A (ko) 2019-06-20 2019-11-14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 모터 구동 제어 방법, 및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58672B2 (ko)
KR (1) KR20200145638A (ko)
CN (1) CN112106741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941A (ja) 1989-10-02 1991-05-22 Shimano Ind Co Ltd 釣用リールの自動シャクリ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826B2 (ja) * 1988-06-13 1996-01-3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3504745B2 (ja) * 1994-10-27 2004-03-08 株式会社シマノ 釣用電動リールの接続コード
JP2004261192A (ja) * 2004-06-23 2004-09-24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941A (ja) 1989-10-02 1991-05-22 Shimano Ind Co Ltd 釣用リールの自動シャクリ制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국 공고특허특보 특공평8-8826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00019A (ja) 2021-01-07
CN112106741A (zh) 2020-12-22
TW202100013A (zh) 2021-01-01
JP7258672B2 (ja) 2023-04-17
CN112106741B (zh)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161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88531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20200145638A (ko) 낚시용 전동 릴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 모터 구동 제어 방법, 및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
CN111657238B (zh) 卷线筒驱动控制装置、方法、系统及钓鱼用电动绕线轮
TWI810406B (zh) 釣魚用電動捲線器、其模式遷移控制方法及模式遷移控制程式
US11819014B2 (en) Fishing reel, braking force control system and braking force setting device
TWI840526B (zh) 釣具用電動捲線器之馬達驅動控制裝置,具備此裝置之釣具用電動捲線器,馬達驅動控制方法及馬達驅動控制程式
JP7198711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のスプール駆動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電動リール、スプール駆動制御方法、及びスプール駆動制御プログラム
JP2002125540A (ja) 魚釣用リール
JP2011250705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20210143113A (ko) 낚시용 전동 릴의 스풀 구동 제어 장치, 낚시용 전동 릴의 스풀 구동 제어 방법 및 낚시용 전동 릴의 스풀 구동 제어 프로그램
TWI757713B (zh) 電動捲線器及電動捲線器控制裝置
KR20230122965A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
JP2024058434A (ja) 魚釣用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魚釣用リール、及び魚釣用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のプログラム
JPH088619Y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20220153504A (ko)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릴, 표시 제어 방법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CN114375918A (zh) 钓鱼用电动渔线轮的参数设定装置、方法、程序及渔线轮
JP3534623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24054302A (ja) パラメータ設定装置
JP2000300130A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1286250A (ja) 電動リールの回転伝達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