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415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415A
KR20200079415A KR1020190153239A KR20190153239A KR20200079415A KR 20200079415 A KR20200079415 A KR 20200079415A KR 1020190153239 A KR1020190153239 A KR 1020190153239A KR 20190153239 A KR20190153239 A KR 20190153239A KR 20200079415 A KR20200079415 A KR 20200079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input
load cell
measurement sensor
com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타로 하야시
다카노리 호리
나오키 사이토
도시키 와타나베
하루유키 데라니시
교스케 야마오카
슌 마츠나가
šœ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0891A external-priority patent/JP70859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0892A external-priority patent/JP715903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0007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1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 A01D41/1272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for measuring grain fl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fluids, e.g. gases, pas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5/00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 G01G5/003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load-cell construction or mountings

Abstract

예취 작업에 수반되는 포장에 있어서의 수량을 정밀도 좋게 계측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투입부(16)는, 양곡 장치에 의해 반송된 곡립을 긁어내어 곡립 탱크의 내부에 투입하는 회전 블레이드(27)와, 회전 블레이드(27)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이 접촉함으로써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입량을 계측하는 투입량 계측 센서(22)를 구비한다. 투입량 계측 센서(22)는, 회전 블레이드(27)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으로부터 힘을 받아서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형하는 로드셀(40)과, 곡립이 접촉하는 수용 부재(39)를 구비한다. 로드셀(4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한쪽이 곡립 탱크에 대해서 고정되고, 로드셀(4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다른 쪽에 수용 부재(3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예취 작업에 수반되는 포장에 있어서의 수량을 계측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곡립 탱크에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을 억제한다.
콤바인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탈곡 장치로부터 송출된 곡립을 상방으로 반송하여 곡립 탱크의 내부에 투입하는 양곡 장치와,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척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21)와,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이 접촉함으로써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입량을 계측하는 투입량 계측 센서(22)를 구비한다. 투입량 계측 센서(22)에 있어서의 곡립 받이면(39a)의 상단은, 가이드 부재(21)에 있어서의 곡립 안내면(21c)의 상단보다도 위에 위치하고, 가이드 부재(21)에 있어서의 곡립 안내면(21c)의 법선 방향과, 투입량 계측 센서(22)에 있어서의 곡립 받이면(39a)의 법선 방향이 상이하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은, 곡립 탱크의 기체 전방부측의 하중을 받아내는 로드셀을 구비하고 있다. 이 로드셀에 의해, 곡립 탱크에 저류되는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탈곡 장치로부터 송출된 곡립이 양곡 장치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되고, 곡립 탱크의 내부에 투입된다. 양곡 장치로부터 곡립 탱크에 대한 곡립의 투입부에는, 투입되는 곡립을 안내하기 위한 벽상의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당해 부재는, 양곡 장치의 상단부에 마련된 회전 블레이드에 대해서, 그 회전 블레이드의 탈곡 장치측의 측면을 덮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특허문헌 1의 콤바인에서는, 곡립 탱크에 대한 곡립의 투입을 치우침이 적은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은, 곡립 탱크의 기체 전방부측의 하중을 받아내는 로드셀을 구비하고 있다. 이 로드셀에 의해, 곡립 탱크에 저류되는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6-6382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콤바인에서는, 로드셀에 의해 곡립 탱크에 저류되는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곡립 탱크의 하중을 받아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계측 결과가 진동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아버린다. 그 때문에, 예취 작업에 수반되는 포장에 있어서의 수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도 좋게 수량을 계측할 수 있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정에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예취 작업에 수반되는 포장에 있어서의 수량을 정밀도 좋게 계측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콤바인에서는, 로드셀에 의해 곡립 탱크에 저류되는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곡립 탱크의 하중을 받아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계측 결과가 진동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아버린다. 그 때문에, 예취 작업에 수반되는 포장에 있어서의 수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도 좋게 수량을 계측할 수 있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곡립 탱크에 투입되는 곡립과 접촉하는 위치에 센서를 배치하고,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입량을 계측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센서와 접촉한 곡립은 비산 방향이 변화하거나, 혹은 접촉 후에 아랫쪽으로 낙하되어버린다. 그 때문에, 곡립 탱크에 저류되는 곡립이 치우쳐버려, 곡립 탱크에 수용 가능한 곡립의 양이 줄어들어버리거나, 기체의 중량 밸런스가 치우쳐버릴 우려가 있다.
