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802A - 나선관용 띠상 부재 및 기설관의 갱생 방법 - Google Patents

나선관용 띠상 부재 및 기설관의 갱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802A
KR20190112802A KR1020197026234A KR20197026234A KR20190112802A KR 20190112802 A KR20190112802 A KR 20190112802A KR 1020197026234 A KR1020197026234 A KR 1020197026234A KR 20197026234 A KR20197026234 A KR 20197026234A KR 20190112802 A KR20190112802 A KR 20190112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portion
cross
strip
band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609B1 (ko
Inventor
유우타 미야타케
히로시 스가하라
다츠로우 바바
요시로우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2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0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32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winding hel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a pipe being formed inside the old pipe by winding strip-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나선상으로 권회해서 나선관을 제관할 때, 확주 제관 가능한 띠상 부재를 제공한다. 띠상 부재(90)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일단부에 제1 감합부(93)를 마련하고, 상기 단면의 타단부에 제2 감합부(94)를 마련하고, 띠상 부재(90)를 나선상으로 권회하고, 제2 감합부(94)를 제1 감합부(93)에 있어서의 일주 선행하는 부분과 감합시킴으로써, 나선관(9)을 제관한다. 띠상 부재(90)는 권회되었을 때, 상기 단면 상의 제1 감합부(93)와 제2 감합부(94)를 연결하는 기준 폭 방향(W9)이,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경사 가능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중립 약축(LN9)이, 기준 폭 방향(W9)에 대하여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기울어 있다.

Description

나선관용 띠상 부재 및 기설관의 갱생 방법
본 발명은 나선관이 되는 띠상 부재 및 기설관의 갱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선상으로 권회됨과 함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부끼리가 감합되어 제관되는 띠상 부재 및 해당 띠상 부재를 사용한 기설관의 갱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하수도관 등의 기설관의 노후화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대책의 일례로서, 기설관의 내주에 갱생관을 라이닝하여, 기설관을 갱생하는 공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등 참조). 갱생관은, 예를 들어 띠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나선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띠상 부재는, 평띠부와, 복수 조의 리브와, 암형 감합부와, 수형 감합부를 갖고 있다. 리브가 평띠부로부터 외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평띠부의 폭 방향의 일단부에 암형 감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평띠부의 폭 방향의 타단부에 수형 감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띠상 부재가, 암형 감합부를 연신 전방을 향하고, 또한 수형 감합부를 연신 후방을 향한 상태에서, 나선상으로 권회됨과 함께, 미제관 부분의 수형 감합부가, 일주 선행해서 제관이 끝난 부분의 암형 감합부와 감합된다. 이에 의해, 나선관이 점차 연신 제관된다.
종전의 띠상 부재는, 제관이 진행됨에 따라서 나선관의 둘레 길이가 작아지려고 하는 성질이 있다. 이하, 이것을 「축주성(縮周性)」이라고 칭한다. 축주성은, 나선관이 원형 단면인 경우에 축경(縮徑)하려고 하는 축경성을 포함한다. 그 때문에, 제관 장치에 링크 롤러라고 불리는 환상의 내주 규제체를 마련하고, 띠상 부재를 내주 규제체에 감으면서 제관함으로써, 나선관 축주(축경)를 방지하고 있었다(특허문헌 1 내지 3등 참조).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제관 시의 나선관의 둘레 길이가 커지려고 하는 경우, 그 성질을 「확주성(擴周性)」이라고 칭한다. 확주성은, 나선관이 원형 단면인 경우에 확경(擴徑)하려고 하는 확경성을 포함한다.
일본특허공개 제2014-065170호 공보 국제공개 WO2008/075681 국제공개 WO2016/175243([0004])
띠상 부재를 내주 규제체에 감아서 제관하면, 띠상 부재가 기설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유로 단면적의 손실이 크다. 또한, 나선관의 단면 형상 및 직경 치수가 내주 규제체에 의해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설관의 구경이나 단면 형상이 변화하는 개소나, 단차 등이 있는 개소에는 대응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나선상으로 권회해서 나선관을 제관할 때 확주성을 부여하여, 확주(확경) 제관 가능한 띠상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 고찰을 행하였다.
종래의 띠상 부재에 있어서는, 암형 감합부와 수형 감합부의 자웅 감합의 구조상, 암형 감합부측에 있어서의 단위 폭당 단면적이, 수형 감합부측에 있어서의 단위 폭당 단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었다(특허문헌 2의 도 1 및 도 24 등 참조). 그 때문에, 띠상 부재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중립 약축이, 수형 감합부로부터 암형 감합부로 향함에 따라 외면측으로 기운다. 여기서, 중립 약축이란,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직교하는 2개의 중립축 중 단면 2차 모멘트가 최소가 되는 것을 말한다. 제관하면, 중립 약축이, 나선관의 관축과 평행해지려고 하기 때문에, 암형 감합부측(나선관의 연신 전방측)이 수형 감합부측보다 내면측으로 기운다. 이것이 종래의 나선관이 축주(축경)하는 메커니즘이라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고찰 내지는 지견에 기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나선상으로 권회되어 나선관이 되는 띠상 부재로서,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 감합부와,
상기 단면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감합부에 있어서의 일주 선행하는 부분과 감합되는 제2 감합부
를 구비하고, 상기 권회되었을 때, 상기 단면 상의 제1 감합부와 제2 감합부를 연결하는 기준 폭 방향이,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경사 가능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면 형상은, 상기 띠상 부재의 비굽힘 상태(곡률 제로)에서의 단면 형상을 말한다.
