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080A - 바이스 플라이어 - Google Patents

바이스 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080A
KR20110012080A KR1020090069630A KR20090069630A KR20110012080A KR 20110012080 A KR20110012080 A KR 20110012080A KR 1020090069630 A KR1020090069630 A KR 1020090069630A KR 20090069630 A KR20090069630 A KR 20090069630A KR 20110012080 A KR20110012080 A KR 20110012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oove
twelfth
jaw
eleven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영
Original Assignee
유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영 filed Critical 유재영
Priority to KR102009006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2080A/ko
Publication of KR2011001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2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2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 B25B7/123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with self-locking toggle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잡을 수 있는 대상물의 크기 범위를 더욱 확장시키는 바이스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 조오, 상기 몸체에 제1 부재로 장착되어 상기 고정 조오에 마주하여 선회하는 가동 조오, 상기 가동 조오에 제2 부재로 장착되어 상기 몸체에 마주하여 상기 몸체와 록킹/언록킹 되는 누름 레버, 일단이 상기 누름 레버에 제3 부재로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몸체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 조오와 상기 가동 조오의 개방 범위를 설정하는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 제1 단이 상기 가동 조오의 제1 선단에 결합되어 대상물을 감고 상기 고정 조오의 제2 선단을 경유하여 제2 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을 잡아서 홀딩/릴리싱(holding/releasing)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2 단과 상기 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069630
바이스, 플라이어, 그립

Description

바이스 플라이어 {VISE PLIERS}
본 발명은 바이스 플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의 형상 및 크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바이스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스 플라이어(vise pliers)는 바이스 그립(vise grip), 바이스 그립 플라이어 라고도 하며, 바이스처럼 대상물을 잡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플라이어이다.
바이스 플라이어는 작은 물체를 가공하거나 대상물을 용접하거나 연결할 때, 대상물을 잡아서 고정시킬 목적으로, 즉 (clamp) 용도로 사용된다.
바이스 플라이어는 몸체에 구비된 조절나사를 조작함으로써 누름 레버의 개방 정도를 한정하고, 이로 인하여 몸체와 누름 레버 각각에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는 고정 조오(jaw)와 가동 조오의 개구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바이스 플라이어는 고정 조오와 가동 조오의 개방 정도에 따라 고정시킬 수 있는 대상물의 크기 범위를 확대하지만, 그 사용 범위가 고정 조오와 가동 조오의 개방 정도로 한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잡을 수 있는 대상물의 크기 범위를 더욱 확장시키는 바이스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잡을 수 있는 대상물의 형상들 및 위치들을 더욱 다양하게 하는 바이스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 조오, 상기 몸체에 제1 부재로 장착되어 상기 고정 조오에 마주하여 선회하는 가동 조오, 상기 가동 조오에 제2 부재로 장착되어 상기 몸체에 마주하여 상기 몸체와 록킹/언록킹 되는 누름 레버, 일단이 상기 누름 레버에 제3 부재로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몸체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 조오와 상기 가동 조오의 개방 범위를 설정하는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 제1 단이 상기 가동 조오의 제1 선단에 결합되어 대상물을 감고 상기 고정 조오의 제2 선단을 경유하여 제2 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을 잡아서 홀딩/릴리싱(holding/releasing)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2 단과 상기 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는, 일단이 상기 누름 레버에 제3 부재로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몸체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 조오와 상기 가동 조오의 개방 범위를 설정하는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 상기 누름 레버에 제4 부재로 장착되어, 상기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의 록킹을 해제하는 릴리스 레버,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의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조오 개방 범위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의 일단을 수용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조오 개방 조절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서 상기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상기 나사부 및 상기 수납부는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는, 상기 수납부에 내장되어 직선 왕복 작동되도록 적어도 일측에 평면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부의 내면에 대응하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수나사 부재, 및 상기 수나사 부재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수납부의 측방에 형성되는 관통구 밖으로 돌출되어 회전 조작되는 암나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조오는,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외표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동 조오는, 상기 와이어를 장착하여 유도하도록 상기 제1 선단에 구비되는 제1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조오는,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여 유도하도록 상기 제2 선단에 구비되는 제2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도부와 상기 제2 유도부는, 상기 와이어로 상기 대상물을 잡아서 홀딩하여 상기 제1 선단과 상기 제2 선단이 서로 맞물릴 때, 상기 제1 선단 및 상기 제2 선단에서 폭 방향으로 일직선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제2 유도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일체부, 및 상기 일체부에서 분지되어 양측 상기 제1 유도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제2 유도부에 대응하는 양측에 구비되는 제11 유도부와 제12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유도부 및 상기 제12 유도부는, 상기 가동 조오에 각각 연결되는 제11 연결부와 제12 연결부, 및 상기 가동 조오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의 인출 방향을 각각 설정하는 제11 분리부와 제12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유도부 및 상기 제12 유도부는, 