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523A -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및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및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523A
KR20200042523A KR1020207008417A KR20207008417A KR20200042523A KR 20200042523 A KR20200042523 A KR 20200042523A KR 1020207008417 A KR1020207008417 A KR 1020207008417A KR 20207008417 A KR20207008417 A KR 20207008417A KR 20200042523 A KR20200042523 A KR 20200042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ocking member
movable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182B1 (ko
Inventor
히데타카 도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크로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크로스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크로스포
Publication of KR2020004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19Hook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19Hooks
    • A44C5/2033Hooks provided with pivoting closure mea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Buckl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장신구용 잠금 부재(20)는, 장신구(1)의 일부에 접속되는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그 회전에 의해 잠금 부재(20)를 개폐시키는 가동부(31)를 갖고 있으며, 피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베이스부(21)의 베이스측 연결부(26)는, 장신구(1)의 일부에 접속되는 베이스부(21)의 접속 부분에 대해, 베이스부(21)의 길이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가동부(31)가 잠금 부재(20)를 닫는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가동부(31)의 가동측 연결부(35)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와, 베이스부의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가 서로 접촉 또는 대면하고, 또한,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일부와 가동측 연결부(35)의 일부가, 베이스부(2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진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및 장신구
본 발명은,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및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팔찌, 목걸이 등의 장신구는, 체인 부재, 끈 부재 등의 선상(線狀) 부재가 팔, 목 등에 채워짐으로써 걸쳐진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장신구의 일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장신구에 있어서의 선상 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한 쌍의 잠금 부재를 구비한 잠금쇠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방식에 의한 잠금쇠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36244호(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137016호(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19946호(특허문헌 3) 등에 기재되어 있는 삽입식 타입 및 나사식 타입의 잠금쇠 등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가 가장 많은 장신구에 채용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타입의 잠금쇠로서,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중절(中折) 타입의 잠금쇠(150),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166625호(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는 타입의 잠금쇠도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36244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13701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1994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166625호
하지만, 종래의 잠금쇠는 조작성이 좋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장신구를 몸에 걸칠 때, 또는 장신구를 몸에서 떼어낼 때 등에, 잠금 부재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손끝에 의한 섬세한 조작이 필요하다. 또한, 잠금쇠를 형성하는 한 쌍의 잠금 부재를 서로 연결시킬 때에는, 예를 들면 이하의 섬세한 연결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결 조작에서는, 먼저, 한쪽 잠금 부재를 섬세한 조작으로 열어 작은 개구부(간극)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그 작은 개구부에 대해, 다른 쪽 잠금 부재를 위치를 조정하면서 삽입한다. 특히 팔찌의 경우에는, 상술한 섬세한 조작을 한 손만으로 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목걸이의 경우에는, 상술한 섬세한 조작을, 직접 볼 수 없는 목 뒤쪽에서 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장신구에 장착된 종래의 잠금쇠를 조작할 때, 사용자는, 잠금 부재의 조작 및 잠금쇠의 조작을 어렵게 느끼는 경우 및 번거롭게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잠금쇠는, 종래의 잠금쇠가 달린 장신구를 몸에 걸치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하였다. 또한, 예를 들면 장신구의 선상 부재가 디자인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잠금쇠의 구조 등에 따라서는 선상 부재의 연속된 디자인성을 도중에 끊어지게 만드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장신구의 미관이 훼손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중절 타입의 잠금쇠(150)의 경우, 제1 부재(151)와 제2 부재(152)를 연결할 때, 제1 부재(151)의 제1 연결부(151a)를 가동측 본체부(152b) 전체를 통해 지지부(152a)의 근방까지 이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가동측 본체부(152b)의 선단부가 구부러져 있다. 또한, 가동측 본체부(152b)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돌편부(152c)가 가동측 본체부(152b)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연결부(151a)와, 제2 부재(152)의 긴 가동측 본체부(152b) 또는 돌편부(152c)와의 간섭에 의해, 제1 연결부(151a)의 지지부(152a)까지의 이동이 방해받기 쉽다고 하는, 중절 타입 잠금쇠 특유의 결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으로는, 제1 부재(151)가 제2 부재(152)의 가동측 본체부(152b)에 걸리기 어렵게 하기 위해, 링 형상의 제1 연결부(151a)를 크게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잠금쇠(150)의 소형화, 특히 제1 부재(151)의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또한, 잠금쇠(150)에 의해 장신구의 미관이 크게 훼손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 부재의 개폐 조작, 및 잠금쇠의 연결 조작과 분리 조작을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는, 이하의 태양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는, 피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로서,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부재를 개폐시키는 가동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접속 부분에 대해,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는, 가동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잠금 부재를 닫는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와,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가 서로 접촉 또는 대면하면서도, 또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일부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진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잠금 부재인 제1 잠금 부재와, 상기 피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잠금 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장신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잠금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 의하면, 잠금 부재의 개폐 조작, 및 잠금쇠의 연결 조작과 분리 조작을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잠금쇠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이용되는 잠금쇠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잠금쇠를 상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잠금쇠를 형성하는 제1 잠금 부재와 제2 잠금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제2 잠금 부재를 제1 잠금 부재에 가유지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이용되는 잠금쇠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잠금쇠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Ⅶ-Ⅶ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낸 Ⅷ-Ⅷ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낸 잠금쇠에 배치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나타낸 잠금쇠의 제1 잠금 부재가 열린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이용되는 잠금쇠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잠금쇠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이용되는 잠금쇠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XⅣ-XⅣ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XV-X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잠금쇠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시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에 어떠한 한정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또한,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의 각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잠금쇠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선상 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서로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겼을 때, 그 끌어당겨지는 힘에 따른 방향(바꿔 말하면, 상기 끌어당겨진 선상 부재에 따른 방향)을, 잠금쇠의 길이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한다. 이 경우, 잠금 부재의 길이 방향 및 전후 방향은, 잠금쇠의 길이 방향 및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따르는 방향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 1의 경우, 도 1을 부호(숫자)가 올바른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당해 도 1의 지면(紙面)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이 잠금쇠의 전후 방향이 된다. 본 발명의 잠금 부재가, 예를 들면 장신구의 잠금쇠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우, 또는 장신구 이외의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우에 있어서, 잠금 부재의 길이 방향 및 전후 방향은, 본 발명의 잠금 부재와, 그 잠금 부재를 직접 연결시키는 쪽의 부위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의 당김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이 경우, 장신구에 있어서, 또는 장신구 이외의 부재에 있어서, 잠금 부재를 연결시키는 부위가 피연결부가 된다.
또한,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과, 잠금 부재에 설치한 가동부의 회전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과의 교선에 따른 방향을, 잠금쇠의 높이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한다. 이 경우, 잠금쇠를 구비한 장신구가 예정되는 올바른 자세로 몸에 걸쳐졌을 때, 상하 방향의 잠금쇠의 피부에 접근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하고, 잠금쇠의 피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한다. 잠금 부재의 높이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잠금쇠의 높이 방향 및 상하 방향에 평행하게 따르는 방향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 1에서는 도 1의 지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이 잠금쇠의 상하 방향이 된다.
또한, 잠금쇠의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높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잠금쇠의 폭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한다. 이 폭 방향 및 좌우 방향은, 잠금 부재의 가동부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따르는 방향이다. 이 경우, 잠금 부재의 폭 방향 및 좌우 방향은, 잠금쇠의 폭 방향 및 좌우 방향에 평행하게 따르는 방향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 1에서는 도 1의 지면에 있어서의 표리(表裏) 방향이 잠금쇠의 좌우 방향이 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측면시(側面視), 잠금 부재의 측면시, 및 잠금쇠의 측면시라고 하는 경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 부재에 있어서 가동부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잠금쇠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 1의 잠금쇠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그 잠금쇠의 제1 잠금 부재와 제2 잠금 부재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잠금 부재를 제1 잠금 부재에 가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장신구의 대표적인 예로서, 장신구가 테니스 팔찌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신구는, 테니스 팔찌에 한정되지 않으며, 테니스 팔찌 이외의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 1의 테니스 팔찌(1)는, 손목에 장착되는 장신구이다. 이 테니스 팔찌(1)는, 팔찌 본체 부분이 되는 체인 형상의 선상 부재(5)(이하, 체인 부재(5)라고 기재)와, 체인 부재(5)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잠금쇠(11)를 갖는다. 이 잠금쇠(11)는,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갖는다.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연결함으로써, 테니스 팔찌(1) 전체를 고리 모양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 1의 제1 잠금 부재(20)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부재의 일례이다.
테니스 팔찌(1)의 체인 부재(5)는, 복수의 칸부(6)와, 이웃하는 2개의 칸부(6) 사이를 접속하는 연결 부재(7)를 갖는다. 연결 부재(7)는, 칸부(6)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칸부(6)는, 대략 사각통 형상 또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칸 본체부와, 칸 본체부의 외면부에 고정되는 도시되지 않은 보석(예를 들면, 다이아몬드)을 각각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체인 부재(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상 부재의 구체적인 예 중의 하나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상 부재는, 그 양단부에 잠금쇠의 제1 잠금 부재와 제2 잠금 부재를 각각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끈 부재 등의 체인 부재 이외의 가요성을 구비한 부재일 수 있다.
본 실시예 1의 잠금쇠(11)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쇠(11)의 제1 잠금 부재(20)는, 체인 부재(5)의 일단부(5a)에 장착된다. 제2 잠금 부재(40)는, 체인 부재(5)의 타단부(5b)에 장착된다.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잠금 부재(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에 대해 연결축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부(31)(회전부라고도 한다)를 갖는다. 베이스부(21)는, 체인 부재(5)에 고정되어 접속된다. 가동부(31)는, 베이스부(21)에 대해 접근 및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가동부(31)의 회전에 의해, 제1 잠금 부재(20)가 개폐된다. 또한, 베이스부(21)가 연장되는 베이스부(21)의 전후 방향은, 제1 잠금 부재(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다.
가동부(31)는, 베이스부(21)에 대해, 제1 잠금 부재(20)가 폐쇄되는 닫힘 위치와 전개(全開) 위치 사이에서, 연결축부(3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여기서, 닫힘 위치란, 가동부(31)의 후술하는 가동측 연결부(35)가 베이스부(21)의 후술하는 베이스측 연결부(26)에 맞닿는 위치를 말한다. 이 닫힘 위치는, 가동부(31)의 폐쇄 방향측의 회전 한계 위치가 된다. 전개 위치란, 가동부(31)의 후술하는 조작부(34)가 베이스부(21)의 후술하는 회전 정지부(24)에 맞닿아서, 제1 잠금 부재(20)가 가장 크게 열린 상태가 되는 위치를 말한다. 전개 위치는, 가동부(31)의 열림 방향측의 회전 한계 위치가 된다.
제1 잠금 부재(20)의 베이스부(2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본체부(22)와, 베이스측 본체부(2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지지부(23)와, 베이스측 본체부(22)의 베이스측 지지부(23)와 떨어진 위치로부터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베이스측 연결부(26)를 갖는다. 또한, 베이스부(21)는, 베이스측 본체부(22)로부터 체인 부재(5)를 향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정지부(24)와, 회전 정지부(24)로부터 더 연장되는 제1 접속부(25)를 갖는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상태를, 단지 만곡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베이스측 본체부(22)는, 폭 방향의 치수를 일정한 크기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측 본체부(22)는, 강도를 적절히 확보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두께를 갖는다. 여기서, 베이스측 본체부(22)의 두께는, 베이스측 본체부(22)의 상면과 하면 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말한다.
베이스측 지지부(23)는, 베이스측 본체부(22)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보다도 체인 부재(5)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베이스측 지지부(23)는, 베이스측 본체부(22)에 있어서의 제1 접속부(25)에 가까운 쪽의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측 본체부(22)에 있어서의 제1 접속부(25)에 가까운 쪽의 단부는, 제2 잠금 부재(40)로부터 떨어진 쪽의 단부로 된다. 베이스측 지지부(23)는,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도 1을 참조)에 있어서 원호 형상을 나타내는 상단부를 갖는다. 또한, 베이스측 지지부(23)는, 베이스측 연결부(26)를 향해 상하 방향의 치수를 점차 감소시키는 부분을 갖는다.
베이스측 지지부(23)의 폭 방향의 치수는, 베이스측 본체부(22)의 폭 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베이스측 지지부(2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측의 측면부에, 가동부(31)에 설치된 연결축부(30)가 삽입되는 베어링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31)의 연결축부(30)는, 가동부(31)의 회전축부가 된다. 이 베이스측 지지부(23)의 좌우의 베어링 오목부와 가동부(31)의 연결축부(30)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가동부(31)가 베이스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측 지지부(23)는,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가동부(31)의 연결축부(30)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부분이다. 특히 본 실시예 1의 경우, 베이스측 지지부(23)는, 베이스측 본체부(2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원호 형상의 상단부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한다.
회전 정지부(24)는, 가동부(31)의 일부를 맞닿게 하여 가동부(31)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목적으로, 베이스측 본체부(22)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회전 정지부(24)의 두께는, 베이스측 본체부(22)의 두께보다 얇다. 회전 정지부(24)의 폭 방향의 치수는, 베이스측 본체부(22)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회전 정지부(24)에는, 수용 오목부(24a)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4a)는, 가동부(31)의 조작부(34)의 위치에 대응하는 회전 정지부(24)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4a)는, 회전하는 가동부(31)의 조작부(34)의 일부를 맞닿게 하여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에서는, 수용 오목부(24a)는, 가동부(31)의 회전 범위가 약 90°가 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부(31)의 회전 범위란, 상술한 닫힘 위치(도 1을 참조)로부터 상술한 전개 위치(도 3 및 도 4를 참조)까지 회전하는 범위를 말한다.