상술한 실정에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예취 작업에 수반되는 포장에 있어서의 수량을 계측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곡립 탱크에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을 억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탱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송출된 곡립을 상방으로 반송한 다음 투입부를 통해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투입되는 양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양곡 장치에 의해 반송된 곡립을 긁어내어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투입하는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입량을 계측하는 투입량 계측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으로부터 힘을 받아서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로드셀과, 곡립이 접촉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셀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한쪽이 상기 곡립 탱크에 대해서 고정되고, 상기 로드셀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다른 쪽에 상기 수용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의하면,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이 접촉함으로써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입량을 계측하는 투입량 계측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곡립 탱크의 하중을 받아내는 방식에 비하여, 진동에 의한 영향을 작게 하여 예취 작업에 수반되는 포장에 있어서의 수량을 정밀도 좋게 계측할 수 있다. 특히, 로드셀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한쪽이 곡립 탱크에 대해서 고정되고, 다른 쪽에 수용 부재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로드셀이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수용 부재를 작게 할 수 있어, 진동에 의한 계측 결과에 대한 영향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로드셀의 하단부가 상기 곡립 탱크에 대해서 고정되고, 상기 로드셀의 상단부에 상기 수용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수용 부재를 작게 할 수 있어, 진동에 의한 계측 결과에 대한 영향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입부는, 상기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척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곡립 탱크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부재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 중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먼 쪽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 중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먼 쪽의 단부보다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측에 위치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수용 부재에 접촉하는 곡립을 적게 하면서, 가이드 부재에 접촉하는 곡립을 많게 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부재에 의해 곡립의 투척 방향을 규제하여, 곡립 탱크로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 중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먼 쪽의 단부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 영역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 중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먼 쪽의 단부보다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측에 위치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전부가 가이드 부재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가이드 부재에 접촉하지 않고 곡립 탱크에 투입되므로, 회전 블레이드로부터 투입되는 곡립의 비산 방향이 다양해져서, 곡립 탱크로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입부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 영역의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외주벽을 구비하고, 상기 외주벽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 부재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와, 상기 수용 부재의 사이에,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이 통과 가능한 방출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이 외주벽과 수용 부재 사이의 방출 공간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회전 블레이드로부터 투입되는 곡립의 비산 방향이 다양해져서, 곡립 탱크로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수용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정 가능한 지지 조정 기구를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회전 블레이드와 수용 부재 사이의 거리를 적절한 것으로 조정하여, 곡립의 투입량의 계측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곡립 탱크는, 상기 투입부보다도 위에 배치된 상측 지지 부재와, 상기 투입부보다도 아래에 배치된 하측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조정 기구는, 상기 로드셀에 걸쳐 있는 상태이며, 또한, 상기 로드셀을 지지하는 봉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봉상 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 지지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봉상 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하측 지지 부재에 접속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측 지지 부재와 하측 지지 부재에 접속된 봉상 부재에 의해 로드셀을 확실하게 지지 가능하므로, 곡립의 투입량의 계측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로드셀을 걸쳐서 마련되는 부재가 봉상이기 때문에,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투입된 곡립이 당해 부재에 접촉하기 어려워져서, 곡립 탱크로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콤바인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송출된 곡립을 상방으로 반송하여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투입되는 양곡 장치와, 상기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척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입량을 계측하는 투입량 계측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곡립 받이면의 상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곡립 안내면의 상단보다도 위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안내면의 법선 방향과,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받이면의 법선 방향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의하면, 양곡 장치에 투입되는 곡립의 일부는 가이드 부재의 곡립 안내면에 접촉하고, 가이드 부재보다도 위의 곡립은 투입량 계측 센서의 곡립 받이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곡립 안내면에 접촉한 곡립과,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곡립 받이면에 접촉한 곡립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산하게 된다. 따라서, 곡립 탱크에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탱크 내부측의 곡립 안내면의 법선 방향과,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곡립 받이면의 법선 방향이 상이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곡립 안내면에 접촉한 곡립과,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곡립 받이면에 접촉한 곡립이, 상이한 방향으로 비산하게 된다. 따라서, 곡립 탱크에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받이면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안내면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도 크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다량의 곡립을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곡립 받이면에 접촉시킬 수 있어, 곡립의 투입량의 계측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는,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형되고, 또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셀을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계측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곡립 받이면의 폭을 작게 할 수 있어, 곡립 받이면에 접촉하는 곡립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곡립 탱크에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곡립 안내면에 라이너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곡립과의 접촉에 의한 가이드 부재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라이너 부재는, 상기 양곡 장치의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의 부위인 상류 부위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의 부위이며, 상기 상류 부위보다도 상하 방향의 길이가 작은 하류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하류 부위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에서 볼 때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의 상기 곡립 받이면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하류 부위는 상류 부위보다도 상하 방향의 길이가 작으므로,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곡립 받이면과 겹치는 위치에 하류 부위가 배치되어도, 양곡 장치로부터 곡립 받이면을 향하는 곡립을 방해하는 것이 억제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라이너 부재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곡립과의 접촉으로 라이너 부재가 손상된 경우에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투입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투입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5는, 투입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투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곡립 투입 상태를 나타내는 곡립 탱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2 투입 상태의 투입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제2 투입 상태의 투입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실시 형태를,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를 구비한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횡축심 X 주위로 승강 조작 가능하게 예취 반송부(3)가 연결되고, 주행 기체(2)의 후방부에 기체 횡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에서 탈곡 장치(4)와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주행 기체(2)의 전방부 우측 개소에 캐빈(6)으로 덮인 탑승 운전부(7)가 구비되고, 이 탑승 운전부(7)의 하방측에 구동용 엔진(8)이 구비되어 있다. 기체 후방부에는, 곡립 탱크(5)에 저류되는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루 컨베이어식의 곡립 배출 장치(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기체의 전후 방향을 정의할 때는, 작업 상태에 있어서의 기체 진행 방향을 따라 정의하고, 기체의 좌우 방향을 정의할 때는, 기체 진행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즉, 도 1, 2에 부호 (F)로 나타낸 방향이 기체 전방측, 도 1, 2에 부호 (B)로 나타낸 방향이 기체 후방측이다. 도 2에 부호 (L)로 나타낸 방향이 기체 좌측, 도 2에 부호 (R)로 나타낸 방향이 기체 우측이다.
