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815A -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815A
KR20200123815A KR1020207027323A KR20207027323A KR20200123815A KR 20200123815 A KR20200123815 A KR 20200123815A KR 1020207027323 A KR1020207027323 A KR 1020207027323A KR 20207027323 A KR20207027323 A KR 20207027323A KR 20200123815 A KR20200123815 A KR 20200123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lide bar
electric wire
suppo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231B1 (ko
Inventor
아키라 가키우치
요시카즈 간다
유타카 마키노
다카유키 나가키
다카시 오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ublication of KR20200123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제1 전선과 제2 전선을 슬리브를 개재하여 접속할 때에,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느슨함을 억제 가능한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을 제공한다. 슬리브 장착 공구는, 슬리브 지지구를 구비한 기부와, 기부의 한쪽측에 배치되고, 기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1 슬라이드봉과, 기부의 다른쪽측에 배치되고, 기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2 슬라이드봉과, 슬라이드봉 조작부를 구비한다. 슬라이드봉 조작부는, 제1 슬라이드봉의 슬라이드 이동과 제2 슬라이드봉의 슬라이드 이동을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다.

Description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
본 발명은, 슬리브를 전선에 장착하는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선의 분리 공법이 알려져 있다. 전선의 분리 공법에서는, 가공(架空) 전선이 제1 전선과, 제2 전선으로 분리된다. 가공 전선의 접지측에 있어서 필요한 작업이 행해진 후, 분리된 제1 전선과 제2 전선은, 슬리브를 개재하여 접속된다.
관련하는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에는, 가선(架線) 공사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가선 공사 방법에서는, 한쪽의 피복 전선의 피복부가 한쪽의 파지기에 의해 파지되고, 다른쪽의 피복 전선의 심선에 통형상의 접속 슬리브가 장착된 상태에서 다른쪽의 피복 전선의 피복부가 다른쪽의 파지기에 의해 파지된다. 그 후, 신축기의 조작부를 원격 조작 도구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한쪽의 파지기와 다른쪽의 파지기의 사이의 거리가 작아져, 접속 슬리브의 일단의 개구로부터 한쪽의 피복 전선의 심선이 접속 슬리브 내에 삽입된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전선 분리 공사용 주간인류(柱間引留) 공구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공구는, 조작축을 구비한 신축 조작체와, 신축 조작체의 양측에 접속된 내외통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신축봉을 구비한다. 또, 신축 조작체의 양측의 내통의 자유단측에는, 각각, 전선용 파지 부재가 부착되고, 또한, 내통의 기단측 내주면에는, 각각,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암나사부에는, 신축 조작체의 양측의 내통을 대칭이며 또한 동시에 신축 작동시키는 동축형상의 나사축이, 각각 나사식 결합되어 있다. 공구의 사용할 때에는, 조작축을 조작시켜, 나사축을 소정 방향으로 나사식 이동시킴으로써, 신축 조작체의 양측의 신축봉을 수축시킨다. 이렇게 하여, 2개의 전선용 파지 부재 간의 거리가 작아져, 2개의 전선용 파지 부재에 의해 파지된 전선을 느슨하게 하여 필요한 분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0-5108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5-70651호 공보
제1 전선과 제2 전선을, 슬리브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제1 전선의 단부와 제2 전선의 단부의 사이에 슬리브를 배치하기 위해, 제1 전선의 단부와 제2 전선의 단부를 슬리브의 길이 이상 이격시킬 필요가 있다. 당해 이격 동작을, 종래의 전선 분리 공구를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 전선 분리 공구의 신축봉을, 슬리브의 길이 이상 신장시키면 된다. 그러나, 신축봉을 크게 신장시키면,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느슨함(즉, 이도)이 커져, 느슨해진 전선이, 하방에 위치하는 전선 등에 접근 또는 접촉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전선과 제2 전선을 슬리브를 개재하여 접속할 때에,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느슨함을 억제 가능한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슬리브 지지구를 구비한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의 한쪽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1 슬라이드봉과,
상기 기부의 다른쪽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2 슬라이드봉과,
슬라이드봉 조작부
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봉 조작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의 슬라이드 이동과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의 슬라이드 이동을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한
슬리브 장착 공구.
(2) 상기 기부는, 전선의 노출 심선을 지지하는 심선 지지구를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슬리브 장착 공구.
(3) 상기 심선 지지구는,
제1 전선의 노출 심선을 지지하는 제1 심선 지지구와,
제2 전선의 노출 심선을 지지하는 제2 심선 지지구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지지구는, 상기 제1 심선 지지구와 상기 제2 심선 지지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2)에 기재된 슬리브 장착 공구.
(4)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제1 전선 파지구가 접속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제1 전선 파지구를 부착 가능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제2 전선 파지구가 접속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제2 전선 파지구를 부착 가능한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슬리브 장착 공구.
(5) 상기 슬라이드봉 조작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와,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
를 포함하거나, 혹은,
상기 슬라이드봉 조작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을 구동하는 제1 하중 전달 기구,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을 구동하는 제2 하중 전달 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슬리브 장착 공구.
(6) 슬리브 커버를 파지하는 슬리브 커버 파지구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슬리브 장착 공구.
(7) 상기 기부가, 대략 중앙 부분에서 분할, 혹은, 접어 구부림 가능한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슬리브 장착 공구.
(8) 상기 슬리브 지지구는, 상기 기부의 봉형상부에 착탈 가능한 부착부를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슬리브 장착 공구.
(9) 상기 슬리브 지지구를 개폐하는 요동식의 조작 레버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슬리브 장착 공구.
(10) 슬리브 장착 공구를 이용한 슬리브 장착 방법으로서,
상기 슬리브 장착 공구는,
슬리브 지지구를 구비한 기부와,
상기 기부의 한쪽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1 슬라이드봉과,
상기 기부의 다른쪽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2 슬라이드봉과,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접속된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접속된 제2 전선 파지구
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 장착 방법은,
상기 슬리브 지지구에 의해 슬리브를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이 상기 기부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을 상기 기부측으로 끌어들여,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에 의해 파지된 제1 전선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전선의 노출 심선을 상기 슬리브의 제1 단부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이 상기 기부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을 상기 기부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전선 파지구에 의해 파지된 제2 전선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이 상기 기부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을 상기 기부측으로 끌어들여, 상기 제2 전선 파지구에 의해 파지된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제2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전선의 노출 심선을 상기 슬리브의 제2 단부에 삽입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슬리브 장착 방법.
본 발명에 의해, 제1 전선과 제2 전선을 슬리브를 개재하여 접속할 때에,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느슨함을 억제 가능한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슬리브 지지구 및 심선 지지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슬리브 지지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심선 지지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전선 지지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슬리브 커버 파지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7의 좌측에는, 정면도가 기재되고, 도 7의 우측에는 측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도 8은,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1개의 슬라이드봉 조작부가, 제1 슬라이드봉 및 제2 슬라이드봉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한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슬리브 지지구 및 심선 지지구 중 적어도 한쪽을 기부의 봉형상부에 부착하는 부착부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0은, 슬리브 지지구 및 심선 지지구 중 적어도 한쪽을 개폐하는 개폐 조작 기구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또한, 도 20에 있어서, 개폐 조작 기구의 내부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일부분(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분할체, 제2 분할체)에 대해서는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 및, 슬리브 장착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종의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리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붙여진 부재에 대해서, 반복이 되는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방향의 정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2 슬라이드봉(5)으로부터 제1 슬라이드봉(4)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제1 슬라이드봉(4)으로부터 제2 슬라이드봉(5)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제1의 실시 형태)
도 1을 참조하여,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A)의 개략 정면도이다.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A)는, 기부(2)와, 제1 슬라이드봉(4)과, 제2 슬라이드봉(5)과, 슬라이드봉 조작부(6)와, 제1 전선 파지구(7a)와, 제2 전선 파지구(7b)를 구비한다.
기부(2)는, 슬리브(SV)를 지지하는 슬리브 지지구(21)와, 노출 심선(WC)을 지지하는 심선 지지구(26)를 구비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기부(2)의 제1 방향측의 단부에, 슬리브(SV)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슬리브 지지구(21a)가 설치되고, 또한, 기부(2)의 제2 방향측의 단부에, 슬리브(SV)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슬리브 지지구(21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기부(2)가, 2개의 슬리브 지지구(21a, 21b)를 구비하고 있지만, 기부(2)가 구비하는 슬리브 지지구의 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기부(2)에 있어서의 각 슬리브 지지구의 배치는, 도 1에 기재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기부(2)의 제1 방향측의 단부에, 제1 전선(W1)의 노출 심선(WC1)을 지지하는 제1 심선 지지구(26a)가 설치되고, 또한, 기부(2)의 제2 방향측의 단부에, 제2 전선(W2)의 노출 심선(WC2)을 지지하는 제2 심선 지지구(26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기부(2)가, 2개의 심선 지지구(26a, 26b)를 구비하고 있지만, 기부(2)가 구비하는 심선 지지구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심선 지지구(26a)가, 슬리브 지지구(2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슬리브 지지구(21a))의 제1 방향측에 배치되고, 제2 심선 지지구(26b)가, 슬리브 지지구(2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슬리브 지지구(21b))의 제2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슬리브 지지구(21)는, 제1 심선 지지구(26a)와 제2 심선 지지구(26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지지구(21)와, 심선 지지구(26)가 별체이지만, 슬리브 지지구(21)와 심선 지지구(26)가 일체여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슬리브 지지구(21)의 적어도 일부와 심선 지지구(26)의 적어도 일부가 공통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노출 심선(WC)의 중심축과 슬리브(SV)의 중심축의 정합 상태의 유지가,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경우, 혹은, 슬리브 지지구(21)가 심선 지지구의 기능을 겸비하는 경우 등에는, 심선 지지구(26)는 생략되어도 상관없다.
