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893A -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893A
KR20200012893A KR1020197036667A KR20197036667A KR20200012893A KR 20200012893 A KR20200012893 A KR 20200012893A KR 1020197036667 A KR1020197036667 A KR 1020197036667A KR 20197036667 A KR20197036667 A KR 20197036667A KR 20200012893 A KR20200012893 A KR 20200012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motor
shaft
unit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하야시다
유스케 사사키
토시노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힌드라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07103A external-priority patent/JP68890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07102A external-priority patent/JP6849534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힌드라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힌드라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스티어링축을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로서, 스티어링 핸들과, 스티어링 칼럼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 사이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티어링 칼럼 내의 스티어링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스티어링축에 전동(傳動)하는 감속 기어와, 상기 모터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감속 기어가 내부에 수용되어 유닛화되는 유닛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유닛 케이스는, 상기 스티어링축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 사이에 개재되는 스티어링 부착축을 가지며, 상기 유닛 케이스의 상면측에 마련한 상기 스티어링 부착축이 삽통되는 삽통구멍의 근방을 요설(凹設)하였다.

Description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
본 발명은, 조향 조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축을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로서, 스티어링 핸들과, 그 스티어링 칼럼과, 스티어링 핸들과, 스티어링 칼럼 사이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티어링 칼럼 내의 스티어링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그 구동 유닛에 의해 스티어링 조작을 제어할 수 있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가 종래 공지이다.
특허 문헌 1 : 특개2014-213615호 공보
상기 문헌에서는, 스티어링축에 마련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에 의해, 주행기체(走行機體)의 직진 주행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이지만, 상기 모터가 상하 방향의 스티어링 칼럼 중도부 내측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축측에 상기 모터 및 제어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스티어링 칼럼의 일부를 해체할 필요가 있고, 설치 작업에 수고가 걸림과 함께, 주행기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모터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 유닛을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함과 함께, 그 구동 유닛을 다양한 크기, 종류의 주행기체의 스티어링축측에 용이하게 추후 설치(後付け)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첫번째로, 스티어링축을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로서, 스티어링 핸들과, 스티어링 칼럼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 사이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티어링 칼럼 내의 스티어링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스티어링축에 전동(傳動)하는 감속 기어와, 상기 모터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감속 기어가 내부에 수용되어 유닛화되는 유닛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유닛 케이스는, 상기 스티어링축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 사이에 개재되는 스티어링 부착축(취부축(取付軸)을 가지며, 상기 유닛 케이스의 상면측에 마련한 상기 스티어링 부착축이 삽통되는 삽통구멍의 근방을 요설(凹說)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두번째로,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 기어와, 상기 스티어링 핸들은, 상기 스티어링축의 축방향시(軸方向視)로,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세번째로, 상기 유닛 케이스는, 별체(別體) 형성된 상부 케이스체 및 하부 케이스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체에는, 상기 제어부가 부착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체에는, 상기 모터 및 상기 감속 기어가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네번째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상부 케이스체측에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한 상기 스티어링축의 제어를 조작하는 조작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스티어링축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외주측(外周側)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섯번째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모터 및 상기 감속 기어를 커버하는 상기 상부 케이스체를 가지며, 상기 상부 케이스체에,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주변에 배치되는 조작구(操作具)인, 전후진의 전환 조작을 하는 전후진 레버, 엔진의 회전수를 조작하는 액셀 레버 또는, 주행기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작업기의 승강 작동을 조작하는 승강 레버의 요동(搖動) 조작을 