제1 접속부(25)는, 체인 부재(5)의 일단부(5a)에 고정되어 접속되는 접속 부분이다. 이 제1 접속부(25)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박판편(薄板片)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25)에는, 칸부(6)의 칸 본체부에 설치되는 내부 공간의 형상에 대략 대응하는 개구(開口) 창부(窓部)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25)는, 회전 정지부(24)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 정지부(24)와 동일한 두께 및 동일한 폭 방향의 치수를 갖는다. 이 제1 접속부(25)에, 체인 부재(5)의 일단부가 납땜 등의 용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부(21)의 제1 접속부(25)와 체인 부재(5)의 일단부(5a)를 접속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접속부(25)와 체인 부재(5)를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제1 접속부(25)를 설치하지 않고서 베이스부를 형성하고, 체인 부재(5)의 일단부(5a)를 예를 들면 회전 정지부(24) 또는 베이스측 본체부(22) 등의 베이스부(21)의 일부에, 용착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직접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베이스부(21)에 있어서, 체인 부재(5)의 일단부가 예를 들면 용착 또는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이, 베이스부(21)에 있어서의 체인 부재(5)와의 접속 부분으로 된다.
베이스측 연결부(26)는, 베이스측 본체부(22)의 체인 부재(5)로부터 떨어진 쪽의 단부로부터, 상측의 가동측 연결부(35)를 향해,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선단부는, 베이스측 지지부(2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선단부는, 베이스측 연결부(26)에 있어서의 베이스측 본체부(22)에 연결하는 쪽의 단부와는 반대측 단부를 말한다. 베이스측 연결부(26)의 폭 방향의 치수는, 베이스측 본체부(22)의 폭 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도 1을 참조)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6)의 내주측에는, 내측 공간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공간부(27)는, 베이스측 연결부(26)의 내주부와 베이스측 본체부(22)의 내주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측면시에 있어서의 베이스측 연결부(26)의 내주부는, 베이스측 연결부(26)의 만곡된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다. 내측 공간부(27)는, 제2 잠금 부재(40)의 후술하는 제2 연결 링(42)의 일부를 수용 가능하다.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선단과 가동부(31)의 후술하는 측방 커버부(33)의 사이에는, 제2 잠금 부재(40)의 일부가 통과 가능한 삽입 인출 개구부(28)가 설치된다. 이 삽입 인출 개구부(28)는,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선단으로부터 가동부(31)를 향해 전후 방향에 평행한 가상 직선을 연장시켰을 때, 그 가상 직선상에서 베이스측 연결부(26)와 가동부(3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부분 또는 개구 부분을 말한다. 삽입 인출 개구부(28)는, 제1 잠금 부재(20)를 열었을 때에 상측으로 개방된다. 이 때, 제1 잠금 부재(20)의 삽입 인출 개구부(28)와 제1 잠금 부재(20)의 외측의 공간이 연통한다.
삽입 인출 개구부(28)의 전후 방향의 크기는, 베이스부(21)에 대한 가동부(31)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가동부(31)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는,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선단이 가동부(31)의 측방 커버부(33)에 의해 덮힌다. 이 때, 삽입 인출 개구부(28)는 일시적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제1 잠금 부재(20)의 내측 공간부(27)는, 삽입 인출 개구부(28)의 전후 방향에 따른 개구 위치보다도 상하 방향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간부이다. 이 내측 공간부(27)와 삽입 인출 개구부(28)는 서로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연결하는 조작에서는, 전후 방향에 따른 삽입 인출 개구부(28)가 상방으로 개방됨으로써, 삽입 인출 개구부(28)는 제2 잠금 부재(40)의 일부를 내측 공간부(27)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 또는 입구가 된다.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분리하는 조작에서는, 삽입 인출 개구부(28)는 제2 잠금 부재(40)의 일부를 내측 공간부(27)로부터 꺼내기 위한 인출구 또는 출구가 된다.
본 실시예 1의 베이스측 연결부(26)의 길이는,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에서 만곡되어 있는 원호 부분의 중심각이 135° 이상이 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원호 부분의 중심각이 180° 이상이 되는 크기로 베이스측 연결부(26)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베이스측 연결부(26)는, 가동부(31)의 후술하는 측방 커버부(33)에 대해, 제1 잠금 부재(20)가 닫힌 상태(도 1을 참조)에 있어서, 측방 커버부(33)의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선단부는 측방 커버부(33)의 폭 방향의 내측에 은폐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측 연결부(26)는, 도 1의 제1 잠금 부재(20)가 닫힌 상태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선단과 측방 커버부(33)의 후술하는 제한 단연부(33a)의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된다. 이 간극(G)의 최소값은, 제2 잠금 부재(40)의 후술하는 제2 연결 링(42)을 삽입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로 설정된다. 간극(G)의 최소값은, 베이스측 연결부(26)와 측방 커버부(33)의 제한 단연부(33a) 사이의 최단 거리를 말한다. 즉, 상기 간극(G)은, 제2 잠금 부재(40)의 제2 연결 링(42)의 굵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 1의 경우, 제2 연결 링(42)의 굵기는, 제2 연결 링(42)의 원주 방향에 직교하는 원형 단면의 직경을 말한다.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외면부에는, 가동부(31)의 후술하는 피걸림 돌출부(35a)를 끼워 넣어 가동부(31)를 베이스부(21)에 거는 걸림 오목부(26a)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걸림 오목부(26a)는, 중앙부가 가장 우묵하게 들어간 오목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3을 참조). 이 걸림 오목부(26a)의 가장 우묵하게 들어간 중앙부는, 베이스측 본체부(22)의 하면의 높이 위치와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선단부의 외주면의 높이 위치 간의 중간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제1 잠금 부재(20)의 가동부(31)는, 도 1에 나타낸 가동부(31)를 닫힘 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동측 본체부(32)와, 가동측 본체부(32)로부터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가동측 연결부(35)를 갖는다. 또한, 가동부(31)는, 가동측 본체부(3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가동측 본체부(32)로부터 베이스부(21)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커버부(33)를 갖는다. 또한, 가동부(31)는, 가동측 본체부(32)로부터 비스듬하게 상측으로 구부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34)(테일부라고도 한다)와, 가동측 연결부(35)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편부(36)와, 가동측 연결부(35)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피걸림 돌출부(35a)를 갖는다.
가동측 본체부(32)는, 도 1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겹치는 위치로부터, 베이스측 지지부(23)의 상방의 위치까지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측 본체부(32)는, 베이스측 본체부(2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가동측 본체부(32)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치수는, 베이스측 본체부(22)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치수 및 베이스측 연결부(26)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치수에 대해, 동일한 크기이거나, 또는 약간 크다. 이 가동측 본체부(32)가, 가동측 연결부(35)와 함께 베이스부(21)의 베이스측 연결부(26)에 맞닿음으로써, 제1 잠금 부재(20)를 폐쇄하고,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부(21)의 내측 공간부(27)를 외측의 공간으로부터 차단한다.
좌우 양측의 각 측방 커버부(33)는, 가동측 본체부(32)의 좌우 측면부에 이어져 있으며, 가동측 본체부(3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측방 커버부(33)는, 도 1에 있어서 가동측 본체부(32)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베이스측 본체부(22)를 향해 하방으로 수하(垂下)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측방 커버부(33) 사이에는, 베이스부(21)의 베이스측 지지부(23)를 삽입 가능한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측방 커버부(33)에 있어서의 체인 부재(5)의 일단부(5a)에 가까운 쪽의 부분은,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부(21)의 베이스측 지지부(23)와 겹친다. 또한, 이 부분은, 연결축부(30)에 의해 베이스측 지지부(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연결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가동부(31)를 베이스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동부(31)의 회전 연결부는, 측방 커버부(33)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측방 커버부(33)의 서로 대향하는 내벽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연결축부(30)가 베이스측 지지부(23)의 베어링 오목부에 대응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연결축부(30)는,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에 있어서, 측방 커버부(33)의 베이스측 지지부(23)와 겹치는 회전 연결부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또한, 좌우의 각 측방 커버부(33)는, 가동부(31)가 닫힘 위치에 유지되었을 때, 베이스부(21)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부(27)의 일부를 측방쪽으로부터 피복한다. 이 경우, 측방 커버부(33)는,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본체부(22)의 적어도 일부에 서로 겹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측방 커버부(33)는, 측방 커버부(33)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와 베이스측 본체부(22)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가 겹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20)를 닫았을 때의 볼품이 좋아지고, 잠금쇠(11)의 외관 품질이 향상된다.
측방 커버부(33)는, 가동부(31)를 닫힘 위치에 유지했을 때,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에 있어서, 가동측 본체부(32)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한 단연부(33a)를 갖는다. 제한 단연부(33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측방 커버부(33)의 가동측 연결부(35)에 가까운 쪽의 단연부이다.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가동부(31)는, 측방 커버부(33)의 제한 단연부(33a)와, 가동측 본체부(32)와, 가동측 연결부(35)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 영역을 갖는다. 이 가동부(31)의 공간 영역 내에서, 측방 커버부(33)의 제한 단연부(33a)와 가동측 본체부(32)의 하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주측의 각도 θ1은 90° 이하이다. 도 1의 가상 선(2점 쇄선)으로 표시된 가동부(31)의 부분에 있어서, 이 각도 θ1의 크기를 나타낸다. 즉, 내주측의 각도 θ1은, 가동부(31)를 측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공간 영역에 있어서, 가동측 본체부(32)와 제한 단연부(33a)에 의해 끼워져 형성되는 각도를 말한다. 또한, 이 내주측의 각도 θ1은, 90° 미만일 수도 있고, 89° 이하일 수도 있다.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의 연결이 가능하다면, 이 내주측의 각도 θ1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한 단연부(33a)가 측방 커버부(33)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측방 커버부(33)의 하단부에서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그 상단부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 1의 측방 커버부(33)는, 도 1의 제1 잠금 부재(20)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6)에 대해, 상기 간극(G)의 최소값이 제2 잠금 부재(40)의 제2 연결 링(42)을 삽입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34)는,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에 있어서, 가동측 본체부(32)의 체인 부재(5)에 가까운 쪽의 단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조작부(34)에 의해, 예를 들면 가동부(31)를 닫힘 위치로부터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조작부(34)를 손가락 등으로 누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가동부(31)의 회전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작부(34)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부(34)는, 손가락 등으로 가동부(31)를 가압 가능하다면 본 실시예 1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34)를 폭 방향으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조작부(34)를 손가락 등으로 누르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동측 연결부(35)는, 가동측 본체부(32)에 있어서의 조작부(34)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단부로부터, 하측의 베이스측 연결부(26)를 향해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이 가동측 연결부(35)는, 가동측 연결부(35)의 내주부가 베이스부(21)에 있어서의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부에 맞닿음이 가능하다. 또한, 가동측 연결부(35)는, 가동측 연결부(35)의 내주부가 베이스부(21)의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외주부에 면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가동측 연결부(35)의 내주부는, 가동측 연결부(35)의 만곡된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 가동측 연결부(35)의 내주부는,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35)의 외주부보다도, 가동부(31)의 회전축이 되는 연결축부(30)에 가까운 쪽에 배치된다.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외주부는, 베이스측 연결부(26)의 내주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만곡된 외주면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측 연결부(26)의 내주부는,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외주부보다도 연결축부(30)에 가까운 쪽에 배치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35)의 내주부 및 베이스측 연결부(26)의 내주부는, 베이스부(21)와 가동부(31)를 연결시키는 연결축부(30)에 대해, 가까운 쪽에 배치되는 부위이다. 또한, 가동측 연결부(35)의 외주부 및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외주부는, 이 연결축부(30)에 대해, 각각의 내주부보다도 먼 쪽에 배치되는 부위이다.
가동측 연결부(35)는, 가동부(31)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측 연결부(26)와 가동측 연결부(35)가, 적어도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겹쳐져서 유지된다. 이 경우, 베이스측 연결부(26)와 가동측 연결부(35)가 겹쳐지는 전후 방향은, 연결 상태의 제1 잠금 부재(20) 및 제2 잠금 부재(40)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졌을 때, 제1 잠금 부재(20)가 제2 잠금 부재(40)의 제2 연결 링(42)으로부터 힘을 받는 방향이 된다.
또한, 베이스측 연결부(26)의 구부러진 형상이 본 실시예 1과 상이한 경우, 가동측 연결부(35)는, 그 베이스측 연결부(26)에 대응하여 구부러진 실시예 1과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가동측 본체부(32)와 베이스측 연결부(26)가 접촉했을 때, 가동측 연결부(35)의 내주부는 베이스부(21)의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외주부에 대해 작은 간극을 두고 대면하여도 좋고, 가동측 연결부(35)는 그러한 형상 또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측 연결부 및 가동측 연결부의 상대적인 크기를 변경하여, 예를 들면 가동측 연결부의 외주부가 베이스측 연결부의 내주부에 접촉 가능 또는 대면 가능하게 제1 잠금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돌편부(36)는,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35)에서의 구부러지기 시작하는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경우, 돌편부(36)는, 도 1에 나타낸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잠금 부재(40)의 후술하는 제2 접속 본체부(41a)에 대해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의 돌편부(36)는, 전후 방향에 관해,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선단 위치보다도 제2 잠금 부재(40)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잠금 부재(40)에 가까운 쪽은, 베이스부(21)의 제1 접속부(25)로부터 떨어진 쪽이다. 이에 의해, 돌편부(36)의 설치에 기인하여 잠금쇠(11)의 촉감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편부(36)는, 제2 잠금 부재(40)에 설치된 후술하는 삽입 통과 구멍부(42a)에 대해, 베이스측 연결부(26) 및 가동측 연결부(35)와 함께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 1의 경우, 돌편부(36)는,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에 있어서, 돌편부(36)의 가동측 연결부(35)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가동측 연결부(35)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로, 또는 가동측 연결부(35)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가동측 연결부(35)의 두께는, 가동측 연결부(35)의 내주면과 외주면 간의 간격을 말한다.