각각 상기 틈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유도부 및 상기 제12 유도부는, 각각 상기 제1 선단에 마주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선단의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제2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도부는, 상기 고정 조오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고정 조오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의 배치 방향을 설정하는 제2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도부는, 상기 틈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제1 선단과 상기 제2 선단의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제2 유도부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유도부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가동 조오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가동 조오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의 인출 방향을 각각 설정하는 제1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틈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제1 선단에 마주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선단의 상기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제2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도부는, 상기 고정 조오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고정 조오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의 인출 방향을 설정하는 제2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도부는, 상기 틈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동 조오는, 상기 와이어를 장착하여 인출하도록 상기 제1 선단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제1 장착부에서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 여 유도하도록 상기 제1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장착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조오는, 상기 제1 유도부를 경유한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여 유도하도록 상기 제2 선단에 구비되는 제2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제2 유도부에 대응하는 양측에 구비되는 제11 장착부와 제12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제11 장착부와 상기 제12 장착부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제11 유도부와 제12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유도부 및 상기 제12 유도부는, 상기 가동 조오에 각각 연결되는 제11 연결부와 제12 연결부, 및 상기 제11 장착부와 상기 제12 장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어의 인출 방향을 각각 설정하는 제11 분리부와 제12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유도부 및 상기 제12 유도부는, 각각 상기 제11 장착부 및 상기 제12 장착부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장착부 및 상기 제12 장착부는, 각각 상기 제1 선단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체부에서 분지된 1쌍의 상기 제1 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각각 수용하는 제11 홈과 제12 홈, 상기 제11 홈과 상기 제12 홈에서 각각 상기 제1 선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1 홈과 상기 제12 홈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21 홈과 제22 홈, 및 상기 제21 홈과 상기 제22 홈의 내측에서 상기 제21 홈과 상기 제22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31 홈과 제3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제2 유도부에 대응하는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가동 조오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장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어의 인출 방향을 설정하는 제1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제1 장착부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제1 선단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제1 단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수용하는 제1 홈, 상기 제1 홈에서 상기 제1 선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걸림부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홈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2 홈, 및 상기 제2 홈의 내측에서 상기 제2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3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는, 가동 조오의 제1선단에 와이어의 제1 단을 연결하고, 와이어로 대상물을 감은 상태에서 와이어를 고정 조오의 제2 선단에 경유시켜, 와이어의 제2 단을 몸체에 연결하므로 대상물을 잡아서 홀딩(holding) 또는 릴리싱(releasing)할 수 있다.
와이어의 제2 단과 몸체 사이에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므로 형상, 직경 및 크기가 각각 다양한 대상물에 적용될 수 있고, 와이어를 사용하므로 공구의 삽입이 어려운 작업 환경에서 대상물을 잡아서 홀딩하는 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는 몸체(1), 고정 조오(2), 가동 조오(3), 누름 레버(4),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 와이어(6), 및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7)를 포함한다. 또한, 바이스 플라이어는 효과적인 사용을 위하여, 릴리스 레버(8)와 조오 개방 스프링(9) 및 조오 개방 범위 조절 부재(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1)는 바이스 플라이어의 베이스를 형성하면서 손잡이로 조작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 조오(2)는 몸체(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즉 고정 조오(2)는 몸체(1)의 일부를 형성하기도 한다.
가동 조오(3)는 고정 조오(2)와 마주하여 선회하도록 몸체(1)에 제1 부재(11)로 장착된다. 고정 조오와 몸체의 형상 및 연결 구조에 따라 가동 조오는 몸체에 일체로 장착되는 고정 조오에 장착될 수도 있다(미도시).
제1 부재(11)는 몸체(1)에 가동 조오(3)를 장착하고, 몸체(1) 상에서 가동 조오(3)와 고정 조오(2)의 상대적인 작동을 통하여, 와이어(6)로 대상물(T)을 잡을 때, 잡은 상태를 홀딩하거나(도1 실선 상태) 홀딩 상태를 해제할, 즉 릴리싱 할 수 있게 한다(가상선 상태). 즉 가동 조오(3)와 고정 조오(3)는 제1 부재(11)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개방 폐쇄되면서 대상물(T)을 직접 잡지 않고 와이어(6)를 작동시켜 대상물(T)을 잡는다.
누름 레버(4)는 가동 조오(3)에 제2 부재(12)로 장착되고 몸체(1)에 마주하여, 와이어(6)로 대상물(T)을 잡은 상태에서, 몸체(1)와 록킹/언록킹(실선 상태/가상선 상태) 된다. 누름 레버(4)는 몸체(1)와 함께 바이스 플라이어의 베이스를 형성하면서 또한 손잡이로 조작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는 누름 레버(4)가 몸체(1)와 록킹/언록킹 될 수 있도록, 일단을 누름 레버(4)에 제3 부재(13)로 장착하고, 다른 일단을 몸체(1)에 슬라이드 이동 구조로 결합한다.
슬라이드 이동되는 몸체(1) 상에서,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의 위치가 설정됨에 따라, 고정 조오(2)와 가동 조오(3) 사이에 형성되는 조오 개방 범위가 설정된다.