제1 슬라이드봉(4)은, 기부(2)의 한쪽측(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방향측)에 배치되고, 기부(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부재이다. 제1 슬라이드봉(4)은, 슬라이드봉 조작부(6)를 조작함으로써, 기부(2)의 제1 방향측 단부(20a)로부터의 돌출량이 변화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를 제1 조작 방향(R1)으로 조작하면, 제1 슬라이드봉(4)이 기부(2)측으로 끌어들여진다. 그 결과, 제1 방향측 단부(20a)로부터의 제1 슬라이드봉(4)의 돌출량이 감소한다. 한편, 슬라이드봉 조작부(6)(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를 제2 조작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1 슬라이드봉(4)이 기부(2)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방향측 단부(20a)로부터의 제1 슬라이드봉(4)의 돌출량이 증가한다.
제2 슬라이드봉(5)은, 기부(2)의 다른쪽측(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방향측)에 배치되고, 기부(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부재이다. 제2 슬라이드봉(5)은, 슬라이드봉 조작부(6)를 조작함으로써, 기부(2)의 제2 방향측 단부(20b)로부터의 돌출량이 변화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를 제1 조작 방향(R3)으로 조작하면, 제2 슬라이드봉(5)이 기부(2)측으로 끌어들여진다. 그 결과, 제2 방향측 단부(20b)로부터의 제2 슬라이드봉(5)의 돌출량이 감소한다. 한편, 슬라이드봉 조작부(6)(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를 제2 조작 방향(R4)으로 조작하면, 제2 슬라이드봉(5)이 기부(2)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2 방향측 단부(20b)로부터의 제2 슬라이드봉(5)의 돌출량이 증가한다.
슬라이드봉 조작부(6)는, 제1 슬라이드봉(4) 및 제2 슬라이드봉(5)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조작부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는, 제1 슬라이드봉(4)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와, 제2 슬라이드봉(5)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슬라이드봉(4)의 슬라이드 이동과 제2 슬라이드봉(5)의 슬라이드 이동이 독립적으로 조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가 조작되면, 제1 슬라이드봉(4)은 기부(2)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만, 제2 슬라이드봉(5)은 기부(2)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는다. 또,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가 조작되면, 제2 슬라이드봉(5)은 기부(2)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만, 제1 슬라이드봉(4)은 기부(2)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슬리브 장착 공구(1A)가, 슬라이드봉 조작부(6)에 작용하는 조작력을 제1 슬라이드봉(4) 또는 제2 슬라이드봉(5) 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기구를 가지는 경우 등에는,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와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가 공통화되어도 된다.
제1 전선 파지구(7a)는, 제1 전선(W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선(W1) 중심선이 노출되어 있지 않은 부분(WP1))를 파지한다. 제1 전선 파지구(7a)는, 제1 슬라이드봉(4)의 단부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1 슬라이드봉(4)이 기부(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면, 제1 전선 파지구(7a)는 기부(2)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장착 공구(1A)가, 제1 전선 파지구(7a)를 구비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출하 상태 등에 있어서, 슬리브 장착 공구(1A)가 제1 전선 파지구(7a)를 구비하지 않고, 슬리브 장착 공구(1A)가, 기존의 제1 전선 파지구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2 전선 파지구(7b)는, 제2 전선(W2)(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전선(W2) 중심선이 노출되어 있지 않은 부분(WP2))를 파지한다. 제2 전선 파지구(7b)는, 제2 슬라이드봉(5)의 단부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2 슬라이드봉(5)이 기부(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면, 제2 전선 파지구(7b)는 기부(2)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장착 공구(1A)가, 제2 전선 파지구(7b)를 구비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출하 상태 등에 있어서, 슬리브 장착 공구(1A)가 제2 전선 파지구(7b)를 구비하지 않고, 슬리브 장착 공구(1A)가, 기존의 제2 전선 파지구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A)에서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는, 제1 슬라이드봉(4)의 슬라이드 이동과 제2 슬라이드봉(5)의 슬라이드 이동을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전선(W1)의 노출 심선(WC1)을 슬리브(SV)에 삽입할 때에는, 제1 슬라이드봉(4)을, 슬리브(SV)의 길이보다 짧은 거리만큼 이동시키면 되고(도 1(a) 및 도 1(b)를 참조), 제2 전선(W2)의 노출 심선(WC2)을 슬리브(SV)에 삽입할 때에는, 제2 슬라이드봉(5)을, 슬리브(SV)의 길이보다 짧은 거리만큼 이동시키면 된다(도 1(c) 및 도 1(d)를 참조). 이 때문에, 제1 전선(W1)과 제2 전선(W2)을 슬리브(SV)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공정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7a)와 제2 전선 파지구(7b)의 사이의 거리의 확대를, 종래와 비교하여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전선(W1) 및 제2 전선(W2)의 전체의 느슨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A)의 기부(2)는, 대략 중앙 부분에서 분할, 혹은, 접어 구부림 가능하게 해도 된다. 분할 가능하게 하는 경우, 예를 들면, 기부(2)의 분할체의 한쪽에 오목부, 분할체의 다른쪽에 볼록부를 설치하여, 오목부와 볼록부를 걸어 맞춘 후에 나사 등으로 고정하면 된다. 혹은, 분할체의 형상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힘을 걸었을 때에 분할체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 형상으로 하고, 한쪽의 분할체를 다른쪽의 분할체에 대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연직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 분할체를 결합 가능 및/또는 분리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 접어 구부림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는, 대략 중앙 부분에서 기부(2)가 접어 구부러지도록, 힌지 등으로 접합하면 된다. 기부(2)의 대략 중앙 부분에서 분할, 혹은, 접어 구부림 가능하게 함으로써 슬리브 장착 공구(1A)를 2개로 접을 수 있으므로, 운반 시나 보관 시에, 슬리브 장착 공구(1A)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노출 심선(WC)의 말단은, 직경 외측 방향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있어, 종래, 노출 심선(WC)의 내경보다 약간 큰 슬리브 개구부에 노출 심선(WC)을 삽입하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슬리브 장착 공구(1A)가 심선 지지구(26)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노출 심선(WC)을 슬리브(SV)에 삽입하는 공정에 있어서, 노출 심선(WC)과 슬리브(SV)의 사이의 심잡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리브 개구부에 노출 심선(WC)을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리브(SV)가 슬리브 지지구(21)에 의해 지지되고, 노출 심선(WC)이 심선 지지구(26)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봉(제1 슬라이드봉(4) 또는 제2 슬라이드봉(5))을 기부(2)측에 끌어들이면, 자동적으로, 노출 심선(WC)이 슬리브(SV)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용이하게 노출 심선(WC)을 슬리브(SV)에 삽입할 수 있다.
(슬리브 장착 방법)
도 1을 참조하여,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단계(ST1)에 있어서, 슬리브(SV)가 슬리브 지지구(21)에 의해 지지된다. 도 1(a)에는, 제1 단계(ST1)가 실행된 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제2 단계(ST2)에 있어서, 제1 슬라이드봉(4)을 기부(2)측으로 끌어들여, 제1 전선 파지구(7a)에 의해 파지된 제1 전선(W1)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전선(W1)의 노출 심선(WC1)을 슬리브(SV)의 제1 단부에 삽입한다. 도 1(b)에는, 제2 단계(ST2)가 실행된 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제2 단계(ST2)는, 예를 들면, 슬라이드봉 조작부(6)(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제3 단계(ST3)에 있어서, 제2 슬라이드봉(5)을 기부(2)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전선 파지구(7b)에 의해 파지된 제2 전선(W2)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c)에는, 제3 단계(ST3)가 실행된 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제3 단계(ST3)는, 예를 들면, 슬라이드봉 조작부(6)(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제3 단계(ST3)의 실행 후에, 노출 심선(WC2)의 단부와, 슬리브(SV)의 제2 방향측 단부가 서로 대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노출 심선(WC2)의 단부를 슬리브(SV)의 제2 방향측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노출 심선(WC2)의 단부를 이동시켜, 당해 단부를 제2 심선 지지구(26b)에 지지시키면 된다.
제4 단계(ST4)에 있어서, 제2 슬라이드봉(5)을 기부(2)측으로 끌어들여, 제2 전선 파지구(7b)에 의해 파지된 제2 전선(W2)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전선(W2)의 노출 심선(WC2)을 슬리브(SV)의 제2 단부에 삽입한다. 도 1(d)에는, 제4 단계(ST4)가 실행된 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제4 단계(ST4)는, 예를 들면, 슬라이드봉 조작부(6)(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상대로,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방법에서는, 제1 전선(W1) 및 제2 전선(W2)의 전체의 느슨함을 억제하면서, 간단한 조작으로, 제1 전선(W1)의 노출 심선(WC1) 및 제2 전선(W2)의 노출 심선(WC2)에 슬리브(SV)를 장착할 수 있다.
