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957A -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957A
KR20200001957A KR1020180136380A KR20180136380A KR20200001957A KR 20200001957 A KR20200001957 A KR 20200001957A KR 1020180136380 A KR1020180136380 A KR 1020180136380A KR 20180136380 A KR20180136380 A KR 20180136380A KR 20200001957 A KR20200001957 A KR 20200001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inuously variable
variable transmission
combine
hydraulic continuously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418B1 (ko
Inventor
야스시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3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flui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7Auxiliary drives
    • B60Y2400/89Cooling systems, e.g. fan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과제)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보수·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엔진(E)과 라디에이터(30) 사이에 팬(31)을 설치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로서, 팬(31)을 정전 방향 및 역전 방향으로 구동하는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설치하고, 엔진 룸(6)의 상측에는 전장부품을 내장하는 전장실(26)을 설치하고, 전장실(26)의 저벽(28)을 상측을 향해서 패이게 하고, 이 패이게 한 부분의 하면측에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상부를 배치했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STRUCTURE AROUND THE ENGINE OF THE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로서, 엔진 룸 내에 설치된 엔진과 라디에이터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는 팬을 설치하고, 엔진 룸의 상부에 엔진의 출력 회전의 회전수를 변속해서 팬에 전동하는 정역전 출력 가능한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3-13301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엔진 룸 내의 기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보수·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보수·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엔진 룸(6)에 내장된 엔진(E)의 외측에 라디에이터(30)를 설치하고, 상기 라디에이터(30)의 외측에 여과체를 구비한 커버(9)를 설치하고, 상기 엔진(E)과 라디에이터(30) 사이에 팬(31)을 설치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로서,
상기 팬(31)을 정전 방향 및 역전 방향으로 구동하는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설치하고, 상기 엔진 룸(6)의 상측에는 전장부품을 내장하는 전장실(26)을 설치하고, 상기 전장실(26)의 저벽(28)을 상측을 향해서 패이게 하고, 이 패이게 한 부위의 하면측에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상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팬(31)의 회전축(44)의 축심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팬(31)의 회전 궤적의 외측에 배치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에 상기 엔진(E)으로부터 전동되는 입력축(13)과, 상기 팬(31)으로 전동되는 제1출력축(14)을 구비하고,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상기 팬(31)의 회전축(44)보다 뒷측에 배치하고, 상기 입력축(13)과 제1출력축(14)을 콤바인의 기체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양 축(13,14)의 축심을 연결하는 가상직선이 앞이 올라가는 경사 자세로 되는 위치에 배치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입력축(13)과 상기 제1출력축(14)으로부터 연동되는 제2출력축(21)을 기체 내측을 향해서 연장시키고, 상기 입력축(13)에 있어서의 입력부를 상기 출력축(21)에 있어서의 출력부보다 기체 내측으로 치우치게 해서 배치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기체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기체 외측의 부위를, 상기 라디에이터(30)와 커버(9) 사이에 면하게 한 청구항 4에 기재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회전축(44)을 제1브래킷(40)에서 지지하고, 상기 출력축(21)에 설치된 제1풀리(23)와 상기 회전축(44)에 설치된 제2풀리(45)에 벨트(46)를 권회하고, 상기 회전축(44)의 축심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벨트(46)를 사이에 두고 제1브래킷(40)의 제1암(41)과 제2암(42)을 설치하고, 상기 제1암(41)과 제2암(42) 사이에 가설(架設)된 접속부(43)로 회전축(4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청구항 2∼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지지하는 제2브래킷(50)에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지지하는 지지부(51)와, 상기 지지부(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52B, 52C)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52B, 52C)의 하부를 상기 제1브래킷(40)의 상부에 연결한 청구항 6에 기재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보수·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팬(31)의 정전 방향으로의 구동으로 여과체 및 라디에이터(30) 너머로 외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팬(31)의 역전 방향으로의 구동에 의해 여과체에 부착된 진애를 날려버리고, 외기의 흡입 면적을 확보해서 엔진(E)의 과열이나 출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 룸(6)의 상측에 설치된 전장실(26)의 저벽(28)을 상측으로 패이게 하고,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상부를 배치함으로써, 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팬(31)의 상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팬(31)에 의한 외기의 흡입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가 팬(31)에 의해 흡입된 외기의 유동 저항이 되기 어려워 엔진(E)의 냉각 효과가 높아지고, 엔진(E)의 과열이나 출력 저하를 방지하여 작업능률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가 앞이 올라가게 경사진 자세로 되고, 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전장실(26)측으로의 침입량을 적게 하여 전장실(26)의 용적의 감소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보수·점검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벨트 등의 라우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냉각 효과를 높여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벨트(46)의 장력의 변동에 의한 제1암(41)과 제2암(4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엔진 룸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엔진 룸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엔진 룸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a)는 배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요동 프레임을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의 하측에 토양면을 주행하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로 이루어지는 주행 장치(2)가 설치되고, 기체 프레임(1)의 앞측에 포장의 곡간을 베어내는 예취 장치(3)가 설치되며, 예취 장치(3)의 후방 좌측에 베어내어진 곡간을 탈곡·선별 처리하는 탈곡 장치(4)가 설치되고, 예취 장치(3)의 후방 우측에 조종자가 탑승하는 조종부(5)가 설치되어 있다.
