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142B1 - 카고 크레인 - Google Patents

카고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142B1
KR101946142B1 KR1020170020463A KR20170020463A KR101946142B1 KR 101946142 B1 KR101946142 B1 KR 101946142B1 KR 1020170020463 A KR1020170020463 A KR 1020170020463A KR 20170020463 A KR20170020463 A KR 20170020463A KR 101946142 B1 KR101946142 B1 KR 10194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oom
disposed
uni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312A (ko
Inventor
서봉균
Original Assignee
서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봉균 filed Critical 서봉균
Priority to KR102017002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1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66C23/90Devices for indicating or limiting lifting mo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8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locking devices for telescopic 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카고 크레인은 차량에 고정되는 제1 붐, 상기 제1 붐으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제2 붐 및 상기 제2 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복수개의 붐을 포함하는 붐 조립체, 상기 붐 조립체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붐과 상기 제1 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제n 번째(n은 자연수) 붐을 와이어로 연결하는 붐 지지체,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로부터 인출되어길이가 연장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1 수직부로부터 인출되어 지면에 접촉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아우트리거, 상기 아우트리거에 착탈식으로 배치되는 웨이트,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하부면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지면에 접촉시 눌려지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눌림 여부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전도 알림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 전송부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전도 알림부 및 크레인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고 크레인{CARGO CRANE}
본 발명은 카고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고 크레인의 전도를 방지하고 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고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 고소차 및 카고 크레인 등은 붐을 인출하여 고소작업을 하거나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시설물의 설치 정비 등에 사용된다. 이때, 인출된 붐에 의해서 작업 고소차는 쉽게 전도 될 수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아웃트리거라는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 고소차 및 카고 크레인이 고소 작업 또는 넓은 작업 반경을 가질 경우 전도의 위험성은 항상 도사리고 있다. 따라서, 작업 고소차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물의 무게를 포함한 작업 고소차의 무게 중심이 지면에 지지하고 있는 아웃트리거의 접지 점들을 연결한 구획 내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무게 중심은 아웃트리거가 지지하고 있는 지면의 침하나 환경적 요인인 바람에 의해서 발생되는 풍하중에 의하여 변화하는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
일부 화물의 무게에 따라 붐 각도를 제한하는 로드 제한(Load Limit) 장치가 설치되기도 하지만, 이는 작업차의 지오메트리(geometry)만 반영되었을 뿐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동되는 무게 중심에 대하여서는 관여하지 못한다.
또한, 크레인은 중량체를 들어올려서 상하 전후로 운반하기 위한 기계장치로서 구동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 하나로 다단으로 이루어져 길이가 신축하는 붐(boom) 끝에 후크를 매달아 작동하는 지브 크레인(jib crane)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브 크레인의 경우 중량체가 무거울 경우에는 붐이 휨하중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고 크레인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고, 붐이 휨하중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고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은 차량에 고정되는 제1 붐, 상기 제1 붐으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제2 붐 및 상기 제2 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복수개의 붐을 포함하는 붐 조립체, 상기 붐 조립체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붐과 상기 제1 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제n 번째(n은 자연수) 붐을 와이어로 연결하는 붐 지지체,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로부터 인출되어길이가 연장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1 수직부로부터 인출되어 지면에 접촉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아우트리거, 상기 아우트리거에 착탈식으로 배치되는 웨이트,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하부면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지면에 접촉시 눌려지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눌림 여부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전도 알림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 전송부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전도 알림부 및 크레인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붐 지지체는 상기 제1 붐 상단에 배치되며, 와이어가 감겨있고, 상기 붐 조립체의 길이연장에 따라 와이어가 권출되며 와이어의 급권출시 로킹되는 윈치부, 상기 제2 붐 내지 제(n-1) 번째 붐 상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걸어서 안내하는 풀리부 및 상기 제n 번째 붐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윈치부에 감겨 있는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제1 수직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와 상기 몸체부가 정의하는 공간은 상기 제1 수직부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부, 제1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홀을 포함하는 