(제2의 실시 형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B)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슬리브 지지구(21) 및 심선 지지구(26)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슬리브 지지구(21)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심선 지지구(26)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전선 지지구(8)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슬리브 커버 파지구(9)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7의 좌측에는, 정면도가 기재되고, 도 7의 우측에는 측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제2의 실시 형태의 각 부재에 관하여, 제1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부재에 대한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B)는, 기부(2)와, 제1 슬라이드봉(4)과, 제2 슬라이드봉(5)과, 슬라이드봉 조작부(6)를 구비한다. 슬리브 장착 공구(1B)는, 제1 전선 파지구(7a), 제2 전선 파지구(7b), 전선 지지구(8), 및, 슬리브 커버 파지구(9) 중 적어도 1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기부(2))
도 2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기부(2)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봉형상부(20)와, 슬리브 지지구(21)와, 심선 지지구(26)와, 슬라이드봉 조작부(6)를 구비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봉형상부(20)는, 제1 방향측 단부(20a)와 제2 방향측 단부(20b)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가 중공인 관형상체이다. 봉형상부(20)는, FRP제(섬유강화 플라스틱제)여도 되고, 금속제여도 된다.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슬리브 지지구(21) 및 심선 지지구(2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지지구(21)는, 봉형상부(20)에 부착되는 부착부(23)와, 슬리브(SV) 등을 지지하는 지지부(210)를 구비한다. 부착부(23)에는, 봉형상부(20)의 일부를 수용하는 관통 구멍(231)이 형성되어 있다(도 4를 참조). 슬리브 지지구(21)는, 봉형상부(20)에 대해, 제1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해도 된다. 이 경우, 실제로 사용하는 슬리브(SV)의 길이에 대응하여, 슬리브 지지구(2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 장착 공구(1B)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또, 슬리브 지지구(21)는, 봉형상부(20)에 대해 착탈이 자유로워도 된다. 이 경우, 실제로 사용하는 슬리브(SV)의 직경에 대응하여 최적의 슬리브 지지구(21)를 봉형상부(20)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슬리브 장착 공구(1B)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지지부(210)에는,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의 사이에서, 지지부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슬리브 지지구 조작부(212)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210)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지지부(210)는 슬리브(SV)를 구속하여, 슬리브(SV)는 지지부(2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대 이동할 수 없다. 한편, 지지부(210)가 열림 상태에 있을 때, 지지부(210)에 슬리브(SV)를 재치(載置)하거나 지지부(210)로부터 슬리브(SV)를 떼어내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지지구 조작부(212)는, 원격 조작 공구의 선단을 받아들임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가지는 아이 볼트(eye bolt) 또는 아이 너트(eye nut)이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지부(210)는, 슬리브(SV)를 지지하는 제1 부분(214)과, 노출 심선(WC)이 삽입 통과되는 제2 부분(216)을 구비한다. 또,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부분(216)의 내면은, 제1 부분(214)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면(216a)을 구비하고 있다. 제2 부분(216)이 테이퍼면(216a)을 구비함으로써, 노출 심선(WC)의 말단에 확대나 구부러짐이 있는 경우에서도, 제2 부분(216)으로의 노출 심선(WC)의 삽입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제2 부분(216)의 내면에 의해 규정되는 심선 안내로(217)와, 제1 부분(214)의 내면에 의해 규정되는 슬리브 수용부(215)는, 서로 연통하고 있다. 제1 부분(214)의 내면은, 슬리브(SV)의 단면에 대향하게 되는 단면 지지면(214a)과, 슬리브(SV)의 외주면과 대향하게 되는 외주면 지지면(214b)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심선 지지구(26)는, 기부(2)의 봉형상부(20)에 부착되는 부착부(23)와, 노출 심선(WC) 및/또는 피복 전선을 지지하는 지지부(260)를 구비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심선 지지구(26)의 부착부(23)와, 슬리브 지지구(21)의 부착부(23)가 동일하다. 바꾸어 말하면, 심선 지지구(26)와 슬리브 지지구(21)가 부착부(23)를 공용하고 있다. 이 경우, 슬리브 지지구(21)와 심선 지지구(26)의 사이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부착부(23)를, 봉형상부(2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예와 같이, 심선 지지구(26)의 부착부와, 슬리브 지지구(21)의 부착부가 별체여도 상관없다.
지지부(260)에는,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의 사이에서, 지지부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심선 지지구 조작부(262)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260)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지지부(260)는 노출 심선(WC) 및/또는 피복 전선을 구속하여, 노출 심선(WC)은 제1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지부(26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없다. 한편, 지지부(260)가 열림 상태에 있을 때, 지지부(260)에 노출 심선(WC) 및/또는 피복 전선을 재치하거나, 지지부(260)로부터 노출 심선(WC) 및/또는 피복 전선을 떼어내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심선 지지구 조작부(262)는, 원격 조작 공구의 선단을 받아들임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가지는 아이 볼트(eye bolt) 또는 아이 너트(eye nut)이다.
지지부(260)는, 노출 심선(WC) 및/또는 피복 전선이 삽입 통과되는 심선 수용부(26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심선 수용부(267)의 내면은, 슬리브(SV)의 지지부(210)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심선 수용부(267)가 테이퍼면을 구비하는 경우, 심선 수용부(267)로의 노출 심선(WC)의 삽입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심선 지지구(26)의 지지부(260)와, 슬리브 지지구(21)의 지지부(210)의 사이에, 간극(G)이 설치되어 있다. 당해 간극(G)의 존재에 의해, 작업자는, 심선 지지구(26)측으로부터 삽입된 노출 심선(WC)이, 슬리브 지지구(21)에 도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작업자는, 슬리브(SV)에 노출 심선(WC)을 삽입하는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간극(G)은 없어도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슬리브 지지구(21)에 대해서, 또한 설명한다.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SV)를 지지하는 지지부(210)가, 제1 분할체(218a)와 제2 분할체(218b)를 구비한다. 그리고, 슬리브 지지구 조작부(212)를 조작함으로써, 제1 분할체(218a)와 제2 분할체(218b)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다.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분할체(218a)와 제2 분할체(218b)가, 제1 방향에 수직인 방향(제3 방향)을 따라 근접 가능하며 또한 이격 가능하다. 또한, 제1 분할체(218a)와 제2 분할체(218b)의 사이의 간격이 작아진 상태가, 슬리브(SV)가 구속되는 닫힘 상태에 대응하고, 제1 분할체(218a)와 제2 분할체(218b)의 사이의 간격이 확대된 상태가, 슬리브(SV)의 구속이 해제되는 열림 상태에 대응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분할체(218a)와 제2 분할체(218b) 중 한쪽에는, 슬리브 수용부(215)로의 슬리브(SV)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219)(예를 들면, 가이드판)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분할체(218a)와 제2 분할체(218b) 중 한쪽이, 가이드 부재(219)를 구비함으로써, 슬리브 수용부(215)로의 슬리브(SV)의 삽입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219)는, 제3 방향에 수직인 가이드 표면(219c)을 구비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심선 지지구(26)에 대해서, 또한 설명한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노출 심선(WC) 및/또는 피복 전선을 지지하는 지지부(260)가, 제1 분할체(268a)와 제2 분할체(268b)를 구비한다. 그리고, 심선 지지구 조작부(262)를 조작함으로써, 제1 분할체(268a)와 제2 분할체(268b)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분할체(268a)와 제2 분할체(268b)가, 제1 방향에 수직인 방향(제3 방향)을 따라 근접 가능하며 또한 이격 가능하다. 또한, 제1 분할체(268a)와 제2 분할체(268b)의 사이의 간격이 작아진 상태가, 노출 심선(WC) 및/또는 피복 전선이 구속되는 닫힘 상태에 대응하고, 제1 분할체(268a)와 제2 분할체(268b)의 사이의 간격이 확대된 상태가, 노출 심선(WC) 및/또는 피복 전선의 구속이 해제되는 열림 상태에 대응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분할체(268a)와 제2 분할체(268b) 중 한쪽에는, 심선 수용부(267)로의 노출 심선(WC) 및/또는 피복 전선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269)(예를 들면, 가이드판)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분할체(268a)와 제2 분할체(268b) 중 한쪽이, 가이드 부재(269)를 구비함으로써, 심선 수용부(267)로의 노출 심선(WC) 및/또는 피복 전선의 삽입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269)는, 제3 방향에 수직인 가이드 표면(269c)을 구비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기재된 슬리브 지지구(21) 및/또는 심선 지지구(26)는, 도 2에 기재된 제2 슬리브 지지구(21b) 및/또는 제2 심선 지지구(26b)로서 채용 가능하다. 또, 도 3 내지 도 5에 기재된 슬리브 지지구(21) 및/또는 심선 지지구(26)의 경상체는, 도 2에 기재된 제1 슬리브 지지구(21a) 및/또는 제1 심선 지지구(26a)로서 채용 가능하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지지구 조작부(212)와, 심선 지지구 조작부(262)가 각기 다른 조작부이다. 대체적으로, 슬리브 지지구 조작부(212)와 심선 지지구 조작부(262)가 1개의 조작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1개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제1 분할체(218a)와 제2 분할체(218b)의 사이의 간격과, 제1 분할체(268a)와 제2 분할체(268b)의 사이의 간격이, 동시에 조정된다. 또한, 한쪽의 슬리브 지지구 및 심선 지지구(예를 들면, 제1 슬리브 지지구(21a) 및 제1 심선 지지구(26a))에 대응하는 조작부를 하나의 조작부에 의해 구성하고, 다른쪽의 슬리브 지지구 및 심선 지지구(예를 들면, 제2 슬리브 지지구(21b) 및 제2 심선 지지구(26b))에 대응하는 조작부를 각기 다른 조작부(212, 262)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제1 슬라이드봉(4))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봉(4)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늘고 긴 부재이다. 제1 슬라이드봉(4)은, 중공이어도 되고 중실(中實)이어도 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슬라이드봉(4)의 일부가, 기부(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봉(4)과,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는, 조작력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를 조작함으로써, 기부(2)로부터의 제1 슬라이드봉(4)의 돌출량이 변화한다. 제1 슬라이드봉(4)의 선단부에는, 제1 전선 파지구(7a)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슬라이드봉(5))
제2 슬라이드봉(5)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늘고 긴 부재이다. 제2 슬라이드봉(5)은, 중공이어도 되고 중실이어도 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슬라이드봉(5)의 일부가, 기부(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제2 슬라이드봉(5)과,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는, 조작력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를 조작함으로써, 기부(2)로부터의 제2 슬라이드봉(5)의 돌출량이 변화한다. 제2 슬라이드봉(5)의 선단부에는, 제2 전선 파지구(7b)가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드봉 조작부(6))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 및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 각각은, 원격 조작 공구의 선단을 받아들임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가지는 아이 볼트(eye bolt) 또는 아이 너트(eye nut)를 포함한다.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를 조작함으로써, 제1 슬라이드봉(4)이 기부(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메커니즘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례로서, (A)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에는, 당해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와 함께 회전축(AX1) 둘레를 회전하는 제1 베벨 기어가 설치되고, (B) 기부(2)의 내측에는, 제1 베벨 기어와 하중 전달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베벨 기어가 배치되고, (C) 제2 베벨 기어는, 외측 나사가 외주에 배치된 나사봉과 함께, 당해 나사봉의 길이 방향축 둘레를 회전하고, (D) 제1 슬라이드봉(4)이, 당해 나사봉에 나사식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원격 조작 공구에 의해,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를 회전축(AX1) 둘레로 회전시키면, 제1 베벨 기어가 회전축(AX1) 둘레를 회전하고, 제2 베벨 기어 및 나사봉이, 나사봉의 길이 방향축 둘레를 회전한다. 나사봉이 회전하면, 나사봉에 나사식 결합하는 제1 슬라이드봉(4)이, 기부(2)에 끌어들여지는 방향(또는 기부(2)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1 슬라이드봉(4)이, 기부(2)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한,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를 조작함으로써, 제1 슬라이드봉(4)을 기부(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메커니즘 이외의 임의의 메커니즘이 채용되어도 된다.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를 조작함으로써, 제2 슬라이드봉(5)을 기부(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으로서는,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를 조작함으로써, 제1 슬라이드봉(4)을 기부(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메커니즘과 동일한 메커니즘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선 파지구(7))
제1 전선 파지구(7a)는, 제1 파지편(71)과 제2 파지편(72)을 구비하고, 제1 파지편(71)과 제2 파지편(72)에 의해, 제1 전선(W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선 중심선이 노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협지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7a)는, 평행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파지편(71)과 제2 파지편(72)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전선(W1)이 제1 전선 파지구(7a)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당해 평행 링크 기구의 작용에 의해, 제1 파지편(71) 및 제2 파지편(72)에 의해 제1 전선(W1)이 협지되는 힘이 증대한다.