당해 띠상 부재에 따르면, 나선관에 확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나선관을, 제관이 진행됨에 따라서 확주되도록 할 수 있다. 기설관 등의 외주 규제체가 없으면, 나선관을 제관이 진행됨에 따라서 확주시킬 수 있다. 외주 규제체가 있으면, 나선관을 해당 외주 규제체의 내주에 바짝 대도록 제관할 수 있다. 따라서, 하수도관의 기설관의 내주에 나선관을 라이닝하는 경우, 유로 단면적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기설관의 내주면에 단차나 직경 변화부가 있어도, 그에 맞추어서 나선관의 제관 직경을 가변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폭 방향은, 제1 감합부에 있어서의 특정 위치와, 제2 감합부에 있어서의 상기 특정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감합했을 때, 상기 특정 위치가 배치되는 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을 말한다.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중립 약축이, 상기 기준 폭 방향에 대하여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기울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나선관에 확주성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띠상 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곡률을 부여하면, 내면측에 압축 응력이 작용하고, 외면측에 인장 응력이 작용한다. 내면측과 외면측의 중간에, 압축·인장의 어느 쪽의 응력도 발생하지 않는 중립면이 생긴다. 이형 단면의 띠상 부재에 있어서는, 중립면이 불연속적으로 분포한다. 상기 단면 상의 중립면의 분포의 근사 직선을, 상기 중립 약축이라 정의한다.
상기 띠상 부재의 비굽힘 상태(곡률 제로)에서의 중립 약축이, 상기 기준 폭 방향에 대하여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기울어 있으면 된다. 상기 띠상 부재의 굽힘 상태와 비굽힘 상태에서의 중립 약축이 모두, 상기 기준 폭 방향에 대하여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기울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단면의 단위 폭당 단면적이, 상기 제1 감합부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2 감합부측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중립 약축이, 기준 폭 방향에 대하여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확실하게 기울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권회되었을 때, 기준 폭 방향이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확실하게 경사지는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나선관에 확주성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띠상 부재가 단일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평탄한 평띠부와, 상기 평띠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평띠부의 외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평띠부의 폭 방향의 일단부에 상기 제1 감합부가 마련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 감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리브의 배치가, 상기 제1 감합부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소(疎)하고, 상기 제2 감합부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밀(密)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중립 약축이, 기준 폭 방향에 대하여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확실하게 기울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권회되었을 때, 기준 폭 방향이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확실하게 경사지는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나선관에 확주성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띠상 부재가 단일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평탄한 평띠부와, 상기 평띠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평띠부의 외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평띠부의 폭 방향의 일단부에 상기 제1 감합부가 마련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 감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감합부측에 있어서의 리브의 상기 평띠부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2 감합부측에 있어서의 리브의 상기 평띠부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중립 약축이, 기준 폭 방향에 대하여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확실하게 기울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권회되었을 때, 기준 폭 방향이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확실하게 경사지는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나선관에 확주성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띠상 부재가 단일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상기 띠상 부재가, 1개 또는 복수의 단면 조정 부재를 갖고,
상기 중립 약축이, 상기 단면 조정 부재가 없다고 가정한 경우보다,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치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 조정 부재에 의해 띠상 부재의 단면 형상을 조정할 수 있어, 확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중립 약축이, 단면 조정 부재가 없는 경우보다,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치우침으로써, 권회되었을 때, 기준 폭 방향이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확실하게 경사지는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나선관에 확주성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단면 조정 부재가, 상기 제2 감합부측으로 치우쳐서 배치 또는 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나선관에 확주성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단면 조정 부재가, 상기 제1 감합부측으로 치우쳐서 배치 또는 분포되어 있어도 된다.
단면 조정 부재는, 중립 약축 또는 기준 폭 방향의 가변 조절 전용이어도 되고, 보강, 채열(採熱), 감합 등의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요소가 단면 조정 부재로서 겸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단면 조정 부재가, 강제(鋼製)의 보강 띠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띠재에 단면 조정 부재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은, 상기 띠상 부재를 나선상으로 권회해서 기설관의 내면을 따라 갱생관을 형성하는, 기설관의 갱생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띠상 부재에 따르면, 나선상으로 권회해서 나선관을 제관할 때, 나선관에 확주성을 부여할 수 있어, 확주 제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띠상 부재에 의해, 기설관을 갱생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띠상 부재로부터 나선관(갱생관)을 제관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III-III선을 따르는 상기 띠상 부재를 비굽힘 상태인 것으로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띠상 부재를 상기 나선관의 곡률로 굽힌 상태의 FEM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원부 IV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원부 V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외주 규제체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띠상 부재를 제관한 경우의 나선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띠상 부재를 비굽힘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띠상 부재를 비굽힘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띠상 부재를 비굽힘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띠상 부재를 비굽힘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띠상 부재를 비굽힘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3은 비교예 1을 나타내고, 공지된 띠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비교예 2를 나타내고, 공지된 띠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형태는, 예를 들어 노후화된 기설관(1)의 갱생에 적용된다. 기설관(1)으로서는, 하수도관, 상수도관, 수력 발전용 도수관, 농업용수관, 가스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설관(1)의 단면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고는 할 수 없고, 단차가 있거나 내경이 변화하거나 하는 단면 변화부(1d)가 있는 경우가 있다.
기설관(1)의 내벽에 나선관(9)(갱생관)이 라이닝되어 있다. 나선관(9)은, 긴 띠상 부재(9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가, 나선상으로 권회되고, 또한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부끼리가 감합 됨으로써, 나선관(9)이 된다. 나선관(9)의 단면은 원형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등의 비원형이어도 된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선관(9)으로 제관되기 전의 띠상 부재(90)는, 일정한 단면 형상이며, 동일 도면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띠상 부재(90)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지 재료를 압출 성형함으로써, 일정 단면의 띠상 부재(90)가 형성되어 있다.