가동측 연결부(35)의 선단부에는, 가동측 연결부(35)의 내측을 향해 팽출(膨出)되는 피걸림 돌출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걸림 돌출부(35a)는, 베이스측 연결부(26)의 걸림 오목부(26a)에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이 가동측 연결부(35)의 피걸림 돌출부(35a)는, 베이스측 연결부(26)의 걸림 오목부(26a)에 삽입되어 유지된다. 이에 의해, 가동부(31)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가동측 연결부(35)를 베이스측 연결부(26)에 걸리게 하여, 가동부(31)를 닫힘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피걸림 돌출부(35a)는, 가동부(31)의 회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면 형상으로 솟아올라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31)의 회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은, 대략 원호 형상의 가동측 연결부(35)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다. 즉,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시에서는, 피걸림 돌출부(35a)의 팽출면이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걸림 돌출부(35a)의 팽출되는 곡면과 가동측 연결부(35)의 선단면은, 제1 잠금 부재(2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서로 매끄럽게 연속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동측 연결부(35)의 피걸림 돌출부(35a)를, 베이스측 연결부(26)의 걸림 오목부(26a)에 대해, 부드럽게 삽입 및 발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동부(31)를 닫힘 위치에서 걸리게 하는 걸림부의 형태 및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동부(31)를 닫힘 위치에서 유지 가능하다면, 걸림부를 그 밖의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측방 커버부(33)와 베이스측 본체부(22)에 서로 걸어맞추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 등에 의해 걸림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동측 연결부(35)와 베이스측 연결부(26) 사이의 마찰력, 또는 가동측 연결부(35) 및 베이스측 연결부(26)의 탄성력, 등을 이용하여, 가동측 연결부(35)를 베이스측 연결부(26)에 걸어서 가동부(31)를 닫힘 위치에서 유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동부(31)를 닫힘 위치에서 걸리게 하는 걸림 수단은, 베이스부(21)와 가동부(31) 사이의 마찰력 또는 베이스부(21) 및 가동부(31)의 적어도 한쪽의 탄성력이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본 실시예 1의 피걸림 돌출부(35a) 및 걸림 오목부(26a)를 설치하지 않아도 가동부(31)를 닫힘 위치에서 걸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가동측 연결부(35) 및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적어도 한쪽에 자석을 설치하는 것 등에 의해, 자력을 이용하여 가동측 연결부(35)를 베이스측 연결부(26)에 걸 수도 있다.
본 실시예 1의 제2 잠금 부재(40)는, 체인 부재(5)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접속되는 제2 접속부(41)와, 제2 접속부(4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제2 연결 링(42)을 갖는다. 제2 접속부(41)는, 체인 부재(5)에 대응하는 높이 치수를 구비하는 제2 접속 본체부(41a)와, 제2 접속 본체부(41a)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제2 접속편부(4lb)를 갖는다. 이 경우, 제2 접속 본체부(41a)는, 칸부(6)의 칸 본체부보다 큰 높이 치수를 구비한다. 제2 접속편부(4lb)에는, 칸부(6)의 칸 본체부에 설치되는 내부 공간의 형상에 대략 대응하는 개구 창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잠금 부재(40)에서는, 체인 부재(5)의 타단부가, 제2 접속 본체부(41a)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제2 접속편부(4lb)에 납땜 등의 용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의 경우, 제2 접속부(41)의 제2 접속편부(4lb)에는, 체인 부재(5)의 2개의 칸부(6)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잠금 부재(40)를 손가락으로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잠금 부재를 체인 부재의 타단부에 접속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잠금 부재와 체인 부재의 타단부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에 의해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2 잠금 부재와 체인 부재의 타단부는 고리형 링에 의해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2 연결 링(42)은, 제2 접속 본체부(41a)에 있어서의 제2 접속편부(4lb)와는 반대측 면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제2 연결 링(42)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통과 구멍부(4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연결 링(42)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도 2를 참조), 원형의 일부 또는 타원형의 일부를 나타내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연결 링(42)의 일부가,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가 연결되었을 때, 제1 잠금 부재(20)의 베이스측 연결부(26)에 걸려 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에서는, 이 제2 연결 링(42)이 제1 잠금 부재(20)를 연결시키는 피연결부이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제2 연결 링(42)은, 원주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형을 나타내는 형상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연결 링(42)이 대략 사각 등의 그 밖의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2 연결 링(42)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 등의 삽입 통과 구멍부(42a)를 형성 가능한 그 밖의 형상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제2 연결 링(42)의 삽입 통과 구멍부(42a)는,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연결했을 때, 제1 잠금 부재(20)의 베이스측 연결부(26)와 가동측 연결부(35) 양쪽을 동시에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삽입 통과 구멍부(42a)는, 제1 잠금 부재(20)의 돌편부(36)를, 베이스측 연결부(26) 및 가동측 연결부(35)와 함께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개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잠금 부재(40)에 연결된 제1 잠금 부재(20)가 도 1에 2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연결했을 때, 제2 연결 링(42)을 제1 잠금 부재(20)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제2 연결 링(42)이 제1 잠금 부재(20)의 돌편부(36)에 걸려 가동부(31)를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잠금 부재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잠금 부재는, 적어도 제1 잠금 부재(20)의 베이스측 연결부(26) 및 가동측 연결부(35)를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 통과 구멍부를 갖고 있으면 되고, 그 형태는 임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잠금 부재는, 고리형 캔 등의 링부에 의해서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연결하는 경우의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잠금 부재(20)의 돌편부(36)에 손가락 또는 손톱을 걸어, 또는, 제1 잠금 부재(20)의 조작부(34)를 손가락으로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제1 잠금 부재(20)의 가동부(31)를 베이스측 본체부(2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 가동부(31)가 베이스측 본체부(2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은, 도 1에 있어서 시계 방향이 된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20)를 열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삽입 인출 개구부(28)의 상측이 개방된다(도 3을 참조). 이 가동부(31)를 회전시키는 제1 잠금 부재(20)의 조작은, 제1 잠금 부재(20)에 돌편부(36)와 조작부(3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돌편부(36) 및 조작부(34)의 어느 한쪽을 이용함으로써,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에 개방되는 삽입 인출 개구부(28)는, 제2 연결 링(42)을 내측 공간부(27)에 받아들이는 입구부가 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손목에 올려진 제1 잠금 부재(20) 및 제2 잠금 부재(40)의 한쪽에 대해, 제1 잠금 부재(20) 및 제2 잠금 부재(40)의 다른 쪽을 접근시켜, 도 4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제2 잠금 부재(40)의 제2 연결 링(42)을, 넓게 열려 있는 제1 잠금 부재(20)의 삽입 인출 개구부(28)에 삽입시킨다. 또한, 제2 연결 링(42)의 삽입 통과 구멍부(42a)에 베이스측 연결부(26)를 삽입 통과시킨다. 이와 함께, 제2 연결 링(42)을 삽입 인출 개구부(28)에서 내측 공간부(27)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제2 잠금 부재(40)의 제2 연결 링(42)을, 제1 잠금 부재(20)의 베이스측 연결부(26)의 내주부에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제2 잠금 부재(40)를, 제1 잠금 부재(20)의 베이스부(21)에 걸어 가유지할 수 있다. 이 제2 잠금 부재(40)를 제1 잠금 부재(20)에 가유지시키는 조작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경우, 제2 잠금 부재(40)의 제2 연결 링(42)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원형의 일부 또는 타원형의 일부를 나타내는 형상을 갖는다. 이 때문에, 제2 잠금 부재(40)를 예를 들면 전후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인 자세로 유지해도, 제1 잠금 부재(20)에 가유지시키는 조작을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제2 잠금 부재(40)를 제1 잠금 부재(20)에 가유지할 때, 제2 연결 링(42)의 삽입 통과 구멍부(42a)에, 비교적 짧은 베이스측 연결부(26)를 삽입 통과시키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종래의 잠금쇠(150)에서는, 제1 연결부(151a)를 가동측 본체부(152b) 전체에 길게 삽입 통과시키는 조작이 필요하지만, 본 실시예 1에서는 그러한 조작은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2 연결 링(42)의 삽입 통과 구멍부(42a)에 베이스측 연결부(26)를 삽입 통과시킬 때, 제2 연결 링(42)과 베이스측 연결부(26)와의 상대적인 이동이 방해받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한 손으로도 가유지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잠금 부재(40)를, 제1 잠금 부재(20)에 가유지함으로써(도 4를 참조), 제2 잠금 부재(40)가 제1 잠금 부재(20)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1 잠금 부재(20) 및 제2 잠금 부재(40) 양쪽이 손가락으로 유지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체인 부재(5)의 무게에 의해,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진다. 이 때문에, 제2 잠금 부재(40)의 가유지 상태를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잠금 부재(40)를 가유지한 후, 제1 잠금 부재(20)의 가동부(31)를 베이스측 본체부(22)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부(31)의 가동측 연결부(35)를 베이스측 연결부(26)에 맞닿게 한다. 이 가동부(31)를 회전시키는 제1 잠금 부재(20)의 조작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동측 연결부(35)를 베이스측 연결부(26)에 맞닿게 함으로써, 가동측 연결부(35)가 닫힘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가동부(31)의 가동측 본체부(32)가 제1 잠금 부재(20)의 삽입 인출 개구부(28)의 상방쪽을 막아서 제1 잠금 부재(20)를 폐쇄한다. 이와 동시에, 베이스측 연결부(26)와 가동측 연결부(35)를 적어도 전후 방향으로 겹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가 연결된다. 그 결과, 테니스 팔찌(1)가 고리 형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연결시키는 일련의 조작 방법은 일례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연결시키는 조작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제1 잠금 부재(20)에서는, 가동부(31)의 가동측 연결부(35)를 베이스측 연결부(26)에 맞닿게 함으로써, 가동측 연결부(35)가 닫힘 위치보다도 베이스부(21)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가동측 연결부(35)를 제2 잠금 부재(40)의 제2 연결 링(42)에 설치한 삽입 통과 구멍부(42a)에 상방으로부터 삽입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31)의 피걸림 돌출부(35a)를, 베이스부(21)에 설치한 걸림 오목부(26a)에 삽입하여 가동부(31)를 베이스부(21)에 걸 수 있다.
제2 잠금 부재(40)의 삽입 통과 구멍부(42a) 내에, 베이스측 연결부(26)뿐만 아니라, 가동측 연결부(35)도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더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측 연결부(26)와 가동측 연결부(35)가 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있기 때문에,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강하게 끌어당겨져도 베이스측 연결부(26) 및 가동측 연결부(35)에 변형이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게다가, 가동부(31)가 베이스부(21)에 걸리기 때문에,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의 연결 조작을 행할 때, 제1 잠금 부재(20)의 가동부(31)를 반드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잠금쇠(11)의 상면측과 하면측의 방향을 연결 조작시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는 무의식 중에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테니스 팔찌(1)가 전도된 상태로 몸에 착용되는 것을 어렵게 하여, 장식구의 올바른 방향에서의 장착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제1 잠금 부재(20)에서는, 가동부(31)를 닫힘 위치에 유지했을 때, 가동부(31)의 측방 커버부(33)에 의해 내측 공간부(27)를 좌우 측방으로부터 피복할 수 있다. 또한, 측방 커버부(33)에 비스듬한 제한 단연부(33a)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20)의 내측 공간부(27) 내에서 제2 잠금 부재(40)의 제2 연결 링(42)이 이동 가능한 영역을 제한하여 좁힐 수 있다.
