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428A - 기포, 제트룸 및 기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포, 제트룸 및 기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428A
KR20200108428A KR1020207019993A KR20207019993A KR20200108428A KR 20200108428 A KR20200108428 A KR 20200108428A KR 1020207019993 A KR1020207019993 A KR 1020207019993A KR 20207019993 A KR20207019993 A KR 20207019993A KR 20200108428 A KR20200108428 A KR 20200108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roller
yarn
contact pressure
var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459B1 (ko
Inventor
다모츠 아리치
히로노리 신카이
요시히로 가와하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73Tensile streng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66Control or handling of the weft at or after arrival
    • D03D47/308Stretching or holding th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44Automatic stop motions acting on defective operation of loom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Air Bags (AREA)
  • Looms (AREA)

Abstract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100×표준 편차/평균값)이 3.0% 이하이고,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100×표준 편차/평균값)가 4.0 이하인, 기포.

Description

기포, 제트룸 및 기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기포, 제트룸 및 기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작은 고품질의 기포, 그러한 기포를 제조할 때에 발생하는 섬유 부스러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트룸 및 기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제트룸에 의해 제직할 때에 생산 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위사 인출 속도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트룸에 있어서의 측장량(타입하는 위사의 길이)은 직기가 설치된 측장 장치로 행하여지고 있다. 노즐로부터 위사를 내보내는 상류측에 있어서, 측장 장치는 피드 롤러와 측장 롤러의 2개의 롤러에 의해 위사를 협지하고, 그 후 노즐을 향하여 위사를 송출한다.
그런데, 제트룸 등의 직기는, 송출, 개구, 위사 삽입, 바디질, 권취 등의 공정을 일체적으로 행한다. 그 때문에 위사 삽입 시에, 바디질 시의 진동 등이 전파되어 상기 2개의 롤러에 의한 위사의 협지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피드 롤러의 요동(점핑)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7-7540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웨이브 워셔 등을 구비함으로써, 단지 진동을 발산시켜서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측장 롤러는 여러가지 사이즈가 있고, 또한 계속하여 사용함으로써 마모되기도 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장치에서는 여러가지 사이즈의 측장 롤러가 사용되는 경우에, 측장 롤러에 대한 피드 롤러의 압접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어, 충분히 피드 롤러의 요동(점핑)을 억제할 수 없다. 따라서, 얻어지는 기포는 위사 방향에 있어서의 강력이나 신도가 변동되기 쉬워, 품위가 저하되기 쉽다. 또한, 협지하는 힘이 일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사가 노즐로부터 타출되기 때문에, 직기의 가동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기포의 폭을 크게 초과하는 길이의 위사를 타출해야만 하여 많은 잉여를 발생시키기 쉽다. 그 때문에, 폐기해야 할 섬유 부스러기의 양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작은 고품질의 기포, 그러한 기포를 제조할 때에 발생하는 섬유 부스러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트룸 및 기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기포는,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100×표준 편차/평균값)이 3.0% 이하이고,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100×표준 편차/평균값)가 4.0 이하인, 기포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기포는, 패브릭부와, 상기 패브릭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소정 폭의 식서를 포함하고, 상기 식서를 포함하는 폭 방향의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100×표준 편차/평균값)가 3.0% 이하이고, 상기 식서를 포함하는 폭 방향의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100×표준 편차/평균값)가 4.0 이하인, 기포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기포는,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패브릭부와, 상기 패브릭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소정 폭의 식서를 포함하고, 상기 식서는 위사가 비어져 나온 술을 갖고, 상기 술의, 상기 기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변동 계수 CV3(100×표준 편차/평균값)이 8.0% 이하인, 기포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제트룸은, 개구한 경사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하는 위사 공급 노즐에 위사를 공급하는 측장 장치와, 접압 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측장 장치는, 위사 장력 유지용의 위사 협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위사 협지 기구는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구동되는 제1 롤러와, 이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롤러에 대하여 압접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제2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접압 조정 부재는, 상기 제1 롤러에 대한 상기 제2 롤러의 접압을 조정하고, 가동 중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축의 상기 고정축 방향으로의 요동폭을 5 내지 600㎛로 조정하기 위한 부재인, 제트룸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기포의 제조 방법은, 개구한 경사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하는 위사 공급 노즐에 위사를 공급하는 측장 장치와, 접압 조정 부재와, 위사 삽입 시의 위사의 도달측 패그엔드(fag end)에서, 위사 비주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위사 장력 부여 부재를 구비하는 제트룸을 사용하고, 위사를 개구한 상기 경사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할 때에,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구동되는 제1 롤러와, 이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롤러에 대하여 압접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제2 롤러를 구비하는 위사 장력 유지용의 위사 협지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압 조정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롤러에 대한 상기 제2 롤러의 접압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이동축의 상기 고정축 방향으로의 요동폭을 5 내지 600㎛로 조정하는 공정, 및 위사 삽입 시의 위사 도달측 패그엔드에서, 상기 위사 장력 부여 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이 0.4 내지 1.2cN/dtex가 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기포의 제조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제트룸에 있어서 위사 삽입을 행할 때에 주로 가동하는 각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제트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제트룸에 있어서 얻어지는 위사 삽입 시의 위사 장력과 직기의 크랭크 각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기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기포는,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100×표준 편차/평균값)이 3.0% 이하이고,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100×표준 편차/평균값)가 4.0 이하이다. 이러한 기포는, 강력 및 신도 모두 변동이 작고 고품위이다.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100×표준 편차/평균값)은 3.0% 이하이면 되고,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변동 계수 CV1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변동 계수 CV1의 하한은, 제직 전의 원사의 시점에서 강력에 약간의 변동이 있는 것을 고려하면 0.5% 이상이어도 되고,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동 계수 CV1이 3.0%를 초과하는 경우, 제직 시의 직기의 가동이 저하됨과 함께, 기포의 품위가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변동 계수 CV1은 기포의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분해 실 강도를 20점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분해한 실의 강도는 JIS 섬유 L1013 8.5.1 「화학 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100×표준 편차/평균값)는 4.0% 이하이면 되고,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변동 계수 CV2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변동 계수 CV2의 하한은 제직 전의 원사의 시점에서 신도에 약간의 변동이 있는 것을 고려하면 1.0% 이상이어도 되고,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동 계수 CV2가 4.0%를 초과하는 경우, 제직 시의 직기의 가동이 저하됨과 함께, 기포의 품위가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변동 계수 CV2는 기포의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분해 실 신도를 20점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분해한 실의 신도는 JIS 섬유 L1013 8.5.1 「화학 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포는, 특히 패브릭부와, 패브릭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소정 폭의 식서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식서를 포함하는 폭 방향의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100×표준 편차/평균값)가 3.0% 이하이고, 식서를 포함하는 폭 방향의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100×표준 편차/평균값)가 4.0 이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식서를 포함하는 폭 방향의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100×표준 편차/평균값)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변동 계수 CV1'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변동 계수 CV1'의 하한은, 제직 전의 원사의 시점에서 강도에 약간의 변동이 있는 것을 고려하면 0.1% 이상이어도 되고,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동 계수 CV1'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제직 시의 직기의 가동이 저하됨과 함께, 기포의 품위가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변동 계수 CV1'는 기포의 폭 방향 5.0㎝의 가장자리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분해 실 강도를 20점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변동 계수 CV1을 산출할 때의 샘플링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샘플링 위치는 「기포의 폭 방향 5.0㎝의 가장자리」 이외에도, 기포의 폭 방향 5.0 내지 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채취한 시료여도 된다. 또한, 분해한 실의 강도는 JIS 섬유 L1013 8.5.1 「화학 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자리」란, 직물의 폭 방향에서 가장 외측의 경사와 위사로 형성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식서를 포함하는 폭 방향의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100×표준 편차/평균값)는 4.0% 이하이면 되고,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변동 계수 CV2'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변동 계수 CV2'의 하한은, 제직 전의 원사의 시점에서 신도에 약간의 변동이 있는 것을 고려하면 1.0% 이상이어도 되고,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동 계수 CV2'가 4.0% 이하인 것에 의해, 기포 품위가 좋고, 균일한 물성의 기포가 얻어져서 설계대로의 쿠션 특성을 얻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변동 계수 CV2'는 기포의 길이 방향 5.0㎝의 가장자리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분해 실 강도를 20점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포는 특히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패브릭부와, 패브릭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소정 폭의 식서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식서는 위사가 비어져 나온 술을 갖고 있으며, 술의, 상기 기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변동 계수 CV3(100×표준 편차/평균값)이 8.0% 이하여도 된다.
