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504A -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릴, 표시 제어 방법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릴, 표시 제어 방법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504A
KR20220153504A KR1020220054109A KR20220054109A KR20220153504A KR 20220153504 A KR20220153504 A KR 20220153504A KR 1020220054109 A KR1020220054109 A KR 1020220054109A KR 20220054109 A KR20220054109 A KR 20220054109A KR 20220153504 A KR20220153504 A KR 20220153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display control
display
ti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슈 모리
켄타로 하야시
히토시 하라구치
사토시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2015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과제) 낚시용 릴의 스풀에 일련의 동작을 시킨 것에 의한 낚싯줄의 권상거리를 수치로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낚싯줄의 권상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에 의한 스풀에 부여되는 소정의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일련의 동작을 행하는 상기 스풀에 의해 낚싯줄이 권상된 권상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산출부가 산출하는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표시가 표시부에서 행해지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여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를 구성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릴, 표시 제어 방법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DISPLAY CONTROL DEVICE FOR FISHING REEL AND FISHING REEL HAVING THE SAM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릴, 표시 제어 방법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스풀이 소정의 일련의 동작을 행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를 따른 자동 유인 동작이 행해지도록 된 낚시용 릴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20-146025호 공보
사용자는 스풀에 어떤 일련의 동작을 시킨 것에 의한 낚싯줄의 권상거리(권상 길이)를 수치로서 정확하게 파악하길 원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풀에 일련의 동작을 시킨 것에 의한 낚싯줄의 권상거리를 수치로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낚싯줄의 권상(卷上)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에 의한 스풀에 부여되는 소정의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일련의 동작을 행하는 상기 스풀에 의해 낚싯줄이 권상된 권상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산출부가 산출하는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표시가 표시부에서 행해지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저크(jerk) 등에 따라 스풀에 소정의 일련의 동작을 시킨 것에 응답하여, 낚싯줄이 권상되는 것에 응답하여 변화되는 도구의 수심(水深)의 차분을 사용자가 수치로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 표시 제어 장치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에 대응하여 상기 산출부가 산출한 권상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었을 때부터 상기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까지 대응하는 도구 위치의 수심의 차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켜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풀이 소정의 일련의 동작을 완료한 단계에서, 상기 일련의 동작의 전후에서의 도구의 수심의 차분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있어서 적절한 타이밍에서 도구의 수심의 차분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 표시 제어 장치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상기 산출부가 산출하는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표시가 상기 표시부에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풀이 일련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고 있는 상태일 때에, 낚싯줄이 권상되는 것에 응답하여 수심의 차분을 변화시키면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 표시 제어 장치로서, 상기 산출부는,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스풀의 줄 감기 지름에 기초하여 상기 권상거리를 산출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풀의 회전 위치에 의한 스풀의 줄 감기 지름의 변화가 반영되도록 하여 권상거리가 산출되므로, 상기 권상거리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수심의 차분 값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 표시 제어 장치로서, 상기 일련의 동작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표시와 함께, 상기 시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시간에 기초하는 표시가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심의 차분과 함께, 스풀의 일련의 동작이 행해지는 시간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 표시 제어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낚싯줄의 권상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에 의한 스풀에 부여되는 소정의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일련의 동작을 행하는 상기 스풀에 의해 낚싯줄이 권상된 권상거리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와, 상기 산출 단계가 산출하는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표시가 표시부에서 행해지도록 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로서의 컴퓨터를, 낚싯줄의 권상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에 의한 스풀에 부여되는 소정의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일련의 동작을 행하는 상기 스풀에 의해 낚싯줄이 권상된 권상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부가 산출하는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표시가 표시부에서 행해지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표시 제어 프로그램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릴의 스풀에 일련의 동작을 시킨 것에 의한 낚싯줄의 권상거리를 수치로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의 외관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의 외관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의 표시 조작 패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권상 동작에 있어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스풀 거동과 모터 구동 신호의 듀티비의 변화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태양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태양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이 권상 조작에 따라 실행하는 처리 순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이 구동 제어 파라미터 대응 스풀 구동 제어로서 실행하는 처리 순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파라미터 설정 장치로서의 낚시용 전동 릴(1)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풀의 구동이란, 예를 들어 모터 등을 구동하여 얻어지는 동력에 의해 스풀을 회전시키는 것을 일컫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풀의 구동 제어란, 스풀의 구동에 관한 제어를 일컫는다. 이러한 스풀의 구동 제어에는, 스풀을 회전시키는 제어, 스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어, 스풀의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제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스풀의 '구동'에 대해, 회전 동작을 부여하는 것을 명확히 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회전 구동'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낚시용 전동 릴(1)이 양 베어링 릴인 경우를 예로 든다. 또한, 도 1, 도 2에 있어서, 각 구성 부재를 눈에 보이는 크기로 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각각의 구성 부재의 축척을 적당히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낚시용 전동 릴의 구조 예]
도 1,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1)의 외관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1)은, 미도시의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릴 본체(2), 릴 본체(2)에 대하여 핸들 축선(O1) 둘레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핸들(3), 릴 본체(2)에 대하여 핸들 축선(O1)과 평행한 스풀 축선(O2) 둘레에 회전 가능하도록 되고, 미도시의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4)과 클러치 조작 레버(5)를 가지는 클러치 기구(6)를 주로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1)은, 릴 본체(2)에 설치된 모터 수용통(7) 내에 배치되고, 스풀(4)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낚시용 전동 릴(1)은, 모터 수용통(7)을 막도록 릴 본체(2)에 결합되고, 릴 본체(2)에 대하여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홀더(9)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축선(O1) 및 스풀 축선(O2)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이들의 축선을 따른 방향을 좌우 방향(L1)으로 정의한다. 또한, 좌우 방향(L1)에 직교하고, 스풀(4)에 감긴 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따른 방향을 전후 방향(L2)으로 정의한다.
또한, 전후 방향(L2)에 있어서 스풀(4)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고, 낚시용 전동 릴(1)을 후방쪽(낚시꾼 쪽)에서 본 시점으로 좌우를 정의한다. 따라서, 도 1은, 낚시용 전동 릴(1)을 비스듬히 위, 좌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릴 본체(2)는, 본체 프레임(10), 본체 프레임(10)의 좌우 양측을 덮는 사이드 커버(20), 본체 프레임(10)의 전부(前部)측을 덮는 전(前) 커버(30)를 구비한다.
본체 프레임(10)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제(예를 들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성형 부품으로 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0)은, 스풀(4)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L1)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과,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끼리 좌우 방향(L1)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13)를 구비한다.
제1 측벽(11)은, 스풀(4)에 대하여 좌측(LH)에 배치된 좌측 벽으로 되어 있다. 반면에, 제2 측벽(12)은, 스풀(4)에 대하여 우측(RH)에 배치된 우측 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핸들(3)은, 제2 측벽(12)보다 더 우측(RH)에 배치되고, 제2 측벽(12)을 이용하여 본체 프레임(10)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1)은, 우측 핸들형의 릴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측벽(12)은, 코넥터부(23) 등이 설치되는 관계로, 제1 측벽(11)보다 하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연결 부재(13)는,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끼리 좌우 방향(L1)으로 연결하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제1 측벽(11)의 하부 부근에 배치된다. 이로써,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은, 연결 부재(13)를 개재하여 견고하게 연결된다.
또한, 연결 부재(1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L1)의 중앙 부분에는, 낚시용 전동 릴(1)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다리편(14)이 전후 방향(L2)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체 프레임(10)에 있어서,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 사이에는, 모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모터 수용통(7), 스풀(4) 및 클러치 조작 레버(5) 등이 적어도 배치된다.
스풀(4)은, 핸들 축선(O1)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 수용통(7)은, 핸들 축선(O1)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1)은, 모터가 스풀(4)보다 전방측에 배치된, 소위 스풀 아웃 모터형으로 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20)는, 모터 수용통(7)의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측벽(11)을 좌측(LH)으로부터 덮도록 본체 프레임(10)에 결합된 제1 사이드 커버(21)와, 제2 측벽(12)을 우측(RH)으로부터 덮도록 본체 프레임(10)에 결합된 제2 사이드 커버(22)를 구비한다.
제1 사이드 커버(21)는, 좌측(LH)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형성되고, 제1 측벽(11)에 대하여 예를 들어 나사 고정된다.
제2 사이드 커버(22)는, 우측(RH)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형성되고, 제2 측벽(12)에 대하여 예를 들어 나사 고정된다.
