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913A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913A
KR20190126913A KR1020197031079A KR20197031079A KR20190126913A KR 20190126913 A KR20190126913 A KR 20190126913A KR 1020197031079 A KR1020197031079 A KR 1020197031079A KR 20197031079 A KR20197031079 A KR 20197031079A KR 20190126913 A KR20190126913 A KR 20190126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bstrate
type conductive
drain electrode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173B1 (ko
Inventor
도시아키 기타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6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 H01L29/7786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with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i.e. with wide bandgap layer formed on top of active layer, e.g.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MIS-like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46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 H01L29/66462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with a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 or gate, e.g. HFET, HIGFET, SISFET, HJFET,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373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381Silicon, silicon germanium, germa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7Doping during depositing
    • H01L21/02573Conductivity type
    • H01L21/02579P-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01L29/0653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adjoining the input or output region of a field-effect device, e.g. the source or drain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7Substrate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1075Substrate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29/2003Nitride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80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 H01L29/81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with a Schottky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Abstract

Si 기판(1)의 위에 질화물 반도체층(2, 3, 4)이 마련되어 있다. 질화물 반도체층(2, 3, 4)의 위에 게이트 전극(5), 소스 전극(6) 및 드레인 전극(7)이 마련되어 있다. 드레인 전극(7)의 아래에 있어서 Si 기판(1)에, 질화물 반도체층(2, 3, 4)과 접하는 P형 도전층(11)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본 발명은, Si 기판 상에 형성한 질화물계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HEMT :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에 관한 것이다.
AlGaN/GaN계 헤테로 구조를 갖는 GaN HEMT는, GaAs계 HEMT와 비교하여 고주파(RF) 출력 밀도가 크고, 디바이스 사이즈, 즉 게이트 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GaAs계 HEMT와 동일한 전력의 GaN HEMT를 실현하려고 하면, 내압이 크기 때문에 드레인 전류를 작게 할 수 있고, 트랜지스터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고, 전극간 용량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출력 임피던스가 커지고, 직렬 기생 저항에 의한 전력 손실이 작아지고, 또한 임피던스 변화비가 작아지고 대역이 넓어진다.
도 7은 GaN on Si 디바이스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온 때는, 입출력 특성은 정상이다. 그러나, 고온 때에는, 출력 전력이 저온 때보다 현저하게 낮은 입력 전력으로부터 포화한 후, 저하된다. 여기서, 고온이란, 예컨대 Si 기판이 180℃를 넘는 상황이고, 그 이하의 온도가 저온이다. Si 기판은, SiC 기판보다 저가이지만, 이와 같은 문제가 있다.
도 8은 고저항 Si 기판의 저항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Si 기판의 저항률은 온도와 함께 변화하고, 180℃ 이상이 되면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것은 Si의 밴드 갭이 작기 때문에, 캐리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GaN on Si HEMT의 출력이 고온 때에 저하되는 것은, 기판 저항이 저하되는 것에 기인한다. 이것은 Si 기판 특유의 문제이고, 밴드 갭이 Si의 3배 정도 큰 SiC 기판에서는 저항률의 저하는 일어나지 않는다.
도 9는 Si 기판의 저항률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의 오프 때, 즉 RF 동작에서 채널이 핀치 오프되어 있는 상태의 출력 경로를 비교한 단면이다. 저온 때는 기판 저항 Rs가 크고, 드레인 소스 용량 Cds도 작다. 이 때문에, RF 전력은 이면 전극을 경유하는 패스로 통과하려고 하지만, 거의 이 패스에서 RF 전력은 누설되지 않는다. 한편, 고온 때는 기판 저항 Rs가 저하되어 RF 전력이 통과하기 쉬워지고, Si 기판이 저저항이 됨으로써 드레인 소스 용량 Cds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 때문에, RF 전력의 누설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입력 전력을 증가시키더라도 출력 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GaN on Si HEMT는 저가로 고출력 디바이스를 실현하는데 적합하지만, 고온 때의 RF 동작이 불안정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드레인 전극을 분할하고, 그 사이를 아이솔레이션하는 것에 의해, 기판과의 기생 용량을 저감하고, 고온 때의 RF 동작을 개선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드레인 전극을 분할하고, 그 사이에 GaN보다 유전율이 낮은 저유전체층을 채우는 것에 의해, 드레인 소스 용량을 저감하고 고온 때의 RF 동작을 개선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11-20498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15-79923호 공보
GaN on Si HEMT에서는 고저항 Si 기판을 사용하고 있다. 고온이 되면 드레인 전극의 아래에서 질화물 반도체와 Si 기판의 경계에 있어서 Si 기판에 전자가 모이기 시작한다. 거기가 RF 전력의 리크 경로가 되고, 리크한 전력이 더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Si 기판의 저항률이 내려간다고 하는 사이클에 들어간다. 이 때문에, 급격하게 드레인 소스 용량이 증가하고 출력 전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GaN on Si HEMT를 RF 고출력 디바이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고온 때에 입력 전력을 증가시키더라도 출력 전력이 조기에 포화하여 감소한다.