띠상 부재(90)는, 평띠부(91)와, 복수 조의 리브(92)와, 제1 감합부(93)(암형 감합부)와, 제2 감합부(94)(수형 감합부)를 일체로 갖고 있다. 평띠부(91)의 내면(나선관(9)의 내주면이 되는 면, 도 3a에 있어서 하면)은, 평탄하게 되어 있다.
복수 조(여기서는 4개)의 리브(92)가, 평띠부(91)로부터 외면측(도 3a에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리브(92)는, 평띠부(91)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띠상 부재(90)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일단부(도 3a에 있어서 왼쪽)에는 제1 감합부(93)가 마련되고, 상기 단면의 타단부(도 3a에 있어서 우측)에는 제2 감합부(94)가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감합부(93)는, 평띠부(91)의 폭 방향의 일단부(도 3a에 있어서 좌측 단부)의 측방에 일체로 이어져 있다. 제1 감합부(93)에는, 감합 홈(93a)이 형성되어 있다. 감합 홈(93a)은 띠상 부재(90)의 내면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아래)에 개구되어 있다.
제2 감합부(94)는 평띠부(91)의 폭 방향의 타단부측(도 3a에 있어서 우측)의 외면(동일 도면에 있어서 상면)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제2 감합부(94)는 감합 볼록부(94b)를 갖고 있다. 감합 볼록부(94b)는 평띠부(91)로부터 외면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감합부(93)의 단면적은, 제2 감합부(94)의 단면적보다 크다. 바꾸어 말하면, 띠상 부재(90)의 단위 길이당 제1 감합부(93)의 체적이, 제2 감합부(94)의 체적보다 크다.
한편, 제1 감합부(93)로부터 그 바로 근처의 리브(92A)까지는 상대적으로 멀고, 제2 감합부(94)로부터 그 바로 근처의 리브(92B)까지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깝다. 또는, 리브(92B)가 제2 감합부(94)와 일체로 이어져 있다. 이 때문에, 리브(92)의 분포가, 제2 감합부(94)측으로 치우쳐 있다. 즉, 띠상 부재(90)의 단위 폭당 리브(92)의 존재율이, 제1 감합부(93)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고, 제2 감합부(94)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높다.
띠상 부재(90)의 단면 전체에서 보면, 리브(92)의 제2 감합부(94)측으로의 치우침 분포가, 감합부(93, 94)의 단면적차를 상회하고, 단위 폭당 단면적이, 제1 감합부(93)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작고, 제2 감합부(94)측에서는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관(9)에 있어서, 감합 볼록부(94b)가, 감합 홈(93a)의 일주 선행하는 부분에 감입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제2 감합부(94)가, 제1 감합부(93)에 일주 선행하는 부분과 감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합 나아가서는 제관은, 제관 장치(3)에 의해 행해진다. 제관 장치(3)의 구동에 의해, 띠상 부재(90)에 있어서의 미제관 부분(90b)이, 순차 나선상으로 권회되면서, 선행해서 제관이 끝난 부분 즉 나선관(9)의 연신 방향의 전단부로 도입된다. 이때, 미제관 부분(90b)의 제1 감합부(93)가 연신 방향의 전방(도 1에 있어서 왼쪽)으로 향해지고, 또한 제2 감합부(94)가 연신 후방(동일 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 향해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미제관 부분(90b)의 제2 감합부(94)가, 제1 감합부(93)의 일주 선행해서 제관이 끝난 부분과 감합된다. 제2 감합부(94)는, 내면측(나선관(9)의 직경 방향 내측, 도 4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제1 감합부(93)에 끼워진다. 제관 장치(3)는, 미제관 부분(90b)의 제2 감합부(94)를 제관이 끝난 제1 감합부(93)에 압입해서 감합시켜도 되고, 제1 감합부(93)와 제2 감합부(94)를 끼워 넣어서 감합시켜도 된다.
제관 장치(3)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등에 개시된 자주식 제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띠상 부재(90)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제1 감합부(93)와 제2 감합부(94)를 연결하는 방향을, 기준 폭 방향(W9)이라고 칭한다. 보다 엄밀하게는, 기준 폭 방향(W9)은, 제1 감합부(93)에 있어서의 특정 위치와 제2 감합부(94)에 있어서의 상기 특정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이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가 곧장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기준 폭 방향(W9)은, 평띠부(91)의 평탄한 내면(도 3a에 있어서 하면)의 폭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관(9)에 있어서의, 띠상 부재(90)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은, 나선관(9)의 관축(L9)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하여, 엄밀하게는 띠상 부재(90)의 리드각 α9에 대응하는 각도로 교차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리드각 α9는 작기 때문에(예를 들어 α9=10° 이하), 띠상 부재(90)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은, 실질적으로 관축(L9)을 통과하는 평면 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단면 상의 기준 폭 방향(W9)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관축(L9)을 통과하는 평면 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에 따르면, 전술한 리브(92)의 치우침 분포 등을 위해, 중립 약축(LN9)이, 기준 폭 방향(W9)에 대하여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내면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하측)으로 기울어 있다.
한편, 가령, 리브(92)가 치우침 없이 분포되어 있었던 경우, 전술한 제1 감합부(93)와 제2 감합부(94)의 체적차가 효과가 있음으로써, 중립 약축(LN9)은 기준 폭 방향(W9)에 대하여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기울게 된다.
도 3a의 화살표선(a)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를 권회해서 나선관(9)으로 할 때, 중립 약축(LN9)이, 나선관(9)의 관축(L9)(동일 도면에 있어서 좌우 수평 방향)과 평행해지려고 한다. 이 때문에,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 폭 방향(W9)이, 관축(L9)에 대하여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기운다(후기 실시예 1 참조).
