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305A -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5305A KR20200025305A KR1020180102478A KR20180102478A KR20200025305A KR 20200025305 A KR20200025305 A KR 20200025305A KR 1020180102478 A KR1020180102478 A KR 1020180102478A KR 20180102478 A KR20180102478 A KR 20180102478A KR 20200025305 A KR20200025305 A KR 202000253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ression
- cable
- core
- compression unit
- wir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는: 코어가 수용되도록 제1 수용홈부가 형성되며, 코어를 압축 고정시키는 제1 압축부; 및 복수의 전선이 수용되도록 제1 수용홈부와 연통되는 제2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제1 수용홈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전선을 압축 고정시키는 제2 압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인장강도를 확보하고, 케이블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전주에 의해 지지된다. 케이블 시공시 전주 사이의 중간에서 케이블 인장기로 케이블을 지지한다. 케이블을 절단하면, 절단된 케이블의 양측이 케이블 인장기에 지지되어 공중에 부양된 상태가 된다.
케이블의 단부에서 피복을 절단하여 노출시킨다. 이때, 코어를 둘러싸는 전선이 노출된다. 전선이 압축슬리브에 끼워지고, 압축기의 압축 다이스가 압축슬리브를 가압하여 전선이 압축 슬리브에 압축 고정되게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케이블에서 피복만 제거한 상태에서 압축슬리브에 전선이 고정되므로, 케이블의 코어가 압축 고정될 수 없다. 따라서, 케이블에 양측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면, 코어가 압축슬리브에서 끌려나올 수 있다. 또한, 압축슬리브의 중간부분에 부하가 집중되므로, 압축슬리브의 중간부분이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972069호(2016. 07. 22 등록, 발명의 명칭: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전선과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와의 접속 방법, 전선과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와의 접속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인장강도를 확보하고, 케이블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는: 코어가 수용되도록 제1 수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를 압축 고정시키는 제1 압축부; 및 복수의 전선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연통되는 제2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홈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전선을 압축 고정시키는 제2 압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상기 제2 수용홈부 사이에는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홈부의 단부에는 제2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축부와 상기 제2 압축부는 복수의 개소씩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방법은: 전선과 코어가 노출되도록 피복과 복수의 상기 전선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코어를 제1 압축부의 제1 수용홈부에 삽입하고, 상기 전선을 제2 압축부의 제2 수용홈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가 상기 제1 압축부에 압축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압축부를 가압하고, 복수의 상기 전선이 상기 제2 압축부에 압축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압축부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상기 제2 수용홈부 사이에는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홈부의 단부에는 제2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축부와 상기 제2 압축부는 복수의 개소씩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압축부가 코어를 압축 고정시키고, 제2 압축부가 복수의 전선을 압축 고정시키므로, 코어와 전선이 제1 압축부와 제2 압축부에 독립적으로 압축 고정된다. 따라서, 압축슬리브의 양측으로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슬리브와 코어의 제1 고정압력과, 압축슬리브와 전선의 제2 고정압력에 의해 기계적 인장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슬리브에서 코어와 전선이 고정되는 부분이 달라지므로, 케이블의 인장력이 코어와 전선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슬리브의 중간부분이 케이블의 인장력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이 압축슬리브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이 압축슬리브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이 압축슬리브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코어가 압축슬리브의 제2 수용홈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코어가 압축슬리브의 제1 수용홈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슬리브가 압축 다이스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이 압축슬리브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이 압축슬리브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이 압축슬리브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코어가 압축슬리브의 제2 수용홈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코어가 압축슬리브의 제1 수용홈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슬리브가 압축 다이스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이 압축슬리브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이 압축슬리브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이 압축슬리브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는 제1 압축부(21) 및 제2 압축부(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10)은 피복(13)에 의해 절연되는 절연 케이블(10)(도 1(b) 및 도1(c) 참조)과, 피복(13)이 없는 비절연 케이블(10)(도 1(a) 참조)이 적용될 수 있다. 비절연 케이블(10)에서는 강선을 둘러싸도록 복수의 전선(12)이 설치된다. 절연 케이블(10)은 코어(11), 전선(12) 및 피복(13)을 포함한다. 코어(11)는 절연 케이블(10)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전선(12)은 코어(11)를 둘러싸도록 코어(11)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며, 피복(13)은 복수의 전선(12)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코어(11)는 케이블(10)의 기계적 인장강도를 보강하는 알루미늄 피복 강선이다. 전선(12)은 알루미늄 함금으로 제작된다. 피복(13)은 절연성이 우수한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절연 케이블(10)은 절연 피복층(13a,13b)이 2겹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절연 케이블(10)의 내부에는 전선(12)의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컴파운드(14)(compound)가 충진될 수 있다.