제3 부재(13)는 제2 부재(12)보다 가동 조오(3)의 제1 선단(31)(도4 참조)으로부터 더 후방에 위치하여 누름 레버(4)와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를 연결하므로 대상물(T)을 잡은 상태에서 누름 레버(4)가 몸체(1)에 록킹될 수 있게 한다.
조오 개방 스프링(9)은 가동 조오(3)와 몸체(1)를 연결하여 누름 레버(4)와 몸체(1)의 록킹 해제시, 제1 부재(11)를 중심으로 가동 조오(3)를 선회시켜, 고정 조오(2)로부터 개방한다.
이를 위하여, 조오 개방 스프링(9)은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 사이에서 제1, 제2 부재(11, 12)보다 가동 조오(3)와 고정 조오(2) 각각의 제1, 제2 선단(31, 21)(도4 참조)의 후방에 배치되어 가동 조오(3)에 일단으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을 몸체(1)의 후방에, 예를 들면, 수용부(101)에 연결된다.
릴리스 레버(8)는 누름 레버(4)에 제4 부재(14)로 장착되어,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에 릴리스 작동력을 가하여, 몸체(1)와 누름 레버(4)의 록킹을 해제한다. 즉 릴리스 레버(8)는 누름 레버(4)에 지렛대 구조로 장착된다. 즉 릴리스 레버(8)에서, 일단은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와 릴리스 레버(8) 사이에 개재되고, 다른 일단은 누름 레버(4)와 몸체(1) 사이로 신장된다.
제1, 제2, 제3, 제4 부재(11, 12, 13, 14)는 힌지, 핀, 리벳, 및 볼트 등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2는 도1의 와이어 길이 조절 부재 주위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4는 도1의 바이스 플라이어에서 고정 조오 및 가동 조오의 구성과 제1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와이어(6)는 제1 단(61)을 가동 조오(3)의 제1 선단(31)에 결합하고, 제2 단(62)을 몸체(1)에 연결하며, 제1, 제2 단(61, 62) 사이 부분으로 대상물(T)을 감아 잡고 고정 조오(2)의 제2 선단(21)을 경유하면서, 대상물(T)을 잡아서 홀딩(holding) 또는 릴리싱(releasing) 한다. 와이어는 공구의 삽입이 어려운 작업 환경에서 대상물(T)을 잡아서 홀딩할 수 있게 한다.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7)는 와이어(6)의 제2 단(62)과 몸체(1) 사이에 개재되어, 와이어(6)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킨다. 길이 조절/고정 부재(7)는 대상물(T)에 대응하는 와이어(6)의 길이를 조절하고 조절된 상태를 고정시키므로 형상, 직경 및 크기 등이 다양한 대상물(T)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몸체(1)는 수용부(101), 나사부(102) 및 수납부(103)를 포함한다. 수용부(101), 나사부(102) 및 수납부(103)는 주조 또는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01)는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의 일단을 수용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즉 수용부(101)는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의 일단의 슬라이드 범위를 제한하여 조오 개방 범위를 설정한다.
즉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가 고정 조오(2)로부터 멀어질수록 고정 조오(2)와 가동 조오(3)의 개방 범위는 넓어지고, 고정 조오(2)에 가까워질수록 고정 조오(2)와 가동 조오(3)의 개방 범위는 좁아진다.
나사부(102)는 수용부(101)의 일단에 암나사로 형성되어 조오 개방 범위 조절 부재(10)와 나사 결합된다. 조오 개방 범위 조절 부재(1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에 따라 나사부(102)를 통하여 수용부(101) 안으로 삽입 또는 수용부(101) 밖으로 인출된다.
수용부(101)는 일측에 나사부(102)를 형성하고, 조오 개방 범위 조절 부재(10)가 나사부(102)에 나사 결합되므로 수직 단면에서 대략 상방과 하방이 개장되는 원통 구조로 형성된다.
수납부(103)는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의 반대측에서 수용부(101)에 형 성되어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7)를 수납한다.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7)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 부재(71)와 암나사 부재(72)를 포함한다. 수나사 부재(71)는 수납부(103)에 내장되어 직선 왕복 작동되도록 적어도 일측에 평면을 형성하고 와이어(6)의 제2 단(62)에 연결된다.
수납부(103)는 암나사 부재(72)의 조작시 수나사 부재(71)가 회전하지 않고 직선 왕복 작동하도록 수나사 부재(71)의 일측 평면에 대응하도록 내측면을 평면으로 형성한다.
수나사 부재(71)와 수납부(103)는 일측에서 평면으로 마주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으나,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양측에서 평면으로 마주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암나사 부재(72)는 수나사 부재(71)와 나사 결합되면서 외측 일부가 수납부(103)의 측방에 형성되는 관통구(104) 밖으로 돌출되어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즉 수나사 부재(71)는 양측에 평면을 형성하고, 상방과 하방에 수나사를 형성한다.