요컨대, 띠상 부재(90)는, 권회되었을 때, 기준 폭 방향(W9)이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경사지는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띠상 부재(90)는, 권회되었을 때, 제1 감합부(93)가 제2 감합부(94)보다 외면측(나선관(9)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편위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반대로 말하면, 형성하려고 하는 나선관(9)의 곡률에 맞추어, 띠상 부재(90)를 상기와 같은 단면 형상이 되도록 설계 및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띠상 부재(90)의 단면 형상에 따르면, 나선관(9)에 확경성(확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제관이 진행됨에 따라서 확경(확주)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띠상 부재(90)를 기설관(1)(외주 규제체)의 내주에 라이닝하면, 상기 확경 작용에 의해, 나선관(9)을 기설관(1)의 내주면에 바짝 댈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나선관(9)은, 기설관(1)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나선관(9)의 유로 단면적을 가능한 한 크게 확보할 수 있고, 기설관(1)의 갱생 후의 유로 단면적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관(1)이 단면 변화부(1d)를 갖고 있어도, 나선관(9)의 제관 직경을 그 단면 변화에 대응하도록 가변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설관 등의 외주 규제체가 없으면, 제관이 진행됨에 따라서, 나선관(9)을 테이퍼상으로 확경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의 테이퍼 각도는, 과장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형태와 중복된 구성에 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의 띠상 부재(90B)에 있어서는, 리브(92S, 92T)의 평띠부(91)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평띠부(91)의 폭 방향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제1 감합부(93)측에 있어서의 리브(92S)는 상대적으로 낮고, 제2 감합부(94)측에 있어서의 리브(92T)는 상대적으로 높다.
이 때문에, 띠상 부재(90B)의 제1 감합부(93)측과 제2 감합부(94)측에 있어서의 단위 폭당 단면적의 차가, 제1 실시 형태(도 3)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띠상 부재(90B)의 단위 폭당 단면적이, 제1 감합부(93)측에서 한층 작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립 약축(LN9)이, 기준 폭 방향(W9)에 대하여,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보다 크게 기울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권회되었을 때, 중립 약축(LN9)이 관축(L9)(도 7의 좌우 수평 방향)과 평행해지려고 함으로써, 기준 폭 방향(W9)이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보다 크게 기울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나선관(9)에 확경성(확주성)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3 실시 형태의 띠상 부재(90C)에 있어서는, 복수 조의 리브(92)가, 제1 실시 형태(도 3)보다 제2 감합부(94)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리브(92)의 배치가, 제1 감합부(93)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소하고, 제2 감합부(94)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밀하다. 상세하게는, 리브(92)끼리 사이의 간격이, 제1 실시 형태(도 3)보다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감합부(93)와 그 바로 근처의 리브(92A)와의 거리가, 제1 실시 형태(도 3)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띠상 부재(90C)의 제1 감합부(93)측에 있어서의 단위 폭당 단면적과, 제2 감합부(94)측에 있어서의 단위 폭당 단면적과의 차가, 제1 실시 형태(도 3)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띠상 부재(90C)의 단위 폭당 단면적이, 제1 감합부(93)측에서 한층 작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립 약축(LN9)이, 기준 폭 방향(W9)에 대하여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보다 크게 기울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권회되었을 때, 중립 약축(LN9)이 관축(L9)(도 8의 좌우 수평 방향)과 평행해지려 함으로써, 기준 폭 방향(W9)이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보다 크게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나선관(9)에 확경성(확주성)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4 실시 형태의 띠상 부재(90D)는, 띠 본체(90x)와, 단면 조정 부재(80)를 갖고 있다. 띠 본체(90x)는, 제1 실시 형태(도 3)의 띠상 부재(90)와 마찬가지로,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띠 본체(90x)는 평띠부(91)와, 리브(92)와, 제1 감합부(93D)와, 제2 감합부(94D)를 포함하고, 도 9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감합부(93D)는 감합 홈(93a)과, 감합 볼록부(93b)를 갖고 있다. 감합 홈(93a)은 띠상 부재(90D)의 내면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감합 볼록부(93b)는 띠상 부재(90D)의 내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감합부(94D)는, 감합 볼록부(94b)와, 감합 홈(94a)을 갖고 있다. 감합 볼록부(94b)는, 띠상 부재(90D)의 외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감합 홈(94a)은, 띠상 부재(90D)의 외면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띠 본체(90x)의 폭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제2 감합부(94D)측의 부분에 단면 조정 부재(80)가 마련되어 있다. 단면 조정 부재(80)는, 일정한 단면을 갖고, 띠 본체(90x)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띠상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단면 조정 부재(80)는, 한 쌍의 L자 단면의 정착부(81, 81)와, 문형 단면의 돌출부(82)를 일체로 갖고 있다. 정착부(81)가, 평띠부(91)의 외면과 리브(92)에 맞닿고 걸려서 정착되어 있다. 돌출부(82)는, 한 쌍의 정착부(81, 81) 사이에 가설됨과 함께, 외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단면 조정 부재(80)의 단면 형상은, 당해 단면 조정 부재(80)의 폭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어 있다.
단면 조정 부재(80)의 재질은, 띠 본체(90x)와 동일한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여도 되고, 강철,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어도 된다. 단면 조정 부재(80)를 띠 본체(90x)와 동일한 수지에 의해 구성하면, 띠상 부재(90D) 전체의 중립 약축(LN9)의 해석 등을 용이화할 수 있다. 단면 조정 부재(80)를 강철 등의, 띠 본체(90x)보다 고강성인 금속에 의해 구성하면, 단면 조정 부재(80)에 보강재로서의 기능을 겸하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면 조정 부재(80)에 의해 띠상 부재(90D) 전체의 단면 형상을 조정할 수 있고, 확경 정도(확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띠 본체(90x) 단독으로의 중립 약축, 즉 단면 조정 부재(80)가 없다고 가정했을 때의 띠상 부재(90D)의 중립 약축은, 제1 감합부(93D)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기운다. 이 때문에, 가령 띠 본체(90x) 단독으로 제관한다고 하면, 나선관(9)이 축경(축주)된다.