고정바,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홀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고정홀을 포함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고정홀과 상기 제2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바의 제2단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제1 수직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두께를 갖는 제1 거치부, 상기 제2 수평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를 갖는 제2 거치부, 상기 제1 거치부 및 상기 제2 거치부와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제2 거치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부, 상기 제2 거치부 및 상기 몸체부가 정의하는 공간은 상기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도 알림판은 상기 바닥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를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나사 형상을 갖는 체결바, 상기 체결바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체결바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바가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수직부의 상면을 압박하는 압박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를 수용하는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3톤 내지 5톤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붐 조립체는 그 상단에 배치되는 붐 지지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량체가 무거워 붐 조립체가 휘어질 경우, 와이어가 상기 윈치부로부터 급 권출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윈치부 내부에서 와이어의 급 권출시 로킹암의 회전을 막아준다. 이에 따라, 붐 조립체의 붐들을 와이어가 지탱하므로 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을 하는 반대편 아우트리거 상에 착탈식 웨이트가 배치되므로, 웨이트 무게로 인해 크레인인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우트리거의 제2 수직부 하부에는 전도 알림판이 설치된다. 전도 알림판 하부에는 센서부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가 눌러지는 경우 전도 위험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눌려진 센서부가 다시 돌출되면 아우트리거가 지면에서 뜨게 되는 것이므로, 전도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전도 위험성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전도 알림부가 작동하면 동작 제어부를 제어하여 작업을 비상 정지시킬 수 있어 크레인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붐 지지체의 상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붐 지지체의 윈치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리거에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웨이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웨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웨이트의 제1 고정부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웨이트의 제1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리거에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웨이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웨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알림판이 제2 수직부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알림판의 하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알림판 및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붐 지지체의 상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붐 지지체의 윈치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은 붐 조립체(100), 아우트리거(200), 장비 조종석(300), 적재함(400) 및 붐 지지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붐 조립체(100)는 차량에 고정되는 제1 붐(110), 상기 제1 붐으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제2 붐(120) 및 상기 제2 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복수개의 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붐 지지체(500)는 상기 붐 조립체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붐(110)과 상기 제1 붐(1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제n 번째(n은 자연수) 붐(130)을 와이어(510)로 연결한다.
상기 붐 지지체(500)는 상기 제1 붐(110) 상단에 배치되며, 와이어(510)가 감겨있고, 상기 붐 조립체의 길이연장에 따라 와이어(510)가 권출되며 와이어(510)의 급권출시 로킹되는 윈치부(530), 상기 제2 붐(120) 내지 제(n-1) 번째 붐 상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걸어서 안내하는 풀리부(540) 및 상기 제n 번째 붐(130)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윈치부(530)에 감겨 있는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치부(530)는 윈치 지지부(520)에 의해 상기 제1 붐(110) 상에 고정되고, 상기 풀리부(540)는 풀리 지지부(550)에 의해 제2 붐(120) 상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 고정부(560)는 고정부 지지부(570)에 의해 상기 제n 번째 붐(130)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윈치부(530) 내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풀(10)의 일측에는 리트랙터의 로킹유닛이 마련되는데, 그 로킹유닛은 외측에 외부기어(19)를 구비하고, 내측의 회전중심(70)과 이심된 축(32)을 구비하며 로킹암(30)이 설치된다. 로킹암(30)에는 돌기형 로킹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킹부가 움직일 수 있도록 전방 스토퍼(12)와 후방 스토퍼(1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로킹암(30)의 타측은 타측 스토퍼(16)에 걸리며 스프링(18)으로 지지되어 있고, 관성 작동부(50)가 마련되어 와이어(510)의 급권출시 로킹암의 회전을 막게 된다. 로킹암(30)의 로킹부가 관성에 의하여 걸리도록 내부기어(92)가 구비되는데, 그 내부기어(92)는 하우징(90)에 고정되고, 와이어(510)의 권출이나 권입시 스풀(10)은 하우징(90)의 내측에서 회전하고 내부기어(92)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 정지되어 있다