허용하는 노치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스티어링 부착축을, 상기 스티어링축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 사이에 개재시켜서 부착되는 상기 유닛 케이스는, 상기 스티어링 부착축이 삽통되는 상기 유닛 케이스 상면측의 삽통구멍 주위가 요설됨에 의해, 상기 구동 유닛의 스티어링축방향을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 유닛을 스티어링 핸들과 스티어링 칼럼 사이에 추후 설치하기 쉽게 됨과 함께, 작업자가 추후 설치된 상기 구동 유닛에 위화감을 느끼는 일 없이 스티어링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 기어와, 상기 스티어링 핸들은, 상기 스티어링축의 축방향시로,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것에 의하면, 그 모터 및 감속 기어가 수용되는 상기 유닛 케이스의 스티어링축을 축으로 하는 반경 방향을 보다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구동 유닛의 두께 방향을 보다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 케이스는, 별체 형성된 상부 케이스체 및 하부 케이스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체에는, 상기 제어부가 부착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체에는, 상기 모터 및 상기 감속 기어가 지지된 것에 의하면,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상부 케이스체측에 제어계가 집중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체측에 상기 감속 기어와, 상기 모터가 집중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 유닛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짐과 함께, 제어계와 구동계로서 배치되는 부재가 다르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도 하기 쉽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상부 케이스체측에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한 상기 스티어링축의 제어를 조작하는 조작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스티어링축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외주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에 의하면, 상기 구동 유닛을 조작하는 상기 조작 수단이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축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손잡이가 되는 외주측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시인(視認)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모터 및 상기 감속 기어를 커버하는 상기 상부 케이스체를 가지며, 상기 상부 케이스체에,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주변에 배치되는 조작구인, 전후진의 전환 조작을 하는 전후진 레버, 엔진의 회전수를 조작하는 액셀 레버 또는, 주행기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작업기의 승강 작동을 조작하는 승강 레버의 요동 조작을 허용하는 노치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것에 의하면, 그 오목부에 의해,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근방에 배치되는 케이스가 많은 각 조작구의 조작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설치 가능한 상기 구동 유닛의 범용성이 보다 향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트랙터의 측면도.
도 2는 조종부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제어 유닛의 착탈 양태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도 4는 제어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C)는, 제어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도 6은 제어 유닛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측단면도.
도 7은 감속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제어 유닛의 주요부 사시도.
도 8은 유닛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도 9는 유닛 케이스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제어 유닛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측면도.
도 11은 부착부의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 제어 장치를 적용한 트랙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조종부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제어 유닛의 착탈 양태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이다. 본 트랙터는, 좌우 한 쌍의 전륜(1) 및 후륜(2)에 의해 지지되는 기체(機體) 프레임(3)과, 그 기체 프레임(3)의 전측에 설치된 엔진(도시 생략)의 상면측을 커버하는 보닛(4)과, 그 보닛(4)의 후방에 설치되고, 오퍼레이터가 타고 들어가 조종 등을 행하는 조종부(6)가 마련된 캐빈(7)을 구비한 주행기체(8)가 구성되어 있고, 그 주행기체(8)의 후방에 승강 링크(9)를 통하여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도시 생략)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종부(6)는,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좌석(11)과, 그 좌석(11)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조향 조작구(操作具)인 스티어링 핸들(12)과, 그 스티어링 핸들(12)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13)과, 스티어링 핸들(12)의 좌측방측에 배치된 전후진 전환 레버(14)와, 스티어링 핸들(12)의 우측에 배치된 스로틀 레버(16)와, 그 스로틀 레버(16)의 운전자에게 가까운측(手前側)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기의 승강 작동을 조작하는 승강 레버(17)와, 그 스로틀 레버(16)의 운전자에게 먼측(奧側)에 배치되는 방향 지시기 레버(15)와, 좌석(11)과 스티어링 핸들(12)의 사이에 마련된 바닥면(床面)인 플로어 스텝(18)을 구비하고 있다.
그 스티어링 핸들(12)은, 그 회전축측에 스티어링 조작을 제어(어시스트)하는 제어 유닛(20)이 마련되어 있다. 그 제어 유닛(20)은, 상하 방향에 연설(延設)된 스티어링 샤프트(스티어링축)(21)의 상단측에 장착됨과 함께, 그 스티어링 샤프트(21)를 덮는 스티어링 칼럼(22)의 상부측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도 3 참조).
