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663B1 -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663B1
KR102368663B1 KR1020200079718A KR20200079718A KR102368663B1 KR 102368663 B1 KR102368663 B1 KR 102368663B1 KR 1020200079718 A KR1020200079718 A KR 1020200079718A KR 20200079718 A KR20200079718 A KR 20200079718A KR 102368663 B1 KR102368663 B1 KR 102368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ire
crane
roller
upp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569A (ko
Inventor
장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명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명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명특장
Priority to KR102020007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6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8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guides movable relative to drum or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가 윈치에 감길 때 와이어가 윈치에 균일하게 감길 수 있도록 와이어 이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와이어 가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는 크레인의 붐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트와, 지지브라켓트 사이에 설치되어 양단부가 지지브라켓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샤프트와, 상부샤프트와 상하로 이격되어 지지브라켓트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지지브라켓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샤프트와, 상부샤프트 및 하부샤프트를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부샤프트와 하부샤프트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wire guiding apparatus for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가 윈치에 감길 때 와이어가 윈치에 균일하게 감길 수 있도록 와이어 이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와이어 가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대형 공사현장 또는 공장, 부두 등에서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차량에 장착된 차량 크레인은 트럭에 설치되어 화물에 대한 하역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인은 운전석 캡과 적재함 사이에서 장착되어 윈치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린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0753호에는 차량 크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 크레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 캡(1)과 적재함(3) 사이의 차체에 장착되는 베이스 블록(110)과, 베이스 블록(11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컬럼(120)과, 컬럼(120)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붐 유닛(130)을 포함한다.
붐 유닛(130)은 텔레스코프 형태로 결합된 복수의 붐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압 실린더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컬럼(120)에는 화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윈치가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윈치로 메인윈치(160)와 보조윈치(150)가 각각 설치된다. 보조윈치(150)는 상대적으로 메인윈치(160)보다 가벼운 중량의 화물을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다. 각 윈치(150)(160)에는 화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와이어(4)가 감겨 있다. 와이어(4)는 붐대의 끝에 설치된 후크와 연결된다. 각 윈치(150)(160)가 회전하면 와이어(4)는 윈치에 감기거나 풀린다. 이때 와이어(4)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5)가 붐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윈치(150)(160)를 회전시켜 와이어(4)를 감을때 윈치(150)에 균일하게 와이어(4)가 감길수 있도록 와이어(4)는 윈치(150)에 감기면서 좌우 방향으로 조금씩 이동을 한다. 이때 와이어(4)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롤러(5) 역시 고정축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을 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경우 가이들롤러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가 하나의 가이드롤러에 걸쳐지는 구조이므로 와이어가 가이드롤러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0753호: 차량 크레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어가 윈치에 감길때 와이어가 윈치에 균일하게 감길 수 있도록 와이어 이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와이어 가이딩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는 크레인에 설치되어 윈치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 가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붐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트와; 상기 지지브라켓트 사이에 설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지지브라켓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샤프트와; 상기 상부샤프트와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브라켓트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지지브라켓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샤프트와; 상기 상부샤프트 및 상기 하부샤프트를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샤프트와 상기 하부샤프트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와이어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상부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샤프트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상부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하부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롤러와 결합되는 하부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샤프트 및 상기 하부샤프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다수의 가이드홈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롤러는 상기 상부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샤프트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상부회전볼과, 상기 상부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상부사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롤러는 상기 하부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샤프트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하부회전볼과, 상기 하부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하부사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사이드부는 상기 상부사이드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상부사이드부의 단부와 접촉하는 사이드턱과, 상기 사이드턱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사이드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립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샤프트의 직경은 상기 상부샤프트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롤러 사이에 와이어를 위치시켜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2개의 롤러가 일체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와이어가 윈치에 균일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이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크레인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가이딩 장치가 크레인의 붐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적용된 상부샤프트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적용된 상부샤프트에 상부롤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적용된 상부샤프트에 상부롤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적용된 하부샤프트에 하부롤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10)는 크레인의 붐대(7)에 설치되어 윈치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4)의 이송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본 발명은 크레인의 붐대(7)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트(15)와, 지지브라켓트(15) 사이에 설치되어 양단부가 지지브라켓트(15)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샤프트(21)와, 상부샤프트(21)와 상하로 이격되어 지지브라켓트(15)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지지브라켓트(15)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샤프트(25)와, 상부샤프트(21) 및 하부샤프트(25)를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부샤프트(21)와 하부샤프트(25)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4)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구비한다.
지지브라켓트(15)는 좌우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브라켓트(15)는 크레인의 붐대(7)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트(15)는 2개의 고정핀(17)에 의해 붐대(7)에 고정된다.
한쌍의 지지브라켓들(15) 사이에는 상부샤프트(21)와 하부샤프트(25)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부샤프트(21)는 양단부가 지지브라켓트(15)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샹부샤프트(21)와 지지브라켓트(15) 결합 부위에는 베어링유닛(24)이 설치된다.