이 경우, 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변동 계수 CV3(100×표준 편차/평균값)은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변동 계수 CV3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변동 계수 CV3의 하한은, 제직 전의 원사의 시점에서 강도·신도에 약간의 변동이 있고, 술 형성 직후의 위사의 폭 방향 중앙부로의 수축량 변동을 고려하면, 0.1% 이상이어도 되고,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동 계수 CV3이 8.0% 이하인 것에 의해, 기포 품위가 좋고, 균일한 물성의 기포가 얻어져서 설계대로의 쿠션 특성을 얻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변동 계수 CV3은 기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는 연속한 각각의 위사의 술에 대해서, 술의 길이를 50점 연속으로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기포를 구성하는 원료(섬유)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기포를 사용하여 제작해야 할 제품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섬유는 비교적 섬도가 작아도 되고, 중간 정도여도 되고, 커도 된다. 이하,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기포를 사용하여 섬도가 가는 섬유를 사용하여 박지 직물이 제작되는 경우, 및 중간 정도 섬도의 섬유를 사용하여 에어백용 기포가 제작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박지 직물이 제작되는 경우
기포는, 적어도 직물의 경사 또는 위사의 일부에, 총 섬도가 5 내지 30dtex인 열가소성 합성 섬유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합성 섬유는 경사 및 위사의 양쪽에 사용되어도 된다.
열가소성 합성 섬유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열가소성 합성 섬유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등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나 이들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등이 예시된다.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나일론6, 나일론66 및 제3 성분을 공중합한 것 등이 예시된다. 폴리올레핀계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 열가소성 합성 섬유는 특히 내열성, 염색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연함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아미드계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포는, 일부에 열가소성 합성 섬유 이외의 섬유가 사용되어도 된다.
기포가 박지 직물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열가소성 합성 섬유의 분자량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구성하는 폴리머의 분자량은 통상 점도로 나타낼 수 있다. 그 때문에, 열가소성 합성 섬유의 폴리머는 고점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경우에는, 고유 점도[η]는 0.6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고유 점도[η]는 1.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유 점도[η]는 오르토클로로페놀 중, 1중량%로 측정한 극한 점도를 말한다. 고유 점도[η]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박지 직물 등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가는 실 섬도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여도, 상기한 강력 및 신도의 변동 계수의 범위가 달성되기 쉽다. 특히, 고유 점도[η]가 0.65 이상인 것에 의해, 실 강도, 실의 마모 강도가 커지고, 특히 단사 섬도가 가는 실을 직물로 한 경우의 인열 강도, 마모 강도도 충분하게 될 수 있다. 한편, 고유 점도[η]가 1.3 이하인 것에 의해, 기포로 한 경우에 질감이 딱딱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경우에는, 상대 점도가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6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대 점도는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대 점도는, 85.5% 특급 농황산 중에 중합체 농도가 1.0g/dl의 농도로 폴리머 또는 프리폴리머를 용해하고 25℃에서 오스트발트 점도계를 사용하여, 용액 상대 점도를 측정한 것을 말한다. 상대 점도가 2.5 이상인 것에 의해, 실 강도, 실의 마모 강도가 커지고, 특히 섬도가 가는 실을 직물로 한 경우의 인열 강도, 마모 강도가 충분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대 점도가 3.5 이하인 것에 의해, 기포로 한 경우에 질감이 딱딱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기포가 박지 직물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경사 또는 위사의 일부에 사용되는 섬유의 총 섬도는 3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dtex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총 섬도는 70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dtex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총 섬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박지 직물은 두께가 적절하고, 튼튼하며, 또한 딱딱해지기 어렵다.
단사 섬도는 0.5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7dtex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단사 섬도는 6.0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dtex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사 섬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박지 직물은, 저통기도이며, 또한 유연한 감촉이 얻어지기 쉽다.
섬유의 단사 단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 섬유의 단섬유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원형 단면 이외에도 편평 단면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편평한 단면의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직물로 했을 때의 섬유의 높은 밀도에서의 충전이 가능하게 되어 직물 중의 단섬유 사이에 차지하는 공극이 작아져, 동일한 직물 조직이면, 동등 섬도의 원형 단면사를 사용한 경우보다 통기량을 작게 억제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편평 단면의 형상에 대해서는, 단섬유의 단면 형상을 타원에 근사했을 때, 그의 긴 직경(D1)과 짧은 직경(D2)의 비(D1/D2)로 정의되는 편평율이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편평율은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평 단면 형상으로서는, 기하학적으로 참인 타원형 외에도 예를 들어 직사각형, 마름모형 또는 견형이어도 되고, 좌우 대칭 외에도 좌우 비대칭형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을 조합한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단면 형상은 상기를 기본형으로 하여, 돌기나 오목부 혹은 부분적으로 중공부가 있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이 W형 단면, V형 단면 섬유인 것에 의해, 섬유는 기포로 한 경우에 벽돌 쌓기 구조로 배치되고, 최밀 충전과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어, 단사와 단사의 간극이 작아져 통기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섬유는 W형 단면 등 편평 형상의 단사인 것에 의해, 실에 의한 굽힘 응력의 저감 효과 때문에 질감이 유연한 기포가 얻어지기 쉽다.
또한, W 단면, V 단면, 안경형 단면 등의 이형 단면 섬유이며, 홈(즉 단사 단면에 오목부)을 갖는 형상의 경우, 섬유는 기포로서의 흡한 속건성이 우수하고, 땀을 흘려도 뽀송뽀송한 의료용 기포, 이부자리 측지 등에 적합하다.
기포가 박지 직물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기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15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기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12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기포를 스포츠 의료나 이부자리 측지, 특히 다운 재킷이나 깃털 이부자리의 측지로서 사용했을 때에 튼튼하며, 또한 경량감을 느끼기 쉽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의 조직은, 본 실시 형태에서 규정하는 기포가 얻어지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박지 직물에 사용되는 경우, 기포의 조직은 평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포의 직밀도는 수지 가공되거나, 수지 가공되지 않거나, 또한 직사의 섬도 등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일례를 들면, 평조직의 경우, 커버팩터는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팩터는 3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커버팩터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저통기도, 유연성, 솔기 어긋남, 경량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기포의 커버팩터란, 사조 섬도의 평방근과 1인치당의 사조수의 곱의 값에 대해서, 경사와 위사 각각에서 산출하고, 그것을 합계한 합을 말한다. 즉, 직물의 커버팩터(CF)는 경사 총 섬도를 Dw(dtex), 위사 총 섬도를 Df(dtex), 경사의 직밀도를 Nw(개/2.54㎝), 위사의 직밀도를 Nf(개/2.54㎝)로 했을 때,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CF=(Dw)1/2×Nw+(Df)1/2×Nf
본 실시 형태의 기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이 3.0% 이하이고,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가 4.0 이하이다. 그 때문에, 기포는 강력 및 신도 모두 변동이 작고, 고품위이다. 또한, 이러한 기포는,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의 염색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운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강도 및 신도의 변동이 작기 때문에, 염색 시에 염색 불균일을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기포는 예를 들어 박지 직물을 사용한 일반 의료, 스포츠 의료, 의료 자재, 카펫, 소파, 커튼 등의 인테리어 제품, 카시트 등의 차량 내장품, 화장품, 화장품 마스크, 와이핑 클로스, 건강용품 등의 생활 용도나 필터, 유해 물질 제거 제품 등의 환경·산업 자재 용도에 있어서 적합하다.
