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629A - 원고를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원고를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629A
KR20200049629A KR1020190135124A KR20190135124A KR20200049629A KR 20200049629 A KR20200049629 A KR 20200049629A KR 1020190135124 A KR1020190135124 A KR 1020190135124A KR 20190135124 A KR20190135124 A KR 20190135124A KR 20200049629 A KR20200049629 A KR 20200049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type
image
conveying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851B1 (ko
Inventor
사토시 도츠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63Action taken as a result of detection
    • H04N1/00774Adjusting or controlling
    • H04N1/00779Adjusting settings, e.g. mode, feeding rate or type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25Fault detection
    • H04N1/3263Fault detection of reading apparatus or transmitter, e.g. original j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04N1/00509Personalising for a particular user or group of users, e.g. a workgroup or company
    • H04N1/00514Personalising for a particular user or group of users, e.g. a workgroup or company for individual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04N1/00575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 H04N1/00578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using at least part of a loop, e.g. using a return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49Control or synchronising different handl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49Control or synchronising different handling operations
    • H04N1/00652Control of feeding speed, e.g. fast feeding to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687Presence or absence
    • H04N1/00689Pres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687Presence or absence
    • H04N1/00694Presence or absence in an input t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04N1/00716Thick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24Type of sheet, e.g. colour of paper or transpar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reproducing medium, e.g. type, size or avai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46Counter-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원고의 반송 동안 종이 걸림 및 적재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판독 장치. 화상 판독 장치는 원고의 종류를 설정하고, 설정된 원고의 종류에 기초하여 원고를 반송하며, 반송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한다. 원고 검지 센서는 원고 트레이에 원고가 놓인 것을 검지한다. LCD 터치 패널은 원고 검지 센서에 의한 검지에 응답하여 원고의 종류를 설정하는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원고를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IMAGE READING APPARATUS THAT READS ORIGINAL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판독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 원고 반송 장치로부터 반송된 원고를 판독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원고를 판독하는 때에 당해 원고의 두께에 따라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자동 원고 반송 장치로부터 반송되는 원고가 두꺼운 용지일 경우, 반송 경로의 만곡 영역에서 반송 롤러에 높은 부하가 가해져서, 종이 걸림을 유발한다. 자동 원고 반송 장치로부터 반송되는 원고가 얇은 용지일 경우, 원고 자체의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배출된 원고가 용지 배출 유닛에 완전히 낙하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고, 따라서 원고의 후단이 후속하는 원고 선단과 충돌해서 종이 걸림 또는 적재 불량을 유발한다. 종래에는, 상술한 원고의 반송 동안의 종이 걸림 및 적재 불량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고의 두께를 센서에 의해 검지하고, 검지한 두께에 따라서 원고의 반송 속도를 제어한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Kokai) 제H06-24604호 참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판독되는 원고가 얇은 용지일 경우, 이면의 문자 또는 화상이 비쳐 보이며, 이면의 문자 또는 화상이 비쳐 보이는 상태의 화상 데이터 또는 인쇄물(이하, "비쳐 보임 데이터"라 칭함)이 출력되는 다른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유저의 설정에 의해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되면, 이 화상 형성 장치는 비쳐 보임을 제거하기 위해서 스캔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비쳐 보임 방지 기능에 대한 설정은 유저에 의해 구성되지만, 유저는 출력된 화상 데이터 또는 인쇄물을 실제로 확인할 때까지 이면의 문자 또는 화상이 비쳐 보이는지를 인지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판독되는 원고가 얇은 용지인 경우,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되기 전에 판독이 개시되는 것이 빈번히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원고 반송 동안의 종이 걸림 및 적재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도, 비쳐 보임 데이터의 출력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원고의 반송 동안의 종이 걸림 및 적재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고 트레이, 원고의 종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원고의 상기 종류에 기초하여 반송 수단에 의한 상기 원고의 반송을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 및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원고 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로서, 상기 원고 트레이에 상기 원고가 놓인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 및 상기 원고 트레이에 상기 원고가 놓인 것을 상기 검지 수단이 검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원고의 종류를 설정하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고의 반송 동안에 종이 걸림 및 적재 불량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인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의 ADF 및 화상 판독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상 처리 회로에 의해 비쳐 보임 제거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조작 유닛의 외관도이다.
도 6a는 도 5의 LCD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카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5의 LCD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c는 도 5의 LCD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두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실행되는 스캔 제어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5의 LCD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통지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화상 판독 유닛에 의해 실행되는 스캔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실행되는 비쳐 보임 제거 화상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의 단계 S1004에서 베이스 컬러 레벨(base color level)이 어떻게 판별되는지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관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자동 원고 공급 유닛(101), 화상 판독 유닛(103) 및 화상 형성 유닛(104)을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동 원고 공급 유닛(101)을 ADF(101)라 지칭할 것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유저가 ADF(101)의 원고 트레이(102)에 원고를 세트하고, 후술하는 도 3의 조작 유닛(326)을 사용하여 판독 개시를 지시하면, 후술하는 도 3의 컨트롤러 유닛(321)이 화상 판독 유닛(103)에 원고 판독 지시를 송신한다. 화상 판독 유닛(103)은, 수신한 원고 판독 지시에 따라서, ADF(101)의 원고 트레이(102)로부터 원고를 1매씩 공급하여 원고를 판독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후술하는 도 2의 원고대 유리(221)에 놓인 원고를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 판독 유닛(103)은, 조명 램프(도시하지 않음)를 발광시켜, 원고 상의 화상을 노광하여 주사함으로써 얻은 반사광을 리니어 이미지 센서(CCD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입력함으로써, 화상의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화상 판독 유닛(103)은, 이렇게 얻은 전기 신호를 R, G, 및 B의 색으로 이루어지는 휘도 신호로 변환하고, 당해 휘도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서 후술하는 컨트롤러 유닛(321)에 출력한다.
