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074B1 -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 - Google Patents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074B1
KR102300074B1 KR1020200032462A KR20200032462A KR102300074B1 KR 102300074 B1 KR102300074 B1 KR 102300074B1 KR 1020200032462 A KR1020200032462 A KR 1020200032462A KR 20200032462 A KR20200032462 A KR 20200032462A KR 102300074 B1 KR102300074 B1 KR 102300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cable
connecting material
semiconducting layer
clamp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정
Original Assignee
(주)디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디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32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6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lamping the armour of the condu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케이블과 접속재를 연결할 때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 간에 발생하는 공극을 없애 접속구간에서의 부분 방전을 방지함으로써 전력의 안전한 송배전을 보장할 수 있고 지중케이블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접속재의 단부에 삽입하여 연결할 때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두께에 따라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외주면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환설되어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와 상기 접속재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을 압착시켜 상기 공극을 없애는 압착클램프; 및 상기 압착클램프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압착클램프가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을 압착함에 따라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접착되어 상기 압착클램프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압착클램프의 압착력을 균일하게 분산하는 내부융착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접속재의 단부에 삽입하여 연결할 때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두께에 따라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외주면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탈피하여 상기 지중케이블의 도체와 절연체와 외부반도전층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도체와 상기 외부반도전층이 노출된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접속재의 단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된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측에 압착클램프를 설치하되, 상기 압착클램프의 내주면에 내부융착테이프를 부착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측에 설치된 상기 압착클램프의 직경을 조절하고 고정하여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을 상기 공극이 없도록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와 상기 압착클램프와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외부융착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방법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Air gap elimination device according to underground cable connection and air gap eli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중케이블과 접속재를 연결할 때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외주면과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 간에 발생하는 공극을 없애 접속구간에서의 부분 방전을 방지하고 완벽하게 수밀함으로써 전력의 안전한 송배전을 보장할 수 있고 지중케이블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케이블은 지중에서 전력에너지를 배전, 송전 및 인입할 수 있도록 지중에 소정깊이로 포설되어 있다.
이러한 지중케이블은 중심에 위치되는 도체와, 도체를 감싸는 내부반도전층과, 내부반도전층을 감싸는 절연체(XLPE)와, 절연체를 감싸는 외부반도전층과, 외부반도전층을 감싸는 내부수밀층(반도전성 부풀음 테이프)과, 내부수밀층을 감싸는 중성선과, 중성선을 감싸는 외부수밀층(비도전성 부풀음 테이프)과, 외부수밀층을 감싸 보호하는 피복체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지중케이블은 제조 환경에 따라 정해진 길이로만 제조됨에 따라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목적지까지 도달하도록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양단부를 직선구간이나 굴곡구간에서 직선접속재나 엘보접속재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지중케이블은 목적지까지 도달하면 종단부를 종단접속재를 사용하여 배전반이나 분전반의 터미널단자에 접속시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지중케이블은 엘보접속재를 사용하여 지상변압기(PAD S/W)나 지상개폐기(PAD T/R)에 접속시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지중케이블은 제조사마다 규격을 상이할 뿐만 아니라 동일 제품이더라도 품질 개선을 위해 규격의 변화가 생기면서 접속재 시공시 지중케이블의 단부 외주면과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과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게 된다.
즉, 지중케이블은 외부반도전층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으면 단부 외주면이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과 긴밀하게 밀착되지 않으면서 공극이 발생하게 되고, 외부반도전층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우면 단부가 의해 접속재의 단부가 벌어지면서 공극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지중케이블과 접속재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면 시공 직후에 수행하는 부분방전(PD, Partial Discharge) 진단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여 접속재를 다시 시공해야 한다.