·에어백이 제작되는 경우
기포는, 그 지부(ground part)가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로 구성되어도 된다. 합성 섬유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합성 섬유는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아라미드계 섬유, 레이온계 섬유, 폴리술폰계 섬유, 혹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 섬유 등이다. 이들 중에서도, 합성 섬유는 대량 생산성이나 경제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섬유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2, 나일론46이나, 나일론6과 나일론66의 공중합 폴리아미드, 나일론6에 폴리알킬렌글리콜, 디카르복실산, 아민 등을 공중합시킨 공중합 폴리아미드 등을 포함하는 섬유가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나일론6 섬유, 나일론66 섬유는 강도가 특히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섬유가 예시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산 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이나, 아디프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공중합시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섬유여도 된다.
이들 합성 섬유에는, 방사·연신 공정이나 가공 공정에서의 생산성, 혹은 특성 개선을 위해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평활제, 대전 방지제, 가소제, 증점제, 안료, 난연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도 된다.
합성 섬유의 단섬유의 단면 형상은 원형 단면이어도 되고, 원형 단면 이외에도 편평 단면이어도 된다. 편평한 단면의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직물로 했을 때의 섬유의 높은 밀도에서의 충전이 가능하게 되어 직물 중의 단섬유 사이에 차지하는 공극이 작아져, 동일한 직물 조직이면, 동등 섬도의 원형 단면사를 사용한 경우보다도, 에어백 용도에서 요구되는 통기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편평 단면의 형상에 대해서는, 단섬유의 단면 형상을 타원에 근사시켰을 때에 그의 긴 직경(D1)과 짧은 직경(D2)의 비(D1/D2)로 정의되는 편평율이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편평율은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평 단면 형상으로서는, 기하학적으로 참인 타원형 외에도 직사각형, 마름모형 또는 견형 등이어도 되고, 좌우 대칭 외에도 좌우 비대칭형이어도 된다. 또한, 편평 단면 형상은 이들의 조합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단면 형상은 상기를 기본형으로 하여, 돌기나 오목부 혹은 부분적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기포가 에어백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기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11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기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4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30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기포를 에어백용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튼튼하며, 또한 통기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는, 통상은 동일한 합성 섬유사가 경사 및 위사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합성 섬유사가 경사 및 위사로서 사용되는」이란, 경사·위사 모두 동종의 폴리머를 포함하고, 경사·위사 모두 동일한 단사 섬도를 갖고, 또한 경사·위사 모두 동일한 총 섬도를 갖는다고 하는 것이다. 동종의 폴리머란, 나일론66끼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끼리 등, 폴리머의 주된 반복 단위가 공통되는 폴리머끼리인 것을 말한다. 일례를 들면, 호모폴리머와 공중합 폴리머의 조합이어도,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동종의 폴리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나아가, 공중합 성분의 유무, 또한 공중합하는 경우에는 공중합 성분의 종류, 양도 동일한 조합이면, 경사와 위사를 구별할 필요가 없어 생산 관리상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포의 지부사(ground yarn)로서 사용되는 합성 섬유사의 단섬유 섬도는 1 내지 7dtex의 합성 섬유 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사 섬도가 7dtex 이하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기포 중의 단섬유 사이에 차지하는 공극이 작아져, 섬유의 충전화 효과가 보다 한층 향상된다. 그 결과, 기포는 통기량이 저하되기 쉽다. 또한, 단사 섬도가 7dtex 이하인 것에 의해, 합성 섬유 필라멘트의 강성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 때문에, 얻어지는 기포를 사용한 에어백은 수납성이 향상되기 쉽다.
직물의 지부사로서 사용되는 합성 섬유사의 총 섬도는 100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dtex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총 섬도는 1000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dtex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총 섬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기포는 강도, 통기도 및 활탈 저항력이 우수하다. 또한, 얻어지는 기포를 사용한 에어백은, 수납 시의 컴팩트성이나 저통기성이 유지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섬도는 JIS L 1013:2010 8.3.1 A법에 의해, 소정 하중 0.045cN/dtex로 정량 섬도가 측정되는 값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가 에어백용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기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인장 강도는, 에어백 기포용 직물로서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을 충족하는 점과 제사 조업면에서, 경사 및 위사 모두 8.0cN/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3cN/dtex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인장 강도는 9.0cN/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7cN/dtex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장 강도는 JIS L 1096:8.15.5 D법(벤쥬람법(Benjuram method))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의 조직은, 본 실시 형태에서 규정하는 기포가 얻어지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에어백에 사용되는 경우, 기포의 조직은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는 관점에서 평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포의 직밀도는 수지 가공되거나, 수지 가공되지 않거나, 또한 직사의 섬도 등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일례를 들면, 커버팩터는 1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팩터는 28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커버팩터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기포는 저통기성과 고활탈 저항력이 양립되기 쉽다. 또한, 커버팩터의 정의는 박지 직물에 사용되는 경우에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가 에어백용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기포의 조직은 평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의 조직은, 기포에 대한 요구 특성 등에 따라 사문직, 주자직 등이어도 되고, 직물 조직에 따라 힐드 통과순, 바디에의 통과 개수가 적절히 결정된다.
기포 폭은 1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기포 폭은 2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포 폭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기포는 에어백을 제조할 때의 재단 시의 손실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포 폭」이란, 식서를 제외한 기포의 패브릭부의 폭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이 3.0% 이하이고,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가 4.0 이하이다. 그 때문에, 기포는 강력 및 신도 모두 변동이 작고, 고품위이며, 예를 들어 에어백용의 기포로서 적합하다.
<제트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제트룸은 기포를 제직하기 위한 제트룸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제트룸에 있어서 위사 삽입을 행할 때에 주로 가동하는 각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제트룸(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또한, 도 2에는 설명의 명료화를 위해서, 도 1에 도시되는 위사 노즐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는 구성이 생략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트룸은, 개구한 경사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하는 위사 공급 노즐(4)에 위사를 공급하는 측장 장치(2)와, 접압 조정 부재(3)와,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은 위사 삽입 시에 주로 구동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룸(1)은 경사 공급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어,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경사(1a)와, 경사(1a)가 통과되는 바디(1b)와, 바디(1b)의 하류측에 배치된 템플 장치(1c)와, 바디(1b)와 템플 장치(1c) 사이에 배치된 위사 공급 노즐(4)과, 위사 공급 노즐(4)로부터 경사(1a)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절히 풀어내지고, 경사(1a) 사이에 위사 삽입되는 위사(1d)와, 바디(1b)에 의해 템플 장치(1c)의 방향으로 타입되는 위사(1d)를 절단하기 위한 위사 커터(1e)를 주로 구비한다. 위사 공급 노즐(4)에 의해 타입되는 위사(1d)는 도달측 패그엔드에서, 위사 비주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장력 부여 부재(1f)에 의해 파지되어, 바디(1b)에 의한 바디질이 종료될 때까지 적절한 위사 장력이 유지된다. 위사 공급 노즐(4)은 위사(1d)를 공급할 때에 고압력수나 압축 공기 등의 유체의 분사를 이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고압력수를 이용하는 제트룸(워터 제트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트룸은, 특히 상기 접압 조정 부재(3)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트룸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 기포를 제직하기 위한 제트룸으로서 적합하다.
