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494A -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3494A KR20190103494A KR1020197025412A KR20197025412A KR20190103494A KR 20190103494 A KR20190103494 A KR 20190103494A KR 1020197025412 A KR1020197025412 A KR 1020197025412A KR 20197025412 A KR20197025412 A KR 20197025412A KR 20190103494 A KR20190103494 A KR 201901034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side plate
- pair
- portions
- po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166—Simple cranes with jibs which may be fixed or can slew or luf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5—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telescoped by hydraulic j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 B66C23/821—Bracing equipment for booms
- B66C23/823—Bracing equipment acting in vertical 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붐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를 제공한다.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5)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의 선회대 상에 설치된 저판부(51)와, 저판부(51) 상의 차량 좌우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521, 521)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측판부(521, 521)는, 각각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판부(521, 521)의 상부(5211, 5211)는, 하부(5213, 5213)보다도 측판부(521, 521) 사이의 간격(W1)이 넓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탑재형 크레인에 사용되는 선회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붐(boom)을 갖는 작업차에 사용되는 선회 포스트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선회 포스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 선회 포스트는, 붐을 갖는 작업차의 선회대 상에 설치된 저판부와, 저판부 상의 차량 좌우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측판부는, 상부가 하부보다도 측판부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붐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붐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이 붐의 기단부를 장착하는 지지축을 측판부 사이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선회 포스트는, 한 쌍의 측판부 각각이, 사방이 판으로 둘러싸인 중공의 기둥 형상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대형화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붐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부단히 연구한 결과,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를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의 선회대 상에 설치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 상의 차량 좌우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판부는, 각각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하부보다도 측판부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에서 상기 측판부 사이에 붐의 기단부를 장착하는 지지축이 배치되는 부분이 상기 하부보다도 상기 측판부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에서 상기 측판부 사이에 윈치 드럼이 배치되는 부분이 상기 하부보다도 상기 측판부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에서는, 한 쌍의 측판부의 각각을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부가 하부보다도 측판부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측판부가 기둥 형상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한 쌍의 측판부의 전체 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는, 붐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에서는, 한 쌍의 측판부의 상부에서 측판부 사이에 붐의 기단부를 장착하는 지지축이 배치되는 부분이 하부보다도 측판부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지지축을 소망하는 위치에 확실히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는, 붐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붐을 소망하는 위치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에서는, 한 쌍의 측판부의 상부에서 측판부 사이에 윈치 드럼이 배치되는 부분이 하부보다도 측판부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윈치 드럼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측판부 사이에 윈치 드럼을 용이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붐의 길이가 길어지고 훅을 거는 회수가 증가하는 것에 수반하여 와이어의 권취량이 많아져도, 폭을 크게 한 윈치 드럼을 배치함으로써 와이어의 권취층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는, 와이어의 권취량이 많아져도, 와이어의 권취성의 저하나 와이어의 파고 듦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가 적용된 차량 탑재형 크레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를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를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5)가 적용된 차량 탑재형 크레인(1)의 좌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1)을 간단히 크레인(1)으로 칭한다. 또한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5)를 간단히 선회 포스트(5)로 칭한다.
우선, 크레인(1)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크레인(1)은, 주행 기능을 갖는 차체(2)와, 차체(2)의 앞쪽 좌우에 설치된 아웃트리거(3)와, 차체(2)에 수평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선회대(4)와. 선회대(4) 상에 세워 설치된 본 실시형태의 선회 포스트(5)와, 선회 포스트(5)에 기복(起伏)이 자유롭도록 장착된 붐(6)을 구비하고 있다.
아웃트리거(3)는, 크레인(1)의 전도를 방지하는 것으로, 유압에 의해 장출(張出)·접지가 행해진다.
선회대(4)는, 차체(2) 상에 설치된 선회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붐(6)과 일체로 선회 구동된다.
붐(6)은, 기단 붐(6a)과 중간 붐(6b~6c)과 선단 붐(6d)에 의해 중첩식(nested)으로 구성되어 있고, 신축(伸縮)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신축 구동된다.