제2 사이드 커버(22) 중 전방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릴 코드 또는 휴대용 배터리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부(23)가 미도시의 접속 단부를 하방향으로 한 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각각의 도면에서는, 보호캡(24)에 의해 접속 단부가 보호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 커버(30)는, 본체 프레임(10)의 전부를 전방으로부터 덮도록 본체 프레임(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전 커버(30)는, 모터 수용통(7)을 전방으로부터 덮도록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의 전부에 결합되고,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에 대하여 예를 들어 나사 고정된다. 또한, 전 커버(30)는, 후술하는 레벨 와인드(55)의 이동 영역을 막지 않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체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카운터 케이스(40)가 설치된다. 카운터 케이스(40)는,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1 측벽(11)의 상부 및 제2 측벽(12)의 상부에 예를 들어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된다.
카운터 케이스(40)의 본체의 상면은, 표시 조작 패널(41)로서 구성된다. 표시 조작 패널(41)은, 낚시용 전동 릴(1)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향한 표시와, 사용자에 의한 버튼, 스위치 등의 조작자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는 부위이다.
도 3은, 낚시용 전동 릴(1)에 있어서의 표시 조작 패널(41)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조작 패널(41)은, 조작부(101)와 표시부(102)를 구비한다.
조작부(101)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이 행해지는 부위이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조작부(101)에 있어서, 버튼 조작이 행해지는 버튼으로서, 제1 버튼(111-1), 제2 버튼(111-2), 제3 버튼(111-3)의 3개의 버튼이 배치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버튼(111-1), 제2 버튼(111-2), 제3 버튼(111-3)에 대해 특별히 구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버튼(111)이라고 기재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의 버튼(111)의 배치 태양으로서는, 제2 버튼(111-2)이 위이고 제3 버튼(111-3)이 아래에 위치되는 관계로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1 버튼(111-1)은, 제2 버튼(111-2)과 제3 버튼(111-3)이 배치되는 위치보다 왼쪽이며, 상하 방향에 있어서는, 제2 버튼(111-2)과 제3 버튼(111-3)의 중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버튼(111)의 배치에 있어서의 제2 버튼(111-2)과 제3 버튼(111-3)은, 각각 파라미터값의 변경이나 항목 선택 등의 조작에 있어서의 업 버튼, 다운 버튼으로서 기능시켜도 사용자의 조작 감각으로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조작부(101)에 있어서는, 권상 스위치(112)가 설치된다. 권상 스위치(112)는, 스풀(4)을 회전시켜 낚싯줄을 권상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지는 조작자이다.
권상 스위치(112)는, 낚싯줄을 자동으로 권상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지는 스위치이다. 권상 스위치(112)는, 시소식의 감압 스위치이며, 상측 스위치부(112a)를 누르는 조작과, 하측 스위치부(112b)를 누르는 조작이 가능해진다.
표시부(102)는, 낚시용 전동 릴(1)의 동작에 따라 소정의 내용의 표시가 행해지는 부위이다. 표시부(102)로서 구비되는 표시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액정 표시 디바이스, 유기 EL 표시 디바이스 등을 들 수 있다.
다시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핸들(3)은, 수동으로 낚싯줄을 권상하는 조작에 사용된다. 핸들(3)은, 본체 프레임(10) 및 제1 사이드 커버(21)보다 우측(RH)에 배치된다. 핸들(3)은, 핸들 축선(O1) 둘레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핸들 축부(50)와, 핸들 축부(50)에 회전 불가능하도록 장착된 핸들 암(51)과, 핸들 암(51)의 단부에 핸들 축선(O1)과 평행한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핸들 노브(52)를 구비한다.
핸들 암(51)과 제1 사이드 커버(21) 사이에는, 핸들 축선(O1)과 동축으로 배치된 드래그(53)(스타드래그)가 설치된다. 이 드래그(53)는, 낚싯줄이 감길 때 스풀(4)에 대하여 임의의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스풀(4)의 회전 제동이 이루어지고, 낚싯줄이 절단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작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핸들(3)로부터의 회전 토크는, 클러치 기구(6)가 클러치 온 상태에 있을 때, 미도시의 회전 전달 기구를 개재하여 스풀(4)로 직접 전달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암(51)의 일단부에 핸들 노브(52)가 장착된, 소위 싱글 핸들형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핸들 암(51)의 양단부에 핸들 노브(52)를 장착하고, 핸들 암(51)의 중앙부를 핸들 축부(50)에 회전 불가능하도록 장착한, 소위 더블 핸들형 낚시용 전동 릴(1)로 해도 된다.
스풀(4)은, 프레임 본체에 있어서의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의 각각에 미도시의 베어링을 개재하여 스풀 축선(O2) 둘레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스풀(4)은, 스풀 축선(O2) 둘레에 회전하는 미도시의 스풀 회전 축부와, 스풀 회전 축부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스풀 회전 축부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줄 감기 몸통부(4a)를 구비한다.
클러치 기구(6)는, 클러치 조작 레버(5)의 조작에 의해, 핸들(3)로부터의 회전 토크를 미도시의 회전 전달 기구를 개재하여 스풀(4)로 전달 가능한 클러치 온 상태와, 전달 불가능한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클러치 온 상태에서, 핸들(3)을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핸들(3)의 회전 조작에 따른 회전 토크를 스풀(4)로 전달할 수 있고, 스풀(4)을 스풀 축선(O2) 둘레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수동 감기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클러치 기구(6)가 클러치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핸들(3)의 회전 조작에 따른 회전 토크가 스풀(4)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스풀(4)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스풀 프리 상태)가 된다.
클러치 조작 레버(5)는, 클러치 기구(6)를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한 전환 레버이다. 클러치 조작 레버(5)는, 스풀(4)보다 후방에 있어서,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 사이에 배치되고, 스풀 축선(O2) 둘레에 요동(搖動)되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회전 전달 기구는, 핸들(3)의 회전을 증속한 상태에서 회전 토크를 스풀(4)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 전달 기구는, 클러치 기구(6)가 클러치 온 상태에 있는 경우, 핸들(3)의 회전 조작에 따른 회전 토크를 스풀(4)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레벨 와인드 기구(미도시)로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레벨 와인드 기구는, 낚싯줄을 스풀(4)에 치우침 없이 균등하게 감겨지도록 하기 위한 기구이다.
또한, 회전 전달 기구는, 클러치 기구(6)가 클러치 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서 모터 구동 시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른 회전 토크를 스풀(4)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자동 감기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전 전달 기구는, 모터의 회전을 감속한 상태에서 회전 토크를 스풀(4)로 전달한다.
[전동 지깅(jigging)모드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1)은, 전동 지깅 모드가 온 상태에서는 이하와 같이 사용자가 행하는 권상 스위치(112)의 조작에 따라 낚싯줄의 권상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전동 지깅 모드에서는, 권상 스위치(112)의 상측 스위치부(112a)는, 낚싯줄의 권상을 위한 스풀(4)의 회전 구동을 온 오프하는 조작에 할당된다.
즉, 사용자가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을 개시하면, 스풀(4)의 회전 구동이 개시되고, 낚싯줄의 권상도 개시된다. 그대로 사용자가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을 계속하는 동안은, 스풀(4)도 회전 구동이 계속되고, 낚싯줄의 권상도 계속된다. 사용자가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을 해제하면, 스풀(4)의 회전 구동이 정지되고, 낚싯줄의 권상도 정지된다.
전동 지깅 모드에서, 처음으로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이 행해졌을 때에는, 전동 매뉴얼 지깅으로서, 미리 설정된 최대 속도 미만의 스풀의 회전속도(중간 권상 속도)로 낚싯줄의 권상이 행해진다. 이후,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이 계속된 채 더욱 눌러지는 조작이 행해지면, 권상 속도가 최대까지 증가한 상태로 낚싯줄의 권상이 행해진다.
또한, 전동 지깅 모드에서는, 권상 스위치(112)의 하측 스위치부(112b)는, 자동 유인 동작(자동 저크)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이 할당된다.
즉, 사용자가 하측 스위치부(112b)를 1회 누르는 조작(1클릭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구동 제어정보에 따라, 일정 기간에 걸쳐 스풀(4)이 회전 구동되고, 낚싯줄을 권상하는 동작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는, 구동 시간[TIME], 속도[SPEED] 및 가속도[ACCEL]의 3개이다.