게다가, 제1 잠금 부재(20)의 베이스측 접촉부와 측방 커버부(33)의 제한 단연부(33a)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이, 제2 연결 링(42)을 삽입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의 연결시에, 제2 잠금 부재(40)의 제2 연결 링(42)을 제1 잠금 부재(20)의 내측 공간부(27)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연결 링(42)이 가동측 본체부(32)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연결 링(42)이 가동부(31)를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실시예 1의 잠금쇠(11)에서는, 연결되어 있는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가, 체인 부재(5)의 무게에 의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을 받는다. 이 때문에, 제2 연결 링(42)이 제1 잠금 부재의 베이스측 연결부(26)에 맞닿아 있는 상태가 유지되기 쉽다고 하는 구조적인 효과도 얻어진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무언가의 힘에 의해 제2 잠금 부재(40)의 제2 연결 링(42)이 제1 잠금 부재(20)의 가동부(31)를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경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가 멋대로 풀리는 일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령, 가동부(31)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을 받아 예를 들면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회전한 경우에도, 가동부(31)는, 체인 부재(5)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것에서 기인하여 더 크게 열리는 일은 없다. 또한 이 경우, 제1 잠금 부재(20)의 측방 커버부(33)와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선단 간의 최단 거리가, 제2 연결 링(42)의 굵기보다 작아진다. 이에 의해, 제2 잠금 부재(40)의 제2 연결 링(42)이 내측 공간부(27)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고, 그 결과, 잠금쇠(11)를 풀리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분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잠금 부재(20)의 가동부(31)를 베이스측 본체부(2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20)를 열어 삽입 인출 개구부(28)의 상측을 개방한다. 이 가동부(31)를 회전시키는 제1 잠금 부재(20)의 조작은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후, 제1 잠금 부재(20) 또는 제2 잠금 부재(40)를 손가락으로 집어, 제2 연결 링(42)을 제1 잠금 부재(20)의 내측 공간부(27)에서 삽입 인출 개구부(28)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2 연결 링(42)을, 베이스부(21)와 가동부(31)의 사이로부터 제1 잠금 부재(20)의 외측으로 발출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한 손만으로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분리시키는 조작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 1의 제1 잠금 부재(20)에 의하면, 제1 잠금 부재(20)를 여는 조작 및 닫는 조작을 한 손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잠금쇠(11)에 있어서의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연결하는 조작 및 분리하는 조작을 한 손만으로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 1의 테니스 팔찌(1)에서는, 예를 들면 종래의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 및 삽입식 타입의 잠금쇠가 이용되는 경우에 비해, 제1 잠금 부재(20)의 개폐시의 조작성, 및 잠금쇠(11)의 연결 및 분리를 행할 때의 일련의 조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종래의 잠금쇠의 조작이 서투른 사람일지라도, 본 실시예 1의 제1 잠금 부재(20)를 가지는 테니스 팔찌(1)라면, 잠금쇠(11)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가볍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테니스 팔찌(1)를 더욱 더 부담없이 그리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잠금쇠(11)에서는,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를 연결했을 때(도 1을 참조), 베이스측 연결부(26)의 외주부에 가동측 연결부(35)의 내주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베이스측 연결부(26) 및 가동측 연결부(35)가 제2 잠금 부재(40)의 삽입 통과 구멍부(42a)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졌을 때, 베이스측 연결부(26)와 가동측 연결부(35)가 제2 잠금 부재(40)의 제2 연결 링(42)으로부터 힘을 받는 전후 방향을 따라 겹쳐져 있다. 이 때문에, 연결 상태의 잠금쇠(11)는, 보다 큰 인장력에 견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잠금 부재(20)와 제2 잠금 부재(40)의 연결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제1 잠금 부재(20)의 사이즈를, 제1 잠금 부재(20)의 조작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쇠(11)의 제1 잠금 부재(20)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는 것 또는 짧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장신구의 체인 부재(5)가 디자인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그 디자인에 맞춰 제1 잠금 부재(20)의 사이즈를, 또는 제1 잠금 부재(20)의 사이즈와 제2 잠금 부재(40)의 사이즈 양쪽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체인 부재(5)의 연속되는 디자인성을 유지하기 쉽게 하여, 장신구의 미관을 손상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 2의 잠금쇠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도 5에 나타낸 Ⅶ-Ⅶ선 및 Ⅷ-Ⅷ선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2의 체인 팔찌(2)는, 선상 부재인 체인 부재(8)와, 체인 부재(8)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잠금쇠(12)를 갖는다. 체인 부재(8)는, 복수의 금속제 링(8a)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케이블 체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의 잠금쇠(12)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쇠(12)는, 체인 부재(8)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 잠금 부재(50)와, 체인 부재(8)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 잠금 부재(70)를 갖는다. 제1 잠금 부재(50)와 제2 잠금 부재(7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 2의 제1 잠금 부재(50)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부재의 일례이다.
제1 잠금 부재(50) 및 제2 잠금 부재(70)를 형성하는 각 부품(후술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을 제외한다)은, 금속판에 타발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잠금 부재(50) 및 제2 잠금 부재(70)의 제조 방법 및 재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제1 잠금 부재(5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51)와, 베이스부(51)에 연결축부(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부(61)와, 가동부(61)를 탄성 지지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을 갖는다. 이 경우, 베이스부(51)가 체인 부재(8)에 접속된다. 가동부(61)는, 그 회전에 의해 제1 잠금 부재(50)를 개폐시킨다. 가동부(61)는, 베이스부(51)에 대해, 폭 방향에 따른 연결축부(6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61)는, 가동부(61)의 가동측 연결부(65)가 베이스부(51)의 베이스측 연결부(56)에 맞닿는 닫힘 위치로부터, 가동부(61)의 조작부(64)가 베이스부(51)의 회전 정지부(54)에 맞닿는 전개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연결축부(60)는, 베이스부(51) 및 가동부(61)와 별도의 원기둥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5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본체부(52)와, 베이스측 본체부(5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측 측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측벽부(59) 및 베이스측 지지부(53)와, 베이스측 본체부(52)의 베이스측 지지부(53)와 떨어진 위치로부터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베이스측 연결부(56)를 갖는다. 또한, 베이스부(51)는, 베이스측 본체부(52)로부터 체인 부재(8)를 향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정지부(54)와, 회전 정지부(54)로부터 더 연장되는 제1 체인 접속부(55)를 갖는다. 베이스측 본체부(52)의 하면, 회전 정지부(54)의 하면, 및 제1 체인 접속부(55)의 하면은, 단차가 없는 단일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다.
베이스측 본체부(5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측 본체부(52)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치수는,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쳐 일정하다(도 6을 참조).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59)는, 베이스측 본체부(52)의 상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59)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측 본체부(52) 및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59)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은, 대략 U자 형상을 나타낸다(도 7을 참조). 이에 의해, 베이스부(51)의 강도를 적절히 확보하면서, 베이스부(51)의 경량화와 재료 비용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베이스측 본체부(52)의 상면 및 하면은, 상하 방향에 대향하는 면이다. 베이스측 본체부(52)의 상면은 윗방향쪽으로 향하는 면을 나타내고, 베이스측 본체부(52)의 하면은 아래방향쪽으로 향하는 면을 나타낸다.
좌우의 각 베이스 측벽부(59)는, 그 높이 치수를 일정하게 하여 전후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연속벽부(59a)와, 베이스측 연결부(56)측의 단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베이스측 연결부(56)에 접근함에 따라 높이 치수를 점차 감소시키는 경사벽부(59b)를 갖는다. 여기서, 베이스 측벽부(59)의 높이 치수는, 베이스측 본체부(52)의 상면으로부터 베이스 측벽부(59)의 상단면까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말한다.
실시예 2의 제1 잠금 부재(50)에 있어서, 연속벽부(59a)에 있어서의 높이 치수는, 닫힌 상태의 제1 잠금 부재(50)에 있어서의 베이스측 본체부(52)의 하면으로부터 가동부(61)의 후술하는 가동측 본체부(62)의 상면까지의 높이 치수의 25% 이상 75% 이하이다. 이에 의해, 베이스부(51)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 높이 치수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4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측벽부(59)에 경사벽부(59b)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2 잠금 부재(70)의 후술하는 제2 연결부(72)를 베이스측 연결부(56)의 내주부를 향해 안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53)는, 제1 잠금 부재(5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원호 형상을 나타내는 상단부를 가지는 부분이다. 베이스측 지지부(53)는, 베이스측 본체부(5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체인 접속부(55)측의 단부에,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59)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베이스측 본체부(52) 및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53)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은, 대략 U자 형상을 나타낸다(도 8을 참조).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53) 사이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후술하는 코일부(76)가 삽입된다.
베이스측 지지부(53)의 높이 치수는, 베이스 측벽부(59)에 있어서의 연속벽부(59a)의 높이 치수보다 크다. 여기서, 베이스측 지지부(53)의 높이 치수는, 베이스측 본체부(52)의 상면으로부터, 측면시에서 원호 형상을 나타내는 베이스측 지지부(53)의 상단부까지 상하 방향의 치수를 말한다. 좌우의 각 베이스측 지지부(53)의 두께는, 베이스 측벽부(59)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베이스측 지지부(53)의 두께 및 베이스 측벽부(59)의 두께는, 각각의 내벽면과 외벽면 간의 간격을 말한다. 좌우 양측의 베이스측 지지부(53)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장착 구멍부에 연결축부(6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베이스부(51)의 회전 정지부(54)는, 베이스측 본체부(52)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61)의 조작부(64)를 회전 정지부(54)와 맞닿게 함으로써, 가동부(61)의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사이즈를 도 5와 상이한 사이즈로 함으로써, 조작부(64)를 회전 정지부(54)와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가동부(61)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회전 정지부(54)와 조작부(64)의 사이에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일부를 삽입시킴으로써, 조작부(64)를 회전 정지부(54)에 간접적으로 맞닿게 할 수도 있다.
이 회전 정지부(54)는, 폭 방향의 치수를 베이스측 본체부(52)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점차 증가시키는 점증부와, 점증부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되는 광폭부를 갖는다. 광폭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치수는, 광폭부의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쳐 일정하다. 이에 의해, 회전 정지부(54)는, 가동부(61)의 조작부(64)를 안정적으로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정지부(54)에, 가동부(61)의 후술하는 좌우의 측방 커버부(63)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체인 접속부(55)는, 회전 정지부(54)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이면서도 박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체인 접속부(55)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접속 구멍부(55a)가 뚫려 설치되어 있다. 접속 구멍부(55a)는, 제1 잠금 부재(50)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원형을 나타낸다. 이 접속 구멍부(55a)에, 체인 부재(8)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금속제 링(8a)이 삽입 통과된다. 이에 의해, 체인 부재(8)와 제1 체인 접속부(55)가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체인 접속부(55)의 형태, 및 체인 부재(8)와의 접속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측 연결부(56)는, 제1 체인 접속부(55)에 대해 떨어진 쪽의 베이스측 본체부(52)의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측 연결부(56)는, 베이스측 본체부(52)의 단부로부터 상측에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제1 잠금 부재(5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56)의 내주측에 내측 공간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측 연결부(56)에 있어서의 두께 및 폭 방향의 치수는, 베이스측 본체부(52)의 두께 및 폭 방향의 치수와 각각 대략 동일하다.
베이스측 연결부(56)의 선단과 가동부(61)의 측방 커버부(63)의 사이에는, 제2 잠금 부재(70)의 제2 연결부(72)가 통과 가능한 삽입 인출 개구부가 설치된다. 이 삽입 인출 개구부는, 제1 잠금 부재(5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56)의 선단으로부터 측방 커버부(63)를 향해 전후 방향에 평행한 가상 직선을 연장시켰을 때, 그 가상 직선상에서 베이스측 연결부(56)와 측방 커버부(63)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부분 또는 개구 부분을 말한다. 제1 잠금 부재(5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삽입 인출 개구부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크기는, 베이스부(51)에 대한 가동부(61)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변화한다.
제1 잠금 부재(50)의 내측 공간부(57)는, 베이스측 연결부(56)의 내주측에 설치된다. 이 내측 공간부(57)는, 삽입 인출 개구부의 전후 방향에 따른 개구 위치보다도 상하 방향의 하측에 배치된다. 내측 공간부(57)와 삽입 인출 개구부는 서로 연통한다. 또한, 삽입 인출 개구부는, 제1 잠금 부재(50)가 열렸을 때, 제2 잠금 부재(70)의 제2 연결부(72)를 삽입하는 삽입구로서, 또는 제2 연결부(72)를 꺼내는 인출구로서, 상측에 개방된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20)의 외측의 공간과 제1 잠금 부재(50)의 삽입 인출 개구부가 연통한다.
본 실시예 2의 가동부(61)는, 가동부(61)가 닫힘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동측 본체부(62)와, 가동측 본체부(6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가동측 본체부(62)로부터 베이스부(51)를 향해 연장되는 좌우의 측방 커버부(63)를 갖는다. 가동측 본체부(6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체인 접속부(55)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는, 가동측 본체부(62)에 대해 비스듬하게 상측으로 구부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64)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측 본체부(6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체인 접속부(55)로부터 떨어진 쪽의 단부로부터는,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가동측 연결부(65)가 연장되어 있다.
가동측 본체부(62)는, 가동부(61)가 닫힘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베이스측 본체부(5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가동측 본체부(62)의 폭 방향의 치수는, 베이스측 본체부(52)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큰 일정한 크기이다.
좌우의 측방 커버부(63)는, 가동측 본체부(62)의 좌우측 가장자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가동측 본체부(62) 및 좌우의 측방 커버부(63)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은, 역방향의 대략 U자 형상을 나타낸다. 좌우의 측방 커버부(63)의 서로 대향하는 내벽면 간에는, 베이스부(51)의 베이스측 본체부(52),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59), 및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53)를 삽입 가능한 공간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간부의 폭 방향의 간격은, 베이스부(51)의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59)의 외벽면 간의 간격보다 크다.
