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327A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327A
KR20190104327A KR1020197018462A KR20197018462A KR20190104327A KR 20190104327 A KR20190104327 A KR 20190104327A KR 1020197018462 A KR1020197018462 A KR 1020197018462A KR 20197018462 A KR20197018462 A KR 20197018462A KR 20190104327 A KR20190104327 A KR 2019010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l
hole
insert
ca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438B1 (ko
Inventor
미하엘 슈팔렉
요하네스 게저
필립 슈프렝
Original Assignee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3701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50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31Permanent type, e.g. welded or glu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Abstract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된 용기 바디, 및 용기 내용물의 제거를 위해 중공의 스파이크형 삽입부(22)에 의해 사전 결정된 작용력으로 삽입 방향으로 외측으로부터 침투될 수 있으며 반대의 후퇴 방향으로 사전 결정 가능한 후퇴력으로 용기(2)로부터 다시 제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16)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캡 부분(10)으로 이루어지는 용기는, 삽입부(22)가 제거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디바이스(16, 18, 26, 32)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당김력은 삽입부(22)의 의도하지 않은 제거가 적어도 어렵게 되도록 증가된다.

Description

용기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되고 폐쇄되며, 특히 블로우 몰딩, 충전 및 밀봉 공정에 따라서 제조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되는 용기 바디로 이루어진 용기에 관한 것이며, 용기 바디는, 그 단부가 헤드 다이아프램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며, 용기 내용물의 제거를 위해, 사전 결정 가능한 작용력에 의해 외부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중공의 스파이크형 삽입부("스파이크")를 이용하여 관통될 수 있는 캡 부분을 포함하며, 캡 부분은 반대의 후퇴 방향으로 사전 결정 가능한 후퇴력에 의해 다시 제거될 수 있다.
bottelpack® 방법으로서 또한 공지된 블로우 충전 밀봉(Blow-Fill-Seal, BFS) 방법에 따라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용기는 예를 들어 주입 병의 형태로 의료 목적을 위해 폭넓게 사용된다. 이러한 용기는 충전재가 단지 폴리머와 접촉되기 때문에 의료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종류의 용기는 종래 기술이다. 예를 들어, 문헌 US 5395365는 이러한 종류의 용기를 기술한다. 의료 작업에서 이러한 용기의 이용성이 간단하고 안전한 것을 보장하도록, EN 8536-4에서 예로서 기술된 주입 디바이스의 삽입부에 의한 삽입 동안 및 후에, 밀봉부가 안전한 밀봉을 제공하여야만 한다.
원칙적으로 모순되게, 2개의 추가의 요건이 동시에 부합되어야만 하고, 즉, 삽입력은 가능한 낮게 유지되지만, 삽입부의 후퇴는 적절한 높은 후퇴력에 대해서만 가능하다. 높은 유지력 또는 양호한 파지는 환자가 주입 디바이스를 부주의하게 당기는 것에 의해 주입을 방해함이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때때로 너무 긴 주입 투여의 과정 동안 특정 레벨의 이동성을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보장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표준 ISO 15759:2006에 따라서, 주입 디바이스의 유지력은 15 N보다 작지 않아야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표준은 80 N까지의 삽입력을 허용한다.
높은 삽입력을 받아들이는 것에 의해 충분히 높은 유지력을 제공하는 시도는 높은 삽입력이 특히 장갑을 착용하였을 때 간호사에 의해 달성될 수 없기 때문에 실제적이 아니다. 이러한 모순적인 요건, 즉 삽입은 용이하지만 후퇴는 어려운 것은 언더컷 또는 미늘을 구비한 화살형 삽입부와 같은 다른 간단한 조치에 의해 또한 부합될 수 없으며, 그 이유는 이러한 것이 밀봉부의 누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 삽입부의 이러한 기하학적 형상은 적용 가능한 표준 EN ISO 8536-4:2013을 위반한다.
예를 들어, DE 10 2004 051 300 B3, EP 1 457 429 B1 및 WO 2014/114685 A1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공지된 밀봉 캡들은 상기된 원칙적으로 모순된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이러한 문헌들은 보다 용이한 탭핑을 만들도록 중공 스토퍼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DE 10 2004 051 300 B3은 한쪽 측면에서 외부로 배향되는 삽입 스파이크를 위한 탄성 중합체에서의 오목부들을 기술한다. EP 1 457 429 B1 및 WO 2014/114685 A1은 한쪽 측면에서 탄성 중합체에 제공되고 용기측을 향해 배향된 삽입 스파이크를 위한 오목부들을 기술한다. 유지력을 증가시킬 어떠한 명백한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는다. WO 2014/114685 A1의 도 2가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스파이크의 후퇴는 용이하기 보다는 특별한 깔때기 형상의 단계적 변화를 통해 더욱 어렵게 만들어진다.
