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838A -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838A
KR20190140838A KR1020190066749A KR20190066749A KR20190140838A KR 20190140838 A KR20190140838 A KR 20190140838A KR 1020190066749 A KR1020190066749 A KR 1020190066749A KR 20190066749 A KR20190066749 A KR 20190066749A KR 20190140838 A KR20190140838 A KR 20190140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positive electrod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147B1 (ko
Inventor
이주성
송헌식
배원식
유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9014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01M2/165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2/1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01M4/662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01M50/406Moulding; Emboss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로서, 상기 분리막은, 셧 다운 온도가 125 내지 145 ℃이며, 상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가 20 내지 80 ℃이고, 상기 양극에 구비된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보다 5 내지 35 ℃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가지는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안전성 및 공정성이 동시에 개선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SEP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저장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휴대폰, 캠코더 및 노트북 PC, 나아가서는 전기 자동차의 에너지까지 적용분야가 확대되면서 전기화학소자의 연구와 개발에 대한 노력이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전기화학소자는 이러한 측면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분야이고 그 중에서도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개발은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전지를 개발함에 있어서 용량 밀도 및 비에너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전극과 전지의 설계에 대한 연구개발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이차전지 중에서 1990 년대 초에 개발된 리튬 이차전지는 수용액 전해액을 사용하는 Ni-MH, Ni-Cd, 황산-납 전지 등의 재래식 전지에 비해서 작동 전압이 높고 에너지 밀도가 월등히 크다는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액, 분리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절연 시키기 위한 절연성과 높은 기공도를 바탕으로 리튬 이온의 투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높은 이온 전도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분리막은 또한 셧 다운 온도(shut down)와 멜트 다운 온도(melt down) 사이의 간격이 넓어야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멜트 다운 온도와 셧 다운 온도 차이가 너무 큰 경우에는 분리막의 공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멜트 다운 온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습식 폴리에틸렌 분리막에 폴리에틸렌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폴리프로필렌의 양이 소량 첨가되므로 멜트 다운 온도의 증가분이 소망하는 온도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분리막의 멜트 다운 온도를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멜트 다운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교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 또한 특정 경우에 있어서 저항값이 높아져 전기화학소자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분리막의 멜트 다운 온도가 높더라도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가 적절하여 안전성 및 공정성이 개선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셧다운 온도를 특정 수치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전기화학소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저항을 가져 전기화학소자로서의 성능을 개선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와 분리막의 멜트 다운 온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았던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공정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하기 구현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제1 구현예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로서,
상기 분리막은, 셧 다운 온도가 125 내지 145 ℃이며, 상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가 20 내지 80 ℃이고, 상기 양극에 구비된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보다 5 내지 35 ℃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가지는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제2 구현예는, 제1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는 150 내지 220 ℃인,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제3 구현예는, 제1 또는 제2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망간산화물, 리튬 코발트산화물, 리튬 니켈산화물, 리튬 철산화물, 또는 이들을 조합한 리튬 복합산화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제4 구현예는, 제1 내지 제3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니켈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제5 구현예는, 제1 내지 제4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의 멜트 다운 온도는 150 내지 230 ℃인,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제6 구현예는, 제1 내지 제5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은 실록산 가교 결합 또는 과산화물 가교 결합에 의해 가교된 것인,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제7 구현예는, 제1 내지 제6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의 가교도는 20 내지 90 %인 것인,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하기 구현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9 구현예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내지 1,000,000인 폴리올레핀, 희석제, 알콕시기 함유 비닐 실란, 개시제, 및 가교 촉매를 압출기에 투입 및 혼합하여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용액을 반응압출한 후 성형 및 연신하여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알콕시기 함유 비닐 실란의 함량은 상기 폴리올레핀 및 희석제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 중량부이며,
상기 분리막은, 셧 다운 온도가 125 내지 145 ℃이며, 상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가 20 내지 80 ℃이고, 상기 양극에 구비된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보다 5 내지 35 ℃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가지는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0 구현예는, 제9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기 함유 비닐 실란은 트리메톡시비닐실란, 트리에톡시비닐실란, 및 트리아세톡시비닐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를 특정 수치범위로 제어함에 따라 안전성이 개선되며 공정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폴리올레핀의 가교를 통해 멜트 다운 온도를 높여 내열 특성이 향상되며, 분리막의 셧 다운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저항값이 개선된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잇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와 분리막의 멜트 다운 온도를 특정 수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았던 문제를 해결하며 동시에 공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은 물리적 연결뿐만 아니라 전기화학적 연결을 내포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면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들)」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이들 모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가 큰 분리막을 사용하는 경우,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개선된다. 그러나, 멜트 다운 온도와 셧 다운 온도 차이가 너무 큰 경우에는 분리막의 공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분리막의 멜트 다운 온도를 높여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사이의 차이를 벌이기 위하여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 또한 특정 경우에 있어서 저항값이 높아져 전기화학소자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분리막의 멜트 다운 온도가 높더라도,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분리막의 멜트 다운 온도가 높더라도, 양극에 구비된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전성 및/또는 공정성이 담보될 수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발견하고,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분리막의 안전성과 제막 공정성을 동시에 담보하며, 자기 발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았던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공정성이 개선되며, 셧다운 온도를 특정 수치 범위로 제어함에 따라 저항값이 개선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셧다운 온도, 셧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 멜트 다운 온도와 자기 발열 온도 차이가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열거한 구성 요소들의 수치 범위를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로서,
상기 분리막은, 셧 다운 온도가 125 내지 145 ℃이며, 상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가 20 내지 80 ℃이고, 상기 양극에 구비된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보다 5 내지 35 ℃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가지는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셧 다운 온도'는 내부 혹은 외부 단락으로 인해 갑자기 많은 전류가 흐름에 따라 분리막 내 미세 기공이 폐쇄될 때의 온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셧 다운 온도는 125 내지 145 ℃, 또는 128 내지 143 ℃, 또는 136 내지 141 ℃ 일 수 있다.
