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710B1 -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710B1
KR102565710B1 KR1020217013177A KR20217013177A KR102565710B1 KR 102565710 B1 KR102565710 B1 KR 102565710B1 KR 1020217013177 A KR1020217013177 A KR 1020217013177A KR 20217013177 A KR20217013177 A KR 20217013177A KR 102565710 B1 KR102565710 B1 KR 102565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virtual object
aiming point
viewing angle
rotationa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8535A (ko
Inventor
숴환 우
지훙 류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6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9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aiming at specific areas on the display, e.g. light-gu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automatically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the player, e.g. automatic braking in a driving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6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on-screen location information, e.g. screen coordinates of an area at which the player is aiming with a light gu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63F13/52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 A63F13/5258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by dynamically adap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to keep a game object or game character in its viewing frustum, e.g. for tracking a character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를 개시하며, 컴퓨터 기술 분야에 속한다. 이 방법은, 본 출원에서,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그리고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있는 경우, 조준 지원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회전 속도는 시야각 조정 조작과 조준점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를 사용하여 획득된다. 전술한 프로세스는 시야각 조정 조작을 고려하며, 사용자의 조작을 존중하면서 조준 지원을 제공하며,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조작과 분리되는 경우가 회피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충족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존중되며, 지원 효과가 제공되고, 디스플레이 효과가 양호하다.

Description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2019년 2월 26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1432804호('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것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 포함된다.
본 출원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단말 기능의 다양성으로 인해, 점점 더 많은 유형의 게임이 단말에서 플레이될 수 있다. 슈팅(shooting) 게임은 인기있는 게임의 한 유형이다. 이러한 유형의 게임에서, 조준점은 일반적으로 단말 스크린 중앙에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가상 장면을 조정하기 위해 조준점에 의해 조준되는 영역을 조정하도록 가상 장면(virtual scene)의 시야각을 조정할 수 있다.
현재의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일반적으로 타깃 가상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 주변의 미리 설정된 범위가 흡착 영역(adsorption region)으로서 직접 사용되고, 조준점이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조준점은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로 직접 이동된다.
전술한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고려하지 않고,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로 조준점을 직접 이동시키며, 이는 조준을 지원하는데 더 큰 강도를 갖는다. 사용자가 타깃 가상 객체를 조준하고 싶지 않거나 타깃 가상 객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준점을 이동시키기를 원하는 경우, 전술한 방법에서 과도한 드래그로 인해 사용자가 타깃 가상 객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준점을 이동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조작과 분리되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며, 디스플레이 효과가 좋지 않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필요에 부응하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과 분리되는 문제 및 불량한 디스플레이 효과를 해결하기 위한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적용 가능한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이 제공되며,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적용 가능한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이 제공되며,
가상 장면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조준점에 대응하는 타깃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와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임 ―;
상기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타깃 가상 장면 내의 조준점은 상기 타깃 가상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에 위치함 ―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며,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상기 획득 모듈은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상기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며,
가상 장면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조준점에 대응하는 타깃 영역을 획득하고 ―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와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임 ―,
상기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며,
상기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 상기 타깃 가상 장면 내의 조준점은 상기 타깃 가상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에 위치함 ―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며, 상기 명령은 상기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볍에서 수행되는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수행되는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분명히, 다음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만을 도시하고, 당업자는 여전히 창조적인 노력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첨부 도면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조준 도구에 기초하여 가상 장면이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지 않은 단말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조준 도구에 기초하여 가상 장면이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단말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 영역의 크기와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관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말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세 가지 유형의 흡착 영역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타깃 가상 객체가 이동 중인 단말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조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조준점에 대응하는 타깃 영역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타깃 가상 장면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현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주로 전자 전자 게임 장면 또는 시뮬레이션 훈련 장면에 관한 것이다. 전자 게임 장면을 예로 들어, 사용자는 미리 단말에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자 게임의 게임 구성 파일은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한 후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전자 게임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자가 단말에서 전자 게임에 로그인할 때 게임 구성 파일을 호출할 수 있도록 게임 구성 파일은 전자 게임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데이터, 가상 장면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에서 터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단말은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게임 데이터를 획득하고, 게임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여기서 게임 데이터는 가상 장면 데이터, 가상 장면 내 가상 객체의 행동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포함된 가상 장면은 열린 공간일 수 있는 3차원 가상 공간 또는 2차원 가상 공간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가상 장면은 실제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장면은 하늘, 땅 및 바다를 포함할 수 있고, 땅은 사막 및 도시와 같은 환경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장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가상 객체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가상 인물일 수 있다. 가상 인물은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인간 또는 동물일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가상 장면은 다른 가상 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상 장면은 복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가상 객체는 가상 장면에서 형상과 볼륨을 가지며, 가상 장면에서 일부 공간을 차지한다. 예를 들어, 사격 게임에서, 사용자는 가상 장면의 하늘에서 자유롭게 떨어지고, 활공하거나, 낙하산을 타거나, 또는 땅에서 달리고, 점프하며, 기어 가고, 굽은 자세로 걷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거나, 또는 바다에서 수영하고, 흘러가며, 다이빙하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확실히, 사용자는 다르게는 가상 장면에서 이동하기 위해 차량을 타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장면은 단지 예로서 사용되며,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특정한 제한은 설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다르게는 가상 소품을 사용하여 다른 가상 객체와 싸우도록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가상 소품은 냉병기(cold weapon)일 수 있거나 또는 열병기(hot weapon)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스크린은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고 있는 가상 객체의 시야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단말 스크린은 또한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고 있는 가상 객체의 조준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조준점은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고 있는 가상 객체의 시야각 이미지에서 조준된 타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의 위치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고 있는 가상 객체의 공격 타점(impact point)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준점은 단말 스크린의 중앙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확실히, 조준점은 다르게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조준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타일을 가질 수 있으며, 조준점은 시스템의 기본 디스플레이 스타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조준점을 볼 때, 사용자는 현재 조준점에 대응하는 가상 장면의 위치가 사용자가 조준하고 싶은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조준점에 의해 조준되는 영역을 조정하기 위해 시야각 조정 조작을 통해 가상 장면의 시야각을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다른 가상 객체에 대해 사격, 때리기 또는 권투를 수행하기 위해 가상 장면에서 다른 가상 객체의 신체에 있는 조준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조정하기를 원한다.
시야각 조정 조작의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은 복수 유형의 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각 조정 조작은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는 조작, 즉 시야각을 변경하기 위해 객체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조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시야각을 변경하기 위해 직접 시야각 조정 조작을 수행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시야각 조정 조작은 다르게는 복수의 조작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시야각 조정 조작은 슬라이딩 조작일 수 있다.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은 슬라이딩 방향, 슬라이딩 거리 및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속도에 기초하여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하는 시야각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은 시야각의 회전 방향에 대응할 수 있고,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는 시야각의 회전 각도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물론,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속도는 또한 시야각의 회전 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시야각 조정 조작은 또한 프레싱 조작(pressing operation)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시야각 조정 영역을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시야각 조정 영역에서 프레싱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시야각 조정 영역에서 프레싱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은 시야각 조정 영역에 대한 프레싱 조작의 구체적인 위치와, 프레싱 조작의 프레싱 강도 및 프레싱 시간에 기초하여 프레싱 조작에 대응하는 시야각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각 조정 영역의 중심에 대한 프레싱 조작의 방향은 시야각의 회전 방향에 대응할 수 있고, 프레싱 조작의 프레싱 강도는 시야각의 회전 속도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고, 프레싱 조작의 프레싱 시간은 시야각의 회전 각도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시야각 조정 조작은 또한 단말에 대한 회전 조작일 수 있다. 회전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단말의 각속도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는 회전 조작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에 따른 시야각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조작의 회전 방향은 시야각의 회전 방향일 수 있고, 회전 조작의 회전 각도는 시야각의 회전 각도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으며, 회전 조작의 회전 속도는 시야각의 회전 속도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물론, 시야각 조정 조작은 또한 푸시 버튼 조작, 가상 조이스틱 영역에서의 드래그(drag) 및 드롭(drop) 조작, 또는 실제 조이스틱 장치에서의 토글 조작일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물론, 사용자가 가상 객체를 제어하는 경우, 전술한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합을 통해 다른 제어 효과가 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시야각에 대해 수행되는 시야각 조정 조작은 슬라이딩 조작이고, 슬라이딩 조작 동안 단말은 프레싱 강도가 미리 설정된 프레싱 강도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격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슬라이딩 조작 프로세스에서 조작의 프레싱 강도를 검출한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며, 전술한 시야각 조정 조작을 결합하는 방법과 특정 구현 동안 구현될 수 있는 제어 효과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전자 게임 장면에서, 가상 객체는 일반적으로 다른 가상 객체와 싸우기 위해 가상 소품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총기 소품에는 조준 도구에 기초하여 가상 장면을 관찰하기 위해 조준 도구가 추가로 장착된다. 조준 도구는 기계식 조준 도구일 수 있으며, 기계식 조준 도구는 원래 총기 소품에 장착된 관찰 장치이다. 조준 도구는 다르게는 예를 들어 사이트(sight)와 같은 총기 소품에 장착되는 조준 도구일 수 있다. 사이트에는 배율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배율은 1일 수 있거나, 또는 1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트는 레드닷(red dot) 사이트, 홀로그램 사이트, 2X 사이트, 4X 사이트, 8X 사이트 등일 수 있으며, 여기서 레드닷 사이트와 홀로그램 사이트의 배율은 모두 1이고, 2X 사이트, 4X 사이트 및 8X 사이트의 배율은 모두 1보다 크다. 물론, 사이트의 배율은 다르게는 다른 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이트는 다르게는 3X 사이트, 6X 사이트 또는 15X 사이트일 수 있고, 그 사이트의 배율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조준 도구는 가상 객체가 조준하고 사격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가상 소품을 조준하거나 사격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가상 객체는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적 가상 객체를 보다 정확하게 조준하고 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장면은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지 않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가상 장면에 나타나는 다른 가상 객체를 정확하게 사격하기 위해 가상 객체를 제어하고 싶어하며,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면, 가상 장면은 가상 객체에 의해 제어되는 가상 소품 상의 조준 도구를 통해 관찰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1.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가상 장면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단계 302를 수행하며, 가상 장면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305를 수행한다.