그리고 부분방전 진단 시험을 통과하더라도 공극으로 인해 수밀되지 않아 공극을 통해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면서 수트리 현상과 전기트리 현상을 야기함으로써 절연체의 절연파괴를 초래하고 지중케이블을 손상시켜 정전사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두께 차이로 인한 접속재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을 없애 완벽한 수밀을 보장하여 부분방전 진단 시험을 통과할 수 있고 지중케이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9456호, 2005.03.31.자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21579호, 1999.05.15.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6863호, 2016.11.30.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지중케이블과 접속재의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으로 인한 부분방전을 해소하여 전력을 안정적으로 송배전할 수 있고 지중케이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는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접속재의 단부에 삽입하여 연결할 때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두께에 따라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외주면과 상기 접속재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환설되어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와 상기 접속재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을 압착시켜 상기 공극을 없애는 압착클램프; 및 상기 압착클램프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압착클램프가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을 압착함에 따라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접착되어 상기 압착클램프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압착클램프의 압착력을 균일하게 분산하는 내부융착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클램프에 의해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이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압착클램프와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외부융착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클램프는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환설되는 압착밴드; 상기 압착밴드의 일단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걸림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착밴드의 너비방향과 평행하게 연속해서 돌출 형성되는 삽입단; 상기 압착밴드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압착밴드의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을 상기 압착밴드의 너비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핀삽입공이 상기 걸림공간을 따라 형성되는 수용구; 상기 걸림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핀삽입공을 통해 상기 걸림공간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삽입단을 상기 수용구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핀; 및 상기 압착밴드의 타단 내측에 연장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압착밴드의 일단 내주면에 밀착되는 연장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클램프는 상기 압착밴드와 상기 연장밴드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결 형성되어 상기 내부융착테이프와 상기 외부융착테이프가 서로 융착되도록 하는 융착유도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방법은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접속재의 단부에 삽입하여 연결할 때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두께에 따라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외주면과 상기 접속재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피복하여 상기 지중케이블의 도체와 절연체와 외부반도전층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도체와 상기 외부반도전층이 노출된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접속재의 단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된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측에 압착클램프를 설치하되, 상기 압착클램프의 내주면에 내부융착테이프를 부착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측에 설치된 상기 압착클램프의 직경을 조절하고 고정하여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을 상기 공극이 없도록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와 상기 압착클램프와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외부융착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융착테이프가 부착된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와 상기 압착클램프와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절연테이프를 설치하여 상기 외부융착테이프의 형태를 잡아주고 절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압착클램프와, 압착클램프의 내주면에 부착된 내부융착테이프와, 압착클램프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내부융착테이프와 일체로 융착되는 외부융착테이프에 의해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접속재의 단부를 외측에서 다단으로 압착시겨 고정함에 따라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극을 완벽하게 없앨 수 있으므로 완벽한 수밀을 보장하고 부분 방전을 완전히 차단하여 전력을 안정적으로 송배전할 수 있고 지중케이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의 압착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의 압착클램프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접속재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은 지중케이블을 접속재로 연결할 때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의 두께 차이로 인해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 간에 발생하는 공극을 없애 완벽한 수밀을 보장하고 부분 방전을 방지함으로써 전력을 안정적으로 송배전할 수 있고 지중케이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지중케이블의 단부가 접속재의 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환설되고 압착력을 가하여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외주면과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에 공극을 없애는 압착클램프와, 압착클램프의 내주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권취되어 압착클램프의 위치를 고정하고 절연 처리하며 수밀을 강화하고 압착력을 높이는 내부융착테이프와, 압착클램프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압착클램프의 위치를 고정하고 절연 처리하고 수밀을 강화하고 압착력을 높이는 외부융착테이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는 지중케이블(C)의 단부를 접속재(J)의 단부에 소정깊이 삽입하여 연결할 때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 두께에 따라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접속재(J)의 단부 내주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클램프(100)와 내부융착테이프(200)와 외부융착테이프(300) 및 절연테이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재(J)의 단부라 함은 접속재(J)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고 내외경이 축소되어 지중케이블(C)의 단부가 삽입되는 접속재(J)의 입구단(I)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지중케이블(C)의 단부라 함은 지중케이블(C)의 도체(D)와 절연체(N)와 외부반도전층(S)의 일정부분이 노출된 부분이 될 수 있다. 즉, 지중케이블(C)의 단부는 일정부분 노출된 도체(D)와, 도체(D)의 노출 부분 끝에서 일정부분 노출된 절연체(N)와, 절연체(N)의 노출 부분 끝에서 일정부분 노출되는 외부반도전층(S)이 포함된 부분이 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압착클램프(100)는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이 삽입된 접속재(J)의 입구단(I) 외주면에 환설되어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접속재(J)의 입구단(I)을 외측에서 가압하여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접속재(J)의 입구단(I) 내주면을 압착시켜 공극을 없앨 수 있다.
