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157B1 - 크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157B1
KR102327157B1 KR1020200001670A KR20200001670A KR102327157B1 KR 102327157 B1 KR102327157 B1 KR 102327157B1 KR 1020200001670 A KR1020200001670 A KR 1020200001670A KR 20200001670 A KR20200001670 A KR 20200001670A KR 102327157 B1 KR102327157 B1 KR 10232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lumn
coupled
crane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8356A (ko
Inventor
화정준
Original Assignee
화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정준 filed Critical 화정준
Priority to KR102020000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1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Abstract

크레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적재공간이 형성된 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과 상기 화물적재공간 사이에서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칼럼; 상기 칼럼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화물적재공간 상으로 연장되는 크레인 붐; 상기 칼럼에 결합되는 한 쌍의 윈치; 상기 크레인 붐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 및 상기 한 쌍의 윈치와 상기 한 쌍의 후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칼럼의 상기 운전석과 마주보는 전면에는 한 쌍의 제1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칼럼의 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홀에 연결되는 한 쌍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윈치는 상기 제1 삽입 홀에 삽입되는 윈치 드럼, 및 상기 칼럼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윈치 드럼에 연결되는 윈치 모터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장치{CRANE APPARATUS}
본 발명은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럭과 같이 화물적재공간이 형성된 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장치는 중량물을 들어올려 상하 좌우로 운반하는 장치로서 기중기라고도 하며, 천장크레인, 지브크레인, 케이블크레인, 언로더, 카고크레인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카고크레인은 트럭과 같이 화물적재공간이 형성된 차량 중 크레인 장치가 탑재된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카고크레인은 크레인 장치에 의해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물적재공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어 건설현장과 같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중량물을 운반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카고크레인에 탑재되는 크레인 장치 중 메인 후크와 보조 후크를 구비한 크레인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받는 메인 윈치(2)를 컬럼(1) 중앙에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하중을 받는 보조 윈치(3)를 컬럼(1) 상부에 결합된 브래킷(1a)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때, 브래킷(1a)은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칼럼(1)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차량의 전축(front axle)에 걸리는 하중이 설계허용범위를 초과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조 윈치(3)로 인해 크레인 장치의 무게중심이 높아져서 측면안전경사각(차량을 측면으로 기울여 전복되지 않는 각도)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후방 측에 약 4톤 ~ 5톤의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4)를 설치하였지만, 그로 인해 화물적재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고, 평상시에도 밸런스 웨이트의 중량만큼의 화물을 싣고 다니는 것과 같은 상황이 되므로 차량의 연비 저하, 배출가스 공해 증가 등의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467호(2003.10.30, 이동식 카고크레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전축에 걸리는 하중과 칼럼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는 크레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적재공간이 형성된 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과 상기 화물적재공간 사이에서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칼럼; 상기 칼럼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화물적재공간 상으로 연장되는 크레인 붐; 상기 칼럼에 결합되는 한 쌍의 윈치; 상기 크레인 붐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 및 상기 한 쌍의 윈치와 상기 한 쌍의 후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칼럼의 상기 운전석과 마주보는 전면에는 한 쌍의 제1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칼럼의 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홀에 연결되는 한 쌍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윈치는 상기 제1 삽입 홀에 삽입되는 윈치 드럼, 및 상기 칼럼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윈치 드럼에 연결되는 윈치 모터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홀은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윈치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치 드럼의 중심축은 상기 칼럼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칼럼의 후면 상부에는 상기 크레인 붐의 제2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칼럼의 전면 상부에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윈치에서 인출된 상기 한 쌍의 와이어로프를 각각 상기 크레인 붐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칼럼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칼럼 풀리는 상기 칼럼의 전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 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칼럼 풀리를 통과한 상기 한 쌍의 와이어로프의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 붐의 제1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 롤러를 통과한 상기 한 쌍의 와이어로프를 상기 한 쌍의 후크로 안내하는 한 쌍의 붐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럼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크레인 붐을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 보조 윈치를 칼럼 전방에 돌출되게 배치한 것을 칼럼 하부로 이동 배치함으로써, 차량의 전축에 걸리는 하중과 칼럼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밸런스 웨이트의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차량의 화물적재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를 크레인 붐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화물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크레인 붐을 최대한 낮출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크레인 장치의 설치 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크레인 장치의 설치 예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칼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크레인 장치의 설치 예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10)는 차량(20)에 탑재될 수 있고, 칼럼(100), 크레인 붐(200), 한 쌍의 윈치(310, 320), 한 쌍의 후크(410, 420) 및 한 쌍의 와이어 로프(510, 520)를 포함할 수 있고, 브래킷(600), 한 쌍의 칼럼 풀리(610, 620), 한 쌍의 지지 롤러(710, 720), 한 쌍의 붐 풀리(810, 820) 및/또는 유압실린더(9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20)은 운전석(21), 및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적재공간(23)을 구비할 수 있다.