사용자는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에 대응하는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가상 장면의 시야각을 조정하도록 단말에 대한 시야각 조정 조작을 수행한다. 이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을 통해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고 있는 가상 객체의 조준 위치 및 공격 타점. 전술한 내용은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식 및 유형을 설명하였으며, 본 출원의 본 실시예는 시야각 조정 조동의 조작 방식 및 유형을 반복하거나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전술한 시야각 조정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준점을 사용자가 조준하고자 하는 가상 객체의 신체로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 어려움이 감소된다. 따라서,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미리 결정하기 위해 가상 장면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가상 장면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즉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의 시야에 다른 가상 객체가 없는 경우, 가상 객체는 조준되거나 또는 사격 타깃을 갖지 않는다. 시야각 조정 조작은 사용자가 시야각을 조정하고 조준하지 않는 조작일 뿐이므로,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없으며, 시야각 조정 조작에 기초하여 시야각을 직접 조정하는 다음 단계 305가 수행될 수 있다. 가상 장면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즉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의 시야에 다른 가상 객체가 있는 경우, 가상 객체는 다른 가상 객체를 조준하기를 원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가상 객체를 조준하기를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조준 지원 서비스가 필요한지의 여부가 추가로 결정되어야 하며, 다음의 단계 302가 추가 결정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타깃 가상 객체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가 아닌 다른 가상 객체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는 또한 다른 가상 객체와 팀을 이룰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같은 팀의 가상 객체로서,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는 같은 팀의 다른 가상 객체를 조준하거나 사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타깃 가상 객체는 다르게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가 속한 팀과 다른 팀에 있는 임의의 가상 객체일 수 있다. 타깃 가상 객체의 특정 결정 방식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302. 단말은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한다.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고 있는 가상 객체의 시야에 타깃 가상 객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후, 단말은 타깃 가상 객체가 조준 지원 조건을 갖고 있는지를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 조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가 고려될 수 있다.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에 비교적 가까우면, 조준 지원 서비스가 시야각 조정 조작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으면,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게임의 공정성이 보장되고 사용자의 조작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조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착 영역은 타깃 가상 객체에 대해 설정될 수 있으며, 흡착 영역은 타깃 가상 객체를 조준할 때 조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조준점의 위치이다. 즉, 조준점이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빠른 조준을 구현하기 위해 조준점의 위치를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로 이동시키도록 시야각을 조정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흡착 영역은 타깃 가상 객체 주변의 영역일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흡착 영역은 타깃 가상 객체를 중심으로 사용하고 타깃 크기를 크기로 사용하는 영역일 수 있다. 타깃 크기는 당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타깃 크기는 다르게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단계 302는, 단말이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고, 흡착 영역의 크기는 거리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일 수 있다. 더 먼 거리는 더 큰 흡착 영역의 크기를 지시한다. 더 가까운 거리는 더 작은 흡착 영역의 크기를 지시한다. 이와 같이, 제1 가상 객체와 제2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으로 조준점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제어 조작을 통해 쉽게 시야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1 가상 객체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작고, 제1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지나치게 작지 않을 수 있으므로, 조준을 지원하는 지원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고,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기 때문에 흡착 영역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다.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고,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흡착 영역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다.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의 에지는 타깃 가상 객체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고,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타깃 객체의 흡착 영역의 에지는 타깃 가상 객체에 상대적으로 가깝다. 따라서, 두 흡착 영역의 실제 크기는 실제로 현재 디스플레이 효과와 반대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흡착 영역의 형상은 또한 당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착 영역은 타깃 가상 객체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원형 영역일 수 있거나, 또는 타깃 가상 객체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다각형 영역, 예를 들어 사각형 영역일 수 있으며, 물론, 흡착 영역은 타깃 가상 객체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구형 영역일 수 있거나, 또는 타깃 가상 객체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원통형 영역 또는 다각형 영역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303.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한다.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한 후, 단말은 조준 지원 서비스가 위치 관계에 따라 제공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조준점과 흡착 영역 사이의 위치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조준점이 흡착 영역에 있는 경우, 단말은 조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계 303을 수행할 수 있다. 조준점이 흡착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기초하여 시야각을 직접 조정하기 위해 다음의 단계 305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시야각 조정 조작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제1 회전 속도 및 조준점 및 타깃 가상 타깃 객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이 단계 303에서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다음의 단계 1 내지 단계 3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1.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한다.
단계 1에서,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식 또는 시야각 조정 조작의 유형이 다른 경우, 단말은 다른 방식으로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각 조정 조작이 슬라이딩 조작 또는 드래그 및 드롭 조작인 경우,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 및 조작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시야각 조정 조작이 프레싱 조작인 경우,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의 프레싱 위치 및 프레싱 강도 또는 프레싱 시간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시야각 조정 조작이 단말에 대한 회전 조작인 경우, 단말은 단말의 회전 속도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하거나, 단말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시야각 조정 조작은 또한 다른 유형의 조작일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조준점이 흡착 영역의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 단말은 상이한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속도는 조준점과 흡착 영역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조준점과 흡착 영역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제1 회전 속도가 더 커짐을 지시한다. 조준점과 흡착 영역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제1 회전 속도가 더 작아짐을 지시한다.
특정 가능한 실시예에서, 타깃 가상 객체는 복수의 흡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흡착 영역은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이한 흡착 영역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상이한 제1 회전 속도를 지시한다. 즉, 조준점이 상이한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이한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깃 가상 객체는 제1 흡착 영역, 제2 흡착 영역 및 제3 흡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단말이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다음의 세 가지 사례를 포함할 수 있다.
사례 1.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1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한다.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정상 회전 속도이다. 조준점이 제1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없으므로, 단말은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사례 2.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며,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작다.
사례 2에서, 제1 흡착 영역은 제2 흡착 영역을 둘러싼다. 즉, 제2 흡착 영역의 크기는 제1 흡착 영역의 크기보다 작고, 제2 흡착 영역은 제1 흡착 영역보다 타깃 가상 객체에 더 가깝다. 조준점이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작은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야각의 회전 속도는 타깃 가상 객체가 더 가까운 경우 감소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조준점을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로 이동시키고 조준점을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를 넘어서 이동시키는 대신에 보다 쉽게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에 조준점을 유지하는 것이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점은 타깃 가상 객체에 매우 가깝고, 시야각의 회전 속도는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에 조준점을 보다 쉽게 유지하기 위해 감소되어야 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시야각 조정 조작을 위해 상이한 감도가 설정될 수 있다. 감도는 사용자의 조작 진폭 또는 조작 거리에 대한 제어된 가상 객체의 이동 거리의 비율일 수 있다. 감도는 다르게는 사용자의 조작 진폭 또는 조작 거리에 대한 시야각의 회전 속도의 비율일 수 있으며, 감도는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 즉, 감도가 클수록 사용자의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가 더 커지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사례 1 및 사례 2에서, 조준점이 상이한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감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시야각 조정 조작에 기초하여 단말에 의해 획득되는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준점이 제1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은 제1 감도에 대응한다. 조준점이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은 제2 감도에 대응한다. 제2 감도는 제1 감도보다 작다. 제1 감도 및 제2 감도는 당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습관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2 감도는, 예를 들어, 제1 감도와 타깃 계수의 곱을 획득하기 위해, 그리고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감도와 타깃 값 사이의 차이를 획득하기 위해, 제1 감도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제1 미리 설정된 제1 회전 속도와 제1 값 사이의 차이를 획득하고, 그 차이를 제2 미리 설정된 제2 회전 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값은 양수이다. 다르게는, 단말은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와 제1 계수의 곱을 획득하고, 그 곱을 제2 미리 설정된 제2 회전 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계수는 1보다 작은 양수이다.