화상 형성 유닛(104)은, 후술하는 컨트롤러 유닛(321)으로부터 받은 화상 데이터를 용지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화상 형성 방식으로서, 감광 드럼(도시하지 않음) 및 감광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한 전자사진 방식이 채용된다. 화상 형성 유닛(104)은 용지 공급 유닛(105), 용지 배출 유닛(106) 및 피니셔 유닛(107)을 구비한다. 용지 공급 유닛(105)은 상이한 사이즈의 용지를 상이한 배향으로 수납하는 복수의 카세트를 구비한다. 용지 배출 유닛(106) 및 피니셔 유닛(107)에는 인쇄물이 배출된다.
도 2는, 도 1의 ADF(101) 및 화상 판독 유닛(103)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내부의 구성이 투과되어 나타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ADF(101)는, 원고 트레이(201), 분리 패드(202), 원고 검지 센서(203), 측거 센서(204), 분리 센서(205) 및 용지 공급 롤러(206)를 구비한다. 원고 트레이(201)에는, 1매 이상의 용지로 구성되는 원고 다발(S)이 적재된다. 분리 패드(202)는, 원고의 반송이 개시되기 전에 원고 다발(S)이 원고 트레이(201) 밖으로 돌출되어서 하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원고 검지 센서(203)는, 원고 트레이(201)에 원고가 적재되고 있는 것을 검지한다. 측거 센서(204)는, 원고 다발(S)의 최상면으로부터의 거리를 계측한다. 분리 센서(205)는, 원고가 분리 롤러(207)를 통과한 것을 검지한다.
용지 공급 롤러(206)는, 원고 트레이(201)에 적재된 원고 다발(S)의 원고면 상으로 하강되어 회전한다. 이에 의해, 용지 공급 롤러(206)에 의해 반송된 원고 중 최상위의 원고는 분리 롤러(207) 및 용지 공급 롤러(206)의 작용에 의해 다른 원고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는 예를 들어 지연 분리 기술을 통해 실현된다. 반송의 개시로부터 미리결정된 시간(t1) 동안 분리 센서(205)가 원고를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ADF(101)는 용지 공급 롤러(206) 등의 구동을 정지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미리결정된 시간(t1)은,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추정된 반송의 개시 후 원고가 분리 센서(205)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지연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분리 롤러(207) 및 분리 패드(202)의 작용에 의해 분리된 원고는 반송 롤러(208)에 의해 레지스트 롤러(209)에 반송되며 레지스트 롤러(209)에 부딪힌다. 이에 의해, 원고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반송되는 원고의 사행이 보정된다. 레지스트 롤러(209)의 하류에는, 레지스트 롤러(209)를 통과한 원고를 플로우 판독 유리(210)를 향해 반송하는 용지 공급 경로가 위치된다.
용지 공급 경로에 반송된 원고는, 대형 롤러(211) 및 반송 롤러(212)에 의해 원고대 위로 반송된다. 대형 롤러(211)는 플로우 판독 유리(210)에 접촉한다. 대형 롤러(211)에 의해 반송된 원고는, 반송 롤러(213)를 통과하고, 롤러(214)와 이동 유리 사이를 이동하며, 용지 배출 플래퍼(flapper) 및 용지 배출 롤러(215)를 통해서 원고 배출 트레이(216)에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ADF(101)는 원고를 반대로 뒤집어서 원고의 이면 상의 화상을 판독한다. ADF(101)는, 용지 배출 롤러(215) 사이에 원고가 유지되게 하는 상태에서, 용지 배출 롤러(215)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키고 용지 배출 플래퍼를 전환함으로써 원고를 반전 경로(217)로 이동시킨다. 이동한 원고를 반전 경로(217)를 통해 레지스트 롤러(209)에 부딪히게 하고 다시 원고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반송 동안의 원고의 사행을 보정한다. 그 후, ADF(101)는, 반송 롤러(212) 및 대형 롤러(211)가, 다시 원고를 플로우 판독 유리(210)로 이동시킴으로써, 원고의 이면을 플로우 판독 유리(210)에 의해 판독할 수 있다.
원고 트레이(201)에는, 적재된 원고 다발(S)의 부주사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규제판(218), 및 가이드 규제판(218)의 이동에 응답하여 원고(S)의 폭을 검지하는 원고 폭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원고 폭 센서 및 레지스트전 센서(219)에 의해, 원고 트레이(201) 상에 적재된 원고 다발(S)의 사이즈가 판별된다. ADF(101)의 반송 경로에 제공된 원고 길이 검지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원고의 선단이 검지된 후 원고의 후단이 검지될 때까지 원고가 반송된 거리에 기초하여 원고 길이를 검지한다. 원고 사이즈는 원고 길이 및 원고 폭 검지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판별된다.
화상 판독 유닛(103)은, 광학 스캐너 유닛(220)에 의해 부주사 방향(도 2의 화살표 A를 참조)으로 원고를 스캔함으로써 원고대 유리(221) 상에 놓인 원고에 기록된 화상 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한다. ADF(101) 상에 놓인 원고는 1매씩 ADF(101)에서의 판독 중심 위치로 반송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광학 스캐너 유닛(220)은, 판독 중심 위치로 이동되어, 판독 중심 위치에서 원고를 판독한다. ADF(101)에 놓인 원고, 또는 원고대 유리(221)에 놓인 원고는 광학계에 의해 판독된다. 광학계는, 플로우 판독 유리(210), 원고대 유리(221), 광학 스캐너 유닛(220), 미러(222 및 223), 렌즈(224) 및 CCD 센서 유닛(225)으로 구성된다. 광학 스캐너 유닛(220)에는 램프(226) 및 미러(227)가 설치된다. 광학계에 의해 판독된 화상 정보는, 광전 변환되고, 후술하는 컨트롤러 유닛(321)에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화상 판독 유닛(103)에 제공되는 백판(228)은 백색 레벨을 쉐이딩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를 작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CD 센서 유닛(225)은 컬러용 CCD(229) 및 흑백용 CCD(230)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DF(101)는 CPU(300), ROM(301), RAM(302), 모터(303), 센서(304), 솔레노이드(306) 및 클러치(307)를 구비한다. CPU(300), ROM(301), RAM(302), 모터(303), 센서(304), 솔레노이드(306) 및 클러치(307)는 버스(308)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ADF(101)는 입력 포트(도시하지 않음) 및 출력 포트(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입력 포트에는, 도 2의 센서를 나타내는 센서(304)가 접속되어 있다. 출력 포트에는, 도 2의 반송용의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303), 솔레노이드(306) 및 클러치(307)가 접속되어 있다.
