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537B1 - 후크 블록 - Google Patents

후크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537B1
KR101411537B1 KR1020120099372A KR20120099372A KR101411537B1 KR 101411537 B1 KR101411537 B1 KR 101411537B1 KR 1020120099372 A KR1020120099372 A KR 1020120099372A KR 20120099372 A KR20120099372 A KR 20120099372A KR 101411537 B1 KR101411537 B1 KR 101411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axis
hook
rotation
sheave block
wi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722A (ko
Inventor
김학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5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후크 블록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은, 와이어 로프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윈치를 구비한 크레인의 팔 단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후크 블록으로서, 팔의 단부에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이축 회전부; 및 이축 회전부에 연결되어 중량물을 승강시키는 후크부를 포함하되, 이축 회전부는, 중량물의 승강 방향에 수직한 제 1 회전축 및 제 1 회전축에 수직한 제 2 회전축이 위치되는 조인트 부재; 및 조인트 부재를 후크부에 연결시키는 제 1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은 서로 교차되어 한 점에서 만나도록 십자 형태로 배열된다.

Description

후크 블록{HOOK BLOCK}
본 발명은 크레인의 후크 블록에 관한 것이다.
선박 건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일정 크기의 블록을 제작하여 이들을 서로 조립하는 블록 공법이 일반화되었고,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블록은 점점 대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형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의 용량도 함께 증대되었다.
그러나, 육상용 크레인의 경우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지반을 구축하기가 어려우므로 크레인의 용량에 한계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해상에 부유하는 바지(barge) 상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해상 크레인 또는 플로팅(floating) 크레인을 이용하여 대형 블록의 조립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 크레인은 팔의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는 후크(hook)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리며, 큰 부피의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후크를 연결하는 지점인 중량물의 적정 lifting point의 선정이 중요하다.
즉, lifting point 간에 모멘트 평형이 이루어져서 중량물이 전복되지 않으며 중량물의 자체 중량으로 인해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적정 lifting point들을 찾아서, 후크를 연결하게 된다.
한편, 도 10은 플로팅 타입의 크레인이 대형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모습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대형 블록과 같은 큰 부피의 중량물(30)을 들어 올리기 위한 lifting point들은 크레인 후크의 가동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프레더 빔(spreader beam)(40) 및 별도의 라인(line) 장비를 사용하여 중량물(30)을 들어올릴 수 있다.
이 때, 스프레더 빔(40)을 사용하여 와이어 로프의 가동 각도를 확장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후크와 중량물의 적정 lifting point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거대한 부피의 중량물(30)을 들어올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가적인 장비의 설치에 대한 시간 및 인력의 낭비가 생기고, 후크의 승강을 통한 중량물(30)의 수직 방향 이동 거리가 부가 장비의 설치가 없을 때보다 짧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후크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 지점에서 서로 수직한 두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후크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와이어 로프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윈치를 구비한 크레인의 팔 단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후크 블록으로서, 상기 팔의 단부에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이축 회전부; 및 상기 이축 회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중량물을 승강시키는 후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축 회전부는, 상기 중량물의 승강 방향에 수직한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1 회전축에 수직한 제 2 회전축이 위치되는 조인트 부재; 및 상기 조인트 부재를 상기 후크부에 연결시키는 제 1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은 서로 교차되어 한 점에서 만나도록 십자 형태로 배열되는, 후크 블록이 제공된다.
삭제
이 때,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팔의 일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 1 링크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조인트 부재에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에서 상기 제 1 링크 부재를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중심부에 상기 제 1 회전축 방향의 관통 홀이 형성되는 메인 축 부재; 및 상기 메인 축 부재를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여 양 단부가 상기 팔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지지 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크부는, 상기 이축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의하여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시브 블록 유닛; 및 상기 시브 