기단 붐(6a)은 그 기저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 선회 포스트(5)에 수평으로 설치된 지지축(10)(도 2 참조)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하로 기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선회 포스트(5)와 기단 붐(6a)의 기단부와의 사이에는 기복 실린더(11)가 연결되어 있고, 이 기복 실린더(11)가 신축함으로써 붐(6) 전체가 기복 구동된다.
선단 붐(6d)의 선단에는 회전이 자유로운 시브(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고, 이 시브에는 와이어(12)가 걸쳐져 있다. 와이어(12)의 선단에는 훅 블럭(13)을 거쳐 훅(14)이 장착되어 있다. 와이어(12)의 말단은 윈치 드럼(15)에 걸쳐 감겨 있다.
이 윈치 드럼(1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포스트(5) 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윈치 드럼(15)은, 선회 포스트(5)의 외측에 설치된 감속기(16)를 거쳐 선회 포스트(5) 내에 설치된 윈치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이 윈치 모터가 권상 방향 또는 권하 방향으로 회전하면, 감속기(16)가 그 회전수를 줄여 윈치 드럼(15)에 동력을 전달한다. 이에 의해 윈치 드럼(15)은 권상 방향 또는 권하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와이어(12)가 권상 또는 권하되고, 이에 의해 훅(14)이 끌어 올려지거나 또는 내려질 수 있다.
또한, 차체(2)에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컨트롤러는, 매달아 올림 작업에 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이 컨트롤러는, 선회 레버, 신축 조작 레버, 기복 조작 레버, 윈치 조작 레버, 아웃트리거의 장출·격납의 조작 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조작 레버나 조작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선회 구동 장치, 신축 실린더, 기복 실린더(11), 윈치 드럼(15) 및 윈치 모터, 아웃트리거(3)의 조작을 행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선회 포스트(5)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선회 포스트(5)를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 선회 포스트(5)는, 선회대(4)(도 1 참조) 상에 설치된 저판부(51)와, 저판부(51) 상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지지부(52)와, 지지부(52)의 앞쪽(차량 후방측)에 설치된 전판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저판부(51))
저판부(5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저판부(51)는 선회대(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저판부(51)의 상면에 있어서 전판부(53)의 앞쪽에는, 기복 실린더(11)의 하단을 장착하는 한 쌍의 장착부(17, 17)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52))
지지부(52)는, 상기 설명한 붐(6)의 기단부(기단 붐(6a)의 기단부)를 장착하는 지지축(10)과 윈치 드럼(15)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 지지부(52)는, 전방측(차량 후방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52)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판부(51) 상의 차량 좌우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521, 521)와, 한 쌍의 측판부(521, 521)의 후단(차량 전방측 끝)을 결합하는 후판부(52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측판부(521, 521))
한 쌍의 측판부(521, 52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이 한 장의 판에 의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측판부(521, 521)는, 상부(5211, 5211) 사이의 간격 W1이 하부(5213, 5213) 사이의 간격 W3보다도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측판부(521, 521)의 하부(5213, 5213)는, 저판부(5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판부(521, 521)의 중간부(5212, 5212)는, 하부(5213, 5213)의 상단으로부터 한층 더 차량 좌우측으로 기울어져 상방으로 연장되는 사판부(5212b, 5212b)와, 사판부(5212b, 5212b)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판부(5212a, 5212a)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중간부(5212, 5212)는, 사판부(5212b, 5212b)에 의해 수직판부(5212a, 5212a) 사이의 간격 W2가 하부(5213, 5213) 사이의 간격 W3보다도 넓어져 있다.
한 쌍의 측판부(521, 521)의 상부(5211, 5211)는, 중간부(5212, 5212)의 수직판부(5212a, 5212a)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직판부(5212a, 5212a)의 간격 W2는, 하부(5213, 5213)의 간격 W3보다도 넓기 때문에, 수직판부(5212a, 5212a)의 상단 측에 형성된 상부(5211, 5211)의 간격 W1은 하부(5213, 5213)의 간격 W3보다도 넓다.
