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533A -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533A
KR20200031533A KR1020190111984A KR20190111984A KR20200031533A KR 20200031533 A KR20200031533 A KR 20200031533A KR 1020190111984 A KR1020190111984 A KR 1020190111984A KR 20190111984 A KR20190111984 A KR 20190111984A KR 20200031533 A KR20200031533 A KR 20200031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rolling element
rolling
centrifugal forc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325B1 (ko
Inventor
다이키 나카무라
히데유키 니시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00031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5Masses mounted with play with respect to driving means thus enabling free movement over a limited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16Torsional springs, e.g. torsion bar or torsionally-loaded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14Masses driven by elastic elements
    • F16F15/1421Metallic springs, e.g. coil or spiral springs
    • F16F15/1428Metallic springs, e.g. coil or spiral springs with a single 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5Masses mounted with play with respect to driving means thus enabling free movement over a limited range
    • F16F15/1457Systems with a single 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85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unlimited with respect to 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lley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Abstract

(과제) 전동체가 가이드 홈의 바닥부측으로 되밀어내져 바닥부에 맞닿음으로써 발생하는 타음 혹은 이음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동면 (14) 에 원심력에 의해 눌려 있는 전동체 (4) 가, 관성체 (3) 와 회전체 (2) 의 상대 회전에 의해 전동면 (14) 에 의해 가이드 홈 (6) 에 있어서의 바닥부 (7) 를 향하여 되밀어내진 경우에, 전동체 (4) 가 한계 위치 (7) 에 도달하기 전에 관성체 (3) 와 회전체 (2) 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방향의 회전 규제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규제부 (6a, 12a)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면 (14) 에 의해 되밀어내지는 전동체 (4) 가 가이드 홈 (6) 의 바닥부 (7) 에 맞닿는 경우가 없다.

Description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TORSIONAL VIBRATION DAMPER}
이 발명은, 입력된 토크의 변동 (비틀림 진동) 을 저감시키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크가 입력되는 회전체에 대해 관성체를 늦게 진동시킴으로써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토크의 변동을 질량체의 원심 진자 운동에 의해 저감시키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는, 토크가 입력되는 회전체와, 그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회전체에 대해 상대 회전하도록 형성된 관성체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의 외주부에는, 반경 방향을 향한 직선상의 복수의 가이드 홈이, 회전체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홈의 내부에 전동체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전동체는,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을 향하여 가압되고, 그 가압력에 의해 관성체의 소정 지점에 전동 가능하게 눌린다. 즉, 전동체는 회전체와 관성체를, 그것들이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관성체 중 전동체가 눌리는 지점에는, 당해 지점의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호면) 인 전동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면에는,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중앙부가 존재하고, 그 중앙부로부터 벗어난 지점은 회전체의 중심에 가까운 지점이 된다. 전동체가 원심력을 받은 경우, 전동체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로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전동체는 상기 중앙부에 눌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의 회전체와 관성체의 상대 위치가, 위상의 어긋남이 없는 상태, 혹은 상대 회전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른바 중립 상태이다.
이 중립 상태에서, 회전체의 토크가 변동되면, 회전체에 대해 가속도가 발생하고, 이에 대하여 관성체에는 그때까지의 회전 상태를 유지하는 관성력이 작용하고, 그 결과, 회전체와 관성체 사이에서 상대 회전이 발생한다. 관성체가 회전체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 전동면이 전동체에 대해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어긋난다. 즉, 전동체가 원심력에 의해 눌리는 지점이 상기 중앙부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 어긋난다. 이와 같은 어긋남이 발생한 상태에서는 전동면 중 전동체가 눌려 있는 지점에 있어서의 법선 방향과 원심력의 작용 방향에 어긋남이 발생하므로, 전동체는 원래의 중앙부를 향하여 이동하려고 한다. 즉, 전동체의 원심력에 의해, 관성체를 원래의 중립 상태로 되돌리는 방향의 토크가 발생한다. 이 토크가, 회전체의 토크의 변동에 대한 제진 토크가 되기 때문에, 회전체의 토크 변동 혹은 비틀림 진동이 저감된다.
이 종류의 진자식의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는, 소정의 원심력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회전체 및 관성체 그리고 전동체의 상호의 위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원심력이 충분히는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전동체나 관성체는 각각의 위치가 결정되는 구속력을 받지 않게 되어, 중력에 의해 각각의 위치가 결정되게 된다. 그 때문에, 충분히 원심력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천천히 회전하고 있는 경우나, 회전수가 저하되어 원심력이 작아진 경우 등에는, 전동체나 관성체가 중력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예를 들어, 전동면을 구성하고 있는 가이드부의 단부에 전동체가 맞닿아, 이음 (타음) 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이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부의 폭을 그 단부측에서 작게 하고, 전동체를 가이드부의 단부의 바로 앞에서 가이드부의 내면에 접촉시켜, 전동체가 가이드부의 단부에 맞닿는 것을 회피하는 것도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458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31995호
회전체와 관성체를, 회전체에 형성한 상기의 전동체에 의해 연결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서는, 전동체는 전동면에 눌린 위치와 가이드 홈의 내부로 들어간 (후퇴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다. 전동체가 전동면에 눌린 위치에 유지되는 것은, 중력보다 큰 원심력이 발생한 경우이다. 그러나, 관성체가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전동면이 전동체를 가이드 홈 내로 되밀어내는 힘이 전동체에 작용한다. 회전수가 어느 정도 높으면, 상기의 되밀어내는 힘이 발생해도 전동체를 전동면에 눌러 둘 수 있지만, 회전체가 회전하기 시작한 상태 혹은 정지 직전의 상태에서는 원심력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전동체가 전동면으로부터 일시적으로 이격되거나, 그 후에 다시 접촉하거나 한다. 혹은 전동체가 가이드 홈의 바닥부에 맞닿도록 가이드 홈의 내부로 되밀어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동체가 관성체 (전동면) 나 가이드 홈의 바닥부에 맞닿는 것에 의한 이음 (타음)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즉, 전동면은, 전동체의 접촉 지점이 전술한 중앙부로부터 어긋남으로써 전동체에 대해, 가이드 홈의 내부로 되밀어내는 작용을 발생시키는 부분이고, 그러한 되밀어내기 작용이 요인이 되어 이음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전동면에 의해 전동체를 되밀어내는 작용이 요인이 되는 이음에 주목되고 있지 않아, 이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동면이 전동체를 원심력과는 반대 방향으로 되밀어내는 작용에서 기인하는 타음 혹은 이음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토크가 입력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토크가 변동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가압되는 전동체와, 상기 전동체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시키고, 또한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으로는 소정의 한계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전동체가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려 전동됨과 함께,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동체를 상기 원심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계 위치측으로 되밀어내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전동면을 구비하고, 상기 관성체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비틀림 진동을 억제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면에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려 있는 상기 전동체가,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전동면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계 위치를 향하여 되밀어내진 경우에, 상기 전동체가 상기 한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방향의 회전 규제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 규제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향하는 면을 구비한,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1 대향부에 있어서의 상기 면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전동체를 상기 한계 위치로 되밀어내는 방향으로 상기 관성체와 상기 전동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한 경우에 상기 제 1 대향부에 맞닿는 제 2 대향부를 갖고, 상기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전동면이 상기 전동체를 상기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계 위치로까지 되밀어내는 데에 필요로 하는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에 따른 상기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이동 거리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이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성체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삽입시킴과 함께,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서 대향하는 내측면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대향부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이고, 상기 제 2 대향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의 상기 내측면이며, 상기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대향부 중의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대향부 중의 어느 타방을 향하여 돌출된 어댑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상기 어댑터는,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이 발명에서는,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전동체의 일부에 접촉하여, 상기 전동체를 상기 가이드부에 있어서 상기 한계 위치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 규제부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관성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와 상기 관성체가 상대 회전한 경우에 상기 회전체와 상기 관성체의 상대 회전 각도를 줄이는 방향의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한편, 이 