구동 시간[TIME]은, 1회의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 스풀(4)을 회전 구동시키는 시간이다.
속도[SPEED]는,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 낚싯줄을 권상할 때의 스풀(4)의 회전속도다.
가속도[ACCEL]는,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 스풀(4)이 회전을 개시하고나서 속도[SPEED]에 도달시킬 때의 가속도(각가속도)이다.
구동 시간[TIME]의 파라미터값(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 속도[SPEED]의 파라미터값(속도 파라미터값 VS), 가속도[ACCEL]의 파라미터값(가속도 파라미터값 VA)은, 각각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는, 예를 들어 소정의 소수점 이하의 자리 수에 의한 초 단위로 나타낸 값일 수 있다.
속도 파라미터값 VS는, 예를 들어 소정의 속도에 각각 대응시킨 소정수의 속도 단계(예를 들어, 30 단계 정도)마다 대응한 값일 수 있다.
가속도 파라미터값 VA는, 소정의 가속도에 각각 대응시킨 단계수에 대응한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속도 파라미터값 VA는, 고가속도로서 소정의 가속도에 대응하는 VA_H, 중가속도로서 소정의 가속도에 대응하는 VA_M, 저하 속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가속도에 대응하는 VA_L의 3단계로 한 경우를 예로 든다.
예를 들어, 가속도 파라미터값 VA에 대하여, 가속도의 값을 지정하는 등 상세하게 설정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오히려 사용자는 어느 값이 적정한지를 판단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3단계 정도의 적은 단계수에 의해 가속도 파라미터값 VA를 변경하도록 하여, 각각의 단계에서 스풀의 회전 거동의 차이를 사용자가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속도 파라미터값 VA의 단계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의 (A)는, 상기 구동 시간[TIME], 속도[SPEED] 및 가속도[ACCEL]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에 의한 1회의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스풀(4)의 거동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횡축이 시간이며 세로축이 회전속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H가 설정된 경우의 스풀 거동 GH,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M이 설정된 경우의 스풀 거동 GM,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L이 설정된 경우의 스풀 거동 GL의 각각이 도시되어 있다.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H가 설정된 경우의 스풀 거동 GH는 이하와 같다.
시각 t0에서 사용자에 의해 권상 스위치(112)의 하측 스위치부(112b)를 1회 누르는 조작이 행해진 것에 응답하여 낚시용 전동 릴(1)은 스풀(4)의 회전 구동을 개시시킨다. 즉, 낚시용 전동 릴(1)은, 시각 t0부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모터 구동 신호)의 인가를 개시한다. 다만, 시각 t0에서 스풀의 회전 구동을 개시시켰다고 해도, 스풀(4)로 회전이 전달될 때까지는 일정한 타임래그(지연)가 발생한다. 이로써, 스풀(4)은, 시각 t0부터 일정 시간을 거친 시각 t1부터 회전을 개시한다.
시각 t1에서 회전이 개시된 스풀(4)은, 설정된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H의 파라미터값에 따른 가속도로 회전속도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시각 t2(1)에 이르러 스풀(4)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속도 파라미터값 VS에 대응하는 회전속도(목표회전속도 vtg)에 도달한다. 시각 t2(1) 이후, 스풀(4)은 속도 파라미터값 VS에 대응하는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낚시용 전동 릴(1)은, 시각 t0에서 스풀(4)의 회전 구동을 개시시킨 타이밍에서 구동 계속 시간 T의 계측(계시)을 개시한다. 그리고, 계측되는 구동 계속 시간 T의 값이 시각 t3에 이르러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에 도달하면, 스풀(4)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모터에 대한 전류 공급을 정지시킨다.
모터는 전류 공급을 정지해도 관성에 의해 즉시 정지되지 않고 어느 정도 회전되고 나서 정지하는, 오버런(overrun)이라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시각 t3 이후의 오버런이 발생한 기간에서 스풀(4)의 회전속도가 감속되고, 시각 t4에서 스풀(4)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M이 설정된 경우의 스풀 거동 GM은 이하와 같다.
이 경우에도, 시각 t0에서 사용자에 의해 권상 스위치(112)의 하측 스위치부(112b)를 1회 누르는 조작이 행해진 것에 응답하여 낚시용 전동 릴(1)은 스풀의 회전 구동을 개시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인가와, 구동 계속 시간 T의 계측을 개시한다. 그리고, 시각 t0부터 일정 시간을 거친 시각 t1부터 스풀(4)이 회전을 개시한다.
시각 t1에서 회전이 개시된 스풀(4)은, 설정된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M의 파라미터값에 따른 가속도로 회전속도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에는, 시각 t(1)보다 더 느린 시각 t2(2)에 이르러 스풀(4)의 회전속도가 목표회전속도 vtg에 도달한다. 시각 t2(2) 이후, 스풀(4)은 속도 파라미터값 VS에 대응하는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시각 t3에 이르러 계측된 구동 계속 시간 T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에 도달하면, 모터에 대한 전류 공급이 정지되고, 오버런 기간을 거친 시각 t4에서 스풀(4)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L이 설정된 경우의 스풀 거동 GL은 이하와 같다.
이 경우에도, 시각 t0에서 사용자에 의해 권상 스위치(112)의 하측 스위치부(112b)를 1회 누르는 조작이 행해진 것에 응답하여 낚시용 전동 릴(1)은 스풀의 회전 구동을 개시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인가와, 구동 계속 시간 T의 계측을 개시한다. 스풀(4)은 모터 구동 신호의 인가가 개시된 시각 t0부터 일정한 타임래그(지연)를 거친 시각 t1부터 회전을 개시한다.
시각 t1에서 회전이 개시된 스풀(4)은 설정된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L의 파라미터값에 따른 가속도로 회전속도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에는, 시각 t2(2)보다 더 느린 시각 t2(3)에 이르러 스풀(4)의 회전속도가 목표회전속도 vtg에 도달한다. 시각 t2(3) 이후, 스풀(4)은, 속도 파라미터값 VS에 대응하는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시각 t3에 이르러 계측된 구동 계속 시간 T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에 도달하면, 모터에 대한 전류 공급이 정지되고, 오버런 기간을 거친 시각 t4에서 스풀(4)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가속도 파라미터값 VA가 상이한 것에 응답하여 스풀(4)이 회전을 개시하는 시각 t1은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도면에서는 이해하기 편하도록 가속도 파라미터값 VA에 상관없이 스풀 거동 GH, GM, GL의 시각 t1을 동일한 타이밍으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1)은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에 의해 모터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스풀(4)을 회전 구동시킨다. 따라서, 낚시용 전동 릴(1)은, 모터의 구동시, 모터에 인가하는 전압(모터 구동 신호)에 관하여 주기마다 펄스폭의 듀티비를 설정하도록 된다.
도 4의(B)는, 도 4의 (A)에 나타낸 스풀 거동 GH, GM, GL마다 대응하는 모터 구동 신호의 듀티비 천이 DH, DM, DL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횡축이 시간이며 세로축이 듀티비이다.
스풀 거동 GH에 대응하는 듀티비 천이 DH로서, 우선 시각 t0부터 스풀의 회전속도가 목표회전속도 vtg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초동 기간의 일례)은,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H에 대응하는 초기 듀티비 dh에 의한 모터 구동 신호의 인가가 개시된다. 이로써, 스풀(4)은, 타임래그를 거친 시각 t1부터 회전을 개시하고, 초기 듀티비 dh의 모터 구동 신호에 따른 가속도에 의해 회전속도가 상승된다. 그리고, 시각 t2(1)에 이르러 스풀(4)의 회전속도가 목표회전속도 vtg에 도달하면, 목표회전속도 vtg로 일정하게 스풀(4)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정속 대응 듀티비 ds로 변화된다.
시각 t2(1) 이후는, 스풀(4)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회전속도가 목표회전속도 vtg가 되도록 정속 대응 듀티비 ds를 변화시키는 피드백 제어가 행해진다. 이 도면에서는 이해하기 편하도록 정속 대응 듀티비 ds가 사건 경과에 따라 변화되지 않고 일정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정속 대응 듀티비 ds는 피드백 제어에 의해 변동된다. 예를 들어, 목표회전속도 vtg를 유지시키기 위한 정속 대응 듀티비 ds는, 수중의 도구의 상태나, 줄 감기 지름에 따른 스풀(4)의 1회전 당의 줄 감기 길이 등의 영향으로 변동된다.
