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897A -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897A
KR20200091897A KR1020207018527A KR20207018527A KR20200091897A KR 20200091897 A KR20200091897 A KR 20200091897A KR 1020207018527 A KR1020207018527 A KR 1020207018527A KR 20207018527 A KR20207018527 A KR 20207018527A KR 20200091897 A KR20200091897 A KR 20200091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button
virtual
target function
touch operation
virtual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363B1 (ko
Inventor
한 왕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1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automatically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the player, e.g. automatic braking in a driving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for prompting the player, e.g. by displaying a game menu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8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 A63F2300/10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using a touch scree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에 따르면,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특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타깃 기능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가상 객체는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조작 방식으로 동일한 영역에 대해 일관성 있는 조작이 수행되므로, 가상 객체가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본 출원은 2018년 3월 30일에 출원되고 명칭이 "VIRTUAL OBJECT MOV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정치, 그리고 저장 매체)"인 중국 특허출원 제2018102767938호에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 및 단말기 기능의 다양화에 따라, 단말기에서 할 수 있는 게임의 유형이 증가하고 있다. 1인칭 슈팅(first-person shooting, FPS) 게임 또는 3인칭 슈팅(third-person shooting, TPS) 게임과 같은 슈팅 게임은 비교적 인기있는 게임이다. 슈팅 게임에는 배틀 아레나 게임(battle arena game)이라고 하는 새로운 게임 유형이 있다. 이 새로운 게임 유형에서는 단일 라운드의 게임에서 동일한 가상 장면에 많은 플레이어가 있으며, 플레이어는 가상 객체를 제어하여 사격이나 권투와 같은 공격 방식으로 상대를 서서히 제거하여 최종 승리를 달성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유형의 게임의 가상 장면은 비교적 크다. 전략적 전환(strategic shift)을 위해, 플레이어는 보통 가상 객체를 제어하여 장거리 이동을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플레이어는 가상 객체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장시간 동일한 터치 조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가상 장면에서 가상 객체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편리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기술적 방안은 다음과 같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은,
단말기 화면에 가상 조이스틱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고, 상기 터치 조작의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크며, 상기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단말기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은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 객체 이동 제어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가상 객체 이동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단말기 화면에 가상 조이스틱 영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추가로,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고, 상기 터치 조작의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크고, 상기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단말기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은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 객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술한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에 따른 방법의 작업(opereation)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에 따른 방법의 작업을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특정 트리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타깃 기능 버튼이 표시되고,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객체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조작 방식으로 동일한 영역에서 일관된 조작이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가 상이한 버튼들 사이에서 조작을 전환할 필요없이 가상 객체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 조작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를 보여줄 뿐이며,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실제 인터페이스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실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달리기 버튼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객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현을 더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주로 비디오 게임 장면 또는 시뮬레이션 훈련 장면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게임 장면을 예로 들면, 사용자는 미리 단말기에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가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한 후, 비디오 게임의 게임 구성 파일이 다운로드될 수 있고, 게임 구성 파일은 비디오 게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데이터, 가상 장면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어, 사용자는 비디오 게임의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고 표시하기 위해, 단말기에서 비디오 게임에 로그인하는 동안 게임 구성 파일을 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터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가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단말기는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게임 데이터를 획득하고, 게임 데이터를 렌더링 및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게임 데이터는 가상 장면 데이터, 가상 장면에서의 가상 객체의 행위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련된 가상 장면은 3차원 가상 공간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2차원 가상 공간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3차원 가상 공간 또는 2차원 가상 공간은 개방 공간일 수 있다. 가상 장면은 현실의 실제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장면은 하늘, 육지 및 바다를 포함할 수 있고, 육지는 사막 및 도시와 같은 환경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장면에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고, 가상 객체는 가상 장면에서 사용자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가상 이미지일 수 있으며, 가상 이미지는 사람 또는 동물과 같은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가상 장면은 복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가상 객체는 가상 장면에서 형상 및 부피를 가지며, 가상 장면에서 일부 공간을 차지한다.
슈팅 게임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는 가상 장면의 하늘에서 떨어지기 위해 자유낙하, 활공 또는 낙하산 개방을 하거나, 육지에서 앞으로 이동하기 위해 달리기, 점프, 기기 또는 상체를 구부리고 걷기를 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거나, 또는 바다에서 수영, 부유 또는 다이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대안으로 가상 장면에서 이동하기 위해 차량에 타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장면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되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대안으로 병기를 사용하여 다른 가상 객체에 대항하여 싸우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고, 병기는 냉병기(cold weapon)일 수도 있거나 열병기(hot weapon)일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가상 객체의 이동을 제어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 화면상의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에서 터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사용자의 터치 조작은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는 슬라이드(slide) 조작일 수 있거나 톡톡 두드리는 탭(tap) 조작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거나 정사각형일 수 있다. 가상 조이스틱 영역은 단말기 화면의 좌측에 위치할 수도 있거나 단말기 화면의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형상 및 구체적인 위치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의 종점(end point)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가상 객체의 이동을 제어하려는 방향 및 속도, 변위는 터치 조작의 종점의 위치와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중심점은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거나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단말기는 터치 조작의 변위에 따라,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된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는 변위에 정비례할 수 있다. 즉, 변위가 클수록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가 더 높아지고; 변위가 적을수록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가 더 낮아진다.