상부(5211, 5211)의 상단부는, 그 사이에 지지축(10)이 배치되는 지지축 배치부(5211a, 5211a)를 구성하고 있다. 이 지지축 배치부(5211a, 5211a)는, 그 내측에 보스부(110, 110)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10)은, 그 양단부가 보스부(110, 110)에 장착되어 지지축 배치부(5211a, 5211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5211, 5211)의 지지축 배치부(5211a, 5211a) 이외의 부분은, 그 사이에 윈치 드럼(15)이 배치되는 윈치 드럼 배치부(5211b, 5211b)를 구성하고 있다.
이 윈치 드럼 배치부(5211b, 5211b)는, 그 내측에 와이어 빠짐방지부(150, 150)가 설치되어 있다. 윈치 드럼(15)은, 동체부(15a)와, 동체부(15a)의 좌우 측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5b, 15b)를 갖고 있다. 윈치 드럼(15)은, 드럼 지지축(20)에 의해 윈치 드럼 배치부(5211b, 5211b) 사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측판부(521)의 상부(5211)로부터 중간부(5212)의 외측에는, 위에서 설명한 감속기(16)가 설치되어 있다.
(후판부(522))
후판부(522)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장의 판에 의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윈치 드럼(15)을 생략하고 있다.
(전판부(53))
전판부(5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판부(53)는, 후판부(522)에 상단이 결합된 전판 상측부(53a)와, 전판 상측부(53a)에 상단이 결합된 전판 중간부(53b)와, 전판 중간부(53b)의 하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저판부(51)에 결합된 전판 하측부(53c)를 구비하고 있다.
전판 상측부(53a)는, 그 상단이, 후판부(522)에 있어서 지지축(10)보다도 하측의 부분에서 접합되어 전방(차량 후방) 또한 하방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판 상측부(53a)의 좌우측은, 한 쌍의 측판부(521, 521)의 상부(5211, 5211)에 접합되어 있다. 전판 상측부(53a)의 상면에는 보스부(110, 110)가 배치되어 있다.
전판 중간부(53b)는, 그 상단이, 전판 상측부(53a)에 있어서 윈치 드럼(15)보다도 하측의 부분에서 접합되어 전방(차량 후방) 또한 하방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판 중간부(53b)의 좌우측은, 한 쌍의 측판부(521, 521)의 중간부(5212, 5212) 및 하부(5213, 5213)에 접합되어 있다.
전판 상측부(53a)의 전면(차량 후방측면)으로부터 전판 중간부(53b)의 상면의 좌우 측에는, 위에서 설명한 와이어 빠짐방지부(150, 1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판부(53)가 후판부(522)와 한 쌍의 측판부(521, 521)에 접합하고 있어 선회 포스트(5)의 내부에는 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 S에는 위에서 설명한 윈치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선회 포스트(5)의 효과를 열거하여 설명한다.
(1) 본 실시형태의 선회 포스트(5)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1)의 선회대(4) 상에 설치된 저판부(51)와, 저판부(51) 상의 차량 좌우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521, 521)를 구비하고, 한 쌍의 측판부(521, 521)는, 각각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5211, 5211)가 하부(5213, 5213)보다도 측판부(521, 521) 사이의 간격 W1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측판부(521, 521)는, 각각 사방이 판으로 둘러싸인 중공의 기둥 형상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한 쌍의 측판부(521, 521)의 전체 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선회 포스트(5)는, 붐(6)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에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붐(6)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의 선회 포스트(5)에서는, 측판부(521, 521)의 하부(5213, 5213)의 구조는 변함없기 때문에, 선회 장치를 구성하는 선회 베어링이나 선회 외륜 볼트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좋다.