발명은, 토크가 입력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토크가 변동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소정의 반경 위치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되고, 또한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웨이트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가압되는 전동체와, 상기 전동체가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려 전동됨과 함께,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동체를 상기 원심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측으로 되밀어내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전동면을 구비하고, 상기 관성체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비틀림 진동을 억제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면에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려 있는 상기 전동체가,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전동면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되밀어내진 경우에, 상기 축부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전동체를 유지하는 완충 부재가, 상기 회전체와 상기 전동체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토크가 입력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토크가 변동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소정의 반경 위치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되고, 또한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웨이트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가압되는 전동체와, 상기 전동체가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려 전동됨과 함께,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동체를 상기 원심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측으로 되밀어내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전동면을 구비하고, 상기 관성체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비틀림 진동을 억제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오목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부의 외주면의 곡률 반경과 상기 바닥부에 있어서의 오목 원호면의 곡률 반경이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발명은, 토크가 입력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토크가 변동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소정의 반경 위치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되고, 또한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웨이트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가압되는 전동체와, 상기 전동체가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려 전동됨과 함께,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동체를 상기 원심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측으로 되밀어내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전동면을 구비하고, 상기 관성체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비틀림 진동을 억제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가 전동면에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리고 또한 상기 회전체와 상기 관성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축부와 상기 바닥부의 간격이, 동심원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전동체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최소 간격과, 상기 전동면이 상기 전동체를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압하하는 최대 치수를 가산한 치수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의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서는, 회전체와 관성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전동체가 전동면에 의해,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부의 한계 위치를 향하여 되밀어내진다. 그 되밀어내진 양은, 회전체와 관성체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에 따른 양이 된다. 그 상대적인 회전 각도가 점차 커지면, 그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력이 발생하고, 또 증대된다. 이와 같은 회전 규제력의 증대는, 전동체가 가이드부의 한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한다. 그 때문에, 전동체가 가이드부의 바닥부에 맞닿거나, 맞닿은 경우의 타격력이 커지거나 하는 것이 회피 혹은 억제되고, 그 결과, 전동체의 상기와 같은 동작에 기초하는 타음 등의 이음을 저감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서는, 제 1 대향부와 제 2 대향부가 맞닿으면, 회전체와 관성체는 그 이상으로는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제 1 대향부와 제 2 대향부가 맞닿을 때까지 회전체와 관성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전동체가 가이드부를 따라 그 한계 위치를 향하여 되밀어내지지만, 그 되밀어내진 거리로는 전동체는 한계 위치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전동체에 의한 타음의 발생이 회피된다.
이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회전체와 관성체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어댑터를 형성할 수 있고, 그 어댑터가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대향부와 제 2 대향부의 맞닿음에 의한 타음 등의 이음을 저감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에서는, 회전체와 관성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전동체가 전동면에 의해 되밀어내지는 경우, 그 상대 회전이 급격함으로써, 전동체를 가이드부의 한계 위치를 향하여 되밀어내는 힘이 크면, 전동체가 한계 위치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이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 전동체를 한계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유지하는 완충 부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체가 한계 위치에 직접 맞닿거나, 그에 따라 타음 등의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 혹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그 완충 부재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완충 부재로 충격력을 줄여, 타음 등의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 혹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전동체가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있는 축부를 갖고, 또한 가이드 홈의 바닥부가 오목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들 축부의 외주면의 곡률 반경과 가이드 홈의 바닥부의 곡률 반경이 동등함으로써, 축부가 바닥부에 맞닿은 경우, 양자가 맞닿는 지점이 면이 됨과 함께, 그 면적이 넓어지므로, 면압이 증대되거나, 응력 집중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회피 혹은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이 발명에서는,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전동체에 의해 회전체와 관성체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관성체는 회전체에 대해 그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체를 가이드 홈의 바닥부를 향하여 되밀어내는 작용은, 전동면이 전동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양자의 접촉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전동면을 구비하고 있는 관성체가 회전체에 대해 그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에 반하여, 이 발명에서는, 이들 작용에 의한 전동체의 되밀어내진 치수보다, 전동체의 축부와 가이드 홈의 바닥부의 간격을 크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동체에 원심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토크 변동이나 진동 등의 어떠한 요인에 의해, 전동체가 전동면 및 관성체에 의해 가이드 홈의 바닥부를 향하여 되밀어내진다고 해도, 전동체가 가이드 홈의 바닥부에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없고, 그 결과, 전동체가 되밀어내지는 것이 요인이 되는 타음 등의 이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절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가이드부의 측면과 절결부의 내측면을 접촉시켜 회전체와 관성체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 는 절결부측에 어댑터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어댑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가이드부측에 어댑터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낸 어댑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회전체와 관성체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은 어댑터의 부착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 은 어댑터의 부착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 는 어댑터의 부착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 은 어댑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 는 어댑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16 은 전동체를 1 쌍의 레버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 은 전동체를 코일 스프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 은 회전체와 관성체가 중립 상태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1) 는, 회전체 (2), 관성체 (3) 및 복수의 전동체 (4) 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 (2) 는,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된 구동원으로부터 토크가 전달 (입력) 되어 회전 축선 L1 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회전체 (2) 는, 도시되지 않은 엔진의 크랭크축, 토크를 차륜에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 및 차축 등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그 입력되는 토크가 변동 (진동) 되면, 회전체 (2) 가 회전 방향으로 진동 (비틀림 진동) 한다.
회전체 (2) 의 이른바 본체가 되는 부분은 원판상의 제 1 플레이트 (5)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그 질량을 작게 하기 위해서, 강도 혹은 강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복수의 펀칭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 제 1 플레이트 (5) 의 외주부에는, 전동체 (4) 를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부 (6) 가, 제 1 플레이트 (5) 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 (6) 는, 전동체 (4) 를 회전체 (2) 의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시키고, 또한 반경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 (6) 의 일례는 가이드 홈이다. 도 1 에 입각하여 설명하면, 제 1 플레이트 (5) 의 외주부에, 두 갈래의 포크상의 부분이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고, 그들 두 갈래의 포크상의 부분이 가이드부 (6) 로서의 가이드 홈으로 되어 있다. 또, 가이드부 (6) 는, 회전체 (2) 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반경 위치를 한계 위치 (바닥부) (7) 로 하고, 그 바닥부 (7) 로부터 회전체 (2) 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회전체 (2) 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을 향하여 열려 있다. 또한, 가이드부 (6)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개로 충분한 경우가 많지만,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2 개, 혹은 4 개 이상 등, 요점은 복수이면 된다.