제1 전선 파지구(7a)는, 제1 접속부(74)를 개재하여, 제1 슬라이드봉(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선 파지구(7a)와 제1 슬라이드봉(4)의 사이의 접속은, 제1 방향에 수직인 요동축 둘레로 요동 가능한 접속이어도 되고, 요동 불가능한 접속이어도 된다. 제1 전선 파지구(7a)는, 슬리브 장착 공구(1B)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슬리브 장착 공구(1B)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슬리브 장착 공구(1B)가, 제1 전선 파지구(7a)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리브 장착 공구(1B)에, 기존의 제1 전선 파지구를 부착하면 된다.
제2 전선 파지구(7b)는, 제2 접속부(76)를 개재하여, 제2 슬라이드봉(5)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전선 파지구(7b)의 구성은, 제1 전선 파지구(7a)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2 전선 파지구(7b)에 대한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전선 파지구(7a)와 제1 슬라이드봉(4)의 사이의 접속, 및, 제2 전선 파지구(7b)와 제2 슬라이드봉(5)의 사이의 접속 중 한쪽의 접속이, 제1 방향에 수직인 요동축 둘레로 요동 가능한 접속이며, 다른쪽의 접속이, 요동 불가능한 접속이어도 된다.
(전선 지지구(8))
전선 지지구(8)는, 제1 전선 파지구(7a)와 제2 전선 파지구(7b)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제1 전선(W1) 또는 제2 전선(W2)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전선 지지구(8)는, 전선(제1 전선(W1) 또는 제2 전선(W2))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전선을 지지하는 부재여도 되고, 전선의 주위를 둘러쌈으로써, 전선의 위치를 규정하는 부재여도 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전선 지지구(8)의 개수는 3개(제1 전선 지지구(8a), 제2 전선 지지구(8b), 제3 전선 지지구(8c))이다. 대체적으로, 전선 지지구(8)의 수는, 1개여도 되고, 2개여도 되고, 4개 이상이어도 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각 전선 지지구(제1 전선 지지구(8a), 제2 전선 지지구(8b), 제3 전선 지지구(8c) 등)가, 슬리브 장착 공구(1B)의 기부(2)에 부착되어 있다. 또, 제1 전선 지지구(8a)가, 제1 심선 지지구(26a)보다 제1 방향측에 배치되고, 제2 전선 지지구(8b)(및, 제3 전선 지지구(8c))가, 제2 심선 지지구(26b)보다 제2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전선 지지구(8a)는, 전선을 절단함으로써 제1 전선(W1)과 제2 전선(W2)이 형성될 때, 제1 전선(W1)의 단부를 지지한다(또한, 「단부를 지지하는」 것에는, 「단부의 위치를 규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전선 지지구(8b)는, 전선의 절단 후에, 제2 전선(W2)의 단부를 지지한다(또한, 「단부를 지지하는」 것에는, 「단부의 위치를 규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3 전선 지지구(8c)는, 기부(2)에 대해, 제2 전선 지지구(8b)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전선 지지구(8b)가 기부(2)의 상방에 위치할 때, 제3 전선 지지구(8c)가 기부(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제2 전선(W2)을 이동시킴으로써, 제2 전선(W2)의 단부의 위치를, 제2 전선 지지구(8b)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로부터, 제3 전선 지지구(8c)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로 변경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1 전선 지지구(8a)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전선(W1)의 단부와, 제3 전선 지지구(8c)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전선(W2)의 단부가, 적합하게 나누어진다(예를 들면, 상하로 나누어진다).
대체적으로, 혹은, 부가적으로, 제1 전선 지지구(8a) 및/또는 제2 전선 지지구(8b)는, 기부(2)의 길이 방향축 둘레로 회전 가능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전선 지지구(8a) 또는 제2 전선 지지구(8b)를 기부(2)의 길이 방향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전선 지지구(8a)에 의해 지지된 제1 전선(W1)의 단부와, 제2 전선 지지구(8b)에 의해 지지된 제2 전선(W2)의 단부를 나눌(예를 들면, 상하로 나눈다) 수 있다. 또한, 제1 전선 지지구(8a) 및/또는 제2 전선 지지구(8b)가, 기부(2)의 길이 방향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경우에는, 제3 전선 지지구(8c)는 생략되어도 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전선 지지구(8b)는, 전선(예를 들면, 제2 전선(W2))을 받아들이는 수용 공간(SP)을 구비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전선 지지구(8b)는, 틀부재(81b)와, 틀부재(81b)의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하는 개폐 부재(82b)를 구비한다. 그리고, 틀부재(81b)와 개폐 부재(82b)에 의해, 수용 공간(SP)이 규정되어 있다.
또,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전선 지지구(8c)는, 전선(예를 들면, 제2 전선(W2))을 받아들이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전선 지지구(8c)는, 틀부재(81c)와, 틀부재(81c)의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하는 개폐 부재(82c)를 구비한다. 그리고, 틀부재(81c)와 개폐 부재(82c)에 의해, 수용 공간이 규정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전선 지지구(8c)는, 제2 전선 지지구(8b)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3 전선 지지구(8c)는, 제1 전선 지지구(8a)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혹은, 제1 전선 지지구(8a) 및 제2 전선 지지구(8b)와는 독립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제1 전선 지지구(8a)의 구조는, 제2 전선 지지구(8b)의 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전선 지지구(8a)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선 지지구(8a)는, 틀부재(81a)와, 틀부재(81a)의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하는 개폐 부재(82a)를 구비한다.
(슬리브 커버 파지구(9))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장착 공구(1B)는, 슬리브 커버(SC)(도 13 등을 참조)를 파지하는 슬리브 커버 파지구(9)를 구비한다. 슬리브 커버 파지구(9)는, 제1 전선(W1) 또는 제2 전선(W2)을 따라 배치된 슬리브 커버(SC)를 파지한다. 슬리브 커버 파지구(9)는, 예를 들면, 제1 슬라이드봉(4), 제2 슬라이드봉(5), 제1 전선 파지구(7a), 제2 전선 파지구(7b)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다.
슬리브 장착 공구(1B)가 슬리브 커버 파지구(9)를 구비하는 경우, 제1 전선의 노출 심선(WC1) 및 제2 전선의 노출 심선(WC2)을 슬리브(SV)에 삽입할 때에, 슬리브 커버(SC)의 이동이 억제되어, 슬리브 커버(SC)가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 노출 심선(WC1) 및 노출 심선(WC2)이 삽입된 슬리브(SV)를 압축 공구에 의해 압축할 때에, 슬리브 커버(SC)의 이동이 억제되어, 슬리브 커버(SC)가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슬리브(SV)의 압축 후, 슬리브 커버(SC)는, 슬리브(SV)를 덮는 위치로 이동되고, 슬리브 커버(SC)에 의해, 슬리브(SV)와 노출 심선(WC1, WC2)의 사이의 접속부가 보호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커버 파지구(9)는, 제1 슬리브 커버(SC1)(도 13 등을 참조.)를 파지하는 제1 슬리브 커버 파지구(9a)와, 제2 슬리브 커버(SC2)(도 15 등을 참조.)를 파지하는 제2 슬리브 커버 파지구(9b)를 포함한다. 제1 슬리브 커버 파지구(9a)는, 예를 들면, 제1 슬라이드봉(4) 또는 제1 전선 파지구(7a)에 부착되고, 제2 슬리브 커버 파지구(9b)는, 예를 들면, 제2 슬라이드봉(5) 또는 제2 전선 파지구(7b)에 부착된다.
슬리브 커버 파지구(9)가, 제1 슬리브 커버 파지구(9a) 및 제2 슬리브 커버 파지구(9b)를 포함하는 경우, 슬리브 커버로서, 제1 슬리브 커버(SC1)와 제2 슬리브 커버(SC2)로 분할된 분할형의 슬리브 커버를 이용할 수 있다. 분할형의 슬리브 커버를 이용하는 경우, 각 슬리브 커버(제1 슬리브 커버(SC1), 제2 슬리브 커버(SC2))의 길이가 짧아진다. 따라서, 전선에 다소 만곡이 있는 경우여도, 슬리브 커버를 전선(제1 전선(W1) 또는 제2 전선(W2))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리브 커버(SC1)와 제2 슬리브 커버(SC2)가, 슬리브(SV)를 덮는 위치로 이동된 후, 제1 슬리브 커버(SC1)와 제2 슬리브 커버(SC2)는 서로 연결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슬리브 커버 파지구(9)의 구조의 일례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커버 파지구(9)는, 슬라이드봉(예를 들면, 제2 슬라이드봉(5)) 또는 전선 파지구(예를 들면, 제2 전선 파지구(7b))에 부착되는 부착부(93)와, 슬리브 커버(SC)를 지지하는 지지부(95)를 구비한다.