예취 반송부(3)에는, 쓰러진 식립 곡간을 일으켜 세우는 복수의 일으킴 장치(10), 일으켜 세워진 식립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바리캉형 예취 장치(11), 밑동이 절단된 종 자세의 예취 곡간을 서서히 옆으로 쓰러지는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면서,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탈곡 장치(4)를 향해서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12) 등이 구비되어 있다.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탈곡 장치(4)는, 예취 곡간의 밑동을 도시하지 않은 탈곡 피드 체인에 의해 끼움 지지해서 후방으로 반송하면서, 내부의 급실에서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훑기 처리하고, 선별부에서, 훑기 처리된 탈곡 처리물에 대하여 선별 처리를 행하고, 탈곡 처리물을, 곡립과, 지경이 달린 곡립 등의 2번물과, 잔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로 선별한다. 곡립은 곡립 탱크(5)에서 저류되고, 2번물은 급실로 환원되어, 진애는 후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배출된다.
탈곡 장치(4)에 의한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은, 곡립 반송 기구(13)에 의해, 탈곡 장치(4)로부터 곡립 탱크(5)로 반송된다. 곡립 반송 기구(13)는, 탈곡 장치(4)의 바닥부에 위치하는 1번물 회수 스크루(14)와 양곡 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1번물 회수 스크루(14)에 의해 횡 이송되어 탈곡 장치(4)의 측벽으로부터 횡외측으로 송출된 곡립은, 양곡 장치(15)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된다. 양곡 장치(15)는, 곡립을 상방으로 반송한 다음, 투입부(16)를 통해 곡립 탱크(5)의 내부에 투입한다.
곡립 탱크(5)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지만, 기체 후방부측의 종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기체에 지지되어 있고,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낸 통상 작업 자세로부터 횡외측으로 돌출된 도 2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메인터넌스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메인터넌스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탑승 운전부(7)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엔진(8)이나 그 주변의 각 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곡립 탱크(5)의 좌측의 측벽부(5A)에 있어서의 양곡 장치(15)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평면에서 볼 때 횡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요입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양곡 장치(15)가, 이 요입부(18)에 들어가는 상태에서 구비되어 있다. 양곡 장치(15)는, 원통형의 반송 통(19)의 내부에 종 이송 스크루(20)를 구비한 스크루 컨베이어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투입부의 구성〕
투입부(16)는, 양곡 장치(15)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된 곡립을 곡립 탱크(5)에 투입한다. 투입부(16)는, 도 1,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립 탱크(5)의 좌측의 측벽부(5A)에 있어서의 기체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투입부(16)는, 곡립 탱크(5)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5A)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다.
투입부(16)는, 양곡 장치(15)의 종 이송 스크루(20)에 의해 반송된 곡립을 긁어내어 곡립 탱크(5)의 내부에 투입하는 회전 블레이드(27)와, 양곡 장치(15)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척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21)와, 회전 블레이드(27)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이 접촉함으로써 양곡 장치(15)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입량을 계측하는 투입량 계측 센서(22)를 구비하고 있다.
양곡 장치(15)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투입부(16)에 대응하는 개소에, 방출부(23)가 마련되어 있다. 곡립 탱크(5)에 있어서의 투입부(16)에 대응하는 개소에, 크게 개구된 곡립 수용구(24)가 형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5)가 통상 작업 자세로 있을 때는, 양곡 장치(15)가 곡립 탱크(5)의 요입부(18)에 들어가는 상태로 되고, 양곡 장치(15)의 방출부(23)가 곡립 수용구(24)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접속된다. 그리고, 양곡 장치(15)는, 방출부(23)에 구비된 방출구(23a) 및 곡립 수용구(24)를 통과하여, 곡립을 곡립 탱크(5)의 상부로부터 곡립 탱크(5) 내로 방출할 수 있다.