(2)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포스트(5)에서는, 측판부(521, 521)의 상부(5211, 5211)에서 측판부(521, 521) 사이에 붐(6)의 기단부를 장착하는 지지축(10)이 배치되는 부분(지지축 배치부(5211a))이, 하부(5213)보다도 측판부(521, 521) 사이의 간격 W1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축(10)을 소망하는 위치에 확실히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선회 포스트(5)는, 붐(6)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붐(6)을 소망하는 위치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3)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포스트(5)에서는, 측판부(521, 521)의 상부(5211, 5211)에서 측판부(521, 521) 사이에 윈치 드럼(15)이 배치되는 부분(윈치 드럼 배치부(5211b))이, 하부(5213, 5213)보다도 측판부(521, 521) 사이의 간격 W1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윈치 드럼(15)의 폭(동체부(15a)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측판부(521, 521) 사이에 윈치 드럼(15)을 용이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붐(6)의 길이가 길어지고 훅(14)을 거는 회수가 증가하는 것에 수반하여 와이어(12)의 권취량이 많아져도, 폭을 크게 한 윈치 드럼(15)을 배치함으로써 와이어(12)의 권취층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선회 포스트(5)는, 와이어(12)의 권취량이 많아져도, 와이어(12)의 권취성의 저하나 와이어(12)의 파고 듦을 막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예시하였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라면, 각종의 변경 등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선회 포스트(5)에서는, 한 쌍의 측판부(521, 521) 각각을 한 장의 판에 의해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복수의 판을 접합하여 평판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포스트(5)에서는, 한 쌍의 측판부(521, 521)의 상부(5211, 5211)에 지지축 배치부(5211a) 및 윈치 드럼 배치부(5211b)를 형성하였지만, 어느 한쪽이더라도 좋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3월 31일에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5-7208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개시는 완전하게 본 명세서에서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1: 차량 탑재형 크레인
4: 선회대
5: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6: 붐
10: 지지축
15: 윈치 드럼
51: 저판부
521: 측판부
5211: 측판부의 상부
5211a: 지지축 배치부
5211b: 윈치 드럼 배치부
5213: 측판부의 하부
W1: 간격
4: 선회대
5: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6: 붐
10: 지지축
15: 윈치 드럼
51: 저판부
521: 측판부
5211: 측판부의 상부
5211a: 지지축 배치부
5211b: 윈치 드럼 배치부
5213: 측판부의 하부
W1: 간격
Claims (3)
- 차량 탑재형 크레인의 선회대 상에 설치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 상의 차량 좌우측으로부터 상방 및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와,
상기 저판부 상의 차량 후방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기복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판부는, 각각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하부보다도 측판부 사이의 간격이 넓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상기 상부는, 실질적으로 평행이고, 윈치 드럼이 회전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 실린더의 하단 및 상단은, 상기 저판부의 장착부 및 붐의 기단측에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측판부는, 상기 기복 실린더가 상방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방 및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072087 | 2015-03-31 | ||
JP2015072087 | 2015-03-31 | ||
PCT/JP2016/059665 WO2016158771A1 (ja) | 2015-03-31 | 2016-03-25 | 車両搭載型クレーン用旋回ポスト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5347A Division KR20170116117A (ko) | 2015-03-31 | 2016-03-25 |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3494A true KR20190103494A (ko) | 2019-09-04 |
KR102079907B1 KR102079907B1 (ko) | 2020-02-20 |
Family
ID=570067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5347A KR20170116117A (ko) | 2015-03-31 | 2016-03-25 |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
KR1020197025412A KR102079907B1 (ko) | 2015-03-31 | 2016-03-25 |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5347A KR20170116117A (ko) | 2015-03-31 | 2016-03-25 |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418321B2 (ko) |