전술한 것은 단지 2개의 가능한 구현을 제공하고, 물론 사례 2에서, 단말은 다르게는 다른 방식으로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각 조정 조작을 위해 복수의 값 세트가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값 세트는 복수의 상이한 값을 포함한다. 조준점이 상이한 흡착 영역에 위치한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값 세트는 다르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구현이 제한되지 않는다.
사례 3.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3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며,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작고,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와 다르다.
사례 3은 전술한 사례 2와 유사하고, 단말이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전술한 사례 2에서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차이점은, 사례 3에서 단말에 의해 획득된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가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와 다르다는 것이다. 즉, 조준점이 제3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제2 감도는 조준점이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제3 감도와 다르다는 것이다. 제3 감도는 제1 감도보다 낮다. 예를 들어, 감쇠 계수(damping coefficient)는 원래 감도에 기초하여 추가되고 감쇠 계수는 감도를 감소시키는 계수이다. 이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감도가 저하되고, 이에 상응하여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도 저하된다. 사용자는 조준점을 제3 흡착 영역 밖으로 이동시키기가 쉽지 않다. 감도 및 감쇠 계수의 특정 값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감도의 변경을 통해, 사용자는 전술한 시야각 조정 조작을 통해 조준점에 의해 조준되는 영역을 보다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준점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조준된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 부분을 조정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사용자가 지나치게 큰 조작 진폭으로 인해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에서 너무 빨리 멀어지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 조작을 크게 조정함으로써 시야각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2 흡착 영역은 제3 흡착 영역을 둘러싼다. 즉, 제3 흡착 영역의 크기는 제2 흡착 영역의 크기보다 작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3 감도는 제2 감도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작다. 이 경우,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감도가 작아지고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가 작아진다. 특정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3 흡착 영역은 타깃 가상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경우,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가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작은 설정을 통해, 사용자의 지나치게 큰 조작 진폭으로 인해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로부터 멀어지는 경우가 어느 정도 회피된다. 물론, 제3 감도는 다르게는 제2 감도보다 클 수 있다. 즉,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클 수 있다. 전술한 설정은 모두 요구사항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설정되며, 이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3 감도는 다르게는 제2 감도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획득 프로세스는 제1 감도에 기초하여 제2 감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며, 이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다르게는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와 제2 값의 차이를 획득하고, 그 차이를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값은 양수이다. 다르게는, 단말은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와 제2 계수의 곱을 획득하여, 그 곱을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계수는 1보다 작은 양수이다.
또 다른 구현에서,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다르게는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방식은 전술한 구현과 유사하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깃 가상 객체는 세 개의 흡착 영역을 포함한다. 세 개의 흡착 영역은 예시적인 설명으로만 사용된다. 세 개의 흡착 영역의 형상과 크기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타깃 가상 객체가 세 개의 흡착 영역을 포함하는 예는 설명을 위해서만 사용되며, 타깃 가상 객체는 다르게는 더 많은 흡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거나 다르게는 세 개 미만의 흡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의 모든 설정은 요구사항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가능한 실시예에서,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전술한 작동에서, 단말은 각각의 객체에 대해 임팩터(impactor)를 설정할 수 있으며, 임팩터는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단말은 조준점의 방향에 기초하여 방사선 검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광선이 가상 객체의 임팩터를 통해 충돌하면, 가상 객체에서 조준점의 흡착 영역이 획득될 수 있다. 물론, 임팩터 및 방사선 검출의 방식은 가능한 구현으로서만 사용되며, 단말은 다르게는 조준점의 위치 좌표와 흡착 영역의 좌표 범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식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2. 단말은 조준점의 위치와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며, 제2 회전 속도의 방향은 조준점으로부터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한다.
시야각 조정 조작 외에도, 단말은 다르게는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위치 관계를 고려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시야각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지원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는 복수의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단계 2는 거리의 세 가지 다른 표현 방식으로 아래에서 설명된다.
방식 1. 단말은 단말 스크린 상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한다.
방식 1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로 표현될 수 있다. 거리는 제2 회전 속도와 전환 관계(conversion relationship)에 있으며, 단말은 거리 및 전환 관계에 따라 제2 회전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회전 속도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 즉, 더 가까운 거리는 더 큰 제2 회전 속도를 지시하며, 더 먼 거리는 더 작은 제2 회전 속도를 지시한다. 이 경우,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에 접근하는 프로세스에서, 조준 지원의 강도가 지속적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타깃 가상 객체를 빠르게 조준할 수 있도록 지원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은 전적으로 존중되며, 조준 지원은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회전 속도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방식 2. 단말은 타깃 가상 객체와 가상 장면의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한다.
방식 2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는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로 표현될 수 있다. 거리는 제2 회전 속도와 전환 관계에 있으며, 단말은 거리 및 전환 관계에 따라 제2 회전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회전 속도는 가상 장면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 즉, 더 가까운 거리는 더 큰 제2 회전 속도를 지시하고, 더 먼 거리는 더 작은 제2 회전 속도를 지시한다. 이 경우,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에 접근하는 프로세스에서, 조준 지원의 강도가 지속적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타깃 가상 객체를 빠르게 조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회전 속도는 다르게는 가상 장면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방식 3. 단말은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고 있는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과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한다.
방식 3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고 있는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과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로 표현될 수 있다. 각도는 제2 회전 속도와 전환 관계에 있고, 단말은 각도 및 전환 관계에 따라 제2 회전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회전 속도는 각도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 즉, 더 큰 각도는 더 작은 제2 속도를 지시하고, 더 가까운 거리는 더 큰 제2 회전 속도를 지시한다. 이 경우,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에 접근하는 프로세스에서, 조준 지원의 강도가 지속적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타깃 가상 객체를 빠르게 조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2 회전 속도는 다르게는 각도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내용은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세 가지 표현 방식만을 제공하며, 거리는 다르게는 다른 표현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스크린 상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 사이의 수평 거리일 수 있고, 수평 거리는 수평 방향으로 단말 스크린 상의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의 거리 성분일 수 있다. 유사하게, 거리는 다르게는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수평 거리일 수 있으며, 수평 거리는 수평 방향으로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 거리의 거리 성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특정 표현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이 단계 2에서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다르게는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이 다를 경우, 단말은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구현에서, 단계 2는, 단말이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 가지 유형은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해 이동하도록 조준점을 제어하는 것이고, 다른 유형은 타깃 가상 객체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준점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경우에서 단말이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사례 1.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이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제1 파라미터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로서 제3 회전 속도를 획득한다.
사례 2.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이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제2 파라미터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로서 제4 회전 속도를 획득하며, 제4 회전 속도는 제3 회전 속도보다 낮다.
전술한 두 경우에서,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는 요구사항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및 제1 파라미터와 제3 회전 속도 사이의 전환 관계는 또한 요구사항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및 제2 파라미터와 제4 회전 속도 사이의 전환 관계도 또한 요구사항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시야각 조정 조작을 통해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에 가까워질 수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큰 제2 회전 속도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제3 회전 속도가 제공될 수 있고, 제공된 조준 지원 강도는 상대적으로 크다. 그러나, 시야각 조정 조작을 통해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에서 멀어질 수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제2 회전 속도, 즉 제4 회전 속도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공된 조준 지원 강도는 상대적으로 작다. 제3 회전 속도와 제4 회전 속도의 방향은 동일하고, 둘 다 조준점에서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하는 방향이며 속도만 다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점의 좌측이 타깃 가상 객체이고, 시야각 조정 조작이 조준점이 전방 좌측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지시하면, 조준점은 타깃 객체에 가까워지고, 둘 사이의 거리는 더 가까워진다.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제1 회전 속도가 초당 30도이면, 하나의 제3 회전 속도가 제1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추가될 수 있다. 제3 회전 속도는 초당 10도일 수 있으며, 제3 회전 속도와 제1 회전 속도의 방향은 동일하다. 시야각 조정 프로세스가 인접한 프레임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의 위치 변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은 조준점이 이전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한 이미지 프레임에서 90미터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3 회전 속도를 사용하여 조준점이 좌측으로 30m 더 이동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시야각 조정 조작이 조준점이 우측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시하면, 조준점은 타깃 가상 객체로부터 멀어지고 둘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진다.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제1 회전 속도가 초당 30도인 경우, 제1 회전 속도를 기준으로 하나의 제4 회전 속도가 추가될 수 있다. 제4 회전 속도는 초당 3도일 수 있다. 제4 회전 속도와 제1 회전 속도의 방향은 반대이다. 시야각 조정 프로세스가 인접한 프레임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의 위치 변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은 조준점이 이전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우측으로 90미터만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3 회전 속도를 사용하여 조준점이 좌측으로 9미터만큼 더 이동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조준점이 우측으로 9미터 더 적게 이동한다. 제4 회전 속도는 제3 회전 속도보다 적고, 조준 지원 강도가 더 작아진다.