조종부(5)의 하측에는 엔진(E)을 탑재하는 엔진 룸(6)이 설치되고, 조종부(5)의 뒷측에는 탈곡·선별 처리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7)가 설치되며, 그레인 탱크(7)의 뒷측에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배출통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배출통으로 이루어지는 배출 오거(8)가 설치되어 있다.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룸(6)의 뒷부 상측에는 엔진(E)의 출력 회전을 변속해서 팬(31)에 전동하는 정역전 출력 가능한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박스(12)의 출력축(청구항의 「제2출력축」)(21)은, 엔진(E)의 출력 회전의 회전수를 증감속함과 아울러 회전 방향을 바꾸어 출력하는 무단 변속기 본체(11)로부터, 무단 변속기 본체(11)의 출력 회전의 회전수를 증감속하는 기어박스(12)를 거쳐서 구동되고 있다.
무단 변속기 본체(11)에는 엔진(E)의 출력 회전이 입력되는 입력축(13)과, 무단 변속기 본체(11) 내에서 증감속되거나 한 무단 변속기 본체(11)의 출력 회전이 출력되는 출력축(청구항의 「제1출력축」)(14)과, 무단 변속기 본체(11) 내에서의 엔진(E)의 출력 회전의 회전수를 증감속의 비율 등을 조작하는 트러니언축(15)이 설치되어 있다.
트러니언축(15)에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외주부에 맞물림부가 형성된 조작체(16)의 중심부가 지지되고, 무단 변속기 본체(11)의 뒷부에는 조작체(16)를 통해서 트러니언축(15)을 회전시키는 조작용 모터(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용 모터(17)의 출력축에는 조작체(16)의 맞물림부에 맞물리는 피맞물림부가 설치되어 있다.
무단 변속기 본체(11)의 출력축(14)의 출력 회전은 기어박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연결 부재(18)를 통해서 기어박스(12)의 입력축(19)에 전동된다. 입력축(19)에 전동된 출력 회전의 회전수는 기어박스(12)에 내장된 기어(20)에 의해 증감속된 후에 출력축(21)에 전동된다. 또한, 무단 변속기 본체(11)의 입력축(13)에는 벨트(57)를 권회하는 풀리(22)가 설치되고, 기어박스(12)의 출력축(21)에는 벨트(46)를 권회하는 풀리(청구항의 「제1풀리」)(23)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는 팬(31)의 외주부보다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는 팬(31)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장해물로 되는 일이 없고, 흡입된 공기는 엔진(E)에 송풍되어서 엔진(E)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무단 변속기 본체(11)의 입력축(13)의 축심에서 볼 때에 있어서, 기어박스(12)의 출력축(21)은 무단 변속기 본체(11)의 입력축(13)보다 앞측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무단 변속기 본체(11)의 전장실(26)측으로의 침입량을 적게 하여 전장실(26)의 용적의 축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종부(5)의 뒷부에 근접시켜서 조작용 모터(17)를 설치할 수 있고, 조작용 모터(17) 등의 보수·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조종부(5)의 뒷부에는 기판 등을 격납하는 전장실(26)이 설치되어 있다. 전장실(26)의 우측부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27)를 지지하는 저벽(28)의 부위는 상측으로 패이게 해서 저벽(28)의 하측에 큰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S)에는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상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팬(31)의 상방의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팬(31)에 의한 외기의 흡입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후방에는 커버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개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후방을 향해서 이동시켜서 분리할 수 있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그레인 탱크(7)에 있어서의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와 대향하는 부위에 오목부(도시생략)를 형성하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후방에 보다 큰 작업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교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우측부는 엔진 룸(6)의 여과체를 구비한 커버(9)에 근접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무단 변속기 본체(11), 조작용 모터(17) 등이 고온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입력축(13)과 출력축(21)을, 즉 무단 변속기 본체(11)의 입력축(13)과 기어박스(12)의 출력축(21)을 엔진(E)을 향해서 연장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무단 변속기 본체(11)의 출력축(14)으로부터 연동되는 출력축(21)이 기체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입력축(13)에 있어서의 입력부(풀리(22)의 부착부)가 출력축(21)에 있어서의 출력부(풀리(23)의 부착부)보다 기체 내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된다. 또한, 무단 변속기 본체(11)의 입력축(13)을 기어박스(12)의 출력축(21)보다 엔진(E)을 향해서 연장시키고, 입력축(13)에 설치된 풀리(22)를 출력축(21)에 설치된 풀리(23)보다 엔진(E)에 근접시켜서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E)과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 사이에 과도하게 큰 간격을 형성하지 않고 엔진(E)과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배치할 수 있다. 풀리(22)와 엔진(E)의 출력축(55)에 설치된 풀리(56)에 벨트(57)를 용이하게 권회할 수 있고, 풀리(23)와 팬(31)의 회전축(44)에 설치된 풀리(45)에 벨트(46)를 용이하게 권회할 수 있다.