먼저, 본 실시 형태의 설명 전에, 일반적인 제트룸이 갖는 과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제트룸은, 위사 공급 노즐(4)로부터 경사(1a)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절히 풀어내고, 개구한 경사(1a)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한다. 위사 삽입된 위사(1d)는 바디(1b)에 의해 바디질됨과 함께, 양단부가 절단된다. 일반적으로, 제트룸은 이들 일련의 동작이 고속으로 연동한다. 제트룸의 회전수는 예를 들어 500rp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700rpm이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바디질 시의 진동은, 다른 구성 부위(예를 들어 측장 장치(2)) 등에도 전파된다. 이러한 진동의 전파는 회전수가 600rpm을 초과하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장 장치(2)는 위사 장력 유지용의 위사 협지 기구(5)를 구비한다. 이 위사 협지 기구(5)는 측장 롤러(51)(제1 롤러의 일례)와, 피드 롤러(52)(제2 롤러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측장 롤러(51)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롤러이며, 고정축(5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한편, 피드 롤러(52)는 고정되어 있지 않은 이동축(5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이며, 측장 롤러(51)와 접함으로써, 위사(1d)를 협지하고 있다. 측장 롤러(51)의 크기 및 회전수에 따라 소정 길이의 위사(1d)가 측장 밴드(6)에 권취되고, 이어서 위사 공급 노즐(4)에 보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디질 등의 진동이 전파하면, 측장 롤러(51)에 대하여 피드 롤러(52)가 부상하는 경우(점핑)가 있다. 그렇게 하면, 접압 조정 부재(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종래의 제트룸에 있어서, 피드 롤러(52) 및 측장 롤러(51)는 적절하게 위사(1d)를 협지할 수 없어, 소정 길이의 위사(1d)가 정확하게 권취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피드 롤러(52)는 계속하여 사용됨으로써 마모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에 의해서도, 측장 롤러(51)에 대한 피드 롤러(52)의 압접력이 변화하여, 적절하게 위사(1d)를 협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 결과, 접압 조정 부재(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종래의 제트룸은, 기포의 폭보다도 어느 정도 여분의 길이의 위사(1d)를 측정하여 취하고, 위사 공급 노즐(4)에 공급할 필요가 있었다. 즉, 위사 공급 노즐(4)은 기포의 폭보다도 어느 정도 긴 위사(1d)를 공급하고, 그 후 위사(1d)의 단부를 절단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절단되는 위사(1d)의 단부의 길이가 길어, 많은 섬유 부스러기를 발생시켰다.
또한, 이렇게 여분의 길이의 위사(1d)를 공급했다고 해도, 소정 길이의 위사(1d)가 정확하게 권취되지 않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위사 공급 노즐(4)로부터 날려지는 위사(1d)는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이나,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이 커져서, 얻어지는 기포의 품위가 좋지 않았다. 또한. 단부가 절단됨으로써 형성되는 술의 길이에도 큰 변동을 발생시켜서, 상기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이나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의 한 요인이 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제트룸은 측장 롤러(51)에 대한 피드 롤러(52)의 접압을 조정하고, 가동 중에 있어서의 이동축(54)의 고정축(53) 방향으로의 요동폭을 5 내지 600㎛로 조정하기 위한 접압 조정 부재(3) 및 위사 삽입 시의 위사 파지에 의한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을 0.4 내지 1.2cN/dtex로 조정하기 위한 장력 부여 부재(1f)를 구비한다.
접압 조정 부재(3)는 피드 롤러(52)가 설치된 이동축(54)에 접속되는 일단부와, 제트룸의 일부이며, 피드 롤러(52)의 근방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구비하는 비교적 긴 부재이다. 접압 조정 부재(3)는 피드 롤러(52)가 측장 롤러(51)에 압접되도록, 이동축(54)을 측장 롤러(51)측으로 인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압 조정 부재(3)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접압 조정 부재(3)는 적합하게는 측장 롤러(51)에 대한 피드 롤러(52)의 접압을 조정하기 위한 인장 스프링(가압 부재의 일례, 도시하지 않음)과 그 인장 스프링의 설치 길이를 조정하는 부재(가압 부재의 일례, 도시하지 않음), 바디질 등의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진동 흡수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진동 흡수 부재는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부위이며,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불소 고무, 우레탄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수소화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로필렌 고무, 아크릴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고분자 재료나 스프링 댐퍼, 가스 스프링, 유압 댐퍼 등의 댐퍼 기구로 구성하는 부위이다. 진동 흡수 부재는, 접압 조정 부재(3)의 다른 부위(특히 인장 스프링이나, 이동축(54)에 접속된 일단부 부분)에의 진동의 전파를 억제한다. 접압 조정 부재(3)의 본체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압 조정 부재(3)의 본체는 제트룸으로부터의 진동에 견딜 수 있고, 또한 피드 롤러(52)에 압접될 수 있을 정도의 강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를 들면, 본체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 크롬몰리브덴강, 알루미늄 합금 등이다.
접압 조정 부재(3)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피드 롤러(52)는 측장 롤러(51)에 대한 압접력이 적절하게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트룸의 가동 중에 있어서의 이동축(54)의 고정축(53) 방향으로의 요동폭이 5 내지 600㎛가 되도록 조정된다. 또한, 요동폭은 5㎛ 이상이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요동폭은 600㎛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0㎛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요동폭이 5㎛ 미만인 경우, 롤러 마모가 현저하게 마모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요동폭이 600㎛를 초과하는 경우, 제트룸은 측장 롤러(51)에 대한 피드 롤러(52)의 접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소정 길이의 위사(1d)가 정확하게 권취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요동폭은 측장 롤러(51)에 대하여 피드 롤러(52)가 진동에 의해 부상할 때의 거리를 말한다.
위사 장력 부여 부재(1f)는, 위사 삽입 시의 위사의 도달측 패그엔드에서, 위사 비주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다. 위사 장력 부여 부재(1f)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b)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플레이트 부재와, 이들 플레이트 부재에 대향하는 부분에 슬릿이 형성된 부재를 포함한다. 위사는 바디질되었을 때에,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위사의 선단이 슬릿에 압입된다. 이에 의해, 위사는 장력이 부여된다.
위사 장력 부여 부재(1f)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위사 장력 부여 부재(1f)의 소재는 위사에 과도한 장력이 부여되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재와 위사가 접하는 개소에 배껍질 무늬 가공, 요철 가공, 조면화 가공, 널링 가공 등이 실시되어도 된다.