드레인 전극을 분할하고, 그 사이를 아이솔레이션하는 종래 기술에서는, 드레인 전극과 Si 기판의 기생 용량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저항률 저하를 막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드레인 전극을 분할하고, 그 사이에 저유전체층을 채우는 종래 기술에서는 Si 기판의 저항률의 저하를 막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고온 때의 고주파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는, Si 기판과, 상기 Si 기판의 위에 마련된 질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의 위에 마련된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의 아래에 있어서 상기 Si 기판에 마련되고,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과 접하는 P형 도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드레인 전극의 아래에 P형 도전층을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온 때에 Si 기판에서 발생하는 전자가 드레인 전극의 아래에 모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전력을 리크하는 전자가 존재하지 않게 되고, 오프 때에 고주파 전력이 기판 쪽으로 누설되는 일이 없어진다. 이것에 의해, 고온 때의 출력 전력 저하가 없어지고, 고온 때의 고주파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와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와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과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GaN on Si 디바이스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고저항 Si 기판의 저항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Si 기판의 저항률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의 오프 때, 즉 RF 동작에서 채널이 핀치 오프되어 있는 상태의 출력 경로를 비교한 단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의 반복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반도체 장치는 GaN on Si HEMT이다. Si 기판(1)은, 예컨대 실온에서 10000Ω㎝ 정도의 저항을 갖는 고저항의 Si 기판이다.
Si 기판(1)의 위에, 질화물 반도체층으로서, 버퍼층(2), 전자 주행층(3) 및 전자 공급층(4)이 결정 성장에 의해 마련되어 있다. 버퍼층(2)은, 예컨대 Al 농도가 상이한 복수의 AlGaN층을 적층한 것이다. 전자 주행층(3)은, 예컨대 논 도프의 GaN층이다. 전자 공급층(4)은, 예컨대 Al 조성이 0.1 내지 0.5인 AlGaN층, 또는 AlGaN층과 전자 주행층(3)의 사이에 AlN층을 형성한 것이다.
전자 공급층(4)의 위에 게이트 전극(5), 소스 전극(6) 및 드레인 전극(7)이 마련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5)은, 예컨대 Ni/Au계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소스 전극(6) 및 드레인 전극(7)은, 예컨대 Ti/Al계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들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하층 절연막(8) 및 상층 절연막(9)이 마련되어 있다. 하층 절연막(8) 및 상층 절연막(9)은, 예컨대 질화규소막이다. Si 기판(1)의 이면에 이면 전극(10)이 마련되어 있다. 이면 전극(10)은, 예컨대 Ti/Au계 재료로 이루어진다.
드레인 전극(7)의 아래에 있어서 Si 기판(1)에, 버퍼층(2)과 접하는 P형 도전층(11)이 마련되어 있다. P형 도전층(11)은, 예컨대 이온 주입으로 형성되고, P형 도펀트로서 붕소(B), 알루미늄(Al) 등을 이용한다. P형 도전층(11)의 불순물 농도는 5E16㎝-3 이상이 바람직하다. P형 도전층(11)의 주입 깊이는 1미크론 이하이더라도 좋다.
GaN on Si HEMT를 고주파 디바이스로서 사용하는 경우, 고저항의 Si 기판(1)을 사용하여 RF 전력이 기판 쪽으로 리크하여 출력 특성이 열화하는 것을 막고 있다. 그러나, 고온이 되면 Si 기판(1)에서 캐리어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GaN on Si HEMT에서는 GaN계 재료의 특징을 살리기 위해 고전압 동작을 행한다. 예컨대, 드레인 전압으로서는 50V 정도가 통상 사용된다. 드레인 전압이 고전압이므로, Si 기판(1)에서 발생한 캐리어 중, 전자가 버퍼층(2)과 접하는 Si 기판(1) 쪽의 드레인 전극(7)의 아래에 집중되게 된다.
이것에 비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드레인 전극(7)의 아래에 P형 도전층(11)을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온 때에 Si 기판(1)에서 발생하는 전자가 드레인 전극(7)의 아래에 모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전력을 리크하는 전자가 존재하지 않게 되고, 오프 때에 고주파 전력이 기판 쪽으로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온 때의 출력 전력 저하가 없어지고, 고온 때의 고주파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종래보다 고온에서 동작할 수 있는 GaN on Si HEMT를 실현할 수 있다.