블록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물과 체결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브 블록 유닛은, 상기 이축 회전부의 하측부에 연결되는 상부 시브 블록; 및 상측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의해 상기 상부 시브 블록과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상기 후크와 연결되는 하부 시브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시브 블록은 상기 와이어 로프가 상기 윈치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서 상기 상부 시브 블록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브 블록 유닛에서 상기 윈치로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 로프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 블록이 한 지점에서 두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도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 블록이 한 지점에서 두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대형의 중량물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이 포함된 플로팅 크레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Ⅳ-Ⅳ'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의 이축 회전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Ⅵ-Ⅵ'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이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이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을 이용하여 대형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크레인이 대형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두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이 포함된 플로팅 크레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은, 해상에 부유하도록 바지선(5)을 포함하는 플로팅(floating) 타입의 크레인(1)에서, 중량물과 체결되어 중량물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팔(10)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 때, 후크 블록(100)은 크레인(1)의 일측에 구비된 윈치(20)에 의하여 감기고 풀리는 와이어 로프(50)에 연결됨으로써, 중량물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은 일측이 팔(10)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후크(160)가 설치된다.
이 때, 팔(10)의 일측에 지지되는 가이드 시브(180)를 통해 가이드 된 와이어 로프(50)가 윈치(20)에 감기고 풀림에 따라, 후크 블록(100)의 타측이 일측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타측의 후크(16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시브(18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Ⅳ-Ⅳ'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의 이축 회전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Ⅵ-Ⅵ'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은 이축 회전부(120) 및 후크부(150)를 포함한다.
이축 회전부(120)는 후크 블록(100)이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 부재(110) 및 제 1 링크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조인트 부재(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이 두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관절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 1 링크 부재(130)는 조인트 부재(110)를 후술할 후크부(150)에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조인트 부재(110)는 팔(1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인 제 1 회전축(121) 및 제 2 회전축(122)을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회전축(121)은 후크(160)에 체결되는 중량물의 상하 승강 방향에 수직하며, 제 2 회전축(122)은 제 1 회전축(121)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회전축(121) 및 제 2 회전축(122)은 서로 교차되어 한 점에서 만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인트 부재(110)는 제 1 회전축(121)을 포함하는 지지 축 부재(111) 및 제 2 회전축(122)을 포함하는 메인 축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 부재(110)는 두 개의 축이 교차된 형태의 십자형 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부재(11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하였듯이, 조인트 부재(110)는 메인 축 부재(112) 및 지지 축 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축 부재(112)는 제 2 회전축(12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에서 제 1 링크 부재(130)를 제 2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축 부재(112)의 중심부에 제 1 회전축(121) 방향의 관통 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축 부재(111)는 메인 축 부재(112)의 관통 홀(113)을 통과하여, 제 1 회전축(12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 축 부재(111)의 양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10)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지지 축 부재(111)가 메인 축 부재(1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축 부재(112)의 관통 홀(113)의 일측에는 메인 축 부재(112) 및 지지 축 부재(111) 간의 원활한 회전을 돕기 위하여 베어링(bearing)(미도시) 및 부시(bush)(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축 회전부(120)의 조인트 부재(110)는 두 개의 회전축(121, 122)이 하나의 지점에서 교차하여 십자형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작은 가동 공간과 간단한 결합 구조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각각 제 2 회전축(122) 및 제 1 회전축(121)의 연장 방향을 의미하며, 이하 설명에서도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링크 부재(130)는 전술한 조인트 부재(110)에서 메인 축 부재(112)의 양단부에 제 2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링크 부재(130)를 통하여 조인트 부재(110)와 연결되는 후크부(150)가, 제 2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링크 부재(130)는 조인트 부재(110)와 후크부(150) 사이를 유연하고 안정되게 연결시키도록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 링크 부재(130)를 통하여 조인트 부재(110)와 연결되는 후크부(150)를 상세히 설명한다.