즉, 압착클램프(100)는 작업자에 의해 접속재(J)의 입구단(I) 외측에 환설되고 내경이 조절되며 내경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접속재(J)의 입구단(I) 내주면을 압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압착클램프(100)는 압착밴드(110)와 삽입단(120)과 수용구(130)와 고정핀(140) 및 연장밴드(1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밴드(110)는 접속재(J)의 입구단(I) 외측에 둘러 설치되어 내주면이 접속재(J)의 입구단(I)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압착밴드(110)는 접속재(J)의 입구단(I)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단(120)은 압착밴드(1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걸림돌기(121)가 걸림공간(122)을 사이에 두고 압착밴드(110)의 너비방향과 평행하게 연속해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구(130)는 압착밴드(110)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고 삽입단(120)이 삽입되는 삽입홈(131)이 압착밴드(110)의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구(130)의 일측에는 삽입홈(131)을 압착밴드(110)의 너비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핀삽입공(132)이 걸림공간(122)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40)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걸림공간(12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핀삽입공(132)을 통해 걸림공간(122)에 각각 삽입되어 삽입단(120)을 수용구(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밴드(150)는 압착밴드(110)의 타단 내측에 압착밴드(110)와 대응되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외주면이 압착밴드(110)의 일단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연장밴드(150)는 수용구(130)의 너비보다 상대적은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압착클램프(100)는 압착밴드(110)를 접속재(J)의 입구단(I)에 환설한 상태에서 삽입단(120)을 수용구(130)의 삽입홈(131)에 삽입하여 접속재(J)의 입구단(I)을 압착밴드(110)와 연장밴드(150)로 압착시킨 후 고정핀(140)을 수용구(130)의 핀삽입공(132)을 통해 삽입단(120)의 걸림공간(122)에 삽입함으로써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접속재(J)의 입구단(I) 내주면을 압착시켜 공극을 없앨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융착테이프(200)는 압착클램프(100)의 압착밴드(110)와 연장밴드(150)의 내주면에 접착되어 압착클램프(100)가 접속재(J)의 입구단(I) 외주면에 환설될 때 압착클램프(100)와 접속재(J)의 입구단(I)의 사이에서 압착클램프(100)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압착클램프(100)와 접속재(J)의 입구단(I)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내부융착테이프(200)는 접착력을 가지고 자기 스스로 융착되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내부융착테이프(200)는 두 겹 이상으로 감더라도 경계면이 사라진 형태로 자기 스스로 융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융착테이프(200)는 압착클램프(100)의 내주면에 끊어짐 없이 연속적으로 일체 융착될 수 있도록 연장밴드(150)의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에 의해 연장밴드(150)와 접촉되지 않는 수용구(130)의 내주면 양측 가장자리에도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융착테이프(200)는 압착클램프(100)의 내주면과 접속재(J)의 입구단 외주면을 감싸 절연시키면서 압착클램프(100)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접착됨으로써 압착클램프(10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압착클램프(100)를 내측에서 보호하며 압착클램프(100)의 압착력이 접속재(J)의 입구단(I)에 가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융착테이프(200)는 수밀 성능을 강화하고 압착력을 발휘하며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압력으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압착클램프(100)의 압착밴드(110)와 연장밴드(150)의 내주면에 접착될 수 있다.