구체적인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이 전술한 방식 1 또는 방식 2의 표현 방식을 채택하면,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에 있는 거리이자 또한 전술한 방식에서 획득된 상기 거리가 동일하지만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고 있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이자 또한 전술한 방식에서 획득된 상기 거리가 다른 경우, 조준점을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야각의 필요한 회전 각도가 다른 경우를 고려하여, 단말은 다르게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전술한 단계 2에서 거리를 고려하여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가 같지만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가 다른 경우 상기한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및 제2 회전 속도는 전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가 같은 경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고 있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고, 시야각을 위해 필요한 회전 각도가 상대적으로 작으면, 상대적으로 작은 제2 회전 속도가 획득되고,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고, 시야각을 위해 필요한 회전 각도가 상대적으로 크면, 상대적으로 큰 제2 회전 속도가 획득된다. 이 경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가 다른 경우, 동일한 지원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전술한 방식 1은, 단말이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와 단말 스크린 상에서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과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2 회전 속도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
전술한 방식 2는, 단말이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와 가상 장면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2 회전 속도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말이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고, 단말이 임의의 구현을 채택하여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복수의 구현의 임의의 조합으로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는 복수의 구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에서,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과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가 모두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거나 반복되지 않는다.
단말은 먼저 단계 1을 수행한 다음 단계 2를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먼저 단계 2를 수행한 다음 단계 1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단계 1과 단계 2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 1 및 단계 2의 실행 순서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흡착 영역이 세 개의 흡착 영역을 포함하는 전술한 경우에서, 구현이 더 포함된다.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1 흡착 영역 또는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3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계 2는 수행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제2 회전 속도로 0이 사용된다. 이에 상응하여, 단계 3은, 단말이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로 제1 회전 속도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흡착 영역에서,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정상 회전 속도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회전 속도 및 제2 회전 속도에 완전히 기초하여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기 위해, 제1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제2 회전 속도가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제2 흡착 영역에서,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회전 속도와 제2 회전 속도를 사용하여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기 위해, 제1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제2 회전 속도가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제3 흡착 영역에서, 단말은 단계 1만 수행할 수 있으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는 정상 회전 속도보다 낮고, 제1 회전 속도는 타깃 회전 속도로 사용된다.
단계 3. 단말은 제1 회전 속도 및 제2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한다.
제1 회전 속도와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한 후, 단말은 두 개의 회전 속도를 사용하여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으며, 타깃 회전 속도는 시야각을 조정하는 데 필요한 회전 속도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회전 속도 및 제2 회전 속도에 대해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고, 단말은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기 위해 제1 회전 속도 및 제2 회전 속도에 대해 가중치 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회전 속도 및 제2 회전 속도의 가중치는 요구사항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거나, 또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물론, 제1 회전 속도와 제2 회전 속도의 가중치가 모두 1로 설정되면, 단계 3은, 단말이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기 위해 제1 회전 속도와 제2 회전 속도에 대한 합산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회전 속도와 제2 회전 속도는 모두 벡터일 수 있고, 제1 회전 속도와 제2 회전 속도의 방향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1 회전 속도의 방향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방향이고, 제2 회전 속도의 방향은 조준점에서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단계 3은, 단말이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기 위해 제1 회전 속도와 제2 회전 속도에 대한 벡터 합산을 수행할 수 있다.
두 가지 극단적인 경우의 예가 다음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사례 1에서, 제1 회전 속도와 제2 회전 속도의 방향은 동일하다. 조준점은 타깃 객체의 좌측 전방에 있고,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은 우측 전방 방향이다. 즉, 조준점은 우측 전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제1 회전 속도의 방향은 우측 전방 방향이다. 제2 회전 속도의 방향은 조준점에서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하는 방향, 즉 우측 전방 방향이다. 타깃 회전 속도의 값은 제1 회전 속도의 값과 제2 회전 속도의 값의 합산 값일 수 있으며, 타깃 회전 속도의 방향은 우측 전방 방향이다.
사례 2의 경우, 제1 회전 속도와 제2 회전 속도의 방향은 반대이다. 조준점은 타깃 가상 객체의 좌측 전방에 있고,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은 좌측 전방 방향이다. 즉, 조준점은 좌측 전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제1 회전 속도의 방향은 좌측 전방 방향이다. 제2 회전 속도의 방향은 조준점에서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하는 방향, 즉 우측 전방 방향이다. 타깃 회전 속도의 값은 제1 회전 속도의 값과 제2 회전 속도의 값의 차이일 수 있으며, 타깃 회전 속도의 방향은 제1 회전 속도의 값과 제2 회전 속도 값 사이의 크기 관계에 따라 달라진다. 제1 회전 속도의 값이 제2 회전 속도의 값보다 크면, 타깃 회전 속도의 방향은 좌측 전방 방향이다. 제1 회전 속도의 값이 제2 회전 속도의 값보다 작으면, 타깃 회전 속도의 방향은 우측 전방 방향이다. 제1 회전 속도의 값이 제2 회전 속도의 값과 같으면, 타깃 회전 속도는 0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회전 속도는 제2 회전 속도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조작을 존중하고 전자 게임의 형평성과 공정성을 보장하며, 더 나은 게임 경험을 보장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303은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조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이다.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계산한 후, 단말은 시야각을 조정하기 위해 다음 단계 304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경우,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조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지만 시야각 조정 조작에 기초하여 정상적인 시야각 조정을 직접 수행하는 단계 305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04. 단말은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한 후, 단말은 타깃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시야각을 조정하고 조정된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이 가상 장면의 시야각을 조정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단말이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회전 각도를 계산할 수 있고, 단말이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해 시야각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은 인접한 프레임 사이의 시간 간격을 지칭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은 당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장치의 실행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고 조정될 수 있다.
단계 301 내지 단계 304는 동적 시야각 조정 프로세스이며, 단말은 각각의 프레임에서 단계 301 내지 단계 304를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에서의 계산을 통해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한 후, 단말은 다음 프레임에서 타깃 가상 장면을 렌더링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다음 프레임 시간의 시야각 방향을 획득하도록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본 프레임에서 다음 프레임까지의 시야각의 회전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다음 프레임에서 전술한 검출, 획득, 조정 및 디스플레이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전술한 단계 301 내지 단계 302에서,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구체적인 절차를 설명한다.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의 시야는 복수의 다른 가상 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다른 가상 객체는 모두 후보 가상 객체이다. 즉, 후보 가상 객체 중 어느 하나가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타깃 가상 객체를 조준하는 프로세스에서 조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 하나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준점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한다. 단말은 선택된 타깃 가상 객체에 기초하여 단계 303을 수행한다. 즉,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단말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에서 타깃 가상 객체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방식 1. 단말은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랜덤으로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한다.
방식 2. 단말은 가상 장면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한다.
방식 3. 단말은 단말 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한다.
방식 4. 단말은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를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과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최소 각도의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한다.
방식 4에서, 단말은 각도를 획득한 후, 최소 각도를 갖는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이 각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복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은 가상 장면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 및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은 단말 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 및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것은 설명을 위한 예로서 각도를 획득하는 두 가지 방식만을 사용하고, 단말은 다른 방식을 추가로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의 위치,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조준점의 방향에 따라 조준점이 후보 가상 객체가 시뮬레이션 계산, 즉 각도를 통해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시야 각도의 필요한 회전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각도를 획득하는 특정 방식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것은 단지 네 개의 가능한 구현만을 제공하고, 타깃 가상 객체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는 다르게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가상 객체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 사이의 수평 거리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 수평 거리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수평 거리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의 거리 성분일 수 있다. 유사하게, 타깃 가상 객체는 다르게는 가상 장면에서 조줌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수평 거리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수평 거리는 가상 장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의 거리 성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특정 표현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305.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고,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전술한 가상 장면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조준 지원이 필요한 타깃 가상 객체가 없거나, 또는 시야에 있는 타깃 가상 객체가 조준 지원을 제공하는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조준점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고,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기초하여 정상적인 시야각 조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305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응하는 정상 회전 속도이다. 시야각 조정 후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이러한 시야각 조정 조작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단말은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에 따라 시야각을 조정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경우,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고,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단계 302 이전에,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단말은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획득할 수 있고, 그 다음, 단말은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경우, 단말은 단계 302를 수행한다. 즉, 타깃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고,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 단말은 단계 305를 수행한다. 즉,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한다.