CPU(300)는 ROM(301)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용지 반송을 제어한다. CPU(300)는, 제어용 통신선(309)을 통해서 화상 판독 유닛(103)의 CPU(310)와 시리얼 통신을 행하고, 화상 판독 유닛(103)과의 사이에서 제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예를 들어, CPU(300)는, 원고 화상 데이터의 선단의 기준이 되는 화상 선단 신호를, 화상 판독 유닛(103)에 송신한다. 또한, CPU(300)는, 화상 판독 유닛(103)의 CPU(31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서 센서(304)에 의한 검지 결과를 화상 판독 유닛(103)에 송신한다. ROM(301)은 제어 프로그램 및 고정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RAM(302)은 입력 데이터 및 작업 데이터를 저장한다.
화상 판독 유닛(103)은, CPU(310), ROM(311), RAM(312), 용지 간격 보정 유닛(313), 화상 처리 유닛(314), 광학계 모터 드라이브 유닛(315), 램프(226), CCD 센서 유닛(225) 및 화상 메모리(316)를 구비한다. CPU(310), ROM(311), RAM(312), 용지 간격 보정 유닛(313), 화상 처리 유닛(314), 광학계 모터 드라이브 유닛(315) 및 램프(226)는 버스(320)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화상 처리 유닛(314)은, CCD 센서 유닛(225) 및 화상 메모리(316)에 접속되어 있다.
CPU(310)는, 화상 판독 유닛(103)에 관한 모든 종류의 제어를 행한다. ROM(311)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312)은, 비휘발성 기억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어 CPU(310)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용지 간격 보정 유닛(313)은 용지 간격을 보정한다. 광학계 모터 드라이브 유닛(315)은 광학계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회로이다. CPU(310)는, 광학계 모터 드라이브 유닛(315)을 제어하고, 화상 처리 유닛(314)이 CCD 센서 유닛(225)을 제어하게 함으로써 화상 판독 처리를 실행한다.
CPU(310)는, 용지 반송을 실현하기 위해서, ADF(101)의 CPU(300)에 용지 반송 제어에 관한 커맨드를 송신한다. 당해 커맨드를 수신한 CPU(300)는, 반송 경로 위에 놓여 있는 센서(304)를 모니터하고, 반송 모터(303), 솔레노이드(306) 및 클러치(307)를 구동하여 용지 반송을 실현한다. 이와 같이, CPU(310)는, ADF(101)에 의한 용지 반송 및 화상 판독 유닛(103)에 의한 화상 판독을 제어한다.
렌즈(224)를 통과해서 CCD 센서 유닛(225) 위에 형성된 화상 신호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렇게 얻어진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 유닛(314)에 의해 각종 화상 처리, 예를 들어 쉐이딩 처리 및 화상 데이터의 줄무늬를 검지해서 보정하는 처리가 실시되어, 화상 메모리(316)에 기입된다. 그다음, 화상 메모리(316)에 기입된 데이터는 화상 통신선(317)을 통해서 컨트롤러 유닛(321)에 송신된다. 원고 화상 데이터의 선단의 기준이 되는 화상 선단 신호는, CPU(310)에 의해 통지 타이밍이 조정되고, 제어 통신선(318)을 통해서 컨트롤러 유닛(321)에 송신된다. ADF(101)로부터 수신한 화상 선단 신호도 마찬가지로, CPU(310)에 의해 통지 타이밍이 조정되고, 제어 통신선(318)을 통해서 컨트롤러 유닛(321)에 송신된다.
CPU(310)는 화상 처리 유닛(314)을 제어한다. CPU(310)는, 화상 처리 유닛(314)을 통해서 제어 신호를 CCD 센서 유닛(225)에 전달함으로써 CCD 센서 유닛(225)을 제어한다. CCD 센서 유닛(225)으로 원고 화상을 스캔하는 과정에서, 컬러용 CCD(229) 및 흑백용 CCD(230)에 의해 아날로그 화상 신호가 판독된다. 판독된 1 라인마다의 아날로그 화상 신호는 CCD 제어 유닛(319)에 출력된다. CCD 제어 유닛(319)은, 수신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당해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316)에 출력한다. 화상 메모리(316)는, 수신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화상 통신선(317)을 통해서 컨트롤러 유닛(321)에 송신한다.
CPU(310)는, 제어 통신선(318)을 통해서 컨트롤러 유닛(321)의 CPU(322)와 시리얼 통신을 행하고, 컨트롤러 유닛(321)과의 사이에서 제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CPU(310)는, CPU(322)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송 중인 원고에 대해 형상 이상을 검지한다. 형상 이상을 검지하기 위해서는, CPU(310)는, 각각의 원고마다 반송 개시 전에 계측한 원고 다발(S)의 최상면까지의 거리와 반송 개시로부터 미리결정된 시간(t2)이 경과한 후에 계측한 원고 다발(S)의 최상면까지의 거리 사이의 차이를 계산한다. 차이가 미리결정된 거리(d1) 이상인 경우에는, CPU(310)는 원고가 형상 이상을 갖는다고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CPU(322)에 통지한다.
컨트롤러 유닛(321)은, ADF(101), 화상 판독 유닛(103), 및 화상 형성 유닛(104)을 포함하는 전체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제어한다. 컨트롤러 유닛(321)은, CPU(322), 화상 처리 회로(323), 스캐너 I/F(324), 화상 메모리(325), 조작 유닛(326), RAM(327), ROM(328), 프린터 I/F(329) 및 HDD(330)를 구비한다. CPU(322), 화상 처리 회로(323), 스캐너 I/F(324), 화상 메모리(325), 조작 유닛(326), RAM(327), ROM(328), 프린터 I/F(329) 및 HDD(330)는 버스(331)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322)는, HDD(3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327)에 로드하고, 로드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RAM(327)은, 비휘발성 기억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어 CPU(322)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ROM(328)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컨트롤러 유닛(321)은, 화상 통신선(317)을 통해서 화상 판독 유닛(103)으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325)에 저장한다.