압축슬리브(20)는 연결되는 전선(12)과 통전할 수 있도록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제1 압축부(21)에는 코어(11)가 수용되도록 제1 수용홈부(22)가 형성되고, 제1 압축부(21)는 코어(11)를 압축한 상태로 고정(압축 고정)시킨다. 제1 수용홈부(22)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축부(21)는 압축슬리브(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다. 제1 압축부(21)는 원형봉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압축부(25)에는 코어(11)를 둘러싸는 복수의 전선(12)이 수용되도록 제1 수용홈부(22)와 연통되는 제2 수용홈부(26)가 형성된다. 제2 압축부(25)는 제1 수용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전선(12)을 압축한 상태로 고정(압축 고정)시킨다. 제2 수용홈부(26)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압축부(25)는 제1 압축부(21)의 외측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압축부(21)가 코어(11)를 압축 고정시키고, 제2 압축부(25)가 복수의 전선(12)을 압축 고정시키므로, 코어(11)와 전선(12)이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에 독립적으로 압축 고정된다. 따라서, 압축슬리브(20)의 양측으로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슬리브(20)와 코어(11)의 제1 고정압력과, 압축슬리브(20)와 전선(12)의 제2 고정압력에 의해 기계적 인장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압축슬리브(20)에서 코어(11)와 전선(12)이 고정되는 부분이 달라지므로, 케이블(10)의 인장력이 코어(11)와 전선(12)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슬리브(20)의 중심부가 케이블(10)의 인장력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어(11)와 전선(12)이 제1 수용홈부(22)와 제2 수용홈부(26)에 동시에 삽입된 후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를 일괄적으로 가압하면,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가 변형됨에 따라 코어(11)와 전선(12)이 압축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0)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 수용홈부(22)와 제2 수용홈부(26) 사이에는 제1 테이퍼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11)의 단부가 제1 테이퍼부(23)에 의해 삽입 위치가 가이드되므로, 코어(11)가 제1 수용홈부(2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 수용홈부(26)의 단부에는 제2 테이퍼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선(12)이 제2 테이퍼부(27)에 의해 삽입 위치가 가이드되므로, 전선(12)이 제2 수용홈부(2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0)과 압축슬리브(20)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는 복수의 개소씩 가압된다. 압축슬리브(20)의 외측면에는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가 가압됨에 따라 가압홈부(28)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의 복수의 개소에서 코어(11)와 전선(12)이 압축 고정되므로, 케이블(10)의 연결 부위에서 인장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는 절연 케이블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코어가 압축슬리브의 제2 수용홈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코어가 압축슬리브의 제1 수용홈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슬리브가 압축 다이스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케이블 인장기(미도시)가 전주(미도시) 사이에 위치된 케이블(10)을 지지한다. 케이블(10)을 절단기로 절단하면, 절단된 케이블(10)의 양단부가 케이블 인장기에 의해 부양된 상태를 유지한다. 케이블(10)의 양단부에서 전선(12)과 코어(11)가 노출되도록 피복(13)과 전선(12)을 절단한다. 이때, 일정 길이의 피복(13)을 먼저 벗겨내고, 복수의 전선(12)을 절단한다. 피복(13)이 없는 비절연 케이블(10)인 경우, 전선(12)을 일정 길이 절단한다.
코어(11)가 제1 압축부(21)의 제1 수용홈부(22)에 삽입되고, 복수의 전선(12)이 제2 압축부(25)의 제2 수용홈부(26)에 삽입된다.