곡립 탱크(5)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있을 때는, 곡립 탱크(5)가 횡 외측으로 요동하여 양곡 장치(15)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곡립 탱크(5)의 곡립 수용구(24)와 양곡 장치(15)의 방출부(23)는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곡립 탱크(5)를 메인터넌스 자세로부터 통상 작업 자세로 전환했을 때, 양곡 장치(15)의 방출부(23)가 곡립 수용구(24)를 폐색해서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곡립 수용구(24)의 주연에, 예를 들어 웨더스트립 등의 고무제의 시일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방출부(23)에는, 종 이송 스크루(20)의 축체(26)의 상단부에 마련된 회전 블레이드(27)와, 회전 블레이드(27)의 주위를 덮음과 함께, 곡립 탱크(5)의 내측을 향해 개방되는 방출구(23a)가 형성된 방출부 구성체(28)와, 투입되는 곡립의 투척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21)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 블레이드(27)는, 종 이송 스크루(20)와 함께, 상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방출부 구성체(28)는, 반송 통(19)의 상단으로 연결되는 상태에서 방출구(23a)의 하단부면을 형성하는 바닥판(29), 바닥판(29)으로 연결되는 상태에서 회전 블레이드(27)의 외주측 중 방출구(23a)를 제외한 영역을 덮는 외주벽(30), 외주벽(30)의 상단으로 연결되는 상태에서 방출구(23a)의 상단부면을 형성하는 천장판(31)의 각각이 주요한 구성 부재이며, 그것들이 용접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방출부 구성체(28)에는, 외주벽(30)의 둘레 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방출구(23a)보다도 둘레 방향 양측으로 넓어지는 종방향 폐색판(32)과, 바닥판(29)의 하면측에 위치하는 종방향의 대향 부재(33)가 구비되어 있다. 곡립 탱크(5)가 통상 작업 자세로 있을 때, 종방향 폐색판(32)이, 곡립 수용구(24)의 개방 부분을 덮는 상태로 된다. 대향 부재(33)는, 곡립 탱크(5)에 있어서의 곡립 수용구(24)의 주위의 측벽부(5A)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마련되어 있다. 종방향 폐색판(32) 및 대향 부재(33)는, 용접 등에 의해 바닥판(29) 및 천장판(31)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천장판(31)의 상부에는, 종 이송 스크루(20)의 축체(26)를 지지하는 베어링부(34)가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1)는, 바닥판(29)의 이면측(하면측)에 볼트 연결에 의해 고정된 받침대부(21a)와, 종방향 자세의 안내 작용부(21b)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 작용부(21b)는, 투입부(16)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전체 폭 중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투입되는 곡립에 작용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안내 작용부(21b) 중 회전 블레이드(27)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개소에, 곡립이 경사 우측 후방을 향하도록 투척 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경사 우측 후방을 향한 자세의 곡립 안내면(21c)이 마련되어 있다. 안내 작용부(21b) 중 회전 블레이드(27)의 회전 방향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소는, 방출부 구성체(28)의 종방향 폐색판(32)에 대해서 볼트 연결되어 있다.
외주벽(30)의 내면측에는, 회전 블레이드(27)에 의해 방출 작용을 받는 곡립을 받아내어 안내하는 라이너 부재(38)가 설치되어 있다. 라이너 부재(38)는, 복수의 볼트의 체결에 의해 외주벽(30)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볼트를 떼어냄으로써, 라이너 부재(38)를 떼어내어 교환할 수 있다.
라이너 부재(38)는, 외주벽(30)의 내면을 축심 방향(상하 방향)의 전체 폭 및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덮는 상태에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라이너 부재(38)는, 방출구(23a) 중 하측의 영역에 있어서, 외주벽(30)에 대응하는 개소로부터 회전 블레이드(27)의 회전 방향 아래쪽을 향해 가이드 부재(21)의 내면측을 따르도록 일련으로 연결되는 상태에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라이너 부재(38)는, 가이드 부재(21)에 있어서의 곡립 안내면(21c)에 구비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 부재(38)는, 양곡 장치(15)의 회전 블레이드(27)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의 부위인 상류 부위(38a)와, 회전 블레이드(27)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의 부위인 하류 부위(38b)를 구비하고 있다. 하류 부위(38b)는, 상류 부위(38a)보다도 상하 방향의 길이가 작다. 하류 부위(38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블레이드(27)의 회전축에서 보아 투입량 계측 센서(22)의 수용 부재(39)의 곡립 받이면(39a)(후술)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방출부 구성체(28)에 있어서의 천장판(31)의 상부에, 종 이송 스크루(20)의 축체(26)와 일체 회전하는 검지용 회전체(35)와, 검지용 회전체(35)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회전각 센서 등이 구비되어 있다. 검지용 회전체(35)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마름모형으로 형성되고, 회전 중심으로부터 먼 쪽의 정점(이 정점이 피검지부(35a)를 구성함)이 회전각 센서에 근접하는 상태에서 통과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회전각 센서는, 천장판(31)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검지용 회전체(35)의 피검지부(35a)가 근접할 때마다 검출 펄스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16)에 있어서의 방출부(23)의 방출구(23a)에 인접하는 상태에서, 투입량 계측 센서(22)가 배치되어 있다. 투입량 계측 센서(22)는, 지지 조정 기구(42)에 지지되어 있다.