화상 처리 회로(323)는, 화상 메모리(325)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변환한다. 화상 처리 회로(323)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예를 들어 회전 처리, 해상도 변환 처리, 배율변경 처리 및 색 공간 변환 처리를 실시한다. 회전 처리는, 32 × 32 화소로 구성되는 화상을 지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처리이다. 해상도 변환 처리는 화상의 해상도를 변환하는 처리이다. 배율변경 처리는 화상의 사이즈를 배율변경하는 처리이다. 색 공간 변환 처리는, 다치 입력된 화상을 매트릭스 연산하고, LUT에 기초하여 YUV 화상을 Lab 화상으로 변환하는 처리이다. 색 공간 변환 처리에서는, 3 × 8 매트릭스 연산 및 1차원 LUT에 의해 베이스 제거 및 비쳐 보임 제거를 실현한다. 화상 처리 회로(323)는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다시 화상 메모리(325)로 되돌린다.
도 4는, 도 3의 화상 처리 회로(323)에서의 비쳐 보임 제거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처리 회로(323)는, 화상 데이터 중의 베이스 컬러 레벨을 판별하고, 베이스 컬러 레벨에 대응한 베이스 컬러를 제거하기 위한 연산을 실행하며, 입력 휘도값을 출력 휘도값으로 변환함으로써 비쳐 보임을 제거한다. 원고가 공급기에 인입되고 CCD 센서 유닛(225)에 의해 판독되기 시작하면, 화상 신호 생성 모듈(401)은, 판독한 화상을 휘도 신호로 변환하고, 휘도 신호를 히스토그램 생성 모듈(402)에 출력한다. 히스토그램 생성 모듈(402)은, 수신한 휘도 신호에 기초하여 임의의 샘플링 피치로 화소를 추출하여 휘도 레벨을 카운트함으로써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스캔을 개시할 때까지 원고 사이즈가 식별되어 있지 않은 경우, 화상 신호 생성 모듈(401)은 상정가능한 최대 화상 길이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한다.
화상 처리 회로(323)에서는, 화상 신호 생성 중에 원고 사이즈가 결정되면, 원고 사이즈 검지 모듈(403)이 히스토그램 생성 영역 변경 모듈(404)에 원고 사이즈를 통지한다. 히스토그램 생성 영역 변경 모듈(404)은, 히스토그램 생성 모듈(402)이 샘플링하는 화상 데이터의 영역을, 원고 사이즈 검지 모듈(403)로부터 통지된 원고 사이즈로 변경한다. 원고가 스캔된 후, 베이스 컬러 레벨 판별 모듈(405)은, 히스토그램 생성 모듈(402)에 의해 샘플링된 히스토그램으로부터 베이스 컬러 레벨을 판별한다. 베이스 컬러 레벨 판별 모듈(405)은, 판별된 베이스 컬러 레벨에 기초하여 베이스 컬러 제거 계수를 베이스 컬러 제거 처리 모듈(406)에 설정한다. 베이스 컬러 제거 처리 모듈(406)은, 설정된 계수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로부터 베이스 컬러를 제거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화상 형성 유닛(104)은, 기록 용지를 반송하고, 기록 용지 위에 화상 데이터를 가시 화상으로서 인쇄하며, 인쇄물을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배출한다. 화상 형성 유닛(104)은, 도 1의 용지 공급 유닛(105), 용지 배출 유닛(106), 및 피니셔 유닛(107)뿐만 아니라 제어 유닛(332) 및 마킹 유닛(333)을 구비한다. 제어 유닛(332), 마킹 유닛(333), 용지 배출 유닛(106) 및 용지 공급 유닛(105)은 버스(334)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유닛(332)은 화상 형성 유닛(104)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332)은, 마킹 유닛(333)이 화상을 형성할 준비가 된 때에, 화상 선단 신호를 제어 통신선(335)을 통해서 컨트롤러 유닛(321)에 송신한다. 용지 배출 유닛(106)은, 인쇄물을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마킹 유닛(333)은 화상 데이터를 용지에 전사하고 정착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마킹 유닛(333)은 화상 통신선(336)을 통해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용지에 전사하고 정착시킨다. 피니셔 유닛(107)은 펀칭 및 소팅(sorting)을 행한다.
도 5는 도 3의 조작 유닛(326)의 외관도이다. 조작 유닛(326)은, LCD 터치 패널(500), 숫자 키패드(501), ID 키(502), 리셋 키(503), 가이드 키(504), 유저 모드 키(505), 인터럽트 키(interrupt key)(506), 스타트 키(507), 스톱 키(508), 절전 키(509), 카운터 확인 키(510), LED(511), 에러 LED(512) 및 전원 LED(513)를 구비한다.
LCD 터치 패널(500)은 터치 패널이 부착되는 액정 표시부로 구성되는 입력 장치이다. LCD 터치 패널(500)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조작에 사용되는 기능, 화상 데이터 등이 표시된다. 숫자 키패드(501)는 0 내지 9까지의 수치를 입력하기 위한 하드 키로 구성된다. ID 키(502)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부문별로 관리되는 경우에 부문 번호 및 암호화 코드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리셋 키(503)는 설정된 모드를 리셋하기 위한 하드 키이다. 가이드 키(504)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탑재된 각 모드를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하드 키이다. 유저 모드 키(505)는, 유저 모드 화면을 LCD 터치 패널(500)에 표시하기 위한 하드 키이다. 유저 모드 화면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관한 유저-고유 설정이 구성될 수 있다.
인터럽트 키(506)는 인터럽트 카피를 행하기 위한 하드 키이다. 스타트 키(507)는 카피 또는 스캔을 개시시키기 위한 하드 키이다. 스톱 키(508)는 실행 중인 작업을 중지시키기 위한 하드 키이다. 절전 키(509)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절전 상태로 이행하거나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절전 상태에서 복귀시키기 위한 하드 키이다. 카운터 확인 키(510)는 카운트 화면을 LCD 터치 패널(500)에 표시하기 위한 하드 키이다. 카운트 화면에는, 지금까지 사용한 카피 매수를 카운팅하여 얻은 결과가 표시된다. LED(511)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동작 중일 때,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가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화상 메모리(325)에 화상을 축적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점등한다. 에러 LED(512)는, 종이 걸림 또는 도어 개방 등의 에러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발생할 때에 점등한다. 전원 LED(513)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인 스위치가 ON일 때에 점등한다.