이에 반해,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면 조정 부재(80)를 부가함으로써, 띠상 부재(90D) 전체의 중립 약축(LN9)이, 기준 폭 방향(W9)에 대하여 제1 감합부(93D)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기운다. 따라서, 띠상 부재(90D)에 곡률이 부여되었을 때는, 도 9의 화살표선(a)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립 약축(LN9)이, 관축(L9)과 평행해지려고 함으로써, 기준 폭 방향(W9)이 제1 감합부(93D)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띠상 부재(90D)를, 제관에 수반하여 확경(확주)하는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어, 나선관(9)에 확경성(확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5 실시 형태의 띠상 부재(90E)에 있어서는, 복수(도면에서는 4개)의 리브(92)가 전체적으로 제2 감합부(94)측(동일 도면의 우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리브(92)의 배치가, 제1 감합부(93)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소하고, 제2 감합부(94)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밀하다. 상세하게는, 띠상 부재(90E)의 폭 방향의 중심선(Lc)을 사이에 두고, 제1 감합부(93)측(도 10에 있어서 좌측)의 리브(92)의 수는 1개이고, 제2 감합부(94)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리브(92)의 수는 3개이다. 이 때문에, 띠상 부재(90E)의 제1 감합부(93)측에 있어서의 단위 폭당 단면적은 상대적으로 작고, 제2 감합부(94)측에 있어서의 단위 폭당 단면적은 상대적으로 크다.
이에 의해, 띠상 부재(90E)의 중립 약축(LN9)이, 기준 폭 방향(W9)에 대하여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기운다. 따라서, 제관 시의 띠상 부재(90E)에 확경성(확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띠상 부재(90E)의 각 리브(92)는, 플랜지가 없는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92)의 돌출 높이는 서로 같다.
<제6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6 실시 형태의 띠상 부재(90F)에 있어서는, 폭 방향의 중심선(Lc)을 사이에 두고, 제1 감합부(93)측(동일 도면의 좌측)의 리브(92X)의 수(1개)가, 제2 감합부(94)측(동일 도면의 우측)의 리브(92Y, 92Z)의 수(2개)보다 적다. 따라서, 리브(92X, 92Y, 92Z)의 배치가, 제1 감합부(93)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소하고, 제2 감합부(94)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밀하다.
제1 감합부(93)측의 리브(92X)의 선단부(도 11에 있어서 상단)에는, 단일단의 플랜지(92f)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92X)의 단면 형상은 개략 T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중심선(Lc)으로부터 제2 감합부(94)측의 리브(92Y, 92Z)의 선단부에는, 2단 플랜지(92g, 92k)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감합부(94)의 바로 근처의 리브(92Z)의 2단 플랜지(92k)는, 2단 모두 리브(92Z)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양측 플랜지로 되어 있다. 중간의 리브(92Y)의 2단 플랜지(92g)는, 1단째(도 11에 있어서 상단)가 양측 플랜지로 되고, 또한 2단째가 리브(92Z)측(도 11에 있어서 우측)으로만 돌출되는 편측 플랜지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띠상 부재(90F)의 제1 감합부(93)측(도 11에 있어서 좌측)에 있어서의 단위 폭당 단면적은 상대적으로 작고, 제2 감합부(94)측에 있어서의 단위 폭당 단면적은 상대적으로 크다.
이에 의해, 띠상 부재(90F)의 중립 약축(LN9)이, 기준 폭 방향(W9)에 대하여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기운다. 따라서, 제관 시의 띠상 부재(90F)에 확경성(확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변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띠상 부재(90) 또는 띠 본체(90x)가, 강재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금속제의 나선관(9)을 제관해도 된다.
단면 조정 부재(80)(도 9)의 수는, 1개로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이어도 된다. 단면 조정 부재(80)의 배치 또는 분포를 적절히 조절해도 된다.
단면 조정 부재가, 장착 자재(착탈 자재)여도 된다.
하수 등의 유수로부터 채열하기 위한 채열관을, 단면 조정 부재로서 겸용시켜도 된다.
제관 장치(3)로서는, 자주식 제관 장치(특허문헌 3 등)에 한정되지 않고, 원압식이나 견인식의 제관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특허문헌 1 등 참조).
본 발명의 띠상 부재 나아가서는 나선관은, 기설의 하수도관의 갱생관용으로서뿐만 아니라, 상수도관, 수력 발전용 도수관, 농업용수관의 갱생관용에도 적용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갱생관용으로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나선관용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나선관의 용도에 따라서는, 평띠부(91)의 내면(도 3에 있어서 하면)은, 반드시 평탄할 필요는 없다. 리브(92)가 평띠부(91)의 내면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예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의 띠상 부재(90)의 중립 약축(LN9) 및 도심 위치 등을 컴퓨터 해석했다. 해석 방법으로서는 유한 요소법을 사용했다.
띠상 부재(90)의 폭 치수는, 100㎜로 했다.
제1 감합부(93)와 리브(92)의 고저차 ΔH는 20.0㎜로 했다.
띠상 부재(90)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인 것으로 하여, 탄성 계수 등의 물성값을 설정했다.
해석의 결과, 띠상 부재(90)의 중립 약축(LN9)은, 기준 폭 방향(W9)에 대하여, 제1 감합부(93)측(도 3a에 있어서 좌측)을 향해서 내면측(도 3a에 있어서 하측)으로 1.46° 경사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심 위치는, 띠상 부재(90)의 폭 방향의 중심선(Lc)으로부터 제2 감합부(94)측(도 3a에 있어서 우측)으로 2.06㎜ 어긋나 있었다.