차량(20)의 후방 측에는 크레인 장치(10)로 인해 차량(20)의 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줄이기 위해 밸런스 웨이트(25)가 설치될 수 있다.
칼럼(100)은 운전석(21)과 화물적재공간(23) 사이에 배치되도록 차량(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럼(100)은 차량(20)에 결합되는 베이스(B)를 구비할 수 있고, 칼럼(100)은 베이스(B)에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베이스(B)에는 아우트리거(O)가 결합될 수 있다.
크레인 붐(200)은 칼럼(100)의 상부에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화물적재공간(23)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크레인 붐(200)은 복수의 붐 유닛을 포함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윈치(310, 320)는 제1 윈치(310) 및 제2 윈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윈치(310)는 상대적으로 큰 하중의 화물을 들어올릴 때에 사용되는 메인 윈치일 수 있고, 제2 윈치(320)는 상대적으로 작은 하중의 화물을 들어올릴 때에 사용되는 보조 윈치일 수 있다.
제1 윈치(310) 및 제2 윈치(320)는 각각 칼럼(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칼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윈치(310) 및 제2 윈치(320)는 각각 윈치 드럼(311, 321), 및 윈치 드럼(311, 321)을 회전시키는 윈치 모터(313, 3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칼럼(100)은 운전석(21)과 마주보는 전면(101), 화물적재공간(23)과 마주보는 후면(103), 및 전면(101)과 후면(103)을 연결하는 측면(105)을 구비할 수 있다.
칼럼(100)의 전면(101)에는 한 쌍의 제1 삽입 홀(101a)이 형성될 수 있고, 칼럼(100)의 측면(105)에는 한 쌍의 제1 삽입 홀(101a)에 연결되는 한 쌍의 관통 홀(105a)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삽입 홀(101a)은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치 드럼(311, 321)은 한 쌍의 제1 삽입 홀(101a)에 각각 삽입될 수 있고, 윈치 모터(313, 323)는 칼럼(100)의 측면(105)에 결합되어 관통 홀(105a)을 통해 윈치 드럼(311, 32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윈치 드럼(311, 321)의 중심축은 칼럼(100)의 전면(101)과 후면(1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윈치(310, 320)는 상하 방향의 시각으로 투시해 보았을 때 상호간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칼럼(100)의 후면(103) 상부에는 크레인 붐(200)의 제2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 홀(103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후크(410, 420)는 제1 후크(410) 및 제2 후크(4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후크(410) 및 제2 후크(420)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510, 520)에 의해 지지되어 크레인 붐(200)의 제1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로프(510, 520)는 제1 와이어로프(510) 및 제2 와이어로프(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로프(510)는 제1 윈치(310)에 권취되어 제1 칼럼 풀리(610), 제1 지지 롤러(710) 및 제1 붐 풀리(810)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1 후크(4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와이어로프(520)는 제2 윈치(320)에 권취되어 제2 칼럼 풀리(620), 제2 지지 롤러(720) 및 제2 붐 풀리(820)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2 후크(420)에 연결될 수 있다.
브래킷(600)은 칼럼(100)의 전면(101) 상부에 운전석(21)을 향해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칼럼 풀리(610, 620)는 제1 칼럼 풀리(610) 및 제2 칼럼 풀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칼럼 풀리(610) 및 제2 칼럼 풀리(620)는 각각 브래킷(6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칼럼 풀리(610)는 제1 윈치(310)에서 인출된 제1 와이어로프(510)를 크레인 붐(200)의 상부로 안내할 수 있고, 제2 칼럼 풀리(620)는 제2 윈치(320)에서 인출된 제2 와이어로프(520)를 크레인 붐(200)의 상부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칼럼 풀리(610)와 칼럼(100)의 전면(101) 간 제1 이격 거리는 제2 칼럼 풀리(620)와 칼럼(100)의 전면(101) 간 제2 이격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와이어로프(510)와 제2 와이어로프(52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롤러(710, 720)는 제1 지지 롤러(710) 및 제2 지지 롤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롤러(710) 및 제2 지지 롤러(720)는 각각 크레인 붐(200)의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롤러(710) 및 제2 지지 롤러(720)는, 크레인 붐(200)이 다단 붐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복수의 붐 유닛에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 롤러(710)는 제1 칼럼 풀리(610)를 통과한 제1 와이어로프(5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고, 제2 지지 롤러(720)는 제2 칼럼 풀리(620)를 통과한 제2 와이어로프(52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붐 풀리(810, 820)는 제1 붐 풀리(810) 및 제2 붐 풀리(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붐 풀리(810) 및 제2 붐 풀리(820)는 각각 크레인 붐(200)의 제1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붐 풀리(810)는 제1 지지 롤러(710)를 통과한 제1 와이어로프(510)를 제1 후크(410)로 안내할 수 있고, 제2 붐 풀리(820)는 제2 지지 롤러(720)를 통과한 제2 와이어로프(520)를 제2 후크(420)로 안내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900)는 칼럼(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크레인 붐(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크레인 장치 20: 차량
21: 운전석 23: 화물적재공간
25: 밸런스 웨이트 100: 칼럼
101: 전면 101a: 제1 삽입 홀
103: 후면 103a: 제2 삽입 홀
105: 측면 105a: 관통 홀
200: 크레인 붐 310: 제1 윈치
311: 윈치 드럼 313: 윈치 모터
320: 제2 윈치 321: 윈치 드럼
323: 윈치 모터 410: 제1 후크
420: 제2 후크 510: 제1 와이어로프
520: 제2 와이어로프 600: 브래킷
610: 제1 칼럼 풀리 620: 제1 칼럼 풀리
710: 제1 지지 롤러 720: 제2 지지 롤러
810: 제1 붐 풀리 820: 제2 붐 풀리
900: 유압실린더