장력 부여 부재(1f)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은 0.4 내지 1.2cN/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내지 1.0cN/dtex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장력 부여 부재(1f)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이 0.4cN/dtex 미만인 경우, 위사의 파지가 불충분해져서 직기 가동 불량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장력 부여 부재(1f)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이 1.2cN/dtex를 초과하는 경우, 위사에 과도하게 장력이 가해져 직물로서 수축이나 줄무늬와 같은 품위 불량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제트룸에 있어서 얻어지는 위사 삽입 시의 위사 장력과 직기의 크랭크 각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위사 장력 부여 부재(1f)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은, 직기 크랭크 각도가 330 내지 360°부근에 발생하는 피크 장력을 말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의 제트룸은 측장 장치(2)에 있어서, 측장 롤러(51)와 피드 롤러(52)에 의해 위사(1d)를 적절한 접압으로 협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만약 가령 측장 롤러(51)의 치수 등이 변경된 경우에도, 접압 조정 부재(3)는 측장 롤러(51)에 대한 피드 롤러(52)의 접압이 일정해지도록 유지한다. 그 결과, 위사 공급 노즐(4)에는 위사(1d)가 균일하게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트룸은 위사 장력 부여 부재(1f)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위사 장력 부여 부재(1f)에 의해 위사 삽입 시의 위사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고, 또한 바디질이 종료될 때까지 적절한 위사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작은 고품질의 기포가 얻어짐과 함께, 위사 삽입 시에 발생하는 섬유 부스러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기포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개구한 경사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하는 위사 공급 노즐에 위사를 공급하는 측장 장치와, 접압 조정 부재와, 위사 삽입 시의 위사의 도달측 패그엔드에서, 위사 비주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위사 장력 부여 부재를 구비하는 제트룸을 사용한다. 기포의 제조 방법은, 위사를 개구한 경사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할 때에,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구동되는 측장 롤러와, 이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측장 롤러에 대하여 압접됨으로써 측장 롤러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피드 롤러를 구비하는 위사 장력 유지용의 위사 협지 기구에 있어서, 접압 조정 부재에 의해 측장 롤러에 대한 피드 롤러의 접압을 조정함으로써, 이동축의 고정축 방향으로의 요동폭을 5 내지 600㎛로 조정하는 공정, 및 위사 삽입 시의 위사 도달측 패그엔드에서, 상기 위사 장력 부여 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이 0.4 내지 1.2cN/dtex로 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포의 제조 방법은, 이러한 접압을 조정하여 위사 삽입을 행하는 공정을 채용하고 있는 것 이외에는, 종래의 기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채용되는 다른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포의 제조 방법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 기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합하다.
즉, 먼저, 합성 섬유 필라멘트사가 경사 및 위사로서 사용되고, 직물 설계에 준한 섬도의 경사를 정경하여 직기에 건다. 마찬가지로 위사가 준비된다. 경사 및 위사에 사용되는 합성 섬유 필라멘트사조는 동일한 것인 것이 기포의 품질상, 후속 공정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제트룸은 워터 제트룸을 사용하는 것이 제직 시의 경사 보풀의 발생이 작고, 또한 고속 제직이 비교적 용이하고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장력은 50cN/개 이상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cN/개 이상으로 조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 장력은 250cN/개 이하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cN/개 이하로 조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경사 장력이 상기 범위 내로 조정되는 경우, 직물을 구성하는 멀티필라멘트사의 실 다발 중의 단섬유 사이의 공극이 감소되기 쉬워, 얻어지는 기포의 통기량이 저감되기 쉽다. 또한, 위사의 타입 후에, 상기 장력이 가해진 경사가 위사를 눌러 구부림으로써 위사 방향의 직물의 조직 구속력이 높여지기 쉽고, 직물의 항 솔기 슬립성이 향상되어 에어백으로서 주머니체를 형성할 때의 봉제 부분의 솔기 슬립에 의한 공기 누설이 억제되기 쉽다. 경사 장력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직기의 경사 송출 속도를 조정하는 방법이나, 위사의 타입 속도를 조정하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 또한, 경사 장력이 제직 중에 실제로 상기 범위 내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직기 가동 중에 경사 빔과 백 롤러의 중간에 있어서, 경사 1개당에 가해지는 장력을 장력 측정기로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사 개구에 있어서의 윗실 시트 장력과 아랫실 시트 장력에 차가 생기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백 롤러 높이를 일반적으로 수평 위치로부터, 예를 들어 10 내지 30㎜ 높은 위치에 설치하거나 하여, 윗실의 주행선 길이와 아랫실의 주행선 길이에 차를 생기게 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또한, 윗실의 장력과 아랫실의 장력에 차를 생기게 하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개구 장치에 캠 구동 방식을 채용하고, 윗실·아랫실의 편측 드웰각을 다른 쪽보다도 100도 이상 크게 취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이어서, 상기한 제트룸이 사용되고, 개구, 위사 삽입, 바디질, 권취 등이 연동하여 행하여진다. 이때, 본 실시 형태의 기포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트룸이 측장 장치에 있어서, 피드 롤러와 측장 롤러에 의해 위사를 적절한 접압으로 협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만약 가령 측장 롤러의 치수 등이 변경된 경우에도, 접압 조정 부재는 측장 롤러에 대한 피드 롤러의 접압이 일정해지도록 유지한다. 그 결과, 위사 공급 노즐에는 위사가 균일하게 공급된다. 이에 의해,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작은 고품질의 기포가 얻어짐과 함께, 위사 삽입 시에 발생하는 섬유 부스러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은 위사 삽입 시에 있어서 상기한 제트룸이 사용되는 것 이외에는, 모두 통상의 방법으로 행하여진다.
본 실시 형태의 직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공정 후에 필요에 따라 정련, 열 세팅 등의 가공 공정이 채용되어도 된다. 특히 에어백 용도 등의 작은 통기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얻어진 기포는 기포 표면에 수지 등이 도포되어도 되고, 필름을 첩부한 코팅 천으로 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기포로부터 에어백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에어백은 기포를 재단 패턴에 따라서 재단하고, 주머니상으로 봉제하고, 인플레이터 등의 부속 기기를 설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얻어지는 에어백은 운전석용, 조수석용 및 뒷좌석용, 측면용, 무릎용, 천장용 에어백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얻어지는 에어백은 특히 큰 구속력이 요구되는 운전석용, 조수석용 에어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기포의 재단은 통상, 수지 가공된 직물을 복수매 적층하고, 나이프에 의한 펀칭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논코팅 기포의 경우에는, 나이프에 의한 펀칭 재단에서는 재단품의 끝이 해어지기 쉬우므로, 통상 레이저 커터에 의해 1매씩 재단된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는 상기 제트룸이 사용되는 것에 의해, 술의 길이가 균일해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포는 설계대로의 형상으로 재단되기 쉽고, 봉제도 용이하다. 그 결과, 얻어지는 에어백은 에어백으로서의 형태가 설계대로이며, 또한 정확한 형태로 마무리될 수 있고, 높은 파열 강도를 갖는 등 기능적으로 우수하다. 또한, 에어백에 사용된 기포는 술의 길이가 균일하기 때문에, 폐기되는 섬유 부스러기의 양이 적어 비용적으로도 유리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 발명을 주로 설명하는 것이다.
(1)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100×표준 편차/평균값)이 3.0% 이하이고,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100×표준 편차/평균값)가 4.0 이하인, 기포.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포는 강력 및 신도 모두 변동이 작고, 고품위이다. 또한, 이러한 기포는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염색시에 염색 불균일을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기포는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작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에어백용의 기포로서 적합하다.
(2) 패브릭부와, 상기 패브릭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소정 폭의 식서를 포함하고, 상기 식서를 포함하는 폭 방향의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100×표준 편차/평균값)가 3.0% 이하이고, 상기 식서를 포함하는 폭 방향의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100×표준 편차/평균값)가 4.0 이하인, 기포.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포는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발생하기 쉬운 식서에 있어서까지도 강력 및 신도 모두 변동이 작고, 극히 고품위이다.
(3)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패브릭부와, 상기 패브릭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소정 폭의 식서를 포함하고, 상기 식서는 위사가 비어져 나온 술을 갖고, 상기 술의, 상기 기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변동 계수 CV3(100×표준 편차/평균값)이 8.0% 이하인, 기포.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포는, 기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술의 길이가 균일하다. 즉, 기포는 균일한 장력으로 위사가 타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포는 제직 시의 위사가 타출되는 길이도 일정해서, 잉여가 되는 섬유 부스러기를 발생하기 어렵다.