도 6a는, 도 5의 LCD 터치 패널(500)에 표시되는 카피 화면(6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5의 LCD 터치 패널(500)에 표시되는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도 5의 LCD 터치 패널(500)에 표시되는 두께 선택 화면(614)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카피 화면(600)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기본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버튼, 예를 들어 컬러 선택 버튼(601), 배율 버튼(602) 및 용지 선택 버튼(603)이 배치된다. 각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에 관한 설정 상황이 표시란(604)에 표시된다. 또한, 카피 화면(600)에는, 기타 기능 버튼(605)이 배치된다. 유저는, 기타 기능 버튼(605)을 선택함으로써, 기본 기능 이외의 기능에 관한 설정, 예를 들어 페이지 인쇄, 페이지 집약 및 제본과 같은 기능에 관한 설정을 구성할 수 있다. 카피 화면(600)에는, 유저가 빈번히 사용하는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쇼트컷 버튼(shortcut button), 예를 들어 양면 버튼(606), 마무리 버튼(607) 및 비쳐 보임 방지 버튼(608)이 배치된다. 양면 버튼(606)은, 양면 인쇄에 관한 설정을 구성하기 위한 버튼이다. 마무리 버튼(607)은, 인쇄 시의 출력 모드 및 후처리에 관한 설정을 구성하기 위한 버튼이다. 비쳐 보임 방지 버튼(608)은, 원고를 판독할 때의 비쳐 보임을 방지하는 비쳐 보임 방지 기능에 관한 설정을 구성하기 위한 버튼이다. 유저가 비쳐 보임 방지 버튼(608)을 선택하면, 카피 화면(600)에 겹치도록 도 6b의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이 표시된다.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은, ON 버튼(610), OFF 버튼(611), OK 버튼(612) 및 캔슬 버튼(613)으로 구성된다. ON 버튼(610)은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유효화하기 위한 버튼이다. OFF 버튼(611)은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무효화하기 위한 버튼이다.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에서, 예를 들어 ON 버튼(610)이 선택된 상태에서 유저가 OK 버튼(612)을 누르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된다. OFF 버튼(611)이 선택된 상태에서 유저가 OK 버튼(612)을 누르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무효화된다. 한편, 유저가 캔슬 버튼(613)을 누르면, 비쳐 보임 방지 기능에 관한 설정이 행하여지지 않고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이 폐쇄한다.
또한, LCD 터치 패널(500)에는, 원고 검지 센서(203)가 원고를 검지했을 때에, 도 6c의 두께 선택 화면(614)이 표시된다. 두께 선택 화면(614)에서는, 원고 검지 센서(203)가 검지한 원고의 두께가 유저에 의해 설정된다. 두께 선택 화면(614)에는, 원고의 두께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 예를 들어 두꺼운 용지 버튼(615), 보통 버튼(616) 및 얇은 용지 버튼(617)이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꺼운 용지 버튼(615)에 대응하는 원고의 두께는, 예를 들어 220g/m2이고, 보통 버튼(616)에 대응하는 원고의 두께는, 예를 들어 64 내지 128 또는 157g/m2이며, 얇은 용지 버튼(617)에 대응하는 원고의 두께는, 예를 들어 37, 42, 또는 52g/m2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두께 선택 화면(614)에는, 또한 OK 버튼(618)이 배치된다. 두꺼운 용지 버튼(615), 보통 버튼(616) 및 얇은 용지 버튼(617) 중 임의의 것이 선택된 상태에서 유저가 OK 버튼(618)을 누르면,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두께가 원고 검지 센서(203)가 검지한 원고의 두께로서 설정된다.
도 7은, 도 3의 컨트롤러 유닛(321)에 의해 실행되는 스캔 제어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의 처리는, 컨트롤러 유닛(321)의 CPU(322)가, ROM(328)으로부터 RAM(327)에 전개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도 7의 처리에서는, LCD 터치 패널(500)에 카피 화면(600)이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CPU(322)는, 원고 검지 센서(203)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ADF(101)에 원고가 놓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701).
단계 S701의 판별 결과, ADF(101)에 원고가 놓여 있지 않을 때, CPU(322)는 후술하는 단계 S711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701의 판별 결과, ADF(101)에 원고가 놓여 있을 때, CPU(322)는, LCD 터치 패널(500)에 두께 선택 화면(614)을 표시한다(단계 S702). 유저가 두께 선택 화면(614)의 OK 버튼(618)을 누르면(단계 S703에서 예), CPU(322)는 ADF(101)에 놓여 있는 원고의 두께를 판별한다(단계 S704). 단계 S704에서는, CPU(322)는, ADF(101)에 놓여 있는 원고의 두께를, 두께 선택 화면(614)에 설정된 원고의 두께에 기초하여 판별한다.
단계 S704의 판별 결과, 두께 선택 화면(614)에 설정된 원고의 두께가 "보통"일 때, CPU(322)는 후술하는 단계 S711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704의 판별 결과, 두께 선택 화면(614)에 설정된 원고의 두께가 "얇은 용지"일 때, CPU(322)는,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에서 "ON" 또는 "OFF"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S705).
단계 S705의 판별 결과,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에 "ON"이 설정되어 있을 때, CPU(322)는,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술하는 단계 S711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705의 판별 결과,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에 "OFF"가 설정되어 있을 때, CPU(322)는,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무효화되어 있으므로,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유효화한다(단계 S706).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고 검지 센서(203)에 의해 검지된 원고가 얇은 용지일 경우,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의 설정에 관계없이,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된다. 이어서, CPU(322)는,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8a의 통지 화면(801)을 LCD 터치 패널(500)에 표시한다(단계 S707). 그 후, CPU(322)는 후술하는 단계 S711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704의 판별 결과, 두께 선택 화면(614)에 설정된 원고의 두께가 "두꺼운 용지"일 때, CPU(322)는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에 "ON" 또는 "OFF"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S708).