후크부(150)는 전술한 이축 회전부(120)와 연결되어 중량물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브 블록 유닛(140), 제 2 링크 부재(170) 및 후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브 블록 유닛(140)은 이축 회전부(120)와 연결되며, 와이어 로프(50)에 의하여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브 블록 유닛(140)은, 와이어 로프(50)를 안내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시브(sheave)를 포함하는, 상부 시브 블록(142) 및 하부 시브 블록(1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시브 블록(142)이 이축 회전부(120)의 제 1 링크 부재(1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시브 블록(142) 및 하부 시브 블록(144)이 와이어 로프(50)로 연결되므로, 와이어 로프(50)가 윈치(20)에 감기고 풀림에 따라 시브 블록 유닛(140)이 신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시브 블록(142)이 제 1 링크 부재(130)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윈치(20)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50)에 의하여 하부 시브 블록(144)과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윈치(20)가 작동되어 와이어 로프(50)가 감기게 되면, 하부 시브 블록(144)은 상부 시브 블록(142) 측으로 가까워지며, 윈치(20)가 반대로 작동되어 와이어 로프(50)가 풀리게 되면, 하부 시브 블록(144)은 상부 시브 블록(142) 반대 측으로 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따라, 하부 시브 블록(144) 측과 연결되는 후크(160)에 중량물을 체결하여, 중량물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시브 블록 유닛(140)은 제 2 링크 부재(170)에 의하여 중량물과 체결되는 후크(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2 링크 부재(170)는 하부 시브 블록(144)과 후크(160) 사이를 유연하고 안정되게 연결시키도록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크(160)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의 회전 및 적용예를 도면을 달리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이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이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을 이용하여 대형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은 서로 수직한 제 1 회전축(121) 및 제 2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도 7을 참조하면, 중량물의 승강 방향에 수직한 제 1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회전축(121)에 수직한 제 2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은 가이드 시브(18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 시브(180)는 크레인(1)의 윈치(20)로부터 시브 블록 유닛(140)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50)를 안내하는 시브로서, 팔(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시브(180)는 틸팅 축(18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팔(10)의 일측에 지지되며, 이에 따라, 후크 블록(100)이 제 2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와이어 로프(50)가 가이드 시브(18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시브(180)는 틸팅 축(185)을 중심으로 와이어 로프(5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이 서로 수직한 제 1 회전축(121) 및 제 2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함으로써, 후크 블록(100)의 끝단부에 위치한 후크(160)에 의해 체결되는 중량물의 체결 지점, 즉, lifting point가 위치할 수 있는 범위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후크 블록(100)의 회전 각도만큼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을 이용하여, 부피가 큰 중량물의 경우라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중량물의 체결 지점이 확장될 수 있는 바, 그 적용예로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이 설치된 팔(10)을 포함하는 크레인을 사용하여 대형 중량물(30)을 이동시키는 경우, 후크(160)를 서로 엇갈리게 배열하여 lifting point를 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피가 큰 중량물(30)의 경우도 보다 용이하게 적정 lifting point를 선정할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후크(160)를 배열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한 중량물(30)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후크 블록(100)이 하나의 팔(10)에 설치되며, 크레인은 나란히 배열되는 한 쌍의 팔(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블록(100)은 한 지점에서 서로 수직한 두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도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피가 큰 대형 중량물을, 스프레더 빔과 같은 부가적인 설비의 설치 없이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크레인 5 바지선
10 팔 20 윈치
30 중량물 40 스프레더 빔
100 후크 블록 110 조인트 부재
111 지지 축 부재 112 메인 축 부재
113 관통 홀 120 이축 회전부
121 제 1 회전축 122 제 2 회전축
130 제 1 링크 부재 140 시브 블록 유닛
142 상부 시브 블록 144 하부 시브 블록
150 후크부 160 후크
170 제 2 링크 부재 180 가이드 시브
185 틸팅 축

