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766A - 도포 용기 - Google Patents

도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766A
KR20190089766A KR1020190008197A KR20190008197A KR20190089766A KR 20190089766 A KR20190089766 A KR 20190089766A KR 1020190008197 A KR1020190008197 A KR 1020190008197A KR 20190008197 A KR20190008197 A KR 20190008197A KR 20190089766 A KR20190089766 A KR 20190089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axial direction
cover
coating material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117B1 (ko
Inventor
요시카즈 다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ublication of KR2019008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or movable bottom being pulled upwards to dispense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와이퍼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는 도포 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 용기는, 축선 방향의 일단(11g)에 개구(11h)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충전부(11)와, 충전부(11)를 수용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내면(12q)의 축선 방향의 일단에 암나사(12e)를 갖는 커버(12)와, 충전부(11)에 삽입되는 도포구, 및 암나사(12e)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를 갖는 본체와, 충전부(11)의 개구(11h), 및 커버(12)의 내면(12q)에 고정되는 연질재의 와이퍼(13)를 구비한 도포 용기로서, 와이퍼(13)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3b)를 가지며, 제1 돌출부(13b)는, 커버(12)의 내면(12q)에 마련되는 벽부(12d)와 충전부(11)의 개구(11h) 측의 일단(11g)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어져 있다.

Description

도포 용기{APPLICATION CONTAINER}
본 발명은, 도포구를 구비하는 도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포구를 구비한 도포 용기에 대해서는 다양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74613호에는, 액상 화장료를 수용하는 액상 화장료 도포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액상 화장료 도포 용기는, 도포구를 갖는 본체와, 도포구에 부착되는 액상 화장료가 충전된 탱크를 갖는 덮개체를 구비한다. 본체의 외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덮개체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암나사에 수나사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본체가 덮개체에 장착된다.
덮개체의 탱크의 개구에는, 탱크를 밀봉하는 통 형상의 밀봉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밀봉 부재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다. 밀봉 부재는, 플랜지부가 탱크의 개구와 압축 코일 스프링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덮개체의 내부에 있어서 고정된다. 밀봉 부재는, 합성 고무제이며, 내부에 대략 깔때기 형상을 이루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이 관통 구멍에는, 본체의 도포구가 삽입된다. 또, 도포구가 관통 구멍에 삽입되면, 도포구의 근원에 위치하는 도포구 유지부가 관통 구멍의 외연에 당접한다. 이 관통 구멍의 외연으로의 도포구 유지부의 당접에 의하여 관통 구멍이 밀봉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70314호에는, 액상 화장료 도포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 액상 화장료 도포 용기는, 선단에 도포구를 가짐과 함께 봉 형상으로 뻗는 중공(中空)의 축통과, 도포구를 피복하여 축통에 장착되는 덮개체를 구비한다. 이 액상 화장료 도포 용기에서는, 축통의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에, 덮개체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축통에 덮개체가 장착된다.
덮개체는, 액상 화장료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식 탱크와, 카트리지식 탱크가 결합된 통체를 구비하고 있고, 도포구는, 카트리지식 탱크의 내부에 삽입된다. 통체의 내부에는, 도포구가 삽입되는 작은 구멍이 형성된 합성 고무제의 패킹인 액상 화장료 밀봉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액상 화장료 밀봉 부재는, 외주면에 형성된 둘레 돌조(突條)와 플랜지부를 구비한다. 액상 화장료 밀봉 부재는, 둘레 돌조가 카트리지식 탱크의 둘레 홈에 계합함과 함께 플랜지부가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카트리지식 탱크 측에 부세됨으로써, 통체의 내부에 있어서 고정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74613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70314호
액상 화장료 밀봉 부재는, 탱크로부터 도포구가 빠질 때에 도포구에 잉여로 부착된 액상 화장료를 긁어모으는 통 형상의 와이퍼로서 기능한다. 이 와이퍼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둘레 돌조가 탱크의 둘레 홈에 계합함과 함께 플랜지부가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탱크 측에 부세된다. 와이퍼가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탱크 측에 부세되는 경우, 와이퍼는 합성 고무 등의 연질재에 의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축선 방향으로의 힘이 와이퍼에 부여되었을 때에 와이퍼가 변형되어 탱크 안에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의 힘이 부여되었을 때에 와이퍼가 탈락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이퍼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는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도포 용기는, 축선 방향의 일단에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충전부와, 충전부를 수용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내면의 축선 방향의 일단 측에 암나사를 갖는 커버와, 충전부에 삽입되는 도포구, 및 암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를 갖는 본체와, 충전부의 개구, 및 커버의 내면에 고정되는 연질재의 와이퍼를 구비한 도포 용기로서, 와이퍼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가지며, 제1 돌출부는, 커버의 내면에 마련되는 벽부와 충전부의 개구 측의 단부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어져 있다.
이 도포 용기는, 축선 방향의 일단에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충전부가 통 형상의 커버에 수용되어 있고 2중 통 형상을 나타낸다. 커버의 내면의 축선 방향의 일단 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충전부에 삽입되는 도포구를 갖는 본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도포구가 충전부에 삽입된 상태로 본체의 수나사가 커버의 내면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커버에 본체가 장착된다. 충전부의 개구 및 커버의 내면에는 연질재에 의하여 구성된 와이퍼가 고정되어 있고, 와이퍼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한다. 또, 커버의 내면에는, 충전부의 개구 측의 단부와 와이퍼의 제1 돌출부를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는 벽부가 마련되어 있고, 제1 돌출부는, 커버의 내면의 벽부와, 충전부의 개구 측의 단부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와이퍼의 제1 돌출부가 커버의 내면의 벽부와 충전부의 단부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어지므로, 와이퍼의 제1 돌출부에 축선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의 내면 및 충전부에 대한 와이퍼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와이퍼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와이퍼는, 벽부 측의 면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제2 돌출부는, 벽부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벽부로부터의 제2 돌출부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와이퍼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벽부는, 커버의 내면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벽부와 충전부의 단부의 사이에 와이퍼의 제1 돌출부를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복수의 벽부를 둘레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한 경우여도 확실히 와이퍼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체의 도포구와의 반대 측에 축선 방향으로 뻗는 봉 형상 도포재를 구비하고, 본체는, 봉 형상 도포재를 축선 방향으로 피딩하는 피딩 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충전부의 내부에 액상 또는 분체상 등의 도포재를 충전시킴과 함께, 봉 형상 도포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1개의 도포 용기에서 복수 종류의 도포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본체의 도포구와의 반대 측에 봉 형상 도포재를 피딩하는 피딩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봉 형상 도포재를 도포구의 반대 측에 피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퍼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포 용기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포 용기로부터 캡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포 용기로부터 봉 형상 도포재를 피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도포 용기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도포 용기에 있어서의 선통(先筒)의 단차를 가진 통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7(a)는, 도 5의 도포 용기의 선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5의 도포 용기의 선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8(a)는, 도 4의 도포 용기의 중통(中筒)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b)는, 도 4의 도포 용기의 중통을 도 8(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9(a)는, 도 5의 도포 용기의 이동체를 축선 방향 전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9(b)는, 도 5의 도포 용기의 이동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10(a)는, 도 2의 도포 용기의 도포재 유지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도포재 유지부를 축선 방향 전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1(a)는, 도 4의 도포 용기의 장착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b)는, 도 4의 도포 용기의 장착 부재를 도 11(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도포 용기의 충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도 13(a)는, 도 2의 도포 용기의 와이퍼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b)는, 도 2의 도포 용기의 와이퍼를 축선 방향 후측에서 본 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도 13(a)의 와이퍼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도 15(a)는, 도 2의 도포 용기의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b)는, 도 2의 도포 용기의 커버를, 축선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커버의 벽부를 확대한 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도 17(a)는, 충전부, 커버 및 와이퍼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b)는, 도 17(a)의 충전부, 및 커버의 벽부에 끼워 넣어진 와이퍼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도 18(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 용기의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커버의 벽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도 19(a)는, 도 18의 커버, 충전부 및 와이퍼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충전부, 및 커버의 벽부에 끼워 넣어진 와이퍼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도 20(a)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 용기의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의 커버의 벽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1에 있어서, 도 21(a)는, 도 20의 커버, 충전부 및 와이퍼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1(b)는, 도 21(a)의 충전부, 및 커버의 벽부에 끼워 넣어진 와이퍼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도포 용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 용기(1)는, 전체 형상이 필기구와 같이 가늘고 긴 둥근 봉 형상을 이루어 양호한 외관을 나타내고, 캡(C)이 장착된다. 도포 용기(1)는, 고체상의 봉 형상 도포재(M)를 구비한다. 봉 형상 도포재(M)는, 예를 들면 봉 형상 화장료이지만, 묘화재 등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봉 형상 도포재(M)는 아이브로여도 되고, 이 경우, 도포 용기(1)는 아이브로 피딩 용기이다.