크레인의 붐 조립체(100)가 운반하는 중량체가 무거울 경우에는 붐이 휨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붐 조립체(100)는 그 상단에 배치되는 붐 지지체(5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량체가 무거워 붐 조립체가 휘어질 경우, 와이어가 상기 윈치부(530)로부터 급 권출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윈치부(530) 내부에서 와이어(510)의 급 권출시 로킹암의 회전을 막아준다. 이에따라, 붐 조립체(100)의 제n 번째 붐(130)을 와이어가 지탱하므로 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조종석(300)은 운전석(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400)에는 웨이트(600) 및 전도 알림판(700) 등이 적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리거에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웨이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웨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웨이트의 제1 고정부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웨이트의 제1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리거는 제1 수평부(220), 제2 수평부(230), 제1 수직부(210) 및 제2 수직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부(220)는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부(230)는 상기 제1 수평부(220)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부(210)는 상기 제2 수평부(230)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수직부(240)는 상기 제1 수직부(210)로부터 인출되어 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웨이트(600)는 상기 아우트리거에 착탈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웨이트(600)는 3톤 내지 5톤의 무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600)는 평소에는 차량의 적재함(400)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610)는 거치부(610), 몸체부(620), 제1 고정부(630) 및 제2 고정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610)는 상기 제1 수직부(2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몸체부(620)는 상기 거치부(61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고정부(630)는 상기 몸체부(620)의 상단에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640)는 상기 몸체부(620)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부(63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거치부(610) 및 상기 몸체부(620)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거치부(610) 및 상기 몸체부(620)가 정의하는 공간(650)은 상기 제1 수직부(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아우트리거(200) 상에 상기 웨이트(600)를 배치하는 경우 상기 웨이트(600)에 형성되는 공간(650)의 형상이 상기 제1 수직부(210)의 형상에 대응되므로, 상기 웨이트(600)가 상기 아우트리거(200)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630)는 제1 지지부(631), 고정바(632), 제2 지지부(633) 및 고정핀(6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631)는 상기 몸체부(62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620)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고정바(632)는 제1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63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홀(6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633)는 상기 몸체부(620)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홀(636)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고정홀(6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634)은 상기 제1 고정홀(636) 및 상기 제2 고정홀(635)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바(632)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2 지지부(633)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640)는 상기 제1 고정부(6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고정부(630) 및 상기 제2 고정부(640)는 상이 웨이트(600)를 상기 아우트리거(20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작업 도중 상기 웨이트(600)가 상기 아우트리거(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고정부(630)의 형상은 상기 웨이트를 상기 아우트리거(2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웨이트(600)는 크레인으로 작업시 작업하는 반대편의 아우트리거(20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웨이트(600)의 무게로 인해 크레인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트리거는 차량의 양쪽에 배치되며, 전후에 각각 배치되므로 일반적으로 차량마다 네 개의 아우트리거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하는 반대편의 아우트리거에 상기 웨이트(600)가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 앞 또는 뒤의 아우트리거에 하나의 웨이트(600)가 배치될 수 도 있고 앞의 아우트리거 및 뒤의 아우트리거에 각각 웨이트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리거에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웨이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웨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리거 및 웨이트는 웨이트의 형상을 제외하면 도 5 내지 도 9의 아우트리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1600)는 아우트리거(1200)의 제2 수평부(1230) 및 제1 수직부(12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웨이트(1600)는 제1 거치부(1610), 제2 거치부(1620), 몸체부(1650), 제1 고정부(1630) 및 제2 고정부(1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1610)는 상기 제1 수직부(12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거치부(1610)는 제1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부(1620)는 상기 제2 수직평부(123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거치부(1620)는 상기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620)는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1610, 162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고정부(1630)는 상기 제2 거치부(1620)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부(1650)의 하단에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640)는 상기 제1 고정부(163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부(163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1610), 제2 거치부(1620) 및 상기 몸체부(1650)는 공간(1660)을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거치부(1610), 상기 제2 거치부(1620) 및 상기 몸체부(1620)가 정의하는 공간(1660)은 상기 제1 수직부(1210) 및 상기 제2 수평부(12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아우트리거(1200) 상에 상기 웨이트(1600)를 배치하는 경우 상기 웨이트(1600)에 형성되는 공간(1660)의 형상이 상기 제1 수직부(1210) 및 상기 