셧 다운 온도가 상기 수치 범위 내인 경우, 단락에 의한 열폭주와 같은 고온 환경 하에서도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다. 셧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가 20 내지 80 ℃이고, 자기 발열 온도보다 5 내지 35 ℃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만족하는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이라도, 상기 셧 다운 온도가 125 ℃ 미만인 경우에는 기공 폐색이 너무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저항값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셧 다운 온도가 14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공 폐색 시점이 지연되어 과충전 등 전기화학소자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셧 다운 온도는 다음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먼저 다공성 막의 투기도를 측정하면서, 상기 다공성 막을 증가하는 온도조건(30℃에서 시작하여 5℃/분)에 노출시킨다. 이 때, 상기 다공성 막의 투기도(Gurley 값)가 처음으로 100,000초/100cc를 초과하는 온도를 셧 다운 온도로 정의한다. 상기 다공성 막의 투기도는 JIS P8117에 따라 투기도 측정기(Asahi Seiko, EGO-IT)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멜트 다운 온도'는 리튬 이차 전지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폴리올레핀 결정이 녹아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가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분리막이 녹아내릴 때의 온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멜트다운 온도는 다공성 막을 제조 진행방향(Machine direction, MD)과 진행 방향의 수직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으로의 샘플을 각각 채취한 후 열기계적 분석방법(Thermomechanical Analysis, TMA)으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TMA 장비(TA Instrument, Q400)에 10mm 길이의 샘플을 넣고 19.6mN의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증가하는 온도조건(30℃에서 시작하여 5℃/분)에 노출시킨다.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샘플의 길이 변화가 수반 되어 지며, 길이가 급격하게 늘어나 샘플이 끊어지는 온도를 측정한다. MD와 TD를 각각 측정하고 더 높은 온도를 해당 샘플의 멜트 다운 온도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의 멜트다운 온도는 150 내지 230 ℃, 또는 155 내지 210 ℃, 또는 179 내지 21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로서,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의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가 20 내지 80 ℃인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의 상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가 20 내지 80 ℃, 또는 25 내지 75 ℃, 또는 40 내지 74 ℃일 수 있다.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가 상기 수치 범위와 같을 때 보다 안전한 전기 화학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가 상기 수치 범위 내인 경우, 보다 낮은 온도에서 기공 폐색이 일어나 1차적으로 안전한 전기화학소자를 얻을 수 있으며, 보다 높은 온도에서 분리막의 용융이 일어나게 되므로 2차적으로 안전한 전기화학소자를 얻을 수 있다.
셧다운 온도가 125 내지 145 ℃이며, 자기 발열 온도보다 5 내지 35 ℃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만족하는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이라도,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가 20 ℃ 미만인 경우, 기공 폐색에 의한 셧 다운이 일어난 후 보다 빨리 분리막의 용융이 일어나게 되므로, 음극과 양극의 단락을 차단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발화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다. 반대로,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가 8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이 드룰이 발생하여 분리막 제막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로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양극에 구비된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보다 5 내지 35 ℃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가지는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멜트 다운 온도는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보다 5 내지 35 ℃, 또는 7 내지 34 ℃, 또는 9 내지 34 ℃ 높을 수 있다.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의 멜트 다운 온도가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보다 상기 수치 범위와 같은 경우, 안전성이 높으며 공정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셧다운 온도가 125 내지 145 ℃이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가 20 내지 80 ℃를 만족하는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이라도, 멜트 다운 온도와 자기 발열 온도 차이가 5 ℃ 미만인 경우에는 분리막의 멜트 다운 온도가 매우 높더라도 실질적으로 분리막 제어를 통한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전성은 담보할 수 없다. 이는 분리막의 열수축 또는 막 용융이 아닌 양극 활물질 자체에서 발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반면, 멜트 다운 온도와 자기 발열 온도 차이가 35 ℃ 초과인 경우에는 분리막 제조 공정에서 공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자기 발열 온도'란 양극에 구비된 양극 활물질이 특정 측정 조건 하에서 발열 반응이 나타나기 시작할 때의 최저 온도를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상기 자기 발열 온도는 다음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본 발명에서 양극 활물질의 자기발열 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증가하는 온도 조건(30℃에서 시작하여 5℃/분)에 노출시킨 양극활물질의 발열 방향으로 열량 변화가 발생하는 시점을 자기발열온도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는 150 내지 220 ℃, 또는 155 내지 215 ℃, 또는 158 내지 186℃ 일 수 있다.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는 양극 활물질의 종류 및 조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상기 수치 범위에서 자기 발열 온도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LiCoO2, LiNiO2, LiMn2O4, LiAl2O3 , LiCoPO4, LiFePO4, LiNiMnCoO2, LiNi1 -x-y- zCoxM1yM2zO2(M1 및 M2는 서로 독립적으로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물 조성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 ≤ x < 0.5, 0 ≤ y < 0.5, 0 ≤ z < 0.5, x+y+z ≤ 1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망간산화물, 리튬 코발트산화물, 리튬 니켈산화물, 리튬 철산화물, 리튬알루미늄산화물, 또는 이들을 조합한 리튬 복합산화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니켈 산화물일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이 리튬 니켈산화물인 경우 니켈 함량이 높아질수록 자기 발열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니켈 함량이 높아질수록 보다 빠르게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종류, 함량 등을 제어함에 따라 자기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은 실록산 가교 결합 또는 과산화물 가교 결합에 의해 가교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가교 결합은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OH)2Si-O-Si(OH)2-.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가교 결합은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O-O-.