예를 들면, 도포 용기(1)는, 캡(C)이 장착되는 본체(2)와, 본체(2)의 캡(C)과 반대 측에 장착됨과 함께 도포재(A)가 수용된 수용부(10)를 구비한다. 도포재(A)는, 예를 들면 분체상 또는 액상의 도포재이며, 구체적으로는 아이라이너, 아이컬러, 아이브로, 마스카라, 컨실러, 립 혹은 헤어 컬러 등에 사용되는 액체 혹은 분체, 또는 필기구, 수정액 혹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문방구 등의 액체 혹은 분체이다.
도포 용기(1)에 있어서, 캡(C), 본체(2) 및 수용부(10)는, 도포 용기(1)의 축선(L)이 뻗는 축선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축선"이란, 도포 용기(1)의 전후에 뻗는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고, "축선 방향"이란, 전후 방향이며 또한 축선(L)을 따른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봉 형상 도포재(M)의 피딩 방향을 전방(전진하는 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도 3은, 캡(C)이 분리된 도포 용기(1)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포 용기(1)로부터 수용부(10)를 분리하고 봉 형상 도포재(M)를 피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체(2)는, 용기 전측부를 구성하는 선통(3)과, 선통(3)의 후방에 마련되는 중통(4)과, 중통(4)의 후방에 마련되는 용기 후측부를 구성함과 함께 도포 용기(1)의 외부로 노출되는 이음통(5)과, 이음통(5)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음과 함께 도포구(P)가 장착되는 장착 부재(6)와, 선통(3)의 내부에 수용된 이동체(7)와, 이음통(5)의 내부에 있어서 이동체(7)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8)와, 이동체(7)의 전측에 있어서 봉 형상 도포재(M)를 유지하는 도포재 유지부(9)를 구비한다. 선통(3), 중통(4), 이음통(5), 이동체(7) 및 유지 부재(8)는, 봉 형상 도포재(M)를 축선 방향으로 피딩하는 피딩 기구(15)를 구성한다.
봉 형상 도포재(M)는, 축선 방향으로 뻗는 측면(M3)을 가짐과 함께, 선단에, 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부(M1)를 갖는다. 전측에서 본 봉 형상 도포재(M)의 형상은, 경사부(M1)가 일정 방향으로 길게 뻗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봉 형상 도포재(M)의 선단에 위치하는 경사부(M1)와 봉 형상 도포재(M)의 측면(M3)의 사이에는, 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뻗는 평탄면(M2)이 형성되어 있다. 평탄면(M2)은, 예를 들면 경사부(M1)에 대하여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각 평탄면(M2)은 경사부(M1)의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다. 전측으로부터 경사부(M1)와 한 쌍의 평탄면(M2)을 보았을 때의 형상은, 일정 방향으로 길게 뻗음과 함께 둥그스름한 육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선통(3)은, 예를 들면 ABS 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축선 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통 형상을 나타낸다. 선통(3)의 내부는, 봉 형상 도포재(M)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3n)으로 되어 있다. 선통(3)은, 전단(3c)에, 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3a)을 갖는다. 선통(3)의 전단(3c)에는, 봉 형상 도포재(M)가 노출되는 개구(3b)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b)는, 선통(3)의 전단(3c)으로부터 대각선 후방으로 뻗어 있다.
선통(3)은, 봉 형상 도포재(M)가 수용되는 전측 통부(3d)와, 전측 통부(3d)의 후방에 위치하는 단차를 가진 통부(3e)와, 단차를 가진 통부(3e)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측 통부(3f)를 갖는다. 전측 통부(3d), 단차를 가진 통부(3e) 및 후측 통부(3f) 중, 전측 통부(3d)만이 외방으로 노출된다. 전측 통부(3d)는, 단차(3g)로부터 전단(3c)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축경(縮徑)되어 있다. 단차(3g)는 전측 통부(3d)와 단차를 가진 통부(3e)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전측 통부(3d)는 단차를 가진 통부(3e)에 대하여 단차(3g)로부터 확경(擴俓)되어 있다. 선통(3)의 단차(3g)보다 후측은 중통(4)에 전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부로 되어 있다. 선통(3)은, 그 단차(3g)보다 후측이 중통(4)에 삽입됨으로써, 중통(4)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고 또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계합된다.
도 6은, 선통(3)의 단차를 가진 통부(3e)를, 축선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선통(3)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b)은, 선통(3)의 측면도이다. 도 6,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선통(3)의 전측 통부(3d)의 내부에는, 봉 형상 도포재(M)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3n)이 축선 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축선 방향을 따라 본 수용 공간(3n)의 형상은, 비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일정 방향으로 길게 뻗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선통(3)의 전측 통부(3d)의 내측에는, 축선 방향으로 뻗는 볼록부(3r)가 마련되어 있고, 볼록부(3r)는, 예를 들면 선통(3)의 직경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마련된다.
볼록부(3r)의 전단은, 선통(3)의 개구(3b)의 부근에까지 도달하고 있고, 볼록부(3r)의 전단에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선통(3)의 내측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는 경사면(3p)이 형성되어 있다. 선통(3)의 단차를 가진 통부(3e)는, 외면에, 선통(3)의 둘레 방향으로 뻗는 환 형상 오목부(3h)와, 환 형상 오목부(3h)의 후방에 위치하는 오목부(3j)를 갖는다. 선통(3)을 금형 성형에 의하여 제조할 때에는, 성형 금형의 내부에 수지 등의 재료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오목부(3j)의 중심에 배치된다. 오목부(3j)는, 예를 들면 선통(3)의 직경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고, 각 오목부(3j)는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선통(3)의 단차를 가진 통부(3e)의 내측에는, 축선 방향으로 뻗는 돌조(3k)가 마련되어 있다. 돌조(3k)는, 예를 들면 복수 마련된다. 각 돌조(3k)는, 단차를 가진 통부(3e)의 후측으로부터 후측 통부(3f)의 내면까지 뻗어 있다. 돌조(3k)는, 예를 들면 선통(3)의 직경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마련된다. 또, 봉 형상 도포재(M)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3n)의 후측에는,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m)이 마련된다.
돌조(3k)의 후측은 후측 통부(3f)의 내부 공간(3q)으로 되어 있고, 내부 공간(3q)은 돌조(3k)가 마련된 부위보다 확경되어 있다. 후측 통부(3f)는, 그 내주면(3s)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에 탄성 돌기부(3t)를 구비한다. 탄성 돌기부(3t)는, 중통(4)의 내면에 탄성력에 의하여 당접하는 것이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탄성 돌기부(3t)의 주위에는, 선통(3)의 내외를 연통하는 노치부(3u)가 형성되어 있고, 노치부(3u)에 의하여 탄성 돌기부(3t)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있다.