가동부(61)의 측방 커버부(63)와 베이스부(51)의 베이스 측벽부(59)의 사이에는, 가동부(61)와 베이스부(51)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작은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닫힌 상태의 제1 잠금 부재(50)의 측면시에 있어서, 측방 커버부(63)의 직선 형상의 하단 가장자리는, 베이스측 본체부(52)의 하면의 높이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또는 당해 하면의 높이 위치보다도 약간 상측인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가동부(61)로 베이스부(51)의 베이스측 본체부(52),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59), 및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53)를 외측으로부터 덮어 숨길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잠금 부재(50)의 미감을 좋게 하여, 잠금쇠(12)의 외관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좌우의 측방 커버부(63)는, 닫힌 상태의 제1 잠금 부재(5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53)와 겹치는 영역을 적어도 포함한다. 좌우의 측방 커버부(63)에는, 연결축부(6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61)의 조작부(64)는, 가동측 본체부(62)의 일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돌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61)는, 가동부(61)의 닫힘 위치로부터, 조작부(64)가 베이스부(51)의 회전 정지부(54)에 접촉하는 열림 방향의 회전 한계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조작부(64)가 회전 정지부(54)에 접촉하는 회전 한계 위치가, 제1 잠금 부재(50)의 전개 위치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61)가 닫힘 위치로부터 전개 위치까지 회전하는 범위가 회전 가능 범위 θ2가 된다. 조작부(64)는, 도 5에 나타낸 잠금 부재(2)에 있어서, 회전 가능 범위 θ2가 30° 이상 60° 이하가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동부(61)의 회전 가능 범위 θ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전 가능 범위 θ2의 하한은, 30° 이상일 수도 있고, 40° 이상일 수도 있다. 회전 가능 범위 θ2의 상한은, 60° 이하일 수도 있고, 50° 이하일 수도 있다. 회전 가능 범위 θ2가 이 범위이면, 가동부(61)의 회전 조작성이 보다 향상되기 쉬어진다. 또한, 잠금쇠(12)의 연결 조작성 및 분리 조작성이 보다 향상되기 쉬워진다.
비틀림 코일스프링(75)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는 가동부(61)를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회전시킬 때, 조작부(64)를 이용함으로써, 가동부(61)의 회전 조작을 행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조작부(64)를 베이스부(51)의 회전 정지부(54)에 맞닿게 함으로써, 가동부(61)를 전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조작부(64)는, 잠금쇠(12)의 외관 품질을 고려하여, 가동측 본체부(62)보다도 폭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작부(64)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부(64)를, 부채꼴 형상으로, 하트 형상으로 또는 별 형상으로 형성하여 디자인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부(64)의 폭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여 가동부(61)의 조작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가동측 연결부(65)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가동측 연결부(65)의 선단부는, 폭 방향의 치수를 선단부를 향해 점차 감소시키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가동측 연결부(65)가 제2 잠금 부재(70)의 삽입 통과 구멍부(72a)에 삽입되기 쉬워진다.
가동측 연결부(65)는, 가동부(61)를 닫힘 위치에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제1 잠금 부재(50) 전체에 있어서의 높이 치수의 절반이 되는 높이 위치보다도 하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가동측 연결부(65)는, 베이스측 본체부(52)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도 하측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제1 잠금 부재(5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65)의 내주부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측 연결부(56)의 외주부에 맞닿는다. 가동부(61)는, 가동측 연결부(65)를 베이스측 연결부(56)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도, 연결축부(60)에 장착한 비틀림 코일스프링(75)에 의해, 가동측 연결부(65)가 베이스측 연결부(56)에 눌러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닫힘 위치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65)의 내주부가 베이스부(51)의 베이스측 연결부(56)의 외주부에 맞닿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닫힘 위치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65)의 내주부와 베이스측 연결부(56)의 외주부를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이들 사이에 작은 간극을 설치하여 대면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잠금 부재에서는, 예를 들면 가동측 연결부의 외주부를 베이스측 연결부의 내주부에 접촉 또는 대면시킬 수도 있다.
제1 잠금 부재(50)에 장착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은, 선재(線材)가 코일 형상으로 감겨진 코일부(76)와, 코일부(76)의 2개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아암부(77)를 갖는다(도 9를 참조).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은, 가동부(61)의 회전축이 되는 연결축부(60)에 감겨져 있다.
본 실시예 2의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은, 금속 선재를 코일 형상으로 감아 돌려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코일부(76)의 유효 권수가 1권이면, 코일부(76)의 폭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을, 베이스부(51)의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59) 사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비틀림 코일스프링(75)에 있어서의 2개의 아암부(77) 사이에는, 아암 각도 θ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잠금 부재(50)에 장착하기 전의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아암 각도 θ3은, 베이스부(51)의 회전 정지부(54)와 닫힘 위치의 가동부(61)의 조작부(64) 사이의 각도보다 크다. 이에 의해,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은, 제1 잠금 부재(50)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65)가 베이스부(51)의 베이스측 연결부(56)에 눌려지는 방향을 향해 가동부(61)를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비틀림 코일스프링(75)에 있어서의 코일부(76)의 유효 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59) 사이에의 수용성의 관점, 가동부(6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력의 관점에서,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선의 직경 및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코일부(76)의 유효 권수는, 목적에 따라 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코일부(76)의 유효 권수는 1 이상일 수도 있고, 2 이상일 수도 있다. 코일부(76)의 유효 권수는, 10 이하일 수도 있고, 5 이하일 수도 있다. 또한, 가동부(6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는, 본 실시예 2에 나타낸 비틀림 코일스프링(7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부재는, 비틀림 코일스프링 이외에도, 판 스프링 부재 등의 스프링 부재일 수도 있다. 또한, 탄성 부재는, 목적으로 하는 형상을 가지는 합성 고무 등을 이용하여 가동부(61)를 탄성 지지할 수도 있다.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은, 원기둥 형상의 연결축부(60)에 장착된다. 연결축부(60)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코일부(76) 내에 삽입 통과된다. 연결축부(60)의 좌우 양단부에는, 플랜지부가 각각 설치된다. 좌우의 플랜지부는, 연결축부(60)의 좌우 양단부를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가압함으로써 형성된다. 좌우의 플랜지부는, 제1 잠금 부재(5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예를 들면 연결축부(60)보다도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을 나타낸다. 좌우의 플랜지부에 의해, 연결축부(60)가 제1 잠금 부재(5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잠금 부재(70)는,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잠금 부재(70)는, 체인 부재(8)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접속되는 제2 접속부(71)와, 제2 접속부(7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제2 연결부(72)를 갖는다. 제2 접속부(71)와 제2 연결부(72)의 경계부는, 제2 잠금 부재(70)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이다.
제2 잠금 부재(70)의 제2 접속부(7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접속 구멍부(71a)가 뚫려 설치되어 있다. 제2 접속 구멍부(71a)는, 제2 잠금 부재(70)의 평면시에서 원형을 나타낸다. 제2 접속 구멍부(71a)에, 체인 부재(8)의 타단에 배치되는 금속제 링(8a)이 삽입 통과됨으로써, 체인 부재(8)와 제2 접속부(71)가 접속된다.
제2 연결부(72)는, 제1 잠금 부재(50)를 연결시키는 피연결부이다. 제2 연결부(72)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통과 구멍부(72a)가 뚫려 설치되어 있다. 삽입 통과 구멍부(72a)는, 제2 잠금 부재(70)의 평면시에서 원형을 나타낸다. 삽입 통과 구멍부(72a)는, 제1 잠금 부재(50)의 베이스측 연결부(56)와 가동측 연결부(65)를 동시에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개구된다. 제2 연결부(72)의 일부는, 제1 잠금 부재(50)와 제2 잠금 부재(70)와의 연결시에, 제1 잠금 부재(50)의 베이스측 연결부(56)에 걸려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연결부(72)에 설치하는 삽입 통과 구멍부(72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 2의 제1 잠금 부재(50)에서는, 가동부(61)가 비틀림 코일스프링(75)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측 연결부(65)의 내주부와 베이스측 연결부(56)의 외주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가 되는 가동부(61)의 닫힘 위치에서 유지된다.
가동부(61)가 닫힘 위치에 있는 제1 잠금 부재(50)에 대해, 예를 들면 가동부(61)의 조작부(64)와 베이스부(51)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으로 집는다. 그리고, 조작부(64)를 회전 정지부(5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손가락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가동부(61)가,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연결축부(60)를 중심으로 하여 도 5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한다.
또한, 회전 중의 가동부(61)의 조작부(64)가 베이스부(51)의 회전 정지부(54)에 맞닿음으로써, 가동부(61)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가동부(61)가 전개 위치에서 유지되고, 제1 잠금 부재(50)가 열린다(도 10을 참조). 그 후, 전개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는 가동부(61)의 조작부(64)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냄으로써, 가동부(61)가,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힘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50)가 닫힌다.
본 실시예 2의 제1 잠금 부재(50)에 의하면, 제1 잠금 부재(50)를 여는 조작 및 닫는 조작을 한 손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50)와 제2 잠금 부재(70)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한 손만으로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잠금 부재(50)의 개폐시의 조작성, 및 잠금쇠(12)의 연결 및 분리를 행할 때의 일련의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제1 잠금 부재(50)와 제2 잠금 부재(70)를 연결했을 때, 베이스측 연결부(56)의 외주부에 가동측 연결부(65)의 내주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베이스측 연결부(56) 및 가동측 연결부(65)가 제2 잠금 부재(70)의 삽입 통과 구멍부(72a)에 삽입 통과된다. 이 때문에, 제1 잠금 부재(50)와 제2 잠금 부재(70)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잠금 부재(50)와 제2 잠금 부재(70)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졌을 경우에도, 보다 큰 인장력에 견딜 수 있다.
본 실시예 2에서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잠금 부재(50)가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잠금쇠(12)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도, 베이스부(51)의 베이스측 연결부(56) 및 가동부(61)의 가동측 연결부(65)에 시간 경과에 따른 변형 및 금속 피로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스프링(75)에 있어서의 아암(arm) 각도 θ3이 적절한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탄성 변형 범위를 적절한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제1 잠금 부재(50)의 개폐 조작이 반복되어도, 제1 잠금 부재(50)를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탄성 변형 범위는, 제1 잠금 부재(50)의 조작부(64)와 베이스부(51)의 회전 정지부(54)와의 접촉에 의해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파손이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예 3의 잠금쇠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 3의 잠금쇠(13)는, 테니스 팔찌에 있어서, 도시를 생략한 체인 부재의 양단부에 장착된다. 이 잠금쇠(13)는, 체인 부재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금속제의 제1 잠금 부재(80)와, 체인 부재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금속제의 제2 잠금 부재(100)를 갖는다. 본 실시예 3의 제1 잠금 부재(80)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부재의 일례이다.
본 실시예 3의 제1 잠금 부재(80)는, 실시예 2의 제1 잠금 부재(50)에 대해, 각 부위 및 각 부분의 크기 등이 상이하지만, 실시예 2의 제1 잠금 부재(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 본 실시예 3의 제1 잠금 부재(80)의 주요한 부위 및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 3의 제1 잠금 부재(80)는, 체인 부재에 고정되는 베이스부(81)와, 베이스부(81)에 연결축부(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부(91)와, 가동부(91)를 탄성 지지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을 갖는다. 가동부(91)는, 베이스부(8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가동부(91)는, 베이스측 연결부(86)에 맞닿아서 제1 잠금 부재(80)가 닫힌 상태가 되는 닫힘 위치로부터, 가동부(91)가 베이스부(81)의 회전 정지부(84)에 맞닿는 전개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제1 잠금 부재(80)는, 가동부(91)의 회전에 의해 개폐된다. 연결축부(60)는, 베이스부(81) 및 가동부(91)와 별도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8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측 본체부(82)와, 베이스측 본체부(8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측의 측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측벽부(89) 및 베이스측 지지부(83)와, 베이스측 본체부(82)로부터 상측에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베이스측 연결부(86)를 갖는다. 또한, 베이스부(81)는, 베이스측 본체부(82)로부터 연장되는 회전 정지부(84)와, 회전 정지부(84)로부터 더 연장되는 제1 체인 접속부(85)를 갖는다.
베이스측 본체부(82)의 두께는,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쳐 일정하다. 베이스측 본체부(82)는, 폭 방향의 치수가 일정하게 되는 광폭부와, 베이스측 연결부(86)를 향해 폭 방향의 치수를 점차 감소시키는 점감부를 갖는다(도 12를 참조). 좌우 양측의 베이스 측벽부(89)는, 베이스측 본체부(82)의 광폭부의 좌우측 가장자리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89)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83)는, 제1 잠금 부재(8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원호 형상을 나타내는 상단부를 가지는 부분이다.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83)는, 베이스측 본체부(8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체인 접속부(85)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배치된다. 또한,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83)는,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89)와 각각 평행하면서도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각 베이스측 지지부(83)에는, 연결축부(60)를 장착하는 장착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83) 사이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코일부(76)가 삽입된다.
베이스부(81)의 회전 정지부(84)는, 베이스측 본체부(82)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회전 정지부(84)는, 가동부(91)의 조작부(94)를 직접 맞닿음 가능하다. 또한, 조작부(94)를 회전 정지부(84)에 직접 맞닿게 하지 않고, 회전 정지부(84)와 조작부(94)의 사이에,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일부를 삽입시킴으로써, 조작부(94)를 회전 정지부(54)에 간접적으로 맞닿게 할 수도 있다. 회전 정지부(84)는, 폭 방향의 치수를 베이스측 본체부(82)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점차 증가시키는 형상을 갖는다.
제1 체인 접속부(85)는, 회전 정지부(84)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체인 접속부(85)의 선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체인 부재의 일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체인 접속부(85)가 체인 부재에 고정됨으로써, 제1 체인 접속부(85)가 체인 부재에 접속된다.