이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1)는, 상기 스티어링 핸들(12)을 통하여 작업자에 의해 축회전 조작(조향 조작)됨과 함께, 상기 제어 유닛(20)에 의해 축회전 구동됨에 의해 조향 조작이 제어(어시스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제어 유닛(20)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유닛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어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C)는, 제어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고, 도 6은, 제어 유닛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7은, 감속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제어 유닛의 주요부 사시도이고, 도 8은, 유닛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9는, 유닛 케이스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어 유닛(20)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1)를 축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모터(23))와, 그 구동 모터(23)의 모터 출력을 기어 감속하는 감속 기구(24)와, 구동 모터(2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5)가, 하부 케이스체(하부체)(26B) 및 상부 케이스체(상부체)(26A)에 의해 상하로 분할된 유닛 케이스(26) 내에 수용됨에 의해 유닛화되어 있다. 또한, 그 제어 유닛(20)은, 그 유닛 케이스(26)의 하면측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1)(스티어링 칼럼(22))의 상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그 유닛 케이스(26)의 상면측에 상기 스티어링 핸들(12)이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속 기구(24)는, 상기 하부 케이스체(26B)측에 지지된 복수의 감속 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경 기어부(31b)와 소경 기어부(31a)가 동일 축심상에 배치되도록 일체 형성되고, 대경 기어부(31b)가 상기 구동 모터(23)측의 출력축에 마련한 출력 기어(29)와 맞물리는 제1 감속 기어(31)와, 그 제1 감속 기어(31)의 소경 기어부(31a)와 맞물려서, 상기 제1 감속 기어(31)의 대경 기어부(31b)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된 제2 감속 기어(32)를 구비하고 있다(도 7 참조).
이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23)에 의한 모터 출력은, 출력 기어(29)→제1 감속 기어(31)→제2 감속 기어(32)로 전동함에 의해 감속되어, 그 제2 감속 기어(32)와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1)측으로 전동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그 제2 감속 기어(32)의 하면측에는, 그 축심측에 제2 감속 기어(32)와 일체 회전하는 보스부재(33)가 마련되어 있고, 그 보스부재(33)에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1)의 상단측이 삽통됨에 의해, 제2 감속 기어(32)와 스티어링 샤프트(21)가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된다(도 6 참조).
그 보스부재(33)는, 그 내주면측이 하단측부터 상방을 향하여 폭협(幅狹)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보스부재(33)에 삽통된 스티어링 샤프트(21)는, 그 상단측이 제2 감속 기어(32)의 축심측을 관통한 소정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그 보스부재(33)의 내주면측에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단측에 축방향에 따라 형성된 리브형상의 돌기부가 감합도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감속 기어(32)와, 보스부재(33)에 삽통된 스티어링 샤프트(21)가 일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 유닛(20)은, 조종부(6)측의 스티어링 샤프트(21) 상단측을 상기 보스부재(33)에 삽통시킴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21)의 연설 방향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구동 모터(23)의 모터 출력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21)를 축회전시킴에 의해 스티어링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그 제2 감속 기어(32)의 상면측에는, 그 제2 감속 기어(32)와 일체 회전하도록 볼트(35)로 고정된 연결판(34)과, 그 연결판(34)과 일체적으로 축회전함과 함께 상기 보스부재(33)에 삽통되는 스티어링 샤프트(21)의 연설 방향에 따라 연설된 스티어링 부착축(36)이 마련되어 있다(도 4 내지 도 7 참조).
그 스티어링 부착축(36)은, 스티어링 샤프트(21)의 상단측과 개략 같은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스부재(33)와 같은 구성으로 기존의 스티어링 핸들(12)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스티어링 부착축(36)은, 기존의 스티어링 핸들(12)의 착탈이 스무스하게 될 수 있도록, 스티어링 부착축(36)측에 감합시킨 스티어링 핸들을 나사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 구성에 의하면, 스티어링 부착축(36)에 장착된 스티어링 핸들(12)을 회전 조작함에 의해, 스티어링 부착축(36)→연결판(34)→제2 감속 기어(32)→보스부재(33)를 통하여, 보스부재(33)에 삽통된 스티어링 샤프트(21)가 축회전 조작되기 때문에, 통상의 스티어링 핸들(12)과 마찬가지로 스티어링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그 스티어링 부착축(36)에 장착되는 스티어링 핸들(12)로서, 스티어링 축방향의 두께를 얇게 형성한 전용품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상기 제어 유닛(20)을 장착함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12)의 축방향에 따라 감속 기구(24)의 분만큼 상방으로 빗나간 스티어링 핸들(12)의 위치를 원래의 설치 위치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스티어링 조작시의 위화감이 적어진다.