전동체 (4) 는, 회전체 (2) 와 함께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회전체 (2) 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가압되고, 또한 후술하는 관성체 (3) 의 전동면을 따라 전동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전동체 (4) 는, 회전체 (2) 에 유지되어 회전함과 함께 회전체 (2) 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전동면 상을 전동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형상 등은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동체 (4) 는, 축부 (8) 와, 그 양단부에 형성된 웨이트부로서의 대직경부 (9) 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 (8) 는, 전동체 (4) 를 회전체 (2) 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구속시키고, 또한 반경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전술한 가이드부 (6) 의 홈에 걸어 맞춘다. 따라서, 축부 (8) 의 외경은, 가이드부 (6) 의 홈 폭보다 작다. 바꿔 말하면, 가이드부 (6) 의 홈 폭은, 축부 (8) 가 회전체 (2) 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축부 (8) 의 길이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 (2) 의 판 두께보다 길고, 따라서 좌우의 대직경부 (9) 의 측면이 회전체 (2) 의 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축부 (8) 는,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를 향하여 되밀어내져 바닥부 (7) 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축부 (8) 의 외형 형상과 바닥부 (7) 의 내면 형상이 근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축부 (8) 는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고, 또 바닥부 (7) 는 오목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축부 (8) 의 외주면의 곡률 반경과 바닥부 (7) 의 내면의 곡률 반경이 동등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맞닿은 경우의 양자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면압이 증대되거나, 응력 집중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회피 혹은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동체 (4)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축부 (8) 의 양단부에, 축부 (8) 보다 대직경인 대직경부 (9) 를 일체화시키고 있음으로써, 단면 형상이 대략 H 자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 (8) 가 가이드부 (6) 의 홈에 걸어 맞춰져 그 홈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이에 반하여, 대직경부 (9)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성체 (3) 에 접촉하여 전동한다. 따라서, 축부 (8) 는 대직경부 (9) 와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축부 (8) 와 가이드부 (6) 사이의 마찰을 가급적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 축부 (8) 에 베어링 (도시 생략) 을 끼워 맞춰도 된다. 그 경우, 전술한 바닥부 (7) 의 곡률 반경과 베어링의 외주면의 곡률 반경을 동등하게 한다.
다음으로 관성체 (3) 에 대해 설명하면, 관성체 (3) 는, 질량과 가속도의 곱인 관성력을, 회전체 (2) 의 토크 변동에 대한 제진 토크로서 작용시키기 위한 이른바 댐퍼 매스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관성체 (3) 는 상기 서술한 회전체 (2) 와 동심원 상에 배치되는 링상의 제 2 플레이트 (10) 를 구비하고 있다. 내주측의 구멍부 (11) 는, 전술한 회전 축선 L1 을 중심으로 한 원 형상으로서, 그 내경은, 회전체 (2) 를 구성하고 있는 제 1 플레이트 (5) 의 외경보다 크고, 따라서 회전체 (2) 와 관성체 (3) 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구멍부 (11) 로부터 반경 방향에서 외측을 향하여 패인 복수의 절결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 (12) 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오목부에 상당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회전체 (2) 에 있어서의 가이드부 (6) 및 전동체 (4) 를 비집고 들어가게 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절결부 (12) 는, 상기의 가이드부 (6) 와 동일한 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절결부 (12) 의 폭 (원주 방향으로 측정한 안치수) 은, 전동체 (4) 가 전동하는 설계상 결정한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관성체 (3) 의 외주부 중 각 절결부 (12) 에 대응하는 부분은, 양측면측으로 돌출되어 두껍게 형성된 팽출부 (13) 로 되어 있고, 그들 팽출부 (13) 의 반경 방향에서 내측에 전동면 (14) 이 형성되어 있다. 각 팽출부 (13) 의 돌출 길이 즉 전동면 (14) 의 폭은, 전술한 각 대직경부 (9) 의 두께 (축선 방향에서의 치수) 이상의 폭이다. 이들 각 전동면 (14) 은, 관성체 (3) 의 원주 방향에서의 중앙부가 반경 방향에서 외측을 향하여 패인 오목 곡면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전동면 (14) 은, 그것들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상기 회전 축선 L1 로부터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오목 원호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체 (4) 가 원심력에 의해 회전체 (2) 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가압된 경우, 각 전동체 (4) 는 각각의 대직경부 (9) 를 각각에 대응하는 전동면 (14) 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관성체 (3) 에 눌린다. 그 경우, 대직경부 (9) 와 전동면 (14) 의 접촉점에서의 법선 방향과 원심력의 작용 방향이 일치한 상태에서, 전동면 (14) 내에서의 각 대직경부 (9) 의 위치가 안정되므로, 전동체 (4) 는, 원심력을 받음으로써, 전동면 (14) 의 최외주 위치 (원주 방향에서의 중앙부) (14a) (도 3 참조) 가 전동체 (4) 와의 접촉점이 되도록 관성체 (3) 에 대해 토크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전동면 (14) 중, 회전 축선 L1 로부터 가장 먼 중앙부 (14a) 에 전동체 (4) 의 대직경부 (9) 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이른바 중립 상태이며, 이 중립 상태에서는, 전동체 (4) 는 전동면 (14) 에 원심력에 의해 눌릴 뿐으로, 관성체 (3) 에 대해 토크를 부여하는 경우는 없다.
전동체 (4)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 (2) 에 대해 가이드부 (6) 의 홈에 의해 회전 방향에 대해 구속되고, 또 관성체 (3) 에 대해 전동면 (14) 의 중앙부 (14a) 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원심력에 의해 눌린다. 회전체 (2) 와 관성체 (3) 는 이와 같이 하여 전동체 (4)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회전체 (2) 와 관성체 (3) 는, 각각의 상대 각도 (혹은 위상차) 가 「0」이 되는 상기 중립 상태로 복귀하도록 전동체 (4)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관성체 (3) 는, 전동체 (4) 의 축선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관성체 (3) 중 각 전동면 (14) 사이의 부분이, 전동체 (4) 의 축선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 (15) 이고, 전술한 회전체 (2) 에 있어서의 제 1 플레이트 (5) 나 가이드부 (6) 의 판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그 형상의 일례를 도 2 에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조정부 (15) 는, 반경 방향에서의 외측인 전동면 (14) 측으로부터 상기 절결부 (12) 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판상의 부분으로서, 전동면 (14) 측에서 가장 두껍고, 그 두께는 전동체 (4) 에 있어서의 각 대직경부 (9) 의 간격 (서로 대향하는 측면끼리의 사이의 치수) 과 거의 동일하거나, 혹은 약간 큰 두께로 설정되어 있다. 또, 절결부 (12) 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이른바 선단부를 향하여 판 두께가 점차 얇아지고 있어, 그 선단부가 가장 얇고, 그 판 두께는 회전체 (2) 를 구성하고 있는 제 1 플레이트 (5) 의 판 두께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정부 (15) 의 좌우 양측면은, 판 두께 방향의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동체 (4) 가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 어느 대직경부 (9) 가 조정부 (15) 의 경사진 측면에 접촉하면, 전동체 (4) 에는 원심력이 작용하고 있음으로써, 전동체 (4) 는 조정부 (15) 의 경사진 측면에 의해 당해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린다. 그 결과, 전동체 (4) 는, 좌우의 대직경부 (9) 사이에 조정부 (15) 를 둔 위치, 즉 축선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로 위치 조정된다.
