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410B1 - 크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410B1
KR101968410B1 KR1020170086629A KR20170086629A KR101968410B1 KR 101968410 B1 KR101968410 B1 KR 101968410B1 KR 1020170086629 A KR1020170086629 A KR 1020170086629A KR 20170086629 A KR20170086629 A KR 20170086629A KR 101968410 B1 KR101968410 B1 KR 10196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winch
coupled
adapt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648A (ko
Inventor
화정준
송주호
Original Assignee
화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정준 filed Critical 화정준
Priority to KR102017008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4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Abstract

크레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칼럼; 상기 칼럼의 상단에 결합되는 크레인 붐; 상기 칼럼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 붐의 자유 단에서 호이스팅 블록을 통해 메인 후크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로프를 권취하는 메인 윈치; 및 상기 칼럼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 붐의 자유 단에서 호이스팅 블록 없이 보조 후크에 직접 연결되는 제2 와이어로프를 권취하는 보조 윈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장치{CRANES}
본 발명은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 붐을 지지하는 칼럼이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장치는 중량물을 들어올려 상하 좌우로 운반하는 장치로서 기중기라고도 하며, 천장 크레인, 지브 크레인, 다리형 크레인, 케이블 크레인, 언로더 등 그 종류도 다양한다.
도 1은 크레인 장치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크레인 장치(10)는 차량, 예를 들어 트럭(미도시)에 탑재되는 베이스(100)에 칼럼(2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칼럼(200)에는 크레인 붐(300)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크레인 붐(300)을 지지하는 칼럼(200)에는 크레인 붐(300)의 자유 단까지 연장되어 호이스팅 블록(410)을 통해 메인 후크(420)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로프를 권취하는 메인 윈치(400)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메인 윈치(400)는 호이스팅 블록(410)에 구비된 움직 도르래로 인해 작은 힘으로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그로 인해 와이어로프의 권취 길이가 늘어나서 중량물의 리프팅 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메인 윈치(400) 외에 보조 윈치(500)를 추가 설치하여, 메인 윈치(400)는 보조 윈치(500)에 의해 들어올릴 수 없는 고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사용될 수도 있다. 보조 윈치(500)는 크레인 붐(300)의 자유 단까지 연장되어 호이스팅 블록 없이 보조 후크(510)에 직접 연결되는 제2 와이어로프를 권취할 수 있다.
하지만, 메인 윈치(400)만이 설치된 상태로 출하되는 크레인 장치(10)에 보조 윈치(500)를 추가 설치하는 경우, 보조 윈치(500)는 차량 등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칼럼(200)의 상단 후방에 브래킷(520)를 통해 설치될 수 밖에 없다. 그 결과, 크레인 장치(10)의 무게중심은 높게 형성될 수 밖에 없고, 그로 인해 차량의 코너링 과정에서 전복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조 윈치(500)의 높은 설치 위치는 유지보수를 어렵기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레인 붐(300)의 선회시 칼럼(200)의 후방으로 돌출된 보조 윈치(500) 및 브래킷(520)은 주변 적재물과의 충돌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4068호(2003.08.21, 크레인의 윈치 설치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1831호(2007.02.12, 크레인 겸용 데빗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 설치된 메인 윈치 외에 보조 윈치를 추가 설치하는 경우에 장치 무게중심을 낮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크레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칼럼; 상기 칼럼의 상단에 결합되는 크레인 붐; 상기 칼럼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 붐의 자유 단에서 호이스팅 블록을 통해 메인 후크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로프를 권취하는 메인 윈치; 및 상기 칼럼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 붐의 자유 단에서 호이스팅 블록 없이 보조 후크에 직접 연결되는 제2 와이어로프를 권취하는 보조 윈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칼럼의 후면에는 상기 보조 윈치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칼럼의 일 측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칼럼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삽입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윈치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팅 샤프트; 상기 칼럼의 타 측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칼럼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삽입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윈치의 타단을 지지하는 윈치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어댑터를 상기 칼럼의 타 측면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치 