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119A - 크레인 - Google Patents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119A
KR20230025119A KR1020210107228A KR20210107228A KR20230025119A KR 20230025119 A KR20230025119 A KR 20230025119A KR 1020210107228 A KR1020210107228 A KR 1020210107228A KR 20210107228 A KR20210107228 A KR 20210107228A KR 20230025119 A KR20230025119 A KR 20230025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rolley
wire
block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300B1 (ko
Inventor
김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엘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10107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3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5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의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는 크레인에 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블록을 이동 및 180도로 뒤집기 할 수 있는 크레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거더와, 상브트롤리와, 상부블록로더와, 상부드럼수단과, 상부와이어수단과, 상부쉬브수단과, 하부트롤리와, 하부블롤로더와, 하부드럼수단과, 하부와이어수단과, 하부쉬브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트롤리는 상기 거더 위를 주행한다. 상기 상부블록로더는 블록의 일단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후크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드럼수단은 상기 상부트롤리의 양단에 장착된 복수의 상부드럼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와이어수단은 상기 상부트롤리의 양단에 장착된 각각의 상부드럼에 권선되어 상기 상부블록로더의 양단을 각각 승하강 시키기 위한 복수의 상부와이어를 구비한다. 상부쉬브수단은 상기 상부와이어가 권선되는 복수의 쉬브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트롤리는 상기 블록을 뒤집기할 수 있게 상기 상부트롤리를 통과하여 상기 거더 위를 주행할 수 있다. 상기 하부블록로더는 상기 블록의 타단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후크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블록로더의 양단을 각각 승하강시키는 상기 상부와이어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하부드럼수단은 상기 하부트롤리의 양단에 장착된 복수의 하부드럼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와이어수단은 상기 하부트롤리의 양단에 장착된 각각의 하부드럼에 권선되어 상기 하부블록로더의 양단을 각각 승하강 시키기 위한 복수의 하부와이어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쉬브수단 상기 하부와이어가 권선되는 복수의 쉬브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쉬브는 중심축의 수직단면이 상기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크레인{Crane}
본 발명은 중량물의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는 크레인에 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블록을 이동 및 180도로 뒤집기 할 수 있는 크레인에 대한 것이다.
조선소에서 선박을 제작시 여러 개의 블록들이 조립된다. 이때 블록들을 조립하기 위하여 골리앗 크레인 등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블록들을 이동하여 조립한다.
즉 크레인의 와이어에 연결된 후크에 중량물의 블록을 걸어서 블록을 작업 위치로 이동시켜 작업한다. 이때 와이어는 크레인에 장착된 드럼에 권선되고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를 풀거나 감아서 중량물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블록의 무게가 많이 나갈 경우 와이어에 작용하는 하중이 높기 때문에 와이어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드럼에서 후크 사이에 복수 개의 쉬브가 와이어로 권선된다.
블록을 사용하여 구조물을 조립시 블록을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뿐만 아니라 특정한 블록을 뒤집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종래의 크레인의 경우 블록을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가능하였지만 블록을 뒤집는 작업은 어려워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블록을 이동시킨 후 블록을 뒤집기 위해서 다른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8-01233355호(공개일자 2018년 11월 16일) 등록특허 제10-1984667호(등록일자 2019년 05월 27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을 뒤집기 작업할 수 있는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거더와, 상브트롤리와, 상부블록로더와, 상부드럼수단과, 상부와이어수단과, 상부쉬브수단과, 하부트롤리와, 하부블롤로더와, 하부드럼수단과, 하부와이어수단과, 하부쉬브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트롤리는 상기 거더 위를 주행한다. 상기 상부블록로더는 블록의 일단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후크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드럼수단은 상기 상부트롤리의 양단에 장착된 복수의 상부드럼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와이어수단은 상기 상부트롤리의 양단에 장착된 각각의 상부드럼에 권선되어 상기 상부블록로더의 양단을 각각 승하강 시키기 위한 복수의 상부와이어를 구비한다. 상부쉬브수단은 상기 상부와이어가 권선되는 복수의 쉬브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트롤리는 상기 블록을 뒤집기할 수 있게 상기 상부트롤리를 통과하여 상기 거더 위를 주행할 수 있다. 