비디오 게임 장면에서, 사용자 조작의 용이성을 위해, 단말기 인터페이스는 타깃 기능 버튼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고, 타깃 기능 버튼은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자동 이동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조작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의 지속 이동을 가리킨다. 즉, 단말기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을 수행할 필요없이 지속적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자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깃 기능 버튼의 디폴트 표시 상태(default displayed state)는 숨김 상태(hidden state)일 수 있다. 즉, 정상 상태에서, 타깃 기능 버튼은 단말기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터치 기능을 수행하여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단말기를 트리거해야 한다.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위치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 주위일 수 있고, 사용자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에서 대응하는 터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에 단말기는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이한 사용자의 지배적인 손(dominant hand)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기능의 조작 유연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이 단말기 화면의 다른 쪽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동 제어 기능 버튼과 타깃 기능 버튼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화면의 다른 영역에 각각 표시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이동 제어 기능 버튼 및 타깃 기능 버튼은 각각 화면의 양쪽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왼손을 사용하여 왼쪽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거나, 오른손을 사용하여 오른쪽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도록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는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동일한 기능을 트리거하도록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유연하고 편리하다. 물론, 이동 제어 기능 버튼과 타깃 기능 버튼은 대안으로 화면의 한쪽에 위치될 수 있고, 두 버튼의 위치는 설계 요건에 따라 관련 기술자에 의해 모두 설정되거나 조정될 수 있고, 물론, 대안으로, 위치는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조이스틱 영역이 원형이고, 가상 조이스틱 영역이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좌측에 위치하고,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슬라이드 조작인 예를 사용하면, 가상 조이스틱 영역에는 4개의 방향 화살표 아이콘이 있을 수 있으며, 4개의 방향 화살표 아이콘은 전방, 후방, 좌방, 및 우방을 나타내는 데 각각 사용되는 상, 하, 좌 및 우이다. 4개의 방향 화살표 아이콘은 단지 사용자가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는 방향을 어떻게 결정하는지에 관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보다 직관적으로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방향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물론, 4개의 방향 화살표 아이콘은 대안으로 가상 조이스틱 영역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실제 조작 상황에 따라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에 점차 익숙해 질 수 있다.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상부는 전방을 나타내고,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가상 객체의 자동 이동이 일반적으로 전방으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단말기는 타깃 기능 버튼을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타깃 기능 버튼은 그래프일 수 있거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기는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우측에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을 더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이동 제어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전술한 기능이 대안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가 단말기로 제공되는 예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단말기가 단말기 화면에 가상 조이스틱 영역을 표시한다.
단말기는 가상 장면을 렌더링 및 표시할 수 있고, 가상 조이스틱 영역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서,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단말기는 가상 장면에서 가상 객체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 장면에서, 단일 라운드의 게임이 시작될 때, 단말기는 단말기의 현재 시야각으로부터 가상 장면을 렌더링 및 표시하고, 가상 조이스틱 영역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가 시야각 조정 조작(viewing angle adjusting operation)을 검출한 경우, 단말기는 조정된 시야각에 따라 가상 장면을 렌더링 및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가상 장면에서 가상 객체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가상 장면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계 201은 또한 단말기가 타깃 투명도에 따라 가상 조이스틱 영역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타깃 투명도는 관련 기술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2: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단말기는 터치 조작의 변위를 획득한다.
터치 조작은 슬라이드 조작일 수도 있거나, 끌어다 놓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조작일 수 있다. 드래그 앤 드롭 조작은 화면상의 아이콘을 누르고, 아이콘을 다른 곳으로 비교적 천천히 이동시키는 조작을 가리킨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조작이 슬라이드 조작인 경우, 터치 조작은 가상 조이스틱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상 조이스틱 영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고; 터치 조작이 드래그 앤 드롭 조작인 경우, 터치 조작은 가상 조이스틱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상 조이스틱 영역 밖으로 가상 조이스틱을 드래그할 수 있다. 물론, 터치 조작은 탭 조작 또는 누름(press) 조작과 같은 다른 조작일 수 있다. 여기서는 터치 조작이 슬라이드 조작 또는 드래그 앤 드롭 조작인 예를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조작의 구체적인 조작 모드를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기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터치 조작의 변위가 먼저 획득될 수 있어, 현재의 터치 조작이 가상 객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속도가 속도 임계 값에 도달했는지가 변위에 기초하여 후속하여 결정될 수 있다. 속도 임계 값은 자동 이동의 타깃 속도와 같거나, 타깃 속도보다 작을 수 있고, 타깃 속도와 속도 임계 값 사이의 차이는 타깃 속도 차이보다 작다. 변위는 터치 조작의 종점의 위치와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단말기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가상 조이스틱 영역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현재 수행되는 터치 조작의 방향을 보다 직관적이고 생생하게 표현하기 위해, 단말기는 가상 조이스틱을 화면에 더 표시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와 함께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조이스틱은 원형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를 추종하기 위한 원형 영역을 더 표시하고, 원형 영역과 가상 조이스틱 영역 사이에 드래그 앤 드롭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앤 드롭 효과는 원형 영역과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중심점에 의해 형성된 부채형 영역일 수 있다. 단말기가 터치 조작이 종료된 것을 검출한 경우, 단말기는 가상 조이스틱이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중심으로 복귀하는 것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가상 조이스틱이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중심으로 되돌아오는(rebound) 것을 표시하거나, 단말기는 가상 조이스틱의 표시 상태를 숨김 상태로 직접 설정한다. 물론, 단말기는 대안으로 전술한 가상 조이스틱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3: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큰 경우, 단말기는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과 타깃 시간 사이의 크기 관계를 획득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단말기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대안으로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이동 속도에 따라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는 현재 터치 조작의 변위에 기초하여,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와 터치 조작의 변위는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 터치 조작의 변위가 클수록,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는 더 커진다. 단말기는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큰지에 따라,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가 속도 임계 값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할 수 있고, 여기서 변위 임계 값은 미리 설정된 화소의 수량, 단말기 화면의 좌표계에서 정의된 거리, 또는 터치 조작의 변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값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물론, 단말기는 대안으로 변위에 기초하여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를 획득한 후, 이동 속도가 속도 임계 값에 도달했는지를 다시 판정할 수 있다. 단말기는 이동 속도가 속도 임계 값에 도달한 경우,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에 도달했는지 판정할 수 있다.
변위 임계 값은 관련 기술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변위 임계 값은 단말기 화면의 크기에 따라 추가로 조정될 수 있고, 변위 임계 값의 구체인 값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상 객체가 가상 장면의 육지에 서 있고 변위 임계 값이 20 거리 단위인 예를 사용하여 설명되며, 여기서 거리 단위는 하나의 화소 또는 미리 설정된 수량의 화소일 수 있거나, 단말기 화면의 좌표 시스템에서 정의된 거리 값일 수 있거나, 다른 측정 방식에서의 거리 단위일 수 있다. 변위가 변위 임계 값 이하인 경우, 단말기는 가상 장면에서 가상 객체가 걷도록 제어할 수 있고, 변위가 클수록 가상 객체의 걷는 속도가 더 크다. 예를 들어, 변위는 5 거리 단위이고, 단말기는 가상 객체가 걷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큰 경우, 단말기는 가상 장면에서 달리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위가 21 거리 단위보다 큰 경우, 단말기는 가상 장면에서 달리도록 가상 개체를 제어할 수 있다.