노치부(3u)는, 선통(3)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병설되어 축선 방향으로 뻗는 한 쌍의 슬릿(3v, 3w)과, 탄성 돌기부(3t)의 전측에 천설(穿設)되어 슬릿(3v, 3w)의 사이에서 선통(3)의 둘레 방향으로 뻗는 슬릿(3x)을 포함하고 있다. 후측 통부(3f)에서 노치부(3u)에 둘러싸인 부분은, 직경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 암(3y)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암(3y)의 선단부의 외면에 배치된 탄성 돌기부(3t)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력(부세력)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선통(3)은, 그 단차를 가진 통부(3e)에 중통(4)의 내면의 환 형상 돌기(4q)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축선 방향으로 계합함과 함께, 탄성 돌기부(3t)가 중통(4)의 내면에 당접한다. 도 8(a)는 중통(4)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8(b)는 중통(4)을 도 8(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중통(4)은,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으로 성형됨과 함께,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통(4)은,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전측 통부(4a), 후측 통부(4b) 및 스프링부(4c)를 이 순서로 구비하고 있다. 중통(4)은, 낙하 시 등의 외력 작용 시에, 내부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도포 용기(1)나 봉 형상 도포재(M)를 보호한다. 또, 중통(4)의 스프링부(4c)는, 봉 형상 도포재(M)의 후퇴 한계에 있어서 클러치 회전을 행할 때에 나사 결합부(20)를 나사 결합 복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전측 통부(4a)의 외주면의 전단부에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확경하는 경사면(4f)이 형성되어 있다. 전측 통부(4a)의 외주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뻗는 돌출부(4d)와, 돌출부(4d)의 후방에 있어서 대략 원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기(4e)가 마련된다. 돌출부(4d) 및 돌기(4e)에는 캡(C)이 계합된다.
전측 통부(4a)와 후측 통부(4b)의 사이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이음통(5)의 전단에 들어가는 플랜지부(4g)가 마련된다. 후측 통부(4b)의 외면에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축경하는 경사면(4h)을 갖는 환 형상 돌기(4j)와, 환 형상 돌기(4j)의 후방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뻗음과 함께 중통(4)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병설된 복수의 돌출부(4k)와, 복수의 돌출부(4k)의 사이에 있어서 파인 오목부(4m)가 마련된다. 중통(4)을 금형 성형에 의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성형 금형의 내부에 수지 등의 재료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오목부(4m)를 중심으로 배치된다. 돌출부(4k) 및 오목부(4m)의 후방에는 스프링부(4c)가 마련된다. 스프링부(4c)는, 축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수지 스프링이다. 스프링부(4c)는, 본체부(4n)와, 본체부(4n)의 둘레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뻗고 또한 본체부(4n)의 내외를 연통하는 슬릿(4p)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4c)는, 외력이 부여되었을 때에 수축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킨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통(4)은, 전측 통부(4a)보다 후측의 부분이 이음통(5)의 전측에 삽입된다. 또, 중통(4)은, 그 환 형상 돌기(4j)가 이음통(5)의 내면에 마련된 환 형상 오목부(5a)에 축선 방향으로 계합함과 함께, 플랜지부(4g)가 이음통(5)의 전단의 오목부(5b)에 끼워 넣어진다. 또, 이음통(5)의 환 형상 오목부(5a)의 후측에는, 중통(4)을 회전 방향으로 계합하는 널링(5c)이 마련되어 있고, 널링(5c)은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요철이 병설되어 각 요철이 축선 방향으로 뻗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널링(5c)에 중통(4)의 돌출부(4k)가 회전 방향으로 계합함으로써, 중통(4)은 이음통(5)과 동기 회전 가능하게 계합한다.
이음통(5)은, 예를 들면 ABS 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음통(5)의 외면은, 요철 등을 갖지 않는 평활면으로 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확경하는 경사면(5d)으로 되어 있다. 이음통(5)의 전측에는 유지 부재(8) 및 중통(4)이 수용되고, 이음통(5)의 후측에는 장착 부재(6)가 수용된다. 이음통(5)은, 그 축선 방향의 중앙 부근에, 이음통(5)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벽(5e)을 구비하고 있고, 구획벽(5e)의 전방에 유지 부재(8) 및 중통(4)이 삽입됨과 함께, 구획벽(5e)의 후방에 장착 부재(6)가 삽입된다.
구획벽(5e)은, 이음통(5)의 내면(5f)으로부터 이음통(5)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g)와, 돌출부(5g)의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파인 오목부(5h)와, 오목부(5h)의 바닥면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5j)을 갖는다. 오목부(5h)의 내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요철이 병설되어 각 요철이 축선 방향으로 뻗는 널링(5k)이 형성되어 있다. 구획벽(5e)의 전측의 내면(5f)보다 구획벽(5e)의 후측의 내면(5f) 쪽이 확경되어 있다.
유지 부재(8)는, 예를 들면 POM으로 성형됨과 함께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8)는, 축선 방향으로 뻗는 전측 통부(8a)와, 전측 통부(8a)의 후단에서 확경하는 플랜지부(8b)와, 플랜지부(8b)의 후측의 부분이며 이음통(5)의 오목부(5h)의 널링(5k)에 계합하는 후측 통부(8c)를 갖는다. 전측 통부(8a)의 전단부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나사 결합부(20)의 한쪽을 구성하는 나선 형상의 돌기(8d)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8)의 플랜지부(8b)는, 이음통(5)의 구획벽(5e)의 돌출부(5g)와 중통(4)의 후단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유지 부재(8)의 후측 통부(8c)는 탄성 돌출부(8e)를 구비한다. 탄성 돌출부(8e)는, 이음통(5)의 널링(5k)에 회전 방향으로 계합하는 것이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탄성 돌출부(8e)의 주위에는, 유지 부재(8)의 내외를 연통하는 노치부(8f)가 형성되어 있고, 노치부(8f)에 의하여 탄성 돌출부(8e)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있다. 노치부(8f)의 구성은, 예를 들면 상술한 선통(3)의 노치부(3u)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유지 부재(8)는, 후측 통부(8c)가 구획벽(5e)의 오목부(5h)에 전측으로부터 삽입되고, 탄성 돌출부(8e)가 오목부(5h)의 널링(5k)에 회전 방향으로 계합한다. 탄성 돌출부(8e)와 널링(5k)은, 유지 부재(8)를 이음통(5)에 대하여 축선 둘레에 동기 회전 가능함과 함께, 일정 이상의 회전력(토크)이 부여되었을 때에는 당해 동기 회전을 해제 가능하게 한다. 당해 동기 회전을 해제 가능하게 함으로써, 봉 형상 도포재(M)가 전진 한계에 도달하여 나사 결합부(20)의 나사 결합 작용이 정지된 후에, 선통(3)과 이음통(5)을 상대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선통(3) 또는 중통(4)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유지 부재(8)는, 그 플랜지부(8b)가 구획벽(5e)과 중통(4)에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이음통(5)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고 또한 동기 회전 가능하게 계합한다. 또, 유지 부재(8)의 전측 통부(8a)에는, 이동체(7)가 삽입되어 있다.