단계 S708의 판별 결과,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에 "OFF"가 설정되어 있을 때, CPU(322)는,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무효화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술하는 단계 S711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708의 판별 결과,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에 "ON"이 설정되어 있을 때, CPU(322)은,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되어 있으므로,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무효화한다(단계 S709).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고 검지 센서(203)에 의해 검지된 원고가 두꺼운 용지일 경우,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의 설정에 관계없이,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무효화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의 설정에 관계없이, 단계 S704에서의 원고의 두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 또는 무효화되도록 제어된다. 이어서, CPU(322)는,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무효화한 것을 나타내는 도 8b의 통지 화면(802)을 LCD 터치 패널(500)에 표시한다(단계 S710). 그 후, CPU(322)는, 유저가 스타트 키(507)를 눌렀는지를 판별한다(단계 S711).
단계 S711의 판별 결과, 유저가 스타트 키(507)를 누르지 않았을 때, 처리는 단계 S701로 복귀한다. 단계 S711의 판별 결과, 유저가 스타트 키(507)를 눌렀을 때, CPU(322)는 화상 판독 유닛(103)에 원고 판독의 개시를 지시한다(단계 S712). 지시에 응답하여, 화상 판독 유닛(103)은 도 9의 스캔 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 CPU(32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9는, 도 3의 화상 판독 유닛(103)에 의해 실행되는 스캔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의 처리는, 화상 판독 유닛(103)의 CPU(310)가, ROM(311)으로부터 RAM(312)에 전개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도 9를 참조하면, CPU(310)는 ADF(101)에 놓여 있는 원고의 두께를 판별한다(단계 S901). 단계 S901에서, 단계 S704와 마찬가지로, CPU(310)는, ADF(101)에 놓여 있는 원고의 두께를, 두께 선택 화면(614)에 설정된 원고의 두께에 기초하여 판별한다.
단계 S901의 판별 결과, 두께 선택 화면(614)에 설정된 원고의 두께가 "보통"일 때, CPU(310)는 후술하는 단계 S903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901의 판별 결과, 두께 선택 화면(614)에 설정된 원고의 두께가 "두꺼운 용지" 또는 "얇은 용지"일 때, CPU(310)는 단계 S902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902에서는, CPU(310)는, 원고의 반송 속도를 저속으로 제어하도록 ADF(101)의 CPU(300)에 지시하는 통지를 제공한다. 이 통지에 응답하여, CPU(300)는, 반송 롤러(208), 레지스트 롤러(209), 반송 롤러(212), 반송 롤러(213), 대형 롤러(211) 및 용지 배출 롤러(215)를 구동하는 각각의 모터의 RPM을 미리결정된 RPM으로 감소시킨다. 이는 원고의 반송 속도를 통상의 속도인 미리 설정된 제1 속도로부터 저속인 제2 속도로 제어한다. 제2 속도는, 배출된 얇은 용지인 원고가 용지 배출 트레이(216)로 완전히 낙하할 수 있도록 하며 두꺼운 용지인 원고가 ADF(101)에서의 반송 경로(반송 루트)의 만곡 영역에서 토크 부족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예를 들어 제1 속도의 절반으로 설정된다.
이어서, CPU(310)는, 원고의 공급을 개시하고(단계 S903),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904). 판독한 화상 데이터는, 컨트롤러 유닛(321)에 송신되고, 스캐너 I/F(324)를 통해서 화상 메모리(325)에 저장된다. 그 후, CPU(310)는, 화상 메모리(325)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처리의 실행을 컨트롤러 유닛(321)에 지시한다(단계 S905). 이 지시에 응답하여, 컨트롤러 유닛(321)은, 화상 메모리(325)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각종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 유닛(321)은 후술하는 도 10의 비쳐 보임 제거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이어서, CPU(310)는, 원고 트레이(201)에 원고가 남아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S906).
단계 S906의 판별 결과, 원고 트레이(201)에 원고가 남아 있을 때, 처리는 단계 S903로 복귀한다. 단계 S906의 판별 결과, 원고 트레이(201)에 원고가 남아 있지 않을 때, CPU(310)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10은 도 3의 컨트롤러 유닛(321)에 의해 실행되는 비쳐 보임 제거 화상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처리는, 컨트롤러 유닛(321)의 CPU(322)이 ROM(328)으로부터 RAM(327)에 전개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CPU(322)는, 스캐너 I/F(324)를 통해서 화상 메모리(325)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1001). 이어서, CPU(322)는,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002).