가상 객체가 위치한 환경이 상이한 경우, 가상 객체의 움직임 상태도 상이하며, 자동 이동 동안의 가상 객체의 타깃 속도도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영 중의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와 달리기, 비행 또는 기는 중의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가 다를 수 있으며, 다른 움직임 상태에서 가상 객체의 타깃 속도도 상이할 수 있다. 타깃 속도는 상이한 가상 장면에 따라 기술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타깃 속도의 값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이는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가 속도 임계 값에 도달했음을 지시하내며, 자동 이동으로의 전환 조건을 미리 충족시키므로, 단말기는 사용자가 현재 수동으로 가상 객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시간을 더 획득할 수 있다. 그 시간이 비교적 짧은 경우, 사용자는 매우 짧은 시간에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고, 단말기는 사용자를 위해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없고; 그 시간이 비교적 긴 경우, 단말기는 이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함으로써, 가상 객체의 자동 이동을 제어하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타깃 시간은 기술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타깃 시간은 전술한 타깃 속도, 가상 장면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시간은 2초(s)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4: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 단말기가 단말기 기능 버튼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한다.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 터치 조작은 특정 트리거 조건을 충족시키고,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전술한 기능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기는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 가상 객체의 이동을 직접 제어한다. 이 프로세스는 본질적으로 단말기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터치 조작이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판정하는 프로세스이다. 터치 조작이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단말기는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타깃 기능 버튼의 디폴트 표시 상태는 숨김 상태이고, 단말기가 단계 202 내지 단계 204를 통해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가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상에서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가상 객체의 자동 이동을 제어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위치가 상이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는 것에 기초하여, 단계 204는 다음 세 가지 상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황: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제1 상황에서, 단말기는 단말기 화면에서 가상 조이스틱 영역 바로 위의 제1 표시 위치를 획득하고, 타깃 기능 버튼을 제1 표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타깃 기능 버튼의 제1 표시 위치는 단말기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말기가 단계 204를 수행하는 경우, 가상 조이스틱 영역 바로 위에 위치한 제1 표시 위치가 획득될 수 있고, 타깃 기능 버튼이 제1 표시 위치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위치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 바로 위의 고정된 위치일 수 있고, 가상 조이스틱 영역으로부터 타깃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제2 상황: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위치는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제2 상황에서, 제2 표시 위치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 바로 위에서 획득되고, 타깃 기능 버튼은 제2 표시 위치에 표시된다. 타깃 기능 버튼이 현재 표시된 위치는 터치 포인트 위치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감소될 수 있고, 조작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어, 작동 위치가 상이하면 타깃 기능 버튼이 상이하게 되어, 사용에 사용 습관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위치 a는 터치 포인트 위치 a 바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표시 위치 a는 사용자의 터치 포인트 위치 a에 따라 획득된다.
제3 상황: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위치는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와 가상 조이스틱 영역 사이의 연결선의 방향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제3 상황에서, 단계 204는 다음 단계 (1) 및 (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1) 단말기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와 가상 조이스틱 영역 사이의 연결선의 방향에 따라, 연결선의 방향으로 타깃 기능 버튼의 방향으로 제3 표시 위치를 획득한다.
(2) 단말기는 제3 표시 위치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한다.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는 단말기 화면과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 또는 터치 조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객체 사이의 터치 포인트의 위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단지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단말기 화면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단계 (1)은 적어도 다음 두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현예: 단말기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와 가상 조이스틱 영역 사이의 연결선의 방향에 따라, 가상 조이스틱 영역까지의 거리가 연결선 방향의 제1 타깃 거리인 위치를 획득한다.
제1 구현예에서, 타깃 기능 버튼의 제3 표시 위치와 가상 조이스틱 영역 사이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고, 타깃 기능의 제3 표시 위치는 가상 조이스틱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반경이 제1 카깃 거리인 원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가 터치 포인트 위치 a인 경우, 단말기는 표시 위치 a를 획득할 수 있고;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가 터치 포인트 위치 b인 경우, 단말기는 표시 위치 b를 획득할 수 있다. 표시 위치 a와 중심점 O 사이의 거리와 표시 위치 b와 중심점 O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며, 두 거리는 모두 제1 타깃 거리이다.
제2 구현예: 단말기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와 가상 조이스틱 영 사이의 연결선의 방향 및 터치 포인트 위치에 따라, 터치 포인트 위치까지의 거리가 연결선의 방향으로 제2 타깃 거리인 위치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가 터치 포인트 위치 c인 경우, 단말기는 표시 위치 c를 획득할 수 있고;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가 터치 포인트 위치 d인 경우, 단말기는 표시 위치 d를 획득할 수 있다. 표시 위치 c와 터치 포인트 위치 c 사이의 거리는 표시 위치 d와 터치 포인트 위치 d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며, 두 거리는 모두 제2 타깃 거리이다.
제1 타깃 거리 및 제2 타깃 거리는 모두 관련 기술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물론, 두 거리는 대안으로 단말기 화면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제1 타깃 거리 및 제2 타깃 거리의 구체적인 값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기가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위치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단지 두 가지 구현예를 예로 사용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단계 (1)은 다른 구현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4가 포함할 수 있는 두 가지 상황이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위치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또한 표시 위치와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를 고정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단말기는 단계 204에서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고, 터치 조작의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크고,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보다 더 긴 경우, 단말기는 프롬프트 정보(prompt information)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고, 프롬프트 정보는 터치 조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를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시켜,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도록 제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롬프트 정보는 텍스트 정보이거나 이미지 정보일 수 있으며, 프롬프트 정보의 구체적인 형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롬프트 정보는 화살표일 수 있다. 단말기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과 타깃 기능 버튼 사이에 타깃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으며, 타깃 화살표의 방향은 가상 조이스틱 영역으로부터 타깃 기능 버튼을 가리키는 방향이다. 물론, 타깃 화살표는 정적 효과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의 이동 트랙을 동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동적 효과일 수 있어서, 사용자는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정확하게 수행하여, 가상 객체의 이동 상태를 자동 이동 상태로 전환하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화살표의 구체적인 디스플레이 효과는 도 6에 도시된 것일 수 있다. 타깃 기능 버튼이 가상 조이스틱 영역 위에 위치하는 경우, 타깃 화살표는 타깃 기능 버튼과 가상 조이스틱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타깃 화살표는 이동 조이스틱 영역으로부터 타깃 기능 버튼을 가리킨다. 도 7은 실제 인터페이스의 도면을 보여준다.