이때, 제1 수용홈부(22)와 제2 수용홈부(26) 사이에는 제1 테이퍼부(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코어(11)가 제1 테이퍼부(23)에 의해 가이드됨에 따라 제1 수용홈부(2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홈부(26)의 단부에는 제2 테이퍼부(27)가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전선(12)이 제2 테이퍼부(27)에 의해 가이드됨에 따라 제2 수용홈부(2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코어(11)가 제1 압축부(21)에 압축 고정되도록 제1 압축부(21)를 가압하고, 복수의 전선(12)이 제2 압축부(25)에 압축 고정되도록 제2 압축부(25)를 가압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축 다이스(미도시)가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에 위치되고, 압축기(미도시)가 구동됨에 따라 압축 다이스가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를 가압한다. 이때,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가 압축 다이스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가 내측으로 변형되므로, 코어(11)와 복수의 전선(12)이 압착 고정된다.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가 압축 다이스에 의해 압축되므로, 코어(11)는 제1 압축부(21)에 의해 압축 고정되고, 복수의 전선(12)은 제2 압축부(25)에 의해 압축 고정된다. 코어(11)와 복수의 전선(12)이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에 의해 독립적으로 압축 고정되므로, 케이블(10)의 연결 부위에서 인장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는 복수의 개소씩 가압된다. 따라서, 제1 압축부(21)와 제2 압축부(25)의 복수의 개소에서 코어(11)와 전선(12)이 압축 고정되므로, 케이블(10)의 연결 부위에서 인장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슬리브(20)에서 코어(11)와 전선(12)이 고정되는 부분이 달라지므로, 케이블(10)의 인장력이 코어(11)와 전선(12)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슬리브(20)의 중심부가 케이블(10)의 인장력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축슬리브(20)에 케이블(10)의 양단부가 연결되면, 케이블 인장기가 케이블(10)에서 철거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블
11: 코어
12: 전선 13: 피복
13a,13b: 절연 피복층 14: 컴파운드
20: 압축슬리브 21: 제1 압축부
22: 제1 수용홈부 23: 제1 테이퍼부
25: 제2 압축부 26: 제2 수용홈부
27: 제2 테이퍼부 28: 가압홈부
12: 전선 13: 피복
13a,13b: 절연 피복층 14: 컴파운드
20: 압축슬리브 21: 제1 압축부
22: 제1 수용홈부 23: 제1 테이퍼부
25: 제2 압축부 26: 제2 수용홈부
27: 제2 테이퍼부 28: 가압홈부
Claims (8)
- 코어가 수용되도록 제1 수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를 압축 고정시키는 제1 압축부; 및
복수의 전선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연통되는 제2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홈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전선을 압축 고정시키는 제2 압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상기 제2 수용홈부 사이에는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홈부의 단부에는 제2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부와 상기 제2 압축부는 복수의 개소씩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 전선과 코어가 노출되도록 피복과 복수의 상기 전선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코어를 제1 압축부의 제1 수용홈부에 삽입하고, 상기 전선을 제2 압축부의 제2 수용홈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가 상기 제1 압축부에 압축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압축부를 가압하고, 복수의 상기 전선이 상기 제2 압축부에 압축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압축부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상기 제2 수용홈부 사이에는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홈부의 단부에는 제2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부와 상기 제2 압축부는 복수의 개소씩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2478A KR102121714B1 (ko) | 2018-08-30 | 2018-08-30 |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2478A KR102121714B1 (ko) | 2018-08-30 | 2018-08-30 |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5305A true KR20200025305A (ko) | 2020-03-10 |
KR102121714B1 KR102121714B1 (ko) | 2020-06-12 |
Family
ID=6980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2478A KR102121714B1 (ko) | 2018-08-30 | 2018-08-30 |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171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3815A (ko) * | 2018-03-28 | 2020-10-30 |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 |
KR20220166634A (ko) * | 2021-06-10 | 2022-12-19 | 한국전력공사 | 전선 연결용 슬리브 |
