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408A - 카고 크레인 - Google Patents

카고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408A
KR20200093408A KR1020190084004A KR20190084004A KR20200093408A KR 20200093408 A KR20200093408 A KR 20200093408A KR 1020190084004 A KR1020190084004 A KR 1020190084004A KR 20190084004 A KR20190084004 A KR 20190084004A KR 20200093408 A KR20200093408 A KR 20200093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riggers
driver
seat
pair
cargo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길 filed Critical 김종길
Publication of KR2020009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고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석; 상기 운전석의 후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되어 각종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함; 상기 운전석과 적재함 사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수평 방향으로 길이 신장이 이루어지는 붐 조립체; 상기 붐 조립체의 붐을 이용하여 하중이 작용하는 작업의 수행 시, 무게 중심 이동에 의해 전도됨을 방지하기 위한 6점 지지점을 갖는 복수의 아우트리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고 크레인{Cargo crane}
본 발명은 카고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 측 양 방향으로 설치되는 아우트리거에 더하여 운전석의 양 측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보조 아우트리거를 더 설치함으로써, 붐이 사각지대 없이 전 방향에 걸쳐 고소작업이나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또는 시설물의 설치 정비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고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 고소차 및 카고 크레인 등은 붐을 인출하여 고소작업을 하거나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또는 시설물의 설치 정비 등에 사용된다.
이 때, 인출된 붐에 의해서 작업 고소차는 쉽게 전도될 수 있는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아우트리거라는 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카고 크레인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3은 종래 카고 크레인의 작업 가능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고 크레인(10)은, 운전석(20), 적재함(30), 붐 조립체 및 전방 아우트리거(70)와 후방 아우트리거(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붐 조립체는, 운전석(20)과 적재함(30) 사이의 공간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40)와, 이 지지대(40)의 중앙 부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50) 및 이 회전체(5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길이 신장이 가능한 붐(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붐 조립체의 붐(60)을 이용하여 고소작업, 화물의 상하차, 시설물의 설치 정비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무게 중심의 이동에 의해 카고 크레인(10)이 전도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카고 크레인(10)의 무게 중심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아우트리거(70,80)를 이용하여 지면에 대하여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조립체의 지지대(40) 양 측 방향으로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70)가 설치되고, 적재함(80)의 후방 양 측 방향으로도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80)가 설치되어 붐을 이용한 작업 시 전방 아우트리거(70) 및 후방 아우트리거(80)가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카고 크레인(10)의 무게 중심이 붐의 끝단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예방하여 전도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고 크레인(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게 중심이 한쪽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아우트리거가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70)와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80)로 구성되되,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70)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펼쳐져서 수평 방향을 이루고, 또한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80)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펼쳐져서 수평 방향을 이루게 되는바, 붐(60)의 작업 위치에 따라 무게 중심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70)와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80)는 종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벌어진 상태를 이루고, 또한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70)의 전방에는 운전석(20)이 배치됨에 따라 도 2의 빗금 친 부분과 같이 운전석(20)의 전방 영역과,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70)와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80) 사이 공간의 일부 영역 즉,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70) 후방 쪽의 일부 영역에서는 붐(60)을 이용한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70)와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80)는 그 지지점이 4점 지지를 이루되, 각 4점 지지점이 정 사각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카고 크레인(1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물 등의 무게를 포함한 카고 크레인(10)의 무게 중심이 각 지지점들을 연결한 구획 내에 위치하여야 하는데, 붐(60)을 이용하여 운전석(20)의 전방 영역에서 작업하는 경우,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려 카고 크레인(10)이 전방으로 전도될 우려가 있고, 또한 붐(60)을 이용하여 전방 아우트리거(70)와 후방 아우트리거(80) 사이의 일부 영역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무게 중심이 양 측방으로 쏠려 카고 크레인(10)이 양 측 방향으로 전도될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카고 크레인(10)은 붐(60)을 이용한 작업이 어려운 사각 지대가 발생하게 되는바, 이러한 사각 지대에서의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카고 크레인(10)의 위치를 바꾸어준 후, 다시 전방 아우트리거(70) 및 후방 아우트리거(80)를 지면에 고정시킨 다음 작업을 해야함으로써, 그 작업성이 매우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094312호(2018.08.23.) 한국등록특허 제10-1459028호(2014.10.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후 측 양 방향으로 설치되는 아우트리거에 더하여 운전석의 양 측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보조 아우트리거를 더 설치함으로써, 붐이 사각지대 없이 전 방향에 걸쳐 고소작업이나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또는 시설물의 설치 정비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고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은, 운전석; 상기 운전석의 후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되어 각종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함; 상기 운전석과 적재함 사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수평 방향으로 길이 신장이 이루어지는 붐 조립체; 상기 붐 조립체의 붐을 이용하여 하중이 작용하는 작업의 수행 시, 무게 중심 이동에 의해 전도됨을 방지하기 위한 6점 지지점을 갖는 복수의 아우트리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아우트리거는, 상기 운전석과 상기 적재함 사이로부터 양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와, 상기 적재함의 후측에서 양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 및 상기 운전석과 상기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 사이에서 양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는, 상기 운전석 방향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양 지지점이 상기 운전석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붐 조립체는, 상기 운전석과 상기 적재함 사이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중앙 부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길이 신장이 가능한 붐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는, 상기 지지대와 힌지로 결합되어 횡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에 의하면, 전후 측 양 방향으로 설치되는 아우트리거에 더하여 운전석의 양 