전술한 방식에서, 가상 객체가 타깃 가상 객체를 조준하는 경우, 단말은 가상 객체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가상 객체가 타깃 가상 객체를 정확하게 조준하거나 사격하기를 원하는 경우, 가상 장면과 가상 장면의 타깃 가상 객체는 가상 소품의 조준 도구에 기초하여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조준 지원 서비스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공되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가상 객체는 가상 장면을 이동시키거나 관찰할 수 있으며, 조준 지원이 제공될 필요가 없도록 타깃 가상 객체를 조준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조준 지원 기능이 추가로, 즉 이동 및 추종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흡착 영역은 타깃 가상 객체에 대해 설정될 수 있고, 제4 흡착 영역은 제1 흡착 영역, 제2 흡착 영역 및 제3 흡착 영역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세 개의 흡착 영역과 다를 수 있다. 제4 흡착 영역은 요구사항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현에서,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4 흡착 영역에 위치하고 타깃 가상 객체가 이동한 경우, 단말은 타깃 가상 객체를 따라 이동하도록 조준점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타깃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획득하고, 타깃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에 따라 조준점의 타깃 추종 속도 및 타깃 추종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가능한 실시예에서, 타깃 추종 속도는 타깃 가상 객체의 이동 속도보다 낮을 수 있고, 타깃 추종 방향은 타깃 가상 객체의 이동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깃 가상 객체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단말은 타깃 가상 객체를 따라 추종하도록 조준점을 동기시켜서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예에서, 전술한 시야각 조정 프로세스는 각각의 프레임(틱(tick))에 대한 렌즈 방향을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은 렌즈 회전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시야각 조정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시야각 조정 조작이 있는 경우, 단말은 계속해서 가상 객체가 렌즈를 잡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객체가 렌즈를 잡고 있는 경우, 가상 장면은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고, 가상 객체가 렌즈를 잡고 있으며, 조준점이 적의 흡착 영역에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조준점이 흡착 영역에 있는 경우, 조준이 제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조준점의 상이한 위치에 따라 상이한 조준 지원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조준점이 적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져 있는 경우, 흡착 속도가 제공될 수 있다. 조준점이 적에게 상대적으로 가까운 경우, 자기력 계산을 위해 자기력이 생성될 수 있다. 자기력 계산은 타깃 가상 객체를 추종하도록 조준점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조준점이 적의 신체에 있는 경우, 감쇠 계산을 위해 감쇠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쇠 계수가 감도에 추가되어 감도를 감소시켜서, 시야각의 회전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있으면, 조준 지원이 제공될 수 있다.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시야각을 조정하도록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회전 속도는 시야각 조정 조작과 조준점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를 사용하여 획득된다. 전술한 프로세스는 시야각 조정 조작을 고려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존중하면서 조준을 지원하며,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조작과 분리되는 경우가 회피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충족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존중되며, 지원 효과가 제공되고, 디스플레이 효과가 양호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조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절차를 설명한다. 전술한 방법은 조준 지원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조준 지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 방법은 다음의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01. 가상 장면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단말은 조준점에 대응하는 타깃 영역을 획득한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도 2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가상 장면을 나타낸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와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이다. 도 1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가상 장면을 나타낸다.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가상 객체는 가상 장면에서 다른 가상 객체를 조준하거나 사격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조준점 근처에 다른 가상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다른 가상 객체가 있는 경우,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조준점은 다른 가상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조준점에 대응하는 타깃 영역이 설정될 수 있고, 타깃 영역은 조준점 근처의 영역이다. 즉, 타깃 영역은 조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이다.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타깃 영역이 획득될 수 있으므로, 타깃 영역이 다른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조준 지원 서비스 제공 여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타깃 영역은 조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거리 임계값보다 적은 영역일 수 있다. 거리 임계값은 요구사항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이 타깃 영역을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단말이 조준점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미리 설정된 크기를 크기로 사용하여 타깃 영역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크기는 당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가능한 실시예에서, 타깃 영역은 조준점을 원의 중심으로 사용하고 타깃 반경을 반경으로 사용하는 원형 영역일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단말이 타깃 영역을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단말이 조준점을 원의 중심으로 사용하고 타깃 반경을 반경으로 사용하여 원형 영역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타깃 영역은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각형 영역일 수 있다. 타깃 영역이 원형 영역일 수 있는 예만이 여기에서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고, 타깃 영역의 형상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깃 영역은 조준점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원형 영역일 수 있다.
단계 1002. 단말은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단계 1003을 수행하며,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1007을 수행한다.
조준점에 대응하는 타깃 영역을 획득한 후, 판단 결과에 따라 조준 지원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은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즉 조준점 근처에 다른 가상 객체가 없으므로,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를 직접 전환시키는 다음의 단계 1007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깃 영역은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고,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즉 조준점 근처에 다른 가상 객체가 있는 경우, 가상 객체는 다른 가상 객체를 조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하기를 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고, 다음의 단계 1003 내지 단계 1006이 수행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타깃 가상 객체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가 아닌 임의의 다른 가상 객체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는 또한 다른 가상 객체와 팀을 이룰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같은 팀의 가상 객체로서,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는 같은 팀의 다른 가상 객체를 조준하거나 사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타깃 가상 객체는 다르게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가 속하는 팀과 다른 팀에 있는 임의의 가상 객체일 수 있다. 타깃 가상 객체의 특정 결정 방식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습니다.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타깃 영역은 복수의 다른 가상 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다른 가상 객체는 모두 후보 가상 객체이다. 즉, 후보 가상 객체 중 어느 하나가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타깃 가상 객체를 조준하는 프로세스에서 조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 하나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깃 영역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한다. 단말은 선택된 타깃 가상 객체에 기초하여 다음의 단계 1003 내지 단계 1005를 수행한다. 즉,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단말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에서 타깃 가상 객체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방식 1. 단말은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랜덤으로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한다.
방식 2. 단말은 가상 장면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한다.
방식 3. 단말은 단말 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의 투영 위치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한다.
방식 4. 단말은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를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과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최소 각도의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한다.
방식 4에서, 단말은 각도를 획득한 다음, 최소 각도를 갖는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이 각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복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은 가상 장면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 및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은 단말 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 및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것은 설명을 위한 예로서 각도를 획득하는 두 가지 방식만을 사용하고, 단말은 다른 방식을 더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의 위치,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조준점의 방향에 따라 가상 객체가 후보 가상 객체가 시뮬레이션 계산, 즉 각도를 통해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시야가의 필요 회전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각도를 획득하는 특정 방식은 본 출원의 번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것은 단지 네 개의 가능한 구현을 제공하고, 타깃 가상 객체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는 다르게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가상 객체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 사이의 수평 거리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 수평 거리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의 거리 성분일 수 있다. 유사하게, 타깃 가상 객체는 다르게는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수평 거리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수평 거리는 가상 장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의 거리 성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특정 표현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1003. 단말은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한다.
조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한 후, 타깃 위치와 조준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시야각을 회전시키고, 회전 후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단말은 먼저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타깃 위치는 조준점이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이다.
구체적으로, 타깃 위치는 복수의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타깃 위치는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타깃 위치는 다르게는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상의 고정된 위치일 수 있다. 다음은 타깃 위치의 획득 프로세스를 세 가지 방식으로 설명하며, 단말은 타깃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방식 1. 단말은 단말 스크린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관계에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한다. 방식 1에서, 단말은 수평 방향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관계에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단말 스크린 상에서 조준점의 투영 위치와 타깃 가상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 방향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관계는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방식 1에서, 단말이 타깃 위치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상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례를 포함한다.
사례 1. 수평 방향에서 조준점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은 조준점의 수평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자 또한 수평 위치 범위에 있는 위치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로서 사용한다.
두 개의 투영 위치에 따라 조준점이 수평 방향을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조준점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가 타깃 위치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다. 사례 1에서, 타깃 위치를 획득한 후, 조준점은 수평 방향만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사례 2. 수평 방향에서의 조준점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조준점의 수평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부분의 위치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로서 사용한다.