도 9(a)는 이동체(7)를 전측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9(b)는 이동체(7)의 측면도이다. 이동체(7)는, 예를 들면 POM으로 성형됨과 함께, 둥근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체(7)는, 전측에 마련됨과 함께 도포재 유지부(9)에 연결되는 연결부(7a)와, 연결부(7a)로부터 후방으로 뻗는 축체부(7b)를 구비한다. 연결부(7a)의 외면, 및 축체부(7b)의 외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뻗는 홈부(7c)가 마련된다. 홈부(7c)는, 선통(3)의 내면에 마련된 돌조(3k)와 함께, 선통(3)에 대한 이동체(7)의 회전 방지부로서 기능한다. 홈부(7c)는, 예를 들면 이동체(7)의 직경 방향으로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동체(7)의 연결부(7a)의 전단에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확경하는 테이퍼면(7d)이 마련되어 있다. 또, 연결부(7a)는, 테이퍼면(7d)보다 후방으로, 후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확경하는 테이퍼면(7e)을 갖는 환 형상 돌기(7f)와, 환 형상 돌기(7f)의 후방에 있어서 환 형상 돌기(7f)보다 더 확경하는 확경부(7g)를 갖는다. 환 형상 돌기(7f)와 확경부(7g)의 사이는, 환 형상 돌기(7f) 및 확경부(7g)에 대하여 축경하는 축경부(7h)로 되어 있다.
축체부(7b)는, 연결부(7a)의 후단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뻗어 있는 축체이다. 축체부(7b)의 외면에는, 나사 결합부(20)의 다른 쪽을 구성하는 수나사(7j)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7j)는, 축체부(7b)의 축선 방향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이동체(7)는, 그 환 형상 돌기(7f)가 도포재 유지부(9)에 삽입됨과 함께, 확경부(7g)의 전단이 도포재 유지부(9)의 후단에 당접하여 도포재 유지부(9)에 축선 방향으로 계합한다. 이동체(7)는, 그 홈부(7c)가 선통(3)의 내면에 형성된 돌조(3k)에 회전 방향으로 계합한다. 또, 이동체(7)는, 유지 부재(8)의 전측에 삽입되어, 수나사(7j)가 나사 결합부(20)의 한쪽을 구성하는 유지 부재(8)의 돌기(8d)에 나사 결합한다.
도 10(a)는 도포재 유지부(9)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포재 유지부(9)를 전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포재 유지부(9)는, 선통(3)에 내삽되어 봉 형상 도포재(M)를 유지하는 코어 척 압봉이다. 도포재 유지부(9)의 재료는, 예를 들면 PBT(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포재 유지부(9)는, 전측에 위치하여 봉 형상 도포재(M)를 파지하는 파지부(9a)와, 파지부(9a)로부터 후방으로 뻗음과 함께 이동체(7)를 지지하는 지지부(9b)를 구비한다. 축선 방향을 따라 본 도포재 유지부(9)의 형상은, 비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각부가 둥그스름해짐과 함께 일 방향으로 길게 뻗는 장방 형상으로 되어 있다.
파지부(9a)는, 파지부(9a)와 지지부(9b)와의 연결부를 이루는 기부(基部)(9c)와, 기부(9c)로부터 전방으로 뻗음과 함께 봉 형상 도포재(M)를 파지하는 복수의 암(9d)을 구비한다. 봉 형상 도포재(M)는 복수의 암(9d)의 내측에 파지된다. 각 암(9d)의 내측면에는 암(9d)을 따라 축선 방향으로 뻗는 돌출부(9e)가 마련되어 있고, 각 돌출부(9e)가 봉 형상 도포재(M)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봉 형상 도포재(M)가 도포재 유지부(9)에 알맞게 유지된다.
축선 방향을 따라 본 각 돌출부(9e)의 형상은, 선단이 둥그스름한 삼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암(9d)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얇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암(9d)은, 기부(9c)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1 경사면(9g) 및 제2 경사면(9j)을 갖는다. 암(9d)의 기부(9c)와 제1 경사면(9g)의 사이의 부분, 암(9d)의 제1 경사면(9g)과 제2 경사면(9j)의 사이의 부분, 및 암(9d)의 제2 경사면(9j)과 전단(9k)의 사이의 부분은, 모두 축선 방향으로 뻗어 있다.
기부(9c)와 제1 경사면(9g)의 사이에 있어서의 암(9d)의 두께는, 제1 경사면(9g)과 제2 경사면(9j)의 사이에 있어서의 암(9d)의 두께보다 두껍다. 또, 제1 경사면(9g)과 제2 경사면(9j)의 사이에 있어서의 암(9d)의 두께는, 제2 경사면(9j)과 전단(9k)의 사이에 있어서의 암(9d)의 두께보다 두껍다. 암(9d)의 돌출부(9e)의 높이는 축선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경사면(9g)의 천장면에 대한 돌출부(9e)의 돌출 높이는, 제2 경사면(9j)의 천장면에 대한 돌출부(9e)의 돌출 높이보다 낮다.
도포재 유지부(9)의 지지부(9b)는, 기부(9c)로부터 파지부(9a)의 반대 측(후방)으로 뻗어 있고, 예를 들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지지부(9b)는, 그 외면에 마련되는 오목부(9q)와, 지지부(9b)의 내외를 연통하는 창부(窓部)(9r)와, 도포재 유지부(9)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도포재 유지부(9)를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9s)을 갖는다. 오목부(9q)의 중심에는, 도포재 유지부(9)를 금형 성형에 의하여 제조할 때에, 성형 금형의 내부에 수지 등의 재료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배치된다. 관통 구멍(9s)의 후단부에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확경하는 테이퍼면(9t)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9q)는 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창부(9r)는 축선 방향으로 길게 뻗는 장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창부(9r)와 관통 구멍(9s)은 서로 연통한다. 후방에서 본 관통 구멍(9s)의 형상은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포재 유지부(9)는, 그 관통 구멍(9s)에 후방으로부터 이동체(7)가 삽입된다. 도포재 유지부(9)는, 창부(9r)에 이동체(7)의 환 형상 돌기(7f)가 관통 구멍(9s)의 내면을 타고 넘어 환 형상 돌기(7f)가 창부(9r)에 끼워져 창부(9r)로부터 외방으로 노출됨으로써, 이동체(7)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계합한다. 또, 비원(非圓) 형상인 도포재 유지부(9)는, 선통(3)의 비원 형상으로 된 수용 공간(3n)에 들어감으로써, 선통(3)에 회전 방향으로 계합하여 선통(3)과 함께 동기 회전한다.
그런데, 이음통(5)의 구획벽(5e)의 후측에는 장착 부재(6)가 삽입된다. 도 11(a)는 장착 부재(6)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b)는 장착 부재(6)를 도 11(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장착 부재(6)는,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장착 부재(6)는, 전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축경하는 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장착 부재(6)는, 전측에 위치하여 이음통(5)에 삽입되는 삽입부(6a)와, 삽입부(6a)로부터 후방으로 뻗음과 함께 선단에 도포구(P)가 장착된 장착부(6b)를 구비한다.
삽입부(6a)는, 단차를 가진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삽입부(6a)의 외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뻗어 있는 널링(6c)과, 널링(6c)의 후측에 마련된 오목부(6d)와, 오목부(6d)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전측에 테이퍼면(6e)을 갖는 환 형상 볼록부(6f)와, 환 형상 볼록부(6f)의 후방에 있어서 확경하는 플랜지부(6g)가 마련된다. 장착부(6b)는, 본체(2)에 수용부(10)를 장착하기 위한 나사 결합부(30)의 한쪽을 구성하는 수나사(6h)를 갖는 대경부(6j)와, 대경부(6j)로부터 후방으로 뻗음과 함께 도포구(P)가 장착된 소경부(6k)를 구비한다.
대경부(6j) 및 소경부(6k)는 함께 축선 방향으로 뻗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대경부(6j)의 수나사(6h)의 전방에는, 수나사(6h)가 마련되는 장착 부재(6)의 외면으로부터 확경하는 확경부(6r)가 마련된다. 확경부(6r)는 플랜지부(6g)의 후측에 마련되어 있고, 확경부(6r)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 높이는, 플랜지부(6g)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 높이보다 낮다. 대경부(6j)와 소경부(6k)의 사이에는, 대경부(6j)로부터 소경부(6k)를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경사면(6m)이 마련된다.