모터의 모터 하우징에는 제1 돌출 편이 상기 제2 삽입 홀의 내주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어댑터를 상기 제1 돌출 편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치 모터의 모터 회전축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보조 윈치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돌출 편이 상기 제2 삽입 홀의 내주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제2 돌출 편을 상기 보조 윈치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가 출입 가능한 제3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 홀과 상기 제3 관통 홀은 상기 어댑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간에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치 모터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크레인 장치의 출하시 기 설치된 메인 윈치 외에 선택적으로 추가되는 보조 윈치를 칼럼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장치 무게중심을 낮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조 윈치를 칼럼의 후면을 통해 수용부에 삽입한 후에 서포팅 샤프트와 윈치 모터를 칼럼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 홀을 통해 삽입하여 보조 윈치의 양단을 지지한 상태에서 서포팅 샤프트와 윈치 모터를 칼럼에 결합함으로써 보조 윈치를 용이하게 추가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삽입 홀에 삽입된 상태의 윈치 모터를 보조 윈치에 더욱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윈치 모터를 칼럼에 직접 결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어댑터를 통해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도 1은 크레인 장치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칼럼을 보조 윈치가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칼럼을 보조 윈치가 분리된 상태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칼럼을 보조 윈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어댑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20)는 베이스(100), 칼럼(200), 크레인 붐(300), 메인 윈치(400) 및 보조 윈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차량, 예를 들어 트럭(미도시)에 탑재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크레인 작업시 지면에 안착되어 베이스(100)를 지지하는 아우트리거(110)를 구비할 수 있다.
칼럼(200)은 베이스(100)에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베이스(100)에 탑재되는 칼럼 모터(12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크레인 붐(300)은 칼럼(200)의 상단에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칼럼(200)에 탑재되는 유압 실린더(21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메인 윈치(400)는 칼럼(2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윈치(400)는 칼럼(200)의 상부에서 칼럼(200)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윈치(400)는 크레인 붐(300)의 자유 단에서 호이스팅 블록(410)을 통해 메인 후크(420)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로프를 권취할 수 있다. 메인 윈치(400)에서 풀려 나오는 제1 와이어로프는 크레인 붐(3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 롤러를 거쳐 크레인 붐(300)의 자유 단에 이를 수 있고, 크레인 붐(300)의 자유 단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 도르래와 호이스팅 블록(410)에 구비되는 복수의 움직 도르래를 교번적으로 거쳐 크레인 붐(300)의 자유 단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후크(420)는 호이스팅 블록(4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칼럼(200)에는 메인 윈치(400)를 회전시키는 윈치 모터가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윈치(500)는 칼럼(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윈치(500)의 결합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보조 윈치(500)는 크레인 붐(300)의 자유 단에서 호이스팅 블록 없이 보조 후크(510)에 직접 연결되는 제2 와이어로프를 권취할 수 있다. 보조 윈치(500)에서 풀려 나오는 제2 와이어로프는 크레인 붐(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 롤러를 거쳐 크레인 붐(300)의 자유 단에 이를 수 있고, 제1 와이어로프와 달리 호이스팅 블록 없이 보조 후크(5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칼럼을 보조 윈치가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칼럼을 보조 윈치가 분리된 상태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칼럼을 보조 윈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칼럼(200)의 후면에는 보조 윈치(500)가 삽입되는 수용부(220)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윈치(500)는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501)로 인해 칼럼(200)의 측면을 통해 칼럼(200)의 내부로 삽입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보조 윈치(500)의 일단은 칼럼(2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서포팅 샤프트(5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보조 윈치(500)의 타단은 칼럼(200)의 타 측면에 어댑터(530)를 통해 결합되는 윈치 모터(54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다.