따라서 암나사 부재(7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수나사 부재(71)는 수납부(103) 내에서 전진되어 와이어(6)의 길이를 늘리거나, 후퇴되어 와이어(6)의 길이를 짧게 조절한다. 수나사 부재(71)는 편의상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6)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와이어(6)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립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도4는 도1의 바이스 플라이어에서 고정 조오 및 가동 조오의 구성과 제1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고정 조오(2)는 대상물(T)을 감아서 잡은 와이어(6)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써, 와이어(6)의 장력을 유지시켜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고정 조오(2)는 외표면에 고정 조오(2)의 외면 곡률을 따라 형성되는 수용홈(22)을 구비한다. 수용홈(22)은 와이어(6)가 고정 조오(2)에서 제2 선단(21)의 폭 방향으로 벗겨지지 않도록 유지시킨다.
가동 조오(3)는 와이어(6)의 제1 단(61)을 결합 장착하여 와이어(6)를 유도하도록 제1 선단(31)에 제1 유도부(81)를 구비한다. 고정 조오(2)는 대상물(T)을 감은 와이어(6)를 지지하여 유도하도록 제2 선단(21)에 제2 유도부(82)를 구비한다.
와이어(6)로 대상물(T)을 잡아서 홀딩하여 제1 유도부(81)와 제2 유도부(82)가 서로 맞물릴 때, 제1, 제2 유도부(81, 82)는 각각 제1 선단(31)과 제2 선단(21)에서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도부(81)는 폭 방향(x축 방향)에서, 제2 유도부(8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유도부(81)는 제2 유도부(82)에 대응하는 양측에 구비되는 제11 유도부(811)와 제12 유도부(812)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와이어(6)는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7)에 연결되는 일체부(63)와, 일체부(63)에서 2개로 분지되어 양측에, 즉 제11 유도부(811)과 제12 유도부(812)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걸림부(641)와 제2 걸림부(642)를 포함한다.
제11 유도부(811)와 제12 유도부(812)는 x축 방향에서 동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4는 대칭 구조를 예시한다. 제11 유도 부(811)는 제11 연결부(831)와 제11 분리부(841)를 포함하고, 제12 유도부(812)는 제12 연결부(832)와 제12 분리부(842)를 포함한다.
제11 연결부(831)와 제12 연결부(832)는 가동 조오(3)의 제1 선단(31)에 각각 연결된다. 제11 분리부(841) 및 제12 분리부(842)는 가동 조오(3)의 폭 방향(x축 방향) 양측에서, 제1 선단(31)과의 사이에 틈(C)을 형성하여 와이어(6)의 인출 방향을 각각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즉 제11 연결부(831) 및 제12 연결부(832)는 제1 걸림부(641)와 제2 결림부(642)에 연결되는 와이어(6)가 장력을 유지하면서, 각각 제1 선단(31)에서 양의 z축 방향 및 음의 z축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한다.
제11 유도부(811)와 제12 유도부(812)는 틈(C)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인출되는 와이어(6)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851, 852)를 각각 구비한다. 제11 분리부(841) 및 제12 분리부(842)로 인출되는 와이어(6)는 각각 와이어 홈(851, 852)에 위치하면서 제1 선단(3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1, 제12 유도부(811, 812)는 각각 제1 절개부(861)와 제2 절개부(871)를 구비한다. 제11, 제12 유도부(811, 812)는 대칭 구조로 형성되므로, 편의상, 여기서는 제11 유도부(811)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12 유도부(812)에 대한 제1, 제2 절개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절개부(861)는 제11 유도부(811)에서 제1 선단(31)에 마주하는 부분에서제1 선단(3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예를 들면, 와이어 홈(851)까지 절개된다. 제2 절개부(871)는 제1 절개부(861)의 내측에서 제1 절개부(861)과 교차하는 방향(y, z축 방향)으로, 예를 들면 와이어 홈(851)을 따라 절개된다.
제1, 제2 절개부(861, 871)는 와이어(6)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와이어(6)의 폭 방향(x축 방향) 및 z축 방향 삽입을, 와이어(6)의 인출 방향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제1, 제2 걸림부(641, 642)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 제2 걸림부(641, 642)를 제1, 제2 유도부(811, 812)에 고정시킨다.
제2 유도부(82)는 제11, 제12 유도부(811, 812)와 같이, 제2 연결부(821)와 제2 분리부(822)를 포함한다. 제2 연결부(821)는 고정 조오(2)의 제2 선단(21)에 연결된다. 제2 분리부(822)는 고정 조오(2) 제2 선단(21)과의 사이에 틈(C)을 형성하여 와이어(6)의 배치 방향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즉 제2 연결부(821)는 대상물(T)을 감은 와이어(6)가 장력을 유지하면서, 각각 제2 선단(21)에서 양의 z축 방향 및 음의 z축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한다.