베이스측 연결부(86)는, 베이스측 본체부(82)에 있어서의 제1 체인 접속부(85)로부터 떨어진 쪽의 단부로부터 상측에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측 연결부(86)의 두께는, 베이스측 본체부(82)와 대략 동일하다. 베이스측 연결부(86)의 폭 방향의 치수는, 베이스측 본체부(82)의 상기 점감부로부터 선단을 향해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측 연결부(86)가, 제2 잠금 부재(100)의 삽입 통과 구멍부(102a)에 삽입되기 쉬어진다. 베이스측 연결부(86)의 내주측에는 내측 공간부(8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공간부(87)는, 제1 잠금 부재(80)를 열었을 때에 베이스측 연결부(86)의 선단부로부터 가동부(91)를 향해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 인출 개구부와 연통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 3의 삽입 인출 개구부는, 제1 잠금 부재(8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86)의 선단으로부터 측방 커버부(93)를 향해 전후 방향에 평행한 가상 직선을 연장시켰을 때, 그 가상 직선상에서 베이스측 연결부(86)와 측방 커버부(93)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부분 또는 개구 부분을 말한다.
본 실시예 3의 가동부(91)는, 가동부(91)가 닫힘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가동측 본체부(92)와, 가동측 본체부(9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가동측 본체부(92)로부터 베이스부(81)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측방 커버부(93)를 갖는다. 가동측 본체부(8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체인 접속부(85)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는, 가동측 본체부(82)에 대해 비스듬하게 상측으로 구부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94)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측 본체부(9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체인 접속부(85)로부터 떨어진 쪽의 단부로부터,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가동측 연결부(95)가 연장되어 있다. 가동측 본체부(92)는, 폭 방향의 치수가 베이스측 본체부(82)보다도 큰 일정한 크기가 되는 광폭부와, 광폭부로부터 가동측 연결부(95)를 향해 폭 방향의 치수를 점차 감소시키는 점감부를 갖는다(도 12를 참조).
좌우의 측방 커버부(93)는, 가동측 본체부(92)의 광폭부의 좌우측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좌우의 측방 커버부(93) 사이에는 공간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간부의 폭 방향의 간격은, 베이스부(81)의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89)의 외벽면 간의 간격보다 크다. 좌우의 측방 커버부(93)는, 제1 잠금 부재(8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베이스측 지지부(83)와 겹치는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측 지지부(83)와 겹치는 영역에는, 연결축부(6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3의 조작부(94)는, 가동부(91)의 회전 가능 범위 θ2가 30° 이상 60° 이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동부(91)의 회전 가능 범위 θ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전 가능 범위 θ2의 하한은, 30° 이상일 수도 있고, 40° 이상일 수도 있다. 회전 가능 범위 θ2의 상한은, 60° 이하일 수도 있고, 50° 이하일 수도 있다.
가동측 연결부(95)의 두께는 일정하다. 가동측 연결부(95)의 폭 방향의 치수는, 가동측 본체부(92)의 점감부로부터 가동측 연결부(95)의 선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된다. 이 가동측 연결부(95)는, 제1 잠금 부재(80)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측 본체부(82)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도 하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잠금 부재(8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95)의 내주부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측 연결부(86)의 외주부에 맞닿는다. 가동부(91)는, 가동측 연결부(95)가 베이스측 연결부(86)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비틀림 코일스프링(75)에 의해, 가동측 연결부(95)가 베이스측 연결부(86)에 눌러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 3의 비틀림 코일스프링(75) 및 연결축부(60)는, 실시예 2의 비틀림 코일스프링(75) 및 연결축부(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 3에서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5) 및 연결축부(60)를 전술한 실시예 2와 동일한 부호로 나타냄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 3의 제2 잠금 부재(100)는, 체인 부재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연결되는 제2 접속부(101)와, 제2 접속부(10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제2 연결 링(102)을 갖는다. 제2 접속부(101)는, 제1 잠금 부재(80)에 대응하는 높이 치수를 가진 제2 접속 본체부(101a)와, 제2 접속 본체부(101a)의 하단부로부터 전후 방향의 한쪽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접속편부(10lb)를 갖는다. 제2 접속편부(10lb)의 선단부는, 체인 부재의 타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2 연결 링(102)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통과 구멍부(102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연결 링(102)의 삽입 통과 구멍부(102a)는, 제1 잠금 부재(80)의 베이스측 연결부(86)와 가동측 연결부(95) 양쪽을 동시에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개구되어 있다. 이 제2 연결 링(102)은, 제1 잠금 부재(80)를 연결시키는 피연결부이다.
본 실시예 3의 제1 잠금 부재(80)는, 전술한 실시예 2의 제1 잠금 부재(50)에 대해 크기, 각 부위의 치수 비율, 부분적인 형상 등이 상이하지만, 실시예 2의 제1 잠금 부재(50)와 마찬가지로, 제1 잠금 부재(80)를 여는 조작 및 닫는 조작을 한 손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잠금쇠(13)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한 손만으로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3의 제1 잠금 부재(80) 및 잠금쇠(13)에서는, 실시예 2의 제1 잠금 부재(50) 및 잠금쇠(12)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잠금쇠(12, 13)는, 예를 들면 장신구의 종류 및 그 디자인 등에 따라, 본질적인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실시예 4의 잠금쇠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XⅣ-XⅣ선 및 XV-XV선에 있어서의 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4의 잠금쇠(14)는, 도시를 생략한 체인 부재의 일단부에 접속되는 제1 잠금 부재(110)와, 체인 부재의 타단부에 접속되는 제2 잠금 부재(130)를 갖는다. 본 실시예 4의 제1 잠금 부재(110)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부재의 일례이다. 제2 잠금 부재(130)는, 도 14 및 도 15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금속제 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4의 제2 잠금 부재(130)는, 제1 잠금 부재(110)를 연결시키는 부재이며, 본 발명에 따른 잠금 부재를 연결시키는 피연결부를 포함한 피연결 부재의 일례이다.
본 실시예 4의 제1 잠금 부재(1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111)와, 연결축부(60)에 의해 베이스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부(121)와, 가동부(121)를 탄성 지지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을 갖는다. 이 경우, 베이스부(111)가 체인 부재에 접속된다. 가동부(121)는, 그 회전에 의해 제1 잠금 부재(110)를 개폐시킨다. 비틀림 코일스프링(75) 및 연결축부(60)는, 전술한 실시예 2의 잠금쇠(12)에 이용된 비틀림 코일스프링(75) 및 연결축부(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베이스부(11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측 본체부(112)와, 베이스측 본체부(112)의 좌우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119) 및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113)와, 베이스측 본체부(112)로부터 상측에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베이스측 연결부(116)를 갖는다. 또한, 베이스부(111)는, 베이스측 본체부(112)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정지부(114)와, 회전 정지부(114)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제1 체인 접속부(115)와, 회전 정지부(114) 및 제1 체인 접속부(115)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보강 리브(118)를 갖는다.
베이스측 본체부(112)는, 폭 방향의 치수가 일정해지는 광폭부(112a)와, 광폭부(112a)로부터 베이스측 연결부(116)를 향해 폭 방향의 치수를 점차 감소시키는 점감부(112b)와, 폭 방향의 치수가 광폭부(112a)보다 작은 일정한 크기가 되는 세폭부(112c)를 갖는다(도 14를 참조). 이에 의해, 베이스측 본체부(112)를 손가락으로 유지하지 쉬운 적절한 굵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측 연결부(116)가 제2 잠금 부재(130)에 삽입 통과시키기 쉬워진다.
좌우의 각 베이스 측벽부(119)는, 베이스측 본체부(112)에 있어서의 광폭부(112a)와 점감부(112b)의 일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각 베이스 측벽부(119)는, 제1 잠금 부재(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베이스측 본체부(112)의 상면으로부터 베이스 측벽부(119)의 상단면까지의 높이 치수가 연속하여 일정해지는 연속벽부와, 베이스측 연결부(116)에 접근함에 따라서 높이 치수가 점차 감소되는 경사벽부를 갖는다. 베이스 측벽부(119)의 경사벽부는, 베이스 측벽부(119)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베이스측 연결부(116)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 경사벽부가 설치됨으로써, 제2 잠금 부재(130)의 일부를 베이스측 연결부(116)의 내주부를 향해 안내하기 쉬워진다.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113)는, 좌우의 베이스 측벽부(119)와 평행하면서도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측 지지부(113)는, 제1 잠금 부재(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원호 형상을 나타내는 상단부를 갖는다. 또한,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113) 사이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5)의 코일부(76)가 삽입된다.
회전 정지부(114) 및 제1 체인 접속부(115)는, 베이스측 본체부(112)로부터 동일한 두께이면서도 연속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회전 정지부(114)의 폭 방향의 치수 및 제1 체인 접속부(115)의 폭 방향의 치수는, 베이스측 본체부(112)의 폭 방향의 치수와 동일하다.
제1 체인 접속부(115)에는, 체인 부재의 일부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접속 구멍부(11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체인 접속부(115)는, 적어도 접속 구멍부(115a)가 형성되어 있는 전후 방향의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보강 리브(118)는, 회전 정지부(114) 및 제1 체인 접속부(115)의 좌우측 가장자리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좌우의 제1 리브(118a)와,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2 리브(118b)를 갖는다. 제2 리브(118b)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체인 접속부(115)의 회전 정지부(114)와는 반대측의 단연부에 설치된다. 제2 리브(118b)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는, 좌우의 제1 리브(118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보강 리브(118)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좌우의 제1 리브(118a)는, 제1 잠금 부재(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1 리브(118a)의 높이 치수를 제2 리브(118b)를 향해 점차 감소시킴으로써 상면이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브(118b)는 생략할 수도 있다.
좌우의 제1 리브(118a)는,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113)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리브(118a)의 베이스측 지지부(113)에 연결되는 연결 단부에서는, 회전 정지부(114)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베이스측 지지부(113)를 향해 점차 증가된다.
베이스측 연결부(116)는, 베이스측 본체부(112)의 세폭부(112c)로부터 상측에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제1 잠금 부재(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116)의 내주측에는 내측 공간부(117)가 형성된다. 베이스측 연결부(116)의 선단 부분은, 그 선단을 향해 점차 가늘면서도 얇아진다.
베이스측 연결부(116)는, 가동부(121)의 측방 커버부(123)에 대해, 제1 잠금 부재(110)가 닫힌 상태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116)의 선단과 측방 커버부(123)의 사이에 간극(G)이 설치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특히 이 경우, 베이스측 연결부(116)는, 상기 간극(G)의 최소값이, 제2 잠금 부재(130)를 삽입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간극(G)은, 제2 잠금 부재(130)의 굵기(예를 들면, 원형 단면의 직경)보다 작다.
가동부(121)는, 제1 잠금 부재(110)가 닫힌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동측 본체부(122)와, 가동측 본체부(12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가동측 본체부(122)로부터 베이스부(111)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측방 커버부(123)를 갖는다. 가동측 본체부(12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체인 접속부(115)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는, 가동측 본체부(122)로부터 구부러져 상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124)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측 본체부(12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체인 접속부(115)로부터 떨어진 쪽의 단부로부터, 하측에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가동측 연결부(125)가 연장되어 있다.
가동측 본체부(122)는, 베이스측 본체부(1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즉, 가동측 본체부(122)는, 폭 방향의 치수가 일정해지는 광폭부와, 광폭부로부터 베이스측 연결부(116)를 향해 폭 방향의 치수를 점차 감소시키는 점감부와, 폭 방향의 치수가 광폭부보다 작은 일정한 크기가 되는 세폭부를 갖는다.
좌우의 측방 커버부(123)는, 가동측 본체부(122)의 측연부로부터 하방으로 만곡되고, 또한, 베이스측 본체부(112)를 향해 처진다(도 13 및 도 15를 참조). 또한, 측방 커버부(123)는, 가동측 본체부(122)에 있어서의 광폭부와 점감부의 일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도 14를 참조).
좌우의 측방 커버부(123)는, 제1 잠금 부재(110)가 닫힌 상태의 측면시에 있어서, 좌우의 베이스측 지지부(113)와 겹치는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측방 커버부(123)에는, 연결축부(60)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 오목부가 폭 방향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측방 커버부(123)는, 제1 잠금 부재(110)가 닫힌 상태의 측면시에 있어서, 가동측 본체부(122)로부터 상하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지면서 연장되는 제한 단연부(123a)를 갖는다. 제한 단연부(123a)는, 가동측 본체부(122)로부터 상하 방향에 대해 만곡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한 단연부(123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측방 커버부(123)의 가동측 연결부(125)에 가까운 단연부이다. 가동부(121)에 있어서의 측방 커버부(123), 가동측 본체부(122), 및 가동측 연결부(125)에 둘러싸이는 공간 영역 내에 있어서, 제한 단연부(123a)와 가동측 본체부(122)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주측의 각도 θ1은 90° 이하이다.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내주측의 각도 θ1의 크기를,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의 예에 있어서, 내주측의 각도 θ1은, 측방 커버부(123)에 의해 숨겨지는 가동측 본체부(122)의 하단 가장자리와, 제한 단연부(123a)를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해 가상적으로 연장시킨 2점 쇄선의 사이에 형성되는 맞꼭지각이다. 이 내주측의 각도 θ1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내주측의 각도 θ1과 동일한 각도로 설치하면 된다. 예를 들면, 내주측의 각도 θ1은, 90° 미만일 수도 있고, 89° 이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측방 커버부(123)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그 상단부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 커진다.