단계 S1002의 판별 결과,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되어 있지 않을 때, CPU(32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002의 판별 결과,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되어 있을 때, CPU(322)는 화상 데이터의 휘도 레벨로부터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단계 S1003). 이어서, CPU(322)는, 생성한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베이스 컬러 레벨을 판별한다(단계 S1004). 도 11a는, 스캔된 판독 화상 데이터(1101)에서 문자(1102)가 비쳐 보이는 것을 나타낸다. 판독 화상 데이터(1101)가, 표면의 문자 화상과 비쳐 보임 문자(1102)로 구성되면, 예를 들어 도 11b의 히스토그램(1103)이 생성된다. 히스토그램(1103)에서는, 횡축이 0 내지 255를 나타내고, 종축은 대응하는 휘도 레벨의 화소를 카운트하여 얻은 값을 나타낸다. CPU(322)는, 예를 들어 히스토그램(1103)에 기초하여 베이스 컬러 레벨을 판별한다. 농도가 높고 배경인 휘도 255를 제외한 영역, 예를 들어 도 11b의 참조 번호 1104로 나타내는 휘도 레벨 195가 베이스 컬러 레벨로 판별된다. 이어서, CPU(322)는, 단계 S1004에서 판별된 베이스 컬러 레벨에 기초하여 베이스 컬러를 제거하기 위한 계수를 설정한다. 그 후, CPU(322)는, 설정한 계수에 기초하여 베이스 컬러 제거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05). 그 결과, 스캔된 화상 데이터(1101)로부터 비쳐 보임 문자(1102)가 제거되어 도 11c의 화상 데이터(1105)가 생성된다. 이어서, CPU(32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원고 검지 센서(203)에 의해 검지된 원고가 얇은 용지일 경우,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된다. 그 결과, 스캔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비쳐 보임 제거 화상 처리가 실시되고, 이는 비쳐 보임 데이터의 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원고 검지 센서(203)에 의해 검지된 원고가 얇은 용지일 경우, 원고의 반송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속도보다 저속인 제2 속도로 제어된다. 그 결과, 원고를 반송하는 동안 원고의 후단이 후속 원고의 선단과 부딪치는 상황이 회피되며, 따라서 원고의 반송 동안 종이 걸림 및 적재 불량과 같은 에러의 발생이 방지된다. 즉,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원고의 반송 동안 종이 걸림 및 적재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비쳐 보임 데이터의 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원고 검지 센서(203)에 의해 검지된 원고가 두꺼운 용지일 경우,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무효화된다. 이는, 비쳐 보임의 우려가 없는 두꺼운 용지의 원고를 스캔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로부터 비쳐 보임을 제거하기 위해 불필요한 화상 처리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화상 처리에 의해 스캔된 화상 데이터의 일부가 손실되는 상황이 회피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원고 검지 센서(203)에 의해 검지된 원고가 두꺼운 용지일 경우, 원고의 반송 속도가 제2 속도로 제어된다. 이는, 두꺼운 원고가 반송될 때 ADF(101)의 반송 경로의 만곡 영역에서 반송 롤러의 부하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두꺼운 원고가 반송되는 동안 종이 걸림 및 적재 불량 등의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불필요한 화상 처리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일부가 손실되는 상황이 회피되면서, 두꺼운 원고의 반동 동안 종이 걸림 및 적재 불량의 발생이 방지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에서 유저가 행한 설정에 관계없이, 단계 S704에서의 원고의 두께에 대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 또는 무효화되도록 제어된다. 그 결과, 유저가 비쳐 보임 방지 기능에 관한 설정을 적절히 구성하지 않았거나 또는 유저가 상기 설정을 구성하는 것을 잊은 경우에도, 비쳐 보임 방지 기능에 대한 설정은 원고의 두께에 적합한 적절한 설정으로 제어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에서 유저가 OFF 버튼(611)을 선택하고 원고 검지 센서(203)에 의해 검지된 원고가 얇은 용지일 경우,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유효화된다. 이 경우,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유효화했다는 통지를 제공하는 통지 화면(801)이 LCD 터치 패널(500)에 표시된다. 한편,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에서 유저가 ON 버튼(610)을 선택하고 원고 검지 센서(203)에 의해 검지된 원고가 두꺼운 용지일 경우,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이 무효화된다. 이 경우,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무효화했다는 통지를 제공하는 통지 화면(802)이 LCD 터치 패널(500)에 표시된다. 이는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의 설정에 관하여, 비쳐 보임 방지 설정 화면(609)에서 유저가 행한 설정과 상이한 설정이 이루어졌음을 유저에게 통지하여, 유저가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의 설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원고의 두께는 반드시 두께 선택 화면(614)에서 설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ADF(101)에 제공된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광 송신부와 광 수신부를 그 사이에 원고를 보유지지하는 방식으로 원고 반송 경로에 배치할 수 있으며, 원고를 통해서 광 수신부가 수광한 광량에 기초하여 원고의 두께를 판별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작 유닛을 통해 두께를 설정해야 하는 유저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선택될 원고의 두께에 대한 선택지로서 두꺼운 용지, 보통 용지 및 얇은 용지 이외의 옵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엽서", "코팅지", 및 "장부의 부본"이 설정될 수 있다. "엽서"에 대해서는 두께는 두꺼운 용지로 설정될 수 있으며, "장부의 부본"에 대해서는 두께는 얇은 용지로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유저가 원고의 두께를 모르는 경우에도, 용지 종류에 기초하여 적절한 두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원고의 두께를 설정할 때 평량을 설정할 수 있다. 스캔되는 원고의 용지 종류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평량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원고가 스캔될 때 조작 유닛(326)에 평량이 입력될 수 있다. 이렇게 처리함으로써, 평량에 기초하여 원고의 두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기억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라 칭할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기억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 청구항은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통합되는 2018년 10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204139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Claims (13)

  1. 원고 트레이, 원고의 종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원고의 상기 종류에 기초하여 반송 수단에 의한 상기 원고의 반송을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 및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원고 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이며,
    상기 원고 트레이에 상기 원고가 놓인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 및
    상기 원고 트레이에 상기 원고가 놓인 것을 상기 검지 수단이 검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원고의 종류를 설정하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원고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원고에 대한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유효화하는 화상 판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원고의 종류가 제1 종류일 경우에, 상기 원고에 대한 상기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유효화하지 않고, 상기 설정된 원고의 종류가 상기 제1 종류보다 얇은 용지일 경우에, 상기 원고에 대한 상기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유효화하는 화상 판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에 대한 상기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유효화했다는 통지를 제공하는 통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원고의 종류가 상기 제1 종류일 경우에, 상기 원고에 대한 상기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유효화하지 않고, 상기 설정된 원고의 종류가 상기 제1 종류보다 두꺼운 제2 종류보다 두꺼운 용지일 경우에, 상기 원고에 대한 상기 비쳐 보임 방지 기능을 유효화하지 않는 화상 판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원고의 종류가 제1 종류일 경우에, 상기 반송 제어 수단은 상기 반송 수단이 상기 원고를 제1 반송 속도로 반송하게 하며, 상기 설정된 원고의 종류가 상기 제1 종류보다 얇은 용지일 경우에, 상기 반송 제어 수단은 상기 반송 수단이 상기 원고를 상기 제1 반송 속도보다 낮은 제2 반송 속도로 반송하게 하는 화상 판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원고의 종류가 제1 종류일 경우에, 상기 반송 제어 수단은 상기 반송 수단이 상기 원고를 제1 반송 속도로 반송하게 하며, 상기 설정된 원고의 종류가 상기 제1 종류보다 두꺼운 제2 종류보다 두꺼운 용지일 경우에, 상기 반송 제어 수단은 상기 반송 수단이 상기 원고를 상기 제1 반송 속도보다 낮은 제3 반송 속도로 반송하게 하는 화상 판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원고를 만곡된 반송 경로를 통해 반송하는 화상 판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류는 두께인 화상 판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원고를 판독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원고를 판독한 화상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
  12. 원고 트레이, 원고의 종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원고의 상기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원고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에 의한 상기 원고의 반송을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 및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원고 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원고 트레이에 상기 원고가 놓인 것을 검지하는 단계; 및
    상기 원고 트레이에 상기 원고가 놓인 것을 검지 수단이 검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원고의 종류를 설정하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의 제어 방법.