제2 유도부(82)는 틈(C)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인출되는 와이어(6)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823)을 구비한다. 제2 분리부(822)로 인출되는 와이어(6)는 와이어 홈(823)에 위치하면서 제2 선단(2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바이스 플라이어는 와이어(6)로 대상물(T)를 감고, 대상물(T)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조오 개방 범위 조절 부재(10)를 조작하여,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의 위치를 설정한 후, 누름 레버(4)를 누르면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를 개재하여 누름 레버(4)와 몸체(1)가 록킹되면서, 가동 조오(3)와 고정 조오(2)에 걸린 와이어(6)로 대상물(T)을 잡아서 홀딩한다(도1의 실선 상태).
그리고 릴리스 레버(8)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5)가 작동되어, 누름 레버(4)와 몸체(1)의 록킹이 해제되고, 조오 개방 스프 링(9)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동 조오(3)가 고정 조오(2)로부터 개방되면서 와이어(6)는 대상물(T)의 홀딩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6)는 서로 마주하는 가동 조오(3)와 고정 조오(2) 내에서 대상물(T)을 감아서 잡는다. 따라서 가동 조오(3)와 고정 조오(2)는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최대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며, 각각 반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6)는 가동 조오(3)와 고정 조오(2)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의 범위 내에서 길이 조절되면서 대상물(T)을 잡아 홀딩시킨다.
한편, 도4를 참조하면, 분지된 제1, 제2 걸림부(641, 642)는 각각 제11, 제12 유도부(811, 812)에 걸린다. 와이어(6)는 제1 절개부(861)로 삽입되고 제2 절개부(871)의 음의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1, 제2 와이어 홈(851, 852)에 위치되면서, 가동 조오(3)와 고정 조오(2) 사이 공간을 경유한다. 경유한 와이어(6)는 제2 유도부(82)의 와이어 홈(823)에 위치되면서 고정 조오(2)의 수용홈(22)에 배치된다.
가동 조오(3)의 제1 선단(31)과 고정 조오(2)의 제2 선단(21)이 서로 맞물리면서 제11, 제12 유도부(811, 812) 및 제2 유도부(82)가 폭 방향(x축 방향)에서 일직선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와이어(6)는 대상물(T)을 외주 전 범위에 걸쳐 감는 구조를 형성하여 대상물(T)을 견고하게 잡아서 홀딩한다.
도5는 도1의 바이스 플라이어의 제2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분지된 제1, 제2 걸림부(641, 642)는 각각 제11, 제12 유도부(811, 812)에 걸린다. 와이어(6)는 제1 절개부(861)로 삽입되고 제2 절개부(871)의 양의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1, 제2 와이어 홈(851, 852)에 위치되면서, 가동 조오(3)와 고정 조오(2) 사이 공간 밖을 경유한다. 경유한 와이어(6)는 고정 조오(2)의 제2 선단(21)과 분리부(822) 사이에 형성되는 틈(C)을 통하여 제2 유도부(82)의 와이어 홈(823)에 위치되면서 고정 조오(2)의 수용홈(22)에 배치된다.
가동 조오(3)의 제1 선단(31)과 고정 조오(2)의 제2 선단(21)이 서로 맞물리면서 제11, 제12 유도부(811, 812) 및 제2 유도부(82)가 폭 방향(x축 방향)에서 일직선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와이어(6)는 고정 조오(2)와 가동 조오(3) 사이 공간 밖에서 대상물(T)을 외주 전 범위에 걸쳐 감는 구조를 형성하여 대상물(T)을 견고하게 잡아서 홀딩한다.
제2 사용 상태는 제1 사용 상태에 비하여, 바이스 플라이어 전체를 투입하기 어려운 작업 환경에서 와이어(6)만을 투입하여 대상물(T)에 감아 잡을 수 있게 하고, 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대상물(T)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한다. 와이어(6) 또는 와이어(6)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나사 부재(71)는 다양한 길이로 준비하여 대상물(T)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및 선행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에서 고정 조오 및 가동 조오의 구성과 제1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7은 도6의 바이스 플라이어의 제2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유도부(81)가 2개, 즉 제11, 제12 유도부(811, 812)로 형성되고, 가동 조오(3)와 고정 조오(2)의 제1, 제2 선단(31, 21)이 맞물릴 때, 제2 유도부(82)가 제11, 제12 유도부(811, 812)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비하여, 제2 실시예의 바이스 플라이어에서, 제1 유도부(281)가 하나로 형성되고, 가동 조오(3)와 고정 조오(2)의 제1, 제2 선단(31, 21)이 맞물릴 때, 제1, 제2 유도부(281, 282)가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제1 유도부(281)는 제1, 제2 선단(31, 21)의 폭 방향(x축 방향)에서, 제2 유도부(282)의 일측에 배치된다. 와이어(26)는 하나의 제1 유도부(281)에 결합되는 제1 걸림부(641)를 구비한다. 제1 유도부(281)는 제1 실시예의 제11, 제12 유도부(811, 812) 중 하나와 동일하고, 편의상 제12 유도부(812)와 동일한 것으로 설명한다. 