사례 2에서, 조준점의 투영 위치와 타깃 가상 객체에 따라 조준점이 수평 방향을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로 이동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되면, 가능한 구현에서, 조준점의 수평 위치와 수평 위치 범위 사이의 관계가 다른 경우, 수평 위치는 다르게는 상이한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위치가 수평 위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제1 부분의 위치가 타깃 위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수평 위치가 수평 위치 범위 아래에 있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제2 부분의 위치가 타깃 위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당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은 머리일 수 있고, 제2 부분은 발일 수 있다. 물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다른 부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부분은 다르게는 가슴일 수 있고, 제2 부분은 다르게는 다리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은 또한 타깃 위치로서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상의 고정된 위치(타깃 부분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부분의 위치는 머리 또는 목의 위치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부분의 위치, 예를 들어 중심 위치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방식 2. 단말은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수평 위치 사이의 관계에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한다. 방식 2에서, 단말은 위치 관계에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수평 방향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사이의 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방식 1과 유사하게, 가상 장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사이의 관계는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방식 2에서, 단말이 타깃 위치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상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례를 포함한다.
사례 1. 가상 장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준점의 위치의 수평 위치가 가상 장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의 수평 위치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조준점의 수평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자 또한 수평 위치 범위에 있는 위치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로서 사용한다.
두 개의 위치에 따라 조준점이 수평 방향을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조준점의 수평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는 타깃 위치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다. 사례 1에서, 타깃 위치를 획득한 후, 조준점은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만 제어될 수 있다.
사례 2. 가상 장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준점의 위치의 수평 위치가 가상 장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의 수평 위치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조준점의 수평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부분의 위치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로서 사용한다.
사례 2에서,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조준점이 수평 방향을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를 이동시킬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가능한 구현에서, 조준점의 수평 위치와 수평 위치 범위 사이의 관계가 다를 경우, 수평 위치는 다르게는 상이한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위치가 수평 위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제1 부분의 위치가 타깃 위치로 사용될 수 있고, 수평 위치가 수평 위치 범위 아래에 있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제2 부분의 위치가 타깃 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당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은 머리일 수 있고, 제2 부분은 발일 수 있다. 물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다른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은 다르게는 가슴일 수 있고, 제2 부분은 다르게는 다리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은 또한 타깃 위치로서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 상의 고정된 위치(타깃 부분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부분의 위치는 머리 또는 목의 위치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부분의 위치, 예를 들어 중심 위치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방식 3. 단말은 타깃 위치로서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부분의 위치를 획득한다.
방식 3에서, 단말은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고,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 상의 고정된 위치(타깃 부분의 위치)를 타깃 위치로 직접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타깃 부분은 당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것은 세 가지 방식만을 제공하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다르게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위치는 수직 방향의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사이의 위치 관계 또는 수직 방향의 단말 스크린 상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 위치 사이의 위치 관계에 따라 대상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특정한 방식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1004. 단말은 조준점으로부터 타깃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타깃 회전 방향으로 사용한다.
전술한 단계 1003에서,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한 후, 타깃 위치가 조준점이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이므로, 단말은 조준점에서 타깃 위치까지의 방향을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계 1005. 단말은 조준점의 방향과 타깃 위치를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로 연결하는 선의 방향 사이의 각도를 타깃 회전 각도로 사용한다.
전술한 단계 1003에서,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한 후, 타깃 위치가 조준점이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이므로, 단말은 조준점의 위치와 타깃 위치에 기초하여 시야각의 타깃 회전 각도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시야각이 타깃 회전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조준점은 타깃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조준점의 방향은 시야각의 방향이고, 시야각 조정 후, 조준점은 타깃 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야각 조정 후 시야각의 타깃 방향은 타깃 위치와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를 연결하는 선의 방향이고, 조준점의 위치와 선의 방향 사이의 각도가 타깃 회전 각도이다.
단계 1004 및 단계 1005는 조준점의 위치와 타깃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이다. 단말은 먼저 단계 1004를 수행한 다음 단계 1005를 수행하거나, 또는 먼저 단계 1005를 수행한 다음 단계 1004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단말은 단계 1004와 단계 1005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004 및 단계 1005의 실행 순서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1003 내지 단계 1005는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이다. 이 프로세스에서, 단말은 먼저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고, 그 다음, 타깃 위치와 조준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한다.
단계 1006. 단말은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시야각의 타깃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타깃 가상 장면의 조준점은 타깃 가상 객체가 위치한 영역에 위치한다.
단말은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에 따라 타깃 가상 장면을 획득할 수 있다. 그 프로세스는, 단말이 타깃 회전 방향과 타깃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시야각을 조정하고, 조정된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은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와 조준 도구에 대응하는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타깃 가상 장면을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타깃 가상 장면은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스케일링된 가상 장면이며, 타깃 가상 장면의 조준점은 타깃 가상 객체가 위치한 영역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로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조준점에 대응하는 타깃 영역은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말은 도 12에 도시된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회전하는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타깃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은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로 이동된다.
단계 1007. 단말은 조준 도구에 대응하는 스케일링 비율에 기초하여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전술한 단계 1002에서, 단말이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지 않고 조준점 근처에 다른 가상 객체가 없음을 검출하는 경우,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말은 조준 도구에 대응하는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현재 가상 장면에 대한 스케일링 디스플레이를 직접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조준점에 대응하는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면, 시야각은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하는 프로세스 동안 사용자가 조준점 근처의 타깃 가상 객체를 조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준점을 타깃 가상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시키는 사용자의 조작이 고려되고, 조준 지원 서비스가 조준점을 직접 드래그하고 드롭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무시하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전술한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조작과 밀접한 상관관계에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충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효과가 양호하다.
위의 모든 선택적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 출원의 선택적 실시예를 형성하기 위해 랜덤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302가 수행되고,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된다.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 조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를 결합하면, 가능한 시나리오에는,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시야각 조정 조작을 수행하고, 시야각 조정 조작을 검출한 후, 단말은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 회전 속도를 획득하여 시야각을 조정하고 조정된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조작을 수행하도록 단말를 계속 조작하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조준 도구에 기초한 전술한 디스플레이 모드이다. 전환 프로세스에서, 단말은 조준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타깃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가 획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정된 가상 장면 내의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 상에 있게 됨으로써, 렌즈를 잡는 조작 프로세스에서 조준점을 조준점 근처의 타깃 가상 객체의 신체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고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의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면, 조준 지원이 제공될 수 있다. 타깃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시야각을 조정하고 조정된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시야각 조정 조작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위의 모든 선택적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 출원의 선택적 실시예를 형성하기 위해 랜덤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장치는,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1301) ― 획득 모듈(1301)은,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1302)
을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가상 장면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모듈
을 더 포함하며,
획득 모듈(1301)은 가상 장면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획득 모듈(1301)은 가상 장면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301)은,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하고,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며 ― 제2 회전 속도의 방향은 조준점으로부터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하는 방향임 ―,
제1 회전 속도 및 제2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301)은,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1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고,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며 ―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낮음 ―,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3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낮고,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와 다르며, 제1 흡착 영역은 제2 흡착 영역을 둘러싸고, 제2 흡착 영역은 제3 흡착 영역을 둘러쌈 ―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301)은,
단말 스크린 상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거나, 또는
가상 장면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거나, 또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과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회전 속도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거나, 또는 제2 회전 속도는 가상 장면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거나, 또는 제2 회전 속도는 각도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301)은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에 상응하여, 획득 모듈(1301)은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및 단말 스크린 상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제2 회전 속도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
이에 상응하여, 획득 모듈(1301)은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및 가상 장면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제2 회전 속도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301)은,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1 흡착 영역 또는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고,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3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회전 속도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301)은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301)은,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이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해 이동함을 지시하는 경우,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제3 회전 속도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로서 획득하고,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이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을 지시하는 경우,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제4 회전 속도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로서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제4 회전 속도는 제3 회전 속도보다 낮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어 모듈은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4 흡착 영역에 위치하고 타깃 가상 객체가 이동된 경우, 타깃 가상 객체와 함께 이동하도록 조준점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301)은,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획득하고,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며,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301)은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흡착 영역의 크기는 거리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조준점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획득 모듈(1301)은 선택된 타깃 가상 객체에 기초하여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선택 모듈은,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로부터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서 랜덤하게 선택하거나, 또는
가상 장면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거나, 또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거나, 또는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를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과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최소 각도를 갖는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의 장치에 따르면,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있으면, 조준 지원이 제공될 수 있다.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회전 속도는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시야각을 조정하도록 시야각 조정 조작과 조준점 및 타깃 객체의 위치를 사용하여 획득된다. 전술한 프로세스는 시야각 조정 조작을 고려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존중하면서 조준 지원을 제공하며,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조작과 분리되는 경우가 회피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충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이 존중되며, 지원 효과가 제공되고, 디스플레이 효과가 양호하다.