서포팅 샤프트(520)는 서포팅 샤프트(520)의 일단에 형성되는 플랜지(521)를 관통하여 칼럼(20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예를 들어 볼트(B)에 의해 칼럼(200)의 일 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서포팅 샤프트(520)의 타단은 칼럼(200)의 일 측면을 관통하여 수용부(220)에 연결되는 제1 삽입 홀(230)을 통해 보조 윈치(5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결합 홀(503)에 삽입될 수 있으며, 서포팅 샤프트(520)의 외주면과 제1 결합 홀(503)의 내주면 사이에는 볼 베어링(523)이 개재될 수 있다. 서포팅 샤프트(520)의 외주면과 제1 결합 홀(503)의 내주면 사이에는 리테이닝 링(525) 및 패킹(527)도 개재될 수 있다.
도 6은 어댑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어댑터(530)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댑터(530)에는 제1 관통 홀(531) 및 제2 관통 홀(5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531)은 어댑터(530)의 중심으로부터 제2 관통 홀(533)보다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어댑터(530)는 제1 관통 홀(531)을 관통하여 칼럼(20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예를 들어 볼트(B)에 의해 칼럼(200)의 타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윈치 모터(540)는 칼럼(200)의 타 측면을 관통하여 수용부(220)에 연결되는 제2 삽입 홀(240)을 통해 보조 윈치(50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결합 홀(505)에 삽입되어 보조 윈치(500)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윈치 모터(540)의 모터 하우징은 제2 관통 홀(533)을 관통하여 윈치 모터(540)의 제1 돌출 편(541)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예를 들어 볼트(B)에 의해 어댑터(5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돌출 편(541)은 윈치 모터(540)의 모터 하우징에서 제2 삽입 홀(240)의 내주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윈치 모터(540)의 모터 회전축은 윈치 모터(540)의 제2 돌출 편(543)을 관통하여 보조 윈치(50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예를 들어 볼트(B)에 의해 보조 윈치(500)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돌출 편(543)은 윈치 모터(540)의 모터 회전축에서 제2 삽입 홀(240)의 내주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윈치 모터(540)에 감속기(550)가 결합되는 경우, 제2 돌출 편(543)은 감속기(550)의 회전축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윈치 모터(540)를 칼럼(200)에 직접 결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어댑터(530)를 통해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어댑터(530)를 제거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제1 돌출 편(541) 사이로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제2 삽입 홀(240) 내에 배치되는 제2 돌출 편(543)을 보조 윈치(5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어댑터(530)에는 제2 돌출 편(543)을 보조 윈치(500)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 예를 들어 볼트(B)가 출입 가능한 제3 관통 홀(53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3 관통 홀(535)은 볼트 머리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어댑터(530)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3 관통 홀(535)과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제1 돌출 편(541) 사이로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제2 돌출 편(543)을 보조 윈치(500)에 결합하거나 보조 윈치(50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어댑터(530)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간단한 유지보수 등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3 관통 홀(535)에 삽입된 체결부재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제1 돌출 편(541) 사이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제2 관통 홀(533)과 제3 관통 홀(535)은 어댑터(5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간에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시로서, 제1 돌출 편(541)이 복수가 아닌 하나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돌출 편(541)에는 어댑터(530)의 제3 관통 홀(535)에 상응한 위치와 크기로 체결부재가 출입 가능한 제4 관통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20: 크레인 장치
100: 베이스
110: 아우트리거
120: 칼럼 모터
200: 칼럼
210: 유압 실린더
220: 수용부
230: 제1 삽입 홀
240: 제2 삽입 홀
300: 크레인 붐
400: 메인 윈치
410: 호이스팅 블록
420: 메인 후크
500: 보조 윈치
501: 플랜지
503: 제1 결합 홀
505: 제2 결합 홀
510: 보조 후크
520: 서포팅 샤프트
521: 플랜지
523: 볼 베어링
525: 리테이닝 링
527: 패킹
530: 어댑터
531: 제1 관통 홀
533: 제2 관통 홀
535: 제3 관통 홀
540: 윈치 모터
541: 제1 돌출 편
543: 제2 돌출 편
550: 감속기

Claims (1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칼럼;
    상기 칼럼의 상단에 결합되는 크레인 붐;
    상기 칼럼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 붐의 자유 단에서 호이스팅 블록을 통해 메인 후크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로프를 권취하는 메인 윈치; 및