본 발명은 실록산 가교 결합 또는 과산화물 가교 결합에 의해 가교됨으로써, 멜트다운 온도가 향상된 분리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의 가교도는 20 내지 90%, 또는 25 내지 80%, 또는 30 내지 70%일 수 있다. 상기 가교도가 이러한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분리막에 의한 내열 안정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교도(또는 겔화도)란 중합체의 전부의 구조단위 수에 대한 가교 결합 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가교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가교도는 ASTM D2765에 준하여 측정한다. 가교되지 않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끓는 자일렌에 녹는 성질을 이용하여 자일렌의 환류 조건에서 추출 하고 남은 불용 성분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가교도(gel content)를 측정한다. 먼저, 약 0.3g의 샘플을 샘플주머니에 넣고 무게를 정량한다. 컨덴서가 장착된 2리터 케틀에 산화방지제인 비에치티(BHT)가 1% 용해된 자일 용액 1리터를 채운고, 샘플 주머니를 자일렌에 완전히 잠기도록 케틀에 걸고 가열한다. 자일렌이 끓어서 환류가 시작된 이후(약 140℃) 12시간 동안 추출한다. 12시간 추출후 샘플 주머니를 건져서 105℃ 오븐에서 10분간 건조 후 150℃에서 1시간 동안 추가로 건조 시킨다. 건조한 샘플은 데시케이터로 옮겨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무게를 정량한다. 이 때 가교도는 다음과 같다.
가교도 = 100 - 추출물%
가교도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가교도 측정 방법이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전술한 리튬 이차 전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은, (S1) 중량평균분자량이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내지 1,000,000인 고밀도 폴리올레핀, 희석제,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 개시제, 및 가교 촉매를 압출기에 투입 및 혼합하여 준비한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반응압출한 후 성형 및 연신하는 단계; (S2) 상기 연신된 시트에서 희석제를 추출하여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다공성 막을 열고정한 후 수분 존재 하에서 15 시간 내지 48 시간 가교시켜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구비하는 분리막을 준비하는 단계; 및 (S4)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개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의 함량은 상기 폴리올레핀 및 희석제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 중량부이며,
상기 분리막은, 셧 다운 온도가 125 내지 145 ℃이며, 상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가 20 내지 80 ℃이고, 상기 양극에 구비된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보다 5 내지 35 ℃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가지는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내지 1,000,000인 고밀도 폴리올레핀, 희석제,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 개시제, 및 가교 촉매를 압출기에 투입 및 혼합하여 준비한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반응압출한 후 성형 및 연신한다(S1).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폴리헥센; 폴리옥텐;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펜텐, 4-메틸펜텐, 헥센, 및 옥텐 중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히, 이 중에서 결정도가 높고 수지의 용융점이 높은 고밀도폴리에틸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올레핀의 경우,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낮은 용융온도로 인하여 분리막 제조공정에서 기공 폐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올레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0 내지 1,000,000 또는 220,000 내지 700,000, 또는 250,000 내지 500,0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00,000 내지 1,0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고분자량의 폴리올레핀을 분리막 제조의 출발물질로 사용함으로써, 분리막 필름의 균일성 및 제막 공정성을 확보하면서 최종적으로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분리막을 얻을 수 있다. 반면, 고밀도 폴리올레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리막 제조시 두께 편차로 인하여 균일한 두께를 갖는 분리막을 제조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폴리올레핀의 종류 및/또는 분자량을 제어함에 따라 셧 다운 온도 및/또는 멜트 다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로는 습식 분리막 제조에 사용되는 액체 또는 고체 파라핀, 왁스, 광유, 대두유(soybean oi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로는 폴리올레핀과 액-액 상분리를 할 수 있는 희석제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디헥실 프탈레이트(dihexyl phthalate),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등의 프탈산 에스테르(phthalic acid ester)류; 디페닐 에테르(diphenyl ether), 벤질 에테르(benzyl ether) 등의 방향족 에테르류;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의 탄소수 10 내지 20개의 지방산류; 팔미트산알코올, 스테아린산알코올, 올레산알코올 등의 탄소수 10 내지 20개의 지방산 알코올류; 팔미트산 모노-, 디-, 또는 트리에스테르, 스테아린산 모노-, 디-, 또는 트리에스테르. 올레산모노-, 디-, 또는 트리에스테르, 리놀레산 모노-, 디-, 또는 트리에스테르 등의 지방산 그룹의 탄소수가 4 내지 26개인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이중결합이 에폭시로 치환된 1개 혹은 2개 이상의 지방산이, 히드록시기가 1 내지 8개이며, 탄소수가 1 내지 10개인 알코올과 에스테르 결합된 지방산 에스테르류;일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전술한 성분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 폴리올레핀 대 희석제의 중량비는 50 : 50 내지 20 : 80, 상세하게는 40 : 60 내지 25 : 75 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는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 가교제, 과산화물 가교제 등이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 가교제는 실란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가교제로서, 비닐기에 의해 폴리올레핀에 그라프트화 되고, 알콕시기에 의해 수가교 반응이 진행되어 폴리올레핀을 가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이때 상기 R1, R2, R3중 적어도 하나는 알콕시기이고;
상기 R은 비닐기, 아크릴옥시기, 메타아크릴옥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의 적어도 하나의 수소가 비닐기, 아크릴옥시기, 또는 메타아크릴옥시기로 치환된다.