상기 하부블록로더는 상기 블록의 타단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후크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블록로더의 양단을 각각 승하강시키는 상기 상부와이어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하부드럼수단은 상기 하부트롤리의 양단에 장착된 복수의 하부드럼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와이어수단은 상기 하부트롤리의 양단에 장착된 각각의 하부드럼에 권선되어 상기 하부블록로더의 양단을 각각 승하강 시키기 위한 복수의 하부와이어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쉬브수단 상기 하부와이어가 권선되는 복수의 쉬브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쉬브는 중심축의 수직단면이 상기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의 크레인은 복수의 상부로프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로프가이드수단은 상기 상부드럼에서 상기 쉬브로 연결되는 상기 상부와이어를 지지하여 상기 상부드럼에 권선되는 상부와이어의 와인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상부트롤리의 양단의 각각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상부드럼수단은 중심축이 상기 쉬브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상기 상부트롤리의 양단에서 각각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기 상부드럼을 한 쌍씩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상부로프가이드수단은 상기 상부드럼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상부드럼에서 상기 상부드럼의 축방향으로 상기 상부와이어가 풀리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상부트롤리의 양단에 각각 폭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상부드럼에서 배출되는 상부와이어를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회전하게 장착된 휠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크레인은 하부로프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로프가이드수단은 상기 하부드럼에서 상기 쉬브로 연결되는 상기 하부와이어를 지지하여 상기 하부드럼에 권선되는 하부와이어의 와인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하부트롤리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하부드럼수단은 중심축이 상기 쉬브의 중심축과 수직하고 상기 하부트레인의 양단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기 한 쌍의 하부드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하부로프가이드수단은 상기 하부드럼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하부회전축과, 상기 하부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하부드럼에서 상기 하부드럼의 축방향으로 상기 하부와이어가 풀리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하부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상기 하부회전축에 결합된 하부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하부트롤리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하부드럼에서 배출되는 하부와이어를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회전하게 장착된 하부휠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트롤리가 상부트롤리를 통과하여 거더를 따라 주행할 수 있다. 그래서 상부블록로더 및 하부블록로더가 블록을 파지하여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블록로더 및 하부블록로더의 위치가 바뀌어서 블록을 뒤집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하기 위해 장착된 쉬브는 그 중심축이 거더와 수직방향으로 장착된다. 이 경우 쉬브에 측력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쉬브, 베어링, 와이어의 마모가 적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드럼 및 하부드럼의 그루브에 측력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로프의 감김상태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로프가이드수단 및 하부로프가이드수단에 측력이 발생하지 않고 와이에 발생하는 장력이 좌우로 상쇄되어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상부트롤리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상부와이어수단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상부드럼과, 쉬브와, 상부와이어의 결합관계의 개념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상부로프가이드수단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측면도,
도 8은 종래의 크레인의 개념도,
도 9는 도 1의 크레인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거더(10)와, 상부트롤리(15)와, 상부블록로더(20)와, 상부드럼수단(25)과, 상부와이어수단(30)과, 상부쉬브수단(35)과, 하부트롤리(40)와, 하부블록로더(45)와, 하부드럼수단(50)과, 하부와이어수단(55)과, 하부쉬브수단(60)과, 복수의 상부로프가이드수단(65)과, 하부로프가이드수단(75)을 포함한다.
상부트롤리(15)는 거더(10) 위를 주행한다.
상부블록로더(20)는 중량물인 블록(1)의 일단을 들어올릴 수 있는 후크(21)를 구비한다.
상부드럼수단(25)은 상부트롤리(15)의 양단에 장착된 복수의 상부드럼(26)을 구비한다. 이때 상부드럼(26)은 상부트롤리(15)의 일단과 타단의 각각에 상부트롤리(15)의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씩 장착된다. 그리고 상부드럼(26)은 그 중심축이 거더(10)의 폭방향인 상부트롤리(15)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도록 장착된다.
상부와이어수단(30)은 상부드럼(26)의 동작으로 상부블록로더(2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부와이어수단(30)은 상부블록로더(20)를 승하강시킬 수 있게 상부드럼(26)에 권선된다. 그래서 상부트롤리(15)의 일단에 장착된 상부드럼(26)에 권선된 상부와이어(31)는 상부블록로더(20)의 일단을 승하강시키고, 상부트롤리(15)의 타단에 장착된 상부드럼(26)에 권선된 상부와이어(31)는 상부블록로더(20)의 타단을 승하강시킨다.