KR20230107034A (ko) | 2022-01-07 | 2023-07-14 | 한국전력공사 | 전선 연결 기구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54270B2 (ja) * | 1992-11-04 | 2002-02-04 |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 電線接続用圧縮スリーブ |
KR100659144B1 (ko) * | 2000-07-13 | 2006-12-18 | 아사히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 절연 커버 피복형 압축 슬리브 |
KR20090038665A (ko) * | 2007-10-16 | 2009-04-21 | (주)폴리코파워시스템 | 자기수축형 케이블 접속재, 자기수축형 케이블 접속유니트및 이를 사용한 케이블 접속방법 |
KR101366463B1 (ko) * | 2011-08-15 | 2014-02-21 | 디엠씨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 도체 가닥들에 의해 둘러싸인 코어를 갖는 전기 케이블을 위한 커넥터, 및 도체 가닥들에 의해 둘러싸인 코어를 갖는 전기 케이블에 커넥터를 부착하는 방법 |
KR20150053550A (ko) * | 2013-11-08 | 2015-05-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케이블 접속구조 및 케이블 압착방법 |
JP2018174099A (ja) * | 2017-03-31 | 2018-11-08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圧着端子用キャップ |
-
2018
- 2018-08-30 KR KR1020180102478A patent/KR1021217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54270B2 (ja) * | 1992-11-04 | 2002-02-04 |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 電線接続用圧縮スリーブ |
KR100659144B1 (ko) * | 2000-07-13 | 2006-12-18 | 아사히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 절연 커버 피복형 압축 슬리브 |
KR20090038665A (ko) * | 2007-10-16 | 2009-04-21 | (주)폴리코파워시스템 | 자기수축형 케이블 접속재, 자기수축형 케이블 접속유니트및 이를 사용한 케이블 접속방법 |
KR101366463B1 (ko) * | 2011-08-15 | 2014-02-21 | 디엠씨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 도체 가닥들에 의해 둘러싸인 코어를 갖는 전기 케이블을 위한 커넥터, 및 도체 가닥들에 의해 둘러싸인 코어를 갖는 전기 케이블에 커넥터를 부착하는 방법 |
KR20150053550A (ko) * | 2013-11-08 | 2015-05-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케이블 접속구조 및 케이블 압착방법 |
JP2018174099A (ja) * | 2017-03-31 | 2018-11-08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圧着端子用キャップ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3815A (ko) * | 2018-03-28 | 2020-10-30 |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 |
KR20220166634A (ko) * | 2021-06-10 | 2022-12-19 | 한국전력공사 | 전선 연결용 슬리브 |
KR20230107034A (ko) | 2022-01-07 | 2023-07-14 | 한국전력공사 | 전선 연결 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1714B1 (ko) | 2020-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1714B1 (ko) |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 | |
US10032544B2 (en) | Terminal treatment apparatus for a coaxial cable to separate a sheath from a conductor | |
CN110323581B (zh) | 带端子的电线 | |
KR20060120099A (ko) | 콜렛타입 스플라이스 및 데드엔드 피팅 | |
CN102986102A (zh) | 屏蔽电线的接地电缆连接结构 | |
JP5794434B2 (ja) | 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 | |
US20070054540A1 (en) | Method of connecting a cable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 |
US20200099203A1 (en)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electrical interconnection | |
JP6854144B2 (ja) | コネクタ | |
JP4864340B2 (ja) | 同軸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 | |
US10923834B1 (en) | Intermediate product and method for crimping an electrical conductor | |
KR102035453B1 (ko) |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 |
US3340351A (en) | Dead-end connector | |
JP2009054357A (ja) | シールド電線の端末接続構造ならびに端子付きシールド電線および端子付きシールド電線の製造方法 | |
EP3934039A1 (en) | Conductor connector and cable joint system | |
KR101709349B1 (ko) |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 |
JP7163142B2 (ja) | 中継電線 | |
KR102132558B1 (ko) | 계단형 콘넥터를 이용한 연선 케이블 연결 방법 | |
KR102692800B1 (ko) | 고전압 코어 전선용 커넥터 | |
KR102716222B1 (ko) | 전선 고정용 조인트 터미널 | |
KR102300074B1 (ko) |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 | |
JP2009048779A (ja) | 電線接続用c型スリーブ | |
KR100240747B1 (ko) | 광복합 전력 케이블의 광유니트 삽입형 도체 접속방법 | |
JP2017130254A (ja) | 電線の接続構造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 |
WO2020080077A1 (ja) | 複数の電線の接続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