상기 구동 모터(23)는, 스테핑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의해, 그 구동 모터(23)를 소형이면서 고출력인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모터(23)가 수용되는 유닛 케이스(26) 내의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과 함께, 유닛 케이스(26)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23)에 의해 축회전되는 스티어링 샤프트(21)(스티어링 핸들(12))의 조작 위치를 미세하게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유닛 케이스(26)는, 상기 하부 케이스체(26B)와, 그 하부 케이스체(26B)의 상방측을 덮는 상기 상부 케이스체(26A)에 의해 상하로 분할 형성된 상자형상(箱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 모터(23)와, 상기 감속 기구(24)와, 상기 제어부(25)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체(26B)는, 상기 감속 기구(24) 및 구동 모터가 지지되는 지지부(26B1)과, 그 지지부(26B1)의 하면측을 커버하는 하면 커버부(26B2)와, 그 지지부(26B)의 후부(오퍼레이터(手前))측을 덮는 화장 커버부(26B3)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이에 의해, 상기 유닛 케이스(26)가 스티어링 샤프트(21)측부터 떼어내진 때의 외관도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체(26A)는, 전체가 상기 하부 케이스체(26B)의 상면 및 외주를 덮는 접시형상(皿狀)으로 형성되고, 스티어링 핸들(12)이 부착된 상기 스티어링 부착축(36)이 삽통되는 삽통구멍(38)과, 그 삽통구멍(38)의 운전자에게 가까운측(手前側)(후부측)에 배치된 조작 패널(39)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그 조작 패널(39)의 이면측에는, 조작 패널(39)에 마련한 각종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 모터(23)의 구동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5)를 지지하는 지지부(42)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그 지지부(42)에 의해, 패널형상의 제어부(25)를 수지로 덮음에 의해, 진동 등에 의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서, 그 조작 패널(39)의 좌방측에는, 제어 유닛(20)의 전원의 ON·OFF를 조작하는 전원 스위치(43)가 마련되어 있다.
그 조작 패널(39)은, 상기 제어 유닛(20)에 의해 스티어링 조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41)나, 제어 유닛(20)에 의한 스티어링 조작의 감도(感度)를 조정하는 조정 스위치(44)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41, 44)와, 각 조작 스위치(41, 44)가 조작됨에 의해, 제어 유닛(20)의 제어 상태 등을 표시하는 램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46)가 마련되어 있다(도 4 및 도 5 등 참조).
덧붙여서, 그 제어 유닛(20)은, 예를 들면, 먼 곳의 목표 지점을 향하여 직진 주행시키는 원경직진(遠景直進) 제어나, 주행기체의 측방측의 밭두렁(畦)이나, 작업 흔적·주행 흔적에 따라 주행하는 추종주행 제어를 행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 패널(39)에 의해, 각 제어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패널(39) 및 전원 스위치(43)는, 상기 스티어링 부착축(36)의 운전자에게 가까운(手前)(후)측에 배치됨에 의해, 그 조작 패널(39) 및 전원 스위치(43)는, 스티어링 샤프트(21)의 축방향시에서, 스티어링 핸들(12)의 회전축과, 스티어링 핸들(12)의 손잡이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는, 상기 조작 패널(39)을 보기 쉬운 위치, 구체적으로는, 스티어링 핸들(12)의 손잡이와 회전축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주변(手元)의 표시부(46)에 의해 제어 유닛(20)의 제어 상태를 항상 시인할 수 있음과 함께, 조작 패널(39)측의 각 조작 스위치(41, 44)나, 상기 전원 스위치(43)의 위치도 보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어 유닛(20)의 조작도 하기 쉽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체(26A)는, 좌측면측의 일개소와, 우측면의 운전자에게 가까운측(手前側)과 운전자에게 먼측(奧側)의 2개소의 합계 3개소에, 스티어링 핸들(12)의 주변에 배치되는 많은 각종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을 허용하게 하기 위한 노치형상의 오목부(47, 48, 49)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체(26A)는, 우측면측의 운전자에게 먼(전)측에, 상기 스로틀 레버(16)의 요동 조작을 허용하기 위한 제1 오목부(47)가 형성되고, 우측면의 운전자에게 가까운(후)측에, 상기 승강 레버(17)의 요동 조작을 허용하기 위한 제2 오목부(48)가 형성되고, 좌측면의 중앙측에,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14)의 요동 조작을 허용하기 위한 제3 오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작업 차량과 같이, 전후진 전환 레버(14)가 스티어링 핸들(12) 하측에 장착된 제어 유닛(20)에 간섭하지 않는 타입의 기종이고(도 1 내지 도 3 참조), 제3 오목부(49)를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그 제3 오목부(49)에 판형상의 커버체(49A)를 마련함에 의해 그 제3 오목부(49)를 닫을 수 있다. 