제2 유도부(282)는 제1 실시예의 제2 유도부(82)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제2 유도부(281, 28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즉 제1 실시예는 와이어(6)로 대상물(T)을 잡아서 홀딩 할 때, 제2 유도부(82)의 와이어 홈(823)을 중심으로 x축 방향에서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여 안정된 홀딩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비하여, 제2 실시예는 와이어(26)로 대상물(T)을 잡아서 홀딩 할 때, 제1 유도부(281)의 와이어 홈(852)과 제2 유도부(282)의 와이어 홈(823) 사이에서 대상물(T)을 길이 방향으로 선회시키려는 힘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 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 유도부(281)의 와이어 홈(852)과 제2 유도부(282)의 와이어 홈(823) 사이 간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의 바이스 플라이어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조오(2)와 가동 조오(3)의 사이 공간에서 와이어(26)로 대상물(T)을 감아서 잡을 수 있고(제1 사용 상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조오(2)와 가동 조오(3)의 사이 공간 밖에서 와이어(26)로 대상물(T)을 감아서 잡을 수 있다(제2 사용 상태).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에서 고정 조오 및 가동 조오의 구성과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의 바이스 플라이어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조오(3)의 제1 선단(31)에 제11, 제12 유도부(811, 812)를 구비하여, 와이어(6)의 분지된 1쌍의 제1 단들(61)에 구비되는 제1, 제2 걸림부(641, 642)를 각각 제11, 제12 유도부(811, 812)에 장착하여 인출하면서 또한 인출되는 와이어(6)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도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바이스 플라이어는, 가동 조오(23)에 제1 장착부(380)와 제1 유도부(381)를 분리하여 구비하고, 고정 조오(22)에 제2 유도부(82)를 구비한다.
제1 장착부(380)는 가동 조오(23)의 제1 선단(231) 후방에 구비되어, 와이어(6)의 제1 단(61)을 장착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유도부(381)는 제1 장착부(380)에서 인출되는 와이어(6)를 인출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지지하여 유도하도록 제1 선단(231)에 구비되어 제1 장착부(38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6)의 제1 단(61)을 제1 장착부(380)에 장착하여 인출하고,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인출되는 와이어(6)를 제1 유도부(381)에서 지지하므로 와이어(6)로 대상물(T)을 잡을 때, 제1 유도부(381)에서 와이어(6)가 급격히 휘 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의상,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의 도5에 대응하는 상태로 대상물(T)을 잡는 설명을 생략하고, 도4에 대응하는 상태로 대상물(T)을 잡는 상태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장착부(380)는 제2 유도부(82)에 대응하는 양측에 구비되는 제11 장착부(311)와 제12 장착부(312)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유도부(381)는 제11 장착부(311)와 제12 장착부(312) 각각에 대응하는 제11 유도부(411)와 제12 유도부(412)를 포함한다.
제11 유도부(411)와 제12 유도부(412)는 가동 조오(23)에 각각 연결되는 제11 연결부(511)와 제12 연결부(512), 제11 장착부(311)와 제12 장착부(312)에 대응하여 와이어(6)의 인출 방향을 각각 설정하는 제11 분리부(611)와 제12 분리부(612)를 포함한다.
또한, 제11 유도부(411)와 제12 유도부(412)는 각각 제11 장착부(311)와 제12 장착부(312)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와이어(6)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711, 712)을 구비한다. 제11 장착부(311)와 제12 장착부(312)는 각각 제11 홈(521)과 제12 홈(522), 제21 홈(531)과 제22 홈(532) 및 제31 홈(541)과 제33 홈(542)을 포함한다.
제11 홈(521)과 제12 홈(522)는 각각 제1 선단(231)의 후방에 형성되어, 와이어(6)의 일체부에서 분지된 1쌍의 제1 단(61)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걸림부(641)와 제2 걸림부(642)를 각각 수용한다. 제11 홈(521)과 제12 홈(522)는 제1 걸림부(641)와 제2 걸림부(642)의 측방 삽입을 가능케 하도록, 예를 들면 원통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1 홈(531)과 제22 홈(532)은 제11 홈(521)과 제12 홈(522)에서 각각 제1 선단(231)까지 연장되어 제1 걸림부(641)와 제2 걸림부(642)에 연결되는 와이어(6) 일부의 측방 삽입 및 지지한다. 제21 홈(531)과 제22 홈(532)은 제 제11 홈(521)과 제12 홈(522)보다 좁게 형성된다.
제31 홈(541)과 제32 홈(542)은 제21 홈(531)과 제22 홈(532) 각각의 내측에서 제21 홈(531)과 제22 홈(53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1, 제12 유도부(411, 412)로 인출되는 와이어(6)의 일부를 수용한다. 제31 홈(541)과 제33 홈(542)은 작업 중 와이어(6)가 제21 홈(531)과 제22 홈(532)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에서 고정 조오 및 가동 조오의 구성과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장착부(380)은 2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유도부(381)를 2개로 형성한다. 이에 비하여 제4 실시예에서 제1 장착부(480)는 1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유도부(481)를 또한 1개로 형성한다.