띠상 부재(90)에 있어서의 중심선(Lc)을 사이에 두고 제1 감합부(93)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단면적 A1 나아가서는 수지량과, 제2 감합부(94)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단면적 A2 나아가서는 수지량과의 비는, A1/A2=1.11이었다.
계속해서, 당해 띠상 부재(90)를 연장 방향으로 구부린 경우의 단면 형상의 변화를 유한 요소법에 의해 해석했다.
굽힘의 곡률 반경은, 나선관(9)의 내주면에 있어서 1500㎜로 했다.
도 3b는, 상기 해석 결과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중립 약축(LN9)을 관축(L9)과 평행(동일 도면의 좌우 방향)하게 향했을 때, 기준 폭 방향(W9)이, 제1 감합부(93)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기울었다.
따라서, 나선관(9)으로 제관하면, 확경(확주) 가능한 단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단면 조정 부재를 갖는 띠상 부재를 사용해서 나선관을 제작했다(제4 실시 형태 참조). 단, 제4 실시 형태(도 9)와는 달리, 단면 조정 부재(80)를, 띠 본체(90x)의 폭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제1 감합부(93D)측으로 치우치게 해서 배치했다. 또한, 단면 조정 부재(80)의 돌출부(82)를, 외면측을 향해서 제1 감합부(93D)측으로 기울게 변형시켰다.
단면 조정 부재(80)의 높이 치수(도 9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상당)와 폭 치수는, 거의 1 대 1이었다.
단면 조정 부재(80)의 두께는, 1.2㎜였다.
단면 조정 부재(80)의 재질은, 강철이었다.
띠 본체(90x)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이었다.
띠 본체(90x)의 폭 치수는, 100㎜였다.
띠상 부재(90)의 내주면에는, 나머지 길이를 나타내는 표시가 1000㎜ 간격으로 인자되어 있었다.
나선관(9)의 설정 곡률 반경은, 나선관(9)의 내주면에 있어서 470㎜로 했다.
제관은, 외주 규제체 및 내주 규제체가 없는 상태에서 행하였다.
도 12의 사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표시끼리 사이의 거리가, 제관이 진행됨에 따라서(사진 우측 방향), 예를 들어 13.2㎝, 11.6㎝, 10.6㎝로 점차 작아졌다. 따라서, 둘레 길이가 일주마다 연장되어 있고, 나선관(9)이 확경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띠상 부재(90E)의 중립 약축(LN9) 및 도심 위치 등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컴퓨터 해석했다.
띠상 부재(90E)의 폭 치수는, 100㎜로 했다.
띠상 부재(90E)의 제1 감합부(93)와 리브(92)와의 고저차 ΔH는, 22.0㎜로 했다.
띠상 부재(90E)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인 것으로 하여, 탄성 계수 등의 물성값을 설정했다.
해석의 결과, 띠상 부재(90E)의 중립 약축(LN9)은, 기준 폭 방향(W9)에 대하여, 제1 감합부(93)측(도 10에 있어서 좌측)을 향해서 내면측(도 10에 있어서 하측)으로 2.63° 경사져서, 확경성(확주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심 위치는, 띠상 부재(90E)의 폭 방향의 중심선(Lc)으로부터 제2 감합부(94)측(도 10에 있어서 우측)으로 6.51㎜ 어긋나 있었다.
띠상 부재(90E)에 있어서의 중심선(Lc)을 사이에 두고 제1 감합부(93)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단면적 A1 나아가서는 수지량과, 제2 감합부(94)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단면적 A2 나아가서는 수지량과의 비는, A1/A2=0.61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공지된 단면 형상(일본특허공개 제2000-96996호의 도 1에 근사)의 띠상 부재(2)의 중립 약축(LN2) 등을 실시예 1,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컴퓨터 해석했다.
띠상 부재(2)의 폭 치수는, 100㎜로 했다.
띠상 부재(2)의 제1 감합부(2a) 상의 리브(2d)와 그 이외의 리브(2f)와의 고저차는 0㎜였다.
띠상 부재(2)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인 것으로 하여, 탄성 계수 등의 물성값을 설정했다.
해석의 결과, 띠상 부재(2)의 중립 약축(LN2)은, 기준 폭 방향(W2)에 대하여, 제1 감합부(2a)측(도 13에 있어서 좌측)을 향해서 외면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상측)으로 6.26° 경사졌다. 따라서, 띠상 부재(2)에 있어서는, 제관에 수반하여 축경(둘레 길이 축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심 위치는, 띠상 부재(2)의 폭 방향의 중심선(Lc)으로부터 제1 감합부(2a)측(도 13에 있어서 좌측)으로 2.91㎜ 어긋나 있었다.
띠상 부재(2)에 있어서의 중심선(Lc)을 사이에 두고 제1 감합부(2a)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단면적 A1 나아가서는 수지량과, 제2 감합부(2b)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단면적 A2 나아가서는 수지량과의 비는, A1/A2=1.35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공지된 단면 형상(일본특허공개 평6-143420호의 도 1)의 띠상 부재(2B)의 중립 약축(LN2) 등을 실시예 1,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컴퓨터 해석했다.
띠상 부재(2B)의 폭 치수는 100㎜로 했다.
띠상 부재(2B)의 제1 감합부(2a)와 U자 형상의 리브(2g)의 고저차는, 0㎜였다.
띠상 부재(2B)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인 것으로 하여, 탄성 계수 등의 물성값을 설정했다.