전술한 단계 202 내지 단계 204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고, 터치 조작의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크며,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에, 단말기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프로세스이다. 단말기는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크고,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보다 긴 전술한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터치 조작을 검출해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가상 객체가 빠르게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가상 객체의 현재 빠른 이동 상태가 자동 이동 상태로 설정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해, 가상 객체가 빠르게 이동하도록 제어하면서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02 이후에 터치 조작의 변위가 변위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이는 사용자가 가상 객체를 천천히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자동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는 단계 203 및 단계 204를 생략할 수 있으나, 변위와 이동 속도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이동 속도에 따라 가상 객체의 이동을 직접 제어하고,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지 않는다.
단계 205: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지속 상태에 있고,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가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단말기는 단계 206을 수행한다.
단말기는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전술한 프롬프트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수행된 터치 조작을 계속 수행하고,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를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기가 제1 터치 조작이 지속 상태에 있음을 검출하고 제1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가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한 후, 즉, 단말기는 사용자가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한 것을 검출한 후, 여기서 터치 조작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기능이 개시되거나 활성화됨을 의미하고, 단말기는 단계 206을 수행하여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가상 조이스틱을 드래그 앤 드롭하는 형태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예를 사용하면, 단말기가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을 검출하고, 드래그 앤 드롭 조작으로 가상 조이스틱을 드래그하여 멈춘 위치와 가상 조이스틱 영역 사이의 거리가 변위 임계 값에 도달하고, 드래그 앤 드롭 조작인 타깃 시간 동안 지속하는 경우, 단말기는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할 수 있고, 타깃 기능 버튼을 트리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드래그 앤 드롭 조작을 계속 수행하여 가상 조이스틱을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 단말기는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고, 현재 터치 조작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트리거하여, 단계 206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가능한 구현예에서, 단말기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지속 상태에 있지만,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가 타깃 버튼이 위치하는 위치로 이동하지 않았음을 검출하는 가능한 장면이 더 존재한다. 이 장면에서, 단말기는 단말기 기능 버튼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단계 205는 단계 205의 상황이 후속하여 검출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물론, 가상 조이스틱 영역에서의 터치 조작이 종료된 것을 단말기가 검출하는 또 다른 가능한 장면이 존재한다. 이 장면에서, 단말기는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상태를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종료된 것을 단말기가 검출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이동을 멈추도록 가상 객체를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단계 206: 단말기가 가상 장면에서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한다.
단말기가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타깃 속도에 따라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가상 객체의 이동 상태는 자동 이동 상태로 변경된다. 즉,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단말기는 여전히 현재 이동 방향 및 현재 이동 속도에 따라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단말기는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타깃 기능 버튼이 점등되는 것과 같이, 강조되도록 추가로 설정하여, 가상 객체의 자동 이동 제어 기능이 현재 활성화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고,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부정확한 조작을 줄이고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단말기가 타깃 기능 버튼을 강조되도록 설정한 후, 단말기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중심에 표시되도록 타깃 기능 버튼을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위치를 지정된 위치에서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중심으로 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위치의 이동 프로세스는 리바운드 효과(rebounding effect)로서 나타날 수 있다. 단말기가 타깃 기능 버튼이 강조되도록 설정한 후,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다시 검출되는 경우, 단말기는 자동으로 이동을 중지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단말기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또한 자동으로 이동을 중지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가상 객체의 자동 이동 상태를 중지한 후에 다음 이동을 수행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데 익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먼저,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한 다음,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사용자는 두 가지 조작을 수행해야 한다. 단말기가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타깃 기능 버튼을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으로부터 직접 시작하여 드래그 앤 드롭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중앙에 표시된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단말기가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자동으로 이동을 중지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조작에 기초하여, 드래그 앤 드롭 조작에 대응하는 속도에 따라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의 일관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단계 202 내지 단계 206은 단말기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특정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검출하고 또한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 인터페이스에서 가상 객체의 이동 상태를 갱신하는 프로세스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에서의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표시 상황에 대해 이하에 예시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한 것을 단말기가 검출하지 못한 경우,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 1에서 위치 2로 이동하고, 단말기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가 위치 1에서 위치 2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경우, 위치 1과 위치 2 사이의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크고 사용자의 손이 타깃 시간 동안 계속해서 위치 2를 누르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타깃 기능 버튼과 프롬프트 정보가 단말기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터치 조작을 수행하고 화살표 방향을 따라 타깃 기능 버튼으로 이동하여, 위치 2에서 위치 3으로 이동하고, 단말기는 사용자의 이동 동작을 감지한 후, 단말기는 가상 장면에서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고, 타깃 기능 버튼이 강조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강조되는 동안의 단말기 인터페이스는 도 8의 (d)에 표시되어 있으며, 실제 인터페이스의 도면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207: 시야각 조정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가상 장면에서 조정 된 시야각의 방향을 향해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가상 객체의 이동을 제어하고, 가상 객체를 가속, 감속 또는 이동 방향을 변경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말기는 전술한 가상 조이스틱 영역을 제공하고 가상 객체의 이동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단말기의 시야각을 조정하는 조작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가 시야각 조정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시야각을 조정할 수 있다. 시야각 조정 조작은 슬라이드 동작 또는 탭 동작일 수 있다. 시야각 조절 동작이 슬라이드 조작인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단말기는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슬라이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기가 슬라이드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시야각의 이동 방향이 슬라이드 방향과 동일하도록, 슬라이드 조작의 슬라이드 방향에 따라 시야각이 조정된다. 선택적으로, 시야각이 이동하는 각도와 슬라이드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 슬라이딩 거리가 클수록 시야각이 이동하는 각도가 더 커진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대안으로 다른 가상 조이스틱 영역을 설정할 수 있고, 다른 가상 조이스틱 영역은 단말기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여 시야각을 조정하는 단계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기가 가상 조이스틱 영역에서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가상 조이스틱 영역에서 터치 조작의 종점과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원점(origin) 사이의 상대 위치에 따라,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시야각 조정 방향 및 시야각 조정 각도가 획득된다. 선택적으로,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원점에 대한 터치 조작의 종점의 방향은 시야각 조정 방향과 동일하고, 터치 조작의 종점과 가상 조이스틱 영역의 원점 사이의 거리는 시야각 조정 각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시야각 조정 조작의 동작 방식의 몇몇 예가 위에서 설명되었고, 시야각 조정 조작의 구체적인 조작 방식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기가 시야각 조정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시야각을 조정하고, 가상 객체의 자동 이동 상태를 변경하지 않고 조정된 시야각을 향해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시야각 조정 조작은 가상 객체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지만, 가상 객체의 자동 이동 상태를 방해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트리거하는 전술한 조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지 않고도 가상 객체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조작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사용자가 낙하 프로세스에서 주변 환경을 더 잘 관찰할 수 있게 하고, 주변 환경에 기초하여 착륙 지점을 추가로 선택하거나 주변 환경에 다른 가상 객체가 있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단말기는 관찰 시야각 기능 버튼을 추가로 제공한다. 단말기가 관찰 시야각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관찰 시야각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의 조작 방향에 따라 시야각을 조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관찰 시야각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에 따라 가상 객체의 방향을 조정할 수 없고, 가상 객체의 자동 이동 상태를 변경할 수 없다. 터치 조작은 관찰 시야각 기능 버튼을 중심으로 하는 대상 영역에 대해 수행될 수 있고, 대상 영역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거나 다른 형상일 수 있으며, 대상 영역의 형상 및 크기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기가 관찰 시야각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사라진 것을 검출하는 경우, 관찰 시야각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수행되기 전의 시야각으로 시야각이 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202 내지 단계 206은, 사용자가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고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상황이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대안으로 단말기 인터페이스에서 이동 제어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가상 객체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단계들에 대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단계 208: 가상 객체의 이동 상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단말기는 가상 장면에서 자동으로 이동을 중지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타깃 기능 버튼을 소멸 상태(extinguished state)로 설정한다.