다만, 속도 파라미터값 VS의 단계마다 대응하여 제어 가능한 정속 대응 듀티비 ds의 범위는 미리 정해져 있다. 이와 같이 속도 파라미터값 VS마다 정속 대응 듀티비 ds의 범위가 정해져 있으므로, 저속 설정 하에서 모터에 고하중이 가해진 상태가 되어도, 정속 대응 듀티비 ds가 100%로 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로써, 속도 파라미터값 VS를 변경했는데도 실제 권상 속도가 변화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정한 장력으로 낚싯줄을 권상하는 장력 일정 모드 하에서는, 듀티비가 소정 값으로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다만, 장력 일정 모드 하에서도 스풀(4)의 줄 감기 지름에 의해 장력이 변화되므로, 이러한 장력 변화에 따라 듀티비가 변화되도록 제어된다.
이후, 계측된 구동 계속 시간 T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에 도달하는 시각 t3에 이르면, 모터 구동 신호의 인가가 정지된다.
또한, 스풀 거동 GM에 대응하는 듀티비 천이 DM으로서는, 우선 시각 t0부터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M에 대응하는 초기 듀티비 dm에 의한 모터 구동 신호의 인가가 개시된다. 초기 듀티비 dm은 중가속도에 대응하므로, 고가속도에 대응하는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H에 대응하는 초기 듀티비 dh보다 작아진다. 이 경우의 시각 t1 이후의 스풀(4)의 회전 가속도는, 고가속도에 대응하는 초기 듀티비 dh의 경우보다도 낮아진다. 그리고, 목표회전속도 vtg에 도달한 시각 t(2) 이후, 정속 대응 듀티비 ds가 유지된다. 이후, 구동 계속 시간 T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에 도달하는 시각 t3에 이르면, 모터 구동 신호의 인가가 정지된다.
또한, 스풀 거동 GL에 대응하는 듀티비 천이 DL로서는, 우선 시각 t0부터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L에 대응하는 초기 듀티비 dl에 의한 모터 구동 신호의 인가가 개시된다. 초기 듀티비 dl은 저가속도에 대응하므로, 중가속도에 대응하는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M에 대응하는 초기 듀티비 dm보다 작아진다. 이 경우의 시각 t1 이후의 스풀(4)의 회전 가속도는 중가속도에 대응하는 초기 듀티비 dm의 경우보다 낮아진다. 그리고, 목표회전속도 vtg에 도달한 시각 t(3) 이후, 정속 대응 듀티비 ds가 유지된다. 이후, 구동 계속 시간 T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에 도달하는 시각 t3에 이르면, 모터 구동 신호의 인가가 정지된다.
이 도면에서 이해할 수 있듯이, 낚시용 전동 릴(1)은, 구동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각각의 파라미터값(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 속도 파라미터값 VS, 가속도 파라미터값 VA)에 응답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모터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자동 유인 동작에 따른 스풀(4)의 회전 구동을 행하도록 한다.
구동 제어 파라미터로서, 가속도[ACCEL]를 설치하지 않고, 예를 들어 고정 듀티비에 따른 가속도나, 속도 파라미터값 VS에 대응하는 듀티비로 처음부터 스풀(4)의 회전을 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실제로 사용자가 낚싯대를 움직이는 유인 동작에 있어서는, 상황에 따라 유인시 최초 저킹의 날카로움을 변화시킴으로써 낚시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가속도[ACCEL]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설치하게 되면,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유인시 저킹의 최초의 날카로움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권상 스위치(112)의 하측 스위치부(112b)가 1회 조작됨에 따라, 낚시용 전동 릴(1)은,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각각의 파라미터값에 따라 모터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4)의 회전속도가 변화되고, 1회의 자동 유인 동작이 실행된다. 이러한 스풀(4)의 회전속도에 따라 변화되는 권상 속도로 낚싯줄의 권상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자동 유인 동작이 얻어진다.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다음에,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구동 시간[TIME], 속도[SPEED] 및 가속도[ACCEL])의 각각의 파라미터값(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 속도 파라미터값 VS, 가속도 파라미터값 VA)의 설정 조작의 순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 조작은, 전동 지깅 모드가 온 상태 하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은, 파라미터값의 변경 대상으로 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 선택과, 변경 대상으로 선택된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파라미터값 변경을 포함한다.
도 5는, 전동 지깅 모드가 온 상태에서의 표시부(102)의 표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의 표시부(102)에 있어서는, 속도·수심차 구역(AR10), 수심 구역(AR20) 및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0)이 배치된다.
속도·수심차 구역(AR10)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스풀(4)의 회전속도가 단계수에 의해 표시되는 구역이다. 또한, 속도·수심차 구역(AR10)은, 전동 지깅 모드에서 낚싯줄이 권상된 것에 의한 도구의 수심차(수심의 차분)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속도·수심차 구역(AR10)은, 전동 매뉴얼 지깅이 행해진 경우에는,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 조작이 개시되어 스풀(4)의 회전이 개시될 때의 도구의 수심과, 이후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이 해제되어 스풀(4)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의 도구의 수심과의 차분인 수심차를 표시한다.
또한, 속도·수심차 구역(AR10)은, 자동 유인 동작을 위해 하측 스위치부(112b)의 1클릭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구동 제어정보에 따라 스풀(4)의 회전이 개시될 때의 도구의 수심과, 이후 스풀(4)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의 도구의 수심과의 차분인 수심차를 표시한다.
도 6은, 전동 지깅 모드가 온 상태 하에서, 상기 전동 매뉴얼 지깅 또는 자동 유인 동작이 행해진 것에 응답하여 스풀(4)의 회전속도 대신 속도·수심차 구역(AR10)에 있어서 수심차가 표시된 태양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도면의 수심차 표시 태양은 일례이다. 수심차는, 표시부(102)에 있어서의 다른 구역에서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심 구역(AR20)은, 현재 도구가 위치되는 수심을 표시하는 구역이다.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0)은, 구동 제어 파라미터마다 현재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값이 표시되는 구역이다.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0)에서는, 구동 시간 표시 구역(AR31-1), 속도 표시 구역(AR31-2), 가속도 표시 구역(AR31-3)이 포함된다. 구동 시간 표시 구역(AR31-1), 속도 표시 구역(AR31-2), 가속도 표시 구역(AR31-3)에 대해 특별히 구별하지 않은 경우에는,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이라고 기재한다.
구동 시간 표시 구역(AR31-1)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가 표시되는 구역이다.
속도 표시 구역(AR31-2)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속도 파라미터값 VS가 표시되는 구역이다.
가속도 표시 구역(AR31-3)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가속도 파라미터값 VA가 표시되는 구역이다.
이 도면에서는,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0)에 있어서 구동 시간 표시 구역(AR31-1)이 강조 표시된 상태로 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시간 표시 구역(AR31-1)이 강조 표시된 상태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구동 시간[TIME], 속도[SPEED] 및 가속도[ACCEL]) 중 구동 시간[TIME]이 파라미터값의 변경 대상으로 선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0)은, 구동 제어 파라미터(구동 시간[TIME], 속도[SPEED] 및 가속도[ACCEL])의 어느 하나가 변경 대상으로 선택되어 있는지에 따라, 구동 시간 표시 구역(AR31-1), 속도 표시 구역(AR31-2), 가속도 표시 구역(AR31-3) 중 어느 하나가 강조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또한, 강조 표시의 태양으로서, 이 도면에서는, 선택 대상의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을 다른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에 대하여 명암을 반전시킨 표시로 한다. 강조 표시의 태양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선택 대상의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의 테두리나 문자를 굵게 하는 등, 컬러 표시의 경우에는, 배경 색깔 혹은 문자 색깔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지깅 모드가 온 됨에 따라 초기 표시되었을 때의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0)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마지막으로 전동 지깅 모드를 오프로 하였을 때의 상태를 인계하여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의 강조 표시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특정한 구동 제어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이 강조 표시될 수도 있다.
전동 지깅 모드에서 도 5의 상태의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0)이 표시되어 있을 때, 사용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작에 의해 변경 대상으로 선택되어 있는 구동 시간[TIME]의 파라미터값(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101)에 있어서의 제1 버튼(111-1)을 누른 상태를 계속시킨다. 즉, 사용자는 제1 버튼(111-1)에 대하여 누름 조작이 계속되는 조작 계속 상태로 한다. 이로써, 낚시용 전동 릴(1)은, 제2 버튼(111-2) 또는 제3 버튼(111-3)에 대한 조작을, 파라미터값을 변경하는 조작으로 접수가 가능해진다.