상기 서술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1) 에서는, 회전체 (2) 가 회전함으로써 전동체 (4) 에 원심력이 작용하면, 전동체 (4) 는 가이드부 (6) 를 따라 회전체 (2) 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이동하고, 관성체 (3) 에 있어서의 전동면 (14) 에 눌린다. 전동체 (4) 가 전동면 (14) 에 있어서의 중앙부 (14a) 로부터 어긋나 있으면, 관성체 (3) 에 대해 원심력에 기초하는 토크가 작용하여, 전동면 (14) 의 중앙부 (14a) 가 전동체 (4) 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관성체 (3) 가 회전체 (2) 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의 상대 회전 각도가 「0」이고 각각의 위상이 일치하고 있는 이른바 중립 상태에서는, 전동체 (4) 는 회전체 (2) 의 반경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그 축부 (8) 는 가이드부 (6) 에 있어서의 바닥부 (7) 로부터 멀어져 있다. 이에 반하여, 회전체 (2) 에 입력되는 토크가 변동되면, 관성체 (3) 는 그 관성력에 의해 회전체 (2) 에 대한 상대 위치를 유지하려고 하므로,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동면 (14) 이 전동체 (4) 혹은 가이드부 (6) 의 외주측의 위치로부터 회전체 (2) 의 회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전동체 (4) 는 전동면 (14) 상을 그 중앙부 (14a) 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 전동된다. 전동면 (14) 에 있어서의 중앙부 (14a) 가 회전체 (2) 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이기 때문에, 전동체 (4) 가 상기 중앙부 (14a) 로부터 어긋나면, 전동체 (4) 는 전동면 (14) 에 의해 가이드부 (6) 를 따라 그 바닥부 (7) 를 향하여 되밀어내진다. 그 되밀어내진 치수는, 전동면 (14) 의 곡률 및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의 상대 회전 각도에 의해 결정되고, 상대 회전 각도가 커질수록 커진다.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되밀어내진 전동체 (4) 가 상기 바닥부 (7) 에 맞닿는 것에 의한 타음 등의 이음을 방지 혹은 억제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 일례를 도 4 에 나타내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예는, 가이드부 (6) 의 측면 (6a) 을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에 접촉시킴으로써,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반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 예이다. 따라서, 이들 측면 (6a) 및 내측면 (12a) 이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규제부에 상당하고, 또 제 1 대향부 및 제 2 대향부에 상당하고 있다. 따라서, 도 4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가이드부 (6) 의 좌우의 측면 (6a) 과 그 측면 (6a) 에 대향하는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의 간격은, 회전체 (2) 와 관성체 (3) 가, 당해 간격이 메워질 때까지 (0 이 될 때까지) 상대 회전한 경우라도, 전동체 (4) (특히 그 축부 (8)) 가 가이드부 (6) 에 있어서의 바닥부 (7) 에 도달하지 않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즉, 전동면 (14) 이 전동체 (4) 를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에까지 압하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상기 측면 (6a) 및 내측면 (12a) 의 상대 이동 거리보다, 중립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 (6a) 과 상기 내측면 (12a) 의 간격이 짧게 설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규제부는, 전동체 (4) (특히 그 축부 (8)) 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에 맞닿기 전에, 가이드부 (6) 가 절결부 (12) 에 맞닿아,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의 상대 회전이 그 이상으로 커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체 (4) 에 중력 이상의 원심력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동체 (4) 가 가이드부 (6) 의 한계 위치인 바닥부 (7) 로까지 되밀어내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전동체 (4) 가 바닥부 (7) 에 맞닿거나, 그에 수반하여 이음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회피 혹은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측면 (6a) 과 내측면 (12a) 을 직접 접촉시켜 회전 규제를 실시하는 구성 대신에, 적절한 어댑터를 사용하여 회전 규제를 실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예를 도 5 내지 도 12 에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예는,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으로부터 가이드부 (6) 를 향하여 돌출된 어댑터 (20) 를 관성체 (3) 에 부착한 예이다. 어댑터 (20) 는, 판상의 부재로서, 그 두께는, 전동체 (4) 에 있어서의 각 대직경부 (9) 끼리의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예를 들어 관성체 (3) 를 구성하고 있는 제 2 플레이트 (10) 와 동일한 정도의 두께이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20) 는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어댑터 (20) 와 가이드부 (6) 의 측면 (6a) 의 간격은, 전술한 도 4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의 가이드부 (6) 의 측면 (6a) 과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의 간격과 동일한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 (20) 를 관성체 (3) 에 부착하는 수단은 적절히 필요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그 일례를 설명하면,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어댑터 (20) 를 コ 자상 단면으로 형성하고, 그 コ 자상의 부분에서 관성체 (3) 를 협지함과 함께, 이들 コ 자상의 부분 및 이것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관성체 (3) 에 리벳 (21) 을 관통시키고, 그 리벳 (21) 에 의해 어댑터 (20) 를 관성체 (3) 에 고정하면 된다.
도 5 및 도 6 은,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되고 있지 않고, 양자가 이른바 중립 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가이드부 (6) 는 좌우의 어느 어댑터 (20) 로부터도 이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회전체 (2) 에 입력되는 토크가 변동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관성체 (3) 가 회전체 (2) 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가이드부 (6) 가 도 5 혹은 도 6 의 좌우 어느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전동체 (4) 가 전동면 (14) 의 표면 상을 전동하여, 가이드부 (6) 를 따라 그 바닥부 (7) 를 향하여 되밀어내진다. 그리고 그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맞닿기 이전에 가이드부 (6) 의 측면 (6a) 과 어댑터 (20) 가 접촉하여, 관성체 (3) 와 회전체 (2) 가 그 이상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다. 즉, 전동체 (4) 가 그 이상으로 되밀어내지지 않아,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맞닿는 경우가 없다.