단, 게이트 전극(5) 및 소스 전극(6)의 아래를 포함하는 Si 기판(1)의 전면에 P형 도전층(11)을 형성한 경우는, 고온 때의 출력 저하는 억제할 수 있지만, 저온 때에 P형 도전층(11)을 경유하여 RF 전력이 리크한다. 또한, 소스 전극(6)은 이면 전극(10)과 동일한 전압이기 때문에, 소스 전극(6)의 아래에 P형 도전층(11)을 형성하더라도 전자가 드레인 전극(7)의 아래에 비하여 모이기 어렵고, 효과는 없다. 그 때문에, P형 도전층(11)은, 게이트 전극(5) 및 소스 전극(6)의 아래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실시의 형태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P형 도전층(11)을 마련하면, 저온 때에 고주파 전력의 누설이 증가하는 일이 있다. 이것에 비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P형 도전층(11)의 폭이 드레인 전극(7)의 폭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저온 때에 고주파 전력이 기판 쪽으로 누설되는 것을 적게 하여, 저온 때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효과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의 형태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P형 도전층(11)의 폭은 드레인 전극(7)의 폭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고온 때에 고주파 전력이 기판 쪽으로 누설되는 것을 실시의 형태 1보다 줄일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효과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 P형 도전층(11)의 폭을 넓게 하면 저온 때에 고주파 전력의 누설이 증가하지만, 고온 때의 특성을 중시하는 경우에 본 실시의 형태는 유효하다.
실시의 형태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와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P형 도전층(11)은, 고농도층(11a)과, 고농도층(11a)의 바깥쪽에 마련되고 고농도층(11a)보다 불순물 농도가 낮은 저농도층(11b)을 갖는다. 고농도층(11a)과 저농도층(11b)은, 예컨대 이온 주입으로 형성하고, P형 도펀트로서 붕소(B), 알루미늄(Al) 등을 이용한다.
실시의 형태 3과 같이 P형 도전층(11)의 폭을 넓게 하면 저온 때에 고주파 전력의 리크가 증가한다. 이것에 비하여,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고농도층(11a)과 저농도층(11b)을 마련함으로써, 고온 때의 특성과 저온 때의 특성의 양립이 용이해진다. 즉, 고온 때에 Si 기판(1)에서 발생하는 전자가 드레인 전극(7)의 아래에 모이는 것을 막으면서, 저온 때의 특성도 조정하기 쉽다. 이 결과, 디바이스의 목적에 최적인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효과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의 형태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와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P형 도전층(11)의 위에 있어서 드레인 전극(7)이 분할되고, 버퍼층(2), 전자 주행층(3) 및 전자 공급층(4)에 공동(12)이 마련되어 있다. 예컨대 염소계 가스를 이용하여 버퍼층(2), 전자 주행층(3) 및 전자 공급층(4)을 드라이 에칭하여 공동(12)을 형성하고, Si 기판(1)을 노출시킨다. 이것에 의해, 드레인 소스 용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 때에 고주파 전력이 기판 쪽으로 더욱 새기 어려워진다.
실시의 형태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과 관련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버퍼층(2), 전자 주행층(3) 및 전자 공급층(4)보다 유전율이 낮은 저유전율 재료(13)가 공동(12)에 채워져 있다. 저유전율 재료(13)는, 예컨대 벤조시클로부텐, 폴리이미드 및 폴리플루오로카본 등이다. 이것에 의해, 드레인 소스 용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 때에 고주파 전력이 기판 쪽으로 더욱 새기 어려워진다. 또한, 몰드 수지로 봉지하는 디바이스의 경우,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유전율이 약간 높은 몰드 수지가 공동(12)에 들어가기 때문에, 효과가 저하된다. 이것에 비하여, 몰드 수지보다 유전율이 낮은 저유전율 재료(13)를 공동(12)에 채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것을 막을 수 있다.