상기 제1 오목부(47) 및 제2 오목부(48)에 대해서도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에 커버체(47A, 48A)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체(26B)는, 그 중앙 운전자에게 먼측(奧側)에 가장 대경인 상기 제2 감속 기어(32)를 회전 자유롭게 축지(軸支)하고, 그 제2 감속 기어(32)에 마련한 상기 스티어링 부착축(36)이 상부 케이스체(26A)측의 상기 삽통구멍(38)으로부터 유닛 케이스(26)의 상방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제2 감속 기어(32)에 연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21)를 축회전시키는 상기 구동 모터(23)는, 하부 케이스체(26B)의 운전자에게 가까운(후)측의 좌우 일방(도시한 예에서는 왼쪽)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그 구동 모터(23)와 제2 감속 기어(32) 사이에, 상기 제1 감속 기어(31)가 각각에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그 제1 감속 기어(31)는, 그 대경부(31b)가 스티어링 샤프트(21)의 축방향시로, 상기 구동 모터(23)와 랩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7 내지 도 9 참조). 그 구성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체(26B)의 운전자에게 가까운측(手前側)으로의 돌출량이 억제되기 때문에, 유닛 케이스(26)의 상기 스티어링 부착축(36)부터 운전자에게 가까운 방향을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그 제1 감속 기어(31)의 대경부(31b)측은, 상기 구동 모터(23) 및 제2 감속 기어(32)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모터의 출력 기어와 제1 감속 기어(31)와 제2 감속 기어(32)를 상하 방향에 병렬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구동 모터(23) 및 감속 기구(24)의 상하 방향이 보다 컴팩트하게 배치된다. 그 구성에 의해, 제어 유닛(20)의 두께 방향을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체(26B)의 후단측에는, 좌우 한 쌍의 하부 부착편(51, 5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체(26A)의 후단측에, 좌우 한 쌍의 상부 부착편(52, 52)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 부착편(51)과 상부 부착편(52)이 고정 볼트(53)에 의해 일제히 고정됨에 의해, 하부 케이스체(26B)와 상부 케이스체(26A)가 후단측의 2개소에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하부 케이스체(26B)와 상부 케이스체(26A)를 후단측에서 연결한 좌우 한 쌍의 상기 고정 볼트(53, 53)는, 그 축심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향해짐과 함께, 각 고정 볼트(53)의 축심이 동일 축심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유닛 케이스(26)는, 상기 고정 볼트(53)에 의한 하부 부착편(51)과 상부 부착편(52)의 고정을 풀음에 의해, 상기 고정 볼트(53)의 축심을 축으로 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체(26A)의 전단측을, 하부 케이스체(26B)에 대해 상하 방향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다(도 9 참조). 덧붙여서, 유닛 케이스(26)의 전단측에는, 상부 케이스체(26A)와 하부 케이스체(26B)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 볼트(54)와, 그 고정 볼트(54)가 체결 고정된 고정부(55)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유닛 케이스(26)를 닫힌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 유닛(20)은, 상부 케이스체(26A)를 상방 회동시켜서 열린상태로 함에 의해, 유닛 케이스를 분해하는 일 없이, 제어 유닛 내를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어 유닛(20)은, 상부 케이스체(26A)측에 제어부(25) 및 조작 패널(39) 등의 제어계가 지지되고, 하부 케이스체(26B)측에 상기 구동 모터(23) 및 감속 기구(24) 등의 구동계가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닛 케이스(26)의 조립 작업을 스무스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메인터넌스도 하기 쉽다.