(4) 에어백용인,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기포.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포는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작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에어백용의 기포로서 적합하다.
(5) 개구한 경사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하는 위사 공급 노즐에 위사를 공급하는 측장 장치와, 접압 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측장 장치는, 위사 장력 유지용의 위사 협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위사 협지 기구는,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구동되는 제1 롤러와, 이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롤러에 대하여 압접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제2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접압 조정 부재는, 상기 제1 롤러에 대한 상기 제2 롤러의 접압을 조정하고, 가동 중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축의 상기 고정축 방향으로의 요동폭을 5 내지 600㎛로 조정하기 위한 부재인, 제트룸.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트룸은 측장 장치에 있어서, 제1 롤러와 제2 롤러에 의해 위사를 적절한 접압으로 협지할 수 있다. 만약 가령 제1 롤러의 치수 등이 변경된 경우에도, 접압 조정 부재는, 제1 롤러에 대한 제2 롤러의 접압이 일정해지도록 유지한다. 그 결과, 위사 공급 노즐에는 위사가 균일하게 공급된다. 이에 의해,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작은 고품질의 기포가 얻어짐과 함께, 위사 삽입 시에 발생하는 섬유 부스러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6) 상기 접압 조정 부재는, 상기 제1 롤러에 대한 상기 제2 롤러의 접압을 조정하기 위한 가압 부재와, 제트룸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진동 흡수 부재를 구비하는, (5)에 기재된 제트룸.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롤러에 대한 제2 롤러의 접압은 가압 부재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되기 쉽다. 또한, 바디질 등에 관련하여 전파되는 진동은 진동 흡수 부재에 의해 적절하게 흡수되기 쉽다. 그 결과, 위사 공급 노즐에는 위사가 보다 균일하게 공급된다. 이에 의해,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보다 작은 고품질의 기포가 얻어짐과 함께, 위사 삽입 시에 발생하는 섬유 부스러기의 양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7) 위사 삽입 시의 위사의 도달측 패그엔드에서, 위사 비주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위사 장력 부재를 구비하는 (5) 또는 (6)에 기재된 제트룸.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위사 삽입 시의 위사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고, 또한 바디질이 종료될 때까지 적절한 위사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보다 작은 고품질의 기포가 얻어지는 것과 함께, 위사 삽입 시에 파생하는 섬유 부스러기의 양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8) 개구한 경사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하는 위사 공급 노즐에 위사를 공급하는 측장 장치와, 접압 조정 부재와, 위사 삽입 시의 위사의 도달측 패그엔드에서, 위사 비주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위사 장력 부여 부재를 구비하는 제트룸을 사용하고, 위사를 개구한 상기 경사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할 때에,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구동되는 제1 롤러와, 이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롤러에 대하여 압접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제2 롤러를 구비하는 위사 장력 유지용의 위사 협지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압 조정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롤러에 대한 상기 제2 롤러의 접압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이동축의 상기 고정축 방향으로의 요동폭을 5 내지 600㎛로 조정하는 공정, 및 위사 삽입 시의 위사 도달측 패그엔드에서, 상기 위사 장력 부여 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이 0.4 내지 1.2cN/dtex가 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기포의 제조 방법.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트룸은 측장 장치에 있어서, 제1 롤러와 제2 롤러에 의해 위사를 적절한 접압으로 협지할 수 있다. 만약 가령 제1 롤러의 치수 등이 변경된 경우에도, 접압 조정 부재는 제1 롤러에 대한 제2 롤러의 접압이 일정해지도록 유지한다. 그 결과, 위사 공급 노즐에는 위사가 균일하게 공급된다. 또한 위사 삽입 시의 위사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고, 또한 바디질이 종료될 때까지 적절한 위사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작은 고품질의 기포가 얻어짐과 함께, 위사 삽입 시에 발생하는 섬유 부스러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한 각종 물성값은, 이하에 기재하는 측정법에 의한 것이다.
[측정 방법]
(1) 총 섬도
JIS L 1013(2010) 8.3.1 B법에 나타나는 방법에 의해, 정량 섬도를 측정하여 총 섬도로 하였다.
(2) 필라멘트수
JIS L 1013(1999) 8.4의 방법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3) 실의 강도 및 신도
JIS L1013(2010) 8.5.1 표준시 시험에 나타나는 정속 신장형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시료를 오리엔테크사제 "텐실론"(TENSILON) UCT-100을 사용하고, 그립 간격은 25㎝, 인장 속도는 30㎝/분으로 행하였다. 또한, 신도는 S-S 곡선에 있어서의 최대 강력을 나타낸 점의 신장으로부터 구하였다.
(4) 커버팩터
경사 또는 위사에 사용되는 실의 총 섬도와 직밀도로부터 계산되는 값이며, 이하의 식 (1)에 의해 정의하였다. 또한, 식 (1)에 있어서 Dw는 경사 총 섬도(dtex)이며, Df는 위사 총 섬도(dtex)이며, Nw는 경사의 직밀도(개/2.54㎝)이며, Nf는 위사의 직밀도(개/2.54㎝)이다.
CF=(Dw×)1/2×Nw+(Df×)1/2×Nf …(1)
(5) 경사·위사의 직밀도(경사 밀도 및 위사 밀도)
JIS L 1096:(1999) 8.6.1에 기초하여, 시료를 평평한 받침대 상에 두고, 부자연스러운 주름이나 장력을 제거하고, 기포의 폭 방향의 중앙부의 다른 5군데에 대하여 2.54㎝ 구간의 경사 및 위사의 개수를 세고,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6) 인장 강력
JIS K 6404-3 6. 시험 방법 B(스트립법)에 기초하여, 경사 방향 및 위사 방향 각각에 대해서, 기포의 폭 방향으로 5등분한 영역으로부터 시험편을 5매 채취하고, 폭의 양측으로부터 실을 제거하여 폭 30㎜로 하고, 정속 긴장형의 시험기로 그립 간격 150㎜, 인장 속도 200㎜/분으로 시험편이 절단될 때까지 인장하였다. 그 절단에 이르기까지의 최대 하중을 측정하고, 경사 방향 및 위사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7) 파단 신도
JIS K 6404-3 6. 시험 방법 B(스트립법)에 기초하여, 경사 방향 및 위사 방향 각각에 대해서, 직물의 폭 방향으로 5등분한 영역으로부터 시험편을 5매 채취하고, 폭의 양측으로부터 실을 제거하여 폭 30㎜로 하고, 이들 시험편의 중앙부에 100㎜ 간격의 표선을 두고, 정속 긴장형의 시험기로 그립 간격 150㎜, 인장 속도 200㎜/분으로 시험편이 절단될 때까지 인장하고, 절단에 이를 때의 표선 간 거리를 읽어들이고, 하기 식에 의해 파단 신도를 산출하고, 경사 방향 및 위사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E=[(L-100)/100]×100
(식 중, E는 파단 신도(%)이며, L은 절단 시의 표선 간의 거리(㎜)임)
(8) 통기도
기포의 식서단으로부터 10㎝를 제외한 양쪽 식서의 끝으로부터, 약 20㎝×20㎝의 시험편을 기포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5장의 시험편을 채취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양쪽 식서 각 5군데에 대한 평균값이 큰 쪽을 통기도로 하였다.
(9)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
기포의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위사의 분해 실 강도를 20점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로부터 산출하였다. 분해한 실의 강도는 JIS 섬유 L1013 8.5.1 「화학 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10)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
기포의 폭 방향 중앙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위사의 분해 실 신도를 20점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로부터 산출하였다. 분해한 실의 신도는 JIS 섬유 L1013 8.5.1 「화학 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11) 술 길이 변동 계수
노기스를 사용하여 롤 가장자리의 술의 길이를 기포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50점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로부터 산출하였다.