지지부(95)에는,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의 사이에서, 지지부(95)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슬리브 커버 파지구 조작부(952)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95)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지지부(95)는 슬리브 커버(SC)를 파지한다. 한편, 지지부(95)가 열림 상태에 있을 때, 지지부(95)에 슬리브 커버(SC)를 삽입하거나, 지지부(95)로부터 슬리브 커버(SC)를 떼어내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커버 파지구 조작부(952)는, 원격 조작 공구의 선단을 받아들임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가지는 아이 볼트(eye bolt) 또는 아이 너트(eye nut)이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커버(SC)를 지지하는 지지부(95)가, 제1 분할체(958a)와 제2 분할체(958b)를 구비한다. 그리고, 슬리브 커버 파지구 조작부(952)를 조작함으로써, 제1 분할체(958a)와 제2 분할체(958b)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분할체(958a)와 제2 분할체(958b)가, 제1 방향에 수직인 방향(제3 방향)을 따라 근접 가능하며 또한 이격 가능하다. 또한, 제1 분할체(958a)와 제2 분할체(958b)의 사이의 간격이 작아진 상태가, 슬리브 커버(SC)가 파지되는 닫힘 상태에 대응하고, 제1 분할체(958a)와 제2 분할체(958b)의 사이의 간격이 확대된 상태가, 슬리브 커버(SC)의 파지 상태가 해제되는 열림 상태에 대응한다.
도 7에 기재된 슬리브 커버 파지구(9)는, 도 2에 기재된 제2 슬리브 커버 파지구(9b)로서 채용 가능하다. 또, 도 7에 기재된 슬리브 커버 파지구(9)의 경상체는, 도 2에 기재된 제1 슬리브 커버 파지구(9a)로서 채용 가능하다.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B)는,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A)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더하여,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B)가, 적어도 1개의 전선 지지구(8)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전선(W1)의 단부와, 제2 전선(W2)의 단부를 나눌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선(W1)의 단부와 제2 전선(W2)의 단부의 사이의 의도하지 않는 접촉(단락)이 억제된다. 또,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공구(1B)가, 적어도 1개의 슬리브 커버 파지구(9)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슬리브 커버(SC)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슬리브(SV)에 노출 심선을 삽입하는 작업 중, 혹은, 슬리브(SV)를 압축하는 작업 중에, 슬리브 커버(SC)가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또한,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지지구(8) 및/또는 슬리브 커버 파지구(9)의 구성은,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채용되어도 된다.
(슬리브 장착 방법)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 내지 도 17의 각각은, 슬리브 장착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1 단계(ST101)에 있어서, 슬리브 장착 공구(1B)가, 전선(W)에 부착된다. 당해 부착은, 전선(W)에, 제1 전선 파지구(7a) 및 제2 전선 파지구(7b)를 부착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9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장착 공구(1B)는, 전선(W)의 피복층이 벗겨내어져 심선(WC)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노출부(A))에 대향하도록, 전선(W)에 부착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슬리브 장착 공구(1B)가 전선(W)에 부착된 후에, 전선(W)의 피복층이 벗겨내어져 노출부(A)가 형성되어도 된다.
제1 단계(ST101)에 있어서, 전선(W)은, 전선 지지구(8)(구체적으로는, 제1 전선 지지구(8a) 및 제2 전선 지지구(8b))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W)을 전선 지지구(8)에 의해 지지시키는 공정은, 예를 들면, 개폐 부재(82a, 82b)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켜, 전선(W)을 틀부재(81a, 81b) 내에 이동시키고, 그 후, 개폐 부재(82a, 82b)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전선(W)을 전선 지지구(8)에 의해 지지시키는 공정과, 전선(W)에, 제1 전선 파지구(7a) 및 제2 전선 파지구(7b)를 부착하는 공정은, 어느 쪽의 공정을 먼저 실행해도 된다.
제2 단계(ST102)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7a)와 제2 전선 파지구(7b)의 간격을 축소시킴으로써, 전선(W) 중 제1 전선 파지구(7a)와 제2 전선 파지구(7b)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휘게 한다(도 10을 참조). 제2 단계(ST102)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예를 들면,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를 조작하여, 제1 슬라이드봉(4)을 기부(2)측으로 끌어들이고, 슬라이드봉 조작부(6)(예를 들면,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를 조작하여, 제2 슬라이드봉(5)을 기부(2)측에 끌어들임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제1 슬라이드봉(4)의 끌어들임 공정과, 제2 슬라이드봉(5)의 끌어들임 공정은, 어느 쪽의 공정을 먼저 실행해도 된다. 대체적으로, 제1 슬라이드봉(4)의 끌어들임 공정과, 제2 슬라이드봉(5)의 끌어들임 공정을 교호로 반복해서 실행해도 된다.
제3 단계(ST103)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7a)와 제2 전선 파지구(7b)의 사이에 있어서, 전선(W)이 절단구에 의해 절단된다. 당해 절단에 의해, 전선(W)은, 제1 전선(W1)과 제2 전선(W2)으로 분리된다. 또한, 절단 위치는, 전선(W) 중심선(WC)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노출부(A))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절단에 의해, 제1 전선(W1)의 단부가 노출 심선(WC1)이 되고, 제2 전선(W2)의 단부가 노출 심선(WC2)이 된다. 또한, 전선의 절단 전에 전선의 피복층이 벗겨내어지는 대신에, 전선의 절단 후에, 제1 전선(W1)의 단부 및 제2 전선(W2)의 단부의 피복층이 벗겨내어지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단계(ST101) 전에 전선의 피복층을 벗겨낼 필요는 없다.
제3 단계(ST103)에 있어서 사용되는 절단구는, 예를 들면, 원격 조작 공구의 선단에 부착된 절단구이다. 도 11에는, 제3 단계(ST103)가 실행된 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단계(ST104)에 있어서, 제1 전선(W1)의 단부와, 제2 전선(W2)의 단부가 나누어진다(예를 들면, 상하로 나누어진다). 제4 단계(ST104)는, 예를 들면, 제2 전선(W2)의 단부를, 제2 전선 지지구(8b)로부터 제3 전선 지지구(8c)를 향해서 이동시켜, 제2 전선(W2)의 단부를 제3 전선 지지구(8c)에 의해 지지시킴으로써 실행된다. 대체적으로, 제4 단계(ST104)는, 제2 전선(W2)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 전선 지지구(8b)를, 기부(2)의 길이 방향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실행되어도 된다.
제4 단계(ST104)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제1 전선(W1)의 단부와 제2 전선(W2)의 단부의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기 위해, 제1 슬라이드봉(4) 및/또는 제2 슬라이드봉(5)이, 기부(2)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도 된다. 당해 이동은, 슬라이드봉 조작부(6)(구체적으로는,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 및/또는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제4 단계(ST104)의 실행 후에, 제1 전선(W1)의 단부 및 제2 전선(W2)의 단부 중 한쪽에 절연 캡(IC)(도 13을 참조)이 장착되어도 된다. 혹은, 제1 전선(W1)의 단부 및 제2 전선(W2)의 단부의 양쪽 모두에 절연 캡이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1 단계(ST101) 내지 제4 단계(ST104)의 실행 중, 슬리브 지지구(21) 및 심선 지지구(26)는 열림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제1 단계(ST101) 내지 제4 단계(ST104)의 실행 중, 슬리브 커버 파지구(9)는 열림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단계(ST105)에 있어서, 제1 슬리브 커버(SC1)의 내부를 제1 전선(W1)이 통과하도록 제1 슬리브 커버(SC1)가 밀어넣어지고, 그 후, 제1 슬리브 커버(SC1)가 제1 슬리브 커버 파지구(9a)에 의해 파지된다. 제5 단계(ST105)는, 예를 들면, 절연성 펜치 등의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또한, 제1 전선(W1)의 단부에 절연 캡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5 단계(ST105)의 실행 전에, 제1 전선(W1)의 단부로부터 절연 캡이 떼어내진다. 또,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단계(ST105)의 실행 전에, 제1 슬라이드봉(4)이 기부(2)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도 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6 단계(ST106)에 있어서, 슬리브(SV)가, 슬리브 지지구(21)에 의해 지지된다. 제6 단계(ST106)에 있어서, 우선, 절연 펜치 등의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슬리브(SV)가 슬리브 지지구(21) 상에 재치된다. 그 후,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슬리브 지지구 조작부(212)가 조작되어, 슬리브 지지구(21)의 상태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된다. 그 결과, 슬리브(SV)는 슬리브 지지구(21)에 의해 위치 결정 지지된다. 또한, 슬리브 지지구(21)가, 제1 슬리브 지지구(21a) 및 제2 슬리브 지지구(21b)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슬리브(SV)는, 제1 슬리브 지지구(21a) 및 제2 슬리브 지지구(21b)에 의해 위치 결정 지지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7 단계(ST107)에 있어서, 제1 전선(W1)의 노출 심선(WC1)이 제1 심선 지지구(26a)에 의해 지지된다. 제7 단계(ST107)에 있어서, 우선,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노출 심선(WC1)이 제1 심선 지지구(26a) 내에 이동된다. 그 후,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제1 심선 지지구 조작부(262a)가 조작되어, 제1 심선 지지구(26a)의 상태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된다. 그 결과, 노출 심선(WC1)이, 제1 심선 지지구(26a)에 의해 구속된다. 당해 구속에 의해, 슬리브(SV)와 노출 심선(WC1)의 사이의 심잡기가 행해짐과 함께, 제1 전선(W1)의 구부러지는 성질이 교정된다. 그 결과, 후속의 공정(노출 심선(WC1)을 슬리브(SV)에 삽입하는 공정)이 원활하게 실행된다.
제7 단계(ST107)는, 제6 단계(ST106) 전에 실행되어도 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8 단계(ST108)에 있어서, 제1 전선(W1)의 노출 심선(WC1)이, 슬리브(SV) 내에 삽입된다. 제8 단계(ST108)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예를 들면,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를 조작하여, 제1 슬라이드봉(4)을 기부(2)측에 끌어들임으로써 실행된다. 제8 단계(ST108)의 실행에 의해, 제1 전선(W1) 및 제2 전선(W2)의 하방으로의 휨이 감소한다. 또, 제8 단계(ST108)의 실행에 의해, 제1 슬리브 커버(SC1)가, 제1 심선 지지구(26a)에 접근한다.