제1 잠금 부재(110)가 닫힌 상태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116)의 선단부와 제한 단연부(123a)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의 최소값은, 제2 잠금 부재(130)의 굵기보다 작아진다. 이에 의해, 제2 잠금 부재(130)를 제1 잠금 부재(110)의 내측 공간부(117)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둘 수 있다. 또한, 제2 잠금 부재(130)가 가동측 본체부(122)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연결 링(102)이 가동부(121)를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 4의 조작부(124)는, 제1 잠금 부재(110)를 닫았을 때의 측면시에 있어서, 가동측 본체부(122)의 단부로부터 상측에 직교에 가까운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판 형상의 세로벽부(124a)와, 세로벽부(124a)의 상단부로부터 제1 체인 접속부(115)측에 비스듬히 절곡되어 연장되는 판 형상의 경사부(124b)를 갖는다.
이 세로벽부(124a)에 의해, 조작부(124)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가동부(121)를 회전시킬 때, 가동부(121)를 베이스부(111)에 대해 크게 회전시키고, 제1 잠금 부재(110)를 넓게 열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 4의 제1 잠금 부재(110)는,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제1 잠금 부재(50, 80)보다도 넓게 열 수 있다. 또한, 조작부(124)에 경사부(124b)가 설치됨으로써, 조작부(124)를 손가락으로 누르기 쉬워지기 때문에, 제1 잠금 부재(110)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4에 있어서, 조작부(124)의 폭 방향의 치수, 특히 경사부(124b)의 폭 방향의 치수는, 베이스부(111)에 설치한 좌우의 제1 리브(118a)의 내벽면 간의 간격보다 작다. 이에 의해, 조작부(124)가, 베이스부(111)에 있어서의 좌우의 제1 리브(118a)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부(121)를 더욱 더 큰 회전 각도까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가동부(121)의 회전 가능 범위는, 예를 들면 약 90°일 수도 있다. 가동부(121)의 회전 가능 범위란, 상술한 닫힘 위치로부터 상술한 전개 위치까지 회전하는 범위를 말한다.
또한 이 경우, 조작부(124)의 폭 방향의 치수, 특히 경사부(124b)의 폭 방향의 치수를, 좌우의 제1 리브(118a)의 내벽면 간의 간격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더욱 더 크게 확보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조작부(124)를 손가락으로 누를 때, 조작부(124)와 손가락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가동부(121)의 회전 조작이 보다 행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작부(124)의 세로벽부(124a) 및 경사부(124b)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조작부(124) 전체를 부채꼴, 원형 또는 하트형 등의 디자인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124)의 경사부(124b)만을 하트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 4의 제1 잠금 부재(110) 및 잠금쇠(14)에, 귀여움 등의 인상 및 부가가치 등을 부여할 수 있다.
가동측 연결부(125)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가동측 연결부(125)는, 가동측 본체부(122)의 세폭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가동측 연결부(125)는, 제1 잠금 부재(110)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측 본체부(112)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도 하측까지 연장된다. 또한, 가동측 연결부(125)의 내주부가 베이스측 연결부(116)의 외주부에 맞닿는다. 이 가동부(121)는, 가동측 연결부(125)를 베이스측 연결부(116)에 맞닿게 한 상태에 있어서도, 비틀림 코일스프링(75)에 의해, 가동측 연결부(125)가 베이스측 연결부(116)에 눌러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 4의 제1 잠금 부재(110)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제1 잠금 부재(50, 80)와 마찬가지로, 제1 잠금 부재(110)를 여는 조작 및 닫는 조작을 한 손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 4의 잠금쇠(14)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한 손만으로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4도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제1 잠금 부재(20)에서는, 돌편부(36)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제1 잠금 부재(20)에서는, 걸림 오목부(26a) 및 피걸림 돌출부(35a)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축부(30)에,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에 나타낸 스프링 부재(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스프링)를 설치할 수도 있다.
실시예 4의 제1 잠금 부재(110)에서는, 베이스측 본체부(112)의 형상으로서, 실시예 1에 나타낸 베이스측 본체부(22)로부터 걸림 오목부(26a)가 제외된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에 있어서, 조작부(34, 64, 94, 124)를 맞닿게 하여 가동부(31, 61, 91, 121)의 열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 정지부(24, 54, 84, 114)는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회전 정지부(24, 54, 84, 114)를 설치하는 경우, 조작부(34, 64, 94, 124)를 가동측 본체부(32, 62, 92, 122)의 전후 방향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실시예 1에서는, 가동부(31)의 일부를 맞닿게 하여 수용 가능한 수용 오목부(24a)를 회전 정지부(24)에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가동측 본체부(32, 62, 92, 122)의 전후 방향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형상으로 설치하는 경우, 조작부(34, 64, 94, 124)의 좌우 방향의 치수(즉, 조작부의 폭)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가동부(31, 61, 91, 121)는, 회전축이 되는 연결축부(30, 60)에 의해, 베이스부(21, 51, 81, 111)의 베이스측 지지부(23, 53, 83, 1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부(31, 61, 91, 121)는, 예를 들면, 연결축부(30, 60)에 의해, 베이스부(21, 51, 81, 111)의 베이스측 본체부(22, 52, 82, 112)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베이스측 지지부(23, 53, 83, 113)는, 베이스측 본체부(22, 52, 82, 112)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측 본체부(22, 52, 82, 112)에 연결축부(30, 60)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에서는, 가동부(31, 61, 91, 121)의 폭 방향의 치수를 베이스부(21, 51, 81, 111)보다 작게 함으로써, 베이스부가 가동부를 하측으로부터 감싸서 수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에서는, 하나의 베이스측 본체부(22, 52, 82, 112)로부터 하나의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가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가동측 본체부(32, 62, 92, 122)로부터 하나의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가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에 있어서, 하나의 베이스측 본체부(22, 52, 82, 112)로부터 복수 개의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가 분기되어 연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가동측 본체부(32, 62, 92, 122)로부터 복수 개의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가 분기되어 연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측 연결부의 일부와 가동측 연결부의 일부가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칠 수 있다면, 베이스측 연결부와 가동측 연결부를 동일한 개수로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른 개수로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 및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는,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의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형상은, 예를 들면, 대략 L자 형상, 대략 C자 형상, 대략 U자 형상 등의 형상이나, 이것들에 가까운 형상일 수도 있다.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의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형상은,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에 대해 접촉 또는 대면시키기 위해,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의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L자 형상, 대략 C자 형상, 대략 U자 형상 등의 형상이나, 이것들에 가까운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 및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가,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구부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매끄럽게 만곡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는, 그 선단부가 가동부(31, 61, 91, 121)의 가동측 본체부(32, 62, 92, 12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고 있다면, L자 형상, V자 형상 등의 형상이나, 이것들에 가까운 형상일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가 굴곡되어 모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는,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그 선단부가 베이스부(21, 51, 81, 111)의 베이스측 본체부(22, 52, 82, 11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고 있다면, L자 형상, V자 형상 등의 형상이나, 이것들에 가까운 형상일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가 굴곡되어 모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는, 잠금쇠(11, 12, 13, 14)가, 테니스 팔찌 또는 체인 팔찌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잠금 부재 또는 잠금쇠가 이용되는 장신구는, 테니스 팔찌 및 체인 팔찌 이외의 팔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장신구에는, 팔찌 이외에도, 목걸이, 펜던트, 발찌 등이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은, 팔찌뿐만 아니라, 목걸이, 펜던트, 발찌 등의 장신구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신구가 목걸이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잠금 부재(제1 잠금 부재)를, 목걸이의 체인 부재의 양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잠금쇠에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예를 들면 체인 부재와 펜던트 탑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분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잠금 부재(제1 잠금 부재)는, 목걸이의 체인 부재의 양단부의 연결, 또는 체인 부재와 펜던트 탑의 연결 등의 장신구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잠금 부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잠금 부재를, 장신구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그 밖의 부재 또는 부품 등의 피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펜던트 탑을, 대좌(台座) 등의 장신구 이외의 부재가 되는 피연결 부재에 걸어 장식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잠금 부재를 펜던트 탑에 이용하여 피연결 부재와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대좌 등의 피연결 부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잠금 부재를 직접 연결시키는 부분이 피연결부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잠금 부재(제1 잠금 부재)는, 장신구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잠금 부재일 수도 있고, 장신구를 임의의 피연결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일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설명한 제2 잠금 부재(40, 70, 100, 130)는,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를 연결시키는 피연결부를 포함하는 피연결 부재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서는, 잠금 부재(제1 잠금 부재)의 사이즈를, 선상 부재에 따라 용이하게 길게 또는 짧게 하는 것, 및, 굵게 또는 가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장신구에 채용할 수 있는 잠금쇠의 선택지를 대폭 넓힐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종래의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에 비해, 장신구의 디자인 및 아름다움 등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 부재에 의하면, 복수의 장신구끼리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장신구가 구비하는 제1 잠금쇠와, 제2 장신구가 구비하는 제2 잠금쇠를, 제1 및 제2 잠금쇠의 적어도 한쪽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잠금 부재에 의해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잠금 부재를 적용하면, 장신구의 디자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련된 부기 1 내지 부기 12를 기재한다.
[부기1]
피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20, 50, 80, 110)로서,
장신구(1, 2)의 일부에 접속되는 베이스부(21, 51, 81, 111)와,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부재(20, 50, 80, 110)를 개폐시키는 가동부(31, 61, 91, 121)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는,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는, 상기 장신구(1, 2)의 일부에 접속되는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의 접속 부분에 대해,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의 길이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31, 61, 91, 121)는,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를 갖고,
상기 가동부(31, 61, 91, 121)가 상기 잠금 부재(20, 50, 80, 110)를 닫는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와,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가 서로 접촉 또는 대면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의 일부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부재.
[부기2]
부기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는, 상기 가동부(31, 61, 91, 121) 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는,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 측으로 구부러지는, 잠금 부재.
[부기3]
부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31)는, 상기 닫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1)에 걸리는, 잠금 부재.
[부기4]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61, 91, 121)를 회전 방향의 상기 닫힘 위치를 향해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잠금 부재.
[부기5]
부기 4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 부재(75)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75)는, 상기 베이스부(51, 81, 111)와 상기 가동부(61, 91, 121)를 연결하는 연결축부(60)에 장착되어 있는, 잠금 부재.
[부기6]
부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는,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본체부(22, 52, 82, 112)와,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22, 52, 82, 112)부터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가동부(31, 61, 91, 121)를 지지하는 베이스측 지지부(23, 53, 83, 113)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는, 상기 베이스측 지지부(23, 53, 83, 113)와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22, 52, 82, 11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동부(31, 61, 91, 121) 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가동부(31, 61, 91, 121)는, 가동측 본체부(32, 62, 92, 122)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32, 62, 92, 122)로부터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잠금 부재(20, 50, 80, 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베이스측 지지부(23, 53, 83, 113)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는 측방 커버부(33, 63, 93, 123)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32, 62, 92, 122)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가동측 본체부(32, 62, 92, 122)에 대해 구부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34, 64, 94, 124)를 갖고,
상기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는, 상기 가동측 본체부(32, 62, 92, 122)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 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측방 커버부(33, 63, 93, 123)는,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의 상기 베이스측 지지부(23, 53, 83, 113)에 연결축부(30, 60)에 의해 연결되는, 잠금 부재.
[부기7]
부기 6에 있어서,
상기 측방 커버부(33, 123)는,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에 배치되는 제한 단연부(33a, 123a)를 갖고,
상기 잠금 부재(20, 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측방 커버부(33, 123), 상기 가동측 본체부(32, 122), 및 상기 가동측 연결부(35, 125)에 둘러싸이는 영역 내에서, 상기 가동측 본체부(32, 122)와 상기 측방 커버부(33, 123)의 상기 제한 단연부(33a, 123a)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주측의 각도(θ1)는 90° 이하인, 잠금 부재.
[부기8]
부기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측방 커버부(33, 63, 93, 123)는, 상기 가동부(31, 61, 91, 121)가 상기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잠금 부재(20, 50, 80, 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22, 52, 82, 112)의 적어도 일부에 겹치는, 잠금 부재.
[부기9]
부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1, 51, 81, 111)는,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22, 52, 82, 112)로부터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와는 상기 길이 방향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조작부(34, 64, 94, 124)를 맞닿게 하여 상기 가동부(31, 61, 91, 121)의 열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 정지부(24, 54, 84, 114)를 갖는, 잠금 부재.
[부기10]
부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잠금 부재인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와, 상기 피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잠금 부재(40, 70, 100, 13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잠금쇠.
[부기11]
부기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는, 상기 장신구(1, 2)의 선상 부재(5, 8)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잠금 부재(40, 70, 100, 130)는, 상기 선상 부재(5, 8)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잠금 부재(40, 70, 100, 130)에 설치한 삽입 통과 구멍부(42a, 72a, 102a)에, 상기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의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26, 56, 86, 116)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35, 65, 95, 125)가 삽입 통과됨으로써, 상기 제1 잠금 부재(20, 50, 80, 110)와 상기 제2 잠금 부재(40, 70, 100, 130)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잠금쇠.
[부기12]
부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장신구.