1 : Si 기판
2 : 버퍼층(질화물 반도체층)
3 : 전자 주행층(질화물 반도체층)
4 : 전자 공급층(질화물 반도체층)
5 : 게이트 전극
6 : 소스 전극
7 : 드레인 전극
11 : P형 도전층
11a : 고농도층
11b : 저농도층
12 : 공동
13 : 저유전율 재료

Claims (7)

  1. Si 기판과,
    상기 Si 기판의 위에 마련된 질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의 위에 마련된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의 아래에 있어서 상기 Si 기판에 마련되고,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과 접하는 P형 도전층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도전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소스 전극의 아래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도전층의 폭은 상기 드레인 전극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도전층의 폭은 상기 드레인 전극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도전층은, 고농도층과, 상기 고농도층의 바깥쪽에 마련되고 상기 고농도층보다 불순물 농도가 낮은 저농도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도전층의 위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에 공동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에 채워진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보다 유전율이 낮은 저유전율 재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197031079A 2017-04-28 2017-04-28 반도체 장치 KR102202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7014 WO2018198337A1 (ja) 2017-04-28 2017-04-28 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913A true KR20190126913A (ko) 2019-11-12
KR102202173B1 KR102202173B1 (ko) 2021-01-12

Family

ID=6068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079A KR102202173B1 (ko) 2017-04-28 2017-04-28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04369B2 (ko)
JP (1) JP6249146B1 (ko)
KR (1) KR102202173B1 (ko)
CN (1) CN110574147B (ko)
DE (1) DE112017007491B4 (ko)
WO (1) WO20181983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8575B2 (en) * 2018-06-05 2021-10-26 Macom Technology Solutions Holdings, Inc. Parasitic capacitance reduction in GaN-on-silicon devices
US11398560B2 (en) * 2018-09-26 2022-07-26 Intel Corporation Contact electrodes and dielectric structures for thin film transistors
JP7016311B2 (ja) * 2018-11-06 2022-02-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CN112840464B (zh) * 2021-01-12 2022-07-12 英诺赛科(苏州)半导体有限公司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6869A (ja) * 2004-12-13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09993A (ja) * 2007-06-26 2009-01-15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2011204984A (ja) 2010-03-26 2011-10-13 Renesas Electronics Corp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2013038250A (ja) * 2011-08-09 2013-02-21 Fujitsu Ltd スイッチング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源装置
JP2015079923A (ja) 2013-10-18 2015-04-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装置、ダイオード、および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2017059786A (ja) * 2015-09-18 2017-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0103B2 (en) * 2004-09-24 2007-02-20 Agere Systems Inc. III-V power field effect transistors
US7800097B2 (en) 2004-12-13 2010-09-21 Panasonic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independent active layer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WO2011024367A1 (ja) * 2009-08-27 2011-03-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装置
JP5720000B2 (ja) * 2011-02-23 2015-05-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装置
JP5853188B2 (ja) * 2011-05-30 2016-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WO2013021628A1 (ja) * 2011-08-08 2013-0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896667B2 (ja) * 2011-09-26 2016-03-30 トランスフォーム・ジャパン株式会社 化合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061254A1 (ja) * 2012-10-16 2014-04-24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半導体装置
CN103117294B (zh) 2013-02-07 2015-11-25 苏州晶湛半导体有限公司 氮化物高压器件及其制造方法
JP6368197B2 (ja) * 2014-08-29 2018-08-0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10192980B2 (en) * 2016-06-24 2019-01-29 Cree, Inc. Gallium nitride high-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with deep implanted p-type layers in silicon carbide substrates for power switching and radio frequency application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2018041933A (ja) * 2016-09-09 2018-03-1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基板
US11588024B2 (en) * 2017-03-17 2023-02-21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High voltage blocking III-V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6869A (ja) * 2004-12-13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09993A (ja) * 2007-06-26 2009-01-15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2011204984A (ja) 2010-03-26 2011-10-13 Renesas Electronics Corp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2013038250A (ja) * 2011-08-09 2013-02-21 Fujitsu Ltd スイッチング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源装置
JP2015079923A (ja) 2013-10-18 2015-04-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装置、ダイオード、および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2017059786A (ja) * 2015-09-18 2017-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7007491B4 (de) 2023-04-27
JP6249146B1 (ja) 2017-12-20
US10804369B2 (en) 2020-10-13
US20200144393A1 (en) 2020-05-07
CN110574147A (zh) 2019-12-13
KR102202173B1 (ko) 2021-01-12
WO2018198337A1 (ja) 2018-11-01
CN110574147B (zh) 2023-01-10
JPWO2018198337A1 (ja) 2019-06-27
DE112017007491T5 (de)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59196B (zh) 半导体装置
KR101561519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90006501A1 (en) Semiconductor device
JP6143598B2 (ja) 半導体装置
KR102202173B1 (ko) 반도체 장치
CN110785836B (zh) 半导体装置
JP2007180143A (ja) 窒化物半導体素子
JP2013062298A (ja) 窒化物半導体装置
JP6266457B2 (ja) 半導体アセンブリおよび製造方法
JP2011071307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00928B1 (ko)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JP6160216B2 (ja) 半導体装置
JP2010182924A (ja) 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24128B2 (ja) 保護素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半導体装置
JP6552925B2 (ja) 半導体装置
JP2022103163A (ja) 窒化物半導体トランジスタ装置
JP2009302541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20200411649A1 (en) Hemt and method of adjusting electron density of 2deg
JP4444311B2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6907974B2 (ja) 半導体装置
CN106981508B (zh) 具有垂直型跨接结构电极的水平式半导体元件
JP2019004084A (ja) 半導体装置
KR101175226B1 (ko) 반도체 장치
JP2023169965A (ja) 半導体装置
JP2015170776A (ja) 窒化物半導体積層体および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