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738B1 - 크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738B1
KR102255738B1 KR1020190027577A KR20190027577A KR102255738B1 KR 102255738 B1 KR102255738 B1 KR 102255738B1 KR 1020190027577 A KR1020190027577 A KR 1020190027577A KR 20190027577 A KR20190027577 A KR 20190027577A KR 102255738 B1 KR102255738 B1 KR 102255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boom
cargo
crane
wi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649A (ko
Inventor
화정준
Original Assignee
화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정준 filed Critical 화정준
Priority to KR102019002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73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차량에 설치되는 크레인 장치로서, 차량에 설치되는 컬럼, 컬럼의 상측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며, 차량 주행 시 화물 적재 공간의 상측에서 화물 적재 공간에 적재된 화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크레인 붐, 크레인 붐의 단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매달아 인양하는 후크, 화물 적재 공간에 적재되는 화물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컬럼으로부터 크레인 붐의 상측에서 크레인 붐을 따라 후크로 연장되는 와이어 로프, 및 컬럼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를 감거나 풀어 후크를 승하강시키는 윈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크레인 장치{CRANE APPARATUS FOR CARGO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장치는 중량물을 들어올려 상하 좌우로 운반하는 장치로서 기중기라고도 하며, 천장 크레인, 지브 크레인, 케이블 크레인, 언로더, 카고크레인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카고크레인은 크레인이 탑재된 차량을 말하며, 크레인을 통해 중량물이나 기계 등을 들어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에 물건을 싣고 이동할 수 있으므로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중량물을 운반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카고크레인은 차량에 크레인이 탑재되므로 화물 적재 공간이 제한될 수 있으며, 화물 적재 공간에 적재되는 화물의 부피에 따라서 크레인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6156호(2010.08.16.)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를 크레인 붐 상측에 배치하여 적재 공간에 적재되는 화물과 와이어 로프의 접촉을 회피시켜, 차량 주행 시 크레인 붐을 화물 적재 공간의 상측에서 보다 화물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차량에 설치되는 크레인 장치로서, 차량에 설치되는 컬럼, 컬럼의 상측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며, 차량 주행 시 화물 적재 공간의 상측에서 화물 적재 공간에 적재된 화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크레인 붐, 크레인 붐의 단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매달아 인양하는 후크, 화물 적재 공간에 적재되는 화물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컬럼으로부터 크레인 붐의 상측에서 크레인 붐을 따라 후크로 연장되는 와이어 로프, 및 컬럼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를 감거나 풀어 후크를 승하강시키는 윈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가 제공된다.
크레인 장치는 크레인 붐의 상측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 붐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붐 유닛을 포함하며, 복수의 붐 유닛의 인출입에 따라 크레인 붐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지지 롤러는 복수의 붐 유닛의 상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롤러는 복수의 붐 유닛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붐 유닛이 서로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간섭을 회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붐 유닛에 설치되는 지지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와이어 로프의 상하를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컬럼은 차량의 운전석과 화물 적재 공간 사이에 설치되고, 윈치는 컬럼에서 운전석 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크레인 장치는 컬럼의 상측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를 윈치로부터 크레인 붐의 상측으로 가이드하는 윈치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 장치는 컬럼에 운전석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 및 돌출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윈치는 와이어 로프가 컬럼과의 접촉을 회피하여 윈치 가이드 롤러에 의해 크레인 붐의 상측으로 가이드되도록 관통홀에 설치될 수 있다.
크레인 장치는 크레인 붐의 상측 양단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를 지지 롤러 및 후크로 가이드하는 붐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 로프를 크레인 붐 상측에 배치하여 적재 공간에 적재되는 화물과 와이어 로프의 접촉을 회피시켜, 차량 주행 시 크레인 붐을 화물 적재 공간의 상측에서 보다 화물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컬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컬럼을 나타낸 분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붐 가이드 롤러 및 지지 롤러를 나타낸 도면.
도 5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 적재 공간(20)을 형성하는 차량(10)에 설치되는 크레인 장치(100)로서, 차량(10)에 설치되는 컬럼(110), 컬럼(110)의 상측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며, 차량(10) 주행 시 화물 적재 공간(20)의 상측에서 화물 적재 공간(20)에 적재된 화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크레인 붐(130), 크레인 붐(130)의 단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매달아 인양하는 후크(150), 화물 적재 공간(20)에 적재되는 화물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컬럼(110)으로부터 크레인 붐(130)의 상측에서 크레인 붐(130)을 따라 후크(150)로 연장되는 와이어 로프(140), 및 컬럼(110)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140)를 감거나 풀어 후크(150)를 승하강시키는 윈치(120)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100)가 제시된다.