투입량 계측 센서(22)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평탄한 곡립 받이면(39a)을 갖는 수용 부재(39), 수용 부재(39)에 작용하는 힘을 계측 가능한 로드셀(40), 수용 부재(39)와 로드셀(40)의 상단부를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스페이서(41) 등을 구비하고 있다. 로드셀(40)은,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부재(39)의 곡립 받이면(39a)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가이드 부재(21)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안내면(21c)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도 크다.
로드셀(40)의 상단부에 수용 부재(39)가 연결되고, 로드셀(40)의 하단부는 지지 조정 기구(42)에 고정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로드셀(40)의 중심부에 응력이 집중되기 쉬워진다. 즉, 로드셀(40)이 수용 부재(39)로부터 하중을 받으면, 타단부에 모멘트 하중이 걸려, 전후 방향(「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일례)으로 변형되고, 중심부에 변형이 발생한다. 로드셀(40)의 중심부에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로드셀(40)로부터 전기 신호가 발생한다. 로드셀(40)로부터 발생하는 전기 신호는, 곡립의 수량을 평가하기 위한 검출 신호로서 사용되고, 전기 신호는 예를 들어 전압값이나 전류값으로 표시된다.
곡립이 회전 블레이드(27)에 의해 방출구(23a)로부터 방출되어 수용 부재(39)에 접촉하면, 로드셀(40)은 수용 부재(39)에 걸리는 압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양곡 장치(15)로부터 보내져 오는 곡립의 방출량이 많아질수록, 수용 부재(39)에 대한 곡립의 압박력은 커져서, 로드셀(40)의 검출 신호도 커지게 된다. 그 결과, 로드셀(40)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곡립의 투입량을 계측할 수 있다.
곡립의 투입량의 계측 처리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회전각 센서 및 로드셀(40)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 장치(도시생략)가 구비된다. 제어 장치는, 그들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 처리에 의해 곡립의 투입량을 구할 수 있다.
회전 블레이드(27)가 수용 부재(39)의 근방을 통과할 때 가장 큰 힘이 수용 부재(39)에 걸리고, 로드셀(40)의 검출 신호의 피크값이 검출된다. 이 피크값은, 회전 블레이드(27)가 1회전할 때마다 검출된다. 제어 장치는, 양곡 장치(15)의 1회전마다 검출되는 로드셀(40)의 검출 신호의 피크값에 의해, 단위 시간당 투입량을 시계열적으로 계측할 수 있다. 그 값을 적산함으로써 포장에 있어서의 곡립의 수량을 구할 수 있다.
〔지지 조정 기구의 구성〕
지지 조정 기구(42)는, 지지 스테이(43)와, 로드셀 지지 부재(44)와, 봉상 부재(45)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스테이(43)는, 상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의 부재이다. 지지 스테이(43)는, U자의 바닥부에 마련된 긴 구멍(43a)을 통해 볼트 B에 의해, 곡립 탱크(5)의 측벽부(5A)에 마련된 하측 지지 부재(5B)에 설치되어 있다. 즉 지지 스테이(43)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하측 지지 부재(5B)에 설치되어 있다.
로드셀 지지 부재(44)는, 상면에서 볼 때 U자형의 부재이다. 로드셀 지지 부재(44)는, 그 U자가 지지 스테이(43)의 U자와 대향하는 자세로, 지지 스테이(43)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로드셀 지지 부재(44)의 우측의 측판이, 지지 스테이(43)의 우측의 측판에 마련된 긴 구멍(43b)을 통해 지지 스테이(43)의 우측의 측판에 설치되어 있다. 로드셀 지지 부재(44)의 좌측의 측판이, 당해 측판에 마련된 긴 구멍을 통해 지지 스테이(43)의 좌측의 측판에 설치되어 있다. 즉 로드셀 지지 부재(44)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로드셀 지지 부재(44)에 설치되어 있다. 로드셀(40)의 하단부가, 로드셀 지지 부재(44)의 U자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다.