상기 문제에 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특별한 방식으로 용기의 적용을 위한 요건에 부합하는 서두에 기술된 종류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그 전체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제공하는, 서두에 기술된 종류의 용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서 충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삽입부의 제거를 보다 어렵게 만드는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삽입부의 의도하지 않은 제거가 적어도 더욱 어렵게 만들어지는 범위까지 후퇴력이 증가되지만, 삽입력은 이러한 디바이스에 의해 증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유익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삽입부의 제거를 보다 어렵게 만드는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인 밀봉부는,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인 밀봉부가 관통될 때 캡 부분에 있는 관통공과 도입된 삽입부 사이에 반경 방향 거리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용기의 캡 부분에 제공되며, 적어도 상기 삽입부가 후퇴 방향으로 용기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반경 방향 거리는, 디바이스의 추가의 구성 요소인 밀봉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패킹되며(packed), 이러한 것은 용기로부터 그 후퇴 동안 적어도 특정 섹션들에서 삽입부 상에 적어도 증가된 마찰력을 인가한다. 후퇴 이동 및 반경 방향 거리의 충전에 의해 유발되는 밀봉부 재료의 변위를 통해, 마찰 및 보상 구역이 캡 부분에 있는 관통공에서 형성되고, 이러한 것은 후퇴 이동을 지연시킨다.
캡 부분에 있는 관통공은 도입된 삽입부의 외부 원주와 함께 환형 덕트를 한정하며, 환형 덕트는 용기로부터 삽입부를 회수할 때 비드형 돌출부의 형성 하에 디바이스의 이러한 추가 부분에 의해 주위로 완전히 패킹되며, 환형 덕트에 끼인 돌출부는 삽입부에 추가의 클램핑력을 인가한다.
특히 유익한 방식에서, 밀봉부는 바람직하게 연질의 탄성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다. 밀봉부는 캡 부분과 용기의 헤드 부분의 헤드 다이아프램 사이에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 헤드 부분의 헤드 다이아프램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단부에 있는 오목부를 구비한다.
유익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밀봉부는 용기의 헤드 부분의 헤드 다이아프램을 향하는 그 단부에, 헤드 다이아프램의 방향으로 그 오목부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부인 추가의 밀봉 링 형상의 기하학적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기하학적 구조는 이러한 것을 향한 용기의 헤드 다이아프램의 상단부에 대해 밀봉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삽입부의 삽입 동안 그 자체를 떠받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구멍을 둘러싸는 헤드 다이아프램에서 추가의 밀봉을 형성한다.
캡 부분의 관통공은 용기가 그 사용 전에 보관될 때 밀봉부 위에 안전한 커버를 제공하도록 가동성 스트랩, 포일 또는 유사물에 의해 주위에 대해 덮여질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은 주로 스트랩을 구비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동등하게 포일을 이용하여 잘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캡 부분은 그 헤드 부분 아래에서 용기의 칼라에 부착될 수 있다.
캡 부분은 유익하게 추가의 별개의 밀봉부, 예를 들어 캐뉼라 통로를 위한 밀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밀봉부는 제1 밀봉부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및/또는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러므로 용도에 용이하게 적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용기는 다수의 적용에, 예를 들어 주사 캐뉼라에 의해 추가의 밀봉 요소를 침투하는 것에 의해 첨가제 도입의 가능성에 적합하다.
청구항 제14항 내지 제21항에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는 또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한 항에 따른 용기를 위해 제공되는 캡 부분이다.