또한, 입력축(13)과 출력축(14)을 콤바인의 기체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양 축(13, 14)의 축심을 연결하는 가상직선이 앞이 올라가는 경사 자세로 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무단 변속기 본체(11)가 앞이 올라가는 경사진 자세로 되고, 전장실(26)의 저벽(28)의 하측의 공간(S)으로의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침입량이 적어져서 전장실(26)의 용적의 감소량이 작아진다.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트러니언축(15)을 후방을 향해서 연장시켜, 트러니언축(15)을 회전시키는 조작체(16)와 조작용 모터(17)를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뒷부에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체(16)와 조작용 모터(17)의 보수·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엔진(E)과 엔진 룸(6)의 커버(9)의 사이에는 엔진(E)에 공급되는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30)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E)과 라디에이터(30) 사이에는 정회전시에는 엔진 룸(6)의 외측의 공기를 흡입하고, 역회전시에는 엔진 룸(6)의 공기를 외측으로 배기하는 팬(3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팬(31)의 외주부에는 원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슈라우드(32)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팬(3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엔진(E)을 향해서 효율적으로 송풍할 수 있다.
슈라우드(32)에 있어서의 상부 앞측 부위에는 엔진(E)을 향해서 연장되는 도풍판(33)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팬(3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엔진(E)을 향해서 효율적으로 송풍할 수 있다.
슈라우드(32)의 내측면에는 슈라우드(32)에 있어서의 하부 앞측 부위로부터 상부의 뒷측 부위로 연장되는 브래킷(청구항의 「제1브래킷」)(40)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40)은 뒤가 올라가게 설치된 제1암(41)과, 제1암(41)과 평행하게 뒤가 올라가게 설치된 제2암(42)과, 제1암(41)의 중간부와 제2암(42)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접속부(43)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43)에는 팬(31)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회전축(4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44)의 내측부에는 회전축(44)에 엔진(E)의 출력 회전을 전동하는 풀리(청구항의 「제2풀리」)(45)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는 브래킷(청구항의 「제2브래킷」)(50)을 통해서 슈라우드(32)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있다. 기체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브래킷(50)은,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고정하는 지지부(51)와, 앞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지지부(51)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다리부(52A)와, 다리부(52B)와, 다리부(52C)와, 다리부(52D)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52A)의 우측부는 슈라우드(32)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다리부(52B)의 우측부는 슈라우드(3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서, 다리부(52B)에 있어서의 하부의 앞부는 슈라우드(32)의 개구부의 외주부에 위치하는 제1암(41)의 상부의 후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52C)의 우측부는 슈라우드(3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서, 다리부(52C)에 있어서의 하부의 앞부는 슈라우드(32)의 개구부의 외주부에 위치하는 제2암(42)의 상부의 후측면에 고정되고, 다리부(52D)는 조종부(5)의 뒷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프레임(53)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브래킷(50)을 슈라우드(32)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브래킷(50)의 강성이 높아져 브래킷(50)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다리부(52C)에 있어서의 하부의 뒷부를 제2암(42)의 상부 전측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엔진(E)의 출력축(55)에 설치된 풀리(56)와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무단 변속기 본체(11)의 입력축(13)에 설치된 풀리(22)에는 벨트(57)가 권회되어 있다. 또한, 벨트(57)의 장력은 벨트(57)의 후방에 설치된 텐션 암(58)에 의해 소정의 장력으로 조정되어 있다.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기어박스(12)의 출력축(21)에 설치된 풀리(23)와 팬(31)의 회전축(44)에 설치된 풀리(45)에는 벨트(46)가 권회되어 있다. 벨트(46)의 장력은 벨트(46)의 전방에 설치된 텐션 암(47)으로 조정되어 있다.