해석의 결과, 띠상 부재(2B)의 중립 약축(LN2)은, 기준 폭 방향(W2)에 대하여, 제1 감합부(2a)측(도 14에 있어서 좌측)을 향해서 외면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상측)으로 1.284° 경사졌다. 따라서, 띠상 부재(2B)에 있어서는, 제관에 수반하여 축경(둘레 길이 축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심 위치는, 띠상 부재(2B)의 폭 방향의 중심선(Lc)으로부터 제2 감합부(2b)측(도 14에 있어서 우측)으로 0.16㎜ 어긋나 있었다.
띠상 부재(2B)에 있어서의 중심선(Lc)을 사이에 두고 제1 감합부(2a)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단면적 A1 나아가서는 수지량과, 제2 감합부(2b)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단면적 A2 나아가서는 수지량과의 비는, A1/A2=0.93이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노후화된 하수도관의 갱생 시공에 적용할 수 있다.
1 : 기설관
1d : 단면 변화부
3 : 제관 장치
9 : 나선관(갱생관)
80 : 단면 조정 부재
81 : 정착부
82 : 돌출부
90 : 띠상 부재
90B 내지 90F : 띠상 부재
90x : 띠 본체
91 : 평띠부
92 : 리브
92A, 92B, 92S, 92T, 92X 내지 92Z : 리브
93 : 제1 감합부
93D : 제1 감합부
93a : 감합 홈
93b : 감합 볼록부
94 : 제2 감합부
94D : 제2 감합부
94b : 감합 볼록부
94a : 감합 홈
a, b : 화살표선
L9 : 관축
LN9 : 중립 약축
Lc : 중심선
W9 : 기준 폭 방향

Claims (8)

  1. 나선상으로 권회되어 나선관이 되는 띠상 부재로서,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 감합부와,
    상기 단면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감합부에 있어서의 일주 선행하는 부분과 감합되는 제2 감합부
    를 구비하고, 상기 권회되었을 때, 상기 단면 상의 제1 감합부와 제2 감합부를 연결하는 기준 폭 방향이,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외면측으로 경사 가능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상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중립 약축이, 상기 기준 폭 방향에 대하여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기울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상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의 단위 폭당 단면적이, 상기 제1 감합부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2 감합부측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상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탄한 평띠부와, 상기 평띠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평띠부의 외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평띠부의 폭 방향의 일단부에 상기 제1 감합부가 마련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 감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리브의 배치가, 상기 제1 감합부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소(疎)하고, 상기 제2 감합부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밀(密)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상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탄한 평띠부와, 상기 평띠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평띠부의 외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평띠부의 폭 방향의 일단부에 상기 제1 감합부가 마련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 감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감합부측에 있어서의 리브의 상기 평띠부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2 감합부측에 있어서의 리브의 상기 평띠부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상 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개 또는 복수의 단면 조정 부재를 갖고,
    상기 중립 약축이, 상기 단면 조정 부재가 없다고 가정한 경우보다, 제1 감합부측을 향해서 내면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상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조정 부재가, 강제(鋼製)의 보강 띠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상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띠상 부재를 나선상으로 권회해서 기설관의 내면을 따라 갱생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관의 갱생 방법.
KR1020197026234A 2017-03-01 2018-02-27 나선관용 띠상 부재 및 기설관의 갱생 방법 KR102219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38490 2017-03-01
JPJP-P-2017-038490 2017-03-01
PCT/JP2018/007311 WO2018159627A1 (ja) 2017-03-01 2018-02-27 螺旋管用帯状部材及び既設管の更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802A true KR20190112802A (ko) 2019-10-07
KR102219609B1 KR102219609B1 (ko) 2021-02-25

Family

ID=6337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234A KR102219609B1 (ko) 2017-03-01 2018-02-27 나선관용 띠상 부재 및 기설관의 갱생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73714B2 (ko)
EP (1) EP3590684A4 (ko)
JP (2) JP6596182B2 (ko)
KR (1) KR102219609B1 (ko)
AU (1) AU2018228127B2 (ko)
RU (1) RU2721104C1 (ko)
WO (1) WO2018159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3759B2 (ja) 2015-03-31 2021-03-17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ガスを気道に供給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及びシステム
US11324908B2 (en) 2016-08-11 2022-05-10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Collapsible conduit, patient interface and headgear connector
JP6889039B2 (ja) * 2017-06-06 2021-06-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帯状部材
JP7488662B2 (ja) 2020-02-14 2024-05-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既設管更生用帯状部材及び既設管更生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161A (ja) * 1995-03-02 1996-09-10 Sekisui Chem Co Ltd 螺旋管形成用プロファイル
JP2000272007A (ja) * 1999-03-25 2000-10-03 Sekisui Chem Co Ltd 螺旋管形成方法、自走式製管機及び溶接装置
JP3199492B2 (ja) * 1992-11-04 2001-08-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既設管ライニング用螺旋管
WO2008050750A1 (fr) * 2006-10-25 2008-05-02 Sekisui Chemical Co., Ltd. Procédé de réparation d'un tuyau existant
WO2008075681A1 (ja) 2006-12-18 2008-06-26 Sekisui Chemical Co., Ltd. 製管装置およびこの製管装置を用いた既設管の更生工法