한편, 상기 R은 추가적으로, 아미노기, 에폭시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비닐메틸디에톡시실란, 또는 이들 중 적어도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폴리올레핀 및 희석제의 총 함량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 중량부, 상세하게는 0.2 내지 3 중량부, 더 상세하게는 0.3 내지 2 중량부 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 가교제와 과산화물 가교제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과산화물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 가교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부, 상세하게는 1 내지 10 중량부, 더 상세하게는 2 내지 5 중량부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가교제의 함량, 종류 등을 제어함에 따라 멜트 다운 온도는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라디칼 생성이 가능한 개시제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개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2,5-다이메틸-2,5-다이-(3차-뷰틸퍼옥시)헥세인(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 (DHBP)), 벤조일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디라우릴 퍼옥사이드, 디-ter-부틸 퍼옥사이드, 디쿠밀 퍼옥시드, 쿠밀 퍼옥사이드, 하이드로전 퍼옥사이드, 포타슘 퍼설페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가교제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부, 상세하게는 1 내지 10 중량부, 더 상세하게는 2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개시제의 함량이 낮음에 따라 실란 그라프트율이 저하되거나, 개시제의 함량이 많음에 따라 압출기 내에서 폴리올레핀 간에 가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셧 다운 온도는 과산화물 가교제의 함량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해당 가교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낮은 셧 다운 온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멜트 다운 온도는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 가교제의 함량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해당 가교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란 가교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안정제, UV 안정제, 대전방지제, 기핵제(nucleating agent)등 특정 기능향상을 위한 일반적 첨가제들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2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이 동시에 투입될 수 있으며, 또는 먼저 1종 이상의 가교제가 투입되고 추후에 다른 1종 이상의의 가교제가 투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가교제는 시간 차이를 두고 투입될 수 있으며, 투입되는 가교제는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은 가교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란 가교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고밀도 폴리올레핀, 희석제, 가교제를 한번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반응 압출 직전에, 상기 과산화물 가교제를 더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 촉매는 주석, 아연, 철, 연, 코발트 등의 금속의 카르복실산염, 유기염기, 무기산 및 유기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 촉매의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금속의 카르복실산염으로는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 주석 디아세테이트, 초산 제1주석, 카프릴산 제1 주석, 나프텐산 아연, 카프릴산 아연, 나프텐산 코발트 등이 있고, 상기 유기 염기로는 에틸아민, 디부틸 아민, 헥실 아민, 피리딘 등이 있고, 상기 무기산으로는 황산, 염산 등이 있으며, 상기 유기산으로는 톨루엔, 설폰산, 초산, 스테아린산, 말레산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 촉매는 이들 중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 촉매의 함량은 상기 가교제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부, 또는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2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가교 촉매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소망하는 수준의 실란가교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며, 리튬 이차전지 내에서의 원하지 않는 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가교 촉매가 낭비되는 등의 비용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란 가교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의 그라프트라는 전처리 공정 없이 단일의 연속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추가 설비가 필요 없고 비용 및 공정면에서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란 가교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제조시에, 출발물질로 고밀도 폴리올레핀, 가교제와 함께 희석제를 함께 사용하며, 이러한 희석제는 압출 반응 시에 윤활제 역할을 하게 되므로 고분자량의 폴리올레핀에 그라프트시키는 반응 및 압출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출, 성형, 연신은 당업계에서 사용 가능한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압출 가공은 통상의 단축 압출기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압출 조건 및 연신 조건, 열고정 조건은 통상의 분리막 가공 조건 범위와 다르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 형태로 성형 및 연신하는 단계가, 상기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용액을 다이를 통하여 압출하여 압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압출물을 냉각하여 시트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 형태로 성형된 결과물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축연신하여 연신된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반응 압출을 통하여 얻어진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용액을 티다이스 등을 설치한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압출하고, 이후 수냉, 공냉식을 이용한 일반적인 캐스팅(casting) 혹은 캘린더링 방법을 사용하여 냉각 압출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냉각 압출물을 이용하여 연신하여 시트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이상인 고분자량의 고밀도 폴리올레핀을 사용하여 시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연신 처리 단계가 가능하고, 그 결과, 이차전지용 분리막으로 요구되는 개선된 강도 및 천공 강도 등의 물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낮은 분자량을 갖는 폴리올레핀을 이용하여 시트를 형성한 경우에는 연신 공정시에 파단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어 원하는 배율 수준의 연신 자체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리막 제막시 두께 편차로 인하여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분리막을 제조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밀도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며, 저밀도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밀도 폴리올레핀의 낮은 용융온도로 인하여 분리막의 기공이 폐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연신은 롤 방식 또는 텐터 방식 축차 혹은 동시 연신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연신비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3 배 이상, 또는 4배 내지 10 배일 수 있으며, 총 연신비는 14배 내지 100배 일 수 있다. 연신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한쪽 방향의 배향이 충분하지 않고 동시에 종방향 및 횡방향 간의 물성 균형이 깨져 인장강도 및 천공강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총 연신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미연신 또는 기공 형성이 일어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연신 온도는 사용된 폴리올레핀의 융점과 희석제의 농도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사용된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이며, 희석제가 액체 파라핀이며, 희석제의 동점도가 40 ℃에서 40 내지 100cSt인 경우, 상기 연신 온도는 종연신의 경우 70 내지 160℃, 또는 90 내지 140℃, 또는 100 내지 130℃ 일 수 있으며, 횡연신의 경우 90 내지 180℃, 또는 110 내지 160도℃ 또는 120 내지 150℃ 일 수 있고, 양 방향 연신을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에는 90 내지 180℃, 또는 110 내지 160℃, 또는 120 내지 150℃ 일 수 있다.
상기 연신 온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연신 온도가 낮은 온도 범위를 가짐에 따라 연질성(softness)이 없어 파단이 일어나거나 미연신이 일어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연신 온도가 높음에 따라 발생하는 부분적인 과연신 또는 물성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신된 시트에서 희석제를 추출하여 다공성 막을 제조한다(S2).