제1 슬리브 커버 파지구(9a)에 의해 파지된 제1 슬리브 커버(SC1)는, 제1 전선(W1)를 직선 형상으로 유지하는 구속구로서도 기능한다. 따라서, 슬리브 장착 공구(1B)가 제1 슬리브 커버 파지구(9a)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노출 심선(WC1)을 슬리브(SV) 내에 삽입하는 공정이 보다 한층 원활하게 행해진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9 단계(ST109)에 있어서, 슬라이드봉 조작부(6)(예를 들면,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가 조작되어, 제2 슬라이드봉(5)이 기부(2)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9 단계(ST109)의 실행에 의해, 제2 전선(W2)의 노출 심선(WC2)이, 슬리브(SV)의 제2 방향측으로 퇴피한다. 또한, 제9 단계(ST109)의 실행에 의해, 제1 전선(W1) 및 제2 전선(W2)의 하방으로의 휨은 증가한다.
또한, 제2 전선(W2)의 단부에 절연 캡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9 단계(ST109)의 실행 전에, 제2 전선(W2)의 단부로부터 절연 캡이 떼어내진다.
제10 단계(ST110)에 있어서, 제2 슬리브 커버(SC2)의 내부를 제2 전선(W2)이 통과하도록 제2 슬리브 커버(SC2)가 밀어넣어지고, 그 후, 제2 슬리브 커버(SC2)가 제2 슬리브 커버 파지구(9b)에 의해 파지된다. 제10 단계(ST110)는, 예를 들면, 절연성 펜치 등의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또한, 제10 단계(ST110)는, 제2 전선(W2)의 단부를, 제2 슬라이드봉(5)의 상방에 이동시키고 나서 실행된다. 제2 전선(W2)의 단부의 이동은, 예를 들면, 제2 전선(W2)의 단부를 제3 전선 지지구(8c) 내로부터 제2 전선 지지구(8b) 내로 옮겨 놓는 것을 포함한다.
제11 단계(ST111)에 있어서, 제2 전선(W2)의 노출 심선(WC2)이 제2 심선 지지구(26b)에 의해 지지된다. 제11 단계(ST111)에 있어서, 우선,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노출 심선(WC2)이 제2 심선 지지구(26b) 내에 이동된다. 그 후,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제2 심선 지지구 조작부(262b)가 조작되어, 제2 심선 지지구(26b)의 상태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된다. 그 결과, 노출 심선(WC2)이, 제2 심선 지지구(26b)에 의해 구속된다. 당해 구속에 의해, 슬리브(SV)와 노출 심선(WC2)의 사이의 심잡기가 행해짐과 함께, 제2 전선(W2)의 구부러지는 성질이 교정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2 단계(ST112)에 있어서, 제2 전선(W2)의 노출 심선(WC2)이, 슬리브(SV) 내에 삽입된다. 제12 단계(ST112)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예를 들면,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를 조작하여, 제2 슬라이드봉(5)을 기부(2)측에 끌어들임으로써 실행된다. 제12 단계(ST112)의 실행에 의해, 제1 전선(W1) 및 제2 전선(W2)의 하방으로의 휨이 감소한다. 또, 제12 단계(ST112)의 실행에 의해, 제2 슬리브 커버(SC2)가, 제2 심선 지지구(26b)에 접근한다.
제2 슬리브 커버 파지구(9b)에 의해 파지된 제2 슬리브 커버(SC2)는, 제2 전선(W2)을 직선 형상으로 유지하는 구속구로서도 기능한다. 따라서, 슬리브 장착 공구(1B)가 제2 슬리브 커버 파지구(9b)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노출 심선(WC2)을 슬리브(SV) 내에 삽입하는 공정이 보다 한층 원활하게 행해진다.
제12 단계(ST112)의 실행 후에, 슬리브 지지구(21a, 21b)에 의한 슬리브(SV)에 대한 구속, 심선 지지구(26a, 26b)에 의한 노출 심선에 대한 구속, 및, 슬리브 커버 파지구(9a, 9b)에 의한 슬리브 커버에 대한 구속이 해제 또는 저감되어도 된다. 이들 구속의 해제 또는 저감은, 슬리브 지지구 조작부(212), 심선 지지구 조작부(262), 및, 슬리브 커버 파지구 조작부(952)를 원격 조작 공구에 의해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이들 구속이 해제 또는 저감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드봉(4) 및/또는 제2 슬라이드봉(5)을 기부(2)측에 끌어들이면, 노출 심선(WC1) 및 노출 심선(WC2)이, 슬리브(SV)의 보다 깊은 위치까지 삽입된다. 그리고, 슬리브 압축 장치를 이용하여 슬리브(SV)를 압축함으로써, 분리한 제1 전선(W1)과 제2 전선(W2)을 접속할 수 있다.
제13 단계(ST113)에 있어서, 슬리브 장착 공구(1B)가, 제1 전선(W1) 및 제2 전선(W2)으로부터 떼어내진다.
제14 단계(ST114)에 있어서, 제1 슬리브 커버(SC1) 및 제2 슬리브 커버(SC2)가 슬리브(SV)를 덮는 위치로 이동되어, 제1 슬리브 커버(SC1)와 제2 슬리브 커버(SC2)가 연결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 형태는 적당히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구성 요소를, 다른 실시 형태에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 요소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 또는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가, 제1 슬라이드봉(4)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6a)와, 제2 슬라이드봉(5)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6b)를 포함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되었다. 대체적으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슬라이드봉 조작부(6c)가, 제1 슬라이드봉(4) 및 제2 슬라이드봉(5)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해도 된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c)는, 제1 슬라이드봉(4)을 구동하는 제1 하중 전달 기구(61), 또는, 제2 슬라이드봉(5)을 구동하는 제2 하중 전달 기구(62)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c)는, 조작부측 걸어맞춤부(63)를 구비하고, 제1 하중 전달 기구(61)는, 조작부측 걸어맞춤부(63)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1 걸어맞춤부(61a)를 구비하고, 제2 하중 전달 기구(62)는, 조작부측 걸어맞춤부(63)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부(62a)를 구비한다. 그리고, 조작부측 걸어맞춤부(63)가, 제1 걸어맞춤부(61a) 또는 제2 걸어맞춤부(62a)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춰진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봉 조작부(6c)에 작용하는 조작력을, 제1 걸어맞춤부(61a) 또는 제2 걸어맞춤부(62a)를 개재하여, 제1 슬라이드봉(4) 또는 제2 슬라이드봉(5)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c)는, 기부(2)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봉 조작부(6c)와 기부(2)의 사이에는, 탄성 가압 부재(64)가 개재되어 있으며, 당해 탄성 가압 부재(64)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c)를, 제1 걸어맞춤부(61a) 또는 제2 걸어맞춤부(62a)로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또,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부측 걸어맞춤부(63)에, 제1 걸어맞춤부(61a)(또는 제2 걸어맞춤부(62a))에 흡착되는 자석(65)이 배치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혹은, 부가적으로, 제1 걸어맞춤부(61a), 및, 제2 걸어맞춤부(62a)의 각각에, 조작부측 걸어맞춤부(63)를 흡착하는 자석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하중 전달 기구(61)는, 제1 걸어맞춤부(61a)와 함께 회동하는 제1 베벨 기어(61b)와, 제1 슬라이드봉(4)에 나사식 결합하는 제1 나사봉(61c)과 함께 회동하는 제2 베벨 기어(61e)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봉 조작부(6c)가 제1축(AT1) 둘레를 회전하도록 조작되면, 조작부측 걸어맞춤부(63)에 걸어맞춰진 제1 걸어맞춤부(61a)가 제1 베벨 기어(61b)와 함께 제1축(AT1) 둘레를 회전한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베벨 기어(61b)와 제2 베벨 기어(61e)가 서로 맞물려 있다. 따라서, 제1 베벨 기어(61b)가 제1축(AT1) 둘레를 회전하면, 제1 베벨 기어(61b)에 서로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61e)가, 제1 나사봉(61c)과 함께, 제1축(AT1)에 수직인 제2축(AT2) 둘레를 회전한다. 제1 나사봉(61c)의 나사부(61d)는, 제1 슬라이드봉(4)과 나사식 결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나사봉(61c)이 제2축(AT2) 둘레를 회전하면, 제1 슬라이드봉(4)이, 제2축(AT2)을 따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하중 전달 기구(62)는, 제2 걸어맞춤부(62a)와 함께 회동하는 제3 베벨 기어(62b)와, 제2 슬라이드봉(5)에 나사식 결합하는 제2 나사봉(62c)과 함께 회동하는 제4 베벨 기어(62e)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봉 조작부(6c)가 제3축(AT3) 둘레를 회전하도록 조작되면, 조작부측 걸어맞춤부(63)에 걸어맞춰진 제2 걸어맞춤부(62a)가 제3 베벨 기어(62b)와 함께 제3축(AT3) 둘레를 회전한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베벨 기어(62b)와 제4 베벨 기어(62e)가 서로 맞물려 있다. 따라서, 제3 베벨 기어(62b)가 제3축(AT3) 둘레를 회전하면, 제3 베벨 기어(62b)에 서로 맞물리는 제4 베벨 기어(62e)가, 제2 나사봉(62c)과 함께, 제3축(AT3)에 수직인 제4축(AT4) 둘레를 회전한다. 제2 나사봉(62c)의 나사부(62d)는, 제2 슬라이드봉(5)과 나사식 결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나사봉(62c)이 제4축(AT4) 둘레를 회전하면, 제2 슬라이드봉(5)이, 제4축(AT4)을 따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한, 제4축(AT4)과 제2축(AT2)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축이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슬라이드봉 조작부(6c)의 조작부측 걸어맞춤부(63)의 걸어맞춤 대상을, 제1 걸어맞춤부(61a)에서 제2 걸어맞춤부(62a)로 전환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우선,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봉 조작부(6c)를, 탄성 가압 부재(64)에 의한 탄성 가압력 및/또는 자석(65)에 의한 흡착력에 저항하여, 제1 걸어맞춤부(61a)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봉 조작부(6c)를, 제1 걸어맞춤부(61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제2 걸어맞춤부(62a)에 대향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기부(2)에는, 슬라이드봉 조작부(6c)의 당해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긴 구멍 등의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슬라이드봉 조작부(6c)는, 탄성 가압 부재(64)에 의한 탄성 가압력 및/또는 자석(65)에 의한 흡착력에 의해, 제2 걸어맞춤부(62a)에 걸어맞춰진다.