또한, 어댑터 (20)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성체 (3) 를 구성하고 있는 제 2 플레이트 (10) 에 있어서의 구멍부 (11) 의 내주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회전체 (2) 가 정지하여 전동체 (4) 에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그에 수반하여 관성체 (3) 가 전동체 (4) 와 함께 중력에 의해 회전체 (2) 측으로 낙하하는 경우, 관성체 (3) 가 회전체 (2) 에 직접 맞닿지 않고, 어댑터 (20) 가 회전체 (2) 의 외주면 (제 1 플레이트 (5) 의 외주면) 에 맞닿는다. 회전체 (2) 및 관성체 (3) 가 금속제인 데에 반하여, 어댑터 (20) 는 합성 수지 등의 탄성 재료 혹은 유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끼리의 맞닿음에 의한 타음 (이음) 을 회피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 은, 가이드부 (6) 측에 어댑터 (25) 를 형성한 예이다. 어댑터 (25) 는, 가이드부 (6) 의 좌우의 각 측면 (6a) 을 덮는 2 개의 커버부 (25a) 와, 그들 커버부 (25a) 를 돌출 형성하고 있는 기부 (基部) (25b) 를 가지고 있다. 그 기부 (25b) 는, 회전체 (2) 를 구성하고 있는 제 1 플레이트 (5) 의 외주부 중 가이드부 (6)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측면에 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어댑터 (25) 는 그 기부 (25b) 를 리벳 (26) 에 의해 제 1 플레이트 (5) 에 고정시킴으로써 회전체 (2) 에 부착되어 있다. 이 어댑터 (25) 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어댑터 (20) 와 동일하게,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에 맞닿은 경우의 완충을 실시하도록,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댑터 (25) 에 있어서의 커버부 (25a) 와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의 간격 (회전체 (2) 와 관성체 (3) 가 전술한 중립 상태에 있는 경우의 간격) 은, 회전체 (2) 와 관성체 (3) 가 상대 회전한 경우에, 전동체 (4) 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에 도달하기 전에 커버부 (25a) 와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이 접촉하는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7 및 도 8 은,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되고 있지 않고, 양자가 이른바 중립 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가이드부 (6) 에 부착되어 있는 어댑터 (25) 의 커버부 (25a) 는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회전체 (2) 에 입력되는 토크가 변동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관성체 (3) 가 회전체 (2) 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가이드부 (6) 가 도 7 혹은 도 8 의 좌우 어느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전동체 (4) 가 전동면 (14) 의 표면 상을 전동하고, 그 결과, 가이드부 (6) 를 따라 그 바닥부 (7) 를 향하여 되밀어내진다. 그리고 그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맞닿기 이전에 가이드부 (6) 에 부착되어 있는 어댑터 (25) 의 커버부 (25a) 가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에 접촉하여, 관성체 (3) 와 회전체 (2) 의 그 이상의 상대 회전이 저지된다. 즉, 전동체 (4) 가 그 이상으로 되밀어내지지 않아,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맞닿는 경우가 없다.
상기 서술한 회전 규제부는, 가이드부 (6) 의 측면 (6a) 과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이 맞닿거나, 혹은 어댑터 (20) 와 가이드부 (6) 의 측면 (6a) 이 맞닿거나, 혹은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과 어댑터 (25) 가 맞닿음으로써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규제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 이외에,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규제부는,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의 상대 회전 각도가 증대됨으로써 회전 규제력이 점차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예를 도 9 에 나타내고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예는, 가이드부 (6) 의 좌우의 측면 (6a) 과, 이들 측면 (6a) 에 대향하는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혹은 인장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체 (30) 를 개재시킨 예이다. 좌우의 탄성체 (30) 는 길이를 동등하게 하거나 함으로써, 회전체 (2) 와 관성체 (3) 가 중립 상태에 있을 때 동등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에 상대 회전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좌우의 탄성체 (30) 의 탄성력이 균형이 잡히므로,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힘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 이에 반하여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면, 좌우의 탄성체 (30) 의 탄성력의 밸런스가 무너지므로, 그 상대 회전을 규제하여 중립 상태로 되돌리는 방향의 회전 규제력이 발생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전동체 (4) 가 원심력에 의해 전동면 (14) 에 눌려 있는 상태에서, 회전체 (2) 에 입력되는 토크가 변동되어 회전체 (2) 와 관성체 (3) 가 상대적으로 회전한 경우, 그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력이 발생함과 함께, 상대 회전 각도의 증대에 따라 회전 규제력이 점차 증대된다. 따라서, 상대 회전 속도가 점차 줄어든다. 한편, 전동체 (4) 는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의 상대 회전이 발생함으로써, 전동면 (14) 에 의해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를 향하여 되밀어내진다. 그 되밀어내짐 속도 (바닥부 (7) 를 향한 이동 속도) 는,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의 상대 회전 속도에 따른 속도가 된다. 따라서, 탄성체 (30) 를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상대 회전 속도가 점차 줄어드는 것에 의해, 전동체 (4) 를 바닥부 (7) 를 향하여 되밀어내는 속도가, 상대 회전 각도의 증대에 따라 점차 줄어든다. 그 때문에, 전동체 (4) 가 가이드부 (6) 를 따라 되밀어내져 그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맞닿는다고 해도, 그 맞닿음 속도 혹은 충격력이 작아지므로, 타음 등의 이음을 억제할 수 있고, 또 전동체 (4) 나 가이드부 (6) 의 손상이나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어댑터 (20, 25) 를 관성체 (3) 나 회전체 (2) 에 부착하는 구조에 대해, 관성체 (3) 에 대한 어댑터 (20) 의 부착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0 은 그 부착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어댑터 (20) 중 관성체 (3) 를 구성하고 있는 제 2 플레이트 (10) 를 사이에 끼운 측면부의 내측에는, 걸어 맞춤 후크 (22) 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제 2 플레이트 (10) 에 있어서의 절결부 (12) 를 따른 측연부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장출 (張出) 된 장출부 (10A) 가 형성되고, 걸어 맞춤 후크 (22) 가 그 장출부 (10A) 를 감싸 안아 장출부 (10A) 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걸어 맞춤 후크 (22) 끼리의 간격은, 장출부 (10A) 의 폭 (도 10 에 축선 방향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치수) 보다 작지만, 어댑터 (20) 를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걸어 맞춤 후크 (22) 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그 간격이 넓어지므로, 걸어 맞춤 후크 (22) 를 장출부 (10A) 에 걸 수 있다. 그 경우, 어댑터 (20) 의 부착에 헐거움이 있어도 된다. 특히 도 10 에 회전 방향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방향으로 헐거움이 있어도 된다. 그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가이드부 (6) 가 어댑터 (20) 에 맞닿은 경우에, 어댑터 (20) 가 그 맞닿음 방향으로 이동하여,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1 은 헐거움이 있는 상태에서, 리벳 (혹은 노크 핀) (21) 에 의해 어댑터 (20) 를 관성체 (3) 에 부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리벳 (21) 은 관성체 (3) 를 구성하고 있는 제 2 플레이트 (10) 에 빠져 나오지 않도록 조밀하게 끼워 맞추고 있다. 이에 반하여 어댑터 (20) 에 형성되어 있는 리벳공 (23) 의 내경은, 리벳 (21) 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양자 사이에 간극이 비어 있다. 따라서, 어댑터 (20) 는 그 간극의 분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한 경우라도, 상기 서술한 도 10 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하게, 가이드부 (6) 나 관성체 (3) 혹은 어댑터 (20) 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2 는, 어댑터 (20) 가 제 2 플레이트 (10) 에 대한 부착 부분으로서 제 2 플레이트 (10) 의 일방의 측면을 따르게 하는 부착편 (20a) 만을 갖고, 따라서 리벳 (혹은 노크 핀) (21) 으로서 부착편 (20a) 의 빠짐을 방지하는 헤드부 (21a) 를 갖는 리벳이 사용되고 있다. 