제2 수평부(1230)의 형상에 대응되므로, 상기 웨이트(1600)가 상기 아우트리거(1200)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알림판이 제2 수직부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알림판의 하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알림판(700)은 바닥부(710), 제1 측벽부(713), 제2 측벽부(715), 홈부(720), 센서부(730), 압박부(740), 체결바(750) 및 회전부(76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710)는 상기 제2 수직부(24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바닥부(710)의 중앙에는 홈부(720)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720)는 상기 바닥부(710)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부에는 상기 센서부(730)가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730)는 압력에 의해 눌려지는 스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는 지면에 접촉시 눌려질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730)가 눌려지는 경우 크레인이 정상적으로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눌려진 센서부(730)가 다시 돌출되는 경우에는 크레인이 기울어져 전도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눌려진 센서부(730)가 돌출되는 경우 전도 위험성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도 위험성을 알리는 신호 전송에 대하여는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측벽부(713)는 상기 바닥부(7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 측벽부(715)는 상기 제1 측벽부(713)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체결바(750)는 상기 제2 측벽부(715)를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760)는 상기 체결바(750)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바(7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760)가 상기 체결바(750)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바(750)를 상하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부(740)는 상기 체결바(750)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바(750)가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수직부(240)의 상면을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수직부(240)가 상기 바닥부(710) 및 상기 압박부(74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도 알림판(70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중을 견딜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도 알림판(700)이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바(75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수직부(24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도 알림판은 상기 제2 수직부에 고정시킬 수만 있다면 다른 어떤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알림판 및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알림판(700)은 센서부(730) 및 신호 전송부(77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20)는 신호 수신부(321), 전도 알림부(323) 및 동작 제어부(325)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730)는 상기 센서부(730)는 압력에 의해 눌려지는 스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는 지면에 접촉시 눌려질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730)가 눌려지는 경우 크레인이 정상적으로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눌려진 센서부(730)가 다시 돌출되는 경우에는 크레인이 기울어져 전도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눌려진 센서부(730)가 돌출되는 경우 전도 위험성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도 위험성을 알리는 신호는 상기 신호 전송부(770)가 전송한다.
상기 신호 전송부(770)는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전송부(770)가 전송하는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부(321)가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부(321)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도 알림부(323)에서는 신호 수신을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 알림부(323)는 신호가 수신되면 경고음을 내는 스피커 또는 신호가 수신되면 점등되는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 알림부(323)가 신호 수신을 알려주면, 작업자는 상기 동작 제어부(325)를 제어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비상 정지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크레인으로 중량체를 들어올리는 것을 중단하여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붐 조립체는 그 상단에 배치되는 붐 지지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량체가 무거워 붐 조립체가 휘어질 경우, 와이어가 상기 윈치부로부터 급 권출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윈치부 내부에서 와이어의 급 권출시 로킹암의 회전을 막아준다. 이에 따라, 붐 조립체의 붐들을 와이어가 지탱하므로 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을 하는 반대편 아우트리거 상에 착탈식 웨이트가 배치되므로, 웨이트 무게로 인해 크레인인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우트리거의 제2 수직부 하부에는 전도 알림판이 설치된다. 전도 알림판 하부에는 센서부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가 눌러지는 경우 전도 위험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눌려진 센서부가 다시 돌출되면 아우트리거가 지면에서 뜨게 되는 것이므로, 전도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전도 위험성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전도 알림부가 작동하면 동작 제어부를 제어하여 작업을 비상 정지시킬 수 있어 크레인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붐 조립체 200: 아우트리거
300: 장비 조종석 400: 적재함
500: 붐 지지체 600: 웨이트
700: 전도 알림판

Claims (8)

  1. 차량에 고정되는 제1 붐, 상기 제1 붐으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제2 붐 및 상기 제2 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복수개의 붐을 포함하는 붐 조립체;
    상기 붐 조립체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붐과 상기 제1 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제n 번째(n은 자연수) 붐을 와이어로 연결하는 붐 지지체;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로부터 인출되어길이가 연장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1 수직부로부터 인출되어 지면에 접촉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아우트리거;