사용자는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를 증가시킬 경우에는, 제1 버튼(111-1)을 누른 상태를 계속시키면서, 제2 버튼(111-2)을 조작한다. 제2 버튼(111-2)이 1회 눌러질 때마다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가 증분되도록 증가된다.
또한, 사용자는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를 감소시킬 경우에는, 제1 버튼(111-1)을 누른 상태를 계속시키면서, 제3 버튼(111-3)을 조작한다. 제3 버튼(111-3)이 1회 눌러질 때마다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가 감분되도록 감소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2 버튼(111-2)을 길게 누름에 따라, 제2 버튼(111-2)의 누름이 해제될 때까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가 연속적으로 증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3 버튼(111-3)을 길게 누름에 따라, 제3 버튼(111-3)의 누름이 해제될 때까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가 연속적으로 감분될 수 있다.
구동 시간 표시 구역(AR31-1)에서는, 상기 조작에 의해 변경된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가 반영되도록 하여 표시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조작에 의해 변경된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를 원하는 값으로 변경하면, 지금까지 계속시키고 있던 제1 버튼(111-1)의 누름을 해제한다. 이로써, 낚시용 전동 릴(1)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를 변경하는 제2 버튼(111-2)과 제3 버튼(111-3)에 대한 조작을 접수 불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낚시용 전동 릴(1)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를, 제1 버튼(111-1)의 누름이 해제되었을 때에 구동 시간 표시 구역(AR31-1)에서 표시되어 있던 값으로 확정시켜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을 완료시킨다.
또한, 제1 버튼(111-1)이 눌려 있는 상태에서는, 낚시용 전동 릴(1)은, 권상 스위치(112)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할 수 있다. 즉, 제1 버튼(111-1)이 눌려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측 스위치부(112a)를 조작하여도 스풀(4)은 회전되지 않고, 하측 스위치부(112b)를 조작하여도 자동 유인 동작은 행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스풀(4)이 회전 중의 상태에서 구동 제어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것에 의해 스풀(4)의 회전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전동 지깅 모드에서, 사용자는 파라미터값의 변경 대상으로 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이하의 조작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동 지깅 모드에서, 제1 버튼(111-1)에 대해서는 누르지 않고, 제2 버튼(111-2) 또는 제3 버튼(111-3)에 대한 조작을 행한다.
사용자가 제2 버튼(111-2)을 1회 누를 때마다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0)에서, 지금까지 강조 표시되어 있던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의 1개 상단의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이 강조 표시되는 상태로 변화된다. 새로 강조 표시된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가 파라미터값의 변경 대상으로 선택된다.
또한, 가장 상단의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제2 버튼(111-2)을 1회 누르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조작은 무효가 될 수 있고, 순회에 의해 가장 하단의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이 강조 표시되는 상태로 변화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3 버튼(111-3)을 1회 누를 때마다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0)에서, 지금까지 강조 표시되어 있던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의 1개 하단의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이 강조 표시되는 상태로 변화된다. 이 경우에도, 새로 강조 표시된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가 파라미터값의 변경 대상으로 선택된다.
또한, 가장 하단의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제3 버튼(111-3)을 1회 누르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조작은 무효가 될 수 있고, 순회에 의해 가장 상단의 개별 파라미터 표시 구역(AR31)이 강조 표시되는 상태로 변화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1)은, 구동 시간[TIME], 속도[SPEED] 및 가속도[ACCEL] 각각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파라미터값을 변경하는 조작(파라미터 변경 조작)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파라미터값을 변경하는 조작은, 전동 지깅 모드가 온 된 상태 하에서 행해진다. 즉,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전동 지깅 모드로부터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설정 모드로 변경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고, 전동 지깅 모드 하에서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파라미터값을 변경하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실제 낚시 중에도 자동 유인 동작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값을 변경하는 조작과, 파라미터값의 변경 대상이 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조작은 모두 제2 버튼(111-2)과 제3 버튼(111-3)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파라미터값을 변경하는 조작과,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조작에서 공통의 조작자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낚시용 전동 릴(1)에 설치되는 조작자의 개수를 절감할 수 있다.
[낚시용 전동 릴의 기능 구성 예]
도 7을 참조하여 낚시용 전동 릴(1)의 기능 구성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1, 도 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당히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면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조작부(101), 표시부(102), 제어부(103), 기억부(104), 모터 구동 회로(105), 모터(8), 스풀(4), 회전 센서(106)를 구비한다.
제어부(103)는, 낚시용 전동 릴(1)에 있어서의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부(103)로서의 기능은, 낚시용 전동 릴(1)이 갖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03)는, 파라미터 설정부(131), 스풀 구동 제어부(132), 산출부(133), 표시 제어부(134) 및 시간 계측부(135)를 구비한다.
파라미터 설정부(131)는, 조작부(101)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라,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각각의 파라미터값을 설정한다.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구동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스풀(4)의 구동 제어를 실행한다.
산출부(133)는, 낚싯줄의 권상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에 의한 스풀(4)에 부여되는 소정의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에 있어서의 스풀(4)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일련의 동작을 행하는 스풀(4)에 의해 낚싯줄이 권상된 권상거리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산출부(133)는, 전동 지깅 모드에서 전동 매뉴얼 지깅이 행해진 경우에는,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이 개시되는 것에 응답하여 스풀(4)이 회전하고, 이후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이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스풀(4)의 회전이 정지한 것에 의해 발생하는 권상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133)는, 전동 지깅 모드에서 자동 유인 동작을 위해 하측 스위치부(112b)의 1클릭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구동 제어정보에 따라 스풀(4)의 회전이 개시되고, 이후 스풀(4)의 회전이 정지된 것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권상거리를 산출한다.
표시 제어부(134)는, 표시부(102)에 있어서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34)는, 전동 지깅 모드에서, 산출부(133)에 의해 산출된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수심차를 속도·수심차 구역(AR10)에 표시시킬 수 있다.
시간 계측부(135)는, 전동 지깅 모드의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여 스풀(4)의 회전이 개시되고나서 정지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기억부(104)는, 낚시용 전동 릴(1)에 대응하는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104)는, 구동 제어정보 기억부(141), 듀티비 기억부(142), 중간 권상 속도 기억부(143) 및 줄 길이·스풀 회전 위치 테이블 기억부(144)를 구비한다.
구동 제어정보 기억부(141)는, 구동 제어정보를 기억한다. 구동 제어정보는, 자동 유인 동작에 있어서 스풀(4)을 구동 제어할 때 이용되는 정보이다. 구동 제어정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시간[TIME], 속도[SPEED] 및 가속도[ACCEL]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듀티비 기억부(142)는, 가속도 파라미터값 VA에 대응하는 모터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 듀티비 기억부(142)는, 가속도 파라미터값 VA_H, VA_M, VA_L마다 대응시켜 초기 듀티비 dh, dm, dl을 기억한다.
또한, 듀티비 기억부(142)는, 속도 파라미터값 VS마다 대응하여 정속 대응 듀티비가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속도 파라미터값 VS마다 정속 대응 듀티비를 대응시켜 기억해도 된다.
중간 권상 속도 기억부(143)는, 중간 권상 속도를 기억한다. 중간 권상 속도는, 전동 지깅 모드에서, 상측 스위치부(112a)가 눌림에 따라 스풀(4)을 회전 구동시킬 때에 지정되는 스풀(4)의 회전속도에 관한 파라미터이다. 중간 권상 속도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을 행함으로써 스풀(4)의 최대 회전속도보다 낮은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줄 길이·스풀 회전 위치 테이블 기억부(144)는, 줄 길이·스풀 회전 위치 테이블을 기억한다. 줄 길이·스풀 회전 위치 테이블은, 스풀(4)의 회전 위치(스풀 회전 위치)마다 대응시켜 스풀(4)에 감긴 낚싯줄의 길이(줄 길이)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스풀 회전 위치는, 낚싯줄의 감기 개시로부터 감기 종료까지 회전 센서(106)에 의해 검출되는 스풀(4)의 통산 회전수의 값이 대응된다. 여기서 회전수란, 스풀(4)이 한바퀴 회전한 회수를 나타낸다.
줄 길이·스풀 회전 위치 테이블은, 제어부(103)에 의한 수심의 산출, 산출부(133)에 의한 권상거리의 산출 등에 이용된다.