다음에, 도 10 및 도 11에 의거하여, 제어 유닛의 스티어링 칼럼측에의 부착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어 유닛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측면도이고, 도 11은, 부착부의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이다.
상기 하부 케이스체(26B)는, 그 전단측에 하방을 향하여 연설된 판형상의 부착부(56)가 마련되어 있고, 그 부착부(56)는, 그 하단측에 상방을 향하여 요설(凹設)된 좌우 한 쌍의 오목부(56a, 56a)가 형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또한, 그 부착부(56)가 부착된 상기 스티어링 칼럼(22)측에는, 미리 좌우 한 쌍의 부착 볼트(57, 57)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스티어링 칼럼(22)측에 고정된 상기 부착 볼트(57)는, 나사부가 스티어링 칼럼측에 체결되었던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스티어링 칼럼(22)으로부터 전방을 향하고 부착 볼트(57)의 원통부 및 두부가 돌출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그 상태의 부착 볼트(57)에는, 한 쌍의 그라밋이나 와셔 등으로 이루어지는 감합 부재(58, 58)가 삽통되어 있고, 한 쌍의 감합 부재(58, 58)의 사이에 상기 부착부측의 오목부(56a)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이에 의해, 상기 제어 유닛(20)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1)의 상단측을, 상기 제2 감속 기어(32)측의 보스부재(33)를 감합·연결함과 함께, 제어 유닛(20)의 전단측에 마련된 상기 부착부(56)의 오목부(56a)를, 미리 스티어링 칼럼(22)의 상단측에 고정한 부착 볼트(57)측에, 상방측부터 삽입함에 의해, 상기 제어 유닛(20)이 소정 위치에서 장착된 상태가 된다.
그 구성에 의하면, 상기 부착부(56)에 의해 제어 유닛(20)의 전단측을 스티어링 칼럼(22)측에 계지함에 의해, 구동 모터(23)가 모터 출력된 때에, 제어 유닛(20) 전체가 스티어링 샤프트(21)의 축 둘레에 따라 도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제어 유닛(20)의 진동이나 덜커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20)의 스티어링 샤프트(21)측에의 장탈 작업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12 : 스티어링 핸들
14 : 주변속 레버(전후진 레버)
16 : 스로틀 레버(액셀 레버)
17 : 승강 레버
20 : 제어 유닛(구동 유닛)
21 : 스티어링 샤프트(스티어링축)
22 : 스티어링 칼럼
23 : 구동 모터(모터)
24 : 감속 기구(감속 기어)
25 : 제어부
26 : 유닛 케이스
26A : 상부 케이스체
26B : 하부 케이스체
41 : 조작 스위치(조작 수단)
44 : 조정 스위치(조작 수단)
47 : 제1 오목부(오목부)
48 : 제2 오목부(오목부)
49 : 제3 오목부(오목부)
53 : 고정 볼트(고정부)

Claims (5)

  1. 스티어링축을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로서,
    스티어링 핸들과,
    스티어링 칼럼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 사이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티어링 칼럼 내의 스티어링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스티어링축에 전동하는 감속 기어와, 상기 모터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감속 기어가 내부에 수용되어 유닛화되는 유닛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유닛 케이스는, 상기 스티어링축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 사이에 개재되는 스티어링 부착축을 가지며, 상기 유닛 케이스의 상면측에 마련한 상기 스티어링 부착축이 삽통되는 삽통구멍의 근방을 요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 기어와, 상기 스티어링 핸들은, 상기 스티어링축의 축방향시로,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케이스는, 별체 형성된 상부 케이스체 및 하부 케이스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체에는, 상기 제어부가 부착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체에는, 상기 모터 및 상기 감속 기어가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상부 케이스체측에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한 상기 스티어링축의 제어를 조작하는 조작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스티어링축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외주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모터 및 상기 감속 기어를 커버하는 상기 상부 케이스체를 가지며,
    상기 상부 케이스체에,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주변에 배치되는 조작구인, 전후진의 전환 조작을 하는 전후진 레버, 엔진의 회전수를 조작하는 액셀 레버 또는, 주행기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작업기의 승강 작동을 조작하는 승강 레버의 요동 조작을 허용하는 노치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
KR1020197036667A 2017-05-30 2018-05-29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 KR202000128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07103A JP6889033B2 (ja) 2017-05-30 2017-05-30 作業車両の操舵装置