또, 부착편 (20a) 에 형성되어 있는 리벳공 (23) 의 내경은, 리벳 (21) 의 외경보다 커서 양자 사이에 간극이 비어 있다. 따라서, 도 12 에 나타내는 구성이라도 어댑터 (20) 가 그 간극의 분만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 (6) 나 관성체 (3) 혹은 어댑터 (20) 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회전체 (2) 나 관성체 (3) 그리고 전동체 (4) 는, 큰 강도나 강성 혹은 비중이 요구되므로, 금속제가 된다. 그 때문에, 전동체 (4) 의 축부 (8) 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에 맞닿은 경우의 타음 등의 이음이 커지기 쉽다. 이에 반하여 전술한 어댑터 (20) 는, 요구되는 강도 혹은 강성이 작다. 그래서, 그 어댑터 (20) 와 마찬가지로 탄성 혹은 유연성이 있는 부재에 의해, 전동체 (4) 의 축부 (8) 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의 직접적인 맞닿음을 회피 혹은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 은 그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회전체 (2) 의 외주부 중 가이드부 (6) 의 근원에 상당하는 측면에, 전동체 (4) 의 상기 바닥부 (7) 를 향한 이동 혹은 바닥부 (7) 측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는 어댑터 (3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어댑터 (35) 는, 탄성재 혹은 유연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 1 플레이트 (5) 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회전체 (2) 의 반경 방향에서는 전동체 (4) 에 있어서의 대직경부 (9) 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대직경부 (9) 의 외주면의 곡률과 거의 동등한 곡률의 스토퍼면 (35a) 이, 어댑터 (35) 중 대직경부 (9) 에 대향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면 (35a) 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토퍼부에 상당하고 있어, 전동체 (4) 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측으로 되밀어내지거나, 혹은 낙하한 경우에, 축부 (8) 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에 맞닿기 전에, 대직경부 (9) 를 맞닿게 하여, 전동체 (4) 의 바닥부 (7) 측에 대한 그 이상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전동체 (4) 가 전동면 (14) 의 중앙부 (14a) 에 눌려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축부 (8) 와 바닥부 (7) 의 간격 A 보다, 스토퍼면 (35a) 과 대직경부 (9) 의 간격 H 가 작아지도록, 어댑터 (35) 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 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전동체 (4) 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측으로 눌린 경우, 대직경부 (9) 가 어댑터 (35) 의 스토퍼면 (35a) 에 접촉하고, 전동체 (4) 가 바닥부 (7) 측으로 그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즉, 전동체 (4) 는 축부 (8) 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유지된다. 그 때문에,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맞닿는 경우가 없고, 그 때문에 금속끼리의 맞닿음이나 그에 따른 타음 혹은 이음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어댑터 (35) 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완충 부재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어댑터 (35) (완충 부재) 는, 축부 (8) 가 바닥부 (7) 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전동체 (4) 를 유지하는 것이므로, 회전체 (2) 에 형성하는 대신에, 전동체 (4) 혹은 그 축부 (8) 에 형성해도 되고, 혹은 회전체 (2) 와 전동체 (4) 의 양방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완충 부재를 형성한 경우에는, 전술한 제 1 대향부나 제 2 대향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규제부는 형성해도 되고, 혹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도 13 에 나타내는 스토퍼면 (35a) 을 갖는 어댑터 (35) 에, 도 5 에 나타내는 어댑터 (20) 의 기능이나 도 7 에 나타내는 어댑터 (25) 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그 예를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내는 어댑터 (35) 는, 회전체 (2) 를 구성하고 있는 제 1 플레이트 (5) 의 외주면 중 가이드부 (6) 의 양측 부분을 덮는 숄더부 (36) 와, 그 숄더부 (36) 로부터 가이드부 (6) 의 측면 (6a) 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네크부 (37) 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숄더부 (36) 는 회전체 (2) 의 외주면과 관성체 (3) 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의 일부를 메우고 있다. 그 때문에, 회전체 (2) 에 대해 관성체 (3) 가 그 반경 방향으로 이동 혹은 낙하한 경우, 관성체 (3) 의 내주면이 어댑터 (35) 의 숄더부 (36) 에 접촉하여 그 이상으로 회전체 (2) 에 접근하는 경우가 없다. 즉, 관성체 (3) 가 회전체 (2) 에 맞닿는 것이 숄더부 (36) 에 의해 회피된다.
또, 가이드부 (6) 의 측면 (6a) 과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사이에, 어댑터 (35) 에 있어서의 네크부 (37) 가 개재하게 된다. 그 때문에, 회전체 (2) 와 관성체 (3) 가 상대적으로 회전한 경우, 절결부 (12) 의 내측면 (12a) 이 네크부 (37) 에 접촉하면, 그 이상으로 회전체 (2) 와 관성체 (3) 가 상대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다. 그 상태에서는,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의 상대 회전 각도가 제한되므로, 전동체 (4) 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측으로 되밀어내진다고 해도, 그 축부 (8) 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에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맞닿거나, 그에 수반하여 타음 등의 이음이 발생하는 것이 회피 혹은 억제된다.
대직경부 (9) 를 지지함으로써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맞닿는 것을 회피하거나, 혹은 완충하기 위한 구성의 다른 예를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고 있다. 도 16 에 나타내는 예는, V 자상으로 탄성적으로 열려 있는 1 쌍의 레버 (40) 에 의해 대직경부 (9) 를 받아들이도록 구성한 예이다. 1 쌍의 레버 (40) 는, 가이드부 (6) 의 근원에 상당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조인트 핀 (41) 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1 쌍의 레버 (40) 는 그 조인트 핀 (41) 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레버 (40) 는, 스프링 등의 탄성 지지 부재 (도시 생략) 에 의해 닫히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다. 요컨대, 1 쌍의 레버 (40) 는, 대직경부 (9) 를 하측 (회전체 (2) 의 중심측) 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6 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전동체 (4) 가 가이드부 (6) 를 따라 바닥부 (7) 측으로 되밀어내진 경우, 혹은 낙하한 경우,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접촉하는 것에 선행하여 대직경부 (9) 가 1 쌍의 레버 (40) 에 접촉하여, 레버 (40) 를 밀어서 연다. 그 경우, 레버 (40) 를 밀어서 여는 것에 의한 반력 (레버 (40) 를 닫는 방향의 힘) 이 대직경부 (9) (즉 전동체 (4)) 를 바닥부 (7) 와는 반대 방향으로 미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그 때문에, 전동체 (4) 는 1 쌍의 레버 (40) 에 의해,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유지된다. 혹은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도달한다고 해도, 축부 (8) 가 바닥부 (7) 에 맞닿을 때의 속도가 1 쌍의 레버 (40) 에 의해 줄어들기 때문에, 축부 (8) (전동체 (4)) 가 바닥부 (7) (가이드부 (6) 의 한계 위치) 에 맞닿을 때의 충격력이나 타음 (이음) 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예는, 완충을 위한 탄성력을 직접 전동체 (4) 에 작용시키도록 구성한 예이다. 도 17 에 있어서, 회전체 (2) 를 구성하고 있는 제 1 플레이트 (5) 의 외주부 중 가이드부 (6) 에 있어서의 바닥부 (7) 보다 반경 방향에서 내주측의 부분에, 축선 방향으로 돌출된 받이 시트 (45)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받이 시트 (45) 는 전동체 (4) 에 있어서의 대직경부 (9) 의 외주면에 대향 하고 있고, 이들 받이 시트 (45) 와 대직경부 (9) 의 외주면 사이에 코일 스프링 (46) 이 개재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 (46) 은, 전동체 (4) 를 전동면 (14) 에 누르고 있어도 되고, 혹은 전동체 (4) 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측으로 되밀어내진 경우에 대직경부 (9) 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7 에 있어서의 부호 47 은 베어링을 나타내고, 베어링 (47) 은 축부 (8) 에 끼워 맞춰져 있다.