JP2014054741A (ja) * 2012-09-11 2014-03-27 Sekisui Chem Co Ltd 更生管の製管装置
JP2014065170A (ja) 2012-09-25 2014-04-17 Sekisui Chem Co Ltd 製管装置
WO2016175243A1 (ja) 2015-04-28 2016-11-0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管の製管装置及び製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167882B (ko) * 1986-03-19 1991-01-05 Rib Loc Aust Pty Ltd
JPH0675921B2 (ja) * 1987-08-19 1994-09-28 リブ ロック オーストラリア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螺旋状巻回パイプのスリップ制御
JPH0688256B2 (ja) * 1988-05-02 1994-11-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既設管のライニング工法
SG46969A1 (en) * 1991-10-02 1998-03-20 Rib Loc Australia Helically wound reinforced ribbed composite structure
JPH06143420A (ja) * 1992-11-04 1994-05-24 Sekisui Chem Co Ltd 既設管ライニング用帯状体
JP3786506B2 (ja) * 1997-07-15 2006-06-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既設管のライニング工法
JP3779037B2 (ja) * 1997-07-18 2006-05-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既設管ライニング用帯状体
AUPO859397A0 (en) * 1997-08-15 1997-09-11 Danby Pty Ltd Liner strip for pipelines or tunnels
JP4331818B2 (ja) * 1998-08-10 2009-09-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直管部と湾曲部を有する既設管の更生工法及び帯状体の接続部材
JP4012317B2 (ja) * 1998-09-17 2007-11-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裏込め材2次覆工方法
WO2003062697A1 (en) * 2002-01-17 2003-07-31 Wilson Michael W Interlocked strip structure
US7004202B2 (en) * 2002-04-22 2006-02-28 Rib Loc Australia Pty Ltd. Composite strip windable to form a helical pipe and method therefor
RU2230878C1 (ru) * 2003-06-30 2004-06-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атнефть" им. В.Д. Шашина Способ изоляции сварных стыков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з стальных труб, футерованных полиэтиленом
RU37795U1 (ru) * 2003-12-31 2004-05-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едприятие "Трубопласт" Изолированная труба
CN1308134C (zh) * 2005-07-07 2007-04-04 哈尔滨工业大学星河实业有限公司 一种钢带增强塑料排水管道及其制造方法和装置
US7744977B2 (en) * 2006-05-24 2010-06-29 Tyco Electronics Raychem Gmbh Support coil comprising a mechanical locking mean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A93924C2 (uk) * 2006-10-04 2011-03-25 Риб Лок Острелиа Пти Лимитед Композитна армована стрічка (варіанти), труба, яка має гелікоїдально змотану композитну стрічку, та спосіб її виготовлення (варіанти)
JP5645977B2 (ja) * 2011-02-07 2014-12-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及び製管方法
WO2013020169A1 (en) * 2011-08-05 2013-02-14 Elegant Technical Solutions Pty Limited Method for controlling creep in spirally expandable profile
US10316994B2 (en) * 2012-10-29 2019-06-11 Elegant Technical Solutions Pt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 liner inside a host pipe
JP6491480B2 (ja) 2015-01-06 2019-03-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帯状部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492B2 (ja) * 1992-11-04 2001-08-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既設管ライニング用螺旋管
JPH08233161A (ja) * 1995-03-02 1996-09-10 Sekisui Chem Co Ltd 螺旋管形成用プロファイル
JP2000272007A (ja) * 1999-03-25 2000-10-03 Sekisui Chem Co Ltd 螺旋管形成方法、自走式製管機及び溶接装置
WO2008050750A1 (fr) * 2006-10-25 2008-05-02 Sekisui Chemical Co., Ltd. Procédé de réparation d'un tuyau existant
WO2008075681A1 (ja) 2006-12-18 2008-06-26 Sekisui Chemical Co., Ltd. 製管装置およびこの製管装置を用いた既設管の更生工法
JP2014054741A (ja) * 2012-09-11 2014-03-27 Sekisui Chem Co Ltd 更生管の製管装置
JP2014065170A (ja) 2012-09-25 2014-04-17 Sekisui Chem Co Ltd 製管装置
WO2016175243A1 (ja) 2015-04-28 2016-11-0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管の製管装置及び製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21104C1 (ru) 2020-05-15
EP3590684A1 (en) 2020-01-08
JP7044586B2 (ja) 2022-03-30
AU2018228127B2 (en) 2020-04-30
JPWO2018159627A1 (ja) 2019-11-07
US20190368646A1 (en) 2019-12-05
EP3590684A4 (en) 2020-12-02
WO2018159627A1 (ja) 2018-09-07
JP2018144487A (ja) 2018-09-20
US11473714B2 (en) 2022-10-18
AU2018228127A1 (en) 2019-09-05
JP6596182B2 (ja) 2019-10-23
KR102219609B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2802A (ko) 나선관용 띠상 부재 및 기설관의 갱생 방법
EP1497103B1 (en) Composite strip windable to form a helical pipe and method thereof
JP6654838B2 (ja) 製管用部材
JP2005180609A (ja) 耐圧複合管
CN105864534A (zh) 缠绕软管
JP2018144484A (ja) 螺旋管の製管方法、製管装置、及び帯状部材
JP7463226B2 (ja) 既設管更生用帯状部材
JP4121524B2 (ja) 鋼管の連結構造
JP5503943B2 (ja) 更生管製管用補強材入り帯状体
US6418971B1 (en) Flexible metal conduit
JP2015006744A (ja) 補強材入り帯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358399B2 (ja) 更生管製管用補強材入り帯状体
JP2012250415A (ja) 製管用部材
JP7477843B2 (ja) 管更生部材
JP7290252B2 (ja) 管更生部材
JP7193366B2 (ja) 螺旋管用帯状部材及びその補強帯材
JP5475369B2 (ja) 螺旋管形成用ストリップ
CN102200208B (zh) 挠性接头
JP2013111921A (ja) 製管装置、及び既設管の更生方法
JP2024048465A (ja) 管更生部材および螺旋管の製管方法
JP6581407B2 (ja) 帯状部材の接続構造
JPH08296767A (ja) 螺旋管用補強材接続構造
JP2023047551A (ja) 管更生構造及び既設管更生方法、並びに管更生用規制部材
JP2019018460A (ja) 螺旋管の製管装置
JP2011094753A (ja) 更生管製管用補強材入り帯状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