JPJP-P-2017-107103 2017-05-30
JPJP-P-2017-107102 2017-05-30
JP2017107102A JP6849534B2 (ja) 2017-05-30 2017-05-30 作業車両の操舵装置
PCT/JP2018/020528 WO2018221507A1 (ja) 2017-05-30 2018-05-29 作業車両の操舵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893A true KR20200012893A (ko) 2020-02-05

Family

ID=6445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667A KR20200012893A (ko) 2017-05-30 2018-05-29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00012893A (ko)
CN (1) CN110494342A (ko)
WO (1) WO2018221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5092B2 (ja) * 2018-12-20 2022-04-1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2020099222A (ja) * 2018-12-20 2020-07-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KR102493703B1 (ko) * 2018-12-20 2023-02-0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JP7055091B2 (ja) * 2018-12-20 2022-04-1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3615A (ja) 2013-04-22 2014-11-17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作業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980A (ja) * 1989-09-13 1991-04-25 Mazda Motor Corp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668563B2 (ja) * 1996-08-26 2005-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1320938A (ja) * 2000-05-12 2001-11-2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扱深さ調節装置の操作装置
JP4297750B2 (ja) * 2003-07-07 2009-07-15 Tcm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05034636B3 (de) * 2005-07-20 2007-03-22 Takata-Petri Ag Lenkeinrichtung für eine Überlagerungslenkung
JP5003005B2 (ja) * 2006-04-11 2012-08-15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2437586B9 (en) * 2009-06-02 2019-02-13 Topcon Precision Agriculture Pty Ltd Vehicle guidance system
US8659252B2 (en) * 2010-12-02 2014-02-25 Nsk Lt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N103085858A (zh) * 2011-10-28 2013-05-08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方向盘式农业机械自动驾驶转向控制装置
US20150016878A1 (en) * 2013-07-12 2015-01-15 John D. Isaacson Quick connect system for tractor steering wheels including steering wheels equipped with auto-steer motors
JP2016078600A (ja) * 2014-10-15 2016-05-16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ES2890450T3 (es) * 2015-11-05 2022-01-19 Arvus Tecnologia Ltda Conjunto de accionamiento para la dirección del vehículo
CN205499038U (zh) * 2016-01-29 2016-08-24 东莞市智乐堡儿童玩具有限公司 一种童车电子转向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3615A (ja) 2013-04-22 2014-11-17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作業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94342A (zh) 2019-11-22
WO2018221507A1 (ja)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2893A (ko)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
JP6889033B2 (ja) 作業車両の操舵装置
KR102568539B1 (ko) 로더 캡
JP2017024710A (ja) トラクタ
JP6444821B2 (ja) 車両
JP6498975B2 (ja) 作業用走行車
JP6849534B2 (ja) 作業車両の操舵装置
JP2017190118A (ja) 車両のアダプティブ・フロント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2009534244A (ja) パレットトラック
US9850973B2 (en) Tractor
JP5841464B2 (ja) 旋回作業車両
JP4570510B2 (ja) トラクタ
JP3458877B2 (ja) 建設機械のフロアプレート構造
JP6816998B2 (ja) トラクタ
JP5087826B2 (ja) トラクタ
JPWO2019171860A1 (ja) 自転車用電動アシスト装置及び自転車
JP5107754B2 (ja) 作業車両
EP2487078B1 (en) Working Vehicle
CN111094107B (zh) 作业车辆
JP3375026B2 (ja) 作業車両のステップ構造
JPH0734781Y2 (ja) トラクタのフェンダー機構
JP2006341676A (ja) 船外機の遠隔操作装置
JP2010274729A (ja) 作業車両
JP4325850B2 (ja) 運搬車両
JP2019055745A (ja) 作業車両用電動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