상부쉬브수단(35)은 상부와이어(31)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부와이어(31)가 권선되는 복수의 쉬브(36)를 구비한다. 이때 쉬브(36)는 중심축에 수직한 단면이 거더(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쉬브(36)의 중심축이 상부트롤리(15)의 길이방향을 향한다. 그래서 상부와이어(31)가 감기는 쉬브(36)의 원주를 연결한 단면은 상부트롤리(15)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과 평행하다. 여기서 쉬브(36)는 상부블록로더(20)의 상측과 상부트롤리(15)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부와이어(31)가 권선된다.
하부트롤리(40)는 거더(10) 위를 주행할 수 있게 장착되며, 이때 하부트롤리(40)는 상부트롤리(15)를 통과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트롤리(15)는 거더(10)의 양측 바깥 상면을 따라 주행하고 하부트롤리(40)는 거더(10)의 안쪽 상면을 따라 주행하여, 하부트롤리(40)가 상부트롤리(15)를 통과하여 주행할 수 있다. 그래서 하부트롤리(40)와 상부트롤리(15)는 그 위치를 서로 바꿀 수 있다.
하부블록로더(45)는 중량물인 블록(1)의 타단을 들어올릴 수 있는 후크(46)를 구비한다. 이때 하부블록로더(45)는 상부트롤리(15)의 양단에 장착된 상부드럼(26)에서 권선되어 상부블록로더(20)를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상부블록로더(20)의 양단으로 각각 내려오는 상부와이어(31)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그래서 하부블록로더(45)의 길이는 상부틀롤리(15)의 양단에서 내려오는 상부와이어(31)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하부드럼수단(50)은 하부트롤리(40)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하부드럼(5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드럼(51)은 그 중심축이 하부트롤리(40)의 일단과 타단에서 하부트롤리(15)의 폭방향으로 향하도록 장착된다.
하부와이어수단(50)은 하부드럼(51)의 동작으로 하부블록로더(45)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하부와이어수단(50)은 하부블록로더(45)를 승하강시킬 수 있게 하부드럼(51)에 권선된다. 그래서 하부트롤리(45)의 일단에 장착된 하부드럼(51)에 권선된 하부와이어(56)는 하부블록로더(45)의 일단을 승하강시키고, 하부트롤리(40)의 타단에 장착된 하부드럼(51)에 권선된 하부와이어(56)는 하부블록로더(45)의 타단을 승하강시킨다.
하부쉬브수단(60)은 하부와이어(56)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부와이어(56)가 권선되는 복수의 쉬브(61)를 구비한다. 이때 쉬브(61)는 그 중심축이 상부와이어(31)가 권선되는 쉬브(36)와 동일한 방향을 이룬다. 여기서 쉬브(61)는 하부블록로더(45)의 상측과 하부트롤리(40)의 하측에 장착되어 하부와이어(56)가 권선된다.
상부로프가이드수단(65)은 상부드럼(26)에 권선된 상부와이어(31)가 상부드럼(26)에서 원활하게 풀리고 감기도록 상부와이어(31)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부로프가이드수단(65)은 상부트롤리(15)의 일단에 장착된 한 쌍의 상부럼(26)의 사이에 장착되며 또한 상부트롤리(15)의 타단에 장착된 한 쌍의 상부드럼(26)의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부로프가이드수단(65)은 회전축(66)과, 가이드프레임(68)과, 휠(70)을 구비한다.
회전축(66)은 상부드럼(26)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상부드럼(26)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드럼(26)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회전축(66)의 일단은 상부드럼(26)과 체인(미도시)으로 결합된다. 그래서 회전축(66)이 모터 등에 의해 회전하면 회전축(66)과 같은 속도로 상부드럼(26)이 회전된다.
가이드프레임(68)은 회전축(66)의 회전시 상부드럼(26)에서 상부드럼(26)의 축방향으로 상부와이어(31)가 풀리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축(66)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회전축(66)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가이드프레임(66)은 회전축(66)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회전축(66)이 회전하면 가이드프레임(66)은 회전축(66)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휠(70)은 가이드프레임(68)의 양단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 상부드럼(26)에서 풀리어서 쉬브(36)로 감기는 상부와이어(31)를 지지한다. 즉 한 쌍의 휠(70)이 상부트롤리(15)의 일단의 양측에 장착된 상부드럼(26)에서 배출되는 상부와이어(31)를 각각 지지해준다. 상부드럼(26)이 회전하면 휠(70)은 상부드럼(26)에서 풀리는 상부와이어(31)와 같은 속도 회전축(66)을 따라 이동하여 상부드럼(26)에서 풀리는 상부와이어(31)를 지지해준다.