본 발명은 지금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대략 절반 크기의 2개의 공지된 주입 용기의 각각의 정면도;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별개로 도시된 캡 부분의 약간 확대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부착된 캡 부분이 도시된 도 1a의 용기의 헤드 부분의 약간 확대된 단면도로서, 헤드 부분의 가요성 헤드 다이아프램이 캡 부분의 부착 전에 미변형 위치에서 도시되고, 도 3a에 따른 헤드 부분이 도 2에서의 헤드 부분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4a는 용기 내용물의 제거 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삽입부의 삽입 이동 동안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3a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4b는 삽입부의 후퇴 이동 동안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4a에 대응하는 도면;
도 5는 밀봉 요소 및 변경된 다이아프램 위치를 가지는 추가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다이아프램이 없는 밀봉 요소를 가지는 추가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포일 재료로 만들어진 두 밀봉 요소와 스트랩의 특별한 환형 그루브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는 추가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포일 재료로 만들어진 두 밀봉 요소와 스트랩의 특별한 환형 그루브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는, 도 7에 따른 해결책과 비교되는 변경된 추가 실시예의 단면도; 및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도 1a 및 도 1b에 따른 용기에 부착된 스토퍼형 기하학적 구조를 구비하는 2개의 밀봉 요소를 가지는 추가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1a 및 도 1b는 자루형 용기 바디(4) 및 림 부분(14)을 포함하는 그 자체가 공지된 각각 주입 용기의 형태를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용기(2)의 2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a에 따른 예에서, 헤드 부분(6)은 남아있는 용기 벽과 일체로 형성된 가요성 헤드 다이아프램(8)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 다이아프램(8)은 용기의 내용물의 제거를 위한 제거 구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종류의 용기는 공지된 블로우 충전 밀봉 기술(BFS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b에 따른 예에서, 헤드 부분(6), 그러므로 용기(4)는 개방된다. 이러한 용기들은 그 자체로 공지된 블로우 성형 기술, 바람직하게 스트래치 블로우 성형 기술 또는 사출 스트래치 블로우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도 2 및 도 3a는 바닥(12)과 분리 가능한 스트랩(30)들을 구비한 대략 원형 컵 형상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캡 부분(10)을 각각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 상기 캡 부분(10)은 도 1a에 따른 용기(4)의 헤드 부분(6)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림 부분(14)에 접착되는 물질을 통해 달성된다. 용기(4)의 내용물의 안전한 제거를 준비하는 적어도 밀봉부(16)가 캡 부분(10)의 바닥(12)의 내측면과 헤드 다이아프램(8)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밀봉부(16)는 제거 작용을 위한 삽입부(22)에 의해 천공될 수 있으며, 삽입부는 용기(4)로부터 삽입부(22)의 제거를 보다 어렵게 하는 동시에 삽입부(22)에서 밀봉구로서 작용하는 디바이스의 부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밀봉부(16)는 매우 약간의 강성 및 경도를 가지는 탄성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특히, 할로겐 부틸 고무, 합성 고무, 예를 들어 폴리이소프프렌,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실리콘, 천연 고무, 니트릴 고무와 같은 재료들이 잘 적합하다. 캡 부분(10)에 대한 용접을 통해 결합된 물질일 수 있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의 각각은 캡 부분(10)의 관통공(18)을 향하여 배향된, 캡 부분(10)의 바닥(12)에 배치되는 밀봉부(16)의 기하학적 구조를 도시한다. 캡 부분(10)의 바닥(12)에 있는 관통공(18)은, 도 3a의 예에서 실축형(solid) 재료로 만들어지고 도 3b의 예에서 포일로 만들어진 스트랩(30)에 의해 주위를 향해 덮여진다. 상기 스트랩(30)은 제거 작용 전에 상기 관통공(18)을 개방하도록 관통공(18)의 상부 가장자리(36)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사용자가 스트랩(30)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두 예에서 관통공(18)의 상부 지름이 가능한 작으면 크게 유익하다.
스트랩(30)의 한쪽 측면에서, 밀봉부(16)는 제거 작용 동안 천공되는 연속 천공 다이아프램(24)을 구비한다. 헤드 다이아프램(8)의 측면에서, 밀봉부(16)는, 관통공(18)과 동일 평면이고 주입 디바이스(도 4a 및 도 4b)의 삽입부(22)를 위해 제공되는 중앙 오목부(20)를 구비한다. 밀봉부(16)의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밀봉 링 기하학적 구조(28)는 용기 헤드 부분(6)의 헤드 다이아프램(8)에 있는 제거 구역을 밀봉한다.
삽입부(22)의 지름과 비교되는 관통공(18)의 기하학적 구조, 특히 지름은 삽입부(22)가 침투됨에 따라서 삽입부(22)의 외부 원주와 관통공(18) 사이에 환형 덕트(32)가 형성되도록(도 4a 참조) 선택된다. 삽입부(22)를 당기기 시작한 직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덕트(32)는 후퇴 이동으로부터 초래되는 밀봉부(16)의 탄성적으로 변형, 변위되는 재료를 통해 완전히 패킹된다. 이러한 것은 삽입부(22)와 캡 부분(10)의 바닥(12) 사이에 추가의 마찰력을 유발하며, 변위된 재료는 추가의 방해 마찰 구역으로서 바닥(12)의 외측에서 비드형 돌출부(34)를 형성한다.