벨트(46)는 브래킷(40)의 제1암(41)과 제2암(42) 사이에, 제1암(41)과 제2암(42)에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벨트(46)의 장력의 변동에 의한 제1암(41)과 제2암(4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30) 앞측에는 승강 실린더 등에 공급되는 작동 오일을 냉각하는 오일쿨러(34)와, 오일쿨러(34)의 하측에 주행 장치(2)의 트랜스미션에 공급되는 작동 오일 등을 냉각하는 오일쿨러(35)가 설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30)에 있어서의 하부 앞측 부위의 외측에는 조종부(5)의 공조기기에 공급되는 냉각 매체를 냉각하는 콘덴서(36)가 설치되고, 라디에이터(30)에 있어서의 상부의 앞측 부위의 외측이며, 또한, 콘덴서(36)보다 외측에는, 엔진(E)에 공급되는 연소용의 혼합 기체를 냉각하는 인터쿨러(37)가 설치되어 있다.
인터쿨러(37)와 엔진(E)을 연결하는 호스(37A)는 라디에이터(30)의 앞측이고, 또한, 오일쿨러(34)의 상측에 라우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라디에이터(30)의 앞측이고, 또한, 오일쿨러(34)의 상측에 형성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30) 등의 보수·점검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요동 프레임(38)을, 요동 프레임(38)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축(3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라디에이터(30)의 우측에 큰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라디에이터(30) 등의 보수·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요동 프레임(38)의 하부의 내면에는 콘덴서(36)가 부착되어 있고, 요동 프레임(38)의 상부의 외면에는 인터쿨러(37)가 부착되어 있다.
5 : 조종부
6 : 엔진 룸
9 : 커버
10 :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13 : 입력축
14 : 출력축(제1출력축)
21 : 출력축(제2출력축)
23 : 풀리(제1풀리)
26 : 전장실
28 : 저벽
30 : 라디에이터
31 : 팬
40 : 브래킷(제1브래킷)
41 : 제1암
42 : 제2암
43 : 접속부
44 : 회전축
45 : 풀리(제2풀리)
46 : 벨트
50 : 브래킷(제2브래킷)
51 : 지지부
52B : 다리부
52C : 다리부
E : 엔진

Claims (7)

  1. 엔진 룸(6)에 내장된 엔진(E)의 외측에 라디에이터(30)를 설치하고, 상기 라디에이터(30)의 외측에 여과체를 구비한 커버(9)를 설치하고, 상기 엔진(E)과 라디에이터(30) 사이에 팬(31)을 설치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로서, 상기 팬(31)을 정전 방향 및 역전 방향으로 구동하는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설치하고, 상기 엔진 룸(6)의 상측에는 전장부품을 내장하는 전장실(26)을 설치하고, 상기 전장실(26)의 저벽(28)을 상측을 향해서 패이게 하고, 이 패이게 한 부위의 하면측에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상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31)의 회전축(44)의 축심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팬(31)의 회전 궤적의 외측에 배치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에 상기 엔진(E)으로부터 전동되는 입력축(13)과, 상기 팬(31)으로 전동되는 제1출력축(14)을 구비하고,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상기 팬(31)의 회전축(44)보다 뒷측에 배치하고, 상기 입력축(13)과 제1출력축(14)을 콤바인의 기체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양 축(13, 14)의 축심을 연결하는 가상직선이 앞이 올라가는 경사 자세로 되는 위치에 배치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13)과 상기 제1출력축(14)으로부터 연동되는 제2출력축(21)을 기체 내측을 향해서 연장시키고, 상기 입력축(13)에 있어서의 입력부를 상기 출력축(21)에 있어서의 출력부보다 기체 내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배치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기체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의 기체 외측의 부위를 상기 라디에이터(30)와 커버(9) 사이에 면하게 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4)을 제1브래킷(40)으로 지지하고, 상기 출력축(21)에 설치된 제1풀리(23)와 상기 회전축(44)에 설치된 제2풀리(45)에 벨트(46)를 권회하고, 상기 회전축(44)의 축심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벨트(46)를 사이에 두고 제1브래킷(40)의 제1암(41)과 제2암(42)을 설치하고, 상기 제1암(41)과 제2암(42)의 사이에 가설된 접속부(43)로 회전축(4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지지하는 제2브래킷(50)에,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를 지지하는 지지부(51)와, 상기 지지부(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52B, 52C)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52B, 52C)의 하부를 상기 제1브래킷(40)의 상부에 연결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KR1020180136380A 2018-06-28 2018-11-08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KR102603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23209A JP6614518B1 (ja) 2018-06-28 2018-06-28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JP-P-2018-123209 2018-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57A true KR20200001957A (ko) 2020-01-07