구체적으로, 다공성 막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희석제를 추출하고, 이후 건조하게 되며, 이때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지 압출에 사용된 희석제를 추출해 낼 수 있는 어떤 용제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상기 희석제를 추출해낼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추출 효율이 높고 건조가 빠른 메틸 에틸 케톤, 메틸렌 클로라이드, 헥산 등이 적당하다.
본 발명이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침적(immersion) 방법, 용제 스프레이(solvent spray) 방법, 초음파(ultrasonic) 법 등 일반적인 모든 용매추출 방법이 각각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추출 처리 후 잔류 희석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이어야 한다. 잔류 희석제의 함량이 1 중량%를 초과하면 물성이 저하되고 다공성 막의 투과도가 감소한다. 잔류 희석제의 함량은 추출 온도와 추출 시간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희석제와 유기용매의 용해도 증가를 위해, 추출 온도는 높은 것이 좋으나 유기용매의 끓음에 의한 안전성 문제를 고려할 때 4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온도가 희석제의 응고점 이하이면 추출 효율이 크게 떨어지므로 희석제의 응고점보다는 반드시 높아야 한다.
또한, 추출 시간은 제조되는 다공성 막의 두께에 따라 다르나, 10 내지 30㎛ 두께의 다공성 막의 경우에는, 2 내지 4분이 적당하다.
이 후, 상기 다공성 막을 열고정하고 수분 존재하에서 15 내지 48시간 동안 가교시켜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구비한 분리막을 준비한다(S3).
상기 열고정은 다공성 막을 고정시키고 열을 가하여, 수축하려는 다공성 막을 강제로 잡아 주어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인 경우, 상기 열고정 온도는 100 내지 140℃, 또는 105 내지 135℃, 또는 110 내지 130℃ 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인 경우에 상기 열고정 온도가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폴리올레핀 분자의 재배열이 일어나 다공성 막의 잔류 응력을 제거할 수 있으며, 부분적 용융에 따라 다공성 막의 기공이 막히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열고정 온도가 높을수록 제조된 분리막의 열수축율이 개선된 수 있으며, 열고정 온도가 낮을수록 분리막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열고정 온도의 시간은 10 내지 120초, 20 내지 90초, 30 내지 60 초 일 수 있다. 상기 시간에서 열고정 하는 경우, 폴리올레핀 분자의 재배열이 일어나 다공성 막의 잔류 응력을 제거할 수 있으며, 부분적 용융에 따라 다공성 막의 기공이 막히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는 60 내지 100 ℃, 또는 65 내지 95 ℃, 또는 70 내지 9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는 습도 6035 내지 95% 에서 15 내지 5010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가교 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가교 폴리올레핀 막이 가교도가 떨어져 결과적으로 멜트 다운 온도가 소망하는 온도범위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셧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가 적어 공정성 및/또는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떨어지거나, 멜트 다운온도와 자기 발열 온도 차이가 적어 공정성 및/또는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가교 시간을 제어함에 따라 분리막 제막에 있어서의 공정성 및/또는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분리막을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한다. 분리막을 개재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분리막을 전극 사이에 개재시키는 방법이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양극, 음극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전극 활물질을 집전체에 결착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음극 활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종래 전기화학소자의 음극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음극 활물질이 사용 가능하며, 특히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 탄소, 석유코크(petroleum coke), 활성화 탄소(activated carbon), 그래파이트(graphite) 또는 기타 탄소류 등과 같은 리튬 흡착물질 등이 바람직하다. 양극 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으며, 음극 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리, 금, 니켈 또는 구리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해액은 A+B-와 같은 구조의 염으로서, A+는 Li+, Na+, K+와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고 B-는 PF6 -, BF4 -, Cl-, Br-, I-,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2 -, C(CF2SO2)3 -와 같은 음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는 염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감마 부티로락톤 (g-부티로락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해리된 것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해액 주입은 최종 제품의 제조 공정 및 요구 물성에 따라, 전지 제조 공정 중 적절한 단계에서 행해질 수 있다. 즉, 전지 조립 전 또는 전지 조립 최종 단계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1) 분리막의 제조
먼저 압출기에 폴리올레핀으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만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대한유화, VH095) 10.5kg, 희석제로는 액체 파라핀 오일 (극동유화 LP350F, 40oC에서 동점도 67.89cSt) 19.5kg,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으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600g, 가교 촉매로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6g, 개시제로는 2,5-다이메틸-2,5-다이-(3차-뷰틸퍼옥시)헥세인(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 (DHBP)) 6g을 투입 및 혼합하였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액체 파라핀 오일의 중량비는 35:65이었다.