  13. 원고 트레이, 원고의 종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원고의 상기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원고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에 의한 상기 원고의 반송을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 및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원고 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매체이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원고 트레이에 상기 원고가 놓인 것을 검지하는 단계; 및
    상기 원고 트레이에 상기 원고가 놓인 것을 검지 수단이 검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원고의 종류를 설정하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 매체.
KR1020190135124A 2018-10-30 2019-10-29 원고를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2537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04139 2018-10-30
JP2018204139A JP7229723B2 (ja) 2018-10-30 2018-10-30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629A true KR20200049629A (ko) 2020-05-08
KR102537851B1 KR102537851B1 (ko) 2023-05-31

Family

ID=6838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24A KR102537851B1 (ko) 2018-10-30 2019-10-29 원고를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006018B2 (ko)
EP (1) EP3648444B1 (ko)
JP (1) JP7229723B2 (ko)
KR (1) KR102537851B1 (ko)
CN (1) CN1111316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9723B2 (ja) * 2018-10-30 2023-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250513B2 (ja) * 2018-12-27 202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合機、複合機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64523B1 (ja) * 2019-01-17 2020-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24929B2 (ja) * 2019-01-21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04A (ja) * 1992-06-25 1994-02-01 Canon Inc シート材搬送装置
JP2010265044A (ja) * 2009-05-12 2010-11-25 Sharp Corp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その自動原稿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8087836A (ja) * 2016-11-28 2018-06-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28305T1 (de) * 1982-10-08 1995-10-15 Canon Kk Bildverarbeitungssystem.
US5008714A (en) * 1987-10-09 1991-04-16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document feed device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a manually positioned document
JPH0624604U (ja) 1992-08-31 1994-04-05 東陶機器株式会社 自動洗髪機
JP3548196B2 (ja) * 1993-06-21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304555B2 (ja) * 1993-09-22 2002-07-22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6252680B1 (en) * 1998-01-08 2001-06-26 Xerox Corporation Image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canning artifact detection
US6760048B1 (en) * 1999-06-15 2004-07-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of occluded display elements on a computer display
JP3768052B2 (ja) * 1999-12-14 2006-04-19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処理方法、カラー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ための記録媒体
US6300804B1 (en) * 2000-02-09 2001-10-09 Teradyne, Inc. Differential comparator with dispersion reduction circuitry
US6744536B2 (en) * 2001-01-22 2004-06-01 Xerox Corporation Document scanner having replaceable backing and automatic selection of registration parameters
JP4059781B2 (ja) * 2003-02-06 2008-03-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49314A (ja) * 2005-08-08 2007-02-22 Canon Inc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JP2008060867A (ja) * 2006-08-31 2008-03-13 Sharp Corp 原稿読取り装置
JP5090004B2 (ja) * 2007-01-31 2012-12-05 ニスカ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196987B2 (ja) 2007-12-20 2013-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902480B1 (en) * 2013-08-27 2014-12-02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reading apparatus and reading method
JP6033257B2 (ja) 2014-06-18 2016-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原稿読取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494278B2 (ja) * 2014-12-25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印刷装置
JP2016123039A (ja) * 2014-12-25 2016-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38554B2 (ja) * 2015-07-06 2018-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6821296B2 (ja) * 2015-09-28 2021-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13403B2 (en) * 2016-05-19 2019-12-24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019187A (ja) * 2016-07-26 2018-02-01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画像読取方法
US9942432B2 (en) * 2016-08-18 2018-04-10 Xerox Corporation Electrochromic scanning backing material
JP6800672B2 (ja) * 2016-09-20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00718B2 (ja) * 2016-12-01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22108B2 (ja) * 2016-12-06 2021-01-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904699B2 (ja) * 2016-12-26 2021-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
JP2019047269A (ja) * 2017-08-31 2019-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9164517A (ja) * 2018-03-19 2019-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7229723B2 (ja) * 2018-10-30 2023-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250513B2 (ja) * 2018-12-27 202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合機、複合機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64523B1 (ja) * 2019-01-17 2020-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18424A (ja) * 2020-01-24 2021-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04A (ja) * 1992-06-25 1994-02-01 Canon Inc シート材搬送装置
JP2010265044A (ja) * 2009-05-12 2010-11-25 Sharp Corp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その自動原稿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8087836A (ja) * 2016-11-28 2018-06-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31649A (zh) 2020-05-08
EP3648444B1 (en) 2023-09-06
US11503181B2 (en) 2022-11-15
JP7229723B2 (ja) 2023-02-28
US20200137259A1 (en) 2020-04-30
US11006018B2 (en) 2021-05-11
US20210234988A1 (en) 2021-07-29
KR102537851B1 (ko) 2023-05-31
EP3648444A1 (en) 2020-05-06
JP2020072341A (ja)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7851B1 (ko) 원고를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10455114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rea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6639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172087B2 (en) Multifunction machine, image scann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multifunction machin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at controls conveyance of a document on the basis of the thickness of the document
US1047704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ble to detect a bound document during feeding
US20210385347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detecting shape of fed documents,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rea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control method
KR102606482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2585676B1 (ko) 화상 판독 장치, 화상 판독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9525792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rea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20188389A (ja) 画像形成装置
US11394841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 rea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o account for paper thickness
US993020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py function that prints image data read from manuscripts on printing paper according to set printing conditions
JP567030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66243A (ja) デジタル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