봉상 부재(45)는, 둥근 봉상의 부재이다. 봉상 부재(45)의 상단부는, 상부 스테이(45a)의 긴 구멍(45b)을 통해 곡립 탱크(5)의 측벽부(5A)에 마련된 상측 지지 부재(5C)에 설치되어 있다. 즉 봉상 부재(45)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측 지지 부재(5C)에 설치되어 있다. 봉상 부재(45)의 하단부는, 하부 스테이(45c)를 통해, 또한, 로드셀 지지 부재(44)로부터 전방으로 세워 설치된 스테이(44b)의 긴 구멍(44c)을 통해 스테이(44b)에 설치되어 있다. 즉 로드셀 지지 부재(44)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봉상 부재(45)에 설치되어 있다. 봉상 부재(45)는, 로드셀(40)에 걸쳐 있는 상태에서, 그 하단부에 의해 로드셀(40)을 지지하고 있다.
지지 조정 기구(42)가 이상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로드셀(40) 및 수용 부재(39)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지지 조정 기구(42)는, 투입량 계측 센서(22)를 지지하고, 회전 블레이드(27)와 수용 부재(39) 사이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에 대한 곡립의 투입〕
양곡 장치(15)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된 곡립은, 투입부(16)의 외주벽(30)을 따라 안내되면서, 회전 블레이드(27)에 의해 곡립 탱크(5)의 내부로 방출된다. 방출구(23a) 중 가이드 부재(21)가 구비되는 하측의 영역에서는, 곡립은, 가이드 부재(21)의 곡립 안내면(21c)으로 안내되어, 도 7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곡립 탱크(5)의 경사 우측 후방 방향으로 방출 안내된다.
한편, 방출구(23a) 중 가이드 부재(21)가 구비되지 않은 상부측의 영역에서는, 곡립은, 도 7에서 일점쇄선 및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곡립 탱크(5) 내의 전후 방향으로 넓은 범위에서 방출 안내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부재(39)의 곡립 받이면(39a)의 상단은, 가이드 부재(21)에 있어서의 곡립 안내면(21c)의 상단보다도 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21)의 상방을 통과한 곡립은, 투입량 계측 센서(22)의 수용 부재(39)에 접촉하고, 그 비산 방향이 변화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1)에 있어서의 곡립 안내면(21c)의 법선 방향과, 투입량 계측 센서(22)에 있어서의 곡립 받이면(39a)의 법선 방향이 상이하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21)의 곡립 안내면(21c)에 접촉한 곡립과, 투입량 계측 센서(22)의 곡립 받이면(39a)에 접촉한 곡립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산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블레이드(27)에 의해 곡립 탱크(5)에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이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부재(39)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 중 우측의 단부(39b)(탈곡 장치(4)로부터 먼 쪽의 단부)는, 가이드 부재(2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 중 우측의 단부(21d)(탈곡 장치(4)로부터 먼 쪽의 단부)보다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좌측(탈곡 장치(4)의 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수용 부재(39)에 접촉하는 곡립을 적게 하면서, 가이드 부재(21)에 접촉하는 곡립을 많게 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부재(21)에 의해 곡립의 투척 방향을 규제하여, 곡립 탱크(5)에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 중 우측의 단부(21d)(탈곡 장치(4)로부터 먼 쪽의 단부)는, 회전 블레이드(27)의 회전 영역(27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 중 우측의 단부(27b)(탈곡 장치(4)로부터 먼 쪽의 단부)보다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좌측(탈곡 장치(4)의 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회전 블레이드(27)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전부가 가이드 부재(21)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가이드 부재(21)에 접촉하지 않고 곡립 탱크(5)에 투입되므로, 회전 블레이드(27)로부터 투입되는 곡립의 비산 방향이 다양해져서, 곡립 탱크(5)에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벽(30)에 있어서의 단부(30a)(수용 부재(39)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와 수용 부재(39)의 사이는 이격되어 있으며, 양자 간에 방출 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방출 공간 S를 통과하여, 회전 블레이드(27)로부터의 곡립이 곡립 탱크(5)로 투입된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블레이드(27)로부터의 곡립이 방출 공간 S를 통과하여 곡립 탱크(5)의 경사 좌측 전방 방향으로 투입된다. 따라서, 회전 블레이드(27)로부터 투입되는 곡립의 비산 방향이 다양해져서, 곡립 탱크(5)에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지지 스테이(43)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판 부분에, 곡립의 저류량이 설정량에 도달하였음을 검지하는 저류량 검지 센서(50)가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류량 검지 센서가, 높이 조절 기구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지지 스테이(43)에 설치되어 있으며, 부품 개수를 저감시킨 간소한 구조가 실현되고 있다. 저류량 검지 센서(50)는, 감압 스위치로 구성되고, 이 저류량 검지 센서(50)가 위치하는 개소까지 곡립이 저류되고, 곡립에 의해 압력이 걸리면 스위치가 온 조작되어, 곡립 검지 상태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저류량 검지 센서(50)의 출력 신호는 제어 장치에 입력되어 있다.