가상 객체의 이동 상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터치 조작은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일 수도 있거나, 쪼그리고 앉거나 엎드리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상의 터치 조작일 수도 있거나,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일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조작을 통해 가상 객체의 이동 상태를 변경하며, 이는 사용자가 가상 객체의 자동 이동을 취소하고 가상 객체를 수동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전술한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에 가상 장면에서 자동으로 이동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조작이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인 경우, 단말기는 이동을 중지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고; 터치 조작이 쪼그리고 앉거나 엎드리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단말기는 현재 이동 상태를 중지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현재 위치에서 쪼그리고 않거나 엎드리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터치 조작이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인 경우, 단말기는 현재 이동 상태를 중지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방향 및 속도에 따라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단말기가 타깃 기능 버튼을 소멸 상태로 설정하는 경우,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지 않는 경우에 타깃 기능 버튼의 디폴트 표시 상태는 숨김 상태이기 때문에, 가상 객체의 이동 상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단말기는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상태를 숨김 상태로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예를 사용하여 이하에서는 전술한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의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된 가상 객체가 가상 장면의 육지에 위치하고, 타깃 기능 버튼이 "지속 달리기 버튼( continuous running button)"으로 명명된 예를 사용하면, 단말기는 이동 조이스틱상의 플레이어의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고, 플레이어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대응하는 이동을 수행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한다. 플레이어는 단말기의 사용자를 지칭하고, 이동 조이스틱은 전술한 가상 조이스틱 영역에서의 가상 조이스틱을 지칭한다.
단말기는 플레이어의 드래그 조작이 달리기 상태에 도달하였는지를 판정하고, 드래그 조작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달리기 상태로 진입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거나; 또는 드래그 조작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걷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달리기 상태는 플레이어가 이동 조이스틱을 현재 위치로 드래그하고, 이동 조이스틱의 현재 위치와 초기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값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 단계에서의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의 변위는 변위 임계 값보다 크다.
가상 객체가 걷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경우, 단말기는 이동 조이스틱상의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을 계속 검출한다. 가상 객체가 달리기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경우, 단말기는 달리기 상태의 시간이 임계 값에 도달하였는지를 추가로 판정하고, 도달하였으면(yes) 지속 달리기 버튼을 생성할 수 있거나; 또는 도달하지 않았으면(no) 이동 조이스틱상의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지속 달리기 버튼은 이동 조이스틱의 초기 위치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버튼의 터치 범위로 들어가기 위해 이동 조이스틱을 계속 위로 미는 것을 돕는다. 물론, 버튼의 위치는 대안으로 다른 곳에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가상 객체가 지속 달리기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될 수 있음을 플레이어에게 제시하기 위해, 특수 효과 프롬프트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특수 효과 프롬프트는 전술한 프롬프트 정보이며, 구체적으로는 타깃 화살표의 형태일 수 있다.
플레이어가 이동 조이스틱을 지속 달리기 버튼까지 드래그하는 경우, 단말기는 지속 달리기 상태로 진입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단말기는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상 객체가 지속 달리기 상태로 진입한 후, 플레이어는 시야각을 추가로 조정할 수 있고, 가상 객체의 지속 달리기 상태는 변경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지속 달리기 상태의 지속 시간 내에, 지속 달리기 버튼이 강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버튼의 가장자리가 강조된다. 즉, 타깃 기능 버튼이 강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지속 달리기 버튼을 다시 터치하는 경우, 플레이어는 가상 객체를 제어하여 지속 달리기 상태를 중지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특정 트리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타깃 기능 버튼이 표시되고, 타깃 기능 버튼 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객체는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조작 방식으로 동일한 영역에 대한 일관성 있는 조작이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가 상이한 버튼들 사이에서 조작을 전환할 필요없이 가상 객체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도 2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가상 객체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타깃 기능 버튼과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의 기능이 동일하고,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이 항상 표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대안으로 이동 제어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직접 수행하여, 전술한 자동 이동 기능을 트리거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조작 방식이 채택되는 경우, 전술한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01: 단말기가 단말기 화면에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을 표시한다.
단계 1002: 이동 제어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단말기는 가상 장면에서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을 강조하도록 설정한다.