    상기 칼럼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 붐의 자유 단에서 호이스팅 블록 없이 보조 후크에 직접 연결되는 제2 와이어로프를 권취하는 보조 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칼럼의 타 측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칼럼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삽입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윈치의 타단을 지지하는 윈치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치 모터의 모터 하우징에는 제1 돌출 편이 상기 제2 삽입 홀의 내주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어댑터를 상기 제1 돌출 편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관통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후면에는 상기 보조 윈치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일 측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칼럼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삽입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윈치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팅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어댑터를 상기 칼럼의 타 측면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 관통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 모터의 모터 회전축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보조 윈치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돌출 편이 상기 제2 삽입 홀의 내주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제2 돌출 편을 상기 보조 윈치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가 출입 가능한 제3 관통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 홀과 상기 제3 관통 홀은 상기 어댑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간에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 모터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KR1020170086629A 2017-07-07 2017-07-07 크레인 장치 KR10196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629A KR101968410B1 (ko) 2017-07-07 2017-07-07 크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629A KR101968410B1 (ko) 2017-07-07 2017-07-07 크레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648A KR20190005648A (ko) 2019-01-16
KR101968410B1 true KR101968410B1 (ko) 2019-04-11

Family

ID=6528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629A KR101968410B1 (ko) 2017-07-07 2017-07-07 크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738B1 (ko) * 2019-03-11 2021-05-24 화정준 크레인 장치
KR102327157B1 (ko) * 2020-01-06 2021-11-16 화정준 크레인 장치
CN113353817B (zh) * 2021-07-01 2023-10-24 南通振华重型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800t起重机200t的绞车模块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816Y1 (ko) * 2002-12-09 2003-03-26 동양기전 주식회사 크레인의 붐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6210Y2 (ja) * 1992-02-19 1998-07-09 株式会社タダノ 車両搭載型クレーンにおけるウインチ装置取付構造
KR200324068Y1 (ko) 2003-05-31 2003-08-21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크레인의 윈치 설치구조
KR100681831B1 (ko) 2005-09-23 2007-02-12 (주)해안기계산업 크레인 겸용 데빗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816Y1 (ko) * 2002-12-09 2003-03-26 동양기전 주식회사 크레인의 붐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648A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410B1 (ko) 크레인 장치
CN101528582B (zh) 电梯
CN104176648A (zh) 单臂架钢丝绳变幅固定式起重机
US4513869A (en) Pedestal crane mounting system
CN103420281B (zh) 起重机及其附属结构的拆装装置、拆卸方法及安装方法
CN211224674U (zh) 一种建筑装配式墙体用支撑装置
CN211813140U (zh) 一种起重机配重结构及随车起重机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CN201746237U (zh) 一种起重机及其重锤式高度限位装置
JP2015218051A (ja) 鉄塔の解体・組立装置
CN111704061B (zh) 组合配重的安装装置及起重机
JP4669692B2 (ja) クライミング型ジブクレーン
JP3947542B2 (ja) 鉄塔の吊り上げ解体工法と同工法用塔体受け金具
CN106698213B (zh) 起重机及起重机的装配方法
CN111792525A (zh) 一种起重机用防摇晃装置
CN213112292U (zh) 标准节吊装系统
JP3825766B2 (ja) 円柱鉄塔工事用の円形ゴンドラ装置
CN109589523B (zh) 臂架装置及特种车辆
KR101854841B1 (ko) 케이블 드럼용 지그
CN205099232U (zh) 一种吊篮式起重装置
KR102472830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모터 교체 장치 및 엘리베이터 권상기 모터 교체 방법
CN204434078U (zh) 塔机吊钩结构
CN218968622U (zh) 管廊内管道安装装置
CN212475882U (zh) 可旋转的海上吊装维修设备
CN214298865U (zh) 一种吊具可旋转的动滑轮组及起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