측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보조 아우트리거가 더 설치됨으로써, 붐이 사각지대 없이 전 방향에 걸쳐 고소작업이나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또는 시설물의 설치 정비 등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에 의하면, 운전석의 양 측부에 전방을 향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설치 가능한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가 추가로 설치됨에 따라 모두 6점 지지점에 의해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어 운전석 전방의 작업 사각지대가 없어지고, 또한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의 설치에 따라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와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의 간격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전방 아우트리거와 후방 아우트리거 사이의 사각지대도 없어지게 되어 전 방향에 걸쳐 붐을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여 결국 작업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고 크레인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카고 크레인의 작업 가능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5 및 도 6의 평면 구성도.
도 8은 도 7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10은 도 9에서 보조 아우트리거가 접이된 상태의 평면 구성도.
도 11은 도 10에서 아우트리거가 모두 접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카고 크레인의 작업 가능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 및 도 6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100)은, 운전자가 탑승하여 카고 크레인(100)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전방 아우트리거(160)와 후방 아우트리거(170) 및 후술되는 보조 아우트리거(200)의 작동 및 붐 조립체의 작동을 조종하는 운전석(110)과, 이 운전석(110)의 후측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각종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함(120)과, 운전석(110)과 적재함(12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길이 신장이 이루어지는 붐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붐 조립체는, 운전석(110)과 적재함(120) 사이의 공간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30)와, 이 지지대(130)의 중앙 부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40) 및 이 회전체(14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길이 신장이 가능한 붐(1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100)은, 붐 조립체의 붐(150)을 이용하여 고소작업, 화물의 상하차, 시설물의 설치 정비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무게 중심의 이동에 의해 카고 크레인(100)이 전도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카고 크레인(100)의 무게 중심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160)와,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170) 및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2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160)는 붐 조립체의 지지대(130) 양측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되고,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170)는 적재함(120)의 후측 양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200)는 운전석(110)과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160) 사이에 양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되, 운전석(110) 방향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200)의 양 지지점은 운전석(110)의 양 측부에 형성됨으로써, 붐 조립체의 붐(150)이 회전하여 운전석(110) 전방 영역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200)가 무게 중심의 전방 이동에 대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되어, 카고 크레인(100)이 전방으로 전도될 우려가 불식되는바, 종래에서와 같이 운전석(110) 전방 영역에 대한 작업 사각지대가 없이 용이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운전석(110)과 전방 아우트리거(160) 사이에 보조 아우트리거(200)가 형성됨에 따라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160)는 운전석(11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170)와 이격 간격이 줄어든 위치에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160)는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200)와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170) 사이에 양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에 대한 지지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붐 조립체의 붐(150)이 회전하여 카고 크레인(100)의 양 측방 영역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160)가 무게 중심의 측방 이동에 대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되어, 카고 크레인(100)이 양 측방으로 전도될 우려가 불식되는바, 종래에서와 같이 운전석(110) 측 후방 영역에 대한 작업 사각지대가 없이 용이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100)은, 운전석(110) 양 측 방향으로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200)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적재함(120)의 후측 양 방향으로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170)가 배치되어 설치되며,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200)와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170) 사이에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160)가 배치되어 설치됨으로써, 모두 6점 지지점에 의해 무게 중심 이동에 따른 지지력을 유지하게 되는바, 붐 조립체의 붐(150)이 회전하여 어느 방향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전도의 위험발생이 불식되어 작업의 사각지대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100)은, 운전석(110)의 양 측부에 전방을 향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설치 가능한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200)가 추가로 설치됨에 따라 모두 6점 지지점에 의해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어, 운전석(110) 전방의 작업 사각지대가 없어지고, 또한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200)의 설치에 따라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160)와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170)의 간격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전방 아우트리거(160)와 후방 아우트리거(170) 사이의 사각지대도 없어지게 되는바, 전 방향에 걸쳐 붐(150)을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여 결국 작업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보조 아우트리거가 접이된 상태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11은 도 10에서 아우트리거가 모두 접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카고 크레인의 작업 가능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100)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100)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100)은,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200)가 지지대(130)와 힌지로 결합됨에 따라 횡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붐 조립체의 붐(150)을 회전시켜서 운전석(110) 전방 영역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200)를 절첩시킨 상태에서 힌지를 기점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대(130)의 양 측부에 나란하게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200)가 힌지를 기점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은, 공압이나 유압 또는 기계식 등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기술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도 12를 참조하면, 보조 아우트리거(200)에 의해 카고 크레인의 전후좌우 방향에 걸쳐 사각 지대 없이 작업 영역이 확장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이 가능해지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카고 크레인 110 : 운전석
120 : 적재함 130 : 지지대
140 : 회전체 150 : 붐
160 : 전방 아우트리거 170 : 후방 아우트리거
200 : 보조 아우트리거