따라서, 도 17 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코일 스프링 (46) 이 전동체 (4) 를 회전체 (2) 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을 향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베어링 (47) 을 포함하는 축부 (8) 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에 맞닿는 것이 방지 혹은 억제되고, 그 결과, 타음 등의 이음이나 충격력을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6 이나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체 (4) 를 회전체 (2) 의 중심측으로부터 반경 방향에서 외측을 향하여 지지하는 부재 (레버 (40) 나 코일 스프링 (46)) 를 형성한 경우에는, 전술한 제 1 대향부나 제 2 대향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규제부는 형성해도 되고, 혹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런데, 전동체 (4) 를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를 향하여 압하하는 작용은, 회전체 (2) 와 관성체 (3) 가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전동체 (4) 가 전동면 (14) 중 회전체 (2) 의 회전 중심에 가까운 지점에 접촉하는 것 (즉 전동체 (4) 가 전동면 (14) 에 의해 압하되는 것) 및 관성체 (3) 가 회전체 (2) 에 대해 편심하여 전동면 (14) 자체가 가이드부 (6) 에 접근하는 것에 의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18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8 은 회전체 (2) 와 관성체 (3) 가 이른바 중립 상태로 되어 있어, 이것들이 동심원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회전체 (2) 가 어느 정도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어 전동체 (4) 에 충분한 원심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전동체 (4) 는 회전체 (2) 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고, 그 축부 (8) 와 가이드부 (6) 에 있어서의 바닥부 (7) 의 간격은, 최대인 S1 이 되어 있다. 또, 동심원 상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체 (2) 와 관성체 (3) 사이의 간격 중, 전동체 (4) 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한 최소 간격은, 예를 들어 제 1 플레이트 (5) 의 외주면과 제 2 플레이트 (10) 의 구멍부 (11) 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 S2 이다. 또한, 회전체 (2) 와 관성체 (3) 가 허용되는 최대한의 각도까지 상대 회전한 경우의 전동면 (14) 에 의한 전동체 (4) 의 압하 최대 치수 S3 은, 전동면 (14) 의 곡률 반경 및 상대 회전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각 치수 S1, S2, S3 은,
S1 ≥ S2 + S3
의 관계로 되어 있다. 즉, 전동체 (4) 가 전동면 (14) 에 원심력에 의해 눌리고 또한 상기 회전체 (2) 와 상기 관성체 (3) 가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있지 않은 중립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축부 (8) 와 상기 바닥부 (7) 의 간격이, 동심원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관성체 (3) 와 상기 회전체 (2) 의 상기 전동체 (4) 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최소 간격과, 상기 전동면 (14) 이 상기 전동체 (4) 를 상기 바닥부 (7) 를 향하여 압하하는 최대 치수를 가산한 치수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부의 치수 S1, S2, S3 을 상기의 관계가 되도록 설정해 두면, 회전체 (2) 와 관성체 (3) 가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전동체 (4) 가 전동면 (14) 에 의해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를 향하여 압하되고, 아울러 관성체 (3) 가 전동체 (4) 의 가이드부 (6) 를 따른 이동 방향과 동 방향으로 이동 (낙하) 한 경우, 전동면 (14) 에 의한 전동체 (4) 의 압하 치수 S2 와, 관성체 (3) 의 이동량 (낙하량) S3 을 합산한 치수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를 향한 전동체 (4) 의 압하 치수 (S2 + S3) 가 된다. 그러나, 그 압하 치수 (S2 + S3) 는, 전동체 (4) (축부 (8)) 와 바닥부 (7)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상기의 치수 S1 이하이기 때문에, 전동체 (4) 가 전동면 (14) 에 의해 최대한 압하되고, 또 관성체 (3) 에 의해 압하되었다고 해도, 관성체 (3) 가 회전체 (2) 에 접촉하여, 그 이상으로는 이동 (낙하) 하지 않기 때문에, 전동체 (4) (축부 (8)) 가 가이드부 (6) 의 바닥부 (7) 에 맞닿거나, 그에 수반하여 타음 (이음) 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이 회피 혹은 억제된다.
이상,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이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을,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하여 이 발명에 관련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부의 예로서 가이드 홈을 나타냈지만, 이 발명에 있어서의 가이드부는, 레일상 혹은 로드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더욱이 또한, 전동체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체와 관성체의 최소 간격을,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간격으로 했지만, 회전체와 관성체가 전동체의 이동 방향 (중력 방향) 에서 대향하는 지점은 회전체나 관성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그 형상에 따라 최소 간격을 적절히 채용하면 된다.