하부샤프트(25)는 상부샤프트(21)의 하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하부샤프트(25)는 상부샤프트(21)와 상하로 이격된다. 하부샤프트(25)는 양단부가 지지브라켓트(15)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하부샤프트(25)와 지지브라켓트(15) 결합 부위에는 베어링유닛(29)이 설치된다.
하부샤프트(25)는 상부샤프트(21)와 길이는 동일하나 직경은 다르다. 가령, 하부샤프트(25)의 직경은 상부샤프트(2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4)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은 주로 하부샤프트(25)에 가해지므로 하부샤프트(25)의 직경은 상부샤프트(2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샤프트(21) 및 하부샤프트(25)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다수의 가이드홈(23)(27)들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샤프트(21)에는 7개의 가이드홈(2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6개 이하 또는 8개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이드홈(23)의 단면은 호형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홈(23)은 상부샤프트(21)의 일단에사 타단까지 길게 형성된다.
하부샤프트(25) 역시 7개의 가이드홈(27)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샤프트(25)의 가이드홈(27)의 단면은 호형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홈(27)은 하부샤프트(25)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길게 형성된다. 하부샤프트(25)는 직경만 다를 뿐 상부샤프트(21)와 구조과 동일하다.
안내유닛은 상부샤프트(21) 및 하부샤프트(25)를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안내유닛은 상부샤프트(21)와 하부샤프트(25)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4)의 이송을 안내한다.
도시된 안내유닛은 상부샤프트(21)에 설치되어 상부샤프트(21)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면서 상부샤프트(21)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부롤러(30)와, 하부샤프트(25)에 설치되어 하부샤프트(25)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면서 하부샤프트(25)를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이 가능하며 와이어(4)를 사이에 두고 상부롤러(30)와 결합되는 하부롤러(40)를 구비한다.
상부롤러(30)는 상부샤프트(2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롤러(30)는 상부샤프트(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부롤러(30)는 상부샤프트(21)를 따라 좌우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하부롤러(40)는 하부샤프트(25)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동시에 하부롤러(40)는 하부샤프트(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부롤러(40)는 하부샤프트(25)를 따라 좌우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상부샤프트(21)에 설치된 상부롤러(30)와 하부샤프트(25)에 설치된 하부롤러(40)는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부롤러(30)와 하부롤러(40)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지만, 슬라이딩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일체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부롤러(30)는 상부샤프트(21)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본체(31)와, 상부본체(3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부샤프트(21)의 가이드홈(23)에 삽입되는 상부회전볼(33)과, 상부본체(31)의 외측에 설치되어 와이어(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상부사이드부(35)를 구비한다.
상부본체(31)에는 상부샤프트(21)보다 더 큰 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로 상부샤프트(21)가 통과한다.
상부회전볼(33)은 상부본체(31)의 내측에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상부회전볼(33)은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본체(31)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상부회전볼(33)은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부회전볼(33)은 고탄소 크롬강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본체(31)에 설치된 상부회전볼(33)의 일부는 관통홀 방향으로 노출된다. 노출된 상부회전볼(33)의 일부는 상부샤프트(21)의 가이드홈(23)에 삽입된다.
상부롤러(3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부회전볼(33)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부롤러(30)가 상부샤프트(2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부회전볼(33)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부사이드부(35)는 상부본체(3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되어 각각 형성된다. 한쌍의 상부사이드부(35) 사이에는 와이어(4)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하부롤러(40)는 하부샤프트(25)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본체(41)와, 하부본체(41)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샤프트(25)의 가이드홈(27)에 삽입되는 하부회전볼(43)과, 하부본체(41)의 외측에 설치되어 와이어(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하부사이드부(44)를 구비한다.
하부본체(41)에는 하부샤프트(25)보다 더 큰 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로 하부샤프트(25)가 통과한다.
하부회전볼(43)은 하부본체(41)의 내측에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하부회전볼(43)은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본체(41)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하부회전볼(43)은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하부회전볼(43)은 고탄소 크롬강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본체(41)에 설치된 하부회전볼(43)의 일부는 관통홀 방향으로 노출된다. 노출된 하부회전볼(43)의 일부는 하부샤프트(25)의 가이드홈(27)에 삽입된다. 하부롤러(4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하부회전볼(43)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롤러(40)가 하부샤프트(2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하부회전볼(43)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한다.
하부사이드부(44)는 하부본체(4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되어 각각 형성된다.
하부사이드부(44)는 상부사이드부(35)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부사이드부(35)의 단부와 접촉하는 사이드턱(47)과, 사이드턱(47)과 인접되게 형성되어 상부사이드부(35)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립(45)을 구비한다.
2개의 사이드턱(47)의 간격과 2개의 상부사이드부(35)의 간격은 동일하다. 돌출립(45)은 사이드턱(47)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립(45)은 사이드턱(47)의 내측에 위치한다. 2개의 돌출립(45) 사이의 간격은 상부 사이드부(35)의 간격보다 좁다. 따라서 돌출립(45)은 상부사이드부(35) 사이로 삽입된다. 한쌍의 돌출립(45) 사이에는 와이어(4)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상부롤러(30)의 상부사이드부(35)와 하부롤러(40)의 하부사이드부(44)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부롤러(30)와 하부롤러(40) 사이에 와이어(4)가 통과하므로 와이어(4)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롤러(30)와 하부롤러(40)는 회전은 서로 반대 방향이지만 슬라이딩 이동은 항상 같은 방향으로 일체로 움직인다.