(12) 피드 롤러 최대 요동폭
(주)키엔스제, 고속·고정밀도 CCD 레이저 변위계 LK-G35를 사용하여, 직기 운전 시의 피드 롤러 수직 방향 최대 요동폭을 측정하였다.
(13) 위사 비주 피크 장력
인텍(주)제, P/C 대응형 텐션미터 TN-8을 사용하여, 직기 운전 시의 위사 비주 장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경사 및 위사)
경사 및 위사로서, 나일론66를 포함하고,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단섬유 섬도가 6.53dtex인 단섬유 72필라멘트로 구성되고, 총 섬도 470dtex이며, 강도 8.5cN/dtex, 신도 23%이며 무꼬임의 합성 섬유 필라멘트를 준비하였다.
(정경·비머 공정)
상기 경사를 사용하고, 정경기로 정경 시트 장력 40g/개, 비머로 비머 시트 75g/개로 경사 빔을 제작하였다.
(제직 공정)
상기 경사 빔 및 상기 위사를 사용하고, 워터 제트룸을 사용하여, 경사의 직밀도가 51.2개/2.54㎝, 위사의 직밀도가 51.0개/2.54㎝인 기포를 제직하였다. 경사 장력을 100g/개로 조정하고, 직기 회전수를 730rpm으로 하였다. 측장 장치에는 접압 조정 부재를 사용하여, 측장 장치의 피드 롤러의 진동을 억제하고, 피드 롤러와 측장 롤러가 압접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 접압 조정 지그는, 측장 롤러에 대한 피드 롤러의 접압을 조정하기 위한 가압 부재와, 제트룸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진동 흡수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위사 도달측 패그엔드에는, 한 쌍의 장력 부여 부재를 사용하여, 위사 삽입 시의 위사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고, 또한 바디질이 종료될 때까지 적절한 위사 장력을 유지하였다. 또한 이 장력 부여 부재를 구성하는 바디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플레이트 부재에는 요철 가공을 실시한 것을 채용하였다. 기포의 제직 중에 피드 롤러의 진동을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기포의 술 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 제직 중의 피드 롤러의 최대 요동폭은 179㎛이며, 장력 부여 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은 1.02cN/dtex였다(정련 및 열 세팅).
이어서, 얻어진 기포를 65℃에서 정련하고, 핀 텐터 건조기를 사용하여 폭입률 0%, 오버 피드율 0%의 치수 규제 하에서, 120℃ 내지 180°에서 1분간의 열 세팅 가공을 실시하였다.
(코팅 공정)
이어서 이 직물을 플로팅 나이프 코터로, 점도 50Pa·s의 무용제계 실리콘 수지를 표면에 25g/㎡가 되도록 코팅을 행한 후, 190℃에서 1분간 가황 처리를 행하여 에어백용 직물을 얻었다.
<실시예 2>
표 1에 기재된 제직 조건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기포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코팅 공정은 행하지 않았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 제직 중의 피드 롤러의 최대 요동폭은 200㎛이며, 장력 부여 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은 1.15cN/dtex였다.
<실시예 3>
표 1에 기재된 제직 조건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기포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코팅 공정은 행하지 않았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 제직 중의 피드 롤러의 최대 요동폭은 148㎛이며, 장력 부여 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은 0.44cN/dtex였다.
<비교예 1>
접압 조정 부재 대신에, 인장 스프링을 사용하여 피드 롤러를 측장 롤러에 압접시키고, 장력 부여 부재를 구성하는 바디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플레이트 부재에 경면(연마) 가공을 실시한 것 이외에는, 표 1에 기재된 제직 조건으로 변경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기포를 제작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1에 있어서, 제직 중의 피드 롤러의 최대 요동폭은 711㎛이며, 장력 부여 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은 1.23cN/dtex였다.
<비교예 2>
표 1에 기재된 제직 조건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기포를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코팅 공정은 행하지 않았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2에 있어서 제직 중의 피드 롤러의 최대 요동폭은 685㎛이며, 장력 부여 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은 1.61cN/dtex였다.
<비교예 3>
장력 부여 부재를 구성하는 바디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플레이트 부재에 경면(연마) 가공을 실시한 이외에는, 표 1에 기재된 제직 조건으로 변경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기포를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예 3에 있어서 제직 중의 피드 롤러의 최대 요동폭은 594㎛이며, 장력 부여 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은 1.52cN/dtex였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이 3.0% 이하이고, 또한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가 4.0% 이하였던 실시예 1 내지 3의 기포는 모두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작은 고품위의 기포이며, 또한 피드 롤러의 요동폭을 작게 억제할 수 있었던 것이나 위사 장력 부여 부재에 의한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었던 것으로부터, 제조 시에 발생하는 섬유 부스러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한편, 적어도,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이 3.0%를 초과했거나, 또는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가 4.0%를 초과한 비교예 1 내지 3의 기포는, 모두 강력 및 신도의 변동이 크고, 또한 피드 롤러의 요동폭이 커진 것이나 위사 장력 부여 부재에 의한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이 커졌기 때문에, 제조 시에 발생하는 섬유 부스러기의 양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없다고 생각되었다.
1: 제트룸
1a: 경사
1b: 바디
1c: 템플 장치
1d: 위사
1e: 위사 커터
1f: 장력 부여 부재
2: 측장 장치
3: 접압 조정 부재
4: 위사 공급 노즐
5: 위사 협지 기구
51: 측장 롤러
52: 피드 롤러
53: 고정축
54: 이동축
6: 측장 밴드

Claims (8)

  1.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100×표준 편차/평균값)이 3.0% 이하이고,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100×표준 편차/평균값)가 4.0 이하인, 기포.
  2. 패브릭부와, 상기 패브릭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소정 폭의 식서를 포함하고,
    상기 식서를 포함하는 폭 방향의 위사 방향 분해 실 강력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1'(100×표준 편차/평균값)가 3.0% 이하이고,
    상기 식서를 포함하는 폭 방향의 위사 방향 분해 실 신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 계수 CV2'(100×표준 편차/평균값)가 4.0 이하인, 기포.
  3.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패브릭부와, 상기 패브릭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소정 폭의 식서를 포함하고,
    상기 식서는, 위사가 비어져 나온 술을 갖고,
    상기 술의, 상기 기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변동 계수 CV3(100×표준 편차/평균값)이 8.0% 이하인, 기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어백용인, 기포.
  5. 개구한 경사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하는 위사 공급 노즐에 위사를 공급하는 측장 장치와, 접압 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측장 장치는, 위사 장력 유지용의 위사 협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위사 협지 기구는,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구동되는 제1 롤러와,
    이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롤러에 대하여 압접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제2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접압 조정 부재는,
    상기 제1 롤러에 대한 상기 제2 롤러의 접압을 조정하고, 가동 중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축의 상기 고정축 방향으로의 요동폭을 5 내지 600㎛로 조정하기 위한 부재인, 제트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압 조정 부재는,
    상기 제1 롤러에 대한 상기 제2 롤러의 접압을 조정하기 위한 가압 부재와,
    제트룸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진동 흡수 부재를 구비하는, 제트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위사 삽입 시의 위사의 도달측 패그엔드(fag end)에서, 위사 비주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위사 장력 부재를 구비하는, 제트룸.