이상의 태양에 의하면, 잠금 부재의 개폐 조작, 및 잠금쇠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잠금쇠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1: 테니스 팔찌
2: 체인 팔찌
5: 체인 부재(선상 부재)
5a: 체인 부재의 일단부
5b: 체인 부재의 타단부
6: 칸부
7: 연결 부재
8: 체인 부재(선상 부재)
8a: 금속제 링
11, 12: 잠금쇠
13, 14: 잠금쇠
20: 제1 잠금 부재
21: 베이스부
22: 베이스측 본체부
23: 베이스측 지지부
24: 회전 정지부
24a: 수용 오목부
25: 제1 접속부
26: 베이스측 연결부
26a: 걸림 오목부
27: 내측 공간부
28: 삽입 인출 개구부
30: 연결축부(회전축부)
31: 가동부(회전부)
32: 가동측 본체부
33: 측방 커버부
33a: 제한 단연부
34: 조작부
35: 가동측 연결부
35a: 피걸림 돌출부
36: 돌편부
40: 제2 잠금 부재
41: 제2 접속부
41a: 제2 접속 본체부
4lb: 제2 접속편부
42: 제2 연결 링
42a: 삽입 통과 구멍부
50: 제1 잠금 부재
51: 베이스부
52: 베이스측 본체부
53: 베이스측 지지부
54: 회전 정지부
55: 제1 체인 접속부
55a: 접속 구멍부
56: 베이스측 연결부
57: 내측 공간부
59: 베이스 측벽부
59a: 연속벽부
59b: 경사벽부
60: 연결축부
61: 가동부
62: 가동측 본체부
63: 측방 커버부
64: 조작부
65: 가동측 연결부
70: 제2 잠금 부재
71: 제2 접속부
71a: 제2 접속 구멍부
72: 제2 연결부
72a: 삽입 통과 구멍부
75: 비틀림 코일스프링
76: 코일부
77: 아암부
80: 제1 잠금 부재
81: 베이스부
82: 베이스측 본체부
83: 베이스측 지지부
84: 회전 정지부
85: 제1 체인 접속부
86: 베이스측 연결부
87: 내측 공간부
89: 베이스 측벽부
91: 가동부
92: 가동측 본체부
93: 측방 커버부
94: 조작부
95: 가동측 연결부
100: 제2 잠금 부재
101: 제2 접속부
101a: 제2 접속 본체부
10lb: 제2 접속편부
102: 제2 연결 링
102a: 삽입 통과 구멍부
110: 제1 잠금 부재
111: 베이스부
112: 베이스측 본체부
112a: 광폭부
112b: 점감부
112c: 세폭부
113: 베이스측 지지부
114: 회전 정지부
115: 제1 체인 접속부
115a: 접속 구멍부
116: 베이스측 연결부
117: 내측 공간부
118: 보강 리브
118a: 제1 리브
118b: 제2 리브
119: 베이스 측벽부
121: 가동부
122: 가동측 본체부
123: 측방 커버부
123a: 제한 단연부
124: 조작부
124a: 세로벽부
124b: 경사부
125: 가동측 연결부
130: 제2 잠금 부재
G: 간극
θ1: 측방 커버부의 제한 단연부와 가동측 본체부 간의 내주측의 각도
θ2: 가동부의 회전 가능 범위
θ3: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아암 각도

Claims (12)

  1. 피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로서,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부재를 개폐시키는 가동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접속 부분에 대해,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는, 가동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잠금 부재를 닫는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와,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가 서로 접촉 또는 대면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일부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가동부 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가동측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 측으로 구부러지는, 잠금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닫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걸리는, 잠금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를 회전 방향의 상기 닫힘 위치를 향해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잠금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가동부를 연결하는 연결축부에 장착되어 있는, 잠금 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본체부와,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베이스측 지지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측 지지부와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동부 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가동부는, 가동측 본체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잠금 부재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베이스측 지지부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는 측방 커버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가동측 본체부에 대해 구부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가동측 연결부는, 상기 가동측 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 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측방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베이스측 지지부에 연결축부에 의해 연결되는, 잠금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커버부는,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에 배치되는 제한 단연부를 갖고,
    상기 잠금 부재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측방 커버부, 상기 가동측 본체부, 및 상기 가동측 연결부에 둘러싸이는 영역 내에서, 상기 가동측 본체부와 상기 측방 커버부의 상기 제한 단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주측의 각도는 90° 이하인, 잠금 부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커버부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잠금 부재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에 겹치는, 잠금 부재.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로부터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와는 상기 길이 방향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조작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가동부의 열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 정지부를 갖는, 잠금 부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잠금 부재인 제1 잠금 부재와, 상기 피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잠금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잠금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부재는, 상기 장신구의 선상 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잠금 부재는, 상기 선상 부재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잠금 부재에 설치한 삽입 통과 구멍부에, 상기 제1 잠금 부재의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가 삽입 통과됨으로써, 상기 제1 잠금 부재와 상기 제2 잠금 부재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잠금쇠.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장신구.
KR1020207008417A 2018-10-03 2019-07-05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및 장신구 KR102441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88060 2018-10-03
JPJP-P-2018-188060 2018-10-03
JP2019113302 2019-06-19
JPJP-P-2019-113302 2019-06-19
PCT/JP2019/026859 WO2020070939A1 (ja) 2018-10-03 2019-07-05 装身具用留め部材、装身具用留め具、及び装身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523A true KR20200042523A (ko) 2020-04-23
KR102441182B1 KR102441182B1 (ko) 2022-09-06

Family

ID=700553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417A KR102441182B1 (ko) 2018-10-03 2019-07-05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및 장신구
KR1020207008418A KR102368301B1 (ko) 2018-10-03 2019-09-03 장신구용 잠금쇠, 장신구용 잠금쇠의 조립 세트 및 장신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418A KR102368301B1 (ko) 2018-10-03 2019-09-03 장신구용 잠금쇠, 장신구용 잠금쇠의 조립 세트 및 장신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97908B2 (ko)
EP (1) EP3782500A4 (ko)
JP (3) JPWO2020070939A1 (ko)
KR (2) KR102441182B1 (ko)
CN (3) CN111263598A (ko)
WO (2) WO20200709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0939A1 (ja) * 2018-10-03 2020-04-09 株式会社クロスフォー 装身具用留め部材、装身具用留め具、及び装身具
KR102459841B1 (ko) 2022-07-27 2022-10-27 위진희 악세사리용 잠금장치
KR102544951B1 (ko) 2023-04-03 2023-06-16 위진희 액세서리용 잠금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016A (ja) 1996-11-14 1998-05-26 Pearl Supensaa:Kk 装身具の留め具及びその使用方法
US5832571A (en) * 1996-04-04 1998-11-10 Yama Co., Ltd. Joint member for use in accessory
JP2000166625A (ja) 1998-12-01 2000-06-20 Planet:Kk 止め具
JP3136049U (ja) * 2007-07-06 2007-10-11 株式会社ギリオン アクセサリー用連結具
JP2008036244A (ja) 2006-08-08 2008-02-21 Murao:Kk 留め金具
JP2012019946A (ja) 2010-07-14 2012-02-02 Pearl Supensaa:Kk 装身具用留め具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207200A (en) * 1912-03-25 1913-01-30 William Frederick Jennens Improvements in Snaps or Fastenings for Necklets, for other Chains, and for other like uses.
GB191407200A (en) 1914-03-21 1915-06-17 Curt Stille Improved Telegraph or Telephone Relay.
US1637699A (en) 1927-01-04 1927-08-02 Lauterbach Samuel Jewelry clasp
US2157288A (en) * 1937-05-29 1939-05-09 Gauss Eugen Attaching hook for watch wristlets
US2215526A (en) * 1938-03-05 1940-09-24 Kestenman Bros Mfg Co Clasp or connector for bracelets, chains, necklaces, or the like
US2874435A (en) 1954-08-23 1959-02-24 Albert C Nielsen Jewelry clasps
FR1287476A (fr) 1961-01-31 1962-03-16 Perfectionnement aux fermoirs de sécurité
US3358340A (en) * 1965-10-23 1967-12-19 Davis Aircraft Products Inc Bridle buckle
JPS4418616Y1 (ko) * 1966-12-29 1969-08-11
JPS5647381Y2 (ko) * 1973-02-16 1981-11-06
US3956804A (en) * 1974-12-12 1976-05-18 Monet Jewelers, Inc. Clasp mechanism
JPS5647381U (ko) 1979-09-19 1981-04-27
JPS5837298Y2 (ja) 1980-12-10 1983-08-23 中川株式会社 ネツクレス用留め金具
CA1162753A (fr) 1981-08-24 1984-02-28 Guy Couture Fermoir utilise en bijouterie
US4924562A (en) * 1985-07-29 1990-05-15 Pogharian Mardig V Jewelry clasp
JPS6383020U (ko) 1986-11-19 1988-05-31
US4774743A (en) * 1987-07-14 1988-10-04 The Napier Co. Jewelry clasp
US5168606A (en) * 1990-11-29 1992-12-08 The Napier Company Jewelry clasp with safety snap catch
US5279021A (en) * 1992-08-26 1994-01-18 Edgin Howard L Article retaining apparatus having pull-release/push-retain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JPH0657216U (ja) 1993-01-25 1994-08-09 株式会社田中宝飾 留め具
JP2627858B2 (ja) * 1993-07-13 1997-07-09 明治合成株式会社 ロープの結合具
JP3136049B2 (ja) * 1994-09-01 2001-02-19 シャープ株式会社 機器の特定状態表示方法
JP2997633B2 (ja) * 1995-05-26 2000-01-11 株式会社水本機械製作所 開止め機構付き環状フック
DE69634531T2 (de) 1996-04-04 2006-03-30 Yama Co., Ltd. Verbindungsteil für Schmuckstücke
US6553636B1 (en) * 2001-12-20 2003-04-29 Spertner Jewelers, Llc Jewelry clamp
USD489247S1 (en) * 2002-11-04 2004-05-04 Coastal Pet Products, Inc. Snap connector
JP3098584U (ja) * 2003-06-16 2004-03-04 株式会社桑山 装飾金具
JP3098789U (ja) 2003-06-25 2004-03-11 株式会社桑山 連珠ネックレスと糸留め具カバー
US20090013721A1 (en) 2005-05-09 2009-01-15 Murao Co., Ltd. Clasp
JP3118764U (ja) 2005-11-24 2006-02-02 三枝 藤原 針金アクセサリー
JP2007195606A (ja) * 2006-01-24 2007-08-09 Jewel Parts Piko:Kk 装身具用留め具及びこれを備える装身具
JP2007301174A (ja) 2006-05-11 2007-11-22 Mikimoto Soshingu:Kk 装身具用留め具
JP3155597U (ja) 2009-06-10 2009-11-26 株式会社ストリーム 装身具用留め具
WO2012117577A1 (ja) 2011-03-01 2012-09-07 Hoshino Masahiro 挿入式クラスプ
US10076164B2 (en) * 2015-05-06 2018-09-18 Dream Catch Inc. Jewelry catch
CN205456584U (zh) * 2016-01-11 2016-08-17 徐日飞 戒指装饰件的卡扣结构
CN205568073U (zh) 2016-04-28 2016-09-14 河南梦祥纯银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饰品卡扣结构
WO2020070939A1 (ja) 2018-10-03 2020-04-09 株式会社クロスフォー 装身具用留め部材、装身具用留め具、及び装身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2571A (en) * 1996-04-04 1998-11-10 Yama Co., Ltd. Joint member for use in accessory
JPH10137016A (ja) 1996-11-14 1998-05-26 Pearl Supensaa:Kk 装身具の留め具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0166625A (ja) 1998-12-01 2000-06-20 Planet:Kk 止め具
JP2008036244A (ja) 2006-08-08 2008-02-21 Murao:Kk 留め金具
JP3136049U (ja) * 2007-07-06 2007-10-11 株式会社ギリオン アクセサリー用連結具
JP2012019946A (ja) 2010-07-14 2012-02-02 Pearl Supensaa:Kk 装身具用留め具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0939A1 (ja) 2020-04-09
JP2024054366A (ja) 2024-04-16
JP7485443B2 (ja) 2024-05-16
JPWO2020071034A1 (ja) 2021-09-02
JPWO2020070939A1 (ja) 2021-09-30
KR102441182B1 (ko) 2022-09-06
KR102368301B1 (ko) 2022-02-25
US11297908B2 (en) 2022-04-12
WO2020071034A1 (ja) 2020-04-09
WO2020070939A8 (ja) 2020-12-10
EP3782500A4 (en) 2022-02-16
CN111263598A (zh) 2020-06-09
CN211833163U (zh) 2020-11-03
US20210037928A1 (en) 2021-02-11
CN110973781A (zh) 2020-04-10
EP3782500A1 (en) 2021-02-24
CN110973781B (zh) 2023-01-17
KR20200042524A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2523A (ko)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및 장신구
US10149517B2 (en) Connector mechanism for attaching accessory and accessory therefor
WO202003320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production for preventing chains of a plurality of necklaces simultaneously worn by a user from entangling
JP7002498B2 (ja) 装身具用留め具、及び装身具
JP6727995B2 (ja) 装身具
US7536759B2 (en) Clasp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12399809B (zh) 饰品用紧固部件、饰品用紧固件、饰品以及饰品用紧固部件的组装套件
KR20180002696U (ko) 장신구
US7013540B2 (en) Rotating pin clasp apparatus
KR101621939B1 (ko)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JP4647221B2 (ja) 帯状装身具の中留
JP2001245714A (ja) 装身具用留め具
JP3145052U (ja) 装身具用引き輪
JP3018768U (ja) 腕時計用のバンド
JP2000287724A (ja) 装身具用連結機構
GB2356551A (en) Hinge construction of a locket
JP2006081564A (ja) 装身具
JP2002209616A (ja) 環状装身具の留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