이동 제어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은 탭 조작일 수 있거나 누름 조작과 같은 다른 터치 조작일 수 있다. 이동 제어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의 조작 방식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1002는 단말기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거나, 단말기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단말기가 단계 1002를 수행하는 경우, 가상 객체는 정지 상태(stationary state)이거나 이동 상태(movement state)에 있을 수 있다. 가상 객체가 정지 상태 또는 후방 이동 상태(moving backward state)에 있는 경우, 단말기는 가상 장면에서 타깃 속도에 따라 가상 객체의 전방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고; 가상 객체가 전방 이동 상태(moving forward state)에 있는 경우, 단말기는 가상 장면에서 타깃 속도에 따라 원래의 이동 방향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강조는 버튼 전체가 켜져 있거나, 버튼의 가장자리가 켜져 있거나, 특정 주파수에 따라 버튼이 깜박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이 항상 표시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이동 제어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직접 수행하고,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에 단말기는 단계 1002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가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해 가상 조이스틱 영역에 대해 타깃 시간의 터치 조작이 수행되는 조작 방식과 비교할 때, 이 조작은 더 간단하고 더 편리하며, 이동 제어 기능 버튼과 타깃 기능 버튼은 화면의 상이한 영역에 각각 위치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따라 임의의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두 개의 버튼이 화면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 제어 기능 버튼 및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왼손 및 오른손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가상 객체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면서 다른 터치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왼손과 오른손이 상이한 조작을 수행하여, 조작을 편리하고 유연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왼손과 오른손의 조작 전환에 유연하고 편리하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말기 인터페이스에서 이동 제어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고, 단말기는 터치 조작을 검출하여,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이 강조되도록 설정한다.
단계 1003: 가상 객체의 이동 상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단말기는 가상 장면에서 자동 이동을 중지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을 소멸 상태로 설정한다.
단계 1003은 단계 208과 유사하며, 세부 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기능은 이동 제어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트리거되고, 유연하고 편리한 조작 방식이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면서 다른 터치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왼손과 오른손은 상이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조작을 편리하고 유연하게 하며, 이는 왼손과 오른손의 조작 전환에 유연하고 편리하다.
전술한 모든 선택적 기술적 방안은 무작위로 조합되어 본 개시의 선택적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일일히 상세히 설명하는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객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201) 및 제어 모듈(120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201)은, 단말기 화면에 가상 조이스틱 영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추가로,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고, 터치 조작의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크고, 상기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 단말기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타깃 기능 버튼은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제어 모듈(1202)은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1)은 단말기 화면에서 가상 조이스틱 영역 바로 위에 제1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제1 표시 위치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1)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 바로 위에 제2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제2 표시 위치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1)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와 가상 조이스틱 영역 사이의 연결선의 방향에 따라, 연결선 방향으로 타깃 기능 버튼의 제3 표시 위치를 획득하고, 제3 표시 위치에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1)은,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지속 상태(continuous state)에 있고,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가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어 모듈(1201)은 추가로,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타깃 기능 버튼이 강조되도록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1)은 추가로,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종료된 것을 검출하는 경우,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상태를 숨김 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1)은 추가로,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고, 터치 조작의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크며,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상기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프롬프트 정보는 터치 조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를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시켜,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도록 제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1)은 추가로, 가상 조이스틱 영역과 타깃 기능 버튼 사이에 타깃 화살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타깃 화살표의 방향은 가상 조이스틱 영역으로부터 타깃 기능 버튼을 가리킨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어 모듈(1202)은 추가로, 가상 객체의 이동 상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자동으로 이동을 중지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타깃 기능 버튼을 소멸 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어 모듈(1202)은 추가로, 시야각 조정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조정된 시야각 방향으로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어 모듈(1202)은 추가로, 이동 제어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이 강조되도록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이동 제어 기능 버튼과 타깃 기능 버튼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화면의 상이한 영역에 각각 표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장치에 따르면,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특정 트리거 조건을 충족한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 타깃 기능 버튼이 표시되고,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객체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동작 방식으로 동일한 영역에서 일관성 있는 조작이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가 상이한 버튼 사이에서 조작을 전환할 필요없이 가상 객체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 조작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장치가 가상 객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경우, 전술한 기능 모듈의 분할은 설명을 위한 예로서만 사용된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기능들은 요건에 따라 상이한 기능 모듈에 의해 할당되고 완성될 수 있다. 즉, 장치의 내부 구성은 전술한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완성하기 위해 상이한 기능 모듈로 분할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장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개념에 속한다.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기 바란다. 세부 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전자 장치(1300)는 상이한 구성 또는 성능으로 인해 크게 달라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1301)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메모리(1302)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프로세서(1301)에 의해 로드되고 실행되어 다음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단말기 화면에 가상 조이스틱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고, 터치 조작의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크고,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 단말기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 타깃 기능 버튼은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됨 -; 및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301)는 단말기 화면에서 가상 조이스틱 영역 바로 위에 제1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제1 표시 위치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301)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 바로 위에 제2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제2 표시 위치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301)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와 가상 조이스틱 영역 사이의 연결선의 방향에 따라, 상기 연결선 방향으로 타깃 기능 버튼의 제3 표시 위치를 획득하고, 제3 표시 위치에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301)는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지속 상태에 있고,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가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301)는 추가로,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타깃 기능 버튼이 강조되도록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301)는 추가로,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종료된 것을 검출하는 경우,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상태를 숨김 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301)는 추가로,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고, 터치 조작의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크며,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상기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프롬프트 정보는 터치 조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를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시켜,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도록 제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301)는 가상 조이스틱 영역과 타깃 기능 버튼 사이에 타깃 화살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타깃 화살표의 방향은 가상 조이스틱 영역으로부터 타깃 기능 버튼을 가리킨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301)는 추가로, 가상 객체의 이동 상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자동으로 이동을 중지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타깃 기능 버튼을 소멸 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301)는 추가로, 시야각 조정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가상 장면에서 조정된 시야각 방향으로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전자 장치(1300)는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이동 제어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이 강조되도록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이동 제어 기능 버튼과 타깃 기능 버튼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화면의 상이한 영역에 각각 표시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301)는 이동 제어 기능 버튼에 대한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이동 제어 기능 버튼, 강조될 이동 제어 기능 버튼 및 타깃 기능 버튼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화면의 다른 영역에 각각 표시된다.