  8. 개구한 경사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하는 위사 공급 노즐에 위사를 공급하는 측장 장치와, 접압 조정 부재와, 위사 삽입 시의 위사의 도달측 패그엔드에서, 위사 비주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위사 장력 부여 부재를 구비하는 제트룸을 사용하고,
    위사를 개구한 상기 경사군의 사이에 위사 삽입할 때에,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구동되는 제1 롤러와, 이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롤러에 대하여 압접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제2 롤러를 구비하는 위사 장력 유지용의 위사 협지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압 조정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롤러에 대한 상기 제2 롤러의 접압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이동축의 상기 고정축 방향으로의 요동폭을 5 내지 600㎛로 조정하는 공정, 및 위사 삽입 시의 위사 도달측 패그엔드에서, 상기 위사 장력 부여 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위사 비주 피크 장력이 0.4 내지 1.2cN/dtex가 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기포의 제조 방법.
KR1020207019993A 2018-01-26 2018-12-10 기포, 제트룸 및 기포의 제조 방법 KR102601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11415 2018-01-26
JP2018011415 2018-01-26
PCT/JP2018/045366 WO2019146286A1 (ja) 2018-01-26 2018-12-10 基布、ジェットルームおよび基布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428A true KR20200108428A (ko) 2020-09-18
KR102601459B1 KR102601459B1 (ko) 2023-11-14

Family

ID=6739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993A KR102601459B1 (ko) 2018-01-26 2018-12-10 기포, 제트룸 및 기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346024B2 (ko)
EP (1) EP3744887B1 (ko)
JP (1) JP7388191B2 (ko)
KR (1) KR102601459B1 (ko)
CN (1) CN111655915B (ko)
MX (1) MX2020007083A (ko)
PH (1) PH12020500620A1 (ko)
WO (1) WO20191462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2808B (zh) * 2021-07-06 2024-02-20 常州宏大智能装备产业发展研究院有限公司 定型机织物超喂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7886U (ko) * 1991-01-22 1992-08-25
US5425399A (en) * 1993-04-16 1995-06-20 Nissan Texsys Co., Ltd. Weft picking system for jet loom with device for deforming a weft yarn slackened portion
JP2003147663A (ja) * 2001-11-12 2003-05-21 Toray Ind Inc フィラメント織物の製造方法
JP2012086385A (ja) * 2010-10-15 2012-05-10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カーカス材料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のカーカス材料
JP2017075408A (ja) 2015-10-12 2017-04-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貯留装置
WO2017159583A1 (ja) * 2016-03-16 2017-09-21 東洋紡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コーティング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7790U (ko) * 1981-04-09 1982-10-22
JPH0768658B2 (ja) * 1986-05-15 1995-07-26 旭化成工業株式会社 高速製織方法
DE3732102C1 (de) * 1987-09-24 1989-05-03 Gustav Memminger Fadenliefer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mit zeitlich unterschiedlichem Fadenverbrauch,insbesondere Strick- und Wirkmaschinen
JPH02269843A (ja) 1989-04-12 1990-11-05 Asahi Chem Ind Co Ltd エアー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製織異常状態の検出方法
US5224520A (en) 1990-11-19 1993-07-06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Weaving bar prevention in a jet loom
KR100362835B1 (ko) 1995-06-15 2003-02-07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직기용사운반장치
IT1282898B1 (it) * 1995-09-20 1998-04-01 Mario Gallo Dispositivo per controllare la tensione di un filo.
JP3142758B2 (ja) 1995-10-12 2001-03-07 帝人株式会社 織物芯地
JP2002161454A (ja) 2000-11-28 2002-06-04 Toray Ind Inc フィラメント織物の製織方法
DE60233671D1 (de) * 2001-10-01 2009-10-22 Toray Industrie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stärkenden fasergewebes und entsprechende vorrichtung sowie verstärkendes fasergewebe
JP2003171853A (ja) 2001-12-05 2003-06-20 Tsudakoma Corp 緯糸検知回数の積算方法および緯糸検知回数の積算装置ならびに緯入れ制御方法および緯入れ制御装置
WO2004106120A1 (en) 2003-05-15 2004-12-09 Invista Technologies S.A.R.L. Polyester filament woven fabric for air bags
KR100451263B1 (ko) * 2003-12-30 2004-10-11 주식회사 효성 비피복 에어백용 폴리아미드 섬유
JP3750685B2 (ja) 2004-07-09 2006-03-0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ジェットルームの緯入れ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20110020628A1 (en) * 2008-03-26 2011-01-27 Toray Industries, Inc. Polyamide 56 filaments, a fiber structure containing them, and an airbag fabric
DE102009009905A1 (de) * 2009-02-20 2010-08-26 Trw Automotive Gmbh Gassack
EP2610377B9 (en) * 2010-08-23 2017-08-02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Base fabric for airbag
KR101736421B1 (ko) * 2010-09-17 2017-05-1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109003B (zh) * 2010-09-17 2015-01-14 可隆工业株式会社 聚酯纱线及其制备方法
KR101779442B1 (ko) * 2010-12-15 2017-09-1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641029B (zh) * 2012-09-27 2016-03-16 东丽株式会社 织物及其制造方法
MX2017012413A (es) * 2015-03-30 2018-01-26 Toray Industries Tejido base revestido para bolsa de aire, bolsa de aire y metodo para producir un tejido base revestido para bolsa de aire.
CN106319713A (zh) 2016-08-26 2017-01-11 山东合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环锭纺细旦弹力纬纱及其生产工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7886U (ko) * 1991-01-22 1992-08-25
US5425399A (en) * 1993-04-16 1995-06-20 Nissan Texsys Co., Ltd. Weft picking system for jet loom with device for deforming a weft yarn slackened portion
JP2003147663A (ja) * 2001-11-12 2003-05-21 Toray Ind Inc フィラメント織物の製造方法
JP2012086385A (ja) * 2010-10-15 2012-05-10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カーカス材料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のカーカス材料
JP2017075408A (ja) 2015-10-12 2017-04-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貯留装置
WO2017159583A1 (ja) * 2016-03-16 2017-09-21 東洋紡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コーティング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6286A1 (ja) 2019-08-01
CN111655915A (zh) 2020-09-11
KR102601459B1 (ko) 2023-11-14
JP7388191B2 (ja) 2023-11-29
US20200354864A1 (en) 2020-11-12
EP3744887B1 (en) 2024-07-17
MX2020007083A (es) 2020-09-09
EP3744887A4 (en) 2021-10-13
EP3744887A1 (en) 2020-12-02
CN111655915B (zh) 2022-02-25
US11346024B2 (en) 2022-05-31
PH12020500620A1 (en) 2021-03-15
JPWO2019146286A1 (ja)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2029B1 (en) Leather-like sheeting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EP2042628B1 (en) Woven fabric for air bags, air bag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woven fabric
JP3855775B2 (ja) コ−トエアバッグ用基布
JP4506471B2 (ja) 皮革様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KR102358963B1 (ko)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제 기포, 폴리에스테르제 에어백 및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제 기포의 제조 방법
JP6011721B2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2015003683A (es) Tela tejida y proceso para producirla.
JP6130804B2 (ja) 袋織基布
JP4419378B2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108428A (ko) 기포, 제트룸 및 기포의 제조 방법
JP4423853B2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エアバッグ
JP2018003181A (ja) 銀付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015826B (zh) 气囊用织物以及气囊用织物的制造方法
JP4538967B2 (ja) エアバッグ用布帛
JP2002069790A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エアバッグ
JP2004315984A (ja) 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58693B2 (ja) 織物の製造方法
KR20210129630A (ko) 에어백용 바탕천 및 에어백용 바탕천의 제조 방법
JP5640397B2 (ja) 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JP4924004B2 (ja) 皮革様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325888A (ja) ノンコートエアバッグ用布帛およびエアバッグ
WO2022181136A1 (ja) ノンコートエアバッグ用織物
JP2017043867A (ja) 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32021A (ko) 에어백용 기포,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JP2022023593A (ja) 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