경사면(6m)은, 장착 부재(6)의 직경 방향 내측에 회전 중심을 갖는 원호 형상의 제1 만곡부(6n)와, 제1 만곡부(6n)의 대경부(6j)와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평면부(6p)와, 장착 부재(6)의 직경 방향 외측에 회전 중심을 갖는 원호 형상의 제2 만곡부(6q)를 포함하고 있다. 대경부(6j)로부터 소경부(6k)를 향하여 제1 만곡부(6n), 평면부(6p) 및 제2 만곡부(6q)는, 이 순서로 마련된다. 축선 방향에 대한 평면부(6p)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면 36°이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장착 부재(6)의 내부에는 공간(6v)이 마련되고, 공간(6v)에는 도포재(A)의 교반을 재촉하는 교반 부재(S)가 수용되어 있다. 교반 부재(S)의 재료는, 예를 들면 SUS이지만, 수지여도 되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교반 부재(S)는, 장착 부재(6)의 내면에 있어서의 경사면(6m)으로부터 전측의 부분에 수용되어 있다. 교반 부재(S)는, 예를 들면 볼이며,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교반 부재(S)는, 도포 용기(1)에 부여되는 진동에 따라 공간(6v)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소리를 낸다. 장착부(6b)의 소경부(6k)는, 경사면(6m)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다. 소경부(6k)의 후단에는, 도포구(P)가 삽입되는 개구(6s)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 부재(6)는, 그 삽입부(6a)가 후방으로부터 이음통(5)에 삽입되어 널링(6c)이 이음통(5)의 내면의 돌조(5m)에 회전 방향으로 계합함과 함께, 환 형상 볼록부(6f)가 이음통(5)의 내면의 환 형상 볼록부(5q)에 축선 방향으로 계합함으로써, 이음통(5)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한다. 그리고, 장착 부재(6)의 플랜지부(6g)는, 이음통(5)의 후단에 형성된 환 형상 오목부(5p)에 들어간다.
도포구(P)는, 둥근 봉 형상을 이루고 있고, 길이 방향의 일단에 경사면(P1)을 갖는다. 경사면(P1)은, 본체(2)의 후단에 마련되고, 축선 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경사면(P1)은, 예를 들면 평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포구(P)는, 경사면(P1)을 갖는 대경부(P2)와, 대경부(P2)로부터 전방으로 뻗는 소경부(P3)를 갖는다. 소경부(P3)는, 장착 부재(6)의 개구(6s)에 삽입되는 부위이다. 소경부(P3)의 외면에는, 도포구(P)를 장착 부재(6)에 계합함과 함께 전측에 테이퍼면을 갖는 환 형상 볼록부(P5)가 마련된다. 도포구(P)는, 그 소경부(P3)가 후측으로부터 장착 부재(6)의 개구(6s)에 삽입되고 환 형상 볼록부(P5)가 개구(6s) 내의 환 형상 볼록부를 전측으로 타고 넘음으로써, 장착 부재(6)에 축선 방향으로 계합한다.
다음으로, 장착 부재(6)에 장착됨과 함께 도포재(A)가 수용된 수용부(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용부(10)는, 도포재(A)가 충전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충전부(11)와, 충전부(11)를 포위함과 함께 장착 부재(6)에 장착된 커버(12)와, 도포구(P), 및 장착 부재(6)의 소경부(6k)를 훑어 도포구(P) 및 소경부(6k)에 잉여로 부착된 도포재(A)를 긁어모으는 연질재의 와이퍼(13)를 구비한다.
도 12는, 충전부(11)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충전부(11)는, 예를 들면 PP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충전부(11)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충전부(11)의 내면은, 요철 등이 없고, 매끄러운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충전부(11)의 내면은, 매끄럽게 원통 구멍 형상으로 만곡되는 내측면(11a)과, 내측면(11a)의 후단에 위치하는 평탄 형상의 바닥면(11b)에 의하여 구성된다.
충전부(11)의 외면의 전측은, 요철 등이 없고, 매끄러운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충전부(11)는, 그 전측의 일단(11g)에 와이퍼(13)가 삽입되는 개구(11h)를 갖는다. 충전부(11)의 외면의 후측은, 충전부(11)의 후단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확경부(11c)와, 확경부(11c)의 전방에 위치함과 함께 전측에 테이퍼면(11d)을 갖는 환 형상 볼록부(11e)와, 테이퍼면(11d)으로부터 전방에 축선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볼록부(11f)를 구비한다. 확경부(11c)의 후단은 약간 둥그스름하다. 볼록부(11f)는, 예를 들면 4개 마련되어 있고, 4개의 볼록부(11f)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된다. 볼록부(11f)의 돌출 형상은, 예를 들면 원호 형상이다.
도 13(a)는 와이퍼(13)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3(b)는 와이퍼(13)를 후측에서 본 도이고, 도 14는 도 13(a)의 C-C선 단면도이다. 와이퍼(13)는, 고무 재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와이퍼(13)의 경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JIS6253(가황 고무 및 열가소성 고무 경도를 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타입 A 듀로미터에 의한 경도가 40 이상이고 또한 80 이하(일례로서 60)로 되어 있다.
도 13(a), 도 13(b) 및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와이퍼(13)는, 단차를 가진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와이퍼(13)는, 후방으로 뻗는 통 형상의 연장부(13a)와, 연장부(13a)의 전단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3b)와, 제1 돌출부(13b)의 전단으로부터 더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3c)와, 연장부(13a) 및 제1 돌출부(13b)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훑음부(13d)를 구비한다.
연장부(13a)는, 제1 돌출부(13b)의 후단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뻗는 제1 측면(13e)과, 제1 측면(13e)의 후단으로부터 와이퍼(13)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1 테이퍼면(13f)과, 제1 테이퍼면(13f)의 후단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뻗는 제2 측면(13g)과, 제2 측면(13g)의 후단으로부터 와이퍼(13)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2 테이퍼면(13h)을 갖는다. 제2 테이퍼면(13h)의 후단은 와이퍼(13)의 후단에 상당한다.
와이퍼(13)는 도포구(P) 및 장착 부재(6)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13r)을 갖고, 관통 구멍(13r)은 축선 방향으로 와이퍼(13)를 관통하고 있다. 와이퍼(13)의 연장부(13a)의 내면은, 매끄럽게 원통 구멍 형상으로 만곡되는 내주면(13j)과, 내주면(13j)의 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훑음부(13d)에 의하여 구성된다. 훑음부(13d)는, 내주면(13j)의 전단에 위치하는 제1 평면부(13k)와, 제1 평면부(13k)의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뻗는 제1 연장부(13m)와, 제1 연장부(13m)의 후단에 위치하는 환 형상부(13n)와, 환 형상부(13n)로부터 전측으로 뻗는 제2 평면부(13p)와, 제2 평면부(13p)의 전단으로부터 제1 돌출부(13b)를 향하여 뻗는 만곡부(13q)를 구비한다.
제1 평면부(13k)는, 내주면(13j)의 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뻗어 있다. 제1 연장부(13m)는, 제1 평면부(13k)의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이고 또한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환 형상부(13n)는, 제1 연장부(13m)의 후단에 있어서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평면부(13p)는, 환 형상부(13n)의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전측으로 뻗어 있다. 만곡부(13q)는, 제2 평면부(13p)의 전단으로부터 제1 돌출부(13b)를 향함과 함께, 훑음부(13d)가 팽창하도록 전방이고 또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관통 구멍(13r)에 삽입되는 도포구(P) 및 장착 부재(6)는 만곡부(13q) 및 제2 평면부(13p)에 접촉하여 후방으로 진입하고, 관통 구멍(13r)으로부터 전방으로 빠지는 장착 부재(6)와 도포구(P)는 주로 제2 평면부(13p)에 당접하면서 빠짐으로써 와이퍼(13)로 훑어진다.