Claims (5)

  1. 운전석;
    상기 운전석의 후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되어 각종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함;
    상기 운전석과 적재함 사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수평 방향으로 길이 신장이 이루어지는 붐 조립체;
    상기 붐 조립체의 붐을 이용하여 하중이 작용하는 작업의 수행 시, 무게 중심 이동에 의해 전도됨을 방지하기 위한 6점 지지점을 갖는 복수의 아우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우트리거는,
    상기 운전석과 상기 적재함 사이로부터 양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와,
    상기 적재함의 후측에서 양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 아우트리거, 및
    상기 운전석과 상기 한 쌍의 전방 아우트리거 사이에서 양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3. 제 2항에 있어서,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는,
    상기 운전석 방향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양 지지점이 상기 운전석 양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 조립체는,
    상기 운전석과 상기 적재함 사이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중앙 부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길이 신장이 가능한 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조 아우트리거는,
    상기 지지대와 힌지로 결합되어 횡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KR1020190084004A 2019-01-28 2019-07-11 카고 크레인 KR20200093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0772 2019-01-28
KR1020190010772 2019-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408A true KR20200093408A (ko) 2020-08-05

Family

ID=7204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004A KR20200093408A (ko) 2019-01-28 2019-07-11 카고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340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28B1 (ko) 2014-04-25 2014-11-07 이호 아웃트리거를 장착한 크레인의 전도 방지 장치
KR20180094312A (ko) 2017-02-15 2018-08-23 서봉균 카고 크레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28B1 (ko) 2014-04-25 2014-11-07 이호 아웃트리거를 장착한 크레인의 전도 방지 장치
KR20180094312A (ko) 2017-02-15 2018-08-23 서봉균 카고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7978B2 (ja) カウンタウェイトの移動装置
EP3048067B1 (en) Rack for freight
EP3556717B1 (en) Construction machine
KR20200093408A (ko) 카고 크레인
JP2010105808A (ja) 天井クレーンの据付け方法及び据付けシステム
US20220281723A1 (en) Outrigger Pad Hoist Apparatus
CN204938916U (zh) 一种翻转平台
JP2019048540A (ja) ダンプトラック
JP2013064239A (ja) 建設機械の足場構造
JP6176143B2 (ja) クローラ式車両の下部走行体
JP5569557B2 (ja) 建設機械のステップ構造
JP6814471B2 (ja) 組立式クレーン
US11994238B2 (en) Pipelayer machine with operator cabin having narrow front view
JP2010036861A (ja) 荷受台昇降装置
JP6729429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7057322B2 (ja) 作業用車両
JP6335034B2 (ja) 荷受台昇降装置
KR200395319Y1 (ko) 크레인이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 차량
JP6575245B2 (ja) 軌陸作業車
JP7208821B2 (ja) 作業車
WO2016199722A1 (ja) 伸縮ブームの取付構造
JP7331504B2 (ja) 荷吊りユニット及び、荷吊りユニットを搭載した移動体
JP6735256B2 (ja) 建設機械用作業機の載置台装置
KR102586221B1 (ko) 셀프로더
JP7491121B2 (ja) 作業機械の起伏シリンダ支持装置および作業機械の起伏シリンダ支持方法、作業機械の輸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