스풀 회전 위치마다 대응하는 스풀(4)의 단위 회전수 당 줄 길이는, 일차 직선에 근사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103)는, 일례로서 스풀(4)에 낚싯줄을 감길 때 줄 감기가 종료한 스풀 회전 위치로부터 인출했을 때의 줄 길이와 스풀 회전수의 관계, 감길 때의 스풀 총 회전수에 의해 일차 직선을 구한다. 제어부(103)는, 일차 직선을 적분 처리하는 것에 의해 줄 길이와 스풀 회전 위치의 관계를 구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한 줄 길이와 스풀 회전 위치의 관계가 줄 길이·스풀 회전 위치 테이블로서 저장된다. 줄 길이·스풀 회전 위치 테이블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수심, 낚싯줄 권상거리는, 스풀 회전 위치에 따른 줄 감기 지름의 변화가 반영된 것이 된다.
모터 구동 회로(105)는, 스풀 구동 제어부(132)의 제어에 따라 모터(8)를 구동한다.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PWM 제어에 의해 모터 구동 신호의 펄스폭의 듀티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모터(8)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킨다.
회전 센서(106)는, 스풀 회전 위치, 스풀 회전수, 스풀(4)의 회전속도(스풀 회전속도) 등을 검출한다.
[처리 순서 예]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낚시용 전동 릴(1)이 전동 지깅 모드가 온 상태 하에서의 권상 스위치(112)에 대한 조작에 응답하여 실행하는 처리 순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01: 낚시용 전동 릴(1)에 있어서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권상 스위치(112)에 있어서의 상측 스위치부(112a)에 대한 누름 조작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동 지깅 모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스위치부(112a)에 대한 누름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스풀(4)이 회전 구동되고, 낚싯줄의 권상이 행해진다.
단계 S102: 상측 스위치부(112a)에 대한 누름 조작이 개시되었다고 판정하면,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상측 스위치부(112a)에 대한 누름 조작과 함께, 제1 버튼(111-1)이 눌린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버튼(111-1)이 눌린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변경(증분(increment))이 행해지게 되는데, 이 도면에서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변경 순서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하고, 단계 S112로 처리가 천이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단계 S104가 스킵되어 스풀(4)이 회전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낚싯줄의 권상은 행해지지 않는다. 즉,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제1 버튼(111-1)이 눌린 상태 하에서는, 상측 스위치부(112a)를 누르는 조작을, 스풀(4)을 회전시키는 조작으로 접수하지 않도록 한다.
단계 S103: 제1 버튼(111-1)이 눌린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산출부(133)는, 단계 S101에 대응하여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 조작이 개시된 타이밍에 대응하여 회전 센서(106)에 의해 검출되는 스풀 회전 위치(개시시 스풀 회전 위치)를 취득한다.
단계 S104: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중간 권상 속도 기억부(143)가 기억하는 중간 권상 속도로 스풀(4)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제어를 개시한다.
단계 S105: 중간 권상 속도로 단계 S104에 의해 스풀(4)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제어를 개시시킨 후,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눌린 상태의 상측 스위치부(112a)에서 검출되는 가압력이 증가되도록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6: 가압력이 증가되도록 변화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스풀(4)의 회전속도에 대하여 현재보다 높은 소정값을 설정하고, 스풀(4)을 회전 구동한다. 또한, 현재 스풀(4)의 회전속도가 최대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06의 처리가 스킵될 수 있다.
단계 S107: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던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눌린 상태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눌린 상태가 해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05로 처리가 되돌려진다.
단계 S108: 단계 S107에서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눌린 상태가 해제되었다고 판정되면,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스풀(4)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킨다.
단계 S109: 산출부(133)는, 단계 S108에 의해 스풀(4)의 회전 구동이 정지되었을 때에 대응하여 회전 센서(106)에 의해 검출되는 스풀 회전 위치(정지시 스풀 회전 위치)를 취득한다.
단계 S110: 산출부(133)는, 이번 상측 스위치부(112a)에 대한 누름 조작에 따라 스풀(4)이 회전 구동된 것에 의해 권상된 낚싯줄의 길이(권상거리)를 산출한다. 이로써, 산출부(133)는, 단계 S104에서 취득된 개시시 스풀 회전 위치로부터 단계 S109에서 취득된 정지시 스풀 회전 위치까지 대응하는 스풀 회전 위치마다 줄 길이를 줄 길이·스풀 회전 위치 테이블로부터 취득한다. 산출부(133)는, 취득한 스풀 회전 위치마다 줄 길이의 적산 결과에 기초하여 권상거리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산출부(133)는, 개시시 스풀 회전 위치와 정지시 스풀 회전 위치(스풀(4)의 회전 상태의 일례)를 이용하여 줄 길이·스풀 회전 위치 테이블로부터 취득한 줄 길이를 적산하는 것에 의해 권상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개시시 스풀 회전 위치와 정지시 스풀 회전 위치는, 스풀(4)이 상측 스위치부(112a)에 대한 누름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므로, 스풀(4)의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에 있어서의 스풀(4)의 회전 상태의 일례가 된다.
단계 S111: 단계 S110에 의해 권상거리가 산출된 것에 응답하여 표시 제어부(134)는, 회전속도의 단계수 대신, 단계 S110에 의해 산출된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수심차를 속도·수심차 구역(AR10)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표시되는 수심차는, 전동 매뉴얼 지깅으로서 사용자가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 조작을 개시하였을 때의 수심과,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였을 때의 수심과의 차분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표시 제어부(134)는, 단계 S110에 의해 산출된 권상거리에 기초하여 수심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권상거리로 산출된 값의 소정의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한 값 등을 수심차로 해도 된다. 이로써, 실용적이고 보기 쉬운 자리 수에 의해 수심차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단계 S112: 단계 S101에서 상측 스위치부(112a)에 대한 누름 조작이 개시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단계 S102에서 제1 버튼(111-1)이 눌린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 또는 단계 S111의 처리 후,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하측 스위치부(112b)를 1회 누르는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하측 스위치부(112b)를 1회 누르는 조작은, 1회의 자동 유인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조작이다.
하측 스위치부(112b)를 1회 누르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01로 처리가 되돌려진다.
단계 S113: 하측 스위치부(112b)를 1회 누르는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된 경우,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하측 스위치부(112b)를 1회 누르는 조작과 함께, 제1 버튼(111-1)이 눌린 상태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버튼(111-1)이 눌린 상태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변경(감분(decrement))이 행해지게 되는데, 이 도면에서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변경 순서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하고, 단계 S101로 처리가 되돌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제1 버튼(111-1)이 눌린 상태 하에서는, 하측 스위치부(112b)를 1회 누르는 조작을, 자동 유인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조작으로 접수하지 않도록 한다.
단계 S114: 제1 버튼(111-1)이 눌린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산출부(133)는, 단계 S112에 대응하여 하측 스위치부(112b)의 누름 조작이 행해진 타이밍에 대응하는 개시시 스풀 회전 위치를 취득한다.
단계 S115: 단계 S109에서 제1 버튼(111-1)이 눌린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구동 제어정보 기억부(141)가 기억하는 구동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구동 제어 파라미터와, 듀티비 기억부(142)가 기억하는 가속도 파라미터값 VA에 대응하는 듀티비에 따라 스풀(4)을 회전 구동시킨다. 이로써, 하측 스위치부(112b)를 1회 누르는 조작에 따른 1회의 자동 유인 동작이 실행된다.
도 9의 흐름도는, 도 8의 단계 S115로서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 대응 스풀 구동 제어의 처리 순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1101: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가속도 파라미터값 VA에 대응하는 초기 듀티비를 듀티비 기억부(142)로부터 취득한다.
단계 S1102: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취득한 초기 듀티비에 의해 모터(8)의 구동을 개시시킨다. 도 4의 (A), 도 4의(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 t0에서 모터(8)의 구동이 개시되는 것에 응답하여 타임래그를 거친 시각 t1에서 스풀(4)이 회전을 개시한다.
단계 S1103: 또한, 단계 S1102에 의한 모터(8)의 구동 개시와 함께, 시간 계측부(135)는, 구동 계속 시간 T의 계측을 개시한다.
단계 S1104: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현재 계측되는 구동 계속 시간 T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 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단계 S1102에 의해 모터(8)의 구동을 개시시킨 타이밍에서의 경과 시간의 값이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105: 구동 계속 시간 T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현재 검출되는 스풀의 회전속도 vsp가 목표회전속도 vtg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풀의 회전속도 vsp가 목표회전속도 vtg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104로 처리가 되돌려진다.