1 :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2 : 회전체
3 : 관성체
4 : 전동체
6 : 가이드부
6a : 측면
7 : 바닥부 (한계 위치)
8 : 축부
9 : 대직경부
10 : 플레이트
12 : 절결부
12a : 내측면
14 : 전동면
14a : 중앙부
20, 25, 35 : 어댑터
21 : 리벳
30 : 탄성체
35a : 스토퍼면
40 : 레버
46 : 코일 스프링

Claims (9)

  1. 토크가 입력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토크가 변동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가압되는 전동체와,
    상기 전동체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시키고, 또한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으로는 소정의 한계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전동체가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려 전동됨과 함께,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동체를 상기 원심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계 위치측으로 되밀어내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전동면을 구비하고,
    상기 관성체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비틀림 진동을 억제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면에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려 있는 상기 전동체가,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전동면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계 위치를 향하여 되밀어내진 경우에, 상기 전동체가 상기 한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방향의 회전 규제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규제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향하는 면을 구비한,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1 대향부에 있어서의 상기 면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전동체를 상기 한계 위치로 되밀어내는 방향으로 상기 관성체와 상기 전동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한 경우에 상기 제 1 대향부에 맞닿는 제 2 대향부를 갖고,
    상기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전동면이 상기 전동체를 상기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계 위치로까지 되밀어내는 데에 필요로 하는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에 따른 상기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이동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성체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삽입시킴과 함께,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서 대향하는 내측면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대향부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이고,
    상기 제 2 대향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의 상기 내측면이고,
    상기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대향부 중의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대향부 중의 어느 타방을 향하여 돌출된 어댑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전동체의 일부에 접촉하여, 상기 전동체를 상기 가이드부에 있어서 상기 한계 위치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규제부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관성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와 상기 관성체가 상대 회전한 경우에 상기 회전체와 상기 관성체의 상대 회전 각도를 줄이는 방향의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7. 토크가 입력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토크가 변동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소정의 반경 위치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되고, 또한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웨이트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가압되는 전동체와,
    상기 전동체가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려 전동됨과 함께,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동체를 상기 원심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측으로 되밀어내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전동면을 구비하고, 상기 관성체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비틀림 진동을 억제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면에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려 있는 상기 전동체가,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전동면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되밀어내진 경우에, 상기 축부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전동체를 유지하는 완충 부재가, 상기 회전체와 상기 전동체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8. 토크가 입력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토크가 변동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소정의 반경 위치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되고, 또한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웨이트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가압되는 전동체와,
    상기 전동체가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려 전동됨과 함께,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동체를 상기 원심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측으로 되밀어내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전동면을 구비하고, 상기 관성체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비틀림 진동을 억제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오목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부의 외주면의 곡률 반경과 상기 바닥부에 있어서의 오목 원호면의 곡률 반경이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9. 토크가 입력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토크가 변동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소정의 반경 위치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되고, 또한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웨이트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가압되는 전동체와,
    상기 전동체가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려 전동됨과 함께,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동체를 상기 원심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측으로 되밀어내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전동면을 구비하고, 상기 관성체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비틀림 진동을 억제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가 상기 전동면에 상기 원심력에 의해 눌리고 또한 상기 회전체와 상기 관성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축부와 상기 바닥부의 간격이, 동심원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관성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전동체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최소 간격과, 상기 전동면이 상기 전동체를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압하하는 최대 치수를 가산한 치수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KR1020190111984A 2018-09-14 2019-09-10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KR102248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72273 2018-09-14
JP2018172273A JP7047683B2 (ja) 2018-09-14 2018-09-14 捩り振動低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533A true KR20200031533A (ko) 2020-03-24
KR102248325B1 KR102248325B1 (ko) 2021-05-04

Family

ID=6785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984A KR102248325B1 (ko) 2018-09-14 2019-09-10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62558B2 (ko)
EP (1) EP3636956A1 (ko)
JP (1) JP7047683B2 (ko)
KR (1) KR102248325B1 (ko)
CN (1) CN1109059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7947B2 (ja) * 2018-11-20 2022-06-21 株式会社アイシン 振動減衰装置およびその設計方法
JP7167905B2 (ja) * 2019-11-27 2022-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および捩り振動低減装置の制御装置
JP7120206B2 (ja) * 2019-11-29 2022-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遠心振り子式ダンパ
US11396923B2 (en) * 2020-09-15 2022-07-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Centrifugal pendulum absorber with radial travel stop
JP7294297B2 (ja) * 2020-10-21 2023-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振り子式捩り振動低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80540B2 (ja) * 2020-12-18 2023-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60959A1 (en) * 2013-08-09 2016-06-09 Aisin Aw Co., Ltd. Centrifugal-pendulum vibration absorbing device
JP2017002913A (ja) * 2015-06-04 2017-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JP6076570B1 (ja) * 2015-05-11 2017-0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ダンパ装置
JP2017031995A (ja) 2015-07-29 2017-0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JP2017145857A (ja) 2016-02-16 2017-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037A (ja) * 1994-04-08 1995-10-27 Unisia Jecs Corp 遠心振り子式吸振器
DE19804227B4 (de) * 1998-02-04 2006-03-09 Zf Sachs Ag Überbrückungskupplung mit einer Ausgleichsschwungmasse am Torsionsschwingungsdämpfer
DE102008059236A1 (de) * 2007-12-19 2009-06-25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Schwingungstilger
DE102010052388A1 (de) * 2009-12-03 2011-06-0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Drehschwingungsdämpfer
CN102792059B (zh) 2010-03-11 2015-09-23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离心摆装置
RU2014134381A (ru) * 2012-02-26 2016-04-10 Тойота Дзидося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Демпфер крутильных колебаний
JP2014122645A (ja) * 2012-12-20 2014-07-03 Toyota Motor Corp 捩り振動減衰装置
EP3123057B1 (de) * 2014-03-27 2021-10-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liehkraftpendel mit federanordnung
JP6201974B2 (ja) * 2014-12-16 2017-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振り子式捩り振動低減装置
JP6176231B2 (ja) * 2014-12-16 2017-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JP6577823B2 (ja) * 2015-10-23 2019-09-18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変動抑制装置、トルクコンバータ、及び動力伝達装置
CN107923481B (zh) * 2015-08-20 2020-02-04 株式会社艾科赛迪 转矩变动抑制装置、转矩变换器以及动力传递装置
JP6471737B2 (ja) * 2016-10-31 2019-0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JP2018091407A (ja) * 2016-12-02 2018-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JP6774352B2 (ja) 2017-02-17 2020-10-21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変動抑制装置、トルクコンバータ、及び動力伝達装置
JPWO2018199323A1 (ja) * 2017-04-28 2019-11-2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振動減衰装置
JP6874585B2 (ja) * 2017-08-09 2021-05-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遠心振り子式ダンパ
US10816058B2 (en) * 2018-03-16 2020-10-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orsional vibration dam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095515B2 (ja) * 2018-09-14 2022-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60959A1 (en) * 2013-08-09 2016-06-09 Aisin Aw Co., Ltd. Centrifugal-pendulum vibration absorbing device
JP6076570B1 (ja) * 2015-05-11 2017-0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ダンパ装置
JP2017002913A (ja) * 2015-06-04 2017-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JP2017031995A (ja) 2015-07-29 2017-0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JP2017145857A (ja) 2016-02-16 2017-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325B1 (ko) 2021-05-04
CN110905968B (zh) 2021-11-02
JP7047683B2 (ja) 2022-04-05
US11162558B2 (en) 2021-11-02
CN110905968A (zh) 2020-03-24
US20200088264A1 (en) 2020-03-19
JP2020045913A (ja) 2020-03-26
EP3636956A1 (en) 202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1533A (ko)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JP3090896B2 (ja) 連結要素としての転動体を備えたねじり振動ダンパー
KR102079598B1 (ko) 비틀림 진동 감쇠 장치
KR102523620B1 (ko) 자동차용 원심력 진자 및 구동 배열체
JP6810744B2 (ja) 振子減衰装置
JP7095515B2 (ja) 捩り振動低減装置
US20080237955A1 (en) Spring seat and damper disk assembly
US20140352290A1 (en) Torsional vibration damping device
US20110091142A1 (en) Support Arrangement for the Axially and Radially Yielding Support of a Shaft Bearing
JP5068666B2 (ja) 内燃機関用の慣性フライホイール
KR102575110B1 (ko) 진자 댐핑 장치
JP2020133813A (ja) 回転装置
KR102019748B1 (ko) 비틀림 진동 댐퍼
WO2018016212A1 (ja) トルク変動抑制装置、トルクコンバータ、及び動力伝達装置
US10240658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ing device
JP7020574B2 (ja) 遠心振り子ダンパ及びトルク伝達装置
JP2011202782A (ja) 振子式吸振器
JP2020133814A (ja) 回転装置
JP2013148211A (ja) 振子ダンパ
JP6030375B2 (ja) ダンパ装置
US20200032875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KR101350175B1 (ko) 히스테리시스 부재를 이중 구비한 이중질량 플라이휠
JP5522061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0452260B1 (ko) 진동감쇠장치
KR102090212B1 (ko) 토셔널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