도 5는 밀봉부(16)가 오목부(20), 및 관통공(18)에 직접 배치된 밀봉 비드형 기하학적 구조(26)를 구비하는 특별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기 기하학적 구조(26)의 자유 내경은 관통공(18)의 지름보다 상당히 작다. 이러한 것은 후퇴 이동 동안 이동된 밀봉부(16, 26)로 하여금 환형 덕트(32) 내로 당겨지도록 하며, 이러한 것은 삽입부(22)의 추가의 후퇴를 방해하는 추가의 마찰력을 유발한다. 추가의 밀봉 링 기하학적 구조(28)는 용기 헤드 부분(6)의 헤드 다이아프램(8)의 방향으로 다이아프램(24)의 원주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도 6은 밀봉부(16)가 다이아프램을 구비하지 않고 통로(19)를 구비하는 도 5와 유사한 추가의 특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것은 최소의 천공력에 대해 준비되지만 동시에 캡 부분(10)에 있는 관통공(18)에 근접한 밀봉부(16)의 밀봉 비드형 기하학적 구조(26)를 통하여 높은 후퇴 저항을 제공한다.
도 7은 동일한 종류의 2개의 별개의 밀봉부(16)와 함께 도 3b의 특별한 실시예와 유사한 추가의 특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캡 부분(10)에 있는 관통공(18)은 원뿔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것은 캡 부분(10)에 대한 각각의 밀봉부(16) 또는 밀봉 요소의 보다 용이한 부착을 만든다. 관통공(18)이 밀봉부(16)에 의해 거의 완전히 패킹되기 때문에, 환형 덕트(32)는 도 4a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되는 깊이가 아니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삽입부(22)를 후퇴할 때, 환형 덕트(32)가 도 4b와 유사하게 비드형 돌출부(34) 및 본 발명에 따른 후퇴 저항으로 패킹되었다는 것을 놀랍게도 알 수 있었다. 밀봉부(16) 내부의 원주 방향 환형 그루브(39)는 삽입부(22)에 의해 밀봉부(16)의 측 방향 탄성 이동 또는 변위가 가능하기 때문에 천공력에서의 감소 효과를 가진다.
도 8은 동일한 종류의 2개의 별개의 밀봉부(16)를 가지지만 도 7에서의 예와 비교하여 보다 협소한 밀봉 링 기하학적 구조(28)를 구비하는 관통공(18)의 원뿔 기하학적 구조를 또한 가지는 도 7의 실시예와 유사한 추가의 특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도 1a(헤드 다이아프램(8) 구비) 및 도 1b(헤드 다이아프램 미구비)에 따른 용기에 부착되는, 동일한 종류의 2개의 별개의 밀봉부(16) 및 제조가 특히 용이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는 도 7의 실시예와 유사한 추가의 특별한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다.
스트랩(30)의 용이한 제거, 작은 천공력 및 삽입부(22)의 후퇴력의 유익한 증가가 다음의 다수의 인자의 상조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은 놀랍다:
1. 밀봉부(16)의 재료 특성, 특히 쇼어 경도;
2. 관통공(18, 36)의 기하학적 디자인;
3. 캡 부분(10)의 바닥(12)에서의 밀봉부(16)의 부착;
4. 각각 관통공(18)에 대한 밀봉부(16)의 다이아프램(24) 및 그 밀봉 비드형 기하학적 구조(26)의 위치 선정.
이러한 것은 본 발명에 따라서,
a) 밀봉부(16)의 재료가 10 내지 60의 쇼어A, 바람직하게 20 내지 50 쇼어A, 특히 바람직하게 30 내지 40 쇼어A의 ISO 868에 따른 쇼어 경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b) 관통공(18)의 지름이 적어도 6 ㎜ 및 최대 8 ㎜, 바람직하게 적어도 6.2 ㎜ 및 최대 7.0 ㎜,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6.2 ㎜ 및 최대 6.8 ㎜일 뿐만 아니라,
c) 탄성 중합체 밀봉부(16)가 캡 부분(10)의 관통공(18)을 충전하거나 또는 적어도 그 가장자리와 직접 접촉하고, 바람직하게 물질 본딩을 통하여, 예를 들어 용접 또는 접착제 본딩을 통해 바닥(12)에 부착될 뿐만 아니라,
d) 도 5 또는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예에서, 관통공(18) 및 밀봉부(16)의 기하학적 구조(26)의 자유 내부 단부의 지름의 차이(D)가 1.5 ㎜보다, 바람직하게 2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 2.5 ㎜보다 크면 달성될 수 있다.