물론, 전자 장치(13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키보드,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여, 입출력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300)는 장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추가로 제공되며, 상기 명령어는 전술한 실시예의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을 완료하기 위해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CD-ROM(compact disc 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실시예의 모든 단계 또는 일부 단계가 하드웨어 또는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일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균등한 대체 및 개선은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24)

  1.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으로서,
    단말기 화면에 가상 조이스틱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고, 상기 터치 조작의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크며, 상기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단말기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은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화면에서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 바로 위에 제1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표시 위치에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 바로 위에 제2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표시 위치에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와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 사이의 연결선의 방향에 따라, 상기 연결선 방향으로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의 제3 표시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표시 위치에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것은,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지속 상태(continuous state)에 있고, 상기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가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은,
    상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이 강조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은,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종료된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상태(displayed state)를 숨김 상태(hidden state)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은,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고, 상기 터치 조작의 변위가 상기 변위 임계 값보다 크며, 상기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상기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 프롬프트 정보(prompt information)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롬프트 정보는 상기 터치 조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를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도록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과 상기 타깃 기능 버튼 사이에 타깃 화살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깃 화살표의 방향은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으로부터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을 가리키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은,
    상기 가상 객체의 이동 상태(movement state)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가상 장면에서 자동으로 이동을 중지하도록 상기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을 소멸 상태(extinguished state)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은,
    시야각 조정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가상 장면에서 조정된 시야각 방향으로 상기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은,
    이동 제어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이 강조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제어 기능 버튼과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상기 화면의 상이한 영역에 각각 표시되는,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13. 전자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하기 방법의 작업:
    단말기 화면에 가상 조이스틱 영역을 표시하는 작업;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고, 상기 터치 조작의 변위가 변위 임계 값보다 크고, 상기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단말기 화면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는 작업 -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은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작업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 화면에서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 바로 위에 제1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표시 위치에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 바로 위에 제2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표시 위치에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 위치와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 사이의 연결선의 방향에 따라, 상기 연결선 방향으로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의 제3 표시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표시 위치에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지속 상태에 있고, 상기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가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이 강조되도록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종료된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의 표시 상태를 숨김 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고, 상기 터치 조작의 변위가 상기 변위 임계 값보다 크며, 상기 터치 조작의 지속 시간이 상기 타깃 시간보다 긴 경우,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롬프트 정보는 상기 터치 조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터치 조작의 터치 포인트를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타깃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을 수행하도록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과 상기 타깃 기능 버튼 사이에 타깃 화살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타깃 화살표의 방향은 상기 가상 조이스틱 영역으로부터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을 가리키는, 전자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가상 객체의 이동 상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가상 장면에서 자동으로 이동을 중지하도록 상기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을 소멸 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시야각 조정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가상 장면에서 조정된 시야각 방향으로 상기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 객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이동 제어 기능 버튼상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 제어 기능 버튼이 강조되도록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 제어 기능 버튼과 상기 타깃 기능 버튼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상기 화면의 상이한 영역에 각각 표시되는, 전자 장치.
KR1020207018527A 2018-03-30 2019-02-28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KR102358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276793.8A CN108509139B (zh) 2018-03-30 2018-03-30 虚拟对象的移动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CN201810276793.8 2018-03-30
PCT/CN2019/076508 WO2019184648A1 (zh) 2018-03-30 2019-02-28 虚拟对象的移动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897A true KR20200091897A (ko) 2020-07-31
KR102358363B1 KR102358363B1 (ko) 2022-02-08

Family

ID=6337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527A KR102358363B1 (ko) 2018-03-30 2019-02-28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98609B2 (ko)
JP (1) JP7104164B2 (ko)
KR (1) KR102358363B1 (ko)
CN (1) CN108509139B (ko)
WO (1) WO20191846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2492A1 (en) * 2021-03-10 2022-09-15 Bungie, Inc. Infinite drag and swipe for virtual controll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9058468A1 (ja) * 2017-09-20 2020-10-15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CN108509139B (zh) 2018-03-30 2019-09-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移动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JP6560801B1 (ja) * 2018-09-26 2019-08-14 株式会社Cygames プログラム、電子装置、及び方法
CN109324739B (zh) * 2018-09-28 2021-08-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9847354B (zh) * 2018-12-19 2020-05-22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游戏中虚拟镜头控制的方法及装置
CN109568957B (zh) * 2019-01-10 2020-02-07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中的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终端
CN109999506B (zh) * 2019-03-26 2023-04-07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目标事件的交互控制方法与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10270086B (zh) * 2019-07-17 2023-03-24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游戏中虚拟角色的移动控制方法及装置
CN110215691B (zh) * 2019-07-17 2023-04-2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游戏中虚拟角色的移动控制方法及装置
CN110413171B (zh) * 2019-08-08 2021-02-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控制虚拟对象进行快捷操作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523085A (zh) * 2019-08-30 2019-12-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0559658B (zh) * 2019-09-04 2020-07-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装置、终端以及存储介质
CN110772784B (zh) * 2019-10-28 2021-05-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载具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1061362A (zh) * 2019-11-21 2020-04-24 珠海剑心互动娱乐有限公司 自适应视角方法、装置、计算设备和存储介质
CN111632380A (zh) * 2020-05-28 2020-09-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姿态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1638850A (zh) * 2020-05-29 2020-09-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响应方法、响应装置及电子设备