하부로프가이드수단(75)은 하부드럼(51)에 권선된 하부와이어(56)가 하부드럼(51)에서 원활하게 풀리고 감기도록 하부와이어(56)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하부로프가이드수단(75)은 하부트롤리(40)의 일단 및 타단에 장착된 하부드럼(51)의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하부로프가이드수단(75)은 상부로프가이드수단(65)과 동일하게 하부회전축(76)과, 하부가이드프레임(78)과, 하부휠(80)을 구비한다. 그래서 하부회전축(76)은 하부드럼(51)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그 중심축이 하부드럼(51)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하부가이드프레임(78)은 하부회전축(76)의 회전시 하부드럼(51)에서 하부드럼(51)의 축방향으로 하부와이어(56)가 풀리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하부회전축(76)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하부회전축(76)에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휠(80)은 하부트롤리(40)의 양단에 장착된 하부드럼(51)에서 배출되는 하부와이어(56)를 지지하도록 하부가이드프레임(78)의 양단에 회전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블록로더(20)에 블록(1)의 일단을 걸고, 하부블록로더(45)에 블록(1)의 타단을 걸고 상부드럼(26)과 하부드럼(51)을 회전시켜 상부와이어(31) 및 하부와이어(56)를 감으면 블록(1)은 상승하다. 그래서 크레인이 이동시켜 블록(1)을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블록로더(45)를 상부블록로더(20)에 비하여 높게 상승시킨 후 하부트롤리(40)와 상부트롤리(15)의 위치를 바꾸면 블록(1)은 뒤집어진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크레인은 블록(1)을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1)의 뒤집기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브(36, 61)는 와이어(31, 56)가 감기는 원주를 연결한 평면이 지면에 수직한 거더(10)의 길이방향 평면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과 같이 쉬브(36, 61)는 와이어(31, 56)가 감기는 원주를 연결한 평면이 거더(10)의 폭방향 단면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트롤리(15, 40)가 블록(1)을 들어올리거나 뒤집기 작업을 하면 블록(1)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운동하게 되어 쉬브(36, 56)에는 화살표 A와 같이 측력이 발생한다. 그래서 와이어(31, 61)가 쉬브(36, 56)의 원주면에 형성된 그루브에서 이탈하려고 한다. 이에 따라 쉬브, 베어링, 와이어 등에 마모가 많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본 실시예와 같이 쉬브(36, 61)가 배치되면, 와이어(36, 61)에 화살표 A와 같이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쉬브(36, 61)에 측력이 발생하지 않고 쉬브(36, 61)의 원주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한다. 그래서 와이어(31, 56)가 쉬브에서 이탈하지 아니하여 쉬브, 베어링, 와이어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드럼과 하부드럼의 그루브에 측력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와이어의 감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쉬브(36, 61)를 중심으로 와이어(36, 61)의 양측으로 하중이 작용하므로 와이어(36, 61)의 장력이 서로 상쇄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다.