삽입부(22)의 삽입 동안 작동력의 감소는 밀봉부(16)의 특정 실시예를 통해 달성되며, 그 다이아프램(8)은 매우 얇게 만들어지거나, 예를 들어 슬롯들 또는 구멍들을 통해 약화된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16) 이외에, 스트랩(30)에 의해 또한 덮여지는 캡 부분(10)에 있는 추가의 관통공에서 제2의 탄성 중합체 스토퍼형 밀봉부가 캡 하우징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 헤드 부분(6)의 헤드 다이아프램(8)과 접촉하기 위한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밀봉 링형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는 상기 밀봉부(38)는 주입 캐뉼라에 의해 용기 내용물로의 첨가제의 혼합 또는 내용물의 제거를 위하여 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
다음의 예(테스트 번호 1 내지 43)들은 본 발명에 대한 추가의 설명을 제공한다. LyondellBasell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Purell RP 270G로 만들어진 도 6에 따른 캡 부분(10) 내로, 관통공(18)의 상이한 지름과 함께, 상이한 탄성 중합체 및 상이한 쇼어 경도로 만들어진 밀봉 비드형 기하학적 구조(26)의 상이한 자유 내경을 가진 탄성 중합체 밀봉 요소(16)들이 캡 부분(10)의 바닥(12)에 삽입되어 부착되었다. 밀봉 요소(16)로서 폴리이소프렌을 사용할 때, 밀봉 요소들은 접착식으로 접착되었으며,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TPE)를 사용할 때, 밀봉 요소들은 캡 부분(10) 내로 가압된 후에 레이저 용접되었다.
용기의 헤드 다이아프램(8)으로부터 독립적인 천공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캡 부분들은 용기에 용접되지 않고 천공력없이 테스트되었다.
최대 침투력(삽입력) 및 역학적 유지력(후퇴력)은 DIN ISO 15759에서의 설명과 유사하게, 상이한 제조자로부터의 ISO 8536-4와 유사한 미사용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삽입 부분들뿐만 아니라 DIN ISO 15759 부록 I에 따른 기준 맨드럴을 이용하여 ISO 7500-1에 따른 보편적 테스트 기계 분류 1을 이용하여 결정되었다. 이러한 것들은 3개의 상이한 외경(5.4 ㎜, 5.6 ㎜, 및 6.0 ㎜)을 가진다. 테스트 속도는 표준 EN ISO 15747:2012에 따라서 분당 200 ㎜이었다.
5 내지 10 측정으로부터의 평균값인 결과는 다음의 표에서 집계된다. 이러한 표의 네번째 컬럼(컬럼 D)은 밀봉부(16)의 기하학적 구조(26)에서의 자유 내경보다 작은, 스트랩 단부에서 관통공(18)에서의 지름으로부터 계산되었다.
Figure pct00001
후퇴력(A)과 삽입력(E) 사이의 매우 유익한 비가 본 발명에 따라서 초래되며, 여기에서, 밀봉부를 위한 재료는 30 내지 40의 쇼어A의 경도를 가지며, 캡 부분에 있는 관통공의 지름은 6.2 ㎜ 내지 6.8 ㎜이며, 차이(D)는 적어도 2.5 ㎜이다.