단, 내부융착테이프(200)의 내주면에는 내부융착테이프(200)를 보호하고 내부융착테이프(200)의 접착력을 유지하며 취급이 용이하도록 이형지(220)가 탈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융착테이프(300)는 압착클램프(100)에 의해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접속재(J)의 입구단(I) 내주면이 압착된 상태에서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압착클램프(100)와 접속재(J)의 입구단(I)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융착테이프(300)는 내부융착테이프(200)와 동일하게 접착력을 가지고 자기 스스로 융착되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융착테이프(300)는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압착클램프(100)와 접속재(J)의 입구단(I) 외주면을 감싸 절연시키면서 압착클램프(100)를 외측에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압착클램프(100)의 압착밴드(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융착유도홀(111)이 너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절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착유도홀(111)은 내부융착테이프(200)를 압착클램프(100)의 외측으로 노출시키고 외부융착테이프(300)를 압착클램프(100)의 내측으로 노출시킴으로써 내부융착테이프(200)와 외부융착테이프(300)를 경계면 없이 서로 일체로 융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부융착테이프(200)와 외부융착테이프(3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유도홀(111)을 통해 일부가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노출되면서 서로 접촉하여 일체로 융착되는 융착결속부(210, 310)가 형성됨으로써 압착클램프(10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접속재(J)의 입구단(I) 내주면의 사이가 완벽하게 수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절연테이프(400)는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압착클램프(100)와 접속재(J)의 입구단(I) 외주면에 외부융착테이프(300)를 완전히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절연테이프(400)는 PVC 재질이고 일면에 접착제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절연테이프(400)는 지중케이블(C)과 접속재(J)의 연결 부위를 완벽하게 절연시킬 수 있고 외부융착테이프(300)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외부융착테이프(300)의 형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방법은 공극 소거 장치를 이용하여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접속재(J)의 단부 내주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케이블 탈피 단계(S100)와 지중케이블 삽입 단계(S200)와 압착클램프 설치 단계(S300)와 외부융착테이프 권취 단계(S400) 및 절연테이프 권취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지중케이블 탈피 단계(S100)는 지중케이블(C)의 단부를 탈피하여 도체(D)와 외부반도전층(S)을 노출시키는 공정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케이블(C)의 단부에서 내부반도전층과 절연체(N)와 외부반도전층(S)과 내부수밀층과 외부수밀층과 피복체를 차례대로 탈피할 수 있다.
이때 피복체를 가장 긴 길이로 탈피하고, 외부수밀층을 피복체보다 짧은 길이로 탈피하며, 내부수밀층을 외부수밀층보다 짧은 길이로 탈피하고, 외부반도전층(S)을 절연체(N)보다 짧은 길이로 탈피하며, 절연체(N)를 외부반도전층(S)보다 짧은 길이로 탈피하고, 내부반도전층을 절연체(N)와 동일한 길이로 각각 탈피할 수 있다.
그러면 지중케이블(C)의 단부는 도체(D)와 절연체(N)와 외부반도전층(S)이 위치 차이를 두고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중케이블 삽입 단계(S200)는 지중케이블(C)의 단부를 접속재(J)의 입구단(I)에 삽입하는 공정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 외주면과 접속재(J)의 삽입단(I) 내주면이 서로 접하면서 일정길이 서로 겹쳐지도록 지중케이블(C)의 단부를 접속재(J)의 삽입단(I)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지중케이블(C)의 단부를 접속재(J)의 입구단(I)에 삽입할 때는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이 일정길이만큼 접속재(J)의 입구단(I) 내측에 수용되도록 삽입할 수 있다.
단, 지중케이블(C)의 단부를 접속재(J)의 입구단(I)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지중케이블(C)의 도체(D)와 절연체(N)와 외부반도전층(S) 외주면에 실리콘 재질의 그리스(grease)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그리고 지중케이블(C)의 단부를 접속재(J)의 입구단(I)에 삽입한 후에는 지중케이블(C)의 단부를 다른 압착슬리브(L)를 통해 지중케이블(C)의 단부와 연결하거나 터미널러그와 연결할 수 있다.
즉, 지중케이블(C)의 단부를 접속재(J)를 통해 다른 지중케이블의 단부와 접속시킬 때는 지중케이블(C)의 도체(D)에 다른 지중케이블의 도체를 압착슬리브(L)로 압착시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지중케이블(C)의 단부를 접속재(J)를 통해 배전반이나 분전반의 터미널단자와 접속시킬 때는 지중케이블(C)의 도체(D) 단부에 터미널러그를 압착시켜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압착클램프 설치 단계(S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케이블(C)의 단부를 접속재(J)의 입구단(I) 내측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접속재(J)의 입구단(I) 외측에 압착클램프(100)를 설치하여 압착하는 공정이다.
이를 위해 압착클램프 설치 단계(S300)는 압착클램프 환설 단계와, 압착클램프 직경 조절 단계 및 압착클램프 직경 고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클램프 환설 단계는 압착클램프(100)를 접속재(J)의 입구단(I) 외주면에 환설하는 공정이다. 즉, 압착밴드(110)와 연장밴드(150)를 접속재(J)의 입구단(I) 외주면을 감싸도록 환설한다.