Claims (7)

  1. 와이어 로프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윈치를 구비한 크레인의 팔 단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후크 블록으로서,
    상기 팔의 단부에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이축 회전부; 및
    상기 이축 회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중량물을 승강시키는 후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축 회전부는,
    상기 중량물의 승강 방향에 수직한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1 회전축에 수직한 제 2 회전축이 위치되는 조인트 부재; 및
    상기 조인트 부재를 상기 후크부에 연결시키는 제 1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은 서로 교차되어 한 점에서 만나도록 십자 형태로 배열되는, 후크 블록.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팔의 일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 1 링크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조인트 부재에 지지되는, 후크 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에서 상기 제 1 링크 부재를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중심부에 상기 제 1 회전축 방향의 관통 홀이 형성되는 메인 축 부재; 및
    상기 메인 축 부재를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여 양 단부가 상기 팔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지지 축 부재를 포함하는, 후크 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이축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의하여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시브 블록 유닛; 및
    상기 시브 블록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물과 체결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후크 블록.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 블록 유닛은,
    상기 이축 회전부의 하측부에 연결되는 상부 시브 블록; 및
    상측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의해 상기 상부 시브 블록과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상기 후크와 연결되는 하부 시브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시브 블록은 상기 와이어 로프가 상기 윈치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서 상기 상부 시브 블록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후크 블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 블록 유닛에서 상기 윈치로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 로프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시브를 더 포함하는, 후크 블록.
KR1020120099372A 2012-09-07 2012-09-07 후크 블록 KR101411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372A KR101411537B1 (ko) 2012-09-07 2012-09-07 후크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372A KR101411537B1 (ko) 2012-09-07 2012-09-07 후크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722A KR20140032722A (ko) 2014-03-17
KR101411537B1 true KR101411537B1 (ko) 2014-06-24

Family

ID=5064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372A KR101411537B1 (ko) 2012-09-07 2012-09-07 후크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3514B (zh) * 2019-01-24 2023-12-22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解决强夯机脱钩不畅问题的装置及其制作方法
CN110132495B (zh) * 2019-05-22 2020-10-16 上海振华港机重工有限公司 一种用于鲍鱼养殖平台检验渗漏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5974U (ko) * 1978-05-11 1979-11-21
JPS59123087U (ja) * 1983-02-09 1984-08-18 三沢 準一 首振り式脱索防止滑車
JPH0620391U (ja) * 1992-02-13 1994-03-15 外也 星場 クレーンのワイヤ外れ防止装置
KR20130053236A (ko) * 2011-11-15 2013-05-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5974U (ko) * 1978-05-11 1979-11-21
JPS59123087U (ja) * 1983-02-09 1984-08-18 三沢 準一 首振り式脱索防止滑車
JPH0620391U (ja) * 1992-02-13 1994-03-15 外也 星場 クレーンのワイヤ外れ防止装置
KR20130053236A (ko) * 2011-11-15 2013-05-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722A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2280B1 (en) Tie-back system for cranes, in particular heavy load offshore cranes
EP2907786B1 (en) Connector, combination crane and connecting method
JP5018256B2 (ja) クレーン作業車
CN103231998B (zh) 一种具有提升起重机的船只
CN105934402B (zh) 双悬臂回转式基座起重机
US10099905B2 (en) Crane
US9290241B2 (en) Vessel comprising a crane
KR101411537B1 (ko) 후크 블록
JP5964550B2 (ja) 起重機
JP2007015774A (ja) 高所作業車
JP2007290791A (ja) クレーンの油圧回路システム
JP6290699B2 (ja) ウインチドラム
JP6984395B2 (ja) 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組み立て方法
JP2015189542A (ja) 岸壁クレーン
JP2018090372A (ja) クレーンによるワークの搬送方法
CN113247798A (zh) 组合式臂架和起重机
KR102079907B1 (ko)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JP2017137171A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ブーム取付方法
JP6296102B2 (ja) 移動式クレーンのガイラインとパレットウエイトとの接続方法及び移動式クレーン
JP2020111432A (ja) クレーンとワイヤリング方法
KR20100008556U (ko) 선박인양용 지브 크레인
JP7293921B2 (ja) ピン回り止め構造
JP7275702B2 (ja) フロントストラットのバックストップ
JP2012051714A (ja) 移動式クレーン
KR101661905B1 (ko) 크레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