Claims (21)

  1.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된 용기 바디(4), 및 용기 내용물의 제거를 위해 중공의 스파이크형 삽입부(22)에 의해 사전 결정된 가능한 작용력으로 삽입 방향으로 외측으로부터 침투될 수 있으며 반대의 후퇴 방향으로 사전 결정 가능한 후퇴력으로 용기(2)로부터 다시 제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16)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캡 부분(1)으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2)의 제거를 보다 어렵게 만드는 디바이스(16, 18, 26, 32)가 제공되며,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후퇴력은 상기 삽입부(22)의 의도하지 않은 제거가 적어도 더욱 어렵게 만들어지는 범위까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블로우 충전 밀봉 기술을 통해 제조되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가능한 헤드 다이아프램(8)에 의해 단부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16, 18, 26, 32)의 구성 요소인 밀봉부(16)가 관통될 때, 상기 캡 부분(10)에 있는 관통공(18)과 도입된 상기 삽입부(22) 사이에 반경 방향 거리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상기 밀봉부(16)가 상기 캡 부분(10)에 수용되며, 적어도 상기 삽입부(22)가 후퇴 방향으로 상기 용기(2)로부터 제거될 때, 환형 덕트(32)가 상기 디바이스의 밀봉부(1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패킹되며, 이러한 것은 상기 용기(2)로부터 그 후퇴 동안 적어도 특정 섹션들에서 상기 삽입부(22) 상에 증가된 마찰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분(10)에 있는 관통공(18)은 도입된 삽입부(22)의 외부 원주와 함께 사전 결정된 축 방향 거리를 가지는 환형 덕트(32)를 형성하며, 상기 환형 덕트(32)는 상기 용기(2)로부터 상기 삽입부(22)를 회수할 때 비드형 돌출부(34)의 형성 하에 상기 디바이스(16, 18, 26, 32)의 추가 부분(26)에 의해 주위로 완전히 패킹되며, 상기 환형 덕트(32)에 끼인 상기 비드형 돌출부는 상기 삽입부(22)에 추가의 클램핑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16)는 바람직하게 탄성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 부분(10)과 상기 용기(2)의 헤드 부분(6)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캡 부분(10)에 있는 상기 관통공(18)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오목부(20)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20)는 상기 관통공(18) 뒤에서 축 방향 연장부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16)는 바람직하게 탄성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 부분(10)과 상기 용기(2)의 헤드 부분(6)의 헤드 다이아프램(8)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캡 부분(10)에 있는 상기 관통공(18)에 동축으로 배치된 통로(19)를 구비하며, 상기 통로(19)는 상기 관통공(18) 뒤에서 축 방향 연장부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16)는 상기 오목부(20) 또는 상기 통로(19) 내로 내부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환형의 비드형 부분 기하학적 구조(26)를 가지며, 상기 기하학적 구조는 후퇴하는 상기 삽입부(22)의 작용 하에 상기 관통공(18)의 환형 덕트(32)의 방향으로 변위되어 끼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16, 26)의 오목부(20)는 상기 삽입부(22)에 의해 천공될 수 있는 천공 다이아프램(24)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의 헤드 부분(6)의 헤드 다이아프램(8)을 향하는 단부에서, 상기 밀봉부(16, 26)는 그 오목부(20)의 연장부, 또는 상기 헤드 다이아프램(8)의 방향으로 상기 통로(19)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추가의 부분 기하학적 구조(28)를 구비하며, 상기 부분 기하학적 구조(28)는 적어도 상기 삽입부(22)의 삽입 동안 상기 용기(2)의 헤드 다이아프램(8)의 대향하는 상부 측면에 대해 밀봉 방식으로 떠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분(10)의 관통공(18)은 분리 가능한 스트랩(30)에 의해 주위를 향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한 스트랩(30)은 포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분(10)은 그 헤드 부분(6) 아래에서 상기 용기(2)의 림 부분(1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추가의 밀봉부(38)가 캐뉼라의 통로를 위해 제공되는 밀봉 요소와 같이 캡 부분(10)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천공 다이아프램(24)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밀봉부(16)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밀봉 링 형상 부분 기하학적 구조(28)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환형 비드 형상 부분 기하학적 구조(26)를 분리하는, 오목부(20)를 구비하는 탄성 중합체 밀봉부(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밀봉부(16)는 적어도 부분적인 원주 방향 환형 그루브(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16)를 위한 재료는 10 내지 60 쇼어A, 바람직하게 20 내지 50 쇼어A, 특히 바람직하게 30 내지 40 쇼어A의 쇼어 경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단부에서의 상기 관통공(18)의 지름은 적어도 6 ㎜ 내지 최대 8 ㎜, 바람직하게 적어도 6.2 ㎜ 내지 최대 7 ㎜,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6.2 ㎜ 내지 최대 6.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밀봉부(16)는 물질 접착, 예를 들어 용접 또는 접착제 접착을 통해 상기 관통공(18)에 직접 인접한 캡 부분(10)의 바닥(1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단부에서의 상기 관통공(18)의 지름과 상기 밀봉부(16)의 기하학적 구조(26)에서의 자유 내경 사이의 차이(D)는 1.5 ㎜보다, 바람직하게 2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 2.5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8)은 상기 스트랩(30)을 향해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8)은 상기 탄성 중합체 밀봉부(1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패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97018462A 2017-01-05 2017-12-13 용기 KR102551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6531A KR102665502B1 (ko) 2017-01-05 2017-12-13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000048.4A DE102017000048A1 (de) 2017-01-05 2017-01-05 Behälter