상기한 기능 모듈의 분할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설명된다. 실제 적용에서, 기능은 특정 요구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 모듈에 할당될 수 있으며, 이는 전자 장치의 내부 구조가 서로 다른 기능 모듈로 분할되어 상기한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완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개념에 속한다.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는 방법 실시예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장치는,
가상 장면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도록 검출되는 경우 조준점에 대응하는 타깃 영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1401) ―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와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이며, 획득 모듈(1401)은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1402) ― 타깃 가상 장면의 조준점은 타깃 가상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에 위치함 ―을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401)은,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고,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401)은,
수평 방향의 단말 스크린 상에서 조준점 및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관계에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거나, 또는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수평 위치 사이의 관계에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거나, 또는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부분의 위치를 타깃 위치로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401)은,
수평 방향에서 조준점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조준점의 수평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자 또한 수평 위치 범위에 있는 상기 위치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수평 방향에서 조준점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 조준점의 수평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부분의 위치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401)은,
조준점으로부터 타깃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타깃 회전 방향으로 사용하고,
조준점의 방향과 타깃 위치를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로 연결하는 선의 방향 사이의 각도를 타깃 회전 각도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1401)은 조준점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미리 설정된 크기를 크기로 사용하여 타깃 영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타깃 영역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획득 모듈(1401)은 선택된 타깃 가상 객체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선택 모듈은,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로부터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서 랜덤하게 선택하거나, 또는
가상 장면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거나, 또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 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거나, 또는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를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과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최소 각도를 갖는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의 장치에 따르면,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조준점에 대응하는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하는 프로세스 동안 조준점 근처의 타깃 가상 객체를 조준할 수 있도록 타깃 가상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조준점을 이동하도록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조작이 고려되고, 조준 지원 서비스가 조준점을 직접 드래그하고 드롭하도록 사용자의 조작을 무시하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전술한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조작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충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효과가 양호하다.
상기한 기능 모듈의 분할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설명된다. 실제 적용에서, 기능은 특정 요구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 모듈에 할당될 수 있으며, 이는 전자 장치의 내부 구조가 서로 다른 기능 모듈로 분할되어 상기한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완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개념에 속한다.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는 방법 실시예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전자 장치(1500)는 구성이나 성능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1501)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150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2)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방법: 즉,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에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 제2 회전 속도의 방향은 조준점에서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하는 방향임 ―; 및 제1 회전 속도 및 제2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 작동: 즉,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1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낮음 ―; 및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3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낮고,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와 다르며, 제1 흡착 영역은 제2 흡착 영역을 둘러싸고, 제2 흡착 영역은 제3 흡착 영역을 둘러싸고 있음 ―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단말 스크린 상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 획득하거나, 또는 가상 장면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거나, 또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과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제2 회전 속도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거나, 또는 제2 회전 속도는 가상 장면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거나, 또는 제2 회전 속도는 각도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추가로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이에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및 단말 스크린 상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구현하며, 제2 회전 속도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및 가상 장면에서 타깃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구현하며, 제2 회전 속도는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추가로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1 흡착 영역 또는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 및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의 제3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회전 속도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로 사용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구현하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이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해 이동함을 지시하는 경우,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제3 회전 속도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로서 획득하는 작동; 및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이 조준점이 타깃 가상 객체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을 지시하는 경우,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제4 회전 속도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로서 획득하는 작동을 구현하며, 제4 회전 속도는 제3 회전 속도보다 낮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획득하는 작동;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 및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추가로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조준점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는 작동; 및 선택된 타깃 가상 객체에 기초하여 조준점의 위치,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추가로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서 랜덤하게 선택하거나, 또는 가상 장면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거나, 또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거나, 또는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를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과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최소 각도를 갖는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가상 장면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도록 검출되는 경우 조준점에 대응하는 타깃 영역을 획득하는 작동 ―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와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임 ―;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작동; 및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작동 ― 타깃 가상 장면의 조준점은 타깃 가상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에 위치함 ―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는 작동; 및 조준점의 위치 및 타깃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수평 방향의 단말 스크린 상에서 조준점 및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관계에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거나, 또는 가상 장면에서 조준점과 타깃 가상 객체의 수평 위치 사이의 관계에 따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거나, 또는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부분의 위치를 타깃 위치로 획득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수평 방향에서 조준점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조준점의 수평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자 또한 수평 위치 범위에 있는 상기 위치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수평 방향에서 조준점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 조준점의 수평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부분의 위치를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로서 사용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조준점으로부터 타깃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타깃 회전 방향으로 사용하는 작동; 및 조준점의 방향과 타깃 위치를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로 연결하는 선의 방향 사이의 각도를 타깃 회전 각도로 사용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조준점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미리 설정된 크기를 크기로 사용하여 타깃 영역을 획득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추가로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타깃 영역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는 작동; 및 선택된 타깃 가상 객체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다음의 작동: 즉,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서 랜덤하게 선택하거나, 또는 가상 장면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거나, 또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와 조준점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거나, 또는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를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과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최소 각도를 갖는 후보 가상 객체를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는 작동을 구현한다.
물론, 전자 장치는 입력 및 출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키보드 및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와 같은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장치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다른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더 설명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더 제공되고, 명령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완성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컴팩트 디스크 ROM(compact disc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관련 하드웨어를 명령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일뿐이며, 본 출원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사상과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균등한 대체 또는 개선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41)

  1. 전자 장치에 적용 가능한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조준점의 위치 및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회전 속도의 방향은 상기 조준점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하는 방향임 -; 및
    상기 제1 회전 속도 및 상기 제2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제1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낮음 ―; 및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제3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낮고, 상기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와 다름 ―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흡착 영역은 상기 제2 흡착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2 흡착 영역은 상기 제3 흡착 영역을 둘러싸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점의 위치 및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과 상기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속도는 상기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제2 회전 속도는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제2 회전 속도는 상기 각도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상기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이에 상응하여, 상기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상기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및 상기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회전 속도는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상기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음 ―
    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상응하여,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상기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회전 속도는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상기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음 ―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제1 흡착 영역 또는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위치 및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제3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회전 속도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점의 위치 및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이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해 이동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로서 제3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이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로서 제4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4 회전 속도는 상기 제3 회전 속도보다 낮음 ―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조준점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타깃 가상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랜덤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과 상기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거나, 또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과 상기 조준점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을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들의 방향과 상기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최소 각도를 갖는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12. 전자 장치에 적용 가능한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가상 장면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조준점에 대응하는 타깃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와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임 ―;
    상기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타깃 가상 장면 내의 조준점은 상기 타깃 가상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에 위치함 ―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조준점의 위치 및 상기 타깃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는,
    수평 방향의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조준점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관계에 따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조준점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수평 위치들 사이의 관계에 따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부분의 위치를 상기 타깃 위치로서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방향의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조준점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관계에 따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조준점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가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수평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자 또한 상기 수평 위치 범위에 있는 상기 위치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조준점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가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수평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부분의 위치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점의 위치 및 상기 타깃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조준점에서 상기 타깃 위치를 향한 방향을 상기 타깃 회전 방향으로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조준점의 방향과 상기 타깃 위치를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 사이의 각도를 상기 타깃 회전 각도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점에 대응하는 타깃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조준점을 중심으로서 사용하고 미리 설정된 크기를 크기로서 사용하여 타깃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타깃 영역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타깃 가상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랜덤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과 상기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거나, 또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과 상기 조준점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을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들의 방향과 상기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최소 각도를 갖는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20. 전자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는 작동;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및
    상기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또한,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상기 조준점의 위치 및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 상기 제2 회전 속도의 방향은 상기 조준점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하는 방향임 -; 및
    상기 제1 회전 속도 및 상기 제2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제1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낮음 ―; 및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제3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 상기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낮고, 상기 제3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는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와 다르며, 상기 제1 흡착 영역은 상기 제2 흡착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2 흡착 영역은 상기 제3 흡착 영역을 둘러쌈 ―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과 상기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속도는 상기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제2 회전 속도는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제2 회전 속도는 상기 각도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는,
    전자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상기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로딩되고 실행되며,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상기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및 상기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의 투영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 상기 제2 회전 속도는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상기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음 ―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거나, 또는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상기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상기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 상기 제2 회전 속도는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와 상기 타깃 가상 객체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음 ―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제1 흡착 영역 또는 제2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위치 및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 및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제3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회전 속도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로서 사용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이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를 향해 이동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로서 제3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및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의 조작 방향이 상기 조준점이 상기 타깃 가상 객체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2 회전 속도로서 제4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 상기 제4 회전 속도는 상기 제3 회전 속도보다 낮음 ―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가상 장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획득하는 작동;
    상기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경우, 타깃 가상 객체의 흡착 영역을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 및
    상기 가상 장면이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제1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조준점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의 흡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는 작동; 및
    선택된 타깃 가상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조준점의 위치,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시야각 조정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랜덤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과 상기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거나, 또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과 상기 조준점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을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들의 방향과 상기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최소 각도를 갖는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31. 전자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가상 장면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조준점에 대응하는 타깃 영역을 획득하는 작동 ―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조준 도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와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임 ―;
    상기 타깃 영역이 타깃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작동; 및
    상기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타깃 가상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작동 ― 상기 타깃 가상 장면 내의 조준점은 상기 타깃 가상 객체가 위치하는 영역에 위치함 ―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는 작동; 및
    상기 조준점의 위치 및 상기 타깃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수평 방향의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조준점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관계에 따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조준점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수평 위치들 사이의 관계에 따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부분의 위치를 상기 타깃 위치로서 획득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조준점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가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수평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자 또한 상기 수평 위치 범위에 있는 상기 위치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조준점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가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투영 위치의 수평 위치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준점의 수평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부분의 위치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타깃 위치로서 사용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조준점에서 상기 타깃 위치를 향한 방향을 상기 타깃 회전 방향으로서 사용하는 작동; 및
    상기 조준점의 방향과 상기 타깃 위치를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의 방향 사이의 각도를 상기 타깃 회전 각도로서 사용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조준점을 중심으로서 사용하고 미리 설정된 크기를 크기로서 사용하여 타깃 영역을 획득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타깃 영역이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 선택하는 작동; 및
    선택된 타깃 가상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조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장면의 시야각의 타깃 회전 방향 및 타깃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 중에서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랜덤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가상 장면에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과 상기 조준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거나, 또는
    단말 스크린 상에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과 상기 조준점의 투영들의 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준점에 가장 가까운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후보 가상 객체들을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제어되는 가상 객체에 연결하는 선들의 방향과 상기 조준점의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최소 각도를 갖는 후보 가상 객체를 상기 타깃 가상 객체로서 선택하는 작동
    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전자 장치.