본 실시예의 크레인 장치(100)는 와이어 로프(140)를 크레인 붐(130) 상측에 배치하여 적재 공간에 적재되는 화물과 와이어 로프(140)의 접촉을 회피시켜, 차량(10) 주행 시 크레인 붐(130)을 화물 적재 공간(20)의 상측에서 보다 화물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은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 적재 공간(20)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차량(10)은 전방에 운전석이 배치될 수 있으며, 후방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 공간(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110)은 차량(1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컬럼(110)은 차량(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운전석과 화물 적재 공간(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110)에는 차량(10)의 운전석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14)는 윈치(120)의 일측에서 차량(10)의 운전석 측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며, 윈치(120)가 설치될 수 있는 관통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컬럼(110)과 차량(10) 사이에 베이스(도면 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으며, 베이스는 차량(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컬럼(11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여 크레인 붐(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120)는 컬럼(110)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140)를 감거나 풀어 후크(15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치(120)는 컬럼(110)에서 운전석 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 운동하여 와이어 로프(140)를 감거나 풀어 와이어 로프(140)에 연결된 후크(15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120)는 상술한 관통홀(112)과 대응되도록 컬럼(110)에 설치되는 윈치 드럼, 관통홀(112)에 삽입되어 윈치 드럼과 결합하여 윈치 드럼을 회전 운동 시키는 윈치 모터, 및 윈치 드럼 및 윈치 모터가 컬럼(110)에 지지시키는 결합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어 로프(140)의 일단은 윈치 드럼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윈치(120)는 와이어 로프(140)가 컬럼(110)과의 접촉을 회피하여 후술할 윈치 가이드 롤러(122)에 의해 크레인 붐(130)의 상측으로 가이드되도록 컬럼(110)의 돌출부(114)에 형성된 관통홀(112)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 가이드 롤러(122)는 컬럼(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140)를 윈치(120)로부터 크레인 붐(130)의 상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치 가이드 롤러(122)는 와이어 로프(140)가 컬럼(110)의 외면에 접촉하지 않고 크레인 붐(130)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드하는 동시에 와이어 로프(14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붐(130)은 컬럼(110)의 상측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며, 차량(10) 주행 시 화물 적재 공간(20)의 상측에서 화물 적재 공간(20)에 적재된 화물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크레인 붐(130)은 컬럼(110)으로부터 차량(10)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화물 적재 공간(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레인 붐(130)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붐 유닛을 포함하며, 복수의 붐 유닛의 인출입에 따라 크레인 붐(13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복수의 붐 유닛은 유압 실린더 및 와이어에 의해 인출입될 수 있으며, 유압 실린더 및 와이어는 본 실시예의 와이어 로프(140)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40)는 화물 적재 공간(20)에 적재되는 화물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컬럼(110)으로부터 크레인 붐(130)의 상측에서 크레인 붐(130)을 따라 후크(150)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로프(140)는 일단이 상술한 윈치(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컬럼(110)의 일측(운전석 측) - 컬럼(110) 가이드 롤러 - 붐 가이드 롤러(132) - 크레인 붐(130)의 상측(지지 롤러(134)) - 붐 가이드 롤러(132) - 후크(150)로 연장될 수 있으며, 타단이 후크(1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와이어 로프(140)는 크레인 붐(130)의 상측에 배치되어, 크레인 붐(130)의 하측에 위치한 화물 적재 공간(20)에 적재되는 화물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카고크레인과 같이 와이어 로프(240)가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크레인 붐(130)이 하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크레인 붐(130)은 상승된 상태에서 차량(10)이 주행하는 경우 차량(10)의 상측에 설치되는 표지판 등과 충돌할 위험성이 있어, 본 실시예는 차량(10) 주행 시 표지판 등과 같은 차량(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과의 충돌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롤러(134)는 와이어 로프(14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 로프(140)를 지지하도록 크레인 붐(13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롤러(134)는 상술한 복수의 붐 유닛의 상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붐 유닛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붐 유닛이 서로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간섭을 회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붐 유닛에 설치되는 지지 롤러(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와이어 로프(140)의 상하를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붐 유닛에 설치되는 지지 롤러(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와이어 로프(140)가 상측으로 외력을 받아 지지 롤러(134) 상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 로프(140)의 상하를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가이드 롤러(132)는 크레인 붐(130)의 상측 양단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140)를 지지 롤러(134) 및 후크(150)로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레인 붐(130)의 일단 즉, 컬럼(110) 측에 설치되는 붐 가이드 롤러(132)는 윈치(120)로부터 붐 크레인의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 롤러(134) 방향으로 와이어 로프(140)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크레인 붐(130)의 타단 즉, 후크(150) 측에 설치되는 붐 가이드 롤러(132)는 붐 크레인의 상측으로부터 후크(150)로 와이어 로프(14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50)는 크레인 붐(130)의 단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매달아 인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후크(150)는 상술한 와이어 로프(140)와 윈치(120)에 의하여, 윈치(12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와이어 로프(140)가 감기거나 풀려 승하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차량