저류량 검지 센서(50)가 곡물 검지 상태가 될 정도로 곡립 탱크(5)에 곡립이 저류되면, 저류된 곡립이 투입량 계측 센서(22)의 수용 부재(39)와 접촉하여, 로드셀(40)의 검출 신호가 곡립의 투입량을 반영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는, 저류량 검지 센서(50)가 곡립 검지 상태가 되면, 로드셀(40)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곡립의 투입량을 구하는 연산 처리를 중지한다. 또한, 저류량 검지 센서(50)가 곡립 검지 상태로 된 것에 기초하여, 탑승 운전부(7)에 구비된 표시 패널(도시생략)에 경고를 표시시키거나 경보음을 발하는 등의 알림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 장치가 구성되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투입부(16)에 투입량 계측 센서(22)가 마련되는 예가 설명되었다. 투입부(16)를, 투입량 계측 센서(22)가 설치된 제1 투입 상태(도 3∼6)와, 투입량 계측 센서(22)가 떼어내어진 제2 투입 상태(도 8∼9)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투입부(16)가 제2 투입 상태에 있을 때, 양곡 장치(15)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된 곡립은, 제1 투입 상태와 마찬가지로, 투입부(16)의 외주벽(30)을 따라 안내되면서, 회전 블레이드(27)에 의해 곡립 탱크(5)의 내부로 방출된다. 방출구(23a) 중 가이드 부재(21)가 구비되는 하측의 영역에서는, 곡립은, 가이드 부재(21)의 곡립 안내면(21c)으로 안내되어, 도 7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곡립 탱크(5)의 경사 우측 후방 방향으로 방출 안내된다.
한편, 방출구(23a) 중 가이드 부재(21)가 구비되지 않은 상부측의 영역에서는, 곡립은, 도 7에서 일점쇄선 및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곡립 탱크(5) 내의 전후 방향으로 넓은 범위에서 방출 안내된다. 제2 투입 상태에 있어서는, 투입량 계측 센서(22)가 마련되지 않음으로써, 가이드 부재(21)의 상방을 통과한 곡립은 투입량 계측 센서(22)와 접촉하지 않고, 곡립 탱크(5)의 전방으로 방출 안내된다. 따라서, 회전 블레이드(27)에 의해 곡립 탱크(5)에 투입되는 곡립의 치우침이 억제된다.
〔2〕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라이너 부재(38)가 외주벽(3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마련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라이너 부재(38)가 외주벽(30)의 일부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된다.
〔3〕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부재(21)가 곡립을 경사 후방측을 향하도록 투척 방향을 규제하도록 하였지만, 가이드 부재(21)가 곡립을 경사 전방측을 향하도록 투척 방향을 규제하는 것이어도 된다.
〔4〕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로드셀(40)의 하단부가 지지 조정 기구(42)를 통해 곡립 탱크(5)에 고정되고, 로드셀(40)의 상단부에 수용 부재(39)가 마련되는 예가 설명되었다. 상하가 역배치, 즉 로드셀(40)의 상단부가 곡립 탱크(5)에 고정되고, 로드셀(40)의 하단부에 수용 부재(39)가 마련되어도 된다.
〔5〕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봉상 부재(45)가 둥근 봉상의 부재인 예가 설명되었다. 봉상 부재(45)는, 환 파이프 또는 각 파이프여도 되고, 중실의 환봉 또는 각봉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취 곡간의 전간을 탈곡 장치에 투입하는 보통형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4: 탈곡 장치
5: 곡립 탱크
5A: 측벽부
5B: 하측 지지 부재
5C: 상측 지지 부재
15: 양곡 장치
16: 투입부
21: 가이드 부재
21b: 안내 작용부
21c: 곡립 안내면
21d: 단부
22: 투입량 계측 센서
27: 회전 블레이드
27a: 회전 영역
27b: 단부
30: 외주벽
30a: 단부
38: 라이너 부재
38a: 상류 부위
38b: 하류 부위
39: 수용 부재
39a: 곡립 받이면
39b: 단부
40: 로드셀
42: 지지 조정 기구
45: 봉상 부재
S: 방출 공간

Claims (14)

  1.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탱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송출된 곡립을 상방으로 반송한 다음 투입부를 통해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투입되는 양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양곡 장치에 의해 반송된 곡립을 긁어내어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투입하는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입량을 계측하는 투입량 계측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으로부터 힘을 받아서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형하는 로드셀과, 곡립이 접촉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셀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한쪽이 상기 곡립 탱크에 대해서 고정되고,
    상기 로드셀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다른 쪽에 상기 수용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의 하단부가 상기 곡립 탱크에 대해서 고정되고,
    상기 로드셀의 상단부에 상기 수용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척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곡립 탱크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부재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 중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먼 쪽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 중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먼 쪽의 단부보다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측에 위치하는, 콤바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 중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먼 쪽의 단부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 영역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 중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먼 쪽의 단부보다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측에 위치하는, 콤바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 영역의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외주벽을 구비하고,
    상기 외주벽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 부재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와, 상기 수용 부재의 사이에,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이 통과 가능한 방출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콤바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수용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정 가능한 지지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는, 상기 투입부보다도 위에 배치된 상측 지지 부재와, 상기 투입부보다도 아래로 배치된 하측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조정 기구는, 상기 로드셀에 걸쳐 있는 상태이며, 또한, 상기 로드셀을 지지하는 봉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봉상 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 지지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봉상 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하측 지지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콤바인.