단계 S1106: 스풀의 회전속도 vsp가 목표회전속도 vtg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는,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그대로 스풀의 회전속도 vsp가 목표회전속도 vtg로 유지되도록 정속 제어를 실행한다. 이 때,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스풀의 회전속도 vsp가 목표회전속도 vtg가 되도록 모터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한다. 상기 단계 S1106의 처리 후, 단계 S1104로 처리가 되돌려진다.
단계 S1107: 단계 S1104에서 구동 계속 시간 T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에 도달했다고 판정된 경우, 스풀 구동 제어부(132)는, 모터 구동을 정지시킨다. 단계 S1107의 처리 후는, 도 8의 단계 S116으로 이행한다. 또한, 시간 계측부(135)는, 단계 S1104에서 구동 계속 시간 T가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에 도달했다고 판정된 것에 응답하여, 구동 계속 시간 T의 계측을 정지하고, 계측된 구동 계속 시간 T를 리셋해도 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항다.
단계 S116: 산출부(133)는, 단계 S110에 의한 모터 구동 정지에 의해 스풀(4)의 구동이 정지되었을 때에 대응하는 스풀 회전 위치(정지 스풀 회전 위치)를 취득한다.
단계 S117: 산출부(133)는, 이번 하측 스위치부(112b)에 대한 누름 조작에 따른 자동 유인 동작으로서 스풀(4)이 회전 구동된 것에 의한 권상거리를 산출한다.
단계 S118: 표시 제어부(134)는, 단계 S117에 의해 산출된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수심차를 속도·수심차 구역(AR10)에 표시시킨다. 단계 S118의 처리 후는, 단계 S101로 처리가 되돌려진다.
또한, 단계 S111, S118에서 표시되는 수심차는, 소정의 트리거 발생에 따라 소거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34)는, 단계 S111, S118에 의해 수심차를 표시시킨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수심차 표시를 소거시켜도 된다. 수심차 표시가 소거된 것에 응답하여, 속도·수심차 구역(AR10)에는, 이 때 설정되어 있는 스풀(4)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단계수의 표시로 전환되어도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34)는, 단계 S111, S118에 의해 수심차를 표시시킨 후에, 다음 전동 매뉴얼 지깅에 대응하는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 조작 또는 자동 유인 동작에 대응하는 하측 스위치부(112b)의 누름 조작이 행해진 것을 트리거로 하여 소거하도록 해도 된다. 즉, 표시 제어부(134)는, 권상거리의 산출 대상이 되는 다음 스풀(4)의 구동을 개시시키는 조작이 행해진 것에 응답하여, 수심차 표시를 소거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전동 지깅 모드에서는, 상측 스위치부(112a)의 계속적인 누름 조작에 의한 전동 매뉴얼 지깅과, 하측 스위치부(112b)의 1회의 누름 조작에 의한 자동 유인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전동 매뉴얼 지깅과 자동 유인 동작은, 낚시법으로서는 각각 1 저크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1 저크가 행해질 때마다 1 저크에 의해 낚싯줄이 권상된 것에 응답한 도구의 수심차가 표시부(102)에서 표시된다. 표시되는 수심차는, 예를 들어 소정의 소수점자리로 미터 단위의 수치에 의해 나타내진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전동 지깅 모드 하에서 행한 1 저크에 따라 도구의 수심 변화(얕음)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02)의 수심 구역(AR20)에는, 도구의 수심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1 저크를 행하기 전에 수심 구역(AR20)에서 표시되는 수심으로부터, 1 저크를 행한 후에 수심 구역(AR20)에서 표시되는 수심을 자신이 감산하는 것에 의해 1 저크에 대응하는 수심차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1 저크를 행한 전후의 수심을 기억한 후에 자신이 계산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신속성이나 정확도이 떨어진다. 반면, 본 실시형태라면, 사용자는 1 저크에 대응하는 수심차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변형예>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변형예는 적당히 조합되어도 된다.
[제1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낚시용 전동 릴(1)은, 전동 지깅 모드 하에서, 전동 매뉴얼 지깅으로서의 스풀(4)의 회전이 정지된 단계에서 수심차를 표시하거나, 또는 자동 유인 동작으로서의 스풀(4)의 회전이 정지된 단계에서 수심차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실시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전동 지깅 모드 하에서, 스풀(4)이 회전을 개시하고나서 정지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1 저크 대응 동작)이 종료한 단계에서 수심차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었다.
반면, 본 변형예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전동 지깅 모드에서의 스풀(4)의 1 저크 대응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낚싯줄의 권상에 응답하여 변화되는 수심차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본 변형예의 산출부(133)는, 전동 매뉴얼 지깅의 경우에는,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 조작이 개시되어 스풀(4)의 회전이 개시된 것에 응답하여 권상거리의 산출을 개시하고, 이후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 조작의 해제에 의해 스풀(4)의 회전이 정지될 때까지 권상거리의 산출을 행한다. 표시 제어부(134)는, 전동 매뉴얼 지깅으로서 상측 스위치부(112a)의 누름 조작의 계속에 응답하여 스풀(4)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상기와 같이 산출부(133)가 산출하는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수심차를 속도·수심차 구역(AR10)에 표시시킨다.
또한, 산출부(133)는, 자동 유인 동작의 경우에는, 하측 스위치부(112b)가 1회 누름 조작되어 스풀(4)이 구동 시간 파라미터값 VT에 대응하는 시간에 걸쳐 회전하고 있는 동안 권상거리의 산출을 행한다. 표시 제어부(134)는, 상기와 같이 자동 유인 동작에 따라 스풀(4)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상기와 같이 산출부(133)가 산출하는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수심차를 속도·수심차 구역(AR10)에 표시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전동 매뉴얼 지깅 또는 자동 유인 동작이 행해지는 동안에 표시되는 수심차의 수치는, 스풀(4)의 회전에 의해 낚싯줄이 권상되는 것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0으로부터 증가하도록 변화되는 것이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34)는, 본 변형예와 같이 시간 경과에 따라 수치를 변화시키도록 하여 수심차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일례로서 0m, 0.1m, 0.3m…로 소정의 길이)단위로 수치를 변화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산출부(133)가 센티미터 단위로 권상거리를 산출 가능할 경우, 표시 제어부(134)가 산출된 권상거리를 그대로 표시시킨 경우에는, 수심차가 단시간에서 미세하게 변화되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기 힘든 경우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소정의 길이 단위로 수심차가 변화되도록 표시시키는 것에 의해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되는 수심차 값을 사용자가 파악하기 쉬워진다.
[제2 변형예]
예를 들어, 스풀(4)의 단위 회전수(단위 회전 회수)에 대응하는 소정의 줄 길이(단위 줄 길이)가 정해진 후, 산출부(133)는, 스풀(4)의 일련의 동작 하에서 회전 센서(106)에 의해 검출되는 스풀(4)의 회전수와 단위 줄 길이에 기초하여 권상거리를 산출해도 된다. 이와 같이 스풀(4)의 일련의 동작 하에서 회전 센서(106)에 의해 검출되는 스풀(4)의 회전수도 스풀(4)의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에 있어서의 스풀(4)의 회전 상태의 일례가 된다.
[제3 변형예]
본 변형예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전동 지깅 모드에서 스풀(4)이 일련의 동작을 행하고 있는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을 수심차와 함께 표시부(102)에서 표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표시되는 시간은, 1 저크가 행해지는 시간(저크 소요 시간)에 대응한다.
저크 소요 시간의 표시로서, 낚시용 전동 릴(1)은, 전동 지깅 모드에서 스풀(4)이 1 저크 대응 동작을 종료한 단계에서, 상기 1 저크 대응 동작이 행해진 시간의 길이를 표시시키거나, 1 저크 대응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계측하고 있는 시간을 표시시켜도 된다.
저크 소요 시간의 표시에 대해서도 수심차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트리거 발생에 따라 소거되도록 해도 된다.