제1 돌출부(13b)는, 연장부(13a)의 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뻗는 돌출면(13s)과, 돌출면(13s)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전측으로 뻗는 평탄면(13t)과, 평탄면(13t)의 전단으로부터 축경하는 테이퍼면(13z)을 갖는다. 제2 돌출부(13c)는, 전측으로 뻗는 돌출면(13u)과, 돌출면(13u)의 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뻗는 환 형상면(13v)과, 환 형상면(13v)의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이고 또한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뻗는 경사면(13w)을 갖는다.
도 15(a)는 커버(12)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5(b)는 커버(12)를, 축선(L)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종단면도이다. 커버(12)는, 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ABS 수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커버(12)는, 예를 들면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커버(12)의 외면은, 요철 등을 갖지 않는 평활면으로 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확경하는 경사면(12a)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12a)의 후단(커버(12)의 후단)에는, 경사면(12a)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되어 뻗음과 함께 동그스름한 만곡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12)의 내면(12q)의 후측에는, 커버(12)의 후단(12m)으로부터 전방으로 뻗는 환 형상 오목부(12n)와, 환 형상 오목부(12n)의 전측에 위치하는 환 형상 요철부(12p)가 마련된다. 커버(12)의 내면(12q)의 축선 방향 중앙 부근은, 요철 등을 갖지 않는 평활면(12c)으로 되어 있다. 축선 방향에 대한 내면(12q)의 경사 각도는,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면(12a)의 경사 각도보다 작다. 따라서, 커버(12)의 경사면(12a) 및 내면(12q)이 형성된 부분은, 후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두꺼워져 있다.
커버(12)의 내면(12q)의 전측에는, 평활면(12c)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벽부(12d)와, 벽부(12d)보다 전방에 마련되고 나사 결합부(30)의 다른 쪽을 구성하는 암나사(12e)가 마련된다. 암나사(12e)는, 커버(12)의 내면(12q)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나선 형상의 돌기(12f)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커버(12)는, 돌기(12f)가 나사 결합부(30)의 한쪽을 구성하는 수나사(6h)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장착 부재(6)에 장착된다.
도 16은, 커버(12)의 벽부(12d)를 확대한 도이다. 도 15(a), 도 15(b) 및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벽부(12d)는, 예를 들면 복수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벽부(12d)는, 커버(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병설된다. 환언하면, 벽부(12d)는, 커버(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벽부(12d)는, 암나사(12e)가 마련되는 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정면(頂面)(12g)과, 정면(12g)의 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이고 또한 전측으로 반전되는 만곡부(12h)와, 만곡부(12h)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이고 또한 전측으로 비스듬하게 뻗는 경사면(12j)과, 경사면(12j)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뻗는 평탄부(12k)를 갖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벽부(12d)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벽부(12d)의 개수는 12개이다. 또, 벽부(12d)의 정면(12g)은, 축선(L)을 따라 뻗어 있고, 예를 들면 축선(L)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 있다. 단, 정면(12g)은, 축선(L)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 있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후방을 향함에 따라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도 17(a)는, 충전부(11), 커버(12) 및 와이퍼(13)를 구비하는 수용부(10)를, 축선(L)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벽부(12d), 제1 돌출부(13b), 및 충전부(11)의 일단(11g)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와이퍼(13)는, 그 연장부(13a)가 전측으로부터 충전부(11)의 개구(11h)에 삽입되고 제1 측면(13e)의 전체가 충전부(11)의 내측면(11a)에 밀착됨과 함께 제1 돌출부(13b)의 돌출면(13s)이 일단(11g)에 당접한다.
상기와 같이 와이퍼(13)가 장착된 충전부(11)는, 후측으로부터 커버(12)에 삽입된다. 커버(12)에 삽입된 와이퍼(13) 및 충전부(11)는, 와이퍼(13)의 제2 돌출부(13c)가 커버(12)의 벽부(12d)에 축선 방향으로 당접한 상태로 커버(12)에 축선 방향으로 계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충전부(11) 및 와이퍼(13)는, 환 형상 볼록부(11e)가 커버(12)의 환 형상 요철부(12p)의 오목한 부분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커버(12)에 축선 방향으로 계합한다. 또한, 커버(12)에 축선 방향으로 계합한 충전부(11)의 후단(11j)의 전후 방향 위치는, 커버(12)의 후단(12m)의 전후 방향 위치와 대략 일치한다(또는, 후단(12m)보다 약간 전측이다).
그리고, 충전부(11)에 장착된 와이퍼(13)는, 그 제2 돌출부(13c)의 환 형상면(13v) 및 경사면(13w)이 벽부(12d)의 만곡부(12h) 및 경사면(12j)에 들어감으로써, 커버(12)에 축선 방향으로 압압됨과 함께 벽부(12d)에 밀착된다. 와이퍼(13)의 제1 돌출부(13b)를 제외한 부분인 연장부(13a)의 외면은 충전부(11)의 내측면(11a)에 기밀 상태가 되도록 밀착된다. 이와 같이 충전부(11)에 장착된 와이퍼(13)가 커버(12)에 축선 방향으로 압압됨으로써, 와이퍼(13)의 제1 돌출부(13b)는 복수의 벽부(12d)의 각각과 충전부(11)의 개구(11h) 측의 일단(11g)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어진다. 제1 돌출부(13b)는, 커버(12)의 내면(12q)에 기밀 상태가 되도록 밀착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도포 용기(1)의 봉 형상 도포재(M)를 피딩하는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포 용기(1)는, 도 2에 나타나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캡(C)이 분리되어 선통(3)이 노출된 후, 선통(3)과 이음통(5)이 봉 형상 도포재(M)의 피딩 방향인 일 방향(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으로 상대 회전된다. 선통(3)과 이음통(5)이 일 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선통(3)에 대하여 동기 회전하는 이동체(7)와, 이음통(5)에 대하여 동기 회전하는 유지 부재(8)가 일 방향으로 상대 회전된다.
이 상대 회전에 의하여, 선통(3)과 중통(4)이 상대 회전하는 점에서, 선통(3)과 중통(4)의 사이에 있어서 부여되는 회전 저항에 따른 회전 토크로 상대 회전이 행해진다. 또, 이동체(7)의 수나사(7j)와 유지 부재(8)의 나선 형상의 돌기(8d)에 의하여 구성된 나사 결합부(20)의 나사 결합 작용이 작용한다. 또, 이동체(7)의 홈부(7c)와 선통(3)의 내면의 돌조(3k)가 선통(3)에 대한 이동체(7)의 회전 방지부로서 기능함과 함께, 유지 부재(8)는 이음통(5)에 대하여 후퇴가 규제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이동체(7)는 선통(3)에 대하여 전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선통(3)에 대하여 이동체(7)와 함께 도포재 유지부(9)가 전진하면, 봉 형상 도포재(M)가 선통(3)의 선단의 개구(3b)로부터 출현하여 봉 형상 도포재(M)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 용기(1)로부터 얻어지는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포 용기(1)에서는, 축선 방향의 일단(11g)에 개구(11h)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충전부(11)가 통 형상의 커버(12)에 수용되어 있고 2중 통 형상을 나타낸다. 커버(12)의 내면(12q)의 축선 방향의 일단 측에는 암나사(12e)가 형성되고, 충전부(11)에 삽입되는 도포구(P)를 갖는 본체(2)(장착 부재(6))에는 수나사(6h)가 형성되어 있다. 도포구(P)가 충전부(11)에 삽입된 상태로 본체(2)의 수나사(6h)가 커버(12)의 내면(12q)의 암나사(12e)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커버(12)에 본체(2)가 장착된다.