  8.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송출된 곡립을 상방으로 반송하여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투입하는 양곡 장치와,
    상기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척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양곡 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의 투입량을 계측하는 투입량 계측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곡립 받이면의 상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곡립 안내면의 상단보다도 위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안내면의 법선 방향과,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받이면의 법선 방향이 상이한, 콤바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탱크 내부측의 곡립 안내면의 법선 방향과,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곡립 받이면의 법선 방향이 상이한, 콤바인.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받이면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안내면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도 큰, 콤바인.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는,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형하고, 또한,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로드셀을 구비하는, 콤바인.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곡립 안내면에 라이너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부재는,
    상기 양곡 장치의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부위인 상류 부위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부위이며, 상기 상류 부위보다도 상하 방향의 길이가 작은 하류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하류 부위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에서 볼 때 상기 투입량 계측 센서의 상기 곡립 받이면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부재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해서 탈착 가능한, 콤바인.
KR1020190153239A 2018-12-25 2019-11-26 콤바인 KR202000794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0892 2018-12-25
JP2018240891A JP7085978B2 (ja) 2018-12-25 2018-12-25 コンバイン
JP2018240892A JP7159034B2 (ja) 2018-12-25 2018-12-25 コンバイン
JPJP-P-2018-240891 2018-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415A true KR20200079415A (ko) 2020-07-03

Family

ID=7121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239A KR20200079415A (ko) 2018-12-25 2019-11-26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79415A (ko)
CN (1) CN1113739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9881B2 (ja) 2021-01-29 2024-03-14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揚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コンバイ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3829A (ja) 2016-01-06 2016-04-2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840Y2 (ja) * 1990-04-18 1996-10-02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サイドガイド構造
JPH08285671A (ja) * 1995-04-12 1996-11-01 A & D Co Ltd 荷重測定装置
JP3374160B2 (ja) * 1999-10-01 2003-02-04 清一 能田 横送り搬送機における穀粒流れ検知装置
JP3828836B2 (ja) * 2002-06-21 2006-10-04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収量演算システム
CN2903946Y (zh) * 2006-04-28 2007-05-23 沈阳理工大学 一种支耳抗力试验仪
US20090182471A1 (en) * 2008-01-15 2009-07-16 Corey Bucher Lawn mower with weight transfer control system
JP5416155B2 (ja) * 2011-03-25 2014-02-1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穀粒回収部構造
KR101614342B1 (ko) * 2011-07-20 2016-04-21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5829504B2 (ja) * 2011-12-08 2015-12-0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KR20180098523A (ko) * 2015-12-25 2018-09-04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및 콤바인용 곡립 수량 관리 시스템
CN108777941B (zh) * 2016-03-09 2021-11-02 株式会社久保田 脱谷装置及联合收割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3829A (ja) 2016-01-06 2016-04-2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73920A (zh) 2020-07-07
CN111373920B (zh)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8652B1 (en) Grain mass flow sensor assembly for agricultural harvester
JP6566856B2 (ja) 穀粒量計測装置
KR20200079415A (ko) 콤바인
CN108347883B (zh) 联合收割机以及联合收割机用谷粒产量管理系统
JP4689653B2 (ja) コンバイン
JP7085978B2 (ja) コンバイン
CN109922655B (zh) 产量分布计算装置以及产量分布计算方法
JP2016154493A (ja) コンバイン
CN110602944A (zh) 联合收割机
JP7034894B2 (ja) 収穫機及び流量算出方法
JP2018102209A (ja) コンバイン
US20220174873A1 (en) Comb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bine
JP6459399B2 (ja) コンバイン
JP7159034B2 (ja) コンバイン
CN113766827B (zh) 联合收割机
JP2018038272A (ja) コンバイン
JP5756070B2 (ja) コンバイン
JP7094191B2 (ja) コンバイン
JP7130604B2 (ja) コンバイン
CN109923996B (zh) 联合收割机
US20220217911A1 (en) Threshing Apparatus
JP4340609B2 (ja) コンバイン
JP7391005B2 (ja) コンバイン
CN115633574A (zh) 收割机械
JP2018019669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