[제4 변형예]
본 변형예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전동 지깅 모드에서의 전동 매뉴얼 지깅의 경우와 자동 유인 동작 중 어느 일방에 있어서 수심차 표시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본 변형예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전동 지깅 모드에서의 전동 매뉴얼 지깅의 경우와 자동 유인 동작 중 어느 일방에 있어서, 제3 변형예의 저크 소요 시간의 표시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제5 변형예]
본 변형예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전동 지깅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3)을 조작하여 저크에 의한 유인(핸들 조작 지깅)을 행하고 있을 때에도 수심차 표시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산출부(133)는, 핸들(3)에 의해 낚싯줄을 권상하는 조작 개시에 따라 스풀(4)의 회전이 개시되고나서 스풀(4)의 회전이 정지될 때까지의 동안에 대응하여 권상거리를 산출하고, 표시 제어부(134)가 산출된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수심차 표시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본 변형예 하에서도, 낚시용 전동 릴(1)은, 스풀(4)의 회전이 정지된 단계에서 수심차를 표시하거나, 스풀(4)이 회전하고 있을 때에 낚싯줄의 권상에 응답하여 변화되는 수심차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핸들 조작 지깅 시도 저크 소요 시간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심차, 저크 소요 시간 등을 표시하는 구성은, 스풀을 모터로 구동하지 않는 비전동 낚시용 릴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6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산출부(133)에 의한 권상거리의 산출 대상이 되는 스풀(4)의 일련의 동작은, 1 저크에 대응하는 1회의 스풀(4)의 회전 개시로부터 정지까지의 동작이었다. 그러나, 산출부(133)에 의한 권상거리의 산출 대상이 되는 스풀(4)의 일련의 동작은, 상기와 같은 스풀(4)의 동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복수 회 저크에 대응하여 스풀(4)의 회전 개시로부터 정지까지의 동작의 복수 회 연속을 산출부(133)에 의한 권상거리의 산출 대상으로 해도 된다.
일 구체예로서, 낚시용 전동 릴(1)은, 자동 유인 동작으로서, 속도[SPEED], 구동 시간[DRIVE_TIME] 및 정지 시간[STOP_TIME]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 가능하다. 낚시용 전동 릴(1)은, 자동 유인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에 따라, 속도[SPEED]에 의해 구동 시간[DRIVE_TIME]에 걸쳐 스풀(4)을 회전시켜, 구동 시간[DRIVE_TIME]이 경과하면 정지 시간[STOP_TIME]에 의해 스풀(4)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낚시용 전동 릴(1)은, 자동 유인 동작 종료를 지시하는 조작에 따라, 스풀(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자동 유인 동작이 행하여질 경우에는, 자동 유인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지고나서 종료를 지시하는 조작이 행하여질 때까지 얻어지는 스풀(4)의 회전 동작을 권상거리의 산출 대상이 되는 스풀(4)의 일련의 동작으로 해도 된다.
[제7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변경 대상의 파라미터 선택이나 변경 대상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파라미터값 변경 조작에는, 2개의 제2 버튼(111-2) 및 제3 버튼(111-3)이 각각 업 버튼, 다운 버튼으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변경 대상의 파라미터 선택이나 변경 대상의 구동 제어 파라미터의 파라미터값 변경 조작에 사용되는 조작자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개여도 된다.
조작자가 1개인 경우로서, 상기 조작자가 버튼인 경우에는, 1회 누름 조작될 때마다, 선택되는 변경 대상의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값이 순회적으로 변경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조작자가 레버 등인 경우에는, 소정의 일방향으로 레버를 위치시킴에 따라 정순(正順)으로 변경 대상의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값이 변경되고, 또 하나의 방향으로 레버를 위치시킴에 따라 역순(逆順)으로 변경 대상의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값이 변경될 수 있다.
[제8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버튼(111)(제1 버튼(111-1), 제2 버튼(111-2), 제3 버튼(111-3))은, 물리적인 조작자로서 설치된 예이다. 그러나, 버튼(111)은, 예를 들어 터치패널로서의 표시부(102)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상으로서의 조작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낚시용 전동 릴(1)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판독시키고,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낚시용 전동 릴(1)로서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여기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판독시키고, 실행한다'란, 컴퓨터 시스템에 프로그램을 인스톨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OS나 주변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이란, 인터넷이나 WAN, LAN, 전용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된 복수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가반(可搬)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일컫는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는, CD-ROM 등의 비(非)일과성의 기록 매체여도 된다. 또한, 기록 매체에는, 상기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해 전송 서버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기록 매체도 포함된다. 전송 서버의 기록 매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단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형식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이해도 된다. 즉, 전송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단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로 인스톨을 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전송 서버에서 기억되는 형식은 불문한다. 또한, 프로그램을 복수로 분할하고, 각각 상이한 타이밍에서 다운로드한 후에 단말 장치에서 합체되는 구성이나, 분할된 프로그램의 각각을 전송하는 전송 서버가 상이해도 된다. 추가로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프로그램이 송신된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RAM)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되는 것, 소위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1 낚시용 전동 릴
4 스풀
8 모터
41 표시 조작 패널
101 조작부
102 표시부
103 제어부
104 기억부
105 모터 구동 회로
106 회전 센서
131 파라미터 설정부
132 스풀 구동 제어부
133 산출부
134 표시 제어부
135 시간 계측부
141 구동 제어정보 기억부
142 듀티비 기억부
143 중간 권상 속도 기억부
144 줄 길이·스풀 회전 위치 테이블 기억부

Claims (8)

  1. 낚싯줄의 권상(卷上)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에 의한 스풀에 부여되는 소정의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일련의 동작을 행하는 상기 스풀에 의해 낚싯줄이 권상된 권상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산출부가 산출하는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표시가 표시부에서 행해지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에 대응하여 상기 산출부가 산출한 권상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었을 때부터 상기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까지 대응하는 도구 위치의 수심의 차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상기 산출부가 산출하는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표시가 상기 표시부에서 행해지도록 하는,
    표시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스풀의 줄 감기 지름에 기초하여 상기 권상거리를 산출하는,
    표시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동작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표시와 함께, 상기 시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시간에 기초하는 표시가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릴.
  7. 낚싯줄의 권상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에 의한 스풀에 부여되는 소정의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일련의 동작을 행하는 상기 스풀에 의해 낚싯줄이 권상된 권상거리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와,
    상기 산출 단계가 산출하는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표시가 표시부에서 행해지도록 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방법.
  8.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로서의 컴퓨터를,
    낚싯줄의 권상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에 의한 스풀에 부여되는 소정의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일련의 동작을 행하는 상기 스풀에 의해 낚싯줄이 권상된 권상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부가 산출하는 권상거리에 기초하는 표시가 표시부에서 행해지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표시 제어 프로그램.
KR1020220054109A 2021-05-11 2022-05-02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릴, 표시 제어 방법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KR20220153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80341 2021-05-11
JP2021080341A JP2022174502A (ja) 2021-05-11 2021-05-11 魚釣用リールの表示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504A true KR20220153504A (ko) 2022-11-18

Family

ID=8391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109A KR20220153504A (ko) 2021-05-11 2022-05-02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릴, 표시 제어 방법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74502A (ko)
KR (1) KR20220153504A (ko)
CN (1) CN115316352A (ko)
TW (1) TW20224359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74502A (ja) 2022-11-24
CN115316352A (zh) 2022-11-11
TW202243592A (zh)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345B1 (ko) 낚시용 릴
JP588531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101707418B1 (ko) 낚시용 릴
KR20220153504A (ko) 낚시용 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릴, 표시 제어 방법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KR101842894B1 (ko) 전동 릴
JP7257202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そのモード遷移制御方法、及びモード遷移制御プログラム
US20190150418A1 (en) Dual-bearing reel
CN111657238B (zh) 卷线筒驱动控制装置、方法、系统及钓鱼用电动绕线轮
JP7441749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のパラメータ設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電動リール、パラメータ設定方法、及びパラメータ設定プログラム
KR20220044666A (ko) 낚시용 전동 릴의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 파라미터 설정 방법 및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
JP2002051674A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回路
JPH088619Y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23143364A (ja) 魚釣用リールの糸巻長管理装置、魚釣用リール、魚釣用リールの糸巻長管理方法、及び糸巻長管理プログラム
JP632967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632967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21000019A (ja) 魚釣用電動リールのモータ駆動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電動リール、モータ駆動制御方法、及びモータ駆動制御プログラム
JP636833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24058434A (ja) 魚釣用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魚釣用リール、及び魚釣用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のプログラム
JP3534623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H04304834A (ja) 魚釣用リール
JP2002000144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2125539A (ja) 魚釣用リール
JPH10210903A (ja) 釣り用リールのカウンターケース
JPH08563U (ja) 魚釣用リール
JPH0555876U (ja) 魚釣用電動リ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