20: 적재 공간
100: 크레인 장치
110: 컬럼
112: 관통홀
114: 돌출부
120: 윈치
122: 윈치 가이드 롤러
130: 크레인 붐
132: 붐 가이드 롤러
134: 지지 롤러
140: 와이어 로프
150: 후크

Claims (10)

  1.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차량에 설치되는 크레인 장치로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컬럼;
    상기 컬럼의 상측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차량 주행 시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의 상측에서 상기 화물 적재 공간에 적재된 화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크레인 붐;
    상기 크레인 붐의 단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매달아 인양하는 후크;
    상기 화물 적재 공간에 적재되는 상기 화물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컬럼으로부터 상기 크레인 붐의 상측에서 상기 크레인 붐을 따라 상기 후크로 연장되는 와이어 로프;
    상기 컬럼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감거나 풀어 상기 후크를 승하강시키는 윈치; 및
    상기 크레인 붐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 붐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붐 유닛의 인출입에 따라 상기 크레인 붐의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지지 롤러는 상기 복수의 붐 유닛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컬럼은 상기 차량의 운전석과 상기 화물 적재 공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윈치는 상기 컬럼에서 상기 운전석 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컬럼으로부터 상기 운전석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컬럼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를 상기 윈치로부터 상기 크레인 붐의 상측으로 가이드하는 윈치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치는 상기 와이어 로프가 상기 컬럼과의 접촉을 회피하여 상기 윈치 가이드 롤러에 의해 상기 크레인 붐의 상측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고,
    상기 윈치는 상기 컬럼의 높이를 이등분하는 가상선보다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윈치의 회전축이 상기 컬럼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는 일단이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는 윈치에 결합되며, 상기 윈치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지지 롤러를 따라 상기 복수의 붐 유닛의 상측을 거쳐 타단이 상기 후크에 연결되고,
    상기 붐 유닛의 하측면에는 상기 화물 적재 공간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와 상기 화물 사이에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 롤러가 설치되지 않고,
    상기 컬럼은 상단으로 갈수록 일면이 상기 차량의 운전석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상기 컬럼의 일면은 평면이고,
    상기 윈치는 회전 중심이 상기 컬럼의 높이를 이등분하는 가상선의 상측에서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컬럼의 일면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과 상기 컬럼의 일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크레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는 상기 복수의 붐 유닛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붐 유닛이 서로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간섭을 회피하도록 배치되는, 크레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붐 유닛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와이어 로프의 상하를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는, 크레인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붐의 상측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를 상기 지지 롤러 및 후크로 가이드하는 붐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KR1020190027577A 2019-03-11 2019-03-11 크레인 장치 KR102255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77A KR102255738B1 (ko) 2019-03-11 2019-03-11 크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77A KR102255738B1 (ko) 2019-03-11 2019-03-11 크레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49A KR20200108649A (ko) 2020-09-21
KR102255738B1 true KR102255738B1 (ko) 2021-05-24

Family

ID=7270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577A KR102255738B1 (ko) 2019-03-11 2019-03-11 크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7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816Y1 (ko) * 2002-12-09 2003-03-26 동양기전 주식회사 크레인의 붐조립체
JP2004155511A (ja) * 2002-11-01 2004-06-03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伸縮ブーム式作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56B1 (ko) 2007-12-21 2010-08-16 전영수 이동식 카고 크레인
KR101946142B1 (ko) * 2017-02-15 2019-02-08 서봉균 카고 크레인
KR101968410B1 (ko) * 2017-07-07 2019-04-11 화정준 크레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511A (ja) * 2002-11-01 2004-06-03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伸縮ブーム式作業機械
KR200308816Y1 (ko) * 2002-12-09 2003-03-26 동양기전 주식회사 크레인의 붐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49A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486B2 (en) Traveling crane having traveler and hoisting winch
WO2020085314A1 (ja) クレーン装置、掛数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94924B2 (ja) クレーン
KR102255738B1 (ko) 크레인 장치
KR20190000753U (ko) 차량 크레인
EP3305711B1 (en) Overhanging storage mechanism for jib
EP3305712A1 (en) Overhanging storage mechanism for jib
KR102368663B1 (ko)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KR102327157B1 (ko) 크레인 장치
JP5600533B2 (ja) クレーン用フック装置
JP6579175B2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ウエイト用ガイラインの格納方法、クレーンのウエイト用ガイラインの輸送方法
CN110790151B (zh) 车辆搭载型起重机用回转柱
JP2002226176A (ja) 移動式クレーン
JP6591773B2 (ja) クレーン用シーブ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クレーン
CN104903225B (zh) 卷材提升机
US20220250880A1 (en) Crane
JP3937362B2 (ja) 移動式クレーン
CN213387530U (zh) 一种吊装机
CN101830396B (zh) 起重机用吊运车
JP2777772B2 (ja) 棚積リフトにおける給電ケーブル保持装置
JP2012051692A (ja) 移動式クレーン
JP2018065683A (ja) クレーンにおけるワイヤロープの索端連結構造
JP6536844B2 (ja) クレーンの組み立て時におけるブームの取付方法、クレーンに用いられるブーム吊り具およびブーム吊り具を備えるクレーン
CN109052140B (zh) 轧机牌坊吊装方法
JP2621587B2 (ja) 高揚程建設用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