DE102017000048.4 2017-01-05
PCT/EP2017/001425 WO2018127267A1 (de) 2017-01-05 2017-12-13 Behält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531A Division KR102665502B1 (ko) 2017-01-05 2017-12-13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327A true KR20190104327A (ko) 2019-09-09
KR102551438B1 KR102551438B1 (ko) 2023-07-06

Family

ID=61017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462A KR102551438B1 (ko) 2017-01-05 2017-12-13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59638B2 (ko)
EP (1) EP3565766A1 (ko)
JP (1) JP7084401B2 (ko)
KR (1) KR102551438B1 (ko)
CN (1) CN109963793B (ko)
DE (1) DE102017000048A1 (ko)
RU (1) RU2748239C2 (ko)
WO (1) WO2018127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5409A (zh) 2017-11-17 2020-09-01 科斯卡家族有限公司 用于流体输送歧管的系统和方法
DE102017012091A1 (de) 2017-12-27 2019-06-27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Verfahren zur Reduktion mikrobiologischer Kontamination
JP2024510885A (ja) 2021-02-19 2024-03-12 ブラウンフォルム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薬剤の管理用容器を閉鎖するための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21104026A1 (de) * 2021-02-19 2022-08-25 Braunform Gmbh Kappe zum Verschluss eines Behältnisses zur Verabreichung eines Arzneimittel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D992110S1 (en) 2021-08-10 2023-07-11 Koska Family Limited Sealed fluid conta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997A (ja) * 1983-08-04 1985-06-03 ユ−オ−ピ−・インコ−ポレ−テツド フィン付き熱交換管の製造方法及び装置
DE102015006489A1 (de) * 2015-05-22 2016-11-24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Kunststoff-Behältererzeugni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9879A (en) * 1967-11-24 1970-05-0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Parenteral liquid container having frangible part structure
US3905368A (en) * 1974-02-15 1975-09-16 Cutter Lab Pierceable access port assembly
DE3310265A1 (de) * 1983-03-22 1984-09-27 Gerhard 7166 Sulzbach-Laufen Hansen Aufreissverschluss fuer einen behaelter
US4545497A (en) * 1984-11-16 1985-10-08 Millipore Corporation Container cap with frangible septum
US5025955A (en) * 1990-07-16 1991-06-25 Johnson Enterprises, Inc. Container closure with improved sealing membrane
US5232109A (en) * 1992-06-02 1993-08-03 Sterling Winthrop Inc. Double-seal stopper for parenteral bottle
DE4231750C1 (de) * 1992-09-23 1994-03-10 Pohl Gmbh & Co Kg Infusionsflasche aus Kunststoff
US5395365A (en) 1993-03-22 1995-03-07 Automatic Liquid Packaging, Inc. Container with pierceable and/or collapsible features
DE19500460A1 (de) * 1995-01-10 1996-07-11 Pohl Gmbh & Co Kg Anordnung an Infusionsflaschen oder dergleichen
US5895383A (en) * 1996-11-08 1999-04-20 Bracco Diagnostics Inc. Medicament container closure with recessed integral spike access means
DE19754625C2 (de) * 1997-12-09 2002-01-24 Helvoet Pharma Stopfen zum Verschließen von Infusionsflaschen
US7243689B2 (en) * 2000-02-11 2007-07-17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Device with needle penetrable and laser resealable portion and related method
AU5041501A (en) * 2000-04-06 2001-10-23 Maro B.V. Moulding suitable for pharmaceutical application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GB0013690D0 (en) * 2000-06-06 2000-07-26 Advanced Biotech Ltd Improved closure