위 성분들을 L/D가 56인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여 혼련하여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만들고 동시에 200 ℃의 온도 조건으로 반응압출을 하여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가교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다이와 냉각 캐스팅 롤을 지나 시트 형태로 성형하고, 이후 MD 연신 후 TD 연신의 텐터형 축차연신기로 이축 연신을 하여 복합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MD 연신비와 TD 연신비는 모두 5.5 배로 하였다. 연신온도는 MD 가 108℃이고, TD 가 123℃로 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시트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액체 파라핀 오일을 추출하고, 127℃도에서 열고정하여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다공성 막을 80 ℃ 및 90% 습도의 항온합습실에 24 시간 두어 가교를 진행하여, 실란 가교 결합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가교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을 구비하는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2)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1) 음극의 제조
인조 흑연, 카본 블랙,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바인더(Zeon社 BM-L301)를 95.8:1:1.2:2의 중량비로 물과 혼합하여 음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슬러리를 50㎛의 두께로 구리 호일(Cu-foil) 위에 코팅하여 얇은 극판의 형태로 만든 후 135 ℃에서 3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압연(pressing)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2) 양극의 제조
니켈코발트망간 계열의 양극 활물질인 LiNi0 . 8Co0 . 1Mn0 . 1O2(니켈: 코발트: 망간 = 8 : 1 : 1, GS EM, GL80, 자기발열온도 155 ℃), 카본 블랙, 폴리비닐리덴플루라이드(PVDF)를 97:1.5:1.5의 중량비로 N-메틸-2-피롤리돈(NMP)과 혼합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슬러리를 20 ㎛ 두께로 알루미늄 호일 위에 코팅하여 얇은 극판의 형태로 만든 후 135℃에서 3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압연(pressing)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3) 리튬 이차 전지 제조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분리막을 음극 및 양극 사이에 개재한 후 적층하여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준비하고, 이를 파우치 외장재에 삽입하고,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DEC)를 30:70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에 1M의 LiPF6가 용해된 전해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분리막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리막은 비닐트리메톡시실란을 폴리올레핀 및 희석제의 총 함량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분리막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분리막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리막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대신에 비닐트리에톡시실란을 폴리올레핀 및 희석제의 총 함량 100 중량부 기준으로 1.5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분리막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분리막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리막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20만인 폴리에틸렌(LG화학, XL180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분리막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양극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양극은 니켈코발트망간 계열의 양극 활물질인 LiNi0 . 5Co0 . 2Mn0 . 3O2 (니켈: 코발트: 망간 = 5 : 2 : 3, Ronbay S740, 자기발열온도 183℃), 카본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폴리비닐리덴플루라이드(PVDF)를 97:1.5:1.5 의 중량비로 양극슬러리를 준비하였다. 상기 양극 슬러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2)의 양극과 동일하게 양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양극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양극은 니켈코발트망간 계열의 양극 활물질인 LiNi0 . 7Co0 . 1Mn0 . 2O2 (니켈: 코발트: 망간 = 7 : 1 : 2, LG화학社, 자기발열온도 166℃), 카본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폴리비닐리덴플루라이드(PVDF)를 97:1.5:1.5 의 중량비로 양극슬러리를 준비하였다. 상기 양극 슬러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2)의 양극과 동일하게 양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양극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양극은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계열의 양극 활물질인 LiNi0.88Co0.05Mn0.05Al0.02O2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 88 : 5 : 5 : 2, LG화학社, HN803, 자기발열온도 161℃), 카본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폴리비닐리덴플루라이드(PVDF)를 97:1.5:1.5 의 중량비로 양극슬러리를 준비하였다. 상기 양극 슬러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2)의 양극과 동일하게 양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분리막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고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양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리막은 항온항습실에 방치한 시간을 18시간으로 단축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분리막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서 제조한 분리막을 사용하고 실시예 7에서 제조한 양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분리막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고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양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리막은 비닐트리메톡시실란을 폴리올레핀 및 희석제의 총 함량 100 중량부 기준으로 2.5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분리막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분리막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리막은 비닐트리메톡시실란을 폴리올레핀 및 희석제의 총 함량 100 중량부 기준으로 7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분리막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1.5 시간 이상 가동 후 다이 립에서 드룰(drool) 현상이 발생하여 필름 외관문제로 공정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분리막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리막은 비닐트리메톡시시란 대신 비닐트리에톡시실란을 폴리올레핀 및 희석제의 총 함량 100 중량부 기준으로 7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분리막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2 시간 이상 가동 후 다이 립에서 드룰(drool) 현상이 발생하여 필름 외관문제로 공정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비교예 3
분리막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리막은 가교첨가제(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 가교 촉매, 개시제)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분리막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3에서 제조된 분리막을 사용하고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양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분리막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리막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105만인 폴리에틸렌(대한유화, VH100U)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분리막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분리막 제막시 두께 편차로 인하여 균일한 두께의 필름을 확보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분리막의 셧 다운, 멜트 다운 온도 등은 물론, 분리막의 멜트 다운 온도와 양극 활물질의 자기발열 온도 차이 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비교예 6
분리막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고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양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리막은 항온항습실에 방치한 시간을 10시간으로 단축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분리막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분리막을 사용하고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양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분리막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고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양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리막은 고밀도 폴리올레핀(대한유화, VH095) 대신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LG화학 SEETEC BF315)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의 분리막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8의 경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낮은 용융온도로 인하여 분리막 제조공정에서 기공막힘의 문제가 있었다.
실험예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양극, 분리막, 및 리튬 이차 전지의 성능을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양극의 자기 발열 온도 (oC) 분리막의 셧 다운 온도 (oC) 분리막의 멜트 다운 온도 (oC)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 (oC) 멜트다운온도와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 차이 (oC) 분리막 제조 공정성 전지저항 평가데이터 전지 안전성 평가 데이터
실시예1 158 139 192 53 34 OK OK Pass
실시예2 158 141 183 42 25 OK OK Pass
실시예3 158 140 189 49 31 OK OK Pass
실시예4 158 139 191 52 33 OK OK Pass
실시예5 183 139 192 53 9 OK OK Pass
실시예6 166 139 192 53 27 OK OK Pass
실시예7 161 139 192 53 31 OK OK Pass
실시예8 166 139 179 40 13 OK OK Pass
실시예9 161 139 179 40 18 OK OK Pass
실시예10 183 136 210 74 27 OK OK Pass
비교예1 158 134 221 87 63 NG OK Pass
비교예2 158 135 217 82 59 NG OK Pass
비교예3 158 142 153 11 -5 OK OK Fail
비교예4 183 142 153 11 -30 OK OK Fail
비교예5 - - - - - NG -
비교예6 166 139 168 29 2 OK OK Fail
비교예7 183 135 217 82 34 NG OK Pass
비교예8 166 116 198 82 32 NG NG Pass
(1) 양극의 자기 발열 온도 측정 방법:
양극 활물질의 자기발열 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증가하는 온도 조건(30℃에서 시작하여 5℃/분)에 노출시킨 양극활물질의 열량 변화가 발생하는 시점을 자기발열온도로 정의한다.