상기 압착클램프 직경 조절 단계는 압착클램프(100)의 직경을 조절하여 접속재(J)의 입구단(I)을 압착시켜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 외주면과 접속재(J)의 입구단(I) 내주면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공정이다. 즉, 삽입단(120)을 수용구(130)의 삽입홈(131)에 삽입한 후 그 삽입 깊이를 조절하여 압착밴드(110)와 연장밴드(150)가 접속재(J)의 입구단(I)을 압착하도록 한다.
상기 압착클램프 직경 고정 단계는 접속재(J)의 입구단(I)을 압착하는 압착클램프(100)의 직경을 고정시켜 압착클램프(100)를 접속재(J)의 입구단(I)에 고정하는 공정이다. 즉, 수용구(130)의 핀삽입공(132)에 각각 고정핀(140)을 삽입하여 삽입단(120)이 수용구(130)에서 이탈하지 않게 고정함으로써 압착클램프(100)의 직경을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압착클램프(100)는 압착밴드(110)와 연장밴드(150)의 내주면에 내부융착테이프(200)가 접착된 상태이므로 내부융착테이프(200)는 압착클램프(100)의 압착력에 의해 접속재(J)의 입구단(I)과 압착클램프(100)의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그러면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접속재(J)의 입구단(I) 내주면의 사이를 완벽하게 수밀시키고 압착클램프(100)를 접속재(J)의 입구단(I) 외주면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융착테이프 권취 단계(S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케이블(C)의 단부와 압착클램프(100)와 접속재(J)의 입구단(I) 외주면에 외부융착테이프(300)를 권취하여 부착하는 공정이다.
이때 외부융착테이프(300)를 권취할 때 수밀 성능을 강화하고 압착력을 발휘하며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압력을 가하여 팽팽하게 당기면서 권취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융착테이프(300)는 일부가 압착클램프(100)의 융착유도홀(111)을 통해 내부융착테이프(200)의 일부와 일체로 융착되면서 압착클램프(1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지중케이블(C)의 외부반도전층(S)과 접속재(J)의 입구단(I)을 더욱 강하게 압착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절연테이프 권취 단계(S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융착테이프(300)가 부착된 지중케이블(C)의 단부와 압착클램프(100)와 접속재(J)의 단부 외주면에 절연테이프를 권취하여 부착하는 공정이다.
그러면 절연테이프(400)는 외부융착테이프(300)를 감싸 보호하며 외부융착테이프(300)의 권취 형태를 잡아주며 절연 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이때 절연테이프(400)는 외부융착테이프(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외부융착테이프(300)의 권취 범위보다 더 넓은 권취 범위로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테이프(400)를 권취할 때도 절연 성능을 강화하고 압착력을 발휘하며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압력을 가하여 팽팽하게 당기면서 권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압착클램프
110: 압착밴드
111: 융착유도홈
120: 삽입단
121: 걸림돌기
122: 걸림공간
130: 수용구
131: 삽입홈
132: 핀삽입공
140: 고정핀
150: 연장밴드
200: 내부융착테이프
210: 융착결속부
220: 이형지
300: 외부융착테이프
310: 융착결속부
400: 절연테이프
C: 지중케이블
D: 도체
N: 절연체
S: 외부반도전층
J: 접속재
I: 입구단
L: 압착슬리브

Claims (6)

  1.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접속재의 단부에 삽입하여 연결할 때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두께에 따라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외주면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환설되어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와 상기 접속재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을 압착시켜 상기 공극을 없애는 압착클램프;
    상기 압착클램프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압착클램프가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을 압착함에 따라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접착되어 상기 압착클램프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압착클램프의 압착력을 균일하게 분산하는 내부융착테이프; 및
    상기 압착클램프에 의해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이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압착클램프와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외부융착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클램프는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환설되는 압착밴드;
    상기 압착밴드의 일단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걸림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착밴드의 너비방향과 평행하게 연속해서 돌출 형성되는 삽입단;
    상기 압착밴드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압착밴드의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을 상기 압착밴드의 너비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핀삽입공이 상기 걸림공간을 따라 형성되는 수용구;
    상기 걸림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핀삽입공을 통해 상기 걸림공간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삽입단을 상기 수용구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핀; 및
    상기 압착밴드의 타단 내측에 연장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압착밴드의 일단 내주면에 밀착되는 연장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클램프는
    상기 압착밴드와 상기 연장밴드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결 형성되어 상기 내부융착테이프와 상기 외부융착테이프가 서로 융착되도록 하는 융착유도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5.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접속재의 단부에 삽입하여 연결할 때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두께에 따라 상기 지중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외주면과 상기 접속재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탈피하여 상기 지중케이블의 도체와 절연체와 외부반도전층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도체와 상기 외부반도전층이 노출된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접속재의 단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된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측에 압착클램프를 설치하되, 상기 압착클램프의 내주면에 내부융착테이프를 부착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측에 설치된 상기 압착클램프의 직경을 조절하고 고정하여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 외부반도전층과 상기 접속재의 단부 내주면을 상기 공극이 없도록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와 상기 압착클램프와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외부융착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융착테이프가 부착된 상기 지중케이블의 단부와 상기 압착클램프와 상기 접속재의 단부 외주면에 절연테이프를 설치하여 상기 외부융착테이프의 형태를 잡아주고 절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방법.