따라서 제4 실시예의 바이스 플라이어에서, 가동 조오(33)와 고정 조오(2)의 제1, 제2 선단(331, 21)이 맞물릴 때, 제1, 제2 유도부(481, 282)가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즉 제1 유도부(481)는 제1, 제2 선단(331, 21)의 폭 방향(x축 방향)에서, 제2 유도부(282)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 장착부(480)는 제3 실시예의 제11, 제12 장착부(311, 312) 중 하나와 동 일하고, 편의상 제12 유도부(312)와 동일한 것으로 설명한다. 제1 유도부(481)는 제3 실시예의 제11, 제12 유도부(411, 412) 중 하나와 동일하고, 편의상 제12 유도부(412)와 동일하다. 제2 유도부(282)는 제3 실시예의 제2 유도부(82)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장착부(480) 및 제1, 제2 유도부(481, 28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장착부(480)는 제2 유도부(282)에 대응하는 일측에 구비된다. 제1 유도부(481)는 가동 조오(33)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512), 및 제1 장착부(480)에 대응하여 와이어(26)의 인출 방향을 설정하는 제1 분리부(612)를 포함한다. 제1 유도부(481)는 제1 장착부(480)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와이어(26)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712)을 구비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와이어 길이 조절 부재 주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바이스 플라이어에서 고정 조오 및 가동 조오의 구성과 제1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바이스 플라이어의 제2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에서 고정 조오 및 가동 조오의 구성과 제1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바이스 플라이어의 제2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에서 고정 조오 및 가동 조오의 구성과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 플라이어에서 고정 조오 및 가동 조오의 구성과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고정 조오
3, 23, 33 : 가동 조오 4 : 누름 레버
5 :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 6, 26 : 와이어
7 :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 8 : 릴리스 레버
9 : 조오 개방 스프링 10 : 조오 개방 범위 조절 부재
11, 12, 13, 14 : 제1, 제2, 제3, 제4 부재 22 : 수용홈
31, 231, 331 : 제1 선단 21 : 제2 선단
61, 62 : 제1, 제2 단 71 : 수나사 부재
72 : 암나사 부재 81, 281, 381 : 제1 유도부
82, 282 : 제2 유도부 101 : 수용부
102 : 나사부 103 : 수납부
104 : 관통구 380 : 제1 장착부
311, 312 : 제11, 제12 장착부 411, 811 : 제11 유도부
412, 812 : 제12 유도부 521, 531, 541 : 제11, 제21, 제31 홈
522, 532, 542 : 제12, 제22, 제33 홈 821 : 연결부
822 분리부 641, 642 : 제1, 제2 걸림부
831, 511 : 제11 연결부 832, 512 : 제12 연결부
841, 611 : 제11 분리부 842, 612 : 제12 분리부
851, 852, 823, 711, 712 : 와이어 홈 861, 871 : 제1, 제2 절개부
C : 틈 T : 대상물

Claims (29)

  1.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 조오;
    상기 몸체에 제1 부재로 장착되어 상기 고정 조오에 마주하여 선회하는 가동 조오;
    상기 가동 조오에 제2 부재로 장착되어 상기 몸체에 마주하여 상기 몸체와 록킹/언록킹 되는 누름 레버;
    일단이 상기 누름 레버에 제3 부재로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몸체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 조오와 상기 가동 조오의 개방 범위를 설정하는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
    제1 단이 상기 가동 조오의 제1 선단에 결합되어 대상물을 감고 상기 고정 조오의 제2 선단을 경유하여 제2 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을 잡아서 홀딩/릴리싱(holding/releasing)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2 단과 상기 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레버에 제4 부재로 장착되어, 상기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의 록킹을 해제하는 릴리스 레버;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의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조오 개방 범위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조오 개방 범위 설정 링크의 일단을 수용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조오 개방 조절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서 상기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상기 나사부 및 상기 수납부는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바이스 플라이어.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는,
    상기 수납부에 내장되어 직선 왕복 작동되도록 적어도 일측에 평면을 형성하 여 상기 수납부의 내면에 대응하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수나사 부재, 및
    상기 수나사 부재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수납부의 측방에 형성되는 관통구 밖으로 돌출되어 회전 조작되는 암나사 부재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조오는,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외표면에 구비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7. 제1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조오는,
    상기 와이어를 장착하여 유도하도록 상기 제1 선단에 구비되는 제1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조오는,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여 유도하도록 상기 제2 선단에 구비되는 제2 유도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부와 상기 제2 유도부는,
    상기 와이어로 상기 대상물을 잡아서 홀딩하여 상기 제1 선단과 상기 제2 선단이 서로 맞물릴 때, 상기 제1 선단 및 상기 제2 선단에서 폭 방향으로 일직선 상 태로 배치되는 바이스 플라이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제2 유도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바이스 플라이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길이 조절/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일체부, 및
    상기 일체부에서 분지되어 양측 상기 제1 유도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제2 유도부에 대응하는 양측에 구비되는 제11 유도부와 제12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유도부 및 상기 제12 유도부는,
    상기 가동 조오에 각각 연결되는 제11 연결부와 제12 연결부, 및
    상기 가동 조오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의 인출 방향을 각각 설정하는 제11 분리부와 제12 분리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유도부 및 상기 제12 유도부는,
    각각 상기 틈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을 구비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유도부 및 상기 제12 유도부는,
    각각 상기 제1 선단에 마주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선단의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제2 절개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14.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도부는,
    상기 고정 조오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고정 조오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의 배치 방향을 설정하는 제2 분리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도부는,