(2) 분리막의 셧 다운 온도 측정 방법:
셧 다운 온도는 다공성 막의 투기도를 측정하면서, 상기 다공성 막을 증가하는 온도조건(30℃에서 시작하여 5℃/분)에 노출시킨다. 상기 다공성 막의 셧 다운 온도는 미세다공막의 투기도(Gurley 값)가 처음으로 100,000초/100cc를 초과하는 온도로 정의한다. 이 때, 상기 다공성 막의 투기도는 JIS P8117에 따라 투기도 측정기(Asahi Seiko, EGO-IT)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3) 분리막의 멜트 다운 온도 측정 방법:
멜트다운 온도는 다공성 막을 제조 진행방향(Machine direction, MD)과 진행 방향의 수직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으로의 샘플을 각각 채취한 후 열기계적 분석방법(Thermomechanical Analysis, TMA)으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TMA 장비(TA Instrument, Q400)에 10mm 길이의 샘플을 넣고 19.6mN의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증가하는 온도조건(30℃에서 시작하여 5℃/분)에 노출시킨다.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샘플의 길이 변화가 수반 되어 지며, 길이가 급격하게 늘어나 샘플이 끊어지는 온도를 측정한다. MD와 TD를 각각 측정하고 더 높은 온도를 해당 샘플의 멜트 다운 온도로 정의한다.
(4) 전지 저항 평가 방법
제조된 전지를 Hioki로 1kHz 조건에서 저항을 측정하여, 실시예 1을 기준으로 3% 범위 이내이면 '적합(Pass)'으로 판단하였다.
(5) 전지 안전성 평가 방법:
제조된 전지를 만충전 한 후 상온에서 못 관통 평가를 하여 전지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못 관통 후 12시간 동안 발화가 없으면 Pass로 판단하였다.
표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모두 분리막의 셧 다운 온도가 125 내지 145℃ 이내이며, 셧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가 20 내지 80 ℃ 이내이고, 멜트 다운 온도와 자기 발열 온도 차이가 5 내지 35 ℃ 이내를 만족함에 따라 공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전기 저항이 낮은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였다.
반면, 상기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 내지 2의 경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가 80 ℃를 초과하며, 이 경우 공정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를 보다 크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멜트 다운 온도를 높이게 되는데, 멜트 다운 온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하여 공정성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비교예 3의 경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이가 20 ℃ 미만으로 낮아 전지 안전성 평가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또한, 멜트 다운 온도가 낮아,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간 차이가 적어 안전성 면에서도 효과가 열악한 것으로 보인다.
비교예 4의 경우, 비가교된 폴리올레핀 분리막을 사용한 반면, 자기 발열 온도가 높은 양극을 사용하여 멜트 다운 온도와 자기 발열 온도 차이가 -30℃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매우 열악하였다.
비교예 5의 경우, 분리막 제막이 어려워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6의 경우, 가교 폴리올레핀 막의 가교도가 떨어져 멜트 다운 온도와 셧 다운 온도 사이의 온도 차가 적고, 멜트 다운 온도와 자기 발열 온도 간 온도 차도 낮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매우 떨어졌다.
비교예 7의 경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간 온도 차가 너무 크고, 멜트 다운 온도가 너무 높아 공정성 면에서 적합하지 않았다.
비교예 8의 경우, 셧 다운 온도가 특히 낮아 전기 저항이 높게 나 전지 성능 면에서 열악하였으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간 온도 차가 너무 크고, 멜트 다운 온도가 너무 높아 공정성 면에서 적합하지 않았다.

Claims (16)

  1.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로서,
    상기 분리막은, 셧 다운 온도가 125 내지 145 ℃이며, 상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가 20 내지 80 ℃이고, 상기 양극에 구비된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보다 5 내지 35 ℃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가지며,
    상기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는 150 내지 220 ℃인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셧 다운 온도가 136 내지 141 ℃인, 리튬 이차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가 40 내지 74 ℃인, 리튬 이차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에 구비된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보다 9 내지 34 ℃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가지는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LiCoO2, LiNiO2, LiMn2O4, LiAl2O3 , LiCoPO4, LiFePO4, LiNiMnCoO2, LiNi1 -x-y- zCoxM1yM2zO2(M1 및 M2는 서로 독립적으로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물 조성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 ≤ x < 0.5, 0 ≤ y < 0.5, 0 ≤ z < 0.5, x+y+z ≤ 1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망간산화물, 리튬 코발트산화물, 리튬 니켈산화물, 리튬 철산화물, 리튬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이들을 조합한 리튬 복합산화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니켈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성 막의 멜트 다운 온도는 150 내지 230 ℃인, 리튬 이차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성 막의 멜트 다운 온도는 179 내지 210 ℃인, 리튬 이차 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는 158 내지 183 ℃인, 리튬 이차 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성 막은 실록산 가교 결합 또는 과산화물 가교 결합에 의해 가교된 것인, 리튬 이차 전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성 막의 가교도는 20 내지 90 %인 것인, 리튬 이차 전지.