상술한 본 발명의 와이어 가이딩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크레인에 설치된 윈치(100)가 회전을 하면 와이어(4)는 윈치(100)에 감긴다. 이때 와이어(4)는 윈치(100)의 좌우 어느 한방향에서 다른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면서 윈치(100)에 감긴다. 와이어(4)는 상부롤러(30)와 하부롤러(40) 사이를 통과하므로 와이어(4)의 이동에 따라 상부롤러(30)와 하부롤러(40)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와이어(4)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안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롤러(30)와 하부롤러(40)가 각각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부샤프트(21)와 하부샤프트(25)가 각각 회전이 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부롤러(30)나 하부롤러(40)가 회전을 하지 못할 경우 상부샤프트(21)와 하부샤프트(25)가 회전이 가능하므로 와이어(4)의 이동을 항상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윈치가 메인윈치와 보조윈치로 나누어져 설치될 경우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와이어 가이딩 장치는 보조윈치의 와이어 가이딩 장치에 속할 수 있다.
메인윈치의 와이어 가이딩 장치는 설치위치만 다를뿐 상술한 보조윈치의 와이어 가이딩 장치와 구조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윈치의 와이어 가이딩 장치의 경우 한쌍의 지지브라켓트는 크레임의 붐대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7: 붐대 15: 지지브라켓트
21: 상부샤프트 25: 하부샤프트
30: 상부롤러 40: 하부롤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크레인에 설치되어 윈치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 가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붐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트와;
    상기 지지브라켓트 사이에 설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지지브라켓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샤프트와;
    상기 상부샤프트와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브라켓트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지지브라켓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샤프트와;
    상기 상부샤프트 및 상기 하부샤프트를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샤프트와 상기 하부샤프트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와이어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상부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샤프트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상부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하부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롤러와 결합되는 하부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샤프트 및 상기 하부샤프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다수의 가이드홈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롤러는 상기 상부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샤프트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상부회전볼과, 상기 상부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상부사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롤러는 상기 하부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샤프트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하부회전볼과, 상기 하부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하부사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사이드부는 상기 상부사이드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상부사이드부의 단부와 접촉하는 사이드턱과, 상기 사이드턱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사이드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샤프트의 직경은 상기 상부샤프트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KR1020200079718A 2020-06-30 2020-06-30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KR102368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18A KR102368663B1 (ko) 2020-06-30 2020-06-30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18A KR102368663B1 (ko) 2020-06-30 2020-06-30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69A KR20220001569A (ko) 2022-01-06
KR102368663B1 true KR102368663B1 (ko) 2022-02-28

Family

ID=7934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718A KR102368663B1 (ko) 2020-06-30 2020-06-30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6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884B1 (ko) * 2023-03-09 2024-01-25 양기현 창호 프레임용 가스켓 자동 조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76U (ko) * 1995-07-21 1997-02-21 가습장치가 내장된 공기조화기
KR20020037541A (ko) * 2000-11-14 2002-05-22 이구택 루퍼 설비의 와이어로프 센터 유도장치
KR101634798B1 (ko) * 2014-04-15 2016-06-29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크레인의 보조붐 연결구조
KR20190000753U (ko) 2017-09-15 2019-03-25 에이치티에스주식회사 차량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69A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486B2 (en) Traveling crane having traveler and hoisting winch
US2473628A (en) Winding device or winch
CN111498704A (zh) 一种车体式龙门起重机
KR102368663B1 (ko)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JP2015030618A (ja) フロアクレーン
KR101994063B1 (ko) 자유주행 및 조향 기능을 갖는 갠트리 크레인
US4392554A (en) Lift mast assembly
JP2019172043A (ja) サンシェード装置及びクレーン車
JP2009269729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102255738B1 (ko) 크레인 장치
JP2012062176A (ja) コードリールの取付構造
CN112938657A (zh) 铺设电缆装置和电缆卷放车
JP2002226176A (ja) 移動式クレーン
KR102327157B1 (ko) 크레인 장치
EP0953539A2 (en) Electric winch
JPH078545Y2 (ja) アーム折畳型荷物取扱装置
JP2009040599A (ja) 移動式クレーン
CN210915213U (zh) 一种车载式升降机
JP2736834B2 (ja) 履帯式クレーン作業機
KR100536318B1 (ko) 차량의 아웃트리거
JP2009202982A (ja) 天井クレーン
KR200480328Y1 (ko) 수평 트롤리 지브를 갖는 인입 크레인
JP6339611B2 (ja) クレーン装置のワイヤロープ絡まり防止構造
JPH05155586A (ja) フックブロックの格納装置
KR20230025119A (ko)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