슬라이드봉 조작부(6c)의 조작부측 걸어맞춤부(63)의 걸어맞춤 대상을, 제2 걸어맞춤부(62a)에서 제1 걸어맞춤부(61a)로 전환하는 동작은, 슬라이드봉 조작부(6c)의 조작부측 걸어맞춤부(63)의 걸어맞춤 대상을, 제1 걸어맞춤부(61a)에서 제2 걸어맞춤부(62a)로 전환하는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는, 슬리브 지지구(21) 및 심선 지지구(26) 중 적어도 한쪽을 기부(2)의 봉형상부(20)에 부착하는 부착부(23)의 변형예가 나타나 있다. 도 19에 기재된 예에서는, 부착부(23)가, 기부(2)의 봉형상부(20)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도 19에 기재된 예에서는, 부착부(23)는, 슬리브 지지구(21) 및 심선 지지구(26) 중 적어도 한쪽이 부착된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와,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그립 부재(23b)를 구비한다. 그립 부재(23b)가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에 대해 그립 위치에 있을 때, 그립 부재(23b) 및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에 의해 부착부(23)는, 봉형상부(20)에 고정된다. 한편, 그립 부재(23b)가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에 대해 그립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부착부(23)를, 봉형상부(20)로부터 떼어내는 것(혹은, 부착부(23)를, 봉형상부(20)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에 기재된 예에서는, 그립 부재(23b)는,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립 부재(23b)는,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에 대해 제1 요동축(AS1) 둘레를 자유롭게 요동한다.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 및 그립 부재(23b) 각각은, 봉형상부(20)의 외면 형상에 상보적인 내면(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호형상의 면)을 가진다.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의 내면에는, 봉형상부(20)에 대한 미끄러짐을 억제하기 위한 탄성체(24a)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그립 부재(23b)의 내면에는, 봉형상부(20)에 대한 미끄러짐을 억제하기 위한 탄성체(24b)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9에 기재된 예에서는, 그립 부재(23b)에, 그립 부재(23b)를 그립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자석(235)이 배치되어 있다. 자석(235)은,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에 의해 흡착되어, 그립 부재(23b)를 그립 위치에 유지한다. 대체적으로, 혹은, 부가적으로,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에, 그립 부재(23b)를 그립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자석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9에 기재된 예에서는, 부착부(23)는, 그립 부재(23b)가, 그립 위치로부터 그립 개방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로크 부재(25)를 구비한다. 로크 부재(25)는, 예를 들면,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19에 기재된 예에서는, 로크 부재(25)는,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에 대해 제2 요동축(AS2) 둘레를 자유롭게 요동한다.
부착부(23)를 봉형상부(20)에 부착할 때에는, 우선,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를, 봉형상부(20)의 주위에 배치한다. 다음에, 그립 부재(23b)를, 그립 개방 위치로부터 그립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부착부(23)가 봉형상부(20)에 부착된다. 계속해서, 로크 부재(25)를, 로크 개방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그립 부재(23b)가 그립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도록 로크된다.
부착부(23)를 봉형상부(20)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부착부(23)를 봉형상부(20)에 부착하는 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실행하면 된다.
도 19에 기재된 예에서는, 부착부(23)가, 부착부 베이스 부재(23a)와 그립 부재(23b)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부착부(23)를, 간단한 조작으로, 기부(2)의 봉형상부(20)에 부착할 수 있고, 또, 부착부(23)를, 간단한 조작으로, 기부(2)의 봉형상부(2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부착부(23)를, 간단한 조작으로, 봉형상부(20)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은, 부착부(23)를, 간단한 조작으로, 봉형상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사용하는 슬리브(SV)의 길이 등에 따라, 봉형상부(20)에 대한 부착부(23)의 부착 위치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20에는, 슬리브 지지구(21) 및 심선 지지구(26) 중 적어도 한쪽을 개폐하는 개폐 조작 기구(M)의 변형예가 나타나 있다. 도 4 혹은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지지구(21) 혹은 심선 지지구(26)의 개폐가, 아이 볼트, 아이 너트 등의 조작부(212;262)를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졌다. 이에 반해, 도 20에 기재된 예에서는, 슬리브 지지구(21) 혹은 심선 지지구(26)의 개폐가, 요동식의 조작 레버(212a;262a)에 의해 행해진다. 조작 레버(212a;262a)는, 예를 들면, 토글 레버이다.
도 20을 참조하여, 요동식의 조작 레버(212a;262a)에 의해, 슬리브 지지구(21) 혹은 심선 지지구(26)의 개폐가 행해지는 메커니즘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레버(212a;262a)가 제1 위치(예를 들면, 상측 위치)에 있을 때, 지지구(21;26)는 개방 상태에 있다. 도 20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지구(21;26)의 개방 상태는, 제1 분할체(218a;268a)와 제2 분할체(218b;268b)가 이격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20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레버(212a;262a)가 제2 위치(예를 들면, 하측 위치)에 있을 때, 지지구(21;26)는 폐쇄 상태에 있다. 도 20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지구(21;26)의 폐쇄 상태는, 제1 분할체(218a;268a)와 제2 분할체(218b;268b)가 근접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20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레버(212a;262a)가 제1 위치(상측 위치)로부터 제2 위치(하측 위치)로 이동하면, 제1 압압체((押壓體))(27a)가, 제1 분할체(218a;268a)를, 제2 분할체로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제2 압압체(27b)가, 제2 분할체(218b;268b)를, 제1 분할체로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한다. 이렇게 하여, 지지구(21;26)가 폐쇄 상태가 된다.
도 2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분할체(218a;268a)와 제2 분할체(218b;268b)의 사이에 탄성 가압 부재(28)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가압 부재(28)는, 제1 분할체(218a;268a) 및 제2 분할체(218b;268b)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제1 분할체(218a;268a) 및 제2 분할체(218b;268b)를 탄성 가압한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212a;262a)가 제2 위치(하측 위치)로부터 제1 위치(상측 위치)로 이동하면, 탄성 가압 부재(28)가, 제1 분할체(218a;268a)를, 제2 분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탄성 가압 부재(28)가, 제2 분할체(218b;268b)를, 제1 분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압한다. 이렇게 하여, 지지구(21;26)가 개방 상태가 된다.
도 2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압압체(27a)가 고정된 제1 샤프트(29a)가, 조작 레버(212a;262a)에 부착된 제1 핀(29c)에 피봇식 장착되어 있다. 또, 제2 압압체(27b)가 제1 샤프트(29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하며, 또한, 제2 압압체(27b)가, 연결 부재(CN)를 개재하여, 조작 레버(212a;262a)에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부재(CN)는, 제2 핀(29d)을 개재하여, 제2 압압체(27b)에 피봇식 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제3 핀(29e)을 개재하여, 조작 레버(212a;262a)에 피봇식 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20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조작 레버(212a;262a)가 제1 위치(상측 위치)로부터 제2 위치(하측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조작 레버(212a;262a)가 제3 핀(29e)의 둘레를 회동하면, 제1 핀(29c)이, 제3 핀(29e)의 둘레를 회동한다. 그 결과, 제1 핀(29c)에 접속된 제1 샤프트(29a) 및 제1 압압체(27a)가 제2 압압체(27b)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지지구(21;26)가 폐쇄 상태가 된다.
도 20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지구(21;26)에, 위치 결정 스토퍼(보다 구체적으로는, 센터링 핀(CP))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구(21;26)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지지구(21;26)는, 위치 결정 스토퍼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도 20에 기재된 예에서는, 위치 결정 스토퍼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는, 봉형상부(20)의 중심축의 바로 윗쪽 위치에 대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분할체(218a;268a)는, 위치 결정 스토퍼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EN1)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제1 분할체(218a;268a)는, 위치 결정 스토퍼를 넘어 제2 분할체 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또, 제2 분할체(218b;268b)는, 위치 결정 스토퍼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EN2)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제2 분할체(218b;268b)는, 위치 결정 스토퍼를 넘어 제1 분할체 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렇게 하여, 제1 분할체(218a;268a) 및 제2 분할체(218b;268b)는, 위치 결정 스토퍼가 배치된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개폐 조작 기구(M)에는, 주식회사 미스미 사제의 토글 클램프(제품번호: MC02-S2)가 이용되어도 된다.
도 20에 기재된 예에서는, 요동식의 조작 레버(212a;262a)에 의해, 지지구(21;26)가 개폐된다. 따라서,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지지구(21;26)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을 이용하면,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전체의 느슨함을 억제하면서, 간단한 조작으로, 제1 전선의 노출 심선 및 제2 전선의 노출 심선에 슬리브(SV)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 장착 공구의 제조업자, 슬리브 장착 작업을 실시하는 업자에게 있어서 유용하다.