  39.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명령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수행되는 작동 또는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수행되는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40. 삭제
  41. 삭제
KR1020217013177A 2019-02-26 2020-01-17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565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43280.4 2019-02-26
CN201910143280.4A CN109847336B (zh) 2019-02-26 2019-02-26 虚拟场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PCT/CN2020/072853 WO2020173256A1 (zh) 2019-02-26 2020-01-17 虚拟场景显示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535A KR20210068535A (ko) 2021-06-09
KR102565710B1 true KR102565710B1 (ko) 2023-08-09

Family

ID=6689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177A KR102565710B1 (ko) 2019-02-26 2020-01-17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883751B2 (ko)
JP (1) JP7299312B2 (ko)
KR (1) KR102565710B1 (ko)
CN (1) CN109847336B (ko)
SG (1) SG11202104916WA (ko)
WO (1) WO20201732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7336B (zh) * 2019-02-26 2021-08-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场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300266B (zh) * 2019-07-04 2021-04-02 珠海西山居移动游戏科技有限公司 一种镜头移动方法及系统、一种计算设备及存储介质
CN110732135B (zh) * 2019-10-18 2022-03-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场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841276B (zh) * 2019-10-31 2021-05-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道具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1061362A (zh) * 2019-11-21 2020-04-24 珠海剑心互动娱乐有限公司 自适应视角方法、装置、计算设备和存储介质
CN111097170B (zh) * 2019-12-11 2022-11-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吸附框的调整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1111168B (zh) * 2019-12-16 2021-03-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道具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1265858B (zh) * 2020-01-15 2022-04-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操作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1672119B (zh) 2020-06-05 2023-03-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瞄准虚拟对象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1714887B (zh) * 2020-06-24 2024-01-30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视角调整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764654B (zh) * 2021-01-29 2022-10-25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组件的吸附操作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440853B (zh) * 2021-07-08 2022-07-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场景中虚拟技能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835521B (zh) * 2021-09-02 2022-11-25 北京城市网邻信息技术有限公司 场景视角的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JP7406274B1 (ja) 2022-10-18 2023-12-27 亮太 高尾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方法及びゲーム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3307A (ja) 2006-10-13 2008-04-24 Sega Corp 電子遊戯装置、電子遊戯用制御方法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20150031421A1 (en) * 2013-04-05 2015-01-29 Gre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shooting game
CN105148520A (zh) 2015-08-28 2015-12-16 上海甲游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射击游戏的自动瞄准的方法及装置
CN108415639A (zh) * 2018-02-09 2018-08-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角调整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5600B2 (ja) * 2000-04-10 2002-11-18 コナミ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US6852032B2 (en) * 2000-12-06 2005-02-08 Nikon Corporation Game machine, method of performing g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2006122123A (ja) 2004-10-26 2006-05-18 Game Republic:Kk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327191B2 (en) * 2006-05-08 2016-05-03 Nintend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virtual camera control within 3D video games or other computer graphics presentations providing intelligent automatic 3D-assist for third person viewpoints
US8777708B2 (en) * 2008-06-27 2014-07-15 Microsoft Corporation Targeting control in a simulated environment
JP5800473B2 (ja) * 2010-06-11 2015-10-28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5622447B2 (ja) * 2010-06-11 2014-11-12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9561436B2 (en) * 2013-02-26 2017-02-07 Gree, Inc. Shooting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system
US20160158641A1 (en) * 2013-04-25 2016-06-09 Phillip B. Summons Targeting system and method for video games
US11465040B2 (en) * 2013-12-11 2022-10-11 Activision Publish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video games on touchscreen-based devices
US20150231509A1 (en) * 2014-02-17 2015-08-20 Xaviant, LLC (a GA Limited Liability Compan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Targeting
US9004997B1 (en) * 2014-03-12 2015-04-14 Wargaming.Net Llp Providing enhanced game mechanics
US9764226B2 (en) * 2014-03-12 2017-09-19 Wargaming.Net Limited Providing enhanced game mechanics
US20150375110A1 (en) * 2014-06-30 2015-12-31 AlternativaPlatform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hooting in online action games using automatic weapon aiming
JP5723050B1 (ja) * 2014-08-29 2015-05-27 グリー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
CN105597325B (zh) * 2015-10-30 2018-07-06 广州银汉科技有限公司 协助瞄准的方法与系统
CN107661630A (zh) * 2017-08-28 2018-02-0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射击游戏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处理器、终端
CN107913515B (zh) * 2017-10-25 2019-01-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08211342A (zh) * 2018-01-19 2018-06-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角调整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8310764B (zh) * 2018-02-09 2022-01-11 鲸彩在线科技(大连)有限公司 辅助定位方法、装置及设备
CN109224439B (zh) * 2018-10-22 2022-07-29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瞄准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09847336B (zh) * 2019-02-26 2021-08-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场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3307A (ja) 2006-10-13 2008-04-24 Sega Corp 電子遊戯装置、電子遊戯用制御方法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20150031421A1 (en) * 2013-04-05 2015-01-29 Gre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shooting game
CN105148520A (zh) 2015-08-28 2015-12-16 上海甲游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射击游戏的自动瞄准的方法及装置
CN108415639A (zh) * 2018-02-09 2018-08-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角调整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83751B2 (en) 2024-01-30
JP2022501147A (ja) 2022-01-06
US20240091654A1 (en) 2024-03-21
JP7299312B2 (ja) 2023-06-27
WO2020173256A1 (zh) 2020-09-03
CN109847336B (zh) 2021-08-06
SG11202104916WA (en) 2021-06-29
US20210245062A1 (en) 2021-08-12
CN109847336A (zh) 2019-06-07
KR20210068535A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710B1 (ko) 가상 장면 디스플레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11298609B2 (en) Virtual object mov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8415639B (zh) 视角调整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92632B1 (ko) 가상 환경에서 마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JP7166708B2 (ja) 仮想オブジェクト制御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EP3943173A1 (en) Virtual object controll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medium
JP7350263B2 (ja) 位置指示情報の表示方法、電子装置、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8579083B (zh) 虚拟场景显示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CN111399639B (zh) 虚拟环境中运动状态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可读介质
JP2021515348A (ja) 仮想シーンにおける距離情報表示方法並びにその、端末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0613938B (zh) 控制虚拟对象使用虚拟道具的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0732135B (zh) 虚拟场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665665B1 (ko) 가상 환경 픽처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JP2011215920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CN111481934B (zh) 虚拟环境画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451969A (zh) 虚拟对象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