KR1020200032462A 2020-03-17 2020-03-17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 KR102300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462A KR102300074B1 (ko) 2020-03-17 2020-03-17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462A KR102300074B1 (ko) 2020-03-17 2020-03-17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074B1 true KR102300074B1 (ko) 2021-09-08

Family

ID=7778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462A KR102300074B1 (ko) 2020-03-17 2020-03-17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0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136U (ja) * 1991-09-30 1993-05-25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仮油止め装置
KR0121579Y1 (ko) 1995-01-12 1999-05-15 김봉주 고압선로용 케이블의 직선접속재
KR100479456B1 (ko) 2002-10-31 2005-03-31 한국전력공사 수분침투 억제용 지중 전력케이블
KR20160136863A (ko) 2015-05-21 2016-11-30 한국전력공사 지중송전 케이블의 열화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7938B1 (ko) * 2018-08-07 2019-07-04 이경우 고무부트를 이용한 잠수함용 케이블 결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결선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136U (ja) * 1991-09-30 1993-05-25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仮油止め装置
KR0121579Y1 (ko) 1995-01-12 1999-05-15 김봉주 고압선로용 케이블의 직선접속재
KR100479456B1 (ko) 2002-10-31 2005-03-31 한국전력공사 수분침투 억제용 지중 전력케이블
KR20160136863A (ko) 2015-05-21 2016-11-30 한국전력공사 지중송전 케이블의 열화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7938B1 (ko) * 2018-08-07 2019-07-04 이경우 고무부트를 이용한 잠수함용 케이블 결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결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0964A (en) Adaptor for a high voltage cable
US4842553A (en) Method and assembly for terminating a conductive polymer-shielded coaxial electrical cable
RU2493643C2 (ru) Сборка для сращи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с экранирующей оплеткой
JP5158754B2 (ja) 光ケーブルシールド層接続部
US4079189A (en) High voltage cable splice
CZ298397A3 (cs) Způsob nasunutí a polohování elastických součástí v podobě pouzdra na válcovém nebo kuželovitém základním tělese a zařízení k jeho provádění
WO2007113307A1 (en) Retention ferrule for cable connector
EP1611655B1 (en) Cable sleeve
EP2510582B1 (en) Biasing connector
US6591055B1 (en) Sheath bonding arrangement for fiber optic cable splices
KR20110123906A (ko)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KR100863715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US2876274A (en) Shielded electric connector
KR102386729B1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상기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JP6859198B2 (ja) 異種シールド接続方法
JPH0432509B2 (ko)
CN117374619B (zh) 一种防水电缆
KR102300074B1 (ko) 지중케이블 접속에 따른 공극 소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극 소거 방법
US5769665A (en) Backshell adapter cable connection assembly and method for grounding braided cable sheathings
CA2396844C (en) Coupling element for mounting to a shielded electrical cabl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to a cable
CN109155510B (zh) 作为分线盒备件的布置结构以及用于安装该布置结构的方法
KR20000022477A (ko) 다심 라운드 케이블을 탈피하지 않고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RU2190913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для силового кабеля с изоляцией из сшитого полиэтилена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муфты
US5519171A (en) Wire splice enclosure
JP2015072884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