    상기 아우트리거에 착탈식으로 배치되는 웨이트;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하부면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지면에 접촉시 눌려지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눌림 여부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전도 알림판;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 전송부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전도 알림부 및 크레인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붐 지지체는,
    상기 제1 붐 상단에 배치되며, 와이어가 감겨있고, 상기 붐 조립체의 길이연장에 따라 와이어가 권출되며 와이어의 급권출시 로킹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는 윈치부;
    상기 제2 붐 내지 제(n-1) 번째 붐 상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걸어서 안내하는 풀리부; 및
    상기 제n 번째 붐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윈치부에 감겨 있는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제1 수직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와 상기 몸체부가 정의하는 공간은 상기 제1 수직부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부;
    제1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홀을 포함하는 고정바;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홀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고정홀을 포함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고정홀과 상기 제2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바의 제2단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고정부의 제1 지지부;
    제1 단부가 상기 제2 고정부의 제1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의 제1 고정홀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의 고정바;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제1 고정홀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고정부의 제2 고정홀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의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제1 고정홀과 상기 제2 고정부의 제2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고정부의 고정바의 제2단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제2 지지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의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 알림판은,
    상기 바닥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를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나사 형상을 갖는 체결바;
    상기 체결바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체결바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바가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수직부의 상면을 압박하는 압박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를 수용하는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는 3톤 내지 5톤의 무게를 갖고,
    상기 로킹유닛은 외측에 외부기어를 구비하고, 내측의 회전중심과 이심된 축을 구비하며 로킹암이 설치되고, 상기 로킹암에는 돌기형 로킹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부가 움직일 수 있도록 전방 스토퍼와 후방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로킹암의 타측은 타측 스토퍼에 걸리며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있고, 관성 작동부가 마련되어 와이어의 급권출시 상기 로킹암의 회전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20463A 2017-02-15 2017-02-15 카고 크레인 KR10194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463A KR101946142B1 (ko) 2017-02-15 2017-02-15 카고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463A KR101946142B1 (ko) 2017-02-15 2017-02-15 카고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312A KR20180094312A (ko) 2018-08-23
KR101946142B1 true KR101946142B1 (ko) 2019-02-08

Family

ID=6345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463A KR101946142B1 (ko) 2017-02-15 2017-02-15 카고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783B1 (ko) 2021-08-24 2022-03-07 (주)쌍용리프트 차량 장착용 크레인
KR102424879B1 (ko) 2022-01-28 2022-07-25 유정선 의료용 비말 차단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9523B (zh) * 2018-12-11 2021-06-11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臂架装置及特种车辆
KR20200093408A (ko) 2019-01-28 2020-08-05 김종길 카고 크레인
KR102255738B1 (ko) * 2019-03-11 2021-05-24 화정준 크레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783B1 (ko) 2021-08-24 2022-03-07 (주)쌍용리프트 차량 장착용 크레인
KR102424879B1 (ko) 2022-01-28 2022-07-25 유정선 의료용 비말 차단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312A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142B1 (ko) 카고 크레인
KR101340870B1 (ko) 케이블드럼 이송보조장치
GB2316383A (en) Mobile jib crane with counter-balancing jib
EP3231762B1 (en) Mobile crane
US5445281A (en) Light-duty electric crane
US4471877A (en) Crane sensor to detect out of plumb lift cable
JPH10101292A (ja) 船舶荷役用デッキクレーン
JP2010155529A (ja) モバイルデッキ支持装置
KR101968410B1 (ko) 크레인 장치
EP3360840A1 (en) Operating machine
CN1608969A (zh) 起重机
CN215711337U (zh) 一种海上平台吊机的集成式卷扬机构
EP0408111A1 (en) Hoisting crane
JP2004026315A (ja) 荷役装置
CN210001483U (zh) 起重臂组件及随车起重机
KR102628196B1 (ko) 크레인 후크 어셈블리 고정장치
CN107601251B (zh) 一种自动倾倒集装箱吊具
CN105692472A (zh) 重力致动式起重机限位器
CN212101767U (zh) 一种船舶吊机装置
CN214114725U (zh) 一种起重机副卷扬系统及起重机
CN210764050U (zh) 一种塔体和塔式起重机
CN212050234U (zh) 一种新型起重重量限制器
KR102329636B1 (ko) 케이블 권취 보빈용 리프팅 러그
CN217947488U (zh) 一种集装箱内嵌式伸缩吊臂
JP4141558B2 (ja) フック格納装置付クレーンの巻過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