충전부(11)의 개구(11h) 및 커버(12)의 내면(12q)에는 연질재에 의하여 구성된 와이퍼(13)가 고정되어 있고, 와이퍼(13)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3b)를 구비한다. 또, 커버(12)의 내면(12q)에는, 충전부(11)의 개구(11h) 측의 단부(일단(11g))와 와이퍼(13)의 제1 돌출부(13b)를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는 벽부(12d)가 마련되어 있고, 제1 돌출부(13b)는, 커버(12)의 내면(12q)의 벽부(12d)와, 충전부(11)의 개구(11h) 측의 일단(11g)의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와이퍼(13)의 제1 돌출부(13b)가 커버(12)의 내면(12q)의 벽부(12d)와 충전부(11)의 일단(11g)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어지므로, 와이퍼(13)의 제1 돌출부(13b)에 축선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축선 방향으로의 힘으로부터 와이퍼(13)를 보호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12)의 내면(12q) 및 충전부(11)에 대한 와이퍼(13)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와이퍼(13)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와이퍼(13)는, 커버(12) 측(벽부(12d) 측)의 면으로부터 축선 방향(전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3c)를 갖는다. 제2 돌출부(13c)는, 벽부(12d)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벽부(12d)로부터의 제2 돌출부(13c)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와이퍼(13)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돌출부(13c)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힘이 부여되도 벽부(12d)에 의하여 제2 돌출부(13c)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벽부(12d)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제2 돌출부(13c)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와이퍼(13)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돌출부(13c)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었지만, 제2 돌출부의 형상은, 제2 돌출부(13c)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돌출부는, 축선 방향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 벽부(12d)는, 커버(12)의 내면(12q)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벽부(12d)가 커버(12)의 내면(12q)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마련되므로, 커버(12)의 두께는 비교적 일정하게 되어, 금형 성형에 의하여 커버(12)를 제조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이른바 싱크 마크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벽부(12d)와 충전부(11)의 일단(11g)의 사이에 와이퍼(13)의 제1 돌출부(13b)를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복수의 벽부(12d)를 둘레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한 경우여도 확실히 와이퍼(13)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2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포 용기(1)는, 본체(2)의 도포구(P)와의 반대 측에 축선 방향으로 뻗는 봉 형상 도포재(M)를 구비하고, 본체(2)는, 봉 형상 도포재(M)를 축선 방향으로 피딩하는 피딩 기구(1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도포 용기(1)에서는, 충전부(11)의 내부에 액상 또는 분체상 등의 도포재(A)를 충전시킴과 함께, 봉 형상 도포재(M)를 구비하기 때문에, 1개의 도포 용기(1)에서 복수 종류의 도포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본체(2)의 도포구(P)와의 반대 측에 봉 형상 도포재(M)를 피딩하는 피딩 기구(15)를 구비함으로써, 봉 형상 도포재(M)를 도포구(P)의 반대 측에 피딩할 수 있다.
또, 본체(2)는 도포구(P)가 장착된 통 형상의 장착 부재(6)를 구비하고, 장착 부재(6)의 내부에는 교반 부재(S)가 마련되어 있다. 교반 부재(S)는, 본체(2)의 진동에 따라 장착 부재(6)의 내면에 충돌하여 충돌음을 낸다. 이와 같이 진동에 따라 교반 부재(S)가 충돌음을 냄으로써, 도포 용기(1)의 사용자에게 도포 용기(1)의 진동을 촉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교반 부재(S)의 충돌음을 들으면 도포 용기(1)를 진동시키고 싶어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도포 용기(1)의 진동을 촉구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 용기(1)의 진동에 의하여 교반 부재(S)에 의한 도포재(A)의 교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 와이퍼(13)는 고무 재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JIS6253(가황 고무 및 열가소성 고무 경도를 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규정되고 있는 타입 A 듀로미터에 의한 와이퍼(13)의 경도가 40 이상이고 또한 80 이하이다. 따라서, 장착 부재(6)와 도포구(P)에 대한 와이퍼(13)의 경도가 적정하게 되기 때문에, 와이퍼(13)로부터 장착 부재(6) 및 도포구(P)에 알맞은 탄성력을 부여하면서 장착 부재(6) 및 도포구(P)를 당길 수 있다. 따라서, 장착 부재(6) 및 도포구(P)를 알맞은 힘으로 훑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 용기에 대하여, 도 18(a), 도 18(b),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커버(22)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의 커버(12)와는 다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커버(22)의 내면(12q)의 전측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벽부(22d)가 마련된다. 벽부(22d)는, 예를 들면 1개 마련되어 있고, 커버(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벽부"는, 둘레 방향의 전체에 뻗어 있는 벽부, 및 둘레 방향의 전체에 뻗어 있지만 둘레 방향의 일부에 간헐부를 갖는 벽부의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즉, "둘레 방향을 따라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벽부"는, 커버의 내면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돌출되지 않는 부위를 갖는 벽부를 포함하고 있다.
벽부(22d)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커버(22)의 외면(22a)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외면(22a)에 대하여 직경 방향 내측, 및 커버(22)가 두꺼워지는 방향)으로 뻗는 내측면(22g)과, 내측면(22g)의 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이고 또한 전측으로 반전되는 만곡부(22h)와, 만곡부(22h)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이고 또한 전측으로 비스듬하게 뻗는 경사면(22j)과, 경사면(22j)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뻗는 평탄부(22k)를 갖는다. 내측면(22g)은, 축선(L)을 따라 뻗어 있고, 예를 들면 축선(L)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 있다. 단, 내측면(22g)은, 축선(L)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 있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후방을 향함에 따라 축선(L)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충전부(11)에 장착된 와이퍼(13)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커버(22)에 축선 방향(전측)으로 압압되고, 와이퍼(13)의 제1 돌출부(13b)는 벽부(22d)와 충전부(11)의 일단(11g)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어진다.
이상,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 용기에서는, 제1 돌출부(13b)는, 커버(22)의 내면(12q)의 벽부(22d)와, 충전부(11)의 개구(11h) 측의 일단(11g)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와이퍼(13)의 제1 돌출부(13b)에 축선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기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커버(22)의 내면(12q) 및 충전부(11)에 대한 와이퍼(13)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와이퍼(13)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커버(22)의 내면(12q)에 있어서 벽부(22d)가 커버(22)의 둘레 방향의 전체에 뻗어 있으므로, 와이퍼(13)(제2 돌출부(13c))에 대한 벽부(22d)의 접촉 면적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13)의 탈락을 더 확실히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와이퍼(13)에 의한 기밀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계속해서,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 용기에 대하여, 도 20(a), 도 20(b),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커버(32) 및 와이퍼(33)의 구성이 제2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커버(32)는, 커버(22)와 동일하게, 벽부(32d)를 구비하고 있고, 벽부(32d)는, 커버(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벽부(32d)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커버(32)의 외면(32a)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뻗는 내측면(32g)과, 내측면(32g)의 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지는 만곡부(32h)와, 만곡부(32h)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뻗는 평탄면(32k)을 갖는다. 축선 방향에 대한 평탄면(32k)의 각도는, 예를 들면 90°이다. 내측면(32g)은, 내측면(22g)과 동일하게, 축선(L)을 따라 뻗어 있고, 예를 들면 축선(L)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 있어도 되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축선(L)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와이퍼(33)는, 제2 돌출부(13c)에 상당하는 부위를 갖지 않는 점이 와이퍼(13)와 다르다. 와이퍼(33)는, 연장부(13a)의 전단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33b)를 갖는다. 제1 돌출부(33b)는, 연장부(13a)의 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뻗는 돌출면(33s)과, 돌출면(33s)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전측으로 뻗는 평탄면(33e)과, 평탄면(33e)의 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뻗는 환 형상면(33v)을 갖는다. 평탄면(33e)에 대한 환 형상면(33v)의 각도는, 예를 들면 축선 방향에 대한 평탄면(32k)의 각도와 동일하고, 90°이다.