KR102603418B1 KR102603418B1 (ko) 2023-11-17

Family

ID=6876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380A KR102603418B1 (ko) 2018-06-28 2018-11-08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14518B1 (ko)
KR (1) KR102603418B1 (ko)
CN (1) CN110651592B (ko)
TW (1) TWI7964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6929B2 (ja) * 2020-01-06 2022-05-30 株式会社大一商会 遊技機
JP7252552B2 (ja) * 2020-01-21 2023-04-05 株式会社大一商会 遊技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3016A (ja) 2011-12-27 2013-07-08 Iseki & Co Ltd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2013154778A (ja) * 2012-01-30 2013-08-15 Iseki & Co Ltd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2013199184A (ja) * 2012-03-23 2013-10-03 Iseki & Co Ltd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S157360B1 (ko) * 1972-06-21 1974-09-16
US4454787A (en) * 1981-09-04 1984-06-19 Deere & Company Variable drive for a harvester functional element
JP4758854B2 (ja) * 2006-09-06 2011-08-3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5033052B2 (ja) * 2008-05-14 2012-09-2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101633381B (zh) * 2008-07-24 2011-07-06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自动二轮车
JP5418792B2 (ja) * 2011-03-18 2014-02-1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288290B2 (ja) * 2010-12-17 2013-09-11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2015015937A (ja) * 2013-07-12 2015-01-29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20150137955A (ko) * 2014-05-29 2015-12-09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US9599009B2 (en) * 2014-07-22 2017-03-21 Deere & Company Reversible mechanical fan
JP6529403B2 (ja) * 2015-09-17 2019-06-1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6160758B2 (ja) * 2016-09-30 2017-07-12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8071405A (ja) * 2016-10-27 2018-05-10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3016A (ja) 2011-12-27 2013-07-08 Iseki & Co Ltd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2013154778A (ja) * 2012-01-30 2013-08-15 Iseki & Co Ltd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2013199184A (ja) * 2012-03-23 2013-10-03 Iseki & Co Ltd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00003A (zh) 2020-01-01
KR102603418B1 (ko) 2023-11-17
JP6614518B1 (ja) 2019-12-04
CN110651592B (zh) 2023-02-21
TWI796407B (zh) 2023-03-21
CN110651592A (zh) 2020-01-07
JP2020000110A (ja)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1957A (ko)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JP5288290B2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KR101347129B1 (ko) 작업 차량의 원동부
KR20120068672A (ko) 작업 차량의 원동부 구조
JP6032569B2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5517077B2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4897455B2 (ja) 草刈機
JP5672561B2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6160758B2 (ja) コンバイン
JP4056405B2 (ja) 草刈機の冷却構造
JP2013226970A5 (ko)
JP2013204423A (ja) 田植機
JP5513363B2 (ja) 作業機
JP2014128207A (ja) コンバイン
JP6687916B2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5829963B2 (ja) 田植機
JP5964100B2 (ja) 田植機
JP5844191B2 (ja) 田植機
CN209990542U (zh) 收割机
JP5527553B2 (ja) コンバイン
JP2002315422A (ja) コンバインの伝動装置
JPH0698616A (ja)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装置
JP2014196076A (ja) 作業車両
JP5844192B2 (ja) 田植機
JP2022038904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