Claims (10)

  1.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적재공간이 형성된 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과 상기 화물적재공간 사이에서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칼럼;
    상기 칼럼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화물적재공간 상으로 연장되는 크레인 붐;
    상기 칼럼에 결합되는 한 쌍의 윈치;
    상기 크레인 붐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 및
    상기 한 쌍의 윈치와 상기 한 쌍의 후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칼럼의 상기 운전석과 마주보는 전면에는 한 쌍의 제1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칼럼의 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홀에 연결되는 한 쌍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윈치는 상기 제1 삽입 홀에 삽입되는 윈치 드럼, 및 상기 칼럼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윈치 드럼에 연결되는 윈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홀은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윈치는 상하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칼럼의 전면 상부에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윈치에서 인출된 상기 한 쌍의 와이어로프를 각각 상기 크레인 붐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칼럼 풀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로프는,
    제1 윈치로부터 인출되는 제1 와이어로프; 및
    제2 윈치로부터 인출되는 제2 와이어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칼럼 풀리는 상기 칼럼의 전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상이하고,
    상기 한 쌍의 칼럼 풀리는,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와이어로프를 상기 크레인 붐의 상부로 안내하는 제1 칼럼 풀리; 및
    상기 브래킷에 상기 제1 칼럼 풀리와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2 와이어로프를 상기 크레인 붐의 상부로 안내하는 제2 칼럼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로프 및 상기 제2 와이어로프는 각각 상기 제1 칼럼 풀리 및 상기 제2 칼럼 풀리를 통과하여 각각 상기 크레인 붐의 상측으로 안내되고,
    상기 크레인 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칼럼 풀리를 통과한 상기 한 쌍의 와이어로프의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롤러는,
    상기 크레인 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칼럼 풀리를 통과한 제1 와이어로프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롤러; 및
    상기 크레인 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칼럼 풀리를 통과한 제2 와이어로프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롤러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 드럼의 중심축은 상기 칼럼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크레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후면 상부에는 상기 크레인 붐의 제2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 홀이 형성되는 크레인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붐의 제1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 롤러를 통과한 상기 한 쌍의 와이어로프를 상기 한 쌍의 후크로 안내하는 한 쌍의 붐 풀리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크레인 붐을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KR1020200001670A 2020-01-06 2020-01-06 크레인 장치 KR102327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670A KR102327157B1 (ko) 2020-01-06 2020-01-06 크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670A KR102327157B1 (ko) 2020-01-06 2020-01-06 크레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356A KR20210088356A (ko) 2021-07-14
KR102327157B1 true KR102327157B1 (ko) 2021-11-16

Family

ID=7686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670A KR102327157B1 (ko) 2020-01-06 2020-01-06 크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1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623B1 (ko) * 2014-10-29 2015-06-04 이텍티디에이 주식회사 윈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트럭크레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467Y1 (ko) 2003-08-01 2003-10-30 동양기전 주식회사 이동식 카고크레인
KR101968410B1 (ko) * 2017-07-07 2019-04-11 화정준 크레인 장치
KR20190000753U (ko) * 2017-09-15 2019-03-25 에이치티에스주식회사 차량 크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623B1 (ko) * 2014-10-29 2015-06-04 이텍티디에이 주식회사 윈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트럭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356A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486B2 (en) Traveling crane having traveler and hoisting winch
CN110775811B (zh) 吊钩装置及起重机
KR102327157B1 (ko) 크레인 장치
US6669038B1 (en) Self-propelled crane
KR20190000753U (ko) 차량 크레인
CN216038321U (zh) 一种大吨位桅杆吊起重机
KR102255738B1 (ko) 크레인 장치
JP434172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368663B1 (ko)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JP2018090372A (ja) クレーンによるワークの搬送方法
JP4079129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H04266397A (ja) ジブ付きクレーン
CN220845220U (zh) 塔式起重机及其臂架组件
JP2833439B2 (ja) ホイスト型タワークレーン
JP3937362B2 (ja) 移動式クレーン
CN110191856A (zh) 电梯装置
US4503984A (en) Telfer carriage
SU734133A1 (ru) Башенный кран
JP2549726Y2 (ja) 建設用リフト
JPH0912110A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における昇降台の昇降装置
KR1007705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SU626023A1 (ru) Стрела портального типа к грузоподъемным машинам
JP2002293408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200480328Y1 (ko) 수평 트롤리 지브를 갖는 인입 크레인
JP2634476B2 (ja) クレーンの吊具シ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