  13. (S1)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내지 1,000,000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희석제,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 개시제, 및 가교 촉매를 압출기에 투입 및 혼합하여 준비한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반응압출한 후 성형 및 연신하는 단계;
    (S2) 상기 연신된 시트에서 희석제를 추출하여 폴리에틸렌 다공성 막을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다공성 막을 열고정한 후 수분 존재하에서 15시간 내지 48시간 가교시켜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성 막을 구비한 분리막을 준비하는 단계; 및
    (S4)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틸렌 및 희석제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4 중량부이며,
    상기 분리막은, 셧 다운 온도가 125 내지 145 ℃이며, 상기 셧 다운 온도와 멜트 다운 온도 차가 20 내지 80 ℃이고, 상기 양극에 구비된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보다 5 내지 35 ℃ 높은 멜트 다운 온도를 가지며,
    상기 양극 활물질의 자기 발열 온도는 150 내지 220 ℃인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이때 상기 R1, R2, R3 중 적어도 하나는 알콕시기이고;
    상기 R은 비닐기, 아크릴옥시기, 메타아크릴옥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의 적어도 하나의 수소가 비닐기, 아크릴옥시기, 또는 메타아크릴옥시기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로 치환된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기 함유 알콕시 실란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비닐메틸디에톡시실란, 또는 이들 중 적어도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에 구비된 양극 활물질은 LiCoO2, LiNiO2, LiMn2O4, LiAl2O3 , LiCoPO4, LiFePO4, LiNiMnCoO2, LiNi1 -x-y- zCoxM1yM2zO2(M1 및 M2는 서로 독립적으로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물 조성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 ≤ x < 0.5, 0 ≤ y < 0.5, 0 ≤ z < 0.5, x+y+z ≤ 1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KR1020190066749A 2018-06-12 2019-06-05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7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718 2018-06-12
KR20180067718 2018-06-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787A Division KR101989533B1 (ko) 2018-06-12 2018-11-20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838A true KR20190140838A (ko) 2019-12-20
KR102067147B1 KR102067147B1 (ko) 2020-01-15

Family

ID=6684642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787A KR101989533B1 (ko) 2018-06-12 2018-11-20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90066749A KR102067147B1 (ko) 2018-06-12 2019-06-05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90066748A KR102067146B1 (ko) 2018-06-12 2019-06-05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787A KR101989533B1 (ko) 2018-06-12 2018-11-20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748A KR102067146B1 (ko) 2018-06-12 2019-06-05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411826A1 (ko)
EP (1) EP3675231A4 (ko)
JP (1) JP7123121B2 (ko)
KR (3) KR101989533B1 (ko)
CN (1) CN111279520A (ko)
WO (1) WO20192404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20005472T5 (de) 2019-11-06 2022-09-15 Mando Corporation Steer-by-wire-lenkappar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63194A1 (en) * 2019-07-30 2022-08-18 Lg Chem, Ltd. Composite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20407180A1 (en) * 2019-11-08 2022-12-22 Lg Chem, Ltd. Crosslinked polyolefin separator, method for manufacturing crosslinked polyolefin separator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1081949B (zh) * 2019-12-31 2022-07-26 溧阳月泉电能源有限公司 一种交联聚烯烃隔膜及其制备方法
KR102572651B1 (ko) 2020-03-24 2023-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복합 세퍼레이터,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4518943A (ja) * 2021-05-07 2024-05-0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架橋構造含有ポリオレフィン多孔支持体、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用架橋構造含有分離膜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前記分離膜を備えるリチウム二次電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332A (ko) * 2014-10-31 201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31761A (ko) *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225B1 (ko) * 2002-09-26 2009-05-04 에이지씨 세이미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2차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 및 그 제조방법
JP2004303475A (ja) 2003-03-28 2004-10-28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CN1534821A (zh) * 2003-03-28 2004-10-06 ������������ʽ���� 非水电解质电池
US7374842B2 (en) * 2003-04-30 2008-05-20 Matsushita Battery Industrial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O2009028734A1 (en) * 2007-08-31 2009-03-05 Tonen Chemical Corporation Multi-layer, microporous polyolefin membrane, its production method,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KR20100051710A (ko) * 2007-10-03 2010-05-17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전해액 전지
CN102341947A (zh) * 2009-03-18 2012-02-01 日立麦克赛尔能源株式会社 电化学元件
EP2442895B1 (en) * 2009-06-19 2015-02-25 Toray Battery Separator Film Co., Ltd. Microporous membranes, methods for making such membranes, and the use of such membranes as battery separator film
JP2011159506A (ja) * 2010-02-01 2011-08-18 Sharp Corp 非水系二次電池
JP6460672B2 (ja) 2013-09-18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膜の製造方法、光学部品の製造方法、回路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105576172B (zh) * 2014-10-31 2018-06-22 Lg化学株式会社 交联聚烯烃隔膜及其制备方法
CN104600233A (zh) * 2015-02-04 2015-05-06 厦门大学 一种热关断复合隔膜及其应用
KR101915347B1 (ko) * 2015-04-30 2018-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6094711B2 (ja) * 2015-06-19 2017-03-15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蓄電デバイス用セパレータフィルム、および蓄電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332A (ko) * 2014-10-31 201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31761A (ko) *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20005472T5 (de) 2019-11-06 2022-09-15 Mando Corporation Steer-by-wire-lenkappar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5231A1 (en) 2020-07-01
EP3675231A4 (en) 2021-01-06
KR102067146B1 (ko) 2020-02-11
JP7123121B2 (ja) 2022-08-22
KR102067147B1 (ko) 2020-01-15
US20200411826A1 (en) 2020-12-31
KR101989533B1 (ko) 2019-06-14
JP2020527846A (ja) 2020-09-10
WO2019240427A1 (ko) 2019-12-19
CN111279520A (zh) 2020-06-12
KR20190140837A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147B1 (ko)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3852B1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8232B1 (ko)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5346B1 (ko)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세퍼레이터
KR101915347B1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3491B1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960926B1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
KR102062315B1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
KR20200078407A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0256B1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108627B (zh) 交联的聚烯烃隔膜及其制造方法
KR102022595B1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72531A (ko) 가교 폴리올레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
KR20200087923A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1452B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KR20200026172A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86226A (ko) 복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043387B1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3315A (ko) 안전성이 강화된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3529A (ko) 안전성 및 통기도가 개선된 이차전지용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85676A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7856A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4120A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