DE10127823C1 (de) * 2001-06-07 2002-08-22 West Pharm Serv Drug Res Ltd Verschluss für eine Medikamentenflasche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03325662A (ja) * 2002-03-08 2003-11-18 Fukai Kogyo Kk 輸液バッグの弁体、及び、アダプタ
JP4401355B2 (ja) * 2003-01-28 2010-01-20 メディカル・インスティ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熱シール可能なキャップを有するデバイスならびにそのデバイスを充填する装置及び方法
DE10311154A1 (de) * 2003-03-14 2004-09-23 Helvoet Pharma Belgium N.V. Für pharmazeutische Verwendung dienende Überkappe mit Verschlussstopfen
WO2005087127A1 (en) 2004-02-13 2005-09-22 Paradis Joeseph R Swabbable needleless vial access
DE102004051300C5 (de) 2004-10-20 2013-01-24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Verschlusskappe für mit medizinischen Flüssigkeiten befüllte Behältnisse
CN101528180B (zh) * 2006-10-17 2012-09-26 株式会社Jms 连通部件及使用该连通部件的医疗用容器
GB0701326D0 (en) * 2007-01-24 2007-03-07 Obrist Closures Switzerland A perforable closure
DE102008060995A1 (de) * 2008-12-09 2010-06-10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Deutschland Gmbh & Co. Kg Verschluss für ein Medikamentenbehältnis
DE102008060864A1 (de) * 2008-12-09 2010-06-10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Verschlusskappe für Behältnisse zur Aufnahme von medizinischen Flüssigkeiten und Behältnis zur Aufnahme von medizinischen Flüssigkeiten
JP5881242B2 (ja) * 2010-02-01 2016-03-09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栓体及び体液採取器具セット
JP5929120B2 (ja) * 2011-11-24 2016-06-01 凸版印刷株式会社 口栓
DE102012021525A1 (de) * 2012-10-31 2014-04-30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Dichtungsanordnung sowie einer solchen zugeordneter Behälter
EP2735300A1 (en) * 2012-11-26 2014-05-28 Becton Dickinson France Adaptor for multidose medical container
EP2759284A1 (en) 2013-01-28 2014-07-30 B. Braun Melsungen AG Overcap intended for a pharmaceutical container
DE102014003501B3 (de) * 2014-03-14 2015-04-30 Klaus-Dieter Beller Verschlusskappe für Behältnisse, Herstellverfahren und Spritzgusswerk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997A (ja) * 1983-08-04 1985-06-03 ユ−オ−ピ−・インコ−ポレ−テツド フィン付き熱交換管の製造方法及び装置
DE102015006489A1 (de) * 2015-05-22 2016-11-24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Kunststoff-Behältererzeugn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48239C2 (ru) 2021-05-21
JP7084401B2 (ja) 2022-06-14
US20190225390A1 (en) 2019-07-25
CN109963793B (zh) 2021-11-05
KR102551438B1 (ko) 2023-07-06
JP2020504057A (ja) 2020-02-06
CN109963793A (zh) 2019-07-02
RU2019122134A3 (ko) 2021-02-05
US11059638B2 (en) 2021-07-13
KR20230074613A (ko) 2023-05-30
DE102017000048A1 (de) 2018-07-05
WO2018127267A1 (de) 2018-07-12
EP3565766A1 (de) 2019-11-13
RU2019122134A (ru)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1438B1 (ko) 용기
CN107049510B (zh) 用于医疗目的的包装套管
JP4763968B2 (ja) 移送装置
US20170239426A1 (en) Medical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and Moveable Plunger Seal
US20040217081A1 (en) Container system and closure device comprising a sealing device and cap
US10562698B2 (en) Package for disposable coated acupuncture needle
US10182967B2 (en) Plug and bodily fluid-collecting instrument set
JP4874623B2 (ja) 採血ホルダー
JP4904501B2 (ja) 輸液用キャップ
KR102665502B1 (ko) 용기
JP4717534B2 (ja) 医療用キャップ
AU2014401981B2 (en) Container having a head piece, which container can be or is filled with a medium
EP3393572A1 (en) Needleless syringe connector cap and container
JP6782635B2 (ja) シリンジ用組立体
JP2010172739A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15690B1 (ko) 의료용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용의 밀봉 캡
JPWO2013172449A1 (ja) 針付き接続部材、薬剤溶解キット
JP2016054805A (ja) 容器カバー
US20190209435A1 (en) Container for a medical liquid
BR102015027568A2 (pt) tampa, em particular, tampa de plástico para um recipiente
JP7016315B2 (ja) キャップ
RU2574368C2 (ru) Медицин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отводимой иглой и способным перемещаться уплотнением поршня
JP2014069852A (ja) 薬液容器および栓体
CN105616156A (zh) 一种密封盖
JP2007313203A (ja) 採血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