1 : 블록 10 : 거더
15 : 상부트롤리 20 : 상부블록로더
21 : 후크 25 : 상부드럼수단
26 : 상부드럼 30 : 상부와이어수단
31 : 상부와이어 35 : 상부쉬브수단
36 : 쉬브 40 : 하부트롤리
45 : 하브블록로더 46 : 후크
50 : 하부드럼수단 51 : 하부드럼
55 : 하부와이어수단 56 : 하부와이어
60 : 하부쉬브수단 61 : 쉬브
65 : 상부로프가이드수단 66 : 회전축
68 : 가드프레임 70 : 휠
75 : 하부로프가이드수단 76 : 하부회전축
78 : 하부가이드프레임 80 : 하부휠

Claims (5)

  1. 거더와,
    상기 거더 위를 주행하는 상부트롤리와,
    블록의 일단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후크를 구비한 상부블록로더와,
    상기 상부트롤리의 양단에 장착된 복수의 상부드럼을 구비한 상부드럼수단과,
    상기 상부트롤리의 양단에 장착된 각각의 상부드럼에 권선되어 상기 상부블록로더의 양단을 각각 승하강 시키기 위한 복수의 상부와이어를 구비한 상부와이어수단과,
    상기 상부와이어가 권선되는 복수의 쉬브를 구비한 상부쉬브수단과,
    상기 블록을 뒤집기할 수 있게 상기 상부트롤리를 통과하여 상기 거더 위를 주행할 수 있는 하부트롤리와,
    상기 블록의 타단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후크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블록로더의 양단을 각각 승하강시키는 상기 상부와이어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하부블록로더와,
    상기 하부트롤리의 양단에 장착된 복수의 하부드럼을 구비한 하부드럼수단과,
    상기 하부트롤리의 양단에 장착된 각각의 하부드럼에 권선되어 상기 하부블록로더의 양단을 각각 승하강 시키기 위한 복수의 하부와이어를 구비한 하부와이어수단과,
    상기 하부와이어가 권선되는 복수의 쉬브를 구비한 하부쉬브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쉬브는 중심축의 수직단면이 상기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드럼에서 상기 쉬브로 연결되는 상기 상부와이어를 지지하여 상기 상부드럼에 권선되는 상부와이어의 와인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상부트롤리의 양단의 각각에 장착된 복수의 상부로프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드럼수단은 중심축이 상기 쉬브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상기 상부트롤리의 양단에서 각각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기 상부드럼을 한 쌍씩 구비하며,
    상기 상부로프가이드수단은 상기 상부드럼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상부드럼에서 상기 상부드럼의 축방향으로 상기 상부와이어가 풀리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상부트롤리의 양단에 각각 폭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상부드럼에서 배출되는 상부와이어를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회전하게 장착된 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드럼에서 상기 쉬브로 연결되는 상기 하부와이어를 지지하여 상기 하부드럼에 권선되는 하부와이어의 와인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하부트롤리에 장착된 하부로프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드럼수단은 중심축이 상기 쉬브의 중심축과 수직하고 상기 하부트레인의 양단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기 한 쌍의 하부드럼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로프가이드수단은 상기 하부드럼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하부회전축과, 상기 하부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하부드럼에서 상기 하부드럼의 축방향으로 상기 하부와이어가 풀리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하부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상기 하부회전축에 결합된 하부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하부트롤리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하부드럼에서 배출되는 하부와이어를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회전하게 장착된 하부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KR1020210107228A 2021-08-13 2021-08-13 크레인 KR102546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228A KR102546300B1 (ko) 2021-08-13 2021-08-13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228A KR102546300B1 (ko) 2021-08-13 2021-08-13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119A true KR20230025119A (ko) 2023-02-21
KR102546300B1 KR102546300B1 (ko) 2023-06-21

Family

ID=8532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228A KR102546300B1 (ko) 2021-08-13 2021-08-13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3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391A (ko) * 2006-11-14 2009-07-30 스미도모쥬기가이 엔지니어링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다리형 크레인
KR101984667B1 (ko) 2017-09-21 2019-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갠트리 크레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391A (ko) * 2006-11-14 2009-07-30 스미도모쥬기가이 엔지니어링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다리형 크레인
KR101984667B1 (ko) 2017-09-21 2019-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갠트리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300B1 (ko)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486B2 (en) Traveling crane having traveler and hoisting winch
US3081884A (en) Crane with anti-sway mechanism
US3971478A (en) Overhead crane with lifting beam provided with C-shaped claws
WO2005097660A2 (en) A wire rope reeving support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gantry cranes
EP0526167B1 (en) Rope guide
KR20150008532A (ko) 크레인의 리프팅 장치
KR102546300B1 (ko) 크레인
US3550788A (en) Overhead traveling crane and hoist mechanism therefor
KR100847906B1 (ko) 멀티 크레인
KR200448240Y1 (ko) 다용도 타워 크레인
US3963130A (en) Coil unloader
US3250399A (en) Stacker crane
KR101109812B1 (ko) 천장 기중기의 쉬브 기구
KR102368663B1 (ko)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CN107758529A (zh) 起重臂与起重装置
JP4079129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H0692590A (ja) 橋形クレーンのトロリ走行装置用の索案内装置
JP2009269729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6209954B2 (ja) 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用のテルハクレーン及び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の施工方法
JP2015193465A (ja) 橋形クレーン
CN214359810U (zh) 一种用于起重装置的行走小车
KR100581636B1 (ko) 천정크레인
CN102774767B (zh) 一种吊具上架、起升机构及起重机
JPH01321297A (ja) 舶用ガントリークレーン
KR200251266Y1 (ko)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