KR (2) | KR20170116117A (ko) |
CN (2) | CN110790151B (ko) |
WO (1) | WO201615877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00180B2 (en) * | 2020-01-31 | 2021-12-14 |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 NVMe SGL bit bucket transfers |
US12043525B1 (en) | 2022-07-06 | 2024-07-23 | Tanner E. Mart | Lifting apparatus mountable on a wal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6704A (ja) | 1984-06-21 | 1986-01-13 |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
JPH10266266A (ja) * | 1997-03-26 | 1998-10-06 | Aichi Corp | 旋回台 |
JP2012071965A (ja) * | 2010-09-29 | 2012-04-12 | Tadano Ltd | クレーンの操作装置及びクレーン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5396A (ja) * | 1983-07-05 | 1985-01-26 | 株式会社加藤製作所 | クレ−ン装置 |
JPH0344785Y2 (ko) * | 1985-07-26 | 1991-09-20 | ||
JPH1059698A (ja) * | 1996-08-21 | 1998-03-03 | Shin Meiwa Ind Co Ltd | 高所作業車 |
CN201169506Y (zh) * | 2008-01-24 | 2008-12-24 | 周爱兴 | 车载式套筒旋转起吊装置 |
JP5649870B2 (ja) * | 2010-08-20 | 2015-01-07 | 株式会社タダノ | 移動式クレーン |
CN102923584B (zh) * | 2011-08-08 | 2014-12-10 | 长沙桑尼重工机械有限公司 | 具有智能操作控制系统的智能随车起重机 |
CN202279647U (zh) * | 2011-08-17 | 2012-06-20 | 深圳市强保成机械有限公司 | 一种随车起重机的起重臂 |
CN102491210A (zh) * | 2011-12-22 | 2012-06-13 | 上海三一科技有限公司 | 一种一体式的卷扬支架及包括该支架的起重机 |
CN202766153U (zh) * | 2012-09-10 | 2013-03-06 | 沅江市振兴液压机械有限公司 | 龙门式液压折臂吊机的龙门立柱 |
CN103879837A (zh) * | 2014-03-05 | 2014-06-25 | 安徽亚神电缆集团有限公司 | 一种宽度可调式卷筒支架 |
-
2016
- 2016-03-25 WO PCT/JP2016/059665 patent/WO201615877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3-25 JP JP2017509914A patent/JP6418321B2/ja active Active
- 2016-03-25 CN CN201910952987.XA patent/CN110790151B/zh active Active
- 2016-03-25 CN CN201680017771.9A patent/CN107406242A/zh active Pending
- 2016-03-25 KR KR1020177025347A patent/KR20170116117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3-25 KR KR1020197025412A patent/KR1020799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6704A (ja) | 1984-06-21 | 1986-01-13 |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
JPH10266266A (ja) * | 1997-03-26 | 1998-10-06 | Aichi Corp | 旋回台 |
JP2012071965A (ja) * | 2010-09-29 | 2012-04-12 | Tadano Ltd | クレーンの操作装置及びクレーン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6117A (ko) | 2017-10-18 |
JPWO2016158771A1 (ja) | 2018-01-25 |
KR102079907B1 (ko) | 2020-02-20 |
WO2016158771A1 (ja) | 2016-10-06 |
CN107406242A (zh) | 2017-11-28 |
CN110790151A (zh) | 2020-02-14 |
JP6418321B2 (ja) | 2018-11-07 |
CN110790151B (zh) | 2021-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99905B2 (en) | Crane | |
JP6455203B2 (ja) | クローラクレーンのカーボディウエイト支持装置 | |
WO2014043995A1 (zh) | 一种拆分式起重机 | |
WO2013075454A1 (zh) | 一种起重机及其超起装置 | |
KR102079907B1 (ko) |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 |
JP6645222B2 (ja) | クレーンのジブ取付方法 | |
JP5121351B2 (ja) | 移動式クレーン | |
JP2007015774A (ja) | 高所作業車 | |
JP5454308B2 (ja) | クレーン | |
KR101411537B1 (ko) | 후크 블록 | |
JP6727545B2 (ja) | 移動式クレーンのフックブロック格納装置 | |
JP6632591B2 (ja) | クレーン | |
JP5389679B2 (ja) | 建設機械 | |
JP3215230U (ja) | ウインチの取付構造 | |
JP7452399B2 (ja) | クレーン | |
KR20140030083A (ko) | 항타기 | |
JP7025692B2 (ja) | ブームヘッド | |
JP2019196239A (ja) | カウンタウェイト位置変更装置及びクレーン | |
JP2019131335A (ja) | ウエイト及び巻過防止装置 | |
JP7463865B2 (ja) | ブーム | |
CN210214635U (zh) | 吊车用垂直起降通用吊臂 | |
JP2012051692A (ja) | 移動式クレーン | |
JP2009040599A (ja) | 移動式クレーン | |
KR102255738B1 (ko) | 크레인 장치 | |
KR101902506B1 (ko) | 이동식 기중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