    상기 틈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을 구비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16.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제1 선단과 상기 제2 선단의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제2 유도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바이스 플라이어.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유도부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가동 조오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가동 조오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의 인출 방향을 각각 설정하는 제1 분리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틈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을 구비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제1 선단에 마주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선단의 상기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제2 절개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2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도부는,
    상기 고정 조오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고정 조오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의 인출 방향을 설정하는 제2 분리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도부는,
    상기 틈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을 구비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23. 제1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조오는,
    상기 와이어를 장착하여 인출하도록 상기 제1 선단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제1 장착부에서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여 유도하도록 상기 제1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장착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조오는,
    상기 제1 유도부를 경유한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여 유도하도록 상기 제2 선단에 구비되는 제2 유도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제2 유도부에 대응하는 양측에 구비되는 제11 장착부와 제12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제11 장착부와 상기 제12 장착부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제11 유도부와 제12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유도부 및 상기 제12 유도부는,
    상기 가동 조오에 각각 연결되는 제11 연결부와 제12 연결부, 및
    상기 제11 장착부와 상기 제12 장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어의 인출 방향을 각각 설정하는 제11 분리부와 제12 분리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유도부 및 상기 제12 유도부는,
    각각 상기 제11 장착부 및 상기 제12 장착부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을 구비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26.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장착부 및 상기 제12 장착부는,
    각각 상기 제1 선단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체부에서 분지된 1쌍의 상기 제1 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각각 수용하는 제11 홈과 제12 홈,
    상기 제11 홈과 상기 제12 홈에서 각각 상기 제1 선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1 홈과 상기 제12 홈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21 홈과 제22 홈, 및
    상기 제21 홈과 상기 제22 홈의 내측에서 상기 제21 홈과 상기 제22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31 홈과 제32 홈을 포 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27.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제2 유도부에 대응하는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가동 조오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장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어의 인출 방향을 설정하는 제1 분리부를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제1 장착부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잡아주는 와이어 홈을 구비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29.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제1 선단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제1 단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수용하는 제1 홈,
    상기 제1 홈에서 상기 제1 선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걸림부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홈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2 홈, 및
    상기 제2 홈의 내측에서 상기 제2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3 홈을 포함하는 바이스 플라이어.
KR1020090069630A 2009-07-29 2009-07-29 바이스 플라이어 KR20110012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630A KR20110012080A (ko) 2009-07-29 2009-07-29 바이스 플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630A KR20110012080A (ko) 2009-07-29 2009-07-29 바이스 플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080A true KR20110012080A (ko) 2011-02-09

Family

ID=4377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630A KR20110012080A (ko) 2009-07-29 2009-07-29 바이스 플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20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0040B (zh) Tight line
US9636805B2 (en) Retractable pliers
JP2014176144A (ja) 電線皮剥器
US9358625B2 (en) Hack saw with integrated retainer for blade pin holder and related method
KR20110012080A (ko) 바이스 플라이어
CN113228437B (zh) 线材操作工具、线材操作工具用的零件、线材切割方法以及线材连接方法
EP3809548A1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JP2007210039A (ja) 挟持治具
US8991044B2 (en) Method for inserting a wire into a contact pin with a wire insertion tool
KR102425231B1 (ko)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
CN111012406A (zh) 一种器械固定装置的快拆结构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CN110832721A (zh) 电线操作工具、电线操作工具用的零件、电线切割方法、及电线连接方法
KR20150102926A (ko) 절단 공구
CN220553766U (zh) 带电导线分配工具用的电线保持件
CN203305191U (zh) 手持工具副手柄
JP6660013B2 (ja) 電線磨き用先端工具
JP7368208B2 (ja) タングレスインサート挿入工具及びタングレスインサート挿入工具の製造方法
CN221126747U (zh) 紧线器、以及线材切割工具
RU2803201C2 (ru) Рабоч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ровода, компонент рабоч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для провода, способ резки и разделения провода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да
US20100287765A1 (en) Crimper cable retainer
JP2008194822A (ja) 遠隔操作用ヤットコに用いるアダプタ
CN209239956U (zh) 卡环安装钳
JP2012157173A (ja) 端末キャップ及びこの端末キャップの取り外し方法
JP2002200531A (ja) グロメット拡張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