와이퍼(33)는,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충전부(11)에 장착되고, 충전부(11)에 장착된 와이퍼(33)는, 커버(32)에 축선 방향으로 압압된다. 와이퍼(33)의 제1 돌출부(33b)는 벽부(32d)와 충전부(11)의 일단(11g)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돌출부(33b)의 평탄면(33e)이 커버(32)의 내면(12q)에 밀착됨과 함께, 돌출면(33s)에 일단(11g)이 당접하고, 또한 환 형상면(33v)에 벽부(32d)의 평탄면(32k)이 당접한다.
이상,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 용기에서는, 제1 돌출부(33b)는, 커버(32)의 벽부(32d)와, 충전부(11)의 일단(11g)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제1 돌출부(33b)에 축선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32) 및 충전부(11)에 대한 와이퍼(33)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와이퍼(33)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도포 용기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청구항에 기재한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해도 된다. 즉, 도포 용기의 각 부품의 구성은, 상기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형상을 구비하는 커버 및 와이퍼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의 요지의 범위 내이면, 커버 및 와이퍼의 형상을 더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커버 및 와이퍼의 크기, 재료 및 배치 양태를 적절히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충전부의 형상, 크기, 재료 및 배치 양태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경사부(M1), 한 쌍의 평탄면(M2), 및 축선 방향으로 뻗는 측면(M3)을 구비한 봉 형상 도포재(M)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봉 형상 도포재의 형상, 크기, 재료 및 배치 양태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선통(3), 중통(4), 이음통(5), 장착 부재(6), 이동체(7), 유지 부재(8) 및 도포재 유지부(9)를 구비하는 본체(2)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체를 구성하는 부품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 선통, 중통, 이음통, 장착 부재, 이동체, 유지 부재 및 도포재 유지부의 형상, 크기, 재료 및 배치 양태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1…도포 용기
2…본체
6…장착 부재
6h…수나사
11…충전부
11g…일단
11h…개구
12, 22, 32…커버
12d, 22d, 32d…벽부
12e…암나사
12q…내면
13, 33…와이퍼
13b, 33b…제1 돌출부
13c…제2 돌출부
15…피딩 기구
L…축선
M…봉 형상 도포재
P…도포구

Claims (4)

  1. 축선 방향의 일단에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를 수용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내면의 상기 축선 방향의 일단 측에 암나사를 갖는 커버와,
    상기 충전부에 삽입되는 도포구, 및 상기 암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를 갖는 본체와,
    상기 충전부의 상기 개구, 및 상기 커버의 내면에 고정되는 연질재의 와이퍼를 구비한 도포 용기로서,
    상기 와이퍼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커버의 내면에 마련되는 벽부와 상기 충전부의 상기 개구 측의 단부의 사이에 상기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어져 있는, 도포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는, 상기 벽부 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갖는, 도포 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커버의 내면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마련되는, 도포 용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도포구와의 반대 측에 상기 축선 방향으로 뻗는 봉 형상 도포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봉 형상 도포재를 상기 축선 방향으로 피딩하는 피딩 기구를 구비하는, 도포 용기.
KR1020190008197A 2018-01-23 2019-01-22 도포 용기 KR102198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8829A JP6606657B2 (ja) 2018-01-23 2018-01-23 塗布容器
JPJP-P-2018-008829 2018-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766A true KR20190089766A (ko) 2019-07-31
KR102198117B1 KR102198117B1 (ko) 2021-01-04

Family

ID=6729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197A KR102198117B1 (ko) 2018-01-23 2019-01-22 도포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69532B2 (ko)
JP (1) JP6606657B2 (ko)
KR (1) KR102198117B1 (ko)
CN (1) CN110063563B (ko)
FR (1) FR3077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6920B2 (ja) * 2019-07-05 2022-05-30 株式会社大一商会 遊技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0314A (ja) 1995-09-05 1997-03-18 Tokiwa:Kk 液状化粧料塗布容器
JPH10174613A (ja) 1996-10-14 1998-06-30 Tokiwa:Kk 液状化粧料塗布容器
JP2999135B2 (ja) * 1995-02-28 2000-01-17 株式会社トキワ 液状化粧料の付着量調整容器
JP2000037227A (ja) * 1998-07-22 2000-02-08 Suzuno Kasei Kk 液状化粧料容器
KR200365067Y1 (ko) * 2004-07-22 2004-10-15 주식회사 태평양 립스틱 겸용 립글로스
US20090028627A1 (en) * 2005-07-06 2009-01-29 L'oreal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Including a Wiper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1650A (en) * 1974-12-23 1975-11-25 Max Factor & Co Cosmetic applicator and container
JPH0629624B2 (ja) 1984-01-14 1994-04-20 三輪精機株式会社 クラツチ制御回路
JPS60151421U (ja) * 1984-03-19 1985-10-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マスカラ等の化粧料容器
JP3410014B2 (ja) * 1998-03-02 2003-05-26 鈴野化成株式会社 液状化粧料容器
FR2884499B1 (fr) * 2005-04-15 2007-06-15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e deux produits
JP5386225B2 (ja) * 2009-04-30 2014-01-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具付容器
JP2012075556A (ja) * 2010-09-30 2012-04-19 Tokiwa Corp 化粧料塗布具及び化粧料容器
KR101503239B1 (ko) * 2014-09-25 2015-03-18 (주)연우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2313212B1 (ko) * 2015-02-03 2021-10-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JP6795288B2 (ja) * 2015-05-29 2020-12-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具付き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9135B2 (ja) * 1995-02-28 2000-01-17 株式会社トキワ 液状化粧料の付着量調整容器
JPH0970314A (ja) 1995-09-05 1997-03-18 Tokiwa:Kk 液状化粧料塗布容器
JPH10174613A (ja) 1996-10-14 1998-06-30 Tokiwa:Kk 液状化粧料塗布容器
JP2000037227A (ja) * 1998-07-22 2000-02-08 Suzuno Kasei Kk 液状化粧料容器
KR200365067Y1 (ko) * 2004-07-22 2004-10-15 주식회사 태평양 립스틱 겸용 립글로스
US20090028627A1 (en) * 2005-07-06 2009-01-29 L'oreal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Including a Wiper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77968B1 (fr) 2022-04-15
CN110063563B (zh) 2022-02-22
US20190223576A1 (en) 2019-07-25
JP6606657B2 (ja) 2019-11-20
JP2019126463A (ja) 2019-08-01
US10869532B2 (en) 2020-12-22
CN110063563A (zh) 2019-07-30
KR102198117B1 (ko) 2021-01-04
FR3077968A1 (fr)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5678B2 (ja) 化粧料容器
KR20190089766A (ko) 도포 용기
JP2000262324A (ja) ネジ棒繰出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ピストン式押出容器
JP4740173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6627072B1 (ja) 塗布容器
JP2007029536A (ja) 充填物押出容器
JP6600489B2 (ja) 回転繰出容器
CN114947343B (zh) 涂布材料旋出容器
JP3769585B1 (ja) 塗布用充填物押出容器
WO2014192175A1 (ja)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容器
JP3169255U (ja) 揮発性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2023013700A (ja)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押出容器
JP7431440B2 (ja) 化粧料容器
JP2022064019A (ja) キャップ及び塗布容器
JP6700676B2 (ja) 回転繰出容器
JPH0752657Y2 (ja) 化粧料塗布具
JP7060861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7471646B2 (ja) 化粧料繰出容器
JP2021010609A (ja) 塗布材押出容器
JPH0534593Y2 (ko)
WO2019202849A1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5825992B2 (ja) 移動体繰出容器
JPS6112007Y2 (ko)
JP2003033223A (ja) 棒状化粧料容器
JP2021126465A (ja) 化粧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