1, 1A, 1B: 슬리브 장착 공구 2: 기부
4: 제1 슬라이드봉 5: 제2 슬라이드봉
6: 슬라이드봉 조작부 6a: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
6b: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 6c: 슬라이드봉 조작부
7: 전선 파지구 7a: 제1 전선 파지구
7b: 제2 전선 파지구 8: 전선 지지구
8a: 제1 전선 지지구 8b: 제2 전선 지지구
8c: 제3 전선 지지구 9: 슬리브 커버 파지구
9a: 제1 슬리브 커버 파지구 9b: 제2 슬리브 커버 파지구
20: 봉형상부 20a: 제1 방향측 단부
20b: 제2 방향측 단부 21: 슬리브 지지구
21a: 제1 슬리브 지지구 21b: 제2 슬리브 지지구
23: 부착부 23a: 부착부 베이스 부재
23b: 그립 부재 24a: 탄성체
24b: 탄성체 25: 로크 부재
26: 심선 지지구 26a: 제1 심선 지지구
26b: 제2 심선 지지구 27a: 제1 압압체
28a: 제2 압압체 28: 탄성 가압 부재
29a: 제1 샤프트 29c: 제1 핀
29d: 제2 핀 29e: 제3 핀
61: 제1 하중 전달 기구 61a: 제1 걸어맞춤부
61b: 제1 베벨 기어 61c: 제1 나사봉
61d: 나사부 61e: 제2 베벨 기어
62: 제2 하중 전달 기구 62a: 제2 걸어맞춤부
62b: 제3 베벨 기어 62c: 제2 나사봉
62d: 나사부 62e: 제4 베벨 기어
63: 조작부측 걸어맞춤부 64: 탄성 가압 부재
65: 자석 71: 제1 파지편
72: 제2 파지편 74: 제1 접속부
76: 제2 접속부 81a, 81b, 81c: 틀부재
82a, 82b, 82c: 개폐 부재 93: 부착부
95: 지지부 210: 지지부
212: 슬리브 지지구 조작부 212a: 조작 레버
214: 제1 부분 214a: 단면 지지면
214b: 외주면 지지면 215: 슬리브 수용부
216: 제2 부분 216a: 테이퍼면
217: 심선 안내로 218a: 제1 분할체
218b: 제2 분할체 219: 가이드 부재
219c: 가이드 표면 231: 관통 구멍
235: 자석 260: 지지부
262: 심선 지지구 조작부 262a: 제1 심선 지지구 조작부
262b: 제2 심선 지지구 조작부 262a: 조작 레버
267: 심선 수용부 268a: 제1 분할체
268b: 제2 분할체 269: 가이드 부재
269c: 가이드 표면 952: 슬리브 커버 파지구 조작부
958a: 제1 분할체 958b: 제2 분할체
A: 노출부 AS1: 제1 요동축
AS2: 제2 요동축 AT1: 제1축
AT2: 제2축 AT3: 제3축
AT4: 제4축 AX1: 회전축
CN: 연결 부재 CP: 센터링 핀
EN1: 걸어맞춤부 EN2: 걸어맞춤부
M: 개폐 조작 기구 G: 극간
IC: 절연 캡 SC: 슬리브 커버
SC1: 제1 슬리브 커버 SC2: 제2 슬리브 커버
SP: 수용 공간 SV: 슬리브
W: 전선 W1: 제1 전선
W2: 제2 전선 WC: 심선
WC1: 노출 심선 WC2: 노출 심선

Claims (10)

  1. 슬리브 지지구를 구비한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의 한쪽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1 슬라이드봉과,
    상기 기부의 다른쪽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2 슬라이드봉과,
    슬라이드봉 조작부
    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봉 조작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의 슬라이드 이동과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의 슬라이드 이동을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한,
    슬리브 장착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전선의 노출 심선을 지지하는 심선 지지구를 구비하는,
    슬리브 장착 공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심선 지지구는,
    제1 전선의 노출 심선을 지지하는 제1 심선 지지구와,
    제2 전선의 노출 심선을 지지하는 제2 심선 지지구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지지구는, 상기 제1 심선 지지구와 상기 제2 심선 지지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슬리브 장착 공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제1 전선 파지구가 접속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제1 전선 파지구를 부착 가능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제2 전선 파지구가 접속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제2 전선 파지구를 부착 가능한,
    슬리브 장착 공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봉 조작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드봉 조작부와,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2 슬라이드봉 조작부
    를 포함하거나, 혹은,
    상기 슬라이드봉 조작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을 구동하는 제1 하중 전달 기구,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을 구동하는 제2 하중 전달 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슬리브 장착 공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 커버를 파지하는 슬리브 커버 파지구를 더 구비하는,
    슬리브 장착 공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가, 대략 중앙 부분에서 분할, 혹은, 접어 구부림 가능한,
    슬리브 장착 공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지지구는, 상기 기부의 봉형상부에 착탈 가능한 부착부를 구비하는,
    슬리브 장착 공구.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지지구를 개폐하는 요동식의 조작 레버를 더 구비하는,
    슬리브 장착 공구.
  10. 슬리브 장착 공구를 이용한 슬리브 장착 방법으로서,
    상기 슬리브 장착 공구는,
    슬리브 지지구를 구비한 기부와,
    상기 기부의 한쪽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1 슬라이드봉과,
    상기 기부의 다른쪽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2 슬라이드봉과,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접속된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접속된 제2 전선 파지구
    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 장착 방법은,
    상기 슬리브 지지구에 의해 슬리브를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이 상기 기부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을 상기 기부측으로 끌어들여,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에 의해 파지된 제1 전선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전선의 노출 심선을 상기 슬리브의 제1 단부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이 상기 기부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을 상기 기부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전선 파지구에 의해 파지된 제2 전선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1 슬라이드봉이 상기 기부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슬라이드봉을 상기 기부측으로 끌어들여, 상기 제2 전선 파지구에 의해 파지된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제2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전선의 노출 심선을 상기 슬리브의 제2 단부에 삽입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슬리브 장착 방법.
KR1020207027323A 2018-03-28 2019-03-27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 KR102425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1327A JP7076095B2 (ja) 2018-03-28 2018-03-28 スリーブ装着工具、および、スリーブ装着方法
JPJP-P-2018-061327 2018-03-28
PCT/JP2019/013076 WO2019189294A1 (ja) 2018-03-28 2019-03-27 スリーブ装着工具、および、スリーブ装着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815A true KR20200123815A (ko) 2020-10-30
KR102425231B1 KR102425231B1 (ko) 2022-07-27

Family

ID=6806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323A KR102425231B1 (ko) 2018-03-28 2019-03-27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76095B2 (ko)
KR (1) KR102425231B1 (ko)
CN (1) CN111886764B (ko)
WO (1) WO2019189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926A (ko) * 2020-11-11 2023-07-11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활선 분배 공구용의 전선 홀딩구 및 활선 분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627Y1 (ko) * 2001-10-10 2002-03-18 주식회사 전오전기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20030038968A (ko) * 2001-11-09 2003-05-17 문인석 단자의 연속성형 장치
KR200342004Y1 (ko) * 2003-11-11 2004-02-14 이정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JP2010051081A (ja) 2008-08-20 2010-03-04 Nagaki Seiki Co Ltd 架線工事用補助具及び架線工事方法
JP2015070651A (ja)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関電工 電線切り分け工事用柱間引留工具及びその着脱方法
KR20200025305A (ko) * 2018-08-30 2020-03-10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1312A (ja) * 1985-07-29 1987-02-10 関西電力株式会社 作業停電範囲縮小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H04207A (ja) * 1990-04-13 1992-01-06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ケーブル張線装置
JP5268537B2 (ja) * 2008-10-02 2013-08-21 中国電力株式会社 活線切分工具
JP5523925B2 (ja) * 2010-05-10 2014-06-18 株式会社永木精機 配線作業用のホット支持具
CN102623868A (zh) * 2012-04-28 2012-08-01 四川电力送变电建设公司 导地线液压连接操作平台
JP6231312B2 (ja) 2013-07-10 2017-11-15 株式会社平和 遊技機
CN106384975B (zh) * 2016-10-31 2018-07-0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长清区供电公司 一种电缆快速对接辅助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627Y1 (ko) * 2001-10-10 2002-03-18 주식회사 전오전기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20030038968A (ko) * 2001-11-09 2003-05-17 문인석 단자의 연속성형 장치
KR200342004Y1 (ko) * 2003-11-11 2004-02-14 이정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JP2010051081A (ja) 2008-08-20 2010-03-04 Nagaki Seiki Co Ltd 架線工事用補助具及び架線工事方法
JP2015070651A (ja)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関電工 電線切り分け工事用柱間引留工具及びその着脱方法
KR20200025305A (ko) * 2018-08-30 2020-03-10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86764B (zh) 2022-07-26
KR102425231B1 (ko) 2022-07-27
JP7076095B2 (ja) 2022-05-27
CN111886764A (zh) 2020-11-03
WO2019189294A1 (ja) 2019-10-03
JP2019176595A (ja)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0800B2 (ja) 掴線器
KR20200123815A (ko)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
JP2010051081A (ja) 架線工事用補助具及び架線工事方法
JP2019071789A (ja) 活線振り分け工具用の張線器
JP2014079106A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
CN110832721B (zh) 电线操作工具、电线操作工具用的零件、电线切割方法、及电线连接方法
CN113228437B (zh) 线材操作工具、线材操作工具用的零件、线材切割方法以及线材连接方法
TWI711238B (zh) 套筒裝設工具及套筒裝設方法
JP5897684B1 (ja) 間接活線用直線スリーブ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JP2017221022A (ja) 引留クランプのジャンパー線接続部の切断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送電線張替え又は撤去工法
JP2014176112A (ja) 絶縁カバー架線取付用装置
JP5436649B1 (ja) 共用操作棒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JP2014003867A (ja) 電線防護管取付け用器具
KR20220037132A (ko) 스마트 스틱용 클램프 헤드 및 클램프 헤드가 장착된 스마트 스틱
CN220553766U (zh) 带电导线分配工具用的电线保持件
JP2001352626A (ja) 電線把持具
TWI823139B (zh) 把持工具及把持工具的使用方法
TWI832224B (zh) 緊線器、線材切割工具、及緊線器的使用方法
JP6320825B2 (ja) 高圧引下線接続用コネクタ把持具
JP5235152B2 (ja) 架線拡幅工具および架線拡幅保持方法
JP2011142781A (ja) 把持工具及び間接活線工具
KR20220033765A (ko) 스리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2019057418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製造支援装置及び製造装置
JP2015033305A (ja) 架線保持用先端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