CN111672115B (zh) * 2020-06-05 2022-09-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760275A (zh) * 2020-07-08 2020-10-13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2245918B (zh) * 2020-11-13 2023-01-3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角色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402959A (zh) * 2020-11-19 2021-02-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391448B2 (ja) * 2020-11-19 2023-12-05 ▲騰▼▲訊▼科技(深▲セン▼)有限公司 仮想オブジェクトの制御方法、装置、機器、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CN113094282B (zh) * 2021-04-28 2023-08-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程序块运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813599B (zh) * 2021-08-27 2023-07-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角色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722644B (zh) * 2021-09-03 2023-07-21 如你所视(北京)科技有限公司 基于外接设备在虚拟空间选取浏览点位的方法及其装置
CN117427332A (zh) * 2022-07-12 2024-01-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17618903A (zh) * 2022-08-18 2024-03-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程序产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2013A1 (en) * 2010-01-06 2011-07-14 Kabushiki Kaisha Square Enix (Also Trading As Square Enix Co., Ltd.) User interfac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user interface, and program for processing user interface
KR20110134810A (ko) * 2010-08-26 2011-12-15 백규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20150054285A (ko) * 2013-11-11 2015-05-20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게임 자동 실행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7754309A (zh) * 2017-09-30 2018-03-0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3552A (en) * 1979-02-23 1982-10-12 Peptek, Incorporated Touch panel system and method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20040130525A1 (en) * 2002-11-19 2004-07-08 Suchocki Edward J. Dynamic touch screen amusement game controller
US7057607B2 (en) * 2003-06-30 2006-06-06 Motorola, Inc. Application-independent text entry for touch-sensitive display
KR100593982B1 (ko) * 2003-11-0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그래피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기록매체
US7309287B2 (en) * 2003-12-10 2007-12-18 Nintendo Co., Ltd. Game machine having display screen with touch panel
JP2005204754A (ja) * 2004-01-20 2005-08-04 Nintendo Co Ltd タッチパネル入力を用いたゲームシステム
US7942743B2 (en) * 2004-01-20 2011-05-17 Nintendo Co., Ltd. Gam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game program
US7578742B2 (en) * 2004-03-26 2009-08-25 Nintendo Co., Ltd. Recording medium storing video game program and video game device
SE0400875D0 (sv) * 2004-04-01 2004-04-01 Teleca Software Solutions Ab A terminal for navigating documents
JP4412715B2 (ja) * 2004-05-07 2010-02-10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生成システム
US20060111180A1 (en) * 2004-11-25 2006-05-25 Zeroplus Technology Co., Ltd. Touch-control game controller
JP5302816B2 (ja) * 2008-08-07 2013-10-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情報表示装置
US8187095B2 (en) * 2008-08-12 2012-05-29 Sony Corporation Universal game console controller
US20100045666A1 (en) * 2008-08-22 2010-02-25 Google Inc. Anchored Navigation In A Three Dimensional Environment On A Mobile Device
US20100162128A1 (en) * 2008-12-19 2010-06-24 Nigel Richardson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US8686952B2 (en) * 2008-12-23 2014-04-01 Apple Inc. Multi touch with multi haptics
US8963844B2 (en) * 2009-02-26 2015-02-24 Tara Chand Singhal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part I
JP4734435B2 (ja) * 2009-03-23 2011-07-27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を持った携帯型ゲーム装置
JP5330090B2 (ja) * 2009-05-20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その表示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36156A (ko) * 2009-06-18 2010-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JP4823342B2 (ja) * 2009-08-06 2011-11-24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を持った携帯型コンピュータ
US20110080351A1 (en) * 2009-10-07 2011-04-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controlling touch input on a touch-sensitive display when a display element is activ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the same
US8382591B2 (en) * 2010-06-03 2013-02-26 Ol2,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game controller on a touch-screen device
TW201334843A (zh) * 2012-02-20 2013-09-01 Fu Li Ye Internat Corp 具有觸控面板媒體的遊戲控制方法及該遊戲媒體
EP2645219A1 (en) * 2012-03-30 2013-10-02 Orange Method of and device for validation of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JP5563633B2 (ja) * 2012-08-31 2014-07-30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US9348488B1 (en) * 2012-11-29 2016-05-24 II Andrew Renema Methods for blatant auxiliary activation inputs, initial and second individual real-time directions, and personally moving, interactive experiences and presentations
US9227141B2 (en) * 2013-12-31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screen game controller
CN105373238A (zh) * 2014-08-11 2016-03-02 冠捷投资有限公司 显示在公用显示器上的虚拟对象的操作系统
JP5781213B1 (ja) * 2014-12-26 2015-09-16 株式会社Cygames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及びゲーム制御装置
US10078410B1 (en) * 2015-03-30 2018-09-18 Electronic Arts Inc. System to locomote an entity in three dimensional space
US9772743B1 (en) * 2015-03-30 2017-09-26 Electronic Arts Inc. Implementation of a movable control pad on a touch enabled device
CN106155553B (zh) * 2016-07-05 2020-06-30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虚拟对象运动控制方法及装置
JP6072338B1 (ja) * 2016-07-29 2017-02-01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ゲームを提供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8042467A1 (ja) * 2016-08-31 2018-03-08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装置
KR20180068411A (ko) * 2016-12-14 2018-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인 비행 전자 장치의 운행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7019909B (zh) * 2017-04-13 2020-05-22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132988B (zh) * 2017-06-06 2019-11-05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虚拟对象状态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273037A (zh) * 2017-07-04 2017-10-20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虚拟对象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07803028B (zh) * 2017-09-30 2019-03-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509139B (zh) * 2018-03-30 2019-09-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移动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2013A1 (en) * 2010-01-06 2011-07-14 Kabushiki Kaisha Square Enix (Also Trading As Square Enix Co., Ltd.) User interfac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user interface, and program for processing user interface
KR20110134810A (ko) * 2010-08-26 2011-12-15 백규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20150054285A (ko) * 2013-11-11 2015-05-20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게임 자동 실행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7754309A (zh) * 2017-09-30 2018-03-0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2492A1 (en) * 2021-03-10 2022-09-15 Bungie, Inc. Infinite drag and swipe for virtual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509139B (zh) 2019-09-10
CN108509139A (zh) 2018-09-07
KR102358363B1 (ko) 2022-02-08
US20200298104A1 (en) 2020-09-24
WO2019184648A1 (zh) 2019-10-03
US11298609B2 (en) 2022-04-12
JP7104164B2 (ja) 2022-07-20
JP2021517006A (ja)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8363B1 (ko) 가상 객체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US110523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object to mov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10001218A1 (en) Virtual charact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977713B2 (en) Viewing angle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565710B1 (ko)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N107583271A (zh) 在游戏中选择目标的交互方法和装置
EP3970819B1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7519644B (zh) 一种3d游戏中的视角调整方法及装置
CN108854063B (zh) 射击游戏中的瞄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075522A (zh) 射击游戏中虚拟武器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11068320B (zh) 游戏中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2006314763A (ja) 対戦ビデオ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
CA31607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te switching in virtual scene, device, medium, and program product
JP7391448B2 (ja) 仮想オブジェクトの制御方法、装置、機器、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CN113181651A (zh) 游戏中控制虚拟对象移动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404986A (zh) 玩家角色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98355A (ko) 가상 대상 상호작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매체, 및 제품
CN114404944A (zh) 玩家角色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996051A (zh) 游戏技能的取消释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694514A (zh) 对象控制方法及装置
JP2020089492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及びゲーム端末
CN113663326B (zh) 一种游戏技能的瞄准方法和装置
WO2023221944A1 (zh) 虚拟角色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404943A (zh) 玩家角色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883785A (zh) 游戏中的操作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